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403B1 - 음극선관의형광면제작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형광면제작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403B1
KR100325403B1 KR1019950006022A KR19950006022A KR100325403B1 KR 100325403 B1 KR100325403 B1 KR 100325403B1 KR 1019950006022 A KR1019950006022 A KR 1019950006022A KR 19950006022 A KR19950006022 A KR 19950006022A KR 100325403 B1 KR100325403 B1 KR 100325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anel
screen frame
ray tub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378A (ko
Inventor
무찌쓰네오
고노요지
시미즈가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34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31Machines for printing webs
    • B41F15/0845Machines for printing webs with flat screens
    • B41F15/085Machines for printing webs with flat screens with a stationary screen and a moving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1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in continuous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 H01J9/227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by other processes, e.g. serigraphy, decalcoma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15/00Screen printing machines
    • B41P2215/50Screen printing machines for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요형(凹形) 곡면을 가지는 음극선관용 패널의 내면에 대하여, 스크린인쇄에 의해 양호하게 막질이 균일한 형광면을 제작할 수 있고, 전착용(電着用) 통전단자가 불필요하고, 공정수가 적고, 제조코스트의 저감 및 품질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형광면을 제작할 패널내면에, 저부에 스크린인쇄용 스크린이 깔린 주형(舟形) 구조의 스크린프레임을 설치한다. 다음에, 스크린의 표면에 도포된 형광면제작용 잉크가 스크린을 통과하여, 패널내면에 인쇄되도록, 스크린의 표면에 스퀴지를 압착하면서 이동시킨다. 스크린프레임(74)의 판두께가 0.5∼2.0mm이고, 스크린프레임(74)의 주형요부(凹部)(76)의 깊이가 스크린프레임(74)을 패널(14)의 내면에 설치한 경우에 패널(14)의 스커트부(28)로부터 스크린프레임(74)이 빠져나올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패널내면에 형광면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의 패널의 내면에 형광면을 제작하기 위한 종래방법으로서는, 이른바 슬러리법이 잘 알려져 있다. 슬러리법은 형광체 슬러리를 도포한 후, 건조, 노광현상, 세정제거 등의 공정을 필요로 하고, 설비가 대형으로 되는 동시에, 그 작업이 번잡하다.
그래서, 전착법(電着法) 또는 열전사법(熱轉寫法) 등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전착법에서는, 패널의 전체면을 전착조(電着檀)에 담그므로, 형광면 이외에도 형광체가 부착하므로, 이것을 제거하기 위해 세정 및 닦아내기 등의 작업을 필요로 한다. 불요부분에 형광체가 남으면, 빔조사(照射)에 의해 불요부분이 발광하여 버리기 때문이다.
또, 전착을 행하기 위하여, 패널내면에 베이스층으로서, 도전막 (예를 들면 알루미늄중착막 등의 메탈백층)이 필요하며, 더욱이 전착시의 통전을 위하여 단자가 필요하다.
또, 열전사법에서는, 베이스필름, 박리층, 형광체층,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열전사필름을 필요로 하고, 그 열전사필름을 사용하여, 곡률을 가지는 패널내면에 열전사인쇄를 행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여, 공정이 번잡하고, 제조코스트가 고가로 된다. 또한, 열전사인쇄 후에는, 박리층 및 접착층에 포함되는 수지성분을 번아웃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여, 공정이 많고, 먼지 등의 이물(異物)이 형광면에 부착하기 쉬워서, 형광면의 품질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스크린인쇄에 의해 패널내면에 형광면을 제작하려고 하는 시도가 행해지고있다.
