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531A - 식물병원균의 길항미생물, 이것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것을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식물병원균의 길항미생물, 이것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것을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531A
KR20010109531A KR1019980054045A KR1998054045A KR20010109531A KR 20010109531 A KR20010109531 A KR 20010109531A KR 1019980054045 A KR1019980054045 A KR 1019980054045A KR 1998054045 A KR1998054045 A KR 1998054045A KR 20010109531 A KR20010109531 A KR 20010109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in
microbial
soil
pesticide
antibio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륜
김중환
이경우
류기중
Original Assignee
정영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륜 filed Critical 정영륜
Publication of KR20010109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53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틴분해능과 항생물질 생성능을 함께 가지는 미생물로 이루어지는 미생물 농약 제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균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는 Fusarium oxysporumm, F. solani, Rhizoctonia solani 등 주요 토양병원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환경친화적인 무공해 농약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병원균의 길항미생물, 이것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것을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 방법
본 발명은 식물병원균에 대한 길항미생물, 미생물을 이용한 제제 및 그를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생물학적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식물의 토양병을 포함한 주요 병 방제를 위하여 길항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는 환경친화적인 농업기술로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병원균 중에서도 식물병원성 진균, 세균 및 선충에 관한 생물학적 방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고, 그중 토양전염 병원진균인 Rhizoctonia solani, Pythium sp.에 의한 병의 방제용 미생물 농약은 여러 종류가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시들음병과 같이 F. oxysporum에 의한 식물병은 그 피해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상용화된 미생물 농약이 없다.
길항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방제는 주로 이들 미생물이 생산하는 항생물질에 의한 항생작용, 세포벽 분해효소에 의한 기생 또는 포식작용 그리고 영양분 또는 거점(niche) 경쟁 등을 통한 병원균의 밀도감소 또는 발병능력감소와 비병원성 또는 약병원성 균주를 이용한 교차보호(cross protection) 등이 주요 기작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 길항미생물이 병원균의 세포벽 분해효소를 분비하여 병균을 억제하는 기작은 많이 연구되어 있는데 특히 Thichoderma sp.가 분비하는 키티네이즈 (chitinase)의 작용에 관한 것이 많다. 대부분의 식물병원진균 세포벽이 주요 성분으로 키틴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Thichoderma sp.가 광범위하게 병원진균을 억제 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특정 작용기작을 가진 길항미생물을 토양에 처리하여 생물학적 방제를 시도하였으나 지금까지는 처리된 길항미생물이 미세서식처(microsite)에서 주위 다른 미생물과의 경쟁이나 나쁜 환경에서 충분한 기간 동안 살아남지 못하였으므로 Fusarium wilt 같이 발병기간이 긴 병원균의 방제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기 첨가물을 넣어 제제화하는 것이 시도되었으나 이 경우에도 첨가물의 용량이 너무 많아 어려움이 많았고, 길항균 또한 대량배양이 쉽지 않은 진균이라 실제 상업화하기는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한국특허출원 97-26538호에서 키틴분해 세균(chitinolytic bacteria)을 선발하여 생물학적 방제에 이용하였으며, 이때 이 세균을 선택적으로 증식시키기 위하여 키틴 또는 키토산(chitosan)을 첨가하여 제제화하는 것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키틴 분해능만으로는 병원균 억제력이 약하여 상용화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방제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한편, Fusarium oxysporum은 불완전균류에 속하는 다범성 병원균으로서 온대지역 및 온실재배 지역의 대부분의 채소, 화훼 및 목화, 담배, 커피나무 등 수많은 종류의 1년생, 다년생 식물에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다. 상기 진균에 의한 오이, 수박, 토마토 등의 시들음병은 현재 효과적인 방제법이 없으며 이 병에 저항성인 품종을 사용하거나 또는 접목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키틴분해성과 동시에 항생물질을 분비하는 능력이 있는, 토양 전염 식물병원균에 대한 길항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토양 전염 식물병원균의 방제효과가 뛰어난 미생물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토양 전염 식물병원균의 길항미생물을 이용한 토양 전염 식물병원균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토양 전염 식물병원균의 길항미생물을 이용하여 토양 전염 식물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오이덩굴쪼김병에 대한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의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키틴분해능과 항생물질 생성능이 우수한 새로운 미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키틴분해능은 키틴, 키토산,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을 구성하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항생물질 생성능은 식물 병원균을 사멸시키거나 약화시킬 수 있는 항생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키틴분해능과 항생물질 생성능력이 우수한 미생물로 이루어지는 식물병원진균에 대한 방제효과가 좋은 우수한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제는 