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125B1 -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108을 사용하여 식물병원체를 억제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108을 사용하여 식물병원체를 억제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125B1
KR100331125B1 KR1019950706063A KR19950706063A KR100331125B1 KR 100331125 B1 KR100331125 B1 KR 100331125B1 KR 1019950706063 A KR1019950706063 A KR 1019950706063A KR 19950706063 A KR19950706063 A KR 19950706063A KR 100331125 B1 KR100331125 B1 KR 100331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yec
streptomyces
streptomyces wyec
composition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6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3318A (ko
Inventor
도널드 엘. 크로포드
형 원 서
Original Assignee
아이다호 리서치 파운데이션,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다호 리서치 파운데이션,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아이다호 리서치 파운데이션,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96070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3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8Streptomy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5Streptomy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균성 식물병원체에 감염되기 쉬운 식물의 감수성을 감소시키기에 적당한 셍물조절 제제에 관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서, 스트렙토마이세스의 새로 분리해낸 균주인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적당한 방출배지에 첨합시켜 식물종자 또는 식물 뿌리에 살포한다.

Description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사용하여 식물병원체를 억제시키는 방법
진균성 식물 병원체는 농업 및 원예산업에서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여러 다양한 형태의 진균성 식물 병원체는 가지마름병, 과수균핵병, 흰썩음 및 뿌리썩음병과 같은 식물질병을 야기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왔다. 이러한 질병들은 발아하는 묘종을 죽이고, 식물의 생장력을 감소시키며 작물 산출에 역효과를 미칠 수 있다.
진균성 전염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화단용 식물 온상의 경우 살균시킨 스팀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한 토양내에서 묘종을 재배할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처리함으로써 통상 토양 진균들과 경합하는 미생물들을 포함한 토양의 유익한 미생물들 또한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진균 병원체가 우연히 도입된다면 신속하게 확산되어 병해는 광범위하게 전파되게 될 것이다.
농업이라 가정할때, 식물 병원체 진균에 감염된 토양은 흑종의 작물 재배에 부적당할 것이다. 예를들어 미시간 및 다른 대두 재배 주에서의 대두 생산은 때때로 진균성 피토페라 메가스퍼마(Phytophera megasperma) (Filinow and Lockwood,1985)가 발생시킨 피토프토라(Phytophthora) 뿌리썩음병에 의해 심각하게 제한되게 된다. 피티움(Pythium) 진균종은 캘리포니아, 워싱턴주 및 아이다호의 일부 토양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은 당연하게 되는 가장 일반적인 병원체종이며 묘종의 발아전 및 발아후 가지마름병과 관련있다.
이 종은 밀, 완두콩 및 이집트콩 (chickpea) 및 상기 주들의 토양 및 다른 주와 다른 나라의 토양에서 재배되는 다른 곡물들에 심각한 병원체이다 (Trapero - Casas 외, 1990 : Stanghellini 및 Hancock, 1970 : Kraft 및 Burke, 1971 : Westerlund 외, 1988). 진균성 식물 병원체를 억제하기 위한 화학적 제제의 사용은 때때로 높은 경비, 효능 부족 및 진균의 저항균주 발아에 기인하여 실용적이지 못하게 된다. 이외에도 화학적 살균제의 사용은 환경적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의 진균성 병원체 감염을 감소시킬 생물학적 억제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진균성 식물 병원체 성장을 억제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방사선균 박테리아를 다량 분리시킴으로써 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본원에서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또한 간단히 WYEC 108 이라고도 함)로 명명된, 분리시킨 방사선균 박테리아 중 하나는 가지마름병, 뿌리썩음병, 흰썩음 및 과수균핵병으로 통상 공지된 식물 질병들을 야기시키는 병원체들을 포함한 광범위한 진균성 식물 병원체에 대하여 강한 길항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의 양상은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생물학적으로 순수한 배양균을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로 식물 종자 또는 식물 뿌리를 처리하는데 적당한 여러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진균 감염에 대한 식물의 감수성을 저하시키고 처리된 식물의 생장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들은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생물학적으로 순수한 배양균과 방출배지로 구성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방출배지는 알기네이트 겔, 초탄, 모래 또는 콘밀로 구성될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과 함께 초탄, 모래 및 콘밀로 구성되는 방출배지로 구성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방출 배지는 방출 배지 g 당 105 이상의 콜로니형성 단위로 구성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함유하는 알기네이트 겔 팰릿을 포함한다. 이러한 펠릿은 생장하는 식물의 뿌리에 또는 원예 또는 경작 토양에 바로 가하여 식물 병원체 진균에 의해 발생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진균 감염에 대한 식물의 감수성을 감소시킬 방법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이러한 방법은 식물의 뿌리에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방출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원 방법은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함유하는 조성물내에 종자를 함침시킨 다음 적당한 생장 배지내에 상기 피복된 종자를 심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방법에서, 적당한 조성물은 스트렙토마이에스 WYEC 108을 함유하는 알기네이트 겔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토양전파성 식물 병원체의 증식을 막고 식물생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트렙토마이세스 (streptomyces) 박테리아의 새로운 균주에 관한다.
제 1 도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사슬나선 (상부) 및 포자 표면 (하부)을 나타내는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들로 구성된다.
제 2 도는 피티움(Pythium) 종으로 감염된 토양내에서 재배한 이집트콩을 나타낸다. 오른쪽에 나타난 식물은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로 처리한 씨앗으로부터 발아한 것이다. 왼쪽에 나타낸 식물은 처리하지않은 종자에서 발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토양에서 다수의 방사선균 균주들을 분리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균주들 다수는 양상추, 이집트콩 및 후추를 포함한 식물에 미치는 진균 병원체의 영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본원 발명은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로 명명한 균주의 분리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균주 WYEC 108은 발아전 및 발아후 묘종의 가지마름병, 뿌리썩음병, 과수균핵병 및 횐썩음을 야기시키는 병원체를 포함한 광범위한 진균성 식물병원체에 대하여 강한 길항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자체로서 균주 WYEC 108은 상기 식물병원체들에 의한 감염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생물억제제로 특히 적당한다. 따라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은 진균 감염에 대한 식물의 감수성을 저하시키는 방법에 유용하다. 이와 같이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로 처리한 식물은 진균성 감염의 영향을 감소시킨 것이다. 감염되기 쉬운 처리하지않은 식물의 진균 감염은 이러한 식물의 흑종의 생장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들어, 진균 병원체에 노출된 처리하지 않은 식물은 진균성 병원체에 노출되지 않은 식물과 비교할때 식물의 높이, 식물의 생물량 및 작물 산출량면에서 상당한 감소를 나타낼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로 식물을 처리한 다음 진균성 병원체에 노출시키면 진균성 병원체에 노출된 처리하지 않은 식물과 비교할때 식물의 높이, 식물의 생물량 및 작물 산출량 면에서의 감소가 훨씬 줄어있음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더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로 처리한 다음 진균성 병원체에 노출시킨 식물은 처리하지도 않고 노출시키지도 않은 식물과 유사한 생장 특성을 나타낼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로 처리한 다음 진균성 병원체에 노출시킨 식물은 처리하지도 않고 노출시키지도 않은 식물보다 우수한 생장특성을 나타낼 것이다.
근계 미생물상 (rhizosphere microflora) 과 경합하면서 균주 WYEC 108은 식물뿌리에 콜로니를 생성한다. 균주 WYEC 108은 스팀살균시킨 토양내에서 재배되는 양상추와 경작지에서 재배되는 후추의 생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발명의 양상은 또한 방출 배지에의 첨합용으로 적당한 균주 WYEC 108의 생장 세포 또는 포자를 생성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WYEC 108의 생장세포 및 포자로 구성되는 조성물 및 방출 배지는 저장수명이 길고 WYEC 108을 식물에 방출시키는데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 및 방법
박테리아 생장배지
모든 박테리아 생장배지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제조하고 사용하기전에 오토클레이브시켜 살균하였다. 모든 박테리아 샘플은 순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표준 무균실험기술을 이용하여 취급하였다.
YGM (이스트 추출물/글루코스/무기염들) 배지는 0.6 % (중량/부피) 의 이스트 추출물 (미합중국, 미시간, 디트로이트 소재, Difo Laboratories사 제품), 1.0 % (중량/부피) 의 글루코스, 및 포스페이트 무기염 용액 (5.3 g의 Na2HPO4, 1.98 g의 KH2PO4, 0.2 g의 MgSO4·7H2O, 0.2 g의 NaCl, 0.05 g의 CaCl2·2H2O, 및 탈염 H2O 1 당 1.0 ml 의 미량 원소 (Phidham 및 Gottlieb, 1948), pH는 7.1 - 7.2임) 로 구성하였다. 미량원소들의 용액은 100 ml 의 탈염수내 0.64 g의 CuSO45H2O, 0.11 g의 FeSO4·7H2O, 0.79 g의 MnCl2·4H2O, 0.15 g의 ZnSO4·7H2O로 이루어졌다.
Reddi 및 Rao (1971) 로부터 개질시킨 WYE (물/이스트 추출물/한천) 배지는 단독의 탄소 및 질소 공급원인 이스트 추출물 (Oxoid 사 제품, 0.25 g/l), 및 한천 (Oxoid, 18.0 g/l) 을 함유하였다. 이 배지는 K2HPO4(0.5 g/l) 로 pH 7.2 - 7.4까지 완충제로 처리하였다.
WYEC (물/이스트 추출물/셀룰로즈/한천) 는 박피 한천이 가해진 WYE 한천이다. 피복 한천은 증류수내 0.25 g/l 의 셀룰로즈 (Solka Floc, Sigma Chemical Co. 제품) 및 18.0 g/l 의 한천을 함유하였다.
CYD (카스아미노산/이스트 추출물/덱스트로스 한천) 배지는 증류수내 카스아미노산 (Difco 제품 : 0.5 g/l), 이스트 추출물 (Oxoid 또는 Difco재품 : 0.8 g/l), D -글루코스 (0.4 g/l), K2HPO4(2.0 g/l : pH 7.2 - 7.4) 및 18.0 g/l 의 한천을 함유하였다.
YCED (카스아미노산/이스트 추출물/덱스트로스/한천 : Reddi 및 Rao (1971)로 부터 개질시킨) 는 이스트 추출물 (Oxoid 사 제품, 0.3 g/l), 카스아미노산 (Difco 제품, 0.3 g/l), D - 글루코스(0.3 g/l), 및 한천 (Oxoid, 18. 0 g/l)을 함유하였다. 이 배지는 K2HPO4(2.0 g/l) 로 완충처리 하였다.
CYPC (셀룰로즈/이스트 추출물/펩톤/퇴비 추출물/한천) 는 셀룰로즈 (Solka Flock, Sigma Chemical Co. 제품 : 5.0 g/l), 이스트 추출물 (1.0 g/l), 펩톤 (Oxoid사 제품, 1.0 g/l), 포스페이트 완충액 (K2HPO4, 0.75 g/l), 한천 (18.0 g/l) 및 배지내 100 ml 의 증류수를 대신하여 퇴비 추출물 (100 ml/l) 을 함유하였다. 이를 바로 혼석 (pour) 시키고 피복 한천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MSSC (기염/전분/카제인/한천 : Turhan, 1981)는 NaCl (2.0 g/l), MgSO417H2O (0.05 g/l), CaCO3(0.02 g/l), FeSO418H2O (0.01 g/l) 및 KNO3(2.0 g/l) 으로 이루어지는 무기염 용액, 가용성 전분 (10.0 g/l) 및 카제인 (0.3 g/l)을 포함하는 유기 성분과 한천 (18.0 g/l) 을 함유하였다. 이 배지는 K2HPO4(2.0 g/l)로 완충처리하였다.
