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306B1 - 라인식병담기설비 - Google Patents

라인식병담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306B1
KR100356306B1 KR1019970706575A KR19970706575A KR100356306B1 KR 100356306 B1 KR100356306 B1 KR 100356306B1 KR 1019970706575 A KR1019970706575 A KR 1019970706575A KR 19970706575 A KR19970706575 A KR 19970706575A KR 100356306 B1 KR100356306 B1 KR 10035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ling
containers
equipmen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3172A (ko
Inventor
바르 뽈 라
Original Assignee
시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4773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5630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시델 filed Critical 시델
Publication of KR19980703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022Making containers by moulding of a thermo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7/00Concurrent cleaning, filling, and closing of bottles; Processes or devices for at least two of these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7/00Concurrent cleaning, filling, and closing of bottles; Processes or devices for at least two of these operations
    • B67C7/0006Conveying; Synchronising
    • B67C7/002General lay-out of bottle-hand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2003/227Additional apparatus related to blow-moulding of the containers, e.g. a complete production line forming filled containers from pre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Tea And Coffee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질적으로, 용기 특히, 병을 열가소성물질로 제조하는 장치(1), 상기 용기를 충전하는 장치(2) 및 새롭게 제조된 용기를 운반하는 장치(3)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반 장치은 상기 용기 제조 장치(1)의 출구(4) 및 상기 용기 충전 장치(2)의 입구(5) 사이에 배치되는 라인식 병담기 설비. 상기 제조 장치(1) 및 충전 장치(2)는 가능하면 서로 가깝게 배치되고 운반 장치(3)은 짧고 상기 용기를 하나씩 하나씩 특히 서로 부딪치지 않게 운반한다. 상기 플랜트는 추가적으로 수많은 용기를 수용하여 보유하도록 상기 운반 장치(3)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상기 용기를 잠시 보유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라인식 병담기설비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용기, 특히 병을 열가소성재료로 제조하는 장치, 상기 용기의 충전장치 및 이러한 용기제조장치의 출구와 용기충전장치의 입구 사이에 놓여있는 제조된 용기의 이송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라인식 병담기설비(in-line bottling installation)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병과 같이 술 등을 채워넣는 용기에 술 등을 담는 설비를 공급하기 위하여, 병담는 장치로부터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제조장치에서 이러한 용기를 제조한 다음에, 용기를 제조장치로부터 충전장치의 제조설비까지 도로 또는 기차로 운송하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용기를 제조장치로부터 충전장치까지 운송하는데 따르는 여러 가지의 어려움을 피하기 위하여, 제조장치를 충전장치 가까이에 설치하고,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용기를 제1장치에서 제2장치로 옮기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2개의 장치중 하나가 단기간의 사고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경우에, 또다른 장치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할 수 있도록, 제조장치와 충전장치 사이에 완충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송장치는 몇천개의 용기의 부피에 해당하는, 거의 500미터에 달하는 매우 긴 컨베이어의 형태로 실현되었다.
이러한 이송장치는 장소를 상당히 차지한다. 따라서, 재료비와 함께 그 차지하는 면적에 대한 비용으로 이중부담이 될뿐 아니라, 그 길이 또한 매우 길게 된다. 그외에도, 지면을 최대한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이송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공중을 이용한 현가장치로 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얻는 편익은 미미하다.
그외에도, 이와 같이 긴 이송장치를 신뢰할만한 기능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이러한 곤란과 비용은 이송장치가 길기 때문에, 더욱 가중된다.
이제까지, 제조장치와 충전장치 사이의 용기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게 산출되는 빈 용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콤팩트장치를 실현함으로써, 컨베이어의 길이와 그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저장장치는 그 저장용량이 불충분하여, 이송장치의 설치 및 유지비용의 절약이 별로 없는 것으로 생각되게 한다. 그외에도, 이와 같은 저장장치 자체는 그 제조에 비용이 많이 들고, 그 유지도 필요하기 때문에, 결국에는 얻는 편익이 없다.
사용되는 컨베이어의 또다른 단점은 운송되는 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사실상, 사용되는 설비에서는, 주로 속이 비어서 가벼운 용기가 매우 빠른 속도로 추진되는 2개의 레일 사이로 안내되는 용기, 특히 용기의 목부분에 작용하는 공기분사가 연속적으로 사용되는 공기식 컨베이어을 이용하고 있다. 빈 용기는 쉽게 변형되고, 장애물(예를 들면, 멈추어 있거나, 느리게 이동하는 선행용기)에 부딛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만곡부가 움푹 들어가는 것과 같이, 그 자체가 손상되거나, 선행용기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용기의 대칭성이 상실됨으로써, 예를 들면 수직면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되고, 이러한 용기는 더 이상 충전장치내에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충전장치에 고장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변형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장치 사이를 원거리 운송되는 용기에도 영향을 준다.
더구나, 일부용기의 손상은 무시못할 경제적 손실을 가져온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나의 용기의 원가는 미미하지만, 설비의 전부 또는 적어도 충전장치의 가동을 잠시 멈춘 다음에, 재가동의 과정을 밟아야 하는 결함있는 용기의 존재가 주는 영향은 체인의 끝에서 수집되는 충전된 용기의 상당수를 결함있는 것으로 만들고, 이는 결국 커다란 놓쳐버린 돈벌이가 되고만다.
