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855B1 - 현미의 발아방법 - Google Patents

현미의 발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855B1
KR100354855B1 KR1020000019356A KR20000019356A KR100354855B1 KR 100354855 B1 KR100354855 B1 KR 100354855B1 KR 1020000019356 A KR1020000019356 A KR 1020000019356A KR 20000019356 A KR20000019356 A KR 20000019356A KR 100354855 B1 KR100354855 B1 KR 100354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germination
water
rice
ger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895A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2000001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855B1/ko
Publication of KR20010095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1/00Planting
    • Y10S111/90Methods of planting seeds and miscellaneous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1/00Planting
    • Y10S111/905Seed treating seed planter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의 발아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종 영양소는 물론이고 식이섬유 함유량이 높은 현미를 보다 간단한 공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발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별도의 세척과정 없이 현미의 발아과정에서 현미의 발효로 인한 악취발생을 억제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발아현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현미의 발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벼의 왕겨를 제거하는 탈부공정과; 미숙곡 및 왕겨를 제거하는 선별공정; 현미부착 오염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는 세척공정; 현미를 발아시키는 발아공정; 상기 발아된 현미를 세척하고 증숙하는 증숙공정 및 상기 증숙된 현미를 건조하는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현미의 발아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아공정이 탈부 및 세척된 현미를 통수성 용기에 50%(v/v)정도 넣은 다음, 하단에 공기공급구가 설치된 발아기 내의 25℃ 내지 30℃로 유지되는 물에 상기 통수성 용기를 침적시킨 후 공기공급구를 이용하여 발아기 하부로부터 산소를 공급하면서 물을 순환시키고, 8시간 간격으로 침적수를 정수로 교체하여 발아가 0.5cm 내지 1.0cm정도 될 때까지 발아시키는 것에 의한 현미의 발아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미의 발아방법{The sprouting method of uncleaned rice}
본 발명은 현미의 발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영양소는 물론이고 식이섬유 함유량이 높은 현미를 보다 간단한 공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발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별도의 세척과정 없이 현미 발아시 현미 발효로 인한 악취발생을 억제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발아현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현미의 발아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스턴트식품이나 육류를 위주로 하는 식생활의 변화로 인해 혈액의 산독화 현상이 촉진되고, 그에 따라 성인병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여러 연구결과가 입증하고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인스턴트식품이나 육류보다는 현미나 각종 곡류를 비롯한 채식을 권장하고 있는데, 이는 육식으로 부족해지는 식이섬유를 보다 많이 섭취하라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발아현미는 백미보다 약 4배정도 많은 식이섬유를 갖음과 동시에 발아에 의해 아미노산이나 비타민B군이 많아지고 특히 변비에 효과가 있는 등 그 인체에 유익한 특성이 다량 밝혀졌다.
또한 현미에는 식물성 섬유질을 비롯한 각종 효소, 미네랄 등 무기질 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고 혈액의 산독화를 막아주어 노화방지 및 장내 기능 강화에 유용한 식품임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상기한 발아 현미의 주요특성으로 인해 발아 현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보다 효과적으로 현미를 발아시키는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상기 현미의 발아 방법의 일환으로 대한 민국 특허출원번호 제98-001373호의 '현미를 발아시키는 방법'에는 왕겨를 벗겨내지 않은 벼를 염수통에 넣어 발아력이 왕성한 것을 선별하는 완숙벼 선별단계(A)와, 선별된 완숙벼를 현미로 도정하는 도정단계(B)와, 수온이 12℃ 내지 18℃인 물에 현미를 6 내지 10시간 동안 담가 두었다가 수온을 서서히 20℃ 내지 32℃까지 높인 상태에서 1시간 내지 8시간 정도 현미를 물에 담가두는 1차 수중발아과정을 거치고, 1차 수중발아과정을 거친 현미를 수면으로부터 1cm이상 이격된 상태에서 2시간 내지 5시간동안 두는 대기중 발아 과정과 20℃의 물 또는 황토침전수에 현미를 8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담가두는 수중발아 과정을 교대로 반복하여 기포가 일어나는 발아 현상이 관측되면 수온 및 대기온도를 26℃ 내지 32℃가 되게 한 상태에서 현미가 소정의 발아율을 나타낼 때까지 상기 수중 발아 과정과 대기중 발아 과정을 교대로 반복하는 발아단계(C)로 이루어지는 현미 발아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영양가 많은 현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현미를 제조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발아시간이 길어 불편하고, 또한 현미의 수중발아 및 대기발아를 교대로 하는 발아과정에서 현미의 발효로 인한 악취발생 등의 문제점은 아직 개선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