포자형성배지 (ATCC Medium # 5) 는 이스트 추출물 (1.0 g/l), 비프 추출물(1.0 g/l), 트립토스(tryptose)(2.0g/l), FeSO4(0.01g/l), 글루코스 (10.0 g/l) 및 한천(15.0 g/l)을 함유하였다. 이 배지는 오토클레이브 시키기 전에 pH7.2로 조정하였다 (박테리아 및 박테리오파아지의 17판 ATCC 카탈로그).
CYG 배지는 증류수내 카스아미노산 (산 가수분해물) (5.0 g/l), 이스트 추출물 (5.0 g/l) 및 글루코스 (10.0 g/l)를 함유하였고 pH 7.1 - 7.2로 조절하였다.
방출배지 (하기에서 기술한 비율의 모래/콘밀/물, 또는 초탄/모래/콘밀로 구성되는)는 사용전에 스팀살균시켜 살균하였다. 살균은 일반적으로 각각 90 분씩 3회 오토클레이브시켜 수행하였다.
박테리아 중식물의 수확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균사체 증식에 있어서, 500 ml의 YGM 배지 (pH 7.1 - 7.2) 를 함유한 1 l 의 엘렌마이어플라스크를 20 ml 의 보존배양균 (실시예 II 에서 기술된바와같이 제조한) 으로 접종시키고 250 rpm으로 진탕시키면서 30℃ 에서 3일동안 배양시켰다. 5000 rpm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시켜 균사체를 수확하였다. 이와는 다르게 균사체는, 균사체 및 포자가 엘렌마이어 플라스크 바닥에 침전될 때까지 배양균을 정치시킴으로써 수확하였다. 상청액 배지를 따라내고 균사체 및 포자의 농축 현탁액을 바로 사용하여 방출 배지를 접종시켰다.
세포 및 포자는 또한 고체 배지 (예를들어 포자 형성 한천 ) 상에서 증식시킴으로써 얻었다. 균사체 및 포자는 증류수 안에 한천의 표면을 긁어넣음으로써 포자형성 한천으로부터 수확하였다. 이러한 포자 및 균사체의 현탁액을 방출 배지로 바로 혼합시켰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포자를 얻기 위하여 1200 ml 의 YGM 배지를 함유하는 2 l 의 엘렌마이어 플라스크를 50 ml 의 보존배양균으로 접종시킨 다음 250rpm으로 진탕시키면서 30℃에서 12 - 18일동안 배양시켰다. 9000 rpm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시켜 포자를 수확하였다.
진균성 병원체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 PuMXL은 영국, 웨스트 서섹스 비엔 17 6엘피, 리틀햄프턴, 워딩 로드 소재 호티컬춰 리서치 인터내셔날의 미생물 및 작물보호 디파트먼트의 배양 수집물에서 얻었다. 횐썩음 진균인 파네로쉐트 크리소스포리움(Phanerochaete chrysosporium) 및 코리오루스 베르시컬러(Coriolus versicoler), 과수균핵병 진균인 포스치아 플란센타(Postia placenta, 칼다리오마이세스푸마고 (Caldariomyces fumago) 및 글로이필럼 트라비움 (Gloeophyllum trabeum/ : 토양 전파성 진균 병원체 피조크토니아 솔라니(Phizoctonia solani, 푸사리움 삼부신텀(Fusarium sambucinctum, 지오트리쿰 캔디덤(Geotrichum candidum), 및 베르티실리룸 달리이(Verticillium dahliae) 는 아이다호, 모스코우소재 유니버시티 오브 아이다호, 박테리아 디파트먼트의 Don L. Crawford 교수의 배양 수집물에서 얻었다. 피티움 이레귤라(Phthium irregulare), 피토프토라 캡시시(Phytophthora capsici진, 피토프토라 신나모미(Phytophthors cinnamoni), 프토프토라 파라시티카(Phytophthora parasitica), 스클레오티니아 세피보럼(Sclerotinia cepivorum), 및 스클레오티니아 스클레오티오럼(Sclerotinia sclerotiorum) 은 아이다호, 모스코우 소재 유니버시티 오브 아이다호, 식물 토양 곤충학 디파트먼트의 닥터 Wesley chun의 배양수집물에서 얻었다. 푸사리옴 옥시스포림(Fusarium oxysporym)은 아이다호, 모스코우소재, 유니버시티 오브 아이다호,산립자원 디파트먼트의 닥터 Arthur D. Partridge의 배양수집물에서 얻었다. 이 모든 배양물들은 감자 덱스트로스 한천 또는 콘밀 한천상에 지지시키고 25℃ 에서 증식시켰다. 이러한 균주들은 얻어졌을때 "병원체"로 동정하였으나 이들의 병원성에 대하여 재시험하지는 않았다.
생물학적 약효시험 토양
생물학적 약효시험에 사용하기 위하여, 아이다호, 모스코우 근방의 팔로우스 지역의 몇몇 장소에서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으로 자연적으로 감염되어있는 토양을 수집하였다. 이 토양은 이전 2 경작기간동안 밀과 완두콩을 심었던 밭의 상부15 cm에서 얻었다. 피티움 종의 토양 개체수는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 50 ml 의 살균증류수내 1.0 g의 공기중 건조시킨 토양의 토양 희석물을 보르텍스 시험관 믹서로 격렬하게 혼합시켰다. 잘 혼합된 회석물의 0.1 ml 샘플을 3일된 2 %의 물한천 평판(Stanghellini 및 Hancock, 1970)상에 소적 (Small droplets) 으로 놓았다. 평판을 25℃ 에서 배양시키고, 존재하는 피티움 종의 확인과 그 갯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형광 조명으로 저동력 (x10) 의 해부용 현미경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판독하였다. 최종 개체수를 추정하기 전에 각 평판상의 콜로니는 배양후 12, 48및 72시간 후에 검사하였다. 균주동정은 피티움 종의 진균 균사체의 형태학적 특징 및 2%(중량/부피)의 물 한천상에서의 성장 패턴을 기초로 하였다. 2 % (중량/부피) 의 물 한천상에서 증식하는 순수 배양물의 진균 콜로니는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대조구로서 활용하였다(Stanghellini 및 Hancock, 1970 : Stasz 외, 1980).
상기 토양의 검사로 파종시(1992년 봄) 피티옴 울티멈(P. ultimum) 및 피티움 이레귤라 (P. irregulare) 가 각각 공기중 건조시킨 토양 g당 354 ±15 및 194 ±11 cfu임을 알 수 있었다. 다른 피티움 종의 개체도는 공기중 건조시킨 토양 g당 57 ±9 cfu였다. 토양에서 수집하여 분리시킨 가장 일반적인 종은 피티움 울티멈(P. ultimum) 및 피티움 이레귤라(P. irregulare) 였다.
실시예 1
진균성 병원체에 대하여 길항성을 나타내는 방사선균 균주의 분리
방사선균 균주는 4 개의 근계와 합체된 토양샘플 및 4 개의 근계와 합체되지않은 토양샘플로부터 분리시켰다. 이 균주들에 대하여 진균성 식물병원체의 억제물로서의 유용도를 시험하였다.
방사선균의 분리
일련의 희석/확장 배양 기술로 8개의 다른 토양으로부터 방사선균 분리물을 분리시켰다. 희석물 (10-5- 10-7) 을 여러 한천분리 배지상에서 배양시켰다, 이 배지의 조성물에 대하여는 전기한 "물질 및 방법" 에서 설명하고 있다. 방사선균 분리물은 자신들이 분리된 분리 배지에 따라 명명하였다. 예를들어, WYEC 108은 WYEC 배지상에서 분리시켰고 YCED 9는 YCED 배지상에서 분리시켰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배지는 유기탄소를 적게 함유하여, 효과적으로 유박테리아 및 균류의 성장을 조절하고 천천히 성장하는 방사선균의 분리를 돕는다. WYE 및 YCED 한천은 특히 효과적인 분리배지이기 때문에, 주로 이들을 사용하였다. 희석 평판을 25℃ 에서 4 - 10일동안 배양시켜 방사선균이 포자를 형성하도록 한 다음 콜로니를 선별하고 WYE 또는 YCED 한천 평판상에서 획선배양 (Streak) 시켜 정제시켰다. 이 평판에서 YCED 한천 사면 또는 CYD 한천 사면으로 상기의 순수한 콜로니를 이식시키고 포자가 형성될 때까지 25℃ 또는 37℃ 에서 배양시킨 후 사용하기 전까지 5℃ 에서 저장하였다. 저장 배양은 3 - 4 주마다 이식시켰다.
토 양
( i ) 근계 결합되지않은 토양
웨스트 서섹스, 러스팅턴 소재의 개간된 장미정원 (토양 S1) ; 웨스트 서섹스, 리틀햄프턴 내 호티컬처 리서치 인터내셔널 (H. R. I)의 밀밭 줄사이 (토양 S2) ; 사우쓰 웨일즈, 와인드 클리프 하드우드 포리스트 리저브에서 얻은 산림토양(토양 S6) ; 및 웨스트 서섹스, 사우쓰 다운즈, 해스팅즈 힐에서 가끔 양을 방목하는 목초지 (토양 S7) 를 포함한 영국내 4개 장소에서 토양 표면의 상부 7.5 - 10 cm를 토양 샘플 (100 - 200 g)으로 취하였다. 상기 토양들은 다양한 양의 식물 뿌리를 함유하고 있다할지라도 근계와 결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였다.
( ii ) 근계 결합된 토양
4 개 장소에서 얻은 근계 결합된 토양샘플은 본질적으로 Miller 등의 방법(1990) 에 따라 준비하였다. 토양 3 (S3) 은 영국, 웨스트 서섹스내 H. R. I 의 장미 정원내 민들레 뿌리와 결합하였다. 토양 5 (S6) 는 웨스트 서썩스, 리틀햄프턴내 H. R. I 농장의 밀밭인 S2와 동일한 밀밭에서 취하였고 밀 뿌리와 결합하였다.토양 4 (S4) 또한 밀 뿌리와 결합하였으나, 웨스트 서섹스, 사우쓰 다운즈 웨이를 따라 비그노 힐 위의 밭에서 얻었다. 토양 8 (S8)은 웨스트 서섹스, 사우쓰 다운즈, 해스팅즈 힐에서 때때로 양을 방목시키는 목초지인 S7을 채취한 장소 부근에서 취하였고, 아마인의 뿌리와 결합하였다.
토양에서 분리해낸 방사선균은 비근계 토양 (S1, S2, S6및 S7) 또는 근계 결합한 토양 (S3, S4, S5및 S8) 에서 분리해낸 방사선균으로 세분할 수 있다. 모든 토양은 3 g (습중량) 의 샘플 (3개의 복제물) 을 100℃ 에서 58시간동안 건조시켜 다시 중량을 재봄으로써 얻은 함수량으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토양 pH는 1 : 1 의 토양 : 물 슬러리를 격렬하게 혼합시킨 다음 2시간동안 고체가 침전되도록 하여 상청액 용액의 pH를 취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수집후, 토양은 사용하기 전까지 4℃ 에서 저장하였다 (24 - 48 시간). 분리물들은 육안 검사로 방사선균 균주임을 확인하였는데 육안 검사는 상기 균주에 의해 형성된 콜로니가 전형적인 방사선균 콜로니 (포자를 함유한 기생 균사체를 갖는 딱딱하고 가죽 비슷한) 임을 보여주었다. 현미경을 통하여 상기 균주의 실체가 방사선균임을 또한번 확인하였다.
