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606B1 -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42606B1 KR100342606B1 KR1020000044138A KR20000044138A KR100342606B1 KR 100342606 B1 KR100342606 B1 KR 100342606B1 KR 1020000044138 A KR1020000044138 A KR 1020000044138A KR 20000044138 A KR20000044138 A KR 20000044138A KR 100342606 B1 KR100342606 B1 KR 1003426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imchi
- radish
- weight
- parts
- cabbag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4000303040 Glycyrrhiza glabr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0000002045 Guettarda specios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1287 Guettarda specios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6533 astragal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4000241838 Lycium barbar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5459 Lycium barbar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21574 pickled cabbag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7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5733 Raphanus sativus var nig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5468 Lycium chinen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83074 Equus asin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4670 Glycyrrhiza echin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1001061264 Astragal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4233 talus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220259 Rapha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56 t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897 Sed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280 se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08909 Chronic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930 Fatty Li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663 Hepatic fail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708 Hepatic stea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906 Mening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892 Paraple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880 Poly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714 Quadriple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458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52 decreased vi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49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19 diur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706 fatty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600 folk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454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35 liver failur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903 liver fail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1090 pals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675 pannicu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016 psychiatr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85 pulmo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128 pulmonary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38 sa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765 speech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40 steatosis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04 subcutaneous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4 tradi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추, 무우 등 김치 원료를 황토로 정제시킨 해수로 절인 후 한방 생약을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연 해수(海水)에 구운 소금을 넣어 염도를 8∼10 %(w/v)로 조절하고, 상기 해수에 황토(黃土)를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상등액을 취하고, 상기와 같이 정제된 해수에 배추 또는 무우를 침지시켜 절이고, 황기, 백복령, 당귀, 감초, 천마, 백하수오, 맥문동 및 구기자 분말을 통상의 양념에 첨가하여 김치 양념을 제조하고, 상기 절여진 배추 또는 무우에 상기 김치 양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배추나 무우가 골고루 절여져서 김치 맛이 좋고 생약 특유의 풍미를 갖고 있을 뿐 아니라, 저장 기간도 일반 김치에 비해 약 1.5 배 이상 연장되었으며, 최적의 김치맛이 오래 지속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추, 무우 등 김치 원료를 황토로 정제시킨 해수로 절인 후 한방 생약을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맛이 좋을 뿐 아니라 저장 기간을 연장시켜 최적의 김치 맛을 오래 동안 유지시킬 수 있게 한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 고유의 전통 식품인 김치는 배추, 무우 등 야채를 유산균 발효시켜 제조되는 저장 식품으로, 각종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분과 섬유소가 풍부하여 성인병 예방 및 항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그 독특한 풍미와 함께 점차 세계 시장에서도 우수한 건강 식품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김치는 주재료가 되는 채소의 종류에 따라 배추 김치, 열무 김치, 무우 김치, 갓 김치 등 여러 가지가 있고, 양념의 농도에 따라서도 물 김치, 동치미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제조 방법도 여러 가지로 알려져 있다. 대체로, 김치는 그 주재료가 되는 배추 또는 무우를 일정 시간 동안 소금에 절이고 씻어낸 후 고춧가루, 생강, 마늘, 젓갈 등의 각종 양념을 적절한 비율로 첨가하여 적정 온도에서 일정 기간 동안 발효시켜 제조되고 있다. 이 때, 발효시키는 온도 및 시간에 따라 김치 맛이 달라지게 되는데, 실온에서 지나치게 오래 저장하게 되면 김치의 신맛이 강해지고 삭아서 불쾌한 냄새가 나 먹을 수 없게 되는 일도 있다.
