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294B1 -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및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및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294B1
KR100363294B1 KR1020000045239A KR20000045239A KR100363294B1 KR 100363294 B1 KR100363294 B1 KR 100363294B1 KR 1020000045239 A KR1020000045239 A KR 1020000045239A KR 20000045239 A KR20000045239 A KR 20000045239A KR 100363294 B1 KR100363294 B1 KR 100363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contact
probes
probe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222A (ko
Inventor
마사미치 즈치야
마사유키 니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ublication of KR2001002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25Measuring very high resistances, e.g. isolation resistances, i.e. megohm-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과 절차로 프로브의 접촉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및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는 절연저항 측정기와 콘덴서를 구비하고, 절연저항 측정기는 직류전원과 전류계를 가지며, 직류전원과 전류계에는 각각 측정용 프로브가 접속되어 있다. 다중 칩의 칩단자 사이의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 측정 대상인 칩단자에 절연저항 측정기의 프로브를 접촉시키고, 측정 대상인 칩단자에 대응되는 타단측의 칩단자 사이에 콘덴서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측정 대상인 칩단자 사이의 용량을 측정하여 용량의 크기에 따라 프로브의 접촉 상태를 판별한다. 프로브의 접촉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타단측에 콘덴서를 접속시킨 채로 전류계를 흐르는 전류를 통해 절연저항을 검출한다.

Description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및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PROBE TANGENCY DETECTING METHOD AND PROBE TANGENCY DETECTING APPARATUS}
본 출원은 1999년 8월 6일자로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1999-224479호에 개시된 내용을 기초로 파리조약상의 우선권을 주장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칩부품이 내장된 다중 칩의 칩단자 사이의 절연저항, 또는 칩저항의 저항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칩단자에 접촉시킨 프로브의 접촉상태를 검출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및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가 소형화 및 경량화 됨에 따라 저항이나 콘덴서 등과 같은 복수의 칩부품이 동일 패키지에 내장된 다중 칩이 보급되고 있다. 다중 칩은, 협소한 공간에 복수의 칩부품을 수납하기 때문에 절연의 불량 등과 같은 문제가 일어나기 쉽다. 이 때문에, 다중 칩을 제조한 후에는 다중 칩 내부 칩 사이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절연이 불량한지를 검사한다.
절연저항의 측정에는 절연저항 측정기가 이용된다. 절연저항 측정기는 다중 칩 등의 측정 대상에 접촉되는 프로브와 직류전원과 전류계를 구비하며, 프로브를 측정 대상 단자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측정 대상에 전압을 인가하고 프로브 사이에 흐르는 누설 전류(leakage current)를 측정하여 절연저항을 구한다.
이 때, 프로브가 측정 대상 단자에 확실히 접촉되어 있지 않으면, 절연저항을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절연저항을 측정하기 전에 프로브의 접촉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접촉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다음의 ①,②의 방법이 알려져 있다.
① 측정 대상이 콘덴서인 경우, 프로브의 접촉 유무에 따라 프로브 사이의 용량(캐패시턴스)이 변화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콘덴서의 용량변화를 통해 접촉상태를 검출한다.
② 프로브의 접촉 및 비접촉시의 절연저항차(또는 전류차)를 통해 접촉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①의 방법에서는 각 칩부품의 양 단자 사이의 용량을 측정하기 때문에 원래 용량이 작은 칩부품에 대해서는 접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없다.
또, 상기 ②의 방법에서는 칩 사이의 절연저항이 원래부터 매우 큰 경우에는, 프로브의 접촉 및 비접촉시에 절연저항에 차이가 없어지기 때문에 접촉을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①,②의 방법 모두 접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없다.
한편, 상기 ①,②의 방법보다 고정밀도로 접촉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방법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4개의 칩 저항이 내장된 다중 칩의 단자(a, b) 사이의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예이다. 단자(a, b) 사이에는 절연저항 측정기(2)의 프로브(6a, 6b)가 접촉되며, 단자(a)를 가지는 칩저항에서의 다른 단자(c)와, 단자(b)를 가지는 칩저항에서의 다른 단자(d)에는 각각 접촉 검출 회로(11)가 접속되어 있다.
절연저항 측정기(2)는 직렬 접속된 전지(4)와 전류계(5)를 구비하며, 접촉 검출 회로(11)는 직렬 접속된 저항(12)과 전환 스위치(13)를 구비한다.
