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879B1 - 열가소성수지조성물,이로부터제조된성형품및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수지조성물,이로부터제조된성형품및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879B1
KR100364879B1 KR1019970024149A KR19970024149A KR100364879B1 KR 100364879 B1 KR100364879 B1 KR 100364879B1 KR 1019970024149 A KR1019970024149 A KR 1019970024149A KR 19970024149 A KR19970024149 A KR 19970024149A KR 100364879 B1 KR100364879 B1 KR 100364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due
monomer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147A (ko
Inventor
야스히로 아라이
구니히꼬 고니시
데쓰야 신무라
Original Assignee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80002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A) ∼ (E) 를 함유하고, 용융 흐름 속도 (MFR) 이 10 ㎏ 의 하중 및 265 ℃ 에서 3 내지 40 g/10분 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 40 내지 80 중량%,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잔류물 20 중량% 이하 (0 중량% 는 제외),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미드 유도체의 잔류물 10 내지 6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 0 내지 20 중량% 를 함유하는 말레이미드 공중합체인 성분 (A) 3 내지 50 중량부;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 60 내지 80 중량%,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의 잔류물 20 내지 4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 0 내지 20 중량% 를 함유하는 비닐 공중합체인 성분 (B) 0 내지 50 중량부;
방향족 비닐 단량체 50 내지 80 중량%,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20 내지 4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 0 내지 30 중량% 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 35 내지 65 중량부를 고무상 중합체 35 내지 65 중량부에 그라프트 중합시킴으로써 수득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성분 (C) 3 내지 50 중량부;
폴리아미드 수지인 성분 (D) 20 내지 56 중량부;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단량체의 잔류물 및/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잔류물 5 중량% 이하 (0 중량% 는 제외) 를 함유하는 에틸렌-α-올레핀의 탄성 중합체성 공중합체인 성분 (E) 12 내지 40 중량부;
단, 상기 성분들 (A) 내지 (E) 의 합은 100 중량부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이의 제조 방법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및 상기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잔류물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미드 단량체의 잔류물을 주로 함유하는 말레아미드 공중합체; 고무상 중합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 및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의 잔류물을 주로 함유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수지;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단량체의 잔류물 및/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잔류물을 함유하는 에틸렌-α-올레핀의 탄성 중합체를 특정 비율로 주성분으로서 포함하고, ABS 수지에 우수한 내약품성을 부여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ABS 수지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내약품성의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구체적으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ABS 수지를 성형 기계로 동시에 공급 및 성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이하, 직접 성형) 에 의해서 수득되는, 내충격성,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의 혼합물을 고무상 중합체에 그라프트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소위 ABS 수지는 우수한 내충격성, 성형성 및 표면 광택도를 지님으로써, 각종 용도에 사용되어 왔다. 한편, 특정 용도에 따라서는, 내약품성을 갖는 물질이 요구된다. 특히, 세정제, 오일 또는 유기 용매와 같은 화학 약품과 접촉하는 자동차 부품, 전기 및 전자 부품, 사무 용품의 부품, 난방 기구의 부품, 부억 세 사이의 부품, 냉장고 부품, 욕조 부품, 샤워기 부품, 정수기 부품, 또는 화장실 시트 부품에는 안전성과 내구성이 요구된다.
ABS 수지의 내 약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지금가지 아크릴계 고무상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ABS 수지에 혼입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잇다.
그러나, 아크릴계 고무상 중합체를 함유하는 ABS 수지는 비록 높은 내약품성과 내충격성을 가지나, 내열성 및 열 안정성이 불충분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한 편, ABS 수지에 혼합된 폴리아미드 수지를 갖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 혼합된 수지들 사이의 상용성(相容性)이 부적절하며, 성형품으로 형성시 탈라미네이트가 발생하여, 내충격성과 내약품성 사이에 양호한 균형을 이룰수 없다는 단점을 가진다.
