KR100368780B1 -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 Google Patents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780B1
KR100368780B1 KR10-2000-7007397A KR20007007397A KR100368780B1 KR 100368780 B1 KR100368780 B1 KR 100368780B1 KR 20007007397 A KR20007007397 A KR 20007007397A KR 100368780 B1 KR100368780 B1 KR 100368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weight
composite
complex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3838A (ko
Inventor
야기누마요시히또
가마다에쯔오
모찌하라노부요시
에나쯔고이찌로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3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60Salad dressings; Mayonnaise; Ketch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38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eds, e.g. locust bean gum or guar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62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69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microbial origin, e.g. xanthan or dextran
    • A23L29/27Xanthan not combined with other microbial gu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69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microbial origin, e.g. xanthan or dextran
    • A23L29/272Gell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29/35Degradation products of starch, e.g. hydrolysates, dextrins; Enzymatically modified starch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23L33/24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23L33/25Synthetic polymers, e.g. vinylic or acrylic polymers
    • A23L33/26Polyol polyesters, e.g. sucrose polyesters; Synthetic sugar polymers, e.g. polydextr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20 ∼ 99 중량%의 미세 셀룰로즈, 및 1)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 2) 비소화성의 덱스트린, 및 3) 겔란검 및 잔탄검의 총량이 복합체의 0.1 중량% 이상, 3 중량% 미만인, 폴리덱스트로즈 및 잔탄검 및/또는 겔란검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 1 ∼ 80 중량%를 함유하며, 상기 복합체가 물에 분산되었을때, 복합체내 미세 셀룰로즈의 평균 입자크기가 30 ㎛ 이하인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Description

셀룰로즈-함유 복합체{CELLULOSE-CONTAINING COMPOSITE}
셀룰로즈는 식품에 있어서, 여러 용도, 예를 들어 현탁액의 안정성, 에멀션의 안정성, 형태유지성 또는 혼탁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또는 식이 섬유 첨가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셀룰로즈가 안정화제 등으로 단독으로 사용되면,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거나 셀룰로즈 첨가 식품은 혀에 약간 거친 느낌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천연 식이 섬유는 통상적으로 수불용성 식이 섬유 및 수용성 식이 섬유의 복합체이고, 이 두 종류의 식이 섬유는 장에서의 작용이 다르다. 그러므로, 식품에 사용되는 식이 섬유 재료는 상기 두 종류의 식이 섬유가 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식이 섬유 재료나 조합된 식이 섬유 재료는 식품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낮은 점도를 갖지 않고, 구강내로 섭취시 양호한 느낌을 갖지 않으며, 고안정성을 갖지 않으므로 현재 유용하지 않다.
일본 특허 제 B-57-14771 호에서는 미세 결정 구조의 셀룰로즈, 분산제(검), 및 특정 부분의 분해제를 함유하는 복합체를 기재하고 있다. 상기 복합체는 사용된 검의 종류로 인해 고점도를 가지며, 그러므로 구강내로 섭취시 어떤 경우는 페이스트 같은 끈적한 느낌을 준다. 예를 들면, 시판되고 있는 결정체 셀룰로즈 제제인 Avicel RC-591(상품명, 아사이 케미칼 인더스트리 사의 제품)은 미세결정체 셀룰로즈 및 분산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으며, 3 %의 농도로 물에 분산시키면 1,200 mPaㆍs의 고점도를 갖는다.
일본 특허 제 B-6-75474 호에서는 미세결정체 셀룰로즈 및 갈락토만난 검을 함유하고 있는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이 조성물내에 사용되는 갈락토만난 검은 어떠한 분해 처리도 되지 않은 통상적인 검으로서 미세결정체 셀룰로즈에 대한 결합제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조성물이 물에서 교반되면, 조성물은 단지 부풀고, 입자로 분해되지 않으므로 본래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조성물은 구강내의 느낌이 지방과 비슷하여 식품에 지방 대체용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지만, 물에서 낮은 현탁 안정성을 갖는다.
일본 특허 제 A-6-135838에서는 미세결정체 셀룰로즈(수불용성 식이 섬유로서) 및 효소적으로 가수분해된 구아검(수용성 식이 섬유로서)을 함유하는 구강이나 관으로 섭취하는 영양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이 조성물에서는 상기 미세 결정체 셀룰로즈 및 효소적으로 가수분해된 구아검이 복합체의 형태가 아니라 단순한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그러므로, 미세 결정체 셀룰로즈의 거친 느낌이 충분하게 억제되지 않아 관내에서 흘러내리는 성질이 충분하지 않았다.
일본 특허 제 A-7-173332 호 및 제 A-7-268129 호에서는 40 % 이하의 양으로 10 ㎛이상의 입경을 갖는 입자를 함유하고, 65 % 이상의 콜로이드 함량(미세한 입자의 양에 대한 척도임)을 갖는, 미세 셀룰로즈 및 친수성의 물질 및/또는 수용성 검을 함유하는 복합체를 기재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서, 폴리덱스트로즈는 친수성 물질의 예로 기재되어 있으며, 잔탄검은 수용성 검의 예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체는 높은 콜로이드 함량을 가지며, 따라서 점도가 높다; 그러므로, 1 % 이상의 양으로 음료 등과 같은 식품에 사용되면 끈적한 느낌을 주고, 관급식 유동식에 사용되면, 충분한 속도로 흘러 내려오는 것이 어렵다.
상기 언급한 일본 특허 제 A-7-173332 호 및 일본 특허 제 A-7-268129 호에서는 덱스트린이 친수성 물질의 예로 되어 있다. 덱스트린은 전분이 산, 효소, 열 등의 작용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될 때 형성되는 중간체 군이며, 산업계에서는 건조법으로 얻는 피로텍스트린으로 종종 언급된다(소고 쇼쿠힌 지텐 (6판), pp. 617 ∼ 618 (1989), 요시토 사쿠라이 편집, 도분 쇼인 출판). 상기 문헌에서, 가수분해된 전분이 언급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상기 문헌에서 언급된 덱스트린은 피로덱스트린을 말한다. 그런데, 당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피로덱스트린은 전분을 산 촉매를 사용하여 열분해하여 수득된 백색 또는 황색의 덱스트린, 및 전분을 산을 사용하지 않고 열분해하여 수득된 브리티쉬 검을 포함하며, 각각의 덱스트린은 비소화성의 성분을 포함한다. 그러나, 비소화성의 성분은 기껏해야 약 40 % 이고, 반 이상이 소화성이다(K. 오쿠마 등, 덴품 카가쿠, 37 (2), pp. 107 ∼ 114(1990)). 즉, 일반적으로 덱스트린으로 알려진 물질은 소화성이었다. 대조적으로, 하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소화성의 덱스트린은 상기의 문헌에서 언급한 덱스트린과는 다르며, 비소화성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식이 섬유 재료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일본 특허 제 A-7-70365 호에는 입경 10 ㎛ 이상의 입자를 40 %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며, 50 % 이상의 콜로이드 함량을 갖는 미세 셀룰로즈 및 폴리덱스트로즈의 복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이 복합체는 저점도를 갖는 반면, 겔란검 등의 안정화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장기간의 현탁 안정성을 갖지 않는다. 더욱, 상기 복합체에서 셀룰로즈 입자는 미세하고, 우유 단백질 등과 상호작용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상기 폴리덱스트로즈는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 데에 충분한 작용을 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복합체를 사용하는 계는 응집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문헌에는 덱스트린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덱스트린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동일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소화성의 덱스트린과는 다르다.
국제 특허 제 WO 98/33394 호에서는 미세결정체 셀룰로즈와 폴리덱스트로즈를 물에서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건조하여 수득한 식품에 대한 조직제가 기재되어 있다. 폴리덱스트로즈는 상기 문헌의 청구항에만 사용되어 있으며, 말토덱스트린만 실시예 등에 사용되어 있다. 그러므로, 폴리덱스트로즈를 사용하는 조성물의 작용은 상기 문헌만으로는 불명료하다. 그러나, 폴리덱스트로즈를 사용한 조성물은 말토덱스트린을 사용한 조성물과 동일한 작용을 할 것으로 사료되며, 상기 문헌에서 말토텍스트린을 사용한 조성물이 저농도에서 저점도를 내지만, 셀룰로즈의 침전을 일으켜 두 층으로 분리된다고 밝히고 있기 때문에, 폴리덱스트로즈를 사용한 조성물은 낮은 농도에서 불충분한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상기 문헌은 잔탄검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사용된 잔탄검의 양이 3 % 이상이기 때문에, 상기 조성물은 2 % 현탁액으로 제조시 525 mPaㆍs의 높은 점도를 갖는다. 국제 출원 제 WO 98/33394 호에서는 저점도와 고안정성을 갖는 셀룰로즈 함유 복합체에 대한 어떠한 자료나 기술적인 착상을 기재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셀룰로즈-함유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특유의 미세 셀룰로즈 및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를 함유하고 있어, 구강내로 섭취시 느낌이 좋고 형태유지성과 유동식으로 제조될 때 유동성이 우수하며, 또한 식이 섬유로서 또는 오일이나 지방의 대체용으로 효과적인 셀룰로즈-함유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에 분산되었을 때 저점도 및 우수한 현탁 안정성을 가지며, 구강내로 섭취시 느낌이 양호하고, 탁월한 현탁 안정성, 형태유지성 및 관급식 유동식으로 제조되었을 때 유동성 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수불용성 식이 섬유의 효과와 수용성 식이 섬유의 효과를 갖는 셀룰로즈 함유 복합체; 및 상기 복합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특유의 미세 셀룰로즈 및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체는 물에 분산되면 낮은 점도를 가지며, 상기 미세 셀룰로즈는 작은 평균 입자 크기를 갖기 때문에, 식품에 사용되었을때 끈적한 느낌을 주지 않고, 형태유지성 등과 같은 식품 안정성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발견을 근거로 완성되었다.