증식을 위한 pH 범위 결정
각각의 방사선균 분리물의 pH 5.5 - 8.0에서의 증식 가능성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배양균을 CYD 한천 평판상에 점적 접종시키고, 100 mM 농도의 K2HPO4및 KH2PO4완충액 조합물로 pH 5.5, 6.0, 6.5, 7.0 및 8.0으로 완충처리하였다. 각 배지의 최종 pH는 오토클레이브시키기 바로전에 그의 최종값으로 조정하였다. 25℃ 또는 37℃ 에서 접종 5 - 7 일 후의 증식에 대하여 배양균을 검사하였다. 평판에서 육안으로 볼때 증식이 거의 되지않았거나 또는 관찰되지 않는 것은( ± ), 다소 증식된 것은 (+ 또는 ++), 우수하게 증식된 것은 (+++)으로 평가하였다.
하기 표 1 에서 보여지는 바와같이, 근계결합된 토양은 근계 결합되지 않은 토양보다 거의 2배를 만들어 냈다. 각각의 분리물의 pH 5.5 - 8.0 범위의 CYD 한천 배지상에서의 증식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모든 분리물은 pH 6.5 - 8.0에서 증식하였다. 57개 (21 %) 가 pH 5.5에서의 증식에 실패한 반면, pH 6.0에서는 단지 9 개만이 증식에 실패하였다. pH 5.5에서 증식한 군주들의 증식정도는 분리물에 따라서 열등하게 성장하는 것부터 우수하게 성장하는 것까지 다르다. 접종 5 - 10 일후 콜로니의 육안 및 현미경 관찰로 CYD 한천상에 강력하게 포자를 형성할 수 있는 분리물의 능력 또한 측정하였다.
표 I
체외(In vitro) 길항성 검사
CYD 한천상에서 양호하게 증식하고 강력하게 포자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기준하여 82 개의 분리물을 선별하였다. 피티움 울티멈(P. ultimum) 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상기 분리물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체외 평판 검사법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방사선균을 콘밀 한천 (CMA) 평판상에서 중심의 한쪽으로 획선접종시켰다. 배양균은 25℃에서 약 8 일동안 또는 배양균이 포자를 형성할 때까지 배양시켰다. 활발하게 증식하는 피티움 울티멈(P. ultimum) 균사체를 함유하는 CMA 한천덩이 (0.5 ㎠) 를 살균상태에서 상기 평판 중심에 놓았다. 96 시간동안 계속 접종시켰다. 48 시간 및 96 시간 후에 피티움 울티멈(P. ultimum)의 증식을 억제하는지에 대하여 평판을 검사하였다. 억제란 방사선균 콜로니의 방향으로 피티움 울티멈(P.ultimum) 균사체 증식이 지체되거나 저해될 경우를 가리킨다.
이 시험의 결과를 표 II에 나타내었다.
표 II
96 시간 후, 5개의 분리물 (WYEC 108, YCED 9, YWE 91, WYE 90 및 YCED 106)은 피티움 울티멈(P. ultimum)에 대하여 매우 강한 길항성을 나타내고, 4개(YCED 1, YCED 106, WYE 97, 및 WYE 98)는 강한 길항성을 나타내며, 다른 10개는 약한 길항성을 나타내었다. 나머지 분리물은 길항성을 나타내지 않거나 단지 아주 약하게 나타낼 뿐이다. 피티움 울티멈(P. ultimum)의 증식이 확실히 억제된 배양균은 근계결합된 토양에서 분리된 것과 근계결합되지 않은 토양에서 분리된 것사이에 거의 동일하게 분할되어 있다.
pH 5.5에서 증식되는 70개의 분리물을 또한 콘밀 한천 (CMA) 상에서 흰썩음 진균인 파네로쉐트 크리소스포리움(Phanerochaete chrysosporium)에 대한 체외 길항성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분리물 중 13개는 하기 표 III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횐썩음 진균에 대하여 다소의 길항성을 나타내었다. 길항성의 정도는 억제존의 크기로 정의한 바와같이 매우 강함 (+++) 에서 비교적 약함 (+) 으로 달라진다. 파네로쉐트 크리소스포리움(Phanerochaete chrysosporium) 에 대하여 길항성을 나타내는 배양균 중 5개 (WYEC 108, WYE 78, WYE 90, YCED 9, 및 MSSC 2) 는 또한 CMA 상에서 추가적인 횐썩음 진균 (코리오루스 베르시컬러(Coriolus versicolor))및 두가지 형태의 과수균핵병 진균(포스타 플라센타(Postia placenta) 및 글로이필럼 트라비움(Gloeophyllum trabeum)) 에 대한 길항성을 시험하였다. 4 개의 분리물 (MSSC 2, YCED 9, WYE 90, WYEC 108) 은 상기 언급한 횐썩음 및 과수균핵병 진균에 대하여 매우 강한 길항성을 나타내었고 하나의 분리물 (WYEC 78) 은 단지 두개의 흰썩음 진균에 대해서만 강한 길항성을 나타내었다.
표 III
양상추 묘종상의 방사선균 분리물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체내 생물학적 약효시험.
Lynch 등의 생물조절 분석방법 (1991, 1992)을 이용하여 양상추 (Latuca sativa) 종자의 발아 및 발아후 생육에 미치는 12개의 분리물의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조구 식물에 있어서는, 직경 9 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양상추를 재배할 혼합토를 채우고 페트리 접시로 편평하게 골랐다. 10개의 양상추 종자를 상부에 놓고 재배 혼합물 안으로 살짝 눌러놓고 부슬부슬한 혼합토로 살짝 덮는다. 이 포트를 수상 (bed of water) 내 트레이 위에 놓고 확실히 발아 할때까지 (대략 3일) 어둡게 하여 20 - 22℃ 로 보온시켰다. 이 트레이를 15 - 25℃ 로 유지되는 온실내 모세관 매트로 옮기고 필요할때마다 물을 뿌렸다. 18 일동안까지 주기적으로 각각의 포트내 발아된 묘종의 수를 세었다.
방사선균 분리물로 처리한 식물에 있어서는, 포트는 특정 방사선균의 포자로 접종시킬 재배 혼합토로 채웠다. 재배 혼합토는 CYD 보존 사면에서 얻은 포자로 재배혼합토의 평균 레벨 108- 109cfu/g (건중량) 까지 접종시켰다. 재배 혼합토의 cfu/g는 접종시간에 CYD 한천 평판상에서 생균수 산정하여 측정하였다. 양상추 종자를 상기와 같이 심고 소량의 접종된 재배 혼합토로 덮은 다음 대조구와 유사하게 처리하였다.
특정 방사선균 및 가지마름병 진균인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 (균주 PuMXL : Lynch 외, 1991) 으로 처리한 식물에 있어서는, 혼합토 g (건중량) 당 약 200 포자상의 진균 병원체로 혼합토를 또한 접종시켰다. Lynch 등의 절차 (1991, 1992)를 이용하여 병원체 포자낭을 생성시켜 재배 혼합토를 접종시켰다.
포자낭 수의 산정은 헤모사이토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균주의 병원성은 사용전에 양상추를 통과시켜 봄으로써 확인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포트를 다섯개로 복제하였다. 온실에서 포트는 "보호식물들"로 둘러싸인 랜덤 블럭 배열로 놓여 있는데 보호 식물들은 조건의 균일성을 제공하고 완충물로 작용하는 역할을 하였다. 파종 18일 후, 식물들을 거둬들여 최종 줄기의 발아를 측정하고 습중량 및 건중량(지상의 잎 및 줄기)을 측정하였다. 식물의 습중량 및 건중량은 포트당 총 생물량 (mg) 으로, 또 식물당 평균 생물량 (mg)으로 기록하였다. 수치들은 다섯개의 복제 포트의 평균에 표준 편차를 가감하여 기록 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수치들은 처리건당 50개의 파종된 종자에 기초하게 된다 (다섯개의 복제 포트는 각각 10개씩의 종자가 심겨져 있다). 종자의 발아율 (%) 및 최종 식물 스탠드 수치는 유사하게 계산되었다.
표 IV
병원체의 부재하에서는 (표 IV에서 "- P1"로 나타냄), 방사선균 - 접종시킨 포트와 대조구 포트 (방사선균으로 접종되지 않음) 간에는 종자가 발아하여 잘자란 식물을 얻을 수 있는 퍼센트면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모든 경우에서 종자 발아 및 발아후 생육율은 평균 98 % 이상이었다. 그러나 방사선균이 존재할 경우 때때로 종자 발아후 생육을 1 - 3일까지 지연되었다 (데이타는 나타나있지 않음). 유사하게, 병원균 부재시, 일반적으로 신선한 중량으로 또는 건중량으로 측정한 식물의 새싹 중량면에서 방사선균 - 접종된 포트 및 대조구 포트간에는 별차이가 없었다. WYEC 107로 접종시킨 포트에 대하여는 방사선균이 존재할 경우 식물 생물량 수율이 상당히 향상되는 예외가 있었다.
병원체가 없는 대조구 포트 10.0개당 9.8 개인것과 비교하여 병원체 (+P1)의 존재하에, 파종 20일 후 포트당 잘자란 식물의 수는 10.0개의 대조구 포트에서 평균 3.6개였다. 그러나, 특정 방사선균의 존재하에, 병원체 - 접종된 포트내에서 잘자란 식물의 개수는 다소 뚜렷한 향상을 나타냈다. 12 개의 방사선균 중 7 개 (YCED 85, YCED 64, WYEC 107, YCED 106, YCED 71, WYE 88 및 WYE 21) 는 잘자란 식물의 수율을 상당히 개선시켰다. 이중 YEED 85, YCED 64 및 WYE 21 은 또한 병원체 - 단독 대조구에 비하여 식물 건중량 수율을 상당히 개선시켰다. WYE 21 은 또한 병원체 - 단독 대조구에 비하여 신선한 중량 수율을 상당히 개선시켰다. 잘자란 식물의 수율을 상당히 개선시키지 않는 한 균주 (MSSC 1) 는 신선한 중량의 식물 새싹 수율 및 건조중량의 식물 새싹 수율 (표 IV, 5 및 7) 양자 모두 개선시켰다. 따라서, MSSC 1 은 본원에서 사용한 것보다 더 적은 양의 피티움 울티멈(Pythiumultimum)에 대하여 식물을 보호하는데 유용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실 시 예 II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분리
Bergey의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yg (1986)에 정의된 바와같이, 스트렙토마이세스속의 형태학적 특성에 기준하여 균주 WYEC 108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종으로 동정하였다. WYEC 108은 기생 균사체내 포자 사슬을 만들어내는 사상 박테리아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은 영국의 8개 다른지역에서 취한 토양에서 분리시킨 다수의 방사선균 균주들 중 하나로 분리시켰다. 다른 방사선균들과 함께,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은 영국, 웨스트 서섹스, 사우쓰 다운즈, 해스팅즈 힐 위 밭의 아마인 뿌리와 결합된 근계토양으로부터 일련의 희석/확산 배양 기술로 분리시켰다. 상기 토양의 희석물 (10-510-7) 을 분리한천 배지 WYE 상에 놓았다. 희석 평판을 25℃에서 4 - 10 일동안 배양시켜 방사선균 콜로니가 증식하여 포자형성하도록 하였다. 이 콜로니를 선별하여 WYEC 한천 평판상에 획선배양시켜 정제시켰다. WYEC 108의 순수한 콜로니를 상기 평판에서 CYD 한천 사면으로 이식시키고 포자를 형성할때까지 25℃ 에서 배양시키고 사용할때까지 4℃ 에서 저장하였다. 보존배양 균주는 3 - 4 주마다 이식시켰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동정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분리시킨 방사선균 균주가 CYD 한천상에서 잘 증식하고 강하게 포자를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사하였다. 순차적으로, 다수의분리물이 식물병원체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의 체내 증식을 저해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또한 과수균핵병 진균포스타 플라센타(Postia placenta) 및 글로이필럼 트라비움(Gloeophyllum trabeum)뿐 아니라 흰썩음 진균 파네로쉐트 크리소스포리움(Phanerochaete chrysosporium)및 코리오루스 베르시컬러(Coriolus versicolor)에 대한 분리물들의 체외 길항성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이러한 시험들의 결과 본원에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이라 명명된 상기 균주들중 하나를 이의 유리한 특성에 기준하여 선별하였다.