미생물 농약 또는 미생물 비료 등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키틴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미생물 농약으로 사용하는 경우, 실제로 토양에 처리하였을 때 식물병원성 진균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미생물 농약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토양 전염 식물병원균의 세포벽을 분해시킬 수 있는 키틴분해능과 함께, 병원균을 약하게 할 수 있는 항생물질을 동시에 분비하는 미생물을 사용하는 경우 병원균 증식 억제 및 사멸 효과가 월등히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 예로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는 미생물 농약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농약은 키틴분해능뿐 아니라 항생물질 생성능력이 우수한 미생물 외에, 추가로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담체로는 키틴, 키토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물에 녹는 키틴, 키토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담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키틴, 키토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담체로 사용하는 경우,토양을 미생물 농약으로 처리하였을 때 토양에서 길항 미생물이 선택적으로 증식될 수 있으므로 미생물 농약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 농약은 이러한 담체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미생물 농약의 저장성을 개선할 수 있는 물질 예를 들어 피트 모스(peat moss), 지올라이트 (zeolite), 탈크(talc) 및 카올리나이트(kaolinite), 점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농약은 미생물 농약의 활성을 유지 개선할 수 있는 물질 또는 미생물 농약의 저장을 위해 필요한 물질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농약은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 또는 기타 식물병원성 진균방제를 위한 유효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는 미생물 비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비료는 키틴분해능뿐 아니라 항생물질 생성능력이 우수한 미생물 외 에, 추가로 식물의 성장에 유용한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은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제 방법은 다양한 실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제 방법은 식물, 예를 들어 감자, 오이, 수박 등을 파종하기 전에 종자를 미생물 농약의 현탁액에 침지한 후 파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식물을 파종할 토양에 키틴, 키토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공급 후에 식물을 파종하거나, 식물 파종 후에 토양에 추가로 키틴, 키토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방제 방법은 식물 병원균 길항 미생물을 함유하는 미생물 농약을 식물 파종 전 또는 파종 후에 배양상토 또는 토양에 섞어 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필요한 경우, 미생물 농약 처리 전, 후 또는 미생물 농약 처리와 동시에 토양에 키틴, 키토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미생물 농약이 키틴, 키토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와 같은 담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이와 같이 토양에 별도로 키틴, 키토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미생물 농약을 식물의 재배 기간 중에 식물의 지상부 예를 들어, 잎, 과일, 열매에 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미생물 농약을 식물의 수확 후 그 식물에 처리하는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을 키틴분해능과 항생물질 생성능을 함께 가지는 미생물을 함유하는 제제를 처리한 토양 또는 배지에서 1차 배양한 후 그 식물을 2차 배양 토양, 즉 포장 또는 배지에 옮겨심어 배양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토양 전염 식물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제제를 처리한 묘판에 식물을 재배함으로써 식물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본포에서의 식물병원균 발병율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식물 종류에 관계없이, 묘판에서 1차 배양한 후 본포에 옮겨심어 재배하는 식물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 본 발명은 키틴분해능과 항생물질 생성능을 함께 가지는 미생물을 함유하는 제제를 처리한 벼 육묘상에서 재배한 벼 유묘를 본포에 이앙하여 재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식물병원균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벼는 발아한 벼 종자를 작은 면적의 육묘상에서 재배하여 유묘를 얻은 후 이 유묘를 논에 이앙하여 재배한다. 벼 재배시 병원균에 의한 다양한 피해를 방제하기 위하여 벼 재배 논 전체를 대상으로 방제하여야 하므로 농약 살포량이 많아지며, 따라서 농약값이나 인건비 등 비용이 많이 발생할 뿐 아니라 농약 처리 면적이 많아짐에 따라 환경 오염에 심각한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본포인 논 전체를 처리 대상으로 할 필요가 없이 벼 육묘상에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제제를 처리함으로써 앞집무늬마름병과 같이 벼 재배에 치명적인 질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므로 농약살포에 따른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환경 오염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길항미생물 분리
키틴분해능 및 항생물질 생산능이 있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전라남도, 충청북도, 제주도 지역에서 토양 및 퇴비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토양으로부터, 0.1 Tryptic Soy Agar(TSA, Difco) 배지와 PDA 배지(감자 300g, 포도 당 20g, 한천 18g, 증류수로 1L 맞춤)를 이용하여 균총모양이 특이한 미생물을 1차로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들 중 PDA배지에서 병원균에 대한 길항력을 나타내고 성장속도가 빠른 균주를 2차로 선발하고, 이들을 무기염류 배지(MgSO4·7H2O 0.5g, K2HPO40.7g, KH2PO40.3g, FeSO4·7H2O 0.01g, ZnSO40.001g, MnCl20.001g, pH 7.0, Agar 15g, 증류수로 1L 맞춤)에 팽윤시킨 키틴 0.05%(w/v)를 혼합한 콜로이드 키틴배지에 도말하여 배양한 후 투명한 존의 형성 유무로 키틴분해 활성을 검정하였다.