본 발명은 하기의 구현예로 나타낼 수 있다.
(1) 20 ∼ 99 중량%의 미세 셀룰로즈, 및 1)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 2) 비소화성의 덱스트린, 및 3) 폴리덱스트로즈 및 잔탄검 및/또는 겔란검의 혼합물(겔란검과 잔탄검의 총량은 상기 복합체의 0.1 중량% 이상, 3 중량% 미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 80 중량%의 1 이상의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를 함유하는 셀룰로즈 함유 복합체, 상기 복합체가 물에 분산되었을때 복합체내의 미세 셀룰로즈 평균 입자 크기는 30 ㎛ 이하임.
(2) 상기 복합체 3 중량%의 현탁액 제조시 300 mPaㆍs 이하의 점도를 갖는 상기 (1)에 따른 복합체.
(3) 상기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가 폴리덱스트로즈 및 잔탄검 및/또는 겔란검의 혼합물인 경우, 65 % 미만의 콜로이드 함량을 갖는 상기 (1)에 따른 복합체.
(4) 65 % 미만의 콜로이드 함량을 갖는 상기 (1)에 따른 복합체.
(5) 상기 수용성 식이 섬유가 폴리덱스트로즈 및 잔탄검 및/또는 겔란검의 혼합물이며(겔란검 및 잔탄검의 총량은 복합체의 0.1 중량% 이상, 3 중량% 미만), 상기 복합체가 65 % 미만의 콜로이드 함량을 갖는 상기 (1)에 따른 복합체.
(6) 20 ∼ 99 중량%의 미세 셀룰로즈, 및 1)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 2) 비소화성의 덱스트린, 및 3) 폴리덱스트로즈와 잔탄검 및/또는 겔란검의 혼합물(겔란검과 잔탄검의 총량은 복합체의 0.1 중량% 이상, 3 중량% 미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 80 중량%의 1 이상의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를 습윤 상태에서 혼합한 후, 상기에서 얻은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셀룰로즈-함유 복합체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은 상기 (1) ∼ (5)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제조방법으로 적합하다.
(7) 20 ∼ 99 중량%의 해중합된 셀룰로즈, 및 1)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 2) 비소화성의 덱스트린, 및 3) 폴리덱스트로즈와 잔탄검 및/또는 겔란검의 혼합물(겔란검과 잔탄검의 총량은 복합체의 0.1 중량% 이상, 3 중량% 미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 80 중량%의 1 이상의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를 습윤 상태에서 동시에 혼합하고 마모한 후, 생성된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셀룰로즈-함유 복합체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은 상기 (1) ∼ (5)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제조방법으로 적합하다.
(8)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조된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를 함유하는 식품.
(9) 복합체가 분해되어 각각 미세 셀룰로즈 입자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조된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를 함유하는 식품.
(10) 관급식 유동식인 상기 (9)에 따른 식품.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 모드
본 발명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는 미세 셀룰로즈 분말과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 분말 등의 혼합물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입자내에 1 이상의 미세 셀룰로즈 입자 및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 및 임의적으로 기타의 성분을 함유하는 입자이며, 상기의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는 미세 셀룰로즈 입자들 중 하나 또는 일군의 상기 입자로 구성된 건조 분말 주위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는, 물내에 위치시켜 교반되었을 때, 복합체의 형태로 물에 분산되지 않지만, 각각의 미세 셀룰로즈 입자의 형태로 분해되어분산된다.
본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를 물에 1 %의 농도로 넣고 교반에 의해 분산시키면, 상기 복합체의 미세 셀룰로즈는 30 ㎛ 이하의 평균 입자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 10 ㎛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미세 셀룰로즈 입자의 비율은 입자 크기 분포에서 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크기가 20 ㎛ 이하이고, 10 ㎛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의 비율이 70 % 이하인 것이다.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크기가 3 ∼ 10 ㎛이고, 10 ㎛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의 비율이 50 % 이하인 것이다. 평균 입자크기가 30 ㎛ 보다 크면, 복합체는 음료나 식품의 형태로 구강내 섭취될 때 혀에 거친 느낌을 주며, 안정성 등과 같은 성질이 낮아진다. 미세 셀룰로즈의 평균 입자크기가 더 작게 제조될수록, 혀에 거친 느낌을 덜 주게 된다. 그러나, 평균 입자크기가 3 ㎛ 이하일 때, 콜로이드 함량과 그에 따른 점도가 어떤 경우 증가하는데, 이러한 경우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는 저점도를 갖는다. 이는 상기 복합체가 3 %로 수분산액에서 측정하였을 때, 바람직하게 300 mPaㆍs 이하의 저점도를 갖는다는 의미이다. 점도가 300 mPaㆍs 보다 크면, 복합체는 구강내로 섭취되었을 때, 끈적한 느낌을 갖는 경향이 있다. 복합체를 특히 관급식 유동식으로 제조하는 경우, 약 1.5 %의 복합체를 함유하는 유동식을 내경 1 mm 이하의 관을 통해 흘러내리게 할 때, 상기 유동식이 일정 속도 또는 높은 속도, 구체적으로 200 g/hr 이상의 속도로 흘러내리게 하기 어렵다. 또한, 관급식 유동식은 유속이 일정값,예를 들면 170 g/hr로 조정되었을 때, 클램프를 억제하여 클램프 위치에서 관을 막히게 하는 경향이 있다. 점도는 100 mPaㆍs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mPaㆍs이하이다.
본 발명의 미세 셀룰로즈는 평균 입자크기가 30 ㎛ 이하인 셀룰로즈 입자이다. 이러한 경우, 10 ㎛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미세 셀룰로즈 입자의 비율이 입자크기 분포에서 80 % 이하이다. 평균 입경이 20 ㎛ 이하이고, 10 ㎛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미세 셀룰로즈 입자의 비율이 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크기가 3 ∼ 10 ㎛ 이고, 10 ㎛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미세 셀룰로즈 입자의 비율이 50 % 이하이다.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은, 원료로서, 모두 콩 종자로부터 수합될 수 있고 갈락토만난인 구아검, 로커스트 콩 검 등을 사용하여, 효소 등으로 갈락토만난의 중심 분자 사슬을 부분적으로 분해함으로써 수득된다. 갈락토만난 중심 분자 사슬이 분해되기 때문에,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은 이의 수용액이 분해전의 갈락토만난과 비교하여 저점도를 갖는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은 물에 10 %의 농도로 용해되었을 때 300 mPaㆍs 이하의, 바람직하게는 100 mPaㆍs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mPaㆍs이하의 점도를 나타낸다. 그런데, 어떠한 효소적 가수분해도 되지 않은 구아검은 1 %의 농도에서 약 3,000 ∼ 4,000 mPaㆍs의 고점도를 나타낸다.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으로는 바람직한 것은 유용성면에서 구아검 효소적 가수분해 생성물이 바람직하다. 이의 시판되는 제품으로는 "썬화이버"(상품명)(타이요 카가쿠 사 제품), "화이베론 S"(상품명)(다이니폰 제약회사 제품) 등이 있다.
비소화성의 덱스트린은, 예를 들면, 산 존재하에 전분을 가열하여 피로덱스트린을 얻은 후, 상기 피로덱스트린을 효소적인 가수분해하거나 이온 교환 수지로 더 분획화시켜 수득된다. 비소화성의 덱스트린은 식이 섬유의 평균 분자량이 약 500 ∼ 3,000이고, 글루코즈 잔기가 α-1,4-, α-1,6-, β-1,2-, β-1,3-, 또는 β-1,6-글루코시드 결합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환원 말단 부분이 레보글루코잔(1,6-무수글루코즈)인 다측쇄 구조의 비소화성의 물질이다. 잘 소화되지 않는 덱스트린의 시판 제품으로는 "파인 화이버"(상품명), "화이버솔 2"(상품명)(두 제품 모두 마추타니 케미칼 인더스트리 사의 제품) 등이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물에 용해되었을 때 저점도를 나타내며, 통상의 전분과는 달리 비소화성이라는 것이 특징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에 의한 경우와 유사한 저점도의 수용액을 생성하는 비소화성의 덱스트린이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저점도의 수용액을 내는 전분으로서, 가수분해된 전분(HSC: 가수분해된 곡물 고형), 덱스트린 및 말토덱스트린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것들은 소화성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소화성의 덱스트린과는 다르다. 본 발명에서는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의 양으로 식이 섬유 성분, 즉 비소화성의 성분을 함유하는 비소화성의 덱스트린이 사용되었다.
폴리덱스트로즈는 글루코즈 분자가 서로 무작위로 결합되어 있는 다측쇄의 글루코즈 중합체이다. 폴리덱스트로즈는 인체의 소화효소로는 소화되기 힘들며, 그러므로 식이 섬유로 작용한다. 폴리덱스트로즈는 비교적 작은 분자량을 가지며, 물에 잘 녹고, 저점도의 수용액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폴리덱스트로즈는 수용성 식이 섬유로 널리 사용된다. 폴리덱스트로즈는 예를 들면, 글루코즈를 소량의 소르비톨과 혼합하고, 소량의 시트르산 첨가한 후, 생성된 혼합물을 감압하에 가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통용되는 시판 제품으로는 "리테스", "리테스 Ⅱ", "리테스 Ⅲ"(상품명, 모두 컬터 푸드 사이언스 사 제품) 등이 있다.