설비의 유형 여하를 불문하고, 용기에 영향을 주는 또다른 단점은 제조장치와 충전장치 사이를 마개없이 이동되고, 제조와 충전 사이에 완성된 용기를 중간저장하는 경우에, 상당히 오랜 기간동안 마개없이 놓아두는 용기의 내부가 오염될 위험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오염으로부터 초래되는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충전장치 바로 상류에 용기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통례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척 장치는 구입, 유지 및 사용에 따르는 비용이 크고, 이를 설치하는 장소의 비용도 필요하다.
EP-A-0 427 683에서는, 본질적으로 용기, 특히 병을 열가소성물질로 제조하는 장치, 용기를 충전하는 장치 및 제조될 용기를 이송하고, 제조장치의 출구와 충전장치의 입구 사이에 끼어있는 이송장치가 포함되어 있고, 제조장치와 충전장치가 서로 되도록 짧은 거리에 배치되어 있고, 이송장치가 짧은 길이를 가지며, 용기를연속하여 이동할 수 있게 배열되어 있는 라인식 병담기설비를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송장치의 길이가 짧으면, 아직도 상당히 뜨거운 상태로 제조장치에서 나오는 제조될 용기를 냉각시키는데 곤란이 생길 수 있다. 현재까지는 용기의 냉각이, 용기를 중간저장한다는 이유로 또는 중간컨베이어의 길이가 길다는 이유로, 제조장치의 출구와 충전장치내로의 용기도입 사이에서 행하여졌다. 반대로, 본 발명의 의한 설비에서는, 이송장치에 대하여 요구되는 짧은 길이는 용기가 아직도 뜨거운 상태에서 충전장치내로 공급될 위험이 생기게 하는데, 이는 충전액의 질을 보전하거나, 용기의 기계적 내구성(변질, 변형 등)을 유지하기 위하여 용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전술한 단점을 제거하고, 조밀하고, 신뢰성 있고, 경제적인 개량된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을 위하여, 전술한 장치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장치에서 나오는 용기의 적어도 일부, 특히 적어도 그 바닥(일반적으로 가장 두꺼운 부분이므로, 자연히 느리게 냉각되는)을 냉각시키는 수단이 이송장치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간단한 송풍장치로 축소될 수 있는 이러한 냉각수단의 이용은 과도한 설치 및 유지비를 초래하지는 아니할 것이다.
이와 같이 배열된 설비내에서, 이송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당히 감소된다. 이송장치의 구성재료비와 이러한 설비의 설치원가도 결과적으로 크게 절감된다. 이송장치가 고장날 위험과 그 유지비도 또한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이송장치의 설치 및 운용비는 용기의 제조장치의 출구와 충전장치의 입구를 분리시키는 거리가 짧으면 짧을수록 그만큼 낮아진다.
그외에도, 용기의 운송거리가 짧으면, 컨베이어를 바람직한 방식으로 배열할 수 있다. 주행거리가 짧은 것을 참작하여, 제조장치와 충전장치의 운전속도에 상응하는 속도로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공기분사 이송구조를 보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속도는 종래에 이용하는 긴 컨베이어의 실제속도보다 상당히 낮은 것이다. 이러한 조건하에서는, 용기가 서로 부딛치더라도, 그 충격은 용기를 변형시킬 정도로 강하지 아니하다. 이에 의하여, 충전장치의 기능장해의 원인도 배제된다.
이송장치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용기를 제조장치의 출구로부터 충전장치의 입구까지 이송하는 시간이 짧게 되며, 용기가 충전장치내로 도입되기 전에 용기의 내부가 오염될 위험도 상당히 감소될뿐 아니라, 현재까지 필요하였던 사전세척기도 빼버릴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재료, 장소, 세척수 및 유지 등에 있어서도 상당한 절약이 되고, 따라서, 재정적 절약이 크다.
이와 같이, 운송거리가 짧아짐으로써, 적당한 설치 및 운용비의 범위 안에서, 예정된 진행속도를 유지하면서,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적당한 기계적 컨베이어, 즉 무한궤도식 핀치컨베이어를 이용할 수 있다. 그외에도, 용기가 제조장치의 출구에 잡혀있고, 제조장치가 완성된 용기를 이송하는 속도와 거의 동일한 속도로 반출되며, 용기를 충전장치의 운전속도와 거의 같은 속도로 충전장치의 입구에 제공하기가 쉽게 된다. 따라서, 제조장치, 이송장치 및 충전장치의 동작속도를 동기화하기에 적합한 동기화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조장치의 출구에 있는용기가 이송장치에 실려서 충전장치의 입구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그 전진속도를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도 유리하다.