분리된 세균의 길항력 검정은 병원균과의 대치배양방법에 의하여 수행하였다. 병원균으로는 Fusarium oxysporum와 Rhizoctonia solani를 사용하였다. TSA와 PDA 배지 중앙에 각 진균 균사 디스크를 놓고 양쪽에 흡광도 0.5 정도의 농도로 조정된 길항균 현탁액을 직경 5mm의 페이퍼 디스크에 50㎕씩 접종한 후 28℃ 항온기에서 2~14일 동안 배양하면서 길항세균에 의해 형성된 균사생장억제 거리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제 토양에서 식물병원균에 대한 생장억제 효과가 우수하며 생장속도가 빠른 균주 #730에 대하여 항생제 저항성을 시험하였다. 표 2에 표시된 항생제가 50 ppm 포함된 각각의 배지에서 #730 균주의 생장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730의 형태적 특성 및 생리학적 특성을 각각 표 3과 표 4에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에 의해 본 발명 균주 #730은 Paenibacillus 속으로 동정되었다. #730을 Paenibacillus sp. YC730으로 명명하고 1998년 5월 7일자로 대한민국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52번지에 위치한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KCTC)에 기탁번호 KCTC 0467BP로 기탁하였다.
균주 #730의 지방산 조성분석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Paenibacillus 속 미생물의 주요 지방산은 anteiso-15:0 가 32-81% 정도로 알려져 있다.
[실시예 2] 길항 미생물 제제 제조
분리된 길항미생물 균주(#76, #224, #233, #398, #636, #639, #701, #730)을 각각 0.5 TSB(Tryptic Soy Broth, Difco) 5㎖에 접종하여 28℃에서 12시간 동안 진탕배양한 후, 0.5 TSB 500㎖에 접종하여 28℃에서 2일 동안 진탕 배양(150rpm)하였다. 이 때의 각 길항미생물 밀도는 1010~1012cfu/ml 이었으며, 배양액을 7,000g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균체를 수확하였다.
0.1N의 초산 또는 염산용액을 이용하여 2% (w/v) 농도의 키토산 수용액을 만들었다. 증류수로 0.5%로 희석된 키토산 용액 10㎖에, 앞에서 배양한 각 길항미생물의 균체를 증류수 10 ml에 현탁하여 얻은 각 세포 현탁액 5㎖과, 지올라이트 4g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실시예 3] 미생물 제제의 오이덩굴쪼김병 방제효과
병원균 Fusarium oxysporum의 접종원을 만들기 위하여 유기물이 풍부한 밭토양 500g, 잘게 썬 감자조각 50g과 증류수 50ml을 함께 혼합하여 2L 삼각플라스크에 담고 121℃에서 1시간 동안 2번 멸균한 뒤 PDA에서 5일간 배양한 F. oxysporum 균사디스크 10개를 무균적으로 접종하고 간혹 섞어주면서 28℃에서 14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배양물을 그늘에서 건조하여 막자사발로 가볍게 분쇄한 후 체로 걸러 1-2 mm 크기의 입자를 모아서 4℃에서 보관하면서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제조된 접종원 3g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조제된 각 미생물 제제 6g을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배양상토(부농) 1kg에 접종하여 직경 10cm의 플라스틱 폿트에 넣었다. 