폴리덱스트로즈는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 또는 비소화성의 덱스트린과 거의 동일한 저점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그 자체로는 안정성이 약하므로 잔탄검 및/또는 겔란검과의 부가 혼합물로 사용되어야 한다.
잔탄검은 글루코즈 잔기가 β-1,4-글루코시드 결합에 의해 직쇄로 결합되어 있는 셀룰로즈와 중심 사슬이 유사한 분자 구조이며, α-D-만노즈, β-D-글루크론 산 및 β-D-만노즈 결합에 의해 형성된 삼당체가 측쇄로 중심 사슬의 글루코즈 잔기에 하나 건너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의 삼당체에 아세틸 기 및 피루브산 기가 결합되어 있다. 잔탄검은 약 1,00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다.
겔란검은 구성 단위로서 네 종류의 당 분자, 즉 1,3-결합을 갖는 β-D-글루코즈, 1,4-결합을 갖는 β-D-글루크론 산, 1,4-결합을 갖는 β-D-글루코즈 및 1,4-결합을 갖는 α-L-람노즈를 함유하는 직쇄의 중합체이며, 하나의 글리세릴 기와 1/2(평균)의 아세틸 기가 1,3-결합을 갖는 글루코즈 잔기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겔란검을 고유형 겔란검이라 한다. 분자량은 약 600,000 ∼ 700,000 이다. 통용되는 시판 제품으로는 "켈코겔 LT-100"(상품명)(산-에이 겐 F.F.I 사 제품) 등이 있다.
잔탄검 및 겔란검 모두 수용성이고, 고점도의 수용액을 생성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잔탄검 및 겔란검은 단독으로 또는 부가 혼합물로 폴리덱스트로즈와 혼합될 수 있다. 폴리덱스트로즈와의 혼합물에서, 잔탄검 및/또는 겔란검은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혼합물로서, 잔탄검 및/또는 겔란검의 1 % 수용액 제조시, 350 mPaㆍs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mPaㆍs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mPaㆍs 이하의 점도를 내는 것이 사용된다. 사용되는 겔란검 및 잔탄검의 총량은 본 발명 복합체의 0.1 ∼ 3 중량% 이어야 한다. 총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생성된 복합체는 만족할만한 안정성을 갖지 않는다. 총량이 3 중량%를 초과하면, 안정성은 증가하지만 저점도가 손상된다.
본 발명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는 20 ∼ 99 중량%의 미세 셀룰로즈 및 1)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 2) 비소화성 덱스트린, 및 3) 폴리덱스트로즈와 잔탄검 및/또는 겔란검의 혼합물(겔란검과 잔탄검의 총량이 복합체의 0.1 중량% 이상, 3 중량% 미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 80 중량%의 1 이상의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를 함유한다. 미세 셀룰로즈의 양이 20 중량% 미만이면, 복합체는 예를 들어 케이크을 구울 때 형태유지성을 주는 데에 사용되는 안정화제로서 충분한 작용을 하지 못한다. 미세 셀룰로즈의 총량이 99 중량%를 초과하면, 복합체는 혀에 거친 느낌 또는 구강내에서 건조한(촉촉하지 않은) 느낌을 준다.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의 양이 1 중량% 미만이면, 복합체를 물에 넣고 교반시킬 때 복합체의 미세 셀룰로즈가 각각의 입자로 분산되지 않는다.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의 양이 80 중량%를 초과하면, 복합체는 안정화제로서 충분한 작용을 못할 뿐 아니라, 혀에끈적한 느낌을 준다.
본 발명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는 바람직하게 40 ∼ 90 중량%의 미세 셀룰로즈 및 10 ∼ 60 중량%의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를 함유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85 중량%의 미세 셀룰로즈 및 15 ∼ 50 중량%의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에서는 미세 셀룰로즈 및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 이외에 단당류, 올리고당, 당알콜, 전분, 가용성 전분, 가수분해된 전분, 오일 및 지방, 단백질, 식염, 기타 염(예를 들어 인산염), 유화제, 증점제 및 안정화제, 산미료, 향신료, 식용색소 등과 같이 식품에 사용가능한 여러 성분을 필요에따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복합체의 분산 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식품에 사용되는 증점제 및 안정화제(예를 들면, 잔탄검,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나트륨, 펙틴 또는 겔란검), 당 및 전분(예를 들어, 가용성 전분 또는 가수분해된 전분), 식이 섬유(예를 들어 가수분해된 펙틴)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성분은 본 복합체가 생성되는 동안 또는 생성된 후에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되는 이러한 성분의 양은 기능(예를 들어, 안정성) 및 점도의 요구되는 균형면에서 적당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 또는 비소화성의 덱스트린이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로 사용될 때는, 잔탄검을 3 % 이하로 또는 겔란검을 1 %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과를 낼 수 있다. 상기 성분의 특히 바람직한 양은 복합체를 기준으로 할때 0.1 ∼ 2.5 중량%이다.
본 발명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는 낮은 콜로이드 함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콜로이드의 함량이 높으면 고점도를 나타내므로, 콜로이드 함량은 85 %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50 %이다.
또한, 본 복합체가 20 ∼ 99 중량%의 미세 셀룰로즈 및 1 ∼ 80 중량%의 폴리덱스트로즈 및 잔탄검 및/또는 겔란검(겔란검과 잔탄검의 총량은 복합체의 0.1 중량% 이상, 3 중량% 미만)의 혼합물을 함유할 때, 콜로이드 함량은 65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콜로이드 함량이 65 % 이상이면 점도가 높아지며, 산성환경하에서 우유 단백질 입자와의 반응성이 증가된다(이는 안정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콜로이드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 ∼ 50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40 %이다.
미세 셀룰로즈 및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를 함유하는 본 복합체는 분말의 미세 셀룰로즈 및 분말의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의 단순한 혼합물이 아니라, 미세 셀룰로즈 및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를 습윤 상태에서, 즉 슬러리, 페이스트, 겔 또는 케이크 상태에서 혼합한 후, 생성된 혼합물을 건조시켜 수득된 복합체이다. 습윤 상태에서 상기의 혼합을 수행함으로써, 미세 셀룰로즈 입자의 표면이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와 잘 혼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조 단계 후, 미세 셀룰로즈 입자 및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간의 반응이 일어나고, 그러므로 상기의 미세 셀룰로즈 입자가 물에서 교반에 의해 각각의 입자로 분산되는 경우,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의 일부분은 미세 셀룰로즈 입자 표면에 부착되어 잔존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복합체의 수분산액은 상기 성분들의 단순한 혼합물 보다 감소된 점도를 가지며, 관에서 흘러내릴때 클램프 부분에서 감소된 막힘을 보인다. 건조 전 혼합물중의 물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총중량의 약 30 중량% 이상이다. 물의 함량이 낮으면 미세 셀룰로즈 및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의 충분한 혼합에 요구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물의 함량은 약 5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본 발명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는 예를 들어, 셀룰로즈 재료(예를 들면, 나무 펄프, 정제된 린터, 재생된 셀룰로즈 또는 곡물이나 과일 유래의 야채 섬유)를 해중합 처리하여(예를 들어, 산 가수분해, 알칼리 산화 분해, 효소 가수분해, 증기 폭발 분해, 임계이하 또는 초임계 물에 의한 가수분해, 또는 이의 조합) 평균 중합도 30 ∼ 375 를 갖는 셀룰로즈를 수득한 후, 기계적인 전단기(전단력)를 사용함으로써 셀룰로즈를 마모시켜 미세 셀룰로즈로 만들고, 여기에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를 첨가한 후 이것들을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건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특히,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를 해중합된 셀룰로즈 재료에 첨가한 후, 기계적인 전단기를 사용하여 마모 및 혼합을 동시에 수행하고(습윤 공-마모), 생성된 재료를 건조시켜 미세 셀룰로즈-함유 복합체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셀룰로즈 함유 복합체는 셀룰로즈 재료를(예를 들어 나무 펄프 또는 박테리아 셀룰로즈) 약한 화학적 처리(통상적인 화학적 처리가 아님)를 한 후, 습윤 마모를 수행하거나 또는 기계적인 전단기를 사용함에 의해 분쇄하여, 미세 섬유의 셀룰로즈 또는 분말 셀룰로즈를 얻고, 여기에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를 첨가하여, 물존재하에서 이들을 혼합 및/또는 마모하고, 생성된 재료를 건조하여 미세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를 제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습윤마모를 위해 사용되는 마모기는 마모체계에 존재하는 물의 양 및 마모에 의해 성취될 수 있는 셀룰로즈 미세함의 의도한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예를 들면, 충분한 기계적인 전단기가 8 ㎛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미세 셀룰로즈를 수득하기 위해 사용될 때, 미디어 진탕 분쇄기(예를 들면, 습윤 진동 분쇄기, 습윤 유성 진동 분쇄기, 습윤 볼 분쇄기, 습윤 롤 분쇄기, 습윤 코볼 분쇄기 또는 습윤 비드 분쇄기), 습윤 페인트 진탕기, 고압 호모지나이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압 호모지나이저로 유용한 것은 슬러리가 약 500 kgf/cm2이상의 압력에서 작은 직경의 입구로 도입되고, 고 유속에서 정면 충돌이 일어나게 하는 타입이다. 상기의 분쇄기가 사용될 때, 슬러리 중의 최적 고형 농도는 분쇄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약 3 ∼ 25 중량%가 적당하다.
