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494B1 - 금고와 그 금고를 내장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금고와 그 금고를 내장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494B1
KR100255494B1 KR1019920017131A KR920017131A KR100255494B1 KR 100255494 B1 KR100255494 B1 KR 100255494B1 KR 1019920017131 A KR1019920017131 A KR 1019920017131A KR 920017131 A KR920017131 A KR 920017131A KR 100255494 B1 KR100255494 B1 KR 100255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ies
safe
conveying
banknote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591A (ko
Inventor
요시노리 코시다
히데오 아오끼
가쭈노리 유아사
하노유끼 토미나가
마사시 와꼬
다께시 오햐마
마사오 고토
Original Assignee
사와무라 시코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3997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815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39491U external-priority patent/JP251705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1105602U external-priority patent/JP252759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2012085U external-priority patent/JP257665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4065032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87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0779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6111B2/ja
Application filed by 사와무라 시코,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와무라 시코
Publication of KR930006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07D11/237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for detecting transport malfunctions, e.g. jams or misfe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고객의 지시에 따라 지폐(40, 40a)를 지불하는 지폐자동 지불장치이다.
저장(400)에 저장되는 지폐를 배출하는 장치(44, 45, 42, 43, 48, 109)는 금고(31, 419, 702, 825)를 구성하기 위해 케이스(53, 54)에 넣어지고, 그리고 지폐(40, 40a)는 케이스(53, 54)에 형성되는 개구(58)에서 배출된다.
지폐지불장치는 이 케이스에 이동가능하게 넣고, 그리고 개구(58)과 통하기 위해 형성되는 지폐픽업스로트(22)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하나이상의 금고(31, 419, 702, 825)을 포함하게 구성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금고제어(460)는 지폐(40, 40a)를 지불 그리고 그들을 인도하기 위해 동작을 제어하는 케이스(53, 54)내에 제공한다.
이 장치는 또한 고객의 지시에 의해 금고제어(460)를 제어하는 주제어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이들 2개제어는 분리할 수 있는 코넥터(426, 422, 423, 424)와 서로 접속된다. 날개짓(50)과 리젝트금고(51)는 금고(31, 419, 702, 825)에 제공된다.
금고제어(460)는 날개짓(50)을 지폐(40a)를 인도하기 위해 리젝트금고(51)에 향하게 하고, 그리고 리젝트금고(51)에 인도에러에 마춰진다.
상기 배열에 의해, 지폐자동 지불장치가 제공되고, 그리고 그의 금고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취급될 수 있다.

Description

금고와 그 금고를 내장하는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자동지불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선에 따른 금고의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금고에 대한 외면도.
제5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개랑된 금고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시스템의 구성예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제7도는 상기 실시예에서 표시된 키패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8도 및 제9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 배출 장치의 구성에 대한 특정한 예를 나타낸 도면.
제10도∼제15도는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개략도.
제16도는 제8도와 유사하게,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 배출 장치의 특정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상기 실시예의 지폐 배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시스템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된 제어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19도, 제20도 및 제21도는 제11도 내지 제15도와 유사하게, 제16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도면.
제22도는 제8도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의 지폐 배출 장치의 특정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된 지폐 배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시스템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제24도∼제27도는 제23도에 도시된 제어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28도 및 제29도는 제23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도면.
제30도는, 제8도와 유사하게, 지폐 배출 장치의 특정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31도는 제17도와 유사하게, 제30도에 도시된 지폐 배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시스템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제32도 및 제33도는 제30도에 도시된 제어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34도∼제37도는 제30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도면.
제3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자동지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외부 정면도.
제39도는 제38도의 XXXIX-XXXIX선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40도는, 제3도와 유사하게, 제38도에 도시된 금고의 단면도.
제41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그것의 상부 베이스의 내부에 대한 도시를 생략한 개방상태의 금고를 나타낸 도면.
제42도는 상기 실시예의 금고에 대한 외부 사시도.
제43도는 제42도에 도시된 금고에 대한 DIP 스위치의 정면도.
제44도는 상기 실시예의 제어시스템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기능 블록도.
제45도 및 제46도는 상기 실시예의 수납금고 관리 메모리의 운용 데이터와 장해 데이터에 대한 포맷을 각각 나타낸 도면.
제47도 및 제48도는 제44도에 도시된 제어시스템의 정상동작시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제49도는 상기 실시예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잼이 발생된 경우에 대한 동작 흐름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5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방상태의 금고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51도는 제50도의 L1-L1선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
제52도는 제5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의 요부확대 사시도.
제53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의 확대 정면도.
제54도 및 제55도는 제3도 또는 제56도 및 제5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금고의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제54도는 블레이드가 지폐를 지폐 배출구로 향하게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55도는 블레이드가 지폐를 리젝트 금고로 향하게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56도는 제39도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배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 단면도.
제57도는 제3도와 유사하게, 제56도에 도시된 금고의 단면도.
제5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자동지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외부 사시도.
제59도는 제58도에 도시된 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60도는 제3도와 유사하게, 제58도에 도시된 출금 모듈의 개략적 단면도.
제61도는 상기 실시예의 출금 모듈에 대한 동력전달 장치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도면.
제62도는 제61도의 화살표 H로 표시된 방향에서 관찰한 제61도에 도시된 동력전달 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63도는 제3도와 유사하게, 제60도에 도시된 금고의 단면도.
본 발명은 유가증권을 취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폐, 수표 또는 화폐와 같은 유가증권을 자동적으로 지불하고, 유가증권을 수납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수납부로부터 유가증권을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배출되는 유가중권을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수납부, 배출수단 및 반송수단을 감싸는 제1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유가중권이 외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제1개구를 갖는 지폐 지불장치와 같은 유가중권 취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폐 지불장치는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 설치되어 고객의 조작에 응답하여 특정한 양의 지폐를 자동적으로 지불하는 장치이다. 종래에, 자동 지폐지불장치는 다양한 금종의 지폐를 수용하기 위해 다수의 금고가 그 내부에 포함된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각종의 지폐는 고객의 요구를 나타내는 신호에 응답하여 그들 금고로부터 배출되고, 공통의 반송통로를 통해 반송되어, 단일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장치는 한가지 금종 이상의 지폐를 지불할 수 있었다.
비밀번호 및 금액과 같은 데이터, 입력 동작에 대한 지시 및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표시 스크린이 장치 케이스의 전방 패널 상에 제공되어, 사용자, 즉 고객에 의해 사용되는 키패드의 기능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표시 스크린 상에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합성장치와, 슬롯을 통해 사용자의 계정과 관련된 카드를 받아들여 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내부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카드리더/라이터와, 명세표 및 내역서의 형태로 사용자와 그 거래내역에 속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터와, 상기 각 부분을 통합하고 그들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과, 전원공급장치 등이 장치 내에 제공된다. 상기 제어 유니트는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모든 금고에 대한 공통의 제어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장치의 베이스의 전면 패널 상에는 지폐가 배출되는 출구, 즉 픽업 개구가 존재하며, 정상상태에서는, 이 개구는 개폐될 수 있는 셔터에 의해 봉쇄된다. 지폐가 보관되는 신축자재의 스테이지가 픽업 트레이의 바로 아래에 제공되며, 리젝트 금고는 이 스테이지의 하부에 제공된다. 상기 리젝트 금고는 상기 장치 케이스 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식별 또는 계수가 잘못된 상황에 마주친 지폐와 같이 이상 상태의 지폐를 수납하는 금고이다.
상기 형태의 장치는 서비스를 위해 준비된 지폐를 보관하기 위한 탈착가능한 금고, 즉 지불금고를 포함한다. 이러한 탈착가능한 금고 각각은 그것의 수납부로부터 배출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통로를 포함한다. 즉, 이들 개별 반송통로는 금고 각각에 대해 설치된다. 이들 개별적인 반송통로는 픽업 트레이 부근에서 대기 스테이지와 통하며 개별적인 반송통로로부터 픽업 트레이를 향해 지폐를 운송하는 단일 공통 반송통로에 연결된다. 이들 개별 및 공통 반송통로는 지폐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로울러, 또는 지폐와 접촉하여 가동되는 벨트를 구비하며, 이들 로울러 및 벨트는 단일의 배출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거래내역서를 인쇄하는 프린터로부터의 인쇄 용지를 위한 출구는 이 대기 스테이지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운송되는 동안 지폐를 검출하는 센서가 반송통로에 따라 설치된다. 종래기술 중의 하나에서는, 한쌍의 센서가 단일 반송통로를 따라 설치되는데, 이들 센서중 하나는 이중의 충으로 운송되는 지폐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운송되는 지폐의 길이 및 경사도를 검출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허용가능한 상태로 정확히 반송된 지폐만이 사용자에게 확실히 제공되도록 한다.
작동시에, 사용자가 지폐 자동지불장치로부터 지폐를 꺼내고자 한때에는, 사용자는 슬롯 내부로 카드를 삽입하고, 키패드를 사용하여 암호와 원하는 금액을 차례로 입력한다. 상기 작동에 응답하여, 장치의 제어 유니트는 지폐의 금종과 필요한 매수를 계산하고, 대응되는 금고로부터 한 장씩 지폐를 분리하도록 지불 장치를 제어하여, 지폐를 배출한다. 금고 밖으로 안내된 지폐는 대응되는 개별적인 반송통로를 통하여 공통 반송통로로 반송되며, 그곳을 통해 대기 스테이지를 향해 반송된다. 제어 유니트는, 반송통로를 따라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지폐가 적절히 운송되고 있는지를 검출함으로써, 대기 스테이지 상으로 적절히 반송되어지고 적재된 지폐만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제어 유니트가 대기 스테이지에 일정액의 지폐에 대한 적절한 반송을 완료한 후에, 제어 유니트는 인쇄 용지 또는 내역서의 형태로 거래내역을 인쇄하도록 프린터를 제어한다. 상기 인쇄 용지는 프린터에서 배출되어 대기 스테이지 상에 적재된 지폐 위에 놓인다. 그후, 제어 유니트는 픽업 트레이의 셔터를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그 지폐와 명세표를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제어 유니트가 반송통로에서 사행(斜行), 잼, 분리 실패, 중복 반송, 연쇄 반송, 금종 확인 실패 또는 계수 실패와 같은 이상을 검출하면, 스테이지를 잡아당김으로써, 그 시점까지 스테이지 상에 적재된 모든 지폐를 리젝트 금고로 회수하게 된다. 그후, 제어 유니트는 상기 스테이지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켜 지폐 지불동작을 처음부터 다시 시도하게 된다. 더욱이, 셔터의 개방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시간 경과 후에 한 장의 지폐 또는 명세표가 잔류하더라도, 제어 유니트는 스테이지를 잡아당겨, 잔류물을 리젝트 금고에 집어넣게 된다.
상술한 형태의 장치는 그 장치 케이스 내부에 분리가능한 금고를 포함하는데, 이들 금고 각각은 그것이 취급하는 하나의 금종만을 수용할 수 있도록 특정한 치수와 형상으로 설계된다. 예를 들면, 일본의 일천엔권은 그것의 치수와 일치하도록 설계된 금고 내에 보관되고, 일본의 만엔권은 그것의 치수와 일치하도록 설계된 금고에 보관된다. 일본의 천엔권과 만엔권은 치수가 다르기 때문에, 이들 2개의 금고 사이에는 교환 가능성이 없다.
이러한 교환 가능성의 부족 때문에, 이러한 자동 지폐지불장치가 위치하는 환경 조건에 대한 장치의 적용성이 제한을 받는다. 예를 들어, 장치가 설치되는 각각의 상점 또는 각각의 특정한 가동 일자에 따라 서로 다른 금종의 지폐 매수에 치우침이 존재하면, 특정한 금종 전용의 금고는 거의 수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은 채 남아 있어, 장치의 전체적인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즉, 높은 수요의 지폐 금종은 자주 보충하여야 하므로, 이는 고객 서비스의 저하를 초래한다.
상술한 바 같이, 금고로부터 배출된 지폐는 대응하는 각각의 반송통로를 통해 반송된 후, 공통의 반송통로를 통해 단일의 픽업 트레이를 향해 운송된다. 이들 개별 반송통로와 공통 반송통로는 지폐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로울러 또는 지폐와 접촉하여 가동되는 벨트를 구비하며, 이들 로울러 또는 벨트는 반송 모터와 같은, 단일의 구동력 발생원에 의해 구동된다. 어떤 이유로 인해 이러한 반송 모터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지폐가 공통 또는 개별 통로에서 잼이 발생하면, 전체적인 장치의 동작이 중지된다. 비록 잼이 개별 반송통로의 하나에서만 발생하여도, 공통 반송통로와 여타의 금고에 대한 나머지 개별 반송통로에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장치의 정지를 초래한다.
예를 들면, 장치의 지폐 수납부의 출구에, 수납부로부터 지폐를 꺼내는 픽업 로울러와, 하나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배출될 때 제2의 또는 후속의 지폐가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전 로울러가 설치된다. 잼은 이러한 배출 기구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배출 기구는 지불 기구내에 장착되어, 잼의 원인을 제거하고 정상 동작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유지 보수자는 배출 기구를 꺼낸 후 잼이 일어난 지폐를 제거하기 위해 전체 장치의 동작을 중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의 정지에 따라서 고객 서비스가 저하되고, 유지 보수자는 비록 금고의 잔여 부분이 동작 가능하여도,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정지해야만 한다.
제어 유니트는 금고의 운용 이력 및 문제상황과 같은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상기 운용 이력 정보는 거래 집계와 그 금액을 포함하며, 상기 문제정보는 잼과 같은 문제의 발생 빈도를 포함한다. 메모리에 기억된 이 제어정보는 새로운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부가적인 정보에 의해 갱신된 후, 이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료 후에, 취급된 지폐 매수의 관리, 유지 그리고 검사를 위한 참고자료로서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제어 정보가 금고 각각에 대한 어떠한 교신도 없이 기억되므로, 각 금고에 대한 동작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제어 정보로부터 금고들 중 어느 것에서 더 큰 문제가 발생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잼이 반송통로 중 하나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과정에 관련된 모든 지폐는 리젝트 금고로 회수된다. 즉, 이들 지폐는 이 거래 중에 정상적으로 반송되어진 다른 지폐와 함께 리젝트 금고로 회수된다. 따라서, 비록 유지보수원이 리젝트 금고를 검사한다 하더라도, 어떤 금고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인지를 확인하기가 곤란하다. 이것 또한 지폐의 관리에 대한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만일, 장치의 담당자가 그 장치에서 지폐의 정밀 검사를 수행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배출 금고와 리젝트 금고를 장치로부터 밖으로 꺼낸다. 금고가 채워져 있으므로, 그 담당자는 자물쇠를 풀고, 금고 내부의 지폐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프린터에 의해 출력된 내역서와 비교한다. 종래의 탈착가능한 형태의 금고는 지폐 지불기구와 반송통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크고 무겁다. 그러나, 최근의 경향에 따르면, 지폐자동 지불장치는 금융기관의 사무실에서 떨어져 배치된 부쓰 내에 설치되어진다. 이와 같이 크고 무거운 금고를 내역서와 함께 사무실로 옮겨야 하는 것은 불편하고, 종종 위험을 수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금고가 매우 적절한 방식으로 취급될 수 있는 금고 및 그 금고를 내장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지시에 응답하여 지폐를 지불하는 지폐자동지불장치가 제공된다. 수납부에 보관된 지폐를 지불하는 기구는, 금고를 구성하는 케이스 내에 넣어지고, 지폐는 그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지폐 자동지불장치는 상기 케이스를 분리가능하게 감싸며, 상기 개구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지폐픽업 슬롯이 설치된다. 상기 장치는 이러한 금고를 하나 이상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지폐를 지불 또는 배출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금고 제어부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지시에 응답하여 금고 제어부를 제어하는 주 제어부가 설치되며, 이들 2개의 제어부는 탈착가능한 커넥터로 상호 접속된다. 블레이드(blade)와 리젝트 금고는 금고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금고 제어부는 블레이드가 리젝트 금고를 향하도록 하여, 반송 오류를 겪은 지폐를 리젝트 금고를 향해 안내한다. 상기한 배치로 인해, 금고가 가장 적합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취급될 수 있는 지폐 자동지불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르면, 유가증권을 수납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수납부로부터 유가증권을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배출된 유가중권을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제1수납부, 배출수단 및 반송수단을 감싸며, 상기 반송수단을 통해 반송된 유가증권이 배출되는 제1개구가 형성된 제1케이스를 구비한 금고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를 통하여 단송되는 동안 유가증권이 적절한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상기 제1케이싱내에 설치된 검출수단과, 상기 제1케이싱내에 설치되고 유가중권을 수납하는 제2수납부와,
상기 제1케이싱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수납부중의 어느 한쪽으로 상기 반송 수단을 통해 배달되는 유가중권을 선택적으로 향하게하는 상기 제1개구와 상기 반송수단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제1케이스내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수단에 응답해서, 상기 배출수단과 반송수단 및 상기 선택수단을 제어하는 제1제어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제어 회로는 상기 반송수단을 통하여 반송되는 동안 유가증권의 부적절을 검출하는 상기 검출수난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수단이 배달된 유가증권을 상기 제2수납부로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금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제1케이싱을 착탈가능하게 수납하는 복수의 설치 슬롯과, 상기 제1케이싱가 설비 슬롯내에 있을 때 상기 제1개구와 연통하게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설치 슬롯에 대응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개구를 가지는 제2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제어회로를 제어하는 제2제어회로와, 상기 제1케이싱상에 설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케이싱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이 설치 슬롯에 수납될 때 상기 제1제어 회로를 상기 제2제어 회로로 접속하는 제2커넥터를 더 구비하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제1케이스내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수단쪽으로 수납부에서 유가증권를 안내하는 상기 수납부내에서 서로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케이싱에 대해 이동가능한 한쌍의 안내부재와, 상기 하나의 안내부재가 다른 안내부재에 평행하게 지지되어서, 상기 안내부재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유가중권이 배출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배열된 유효한 유가증권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수용할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위치를 선택 규정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제1케이싱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유가중권의 지폐금종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수단을 더 구비하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제1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제어회로의 제어하에서 상기 장치에 의해 행해진 거래에 연관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지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제어회로는 상기 지시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을 제어하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국면에 따르면, 유가증권이 복수의 설치 슬롯 중 하나에 위치한 상기 제1케이스로부터 배출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제어회로는 다른 복수의 설치 슬롯에 설치된 상기 제1케이스로부터 유가증권을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제2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수단 및 반송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1케이스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상기 제1케이스가 설치 슬롯에 설치되어 있을 때 구동력을 상기 배출수단 및 반송수단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반송수단을 통해 반송되는 동안 유가중권의 부적절한 상태를 검출하는 상기 검출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제1제어회로의 제어 하에서, 반송된 유가증권을 상기 제2수납부로 향하게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반송수단을 통해 반송된 유가증권을 상기 제1개구로 향하게 하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제1케이스를 분리가능하게 수납하는 설치 슬롯과 상기 제1케이스가 설치 슬롯 내에 있을 때 제1개구와 연통하여 배치되도록 형성된 제2개구를 갖는 휴대형 사이즈의 제2케이스와, 유가증권을 지불하기 위한 요구를 포함하는 명령 및 데이터를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해 상기 제2케이스에 설치된 작동수단과, 상기 장치와 데이터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2케이스에 설치된 표시수단과,
