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321B1 - 자동거래장치(atm)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거래장치(atm)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321B1
KR100329321B1 KR1019950000046A KR19950000046A KR100329321B1 KR 100329321 B1 KR100329321 B1 KR 100329321B1 KR 1019950000046 A KR1019950000046 A KR 1019950000046A KR 19950000046 A KR19950000046 A KR 19950000046A KR 100329321 B1 KR100329321 B1 KR 100329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m
passage
medium
carri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971A (ko
Inventor
키무라하루오
미야케이사오
나카노토시히로
네모토유끼히로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33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4Managing the stock of valuable papers
    • G07D11/245Replenish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4Managing the stock of valuable papers

Abstract

영상축적 배송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영상데이타의 시간축 및 화질을 보증하고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영상축적 배송장치는 특수재생 또는 임의의 프레임에서 재생을 개시하기 위해 각 프레임의 영상데이타축적장치내의 저장장소를 나타내는 프레임어드레스테이블, 여러개의 영상축적 배송장치와 여러개의 채널을 접속하는 스위치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갖고, 스위치버스를 거쳐서 영상축적 배송장치간 및 사용자의 영상재생장치간의 데이타전송을 실행하고, 영상데이타를 축적하는 광디스크데이타축적장치에서 시분할로 여러개의 영상데이타를 리드하고, 자기디스크장치 또는 반도체메모리상에 일시적으로 축적한후 각 사용자에게 배송한다.
이러한 장치와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화상데이타의 시간축 및 화질을 보증하고 다수의 사용자에 동시공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거래장치(ATM)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은행등에 설치되어, 지폐 등의 각종 매체의 거래를 자동으로 행하는 자동거래장치(ATM : Automatic Teller Machine) 및 이들 ATM의 매체관리를 행하는 캐리어(carrier)를 갖는 ATM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은행 등에 설치되는 ATM은 업무의 노동력 절감 및 처리시간의 단축 등에 의한 고객 서비스을 향상시키기 위해, ATM의 거래 매체, 예를 들면 지폐의 과부족이 생겼을 경우에 지폐의 보충이나 회수를 자동으로 행하는 ATM 관리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일본국 특원평 5-2355호도 그것의 하나로서, ATM 관리 시스템에는, 지폐를 수납한 카세트 선반에 보관해 두고, ATM으로부터 지폐가 부족하다는 정보를 받으면, 자동 이동하는 캐리어가 ATM로부터 카세트를 회수하여 카세트 선반에 보관하고, 지폐를 일괄하여 수납한 카세트를 카세트 선반에서 ATM까지 반송하여 카세트마다 ATM에 보충하는 것이다.
또한, 카세트 자체는 지폐의 재고를 확정하는 수단을 갖고 있지 않아,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재고를 확정하는 경우에는 ATM을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ATM(Automatic Teller Machine)과, 이 ATM과의 사이에서 매체의 주고받음을 하는 캐리어를 갖는 ATM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매체의 보충이나 회수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더구나, 또 다른 목적으로서, ATM과 캐리어 사이에서 매체의 반송을 행하는 반송부의 연결, 해제를 확실하게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목적으로서는, 매체의 보충이나 회수를 행하는 캐리어 내부의 매체 보유량을 용이하게 검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와 ATM을 연결하는 가동가능한 연결수단과, 연결수단을 통해 캐리어로부터 ATM으로, 또는 ATM으로부터 캐리어로 매체를 한장씩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반송로를위치결정하는 기구와, 보충매체 집적부와 회수매체 집적부의 매체를 반송하여 그것의 보유량을 검출하는 수단 등을 설치한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ATM 관리 시스템에 관한 일 실시예에 대해 제 1도∼제 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때, 각 도면에 공통된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였다.
[장치 구성]
제 1도는 제 2도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 모식도, 제 2도는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미며, 제 3도는 제 2도의 블록도이다.
제 1도에 있어서, 은행의 영업점에 설치된 복수대의 ATM(1)의 뒷 부분에는, ATM 사이를 이동하는 캐리어(2)와, ATM(1)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캐리어(2)의 이동 등의 제어를 행하는 집중제어부(3)가 설치되어 있다.
캐리어(2)에는, 제 1도, 제 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동모터 등의 구동수단(4)이 구비되어 있고, 캐리어(2)를 레일(6)을 따라 제 1도에 나타낸 차량(7)으로 이동한다. 또한, 집중제어부(3)에는 조작부(8), 표시부(9), 프린터(10)가 설치되어 있다. 집중제어부(3)는 나중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임의의 ATM(1)으로부터의 통지에 따라, 캐리어(2)를 해당 ATM(1)에 위치결정하여, ATM(1), 캐리어(2) 사이에서의 지폐의 보충이나 회수를 행한다. 또한, 집중제어부(3)에서는, 조작부(8)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캐리어(2)를 임의의 ATM(1)에 위치결정하고, 다시 보충이나 회수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더구나, 집중제어부(3)는, 캐리어(2)가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잔고를 계수한 결과 등을 표시부(9)에 표시하고, 프린터(10)에 출력할수도 있다.
ATM(1)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2-278397호 공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폐를 입출금하는 지폐 입출금장치(11)이 배치되어 있고, 보충 ·보수 유니트를 통해 보충지폐 ·회수지폐를 취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충 ·회수 유니트에 해당하는 어댑터(12)를 ATM(1)의 뒷부분에 배치하고 있다. 어댑터(12) 및 지폐 입출금기(11)는, 보충용의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13, 15)와, 회수용의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14, 16)를 갖고 있다.