기계적인 전단기가 5 ∼ 30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미세 셀룰로즈를 수득하기 위하여 사용될 때, 및 약 3 ∼ 30 중량%의 고형 함량을 갖는 슬러리가 마모될 때, 마모기 또는 혼합기는 콜로이드 분쇄기, 연속 볼 분쇄기, 호모지나이저, 호모믹서, 프로펠러믹서 등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약 20 ∼ 50 중량%의 높은 고형 함량을 갖는 덩어리가 마모될 때, 반죽기, 자동 모르타르, 압출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세섬유화된 셀룰로즈는 셀룰로즈 재료 현탁액을 50 kgf/㎠ 이상의 압력에서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통해 수회 통과시켜 약 0.01 ∼ 1 ㎛으로 섬유직경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셀룰로즈 재료 현탁액을 미디어 진탕 분쇄기에서 여러번 처리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이 기구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미세 셀룰로즈 및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의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것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건조를 실시할 때, 건조될 혼합물 중의 물의 함량 및 혼합물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슬러리 혼합물 건조시, 예를 들면, 스프레이 건조, 드럼 건조, 알콜 침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질척한 혼합물 또는 떡-같은 혼합물을 건조에서는 트레이 건조, 벨트 건조, 유동층 건조, 냉동-건조, 초단파건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에서의 가용성 및 재분산성에 있어서 향상된 복합체를 수득하기 위하여, 슬러리 혼합물을 스프레이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알콜 침전, 압착, 고형 함량이 높은 혼합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트레이 건조, 및 유동층 건조가 바람직하다. 건조된 혼합물중의 물 함량의 상한은 건조된 혼합물의 취급성(취급의 용이함) 및 저장안정성을 고려할 때, 15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1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6 중량% 이하이다.
드럼 건조, 트레이 건조, 벨트 건조 등에 의해 수득된 건조 혼합물은 박막형 또는 덩어리형을 갖는다. 그러므로, 건조된 재료는 충돌형미분기, 분사분쇄기 등과 같은 적당한 방법에 의해 분쇄화되고, 거의 모든 분말이 425 ㎛의 구멍을 갖는 체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분말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는 여러 음식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음식의 예로는 기호 음료(예를 들면, 커피, 홍차, 분말 차, 코코아, 떡을 함유한 팥죽, 쥬스), 우유-기재 음료(예를 들면, 생우유, 가공된 우유, 젖산균 음료 및 두유), 영양-강화 음료(예를 들면, 칼슘-강화 음료), 식이 섬유-함유 음료 등과 같은 음료; 아이스크림, 얼린 우유, 소프트 크림, 밀크 쉐이크, 샤베트 등과 같은 빙과류; 버터, 치즈, 요구르트, 커피 백색제, 휘핑 크림, 커스타드 크림, 푸딩 등과 같은 유제품; 마요네즈, 마가린, 스프레드, 쇼트닝 등과 같은 가공된 오일 및 지방 식품; 스프, 스튜, 소스, 드리핑, 드레싱 등과 같은 양념; 양념 페이스트(예를 들면, 머스타드 페이스트), 잼, 필링(예를 들면, 분말 페이스트), 콩 잼, 젤리 등과 같은 겔- 또는 페이스트-같은 식품; 빵, 국수, 파스타, 피자, 예비혼합물 등과 같은 곡물 식품; 사탕, 쿠키, 비스킷, 핫 케이크, 초코렛, 떡 등과 같은 일본식 및 서양식 케이크; 삶은 생선 페이스트, 생선 케이크 등과 같은 해산 페이스트 제품; 햄, 소시지, 햄버거 등과 같은 축산품; 크림 크로켓, 중국음식용 콩잼, 그라탕, 다진 돼지고기로 채운 만두 등과 같은 밥이나 빵과 같이 곁들여 먹는 요리; 절인 생선 내장, 청주 앙금으로 절인 야채 등과 같은 진미; 관급식 유동식 등과 같은 유동식; 및 애완동물사료 등이 있다.
이러한 적용에서, 본 발명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는 현탁 안정화제, 에멀션 안정화제, 증점제 및 안정화제, 거품 안정화제, 혼탁제, 조직부여제, 유동성 증가제, 형태유지제, 물 분리 억제제, 보디변형제, 분말화제, 식이 섬유제, 오일 또는 지방 대체용 저칼로리제 등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식품이 레토르트 식품, 분말 식품, 냉동 식품 및 전자 오븐용 식품에서 볼 수 있는 형태 또는 조리 방법이 다양할때도 나타날 수 있다.
본 셀룰로즈-함유 복합체가 저점도를 나타내고, 작은 입자의 미세 셀룰로즈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복합체로 제조되는 식품은 혀에 무난하고, 목을 용이하게 넘어가며, 혀에 거친 느낌이 적고, 그러므로, 구강내로 섭취시 좋은 느낌을 준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본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는 특히 관급식 유동식을 위한 식이 섬유 재료로서 적합하다. 현재, 관급식 유동식의 업계에서, 수용성 식이 섬유 및 수불용성 식이 섬유 모두를 사용하려는 시도 중에 있다. 이런 종류의 일부 관급식 유동식은 이미 시판되고 있으나, 하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충분한 성질을 갖지 못한다. 관급식 유동식은 관을 통해 인체에 투여되며, 장기간에 걸쳐 일정한 속도로 매우 느리게 관을 통해 흘러내려야 한다. 그러나, 상기 시판되는 제품에서는 수불용성 성분이 관의 클램프를 막히게 한다(클램프는 흘러내리는 속도를 조절한다). 현재, 관급식 유동식은 필요에따라 막힘을 제거하기 위해 클램프를 열고서 투여된다. 본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는 저점도를 내고, 미세 셀룰로즈 입자는 거의 덩어리 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복합체가 관급식 유동식으로 사용될 때, 실질적으로 관의 클램프에서 막힘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본 복합체는 수용성 식이 섬유 및 수불용성 식이 섬유를 함유하기 때문에, 본 복합체는 관급식 유동식를 위한 식이 섬유 재료로서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가 식품의 주재료이고, 필요에따라, 양념, pH-조절제, 증점제 및 안정화제, 염, 당, 오일 또는 지방, 단백질, 유화제, 산미료, 식용 색소 등 식품에 사용될 때, 이들은 여러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기구를 사용하여 혼합, 반죽, 교반, 유화, 가열 등이 되어진다.
식품중의 본 셀룰로즈-함유 복합체의 함량은 식품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나, 식품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 15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복합체가 주로 안정화제로 사용되는 것이 의도될 때는, 상기 함량이 약 0.02 ∼ 3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복합체가 주로 식이 섬유 재료(관급식 유동식 등) 또는 오일 및 지방 대체용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의도될 때는 상기의 함량이 약 0.5 ∼ 15 중량%가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하기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측정은 하기와 같이 이루어졌다.
평균 입자 크기 및 복합체내의 10 ㎛ 이상의 입자 비율
(1) 증류수를 3.0 g(고형함량)의 샘플에 첨가하여 총량 300 g을 만든다.
(2) 혼합물을 Ace 호모지나이저 AM-T(니뽄 세이키 사 제품)를 사용하여 15,000 rpm에서 5분간 분산시킨다.
(3) 생성된 분산물은 레이져 회절형 입자 크기 분산 측정기(LA-910, 호리바 세이사쿠쇼 사 제품)를 사용하여 입자 크기 분산을 측정한다. "평균 입자 크기"는 50 % 누적부피의 입자 크기이며, "10 ㎛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의 비율"은 부피 분산에서의 비율(%)이다.
복합체의 점도
(1) 증류수를 9.0 g(고형함량)의 샘플에 첨가하여 총량 300 g을 만든다.
(2) 혼합물을 Ace 호모지나이저 AM-T(니뽄 세이키 사 제품)를 사용하여 15,000 rpm에서 5분간 분산시킨다.
(3) 생성된 분산물은 BL 형 점도계(도쿄 케이끼 제품)를 사용하여 60 rpm(로터), 25 ℃(분산 온도)에서 점도를 측정한다. 점도의 단위는 mPaㆍs이다.
복합체의 콜로이드 함량
(1) 증류수를 0.75 g(고형함량)의 샘플에 첨가하여 총량 300 g을 만든다.
(2) 혼합물을 Ace 호모지나이저 AM-T(니뽄 세이키 사 제품)를 사용하여 15,000 rpm에서 2분간 분산시킨다.
(3) 10 ml의 생성된 분산물을 정확하게 비중병에 담아 정확하게 무게를 측정한다.
(4) 40 ml의 남아있는 분산물을 원심분리튜브에 옮겨, H-300(코쿠산 엔시키에 의해 제조된 원심분리기)을 사용하여 2,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다. 10 ml의 상층액을 정확하게 비중병에 담아 정확하게 무게를 측정한다.
(5) (3) 및 (4)의 비중병을 10 시간동안 105 ℃의 건조기에서 가열하여 내용물을 증발 건조시킨다.
(6) (3)의 고형함량을 정확하게 측량하여, A g으로 한다.
(7) (4)의 고형함량을 정확하게 측량하여, B g으로 한다.
(8) 수용성 성분을 보정 하고(총 복합체 중에 함유되어 있는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 및 기타 수용성 물질의 비율(S %)), 콜로이드 함량이 하기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콜로이드 함량 (%) =
[(B - A x S / 100) / (A x (1 - S / 100))] x 100
실시예 1
시판되는 DP 펄프를 105 ℃에서 20 분간 7 %의 염산중에서 가수분해하였다. 생성된 산-불용성 잔기를 여과에 의해 수합하고, 세척하여 195의 중합도를 갖는 가수분해된 셀룰로즈의 습윤 덩어리(고형함량 : 40 %)를 수득하였다.