그러나, 스크린인쇄에 사용하는 스크린은 제6도(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 스크린(2)이고, 스크린프레임(3)이 방해로 되어, 요곡면(凹曲面)을 가지는 패널의 내면에는, 스크린인쇄할 수 없었다. 그리고, 제6도에 나타낸 스크린(2)에서는, 중앙부에 전사패턴(1)이 형성되어 있다. 스퀴지(4)를 스크린(2)의 표면에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잉크(5)를 펴서, 패턴(1)을 워크에 전사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지고, 요형(凹形) 곡면을 가지는 음극 선관용 패널의 내면에 대하여, 스크린인쇄에 의해 양호하게 막질이 균일한 형광면을 제작할 수 있고, 전착용 통전단자가 불필요하고, 공정수가 적고, 제조코스트의 저감 및 품질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방법은, 형광면을 제작할 패널내면에, 저부에 스크린인쇄용 스크린이 깔린 주형(舟形) 구조의 스크린프레임을 설치하는 공정과, 스크린의 표면에 도포된 형광면제작용 잉크가 스크린을 통과하여, 패널내면에 인쇄되도록, 스크린의 표면에 스퀴지를 압착하면서 이동시키는 공정을 가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장치는, 패널의 내면이 위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테이블과, 저부에 스크린인쇄용 스크린이 깔리고, 소정의 깊이의 요부(凹部)가 형성된 주형 구조의 스크린프레임과, 상기 스크린 프레임의 스크린이 상기 패널의 내면에 대하여 소정의 클리어런스로 배치되도록, 스크린프레임을 설치하는 스크린프레임설치수단과, 스크린의 표면에 도포된 형광면제작용 잉크가 스크린을 통과하여, 패널내면에 인쇄되도록, 상기 요부에 들어간 스퀴지를 스크린의 표면에 압착하면서 이동시키는 스퀴지이동수단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패널의 내면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한다」 라는 것은 스크린프레임이 설치되는 측에 대하여, 패널의 내면이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의 의미이며, 반드시 연직방향의 위쪽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스크린프레임의 판두께는 음극선관의 크기나 종류에도 의하지만, 4인치의 음극선관의 경우에는 0.5∼2.0mm가 바람직하다. 10인치의 경우에는 1.0∼3.0mm 정도, 15인치의 경우에는 4∼10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스크린프레임의 요부의 깊이는 당해 스크린프레임을 패널의 내면에 설치한 경우에 패널의 스커트부로부터 스크린 프레임이 빠져나올 정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린이 깔리는 스크린프레임의 저부의 곡률은 패널내면의 곡률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80∼12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1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장치를 사용하여, 패널의 내면에 형광면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먼저 패널을 그 내면이 위를 향하도록, 슬라이드테이블 위에 설치한다. 다음에, 슬라이드테이블을 이동하여, 패널을 정위치에 세트한다.
다음에, 스크린프레임의 스크린이 상기 패널의 내면에 대하여 소정의 클리어런스로 배치되도록, 스크린프레임을 패널의 상부에 세트한다. 다음에, 스크린프레임의 주형 요부에 잉크되돌림수단 등을 꽃아넣고, 잉크되돌림수단을 스크린의 표면에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린의 표면에 형광면제작용 잉크를 도포한다.
다음에, 스크린프레임의 주형 요부내에 스퀴지를 꽃아넣고, 그 선단을 스크린의 표면에 압착하면서 이동시켜서, 형광면제작용 잉크를 스크린을 통과하여, 패널내면에 인쇄하여, 패널의 내면에 형광면을 제작한다.
그 후, 스퀴지를 스크린프레임의 주형 요부로부터 후퇴시키고, 슬라이드테이블을 이동하여, 형광면이 형성된 패널을 슬라이드테이블로부터 꺼낸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장치를 사용하여 음극선관의 형광면을 제작하면, 요형 곡면을 가지는 음극선관용 패널의 내면에 대하여, 스크린인쇄에 의해 양호하게 막질이 균일한 형광면을 제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방법에서는, 스크린인쇄에 의해 형광면을 제작하므로, 패널의 내면에 전착용 단자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외관상의 미관도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세정공정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기타의 방법에 비교하여,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제조코스트의 저감 및 품질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장치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스크린프레임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A)는 패널의 내면측 정면도, (B)는 이 도면(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패널의 저면도, 제5도는 편평형 음극선관의 개략도이다.
제1도∼제3도에 나타낸 형광면제작장치(10)는, 예를 들면 제5도에 나타낸 편평형 음극선관(12)의 형광면형성용 패널(14)의 내면에, 스크린인쇄법에 의해 형광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먼저, 편평형 음극선관(1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평형 음극선관(12)은 형광면형성용 패널(14)과, 프론트패널(16)과, 퍼넬(18)을 가지고, 이들은 프릿유리접합부(20a),(20b)로 접합된다.