카스아미노산/이스트 추출물/덱스트로스 (CYD) 평판상에서 증식시킨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콜로니를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검사하였다. 샘플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
(1) CYD 평판상의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콜로니를 0.2 M 소듐 카코딜레이트 완충액내 글루타르알데하이드의 1.5 % 용액으로 피복시키고 2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
(2) 이전 액체를 피펫으로 흡기시키고 이를 완충용액으로 대체시킴으로써 상기 콜로니를 0.2 M 소듐 카코딜레이트 완충액으로 완전히 세척 (2회) 시켰다. 샘플이 말라버리지 않도록 상당한 주의를 기울였다 ;
(3) 콜로니를 함유하는 한천 "플러그" 를 취함으로써 상기 콜로니를 분리하였다 :
(4) 상기 "플러그" 를 개별적인 메쉬 용기에 넣고 100 % 에탄올 (뉴저지, 필리스버그 소재 J. T. Baker Inc.) 내에서 탈수시켰다 (2회) :
(5) 상기 샘플을 임계점 건조 "밤" 에서 건조시키고 콜로이드성 은 전도페인트를 사용하여 개별적인 샘플스텁상에 올려놓았다. 이들을 60/40 금 - 팔라듐으로 피복시키고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제 1 도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의 나선형 사슬 (상부) 및 포자 표면 (하부) 을 보여주는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포자의 표면은 비교적 평활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균주 WYEC 108의 다양한 생리학적 특성 또한 측정하였다. 균주 WYEC 108은 각각 펩톤 - 이스트 - 철 한천 및 펩톤 - 철 한천 (미시간, 디트로이트 소재 Difco Lab.) 상에서 멜라닌 또는 H2S를 생성시키지 않았다. CYD 평판상에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에 의해 생성된 포자 덩이의 색상은 회색이었다. 이 균주는 45℃에서 증식하지 않았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은 Bergey의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1986) 에 정의된 바와같이 스트렙토마이세스 리디쿠스(Streptomyces lydicus) 종에 속할 것이다. 따라서, 이 유기체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리디쿠스 WYEC 108로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요약하자면, 이 유기체를 본원에서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또는 간단히 WYEC 108 로 명명한다.
ATCC 기탁번호 (Accession number)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은 부다페스트 조약의 협정하에 메릴랜드, 로크빌, American Type Cultare Collection (ATCC) 에 1993 년 6월 29 일자로 기탁하였다. 이 균주는 ATCC 기탁번호 제 55445 호로 지정되었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보존배양균 제조
단기간 사용하기 위하여,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25℃, CYD 한천 또는 포자형성 한천 사면상에서 포자를 형성할때까지 배양시킨다음 사용할 때까지 4℃에서 저장하였다. 배양균의 장기간 보존을 위해서 10 ml 의 무균 YGM 배지내 단일 한천사면 또는 평판에서 얻은 포자를 현탁시켜 10 ml 의 포자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 포자 현탁액을 사용하여 100 ml 의 YGM (이스트 추출물/글루코스/무기염) 배지를 함유한 250 ml 의 엘렌마이어 플라스크를 접종시켰다. 이 플라스크를 250 rpm으로 진탕시키면서 30℃ 에서 32 - 36 시간동안 배양시켜 표준 접종물을 얻었다.
표준 접종물이 증식된 YGM 에서 얻은 샘플은 - 70℃에서의 장기간 저장용 및 냉동 건조 보존용으로 적당한 글리세롤 배양균 제조에 사용하였다.
실 시 예 III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진균성 식물 병원체에 대한 체외(in vitro) 길항성
다수의 선별된 진균성 식물 병원체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능력을 콜로니 증식 저해라는 관점에서 측정하였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콘밀한천 (CMA) (미시간, 디트로이트 소재, Difco Lab. ) 평판의 중심 한쪽에 획선 - 접종시켰다. 접종된 평판은 25도에서 약 8-12일 동안 포자 형성시까지 배양되었다. 포자 형성은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회색의 기생 균사체 덩이 및 포자로서 검색 가능하였다. 포자 형성은 위상차 현미경 (배율 1000) 으로 관찰하였다. 진균성 배양균의 앞쪽 가장자리에서 특정 진균성 식물병원체의 활성적으로 증식하는 균사체를 함유하는 5 mm 직경의 CMA 한천 원판 (disc) 을 취하여 무균상태에서 한천 평탄의 중심에 놓았다. 시험할 진균이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함유하지 않는 대조구 평판의 가장자리에 이를때까지 상기 평판을 25℃ 에서 배양하였다. 진균증식의 억제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영향하의 진균 병원체의 방사상 증식과 대조구 평판상에서의 단독 증식의 직경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정량화하였다. 선별된 병원체 진균에 따라 48, 96 및 192 시간 배양후에 진균 증식의 억제율(%)을 기록하였다. 생물학적 약효시험을 5개의 평판상에서 반복하고 억제율을 별도로 측정하여 평균에 표준편차를 가감하여 기록하였다.
체외 생물학적 약효시험에서 얻어진 상기 결과는 하기 표 V에 나타내었다. 이 데이타는 가지마름병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 뿌리썩음병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 리조크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푸사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및 피토프토라 신나모미 (Phytophthora cinnamomi)), 흰썩음 (파네로쉐트 크리소스포리옴 (Phanerochaete chrysosporium) 및 코리오루스 베르시컬러(Coriolus versicolor))및 잎 및 줄기 썩음(스클레오티니아(Sclerotinia)종) 진균을 포함한 광범위한 진균성 식물병원체에 대하여 매우 강한 길항성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표 V
실 시 예 IV
종자 트리트먼트로 사용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용도
균주 WYEC 108을 미발아된 이집트콩 종자에 살포하고 진균성 식물 병원체 피티움 울티마텀(P. ultimatum) 및 피티움 이레귤라(P. irregulare) 로 감염된 토양내에 상기 종자를 파종함으로써 식물병원체에 대하여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세포의 효능을 측정하였다. WYEC 108 균주에 의하여 생산된 세포질의 대사산물은 에테르 추출에 의하여 추출되었다. 이러한 대사산물의 발아하는 이집트콩 묘종에서의 진균성 감염에 대한 효과가 결정되었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증식
균주 WYEC 108 세포를 증식시키기 위하여, 500 ml 의 YGM (pH 7.1 - 7.2) 을 함유한 1 l 의 엘렌마이어 플라스크를 20 ml 의 보존 배양균으로 접종시킨 다음 250 rpm으로 진탕하면서 30℃ 에서 3 일동안 배양시켜 세포덩이를 얻었다. 항균대사산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500 ml 의 CYD (pH 7.1 - 7.2) 를 함유하는 1 l 의 엘렌마이어 플라스크를 20 ml 의 보존 배양균으로 접종시킨 다음 250 rpm으로 진탕시키면서 30℃ 에서 7 일동안 배양시켰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및 항균 대사산물로 종자 처리
500 ml 의 3 일된 YGM 액체 배양균을 10분동안 5000 rpm으로 원심분리시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균사체 현탁액을 수확하였다. 이렇게 수확된 균사체를 200 - 300 ml 의 살균시킨 3 % (w/v) 의 소듐 알기네이트 용액내에 1.0 - 1.2 x 104cfu/ml 의 배양균 밀도까지 재현탁시켰다. 이집트콩 종자들은 잘 혼합된 세포-알기네이트에 첨가되고 하나씩 멸균된 0.25M CaCl2증류수에 옮겨졌다. 이 종자들을 하기에서 기술한 생물 조절 분석 방법에 사용하였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에 의해 생성된 항균 대사산물을 다음과 같이 정제된 형태로 얻었다. 7 일된 500 ml 의 배양균을 여과시켜 세포를 제거한 다음 추출 펀넬을 사용하여 150 ml의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진공 증발시켜 상기 에테르를 제거하여 얻은 추출물을 1.5 ml 의 증류수에 재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살균의 0.45 ㎛의 필터를 통하여 여과살균시키고 10 ml 의 3 % (w/v) 의 소듐 알기네이트 용액에 가하였다. 정제된 항균 대사산물은 진균 감염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항균 대사산물을 정제시켜 WYEC 108 세포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항균 대사산물과 함께 WYEC 108 세포 및/또는 포자 제제 또한 진균성 식물병원체에 효과적임이 예견된다. 항균 대사산물 - 알기네이트 현탁액을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이집트콩 종자에 살포하여 생물조절 분석방법에 사용하였다.
체내 생물 조절 분석
상기한 "물질 및 방법" 에서 피티움 울티멈(P. ultimum) 및 피티움 이레귤라(P. irregulareis)로 자연적으로 감염된 토양을 기술하였다. 이 경작토양을 본 생물조절 분석에 사용하였다. 토양 pH는 토양 : 물 슬러리 (1 : 1) 를 격렬하게 혼합하여 2 시간동안 고체가 침전되게 하여 그 상청액 용액의 pH를 취함으로써 pH를 측정하였다. 상기 토양을 절단하여 잘 혼합하고 묘종 포트안에 넣었다(깊이 10cm x 직경 10cm).
체내 생물조절 분석은 감염된 토양에 항균 대사산물 또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로 처리한 미발아된 이집트콩 종자를 파종함으로써 수행하였다. 동일한 토양에 파종한 미발아된 종자는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이 절차는
1) 각각의 포트바닥에 초탄을 1 cm 깔아서 통기 및 배수될때 토양의 손실을 막는 단계 :
2) 묘종 포트에 감염된 토양을 채우는 단계 :
3) 이 토양에 바닥까지 찰 정도로 물을 주는 단계
를 포함한다.
토양표면에 물을 준뒤, 미처리한 이집트콩 종자와 처리한 이집트콩 종자를 토양위에 놓고 이 토양으로 1.5 - 20 cm 깊이로 덮었다. 위에 얹어둠으로써 젖은 토양 아래쪽에서부터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젖게 된다. 별개의 종자를 세개의 복제 묘종포트 각각에 파종하였다. 토양에 비료는 가하지 않았다. 건조를 최소화하고 포트의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묘종의 발아시까지 깨끗한 플라스틱으로 덮어 두었다. 묘종 발아후 시작하여 필요하다면 추가량의 물을 포트 상부에 분무하였다.
실험은 15 - 30℃ 온실에서 12 시간의 광순환 주기 및 12 시간의 암순환 주기 (16000 lux) 로 수행하였다.
이집트콩 묘종의 발아수를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20일 후 최종 발아수를 조사하였다. 발아 데이터는 각 처리에 대한 평균값으로 기록하였다. 생물 조절제로 처리하지 않은 종자에서 생장한 대조구 식물과 비교할때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생물 조절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능력은 총 발아수, 식물 높이, 및 식물의 신선한 중량에 기초하였다. 이 생물조절 분석 결과를 하기 표 VI 에 나타내었다.
표 VI
상기 세포에 의해 생성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및 항균 대사산물은 이집트콩의 피티움(Pythium) 가지마름균을 감소시켰다.