우선, 전환 스위치(13)를 온(폐쇄회로)으로 하면, 절연저항 측정기(2)와 접촉 검출 회로(11)에 의해 폐쇄회로가 형성된다. 만일, 프로브(6a,6b)가 단자(a, b)에 확실히 접촉되어 있다면, 전류계(5)에는 직류전원(4)과 저항(12)에 따른 전류가 흐르게 된다. 한편, 프로브(6a,6b)와 단자(a, b)의 접촉이 불완전하다면, 그 부분에서 접촉 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류계(5)에서 검출되는 전류가 작아진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회로에서는 전류계(5)에서 검출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프로브(6a,6b)의 접촉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회로에 있어서, 프로브(6a,6b)의 접촉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전환 스위치(13)를 오프(개방회로)로 한다. 이로써, 접촉 검출 회로(11)는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절연저항 측정기(2) 내부의 전류계(5)에서 검출되는 전류 값에 따라 단자(a, b) 사이의 절연저항이 측정된다.
도 1에 도시된 회로는 상기 ①, ②의 방법보다 고정밀도로 프로브(6a,6b)의 접촉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반면 회로가 복잡해진다. 또한, 프로브(6a,6b)의 접촉상태를 검출할 때와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 전환 스위치(13)를 전환시켜야만 한다는 불편이 따른다.
한편, 칩저항의 저항치를 측정할 때, 각 칩단자에 접촉되는 프로브와 칩단자 사이의 접촉이 불완전한 경우에도 칩저항의 저항치를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과 절차로 프로브의 접촉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및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칩부품이 내장된 다중 칩내부의 상이한 칩부품이 각 칩단자에 각각 접촉되는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전류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가 접촉된 칩 단자 사이의 절연저항을 검출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와 절연저항의 측정 대상인 칩단자 사이의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은,
절연저항의 측정대상인 제 1 및 제 2 칩단자에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에 관련 있는 제 3 및 제 4 칩단자 사이에 콘덴서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의 캐패시턴스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캐패시턴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의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또한, 복수의 칩부품이 내장된 다중 칩내부의 상이한 칩부품이 각 칩단자에 각각 접촉되는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전류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가 접촉된 칩단자 사이의 절연저항을 검출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와 절연저항의 측정대상인 칩단자 사이의 접촉이 양호한 지를 검출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는,
절연저항의 측정대상인 제 1 및 제 2 칩단자에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에 관련 있는 제 3 및 제 4 칩단자 사이에 콘덴서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의 캐패시턴스를 측정하는 캐패시턴스 측정수단과,
측정된 캐패시턴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의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접촉검출수단을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된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다중 칩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프로브와 콘덴서를 동일한 칩단자에 접속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된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중 칩 2 : 절연저항 측정기
3 : 콘덴서 4 : 직류전원
5 : 전류계
6a : 프로브 6b : 프로브
a : 단자 b : 단자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계된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및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된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의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는, 칩저항, 칩 콘덴서 및 페라이트 칩 등의 복수의 칩부품이 내장된 다중 칩의 칩단자 사이의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 이용되는 것이다.
도 3은 다중칩(1)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4개의 페라이트 칩이 내장된 다중 칩(1)의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다중 칩(1)의 칩단자(a, b) 사이의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예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는, 절연저항 측정기(2)와 콘덴서(3)를 구비한다. 절연저항 측정기(2)는 직류전원(4)과 전류계(전류 검출 수단 ; 5)를 가지며, 직류전원(4)과 전류계(5)에는 각각 측정용 프로브(6a,6b)가 접속되어 있다. 절연저항 측정기(2)는 프로브(6a, 6b)를 측정 대상인 다중 칩(1)의 칩단자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전류계(5)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를 통해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또한, 도 2의 절연저항 측정기(2)는 프로브(6a,6b) 사이의 용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절연저항 측정기(2)의 프로브(6a,6b)는 다중 칩(1)의 칩단자(a, b)에 접촉된다. 또한, 콘덴서(3)의 일단에 접속된 프로브(7a)는 칩단자(a)를 가지는 칩부품의 다른 단자(c)에 접촉되며, 콘덴서(3)의 타단에 접속된 프로브(7b)는 칩단자(b)를 가지는 칩부품의 다른 단자(d)에 접촉된다.