그리고, 반송로(15)는 보충지폐를 입출금 유니트(17)를 통해 지폐 종별, 즉 만엔권, 천엔권마다 금고(18, 19)에 수납한다. 반송로(16)는 금고(18, 19)에 지폐를 수납할 수 없을 때, 입출금 유니트(17)을 통해 금고(18, 19)로부터 소정량의 지례를 회수지폐로서 반송로(16)에 반송한다.
캐리어(2)의 내부에는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고(20)(제 1도에서는 상하에 2개, 1 셋트 설치되어 있다), 순환 반송로(21), 지폐의 급증 ·표리(表裏) ·진위 ·매수 등의 감별을 행하는 감별부(22), 보충지폐가 순환 반송로에서 분기하는 분기부(23), 회수지폐가 순환 반송로와 합류하는 합류부(24), 블레이드(26a∼26f), 이들 블레이드 방향을 전환하는 블레이드 전환수단(25)(제 3도 참조), 캐리어(2)와 ATM 사이에 연결되어 보충지폐가 반송되는 가이드 판(27), 캐리어(2)와 ATM 사이에 연결되어 회수지폐가 반송되는 가이드 판(28) 등이 설치되어 있다.
각 수납고(20)에는 보충지폐를 집적하는 집적부(29), 이 집적부(29)로부터보충지폐를 반복하여 내보내는 연속반출수단(30), ATM(1)으로부터 회수지폐를 거둬들여 집적하는 집적부(31), 감별부(22)에서 보충지폐로서 사용할 수 없다고 감별된 리젝트(reject) 지폐를 집적하는 집적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집적부(29, 31, 32)의 상세한 구조 ·동작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공평 6-7315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 구조는 나중에 제 9도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반송로(13, 14), 순환 반송로(21), 분기부(23), 합류부(24)는, 재 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이드 부재(40), 피드 로울러(41) 및 벨트(42)로 구성된 반송로와, 펄스모터 등의 구동수단(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순환 반송로(21)에는 수납고(20)의 연속반출수단(30), 집적부(31, 32), 분기부(23)가 블레이드(26a∼26f)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순환 반송로(21)를 따라 감별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감별부(22), 블레이드 전환수단(25), 구동수단(43)은 제 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캐리어(2)에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또한, 블라이드 전환수단(25)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되고, 보충이나 회수시에, 캐리어(2)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블레이드(26a∼26f)를 전환한다.
제 4도는 ATM(1)과 캐리어(2)의 연결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가이드 판(27)은, 제 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축(33a)에 축지지된 링크기구(33)와 전자 솔레노이드(34)를 갖는다. 링크기구(33)의 일단부는 가이드 판(27)에 회동 자재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타단부는 전자 솔레노이드(34)의 코어에축지지되어 있다. 전자 솔레노이드(34)는 캐리어(2)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의 지시로 드라이브 회로(35)를 통해 여자(勵磁) ·소자(消磁)된다. 가이드 판(27)은 전자 솔레노이드(34)가 여자되면, 링크기구(33)가 스프링(33b)의 부세력(biasing force)에 대항하여 축(33a)을 중심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여, 캐리어(2)의 분기부(23)를 어댑터(12)의 반송로(13)에 연결한다. 전자 솔레노이드(34)가 소자되면, 링크기구(33)가 스프링(33b)의 부세력에 의해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하여, 반송로(13)로부터 가이드 판(27)를 떼어 놓는다.
가이드 판(28)도 가이드 판(27)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연결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장치의 동작]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 5도∼제 8도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ATM 관리 시스템은 시동동작을 종료하고, 운용상태에 있다.
스텝 S1에서 집중제어부(3)는 ATM(1)으로부터 지폐보충 코맨드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센싱하고 있고, 수신하면 스텝 S2로 진행하고, 아니면 스텝 S14로 진행한다. ATM(1)의 지폐 입출금장치(11)는 급고(18, 19)의 센서로, 금고(18) 또는 금고(19)의 지폐가 곧 바닥이 드러난 상태인지 아닌지를 센싱하고 있으며, 센서가 이 상태를 검출하면, ATM(1)은 집중제어부(3)에 지폐보충 코맨드와 보충지폐의 종별을 송신한다.
스텝 S2에서 집중제어부(3)는 지폐보충 코맨드를 수신하면, ATM(1)에 지폐보충 동작개시 코맨드를 송신한다.
스텝 S3에서 집중제어부(3)는 캐리어(2)의 수납고(20)가 비어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비어 있는 상태이면 지폐 보충동작을 종료하고, 아니면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 집중제어부(3)는 캐리어(2)를 이동하고, 지폐보충 코맨드를 출력한 ATM(1)의 뒷 부분에 위치하게 한다.
스텝 S5에서 캐리어(2)의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는 전자 솔레노이드(34)를 여자하여 가이드 판(27)을 어댑터(12)의 반송로(13)에 접속하여 ATM(1)과 캐리어(2)를 연결한다.
스텝 S6에서 캐리어(2)의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는 블레이드 전환수단(25)을 통해 블레이드(26a∼26f)를 전환한다.
스텝 S7에서 집증제어부(3)는 ATM(1)이 보충 개시신호를 출력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센싱한다. 스텝 S2에서 지폐보충동작 개시 코맨드를 입력한 ATM은 지폐입출금장치에 보충동작 개시 코맨드를 출력한다. 지폐 입출금장치(11)는 내부모드를 보충모드로 전환하여 보충동작을 개시한다. 지폐 입출금장치(11)가 보충동작을 개시함으로써, 집중제어부(3)에 보충개시 신호를 출력한다.
스텝 S8에서 캐리어(2)의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는 순환 반송로(21)의 피드로울러를 구동하는 동시에, 수납고(20) 내부의 보충지폐를 연속반출수단(30)을 통해 순환 반송로(21)에 연속해서 내보낸다.