종자에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세포를 피복시킬 경우 식물이 활발하게 생장함을 알 수 있었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세포로 피복한 종자에서 발아된 식물들과 비교할때 대조구 (비처리) 이집트콩 종자에서 발아한 식물의 높이와 신선한 중량은 상당히 감소하였다. 종자를 피티움 울티멈(P. ultimum) 및 피티움 이레귤라(P. irregulareis)로 자연적으로 감염된 토양에 파종한 경우 미처리한 이집트콩 종자의 발아율은 피티움 울티멈(P. ultimum)에 의해 발아전 가지마름병 및종자 썩음병 때문에 극도로 감소 (6.7 %의 발아율) 하였다. 대조적으로, 파종전에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세포로 처리한 종자의 발아율은 63.3 % 였다.
알기네이트 단독으로 처리한 종자의 발아는 발아율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뿌리털 손실 및 뿌리 변색을 포함한 피티움 뿌리썩음병의 전형적인 증상은 대조구종자에서 발아한 이집트콩 뿌리를 수확해보면 명백해지나, 이러한 증상은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로 처리한 종자에서 생장한 식물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조구에서, 이집트콩에 해를 미치는 것은 주로 종자 부후 (seed decay), 및 발아전 가지마름병의 형태이다. 발아하여 생장한 이집트콩 묘종은 발육저해되고 이들의 뿌리는 피티움 울티멈(P. ultimum)으로 심각하게 감염되었다. 제 2 도에서는 생물조절 분석에서 얻은 이집트콩들을 같이 나란히 놓고 비교한 것이다.
왼쪽에 나타낸 비처리한 종자에서 발아한 대조구식물은 상당히 진전된 뿌리 감염과 두번째 뿌리 및 뿌리털이 없는 반면, 오른쪽에 나타낸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로 피복한 종자에서 발아한 식물은 양호하게 생장하였고 두번째 뿌리와 뿌리털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었음을 보여준다.
에테르 가용성 대사산물 형태의 항균 대사산물로 처리한 이집트콩 종자의 발아율 (33.3 %) 은 대조구 종자의 발아율 (6.7 %) 보다 높지만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세포로 피복한 종자의 발아율 (63.3 %) 보다는 낮았다. 항균 대사산물로 처리한 종자에서 발아한 식물은 대조구 식물과 비교할때 활발하게 생장하고 뿌리가 더 길며 뿌리털 확산 밀도가 더 큼을 나타냈다.
실 시 예 V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 에 의한 뿌리감염 및 종자 썩음병에 미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효과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감염에 미치는 균주 WYEC 108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실시예 IV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으로 자연적으로 감염된 토양에서 생장한 이집트콩 묘종 및 WYEC 108로 예비처리한 것과 하지않은 이집트콩 묘종을 검사하였다.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에 의한 뿌리 감염은 생장 20일 후에 수확한 대조구 (비처리한) 이집트콩 묘종으로 연구하였다. 뿌리썩음병을 발생시키는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을 또한 상기 대조구 식물들 중의 썩은 뿌리에서 분리해내었다.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분리는 먼저 이집트콩 뿌리 (뿌리 및 뿌리털)의 흙을 맹물로 세척한다음 살균한 증류수로 2번 헹구어 수행하였다.
탈색되고 썩은 뿌리를 살균 상태에서 면도날로 절단시킨다음 3일된 2% 물한천 평판에 놓았다. 이 평판을 실온에서 24 - 48시간 동안 배양시키고 위상차 현미경 (배율 40) 으로 관찰하였다. 감염된 이집트콩 뿌리에서 증식하는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을 신선한 2 %의 물한천으로 계대배양시킨다음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동정하였다 (Ingram 및 Cook, 1990).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에 의한 종자 썩음은 20일 후 수확한 썩은 대조구 종자로 연구하였다. 살균한 이쑤시개를 사용하여 썩은 종자의 일부분을 살균상태에서 3 일된 2 %의 물한천 평판상에 놓고 실온에서 24 - 48시간 배양시켰다. 이 평판을 전기한 바와같이 검사하였다.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은 자연적으로 감염된 토양에서 생장하는 비처리한 이집트콩의 뿌리를 감염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은 썩은 종자와 뿌리에서 분리되는 가장 일반적인 종이다. 피티움 이레귤라(P. irregulare) 는 그다지 일반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에 의한 뿌리 콜로니화는 실시예 II 에서 기술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세포 - 알기네이트 현탁액으로 처리한 종자에서 발아한 20일된 이집트콩의 뿌리에서 검사하였다. 이 식물들은 실시예 II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또한 피티움 울티멈(P. ultimum) 및 피티움 이레귤라(P. irregulare) 로 자연적으로 감염된 토양에서 재배하였다. 이 식물들은 파종 포트에서 뽑아내어 맹물로 살살 씻어 붙어있는 근계토양을 제거하였다. 그다음 살균 증류수로 행궜다. 뿌리의 일부를 유리 슬라이드 위에 놓고 메틸렌 블루를 한방울 떨어뜨린다음 덮개를 덮어 현미경 관찰용 뿌리샘플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샘플을 위상차 현미경 (배율 1000)으로 관찰하였다.
종자상에 존재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은 발아하는 뿌리와 접촉하게 된다. 뿌리가 자람에 따라, 스트렙토마이세스는 자라나가는 뿌리털 및 뿌리끝과 함께 묻어가게 되었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이 주뿌리, 두번째 뿌리, 뿌리털 및 뿌리끝에서 광범위하게 콜로니화했음을 관찰하였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로 피복시킨 종자에서 발아한 대조구 식물에서보다 더 잘자랐고, 뿌리가 더 길며 뿌리털이 더 조밀하게 생성되었다. 이 차이는 생물조절제에 의한 뿌리의 콜로니화와 명백하게 관련되어 있다. 생물조절제로 콜로니화한 뿌리는 어떠한 뿌리 질병의증상도 보이지 않았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은 자생하는 근계 미생물총과 경합하면서 우수한 뿌리 콜로니화를 보여주었다.
항균활성
식물의 뿌리를 콜로니화하고 항균 대사산물을 생성시킬 수 있는 능력외에도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은 또한 진균 세포벽 및 진균 난포자를 용해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균사체는 피티움 울티멈(P. ultimum)의 균사체 및 난포자를 포함하여 진균성 균사체 또는 난포자의 표면을 콜로니화하였다. WYEC 108에 의한 키티나제 및 셀룰라제와 같은 세포의 효소의 분비결과와 매우 유사하게 콜로니화한 균사체 및 난포자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에 의해 분해된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은 상기 효소들 양자를 생성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는 또한 일련의 다른 세포외 분해효소를 생성시킬 수 있다.
실 시 예 VI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방출배지로의 첨합
미생물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포자의 장기간 저장 및 농업용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조제하였다. 500 ml 의 YGM 배지 (pH 7.0 - 7.1) 를 함유하는 1 l 들이 엘렌마이어 플라스크를 20 ml 의 보존 배양균으로 접종시키고 250 rpm으로 진탕시키면서 30℃ 에서 3 일동안 배양시켰다. 배양후, 배아균을 5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시켜 수확하였다. 수확한 물질은 10 %의 YGM 1600ml 에 재현탁시킨다음 400 ml 의 증류수에 용해된 8 g의 살균 NH4Cl 과 혼합하였다. 세포 및 NH4Cl 혼합물 2 l 를 9 - 2 - 1 (w/w) 비의 모래 - 물 - 콘밀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4 kg의 살균 방출 배지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용기안에 넣어 접종시켰다. 배양균을 배양시키기 전에 방출 배지를 2번 살균하였다 (121℃ 에서 3 시간). 상기 혼합물을 25℃ 에서 10 - 14 일 동안 배양시켜 혼합물내 존재하는 포자수를 최대화시켰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은 10 - 14 일의 배양 중에 방출배지의 cfu/g가 증대되는 (방출배지의 g (건중량) 당 평균레벨 108- 109cfu 까지) 포자를 생성하였다. 이 혼합물은 사용할때까지 4℃ 에서 저장하였다.
이와는 다르게, YGM 배지대신, CYG 배지에서 세포 및 포자를 생성시킬 수 있다. 원심분리시켜 세포를 수확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배양균 플라스크 또한 박테리아 균사체 및 포자가 고착될 수 있도록 세워두어야 할 것이다. 그 다음, 맑은 상청액을 따라내고 농축된 균사체/포자 현탁액을 방출배지로 바로 접종시켰다. 이러한 수확 절차가 활용될 경우, 박테리아 증식 배지 (YGM 또는 CYG) 가 질소의 적당한 공급원이기 때문에 배지에 NH4Cl을 가할 필요가 없다.
실 시 예 VII
양상추 묘종의 발아 및 신선한 중량에 미치는 스트렙토마이세스의 영향
양상추의 생장에 미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VI 에서 기술한 바와같은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함유한 방출 배지내에서, 또는 스팀 살균한 토양내애서 양상추 종자를 재배하였다.
각각의 생장 배지에 총 30개의 종자 (4 x 13.5 cm 포트당 종자 1 개) 를 파종하고 생장 21 일후 발아율을 기록하였다. 생장 35 일 후 상기의 생장한 식물을 수확하여 신선한 중량을 측정하였다. 신선한 중량은 평균값으로 기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표 VII 에 나타내었다.
표 VII
이 결과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로 양상추를 처리하면 묘종의 발아빈도 및 신선한 중량이 향상됨을 보여준다.
실 시 예 VIII
밭의 방출배지에의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사용
체내 생물조절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한 방출배지에 첨합시킬 경우 생물조절제로서의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효능을 측정하였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제조하고, 3일동안 YGM 배지에서 증식시킨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VII 에서 기술한 바와같은 방출배지로 접합시켰다. 방출배지내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초기 밀집도는 포트에 묘종을 파종하기전에 즉시 CYD 평판상에서 평판산정하여 대략 토양 g당 1.0 -1.2 x 105cfu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처리된 토양을 사용하여 묘종포트 (4 cm x 13.5 cm)를 채웠다.
대조구 식물은 스팀 살균한 토양 (100℃ 에서 60분동안 살균시킴) 을 함유한 토양에서 재배하였다.
스팀살균한 토양만을 함유하거나 또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함유한 방출배지로 접종시킨 스팀 살균한 토양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묘종 포트에 후추묘종(피망, 고추) 를 파종하였다. 온실에서 6주의 생장후 상기 식물들을 농경지에 이식시켰다. 예를들면, 이식전에 450 ± 17 cfu/g의 피토프토라 파라시티카(Phytophthora parasitica) 를 함유하는 100 g의 방출배지를 파종 구멍으로 넣어 접종시켰다.
이식후 55 일째에 식물의 높이를 측정하고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이식후의 경작 110 일 후 식물을 수확하여 신선한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식물 생물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식물 당 생성된 후추의 수 및 후추의 중량을 평균값으로 기록하였다. 이 밭에서의 실험 결과를 하기 표 VIII 에 나타내었다.
표 VIII
표 VIII 에 나타낸 바와같이, 피토프토라 파라시티카(Phytophthora parasitica)의 부재하에 WYEC 108로 후추 묘종을 처리하면 WYEC 108을 수용하지 않은 대조구 식물에 비하여 후추의 높이, 생물량, 수 및 수율면에서 통계적으로 상당한 증대하였다. 표 V의 3번째 줄과 4번째 줄의 내용을 비교하면 균주 WYEC 108이 피토프토라 파라시티카(Phytophthora parasitica)의 유독한 효과에 대하여 후추를 보호함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피토프토라 파라시티카(Phytophthora parasitica)의 부재하에 비처리한 식물과 비교하여 피토프토라 파라시티카(Phytophthoraparasitica)의 부재하에 균주 WYEC 108로 처리한 식물의 생장이 상당히 개선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기술한 실험외에, WYEC 108은 진균 감염에 대하여 일련의 식물을 보호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험한 식물들은 하기 표 IX에 나타낸 식물들을 포함한다.