콘덴서(3)의 용량(캐패시턴스)은,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 측정 대상에 대한 전압의 인가 시간을 가능한 짧게 하기 위하여, 절연저항 측정기(2)가 프로브(6a,6b)의 접촉을 검출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값(가령, 2pF정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덴서(3)는 절연성이 높고 입수가 용이한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중 칩(1)의 칩단자(a, b) 사이의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에는 우선, 절연저항의 측정대상인 칩단자(a, b) 사이에 절연저항 측정기(2)의 프로브(6a,6b)가 확실히 접촉되어 있는지 그 접촉 상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칩단자(a, b)에 절연저항 측정기(2)의 프로브(6a,6b)를 접촉시키는 동시에, 칩단자(a)를 가지는 칩부품의 다른 칩단자(c)에 콘덴서(3)의 일단에 접속된 프로브(7a)를 접촉시키고, 칩단자(b)를 가지는 칩부품의 다른 칩단자(d)에 콘덴서(3)의 타단에 접속된 프로브(7b)를 접촉시킨다.
이로써, 절연저항 측정기(2)와 콘덴서(3)에 의해 폐쇄회로가 형성되어 절연저항 측정기(2)내부의 직류전원(4)으로부터 콘덴서(3)를 향하여 전류가 흐르고, 콘덴서(3)에 전하가 충전된다.
이 상태에서, 절연저항 측정기(2)는 프로브(6a,6b) 사이의 용량을 측정하고, 그 용량의 크기에 따라 프로브(6a,6b)의 접촉상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칩단자(a, b)에 대한 프로브(6a,6b)의 접촉이 불완전한 경우, 절연저항 측정기(2)에 의해 측정되는 용량 값이 작아진다. 따라서, 절연저항 측정기(2)는 측정된 용량 값이 규정치 보다 크면 접촉이 양호하다고 판단하고, 작으면 접촉이 불량하다고 판단한다.
접촉이 양호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도 2의 결선상태 그대로 전류계(5)에서 검출된 전류 값에 따라 절연저항을 연산한다. 절연저항은 (직류전원(4)의 전압) /(전류계(5)에서 검출된 전류치)로 연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중 칩(1)의 칩단자 사이의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 측정대상인 칩단자에 절연저항 측정기(2)의 프로브(6a,6b)를 접촉시키는 동시에, 측정대상인 칩단자에 대응되는 타단측의 칩단자 사이에 콘덴서(3)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측정대상인 칩단자 사이의 용량을 측정하기 때문에, 용량의 크기에 따라 프로브(6a,6b)의 접촉상태를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6a,6b)의 접촉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된 경우, 타단측에 접속된 콘덴서(3)를 떼어내지 않고 칩단자 사이의 절연저항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과 같은 전환 스위치가 불필요하여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측정절차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 도 2에서는 측정대상인 칩단자의 타단측 칩단자에 콘덴서(3)를 접속하는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6a,6b)와 콘덴서(3)를 동일한 칩단자에 접속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페라이트 칩이 내장된 다중 칩(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각종 다중 칩(1)에 적용가능하며 다중 칩(1)의 형상도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칩저항의 양단에 프로브를 접촉시켜 저항치를 측정할 때, 프로브가 칩단자에 확실히 접촉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된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는, 측정대상인 칩저항(21)의 양단에 각각 접촉되는 프로브(7a,7b)와 프로브(7a,7b)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3)와 저항 측정기(22)를 구비한다.
저항 측정기(22)의 프로브(22a,22b)는, 칩저항(21)의 양단에 각각 접촉된다. 또, 저항 측정기(22)의 내부에는 직렬 접속된 직류 전압 공급원(4)과 전류계(5)가 설치되어 있다. 저항 측정기(22)는 프로브(22a,22b) 사이의 용량(캐패시턴스)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측정대상인 칩저항(21)의 양 칩단자에 프로브(7a,7b, 22a, 22b)를 각각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저항 측정기(22)의 프로브(22a,22b)가 대응되는 칩단자에 확실히 접촉되어 있는지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저항 측정기(22)를 통해 프로브(22a,22b) 사이의 용량을 측정하고, 그 용량의 크기에 따라 프로브(22a,22b)의 접촉상태를 검출한다. 프로브(22a,22b)가 칩단자에 확실히 접촉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저항 측정기(22)에 의해 칩저항(21)의 저항치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칩저항(21)의 저항치 측정용 프로브(22a,22b)가 칩단자에 확실히 접촉되어 있는지를 프로브(22a,22b) 사이의 용량을 통해 판단하기 때문에, 프로브(22a,22b)의 접촉을 간단하고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제 2 실시형태는 높은 저항치를 측정하는 데 특히 적합하지만, 낮은 저항치를 측정할 때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콘덴서(3)에 접속된 프로브(7a,7b)를 칩단자에 접촉시키는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프로브를 이용하지 않고 지그 등을 통해 칩단자에 콘덴서(3)를 접속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저항의 측정대상인 제 1 및 제 2 칩단자에 상관된 제 3 및 제 4 칩단자 사이에 콘덴서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의 캐패시턴스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따라 프로브의 접촉상태를 검출하기 때문에, 칩부품의 캐패시턴스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정밀도로 프로브의 접촉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의 접촉상태를 검출한 후에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에도 캐패시터를 떼어내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전환 스위치 등이 불필요해져 부품 수를 절감할 수있다.
