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265B1 - 신규 식물 외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 Google Patents

신규 식물 외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265B1
KR100566265B1 KR1020030069749A KR20030069749A KR100566265B1 KR 100566265 B1 KR100566265 B1 KR 100566265B1 KR 1020030069749 A KR1020030069749 A KR 1020030069749A KR 20030069749 A KR20030069749 A KR 20030069749A KR 100566265 B1 KR100566265 B1 KR 100566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ght
pseudomonas putida
microbial
agent
cuc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3999A (ko
Inventor
송완엽
이숙경
이정숙
Original Assignee
(주) 엠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엠솔 filed Critical (주) 엠솔
Priority to KR102003006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2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3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2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38Pseudomonas
    • C12R2001/40Pseudomonas putida

Abstract

본 발명은 광범위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신규 식물 외생 세균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 살균제에 관한 것이다.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균주는 식물에 외생하는 미생물로써 분리 균주들 중 항균 스펙트럼을 통해 선발되었고, 생리 생화학적인 시험과 MIDI분석결과에 의해 동정되었다.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균주는 대부분의 시설재배 및 노지재배에서 문제시되는 병원 진균인 토마토 시들음병, 수박 역병, 감자 역병, 오이의 덩굴쪼김병, 입고병, 인삼 뿌리썩음병, 입고병, 고추 역병,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도열병, 이삭마름병, 적미병 등에 대하여 억제 효과를 가지나 특히 잎, 열매와 같은 엽권에 문제시되는 작물의 병원 진균인 잿빛곰팡이병(토마토, 가지, 장미, 딸기, 인삼), 탄저병 (고추, 수박, 오이, 가지, 토마토, 장미 및 화훼류), 반점병(인삼, 복분자, 오이류)에 강한 항진균 활성 스펙트럼을 가지는 미생물이다.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미생물, 균주

Description

신규 식물 외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Biocontrol of plant diseases using novel epiphytic isolate of Pseudomonas putida CB11}
본 발명은 미생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 병원성 진균에 대해 광범위한 길항능력을 가지는 신규의 식물 외생성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에 관한 것이다.
원래 자연 생태계에는 어떤 한 가지 생물 집단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여러 가지 견제 장치가 있다. 그들은 포식자이거나 기생자, 경쟁자, 길항자, 억제자 등으로 존재하고 같은 종끼리는 서로 모이게 하거나 분산시키는 통신물질도 가지고 있다.
생물의 종류로 보면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원생동물 같은 미생물과 곤충, 거미류, 선충, 조류 등 다양한 생물이 있다. 이러한 생물자원 중에서 억제능력이 우수한 것을 선발하여 화학농약을 대신하여 병이나 해충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도록 개발한 것이 미생물 살균제다.
미생물 살균제는 자연계에 이미 존재하였던 것이어서 그들의 생존이나 증식 이 자연의 질서에 의해서 조절되므로 더 이상의 해나 잔류의 문제도 없다. 또한 기주와 기생자, 먹이와 포식자, 경쟁자의 관계가 성립될 때만 방제가 가능하므로 목적 외의 생물에게는 피해가 없다.
농업이 발전된 대부분의 국가들이 지난 50년 동안 화학농약에 전적으로 의존해 왔지만 환경을 보존하고 가꾸는 일이 농산물로 얻은 경제적 이익보다 더 중요시되는 오늘에 와서는 생물농약에 더 무게를 두고 보다 많은 작물에 적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1927년 미국에서 감자 더뎅이병 방제용으로 방선균을 이용한 것이 최초이며, 1960년 이후부터 농약의 형태로 실용화되기 시작하였고, 일본에서는 1962년에 담배 허리마름병에 Trichoderma 생균 제제를 시초로 이후에 많은 제품이 미국에서 개발되었으며 대부분의 실용화 제품이 육묘중 발생되는 입고병 방제용으로 개발되었다.