표 IX
실 시 예 IX
액체배지내에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포자 생성
생물조절제는 운송필요성 및 농업용으로서의 타이밍 패턴에 맞추기 위하여 장기간 생존해야만 한다. 포자는 악조건하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생존능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의 생물조절 제제내 생장 세포보다는 균주 WYEC 108의 포자를 사용하는 것이 생물조절 제제의 저장 수명을 향상시켜준다.
일반적으로, 스트렙토마이세스 종의 포자는 고체 배지상에서만 생성된다. 그러나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같이, 다음 방법은 액체 배양균내에서 포자를 생성시키는데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1200 ml의 YGM 배지 (pH 6.5)를 함유하는 2 l 들이 엘렌마이어 플라스크 각각을 50 ml 의 보존배양균 (실시예 II 에서 기술한 바대로 제조한) 으로 접종시키고 250 rpm으로 진탕시키면서 30℃ 에서 12 - 18일동안 배양시켰다. 배양균내에서의 포자 생성은 위상차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모니터하였다 (배율 1000, 메틸렌 블루로 염색). 포자는 9000 rpm으로 10분동안 원심분리시켜 수확하였다.
그다음, 포자를 1600 ml의 살균한 10 %의 YGM 액체 배지에 재현탁시키고 증류수내 8 g의 NH4Cl 로 구성되는 400 ml 의 살균용액을 가하였다 (최종 포자밀도 1.0 - 1.2 x 107cfu/ml 를 얻기 위하여). 이 혼합물을 9 : 2 : 1 (w/w) 비의 모래, 물 및 콘밀로 이루어지는 4 kg의 살균한 방출배지로 바로 넣어 접종시켰다. 이 방출배지는 포자로 접종시키기 전에 오토클레이브 (121℃ 에서 3시간) 내에서 2 번살균시켰다.
전술한 방식의 액체 배양균내에서의 포자의 직접적인 생성은 혼합물의 추가적인 배양의 필요성을 피할 수 있게 해준다. 포자를 함유한 방출배지는 사용할 때까지 4 ℃ 에서 저장하였다.
기술한 액체 배양균 방법에 의해 생성된 포자는 4 ℃ 에서 4개월간 저장시킨 후의 생존능력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1 ml 의 포자 현탁액을 100 ml 의 살균한 10%의 YGM 액체 배지 (pH 6.5) 를 함유하는 플라스크에 넣어 접종시키고 30℃ 에서 250 rpm으로 진탕시키면서 배양시켰다. 포자의 발아는 위상차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배율 1000, 메틸렌 블루로 염색한). 포자는 대략 8일째에 전부 발아하였다. 이러한 간단한 관찰 시험에서 상기 저장기간 후에도 생존능력은 손상되지 않았음을 알았다.
방출배지 [모래, 물, 콘밀 (9 : 2 : 1)]로 첨합시킨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다음과 같이 생존능력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함유하는 1.0 g의 방출 배지 샘플을 순차적으로 희석시키고 CYD 한천 평판상에 놓았다. 콜로니가 형성 될때까지 25℃ 에서 평판을 배양시켰다. 30일동안 저장시킨 샘플에 대하여 방출배지 g (건중량) 당 108- 109cfu의 평균레벨로 기록되었다.
이와는 다르게, 포자형성 한천의 한천 평판으로부터 얻은 포자를 10 - 20 ml의 살균 증류수 또는 YGM 브로스에 재현탁시킨다음 10 - 100 g의 방출배지로 가하여 혼합하여 배지 g당 1012- 1014cfu의 생균수 산정값을 얻었다. 이 혼합물을 공기중 건조시킨 다음 격렬하게 혼합시키고 사용할때까지 4℃ 에서 저장하였다. 이 제제는 추가의 방출배지로 흑종의 의도하는 더 낮은 cfu/g 최종 생균수 산정값까지 희석시킬 수 있는 농축 생성물이다.
실 시 예 X
알기네이트 겔 제제의 안정성
500 ml 의 3 일된 YGM 액체 배양균으로부터 10분동안 5000 rpm으로 원심분리시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균사체를 수확하였다. 이 수확한 균사체를 배양균 밀도가 1.0 - 1.2 x 104cfu/ml 로 될 수 있도록 125 ml 의 10 %의 YGM 및 125 ml 의 살균한 5 % (w/v) 의 소듐 알기네이트 용액에 재현탁시켰다. 증류수내 0.25 M의 살균 CaCl2에 세포 - 알기네이트 현탁액을 한방울씩 가하여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균사체를 함유하는 알기네이트 펠릿을 만들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든 알기네이트 펠릿의 생존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배양균을 함유하는 알기네이트 펠릿을 살균한 플라스틱 페트리 접시 (10 cm x 10 cm) 위에 순차적으로 펴바르고 1 시간동안 층류 살균 에어 후드내에서 건조시켰다. 펠릿화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은 25℃ 에서 6 - 8개월동안 저장시킨후에도 용이하게 포자를 형성하였다 (건조시킨 알기네이트 비드 g당 108- 109cfu의 평균레벨까지).
이 포자를 25℃ 살균한 물에서 배양시킬경우 재빨리 발아하였다. 포자의 발아는 위상차 현미경 (배율 1000, 메틸렌 블루로 염색) 으로 관찰하였다.
실 시 예 XI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포함한 방출배지의 바람직한 제제
방사선균 균주를 분리시키는 방법, 이 균주의 생물조절제로서의 유용성 시험방법, 이 생물 조절제를 균사체 형태로 또 포자, 적당한 방출 배지 및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로 생성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당업자들에게는 본 발명의 정신에서 출발하지 않고도 여러 방법으로 본 발명을 수정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하기 기술한 것은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술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의 보기로 기술한 것이다.
최적의 배양 조건
균주 WYEC 108의 증식을 위한 최적의 조건은 20 - 30℃의 온도, 5.5 -7.5의 pH 및 200 - 300 rpm의 숙성기 교반 속도를 포함한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은 일반적으로 30℃, pH 6.5 및 72시간동안 200 rpm으로 진탕 (로그 상의 끝까지) 시키는 배양조건으로 YGM 액체 배지내에서 1 당 생물량 (건중량) 약 5.3 g의 최대 세포 질량수율을 얻는다. 대수 증식상 중의 배가시간은 대략 10시간이다. 72시간의 배양시간은 더 고도한 접종 레벨의 로그 상세포를 사용함으로써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포자는 포자형성 한천과 같은 고체 한천 배지상에서 생성될 것이다. 이러한 포자는 10 %의 YGM과 같은 적당한 액체 배지로 굵어 넣은다음 방출배지로 바로 도입시킴으로써 바로 수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배양균의 액체 증식의 필요성을 피하게하여 제조공정을 단축시킨다.
바람직한 또다른 방출 배지
원예 및 농경 정착물로 사용하기 위하여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방출배지로 첨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VI 에서는 9 - 2 - 1 (w/w) 비의 모래 - 물 - 콘밀로 구성되는 방출 배지 제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당업자들은 방출 배지 제제가 생물조절제가 의도되는 특정 용도에 따라 구현될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클레이, 버미큘라이트, 밀겨울, 옥수수대 또는 키틴과 같은 여러 무기 및 유기 충전재를 방출 배지에 가할 수 있다. 방출 배지 성분의 비율은 요구되는 구조 및 물리적 특성에 기초하여 달라질 것이다. 예를들어, 취급 및 운송의 용이를 위하여 경중량, 함습성, 균사체 및 식물 뿌리 생성 및 확장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공극과 같은 특성들이 중요할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생장 균사체 또는 포자를 알기네이트 현탁액에 가하여 이 균주상에서 알기네이트 - 비말동반된 펠릿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알기네이트 펠릿 제조방법은 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미합중국 특허 제 4,668,512 호 (Lewis 외) 에 추가로 기술되어 있다. 비료와 같은 기타 성분들 또한 이러한 펠릿에 첨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 발명자들은 1 : 3.5 : 1 w/w 비의 초탄 - 모래 - 콘밀로 구성되는 방출 배지가 특히 적당함을 알게 되었다. 이 비율은 이 생성물을 농업 및 원예용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밀도 및 함습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다른 비율의 상기 성분들 및 기타 성분들 또한 방출 배지로서 허용가능하다. 예를들어, 또다른 효과적인 방출배지는 초탄(620 g) - 모래 (3380 g) - 콘밀 (270 g) - 키틴 (10 g)으로 구성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한 바와같은 YGM 브로스에서 증식시킨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균사체를 함유하는 대략 1.6 l 의 수확한 배양균 브로스 (로그 - 위상의 세포 ; 예를들어, 약 72시간 배양) 에 400 ml 의 NH4Cl 살균용액 (400 ml 의 증류수내 8 g의 NH4Cl 을 함유하는) 을 보충시킨다음 초탄, 모래 및 콘밀로 이루어지는 4 kg의 살균한 방출배지를 함유한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 접종시켰다. 방출배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접종시키기 전에 2번 살균 (121℃ 에서 3시간) 시켰다. 접종된 용기는 30℃ 에서 10 - 14 일동안 배양시켜 포자형성을 최대화시켰다. 이 용기는 사용할때까지 4℃ 에서 저장하였다.
방출배지내에 NH4Cl 을 사용하면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발아하는 포자에 질소 공급원을 제공하게 된다. 이목적으로 NH4Cl의 다른 질소 공급원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들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예를들어, 또 본원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방출 배지내에 첨합시키기 전에 포자들을 박테리아 증식 배지 (10 %의 YGM과 같은) 에 재현탁시킬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질소 공급원의 첨가는 불필요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방출 배지는 충분한 양의 질소 공급원을 포함한다. "충분한 양" 의 질소공급원은 특정 질소 공급원의 양을 늘리거나 줄일때 발아빈도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거나 또는 질소공급원을 변화시킬때의 효과를 측정하여 결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들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충분한 양의 질소공급원은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포자의 발아를 원활하게 해주는 특정 질소 공급원의 양이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실시예 XI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포자는 액체 배지내에서 생성시켜 바람직한 방출배지로 바로 첨합시키며 4℃에서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은 최종농도 1 x 105cfu/g 이상으로 방출배지에 가한다. 더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방출배지내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최종농도는 1 x 105- 1 x 108cfu/g이다.
실 시 예 XII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함유하는 방출배지 제제에 대한 상세한 설명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함유하는 방출배지의 바람직한 제제는 하기에서 기술하는 절차에 의해 대규모로 제조한다. 기술된 절차 전부는 표준 살균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예를들어, 자외선 - 살균한 충류 챔버내에서) 최종 사용자가 포장백을 열기전까지 살균상태를 유지한다.
세포 제조
1) 10 ml의 살균 YGM 또는 CYG 브로스 (pH 6.5)내에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CYD 사면에서 얻은 포자를 현탁시킨다. 이 접종물 현탁액은 플라스크 배양균들을 접종시키는데 사용된다.
2) 100 ml 의 YGM (pH 6.5) 을 함유하는 6개의 250 ml 들이 플라스크를 접종시킨다. 접종물로서 플라스크당 10 ml 의 포자 현탁액을 사용한다. 접종후, 플라스크는 200 rpm으로 진탕시키면서 30℃ 에서 약 36시간동안 배양시킨다.