스텝 S9에서 캐리어(2)의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는 감별부(22)를 통해, 반복하여 내보내진 보충지폐를 감별하여 보충지폐로서 사용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사용할 수 있으면 스텝 10으로 진행하고, 아니면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에서 캐리어(2)는 지폐를 ATM(1)으로 반송한다.
스텝 S11에서 집증제어부(3)는 ATM(1)으로부터 보충동작 완료 리스폰스(response)를 센스하여, 보충동작 완료 리스폰스를 수신하면 스텝 S12로 진행하고, 아니면 스텝 S8로 되돌아간다. ATM(1)은 입출금 유니트(17)를 통해 보충지폐의 종별, 즉, 만엔권 또는 천엔권을 각각 금고(18) 또는 금고(19)에 수납한다. 지폐 입출금장치(11)는 감별부(22)의 출력에 근거하여 연산을 행하고, 금고(18), 또는 금고(19)에 필요 매수의 보충이 완료했는지 아닌지를 검지한다. 보충이 완료되면, ATM(1)은 보충 매수를 부가한 데이터와 보충동작 완료 리스폰스를 집중제어부(3)에 송신한다.
스텝 S12에서 캐리어(2)의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는 전자 솔레노이드(34)를 소자하고, 어댑터(12)의 반송로(13)로부터 가이드 판(27)을 떼어 놓아 ATM(1)과 캐리어(2)의 연결을 해제하고, 보충동작을 종료한다.
스텝 S13에서 캐리어(2)의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는 블레이트 전환수단(25)을 통해 블레이드(28a∼28f)를 전환시키고, 그것의 지폐를 리젝트 지폐로서 수납고(20)의 집적부(32)에 받아들여, 스텝 S8로 되돌아간다.
스텝 S14에서 집중제어부(3)는 ATM(1)으로부터 지폐회수 코맨드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센싱하여, 수신했으면 스텝 S15로 진행하고, 아니면 스텝 S23으로 진행한다. ATM(1)의 지폐 입출금장치(11)는 금고(18, 19)의 센서로 금고 내부에 지폐가 꽉차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센싱하고, 센서에 의해 이 상태가 검출되는 ATM(1)은 집중제어부(3)에 지폐회수 코맨드를 송신한다.
스텝 S15에서 집중제어부(3)는 지폐회수 코맨드를 수신하면, ATM(1)에 지폐회수 동작개시 코맨드를 송신한다.
스텝 S16에서 집중제어부(3)는 캐리어(2)의 수납고(20)가 꽉차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꽉차있는 상테이면 회수지폐를 수납할 수 없는 것으로 하여 지폐회수 동작을 종료하고, 아니면 스텝 S17로 진행한다.
스텝 S17에서 집중제어부(3)는 캐리어(2)를 이동하고, 지폐회수 코맨드를 출력한 ATM(1)의 뒷 부분에 위치한다.
스텝 S18에서 캐리어(2)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는 전자 솔레노이드(34)를 여자하여 가이드 판(28)을 어댑터(12)의 반송로(14)에 접속하여 ATM(1)과 캐리어(2)를 연결한다.
스텝 S19에서 집중제어부(3)는 캐리어(2)의 블레이드 전환수단(25)을 통해 블레이드(26a∼26f)를 전환시킨다.
스텝 S20에서 집중제어부(3)는 ATM(1)에 회수동작 개시 코맨드를 출력한다. ATM(1)은 회수동작 개시 코맨드를 입력하면, 지폐 입출금장치(11)에 회수동작 개시 코맨드를 출력한다. 지폐 입출금장치(11)는 내부모드를 회수모드로 전환하여 회수동작을 개시한다. 회수지폐는 지폐 입출금장치(11) 내부의 감별부(44)에서 감별되어 패리어(2)의 수납고(20) 내부의 집적부(31)로 거둬들인다.
스텝 S21에서 집중제어부(3)는 ATM(1)으로부터 회수동작 완료 리스폰스를 센싱하여, 회수동작 완료 리스폰스를 수신하면 스텝 S22로 진행한다. ATM(1)은 미리 설정된 소정량의 회수지폐를 송출함으로써, 매수를 부가한 데이터와 회수동작 완료 리스폰스를 집중제어부(3)에 송신한다.
스텝 S22에서 캐리어(2)의 도시하지 않은 재어부는 전자 솔레노이드(34)를 소자하고, 어댑터(12)의 반송로(14)로부터 가이드 판(28)를 떼어놓아 ATM(1)과 캐리어(2)의 연결을 해제하고, 회수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조작원에 의해 집중조작부로부터 지폐보충 코맨드, 지폐회수 코맨드를 입력한 경우에도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스텝 S23에서 집중제어부(3)는 집중조작부(8)로부터, 캐리어 내부의 지폐의 잔고(지폐 수용량)의 확정을 지시하는 조사 코맨드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센싱하여, 수신했으면 스탭 S24로 진행하고, 아니면 스텝 S1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24에서 캐리어(2)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는 블레이드 전환수단(25)을 통해 블레이드(26a∼26f)를 전환시킨다.
스텝 S25에서 집중제어부(3)는 수납고(20)에 조사할 지폐가 있는지 아닌지를 수납고(20)의 센서로 센싱한다. 지페가 있으면 스텝 S26으로 진행하고, 아니면 조사동작을 종료한다.
스텝 S26에서 캐리어(2)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는 순환 반송로(21), 연속반출수단(30)을 구동하여, 수납고(20)에 수납하고 있는 지폐를 내보낸다.
스텝 S27에서 집중제어부(3)는 감별부(22)를 통해 지폐의 감별을 행한다. 이때, 보충지폐로서 사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 스텝S28로 진행하고, 아니면 스텝 S29로 진행한다.