상기 제2케이스상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제1제어회로와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2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국면에 따르면, 유가증권을 수납하며, 수납된 유가증권을 배출 및 반송하는 기계적 배출수단과, 상기 수납부, 배출수단 및 반송수단을 둘러싸며 그 자신으로부터 상기 반송수단을 통해 반송된 유가증권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제2개구를 갖는 제2케이스와, 상기 기계적 배출수단내에서 서로 상하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케이스를 수납하는 제3케이스와, 상기 제3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개구로부터 배출된 유가증권을 상기 제3케이스의 외부로 향한 제1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제2반송수단과, 상기 제3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3케이스의 외부로 향한 제2위치로 배달된 유가증권을 제1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제3반송수단과,
상기 제3케이스가 서로 상하로 적층될 때 상기 3 케이스의 하나에 인접한 제1위치와 대면하는 제2위치와, 상기 제3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3위치를 통하여 상기 제3케이스의 외부로부터 동력을 받아 상기 동력을 상기 제2 및 제3반송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제1동력 전달수단과, 상기 제3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제4위치에서 상기 제3반송수단의 외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 전달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케이스가 서로 상하로 적층될 때 상기 제4위치는 상기 제3케이스의 하나에 인접한 제3위치와 대면하고, 상기 제3케이스가 서로 상하로 적층될 때 상기 제2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제3케이스의 하나에 인접한 상기 제2동력 전달수단과 기계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기계적 배출수단은, 상기 제1위치로 반송된 유가증권을 제1개구로 반송하기 위한 제4반송수단과, 일단에 위치한 상기 제3케이스의 상기 제1동력 전달수단에 기계적으로 접속가능하며 상기 제3케이스가 적층될 때 상기 동력을 상기 제1동력 전달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제4반송수단과 제1개구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4반송수단을 통해 배출된 유가중권을 지지하기 위한 임시 지지수단과, 소정 기간의 경과 후에, 상기 임시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유가증권을 회수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배출수단은,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수납부에 수납된 유가증권과 접촉하며, 접촉하고 있는 유가증권을 배출하는 픽커로울러와, 상기 제1수납부에 수납된 유가증권을 상기 픽커 로울러를 향해 가압하여, 유가증권의 가장 선단부가 상기 픽커 로울러와 접촉하도록 하는 가압수단과, 회전가능하며 상기 픽커 로울러에 의해 배출된 유가중권을 공급하는 공급 로울러와, 회전가능하고 상기 공급 로울러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배출된 유가증권의 1장만이 반송되도록 하는 역전 로울러와, 상기 픽커 로울러 및 역전 로울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상기 공급 로울러까지의 동력전달 연결부를 따라 삽입된 단방향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수단은, 서로 대면하여 회전가능한 일군의 로울러와, 상기 일군의 로울러에 매달리고 서로 대면하면서 움직일 수 있는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은, 제1위치에서 배출된 유가증권의 선단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작용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1신호를 발생하는 제1검출회로와, 제2위치에서 배출된 유가증권의 후단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작용을 개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2검출회로를 구비하며,
제1위치는 제3위치로부터, 유가증권의 선단이 제1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유가증권의 후단이 상기 픽커 로울러의 지지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반송수단이 제3위치에서 유가증권의 반송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상기 벨트사이에 유가증권의 선단 부근을 지지한 이후에는 유가증권의 선단이 제1위치에 도달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1거리의 길이만큼 유가증권이 반송되는 반송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위치는, 유가증권의 후단이 상기 공급 로울러의 지지로부터 해제된 이후에, 유가증권의 후단이 제2위치에 도달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유가증권이 상기 공급 로울러와 역전 로울러 사이에서 지지되는 위치로부터 제2거리의 길이만큼 유가증권의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배출수단은,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수납부에 수납된 유가증권과 접촉하며, 접촉하고 있는 유가증권을 배출하는 픽커 로울러와, 상기 제1수납부에 수납된 유가증권을 상기 픽커 로울러를 향해 가압하여, 유가증권의 가장 선단부가 상기 픽커 로울러와 접촉하도록 하는 가압수단과, 회전가능하며 상기 픽커 로울러에 의해 배출된 유가증권을 공급하는 공급 로울러와, 회전가능하고 상기 공급 로울러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배출된 유가증권의 1장만이 반송되도록 하는 역전 로울러와, 상기 픽커 로울러 및 역전 로울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상기 공급로울러까지의 구동력 전달 연결부를 따라 삽입된 제1의 단방향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수단은, 서로 대면하여 회전가능한 일군의 로울러와,
상기 일군의 로울러에 매달리고 서로 대면하면서 움직일 수 있는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상기 픽커 로울러까지의 구동력 전달 연결부를 따라 삽입된 제2의 단방향 클러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은, 제1위치에서 배출된 유가증권의 선단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작용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1신호를 발생하는 제1검출회로와, 제2위치에서 배출된 유가증권의 후단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작용을 개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2검출회로를 구비하며, 제1위치는 제3위치로부터, 입수가능한 유가증권중에서 반송방향으로 측정시 가장 짧은 유가증권의 선단이 제1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유가증권의 후단이 상기 픽커 로울러의 지지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반송수단이 제3위치에서 유가증권의 반송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상기 벨트사이에 유가증권의 선단 부근을 지지한 이후에는 유가증권의 선단이 제1위치에 도달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1거리의 길이만큼 유가증권이 반송되는 반송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위치는 유가증권의 후단이 상기 공급 로울러의 지지로부터 해제된 이후에, 유가증권의 후단이 제2위치에 도달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유가증권이 상기 공급 로울러와 역전 로울러 사이에서 지지되는 위치로부터 제2거리의 길이만큼 유가증권의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배출수단은,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수납부에 수납된 유가증권과 접촉하며, 접촉하고 있는 유가증권을 배출하는 픽커 로울러와, 상기 제1수납부에 수납된 유가증권을 상기 픽커 로울러를 향해 가압하여, 유가증권의 가장 선단부가 상기 픽커 로울러와 접촉하도록 하는 가압수단과, 회전가능하며 상기 픽커 로울러에 의해 배출된 유가증권을 공급하는 공급 로울러와, 회전가능하고 상기 공급 로울러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배출된 유가증권의 1장만이 반송되도록 하는 역전 로울러와, 상기 픽커 로울러 및 역전 로울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상기 공급 로울러까지의 구동력 전달 연결부를 따라 삽입된 제1의 단방향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수단은, 서로 대면하여 회전가능한 일군의 로울러와, 상기 일군의 로울러에 매달리고 서로 대면하면서 움직일 수 있는 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상기 픽커 로울러까지의 구동력 전달 연결부를 따라 삽입된 제2의 단방향 클러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은, 제1위치에서 배출된 유가증권의 선단을 검출하는 검출회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검출회로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작용을 중지시키고, 클럭을 기동하여, 소정 기간의 경과 후에,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작용을 재기동하는 타이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위치는 제2위치로부터, 입수가능한 유가증권중에서 반송방향으로 측정시 가장 짧은 유가증권의 선단이 제1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유가증권의 후단이 상기 픽커 로울러의 지지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반송수단이 제2위치에서 유가증권의 반송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상기 벨트사이에 유가증권의 선단 부근을 지지한 이후에는 유가증권의 선단이 제1위치에 도달되도록 나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1거리의 길이만큼 유가증권이 반송되는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고, 상기 유가증권이 반송되는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가능한 축을 구비하고, 대응되는 한쌍의 상기 제2의 단방향 클러치의 중간을 통하여 상기 회전가능한 축 상에 장착된 2개의 상기 픽커 로울러가 설치된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검출수단은 유가증권이 상기 반송수단을 통해 반송되는 동안, 유가증권의 부적절한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반송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반송수단이 유가증권을 반송하는 속도를 낮추며, 상기 선택수단을 제어하여 반송된 유가증권을 상기 제2수납부로 향하게 하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동안, 지불되어질 특정 매수의 유가증권 중 최종 매의 유가증권이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부가적으로, 상기 반송수단을 통해 반송되는 동안, 또 다른 유가증권이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이후에,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반송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반송수단이 유가증권을 반송하는 속도를 낮추며, 상기 선택수단을 제어하여 반송된 유가증권을 상기 제2수납부로 향하게 하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금고는 서로 격리된 하베이스(53)와 상베이스를 가지는 금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면, 상기 상베이스는 개폐할수 있도록 힌지로 상기 하베이스(53)에 부착되는 금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가면,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자동지불장치(21)의 실시예는,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 설치되어, 사용자, 즉 고객의 조작에 응답하여 특정된 금액과 동등한 지폐를 자동적으로 지불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장치(1)는 현금을 취급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나, 본 발명의 적용은 이러한 사용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외에, 백화점과 같은 소매점에 의해 발행되는 상품권, 도서 상품권 또는 여행사에 의해 발행되는 선불 티켓과 같은, 여타 형태의 유가증권을 취급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21)는 테이블 위에 놓일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형태로 설계되며, 케이스(26a)와 덮게(26)을 포함한다. 덮게는 힌지(26b)를 사용하여 케이스에 부착되어,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덮게(26)에는 고객을 향해 개방된, 즉 장치의 전방에, 지폐를 꺼내는 픽업 윈도우(22)가 설치되어 있다. 덮게(28)은 그것의 전방 패널 상에 설치된 입력표시 패드(23)를 갖는다. 상기 입력표시 패드(23)는 터치 패널 형태의 표시/입력장치로서, 입력 동작에 대한 지시와 같은 데이터, 또는 기계의 상태를 나타내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기능(23)과, 비밀번호 및 금액과 같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 즉 고객에 의해 접촉되는 제7도의 키패드(23c)를 통해 수행되는 입력기능(23b)을 갖는 표시 스크린을 구성한다.
상기 덮게(26)에는, 고객에 속하는 미도시된 고객 카드 또는 장치의 유지 보수자에게 속하는 미도시된 ID 카드를 받아들이거나 되돌려 주기위해 사용되는 그것의 일단에 개방된 슬롯(24)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이들 카드는 고객이 소유한 예금 계좌와 연계하여 금융기관에 의해 발행된 계좌 카드, 소위 “현금카드”와, 소액의 카드 론 등을 하기 위해 금융기관에 의해 사용되는 소위 “금융카드” 및 신용카드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그것들은 마그네틱 카드이다. 또한, 카드 슬롯(24)의 하부에는 개구, 즉 거래 명세가 출력된 내역표 용의 배출 슬롯(25)이 설치된다.
덮게(26)의 내면에는, 카드 슬롯(24)에 대응하는 위치에 카드 리더(27)가 제공된다. 더욱이, 프린터(28)가 내역표용의 배출 슬롯(25)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상기 카드 리더(27)는 카드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미도시된 센서와, 그것과 관련된 회로를 구비하고,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며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마그네틱 헤드(29)를 구비한다. 더욱이, 전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전자장치, 즉, 주 제어부(30)가 덮게(26)의 내면에 제공된다.
장치의 케이스(26a) 내에는, 금고(31)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금고(31)는 도면부호 400으로 전체가 표시된 영역 내에 지폐(40)를 보관하며, 지폐를 배출하기 위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장치의 부품들과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32)이 설치된다. 또한, 장치의 전면 패널에는 상기 픽업 윈도우(22)의 옆에 트레이(20)가 위치하며, 지폐가 이 트레이(20) 내부에 적재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금고(31)는 그것의 측단이 서있는 다수의 지폐(40)를 보관한다. 지폐(40)는 미도시된 스프링과 같은 가압수단에 의해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가압된 채로 있는 스테이지(41)에 의해 눌려져 있으며, 한 장의 지폐(40a), 즉 가장 우측의 지폐는 픽커 로울러(picker roller)(44)와 접촉한 상태로 있다. 상기 픽커 로울러(44)의 표면은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로 피복되어 있다. 상기 픽커 로울러(44)는 그것이 모터(M)(45)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되는 방식으로 배출 모터(45)와 연결됨으로써, 정상 상태에 있어서, 지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한매씩 도면의 위쪽으로 배출된다. 배출 로울러(44) 위에는 지폐의 반송방향으로 회전하는 공급 로울러(4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역전 로울러(43)가 설치됨으로써, 1매보다 많은 지폐의 반송이 방지되는데, 즉, 오직 1매의 지폐만이 상향으로 반송된다.
금고(31)로부터 배출된 1매의 지폐는 풀리(55)에 의해 매달린 한쌍의 반송 또는 반송 벨트(46, 47) 사이를 지지되어,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반송된다. 상기 풀리(55)는 반송 모터(48)와 연결되어, 반송 모터(48)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한편, 상기 반송 모터는 반송 벨트(46, 47)를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반송 모터(48)는 가변 회전속도를 제공하는 직류 서보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것 같이, 반송 벨트(46, 47)는 서로 밀착 접촉되면서 가동되어, 소정의 거리에 걸쳐 지폐 반송통로(109)를 형성한다. 이 반송통로(109)를 따라, 포토센서 유니트(49, 56)가 제공된다.
상기 센서 유니트(49)는 투과형(transmission type) 포토센서로, 1매 보다 많은 지폐가 동시에 반송되는지 여부를 광학적으로 검출한다. 상기 센서 유니트(56)는 지폐가 오정렬된 상태로 반송될 때 경사의 정도를 측정함과 함께, 은행권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포토센서이다. 상기 양 포토센서 유니트(49, 56)는 지폐의 반송상태를 검사하는 제6도의 센서(71)를 구성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 같이, 금고(31)의 내부에는, 서로 붙어서 반송되는 1매 보다 많은 지폐 또는 오정렬되어 반송되는 지폐가 놓이는 리젝트 박스(51)가 설치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회전가능한 블레이드(50)가 풀리(55)와 인접하여 박스(51) 위에 설치된다. 평상시에는, 상기 블레이드(50)의 측면 모서리(50a)는, 도면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것 같이, 반송 벨트(47)를 지탱하는 풀리(55)를 향해 경사진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반송된 지폐를 지폐 배출슬롯(58)으로 안내한다. 지폐가 상기한 이상 상태로 검출되면, 블레이드(50)는 금고 제어부(33)의 제어하에 솔레노이드(39)에 의해 회전하여,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를 취함으로써, 반송된 지폐를 리젝트 박스(51)로 향하게 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이상 상태의 지폐가 고객에게 제공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지폐 배출슬롯(58)은,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장치의 픽업 윈도우(22)와 대면한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반송된 지폐만이 픽업 윈도우(22)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상시 지폐 배출슬롯(58)과 반송 벨트(46)의 풀리(55) 사이에는 부가적인 포토센서 유니트(57)가 존재한다. 상기 센서 유니트(57)는 지폐반송의 완료를 검출하는 광검출 소자이다. 금고 제어부(30)가 금고(31)로부터의 지폐의 배출 이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이 센서 유니트(57)를 통하여 지폐 반송의 완료를 검출하지 못하면, 지폐가 반송통로(109)에서 잼이 걸린 것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금고 제어부(30)는 센서 유니트(57)에 의해 검출된 지폐의 수를 계수하며, 금고(31)로부터 배출된 지폐의 개수는 이 계수치에 근거하여 관리된다.
제3도에 부가하여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금고(31)는 하부 베이스(53)와 상부 베이스(54)를 구비한다. 상부 베이스는 화살표 B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힌지(52)에 의해 하부 베이스에 부착된다. 제4도에서 알 수 있듯이, 금고(31)는 휴대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베이스에는 핸들(60)이 설치된다. 더욱이, 지폐 배출개구(58)의 하부에는 잠금장치(61)가 설치되어, 양 베이스(53, 54)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잠기면, 양 베이스가 서로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베이스에는 배출모터(45), 반송모터(48), 픽커 로울러(44), 공급 로울러(42), 역전 로울러(43), 스테이지(41) 및 리젝트 박스(51)가 설치된다. 더욱이, 상부 로울러(54)에는 풀리(55), 반송 벨트(46, 47), 블레이드(50) 및 센서 유니트(49, 56)가 설치된다.
제6도를 참조하면, 이 장치의 제어시스템은 전체 장치를 제어하는 주 제어부(30)와, 상기 금고를 제어하기 위해 금고(31) 내에 배치된 금고 제어부(33)를 포함한다. 상기 금고 제어부(33)는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논리회로를 구비하여, 금고(31) 내에 포함된 부분의 동작을 감시하고 제어한다. 상기 금고 제어부(33)에는, 제어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시퀸스가 저장된 읽기 전용 메모리(ROM)(34)와, 제어 데이터와 결과적인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35)가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 대한 특징부는 고객의 동작에 따라 상기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거래로부터 발생된 데이터가 상기 임시 메모리(35)에 기억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처리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완료된 거래로부터 발생된 이들 데이터는 그것의 메모리 내용을 보존하기 위한 후술하는 백업 배터리(38)에 의해 유지되는 메모리(35) 내에 기억된다. 부수적으로, 완료된 거래의 이러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매체로서, 자기디스크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와 같은 다른 형태의 기억매체가 상기 임시 메모리(35) 대신에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더욱이, 드라이버(36)와 센서 판독회로(35)가 상기 금고 제어부(33)에 접속된다. 상기 드라이버(36)는 제어회로에 의해 출력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솔레노이드(39) 뿐만 아니라 모터(45, 46)를 구동하며, 상기 솔레노이드(39)는 블레이드(50)를 움직인다. 상기 센서 판독회로(37)는 센서(57, 71)를 통해 얻어진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이것을 금고 제어부(33)로 전송한다. 또한, 금고제어부(33)도 배터리(38)에 접속된다. 상기 금고 제어부(33)는 접속 라인(33a)으로 주 제어부(30)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며,
접속된 상태 중에는, 장치의 메인 어셈블리의 전원(32)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배터리(38)는 상기 금고(31)가 장치에서 분리되는 동안 전원 공급을 확보하기 위한 직류 백업 전원이다. 상기 드라이버(36)는 배출모터(45), 반송 모터(48) 및 블레이드(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39)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장치의 주 제어부(30)는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논리 회로를 구비하며, 전체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고 제어한다. 상기 주 제어부(30)와 이 장치 내의 다른 회로들은 전원(32)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주 제어부(30)는 입력화면(23)의 입력기능(23b)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부호화하여 이것을 상기 주 제어부(30)로 전송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72)에 접속된다. 더우기, 상기 주 제어부(30)는 상기 주 제어부(3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화면(23)의 표시기능(23a)이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 드라이버(73)에 접속된다. 상기한 카드리더(27)는 자기카드판독장치(74)의 매체를 통해 주 제어부(30)에 접속된다. 상기 자기카드 판독장치(74)는 카드리더(27)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이것을 주 제어부(3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아울러, 명세표 프린터(28)는 인터페이스(75)를 통하여 프린트 제어부와 주 제어부(30)에 접속된다. 프린터 제어 및 인터페이스(75)는 주 제어부(30)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프린터를 제어하고 구동하는 기능을 갖는다.