아크릴계 고무상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ABS 수지와 혼련시키는 경우, 소망하는 내약품성 또는 기타 물리적 특성을 갖는 수지 펠렛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수지 펠렛을 사출 성형과 같은 수단으로 성형시켜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또는 밴버리 혼합기와 같은 혼련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종래의 방법으로, 내약품성 및 내열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상이한 정도로 갖는 성형품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각각 소망하는 정도의 물리적 특성에 상응하는 상이한 수지 펠렛을 수득하여, 양의 억제를 방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각의 정도의 물리적 특성에 상응하는 수지 펠렛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혼련 작업이 요구되며, 따라서 ABS 수지는 특히 열화되는 경향이 있음으로써, 충격 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혼련 작업은 상당한 비용을 요구하며, 경제적으로 유리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ABS 수지에 우수한 내약품성을 부여하며, 또한 성형품 수득시 야기되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ABS 수지를 포함하는 내약품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성형품,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ABS 수지를 직접 성형시킴으로서 수득되는 내충격성,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ABS 수지를 사출 성형할 때, 성형품에 내약품성을 부여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심도있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잔류물과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미드 단량체의 잔류물을 특정 비율로 함유하는 말레이미드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수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단량체의 잔류물 및/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잔류물을 특정 비율로 함유하는 에틸렌-α-올레핀의 탄성 중합체, 및 기본적으로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과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의 잔류물을 특정 비율로 함유하는 임의의 비닐 공중합체를 혼합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발견을 기초로 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 (A) ∼ (E) 를 함유하고, 용융 흐름 속도 (MFR) 이 10 ㎏ 의 하중 및 265 ℃ 에서 3 내지 40 g/10분 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 40 내지 80 중량%,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잔류물 20 중량% 이하 (0 중량% 는 제외),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미드 유도체의 잔류물 10 내지 6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 0 내지 20 중량% 를 함유하는 말레이미드 공중합체인 성분 (A) 3 내지 50 중량부;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 60 내지 80 중량%,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의 잔류물 20 내지 4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 0 내지 20 중량% 를 함유하는 비닐 공중합체인 성분 (B) 0 내지 50 중량부;
방향족 비닐 단량체 50 내지 80 중량%,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20 내지 4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 0 내지 30 중량% 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 35 내지 65 중량부를 고무상 중합체 35 내지 65 중량부에 그라프트 중합시킴으로써 수득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성분 (C) 3 내지 50 중량부;
폴리아미드 수지인 성분 (D) 20 내지 56 중량부;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단량체의 잔류물 및/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단량체의 잔류물 5 중량% 이하 (0 중량% 는 제외) 를 함유하는 에틸렌-α-올레핀의 탄성 중합체성 공중합체인 성분 (E) 12 내지 40 중량부;
단, 상기 성분들 (A) 내지 (E) 의 합은 10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성형품으로서 형성시, 베이스 ABS 수지의 내열성 및 내충격성과 같은 여러 가지 물리적 특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적은 비용으로 간단하게 내약품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A) 의 말레이미드 공중합체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성분 (A) 를 구성하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t-부틸 스티렌 및 클로로 스티렌과 같은 스티렌 단량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이다. 이들 중, 스티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미드 유도체,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임의의 비닐 단량체를 함유하는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을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임의의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와 공중합시킨 후, 암모니아 및/또는 1차 아민과 반응시켜,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잔류물과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미드 단량체의 잔류물을 갖는 말레이미드 공중합체를 수득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나프틸말레이미드 및 글루타르이미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이미드 단량체는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임의의 비닐 단량체와 직접 공중합시킴으로써 말레이미드 공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은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및 아코니트산의 무수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말레산 무수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미드 형성 반응에 사용되는 상기 암모니아 또는 1차 아민은 무수 상태 또는 수용액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1차 아민은 메틸아민, 에틸아민 및 시클로헥실아민과 같은 알킬아민, 및 아닐린, 톨루이딘 및 나프탈아민과 같은 방향족 아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이미드 형성 반응은 용액 상태 또는 현탁액 상태에서 수행되며, 오토클레이브와 같은 반응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벌크 용융 상태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탈기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미드 형성 반응의 온도는 통상적으로 약 80 내지 35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 이다. 온도가 80 ℃ 이하인 경우에는, 반응 속도가 감소하여 반응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반면, 35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합체의 열 분해로 인해 물리적 특성들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이미드 형성 반응에는 촉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의 경우에는,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3차 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A)에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은 4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중량% 이다. 40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성형성이 불량하게 되며, 8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성분 (A) 에 사용되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미드 유도체의 잔류물은 10 내지 60 중량% 이다. 10 중량% 이하 또는 6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그 결과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용성(相容性)이 불량하게 되며, 또한 내충격성이 상당히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미드 유도체의 잔류물은 25 내지 55 중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잔류물은 20 중량% 이하 (0 중량% 는 제외),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 이다.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잔류물이 혼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성분 (A) 의 말레이미드 공중합체와 성분 (D) 의 폴리아미드 수지 사이의 상용성이 불량하게 되어, 성형품의 균열과 충격 강도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잔류물이 2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분 (D) 의 폴리아미드 수지 내에서 3차 아미노기와의 가교 결합이 진행됨으로써, 유동성 (용융 흐름 속도 : MFR) 이 저하되고, 표면의 외관이 손상되며, 동시에 성형성이 불량해지는 경향이 있다.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은 0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중량% 이다. 2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이 불량해짐으로써, 내충격성이 불량해지며, 성형품으로 형성시 탈라미네이트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성분 (A) 의 말레이미드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70,000 내지 16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00 내지 150,000이다.