병해 방제용 생물농약 중 가장 획기적인 성공 제품으로는 각종 작물 특히 다년생 목본류의 뿌리에 발생되고 있는 뿌리혹 세균병(Crown gall)에 길항미생물인 Agrobacterium radiacter strain 84 및 K1026균주를 이용한 Galltrol, Dygall, Nogall, Bakuterozu 제품이 있다. 현재의 유기합성농약이 모든 세균병에 효과가 저조하나 특히 뿌리혹 세균병은 유기합성농약 효과를 전혀 볼 수 없는데 비해, 이 미생물농약은 확실한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방제제로 이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미생물 자체를 이용하거나, 미생물이 생산하는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국내의 연구 및 개발은 외국에 비해 30∼50년 뒤늦은 1980년대에 기초적 연구 가 수행되어 왔으며, 전문가가 부족한 실정과 체계가 갖춰져 있지 않은 상황에 의해 실용화되고 있는 제품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최근에 체계적인 연구실과 전문가들에 의해 꾸준한 노력에 따라 연구역사에 비해 연구수준은 많이 향상되어 좋은 결과가 이루어지고 있다. 미생물자체를 이용하여 병해방제용으로 연구된 것으로는 1985년부터 국가연구기관 및 대학의 병리학자를 주축으로 담배의 모자이크병(TMV), 세균성마름병(Bacterial wilt), 오이의 시들음병(Fusarium wilt), 고추의 역병(Phytophthora blight), 딸기의 시들음병, 눈마름병(Rhizoctonia bud rot), 사탕무우의 입고병(Damping-off), 벼의 도열병, 문고병 방제 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최근 작물을 재배하는데 있어 문제시되는 병해로는 시설재배에서는 탄저병, 반점병, 시들음병, 잿빛 곰팡이병, 흰가루병 등이 있고, 벼에서의 도열병, 문고병, 이삭마름병이 문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미생물 살균제와 관련된 균주들은 대부분 토양에서 분리된 것 위주로 사용되고 있어서 문제시되는 병에 사용하였을 경우 엽권에서의 정착 능력에 문제가 있어 실효를 거두기가 어려웠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생물의 서식 및 적응된 위치가 토양이 아닌 식물의 잎이나 과실에 존재하면서 잎과 과실 병원균에 길항능력을 가지는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균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 병원성 진균에 대해 광범위한 길항능력을 가지며, 특히 잎, 과실과 같은 엽권에 문제시되는 진균에 강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신규의 식물 외생 세균인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및 이를 함유하는 식물 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살균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토양에서 문제시되는 진균뿐만 아니라 잎, 과실과 같은 엽권에 문제시되는 진균에 강한 항진균 활성 스펙트럼을 가지는 신규의 외생 세균인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균주를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균주는 국내의 식물 잎에서 분리한 세균으로서 각종 식물에 대해 비병원성이다.
본 발명의 상기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균주는 고추, 장미, 인삼, 복분자 등과 같은 잎과 열매에 문제시되는 작물의 병원 진균인 토마토, 가지, 장미, 딸기의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인삼, 복분자, 오이류의 반점병(Alternaria panax; 인삼 및 오이류, Sphaerulina rubi; 복분자), 고추, 수박, 오이, 가지, 토마토, 장미 및 화훼류의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과 토양에서 문제시되는 토마토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f. sp. lycolersici), 오이의 덩굴쪼김병(Fusarium oxysporum), 입고병(Pythium ultinum), 인삼의 입고병(Rhizoctonia solani), 뿌리썩음병(Cylindrocarpon destructans), 고추 역병(Phytophthora capsici), 벼의 잎집무늬마름병(Rhizoctonia solani), 도열병(Pyricularia grisea), 이삭마름병(Fusarium rosem) , 적미병(Fusarium moniliforme) 등에 넓은 생육저지 효과가 있으며 특히 잎, 과실과 같은 엽권에 문제시되는 진균 대해 매우 강한 길항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균주는 작물에 문제시되고 있는 주요 병해에 광범위하게 억제 능력을 가지며, 그 중에서도 잎, 과실과 같은 엽권에 문제시되는 진균에 강한 억제 능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균주와 미생물 담체인 바이오그레뉼을 혼합하여 만든 미생물 살균제를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미생물 살균제는 종자코팅제, 바이오상토, 미생물영양제, 토양개량제, 퇴비부숙제, 엽면살포제 또는 관주살포제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병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길항 식물 외생 세균의 분리 및 식별
식물 병원성 진균에 대해 광범위한 길항능력을 가지며, 활성 효과가 우수한 외생 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전라 및 충청 지역의 주요 작물의 잎을 채취하였다. 채집한 잎은 0.02% Tween 20이 포함된 인산 완충액에 침지하여 4℃에서 3시간 동안 150rpm으로 교반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10배수로 희석한 뒤 TSA(Difco) 배지에 도 말 접종하였다.