동작시에는, 사용자는 제1단계로서 자기 카드를 카드 슬롯(24)에 삽입한다. 카드의 삽입은 카드리더(27)의 센서에 의해 검출된 후, 카드리더(27)는 자기헤드(29)를 통하여 카드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읽혀진 고객 데이터는 자기카드 판독회로(74)로 전송되고, 그것을 통해 상기 데이터는 주 제어부(30)에 의해 수신된다. 상기 주 제어부(30)는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금융기관 코드, 계정번호 및 고객코드의 유효성을 첵크한다. 이러한 첵크의 결과가 그 데이터가 거래가 가능한 고객에 속한 것을 나타내면, 주 제어부(30)는 이들 고객 데이터를 접속 라인(33a)을 거쳐 금고 제어부(31)로 전송한다. 금고 제어부(33) 역시 그들 데이터를 임시 메모리(35)에 저장한다. 상기 주 제어부(30)가,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 첵크업 과정 동안 카드 데이터의 내용에서 발견된 이상 때문에 거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주 제어부는 입력 표시부(23)가 이러한 사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카드리더(27)가 카드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것과 같은 조치를 취한다.
주 제어부(30)는 입력 표시부(23)가 제7도의 키패드(23c)를 표시하도록 표시 드라이머(73)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희망하는 금액을 입력하도록 재촉한다.
키패드(23c)의 필요한 키를 누른 다음, 인출 금액을 입력한다. 입력된 거래 형태와 금액을 나타내는 신호는 키보드 인터페이스(72)를 통하여 대응하는 코드로 전환되고, 주 제어부(30)로 전송된다. 그후, 상기 주 제어부 사용자는 거래의 형태로서 “인출”을 선택하기 위해 이 키패드(23c)의 필용한 키를 누른 다음, 인출금액을 입력한다. 입력된 거래형태와 금액을 나타내는 신호는 키보드 인터페이스(72)를 통하여 대응하는 코드로 전환되고, 주 제어부(30)로 전송된다. 그후, 상기 주 제어부(30)는 표시 드라이버(73)로 거래 형태와 금액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그 데이터가 입력 표시부(23) 상에서 표시된다. 입력표시부(23)는 또한 키패드(23c)를 표시한다. 그후, 사용자는 표시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제7도의 키패드(23c) 상의 “취소”키 또는 “확인”키를 누른다. 사용자가 입력 표시부(23) 상의 표시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키를 누르면, 주 제어부(30)는 금고 제어부(33)가 인출 금액에 관련된 데이터를 임시 메모리(35)에 저장하도록 하는 한편, 입력 표시부(23)에 인출 금액을 표시한다. 한편, “취소”키가 눌려지면, 주 제어부(30)는 금고 제어부(33)가 이 금액을 포함하는 거래 데이터를 임시 메모리(35)로부터 삭제하도록 하고, 입력 표시부(23) 상에 표시된 금액을 “0”으로 변경하도록 표시 드라이버(73)를 제어함으로써, 이러한 동작에 응답한다. 그후, 시스템은 다음의 입력동작을 기다린다.
“확인”키가 눌려지면, 제어는 금고 제어부(33)로 전송되어, 지폐 지불동작이 개시된다. 주 제어부(33)는 반송 모터(48)를 구동하도록 드라이버(36)를 제어한 다음, 배출 모터(45)를 구동한다. 이들 동작에 응답하여, 배출 로울러(42)는 회전하기 시작한다. 배출 로울러(42)는 이때에 픽커 로울러(44)와 접속하고 있는 지폐(40a)를 끌어올려, 역전 로울러(43)의 기능과 연계하여 반송 벨트(45, 47) 사이에 지폐 한 장만을 반송한다.
이때, 반송 벨트(46, 47)는 모터(48)의 회전에 의해 이미 움직이기 시작한다. 상기 금고(31)에서 배출된 한 장의 지폐는 한쌍의 반송 벨트(46, 47) 사이에 지지되면서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러한 반송 과정 중에, 상기 반송상태 감시센서(71)는 지폐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는 센서 판독회로(37)를 거쳐 금고 제어부(33)로 전송된다. 상기 금고 제어부(33)는 상기 반송상태 감시센서(71)로부터의 이러한 감시 신호를 사용하여 한 장보다 많은 지폐가 반송되는가 아닌가를 판정하며, 지폐의 주행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지폐의 오정열의 정도를 측정한다. 지폐의 반송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금고 제어부(33)는 블레이드(50)를 제3도의 실선, 즉 54로 나타낸 위치로 유지함으로써, 반송된 지폐를 집적 트레이(20) 내부로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금고(31)에서 지폐를 배출하고 그것을 집적 트레이(20)로 반송하는 동작이 상기한 것과 같이 금고(31) 내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비록 지폐가 반송 중에 잼이 걸리더라도, 문제가 되는 금고(31) 만을 상기 장치(21)로부터 제거한 후, 잠금장치(62)를 풀어 상기 금고(31)를 잼으로부터 복귀시킬 수 있다. 더구나, 잼이 발생한 금고(31)가 제거된 이후에, 다른 금고(31)가 장치(21)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치(21)의 동작 효율이 개선되며, 고객 서비스가 저하되지 않는다.
지폐가 픽업 윈도우(22) 상으로 배출되면, 반송완료 센서(57)가 지폐의 배출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다. 그 신호는 센서 판독회로(37)를 통해 금고 제어부(33)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상기 금고 제어부(33)는 이 거래에 속하는 임시 메모리(35) 내에 저장된 금액 데이터로부터 한 장의 지폐의 해당하는 금액을 공제함으로써, 상기 임시 메모리(35) 내부의 금액 데이터를 갱신한다. 상기 갱신된 데이터가 “0” 이외의 값을 표시하면, 금고 제어부(33)는 다음 장의 지폐를 배출하는 동작을 계속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금고 제어부(33)는 임시 메모리(35)에 기억된 금액 데이터가 영의 잔액 “0”을 나타낼 때까지 배출동작을 계속한다.
이러한 공제의 결과가 “0”에 이르면, 상기 금고 제어부(33)는 임시 메모리(35)로부터 이 거래가 속한 계정번호, 거래형태, 거래금액 등을 판독하여, 그들 거래 데이터를 거래의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와 함께 접속라인(33a)을 통해 주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주 제어부(30)는 표시 드라이버(73)를 제어하여 입력 표시부(23) 상에 배출동작이 종료된 것을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거래의 종료를 나타내는 이러한 표시는 “0”의 금액을 표시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주 제어부(30)는 거래 데이터를 프린트 제어 및 인터페이스 회로(75)로 전송하고, 이 회로(75)를 제어하여 프린터(28)가 거래의 상세내역을 출력하도록 한다. 프린터(28)는 이 거래의 상세내역에 대한 기록을 프린트하고, 그것을 명세표로서 상기 슬롯(25)으로부터 배출한다. 동시에, 주 제어부(30)는 표시 드라이버(73)를 제어하여, 입력 표시부(23)의 표시 스크린 상의 화면을 초기 화면으로 복귀시킨다.
또한, 제어부(33)가 센서 판독회로(37)를 통해 반송상태 감시센서(71)로부터 수신한 감시신호에 근거하여 한 장보다 많은 지폐가 반송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지폐의 반송 중에 지폐의 반송상태를 표시하거나, 또는 일정한 한계를 넘는 오정렬을 검출하면, 즉, 반송 이상을 검출하면, 제어부는 드라이버(36)를 통해 블레이드 구동 솔레노이드(39)를 구동함으로써, 블레이드(50)가 제3도에 도시된 점선에 의해 나타낸 위치, 즉, 더욱 상세하게는 55의 위치를 취하도록 회전되어, 지폐 통로는 리젝트 박스(51) 측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반송 벨트(46, 47) 사이에 지지되어 반송된 이상 상태에 있는 지폐 리젝트 박스(51)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이때, 상기 금고 제어부(33)는 임시 메모리(35) 내에 보관된 금액 잔액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고, 그 대신에, 임시 메모리(35)에 지폐의 반송과정 동안 발생된 이상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보관한다. 그후, 상기 금고 제어부(33)는 금고(31)로부터 새로운 지폐를 배출하는 시도를 반복한다.
상기 금고 제어부(33)는 임시 메모리(35)에 각 세트의 거래 데이터를 확인 데이터로서 수납하는데, 각 세트의 거래 데이터는 단일의 거래에 속하며, 고객의 계정번호, 거래금액과, 예를 들어 본 거래는 지불을 위한 형태라는 것 등을 나타내는 거래형태와 같은 정보로 구성된다. 그들 확인 데이터는 적어도 특정한 고객의 파일이 이 장치의 중앙 컴퓨터에서 갱신될 때까지 상기 임시 메모리(35)에 저장된다. 이러한 배치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이 장치에서의 거래의 상세내역에 속하는 모든 데이터는 상기 금고(31)의 임시 메모리에 기억된다. 이들 데이터는 배터리(38)로부터의 백업전원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비록, 어떤 이유 때문에 금고(31)가 장치로부터 제거되어질 때 전원(32)으로부터의 전력이 차단되더라고, 임시 메모리(35)의 기억 내용은 배터리(38)에 의해 유지된다.
금융기관과 그 고객 간의 거래의 실시간 처리를 수행하는 온라인시스템은 중앙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와, 터미널 장치와, 통신선을 거쳐 상기 컴퓨터에 접속된 터미널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지폐 자동지불장치는 서비스의 종료 후, 이 장치를 담당하는 금융기관 직원에 의해 사무실로 되돌려지고, 터미널 제어장치의 채널 또는 통신라인에 접속된 모뎀을 통해 케이블로 온라인 시스템에 접속된다. 그후, 상기 데이터는 제어부(30, 33)의 제어 하에서 프로토콜에 따라 중앙 컴퓨터로 전송된다. 상기 중앙 컴퓨터에 논리 접속절차가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금고 제어부(33)는 임시 메모리(35)에 기억된 거래 데이터를 판독하여, 그들 데이터를 중앙 컴퓨터로 전송한다. 전송된 거래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35)로부터 소거됨으로써, 동일한 데이터의 중복전송을 방지한다. 중앙 컴퓨터가 거래 데이터를 수신하면, 거래형태 및 거래금액과 같은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 데이터에 포함된 고객의 계정번호와 연관된 계정 파일을 갱신하여, 그 거래의 처리를 완료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21)는 금고(31) 내부의 현금에 대한 정밀 검사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담당자는 장치(21)의 덮게(26)을 열고, 상기 금고(31)를 풀어 그것을 장치(21)로부터 꺼낸다. 상기 금고(31) 만이 사무실로 반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고(31)는 잔류 지폐(40) 뿐만 아니라 거래 데이터가 보관되는 임시 메모리(35)와, 반송 실패를 당한 지폐가 보관되는 리젝트 금고(51)를 포함한다. 따라서, 현금과 그것이 어떻게 관리되는가를 정밀 검사하기 위해서는 금고(31) 만을 사무실에서 열 필요가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장치는 휴대용이기 때문에, 장치는 정밀검사를 위해 사무실로 반송될 수 있다.
제8도 및 제9도는 상기 지폐 자동지불장치(21)에 적용될 수 있는 금고(3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요소 및 구성부품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하며, 간결을 기하기 위해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픽커 로울러(44)는 고마찰 재료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구비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픽커 로울러 샤프트(124) 상에 장착된다. 상기 픽커 로울러(44)는 중앙에 위치한 단방향 클러치(176)와 양단에 배치된 베어링(177)이 설치된 보스(boss)(175)에 고정된다. 상기 픽커 로울러(44)는 단방향 클러치(176)의 중앙부를 통해 픽커 로울러 샤프트(124) 상에 장착된다.
픽커 로울러(44)를 지폐(40)를 배출하기 위한 방향(제8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은 모터(45)로부터 벨트(136)를 통해 픽커 로울러 샤프트(126)로 전송된다. 그 위치에 있는 이 단방향 클러치에 의해, 모터(45)의 구동력은 픽커 로울러 샤프트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픽커 로울러(44)로 전송됨으로써, 상기 픽커 로울러(4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모터(45)가 가동하지 않는 동안 상기 픽커 로울러(4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하면, 픽커 로울러(44)는 픽커 로울러 샤프트(126)틀 중심으로 상기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더우기, 픽커 로울러(44) 각각은 그 자체의 단방향 클러치(176)의 중앙부를 통하여 픽커 로울러 샤프트(126) 상에 장착되므로, 모터(44)가 가동하지 않는 경우에, 픽커 로울러는 서로 독립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폐가 금고(31)로부터 배출되는 반송통로의 입구 지점 부근에 2개의 포토센서 유니트(178, 179)가 설치된다. 상기 포토센서 유니트 중의 하나(178)가 지폐(40a)의 선단을 검출하는 경우에, 모터(45)의 회전을 정지하기 위한 신호가 생성된다. 포토센서 유니트(178)에 의해 선단이 검출된 지폐(40a)의 후단을 검출하는 또 다른 포토센서 유니트(179)에 응답하여, 금고 제어부(33)는 모터(45)를 회전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반송통로(109)의 입구측에 위치한 풀리(55-1), 포토센서 유니트(178), 픽커 로울러(44) 및 공급 로울러(42) 사이의 위치관계는, 지폐(40a)의 선단이 상기 포토센서 유니트(178)의 검출점(C)에 막 도달한 시점에서, 즉 지폐(40a)의 선단이 반송 벨트(46, 47) 사이에 고정된 바로 그 순간에, 포토센서 유니트(178)가 지폐(40)의 선단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데, 즉 이들 구성요소 간의 관계는, 상기 포토센서 유니트(178)가 지폐(40a)의 선단을 검출하는 위치(C)가 지폐(40a)가 반송통로의 입구측 상의 반송 벨트(46, 47) 사이에 지지되기 시작하는 위치로부터 지페(40)의 반송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도록 설정된다. 반송 방향(E)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한가지 형태 이상의 지폐를 취급하는 지폐 자동지불장치는 가장 짧은 지폐에 속하는 상기한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된다.
또 다른 포토센서 유니트(179)는, 이 지폐(40a)의 후단이 상기 공급 로울러(42)로부터 방출된 이후에 지폐(40a)의 후단 모서리가 이 포토센서 유니트(179)에 의해 검출되도록 배치되는데, 즉 이 포토센서 유니트(179)가 지폐(40a)의 후단을 검출하는 위치는 상기 공급 로울러(42) 및 지폐(40a) 사이의 접촉 위치로부터 반송방향으로 약간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자동지불장치는, 일본 엔 지폐(반송방향으로 대략 76mm 길이)와 미국 달러 지폐(대략 66mm의 길이)와 같은 반송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한가지 형태 이상의 지폐를 취급할 수 있다. 우선, 미국 달러 지폐 및 일본 엔 지폐가 취급되는 경우에 대개서 상기 2가지 지폐 중 더 짧은 지폐인 미국 달러 지폐를 배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제10도에 있어서, 픽커 로울러(44) 및 공급 로울러(42)는 상기 모터(45)의 구동력을 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픽커 로울러(44)와 접촉하는 말단의 지폐(40a)를 상향으로 배출한다. 부수적으로, 픽커 로울러(44)와 공급 로울러(42)의 원주속도는 예를 들어 1,000mm/sec로 설정되고, 반송 벨트(46, 47)의 선속도는, 예를 들면 1,800mm/sec로 설정된다.
제11도에서, 배출된 지폐(40a)의 선단은 반송 벨트(46, 47) 사이에서 지지된다. 상기 반송 벨트(46, 47)의 선속도가 픽커 로울러(44) 및 공급 로울러(42)의 원주속도보다 크기 때문에, 지폐(40a)는 픽커 로울러(44)와 공급 로울러(42)로부터 끌어당겨지는 것처럼 반송된다. 상기 반송 벨트(46, 47)는 지폐(40a)를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반송력을 갖는다.
제12도에 있어서는, 지폐(40a)가 반송 벨트(46, 47)에 의해 상향으로 반송되는 동안, 지폐(40a)의 선단은 지폐의 선단이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점(C)에 도달한다. 상기 포토센서(178)가 지폐(40a)의 선단을 검출하면, 모터(45)를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가 금고 제어부(33)에 의해 출력됨으로써, 모터(45)를 정지시켜, 모터(45)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구동되고 있었던 공급 로울러(42) 및 픽커 로울러(44)의 회전은 정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미국 달러 지폐와 일본 엔 지폐 모두를 취급할 수 있도록 설계된 본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는, 포토센서 중의 하나(178)는 둘 중에 더 짧은 지폐인 미국 달러 지폐(40a)의 선단이 검출점(C)에 도달하고, 이 지폐(40a)의 선단이 반송 벨트(46, 47) 사이에 지지되는 순간에 지폐(40a)의 후단이 상기 픽커 로울러(44)로부터 풀려나도록 배치된다. 만일, 지폐(40a)가 반송 벨트(46, 47)사이에 지지되기 이전에 지폐(40a)의 선단이 검출점(c)에 도달하도록 위치 관계가 설정되면, 지폐(40a)를 배출시키기 위한 픽커 로을러(44)와 공급 로울러의 동작은 지페가 반송 벨트(46, 47) 사이에 지지되기 이전에 정지하여, 반송 벨트(46, 47)가 지폐를 끌어당기지 못하게 된다. 한편, 지폐(40a)의 후단이 픽커 로울러(44)로부터 방출된 이후에 이 지폐(40a)의 선단이 검출점(C)에 도달하도록 위치관계가 설정되면, 전과 후의 지폐 사이에 어떠한 간격을 남기지 않고 다음의 지폐가 픽커 로울러(44)에 의해 배출된다. 이러한 상황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포토센서(178) 중 하나가 상기한 것과 같이 배치된다.
제9도로 되돌아 가면, 단방향 클러치(137)는 공급 로울러(42)가 그위에 장착되는 공급 로울러 샤프트(130)와 모터(45)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136)가 그위에 걸리는 풀리(135) 사이에 삽입된다. 즉, 상기 공급 로울러 샤프트(130)는 풀리(135)에 대해 자유 회전할 수 있으므로, 공급 로울러 샤프트(130)는, 제8도에 도시된 것 같이, 심지어 모터(45)가 정지한 때에도 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폐(40a)가 모터(45)가 정지된 동안 반송 벨트(46, 47)에 의해 끌어당겨질 때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즉, 공급 로울러(42)는 이러한 인장력에 대한 부하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제10도∼제13도의 작동 단계는 지폐(40a)가 미국 달러 지폐인 경우에 속한다. 일본 엔 지폐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제14도에 도시된 것 같이 동작한다. 지폐(40a)의 선단이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되어, 모터(45)가 그것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픽커 로울러(44) 및 공급 로울러(42)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 지폐(40a)의 후단은 픽커 로울러(44)와 접촉한 채로 남아있는다. 그러나, 전술한 것 같이, 모터(45)가 정지할 때 픽커 로울러(4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려면, 픽커 로울러는 픽커 로울러(44)와 픽커 로울러 샤프트(124) 사이에 삽입된 단방향 클러치(176)에 의해 픽커 로울러 샤프트(124)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심지어 모터(45)가 정지하는 동안에도 지폐(40a)가 반송 벨트(46, 47)에 의해 끌어당겨질 때, 픽커 로울러(42)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데, 즉, 공급 로울러(42)는 이 인장력에 대해 부하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제13도에 있어서는, 반송 벨트(46, 47) 사이에 지지되어 반송되고 있는 선행하는 지폐(40a)의 후단은 지폐가 포토센서(179)에 의해 검출되어지는 검출점(B)에 도달한다. 상기 포토센서(179)가 지폐(40a)의 후단을 검출할 때, 모터(45)의 회전을 재개시하기 위한 신호가 금고 제어부(33)에 의해 발생된다. 상기 모터(45)는 픽커 로울러(44)와 공급 로울러(42)의 시계방향의 회전을 개시하여 지폐를 배출하고, 다음 지폐(40b)는 앞의 지폐(40a)에 대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 배출되어진다.