이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비닐 공중합체 (B) 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성분 (B) 에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t-부틸 스티렌 및 클로로 스티렌과 같은 스티렌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며, 스티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며, 아크릴로니트릴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과 같은 비닐 카르복실산 단량체; 아크릴산 아미드; 메타크릴산 아미드; 및 N-비닐 카르바졸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이들 중,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같은 단량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B) 중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은 6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68 내지 78 중량% 이다. 60 중량% 이하 또는 8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성형성이 불량해지는 경향이 있다.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의 잔류물은 2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중량% 이다. 20 중량% 이하 또는 4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성분 (A) 와의 상용성이 불량해짐으로써, 성형품이 탈라미네이트되며 충격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은 0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중량% 이다. 2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이 불량해짐으로써, 내충격성이 불량해지며, 성형품으로 형성시 탈라미네이트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성분 (B) 는 종래의 중합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탁 중합, 용액 중합 또는 에멀젼 중합과 같은 중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C) 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성분 (C) 에 사용되는 고무상 중합체는 부타디엔 중합체, 부타디엔과 중합성 비닐 단량체의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일 수 있다.
성분 (C) 에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t-부틸 스티렌 및 클로로 스티렌과 같은 스티렌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스티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아크릴로니트릴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과 같은 비닐 카르복실산 단량체; 아크릴산 아미드; 메타크릴산 아미드; 및 N- 비닐 카르바졸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이들 중,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같은 단량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C) 의 그라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종래의 임의 중합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탁 중합이나 에멀젼 중합, 벌크 중합 또는 용액 중합과 같은 비(非)균질 중합, 또는 형성된 중합체를 부족한 용매 중에 침전 시키는 비(非)균질중합, 또는 이들의 조합한 중합이 언급될 수 있다.
성분 (C) 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고무 입자 크기, 그라프트 비율 및 비(非)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고무 입자 크기는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0.1 내지 0.6 ㎛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라프트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 이며, 비(非)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2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0 내지 100,000 이다. 이로써, 내충격성과 성형성 사이에는 양호한 균형이 형성된다.
성분 (C) 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50 내지 80 중량%,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20 내지 4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 0 내지 30 중량% 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35 내지 65 중량부를 고무상 중합체 35 내지 65 중량부 존재하에서 그라프트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공중합체이다. 단, 상기에서, 고무상 중합체와 단량체 혼합물의 합은 100 중량부이다. 특히, 방향족 비닐 단량체 65 내지 72 중량%,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22 내지 32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 0 내지 13 중량% 를 포함하는 상기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가 50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ABS 수지의 직접적인 성형성이 불량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80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이 불량해지는 경향이 있다.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가 20 중량% 이하 또는 4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성분 (A) 와의 상용성이 불량해지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ABS 수지의 성형품이 탈라미네이트되거나 충격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이 3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 및 내 충격성이 불량해지며, 성형품으로 형성시 탈라미네이트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성분 (C) 중의 고무상 중합체가 35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내충격성이 불량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6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이 불량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ABS 수지의 직접적인 성형성이 불량하게 된다.
그라프트 중합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전체량의 단량체를 고무상 중합체에 그라프트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며, 비(非)그라프트 공중합체가 부생성물로서 산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론 확실하게 분리 및 제거되는 상기 비(非)그라프트 공중합체를 갖는 실제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상기 비(非)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그라프트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들 중, 하나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D) 의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성분 (D) 의 폴리아미드 수지는 예를 들면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4,6, 나일론-6,10, 나일론-12 또는 나일론-11 일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배합하여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E) 의 에틸렌-α -올레핀의 탄성 중합체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이것의 무수물을 함유하는, 성분 (E) 의 에틸렌-α-올레핀의 탄성 중합체로는,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0 이며 에틸렌 함량이 50 내지 80 몰%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α-올레핀은 프로필렌, 1-부텐 및 1-펜텐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이 중, 프로필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E) 의 작용기인, 개질을 위해 사용되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단량체의 잔류물 및/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잔류물은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및 아코니트산, 및 이들 산의 무수물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일 수 있다. 이 중, 말레산 무수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단량체의 잔류물 및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잔류물의 함량은 5 중량% 이하 (0 중량% 는 제외),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 이다. 