퍼넬(18)의 후단부에는, 전자총(22)이 내장되어 있고, 스템네크(24)로 음극선관의 내부가 고진공으로 되도록 유리봉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편평형 음극선관(12)의 형광면제작용 패널(14)은 제4도(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면(26)이 소정의 곡률 (예를 들면 곡률 R = 200mm)을 가지고, 그 3방향 에지부에 스커트부(28)가 형성되어 있다. 패널(14)의 스커트부(28)의 정상면(30)은 제5도에 나타낸 프릿유리접합부(20b)이고, 프론트패널(16)에 대하여 접합된다. 또, 패널(14)의 저면(32)은 제5도에 나타낸 프릿유리접합부(20a)이고, 퍼넬(18)에 대하여 접합된다.
이 곡률을 가지는 내면(26)의 소정 범위부분에 스크린인쇄법에 의해 형광면(34)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도∼제3도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 관한 형광면제작장치(10)가 사용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광면제작장치(10)는 형광면이 제작되는 패널(14)의 내면이 위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테이블(40)을 가진다. 슬라이드테이블(40)은 지지대(42)의 위를 에어구동압력실린더 등의 액튜에이터(44) 등에 의해 화살표 X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지대(42)의 상부위치에는, 인쇄블록장착판(46)이 설치되어 있다. 인쇄블록장착판(46)의 위에는, 에어구동압력실린더 등의 액튜에이터(48)가 장착되어 있고, 인쇄블록(50)을 리니어가이드(52)에 따라서 상하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쇄블록(50)은 장착베이스(54)에 장착된 리니어베어링(56)을 통하여, 리니어가이드(52)에 대하여 상하방향 Y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인쇄블록(50)의 장착베이스(54)의 상부에는, 고정암(58)의 기단(基端)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암(58)의 선단에는, 스윙암(60)이 회동축(62)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V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윙암(60)의 선단측에는, 스퀴지용 액튜에이터(64) 및 잉크되돌림용 액튜에이터(66)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액튜에이터(64),(66)는, 예를 들면 에어구동압력실린더 등으로 구성된다.
스퀴지용 액튜에이터(64)의 선단에는, 스퀴지(68)가 장착되어 있고. 액튜에이터(64)에 의해 스윙암(60)의 길이방향 W에 따라서 전진 및 후퇴이동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잉크되돌림용 액튜에이터(66)의 선단에는, 스퀴지(70)가 장착되어 있고, 액튜에이터(66)에 의해 스윙암(60)의 길이방향 W에 따라서 전진 및 후퇴이동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스윙암(60)의 요동반경, 즉 인쇄시에 있어서 회동축(62)으로부터 스퀴지(68)의 선단까지의 거리는 패널(14)의 내면곡률과 대략 일치하도록 결정된다. 또, 스윙암(60)을 요동시키기 위한 수단 (스퀴지이동수단)으로서는, 에어구동압력실린더, 유압구동압력실린더, 전동모터액튜에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인쇄블록(50)의 장착베이스(54)의 하부에는, 회동축(72)을 통하여 스크린프레임(74)이 화살표 U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크린프레임(74)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깊이의 주형(舟形) 요부(凹部)(76)가 형성된 주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프레임본체(78)와, 프레임지지블록(80)을 가진다. 프레임지지블록(80)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를 통하여, 또는 직접으로 회동축(72)에 대하여 연결된다. 프레임지지블록(80)과 프레임본체(78)와는, 예를 들면 볼트 등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스크린프레임(74)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쇄면을 포함하지 않은 주형요부(76)의 일부에 프레임지주를 배설해도 된다.
프레임본체(78)는, 예를 들면 두께가 0.5∼2.0mm, 바람직하게는 1.0mm 정도의 금속제 판재 또는 강성(剛性)수지제 판재 (바람직하게는 금속판)로 구성되고, 그 상부에 플랜지부(82)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본체(78)의 저부는 스크린인쇄가 실시되는 패널(14)의 내면곡률에 대응한 곡률을 가진다. 프레임본체(78)의 저부의 곡률은, 예를 들면 패널(14)의 내면곡률 R (제4도(B) 참조)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8∼1.2XR,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1XR의 곡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널(14)의 내면곡률 R이 200mm인 경우에는, 프레임본체(78)의 저부의 곡률은 바람직하게는 150∼21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210mm이다.