제15도는 사행상태에서 지폐(40a)가 배출되는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도면은 2개의 픽커 로울러(44)에 그 자체의 단방향 클러치(176)가 독립적으로 설치된 이유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한쌍의 포토센서(178)가 설치되는데, 각 측면 상의 포토센서가 지폐의 운송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만일, 앞의 지폐(40a)가 우연히 (도면에서 우측이 좌측보다 앞에 있는) 사행 상태로 배출되면, 이 지폐(40a)의 우측 선단은 먼저 우측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된다. 이러한 검출 때문에, 모터(45)의 회전이 중지되고, 이는 한편으로 픽커 로울러(44) 및 공급 로울러(4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우측 픽커 로울러(44)는 상기 지폐(40a)와 이미 접촉을 잃게 되나, 지폐(40a)의 후단부가 로울러와 접촉하게 되는 L 밀리미터(mm)의 길이만큼 좌측 픽커 로울러(44)의 뒤에 남아있기 때문에, 좌측 픽커 로울러(44)는 지폐(40a)와 여전히 접촉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닉커 로울러(44)에 그 자체의 단방향 클러치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지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예를 들면, 단방향 클러치(137)가 공급 로울러(42)에 대해 삽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공급 로울러 샤프트(130)와 풀리(135)사이에만 삽입되어 있으면, 지폐(40a)가 반송 벨트(46, 47)에 의해 끌어당겨질 때 좌측 픽커 로울러(44)는 길이 L 만큼 지폐(40a)를 배출하도록 회전한다. 그러나, 이때에, 우측 픽커 로울러(44)도 길이 L 만큼 지폐(40a)를 배출하도록 동일한 양 만큼 회전한다. 더우기, 이때에, 우측 픽커 로울러(44)는 다음 지폐(40b)와 이미 접촉하게 되므로, 이러한 다음 지폐(40b)의 우측도 길이 L 만큼 배출되어, 상기 다음의 지폐(40b)를 사행된 상태로 나오도록 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과 우측 픽커 로울러(44)에는 그 자체의 단방향 클러치(176)가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배치로, 비록 좌측 픽커 로울러(44)가 길이 L 만큼 지폐(40a)를 배출하는데 동등한 양 만큼 회전되더라도, 우측 픽커 로울러(44)는 그 상태대로 남아 있으므로, 다음 지폐(40b)는 경사되지 않은 상태로 나오게 되며, 역도 마찬가지로 성립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방향 클러치(137)가 공급 로울러(42)가 고정되는 공급 로울러 샤프트(130)와 풀리(135)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그 대신에, 상기 공급 로울러(42) 각각에는 각각의 픽커 로울러(44)와 같이 그 자체의 단방향 클러치가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6도를 참조하면, 단일의 포토센서(180)가 상기 지폐지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지폐(40)의 선단이 이 포토센서(180)에 의해 검출되면, 배출 모터(45)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가 금고 제어부에 의해 발생된다. 또한, 지폐(40)의 선단이 상기 포토센서(180)에 의해 검출되면, 금고 제어부(33)가 시간을 재어, 소정시간의 경과에 따라, 배출모터(45)를 회전시키는 신호를 생성한다. 반송통로(109)의 입구쪽에 위치하는 풀리(55-1), 포토센서(180), 픽커 로울러(44) 및 공급 로울러(42) 사이의 위치관계는, 지폐(40)의 선단이 포토센서(180)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에 도달하는 순간에 이 지폐(40)의 후단이 픽커 로울러(44)와의 접촉으로부터 해제되고, 지폐(40)의 선단이 반송 벨트(46, 47) 사이에 지지된 직후에 이 지폐(40)의 선단이 포토센서(180)에 의해 검출되도록 배치되는데, 즉 검출점(C)은 지폐(40)가 반송통로(109)의 입구측 상의 반송 벨트(46, 47)에 의해 지지되기 시작하는 지점으로부터 반송 또는 전송방향(E)으로 약간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반송방향(E)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한 형태 이상의 지폐인 경우에는, 상기 배치는 방향(E)으로 가장 짧은 지폐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7도는 상기한 것 같은 지불장치를 제어하는 금고 제어부(33)의 특정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금고 제어부(33)는 포토센서(180)에 의한 지폐(40)의 선단의 검출에 응답하여, 배출모터(45)의 회전을 정지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금고 제어부(33)는 타이머(186)를 구비하고, 이 타이머(1)는 지폐(40) 선단의 검출에 응답하여 시간을 재기 시작하며, 소정시간 경과후, 상기 제어부(33)는 배출 모터(45)의 회전을 재개시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제18도를 참조하면, 금고 제어부(33)는 배출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명령을 발생함으로써, 배출모터(45)를 회전시킨다(단계 201). 제19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픽커 로울러(44)와 공급 로울러(42)는 배출모터(4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지폐를 배출한다. 제20도에 도시된 것 같이, 포토센서(180)는 지폐의 선단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단계 202), 검출된 경우에는, 배출모터(45)가 정지된다(단계 203). 포토센서(180)에 의한 지폐(40a)의 선단의 검출과 동시에, 클럭킹(clocking)이 타이머(186)에 의해 개시된다. 상기 배출모터(45)가 정지된 후, 소정 개수의 지폐가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204). 최종 매수의 지폐가 배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지폐의 선단이 단계 202에서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클럭킹이 타이머(186)에 의해 개시된다. 소정길이의 시간 후, 예를 들면, 20 밀리초(ms)의 경과 후, 제21도에 도시된 것 같이, 배출모터(45)가 회전되어 배출동작을 계속하게 된다(단계 205).
단계 204에서 최종 매의 지폐가 배출된 것으로 결정되면, 배출동작이 종료된다(단계 206).
만일, 단계 202에서 지폐의 선단이 검출되지 않으면, 클럭킹이 개시되고(단계 207), 소정길이의 시간의 경과 후, 예를 들면, 500ms의 경과 후에도 지폐의 선단이 여전히 검출되지 않으면, 배출 또는 분리동작이 실패하거나 잼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장치의 거래기능은 잼 에러로서 중단된다(단계 208). 상기 소정 길이의 시간에 대한 수치는, 후의 지폐(40b)에 대한 선단이 전의 지폐(40a)의 후단과 동급 로울러(42) 사이의 접촉점에 들어가도록 하지 않으면서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2장의 지폐 사이의 간격이 가능한한 작게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포토센서(180)는 상기한 위치에 배치되고, 픽커 로울러(44) 모두는 배출모터(45)에서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픽커 로울러 샤프트(124) 상에 그 자체의 단방향 클러치(176)의 중앙부를 통하여 독립적으로 장착되므로,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미국 달러 지폐와 일본 엔 지폐와 같이 반송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한 형태 이상의 지폐를 취급할 수 있다 더우기, 좌측과 우측 픽커 로울러(44)에는 그 자체의 단방향 클러치(176)가 독립적으로 설치되므로, 제1실시예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한 이유로 앞의 지폐(40a)가 사행상태로 배출되더라도, 다음 지폐(40b)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22도는 지폐 반송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는 리젝트 금고(51)와 블레이드(50)를 구비한다. 이러한 특정한 구성에 있어서는, 특정한 개수의 지폐를 배출하는 동작이 완료된 후, 배출되지 않아야 하는 여분의 지폐가 특정한 수의 지폐 중 최종 지폐의 배출동작으로 끌어당겨져 배출되고, 이 지폐의 선단이 포토센서(179)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후속된 지폐를 배출하지 않으면서 리젝트 금고(51) 내에 이 지폐를 보관하기 위한 제어가 수행된다.
제23도를 참조하면, 금고 제어부(33)는 모터(45)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189)를 구비하며, 이 회전속도 제어부(189)는 배출모터(45)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최종 매의 지폐에 의해 끌어당겨져 배출되는 여분의 지폐를 리젝트 금고(51)에 보관하기 위한 배출동작 동안의 배출모터(45)의 회전속도가 정상 배출동작 중의 배출모터(45)의 회전속도보다 느려진다.
또한, 상기 금고 제어부(33)는 배출 카운터(190)를 구비한다. 배출되어질 지폐의 수를 특정하기 위한 계수치가 금고 제어부(33)에 의해 이 카운터(190) 내에 설정되고, 상기 설정치는 한 장의 지폐가 배출될 때마다 감소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제어부(33)는 배출된 지폐가 배출되어질 최종의 지폐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24도∼제27도를 참조하면, 동작시에는, 고객에 의해 n 매의 지폐가 지불되어지도록 명령이 입력되면, 금고 제어부(33)는 지불요구의 금액을 나타내는 수치 n을 배출 카운터(190) 내에 설정한다(단계 221). 그후, 제어부(33)는 주모터(48)의 회전을 개시하고(단계 222), 회전이 소정 속도에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단계 223). 소정 길이의 시간 경과 후에, 소정의 속도에 도달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다(단계 224 및 225).
주모터(48)의 회전속도가 소정의 속도로 안정화되면, 제어부(33)는 회전속도 제어부(189)를 통해, 지폐를 배출하기 위해 N1 rpm으로 회전하도록 배출모터(45)를 제어한다(단계 226). 배출된 지폐의 선단이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되면(단계 227), 배출모터(45)가 정지된다(단계 228). 단계 226 및 227에 있어서, 배출모터(45)가 지폐를 배출하기 위해 회전되는 동안 지폐의 선단이 소정시간 경과 후에도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단계 229 및 230).
단계 227 및 228에 있어서는, 배출모터(45)가 정지한 경우, 금고 제어부(33)는 배출 카운터(189)에 설정된 값 n으로부터 1을 공제함으로써(단계 231), n이 제로로 되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일정한 지폐가 배출되어질 최종의 지폐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232), 상기 배출된 지폐가 배출되어질 최종 지폐가 아닌 경우에는, 지폐의 후단이 포토센서(179)에 의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단계 233), 지폐의 후단이 포토센서(179)에 의해 이미 검출된 것으로 판정되면, 배출모터(45)는 다음 지폐를 배출하기 위해 재개시된다(단계 226). 만일, 하나의 포토센서(178)가 지폐의 선단을 검출하였으나, 다른 포토센서(179)가 소정시간의 경과 후에도 지폐의 후단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다(단계 234 및 235).
단계 232에 있어, 배출된 지폐가 배출되어질 최종 지폐인 것으로 판정되면, 지폐의 후단이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236) 만일, 이 포토센서(178)가 지폐의 선단을 동일한 포토센서(178)가 검출한 이래 소정시간 경과 후에도 그것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다(단계 237 및 238). 단계 236에서는, 최종 지폐의 후단이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된 것으로 판정되면, 다음 지폐의 선단이 포토센서(179)에 의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239). 만일, 지폐의 선단이 포토센서(179)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면, 배출되지 않아야 할 지폐가 배출되지 않으므로, 배출동작은 종료된다(단계 240).
단계 239에서는, 만일, 지폐의 선단이 포토센서(179)에 의해 검출되면, 이는 최종 지폐 이후에 배출되지 말아야 할 여분의 지폐가 배출되었다는 상태를 나타내므로, 리젝트 금고(51) 내에 이 지폐를 보관하기 위해, 금고 제어부(33)는, 회전속도 제어부(189)를 매개하여, 배출모터(45)를 정상 배출 회전수 N1 rpm보다 느린 N2 rpm으로 회전시켜 지폐를 배출한다(단계 241). 이때에 배출모터(45)의 회전속도를 늦추는 이유는, 회전을 중지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이 지폐가 배출된 이후에 배출모터(45)의 회전이 정지되었을 때 다음 장의 지폐가 이 지폐를 따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최종 지폐가 배출된 것이 판정된 이후에, 지폐(40c)의 선단이 제2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포토센서(179)에 의해 검출되면, 이는 배출되지 않아야 할 여분의 지폐가 배출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므로, 배출모터(45)는 더 느린 회전속도 N2로 회전하여 지폐(45c)를 배출한다. 배출된 지폐(40c)는 반송 벨트(46, 47) 사이에 지지되고 반송되어 제29도에 도시된 것 같이 블레이드(50)에 의해 전환된 반송통로를 통해 리젝트 금고(51)에 보관된다.
다음에는, 배출된 지폐의 선단이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242). 만일, 지폐의 선단이 소정시간 경과 후에도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 것이라 결정된다(단계 243 및 244). 단계 242에 있어서는, 지폐의 선단이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되면, 배출모터(45)가 정지된다(단계 245). 선단이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되었던 지폐의 후단이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246). 만일, 지폐의 선단이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된 이래 소정시간의 경과 후에도 지폐의 후단이 이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다(단계 247 및 248). 단계 246에서는, 지폐의 후단이 포토센서(178)에 의해 검출된 것으로 결정되면, 다음 지폐의 선단이 포토센서(179)에 의해 검출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249). 지폐의 선단이 포토센서(179)에 의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는 배출되어서는 안되는 지폐가 배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므로, 배출동작을 종료된다(단계 250).
단계 249에서는, 지폐의 선단이 포토센서(179)에 의해 검출된 것으로 판정되면, 이것은 배출되지 않아야 할 지폐가 다시 배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므로, 동작이 단계 241로부터 반복된다. 더우기, 최종 지폐가 배출된 이후, 지폐의 선단이 포토센서(179)에 의해 3회와 같이 소정 횟수 이상 검출되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다(단계 251 및 252).
제30도는 지폐 지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포토센서(191)는 도시된 위치에 장착된다. 이 포토센서(191)가 지폐(40a)의 선단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금고 제어부(33)는 배출모터(45)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이 포토센서(191)를 통하여 지폐(40a)의 선단을 검출한 후에, 후술하는 것과 같이 금고제어부(33)는 클럭킹을 개시하고, 소정시간의 경과 후, 배출모터(45)를 회전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반송통로(109)의 입구측에 위치한 풀리(55-1)와, 포토센서(191) 및 픽커 로울러(44) 사이의 위치관계는, 지폐가 동시에 나타나는 바로 그 순간에 포토센서(191)가 지폐(40a)의 선단을 검출하여 지폐(40a)의 선단이 포토센서(191)에 의해 검출되는 디점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되며, 지폐(40a)의 후단은 픽커 로울러(44)와의 접촉으로부터 해제되고, 지폐(40a)의 선단은 반송 벨트(46, 47) 사이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제31도를 참조하면, 지폐(40a)의 선단이 포토센서(191)에 의해 검출되면, 금고 제어부(33)는 타이머(186)를 통해 클럭킹을 개시하고, 소정 기간, 예를 들어 20 ms의 경과 후에, 배출모터(45)의 회전을 재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제32도를 참조하면, 배출동작을 개시하는 명령이 발생되면, 금고 제어부(33)는 배출모터(45)를 회전시킨다(단계 371). 배출모터(45)의 회전은 픽커 로울러(44) 및 공급 로울러(42)를 회전시켜 지폐(40a)를 배출시킨다. 제34도에서는, 배출된 지폐(40a)의 선단이 반송 벨트(46, 47) 사이에 지지된 후, 지폐(40a)는 그것의 선단이 검출지점 F에 도달할 때까지 반송된다. 포토센서(191)에 의해 검출된 지폐(40a)의 선단에 따라, 금고 제어부(33)는 배출모터(45)를 정지시키는 신호를 생성하여, 배출모터(45)가 정지되고, 이는 한편으로 지폐를 배출시키기 위해 배출모터(45)에 의해 발생된 픽커 로울러(44) 및 공급 로울러(44)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중지시킨다(단계 373).
클럭링은 지폐(40a)의 선단이 포토센서(191)에 의해 검출되는 순간에 개시된다. 배출모터(45)가 정지된 이후에, 특정한 수의 지폐가 배출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374). 만일, 최종 지폐가 배출되지 않았으면, 지폐의 선단이 단계 272에서 검출된 순간으로부터 클럭킹이 타이머(186)에 의해 개시되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배출모터(45)는 배출동작을 재개시하기 위해 회전한다(단계 375). 단계 374에서는, 최종 지폐가 배출된 것으로 판정되면, 배출동작이 종료된다(단계 376). 단계 372에서는, 지폐의 선단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클럭킹이 개시되고(단계 377), 지폐의 선단이 소정시간, 예를 들면 500ms의 경과 후에도 여전히 검출되지 않으면, 분리 실패 또는 지폐의 잼이 발생된 것이 결정되고, 장치의 거래기능은 잼 에러로서 정지된다(단계 378).
제36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는 전의 지폐와 다음 지폐 사이의 소정 간격 L1 mm로 정상적으로 배출되며, 그것의 반송속도는 V1 mm/sec이다. 블레이드(50)를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t0 ms이다. 지폐(40-1, 40-2) 사이의 간격이 L1이므로, 다음 지폐(40-2)는 제1지폐(40-1)가 블레이드(50)를 통과한 이후 L1/VL = t1의 경과 후에 반송 벨트 상으로 보내진다. 단위시간당 분리된 지폐의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t0 > t1으로 설정된다. 지폐 간격이 상기와 같이 설정되면, 블레이드(50)의 전환은 뒤쳐지지만, 지폐가 정상적으로 배출되고 있어 리젝트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문제는 생기지는 않는다.
제33도를 참조하면, 정상상태 하에서는, 상기 반송 모터(48)는 고회전을 유지하지만(단계 391), 지불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불량 상태에 있는 한 장의 지폐가 제3도에 도시된 투과형 포토센서(49, 56)에 의해 검출되면, 반송 모터(48)의 회전속도를 늦추는 신호가 출력된다(단계 393). 반송 벨트(46, 47) 사이에 지지된 지폐의 반송속도는 반송 모터(48)의 회전속도가 늦춰지기 때문에 느려진다. 더우기, 불량 상태에 있는 지폐가 투과형 포토센서(49, 56)에 의해 검출되면, 블레이드(50)는 지폐 반송통로를 리젝트 금고(51)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배열로 인해, 지폐는 정상 지폐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반송되고, 블레이드(50)에 의해 조종되어, 리젝트 금고(51) 내에 수납된다. 상기한 느린 반송속도는 블레이드(50)가 지폐의 반송통로를 전환하기에 충분하도록 설정된다.
불량 상태의 지폐가 투과형 포토센서(49, 56)에 의해 검출되면, 배출모터(45)는 그 회전을 중지하고, 다음 지폐의 배출동작은 불량 상태에 있는 이 지폐가 리젝트 금고(51) 내에 수납될 때까지 중지된다. 불량 상태에 있는 지폐가 리젝트 금고(51) 내에 수납된 이후에(단계 394), 모터(45)는 나머지 지폐를 배출하기 위해 그것의 회전을 재개시한다. 또한, 반송모터(48)는 정상지폐의 반송속도를 되찾기 위해 그것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킨다(단계 391).