상기 함량이 5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 내에서 겔화 등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반면, 0.5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상용성이 부적절하게 됨으로써, 성형품으로 형성시 탈라미네이트되어 적절한 충격 강도를 수득할 수 없다. 상기 개질된 에틸렌 α-올레핀의 탄성 중 합체는 일본 특허 공보 제 58-445 호의 실시예에 개시된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중의 상기 성분들 (A), (B), (C), (D) 및 (E) 의 혼합비는 성분 (A) 가 3 내지 50 중량부, 성분 (B) 가 0 내지 50 중량부, 성분 (C) 가 3 내지 50중량부, 성분 (D) 가 20 내지 56 중량부, 및 성분 (E) 가 12 내지 40 중량부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성분 (A) 가 5 내지 30 중량부, 성분 (B) 가 0 내지 30 중량부, 성분 (C) 가 5 내지 20 중량부, 성분 (D) 가 30 내지 50 중량부, 및 성분 (E) 가 20 내지 40 중량부이며, 단, 이들 성분의 합은 100 중량부이다. 성분 (A) 가 3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상용성이 부적절하게 되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과 성형성이 매우 불량하게 된다. 또한, 성분 (B) 가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성이 불량하게 된다. 성분 (C) 가 3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불량하게 되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성이 불량하게 된다. 성분 (D) 가 20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내약품성이 부적절하게 되며, 56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치수 안정성이 불량하게 된다. 성분 (E) 가 12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부적절하게 되며,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성이 불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중의 성분 (E) 대 (D) 의 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E)/(D) = 30/70 내지 50/50 중량비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한 성분 (A) 내지 (E) 의 혼합 방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상적인 수단으로는 예를 들면 밴버리(Banbury) 혼합기, 텀블러(tumbler) 혼합기, 혼합 로울, 또는 단축 또는 2축 압출기를 들 수 있다. 상기 혼합 방식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용액 중에서 사용 (예 : 미스터 펠렛) 또는 혼합하는 통상적인 용융 혼합, 예를 들어, 다단계 용융 혼합이 언급될 수 있다. 특히, 성분 (D) 와 (E) 는 미리 용융 혼합될 수 있으며, 이어서 이것에 나머지 성분 (A) 내지 (C) 를 혼합시킬 수 있다. 성분 (D) 와 (E)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미리 용융 혼합시키고, 이어서 이것에 성분 (A) 내지 (C) 를 혼합시켜 (성분 (A) 내지 (C) 대 성분 (D) 및 (E) 의 혼합비 (중량비) = [(A)+(B)+(C)]/[(D)+(E)] = 60/40 내지 20/8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20/80 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수득한 다음, ABS 수지와 함께 직접 성형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수득한 성형품의 내열성, 내약품성, 내충격성 및 성형성을 추가로 개질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용융 흐흠 속도 (MFR) 는 3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이어야 한다. 용융 흐름 속도가 3 이하인 경우에는, ABS 수지와 함께 직접 성형하여 수득한 성형품의 표면 외관이 불량하게 되며, 4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형품의 충격 강도와 내열성이 불량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특정 목적에 따라서, 안정화제, 가소제, 윤활제, 자외선 흡수제 또는 착색제가 추가로 혼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ABS 수지를 직접 성형기에 공급할 때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ABS 수지는 예를 들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말레이미드 단량체,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두 개 이상의 단량체를, 부타디엔 중합체,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 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무상 중합체의 존재하에서, 중합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수지 일 수 있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는 예를 들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중의 성분 (B) 에 대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방향족 비닐 단량체,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일 수 있다. 말레이미드 단량체는 예를 들면 말레이미드, N-메틸 말레이미드, N-에틸 말레이미드, N-프로필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또는 N- 페닐 말레이미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중의 고무상 성분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수지를 구성하는 단량체들과 동일한 단량체 성분들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혼합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합체는 반드시 상기와 동일한 단량체 성분으로 제조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기 단량체 성분으로서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α-메틸 스티렌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를 혼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BS 수지의 특정예로는 ABS (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α-메틸-스티렌 내열성 A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α-메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α-메틸스티렌-스티렌) 수지, 말레이미드 내열성 A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 수지, AES (아크릴로니트릴-EPDM-스티렌) 수지, AAS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드-스티렌) 수지, MBS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및 MABS (메틸 메타크릴레이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가 있다. 그러나, ABS 수지는 상기 특정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대 ABS 수지의 배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내지 50 중량% 와 ABS 수지 50 내지 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5 내지 40 중량% 와 ABS 수지 60 내지 8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5 내지 30 중량% 와 ABS 수지 70 내지 85 중량% 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10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ABS 수지와 함께 직접 성형시킴으로써 수득 가능한 성형품의 내약품성이 부적절하게 된다. 반면, 5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ABS 수지와의 직접적인 성형성이 불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범위, 구체적으로는 0 내지 20 중량% 범위내에서, ABS 수지를 미리 혼입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성형기는 사출 성형기, 시이트 형성기, 블로우 성형기, 사출 취입 성형기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성형기는 이들 특정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ABS 수지를 성형기에 공급하는 방법은 텀블러 혼합기 또는 V형 혼합기와 같은 통상적인 장치로 미리 혼합시킨 혼합물을 공급하는 방법, 상기 2가지 물질을 성형기의 공급구에 정량적으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방법,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ABS 수지를 미리 용융 혼련시켜 펠렛을 형성시킨 후, 이것을 성형기에 공급하는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급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성형기의 실린더 온도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조성에 따라서, 최적의 온도가 되도록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280 ℃ 이다.