최근에는 핵가족화, 주부의 사회 활동 증가와 더불어 식생활 변화로 인해 김치를 가정에서 담그기 보다는 소량씩 구입하는 경우가 늘고 있고, 이에 따라 김치를 대량 생산하여 판매하는 업체도 속속 생겨나고 있다. 이와 같이, 김치를 대량 생산하여 유통시킬 때 가장 큰 문제점은 적절히 발효 숙성되어 가장 맛이 좋은 상태를 장기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이다. 김치의 발효를 억제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김치를 저온에서 보존하거나, 방부제를 첨가하거나, 가열 살균시켜 통조림 보존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저온 보존법은 시설 비용이 많이 들면서도 온도가 올라가면 발효가 진행되어 맛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고, 방부제는 인체에 유해하여 소비자들이 꺼리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김치를 가열 살균시키게 되면 제맛이 나오지 않는다는 단점들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대량 생산 유통되는 김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한방 생약이 첨가되어 건강에도 좋을 뿐 아니라, 배추, 무우 등이 고르게 절여져 맛이 좋으며 저장 기간이 연장되어 장기간 동안 최적의 풍미를 유지할 수 있게 한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은,
천연 해수(海水)에 구운 소금을 넣어 염도를 8∼10 %(w/v)로 조절하고,
상기 해수에 황토(黃土)를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상등액을 취하고,
상기와 같이 정제된 해수에 배추 또는 무우를 침지시켜 절이고,
황기, 백복령, 당귀, 감초, 천마, 백하수오, 맥문동 및 구기자 분말을 통상의 양념에 첨가하여 김치 양념을 제조하고,
상기 절여진 배추 또는 무우에 상기 김치 양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황토는 해수에 0.2∼0.8 %(w/v) 비율로 첨가하여 정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생약 분말은 배추 또는 무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기 0.005∼0.01 중량부, 백복령 0.005∼0.01 중량부, 당귀 0.002∼0.008 중량부, 감초 0.002∼0.008 중량부, 천마 0.001∼0.005 중량부, 백하수오 0.001∼0.005 중량부, 맥문동 0.001∼0.004 중량부 및 구기자 0.001∼0.004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배추나 무우를 황토로 정제시킨 해수에 침지시킴으로써 배추의 잎 부분과 굵은 줄기 부분이 모두 고르게 절여지도록 하여 김치 맛을 좋게 할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잡균을 제거하여 저장 기간이 연장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종래 배추나 무우를 일반 소금으로 절이는 경우 골고루 절여지지 않을 뿐 아니라 불순물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조리되어 위생상 문제와 함께 쉽게 산패되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옛부터 의료용 및 민간요법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그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보된 한방 생약을 양념과 함께 김치에 첨가함으로써, 김치에 생약 특유의 풍미를 주는 동시에 최적의 김치맛이 오래 지속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김치에 첨가되는 생약으로, 황기(Astragali Radix)는 강장(强壯), 지한(止汗) 작용 등이 있어 신체 허약, 피부 영양 불량 등으로 피하조직 내에 수독 (水毒)이 정체한 것, 수종(水腫), 마비 등에 이용되고, 백복령(白茯笭; Pachymae Fungus)은 소화기관, 폐, 신장 등에 작용하여 진정, 이뇨, 건위의 효과가 있다. 당귀(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는 한방에서 진정, 온성(溫性) 강장약으로 사용되는데 주로 피를 생산하고 심장을 보하며, 감초(甘草; Glycyrrhizae Radix)는 한방에서 완화(緩和), 진통약(鎭痛藥)으로 각종 동통 및 급박증상을 완해하고 많은 약에 가미하여 사용되는 교미약(矯味藥), 완화약(緩和藥), 진해거담약(鎭咳祛痰藥)이다. 천마(天麻: Gastrodiae Rhizoma)는 진정, 진경, 통락(通絡)의 효과가 있어 두통, 어지러움, 사지마비, 반신불수, 언어장애, 고혈압, 소아경간, 유행성뇌척수막염 등에 사용하며, 백하수오(白何首烏; Cynanchi Radis)는 자양, 강장(强壯), 보혈, 익정(益精), 소종(消腫) 등의 효과가 있어, 빈혈, 병후 허약, 양기 부족, 신경 쇠약 등에 사용되어 정기를 더하고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안색을 좋게 한다. 맥문동(麥門冬; Ophiopogonis(Liriopis) Tuber)은 자양, 윤폐(潤肺), 진해 등의 효과가 있어, 신체 허약, 폐결핵, 당뇨병, 소갈, 인후 건조, 만성 기관지염 등에 사용되어 폐의 기를 맑게 해주고 심장을 보하며 갈증을 해소시킨다. 또한 구기자(枸杞子: Lycii Fructus)는 강장, 보양, 윤폐(潤肺), 보간(補肝) 등의 효과가 있어, 신체허약, 양기부족, 신경쇠약, 간허증, 지방간, 만성간염, 어지러움, 폐결핵, 해소, 당뇨병, 시력감퇴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들 생약을 분말로 하여 고추, 마늘, 생강, 파, 젓갈류 등 다른 김치 양념에 혼합한 후 배추 또는 무우와 혼합하여 김치를 제조함으로써, 김치에 생약 특유의 풍미를 주고 저장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 김치는 다음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1) 천연 해수(海水)의 정제
천연 해수의 염도는 약 4 %(w/v) 정도가 되는데, 여기에 구워서 불순물을 제거한 천연 소금을 첨가하여 염도를 약 8∼10 %(w/v)로 조절한다.
이와 같이 염도를 조절한 해수에 황토 분말을 0.2∼0.8 %(w/v) 비율로 첨가한 후 3∼4 일 정도 방치하여 황토를 침전시키고 맑은 상등액을 취한다.
(2) 배추 또는 무우의 절단 및 절임
배추 또는 무우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위와 같이 정제시킨 해수에 15∼25 시간 동안 침지시켜 절인 후 꺼내서 물로 세척한다.