용기의 이송장치가 짧은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장점을 제공하지만, 충전장치가 잠깐만이라도 고장(이는 충전장치 자체에 영향을 주는 문제이거나, 충전장치의 하류에서, 예를 들면, 레테르를 붙이거나 포장을 하는 부서에서 갑자기 발생하는 사고이다)이 나는 경우에는, 불편을 줄 수 있다. 사실상, 제조장치와 충전장치 사이에 용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용량이 결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조장치의 동시정지를 초래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용기가 가열로내에 폐색되어 있고, 처리과정중에 있는 열가소성물질이 과도한 과열을 받게 되어 제조과정중의 용기가 회복할 수 없는 손실을 보게된다. 제조장치(대규모설비에서는 수백개에 달할 수 있다)내에 동시에 들어있는 용기의 파괴로 인한 재정적 손실은 무시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이는 피하여야 한다. 특히, 이로 인하여 가열수단의 일부구성요소 또는 부품이 변질되므로, 이도 어떠한 수단으로도 피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충전장치가 정지되는 때에도, 제조장치가 정지되기 전에, 가열로를 비워서 전술한 불편을 피할 수 있게 하거나, 완성된 용기의 임시저장고를 구성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비의 재가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조장치가 일시적으로 계속하여 동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설비에는, 이송장치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일정한 수의 용기를 수용 및 보류(保留)할 수 있는 용기의 일시보류장치를 포함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러한 보류장치는 용기가 서로 심한 충돌없이 이동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열로의 손상 및 용기의 과도한 상실을 피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처를 할 수 있다.
- 제조장치에 뜨거운 예비성형물의 성형장치 상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예비성형물 가열로가 포함되어 있고, 보류장치에 의해 보류되는 용기의 수가 가열로내에 동시에 존재하는 용기의 수와 거의 동일한 경우에는, 가열로가 비워질 때까지, 제조장치가 그 작동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 제조장치에 성형장치 상류에 위치한 다수의 가열로가 포함되어 있고, 보류 수단에 의해 보류되는 용기의 수가 1차로의 입구와 2차로의 출구 사이에서, 제조장치내에 동시에 존재하는 용기의 수와 거의 동일한 경우에는, 모든 가열로가 비워질 때까지, 제조장치가 그 작동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말하는 각 경우에는, 보류수단에 의해 보류되는 용기의 수를 제조장치 전체내에 동시에 존재하는 용기의 수와 거의 동일하게 하여, 충전장치가 정지되는 경우에는, 제조장치가 그 전부가 비워질 때까지, 그 작동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용기의 보류장치가 설비내에 존재하는 것은, 선행장치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설비의 가동을 용이하게 하는데에도 바람직하다. 사실상, 설비가 예를 들면, 경미한 사고로 인하여 짧은 시간동안만 정지되는 때에는, 제조장치의 가열로는 크게 냉각될 시간을 가지지 못하며, 용기의 제조장치도 충전장치와 같은 시간에 거의 순간적으로 재가동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정지가 비교적 긴 시간 또는 매우 긴시간동안 계속된 후에는, 가열로는 상당히 냉각되고, 충전장치가 즉시 작동되더라도, 제조장치가 다시 완성된 용기를 생산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기 전에, 예열 시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용기의 보류장치를 개입시키고, 이러한 보류장치의 용량을, 설비가 재가동될 때, 제조장치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재가열시간)동안, 충전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용기의 수와 적어도 동일하게 하는 것이 관심의 대상이 된다.
양호한 일실시예에서는, 보류장치에, 그 입구 또는 출구의 단부에 의하여 이송장치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개방되어 있고, 서로 잇따라 배치된 용기를 수용하기에 적당한 길이를 가지는 루프식 컨베이어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열되는 보류장치는 초과비용이 생기지 아니하도록 충분히 조밀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컨베이어와 이송장치의 선택적 연결은 이송장치와 보류장치의 입구단부 사이 및 이송장치와 보류장치의 출구단부 사이에 끼어있는 방향전환수단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향전환수단이 한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전환하는 시간중에 그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 즉 이러한 수단이 그 전환시간중에 존재하는 용기를 해당목표지점으로 안내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작동이 멈추는 고장을 피할 수 있고, 이 전환시간중에 뒤따르는 용기를 방향전환수단에 결합되어 있는 용기배출수단을 이용하여 회로에서 배출할 수 있다.
충전장치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아니하는 때에도, 가열로에 공급되는 용기(예비성형물 또는 중간용기)를 배출 또는 정지시키기 위하여, 가열로 상류에 배출/정지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충전장치의 정지에 뒤따라 가열로를 비우는 단계중, 제조장치가 정지되는 순간에, 제조장치에 계속적으로 재료가 반입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끝으로, 이송장치의 길이가 짧으면, 아직도 상당히 뜨거운 제조장치를 떠나는 제조된 용기를 냉각시키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용기의 냉각은 현재까지는 용기를 중간저장하거나, 중간 컨베이어의 길이가 길다는 이유로, 용기가 제조장치를 떠나는 충구와 충전장치내로 도입되는 지점과의 사이에서 행하여졌다. 반대로, 본 발명의 설비에서는, 이송장치의 길이를 짧게 하면, 용기가 아직도 뜨거운 상태에서 충전장치내로 공급될 위험이 있고, 이는 충전용 액체의 질을 보전하거나, 용기의 기계적 지구력(파손, 변형 등)을 위하여 용인할 수 없다. 제조장치를 떠나는 용기의 적어도 일부, 특히 바닥(일반적으로 가장 두꺼워서 자연히 느리게 냉각되는)의 냉각수단을 이송장치에 결합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간단한 송풍장치가 필요하더라도, 이와 같은 냉각수단의 이용은 과도한 설치 및 유지비를 초래하지는 아니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에 의하여 배열된 설비는 그 조밀성 자체만으로서도, 종래의 설비가 가지고 있는 많은 단점을 제거하며, 특히 재정적인 면, 즉 사용하는 재료, 그 설치, 운용 및 유지에 있어서 유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세부설명에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시된 일부실시예가 포함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배열되는 설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설비가 용기보류장치에 의하여 완성되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설비가 몇 개의 부속장치에 의하여 완성되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설비에는 본질적으로 열가소성재료로 병과 같은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장치(1), 이러한 용기를 충전하는 충전장치(2) 및 제조된 용기를 제조장치(1)의 출구(4)로부터 충전장치의 입구(5)까지 이송하는 이송장치(3)가 포함되어 있다.