스텝 S28에서 캐리어(2)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는 집적부(31)을 통해서 감별이 종료된 지폐를 감별이 종료되지 않은 지폐와 분리하여, 수납고(20)에 수납하고, 스텝 S25에 되돌아간다.
스텝 S29에서 캐리어(2)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는 블레이드 전환수단(25)에 의해 블레이드(26a∼26f)를 전환시키고, 보충지폐로서 사용할 수 없는 지폐를 회수지폐와 분리하여 집적부(32)에 수납하고, 스텝 S25로 되돌아간다.
[지폐 수납고의 구조]
제 9도에, 지폐 수납고의 구체예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도면의 (a)는 통상의 동작상태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고의 종단면도이고, (b)는 집적부(31)에 집적된 회수지폐를 집적부(29)로 옳기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지페 수납고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고(20)에는, 보충지폐를 집적하는 집적부(29), 회수지폐를 집적하는 집적부(31), 및 리젝트 지폐를 집적하는 집적부(32)가 설치된다. 집적부(29)의 출구에는, 몇개의 로울러를 조합한 연속반출수단(30)이 설치되며, 중앙에는 지폐를 집적하는 스테이지(51)이 설치된다. 또한, 이 스테이지(51) 상에 지폐가 쌓아 올려졌을 때, 그것의 양을 검지하기 위해 센서(53, 54, 5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센서(53)는 이 집적부에 지폐가 없어진 것을 검출하고, 센서(54)는 이 집적부의 지폐가 엔드(end)에 가까워지는 것을 검출하고, 센서(55)는 이 집적부의 지폐가 꽉차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스테이지(51)는 수납고(2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집적된 지폐가 많을수록 스테이지(51)의 위치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센서(53, 54, 55)는, 각각 이 스테이지(51)가 존재하면 빛이 차단되고, 이것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다.
집적부(31)에는, 몇개의 로울러로 구성되고, 회수지폐를 거둬들이는 거둬들이기 수단(61)이 설치된다. 그리고, 회수지폐는, 도면에 나타낸 단면이 「L」의 글자 형태의 좌우 한쌍의 구성의 클램프(52) 위에 집적되어, 소정의 타이밍으로 스테이지(51) 상으로 옳겨진다. 집적부(32)에는, 몇개의 로울러로 구성되고, 리젝트 지폐를 거둬들이는 거둬들이기 수단(62)이 설치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감별부(22)에서 보충지폐로서 사용할 수 없다고 감별된 지폐가, 이 거둬들이기 수단(62)를 거처 플레이트(58)의 위에 집적된다. 플레이트(58)의 윗쪽에는 리젝트 지폐가 꽉차있는 것을 검지하는 센서(5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시 그 상측에는 회수지폐를 클램프(52)와 함께 지지하는 간막이(5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납고(20)로부터 지폐를 반복하여 내보내는 경우에는, 연속반출수단(30)을 동작시켜, 스테이지(51) 상에 쌓아올려진 지폐를 한장씩 분리하여 외부로 송출한다.
한편, 집적부(31)에 집적된 회수지폐를 보충지폐로서 사용하기 위해, 집적부(29)로 옳기는 경우에는, (b)에 나타낸 것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
먼저, 클램프(52)는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태 A로부터 상태 B의 위치로 셋트되고, 지폐가 쌓아올려지면 상승하여 상태 C의 위치로 이동한다. 그후,지폐를 스테이지(51) 위에 올려놓으면, 상태 D가 되고, 다시 강하하여 상태 A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테이지(51)는, 클램프(52) 위에 지폐가 집적되면, 도면의 상태 E로부터 상태 F, 상태 G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클램프가 상태 B로부터 상태 C의 위치로 상승한 후, 클램프(52)의 아래에 상태 H로 표시한 것 같이 배치된다. 여기서, 클램프 C를 개방하여, 상태 D와 같이 하여, 클램프(52)에 올려놓여진 지페가 스테이지(51) 위로 올려진다. 그후, 상태 H의 스테이지(51)는 상승하고 상태 Ⅰ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것의 이동량은, 위에 쌓아올려진 지폐량에 따른다.
이상과 같이 하여, 지폐는 연속반출수단(3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내보내지거나, 또는 수취수단(61)에 의해 거둬들여진다. 그리고, 집적부(29)에 수납된 지폐는, 전술한 것과 같이, 보충시에 있어서는 감별 후, 보충에 사용가능한 지폐는 ATM의 수납고에 수납되고, 보충에 사용할 수 없는 지폐는 집적부(32)에 집적된다.
그리고, 수납고(20) 내부의 지폐의 잔고를 계수하고 싶은 경우에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집적부(31)에 집적된 지폐를 집적부(29)로 옮긴 후, 집적부(29)로부터 반복적으로 내보내진 지폐를 감별부(22)에서 감별하여, 집적부(31) 또는 집적부(32)에 집적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잔고의 계수를 행하는 경우에, 감별을 마친 지폐와 감별을 아직 하지 않은 것을 분리하면서 계수 및 수납을 할 수가 있다.