사출 성형의 경우, 성형기의 실린더와 노즐 사이에는 통상적인 고정 혼합기, 예를 들면 술저 (Sulzer) 유형, 케닉스 (Kenics) 유형 또는 토레이 (Toray) 유형의 혼합기가 장착될 수 있음으로써, 고품질의 성형품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기의 스크루로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완전 비행 (Full-flighted) 스크루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혼련 효율이 보다 높은 덜메이지 (dulmage) 유형, 핀 (pin) 유형 도는 매독크 (Maddock) 유형의 스크루도 사용 될 수 있다.
이제, 하기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부" 및 "%" 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각각 "중량부" 및 "중량%" 를 의미한다.
시험예 1 및 2
성분 (A) 의 말레이미드 공중합체 (A-1, A-3)
교반기가 장착되어 있는 오토클레이브에 스티렌 60 부, α-메틸 스티렌 이량체 0.05 부 및 메틸 에틸 케톤 100 부를 충전한 후, 상기 시스템의 내부를 질소 기체로 대체시켰다. 이어서, 온도를 85 ℃ 로 상승시키고, 메틸 에틸 케톤 200 부에 용해시킨 벤조일 퍼록사이드 0.15 부 및 말레산 무수물 40 부를 포함하는 용액을 8 시간 동안 계속해서 첨가하였다. 상기 첨가 후, 온도를 85 ℃ 에서 추가로 3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공중합체 용액에, 아닐린 38 부와 트리에틸아민 0.6 부를 첨가하여, 140 ℃ 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 용액을 구멍에 있는 2축 압출기에 공급한 후, 탈기시킴으로써 말레이미드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C-13 NMR 분석 결과, 산 무수물기의 이미드기로의 전환율은 92 몰%였다. 상기 말레이미드 공중합채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미드 유도체로서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51 % 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였으며, 이것을 공중합체 A-1 로서 지정하였다. 말레산 무수물에 첨가되는 이미드기의 비율을 조정하도록 아닐린의 양을 조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A-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말레이미드 공격중합 A-3 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3
성분 (A) 의 말레이미드 공중합체 (A-2)
교반기가 장착되어 있는 오토클레이브에, 스티렌 60 부와 메틸 에틸 케톤 100 부를 충전한 후, 상기 시스템의 내부를 질소 기체로 대체하였다. 이어서, 온도를 85 ℃ 로 상승시키고, 상기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완전하게 교반하였다. α-메틸 스티렌 이량체 1 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A-1 과 동일한 방법으로말레이미드 공중합체 A-2 를 제조하였다. 상기 A-1 A-3 의 분석 결과와 중량의 평균 분자량을 하기 표 1 에 제시하였다.
Figure pat00001
중량 평균 분자량을 결정하기 위한 GPC 측정을 위해서, 쇼오와 덴꼬 가부시키가이샤 제의 "SHODEX GPC SYSTEM-21" 을 사용하였으며, 표준 분자량을 갖는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작성한 캘리브레이션 커브를 이용하여, 상기 폴리스티렌으로서 계산한 중량 평균 분자량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4
성분 (B) 의 비닐 공중합체 (B-1) 의 제조
교반기가 장착되어 있는 반응기에, 스티렌 70 부, 아크릴로니트릴 30 부, 칼슘 3차 인산염 2.5 부, t-도데실메르캅탄 0.5 부, 벤조일 퍼록사이드 0.2 부 및 물 250 부를 충전한 후, 온도를 70 ℃ 로 상승시켜 중합을 개시시켰다. 이로부터 7 시간 후에, 온도를 75 ℃ 로 상승시켜 3 시간 동안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중합을 완료하였다. 중합도는 97 % 였다. 상기 수득한 반응 용액을 염화수소산으로 중화시키고, 탈수시킨 후, 건조시켜, 공중합체를 백색 비이드로서 수득하였다. 이것을 공중합체 B-1 로서 지정하였다.
시험예 5
성분 (C) 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C-1) 의 제조
교반기가 장착되어 있는 반응기에,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고체 함량 : 35 %, 중량 평균 입자 크기 : 0.25 ㎛, 겔 함량 : 90 %) 143 부, 스테아르산 나트륨 1 부, 나트륨 포름알데히드 술폭실레이드 0.1 부, 테트라나트륨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0.03 부, 황산 제 1 철 0.003 부 및 순수한 물 150 부를 충전한 후, 50 ℃ 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스티렌 70 % 와 아크릴로니트릴 30 % 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50 부, t-도데실메르캅탄 0.2 부 및 쿠멘 히드로퍼록사이드 0.15 부를 6 시간 동안 계속해서 첨가하였다. 상기 첨가 후, 온도를 65 ℃ 로 상승시키고, 그 혼합물을 추가로 2 시간 동안 중합시켰다. 중합도는 97 % 였다. 상기 수득한 라텍스에, 산화방지제 (Iruganox 1076) 0.3 부를 첨가한 후, 염화칼슘으로 고체화시키고, 물로 세정한 다음, 건조시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공중합체를 공중합체 C-1 로서 지정하였다.