이 가수분해된 셀룰로즈 및 효소적으로 가수분해된 구아검(선화이버(상품명), BL 형 점도계 및 BL 어댑터를 사용하여 60 rpm(로터)에서 10 % 수용액에서 측정되었을때, 7 mPaㆍs의 점도를 갖는 타이요 카가쿠 사 제품)을 마모하고, 표 1에 나타낸 비율로(고형함량) 반죽기를 사용하여 3시간동안 반죽하였다. 반죽된 재료를 60 ℃의 열기 건조기에서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A ∼ D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를 수득하였다. 각각의 복합체를 물에 분산시켰고,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콜로이드 함량,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점도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하였을때, 최상부에 물 분리가 없었고, 각 분산액은 안정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작을 수행하여 가수분해된 셀룰로즈의 습윤 덩어리를 수득하였다. 여기에 물을 첨가하여 10 %의 고형함량을 갖는 셀룰로즈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셀룰로즈 분산액을 1,800 rpm(블레이드) 및 0.4 L/분(셀룰로즈 분산액의 주입 속도)의 조건하에서 매질로서 직경 1 mm의 지르코니아 비드를 사용하여 매질 진탕 습윤 분쇄기(APEX MILL AM-1(상품명), 코토부키 엔지니어링 매뉴팩쳐링 사 제품)를 2회 관통시킴으로써 분쇄처리하고, 이에 의해 미세 셀룰로즈 페이스트를 수득하였다. 미세 셀룰로즈의 평균 입자 크기는 3.4 ㎛이고, 10 ㎛ 이상의 입자 비율이 4.5 %였다.
미세 셀룰로즈 및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효소적인 가수분해된 구아검을 70/30의 비율(고형함량)로 교반하며 혼합하여, 총 고형함량 13 %를 갖는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분산액을 알루미늄 판에 주조하고 60 ℃의 열기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그 다음, 알루미늄 판 상의 건조된 재료를 해머 분쇄기로 분쇄하여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E를 얻었다. 상기 복합체 E를 물에 재분산시켰고,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콜로이드 함량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점도 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하였을때, 최상부에 물 분리가 없었고, 분산액은 안정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작을 수행하여 가수분해된 셀룰로즈의 습윤 덩어리를 수득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효소적으로 가수분해된 구아검 및 물을 첨가하여 미세 셀룰로즈/효소적으로 가수분해된 구아검 비율이 70/30이고, 고형함량이 16 %인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분산액을 TK 호모믹서(토쿠슈 키타 코교 K.K. 제품)를 사용하여 8,000 rpm에서 15분간 처리한 후, 스프레이 건조하여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F를 수득하였다. 복합체 F를 물에 재분산시켰고,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점도 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하였을때, 최상부에 물 분리가 없었고, 분산액은 안정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작을 수행하여 가수분해된 셀룰로즈의 습윤 덩어리를 수득하였다. 상기의 가수분해된 셀룰로즈,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효소적으로 가수분해된 구아검, 잔탄검(산-에이 겐 F.F.I 사 제품) 및 겔란검(켈고겔 LT-100(상품명), 산-에이 겐 F.F.I 사 제품)을 표 1에 나타난 비율(고형함량)에서 혼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반죽, 건조 및 분쇄하여,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G 및 H를 수득하였다. 복합체 G 및 H를 물에서 재분산시켰고, 각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콜로이드 함량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점도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하였을때, 최상부에 물 분리가 없었고, 각 분산액은 안정하였다.
실시예 5
분말화된 셀룰로즈(KC Flok(상품명), 니뽄 페이퍼 인더스트리 사 제품) 및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효소적으로 가수분해된 구아검을 표 1에 나타난 비율(고형함량)로 혼합하였다. 여기에 분말화된 셀룰로즈의 1.5배의 양으로 물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반죽, 건조 및 분쇄하여 셀룰로오즈-함유 복합체 I를 수득하였다. 복합체 I를 물에 재분산시켰고,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점도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하였을때, 최상부에 물 분리가 없었고, 분산액은 안정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작을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수행하여 셀룰로즈입자 a 및 복합체 b를 수득하였다. 생성된 셀룰로즈 입자 및 복합체를 물에서 재분산시켰고, 각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콜로이드 함량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점도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하였을때, 셀룰로즈 입자 a의 수분산액에서는 최상부 95 % 부분에서, 복합체 b의 수분산액에서는 최상부 32 % 부분에서 물 분리가 일어났다.
실시예 6
시판되는 DP 펄프를 105 ℃에서, 20 분간 7 % 염산에서 가수분해하였다. 생성된 산-불용성 잔기를 여과에 의해 수합하고, 세척하여 가수분해된 셀룰로즈의 습윤 덩어리(고형함량 : 41 %)를 수득하였다. 상기의 가수분해된 셀룰로즈 및 비소화성의 덱스트린(파인 화이버(상품명), BL 형 점도계 및 BL 어댑터를 사용하여 60 rpm(로터)에서 10 %의 수용액에 대한 측정시, 2 mPaㆍs의 점도를 갖는 마추타니 카가쿠 코교 K.K.사 제품)을 마모하고, 표 2에 나타난 비율(고형함량)로 반죽기를 사용하여 3시간 동안 반죽하였다. 반죽된 재료를 60 ℃로 열기 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분쇄하여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J ∼ L을 수득하였다. 각 복합체를 물에재분산시켰고,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콜로이드 함량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점도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하였을때, 최상부에 물 분리가 없었고, 각 분산액은 안정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6과 동일한 조작을 수행하여 가수분해된 셀룰로즈의 습윤 덩어리를 수득하였다. 여기에 물을 첨가하여 10 %의 고형함량을 갖는 셀룰로즈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셀룰로즈 분산액으로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조작을 수행하여 미세 셀룰로즈의 평균 입자 크기는 3.5 ㎛이고, 10 ㎛ 이상의 입자 비율이 4.7 %인 미세 셀룰로즈 페이스트를 수득하였다. 미세 셀룰로즈 페이스트 및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비소화성의 덱스트린을 60/40의 비율(고형함량)로 교반하에 혼합하여, 총 고형함량 13 %를 갖는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분산액을 알루미늄 판에 주조하고, 60 ℃의 열기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그 다음, 알루미늄 판 상의 건조된 재료를 해머 분쇄기로 분쇄하여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M을 수득하였다. 상기 복합체 M을 물에 재분산시켰고,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콜로이드 함량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점도 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하였을때, 최상부에 물 분리가 없었고, 분산액은 안정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조작을 수행하여 가수분해된 셀룰로즈의 습윤 덩어리를 수득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비소화성의 덱스트린 및 물을 첨가하여 미세 셀룰로즈/비소화성의 덱스트린 비율이 85/15이고, 고형함량이 16 %인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분산액을 TK 호모믹서(토쿠슈 키타 코교 K.K. 제품)를 사용하여 8,000 rpm에서 15분간 처리한 후, 스프레이 건조하여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N을 수득하였다. 복합체 N을 물에 재분산시킨 후,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점도 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하였을때, 최상부에 물 분리가 없었고, 분산액은 안정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조작을 수행하여 가수분해된 셀룰로즈의 습윤 덩어리를 수득하였다. 상기의 가수분해된 셀룰로즈,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비소화성의 덱스트린, 잔탄검(산-에이 겐 F.F.I 사 제품) 및 겔란검(켈코겔 LT-100(상품명), 산-에이 겐 F.F.I 사 제품)을 표 2에 나타난 비율(고형함량)로 혼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하게 반죽, 건조 및 분쇄하여,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O 및 P를 수득하였다. 복합체 O 및 P를 물에 재분산시켰고, 각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콜로이드 함량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점도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하였을때, 최상부에 물 분리가 없었고, 각 분산액은 안정하였다.
실시예 10
분말화된 셀룰로즈(KC Flok(상품명), 니뽄 페이퍼 인더스트리 사 제품) 및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비소화성의 덱스트린을 표 2에 나타난 비율(고형함량)로 혼합하였다. 여기에 분말화된 셀룰로즈의 1.5배의 양으로 물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하게 반죽, 건조 및 분쇄하여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Q를 수득하였다. 복합체 Q를 물에 재분산시켰고,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점도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하였을때, 최상부에 물 분리가 없었고, 분산액은 안정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조작을 표 2에 나타낸 조성으로 수행하여 복합체 c를 수득하였다. 상기 복합체를 물에 재분산시켰고,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셀룰로즈 입자 a 및 실시예 6과 동일한 비소화성의 덱스트린을 혼합하여 분말 d를 얻었다. 분말 d를 물에 재분산시켰고,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점도 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시켰을때, 최상부 94 % 부분에서 물분리가 일어났다.