마찬가지로, 칩저항의 저항치를 측정할 때에도 칩저항의 양단에 콘덴서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의 캐패시턴스를 측정하여, 그 측정 결과에 따라 프로브의 접촉상태를 검출하기 때문에 고정밀도로 프로브의 접촉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Claims (20)

  1. 복수의 칩부품이 내장된 다중 칩내부의 상이한 칩부품이 각 칩단자에 각각 접촉되는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전류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가 접촉된 칩단자 사이의 절연저항을 검출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와 절연저항의 측정 대상인 칩단자 사이의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에 있어서,
    절연저항의 측정 대상인 제 1 및 제 2 칩단자에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에 관련있는 제 3 및 제 4 칩단자 사이에 콘덴서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간의 캐패시턴스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캐패시턴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와 그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칩단자의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의 일단은 상기 제 1 칩단자를 갖는 칩부품의 상이한 칩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콘덴서의 타단은 상기 제 2 칩단자를 갖는 칩부품의 상이한 칩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의 일단은 상기 제 1 칩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콘덴서의 타단은 상기 제 2 칩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절연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계에 가까운 캐패시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의 캐패시턴스가 규정치보다 크면 접촉이 양호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통해 접촉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간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를 흐르는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가 접촉된 단자 사이의 절연저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7. 칩저항의 제 1 및 제 2 칩단자에 각각 접촉되는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전류를 통해 상기 칩저항의 저항치를 검출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와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의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에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간에 콘덴서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간의 캐패시턴스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캐패시턴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의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절연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계에 가까운 캐패시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의 캐패시턴스가 규정치 보다 크면 접촉이 양호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통해 접촉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간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를 흐르는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 사이의 저항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11. 복수의 칩부품이 내장된 다중 칩내부의 상이한 칩부품이 각 칩단자에 각각 접촉되는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전류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가 접촉된 칩단자 사이의 절연저항을 검출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와 절연저항의 측정 대상인 칩단자 사이의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에 있어서,
    절연저항의 측정 대상인 제 1 및 제 2 칩단자에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에 관련있는 제 3 및 제 4 칩단자 사이에 콘덴서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의 캐패시턴스를 측정하는 캐패시턴스 측정수단,
    측정된 캐패시턴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와의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접촉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의 일단은 상기 제 1 칩단자를 갖는 칩부품의 다른 칩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콘덴서의 타단은 상기 제 2 칩단자를 갖는 칩부품의 다른 칩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의 일단은 상기 제 1 칩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콘덴서의 타단은 상기 제 2 칩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절연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계에 가까운 캐패시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검출 수단은 측정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간의 캐패시턴스가 규정치 보다 크면 접촉이 양호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검출 수단을 통해 접촉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가 접촉된 칩단자 사이의 절연저항을 검출하는 절연저항 검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17. 칩저항의 제 1 및 제 2 칩단자에 각각 접촉되는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이 전류를 통해 상기 칩저항의 저항치를 검출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와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 사이의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에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 사이에 콘덴서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의 캐패시턴스를 측정하는 캐패시턴스 측정수단,