[연결수단의 위치결정과 연결의 검출]
제 10도는, 연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상기한 것과 같은 연결수단은,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은 단면구조가 된다. 도면에 있어서, 각 한쌍의 로울러 71, 74, 72, 75 및 73, 76은, 각각 한가닥의 벨트(81, 82, 83)를 걸쳐서, 도면의 각 로울러에 부착된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벨트 81과 82 사이에 끼워진 반송로를 화살표 A1의 방향으로 지폐가 반송된다. 또한, 벨트 82와 83 사이에 끼워진 반송로를 지폐가 화살표 A2의 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벨트 81과 82 사이에 끼워진 반송로를 지나 반송되어 온 지폐가 도면의 한쌍으로 구성된 가이드 판(84) 사이를 통과하고, 화살표 A6의 방향으로 진행하여 ATM(1)에 보충된다. 한편, ATM(1)으로부터 회수된 지폐는 화살표 A7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한쌍으로 구성된 가이드 판(85) 사이를 통과하고, 벨트 82와 83 사이에 끼워진 반송로를 통해 화살표 A2 방향으로 회수된다. 또한, 가이드 판 84, 85의 부분에서 지폐에 반송력을 제공하도록 3개의 로울러(77, 78, 79)가 각각 로울러에 부착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연결수단은, 전체로서 축 J1을 중심으로 화살표시 A3 또는 A4 방향으로 자유롭게 요동한다. 더구나, 가이드 판(84, 85)를 설치한 연결부의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는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위치결정하기 위한 로울러(91)가 아암(92)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한편, ATM측에는 이 로울러(91)을 받아들이는 위치결정을 위한 가이드(93)가 부착되어 있다.
제 11도에는, 연결수단의 주요부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상기한 로울러(91)와 가이드(93) 등의 구성을 보다 명백하게 하기 위해, 이 도면에서는 가이드 판(84) 등을 포함한 연결부 선단부분의 사시도을 나타내었다.
가이드 판(84)에 설치된 슬릿(84B)에는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력을 제공하기 위한 로울러(77)의 일부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 판(84)의 양측에는 프레임(97)이 설치된다. 이 도면에서는, 그 프레임(97)에 아암(92)를 통해 로울러(91)가 지지되어 있다. 이 로울러(91)는 아암(92)의 선단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93)에 원활하게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아암(92)은 프레임(97)에 강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한편, ATM측에는 연결수단의 가이드 판(84)의 선단 부분을 받아들이는 가이드 판(84A)이 설치되어 있다.
더구나, 이 로울러(91)와 반대측에 있는 프레임(97)의 선단에는 도면의 원내부에 확대도를 나타낸 것과 같은 리미트 스위치(94)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핀(95)는 도면의 화살표 A8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리미트 스위치(94)를 ON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확하게 이 리미트 스위치(94)를 부착한 부분에 대향하도록 ATM측에 연결 검출면(9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 검출면(96)을 향해 연결수단이 이동하고, 정확하게 연결이 완료하는 적절한 연결상태로 된 경우에는, 리미트 스위치(94)가 연결 검출면(96)에 대해, 정확히 핀(95)이 눌리도록 위치를 잡힌다. 이것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94)의 출력을 감시하고, 연결수단이 정확하게 연결되었는지 어떤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리미트 스위치(94)는 프레임(97) 상에서, 연결 검출면(96)을 고려한 소정의 위치에 연결 검출면(96)과 소정의 거리가 유지되도록 위치가 잡힌다.
로울러(91)는, 연결수단의 연결동작이 개시되면, 먼저 가이드(93)의 개구부(93A)로 받아들여진다. 이때, 로울러(91)의 위치가 다소 상하로 어긋나 있다고 하여도, 가이드(93)가 원활하게 받아들이도록, 가이드(93)의 개구부(93A)는 로울러 선단부를 충분히 여유를 갖고 받아들이는 넓이로 선택되어 있다. 한편, 로울러(91)를 가이드(93)에 삽입해가며, 연결을 완료하여 일체화한 경우에는, 정확히 로울러(91)를 정확하게 위치결정 유지하도록, 가이드(93)의 부착위치가 정해진다. 따라서, 가이드(93)의 가장 깊은 부분(93b)은 로울러(91)의 선단부를 정착하게 위치결정하는 넓이 또는 간격으로 선정된다.
제 12도와 제 13도에는, 연결검출과 위치결정 수단의 동작설명도를 나타내었다. 제 12도는 연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제 13도는 연결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제 10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화살표 A4로 표시한 방향으로 연결수단을 회전시켜, 가이드 판(84)을 화살표 A6 방향으로 진출시키면, 로울러(91)가 가이드(93)에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다시 가이드 판(84)을 화살표 A6 방향으로 진행하면, 가이드(93)에 의해 가이드 판(84)의 상하방향의 위치가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어, 상대방의 가이드 판(84A)과 연결된다.
제 10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수단이 상하로 자유롭게 요동하기 때문에, 로울러(91)의 선도에 추종하여 정확한 위치결정이 달성된다.
제 14도에는, 연결수단 측면도를 나타내었다.
상기한 것과 같이, 연결수단을 연결시키거나,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을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은 기구에 의해 행한다.
도면과 같이, 연결수단의 프레임(97)으로부터 앞에서 설명한 가이드 판(84)과 가이드 판(85)의 선단이 돌출되어 있다. 이 프레임(97)의 측면에 장공(97A)이 설치되어 있다. 아암(101)의 핀(101A)은 장공(97A) 내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아암(101)은, 기어(103)에 일체로 고정되고, 기어(103)의 화살표 A16 방향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A11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요동에 의해, 프레임(97)은 화살표 A17 방향으로 진행하여, 앞에서 설명한 연결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기어(103)는 모터(102)에 대해, 기어(104) 및 기어(105)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즉, 이들 기어(103, 104, 105)에 의해 모터(102)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아암(101)이 요동한다. 예를 들면, 모터(102)가 화살표 A13 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105)가 화살표 A14 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104)가 화살표 A15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기어(103)가 화살표 A16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한편, 프레임(97)을 화살표 A17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연결해제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모터(102)는 화살표 A13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들 기구는 캐리어(2) EH는 ATM(1)에 어떤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연결을 해제해야만 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캐리어(2)측에 중대한 장해가 발생한 것과 같은 경우, 상기한 아암(101)를 요동시키는 모터(102)를 원활하게 구동하는 것이 어려운 케이스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연결수단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이 제 1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기구가 설치된다.