또한 현미의 발아가 완료된 후 현미의 발효로 인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세척과정을 거쳐 충분히 세척하여야 악취가 제거됨으로써 과다한 세척수의 사용 및 세척하는 과정에서 배아가 떨어져 나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영양소는 물론이고 식이섬유 함유량이 높은 현미를 보다 간단한 공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발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별도의 세척과정 없이 현미의 발아과정에서 현미의 발효로 인한 악취발생을 억제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발아현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현미의 발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벼의 왕겨를 제거하는 탈부공정과; 미숙곡 및 왕겨를 제거하는 선별공정; 현미부착 오염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는 세척공정; 현미를 발아시키는 발아공정; 상기 발아된 현미를 세척하고 증숙하는 증숙공정 및 상기 증숙된 현미를 건조하는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현미의 발아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아공정이 탈부 및 세척된 현미를 통수성 용기에 50%(v/v)정도 넣은 다음, 하단에 공기공급구가 설치된 발아기 내의 25℃ 내지 30℃로 유지되는 물에 상기 통수성 용기를 침적시킨 후 공기공급구를 이용하여 발아기 하부로부터 산소를공급하면서 물을 순환시키고, 8시간 간격으로 침적수를 정수로 교체하여 발아가 0.5cm 내지 1.0cm정도 될 때까지 발아시키는 것에 의한 현미의 발아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통상의 탈부공정을 통해 벼의 왕겨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벼의 겉껍질만을 벗겨내고 속껍질은 남아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상기 탈부공정을 통해 제조된 현미는 선별공정을 통해 발아력이 왕성한 것을 선별하고 미숙곡 및 왕겨를 제거한 다음, 현미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이나 기타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공정을 거치게된다.
상기 세척공정을 통해 세척된 현미는 본 발명에 의한 발아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발아공정은 먼저 탈부 및 세척된 현미를 밑면에 통공이 형성된 통수성 용기에 50%(v/v)정도 넣은 다음, 상기 통수성 용기를 발아기 내에 담겨진 물에 침적을 시키게 된다.
이때 발아기는 하단부에 공기공급구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공기공급구를 통해 발아기 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발아기 내의 물은 현미가 최적의 온도조건에서 발아될 수 있는 25℃ 내지 30℃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공급구를 통해 산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면, 물이 공기의 흐름을 따라 순환하게 되고, 그에 따라 물속에 침적된 현미도 물의 흐름을 따라 유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현미가 유동하면서 발아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게 되어 빠른 시간내에 발아가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현미의 발아시 현미의 발효로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씻겨져 나가게 되어 악취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발아기 내의 물은 8시간 간격으로 정수로 교체하여 주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정수 교체과정을 거치게 되면 현미 발아과정에서 생성된 오염물 및 부유물이 제거되어 물의 흐름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물에 의해 현미에서 제거된 악취물질이 정수로의 교체로 인해 제거됨으로써 별도의 세척과정 없이 악취 발생이 억제되어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발아 현미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발아가 0.5cm 내지 1.0cm정도 이루어 지게 되면, 상기 발아된 현미를 세척하여 통상적인 증숙공정을 거쳐 증숙한 다음, 상기 증숙된 현미를 건조공정을 통해 건조하게 되면 부드럽고 고소한 맛이 나도록 조리될 수 있는 현미가 제조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은 하기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벼의 왕겨만을 제거하여 선별공정을 통해 미숙곡 및 왕겨 등을 제거하고 세척한 현미를 통수성 용기에 절반정도 넣은 다음, 하단에 공기공급구가 설치된 발아기 내의 27±2℃로 유지되는 물에 상기 통수성 용기를 침적시킨 후 공기공급구를 이용하여 발아기 하부로부터 산소를 공급하면서 물을 순환시키고, 8시간 간격으로 침적수를 정수로 교체하여 발아가 0.7cm 될 때까지 발아시켜 발아 현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발아력이 왕성한 벼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단계와 현미제조를 위한 도정단계(B)를 거친 현미를 수온이 15℃인 물에 8시간 동안 담가 두었다가 수온을 서서히 27℃까지 높인 상태에서 5시간 정도 담가두어 1차 수중발아시키고, 1차 수중발아시킨 현미를 수상으로부터 1cm정도 이격된 상태에서 3시간동안 두어 대기중 발아를 시키고, 상기 대기중 발아시킨 현미를 다시 20℃의 물에 16시간 담가두어 수중발아시키고, 상기 대기발아와 수중발아과정을 기포가 발생하는 발아 현상이 관측될 때 까지 반복한 다음, 수온 및 대기온도를 30℃가 되게 한 상태에서 현미가 0.7cm의 발아율을 나타낼 때까지 상기 수중 발아 과정과 대기중 발아 과정을 교대로 반복하여 발아 현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1과 비교예2에서 본 발명에 의하여 현미를 발아시킨 실시예1의 경우 발아과정에서 공기공급구를 통해 공기를 불어 넣어줌과 동시에 8시간 간격으로 정수로 교체해줌으로써 악취발생이 억제되어 현미발효시 발생하는 특유의 악취인 산냄새가 나지 않았으나, 종래방법에 의하여 현미를 발아시킨 비교예2의 경우 현미발효시 발생하는 특유의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영양소는 물론이고 식이섬유 함유량이 높은 현미를 보다 간단한 공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발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종래 현미의 발아과정에서 현미의 발효로 인하여 발생하는 악취제거를 위하여 별도의 세척과정을 거쳐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세척과정 없이 악취발생을 억제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발아현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현미의 발아방법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벼의 왕겨를 제거하는 탈부공정과; 미숙곡 및 왕겨를 제거하는 선별공정; 현미부착 오염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는 세척공정; 현미를 발아시키는 발아공정; 상기 발아된 현미를 세척하고 증숙하는 증숙공정 및 상기 증숙된 현미를 건조하는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현미의 발아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아공정이 탈부 및 세척된 현미를 통수성 용기에 50%(v/v)정도 넣은 다음, 하단에 공기공급구가 설치된 발아기 내의 25℃ 내지 30℃로 유지되는 물에 상기 통수성 용기를 침적시킨 후 공기공급구를 이용하여 발아기 하부로부터 산소를 공급하면서 물을 순환시키고, 8시간 간격으로 침적수를 정수로 교체하여 발아가 0.5cm 내지 1.0cm정도 될 때까지 발아시키는 것에 의한 현미의 발아방법.