제37도를 참조하면, 한장의 지폐(40-4)가 경사지고, 앞의 지폐(40-3)가 정상의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비록 후의 지폐(40-4)는 경사졌기 때문에 리젝트되어야만 하더라도 앞의 지폐(40-3)는 리젝트될 필요가 없다. 이때, 가장 짧은 거리로 지폐(40-3, 40-4) 사이의 간격을 L2 mm라 하자. 만일, 불량 상태에 있는 지폐가 각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반송 모터(48)의 회전속도를 낮추기 위한 명형이 발생되면, 예를 들어, 반송속도가 V2 mm/sec가 되도록 제어되면, 다음 지폐(40-4)는 앞의 지폐(40-3)가 블레이드(50)를 통과한 이래 L2/V2 = 12 msec 이후에 보내진다. 따라서, 블레이드(51)를 전환하는데 걸리는 시간 t0와, 회전속도 V2의 값이 t0 < t2를 만족하도록 설정되면, 블레이드(50)는 앞의 지폐(40-3)가 블레이드(50)를 통과한 후 다음 지폐(40-4)가 블레이드(50)에 도달하는 시간까지 전환될 수 있으므로, 지폐(40-4)는 상기 리젝트 금고(51)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불량 상태에 있는 지폐(40-4)가 리젝트 금고(51) 내에 보관된 후에는, 반송 모터(48)의 회전속도는 속도 V1을 되찾기 위해 가속된다.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지폐 자동지불장치에 따르면, 배출된 지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되고, 픽커 로울러 및 공급 로울러용 구동수단은 이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따라서, 복수 장의 연속적으로 배출된 지폐 사이의 간격은 단축되어 설정될 수 있고, 이는 한편으로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지폐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우기, 단방향 클러치는 구동수단으로부터 픽커 로울러로 구동력 전달 연결부를 따라 삽입되므로, 반송방항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한가지 형태 이상의 지폐를 배출하는 한편, 지폐의 사행 및 지폐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데, 즉, 신뢰성이 높은 배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픽커 로울러가 지폐의 배출방향에 대해 좌측과 우측 모두에 장착된 경우에, 각 픽커 로울러에는 그 자체에 삽입된 단방향 클러치가 독립적으로 설치되므로, 앞의 지폐가 경사진 상태로 배출되더라도, 다음 지폐는 이러한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데, 즉, 신뢰성이 더욱 개선된다.
만일, 여분의 지폐가 최종 지폐를 따라 도중에 배출되는 경우에는, 그 여분의 지폐는 전부 배출되어 리젝트 금고에 보관될 수 있으므로, 범죄 예방의 차원에서 안전하다. 더우기, 이러한 배출동작 도중에, 픽커 로울러용 구동수단은 더 낮은 속도로 동작되어, 배출동작이 정지되어질 때 구동수단은 더 짧은 시간에 정지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여분의 지폐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우연히 반송되는 지폐가 지불에 적합하지 않게 되면, 반송수단의 반송속도는 이 지폐를 리젝트 금고에 보관하기 위해 늦추어지므로, 지폐 반송통로를 리젝트 금고의 방향으로 전환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소요될 수가 있으며, 더우기, 정상 반송상태 하에서 계속적으로 보내지는 지폐에 대한 간격이 단축될 수 있다.
제38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자동지불장치는 케이스(418)를 구비한다. 이 케이스(418)의 전방 우측에는, 3개의 지폐 수납금고(419)가 상단으로부터 수직층으로 분리가능하게, 즉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들 지폐 수납금고(419)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폐 수납금고는 지불동작 중에 지폐를 방출하기 위해 전방측에 형성된 개구(58)와, 후미측에 연결부를 후술하는 제어부(434)에 고정하기 위해, 제39도에 도시된 것 같이, 케이스 측에 설치된 커넥터(422, 423, 424) 각각에 장착되는 커넥터(426)를 구비한다. 케이스(418)의 전방 패널에는, 그 각각이 대응되는 지폐 배출구의 측면에 위치하는 지폐집적 트레이(427, 428, 429)가 설치된다. 각각의 지폐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복수장의 지폐는 이들 트레이 내부에 쌓여, 고객에 의해 취해진다. 더우기, 이 케이스(418)의 전방 패널의 상부 좌측에는 카드를 취급하기 위한 카드 취급 유니트, 즉, 카드 판독/기록 프린터(card read/write printer: CRP)(430)가 설치된다. 이 카드 취급 유니트(430)는, 고객에 의해 삽입된 카드로부터 자기정보를 판독하고, 수행된 현재의 거래내용에 속하는 갱신된 정보를 카드에 기록하며, 내역서 상에 수행된 거래내용을 프린트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 카드취급 유니트(430)에는 카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슬롯(4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카드슬롯(431)의 아래에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또는 CRT를 구비한 표시부(432)가 고객이 해야 할 입력 동작을 위한 지시사항 또는 입력된 데이터에 속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설치된다. 더욱이, 이 표시부의 아래에는, 다중키를 갖는 키패드(433)가 설치되어, 이들 키들은 암호, 지불 요구금액 등을 입력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고객에 의해 눌려진다. 케이스(418)의 하부에는, 전체 장치 뿐만 아니라 상기한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434)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장치의 구성요소 각각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435)이 제어 유니트(434)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3개의 금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들 금고는 제40도에 도시된 것과 동등한데, 여기서는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던 금고(31)에 부가적인 구성요소인, 커넥터(426), DIP 스위치(56), 금종 식별 센서 유니트(448) 및 메모리(460)가 설치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부품 및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하였으며, 간략을 기하기 위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금종 식별센서(448)는 반송통로(109)를 따라 장착되고, 지폐 보관금고(419) 내부의 지폐 수납부(400)로부터 배출되어 반송종로(109)를 통해 반송되는 지폐의 금종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제41도에서 명백히 알 수 있듯이, 지폐 수납부(400)는 한쌍의 가이드(451a, 451b)를 구비한다 그것들은 지폐(40)의 길이방향의 치수에 근거하여 지폐보관위치를 한정하는 지폐 가이드로서, 그중의 하나(451a)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451b)는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움직일 수 있는 지폐 가이드(451b)는 돌기(452)에 의해 분리할 수 있게 지지된다.
이 돌기(452)는, 금고의 상면이 개방된 채 위에서 본 금고의 평면도인 제41도에 도시된 것 같이, 지폐(40)의 수납공간(54)의 선단 및 후단을 향해 2열로 배치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열은 홈(453a, 453b, 453c)을 제공하는 4개의 돌기(451b)를 구비하므로, 수납공간(400)의 폭은 3단계로 변경될 수 있다. 움직일 수 있는 지폐 가이드(451b)가 홈들(453a, 453b, 453c) 중 선택된 하나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지폐 가이드(451b)는 세워진 자세로 지지된다.
상기 지폐 가이드(415b)는 3개의 홈(453a, 453b, 453c)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어, 이는 지폐 크기의 3가지 선택을 제공하며, 보관되는 지폐의 금종에 대응하는 보관 위치는 장착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결정된다. 특히, 지폐 가이드(451b)가 가장 안쪽의 홈(453a)에 맞물리면, 대향하는 지폐 가이드(453a, 453b) 사이의 폭은 가장 작은 사이즈인 천엔권을 수납하는데 알맞게 되고, 중간홈(453b)에서는, 중간 사이즈인 5천엔권에 알맞게 되며, 가장 바깥쪽홈(453c)에는 가장 큰 사이즈인 만엔권이 알맞게 된다.
제42도를 참조하면, DIP 스위치(456)가 하부 베이스(53)의 전방패널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폐가 배치된 후, 금고(419) 내부에 보관된 지폐 금종을 나타내는 지폐 금종 데이터를 셋업하도록 작동된다. 제43도에 도시된 것 같이, 상기 DIP 스위치(456)는 4개의 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스위치들(456a)을 구비한다. 이 스위치에 의해 표시되는 “0”은 로우(low)를 나타내고, “1”은 하이(high)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천엔권이 수납되면 스위치(456a)의 오작을 통해 발생된 표시부는 “0001”을 나타내고, 5천엔권에 대해서는 “0010”, 만엔권에 대해서는 “0011”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장소에 상기한 배치에 따라, 금고(419) 내부에 수납된 지폐 금종에 속하는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즉, 상기 지폐 보관 금고(419)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어떠한 금종의 지폐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관되어지는 지폐 금종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홈들(453a, 453b, 453c) 중 하나의 홈에 지폐 가이드(451b)를 맞물리도록 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천엔권을 보관하려는 상황을 고려하자. 먼저, 상부 베이스(54)를 열기 위해 미도시된 열쇠로 잠금장치(61)를 해제한다. 다음에, 픽커 로울러(44)를 향해 지폐(40)를 누르기 위한 스테이지(41)를 리젝트 금고(51)를 향해 뒤로 피동시키고 그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지폐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그것과 반대측의 픽커 로울러(44)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후, 움직일 수 있는 지폐 가이드(451b)를 가장 안쪽의 홈(453b)에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지폐 가이드(451b)와 협력하여 천엔권의 길이에 맞는 폭을 갖는 공간을 고정하고, 희망하는 수의 천엔권을 정렬되어 똑바로 세워진 위치로 지지되도록 이 공간에 수납한다. 다음에, 상기 스테이지(41)가 고정된 위치에서 풀림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41)는 탄성력으로 다시 제위치로 돌아와 지폐(40)를 픽커 로울러(44)를 향해 누름으로써, 지폐(40)의 적재 과정을 완료한다.
상부 베이스(54)가 닫히고 잠금장치(61)가 설정되면, 어떠한 금종의 지폐가 이 금고(419)에 보관되어 있는가를 나타내기 위해 DIP 스위치(456)를 작동한다. 이 경우에는, 천엔권이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0001”로 설정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5천엔권과 만엔권과 같은 필요한 금종의 지폐가 보관되고, 지폐 금종에 속하는 적절한 정보가 DIP 스위치(456)에 의해 표시된다. 모든 가능한 금종의 지폐를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할 필요는 없다. 그 대신에, 만엔권만, 또는 천엔권과 만엔권의 조합이 수납될 수 있으므로, 보관되는 지폐의 금종은 선택된 동작모드에 대한 가장 좋은 효율을 제공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가능한 지폐의 금종은 DIP스위치(456)의 배치를 판독하는 주 제어부(434)를 통해 표시부(432) 상에 고객 정보로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방식으로 금고의 준비가 완료된 후, 장치의 케이스(418) 내부의 금고 설치 슬롯에 금고를 후면을 먼저 삽입하여 적재하고, 각 지폐보관금고(419)의 후면에 설치된 커넥터(426)를 케이스(418)에 설치된 오목 커넥터들(422, 423, 424) 중의 하나에 접속한다. 커넥터(426)가 부착되는 후방 패널의 뒤에, 즉 금고(419) 내부에는, 지폐를 분리하고 배출하도록 구동하는 모터(45)와, 반송 모터(48)와, 블레이드(51)의 액츄에이터에 개시 또는 정지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배선과, 반송 이상을 검출하거나 지폐의 금종을 식별하기 위한 센서(49, 56, 57, 448)가 존재한다. 또한, 검출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설치된 미도시된 배선이 존재한다.
커넥터들(426) 각각이 커넥터들(422, 423, 424) 중의 하나에 접속되고, 전원(435)의 미도시된 스위치가 켜지면, 전원은 커넥터들(422, 423, 424)과 커넥터(426)를 통하여 금고(419) 내의 구성요소들에 공급되고, DIP스위치(456)에 의해 설정된 지폐의 금종을 나타내는 정보는 제어부(434)로 전송된다. 주 제어부(434)는 상기한 방식으로 설치된 금고(419) 내에 수납된 지폐(40)의 금종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고객에 의해 지불요구가 발생할 때, 주 제어부(434)픈 지폐의 금종을 나타내는 이 정보에 근거하여 지폐 수납금고(419)로 지폐를 배출하도록 하는 명령을 준다.
제44도를 참조하면, 상기 지폐 자동지불장치는 내부조작 패널(457)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유지보수 검사 등의 과정 동안 금융기관의 직원에 의해 작동되도록 케이스(418) 내에 설치된 유니트이다. 또한, 이 장치에는 금고설치 슬롯에 설치된 수납금고(419)로부터 지폐를 배출하기 위한 지폐 배출 유니트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434)에는 상기 금고(419) 내부에 수납된 지폐의 금종에 속하는 다양한 정보와 수행된 거래를 금고(419)의 작동 이력 및 장해 기록으로서 기억하는 수납금고 관리 메모리(459)가 설치된다. 이 운용 이력은 지폐 자동지불장치에 의해 수행된 거래의 횟수 및 금액을 포함하며, 상기 장해 기록은 중복 배출, 손상 지폐의 검출 등에 속하는 오류 계수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즉 장치 내부에 설치된 임의의 수납금고(419)에 의해 수행된 모든 거래에 관한 정보와 그들 중의 어느 것에 발생된 모든 상황들이 기억된다.
특히, 제어부(434)는 수납금고(419)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수납금고(419) 중 어느 것에 어떠한 금종의 지폐가 수납되어 있는지를 알게 된다. 천엔권을 수납한 수납금고(419)가 최상의 금고설치 슬롯에 설치되어 있고, 5천엔권을 수납한 수납금고(419)는 중간 슬롯에, 그리고 만엔권을 수납한 수납금고(419)는 가장 낮은 슬롯에 있다고 하자. 예를 들어, 고객에 의해 57,000엔의 금액이 요청되면, 주 제어부(434)는 지폐배출 유니트(458)를 제어하여, 가장 낮은 슬롯에 있는 수납금고(419)로부터는 5장의 만엔권을 배출하도록 하고, 중간 슬롯의 수납금고(419)에서는 1장의 5천엔권, 그리고 최상단의 슬롯으로부터는 2장의 천엔권을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지폐배출유니트는 금고(419)로부터 특정한 수의 지폐를 배출한 후, 반송, 검출, 수집 및 배출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한편, 수납금고 관리 기록부(459) 내부의 정보는 갱신된다. 즉, 거래횟수 정보는 1만큼 증가되고, 배출된 지폐에 속하는 지폐계수 정보는 5장의 만엔권으로부터 5, 1장의 5천엔권으로부터 1, 그리고 2장의 천엔권으로부터 2만큼 중분된 수치를 반영하도록 갱신된다. 또한, 이때에 중복 배출이 일어나게 되면, 중복배출 폐수를 기록하는 정보 내부의 수치는 1만큼 증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폐 자동지불장치는 실행된 거래에 속하는 다양한 거래정보를 모두 제어부(434)에 보관함으로써, 수행된 거래에 속하는 정보를 파악한다. 이 정보는 거래 중에 취급되는 지폐 금액의 관리 또는 상기 지폐지불 유니트(458)와 같은 기계부품의 유지보수 검사를 위해 동작의 종료 후에 참조된다.
상기 수납금고(419)에는 리젝트 금고(51)에 인접하여 배치된 그 자체의 수납금고 관리 메모리가 설치되며, 제40도에 도시된 것 같이, 이것은 해당하는 금고(419)에 대한 운용 이력 및 장해 기록을 보관한다. 상기 수납금고 관리 메모리(460)는, 금고(419)의 커넥터(425)가 장치 본체의 커넥터들(422, 423, 또는 424)에 접속될 때, 제어부(4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금고의 설치 후에 전원(435)이 들어오면, 제어부(434)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장치가 작동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수납금고 관리 메모리(460)가 거래 정보의 수집 또는 갱신된 정보의 추가를 위해 액세스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금고 관리 메모리(460)에는, 제45도 및 제46도에 도시된 것 같이, 운용 데이터를 보관하키 위한 운용 데이터 포맷과, 장해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장해 데이터 포맷이 설치되어 있다. 먼저, 제45도에 도시된 것 같이, 상기 운용 데이터는, 천엔권, 5천엔권 및 만엔권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출금 회수 및 지폐 매수, 전체 지폐에 대한 총 출금 회수 및 지폐매수, 출금 중에 배출된 지폐가 출금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센서(49, 50)로부터의 출력치, 지폐를 분리 배출하는 모터(45)와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모터(48)의 구동시간과, 기타 각종 정보 등을 보관하도록 설정된다.
더우기, 제4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장해 데이터는, 상기한 운용 데이터의 일부에 덧붙여, 각 지폐 금종에 대한 총 리젝트 횟수, 지폐 금종에 근거하여 과도한 사행이 발생된 횟수를 나타내는 사행 리젝트 횟수, 각각의 지폐 금종에 대한 중복 배출의 리젝트 횟수, 지폐 금종에 근거하여 지폐가 잼이 발생된 횟수를 나타내는 잼 횟수와 같은 다양한 장해 정보를 보관하도록 설계된다.
다시 제44도로 돌아가면, 상기 제어부(434)는 거래정보 제어부(463)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463)는 커넥터(425) 및 커넥터들(422, 423, 또는 424)을 통해 각각의 수납금고(429) 내의 수납금고 관리 메모리(460)를 액세스하여, 수행된 거래에 속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부가적인 정보로 그것을 갱신한다.
제47 및 제48도를 참조하면, 동작시에는, 지불 금액(예를 들어, 57,000엔)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키패드(433)를 통해 고객에 의해 입력되면 (단계 501), 이 입력 정보는 주 제어부(434)로 전달되고, 수납금고(419)로부터 얻어진 지폐의 금종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434)는 요청된 금액에 속하는 지폐를 보유하고 있는 수납금고(419)에게 지폐를 배출하도록 명령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434)는 지폐배출 유니트(458)에게 5장의 1만엔권을 지불하도록 하는 명령을 발생한다(단계 502). 이와 같은 지시에 응답하여, 만엔권을 보관하며 최하 높이의 슬롯에 적재된 금고(419)의 픽커 로울러(44)및 공급 로울러(42)는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여 내보내도록 회전 구동되어, 지폐는 반송 벨트(46, 47)사이에 지지되어 반송된다(단계 503). 한 장의 지폐가 방출되고 그것의 경사각이 소정 범위 내에 들어가면(단계 504), 지폐(40)는 지폐 배출구(58)로부터 집적트레이(429) 내에 쌓인다(단계 506).
이때, 제어부(457)는 센서(57)를 통해 개출된 지폐를 계수한다. 만일, 2장 보다 많은 매수의 지폐가 동시에 배출되면, 그 지폐들은 리젝트 금고(51) 내에 수납되고(단계 505), 그 지폐들을 분리하기 위한 동작이 재개된다. 5장의 배출된 지폐가 계수되는 순간에, 5장의 1만엔권이 상기 집적 트레이(429)내에 쌓인 것으로 판정되므로(단계 507), 1만엔권 금고(419)의 픽커 로울러(44) 및 공급 로울러(42)의 회전은 정지되고, 1만엔권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동작이 중단된다(단계 508).
그후, 5장의 1만엔권이 상기한 방식으로 정상적으로 지불된 것이 확인되자 마자, 1장의 5천엔권이 동일한 방식으로 배출된다. 다음에는, 최상의 높이에 있는 1천엔권 금고(419)로 명령이 전송되어, 2장의 1천엔권을 지불하게 된다(단계 509). 이들 2장의 지폐가 1만엔권과 동일하게 상기 트레이(427) 내에 수집된 후에는, 1천엔권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동작이 중지된다(단계 510 내지 515). 최종적으로, 고객이 집적 트레이(427, 428, 429)로부터 지폐를 끄집어내는 것으로, 지폐의 지불동작이 종료된다(단계 516).