(3) 생약이 첨가된 김치 양념 제조
황기, 백복령, 당귀, 감초, 천마, 백하수오, 맥문동 및 구기자 분말을 다음 비율로 혼합한 후, 고추가루, 마늘, 생강, 파, 젓갈류, 설탕, 소금 등 통상의 김치 양념에 첨가한다:
배추 또는 무우 100 중량부 당
황기 분말 0.005∼0.01 중량부
백복령 분말 0.005∼0.01 중량부
당귀 분말 0.002∼0.008 중량부
감초 분말 0.002∼0.008 중량부
천마 분말 0.001∼0.005 중량부
백하수오 분말 0.001∼0.005 중량부
맥문동 분말 0.001∼0.004 중량부
구기자 분말 0.001∼0.004 중량부
(4) 배추 또는 무우와 양념의 혼합
상기 정제된 해수에 절여진 배추 또는 무우에 상기 김치 양념을 혼합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25℃ 정도에서 2∼3 일 정도 보존하여 숙성시킨다.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천연 해수(海水)의 정제
천연 해수 1 ℓ당 구운 소금 약 50 g을 녹여 염도를 8∼10 %(w/v) 범위로 조절하였다. 이와 같이 염도를 조절한 해수 40 ℓ에 황토 분말 약 200 g을 넣고 황토가 침전될 때까지 3∼4 일 정도 방치한 후 맑은 상등액을 취하였다.
(2) 배추의 절단 및 절임
배추를 2등분 정도 크기로 절단하여 위와 같이 정제시킨 해수에 약 20 시간 동안 침지시켜 절인 후 꺼내서 물로 세척하였다.
(3) 생약이 첨가된 김치 양념 제조
배추 또는 무우 10 kg 기준
황기 분말 0.8 g
백복령 분말 0.8 g
당귀 분말 0.5 g
감초 분말 0.5 g
천마 분말 0.3 g
백하수오 분말 0.3 g
맥문동 분말 0.2 g
구기자 분말 0.2 g
고추가루 20 g
마늘 10 g
생강 8 g
파 10 g
젓갈 20 g
설탕 넣지않음.
소금 1 g
그밖에 첨가되는 양념 15 g
생약 분말을 위와 같은 비율로 혼합한 후 고추가루 등의 다른 양념에 섞어 김치 양념을 제조하였다.
(4) 배추 또는 무우와 양념의 혼합
상기 정제된 해수에 절여진 배추에 상기 김치 양념을 혼합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25℃에서 23일 동안 보존하여 숙성시켰다.
위와 같이 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김치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김치를 4℃에서 30일 동안 보존하면서 맛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한방 김치는 배추가 부위 별로 골고루 절여져서 김치 맛이 좋고 생약 특유의 풍미를 갖고 있으며, 통상의 김치에 비해 저장 기간이 약 1.5 배 이상 연장되어 이 기간 동안 최적의 김치맛이 지속되었으며, 나쁜 냄새가 나지 않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염도를 조절한 후 황토 분말을 첨가하여 정제시킨 해수로 배추를 절인 후, 황기, 백복령, 당귀, 감초, 천마, 백하수오, 맥문동 및 구기자 분말을 양념에 첨가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한방 김치는, 배추나 무우가 골고루 절여져서 김치 맛이 좋고 생약 특유의 풍미를 갖고 있을 뿐 아니라, 저장 기간도 일반 김치에 비해 약 1.5 배 이상 연장되고, 최적의 김치맛이 오래 지속된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김치를 대량 생산 및 유통에 적합하여 산업적으로 이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Claims (3)
- 천연 해수(海水)에 구운 소금을 넣어 염도를 8∼10 %(w/v)로 조절하고,상기 해수에 황토(黃土)를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상등액을 취하고,상기와 같이 정제된 해수에 배추 또는 무우를 침지시켜 절이고,황기, 백복령, 당귀, 감초, 천마, 백하수오, 맥문동 및 구기자 분말을 통상의 양념에 첨가하여 김치 양념을 제조하고,상기 절여진 배추 또는 무우에 상기 김치 양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해수에 황토를 0.2∼0.8 %(w/v) 비율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추 또는 무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기 0.005∼0.01 중량부, 백복령 0.005∼0.01 중량부, 당귀 0.002∼0.008 중량부, 감초 0.002∼0.008 중량부, 천마 0.001∼0.005 중량부, 백하수오 0.001∼0.005 중량부, 맥문동 0.001∼0.004 중량부 및 구기자 0.001∼0.004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44138A KR100342606B1 (ko) | 2000-07-31 | 2000-07-31 |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44138A KR100342606B1 (ko) | 2000-07-31 | 2000-07-31 |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10740A KR20020010740A (ko) | 2002-02-06 |
KR100342606B1 true KR100342606B1 (ko) | 2002-07-02 |
Family