실시예 11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조작을 수행하여 가수분해된 셀룰로즈의 습윤 덩어리를 수득하였다. 가수분해된 셀룰로즈, 폴리덱스트로즈(리테스(상품명), 컬터 푸드 사이언스 사 제품), 및 잔탄검(실시예 9에서와 동일) 단독으로 또는 겔란검(실시예 9에서와 동일) 단독으로 또는 잔탄검과 겔란검의 혼합물을 표 3에 나타낸 비율(고형함량)로 혼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6과 동일하게 반죽, 건조, 및 분쇄하여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R ∼ U를 수득하였다. 복합체 R ∼ U를 물에 재분산시켰고, 각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콜로이드 함량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점도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하였을때, 최상부에 물 분리가 없었고, 각 분산액은 안정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조작을 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수행하여 복합체 e 및 f를 수득하였다. 각 복합체를 물에 재분산시켰고,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점도 및 콜로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실시예 6과 동일한 조작을 수행하여 가수분해된 셀룰로즈의 습윤 덩어리를 수득하였다. 여기에 물을 첨가하여 10 %의 고형함량을 갖는 셀룰로즈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셀룰로즈 분산액을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조작을 하여 미세 셀룰로즈의 평균 입자 크기는 3.5 ㎛이고, 10 ㎛ 이상의 입자 비율이 4.7 %이며, 콜로이드 함량이 69 %인 미세 셀룰로즈 페이스트를 수득하였다. 미세 셀룰로즈 페이스트, 실시예 11에서와 동일한 폴리덱스트로즈 및 실시예 9에서와 동일한 잔탄검을 70/20/5의 비율(고형함량)로 교반하에 혼합하여, 총 고형함량 3.5 %를 갖는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산액을 스프레이 건조하여 복합체 g를 수득하였다. 복합체 g를 물에 재분산시켰고,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콜로이드 함량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덧붙여, 복합체 g는 일본특허 제 A-7-268129호에 개시된 기술에 속한다. 표 3으로부터 명확하듯이, 복합체 g의 수분산액은 95 %의 높은 콜로이드 함량을 가지며, 따라서 410 mPaㆍs의 고점도를 갖는다.
비교예 6
비교예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미세 셀룰로즈 페이스트, 실시예 11에서와 동일한 폴리덱스트로즈 및 물을 혼합하여 미세 셀룰로즈/폴리덱스트로즈 비율(고형함량) 70/30 및 총 고형함량 12 %인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분산액을 드럼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하였다. 생성된 막을 분쇄하여 복합체 h를 수득하였다. 복합체 h를 물에 재분산시켰고,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콜로이드 함량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점도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하였을때, 분리된 물의 투명한 층이 최상부 11 % 부분에 나타났다. 덧붙여, 복합체 h는 일본특허 제 A-7-70635 호에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 12
시판되는 DP 펄프를 105 ℃에서, 30 분간 10 % 염산에서 가수분해하였다. 생성된 산-불용성 잔기를 여과에 의해 수합하고, 세척하여 중합도 185를 갖는 가수분해된 셀룰로즈의 습윤 덩어리(고형함량 : 48 %)를 수득하였다.
가수분해된 셀룰로즈,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효소적으로 가수분해된 구아검, 비소화성의 덱스트린(화이버솔 2(상품명), BL 형 점도계 및 BL 어댑터를 사용하여 60 rpm(로터)에서 10 %의 수용액에 대한 측정시, 2 mPaㆍs의 점도를 갖는 마추타니 카가쿠 코교 K.K.사 제품), 실시예 11에서와 동일한 폴리덱스트로즈, 실시예 9에서와 동일한 잔탄검 및 실시예 9에서와 동일한 겔란검을 마모하고, 표 4에 나타난 비율(고형함량)로 3시간동안 반죽기를 사용하여 반죽하였다. 반죽된 재료를 60 ℃의 열기 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분쇄하여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V ∼ X를 수득하였다. 각 복합체를 물에 분산시켰고, 수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 10 ㎛ 이상의 입자 비율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점도측정 후 수분산액을 상온에서 3일간 방치하였을때, 최상부에 물 분리가 없었고, 각 분산액은 안정하였다.
실시예 13
현탁액 안정화, 식이 섬유 강화 등의 목적으로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를 사용하여, 영양-강화 음료를 제조하였다.
1.0 중량%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A, C, G, L, M, P, R, T 또는 X, 3.3 중량%의 카제인화 나트륨, 11.0 중량%의 가수분해된 전분, 1.4 중량%의 설탕, 0.8 중량%의 락토즈, 1.1 중량%의 콩 레시틴, 1.0 중량%의 중간 사슬 지방산 에스테르, 1.0 중량%의 샐러드 오일 및 79.4 중량%의 물을 TK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10,000rpm에서 10 분간 분산시켰다. 생성된 재료를 150 kgf/cm2의 압력에서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1회 통과시켜 균질화하였다. 생성된 재료를 내열성 병에 담아 121 ℃에서 30분간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하여 영양 강화 음료를 수득하였다.
각 음료를 점도(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60 rpm(로터)에서 측정), 침전형성, 구강내로 섭취시 혀에 거친 느낌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복합체 a, g, 또는 h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에서와 동일한 조작으로 영양 강화 음료를 수득하였다. 각 음료를 점도(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60 rpm(로터)에서 측정), 침전형성, 및 구강내로 섭취시 혀에 거친 느낌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복합체 g를 사용한 음료는 침전을 보이지 않았고, 혀에 거친 느낌을 주지 않았으나, 매우 끈적이고 페이스트 같이 느껴졌다.
실시예 14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를 예를 들면, 형태유지성를 부여하거나, 또는 식이 섬유를 강화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여 비스킷을 제조하였다.
분말 상태에서 30 중량부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A, G, M, P, R, T 또는 X, 300 중량부의 밀가루, 100 중량부의 설탕, 6 중량부의 중탄산나트륨, 및 3 중량부의 식염을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유성 믹서(planetary mixer)에 정치하였다.여기에 150 중량부의 마가린, 30 중량부의 계란 전부(흰자 및 노른자) 및 물을 첨가한 후, 5분간 반죽하였다. 물을 표 6에 나타낸 양으로 첨가하였다. 반죽하는 동안, 반죽 덩어리가 유성 믹서의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반죽된 덩어리를 하루 밤동안 냉장고에 둔후, 다시 상온으로 옮겼고, 15 mm(두께) x 30 mm(너비) x 15 mm의 형태로 주형하였다. 상기 주형을 160 ℃의 오븐에서 20 분간 구워 다양한 비스킷을 수득하였다. 각 비스킷은 구운 후 형태유지성(늘어짐)이 관찰되었다. 구운 후 비스킷을 구강내로 섭취시 느낌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복합체 a, c, 또는 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에서와 동일한 조작으로 비스킷을 제조하였다. 반죽하는 동안 반죽 덩어리가 유성 믹서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관찰하였고, 구운 후 비스킷의 형태유지성(늘어짐)을 관찰하였다. 구강내로 섭취시 비스킷의 느낌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를 오일 및 지방의 대체물, 에멀션 안정화제 등으로 사용하여, 저지방 마요네즈 같은 드레싱을 제조하였다.
8.0 중량%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E, P, 또는 T 및 37.7 중량%의 물을 호바르트 믹서에 두고, 교반하에 분산하였다. 여기에 교반하에 0.3 중량%의 잔탄검 및 10.0 중량%의 계란 노른자를 첨가하였다. 또한, 33.0 중량%의 샐러드 오일을 교반하에 첨가하였다. 교반을 계속하였다. 연속하여, 7.0 중량%의 식초, 2.6중량%의 식염, 0.9 중량%의 설탕, 0.4 중량%의 머스타드 분말 및 0.1 중량%의 글루탐산나트륨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약 30 분간 교반한 후, 유화를 위해 콜로이드 분쇄기를 통과시켜 드레싱을 제조하였다.
각 드레싱을 구강내로 섭취시 느낌(부드러움, 거침, 및 보디) 및 열안정성(드레싱을 유리병에 두고, 병을 95 ℃의 뜨거운 물에 15분간 담가두었을 때의 에멀션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9
복합체 b, e, 또는 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에서와 동일한 조작으로 드레싱을 제조하였다. 각 드레싱을 구강내로 섭취시의 느낌 및 열안정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를 식이 섬유 강화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여 관급식 유동식을 제조하였다.
1.5 중량%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C, P 또는 R, 14.2 중량%의 가수분해된 전분, 3.1 중량%의 카제인, 2.1 중량%의 분말 탈지유, 1.0 중량%의 옥수수 오일, 1.0 중량%의 코코넛 오일, 0.09 중량%의 염화 칼륨, 0.05 중량%의 염화 나트륨, 0.05 중량%의 황산 마그네슘, 0.02 중량%의 글리세로인산 칼슘, 0.02 중량%의 콩 레시틴, 63 ppm의 비타민 C, 20 ppm의 비타민 E, 9 ppm의 니코트아미드 및 0.7 ppm의 비타민 B1 염화수소를 혼합하였다. 여기에 60 ℃의 온도를 갖는 76.87 중량%의 뜨거운 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TK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10,000 rpm에서 5분간 분산시켰다. 생성된 재료를 유화를 위해 150 kgf/cm2의 압력에서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통해 1 회 통과시켰다. 생성된 재료를 내열성 병에 채우고, 120 ℃의 오토클레이브에서 30분간 멸균하여 관급식 유동식을 수득하였다.