즉, 도면에 나타낸 모터(102)로부터 기어(103)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2개의 기어(105, 104)는, 어느 것도 베어링판(107) 위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어링판(107)은 복귀 스프링(109)에 의해 화살표 A19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고 있다. 장치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모터(102)의 구동력이 기어(103)로 전달되는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108)가 베어링한(107)을 화살표 A19과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기고 있다. 한편, 장치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면, 솔레노이드(108)가 베어링판(107)을 잡아다니는 힘을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복귀 스프링(109)이 화살표 A19 방향으로 기어(104, 105)를 되돌려, 기어(104)와 기어(103)이 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기어(103)는 프리한 상태가 된다. 한편, 프레임(97)에는 복귀 스프링(110)이 연결되어, 화살표 A12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기어(103)가 프리한 상태가 되면, 프레임(97)은 이 복귀 스프링(110)에 의해, 화살표 A12 방향으로 되돌려져, 연결이 해제된다.
[연결부 반송로의 폐쇄와 개방]
제 15도에는, 슬라이드 아암과 셔터의 설명도를 나타내었다.
캐리어(2)와 ATM(1) 사이의 연결수단을 떼어낼 때, 또는 떼어놓은 후에, 연결부로부터 지폐가 탈락하도록 하는 것은 지폐의 엄밀한 관리에 지장을 미친다. 본 실시예는, 그와 같은 지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제 15도의 (a)는 슬라이드 아암과 셔터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 (b)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 (c)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하의 가이드 판(84)에는, 각각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은 관통공(1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공(111)에는 (a)에 나타낸 셔터(112)의 선단부(112B)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셔터(112)는,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축(112A)을 중심으로 화살표 A27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셔터(112)의 하방에는 슬라이드 아암(113)이 장공(117)을 통과하는 핀(11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아암(113)은 장공(117)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A25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하여, 후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연결수단의 연결부의 간극에 선단(113A)를 돌출시켜, 간극 길이에 따라 돌출길이를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 아암(113)의 기저부에는 링크(115)를 통해 셔터(11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셔터(112)는 스프링(114)의 작용에 의해 항상 화살표 A26 방향으로 힘을 받아, 화살표 A27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무엇이고 외부로부터 힘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는,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슬라이드 아암(113)이 도면의 화살표 A25 방향으로 전체가 돌출하고, 셔터(112)는 그것의 선단부(112B)가 가이드 판(84)의 관통구멍(111)에 삽입되어, 가이드 판(84)의 사이를 주행하는 지폐(100)의 이동을 저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구를 연결부 근방에 설치함으로써, 지폐(100)는 이 상태에서 외부로 탈락하지 않는 폐쇄상태로 된다.
다음에, (b)는 지폐가 반송할 수 있는 개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슬라이드 아암(113)이 화살표 A28 방향으로 눌리면, 이에 따라 슬라이드하고, 링크(115)로 통해 셔터(112)를 화살표 A29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셔터(112)의 선단부(112B)가 가이드 판(84)으로부터 빠져, 자유롭게 지폐가 발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 16도에는, 이와 같은 슬라이드 아암과 셔터를 캐리어측과 ATM측의 가이드 판(84, 85A)에 부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아암과 셔터를 예를 들면, 캐리어(2)와 ATM(1)의 연결반송부의, 각각 지폐가 송출되는 측의 가이드 판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또 다른 가이드 판에도 설치해도 지장이 없다.
여기에서, 정확하게 제 1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정상적인 연결이 달성되고 있으면, 제 15(b)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슬라이드 아암(113)이 밀려서 슬라이드하고, 셔터(112)를 개방상태로 한다.
한편, 캐리어(2)와 ATM(1)의 연결을 해제한 경우에는, 슬라이드 아압(113)의 선단이 돌출하고, 셔터(112)를 요동시켜 셔터(112)를 폐쇄상태로 한다.
따라서, 캐리어(2)를 ATM(1)로부터 떼어놓아 장해 제거처리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지폐배출을 위한 가이드 판이 폐쇄되어, 지폐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결수단의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연결수단의 연결동작시에는 로울러(91)가 연결부를 위치결정하여, 정확한 연결을 달성한다. 또한, 연결 검출면(96)을 리미트 스위치(94)가 검출하고, 연결거리 등이 적정한지 어떤지의 판정도 행한다.
더구나, 캐리어(2) 또는 ATM(1)에 어떤 장해가 발생한 것과 같은 경우, 강제적으로 제 14도에 나타낸 솔레노이드(108)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아암(101)이 프레임(97)를 이동시켜, 자동적으로 반송로의 연결을 해제한다.
물론, 기타 장해를 검출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108)를 동작시켜, 반송로의 분리를 행할 수 있다.
더구나, 연결수단의 연결부가 해제된 경우에, 제 15도에 나타낸 슬라이드 아암과 셔터가 이것을 검출하여, 반송로를 폐쇄상태로 하여 지폐의 탈락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실시예의 각 기구는, 각각 상호 협력 작용하여 함께 캐리어(2)의 지폐보충 ·회수동작을 보좌하거나, 또는 그것의 원활한 보수관리를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 4도 및 제 10도 내지 제 1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연결부의 각 구성부분은, 캐리어와 ATM 어느 한쪽에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더구나,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수단의 반송로를 보충용과 회수용으로 나누었지만, 한 개로 하여 지폐를 양방향으로 1매씩 반송하는 반송기구에 대해 블레이드 전환수단에 의해 블레이드를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집중제어부를 캐리어 내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어에 지폐 수납고를 상하, 즉 캐리어의 자동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2개 설치하고, 감별수단으로 감별하여, ATM과의 사이에서 지폐의 보충회수를 행하도록 하였지만, 다시 좌우, 즉 자동 이동방향으로 병행하여 또 한 개의 1세트를 설치하여 일측에서 반송이상 등으로 보충회수 동작이 불가능할 때, 다른 측에서 보충회수동작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지폐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ATM에서 사용되는 각종매체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 모식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제 6 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제 7 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제 8 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제 9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지페 수납고의 단면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사시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동작 설명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동작 설명도.