상기한 방식으로, 최하 높이의 수납금고(419)로부터 5장의 1만엔권이 배출되고, 중간 높이의 수납금고(419)로부터는 1장의 5천엔권이, 최상위 높이에 있는 수납금고(419)로부터는 2장의 1천엔권이 각각 배출된다. 그와 같은 개별적인 배출동작에 의해 배출된 지폐(40)의 금종 및 계수치에 속하는 정보가 거래정보 제어부(463)를 통해 금고관리 메모리(460) 내에서 갱신된다.
제49도를 참조하면, 57,000엔을 지불하기 위한 거래에 대해 1만엔권을 배출하기 위한 동작 중에, 반송 검출센서(57)로부터 어떠한 검출신호도 전송되지 않으면, 제어부(434)는 잼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여(단계 531), 1만엔권 금고(419)의 배출 동작을 중지한다(단계 532). 예를 들어, 3장의 1만엔권이 이미 직접 트레이(429)에 수집되어지면, 나머지 지불액, 즉 2만엔을 5천엔권으로 지불하도록 하는 명령이 제어부(434)에 의해 중간 높이에 있는 금고(419)로 전송되므로(단계 533), 상기 5천엔권 금고(419)의 픽커 로울러(44) 및 공급 로울러(42)는 5천엔권 지폐를 1장씩 분리 배출하도록 회전구동되고, 이들 지폐는 반송 벨트(46, 47) 사이에 지지되고 반송되어(단계 534), 지폐 배출구(22)로부터 집적 트레이(428) 내에 집적된다(단계 535).
4장의 5천엔권이 집적 트레이(428) 내에 집적되면(단계 536), 5천엔권 금고(419)의 픽커 로울러(44) 및 공급 토울러(42)의 회전이 중단되는데, 즉 1만엔권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동작이 중단되어(단계 537), 잼 처리 과정이 종료된다(단계 538). 부수적으로, 만일 5천원권에 잼이 발생된 경우에는, 동일한 방식으로 1천엔권이 교체되어 지불된다. 만일, 1천엔권에 잼이 발생되면, 1천엔권의 지불은 중단되므로, 그후의 지불 동작은 1만엔권 및 5천엔귄만큼 배출하는 제한된 동작으로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집적 트레이(427, 428, 429)에 집적된 지폐를 금고(419)로 회수하는 장치, 즉 회수 장치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회수 기능이 부가된다면, 지불동작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1만엔권에 잼이 발생되면, 이러한 사실이 표시된다. 그후, 확인 키를 누름으로써 나타내어진 고객이 숭인이 이루어진 이후에, 그것 대신에 5천엔권을 사용한 지불이 이루어진다. 만일, 승인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집적 트레이 내의 지폐는 장치 내부로 회수되고, 카드는 고객에게 반환된 후, “현재, 5천엔권과 1천엔권으로만 지불이 이루어집니다”와 같은 표시가 표시부(432) 상에 제공된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서는 3가지 금종의 지폐, 즉 1만엔권, 5천엔권 및 1천엔권이 취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모든 지폐가 1만엔권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위와 같은 메시지가 불필요하게 되는데, 즉 잼이 발생된 금고의 배출 동작을 정지하고, 나머지 금고들을 사용하여 지폐 지불동작을 재개하는 것만이 필요하게 된다. 그후, 정상 동작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잼이 걸린 지폐를 제거하는 유지보수원이 도착한 이후에 정상적인 거래로 복귀될 수 있다.
지폐지불 서비스 동작 중에, 지폐(40)의 반송 오류, 예를 들어, 2장보다 많은 지폐의 동시 반송이 센서(49, 56)에 의해 검출되면, 각 지폐의 금종에 대한 중복 배출 리젝트 횟수에 관련된 정보가 갱신되고, 예를 들어, 과도한 사행이 검출되면, 각 지폐의 금종에 대한 사행 리젝트 횟수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지폐 배출 횟수 등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갱신된다. 만일, 지폐가 리젝트되도록 하는 다른 요인들이 검출되면, 각각의 요인에 속하는 어드레스의 정보가 액세스되고, 총 리젝트 회수에 관련된 정보가 거래 정보제어부(463)를 통해 제어부(434)에 의해 갱신된다.
이러한 정보는 각각의 수납금고(419)에 대한 리젝트 발생율을 나타내므로, 높은 리젝트 발생율을 갖는 금고가 식별할 수 있어, 유지보수원에 의한 유지보수 검사의 필요성 또는 교체 작업의 필요성을 시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중복 배출 리젝트 횟수를 나타내는 수치가 높은 경우에는, 지폐(40)를 배출하기 위한 공급 로울러(42) 또는 역전 로울러(43)와 같은 부품을 검사하거나 교체함으로써 배출동작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더우기, 수납금고 관리 메모리(460) 내의 운용 데이터는 또한 금고(419) 내부의 각종 센서들과 액추에이터들을 검사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유니트(49, 56)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그 빛을 검출하기 위한 수광소자로 구성된 한쌍을 구비하는데, 그중의 하나는 반송통로(109)의 상부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그것의 하부에 위치한다. 만일, 지폐 부스러기와 같은 이물질이 상기 센서들의 발광부나 수광부에 적층되거나 축적되면, 상기 센서들의 출력값은 때때로 악화된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센서들은 방출된 빛 신호를 검출할 수 없는 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지폐(40)가 센서 유니트들을 통과하지 않을 때에도, 센서들이 지폐의 존재를 검출한 것처럼 반응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49 또는 56)의 출력 레벨에 대한 수치가 거래정보 제어부(463)를 통해 운용 데이터 내의 소정의 어드레스를 갖는 위치에 보관됨으로써, 상기 수치가 검출 오류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임계값으로 악화되기 이전에, 유지보수원이 세정 작업 등을 수행하도록 지시를 받게 된다.
더우기, 상기 사항은 액추에이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분리 및 배출 모터(45)의 누적 구동시간에 관련된 데이터가 거래정보 제어부(463)를 통해 운용 데이터 내의 소정 어드레스 위치에 갱신되어 보관되고, 정격 수명(rated life) E(시간)가 설정되면, 모터(45)의 정격수명이 다하기 전에 이들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유지보수원에게 이들 부품의 교체시기를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납금고(419)에 대해서 일어날 수 있는 장해요인들을 상기한 바와 같이 식별함으로써 사전에 그것들을 예방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이들 운용 데이터 및 장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작업은 장치 본체의 내부 작업 패널(457)의 미도시된 키와 같은 조작 부품을 사용하여 유지보수원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지폐 지불 거래를 취급하는 지폐 자동지불장치로서의 기능을 하는 자동 현금거래장치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말할 필요도 없이, 본 발명은 지폐 자동지불장치에만 적용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금 거래를 취급하는 장치 또는 예금 및 인출 거래 모두를 취급하는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예탁되는 통화의 금종 및 매수, 현금수납 장치의 에러 횟수 등에 관련된 정보가 예금 거래의 수행에 사용되는 장치 내부에 보관되고, 본 실시예에 언급하면서 설명된 지불동작에 관련된 정보가 예금 거래에 부가하여 예금 및 인출 거래 모두를 수행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장치 내부에 보관되면, 각각의 거래 금액의 기록을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디서 장해가 일어났는지에 대한 소재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은 지폐뿐만 아니라 동전을 취급하는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5천엔권을 수납하는 중간 높이에 있는 슬롯의 지폐 수납금고(419)가 상기한 거래 중에 비게 되면, 주 제어부(434)는 이와 같은 5천원 금액을 맞추기 위해 다른 금고로부터 지폐를 배출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434)는 최상위 슬롯, 중간 슬롯, 최하위 슬롯에 각각 배치된 지폐 수납금고(419)에 어떠한 금종의 지폐가 보관되어 있는지를 알고 있기 때문에, 5천엔권 대신에 정확한 매수의 1천엔권을 배출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최상위 슬롯 내부의 지폐 수납금고(419)로부터 총 7장의 1천엔권을 배출하도록 하는 명형을 통해 지불요청에 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불동작 동안에 중복배출 또는 사행이 검출되면, 관련된 장수의 지폐들은 리젝트 금고(51)에 보관된 후, 정상 상태에 있는 똑바른 개수의 지폐가 지급될 때까지 배출 및 반송 동작이 반복된다.
더우기, 제어부(434)에 의해 배출되도록 지시된 금종이 실제로 배출된 매수의 지폐 상에서 금종 식별 센서(448)에 의해 수행된 금종 식별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상 반송이 일어났을 때와 같이, 블레이드(50)는 관련된 지폐를 리젝트 금고로 보내도록 회전한다.
제어부(434)에 의해 보관된 금종 정보와 실제로 배출되고 금종 식별 센서(448)에 의해 식별된 지폐의 금종 사이의 불일치는, 1천엔권이 섞여 1만엔권용 금고에 수납되는 경우나, 지폐 가이드(451b)가 1만엔권에 대응하는 최외부 홈(453c)에 설치되어 있으나, 실제로 수납된 지폐는 5천엔권인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DIP 스위치(456)에 의해 설정된 금종과 다른 금종의 지폐가 수납되어 있다 하더라도, 배출된 지폐는 금종 식별센서(448)에 의해 반드시 식별되므로, 고객에게 잘못 지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아울러, 특정한 금고 내에 수납된 모든 장의 지폐가 DIP 스위치(456)에 의해 표시된 금종 정보와 다른 금종인 경우에는, 이 금고로부터 배출된 모든 지폐는 리젝트 금고(51)로 보내진다. 따라서, 제어부(434)에는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는 제어기능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특정한 금고가 소정 수, 예를 들면 10회의 리젝트를 연속적으로 겪게 되면, 관리자 또는 기타 이유에 의해 생긴 설정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장치의 동작이 일시적으로 중지된다. 상기 구성으로, 원활한 지폐 지불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폐가 배출될 때, “오만엔이 최하단 출구에서 지불되고, 오천엔이 중간 출구에서 지불되며, 이천엔이 최상단 개구에서 지불된다”와 같은 표시가 표시부(432) 상에 제공되면, 고객이 현금을 놓고 가버리는 것과 같은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DIP 스위치(456)에 의해 설정된 지폐의 금종에 관련된 정보가, 예를 들어 DIP 스위치(456)의 LED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면, 관리자가 DIP 스위치(456)를 보고, 어떠한 금종의 지폐가 어느 금고에 수납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50도 및 제51도는 금고(419)에 수납된 지폐의 금종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가이드 센서들(659a, 659b, 659c)이 돌기(452)의 각각의 홈(453a, 453b, 453c)에 설치된다. 포토커플러와 같은 검출장치를 구비한 이들 센서들은 지폐 가이드(451b)가 홈(453a, 453b, 453c)의 어느 하나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이들 가이드 센서들(659a, 659b 또는 659c)로부터의 신호는 제어부(434)에 의해 홈들(453a, 453b, 453c) 중 어느 것에 지폐 가이드(451b)가 맞물려 있는지 판정하는데, 즉 지폐 금종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가이드 센서들(659a, 659b, 659c)은, 센서(659a)를 나타내는 제52도에서 볼 수 있듯이, 오목부 측단면을 갖도록, 즉 중앙부에 배치된 홈(659g)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센서(659a)는, 이 홈(659g)의 중심선이 돌기(452)의 홈(453a)에 대한 중심선과 거의 직선을 이루게 배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홈(453a)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배치된다. 이 가이드 센서(659a)의 출력신호는 접속 배선(659e, 659f)을 통하여 커넥터(426)로 전송된 후, 장치 본체의 커넥터(422, 423, 424)를 통해 제어부(434)로 전송된다. 수납 영역(400)에 수납된 지폐(40)는 지폐 테이블(660)로 아래로부터 지지된다.
지폐 수납금고(419)에 지폐를 수납하기 위찬 과정은 상기 실시예에서와 거의 동일하다. 여기서는, 지폐 가이드(451b)가 돌기(452)의 홈(453a, 453b, 453c)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때, 대응하는 가이드 센서(659a, 659b 또는 659c)는 이 지폐 가이드(451b)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 이 금고(419)가 지폐 자동지불장치 내에 설치될 때, DIP스위치(456)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금고(419)에 수납된 지폐(50)의 금종은 자동적으로 제어부(434)에 의해 식별된다. 즉, 비록 수납된 지폐(40)의 종류에 관련된 정보가 수동으로 설정되지 않더라도, 지폐 금종 정보는 제어부(434)로 확실하게 전송된다. 따라서, 제어부(434)는 지폐 수납금고(419)에 설치된 가이드 센서(659a, 659b 또는 659c)에 의한 검출 결과로서 얻어진 금종 정보를 사용하여, 고객의 지불 요구에 따라 각각의 지폐 수납금고(419)가 지불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이드 센서(659a) 등은 포토커플러이다. 그러나, 그것들이 지폐 가이드(451b)의 존재 또는 부재를 식별하기 위한 검출 수단이면, 가이드 센서들이 포토커플러일 필요는 없다. 또한, 홈들이 2개의 돌기(452) 각각의 3군데 위치에 총 6개의 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홈에는 총 6대에 이르는 그 자체의 센서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3개의 가이드 센서가 하나의 돌기(452)에만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폐를 분리하여 지폐 수납공간으로부터 지폐를 배출하는 분리 및 배출수단과, 지폐를 지폐 배출구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리젝트 금고와, 지폐를 리젝트 금고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반송방향 전환수단과, 지불 동작에 대한 지폐의 적합성 또는 부적합성을 검출하기 위한 각종 검출수단 등이 지폐 수납금고 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지만, 말할 필요도 없이, 상기한 구성요소를 금고의 외부에, 즉 장치 케이스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지폐 가이드가 지폐가 수납되는 공간의 폭을 변경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이 지폐의 맞물림 위치에 근거하여 얻어진 금종 정보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들 실시예에 따르면, 금고들 중의 하나가 지폐 지불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면, 그 지폐 지불동작은 다른 금고나 금고들에 의해 인계되는데, 즉 각각의 금고가 금고의 기능에 구애되지 않는 독립적인 지폐지불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어느 한 금고에서 잼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다른 금고들의 지폐지불 기능을 확보함으로써 지불 동작이 계속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어느 한 금고에서 발생한 잼의 영향을 장치의 부분적인 오동작으로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잼의 발생 중에 방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중지시킬 확률이 최소화되는데, 즉 동작효율이 향상된다.
더우기, 거래가 이루어진 현금의 금종 및 매수, 중복 배출, 사행에 대한 독립적인 리젝트 회수 등과 같은 수행된 거래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구동수단의 정격 수명과, 검출수단의 출력치가 수납금고의 수납금고 관리 메모리에 기록되기 때문에, 각각의 보관 금고에 대해 동작 정보와 장해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거래량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원에 의해 수행되는 유지보수 검사과정 중에 각 수납금고에 대해 고장이 일어날 수 있는 부분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신속한 유지보수 운용이 가능하여, 운용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금고 내에 수납된 정보에 근거하여, 고장이 일어날 수 있는 부분을 사전에 고칠 수 있어, 전체적인 운용을 중단시킬 수 있을 정도로 큰 장해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고장율을 줄일 수 있고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이들 실시예에서는, 단지 지폐 수납금고 내에서 지폐 가이드의 맞물림 위치 만을 변환함으로써 모든 금종의 지폐를 수용할 수 있다. 수납된 지폐의 금종에 관련된 정보는 장치 케이스에 금고를 설치함으로써 홈에 인접하여 설치된 입력수단 또는 검출수단으로부터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에서와 같이, 다양한 금종의 지폐를 수용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금고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상기 금고는 어느 설치 슬롯에도 설치될 수 있고, 설치 슬롯을 지폐 금종에 엄격하게 맞출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가 간편해진다.
더우기, 단지 한 가지 금종의 지폐만을 취급하도록 희망하는 경우에는, 모든 금고를 동일한 금종의 지폐로 채워서 각각의 슬롯에 설치된다. 이러한 배치로, 각각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다양한 운용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엔권과 같이 높은 거래율을 갖는 금종의 지폐에 대해서만 운용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으로, 비록 설치된 다수의 금고 중 어느 하나가 비거나, 금고 중의 하나에서 장해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금고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크기를 늘리지 않고 동일한 금종의 지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관리자가 지폐를 채워야 하는 횟수와 이러한 충전 동작이 장치를 동작 못하게 하는 기간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고객에 대한 서비스가 향상된다.
더구나, 지폐 가이드의 맞물림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지페의 금종 정보가 제어부로 전송되는 응용예에 있어서는, 실제로 수납된 지폐의 금종과 DIP 스위치 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금종 정보 사이의 불일치와 같은 입력 에러나, 지폐의 금종 정보를 완전히 잊어버리는 것과 같은 입력 미스가 사라진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지폐의 금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제56도 및 제5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는, 금고(702)에 대해 배출 또는 분리 동작을 실행하도록 동작하는 모터(736)와 반송모터(738)가 상기 금고(702)로부터 떨어져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 연결장치(735)가 금고(702) 내에 설치되며, 장치의 내부에 위치하지만 금고(702)의 외부에 있는 분리 모터(736)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분리가능하게 맞물려, 지폐(50)가 소정 간격으로 상향 배출되도록 픽커 로울러(44)를 간헐적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더우기, 금고(702)에는 또 다른 동력전달 연결장치(737)가 설치되고, 이것은 반송 벨트(46, 47)를 매다는 풀리(55-1)와 맞물려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 연결부(737)는 마찬가지로 장치의 내부에 위치하지만 금고(702)의 외부에 배치된 반송 모터(738)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분리가능하게 맞물려, 반송 벨트(46, 47)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한다.