폿트 5개에 오이(품종: F1 summer long, 서울종묘) 종자를 각각 5개씩 파종한 후 파종된 폿트를 낮/밤 온도가 28℃/24℃, 형광등과 백열등으로 광량이 조절되는 식물생육상에 넣고 재배한 후 30일 뒤에 발병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때 식물생육상의 습도는 70% 정도로 유지시켰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조제된 미생물 제제 6g과 병원균 접종원 3g을 배양상토 1kg에 접종하여 식물생육상에 넣은 뒤 4일 후에 파종하여 30일 간 둔 뒤에 전형적인 시들음 증상을 보이는 오이 숫자를 조사하였다. 발병율은 전체 오이숫자에 대한 발병숫자를 %로 나타냈고, 제제의 방제가는 하기식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미생물 제제의 무 모잘록병 방제효과
무 모잘록병 병원균인 Rhizoctonia solani 접종원을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미생물 제제 6g 과 병원균 접종원 2g을 배양상토 1kg에 혼합하여 한 변이 5cm인 정사각형 프라스틱 폿트에 섞어 넣은 뒤 4일 후에 무 종자를 파종하였다. 폿트 한칸에 종자 10개씩 4칸에 파종하여 온실에서 10일 동안 둔 후 발병조사를 하였으며 병조사는 1-4 (1; 건전, 2; 줄기에 병반만 있음, 3; 줄기병반에 의해 쓰러짐, 4; 발아전에 썩어 발아 못함) 기준으로 조사하고 이 값을 %로 환산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담체에 따른 오이덩굴쪼김병 방제 효과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균주 #398과 #730을 배양하여 얻은 세균균체와, 담체로 키토산 용액, 콜로이드 상태의 키틴, 피트 모스, 지올라이트, 탈크, 카올리나이트 중의 1 종류를 혼합하여 길항미생물 제제를 만들었다. 키토산 용액은 0.1N의 초산 또는 염산용액을 이용하여 2% (w/v) 농도의 수용액을 만들었다. 증류수로 0.5%로 희석된 키토산 용액 10㎖에, 앞에서 배양한 각 길항미생물의 균체를 증류수 10 ml에 현탁하여 얻은 각 세포 현탁액 5㎖과, 피트모스, 지올라이트, 탈크, 카올리나이트 중 하나를 4g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혼합된 현탁액을 동결건조한 후 4℃에서 완전히 밀봉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병원균인 F. oxysporum 접종원을 제조하고, 오이덩굴쪼김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재배 30일 째에 전형적인 시들음 증상을 보이는 오이 숫자로 발병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때 식물생육상의 습도는 70% 정도로 유지시켰다. 발병율은 전체 오이숫자에 대한 발병숫자의 %로 나타내었다. 실험결과를 도 1 및 표 7 에 나타낸다. 미생물 제제의 담체로 피트 모스 또는 지올라이트 만을 사용하였을 때는 발병율이 각각 31.0%, 32.6%였으나 키토산을 2,500ppm 첨가하였을 때는 발병율이 22.4%, 18.6%로 낮아졌다. 도 1에서 Fo: 미생물 제제 무처리(병원균만 처리), A+F: 길항균 현탁액+병원균 처리, PA+F: 길항균현탁액+피트 모스+병원균 처리, PAC+F: 길항균현탁액+피트 모스+키토산+병원균 처리를 나타낸다.
각 제제별로 키틴분해능 길항미생물 밀도를 조사한 결과, 처리 초기에는 상토 1g 당 밀도가 1.7-1.9 x 109이었으나 키토산이 첨가되지 않은 제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점점 그 밀도가 낮아져 1.1 x 108가 된 반면에 키토산 첨가 제제는 5.5 x 108로 밀도가 높게 유지되었다 (표 8).
또 길항미생물 제제의 처리량을 상토 1kg 당 1, 2, 4, 6, 8, 10, 12g으로 증가시켰을 때 처리량이 늘어남에 따라 방제가가 각각 38.9, 47.1, 58.8, 71.4, 73.5, 75.9, 75.7%로 증가하였다.