ID=1968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4138A KR100342606B1 (ko) | 2000-07-31 | 2000-07-31 |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4260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8099A (ko) * | 2001-07-16 | 2003-01-24 | 김성호 | 항암성분을 지닌 약초김치 제조방법 |
KR20030009973A (ko) * | 2001-07-24 | 2003-02-05 | 최명희 | 당귀 장아찌 제조 방법 |
KR100814736B1 (ko) | 2006-10-19 | 2008-03-19 | 이춘기 | 한방 조미료 |
KR100830004B1 (ko) | 2007-02-14 | 2008-05-15 | 봉화군농업기술센터 | 당귀를 이용한 당귀김치의 제조방법 |
KR101369229B1 (ko) | 2014-01-23 | 2014-03-04 | 이규명 | 백하수오 김치양념 및 그 제조방법과 그 백하수오 김치양념이 배합된 김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0429B1 (ko) * | 2001-12-22 | 2004-05-04 | 박홍우 | 사물탕 재료를 첨가한 한방 김치의 제조방법 |
KR20030082349A (ko) * | 2002-04-15 | 2003-10-22 | 백은기 | 양념류 |
KR20050092813A (ko) * | 2004-03-17 | 2005-09-23 | 주식회사 제이피인터네셔날 | 두뇌발달에 도움이 되는 한방김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1522960B1 (ko) * | 2014-06-26 | 2015-05-27 | 농업회사법인(주)미녀와김치 | 맥문동을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맥문동을 포함하는 김치 |
KR20170019853A (ko) | 2015-08-13 | 2017-02-22 | 최용선 | 말이 형태의 식품 제형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1896105B1 (ko) | 2017-08-28 | 2018-09-07 | 최용선 | 말이 형태의 식품 제형의 제조 방법 |
-
2000
- 2000-07-31 KR KR1020000044138A patent/KR1003426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8099A (ko) * | 2001-07-16 | 2003-01-24 | 김성호 | 항암성분을 지닌 약초김치 제조방법 |
KR20030009973A (ko) * | 2001-07-24 | 2003-02-05 | 최명희 | 당귀 장아찌 제조 방법 |
KR100814736B1 (ko) | 2006-10-19 | 2008-03-19 | 이춘기 | 한방 조미료 |
KR100830004B1 (ko) | 2007-02-14 | 2008-05-15 | 봉화군농업기술센터 | 당귀를 이용한 당귀김치의 제조방법 |
KR101369229B1 (ko) | 2014-01-23 | 2014-03-04 | 이규명 | 백하수오 김치양념 및 그 제조방법과 그 백하수오 김치양념이 배합된 김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10740A (ko) | 2002-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583757B (zh) | 清凉消暑保健茶的制备方法 | |
CN107692172A (zh) | 一种肉酱及制备方法和用途 | |
KR20100121035A (ko) | 약선(藥膳)음식의 제조방법 | |
KR100342606B1 (ko) |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 | |
KR102206681B1 (ko) | 돼지국밥 제조방법 | |
CN106901230A (zh) | 一种飘香酱羊肉的制备方法 | |
KR20110029635A (ko) | 김치의 제조 방법 | |
CN106173695A (zh) | 一种人心果西番莲蜂蜜饮料及其制作方法 | |
KR101978653B1 (ko) | 황기 및 구기자 육수를 포함하는 오리수육 숙성용 한방 조성물 | |
CN104106776A (zh) | 一种百合茶香保健锅巴及其加工方法 | |
KR100994250B1 (ko) | 양파 음료 조성물 | |
KR101518412B1 (ko) | 명태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찜 | |
KR100701859B1 (ko) | 삶은 돼지고기의 조리방법 | |
KR20210022867A (ko) | 한방 약선 김치 | |
KR20120008263A (ko) | 천년초 선인장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 |
CN111109503A (zh) | 一种保健陈皮干及其制备方法 | |
CN105166262A (zh) | 一种滋补安神山药南瓜脯的加工方法 | |
CN104286984A (zh) | 一种板栗酱料 | |
KR102273012B1 (ko) | 다이어트 물김치의 제조방법 | |
KR19980084446A (ko) | 한약제를 함유한 건강 간장의 제조방법 | |
KR20050029026A (ko) | 한방김치의 제조방법 | |
KR20040060880A (ko) | 구이용양념소스 및 삼겹살조리방법 | |
KR100875081B1 (ko) | 심층수를 이용한 멍게 젓갈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의해 제조된 멍게 젓갈 | |
CN106307113A (zh) | 一种全营养羊肉捞饭肉汁及其制成的羊肉捞饭 | |
CN106307419A (zh) | 一种牛肉调味卤汁及其制作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