3) 각각 1.1 l 의 YGM 브로스 (pH 6.5)를 함유하는 2.0 l 들이 플라스크 6개를 상기에서 제조한 균사체 접종물로 접종시킨다 (플라스크당 100 ml 의 접종물). 접종후, 플라스크를 200 rpm으로 진탕시키면서 30℃ 에서 약 24 - 48시간 이상 (4일 이하) 배양시킨다. 이는 발효기 접종물이 된다.
발효
상기에서 제조한 대략 7.2 l의 보존 배양균을 살균 YGM 브로스(pH 6.5)를 함유하는 발효기에 넣어 접종시켰다 (= 부피기준하여 15 %의 접종물 : 이 접근방법은 실제로 고밀도의 세포현탁액으로 접종시키기 위함이다). 발효기는 교반 (200 rpm) 시키면서 30℃ 에서 약 72시간동안 작동시켰다 (로그 상의 끝 근처까지).
발효기 수확
1) WYEC 108 세포를 함유하는 발효 배양균 브로스 (약 72시간 배양시킨 후) 를 20 l 들이 살균 플라스틱 병에 살균상태로 수확한다.
2) 아직도 WYEC 108 세포를 함유하고 있는 수확한 배양균 브로스에 살균 NH4Cl 용액을 가한다 (수확한 배양균 브로스 3.2 l 당 800 ml 의 증류수에 용해된 NH4Cl 16 g을 사용 ; 오토클레이브시켜 미리 살균시킴). 이렇게 얻어진 1.2 l 부피의 NH4Cl - 함유 세포 현탁액을 앞에서 제조한 방출배지로 접종시키기 전에 진탕시켜 잘 혼합시킨다.
방출배지의 제조
1) 방출배지의 각각의 성분은 별도로 측정하여 큰 사이즈의 살균가능한 팬 또는 기타 적당한 용기에 넣는다. 이렇게 결합시킨 혼합물을 방출배지라 정의한다. 이는 초탄, 모래, 및 콘밀 (540 g : 2700 g : 540 g : 1 : 3.5 : 1 w/w 비) 로 이루어진다.
2) 방출배지는 격렬하게 혼합하고 내한성 알루미늄 포일 또는 면 배팅으로 덮은 다음 두번 살균한다 (121℃ 에서 12시간의 살균기간 간격으로 한번에 90분씩).
3) 두번째 살균후 균주 WYEC 108 및 NH4Cl 용액 (상기에서 제조된) 을 함유하는 수확한 배양균 브로스의 접종전에 실온까지 방출배지를 냉각시킨다.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방출배지에 첨합시켜 초탄, 모래, 물, 콘밀 및 NH4Cl의 제제를 생성시킴
1) 균주 WYEC 108 - NH4Cl 용액을 함유하는 수확한 약 0.5 l 의 배양균 브로스(상기에서 제조된)를 3.78 kg의 방출배지를 함유하는 미리 살균시킨 필요한 갯수의 플라스틱 용기로 잘 첨합시킨다.
2) 접종시킨 용기를 30℃에서 10 - 14일동안 배양시키는데 (최대 20일의 배양이 최적일 것이다) 이는 사용할때까지 4℃ 에서 저장시킬 수 있다 (제제는 여러달동안 안정하다).
취급 및 운송
1)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함유하는 완성된 제제를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 살균된 층류후드내에서 작은 무균의 스푼 또는 등가의 도구를 사용하여 살균 3 중층 플라스티백으로 옮겨 담는다.
2) 이 충전백을 꽉 물어 운송용의 1.5 ft3의 이동 박스에 넣었다. 각각의 박스는 강력 테이프로 밀봉시킨다.
실 시 예 XIII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함유하는 제제의 묘종 온상에의 첨합
실시예 XII 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생물조절제 및 방출 배지를 함유하는 제제를 최종 스트렙토마이세스 농도가 토양 g당 1.0 - 1.2 x 105cfu 이상이 되도록 온상 토대토양 또는 재배 혼합토와 혼합하였다. 파종절차는 다음과 같다.
1) 각각의 포트 (또는 베드) 바닥에 초탄을 약 1.0 cm로 깔아서 통기 및 배수시킬때에 토양 (또는 재배혼합토) 의 손실을 막는다.
2) 묘종 포트는 포트 (또는 토대) 의 상부에서 아래로 약 3.0 cm까지 농업용 (온상 또는 재배혼합토) 토양으로 채운다. 이 포트 (베드) 에 물을 가득 붓는다.
3)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및 방출배지를 함유하는 약 1.5 cm의 제제를 각각의 포트(베드) 상부에 가한다. 바란다면, 이 제제는 또한 온상 토대 토양 또는 재배 혼합토로 미리 혼합시켜 부피를 늘리고 cfu/g 산정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효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cfu/g는 최종 혼합물내에 105cfu/g 이상을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4) 종자를 준비한 묘종 포트 또는 베드 표면상에 놓고 추가적으로 1.5 cm(대략)의 온상 토대 토양 또는 재배 토양 혼합토로 덮는다.
5) 소량의 물을 가하여 토양과 종자를 적신다.
6) 건조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껍질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하여, 포트는 일반적으로 묘종이 발아할때까지 깨끗한 검은 플라스틱으로 덮어둔다 (이는 습도가 조절되는 경우라면 필요치않을 것이다).
7) 묘종 발아후 필요한 만큼 추가의 물을 포트 (또는 베드) 상부에 분무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 및 바람직한 구체예의 보기들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업계의 당업자들이라면 본 발명 및 이보다 더 광범위한 양상에서 출발하지 않더라도 변경 및 수정예를 만들 수 있을 것임은 명백한 일이다. 따라서 우리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영역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 및 수정예를포괄하고자 하는 바이다.

Claims (17)

  1. ATCC 55445 으로 동정되는 특성을 갖는 미생물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Streptomyces WYEC 108) 의 생물학적으로 순수한 배양균.
  2. 제 1 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감염되기 쉬운 식물의 진균 감염을 보호해줄 수 있는 미생물.
  3.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생물학적으로 순수한 배양균 및 방출 배지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방출배지가 알기네이트 겔, 초탄 (peat moss), 모래 및 콘밀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방출배지가 충분한 양의 질소 공급원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방출배지가 초탄, 모래, 콘밀 및 충분한 양의 질소공급원을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질소공급원이 암모늄 클로라이드인 조성물.
  8. 제 3 항에 있어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생물학적으로 순수한 배양균이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포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9. 적당한 용기내의 방출수단 및 진균성 병원균에 대하여 길항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종을 포함하는, 진균 감염에 대한 식물의 보호에 유용한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스트렙토마이세스 종이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인 조성물.
  11.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에 의해 생성된 항균 대사산물의 정제된 제제 및 방출 배지를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추가로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포자 및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13.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을 식물의 뿌리로 방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균 감염에 대한 식물의 감수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14.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종자를 함침시키는 단계 ;및
    적당한 생장배지에 종자를 파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균감염에 대한 식물의 감수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알기네이트 겔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의 배양균을 공급하는 단계 ;
    상기 배양균을 포함하는 방출배지를 준비하는 단계 ;
    상기 방출배지를 식물로 방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균감염에 대하여 식물을 보호하는 방법.
  17.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세포 ;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 포자 ; 및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 108에 의해 생성된 항균 대사산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성분 및 방출 배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종자 또는 묘종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생장을 개선시키는 방법.
KR1019950706063A 1993-06-30 1994-06-29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108을 사용하여 식물병원체를 억제시키는 방법 KR100331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085,448 US5403584A (en) 1993-06-30 1993-06-30 Use of Streptomyces WYEC 108 to control plant pathogens
US08/085,448 1993-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3318A KR960703318A (ko) 1996-08-17
KR100331125B1 true KR100331125B1 (ko) 2005-01-13

Family

ID=2219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6063A KR100331125B1 (ko) 1993-06-30 1994-06-29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108을 사용하여 식물병원체를 억제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403584A (ko)
EP (1) EP0706321B1 (ko)
JP (1) JP3612071B2 (ko)
KR (1) KR100331125B1 (ko)
CN (1) CN1113604C (ko)
AT (1) ATE178457T1 (ko)
AU (1) AU684809B2 (ko)
CA (1) CA2166096C (ko)
DE (1) DE69417750T2 (ko)
DK (1) DK0706321T3 (ko)
ES (1) ES2132416T3 (ko)
GR (1) GR3030695T3 (ko)
MY (1) MY111006A (ko)
NZ (1) NZ269070A (ko)
PH (1) PH30701A (ko)
PL (1) PL175708B1 (ko)
RU (1) RU2127521C1 (ko)
SG (1) SG49012A1 (ko)
WO (1) WO1995001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9889A (en) * 1992-04-13 1996-08-27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Inc. Nematocidal and fungicidal Streptomyces dicklowii biopesticide
US5968503A (en) * 1993-06-30 1999-10-19 Idaho Research Foundation, Inc. Use of streptomyces bacteria to control plant pathogens and degrade turf thatch
US5527526A (en) * 1993-06-30 1996-06-18 Idaho Research Foundation, Inc. Use of streptomyces bacteria to control plant pathogens
US6133196A (en) * 1996-08-13 2000-10-1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Biological control of plant disease on roots of conifer seedlings
KR100197077B1 (ko) * 1997-02-05 1999-06-15 서형원 항균성 미생물제제, 그 제조방법 및 처리방법
KR100361135B1 (ko) * 1998-08-06 2004-12-30 정영륜 식물병원균의 길항미생물,이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제제 및 이것을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방법
WO2000018241A1 (en) 1998-09-30 2000-04-06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Agriculture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Gliocladium roseum strains useful for the control of fungal pathogens in plants
WO2001021584A1 (en) * 1999-09-24 2001-03-29 Genentech, Inc. Tyrosine derivatives
US6558940B2 (en) * 2000-03-30 2003-05-06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Streptomyces strain with potential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US6524577B1 (en) * 2000-09-27 2003-02-25 Agraquest, Inc. Strain of Streptomyce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KR100411185B1 (ko) * 2000-12-21 2003-12-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ag-p(kctc8965p)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KR20050040156A (ko) * 2003-10-27 2005-05-03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신규한 방선균속 (Streptomyces sp.)에속하는 신규균주 및 그 균주의 배양액을 포함하는농용미생물제제
US7497947B2 (en) * 2004-04-14 2009-03-03 Embro Corporation Devices for water treatment
KR100726864B1 (ko) 2006-04-27 2007-06-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그리세오푸스쿠스 vsg―16 kctc 10930bp 및이를 이용한 식물 병원균 방제제
WO2011037086A1 (ja) * 2009-09-28 2011-03-31 有限会社バイオメディカルリサーチグループ 植物育成剤、植物病害抵抗性誘導剤及び病害防除方法
WO2013036601A1 (en) 2011-09-07 2013-03-14 Embro Corporation Use of moss to reduce disinfection by-products in water treated with disinfectants
CN102443555B (zh) * 2011-11-16 2013-04-24 南开大学 链霉菌Streptomyces sp.NK-660及其用于生产ε-聚赖氨酸的发酵培养方法
RU2496863C1 (ru) * 2012-05-22 2013-10-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ВолгГТУ)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живых препаратов микроскопических грибов рода coccidioides для световой микроскопии
CN102787085B (zh) * 2012-07-24 2013-11-27 海南大学 一株山药内生利迪链霉菌dor3-2及其应用
KR20150067270A (ko) 2012-10-01 2015-06-17 바스프 에스이 안트라닐아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살충적으로 활성인 혼합물
WO2014053405A1 (en) 2012-10-01 2014-04-10 Basf Se Pesticidally active mixtures comprising anthranilamide compounds
AR093771A1 (es) 2012-10-01 2015-06-24 Basf Se Metodo para controlar insectos resistentes a insecticidas
US20150250174A1 (en) 2012-10-01 2015-09-10 Basf Se Use of n-thio-anthranilamide compounds on cultivated plants
WO2014053401A2 (en) 2012-10-01 2014-04-10 Basf Se Method of improving plant health
BR112015003035A2 (pt) 2012-10-01 2017-12-05 Basf Se métodos para o controle de insetos, para a proteção de uma cultura e para o controle da resistência
US20150257383A1 (en) 2012-10-12 2015-09-17 Basf Se Method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harmful microbes on cultivated plants or plant propagation material
WO2014079820A1 (en) 2012-11-22 2014-05-30 Basf Se Use of anthranilamide compounds for reducing insect-vectored viral infections
WO2014082871A1 (en) 2012-11-27 2014-06-05 Basf Se Substituted 2-[phenoxy-phenyl]-1-[1,2,4]triazol-1-yl-ethanol compound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WO2014082879A1 (en) 2012-11-27 2014-06-05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compounds