그 결과로 120개의 대표세균이 분리되었고, 이중 식물 병원성 진균에 강한 길항능력을 나타내는 균주 25개를 1차 선발하였다.
다시 광범위한 항진균 효과 시험 등을 통해 우수한 길항세균 중 세균학적 특성상 같은 종으로 생각되는 CB9, CB11, CB12의 3균주를 선발하였다.
〈실시예 2〉 식물 내에서의 비병원성 검정
분리된 내생 세균이 비병원성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주요 작물인 벼, 토마토, 가지, 오이, 고추, 인삼에 대한 병원성 실험이 수행되었다. 기주 식물은 멸균 토양에 각 작물의 종자를 파종하여 생장상에서 2일 동안 보관하여 발아시킨 후, 26℃, 14시간 광조건과 22℃, 10시간 암조건으로 생육시키면서 준비하였다. 분리된 식물 내생세균인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균주 배양체들은 1×107cfu/ml 농도로 희석한 후 뿌리와 잎에 관주 및 옆면 살포를 통한 접종 후 생장상에서 26℃, 14시간 광조건과 22℃, 10시간 암조건을 반복하면서 배양하면서 2-3주 후에 병원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 균주들인 CB9, CB11, CB12는 잎, 줄기, 뿌리 모두 병징이 발생하지 않아 주요작물에 비병원성임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작물의 주요 병해를 일으키는 곰팡이에 대한 길항 외생 세균의 동정
길항력과 균주의 활성 등의 기준으로 선발된 이들 균주는 Biolog 시험(표1 참조)과 추가적인 시험을 수행하여 이들의 생리화학적 특성을 알아내고 동정하였다.
생리생화학적인 시험 결과 그람 음성의 세균으로 간상형의 편모를 가지고 있으며, 젤라틴을 분해하며, 레반(levan)을 형성하였다. 온도에 의한 영향으로 4℃, 25℃, 37℃에서는 증식이 잘되지만, 40℃에서는 증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형광성 색소를 분비하고, HCN을 형성하지 않았다.
또한, 선발된 길항 외생 세균을 MIDI 분석(표2 참조)과 16S rDNA 염기서열 분석결과(표3 참조) CB9, CB11, CB12 균주는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로 동정되었다.
이들 균주 중 표준균주인 CB11을 농업생명공학연구원 농용미생물보존센터에 2003년 9월 4일자로 수탁번호 KACC 91061호로 기탁하였다.
Figure 112003519163686-pat00001
Figure 112003519163686-pat00002
Figure 112003519163686-pat00003
Figure 112003519163686-pat00004
〈실시예 4〉 각종 식물 병원균에 대한 생육저지 효과 검정
식물병원균으로는 잎과 열매에 문제시되는 작물의 병원 진균인 잿빛곰팡이병, 반점병, 탄저병과 토양에서 문제시되는 토마토의 줄기마름병, 시들음병, 오이의 덩굴 쪼김병, 입고병, 인삼 뿌리썩음병, 입고병, 감자 역병, 고추 역병, 수박 역병,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도열병, 이삭마름병, 적미병의 34종을 사용하였다.