제조장치(1)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과 같은 열가소성재료로 병과 같은 용기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모든 유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장치는 그 입구에서, 예비성형물 공급장치(7)로부터 발송되는 비결정질재의 예비성형물을 받는다. 장치(7)는 다른 자리에서 미리 주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예비성형물을 받아들이는 호퍼(8)를 포함하고 있고, 이 호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냉각된 예비성형물의 공급)장치의 입구(6)에 연결된 슬라이드(10)상에 예비성형물을 격리하여 위치하게 하는 선별기(9)에 의하여 입구(6)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7)는 또한 예비성형물 자체의 성형장치로서, 아직도 뜨거운 성형될 예비성형물을 직접 제조(뜨거운 예비성형물의 공급)장치의 입구(6)로 이송한다.
제조장치 내에서의 예비성형물의 처리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할 수 있고, 생산될 용기의 어느 유형에도 적합시킬 수 있다(단순 또는 이중취입, 단순 또는 다중열처리, 등). 도1에는 단순화 및 명료화를 이유로, 11에서 이송체인(12)상에 실린 다음에, 회전컨베이어상에 배치된 다중주형이 달린 연신-취입장치 또는 취입장치(15)내에 뜨거운 상태로 도입될 수 있도록, 14에서 다시 잡히기 전에, 가열로 터널(13)내에 협로에서 가열되는 예비성형물의 단순처리가 재도시되어 있다. 제조될 용기는 조절냉각 후, 제조장치(1)의 출구(4)로 반출된다.
충전장치(2)의 입구(5)에서 수용된 용기는 회전드럼(16)이 달린 충전장치상에 배치되고, 여기에서 일단 충전되면, 마개를 막는 폐쇄장치(17)에 인도된다. 이와 같이 채워지고 마개가 막힌 용기는 충전장치(2)의 출구(18)에 의하여, 레테르를 붙이는 부서를 거쳐 포장하는 부서(도시 없음) 쪽으로 이송된다.
용기의 제조장치(1)와 충전장치(2)는 전자의 출구(4)와 후자의 입구(5) 사이의 거리가 되도록 작게 되게, 서로 될 수 있는 한,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출구(4)로부터 상기입구(5)까지 뻗어있는 이송장치(3)는 짧고, 이송장치(3)에서 충전장치(2)로의 용기의 도입은, 용기의 내부를 적게나마 오염시킬 위험이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된 세척장치를 통과함이 없이, 직접으로 행하여진다. 이송장치(3)는 그 길이가 작은 것을 참작하여, 종래의 설비에서 사용하는 매우 긴 운송장치와 같은 공기분사식 유형으로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나, 예를 들면, 용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운송하게 되어 있는 핀치가 달린 무한궤도식 운송장치의 형태로 경제적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이송장치(3)의 동작속도는 충전장치의 입구(5)에서 용기가 반입되는 속도와 함께, 제조장치(1)의 출구(4)에서 용기를 인도하는 속도에 대응하여 쉽게 조정할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취입성형장치의 제조용량과 동일한 크기가 되는 충전 용량을 충전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충전장치는 실제로 충전될 용기를 용기의 제조 장치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고, 제조장치와 충전장치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여, 설비의 일반개념이 크게 간소화되고, 주어진 생산속도에 있어서 가장 큰 조밀성을 가지게 된다.
이 점에 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설비내에서 사용하는 수단은 동작상의 고장을 발생시킬 위험이 적고, 이에 따라 생산속도도 매우 높아지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1시간에 수만개의 용기를 생산 및 충전할 수 있는 설비내에 특수한 응용영역을 가진다.