KR1020000019356A 2000-04-12 2000-04-12 현미의 발아방법 KR100354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356A KR100354855B1 (ko) 2000-04-12 2000-04-12 현미의 발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356A KR100354855B1 (ko) 2000-04-12 2000-04-12 현미의 발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895A KR20010095895A (ko) 2001-11-07
KR100354855B1 true KR100354855B1 (ko) 2002-10-05

Family

ID=1966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356A KR100354855B1 (ko) 2000-04-12 2000-04-12 현미의 발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8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019A (ko) * 2001-04-10 2002-10-23 곽후영 발아 현미의 재배방법
KR20020085574A (ko) * 2001-05-09 2002-11-16 주식회사 두산 발아현미 생산을 위한 공정 및 장치
KR100372176B1 (ko) * 2000-12-19 2003-02-14 김영환 검정콩의 발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701B1 (ko) * 2000-07-06 2003-03-04 장철호 현미의 발아방법
KR100405921B1 (ko) * 2000-09-09 2003-11-14 (주)자연나라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KR100407217B1 (ko) * 2000-09-26 2003-11-28 이상진 발아현미의 재배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17033A (ko) * 2002-08-20 2004-02-26 이현철 다용도형 곡물발아장치
KR101367730B1 (ko) * 2011-11-04 2014-03-12 (주)씨나락 발아 현미 제조 장치,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발아 현미
KR101715728B1 (ko) * 2015-02-24 2017-03-14 홍석민 발아 현미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아 현미 누룽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176B1 (ko) * 2000-12-19 2003-02-14 김영환 검정콩의 발아방법
KR20020080019A (ko) * 2001-04-10 2002-10-23 곽후영 발아 현미의 재배방법
KR20020085574A (ko) * 2001-05-09 2002-11-16 주식회사 두산 발아현미 생산을 위한 공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895A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539B1 (ko) 굴비가공방법
KR100354855B1 (ko) 현미의 발아방법
CN103704578B (zh) 一种苦荞麦全营养米及制备方法
EP3459360A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paste with a high content of nutrients from germinated grain
KR100372551B1 (ko) 엿기름 제조방법
RU229465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ушеного альфа-риса с помощью вакуумной сушки
KR100372176B1 (ko) 검정콩의 발아방법
KR100952107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네랄 성분이 강화된 발아현미의제조방법
CN1098263A (zh) 油炸玉米食品
CN113412911A (zh) 一种米粉专用米的筛选和加工方法
KR101823393B1 (ko) 해양심층수 코다리 탕수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코다리 탕수육
CN115428915A (zh) 一种可即食常温泡椒味裙带菜特级梗段食品及其生产方法
KR100495233B1 (ko) 발아현미 제조방법
JP2005168444A (ja) 発芽玄米の製造方法
CN1653959A (zh) 鲨鱼鳍肉的加工方法
JP4177267B2 (ja) 剥皮されたシコクビエ(eleusinecoracana)およびその調製方法
CN108783315A (zh) 一种木薯干片的制作方法
CN102334660A (zh) 一种原味薯丁的加工方法
JP2004248608A (ja) 分搗玄米
CN1456104A (zh) 一种糯玉米羮及其制造方法
JPH0567262B2 (ko)
KR20030066982A (ko) 현미의 제조방법
JP4560696B2 (ja) 味噌の製造方法
HU198377B (en) Method for utilizing soyabean for alimentary or feeding purpose
KR20230130912A (ko) 동부앙금을 포함하는 인절미떡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