제 14 도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 15 도는 본 발명의 연결부의 셔터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ATM 2 : 캐리어
3 : 집중제어부 4 : 구동수단
6 : 레일 7 : 차륜
8 : 조작부 9 : 표시부
10 : 프린터 11 : 지폐 입출금장치
12 : 어댑터 13 : 반송로
14 : 반송로 15 : 반송로
16 : 반송로 17 : 입출금 유니트
18, 19 : 금고 20 : 수납고
21 : 순환 반송로 22 : 감별부
23 : 분기부 24 : 합류부
25 : 블레이드 전환수단 26a∼26f : 블레이드
27, 28 : 가이드 판 29 : 집적부
30 : 연속반출수단 31, 32 : 집적부
33a : 축 33b : 스프링
33 : 링크기구 34 : 전자 솔레노이드
35 : 드라이브 회로 40 : 가이드 부재
41 : 피드 로울러 42 : 벨트
43 : 구동수단 44 : 감별부
51 : 스테이지 52 : 클램프
53, 54, 55, 56 : 센서 57 : 간막이판
58 : 플레이트 61, 62 : 수취수단
71, 74, 72, 75, 73, 76, 77, 78, 79 : 로울러
81, 82, 83 : 벨트 84 : 가이드 판
84A : 가이드 판 84B : 슬릿
85 : 가이드 판 91 : 위치결정 로울러
92 : 아암 93 : 가이드
93A : 개구부 93B : 가장 깊은 부분
94 : 리미트 스위치 95 : 핀
96 : 연결 검출면 97 : 프레임
97A : 장공(長孔) 101 : 아암
102 : 모터 103 : 기어
105 : 기어

Claims (18)

  1. ATM(automatic teller machine)과 이 ATM 사이에서 매체의 주고받기를 하는 캐리어를 갖는 ATM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매체를 집적하고, 감별하여 매체보유량을 검출하는 상기 캐리어를 이동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ATM으로 매체를 보충하는 보충통로와 상기 ATM으로부터 상기 캐리어로 매체를 회수하는 회수통로에 의해 상기 ATM과 상기 캐리어를 연결하는 가동 가능한 연결수단과,
    이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캐리어로부터 상기 ATM으로, 또는 상기 ATM으로부터 상기 캐리어로 매체를 1매씩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지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통로 및 회수통로는, 한쌍의 판재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캐리어측에 지지된 제 1 통로와, 상기 ATM측에 지지된 제 2 통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로 또는 상기 제 2 통로의 어느 한쪽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로 또는 제 2 통로의 어느 한쪽의 통로의 선단이 끝쪽이 확장되도록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이들 제 1 또는 제 2 통로를 강제적으로 초기위치로 되돌리는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로 선단과 상기 제 2 통로 선단이 소정의 위치관계로 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로 또는 상기 제 2 통로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과,
    상기 제 1 통로 또는 상기 제 2 통로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갖고,
    이들 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통로 및 상기 제 2 통로가 소정위치로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측에 지지된 상기 제 1 통로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10. 제 9항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1 통로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을 수평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1 통로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구동원과, 이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프레임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구동력을 절단하는 수단과, 상기 프레임을 초기위치로 되돌리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는 부세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 1 기어에 지지된 아암과, 상기 제 1 기어에 분리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제 1 기어에 구동하는 제 2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를 상기 제 2 기어로부터 떼어내는 수단과, 상기 프레임을 초기위치로 되돌리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는 부세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캐리어와 상기 ATM이 연결되었을 때에는 상기 연결수단의 반송로를 개방상태로 하고, 상기 캐리어와 상기 ATM의 연결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상기 연결수단의 반송로를 폐쇄상태로 하는 셔터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보충통로로 보내는 매체를 집적하는 보충매체 집적부와,
    상기 회수통로로부터 보내진 매체를 집적하는 회수매체 집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감별부와,
    상기 보충매체 집적부의 매체를 상기 감별부로 반송하는 보충매체 반송수단과,
    상기 회수매체 집적부의 매체를 상기 감별부로 반송하는 회수매체 반송수단과,
    상기 감별부에서의 감별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캐리어 내부의 매체 보유량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매체 반송수단은, 일단 매체를 상기 보충매체 집적부로 옳긴 후, 감별부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지폐이며, 상기 매체 보유량은 금종마다의 매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관리 시스템.