병원성 진균류의 포자 또는 균사 절편이 도말된 PDA(Difco Co) 배지에 길항 식물 외생 세균을 배양한 배양액을 페이퍼 디스크(직경 6mm)에 묻인 후 진균이 도말된 배지 위에 올려놓고 각 병원균의 생육이 잘 되는 온도에서 3∼4일 배양하여 조사하였다. 길항 내생세균이 각 대상 진균에 미치는 영향을 저지원의 직경을 조사한 결과는 표4와 같다.
Figure 112003519163686-pat00005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 길항 외생 세균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로 동정된 균주들과 식물 병원진균의 길항효과에 대한 검정결과 대부분의 병원진균에 대하여 억제 효과를 가지나, 특히 잎, 열매와 같은 엽권에 문제시되는 작물의 병원 진균인 잿빛곰팡이병(토마토, 가지, 장미, 딸기), 탄저병(고추, 수박, 오이, 가지, 토마토, 장미 및 화훼류), 반점병(인삼, 복분자, 오이류)과 토양에서 문제시되는 토마토 시들음병, 오이의 덩굴쪼김병, 입고병, 인 삼의 입고병, 뿌리썩음병, 고추 역병, 감자 역병, 수박 역병,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도열병, 이삭마름병, 적미병 등에 넓은 생육저지 효과가 있으며, 특히 잎, 과실과 같은 엽권에 문제시되는 진균 대해 매우 강한 길항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균주들 중에서도 CB11균주가 억제능력이 가장 강하여 표준균주로 선발되었다.
〈실시예 5〉 미생물 살균제 제조용 바이오 그레뉼 제조
항진균 활성 세균이 처리된 생태계에서 생존을 유지하면서 정착하고 번식하여 목적하는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중단기적으로 이용가능한 영양분, 보호소제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용 특성을 가지는 바이오 그레뉼(Bio-granule)을 제조하였다.
바이오 그레뉼은 흡습제에 식물성 오일류, 영양제,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만들었다. 흡습제로는 고흡습성 수지(acrylic acid-sodium acrylate copolymer)를 사용하였고, 식물성 오일류는 옥수수, 콩, 유채 및 기타의 식물성 종자로부터 추출된 오일을 이용하였으며, 영양제로는 설탕, 펩톤과 유기염류를 사용하였다. 첨가제로는 증량제, UV차단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바이오 그레뉼 제조용 조성성분과 성분량은 표5와 같다.
Figure 112003519163686-pat00006
〈실시예 6〉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을 함유하는 미생물 살균제의 제조
먼저,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을 배양하여 농축하거나 고체배지상에서 배양된 세균의 집락을 인산완충액을 이용하여 수거한 다음 준비하였다. 이어서, 농축된 세균을 영양제와 참가제를 혼합하여 준비하고, 흡습제는 식물성 오일과 혼합하여 준비한 후, 준비된 세균과 영양제 혼합액와 혼합한다.
마지막으로,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의 균체수가 바이오 그레뉼 그람당 108∼109정도되게 혼합하여 여기에 코팅제를 혼합하여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섞는다. 이렇게 만들어진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와 바이오 그레뉼 복합체를 건조하여 적당한 크기의 분말로 제조하여 미생물 살균제를 만들었다.
본 발명의 미생물 살균제를 이용하여 수화제, 입제, 코팅입제 등도 만들 수 있다.
〈실시예 7〉 미생물 살균제를 이용한 코팅 종자의 제조
본 발명의 미생물 살균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코팅된 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에서 만든 미생물 살균제에 전착제(sticker), 증량제 (filler)를 혼합한 후, 종자코팅기계를 이용하여 종자를 펠렛코팅, 필름코팅하거나 두 가지 기법을 동시에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바이오 종자 코팅된 종자를 만들었다.