용기의 제조장치(1)와 충전장치(2)의 동작속도가 동일한 크기도 되어있다는 것을 참작하여, 이러한 2개 장치의 작동과 이송장치(3)의 작동을, 제조장치에서 나오는 용기의 이동이 충전장치로 들어가는 용기의 이동과 완전히 일치하도록, 동기화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이송과정중 용기의 추월현상을 피할 수 있다. 그외에도, 용기의 손상원인과 충전장치의 고장 및 정지의 원인도 제거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수의 용기를 수용하여, 일시적으로 보류하고, 다시 방출할 수 있게 배열된 일시보류장치(19)를 이송장치(3)에 덧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류장치는 용기가 큰 충격없이, 서로 잇달아 이동할 수 있게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수단의 앞에 움직임없이 머물러 있어서 과열된 용기의 상실을 피하는 한편, 가열수단의 손상도 피하기 위하여, 충전장치가 정지된 후에도, 제조장치가 적어도 진행중인 가열사이클을 끝마칠 수 있게, 계속하여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장치가 뜨거운 예비성형물의 성형장치 상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예비성형 물 가열로를 포함하고 있는 때에는, 충전장치가 정지된 경우에, 가열로가 비워질 때까지, 제조장치가 그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류장치에 의해 보류되는 용기의 수를 가열로내에 동시에 존재하는 용기의 수와 거의 동일하게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조장기가 해당성형장치 상류에 위치한 다수의 가열로를 포함하는 때에는, 충전장치가 정지된 경우에, 이러한 모든 가열로가 비워질 때까지, 제조장치가 계속하여 작동되도록, 보류장치에 의해 보류되는 용기의 수를, 1차로의 입구와 그 다음 가열로의 출구 사이에서, 제조장치내에 동시에 존재하는 용기의 수에 거의 동일하게 한다.
더구나, 제조장치가 여러단계의 가열을 암시하는 이중취입/연신취입과정과 같은 다중성형과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충전장치가 정지된 순간에 동시에 존재하는 모든 처리과정중의 용기의 제조장치를 매우 간단히 완전하게 비울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때, 보류장치는 상당히 많은 수의 용기를 수용할 수 있게 배열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큰 용량의 제조장치는 서로 다른 상태에서 처리중에 있는 약 500개의 용기를 수용하며, 완성된 용기의 몸체는 약 10cm의 직경을 가지고, 서로 잇달아 일렬로 늘어선 용기의 열의 길이는 약 50미터가 된다. 따라서, 약 50 내지 60미터의 길이를 가진 보류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그 크기의 관점에서 볼때, 종래의 설비에서 이용되는 완충기에 따라, 이송장치의 길이보다 10배 더 작은 길이에 해당한다.
보류장치(19)는 이송장치(3)상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입구(21)와 출구(22) 사이에, 개방된 루프모양으로 뻗어있는 컨베이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방루프는 대규모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수백개에 달할 수 있는 전술한 수의 용기를 수용하기에 적당한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충전장치(2)가 정지된 경우에는, 충전장치(2)가 정지된 순간에, 제조장치(1) 내에 존재하는 제조과정중의 용기 전부가 완성된 상태로 회수되고, 설비가 재가동되는 즉시 사용될 수 있게 제공되도록, 제조장치(1)를 비울 수 있다(예비성형물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용기가 허비되는 것을 피하고, 아직 제조과정중에 있는 용기가 채워져있는 제조장치가 정지된 경우에 갑자기 일어날 수 있는 제조장치의 오염, 즉 손상도 피할 수 있다.
더구나, 제조장치는 너무 오랫동안 정지되어 가열수단이 냉각된 후에는, 예열시간이 경과한 후에야만 용기의 생산을 재개할 수 있게 된다. 순간적으로 재시동될 수 있는 충전장치에 비하여 이와 같이 지체되는 단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보류 장치가 예열이 끝나기를 대기하면서, 먼저 재작동되는 충전장치에 용기를 공급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용기를 이송장치(3)로부터 보류장치(19)로 또는 그 반대로 이송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이송장치(3)와 보류장치(19)의 입구(21)단부 사이 또는 이송장치(3)와 보류장치(19)의 출구(22)단부 사이에, 방향전환수단을 배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전환수단은 응답시간을 가지며, 그 전환단계중에는 용기를 확실하게 안내하지 못한다. 용기가 이러한 전환단계중에 도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방지하기 위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단계중 후속되는 용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도3에서 23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보류장치의 입구(21)에 위치한 방향전환수단에, 용기배출수단을 결합시킨다.
동일한 방식으로, 충전장치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아니하는 때에, 가열로에 공급되는 용기(예비성형물, 중간용기 등)를 배출 또는 정지시키기 위하여, 제조장치 또는 그 가열로의 상류에, 도3에서 24로 표시된 배출 또는 정지수단(예를 들면, 배수로의 받침목)을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제조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과정중에 있는 용기를 완성하기 위하여 아직도 작동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예비성형물이나 중간용기가 가열로내로 도입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끝으로, 이송장치(3)의 길이는 되도록 짧게 되어있는데도 불구하고, 용기(제조장치로부터 아직도 뜨거운 상태로 나오는)를 찬 상태로 충전장치내에 도입하기 위하여, 제조장치에서 나오는 용기의 전부 또는 일부, 특히 그 바닥을 냉각시키는 수단(25)을 이송장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각수단(25)은 제조장치의 출구에 놓이게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충전장치의 입구에까지 연장되게 할 수 있다. 이 냉각수단은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컨베이어를 가로지르는 단순송풍기에서, 용기의 순환과 역류하는 찬 공기 또는 가스를 취입하는, 매우 고성능이지만, 값비싼 터널식 장비에 이르기까지, 적당한 모든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응용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변형도 이에 포함된다.