KR1019950000046A 1994-01-13 1995-01-04 자동거래장치(atm)관리시스템 KR100329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111 1994-01-13
JP211194 1994-01-13
JP94-002111 1994-01-13
JP94-312583 1994-11-22
JP6312583A JP2947461B2 (ja) 1994-01-13 1994-11-22 自動機群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971A KR950033971A (ko) 1995-12-26
KR100329321B1 true KR100329321B1 (ko) 2002-09-05

Family

ID=2633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046A KR100329321B1 (ko) 1994-01-13 1995-01-04 자동거래장치(atm)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93149A (ko)
JP (1) JP2947461B2 (ko)
KR (1) KR1003293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242B1 (ko) * 1995-04-19 1999-04-15 사토 후미오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취급매체를 수수하는(주고받는)장치, 이를 구비한 현금처리시스템 및 거래매체의 수수방법
US5685655A (en) * 1995-12-12 1997-11-11 Ncr Corporation Security system for unattended printing mechanism
JP3361004B2 (ja) * 1996-02-29 2003-01-07 富士通株式会社 Atm運用支援システム
US6873973B2 (en) * 1996-11-27 2005-03-29 Diebold, Incorporated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and method
US6845905B2 (en) * 1997-03-26 2005-01-25 Vendingdata Corporation Currency container tracking system and a currency container for use therewith
GB9711069D0 (en) * 1997-05-30 1997-07-23 Ncr Int Inc Automated teller machines and method of replenishing the same
US6304860B1 (en) 1997-10-03 2001-10-16 Joseph B. Martin, Jr. Automated debt pay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TM network
JP3484652B2 (ja) * 1998-01-28 2004-01-06 富士通株式会社 シャッターの開閉と固定を兼ねたリンク機構を有するシャッター装置
US6857804B2 (en) * 1999-10-16 2005-02-22 Sierra Design Group Vertically mounted modular printer system
US7513401B1 (en) 2000-06-19 2009-04-07 Bally Gaming, Inc. Printer tear bar and presenter system
US6443642B1 (en) * 1999-10-16 2002-09-03 Sierra Design Group Modular printing system
KR100597101B1 (ko) * 1999-11-22 2006-07-05 엘지엔시스(주) 지폐자동지급기의 회수함
KR100597102B1 (ko) * 1999-11-23 2006-07-05 엘지엔시스(주) 지폐자동지급기의 회수함
JP3916035B2 (ja) * 2000-11-24 2007-05-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DE10154342A1 (de) * 2001-11-06 2003-05-22 Giesecke & Devrient Gmbh Bedienung von Banknoten-Bearbeitungsanlagen
US7066335B2 (en) * 2001-12-19 2006-06-27 Pretech As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tributing cash
DE10236258A1 (de) * 2002-08-07 2004-02-19 Giesecke & Devrient Gmbh Befüllen von Geldkassetten für Geldautomaten
US20040222284A1 (en) * 2003-05-08 2004-11-11 Akito Yamamoto Means for protecting an automatic money handling machine or a computer
US20070187485A1 (en) * 2006-02-10 2007-08-16 Aas Per C Cash handling
CN101390133A (zh) * 2006-02-21 2009-03-18 L·皮特-金 现金处理设备和系统
DE102006040780A1 (de) * 2006-08-31 2008-03-06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Banknoten
DE102007020776A1 (de) * 2007-05-03 2008-11-06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r Annahme und Ausgabe von Wertdokumenten
US8430303B1 (en) * 2008-11-25 2013-04-3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Cash handling device-to-cash handling device money movement
JP5216805B2 (ja) 2010-04-30 2013-06-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US9159180B2 (en) * 2011-12-20 2015-10-13 Ncr Corporation Media conveying
EP2757536B1 (de) * 2013-01-17 2021-03-03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m autonomen Transport von Geldkassetten zwischen dem Kassenbereich und dem Backoffice
JP6930080B2 (ja) * 2016-09-16 2021-09-0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取引装置
WO2018076012A1 (en) * 2016-10-23 2018-04-26 Diebold Nixdorf, Incorporated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TWI607416B (zh) 2016-12-08 2017-12-01 Masterwork Automodules Tech Corp Ltd 紙頁處理設備
CN107393128A (zh) * 2017-07-11 2017-11-24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金融设备的加钞方法、装置、系统、相应设备及存储介质
JP2021033647A (ja) * 2019-08-23 2021-03-0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088A (ja) * 1990-05-24 1992-02-04 Toshiba Corp 自動取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30118B (it) * 1980-04-16 1986-06-11 Olivetti & Co Spa Apparecchiatura di deposito di valori in busta con dispensazione automatica delle buste
US4866254A (en) * 1985-08-09 1989-09-12 Hitachi, Ltd. Automatic bill transaction system
JP2690994B2 (ja) * 1989-01-20 1997-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収納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H0673149B2 (ja) * 1989-04-20 1994-09-14 株式会社沖情報システムズ 紙幣入出金装置
JPH052355A (ja) * 1990-11-22 1993-01-08 Ricoh Co Ltd 定着装置
JP3162503B2 (ja) * 1992-08-27 2001-05-08 三進興産株式会社 改良された超低硬度ポリウレタン樹脂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088A (ja) * 1990-05-24 1992-02-04 Toshiba Corp 自動取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971A (ko) 1995-12-26
US5593149A (en) 1997-01-14
JP2947461B2 (ja) 1999-09-13
JPH07244771A (ja) 1995-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321B1 (ko) 자동거래장치(atm)관리시스템
EP1363251B1 (en) Bill deposit/withdrawal machine for deposing/withdrawing bills
JP2012226494A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0255494B1 (ko) 금고와 그 금고를 내장하는 장치
JP4887554B2 (ja) 自動取引装置
JP6794697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20160139764A (ko) 매체 처리 장치
JP4686940B2 (ja) 表裏反転機構
JP2979519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2534811B2 (ja) 紙幣自動支払装置
KR100227403B1 (ko) 지폐 입출금 장치 및 지폐 집적기구
JP2018005753A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2635199B2 (ja) 現金取扱装置
JP2864481B2 (ja) 現金管理システム
JPH0573757A (ja) 自動取引装置
JP2501687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3394319B2 (ja) 現金自動補充回収システム
RU2796001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кассовая машина (банкомат)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JP4934382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の制御方法
JP2615197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761567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2614312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716623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02329230A (ja) 自動取引装置
JP2503078B2 (ja) 入出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