본 발명의 종자코팅제의 경우 파종하면 흡습제가 토양 수분을 흡수하여 근권에 미생물이 정착하여 개체군 증식에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주어 식물체의 뿌리와 함께 근권에 선점되어 미생물이 효율적으로 병원균의 침입을 막아주면서 유용물질을 분비하여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험예 1〉 미생물 살균제의 안정성 및 성능 조사
(1) 미생물 살균제의 안정성
미생물 살균제의 약효 지속은 미생물의 생존기간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실시예 6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미생물 살균제를 0, 2, 4, 6, 8, 10 및 12개월동안 실온에서 보관하면서 생존하는 세균 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건조되어 보관된 본 발명의 농약은 8개월 이후 기간 동안에도 10%이내의 차이로 회생되어 안정한 결과를 보인다. 항균활성의 결과에 있어서도 변함이 없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2) 미생물 살균제 처리시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균 주의 엽면, 토양생존률
바이오 그레뉼화된 미생물 살균제내의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균주에 대하여 배추 엽면, 배추 근권 토양, 일반 토양에서 1주 간격으로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초기의 생존률에 비해서 2주 후에 2∼18배, 4주 후에는 10∼80배까지 증가하였다.
(3) 미생물 살균제가 처리된 코팅 종자의 발아율 조사
실시예 6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미생물 살균제를 이용하여 코팅한 콩, 오이, 수박, 토마토, 고추 종자들을 100개씩 이용하여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코팅종자의 발아율 및 발아세는 10∼30% 증가하였고, 발아된 유묘의 초세가 미처리된 종자보다 훨씬 강하였다.
(4) 미생물 살균제의 UV에 대한 안정성
실시예 6에서 제조한 미생물 살균제의 UV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햇볕에 6, 12, 24시간 노출시킨 미생물 살균제 내에 함유되어 있는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균주의 생존율은 감소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미생물 살균제는 종자코팅제, 바이오상토, 미생물영양제, 토양개량제, 퇴비부숙제, 엽면살포제 또는 관주살포제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 식물 외생 길항세균인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 균주는 대부분의 시설재배 및 노지재배에서 문제시되는 병원 진균에 대하여 억제 효과를 가지나 특히 잎, 열매와 같은 엽권에 문제 시되는 작물의 병원 진균인 잿빛곰팡이병(토마토, 가지, 장미, 딸기), 탄저병(고추, 수박, 오이, 가지, 토마토, 장미 및 화훼류), 반점병(인삼, 복분자, 오이류)에 강한 길항력을 나타내며,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광범위한 진균에 의한 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5)

  1. 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미생물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수탁번호 : KACC 9106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진균은 잿빛곰팡이병(토마토, 가지, 장미, 딸기), 탄저병(고추, 수박, 오이, 가지, 토마토, 장미 및 화훼류), 반점병(인삼, 복분자, 오이류) 및 토마토의 줄기마름병, 시들음병, 오이의 덩굴 쪼김병, 입고병, 인삼 뿌리썩음병, 입고병, 고추 역병, 감자 역병, 수박 역병,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도열병, 이삭마름병, 적미병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은 미생물농약, 종자코팅제, 바이오상토, 미생물영양제, 토양개량제, 퇴비부숙제, 엽면살포제 또는 관주살포제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
  4. 제 1 항의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CB11을 흡습제인 고흡수성 수지, 식물성 오일류, 영양제, 첨가제와 코팅제를 혼합하여 바이오 그레뉼 복합체를 만들고 건조하여 제조된 미생물 살균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살균제는 수화제, 입제, 코팅 입제, 바이오 상토, 미생물영양제, 식물 생육촉진제, 토양 개량제, 종자 코팅제, 퇴비 부숙제, 엽면 살포제 또는 관주 살포제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살균제.