영양 급식을 위한 염화 폴리비닐로 만든 주머니에 고정되어 있는 관(내경: 3.4 mm, 길이: 120 cm)의 끝에 영양 급식을 위한 EVA-제조 관(내경: 0.88 mm, 길이: 120 cm)을 연결하였다. 그 다음, 상기에서 수득한 관급식 유동식의 1L를 영양 급식용 주머니에 채웠다. 클램프를 억제함으로써, 관급식 유동식의 흘러내리는 속도를 170g/hr로 조절하였고, 관급식 유동식은 1.2 m의 높이로부터 흘러내리게 하였다. 관급식 유동식을 주머니에 채웠을 때의 외관, 흘러내리는 동안의 막힘, 유속의 변화 등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0
복합체 b, d, g 또는 h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6에서와 동일한 조작으로 관급식 유동식을 제조하였다. 각 관급식 유동식은 실시예 1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되었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복합체 조성 (중량%) 복합체의 수분산액
미세셀룰로즈 효소적으로 가수분해된 구아검 잔탄검 겔란검 평균입자크기(㎛) 10 ㎛이상의 입자(%) 콜로이드함량(%) 점도(mPaㆍs)
실시예 1 ABCD 40607590 60402510 0000 0000 7.48.28.011.0 35423856 18-21- 8101212
실시예 2 E 70 30 0 0 3.6 7.5 83 40
실시예 3 F 70 30 0 0 18.2 64 - 60
실시예 4 GH 7070 2829 20 01 8.48.6 4239 70- 8086
실시예 5 I 70 30 0 0 15.4 58 - 20
비교예 1 ab 10010 090 00 00 42.07.6 8638 05 108
복합체 조성 (중량%) 복합체의 수분산액
미세셀룰로즈 비소화성의덱스트린 잔탄검 겔란검 평균입자크기(㎛) 10 ㎛이상의 입자(%) 콜로이드 함량(%) 점도(mPaㆍs)
실시예 6 JKL 457085 553015 000 000 7.18.511.2 253855 --32 4.05.49.5
실시예 7 M 60 40 0 0 4.5 7 56 7.6
실시예 8 N 85 15 0 0 14.8 67 - 45
실시예 9 OP 7474.7 2525 10 00.3 6.97.3 2629 -42 4030
실시예 10 Q 60 40 0 0 21.3 82 - 16
비교예 2 c 10 90 0 0 6.3 21 3 7.0
비교예 3 d 70 30 0 0 41.0 83 0 6.3
복합체 조성 (중량%) 복합체의 수분산액
미세셀룰로즈 폴리덱스트로즈 잔탄검 겔란검 평균입자크기(㎛) 10 ㎛이상의 입(%) 콜로이드 함량(%) 점도(mPaㆍs)
실시예 11 RSTU 60504075 38.549.559.223.5 1.500.51.5 00.50.30 6.56.28.57.5 21193832 26406332 27334739
비교예 4 ef 1070 9030 00 00 6.48.2 2137 1214 7.25.5
비교예 5 g 75 20 5 0 3.7 2.5 95 410
비교예 6 h 70 30 0 0 4.0 10 81 60
복합체 조성 (중량%) 복합체의 수분산액
FC GU ND PD XA GE 평균입자크기(㎛) 10 ㎛이상의 입자(%) 콜로이드 함량(%) 점도(mPaㆍs)
실시예 12 VWX 807060 10100 101830 008.5 020 001 9.58.29.6 423546 --35 81516
FC : 미세 셀룰로즈GU : 가수분해된 구아검ND : 비소화성의 덱스트린PD : 폴리덱스트로즈XA : 잔탄검GE : 겔란검
복합체 점도(mPaㆍs) 혀에 거친 느낌 침전
실시예 13 ACGLMPRTX 242421032221209517051 무무무무무무무무무 무무무무무무무무무
비교예 7 agh 321560250 유무무 유무유
복합체 첨가된 물의양(중량부) 반죽하는 동안의부착 구운 후형태유지성 구강내의 느낌
실시예 14 AGMPRT무 40505055504550 무무무무무무무 양호양호양호양호양호양호양호 양호양호양호양호양호양호양호
비교예 8 ace 603030 무유유 양호형태 잃음형태 잃음 혀에 거침입에서 잘 녹지 않음입에서 잘 녹지 않음
복합체 구강내의 느낌 열 안정성
부드러움 거침 보디
실시예 15 EPT 양호양호양호 무무무 양호양호양호 물 또는 오일의 분리가 없음물 또는 오일의 분리가 없음물 또는 오일의 분리가 없음
비교예 9 beg 양호양호양호 무유유 불충분불충분과도함 물 및 오일 모두 약간 분리됨물 및 오일 모두 약간 분리됨물 또는 오일의 분리가 없음
복합체 외관 흘러내리는 성질
실시예 16 C 양호 약간의 막힘이 2회 있었음.막힘은 클램프를 열어 제거하였고, 전 부피가 흘러내렸음.
P 양호 전량이 막힘없이 흘러내렸음.
R 양호 전량이 막힘없이 흘러내렸음.
비교예 10 b 흰 침전층이 바닥 6 % 부분에 나타남 심한 막힘때문에, 일정한 속도로 흘러내리는 것이 불가능함.
d 흰 침전층이 바닥 4 % 부분에 나타남 심한 막힘때문에, 일정한 속도로 흘러내리는 것이 불가능함.
g 양호 고점도로 인하여 클램프를 모두 열어도 의도하는 유속을 달성하지 못함.
h 덩어리짐이 전부부에서 일어남 완전한 막힘이 6회 있었음.
본 발명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는 특유의 미세 셀룰로즈,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 비소화성의 덱스트린, 폴리덱스트로즈 및 안정화제(예를들면, 잔탄검, 겔란검)를 특장 비율로 함유한다. 그러므로, 물에서 분산시, 본 복합체는 저점도 및 우수한 현탁 안정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복합체를 함유하는 식품은 구강내로 섭취시 느낌이 탁월하며, 형태유지성, 관급식 유동식 등으로 사용시 흘러내리는 성질이 우수하고, 또한 오일 및 지방에 대한 대체물 등 식이 섬유 재료로서 상당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4)

  1. 미세 셀룰로즈 20 ∼ 99 중량%, 및 1)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 및 2) 비소화성의 덱스트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 1 ∼ 80 중량%를 포함하고, 복합체가 물에 분산되었을때 복합체내 미세 셀룰로즈의 평균 입자크기가 30 ㎛ 이하이고, 3중량%의 복합체 현탁액으로 제조되었을때, 300 mPaㆍs 이하의 점도를 가지는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콜로이드 함량이 65 % 미만인 복합체.
  5. 삭제
  6. 미세 셀룰로즈 20 ∼ 99 중량%, 및 1)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 2) 비소화성의 덱스트린 및 3) 겔란검 및 잔탄검의 총량이 복합체의 0.1 중량% 이상, 3 중량% 미만인, 폴리덱스트로즈 및 잔탄검 및/또는 겔란검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 1 ∼ 80 중량%를 습윤 상태에서 혼합한 후, 생성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셀룰로즈-함유 복합체의 제조 방법
  7. 해중합된 셀룰로즈 20 ∼ 99 중량%, 및 1) 가수분해된 갈락토만난, 2) 비소화성의 덱스트린 및 3) 겔란검 및 잔탄검의 총량이 복합체의 0.1 중량% 이상, 3 중량% 미만인 폴리덱스트로즈 및 잔탄검 및/또는 겔란검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저점도 수용성 식이 섬유 1 ∼ 80 중량%를 습윤 상태에서 동시에 혼합하고 마모한 후, 생성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셀룰로즈-함유 복합체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를 함유하는 식품.
  9. 복합체가 분해되어 각각의 미세 셀룰로즈 입자의 형태로 분산되는 제 1 항 또는 제 4 항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를 함유하는 식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이 관급식 유동식인 식품.
  11. 미세 셀룰로즈 20 ∼ 99 중량%, 및 겔란검 및 잔탄검의 총량이 복합체의 0.1 중량% 이상, 3 중량% 미만인 폴리덱스트로즈 및 잔탄검 및/또는 겔란검의 혼합물 1 ∼ 80 중량%를 포함하고, 복합체가 물에 분산되었을때, 복합체내 미세 셀룰로즈의 평균 입자크기가 30 ㎛ 이하이고, 3 중량%의 복합체 현탁액으로 제조되었을때, 300 mPaㆍs 이하의 점도를 가지며, 그리고, 콜로이드 함량이 65 % 미만인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12. 제 11 항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를 함유하는 식품.
  13. 복합체가 분해되어 각각의 미세 셀룰로즈 입자의 형태로 분산되는 제 11 항 의 셀룰로즈-함유 복합체를 함유하는 식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이 관급식 유동식인 식품.
KR10-2000-7007397A 1998-01-09 1999-01-08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KR100368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805 1998-01-09
JP280598 1998-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838A KR20010033838A (ko) 2001-04-25
KR100368780B1 true KR100368780B1 (ko) 2003-01-24

Family

ID=1153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397A KR100368780B1 (ko) 1998-01-09 1999-01-08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95190B1 (ko)
EP (1) EP1048690A4 (ko)
KR (1) KR100368780B1 (ko)
CN (1) CN1209402C (ko)
AU (1) AU736463B2 (ko)
TW (1) TW408153B (ko)
WO (1) WO19990351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2986A1 (ko) * 2018-01-22 2019-07-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기반 친환경 고강도 장섬유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2051B2 (en) 2000-03-21 2014-02-04 Suzanne Jaffe Stillman Method of hydration; infusion packet system(s), support member(s),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with business model(s) and Method(s)
MXPA02009231A (es) * 2000-03-21 2004-04-05 Suzanne Jaffe Stillman Paquete de infusion con elementos decorativos y utiles, miembro de soporte, sistema y metodo de suministro.