Claims (14)

  1. 용기 특히, 병을 열가소성물질로 제조하는 장치(1), 상기 용기를 충전하는 장치(2) 및 제조된 용기를 이송하고, 용기의 제조장치(1)의 출구(4)와 충전장치(2)의 입구(5) 사이에 끼어있는 이송장치(3)를 포함하고, 용기의 제조장치(1)와 충전 장치(2)가 서로 가능한 한 짧은 거리에 배치되어 있고, 이송장치(3)가 짧은 길이를 가지며, 용기를 연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배열되어 있는 라인식 병담기설비에 있어서, 제조장치(1)를 나오는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25)이 이송장치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식 병담기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냉각수단(25)이 용기의 적어도 저부를 냉각시킬 수 있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식 병담기설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송장치(3)가 서로 예정된 거리에 유지되어 있는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식 병담기설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용기의 제조장치(1), 이송장치(3) 및 충전 장치(2)의 각 동작속도를 동기화하는 수단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식 병담기설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조장치(1)의 출구(4), 이송장치(3) 내에서의 이동과정중 및 충전장치(2)의 입구(5)에서의 각 진행간격이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식 병담기설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이송장치(3)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일정수의 용기를 수용 및 보류할 수 있게 배열되어 있는 용기의 일시보류장치(19)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식 병담기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보류장치(19)가 용기의 연속적 이동이 큰 충격없이 행하여지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식 병담기설비.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제조장치가 뜨거운 예비성형물의 성형장치 상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예비성형물 가열로를 포함하며, 보류장치에 의해 보류되는 용기의 수는, 충전장치가 정지된 경우에, 가열로가 비워질 때까지, 제조장치가 그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로내에 동시에 존재하는 용기의 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식 병담기설비.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제조장치가 해당성형장치 상류에 위치한 다수의 가열로를 포함하며, 보류장치에 의해 보류되는 용기의 수는, 충전장치가 정지된 경우에, 모든 가열로가 비워질 때까지, 제조장치가 그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1차 가열로의 입구와 그다음 가열로의 출구 사이에서, 제조장치내에 동시에 존재하는 용기의 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식 병담기설비.
  10. 제 6 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보류장치에 의해 보류되는 용기의 수는, 충전장치가 정지된 경우에, 제조장치가 비워질 때까지 그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조장치내에 동시에 존재하는 용기의 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식 병담기설비.
  11. 제 6 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보류장치에 의해 보류되는 용기의 수는, 재가동될 때, 제조장치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시간(재가열시간)동안, 충전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용기의 수와 적어도 동일하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식 병담기설비.
  12. 제 6 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보류장치(19)가, 이송장치의 입구(21) 또는 출구(22)단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서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는 용기를 수용하기에 적당한 길이를 가지는, 개방루프식 컨베이어(2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식 병담기설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이송장치와 보류장치의 입구단부 사이 또는 이송장치와 보류장치의 출구단부 사이에 끼어있는 방향전환수단과 이러한 방향전환수단에 결합되어 있고, 방향전환수단이 위치를 변경하는 동안, 방향전환수단에 존재하는 용기를 배출할 수 있게 배열된 배출수단(23)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식 병담기설비.
  14. 제 6 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충전장치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아니하는 때에, 가열로에 공급되는 용기(예비성형물 또는 중간용기)를 배출 또는 정지시키기 위하여, 가열로 상류에 위치한 배출/정지수단(24)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식 병담기설비.
KR1019970706575A 1995-03-23 1996-03-20 라인식병담기설비 KR100356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5/03428 1995-03-23
FR9503428A FR2732002B1 (fr) 1995-03-23 1995-03-23 Installation d'embouteillage en ligne
PCT/FR1996/000416 WO1996029245A1 (fr) 1995-03-23 1996-03-20 Installation d'embouteillage en lig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172A KR19980703172A (ko) 1998-10-15
KR100356306B1 true KR100356306B1 (ko) 2002-12-16

Family

ID=947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575A KR100356306B1 (ko) 1995-03-23 1996-03-20 라인식병담기설비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996322A (ko)
EP (1) EP0815009B1 (ko)
JP (1) JPH11502175A (ko)
KR (1) KR100356306B1 (ko)
CN (1) CN1094866C (ko)
AT (1) ATE176432T1 (ko)
AU (1) AU706011B2 (ko)
BR (1) BR9607881A (ko)
CA (1) CA2217393C (ko)
DE (1) DE69601495T2 (ko)
DK (1) DK0815009T3 (ko)
ES (1) ES2130806T3 (ko)
FR (1) FR2732002B1 (ko)
GR (1) GR3029923T3 (ko)
MX (1) MXPA97007262A (ko)
WO (1) WO19960292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05B1 (ko) * 2002-02-08 2004-12-04 한양이엔지(주) 포장라인용 빈 용기의 대기 급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925A (ja) * 1994-12-12 1996-06-25 Coca Cola Co:The 飲料包装装置
ES2213278T3 (es) 1997-04-21 2004-08-16 Graham Packaging Company, L.P. Sistema para moldear por soplado, llenar y capsular recipientes.