금고(702)는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장치의 케이스(418)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금고(702)가 케이스(418) 내부에 동작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을 때, 2개의 동력전달 연결장치(735, 737)는 각각 분리모터(736)와 반송모터(738)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람직하게는, 분리가능하게 맞물린 기어 장치나, 고마찰의 구성요소가 접촉하여 위치한 마찰 연결장치가 채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금고(702)가 케이스(418)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그들 동력전달 연결장치(735, 737)는 분리모터(736) 및 반송모터(738)로부터 각각 기계적으로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고(702)의 블레이드(50)는, 제55도에 도시된 것 같이, 정상 상태에서는 지폐(40)를 리젝트 금고(51)로 안내하도록 하는 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케이스(418)로부터의 금고(702)의 분리에 따라, 블레이드(50)를 이 위치에 잠그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금고(702) 내부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금고 제어부(460)는, 반송송로(109)를 통해 반송되는 지폐(40)에 대해 중복 반송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고, 사행의 정도가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만, 제54도에 도시된 위치를 취하도록 블레이드(50)를 구동시킴으로써, 지폐(40)가 지폐 배출구(58)로 안내되도록 한다. 물론, 중복 반송을 겪는 지폐(40) 또는 사행의 정도가 허용가능한 범위를 넘는 지페(40)가 센서 유니트(49, 56)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는, 금고 제어회로(460)는 블레이드(50)가 지폐(40)를 리젝트금고(51)로 안내하도록 하는 위치를 취하도록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금고 내에서 반송통로를 따라 설치된 블레이드는 항상 리젝트 금고측을 향하도록 되어 있고, 투과형의 포토센서나 다른 형태의 포토센서에 의해 지폐가 중복 반송을 겪지 않고, 또한 허용 범위를 넘는 사행이 일어나지 않고 반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될 경우에만, 지폐 배출구측으로 향하도록 전환됨으로써, 지폐가 지폐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금고가 지불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센서가 기능을 하지 않으므로 블레이드는 결코 전환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금고 일단에 있는 동력전달 연결부가 수동 작동되어 지폐가 반송통로를 통해 반송되더라도, 그들 모두는 결국 리젝트 금고 내에 수납되는데, 즉, 금고 내의 지폐가 배출될 우려가 없다. 또한, 분리모터와 반송모터가 금고 내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금고의 중량이 줄어들어 더 우수한 운반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지폐 수집 트레이가 각각의 금고에 대해 설치되었으나, 공통된 반송통로를 통하여 각 금고의 지폐 배출구에 연결된 하나의 지폐 수집 트레이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이하에서는, 공통의 반송통로를 통해 복수의 금고로 연결된 하나의 픽아웃 윈도우(pick-out window)가 존재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를 제58도 및 제5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지폐 자동지불장치는 케이스(815)를 구비하고, 케이스의 전방 패널, 즉 고객이 마주대하는 패널상에는 지폐가 배출되는 픽업 슬롯(8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픽업 슬롯(816)에는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셔터(821)가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815)의 전방 패널에는 카드 슬롯(817)이 설치되어, 여기에서 카드가 삽입되거나 배출된다. 상기 케이스(815)는 유지보수원이 장치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는 후방 도어(818)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815) 내부에는 상기 픽업 슬롯(816)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출장치 유니트(819)가 설치되고, 카드 리더/프린터(card reader/printer: CPR)(820)가 상기 카드 슬롯(817)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배출 유니트(819)는 3개의 배출 모듈(822)을 구비한다. 상기 배출 모듈(822)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후방 도어(818)를 개방함으로써 장치의 후방으로부터 배출장치 유니트(819) 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제6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모듈(822)은 대체로 직사각형인 케이스(822a)를 구비하고 있으며, 배출장치 유니트(819) 내에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배출 모듈(822)은 지불되어질 지폐(40)가 수납되는 분리가능한 금고(825)를 구비한다. 상기 출금 모듈(822)은 금고(825)로부터 배출된 지폐를 사이에 끼워 반송하기 위한 반송통로 장치(826)와, 이전의 반송통로 장치(826)를 통해 반송된 지폐를 사이에 끼워 운반하기 위한 또 다른 반송송로 장치(827)를 더 구비한다. 이들 두 개의 반송통로 장치(826, 827)는 후술하는 반송 벨트들과, 이들 벨트를 지지하는 로울러와 풀리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 모듈이 제5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경우에는, 상기 반송통로 장치(827)는 배출 모듈(822)과 연통되어, 지폐에 대한 공통의 반송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제61도와 제62도를 참조하면 동력이 어떻게 반송통로 장치(827)로 전달되는지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지불 유니트(819)는 지불장치 내에 포함된 모터와 같이 미도시된 구동수단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음으로써 회전하는 기어(828)를 구비한다. 상기 반송통로 장치(827)는 배출장치 유니트(819)의 기어(839) 또는 이 배출 모듈의 바로 위에 배치된 또 다른 배출모듈(822)의 기어(839)에 탈착가능하게 맞물린 기어(829)를 구비하여, 외부의 구동력을 받아 그것을 반송통로 장치(826)로 전달한다. 기어(829)는 축(830)에 고정되며, 풀리(831)도 이 축(830)에 고정된다. 반송 벨트(832)는 풀리(831)에 매달림으로써, 기어(828)를 통해 외부에서 받은 동력은 반송 벨트(832)로 전달된다. 이러한 풀리(831)와 반송 벨트(832)는 상기 반송통로 장치(826)에 포함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기어(829) 또한 기어(833)와 맞물림으로써 반송통로 장치(827)를 구동한다. 상기 기어(833)는 풀리(835)가 고정되는 축(834)에 고정된다. 풀리(835)에는 반송 벨트(836)가 매달림으로써, 기어(828)를 통해 외부에서 받은 동력이 반송 벨트(836)로 전달된다. 이들 풀리(835) 및 반송 벨트(836)는 반송통로 장치(827)에 포함된다.
기어(833)와 톱니가 형성된 풀리(837)는 동일 축을 공유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 톱니가 형성된 풀리(837)에는, 톱니가 형성된 벨트(838)가 일단에 매달리고, 이 톱니가 형성된 벨트(838)는 타단에서 또 다른 톱니가 형성된 풀리(839)에 매달려 있다. 상기 톱니가 형성된 풀리(839)는 동일축을 공유하도록 기어(840)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어(833)가 구동되면, 이 기어(840)는 톱니가 형성된 풀리(537), 톱니가 형성된 벨트(838) 및 톱니가 형성된 풀리(839)를 통해 구동된다. 상기 톱니가 형성된 기어(840)는, 톱니가 형성된 풀리(839)와 함께, 이 배출 모듈(822)로부터 이전의 배출 모듈(822)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또 다른 배출 모듈(822)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출력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배출 모듈(822)은 지폐 자동지불장치의 배출장치 유니트(819)내부에 수납되고 적층됨으로써, 배출장치 유니트(819)의 동력 출력수단인 기어(828)는 상단에 적층된 배출 모듈(822)의 동력 입력수단인 기어(829)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배치로, 배출 모듈(822)의 반송 또는 반송통로 장치(826, 827)를 구성하는 풀리(831), 반송 벨트(832), 풀리(835) 및 반송 벨트(836)는 회전 구동한다. 또한, 상단에 배치된 배출 모듈(822)의 동력 출력 수단인 기어(840)는 바로 아래에 위치한 배출 모듈(822)의 동력 입력수단인 기어(829)와 맞물린다. 따라서, 배출 모듈(822)의 반송 통로(826, 827)를 구성하는 풀리와 반송 벨트도 회전 구동한다. 또한, 제5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에 배치된 배출 모듈(822)로의 동력 전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배출 모듈(822)에 수납된 금고(825)는 기본적으로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에서의 금고(31 또는 702)와 동일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제63도는 그것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금고(31)의 리젝트 금고(51) 대신에 리젝트 지폐 수납공간(854)이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금고(31)에서와 그 구조가 동일하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근본적인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금고(825) 내부의 반송 벨트(46, 47)를 구동하는 반송 모터(48)는 금고(835)의 외부에 장착되지만, 제57도의 금고(702)에서와 같이, 이러한 반송 모터(48)를 제거하고, 이들 반송 벨트(46, 47)에 대한 구동력을 기어 커플링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받는 것 또한 허용될 수 있다.
제59도로 돌아가면, 배출장치 유니트(819)는 정상적으로 반송된 지폐 만을 집적하는 지폐 수집 스테이지(861)를 구비한다. 이 스테이지(861)의 바로 위에는 내역서 스트립을 수집하기 위한 또 다른 스테이지(862)가 존재한다. 이 스테이지 쌍(861, 862)은 본 실시예의 임시 대기 영역(863)을 구성한다. 상기 스테이지(861)는 미도시된 구동수단에 의해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 J로부터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또 다른 위치 K로 후퇴되어, 이 스테이지(861)에 적충된 지폐가 후술하는 반송통로 장치(866)를 구성하는 하부 반송 벨트(867)로 보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스테이지(862)는 후술하는 반송통로 장치(866)의 하부 반송 벨트(867)를 향한 상부 반송 벨트(868)의 회전과 방해하지 않도록, 소정 폭의 간극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장치 유니트(819)는 또 다른 반송통로 장치(864)를 더 포함하는데, 이것은 지폐를 사이에 끼워 반송하기 위한 반송 벨트와 로울러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공통의 반송통로 장치(864)는 그 입구단이 상단으로 우측에 적층된 배출 모듈(822)의 반송 통로(826, 827)와 연통하고, 그 출구단이 스테이지(861)의 선단 옆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장치 유니트(819)는 박스(865)를 구비한다. 이 박스(865)는 상기 임시 대기영역(863)의 아래측 후방에 위치하는 임시 수납박스로서, 고객이 집은 것을 잊은 지폐를 회수하여 수납한다. 이러한 임시 수납 박스(865)는 상기 배출장치 유니트(819)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배출장치 유니트(819)는 또 다른 반송통로 장치(866)를 더 포함하는데, 이 반송통로 장치(866)는 하부 반송 벨트(867)와 상부 반송 벨트(868)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 반송벨트(867)는 그것의 일단이 임시 대기영역(863) 바로 아래에 셔터(821)의 옆에 위치하고, 그것의 타단이 상기 임시 수납 박스(865)의 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상부 반송벨트(868)는, 화살표 L로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821)측으로 그 자체의 단부 중 하나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하부 벨트(867)와 연합하여 지폐를 그 사이에 끼워 그것을 전방이나 후방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배출장치 유니트(819)에는 또 다른 반송통로(869)가 설치된다. 이것은 임시 대기영역의 스테이지(862)의 측단 중 하나에 위치하여, 내역서가 반송되는 반송 통로를 구성한다.
카드 리더/프린터(820)는 고객을 특정하는 식별 정보, 계좌번호 정보 등을 판독하거나, 거래 정보를 기록하는 판독/기록 유니트(870)를 구비한다. 상기 카드 리더/프린터(820)에는 내역서가 프린트되는 연속 스트립 용지와 거래내역이 기록되는 저널 용지(journal paper)로 이루어진 프린팅 용지 세트(872)가 적재된다. 적절한 정보가 프린팅 헤드와 그 드라이버 장치로 구성된 프린터에 의해 이 프린팅 용지 세트(872) 상에 프린트된다. 프린팅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스트립은 카드 리더/프린터(820)에 의해 내역서(873)로서 배출장치 유니트(819)로 전송되고, 저널 용지는 저널 용지용 권취장치(875)에 의해 말려진다.
제58도에 도시된 것 같이, 복수의 키를 구비한 키패드(876)는 상기 케이스(815)의 전방 패널 상에 설치된다. 이 키패드(876)는 고객에 의해 암호, 지불될 금액 등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표시부(877)가 케이스(815)의 전방 패널 상에 설치되는데, 이것은 고객에게 입력 과정 또는 기타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또한, 도시되지만 않았지만, 음성 합성기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877) 상에 제공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만엔권은 상단에 적재된 금고(825)에 보관되고, 만엔권이 또한 중간 금고(825)에 보관되며, 천엔권이 하단 금고(825)에 보관된다. 이러한 지폐 금종의 조합의 선택은 임의적이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먼저, 고객은 카드 슬롯(817)을 통해 카드(871)를 삽입하고, 키패드(876)를 통해 지불될 금액(예를 들어, 55,000엔)을 입력한다. 그러면, 5장의 만엔권을 배출하도록 하는 명령이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상단에 적층된 배출모듈(822)로 전송된다. 그후, 금고(825) 내부의 픽커 로울러(44)와 공급 로울러(42)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지폐(40a)가 한 장씩 분리되고, 반송 벨트(46, 47) 사이에 끼워져 반송된다. 센서(56, 49)에 의한 반송 상태의 식별 결과로써, 중복 전송이나 연쇄 반송도 없고 사행의 정도도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 이 지폐(40a)는 반송통로(826), 반송통로(827) 및 반송통로(864)를 통해 반송되어 임시 대기영역(863)에 적층되어, 일시적으로 그곳에 보관된다. 만일, 중복 반송, 연쇄 반송 또는 허용가능한 범위를 넘는 사행이 발생하면, 블레이드(50)에 의해 반송방향이 전환되어, 지폐는 리젝트 지폐 수납부(854)에 수납된다.
필요한 매수의 만엔권이 임시 대기영역(863)의 스테이지(861) 상에 쌓이면, 최상위 금고(825)로부터 만엔권의 분리 및 반송이 중단된다. 그러나, 필요한 모든 5매의 만엔권이 배출되기 전에 만엔권 지폐 금고(825) 내부의 지폐가 떨어지면, 지폐 배출동작은 중간 배출모듈(822)메 의해 인계되어 연속되고, 동일한 과정을 따르게 된다.
그후, 5매의 천엔권을 배출하도록 하는 명형이 하단에 있는 천엔권 금고(825)로 전송되면, 만엔권에서와 같이, 지폐가 천엔권 금고(835)의 반송 통로(826, 827), 중간 및 최상위의 배출모듈(822)의 반송통로(827)와, 공통 반송통로(864)를 통해 반송되어, 임시 대기영역(863)의 스테이지(861) 상에 쌓인 후, 천엔권의 분리 및 반송이 중단된다. 부수적으로, 만엔권의 경우에서와 똑같이, 비정상적으로 반송되는 지폐는 배출모듈(822)로부터 배출되지 않고, 그 대신에 리젝트 지폐 수납부(854)에 수납된다.
스테이지(861) 상에 지폐를 적재하는 이러한 모드에서는, 반송통로(866)의 상부 반송벨트(868)는 사전에 하부 반송 벨트(867)로부터 상향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고객에 의해 요구된 금액과 매수에 부합되는 매수의 지폐가 스테이지(861) 상에 쌓이면, 이러한 거래의 상세내역이 프린터(874)에 의해 프린팅 용지 세트(872) 상에 프린트된다. 그후, 이 프린팅 용지세트(872)의 프린트된 부분이 미도시된 커터에 의해 내역서(873)의 형태로 절단되어, 반송통로(869)로 전송된다. 이 내역서(873)는 카드 리드/프린터(820)로부터 배출장치 유니트(819)로 전송되고, 반송통로(869)를 통해 임시 대기영역(863)의 스테이지(862) 상으로 반송된다.
이때, 상기 반송통로(856)의 상부 반송벨트(868)는 하향으로 회전하여 폐쇄되고, 하부 반송벨트(867)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스테이지(861)는 위치 J로부터 위치 K로 후퇴하고,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해, 스테이지(861) 상의 지폐 뿐만 아니라 스테이지(862) 상의 내역서는 하부 및 상부 반송벨트(867, 868) 사이에 지지된다. 그후, 이들 2개의 반송벨트(867, 868)에 의해 지폐와 내역서는 픽업 윈도우(816)까지 반송된다. 이때, 셔터(821)가 미도시된 수단에 의해 개방되어, 고객이 지폐 및 내역서(873)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셔터(821)가 개방된 후 소정 기간내에 고객이 지폐를 끄집어내지 않으면, 즉, 고객이 지폐를 집는 것을 잊어버리면, 소정기간의 경과 후에 반송통로(866)의 반송 벨트(867, 868) 양자에 의해 상기한 것과 반대 방향으로 지폐와 내역서가 반송되어, 통로의 일단에 있는 임시 수납 박스(865) 내부로 떨어진다. 그동안 셔터(821)는 폐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또는 분리 실패로 인해 비정상적인 반송 상태가 발생한 지폐는 금고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금고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지폐의 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고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양한 금종의 지폐를 수용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금고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지폐를 분리하고 배출하는 수단이 금고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 및 배출수단에 문제가 발생하면, 탈착가능한 금고를 교체하는 것 만으로 장치가 복귀될 수 있어,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장치를 재가동할 수 있다. 더욱이, 금고 내부의 지폐의 회수과정 동안, 리젝트 지폐 수납부 내에 수납된 지폐의 매수에 근거하여, 특정 금고 내부의 분리 및 배출수단이 비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복구 및 교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그것을 따라 식별수단이 설치되는 금고의 지폐 반송통로가 지폐가 금고 내에 배치되는 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모듈이 지폐 자동지불장치 내에 서로의 상단에 적층되면서 수납될 경우에, 배출모듈 중 하나의 동력 입력수단이 배출장치 유니트의 동력 출력수단과 맞물리는 동시에, 인접한 배출모듈의 동력 출력수단과 동력 입력수단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구동력이 배출장치 유니트로부터 모든 배출모듈로 전달되므로, 배출장치 유니트의 동력 출력수단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배출모듈을 설치 또는 제거하기 위한 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상기 실시예가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18)

  1. 유가증권(40, 40a)을 수납하는 제1수납부(400)와 상기 제1수납부로부터 유가증권(40, 40a)을 배출하는 배출수단(40, 45, 42, 43)과 배출된 유가증권(40, 40a)을 반송하는 반송수단(48, 109)과 상기 제1수납부, 배출수단(40, 45, 42, 43) 및 반송수단(48, 109)을 감싸며, 상기 반송수단(48, 109)을 통해 반송된 유가증권이 배출되는 제1개구(58)가 형성된 제1케이스(53, 54)를 구비한 금고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48, 109)를 통하여 반송되는 동안 유가증권(40, 40a)이 적절한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상기 제1케이싱(53, 54)내에 설치된 검출수단(49, 56, 71)과 상기 제1케이싱(53, 54)내에 설치되고 유가증권(40, 40a)을 수납하는 제2수납부(51)와 상기 제1케이싱(53, 54)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개구(58)와 상기 제2수납부(51)중의 어느 한쪽으로 상기 반송 수단(48, 109)를 통해 배달되는 유가증권(40, 40a)을 선택적으로 향하게하는 상기 제1개구(58)와 상기 반송수단(48, 109)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선택수단(50, 50a)과 상기 제1케이스(53, 54) 내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수단(49, 56, 71)에 응답해서, 상기 배출수단(44, 45, 42, 43)과 반송수단(48, 109) 및 상기 선택수단(50, 50a)을 제어하는 제1제어회로(33, 34, 35)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제어 회로(33, 34, 35)는 상기 반송수단(48, 109)를 통하여 반송되는 동안 유가증권(40, 40a)의 부적절을 검출하는 상기 검출수단(49, 56, 71)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수단(50, 50a)이 배달된 유가증권(40, 40a)을 상기 제2수납부(51)로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금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53, 54)를 착탈가능하게 수납하는 복수의 설치 슬롯과, 상기 제1케이싱(53, 54)가 설비 슬롯내에 있을 때 상기 제1개구(58)와 연통하게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설치 슬롯에 대응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개구(427, 428, 429)를 가지는 제2케이싱(418)과, 상기 제2케이싱(418)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제어회로(33, 34, 35)를 제어하는 제2제어회로(434)와, 상기 제1케이싱(53, 54)상에 설치되는 제1커넥터(426)와, 상기 제2케이싱(418)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이 설치 슬롯에 수납될 때 상기 제1제어 회로(33, 34, 35)를 상기 제2제어 외로(434)로 접속하는 제2커넥터(422, 423, 424)를 더 구비하는 금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53, 54)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수단(44, 45, 42, 43)쪽으로 상기 수납부(400)에서 유가증권(40, 40a)를 안내하는 수납부(400)내에서 서로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451b)가 상기 제1케이싱(53, 54)에 대해 이동가능한 한쌍의 안내부재(451a, 451b)와, 상기 하나의 안내부재(451b)가 다른 안내부재(415a)메 평행하게 지지되어서, 상기 안내부재(451b)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출수단(44, 45, 42, 43)에 의해 유가증권(40)이 배출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배열된 유효한 유가증권(4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수용할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위치를 선택 규정하는 지지수단(452)와, 상기 제1케이싱(53, 54)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부(400)에 수납된 유가증권(40, 40a)의 지폐금종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수단(458, 456a, 659a, 659b, 659c)을 더 구비하는 금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53, 54)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제어회로(33, 34, 35)의 제어하에서 상기 장치에 의해 행해진 거래에 연관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수단(35, 46)을 더 구비하는 금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35, 460)에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지시수단(457)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제어회로(434)는 상기 지시수단(457)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35, 460)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35, 460)을 제어하는 금고.