길항미생물 제제의 효과 지속 정도를 알기 위하여 배양상토에 처리 후 기간별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제제의 안정성을 알아보았으며, 표 9에서 사용된 제제는 모두 냉장상태 또는 실온에서도 45일 후까지 안정하였고 90 및 180일까지도 60-70%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실시예 5] 미생물 제제의 감자 흑지병, 역병 및 싹 썩음병 방제효과
#398, #730을 사용하여, 감자를 식부한 제주도 지역 포장에서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생물 제제의 처리구에서는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감자 흑지병과 Phytophthora infestans에 의한 역병의 발생율이 무처리에 비해 평균 30% 더 낮았다. 또한 제주도 전역에 발병이 심한 싹썩음병의 경우 미생물 제제를 종서침지 또는 토양혼합 방법으로 처리한 곳에서는 발병율이 각각 9.3%, 8.8%로 무처리구의 30.8%에 비해 현저히 억제되어 평균 70%의 방제가를 보였다 (표 11).
[실시예 6] 미생물 제제의 무 모잘록병 방제효과
무 모잘록병 병원균 Rhizoctonia solani 접종원을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미생물 제제 2-6g 과 병원균 접종원 2g을 배양상토 1kg에 혼합하여 한변이 5cm인 정사각형 프라스틱 폿트에 섞어 넣은 뒤 4일 후에 무 종자를 파종하였다. 폿트 한칸에 종자 10개씩 4칸에 파종하여 온실에서 10일 동안 둔 후 발병조사를 하였으며 병조사는 1-4 (1; 건전, 2; 줄기에 병반만 있음, 3; 줄기병반에 의해 쓰러짐, 4; 발아전에 썩어 발아 못함) 기준으로 조사하고 이 값을 %로 환산하였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항생물질에 의한 주요 식물병원균 억제효과
길항미생물의 항진균력 검정을 위하여 본 연구실에서 분리 또는 확보하여 보관 중인 Fusarium oxysporum 외 Pythium ultimum, Rhizopus sp. 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sclerotiorum, Alternaria alternata, Botrytis cinerea, Botryosphaeria dothidea, Colletotrichum lagenarium, Magnaporthe grisea를 이용하였다. 길항미생물 #398, #701, #730 균주를 소이빈 밀(soybean meal) 배지(덱스트로오스 5g, 효모 추출물 4g, 소고기 추출물 1g, 전분 20g, 소이빈 밀 분말 25g, K2HPO40.1g, NaCl 2g, 증류수 1L)에서 30℃, 180rpm으로 2일 간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여액 50 ml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한 후 그 상등액을 같은 부피의 부탄올로 3번 추출하여 말린 후 다시 2ml 부탄올에 녹여 이 용액을 직경 5 mm 여과지에 50 ㎕씩 올린 후 실시예 1에 기술한 방법으로 주요 식물병원진균에 대한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주요 병원균의 균사 생장을 대부분 25-30mm 정도로 강력하게 억제하였으나 Pythium ultimum 은 억제하지 못하였다 (표 13).
[실시예 8]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으로 길항 미생물 #730를 함유하는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 미생물 제제를 논토양에 10 g/kg 으로 섞어 육묘 상토를 준비하였다. 물에 3일간 침지시켜 발아하기 시작한 벼(일미벼) 종자를 위 제제가 처리된 토양이 담긴 육묘판 (30 x 60 cm) 3개에 파종하여 온실에서 13일간 재배하여 유묘를 논으로 이앙시켜 재배하였다. 미생물 제제를 혼합하지 않은 육묘 상토가 담긴 육묘판에 파종한 구를 대조구로 하였다. 각 시험구당 벼를 20 포기씩 심었다. 1포기는 평균 20 개의 줄기로 구성되었다. 논에 이앙 후 105일 재배 후에 잎집무늬마름병의 발병율을 조사하였다. 발병율은 총 40여개의 조사 줄기 중 잎집무늬마름병에 걸린 줄기수를 %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61.5%의 발병율을 보인데 비하여 처리구에서는 평균 30.3%의 발병율을 보여 약 50.7%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및 미생물 농약을 사용하여 식물병원성 진균 특히 F. oxysporum, F. solani 및 R. solani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병의 진전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0)

  1. 키틴분해능 및 항생물질 분비성이 있는 Paenibacillus sp. YC730 (기탁번호 KCTC 0467BP호).
  2. 키틴분해능과 항생물질 생성능을 함께 가지는 미생물을 함유하는 농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이 추가로 키틴, 키토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농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이 추가로 상기 농약의 저장성을 개선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농약.