JP4083374B2 (ja) * 2000-07-11 2008-04-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ルロースの生成方法
US6514546B2 (en) * 2001-01-31 2003-02-04 Koji Tsukuda Easily dispersible granules of soybean protein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 same
CN100433989C (zh) * 2001-05-30 2008-11-19 旭化成株式会社 含细纤维素的复合物
EP1362518B1 (en) * 2002-05-15 2007-06-27 Nestec S.A. Food products providing sustained blood levels of caffeine and their use
US20080193590A1 (en) * 2002-11-06 2008-08-14 Fiberstar Inc., Incorporated Highly refined cellulose neutraceutical compostions and methods of use
US8685943B2 (en) 2003-03-12 2014-04-01 Hill's Pet Nutrition, Inc. Methods for reducing diarrhea in a companion animal
US7252850B2 (en) * 2003-05-30 2007-08-07 Delavau Llc High protein and high fiber food products
EP1646367A4 (en) * 2003-07-21 2011-06-15 Nesher Solutions Ltd ORAL DOSAGE FORMS WITH CONTROLLED RELEASE ON GELLAN RUBBER BASE A NEW PLATFORM TECHNOLOGY FOR MAGNETIC RETENTION
AU2003264112B2 (en) * 2003-08-28 2011-04-28 Premier Nutrition Corporation Food product providing sustained blood levels of exogenous substances
US20050064068A1 (en) * 2003-09-24 2005-03-24 Shukla Triveni P. Emulsified liquid shortening compositions comprising dietary fiber gel, water and lipid
CN1886427B (zh) 2003-11-28 2012-05-23 伊士曼化工公司 纤维素共聚体和氧化方法
AU2005228768C1 (en) * 2004-03-31 2010-11-18 Meiji Dairies Corporation Antibacterial compositions
JP2005287454A (ja) * 2004-04-02 2005-10-20 Matsutani Chem Ind Ltd 保健機能付与飲食品及び飲食品へ保健機能を付与する方法
US20050239744A1 (en) * 2004-04-22 2005-10-27 Michael Ioelovich Method of producing microcrystalline cellulose-containing compositions
US20060029712A1 (en) * 2004-08-06 2006-02-09 Grain Processing Corporation Pulp mimetic
EP1629727A1 (en) * 2004-08-24 2006-03-01 N.V. Nutricia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able polysaccharides
JP4738165B2 (ja) * 2005-02-21 2011-08-03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水溶性食物繊維含有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8053216B2 (en) * 2005-05-23 2011-11-08 Cp Kelco U.S., Inc. Bacterial cellulose-containing formulations
AU2006250004B2 (en) * 2005-05-23 2011-08-18 Cp Kelco U.S., Inc. Bacterial cellulose-containing formulations and method of producing effective bacterial cellulose-containing formulations
US20060286268A1 (en) * 2005-06-14 2006-12-21 Circle Group Holdings, Inc. Amorphous insoluble cellulosic fib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594619B2 (en) 2005-07-22 2009-09-29 Ghere Jr A Michael Cotton fiber particulate and method of manufacture
FR2889531B1 (fr) * 2005-08-05 2008-12-19 Rhodia Chimie Sa Composion comprenantun extrait de guar et utilisation d'un extrait de guar comme agent de traitement et/ou de modification de surfaces
JP5034946B2 (ja) 2005-08-29 2012-09-26 味の素株式会社 栄養組成物
GB2434295B (en) * 2006-01-18 2011-07-27 Si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Nutritional Compositions
US20070259090A1 (en) * 2006-05-05 2007-11-08 Technology Advancement Labs Llc Low-calorie foods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US20080260908A1 (en) * 2007-04-23 2008-10-23 Pepsico, Inc. Stabilizer System For Food And Beverage Products
AT505904B1 (de) * 2007-09-21 2009-05-15 Chemiefaser Lenzing Ag Cellulosesuspensio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01496592B (zh) * 2008-01-29 2012-09-05 中国肉类食品综合研究中心 一种膳食纤维块及其加工方法
US20090297671A1 (en) * 2008-06-02 2009-12-03 Frito-Lay North America, Inc. Infusion Method for Vacuum Fried Fruit Leveraging
CN102115994B (zh) * 2010-01-06 2012-08-29 安琪酵母股份有限公司 一种木质纤维素原料的处理方法
CA2804653C (en) * 2010-07-08 2017-02-28 Tropicana Products, Inc. Stabilizer system for a ready-to-drink whole grain beverage
ES2650166T3 (es) * 2010-08-06 2018-01-17 Matsutani Chemical Industry Co., Ltd. Método para mejorar el sabor salado de alimentos y bebidas y agente mejorador del sabor salado de alimentos y bebidas
US20120034368A1 (en) * 2010-08-06 2012-02-09 Matsutani Chemical Industry Co., Ltd. Method for improving salty taste of food or beverage and salty taste improving agent
US9392814B2 (en) 2014-06-06 2016-07-19 Nicholas J. Singer Delivery system for drinks
IN2014MU02176A (ko) * 2014-07-04 2015-08-07 Ajay Nilawar
USD773313S1 (en) 2015-06-23 2016-12-06 Nicholas J. Singer Package
WO2018145886A1 (en) 2017-02-09 2018-08-16 Unilever N.V. Edible concentrate comprising microfibrillated cellulose
JP6694856B2 (ja) * 2017-07-25 2020-05-2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繊維状セルロース含有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膜
JP6539792B1 (ja) 2017-08-24 2019-07-03 株式会社Mizkan Holdings 液状又は半固体状乳化調味料及びその製造法、風味改善方法
CA3071083C (en) * 2018-04-06 2023-09-05 Mizkan Holdings Co., Ltd. Composition containing fine particle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3329641A (zh) * 2018-12-06 2021-08-31 塞鲁康普有限公司 替代组合物中蛋的方法
CN109621836B (zh) * 2018-12-29 2020-09-04 河北鑫合生物化工有限公司 含有鼠李糖脂的粉体生物表面活性剂的制备方法
CN114845564A (zh) * 2019-12-23 2022-08-02 嘉吉公司 重构可溶性木薯粉
JP2022047661A (ja) * 2020-09-14 2022-03-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複合体、成形体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CN117545358A (zh) * 2021-03-16 2024-02-09 丰益国际有限公司 脂肪组织替代物及其制造方法
WO2022220739A1 (en) * 2021-04-12 2022-10-20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Dew-point cooler
CN113980293B (zh) * 2021-10-12 2024-05-10 昆明理工大学 一种纤维素微凝胶复配悬浮流变改性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3058A (en) * 1967-01-30 1971-03-30 Swift & Co Microcrystalline cellulose compositions co-dried with hydrocolloids
GB1517912A (en) 1974-06-06 1978-07-19 Unilever Ltd Product
JPS5534006A (en) 1978-08-28 1980-03-10 Asahi Chem Ind Co Ltd Ice cream composition
US4264637A (en) * 1979-01-17 1981-04-28 Amiel Braverman Microcrystalline cellulose in freezable-gel-confection compositions
JPS5642564A (en) * 1979-09-13 1981-04-20 Asahi Chem Ind Co Ltd Liquid pasty seasoning solution composition
JPS5714771A (en) 1980-07-01 1982-01-26 Nec Corp Sounding system of sonar
US4378381A (en) * 1980-10-31 1983-03-29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Suspensions containing microfibrillated cellulose
JPH0591833A (ja) 1991-08-05 1993-04-16 Meiji Milk Prod Co Ltd 組合せ食品及びその製造法
EP0537554B1 (en) * 1991-09-30 1999-07-21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A water-dispersible complex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944330B2 (ja) * 1991-09-30 1999-09-06 旭化成工業株式会社 水分散性の複合体とその製法
US5387423A (en) * 1992-07-24 1995-02-07 Otsuka Foods Co., Ltd. Low calorie food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930481B2 (ja) 1992-08-25 1999-08-03 三田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取付構造
JPH06135838A (ja) 1992-10-30 1994-05-17 Snow Brand Milk Prod Co Ltd 経口経管栄養組成物
GB9226391D0 (en) * 1992-12-18 1993-02-10 Cpc International Inc Xanthan gelling agents
JPH0770365A (ja) 1993-09-02 1995-03-14 Asahi Chem Ind Co Ltd 水分散性組成物
JP3423383B2 (ja) 1993-12-17 2003-07-07 旭化成株式会社 微細セルロース組成物
JP3666911B2 (ja) 1994-11-28 2005-06-29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水分散性微細セルロース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083814B2 (ja) * 1996-12-24 2008-04-30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水性懸濁状組成物及び水分散性乾燥組成物
AU5828098A (en) 1997-01-31 1998-08-25 Fmc Corporation Texture and stabilizer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2986A1 (ko) * 2018-01-22 2019-07-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기반 친환경 고강도 장섬유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36463B2 (en) 2001-07-26
TW408153B (en) 2000-10-11
WO1999035190A1 (fr) 1999-07-15
KR20010033838A (ko) 2001-04-25
AU1784799A (en) 1999-07-26
EP1048690A1 (en) 2000-11-02
EP1048690A4 (en) 2004-06-02
CN1287564A (zh) 2001-03-14
US6495190B1 (en) 2002-12-17
CN1209402C (zh) 200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780B1 (ko) 셀룰로즈-함유 복합체
JP5978418B2 (ja) セルロース組成物
JP3874560B2 (ja) 微細セルロース含有複合物
EP0295865B1 (en) Comestibles containing parenchymal cell cellulose
TWI604006B (zh) 纖維素複合體
US7544379B2 (en) Composite containing fine cellulose
JP2000316507A (ja) 食物繊維強化麺類
JP4117818B2 (ja) 崩壊性セルロース含有食品組成物
JP3830112B2 (ja) セルロース含有複合体
JP2000041627A (ja) 複数の分散性セルロース複合体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JP3506936B2 (ja) セルロース含有複合体
US11242446B2 (en) Cellulose composite
JP3665010B2 (ja) 微細セルロース含有複合体を配合してなる食品組成物
JP2000178377A (ja) セルロース複合体粉末
TWI721401B (zh) 纖維素粉末
JP5202453B2 (ja) 卵加工品の製造方法
JP2001316274A (ja) 経管栄養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342195A (ja) 飲食品原料及びそれを含む飲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