이어서, 비(非)그라프트 공중합체인 C-1 의 그라프트 비율 및 분자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C-1 (3 g) 을 취하여, 메틸 에틸 케톤 용액으로 팽윤시킨 후, 원심 분리하였으며, 이어서 상기 상청액 중의 비(非)그라프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였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82,000 이었다. 또한, 원심분리에 의해 침전된 겔 함량의 조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고무상 중합체) 을 키엘달 (Kieldahl) 질소 정량 분석법 및 열 분해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의 양으로부터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을 결정하였다. 또한, 브롬 첨가 방법으로, 폴리부타디엔 고무를 분석하여, 고무상 중합체의 중량을 결정하였다. 상기 수득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과 고무상 중합체의 중량으로부터, 하기 수학식에 의해 그라프트 비율을 수득하였다. 상기 그라프트 비율은 33 % 였다 :
[수학식 1]
그라프트 비율 =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고무상 중합체의 중량) ×100(%)
성분 (D) 의 폴리아미드 수지로는, 나일론-6, 즉 ε-카프로락톤을 축중합시켜 수득한, 2.65 의 상대 점도 (용매로서 진한 황산을 0.5 g/100 ㎖ 의 농도로 사용하여 25 ℃ 의 온도에서 측정함) 를 갖는 나일론-6 (CM-1017, 도레이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제) 을 D-1 로서 사용하였다.
시험예 6
개질된 에틸렌-α-올레핀 (E-1) 의 탄성 중합체 성분 (E) 의 제조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52-49289 호 (실시예) 에 기제된 방법에 따라서, 말레산 무수물 1.3 % 를, 수평균 분자량이 500,000 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0 ㎏ 의 하중하에 230 ℃ 에서 0.5 g/10 분의 MFR 을 갖는 개질된 EPR) 에 그라프트시킨 후, 상기 수득한 탄성 중합체를 E-1 로서 지정하였다.
시험예 7
성분 (D) 와 (E) 의 혼합
성분 (D) 60 부와 성분 (E) 40 부를 혼합하고, 그 혼합 생성물을 35 mm 구멍을 갖는 회전 방향이 동일한 2축 압출기로 280 ℃ 에서 압출시킨 후, 펠렛화시켜,수지 조성물 (F-1) 을 수득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성분 (D) 80 부와 성분 (E) 20 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F-2) 를 수득하였다.
시험예 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성분 (A), 성분 (B), 성분 (C) 및 F-1 또는 F-2 를 하기 표 2 에 제시한 비율로 혼합하고, 그 혼합 생성물을 35 mm 구멍을 갖는 회전 방향이 동일한 2축 압출기로 280 ℃ 에서 압출시킨 후, 펠렛화시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MB-1 내지 MB-9 를 수득하였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용융 흐름 속도 (MFR) 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 에 제시하였다.
Figure pat00002
ABS 수지로는, 시판되는 ABS 수지 "GT-R" (덴끼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이하, "ABS-1" 이라함) 또는 시판되는 내열성 ABS 수지 "K-090" (덴끼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 이하, "ABS-2" 라 함) 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MB-2, MB-4, MB-5, MB-7 또는 MB-8 과 ABS 수지 ABS-1 또는 ABS-2 를 각각 하기 표 3 에 제시한 비율로, 정량 깔때기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기에 공급하여 시험편을 성형시켰다. 고정 혼련기 (혼합 노즐) TMN-16-06 (도레이 엔지니어 가부시끼가이샤 제) 을 사출 성형기 K-125 (가와구찌 덱꼬 가부시끼가이샤 제) 에 부착시켜 성형을 수행하였다. 기타 성형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
실린더 온도 : 260 ℃
사출 압력 : 최소 충전 압력 + 5 ㎏/㎠G
사출율 : 70 %
성형 온도 : 60 ℃
스크루 : 완전 비행 유형.
상기 수득한 시험편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그결과를 하기 표 3 에 제시하였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은 채로, ABS-1 과 ABS-2 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 의 참고예 1 및 2 에 제시하였다.
실시예 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MB-2 (20 부)와 ABS 수지 ABS-2 (80 부)를 40 mmφ1축 압출기로 260 ℃ 에서 압출시켜 펠렛을 수득하였다. 상기 펠렛을 사용하여, 상기실시예 1 과 동일한 성형 조건하에서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 에 제시하였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비교예 1 내지 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MB-1, MB-3, MB-6, MB-9 또는 F-1 과 ABS 수지 ABS-1또는 ABS-2 를 하기 표 5 에 제시한 비율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하였다.