  5. 식물의 파종 전, 후 또는 식물의 파종과 동시에 토양에 키틴분해능과 항생물질 생성능을 함께 가지는 미생물을 함유하는 미생물 농약을 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식물병원균 방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농약을 다른 종류의 화학살균제, 살충제 및 병원균 발병억제 목적으로 사용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과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농약을 토양에 처리하기 전, 후 또는 상기 미생물 농약 처리와 동시에 토양에 키틴, 키토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공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제 방법.
  8. 식물의 지상부에 키틴분해능과 항생물질 생성능을 함께 가지는 미생물을 함유하는 미생물 농약을 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식물병원균 방제 방법.
  9. 식물을 키틴분해능과 항생물질 생성능을 함께 가지는 미생물을 함유하는 제제를 처리한 토양 또는 배지에서 1차 배양한 후 그 식물을 2차 배양 토양 또는 배지에 옮겨심어 배양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토양 전염 식물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하여 병을 방제하는 방법.
  10. 키틴분해능과 항생물질 생성능을 함께 가지는 미생물을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를 처리한 벼 육묘상에서 재배한 벼 육묘를 본포에 이앙하여 재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식물병원균 방제 방법.
KR1019980054045A 1998-08-06 1998-12-08 식물병원균의 길항미생물, 이것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것을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방법 KR200101095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469 1998-08-06
KR1998032469 1998-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531A true KR20010109531A (ko) 2001-12-12

Family

ID=4586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045A KR20010109531A (ko) 1998-08-06 1998-12-08 식물병원균의 길항미생물, 이것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것을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95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025B1 (ko) * 2002-03-15 2004-11-12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식물병 방제활성을 갖는 항진균 물질을 생성하는 패니바실러스 에스디 17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1498155B1 (ko) * 2012-07-13 2015-03-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속 균주를 이용한 감자 생산 증진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025B1 (ko) * 2002-03-15 2004-11-12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식물병 방제활성을 갖는 항진균 물질을 생성하는 패니바실러스 에스디 17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1498155B1 (ko) * 2012-07-13 2015-03-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속 균주를 이용한 감자 생산 증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7077B1 (ko) 항균성 미생물제제, 그 제조방법 및 처리방법
KR100331125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108을 사용하여 식물병원체를 억제시키는 방법
KR101010762B1 (ko) 연작 오이와 수박의 시들음병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균주 및 그것의 미생물 유기질 비료
AU2002227228B2 (en) Bacterial inoculants for enhancing plant growth
Anitha et al. Control of Fusarium wilt of tomato by bioformulation of Streptomyces griseus in green house condition
CN105705629B (zh) 用作生物防治剂的粉红粘帚霉的分离株
EP2255660B1 (en) Biocontrol agent against soil-borne diseases
KR100868901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
HU220582B1 (hu) Készítmény és eljárás növénybetegségek elleni védelemhez
KR100397796B1 (ko) 항균성 미생물제제와 그의 용도
KR100294023B1 (ko) 작물의병해방제용균주,이를함유하는미생물제제및그용도
KR100746310B1 (ko) 풋마름병 방제 효과를 갖는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kpb3종
JP2004137239A (ja) 土壌病害防除剤および土壌病害防除方法
US5194258A (en) Production of enhanced biocontrol agents
KR100566264B1 (ko) 신규 식물 내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슨스 엠씨3101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CN116918832A (zh) 一种复合生防菌剂、制备方法、应用与应用方法
EP1387613A1 (en) Biological control of soil dwelling pests
KR100566265B1 (ko) 신규 식물 외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KR20050034000A (ko) 병원성 진균에 길항력을 가지는 신규의 식물 내생 세균인버크홀더리아 비에나멘시스 엠씨1404 및 이를 함유하는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KR100314323B1 (ko) 작물의 병해 방제용 균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그 용도
KR100479925B1 (ko) 길항 미생물 바실러스속 비아이지21003과 그것을 함유한 펠릿 종자의 제조방법
EP0544039B1 (en) Production of enhanced biocontrol agents
KR100361135B1 (ko) 식물병원균의 길항미생물,이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제제 및 이것을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방법
KR101317578B1 (ko) 근권세균 또는 이에 의해 형성되는 휘발성 화합물 2,4­디­터­부틸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 생장과 성숙 촉진용 조성물
KR20010109531A (ko) 식물병원균의 길항미생물, 이것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것을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