KR1020030069749A 2003-10-07 2003-10-07 신규 식물 외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KR100566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749A KR100566265B1 (ko) 2003-10-07 2003-10-07 신규 식물 외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749A KR100566265B1 (ko) 2003-10-07 2003-10-07 신규 식물 외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999A KR20050033999A (ko) 2005-04-14
KR100566265B1 true KR100566265B1 (ko) 2006-03-29

Family

ID=3723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749A KR100566265B1 (ko) 2003-10-07 2003-10-07 신규 식물 외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041B1 (ko) * 2007-10-05 2009-05-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스타필로코커스속에 속하는 신규균주 및 그 균주를 포함하는 토마토 또는 감자역병 방제용 조성물
KR101107373B1 (ko) * 2010-02-09 2012-01-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근권세균 슈도모나스 코루가타 균주 ccr80을 포함하는 식물 탄저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저병 방제방법
WO2019144249A1 (es) * 2018-01-25 2019-08-01 Am Ecological S.A. Microorganismos biocontroladores de botrytis
KR102143334B1 (ko) * 2018-12-21 2020-08-11 대한민국 식물 주요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슈도모나스 프레데릭스버겐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2920963B (zh) * 2020-12-23 2022-10-25 南京振旭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治棉花枯萎病的生防菌株、生防菌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671525B (zh) * 2023-02-27 2023-11-24 云南微态源生物科技有限公司 液态复合微生物酵素及其制备方法、液态生物制剂以及它们的应用
CN116548473B (zh) * 2023-07-04 2023-09-05 云南省农业科学院农业环境资源研究所 一种含青岛假单胞菌的组合物及其在花卉病害上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999A (ko)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05629B (zh) 用作生物防治剂的粉红粘帚霉的分离株
KR101073932B1 (ko)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pb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US20170319635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of biocontrol of plant pathogens
AU2018204836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Bacillus strains and methods of use to suppress the activities and growth of fungal plant pathogens
BG61345B1 (bg) Изолати от триходерма,фунгицидни състави,съдържащи тези изолати,и използването им срещу в.сinеrеа и s.sсlеrотiоruм
JP2010540622A (ja) 表面の微生物棲息密度向上させる組成物及びその用途
EP1774854A1 (en) Microbial pesticide inhibiting the outbreak of plant disease damage
KR101250020B1 (ko) 심플리실리움 라멜리콜라 krict3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20140071145A (ko) 신균주인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 ab-1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566264B1 (ko) 신규 식물 내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슨스 엠씨3101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JP5896643B2 (ja) 新規微生物及びこの新規微生物を用いた植物病害防除資材
KR100566265B1 (ko) 신규 식물 외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KR100746310B1 (ko) 풋마름병 방제 효과를 갖는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kpb3종
KR20190136009A (ko) 미츠아리아속에 속하는 균주 및 그 균주를 사용한 미생물 농약
KR101533972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s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토양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KR100294023B1 (ko) 작물의병해방제용균주,이를함유하는미생물제제및그용도
KR20050034000A (ko) 병원성 진균에 길항력을 가지는 신규의 식물 내생 세균인버크홀더리아 비에나멘시스 엠씨1404 및 이를 함유하는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KR102411304B1 (ko) 식물의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잔톡실리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43334B1 (ko) 식물 주요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슈도모나스 프레데릭스버겐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317578B1 (ko) 근권세균 또는 이에 의해 형성되는 휘발성 화합물 2,4­디­터­부틸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 생장과 성숙 촉진용 조성물
KR100314323B1 (ko) 작물의 병해 방제용 균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그 용도
KR101565231B1 (ko) 항균력과 진딧물 기피력을 갖는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 apec154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병방제제
KR101442661B1 (ko) 라이조푸스 올리고스포러스 cs109 및 이를 포함한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DeGenring Effect of Cultivar and Substrate on Efficacy of Biopesticides to Suppress Pythium on Greenhouse Crops
KR100361135B1 (ko) 식물병원균의 길항미생물,이것을 포함하는 미생물제제 및 이것을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