Figure pat00005
물리적 특성의 측정 방법
1) HDT (열 변형 온도) : 18.6 ㎏/㎠ 의 하중하에서, ASTM D-648 에 따라서 측정함.
2) Izod 충격 강도 : 두께 1/4 인치의 노치된 시험편을 사용하여, ASTM D-256 에 따라서 측정함.
3) MFR : 10 ㎏ 의 하중하에 265 ℃ 에서, ASTM D-6874 에 따라서 측정함.
4) 임계 응력 (내약품성) : 330 ×20 ×2 mm 의 모양을 갖는 시험편을 사용하여, 장반경 248 mm 및 단반경 148 mm 의 1/4 타원 방법으로, 23 ℃ 에서 24 시간후의 임계 응력을 측정하였다. 성형 응력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서, 시험편은 펠렛을 270 ℃ 에서 압축 성형시켜 제조하였으며, 이로부터 시험편을 전달하였다. 시약으로는, 샐러드 기름을 사용하였다.
5) 치수 안정성 : ASTM D-368 에 따라서, 아령을 80 ℃ 의 온수에서 24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상기 침지 전과 침지 후의 아령의 종 방향의 치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기호
Figure pat00006
은 치수 변화가 0.5 % 이하이며, 기호는 × 는 치수 변화가 0.5 % 를 초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6) 외관 : 크기가 127 ×127 mm 이고 두께가 2 mm 인 정사각형 판을 상기의 사출 성형 조건하에서, 측면 게이트 (2 지점) 로 성형 시킨후, 성형품의 외관을 시각적으로 관측하여 다음과 같은 기중으려 평가하였다 :
Figure pat00007
: 표면에서 결함 (예 : 흠 표시, 은색 줄, 반점) 이 전혀 관측되지 않음.
×: 표면에서 결함 (예 : 흠 표시, 은색 줄, 반점) 이 관측됨.
상기 표 3 의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ABS 수지를 직접 성형시키는 경우, 베이스 물질인 ABS 수지의 여러 가지 물리적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내 약품성과 고품질 외관을 갖는 성형품을 수득할 수가 있다.
반면, 상기 표 5 의 비교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우수한 특성을 갖는 성형품을 수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ABS 수지를 성형시킴으로서 수득되는 성형품은 내약품성과 내열성이 우수하다. 특히,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BS 수지와 함께 직접 성형시킬 수 있으며, 그 성형품은 내약품성,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또한 베이스 ABS 수지의 여러 가지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우수한 성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직접 성형에 의하면, 내약품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기술된 특정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베이스 ABS 수지의 혼합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베이스 ABS 수지의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소망하는 내약품성이 부여된 성형품을 간단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수득할 수가 있다. 또한, 이로부터, 상기 직접 성형과 같은 경제적으로 탁월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동차 부품, 전기 또는 전자 부품, 사무 용품의 부품, 난방 기구의 부품, 부엌 세 사이의 부품, 냉장고 부품, 욕조 부품, 샤워기 부품, 정수기 부품 또는 화장신 시트 부품용 재료로서, 공업적 용도에 있어서의 가치가 상당하다.

Claims (7)

  1. 하기 (A) ∼ (E) 를 함유하고, 용융 흐름 속도 (MFR) 이 10 ㎏ 의 하중 및 265 ℃ 에서 3 내지 40 g/10분 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 40 내지 80 중량%,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잔류물 20 중량% 이하 (0 중량% 는 제외),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미드 유도체의 잔류물 10 내지 6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 0 내지 20 중량% 를 함유하는 말레이미드 공중합체인 성분 (A) 3 내지 50 중량부;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 60 내지 80 중량%,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의 잔류물 20 내지 4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의 잔류물 0 내지 20 중량% 를 함유하는 비닐 공중합체인 성분 (B) 0 내지 50 중량부;
    방향족 비닐 단량체 50 내지 80 중량%,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20 내지 4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가능한 비닐 단량체 0 내지 30 중량% 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 35 내지 65 중량부를 고무상 중합체 35 내지 65 중량부에 그라프트 중합시킴으로써 수득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성분 (C) 3 내지 50 중량부;
    폴리아미드 수지인 성분 (D) 20 내지 56 중량부;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단량체의 잔류물 및/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의 잔류물 5 중량% 이하 (0 중량% 는 제외) 를 함유하는 에틸렌-α-올레핀의 탄성 중합체성 공중합체인 성분 (E) 12 내지 40 중량부;
    단, 상기 성분들 (A) 내지 (E) 의 합은 100 중량부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E) 대 성분 (D) 의 중량비가 (E)/(D) = 30/70 내지 50/50 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D) 와 (E) 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미리 용융 혼합시키고, 이어서 이것에 상기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를,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대 성분 (D) 및 성분 (E)의 중량비가 [(A)+ (B)+(C)]/[(D)+(E)] = 60/40 내지 20/80 이 되도록 첨가함으로써 제조되는 열가소성 주시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내지 10 내지 50 중량% 와 ABS 수지 50 내지 90 중량% 를 성형기에 공급하여, 성형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내지 50 중량% 와 ABS 수지 50 내지 90 중량% 를 사출 성형기에 공급하여 성형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내지 50 중량% 와ABS 수지 50 내지 90 중량% 를 성형기에 동시에 공급하여 성형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내지 50 중량% 와 ABS 수지 50 내지 90 중량% 를 사출 성형기에 동시에 공급하여 성형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1019970024149A 1996-06-11 1997-06-11 열가소성수지조성물,이로부터제조된성형품및그의제조방법 KR100364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897696A JP3652788B2 (ja) 1996-06-11 1996-06-11 熱可塑性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96-148976 1996-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147A KR980002147A (ko) 1998-03-30