FR2765566B1 (fr) * 1997-07-03 1999-09-17 Sidel Sa Installation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dans des recipients fermes par un bouchon et dispositif de stockage dynamique de bouchons utilisable dans celle-ci
DE19928325A1 (de) * 1999-06-21 2000-12-28 Krones Ag Abfüllvorrichtung für Flaschen
FR2859199B1 (fr) * 2003-08-29 2007-01-05 Newtec Internat Group Installation de soufflage et de remplissage de bouteilles en matiere plastique
US7052644B2 (en) * 2003-11-17 2006-05-30 Graham Packaging Pet Technologies, Inc. Continuous production of molded plastic containers
WO2005073113A2 (de) * 2004-02-02 2005-08-11 Krones Ag Vorrichtung zum dynamischen speichern von gegenständen
DE102004023419A1 (de) * 2004-05-12 2005-12-08 Kron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kühlen von frisch geblasenen Kunststoffflaschen
GB0414615D0 (en) * 2004-06-29 2004-08-04 Elopak Systems Container,method and apparatus
DE202004016069U1 (de) 2004-10-16 2005-12-01 Krones Ag Vorrichtung zum Puffern von Gegenständen
DE202005013552U1 (de) 2005-08-27 2005-11-03 Krones Ag Dynamischer Speicher für Gegenstände
DE102006002632A1 (de) * 2006-01-19 2007-07-26 Khs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Flaschen oder dergleichen Behältern aus Kunststoff durch Blasen sowie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Flaschen oder dergleichen Behälter
DE102006008123A1 (de) * 2006-02-20 2007-08-23 Krones Ag Vorrichtung zum Speichern von Gegenständen
DE102006012148A1 (de) * 2006-03-16 2007-09-20 Krones Ag Fördermittel
DE102006013800C5 (de) * 2006-03-24 2010-04-15 Khs Ag Transportsystem für Flaschen oder dergleichen Behälter sowie Anlage zum Behandeln von Flaschen oder dergleichen Behälter
DE102006013843A1 (de) 2006-03-25 2007-09-27 Khs Ag Blasmaschin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Flaschen oder dergleichen Hohlkörper
DE102006035109A1 (de) * 2006-07-29 2008-01-31 Krones Ag Fördereinrichtung
DE102006053193A1 (de) * 2006-11-09 2008-05-15 Kron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behältern
JP5211517B2 (ja) 2007-03-15 2013-06-12 澁谷工業株式会社 物品搬送装置
US20080233229A1 (en) * 2007-03-22 2008-09-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ontainers
DE102007025286B4 (de) 2007-05-30 2016-11-17 Khs Gmbh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Verpackungseinheiten oder Gebinden
WO2009127962A2 (en) 2008-04-18 2009-10-22 Sacmi Cooperativa Meccanici Imola Societa' Cooperativa Method and apparatuses
DE102008021527B4 (de) 2008-04-30 2023-06-29 Krones Aktiengesellschaft Anla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hältern
DE102008032123B4 (de) 2008-07-08 2024-05-16 Krone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Kühlen von Behältnissen mit einer Zuführeinrichtung welche ein fließfähiges Medium auf einen Bodenbereich der Behältnisse richtet sowie Verfahren zum Kühlen der Außenwandung von Behältnissen
DE102009007424A1 (de) * 2009-02-04 2010-08-05 Krones A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und Weiterbearbeitung von Kunststoffhohlkörpern
DE102009021277A1 (de) * 2009-05-11 2010-11-18 Khs Corpoplast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lasformung sowie zum Befüllen von Behältern
DE102009041160B4 (de) * 2009-09-14 2018-02-22 Krone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lüssigkeitsbehältnissen
DE102009044104A1 (de) * 2009-09-24 2011-03-31 Krones Ag Einrichtung zum Transfer von Behältern zwischen zwei Bearbeitungsstationen sowie ein Verfahren zum Transfer von Behältern zwischen zwei Bearbeitungsstationen
DE102010002311A1 (de) * 2010-02-24 2011-08-25 Krones Ag, 93073 Verfahren zum Steuern einer Etikettiervorrichtung
ITBO20110691A1 (it) 2011-12-02 2013-06-03 Ativa Linea e procedimento di imbottigliamento in ciclo continuo di contenitori in materiale termoplastico.
DE102012206295A1 (de) * 2012-04-17 2013-10-17 Krones Ag Abfüllanlage für Behält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Abfüllanlage
DE102012104267A1 (de) * 2012-05-16 2013-11-21 Krones Ag Behältnisherstellungsanlage mit Bodenkühlung der Behältnisse
JP6093974B2 (ja) * 2012-11-22 2017-03-15 株式会社フジシール シュリンクフィルム装着システム
CN103466527A (zh) * 2013-03-27 2013-12-25 上海辉敦包装科技有限公司 一次性平板培养基全自动分装系统
ITBO20130179A1 (it) * 2013-04-22 2014-10-23 Azionaria Costruzioni Acma Spa Impianto di confezionamento di prodotti.