    측정된 캐패시턴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의 접촉이 양호한지를 검출하는 접촉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절연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계에 가까운 캐패시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검출수단은, 측정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의 캐패시턴스가 규정치 보다 크면 접촉이 양호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검출수단을 통해 접촉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브 사이를 흐르는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칩단자 사이의 저항치를 검출하는 저항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KR1020000045239A 1999-08-06 2000-08-04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및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KR100363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447999A JP3675678B2 (ja) 1999-08-06 1999-08-06 プローブ接触状態検出方法およびプローブ接触状態検出装置
JP1999-224479 1999-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222A KR20010021222A (ko) 2001-03-15
KR100363294B1 true KR100363294B1 (ko) 2002-12-05

Family

ID=1681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239A KR100363294B1 (ko) 1999-08-06 2000-08-04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및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675678B2 (ko)
KR (1) KR100363294B1 (ko)
TW (1) TW4759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3363A (ja) * 2000-07-19 2002-01-31 Hitachi Ltd 半導体ウエハ、半導体チップ、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498824B2 (en) * 2006-08-22 2009-03-03 Formfa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determination relating to resistance of probes
KR101274208B1 (ko) 2007-08-07 2013-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 불량 검출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KR101288105B1 (ko) * 2011-11-21 2013-07-22 바이옵트로 주식회사 측정 장치
KR102210985B1 (ko) 2014-01-14 2021-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집적회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결합저항 측정 방법
CN111344577B (zh) * 2017-11-16 2022-12-23 三菱电机株式会社 探针板、半导体测定装置及半导体测定系统
US10816583B2 (en) * 2018-11-28 2020-10-27 The Boeing Company Differential capacitive probe for measuring contact resistance
CN111157884A (zh) * 2020-01-03 2020-05-15 中广核工程有限公司 继电器电阻测量系统及方法
CN113777405B (zh) * 2021-09-17 2024-03-29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测试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245A (ja) * 1991-09-13 1993-03-23 Fujitsu Ltd プローブ接触状態判別装置
JPH07244105A (ja) * 1994-03-04 1995-09-19 Hioki Ee Corp 実装基板の基板検査装置によるブリッジ半田検出方法
US5696451A (en) * 1992-03-10 1997-12-09 Hewlett-Packard Co. Identification of pin-open faults by capacitive coupling
JPH10115642A (ja) * 1996-10-09 1998-05-06 Kokusai Electric Co Ltd 抵抗率測定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245A (ja) * 1991-09-13 1993-03-23 Fujitsu Ltd プローブ接触状態判別装置
US5696451A (en) * 1992-03-10 1997-12-09 Hewlett-Packard Co. Identification of pin-open faults by capacitive coupling
JPH07244105A (ja) * 1994-03-04 1995-09-19 Hioki Ee Corp 実装基板の基板検査装置によるブリッジ半田検出方法
JPH10115642A (ja) * 1996-10-09 1998-05-06 Kokusai Electric Co Ltd 抵抗率測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50996A (ja) 2001-02-23
JP3675678B2 (ja) 2005-07-27
KR20010021222A (ko) 2001-03-15
TW475989B (en) 200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8270A (en) Low battery tester comparing load and no-load battery voltage
KR100363294B1 (ko)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방법 및 프로브 접촉상태 검출장치
JP2008528979A (ja) 電力スイッチ装置の第1電力スイッチの第1出力ピンと、外部ノードと、前記電力スイッチ装置の第2電力スイッチの第2出力ピンと、ノードとの間の電気的接触接続を検査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回路装置
US6127828A (en) Apparatus for measuring resistance of electronic component
US5990698A (en)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semiconductor element
JPH04501763A (ja) 回路試験
US6320399B1 (en) Measuring method for detecting a short-circuit between the turns of a coil integrated on a chip, and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adapted to such a measuring method
JP4259692B2 (ja) 回路基板検査装置
JP3098726B2 (ja) プリント基板の検査装置
JPS63119216A (ja) 電解コンデンサの極性判別方法及びその装置
JP2730504B2 (ja) 試験用プローブピンの接触不良判断方法およびインサーキットテスタ
JPH0192668A (ja) コンデンサの漏洩電流測定方法
US11467204B2 (en) Testing an integrated capacitor
JP3281164B2 (ja) Icのインサーキットテスタによる足浮き検出方法
JPH0714924Y2 (ja) 放電電源回路付きインサーキットテスタ並びに測定、放電兼用電源回路付きインサーキットテスタ
JP2000173880A (ja) 電解コンデンサの極性判定方法および装置
KR0160742B1 (ko) 전해 콘덴서의 역삽검사 장치 및 방법
JP3049049B1 (ja) 半導体集積回路及びその試験方法
JPH06148272A (ja) 半導体集積回路試験装置
JPS58201075A (ja) トランスフアリ−ドスイツチの特性測定回路
JPH08262076A (ja) コンデンサの絶縁抵抗測定装置
KR100290440B1 (ko) 프로브 카드의 가변 소자 장착 구조
JP2606208Y2 (ja) ワイヤーハーネス試験装置
JPH03101146A (ja) Ic検査装置
JPS61155873A (ja) 半導体素子の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