이 곡률을 가지는 프레임본체(78) 및 지지블록(80)으로 구성되는 스크린프레임(74)의 저부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84)이 깔린다. 스크린(84)은 스크린 프레임(74)의 저부에 깔리기 전에, 소정 패턴의 인쇄면(86)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면(86)은 평프레임에 깔린 스크린사(沙)의 표면에 대하여, 광경화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유제(乳測)를 도포하고, 노광 및 세정제거를 행함으로써 형성된다. 인쇄면(86)이 형성된 스크린(84)은 스크린프레임(74)의 저부에 다시 깔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프레임(74)이 주형 구조를 가지므로, 스크린(84)에 형성되는, 인쇄면(86)(제2도 참조)의 범위를 프레임본체(78)의 가까이까지 위치시킬 수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형 요부(76)의 저부에 위치하는 스크린(84)의 표면에는, 형광면형성용 잉크(88)가 도포된다.
이 스크린프레임(74)에 형성된 주형 요부(76)의 깊이는 제2도,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프레임(74)을 패널(14)의 내면에 설치한 경우에, 패널(14)의 스커트부(28)로부터 스크린프레임(74)이 빠져나올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 스크린프레임(74)은 스크린프레임설치수단에 의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4)의 내면에 대하여 소정의 클리어런스로 배치된다. 스크린프레임설치수단은 제 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장착베이스(54)의 상하동을 조절하는 액튜에이터(48)와, 스크린프레임(74)을 회동축(72) 주의에 회동조절하는 액튜에이터 (도시생략) 등으로 구성된다.
다음에, 이 제1도∼제3도에 나타낸 형광면제작장치(10)를 사용하여,패널(14)의 내면에 형광면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4도에 나타낸 패널(14)의 내면에, 형광면(34)을 형성하기 전에, 베이스막을 형성한다. 베이스막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4방법이 있다. 제1의 방법은 형광면보다 약간 넓은 영역에, 알루미늄증착막 등으로 구성되는 메탈백층을 형성한다. 제2의 방법은 패널(14)의 내면의 대략 전체면에, 알루미늄증착막 등으로 구성되는 메탈 백층을 형성한다. 제3의 방법은 패널(14)의 내면의 대략 전체면에, 소정 패턴의 카본 막을 인쇄법 등으로 형성한다. 제4의 방법은 패널(14)의 내면의 대략 전체면에, 투명 도전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의 방법에서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형광면(34)을 제작한 후에, 메탈백층에만 접속하도록 패널(14)의 내면의 저면(32) (제4도 참조)측에, 투명도전막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베이스막을 형성한 후, 패널(14)의 내면에, 다음의 방법으로 형광면(34)을 제작한다.
먼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4)을 그 내면이 위를 향하도록, 슬라이드 테이블(40) 위에 설치한다. 패널(14)을 슬라이드테이블(40) 위에 설치할 때에는, 슬라이드테이블(40)은 액튜에이터(44)에 의해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되어서, 패널세트위치에 대기하고 있다.
다음에, 슬라이드테이블(40)을, 액튜에이터(44)를 구동하여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패널을 인쇄준비 정위치에 세트한다.
다음에, 스크린프레임(74)의 스크린이 패널(14)의 내면에 대하여 소정의 클리어런스로 배치되도록, 액튜에이터(48)를 구동하여, 인쇄블록(50)을 화살표 Y방향에 따라서 하강이동시켜서, 스크린프레임(74)을 패널(14)의 상부에 세트한다. 상기 소정의 클리어런스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5∼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먼저 액튜에이터(66)를 구동하여, 스크린프레임(74)의 주형 요부내에 잉크 되돌리기(70)를 꽃아넣고, 그 상태에서 스윙암(60)을 화살표 V1방향으로 요동시키고, 잉크되돌리기(70)를 스크린(84)의 표면에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린(84)의 표면에 형광면제작용 잉크(88)를 도포한다. 형광면제작용 잉크는 스크린프레임(74)의 주형 요부(76)내에 위치하는 프레임지지블록(80)의 반대측의 스크린(84)의 표면에 공급된다.