KR100364879B1 true KR100364879B1 (ko) 2003-04-21

Family

ID=1546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149A KR100364879B1 (ko) 1996-06-11 1997-06-11 열가소성수지조성물,이로부터제조된성형품및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652788B2 (ko)
KR (1) KR100364879B1 (ko)
CN (1) CN1091454C (ko)
MY (1) MY120122A (ko)
SG (1) SG54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4789B2 (ja) * 2001-09-18 2005-09-14 Jsr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成形品
DE102005023420A1 (de) * 2005-05-20 2006-11-23 Ems-Chemie Ag Polyamidformmassen mit verbesserter Fliessfähigkeit,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WO2008026554A1 (fr) * 2006-08-28 2008-03-06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Composition de résine et corps moulé à partir de ladite composition
JP5363253B2 (ja) * 2009-09-09 2013-12-11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5466108B2 (ja) * 2010-08-04 2014-04-09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10308790B2 (en) * 2017-02-13 2019-06-04 Fuji Xerox Co., Ltd. Resin composition and resin mold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1952A (ja) * 1981-10-23 1983-04-28 Asahi Chem Ind Co Ltd 新規な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NL8603246A (nl) * 1986-12-20 1988-07-18 Stamicarbon Thermoplastische polymeermengsels.
JPH01234455A (ja) * 1988-03-14 1989-09-1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1294756A (ja) * 1988-05-23 1989-11-28 Ube Cycon Ltd 変性abs樹脂,変性abs樹脂の製造方法及びポリアミド系樹脂組成物
JP2670353B2 (ja) * 1989-06-14 1997-10-29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耐衝撃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743499B2 (ja) * 1989-07-20 1998-04-2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US5145992A (en) * 1991-05-06 1992-09-08 G. D. Searle & Co. Process and preparation of α-alkoxy acetic acids and their salts
DE4221293A1 (de) * 1992-06-29 1994-01-05 Basf Ag Formmasse mit matter Oberfläche
JP3405478B2 (ja) * 1994-05-24 2003-05-12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017147B2 (ja) * 1996-11-08 2000-03-06 三共株式会社 光学活性スルホキシド誘導体
JP3052953B1 (ja) * 1999-02-18 2000-06-19 日本電気株式会社 重合接続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454C (zh) 2002-09-25
MY120122A (en) 2005-09-30
JP3652788B2 (ja) 2005-05-25
KR980002147A (ko) 1998-03-30
JPH09328590A (ja) 1997-12-22
SG54505A1 (en) 1998-11-16
CN1170017A (zh) 1998-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985B1 (ko) 내충격성 관련 비등방성이 감소된 성형 화합물
US8889767B2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unds based on styrene copolymers and polyamides having improved weathering resistance
KR20070095318A (ko) 비닐방향족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 기재 내충격성 개량된열가소성 성형 화합물
JPH083012B2 (ja) 滞留熱安定性に優れる樹脂組成物
US4981906A (en) Heat and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9546271B2 (en) Weather-proof thermoplastic moulding compounds with improved toughness on the basis of styrene copolymers and polyamides
EP0293490B1 (en) Heat and impact resistant resin composition
EP0402528A2 (en)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4987185A (en)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0364879B1 (ko) 열가소성수지조성물,이로부터제조된성형품및그의제조방법
US20230250270A1 (e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resin articles
JP3405478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202379A (en)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2005298776A (ja) 耐熱付与材、そ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
JP253237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113576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086493B2 (ja) 耐衝撃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2003041080A (ja) マレイミド系耐熱付与材
JPS6317995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652790B2 (ja) 熱可塑性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H09316291A (ja) 熱可塑性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47045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698822B2 (ja) 耐熱性マスターバッチ樹脂、耐熱性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6614A (ja) 耐熱性マスターバッチ樹脂、それを用いた耐熱性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64228B1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