JP6516098B2 (ja) * 2015-06-17 2019-05-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内容物充填方法及び装置
JP6086136B1 (ja) * 2015-09-04 2017-03-01 東洋製罐株式会社 無菌充填システム、容器殺菌ユニット、および無菌充填方法
JP6384769B1 (ja) 2017-07-10 2018-09-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搬送装置、調整回転搬送部および搬送方法
FR3070679B1 (fr) * 2017-09-06 2021-06-18 Sidel Participations Procede de fabrication de recipients au sein d'une ligne de production, avec adaptation de la cadence de production a un incident sur la ligne
IT201800003763A1 (it) * 2018-03-19 2019-09-19 Gruppo Bertolaso Spa Impianto di imbottigliamento di contenitori con liquidi e procedimento di imbottigliamento di detto impianto
DE102018119550A1 (de) * 2018-08-10 2020-02-13 Khs Gmbh Verfahren zum Befüllen von Behältern mit einem CO2-haltigen Flüssigkeitsproduk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2152A1 (de) * 1971-05-05 1972-11-16 Kronseder, Hermann, 8402 Neutraubling Flaschenbehandlungsanlage
US4208852A (en) * 1974-11-08 1980-06-24 Pont-A-Mousson S.A. Process for the aseptic packing of products and machine employing said process
DE2621993A1 (de) * 1976-05-18 1977-12-01 Willi Naumann Vorrichtung fuer das uebernehmen, transportieren und weiterverarbeiten von in hohlkoerperherstellmaschinen hergestellten behaeltern
DE2703527A1 (de) * 1977-01-28 1978-08-03 Gerhard Hansen Vorrichtung zum herstellen, fuellen und gegebenenfalls verschliessen von behaelter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4361759A (en) * 1981-01-15 1982-11-30 Canadian Stackpole Limited Speed control system for bottling line
EP0066119B1 (de) * 1981-05-20 1987-04-22 Holstein & Kappert GmbH Verfahren zur Ermittlung des Befüllungsgrades von Pufferstrecken zwischen Gefässbehandlungsanlagen und zur kontinuierlichen Regelung der Durchsatzleistung in derartigen Behandlungsanlagen mit mehreren in Durchlaufrichtung der Gefässe oder Flaschen hintereinander und/oder parallel geschalteten Einzelmaschinen
US4635784A (en) * 1984-10-03 1987-01-13 Bourgeois Ronald D Accumulating magazine
DE3823032A1 (de) * 1988-07-07 1990-01-11 Kronseder Maschf Krones Flaschen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m steuern derselben
IT1236279B (it) * 1989-11-08 1993-02-02 Pro Co Mac Srl Accumulatore ordinato di bottiglie di materiale plastico.
IT1257010B (it) * 1992-02-03 1996-01-05 Omv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termoformatura e l'impilamento di oggetti cavi con fondello a partire da materiale termoplastico in nastr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05B1 (ko) * 2002-02-08 2004-12-04 한양이엔지(주) 포장라인용 빈 용기의 대기 급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01495T2 (de) 1999-10-07
EP0815009A1 (fr) 1998-01-07
FR2732002A1 (fr) 1996-09-27
US5996322A (en) 1999-12-07
MXPA97007262A (es) 2003-08-12
ATE176432T1 (de) 1999-02-15
CN1094866C (zh) 2002-11-27
CA2217393C (fr) 2007-08-07
EP0815009B1 (fr) 1999-02-03
DE69601495D1 (de) 1999-03-18
DK0815009T3 (da) 1999-09-20
AU706011B2 (en) 1999-06-03
GR3029923T3 (en) 1999-07-30
CA2217393A1 (fr) 1996-09-26
AU5150096A (en) 1996-10-08
KR19980703172A (ko) 1998-10-15
BR9607881A (pt) 1998-07-14
FR2732002B1 (fr) 1997-06-06
WO1996029245A1 (fr) 1996-09-26
CN1179134A (zh) 1998-04-15
JPH11502175A (ja) 1999-02-23
ES2130806T3 (es)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306B1 (ko) 라인식병담기설비
CN101432209B (zh) 用于瓶或类似容器的输送系统及处理瓶或类似容器的设备
US10016927B2 (en) Fac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containers
US8251201B2 (en) Bottle processing system
CN101077615A (zh) 用于制造瓶或类似空心体的吹塑机以及方法
KR960705672A (ko) 사출연신불로우성형장치 및 그 방법(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CN107303720A (zh) 具有一个分配输送装置和多个卫星处理单元的中空主体操纵设备
US8777604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lastic containers with variable station deactivation
US6401973B1 (en) Installation for packaging a product in containers closed with a stopper and dynamic storage device for stoppers usable therein
CN102791463A (zh) 用于制造贴标的塑料容器的设备和方法
JP4273289B2 (ja) プリフォームの均熱冷却方法及びその装置
EP085639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ntainers made of themoplastic material
JP2022151704A (ja) 液体製品を瓶に無菌で瓶詰めする瓶詰めラインおよび方法
US5516274A (en) Stretch blow molding machine with movable blow mold assembly
JP4128331B2 (ja) 整列された熱可塑性材料製ボトルを順序よく移送する装置
JPH0957824A (ja) パリソン搬送装置
JPH0957825A (ja) プリフォーム成形設備の制御方法及びプリフォーム成形設備
JP4474888B2 (ja) 射出延伸ブロー成形システム及び射出延伸ブロー成形方法
EP2785509B1 (en) Plant for making containers of thermoplastic material
CN103862656B (zh) 优化预型件馈送
US115906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lastic preforms and plastic containers with thermal preform storage
KR0153528B1 (ko) 열가소성 블랭크를 제품으로 성형하기 위한 장치
CN110392869A (zh) 用于处理容器的方法和装置
JP2002501448A (ja) ブロー成形方法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