  6. 제2항에 있어서, 유가증권(40a)이 복수의 설치 슬롯 중 하나에 위치한 상기 제1케이스(53, 54)로부터 배출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제어회로(434)는 다른 복수의 설치 슬롯에 설치된 상기 제1케이스(53, 54)로부터 유가증권(40a)을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금고.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418)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수단(44, 45, 42, 43) 및 반송수단(48, 109)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736, 738)과, 상기 제1케이스(53, 54) 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수단(736, 738)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상기 제1케이스(53, 54)가 설치 슬롯에 설치되어 있을 때 구동력을 상기 배출수단(44, 45, 42, 43) 및 반송수단(48, 109)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수단(735, 737)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수단(59, 50a)은, 상기 반송수단(48, 109)을 통해 반송되는 동안 유가증권(40a)의 부적절한 상태를 검출하는 상기 검출수단(49, 56, 71)에 응답하여, 상기 제1제어회로(33, 34, 35)의 제어 하에서, 반송된 유가증권(40a)을 상기 제2수납부(51)로 향하게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반송수단(48, 109)을 통해 반송된 유가증권(40a)을 상기 제1개구(58)로 향하게 하는 금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53, 54)를 분리가능하게 수납하는 설치 슬롯과 상기 제1케이스(53, 54)가 설치 슬롯 내에 있을 때 제1개구(58)와 연통하여 배치되도록 형성된 제2개구(22)를 갖는 휴대형 사이즈의 제2케이스(26, 26a)와, 유가증권(40, 40a)을 지불하기 위한 요구를 포함하는 명령 및 데이터를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해 상기 제2케이스(26, 26a)에 설치된 작동수단(23, 24)와, 상기 장치와 데이터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2케이스(26, 26a)에 설치된 표시수단(23)과, 상기 제2케이스(26, 26a)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수단(23, 24)에 응답하여 상기 제1제어회로(33, 34, 35)와 표시수단(23)을 제어하는 제2제어회로(30)를 더 구비하는 금고.
  9. 제1항에 있어서, 유가증권을 수납하며, 수납된 유가증권을 배출 및 반송하는 기계적 배출수단(819)과, 상기 수납부(400), 배출수단(44, 45, 42, 43) 및 반송수단(48, 109)을 둘러싸며 그 자신(825)으로부터 상기 반송수단(48, 109)을 통해 반송된 유가증권(40a)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제2개구(58)를 갖는 제2케이스(825)와, 상기 기계적 배출수단(819) 내에서 서로 상하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케이스(825)를 수납하는 제3케이스(822a)와, 상기 제3케이스(822a)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개구(58)로부터 배출된 유가증권(40a)을 상기 제3케이스(822a)의 외부로 향한 제1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제2반송수단(826)과, 상기 제3케이스(822a)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3케이스(822a)의 외부로 향한 제2위치로 배달된 유가증권(40a)을 제1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제3반송수단(827)과, 상기 제3케이스(822a)가 서로 상하로 적층될 때 상기 3 케이스(822a)의 하나에 인접한 제1위치와 대면하는 제2위치와, 상기 제3케이스(822a)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3위치를 통하여 상기 제3케이스(822a)의 외부로부터 동력을 받아 상기 동력을 상기 제2 및 제3반송수단(826, 827)에 전달하기 위한 제1동력 전달수단(829)과, 상기 제3케이스(822a) 내에 설치되어 제4위치에서 상기 제3반송수단(827)의 외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 전달수단(829)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케이스(822a)가 서로 상하로 적층될 때 상기 제4위치는 상기 제3케이스(822a)의 하나에 인접한 제3위치와 대면하고, 상기 제3케이스(822a)가 서로 상하로 적층될 때 상기 제2동력 전달수단(829)은 상기 제3케이스(822a)의 하나에 인접한 상기 제2동력 전달수단(829)과 기계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기계적 배출수단(819)은, 상기 제1위치로 반송된 유가증권(40a)을 제1개부(816)로 반송하기 위한 제4반송수단(864)과, 일단에 위치한 상기 제3케이스(822a)의 상기 제1동력 전달수단(829)에 기계적으로 접속가능하며 상기 제3케이스(822a)가 적층될 때 상기 동력을 상기 제1동력 전달수단(829)메 공급하기 위한 구동수단(828)을 더 구비하는 금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반송수단(864)과 제1개구(816)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4반송수단(864)을 통해 배출된 유가증권(40a)을 지지하기 위한 임시 지지수단(861)과, 소정 기간의 경과 후에, 상기 임시 지지수단(861)에 의해 지지된 유가증권(40a)을 회수하기 위한 수단(865)을 구비하는 금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44, 45, 42, 43)은,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수납부(400)에 수납된 유가증권(40, 40a)과 접촉하며, 접촉하고 있는 유가증권을 배출하는 픽커 로울러(44)와, 상기 제1수납부(400)에 수납된 유가증권(40, 40a)을 상기 픽커 로울러(44)를 향해 가압하여, 유가증권(40, 40a)의 가장 선단부가 상기 픽커 로울러(44)와 접촉하도록 하는 가압수단(41)과, 회전가능하며 상기 픽커 로울러(44)에 의해 배출된 유가증권(42a)을 공급하는 공급 로울러(42)와, 회전가능하고 상기 공급 로울러(42)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배출된 유가증권(40a)의 1장만이 반송되도록 하는 역전 로울러(43)와, 상기 픽커 로울러(44) 및 역전 로울러(42)를 구동하는 구동수단(45)과, 상기 구동수단(45)으로부터 상기 공급 로울러(42)까지의 동력전달 연결부를 따라 삽입된 단방향 클러치(137)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수단(48, 109)은, 서로 대면하여 회전가능한 일군의 로울러(55, 55-1)와, 상기 일군의 로울러(55, 55-1)에 매달리고 서로 대면하면서 움직일 수 있는 벨트(46, 47)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49, 56, 71)은, 제1위치(C)에서 배출된 유가증권(40a)의 선단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수단(45)의 구동 작용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1신호를 발생하는 제1검출회로(178)와, 제2위치(D)에서 배출된 유가증권(40a)의 후단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수단(45)의 구동 작용을 개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2검출회로(179)를 구비하며, 제1위치(C)는 제3위치로부터, 유가증권(40a)의 선단이 제1위치(C)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유가증권(40a)의 후단이 상기 픽커 로울러(44)의 지지로 부터 해제되고, 상기 반송수단(49, 56, 71)이 제3 위치에서 유가증권(40a)의 반송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상기 벨트(46, 47) 사이에 유가증권(40a)의 선단 부근을 지지한 이후에는 유가증권(40a)의 선단이 제1위치(C)에 도달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1거리의 길이만큼 유가증권(40a)이 반송되는 반송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위치(D)는, 유가증권(40a)의 후단이 상기 공급 로울러(42)의 지지로부터 해제된 이후에, 유가증권(40a)의 후단이 제2위치(D)에 도달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유가증권(40a)이 상기 공급 로울러(42)와 역전 로울러(43) 사이에서 지지되는 위치로부터 제2거리의 길이만큼 유가증권의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는 금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44, 45, 42, 43)은,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수납부(400)에 수납된 유가증권(40, 40a)과 접촉하며, 접촉하고 있는 유가증권을 배출하는 픽커 로울러(44)와, 상기 제1수납부(400)에 수납된 유가증권(40, 40a)을 상기 픽커 로울러(44)를 향해 가압하여, 유가증권(40, 40a)의 가장 선단부가 상기 픽커 로울러(44)와 접촉하도록 하는 가압수단(41)과, 회전가능하며 상기 픽커 로울러(44)메 의해 배출된 유가증권(42a)을 공급하는 공급 로울러(42)와, 회전가능하고 상기 공급 로울러(42)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배출된 유가증권(40a)의 1장만이 반송되도록 하는 역전 로울러(43)와, 상기 픽커 로울러(44) 및 역전 로울러(42)를 구동하는 구동수단(45)과, 상기 구동수단(45)으로부터 상기 공급 로울러(42)까지의 구동력 전달 연결부를 따라 삽입된 제1의 단방향 클러치(137)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수단(48, 109)은, 서로 대면하여 회전가능한 일군의 로울러(55, 55-1)와, 상기 일군의 로울러(55, 55-1)에 매달리고 서로 대면하면서 움직일 수 있는 벨트(46, 47)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수단(44, 45, 42, 43)은 상기 구동수단(45)으로부터 상기 픽커 로울러(44)까지의 구동력 전달 연결부를 따라 삽입된 제2단방향 클러치(176)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49, 56, 71)은 제1위치(C)에서 배출된 유가증권(40a)의 선단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수단(45)의 구동 작용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1신호를 발생하는 제1검출회로(178)와 제2위치(D)에서 배출된 유가증권(40a)의 후단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수단(45)의 구동 작용을 개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2검출회로(179)를 구비하며, 제1위치(C)는 제3위치로부터, 입수가능한 유가증권(40, 40a) 중에서 반송방향으로 측정시 가장 짧은 유가증권(40a)의 선단이 제1위치(C)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유가증권(40a)의 후단이 상기 픽커 로울러(44)의 지지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반송수단(49, 56, 71)이 제3위치에서 유가증권(40a)의 반송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상기 벨트(46, 47) 사이메 유가증권(40a)의 선단 부근을 지지한 이후에는 유가증권(40a)의 선단이 제1위치(C)에 도달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1거리의 길이만큼 유가증권(40a)이 반송되는 반송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위치(D)는, 유가증권(40a)의 후단이 상기 공급 로울러(42)의 지지로부터 해제된 이후에, 유가증권(40a)의 후단이 제2위치(D)에 도달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유가증권(40a)이 상기 공급 로울러(42)와 역전 로울러(43) 사이에서 지지되는 위치로부터 제2거리의 길이만큼 유가증권의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는 금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44, 45, 42, 43)은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수납부(400)에 수납된 유가증권(40, 40a)과 접촉하며, 접촉하고 있는 유가증권을 배출하는 픽커 로울러(44)와 상기 제1수납부(400)에 수납된 유가증권(40, 40a)을 상기 픽커 로울러(44)를 향해 가압하여, 유가증권(40, 40a)의 가장 선단부가 상기 픽커 로울러(44)와 접촉하도록 하는 가압수단(41)과 회전가능하며 상기 픽커 로울러(44)메 의해 배출된 유가증권(42a)을 공급하는 공급 로울러(42)와 회전가능하고 상기 공급 로울러(42)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배출된 유가증권(40a)의 1장만이 반송되도록 하는 역전 로울러(43)와 상기 픽커 로울러(44) 및 역전 로울러(42)를 구동하는 구동수단(45)과 상기 구동수단(45)으로부터 상기 공급 로울러(42)까지의 구동력 전달 연결부를 따라 삽입된 제1의 단방향 클러치(137)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수단(48, 109)은 서로 대면하여 회전가능한 일군의 로울러(55, 55-1)와 상기 일군의 로울러(55, 55-1)에 매달리고 서로 대면하면서 움직일 수 있는 벨트(46, 47)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수단(44, 45, 42, 43)은 상기 구동수단(45)으로부터 상기 픽커 로울러(44)까지의 구동력 전달 연결부를 따라 삽입된 제2의 단방향 클러치(176)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49, 56, 71)은 제1위치(C)에서 배출된 유가증권(40a)의 선단을 검출하는 검출회로(18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회로(33, 34, 35, 460)는 상기 검출회로(18)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수단(45)의 구동 작용을 중지시키고, 클럭을 기동하여, 소정 기간의 경과 후에, 상기 구동수단(45)의 구동 작용을 재기동하는 타이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위치(C)는 제2위치로부터, 입수가능한 유가증권(40, 40a) 중에서 반송방향으로 측정시 가장 짧은 유가증권(40a)의 선단이 제1위치(C)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유가증권(40a)의 후단이 상기 픽커 로울러(44)의 지지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반송수단(49, 56, 71)이 제2위치에서 유가증권(40a)의 반송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상기 벨트(46, 47) 사이에 유가증권(40a)의 선단 부근을 지지한 이후에는 유가증권(40a)의 선단이 제1위치(C)에 도달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1거리의 길이만큼 유가증권(40a)이 반송되는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는 금고.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5)에 의해 회전가능하고, 상기 유가증권(40, 40a)이 반송되는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가능한 축(124)을 구비하고 대응되는 한쌍의 상기 제2의 단방향 클러치(176)의 중간을 통하여 상기 회전가능한 축상에 장착된 2개의 상기 픽커 로울러(44)가 설치된 금고.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49, 56, 71)은 유가증권이 상기 반송수단(48, 109)을 통해 반송되는 동안, 유가증권(40a)의 부적절한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어회로(33, 34, 35)는, 상기 반송수단(48, 109)을 제어하여 상기 반송수단(48, 109)이 유가증권(40a)을 반송하는 속도를 낮추며, 상기 선택수단(50, 50a)을 제어하여 반송된 유가증권(40a)을 상기 제2수납부(51)로 향하게 하는 금고.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48, 109)에 의해 반송되는 동안, 지불되어질 특정 매수의 유가증권(40, 40a) 중 최종 매의 유가증권이 상기 검출수단(49, 56, 71)에 의해 검출되고, 부가적으로, 상기 반송수단(48, 109)을 통해 반송되는 동안, 또 다른 유가증권(40a)이 상기 검출수단(49, 56, 71)에 의해 검출된 이후에, 상기 제어회로(33, 34, 35)는 상기 반송수단(48, 109)을 제어하여 상기 반송수단(48, 109)이 유가증권(50, 50a)을 반송하는 속도를 낮추며, 상기 선택수단(50, 50a)을 제어하여 반송된 유가증권(40a)을 상기 제2수납부(51)로 향하게 하는 금고.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고(31)은 서로 격리된 하베이스(53)과 상베이스(54)를 가지는 금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베이스(54)는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52)로 상기 하베이스(53)에 부착되는 금고.
KR1019920017131A 1991-09-19 1992-09-19 금고와 그 금고를 내장하는 장치 KR100255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39972 1991-09-19
JP3239972A JPH0581507A (ja) 1991-09-19 1991-09-19 紙幣自動支払い装置
JP10239491U JP2517053Y2 (ja) 1991-11-15 1991-11-15 紙幣自動支払装置
JP91-102394 1991-11-15
JP1991105602U JP2527594Y2 (ja) 1991-12-24 1991-12-24 紙幣自動支払装置
JP91-105602 1991-12-24
JP92-028136 1992-02-14
JP2813692 1992-02-14
JP1992012085U JP2576652Y2 (ja) 1992-03-11 1992-03-11 紙幣自動支払装置
JP92-012085 1992-03-11
JP92-065032 1992-03-23
JP4065032A JP2918737B2 (ja) 1992-03-23 1992-03-23 現金自動取引装置
JP4077906A JP2926111B2 (ja) 1992-03-31 1992-03-31 紙幣自動支払装置
JP92-077906 1992-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591A KR930006591A (ko) 1993-04-21
KR100255494B1 true KR100255494B1 (ko) 2000-05-01

Family

ID=2756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131A KR100255494B1 (ko) 1991-09-19 1992-09-19 금고와 그 금고를 내장하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540867B1 (ko)
KR (1) KR100255494B1 (ko)
DE (1) DE69216368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520B1 (ko) 2005-06-27 2008-08-26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입출금 장치
KR101078922B1 (ko) * 2003-07-11 2011-11-01 오엠엑스 테크놀로지 에이비 Csd-시스템에서 거래를 결산하고 결재하기 위한자동화된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3867B1 (en) * 1998-03-11 2001-09-25 Bally Gaming, Inc. Gaming machine payout system and method
US6332099B1 (en) * 1998-03-11 2001-12-18 Bally Gaming, Inc. Gaming machine payout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US6098837A (en) * 1998-03-24 2000-08-08 Japan Cash Machine Co., Ltd. Note hopper/dispenser
ATE342216T1 (de) * 2000-02-22 2006-11-15 Cratech Gmbh Maschine zum vereinzeln von flachen gegenständen
DE10051554A1 (de) * 2000-10-18 2002-05-02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blage von Banknoten
JP3999476B2 (ja) * 2001-06-21 2007-10-3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GB0426137D0 (en) 2004-11-26 2004-12-29 Money Controls Ltd A device for processing sheet objects such as banknotes
JP4799924B2 (ja) * 2005-06-27 2011-10-26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DE102009032228A1 (de) * 2009-07-08 2011-01-13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die Annahme oder Ausgabe von Banknoten
JP5469256B2 (ja) 2010-12-28 2014-04-16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入出金装置、補充回収装置及び、入出金装置の運用方法
CN103632434A (zh) * 2012-08-30 2014-03-12 北京华夏聚龙自动化股份公司 综合纸币处理系统
CN106846612B (zh) * 2016-12-16 2023-09-15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金融设备通道状态检测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79832B (en) * 1980-07-14 1984-02-22 Ncr Co Cassette for currency notes
JPS5930185A (ja) * 1982-08-06 1984-02-17 インタ−ナショナル ビジネス マシ−ンズ コ−ポレ−ション 紙幣の投出を制御する方法
EP0180949A3 (en) * 1984-11-07 1987-09-16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Paper discharging apparatus
JPS6476181A (en) * 1987-09-17 1989-03-22 Ibm Automatic handling of paper money and paper money storage used therefor
DE3834062C2 (de) * 1987-10-08 1998-08-13 Oki Electric Ind Co Ltd Geldausgabegerät
JP2949301B2 (ja) * 1990-07-23 1999-09-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収納箱及び紙葉類取扱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922B1 (ko) * 2003-07-11 2011-11-01 오엠엑스 테크놀로지 에이비 Csd-시스템에서 거래를 결산하고 결재하기 위한자동화된 방법 및 시스템
KR100854520B1 (ko) 2005-06-27 2008-08-26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입출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591A (ko) 1993-04-21
EP0540867B1 (en) 1997-01-02
EP0540867A3 (en) 1994-07-13
DE69216368T2 (de) 1997-07-31
EP0540867A2 (en) 1993-05-12
DE69216368D1 (de) 199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5494B1 (ko) 금고와 그 금고를 내장하는 장치
JPH0922476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におけるリジェクト貨幣の取扱い方法
JP3248972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2995538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0232988B1 (ko) 지폐 자동 지불장치
JPH036794A (ja) 紙弊入出金装置
JP2635199B2 (ja) 現金取扱装置
JP2864481B2 (ja) 現金管理システム
JP2001236548A (ja) 紙幣入出金装置
JP2773916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H0927060A (ja) 自動取引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取り忘れ紙幣の保管方法
JP2614330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716623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2614312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615197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H0831171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H0357094A (ja) 現金入出金装置
JP2968322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S63242839A (ja) 自動取引装置
JP3754620B2 (ja) 紙葉取扱装置
JP2548391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908545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2329230A (ja) 自動取引装置
JPH0575873U (ja) 紙幣自動支払装置
JPH11259731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