EP2928873A1 (en) 2012-11-27 2015-10-14 Basf Se Substituted 2-[phenoxy-phenyl]-1-[1,2,4]triazol-1-yl-ethanol compound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US20150313229A1 (en) 2012-11-27 2015-11-05 Basf Se Substituted [1,2,4] Triazole Compounds
WO2014086854A1 (en) 2012-12-04 2014-06-12 Basf Agro B.V., Arnhem (Nl) Compositions comprising a quillay extract and a plant growth regulator
WO2014086850A1 (en) 2012-12-04 2014-06-12 Basf Agro B.V., Arnhem (Nl) Compositions comprising a quillay extract and a fungicidal inhibitor of respiratory complex ii
WO2014086856A1 (en) 2012-12-04 2014-06-12 Basf Agro B.V., Arnhem (Nl) Compositions comprising a quillay extract and a biopesticide
EP2746266A1 (en) 2012-12-19 2014-06-25 Basf Se New substituted triazoles and imidazole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WO2014095534A1 (en) 2012-12-19 2014-06-26 Basf Se New substituted triazoles and imidazole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EP2746255A1 (en) 2012-12-19 2014-06-25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and imidazole compounds
WO2014095555A1 (en) 2012-12-19 2014-06-26 Basf Se New substituted triazoles and imidazole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EP2746262A1 (en) 2012-12-19 2014-06-25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and imidazole compound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US20150329501A1 (en) 2012-12-19 2015-11-19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compound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EP3181558A1 (en) 2012-12-19 2017-06-21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compound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EP2746279A1 (en) 2012-12-19 2014-06-25 Basf Se Fungicidal imidazolyl and triazolyl compounds
EP2746277A1 (en) 2012-12-19 2014-06-25 Basf Se Fungicidal imidazolyl and triazolyl compounds
EP2746264A1 (en) 2012-12-19 2014-06-25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and imidazole compounds
EP2746278A1 (en) 2012-12-19 2014-06-25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and imidazole compounds
BR112015014303A2 (pt) 2012-12-19 2017-07-11 Basf Se compostos de fórmula i,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os compostos de fórmula i, composições agroquímicas, utilização de um composto de fórmula i, método para o combate dos fungos, semente e compostos intermediários xx3
WO2014095381A1 (en) 2012-12-19 2014-06-26 Basf Se Fungicidal imidazolyl and triazolyl compounds
EP2746256A1 (en) 2012-12-19 2014-06-25 Basf Se Fungicidal imidazolyl and triazolyl compounds
EP2746257A1 (en) 2012-12-21 2014-06-25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and imidazole compounds
EP2746258A1 (en) 2012-12-21 2014-06-25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and imidazole compounds
EP2746259A1 (en) 2012-12-21 2014-06-25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and imidazole compounds
EP2746260A1 (en) 2012-12-21 2014-06-25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and imidazole compounds
WO2014124850A1 (en) 2013-02-14 2014-08-21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and imidazole compounds
BR112015018853B1 (pt) 2013-03-20 2021-07-13 Basf Corporation Mistura, composição agroquímica, método para controlar fungos fitopatogênicos, método para proteção do material de propagação dos vegetais e semente revestida
WO2014191449A1 (en) * 2013-05-31 2014-12-04 Dsm Ip Assets B.V. Microbial agriculture
EP2815649A1 (en) 2013-06-18 2014-12-24 Basf Se Fungicidal mixtures II comprising strobilurin-type fungicides
WO2015011615A1 (en) 2013-07-22 2015-01-29 Basf Corporation Mixtures comprising a trichoderma strain and a pesticide
WO2015036059A1 (en) 2013-09-16 2015-03-19 Basf Se Fungicidal pyrimidine compounds
CN105722833A (zh) 2013-09-16 2016-06-29 巴斯夫欧洲公司 杀真菌的嘧啶化合物
EP3057420B1 (en) 2013-10-18 2018-12-12 BASF Agrochemical Products B.V. Use of pesticidal active carboxamide derivative in soil and seed application and treatment methods
WO2015086462A1 (en) 2013-12-12 2015-06-18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and imidazole compounds
EP3083596A1 (en) 2013-12-18 2016-10-26 Basf Se Azole compounds carrying an imine-derived substituent
US9795809B2 (en) 2013-12-23 2017-10-24 Embro Corporation Use of moss to improve dental health
WO2015104422A1 (en) 2014-01-13 2015-07-16 Basf Se Dihydrothiophene compounds for controlling invertebrate pests
EP2924027A1 (en) 2014-03-28 2015-09-30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and imidazole fungicidal compounds
EP2962568A1 (en) 2014-07-01 2016-01-06 Basf Se Mixtures comprising a bacillus amyliquefaciens ssp. plantarum strain and a pesticide
EP2949216A1 (en) 2014-05-30 2015-12-02 Basf Se Fungicidal substituted alkynyl [1,2,4]triazole and imidazole compounds
EP2949649A1 (en) 2014-05-30 2015-12-02 Basf Se Fungicide substituted [1,2,4]triazole and imidazole compounds
EP2952512A1 (en) 2014-06-06 2015-12-09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compounds
EP2952507A1 (en) 2014-06-06 2015-12-09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compounds
EP2952506A1 (en) 2014-06-06 2015-12-09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and imidazole compounds
RU2707051C2 (ru) 2014-10-24 2019-11-21 Басф Се Неамфолитные, кватернизируемые и водорастворимые полимеры для модифицирования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заряда твердых частиц
EP3111763A1 (en) 2015-07-02 2017-01-04 BASF Agro B.V. Pest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a triazole compound
CN107488608B (zh) * 2017-06-08 2020-07-10 北京理工大学 一株微白黄链霉菌z9及其在防治向日葵菌核病的应用
RU2695157C1 (ru) * 2018-04-13 2019-07-22 Лилит Норайровна Григорян Штамм streptomyces carpaticus для защиты от насекомых-вредителей, грибных, вирусных болезней и стимуляции роста томатов
EP3628158A1 (en) 2018-09-28 2020-04-01 Basf Se Pesticidal mixture comprising a mesoionic compound and a biopesticide
RU2737140C1 (ru) * 2019-12-13 2020-11-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Казанский ГАУ) Штамм бактерий streptomyces resistomycificus recb-31b для получения биопрепарата для защиты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растений от фитопатогенных грибов, стимуляции их роста и повышения урожайност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0560A (en) * 1957-08-23 1964-12-08 Upjohn Co Streptolydigin and production thereof
US3395220A (en) * 1965-02-23 1968-07-30 Upjohn Co Antibiotic lydimyci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ing streptomyces lydicus
US4053627A (en) * 1975-09-10 1977-10-11 Stauffer Chemical Company Controlled release system for juvenile hormones in aqueous environment
FI821099A0 (fi) * 1982-03-30 1982-03-30 Risto Tahvonen Fungistatiskt foerfarande
US4534965A (en) * 1983-09-26 1985-08-13 Chevron Research Company Controlling plant fungi using streptomycetes grown on chitin
US4668512A (en) * 1985-03-20 1987-05-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Preparation of pellets containing fungi and nutrient for control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US5549889A (en) * 1992-04-13 1996-08-27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Inc. Nematocidal and fungicidal Streptomyces dicklowii biopestic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424A (zh) 1996-07-10
AU7253194A (en) 1995-01-24
RU2127521C1 (ru) 1999-03-20
GR3030695T3 (en) 1999-11-30
DK0706321T3 (da) 1999-10-18
PL312385A1 (en) 1996-04-15
ES2132416T3 (es) 1999-08-16
ATE178457T1 (de) 1999-04-15
SG49012A1 (en) 1998-05-18
AU684809B2 (en) 1998-01-08
CN1113604C (zh) 2003-07-09
US5403584A (en) 1995-04-04
JP3612071B2 (ja) 2005-01-19
JPH09500268A (ja) 1997-01-14
NZ269070A (en) 1997-09-22
KR960703318A (ko) 1996-08-17
WO1995001099A1 (en) 1995-01-12
EP0706321B1 (en) 1999-04-07
DE69417750D1 (de) 1999-05-12
PL175708B1 (pl) 1999-01-29
EP0706321A1 (en) 1996-04-17
DE69417750T2 (de) 1999-12-23
CA2166096C (en) 1999-06-08
PH30701A (en) 1997-09-16
MY111006A (en) 199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125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108을 사용하여 식물병원체를 억제시키는 방법
US5968503A (en) Use of streptomyces bacteria to control plant pathogens and degrade turf thatch
EP3044307B1 (en) Isolated strain of clonostachys rosea for use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CN111254086B (zh) 一株贝莱斯芽孢杆菌及其在生防中的应用
CA2216794C (en) Use of streptomyces bacteria to control plant pathogens and degrade turf thatch
MX2008002208A (es) Atributos de endofitos de hierba mejorados.
JP2001503642A (ja) 植物の真菌感染の生物学的コントロール
HU220582B1 (hu) Készítmény és eljárás növénybetegségek elleni védelemhez
Harris et al. Versatility of Fungal and Bacterial Isolates for Biological Control of Damping-Off Disease Caused byRhizoctonia solaniandPythiumspp.
KR100361473B1 (ko) 식물질병을생물학적으로제어하기위한미생물
KR100294023B1 (ko) 작물의병해방제용균주,이를함유하는미생물제제및그용도
JPH10276579A (ja) バチルス属微生物を用いた植物の生長促進剤および生長促進方法
KR0165895B1 (ko) 농작물의 생자극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ncimb 40227
KR100314323B1 (ko) 작물의 병해 방제용 균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그 용도
FI101631B (fi) Cliocladium catenulatum -sienikannat kasvitautien biologiseen torjunta an
JP4969961B2 (ja) 新規糸状菌を利用した植物の土壌伝染性病害防除資材
KR20200078168A (ko) 식물 주요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슈도모나스 프레데릭스버겐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Hatem et al.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some Botanical Oils in Controlling wilt and Root Rot Disease in Pepper Plant Caused by Fusarium solani
KR100361135B1 (ko) 식물병원균의 길항미생물,이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제제 및 이것을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방법
JP5001518B2 (ja) フザリウム菌株を用いた植物病害防除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除方法
CN114774290A (zh) 一种白僵菌微生物制剂及其应用
KR20010109531A (ko) 식물병원균의 길항미생물, 이것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것을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방법
MXPA96002967A (es) Microorganismos para el control biologico de lasenfermedades de las plantas
MXPA97007514A (en) Use of bacteria streptomyces to control pathogens in plants and degradate the straw of 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