잉크되돌리기(70)에 의해 스크린(84)의 표면, 특히 인쇄면(86)에 잉크를 도포한 후, 액튜에이터(66)를 구동하여, 잉크되돌리기(70)를 끌어올리고, 그와 동시 또는 그후에, 액튜에이터(64)를 구동하여, 스크린프레임(74)의 주형 요부(76)내에 스퀴지(68)를 꽂아넣고, 그 선단을 스크린(84)의 표면에 압착시킨다. 그 상태에서, 스윙암(60)을 화살표 V2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형광면제작용 잉크를 스크린(84)의 인쇄면(86)을 통과하여, 패널(14)의 내면에 인쇄하여, 패널(14)의 내면에 형광면(34)을 제작한다. 즉, 스윙암(60)의 1왕복의 요동에 의해, 패널(14)의 내면에 형광면이 형성된다. 이 때, 프레임지지블록(80)측에 잉크가 존재한다.
그 후, 액튜에이터(64)를 구동하여, 스퀴지(68)를 스크린프레임(74)의 주형 요부(76)로부터 후퇴시킨다. 또, 액튜에이터(48)를 구동하여, 인쇄블록(50)을 화살표 Y방향에 따라서 위쪽으로 끌어올린다. 다음에, 액튜에이터(44)를 구동하여, 슬라이드테이블(40)을 화살표 X방향에 따라서 패널취출위치까지 이동시켜서, 형광면이 형성된 패널(14)을 슬라이드테이블(40)로부터 꺼낸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장치(10)를 사용하여 음극선관의 형광면을 제작하면, 제4도에 나타낸 요형(凹形) 곡면을 가지는 음극선관용 패널(14)의 내면에 대하여, 스크린인쇄에 의해 양호하게 막질이 균일한 형광면(34)을 제작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방법에서는, 스크린인쇄에 의해 형광면(34)을 제작하므로, 패널(14)의 내면에 전착용(電着用) 단자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외관상의 미관도 향상된다. 또, 본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면, 세정공정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기타의 방법에 비교하여,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제조코스트의 저감 및 품질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개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흑백의 편평형 음극선관의 패널내면에 단색의 형광면을 제작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형광면제작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였으나, 통상의 흑백형 음극선관, 또는 컬러의 편평형 또는 컬러의 통상형 음극선관의 패널에 대하여 형광면을 제작하는 경우에도 응용할 수 있다. 컬러의 음극선관용 패널의 내면에 형광면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3원색마다 전술한 장치를 사용하여 스크린인쇄를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장치를 사용하여 음극선관의 형광면을 제작하면, 요형 곡면을 가지는 음극선관용 패널의 내면에 대하여, 스크린인쇄에 의해 양호하게 막질이 균일한 형광면을 제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방법에 의하면, 스크린인쇄에 의해 형광면을 제작하므로, 패널의 내면에 전착용 단자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외관상의 미관도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세정공정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기타의 방법에 비교하여,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제조코스트의 저감 및 품질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장치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스크린프레임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A)는 패널의 내면측 정면도, (B)는 이 도면(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패널의 저면도.
제5도는 편평형 음극선관의 개략도.
제6도(A),(B)는 종래예에 관한 스크린인쇄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장치, (12): 음극선관, (14): 패널, (26): 내면, (28): 스커트부, (34): 형광면, (40): 슬라이드테이블, (42): 지지대, (44),(48),(64),(66): 액튜에이터, (50): 인쇄블록, (60): 스윙암, (62),(72): 회동 축, (68): 스퀴지, (70): 잉크되돌리기, (74): 스크린프레임, (76): 주형 요부, (78): 프레임본체, (80): 지지블록, (84): 스크린, (86): 인쇄면.

Claims (5)

  1. 형광면을 제작할 패널내면에, 저부에 스크린인쇄용 스크린이 깔린 주형(舟形) 구조의 스크린프레임을 설치하는 공정과,
    스크린의 표면에 도포된 형광면제작용 잉크가 스크린을 통과하여, 패널내면에 인쇄되도록, 스크린의 표면에 스퀴지를 압착하면서 이동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깔리는 스크린프레임의 저부의 곡률이 패널내면의 곡률에 대하여, 80∼120%의 범위에 있는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방법.
  3. 패널의 내면이 위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테이블과,
    저부에 스크린인쇄용 스크린이 깔리고, 소정의 깊이의 요부(凹部)가 형성된 주형 구조의 스크린프레임과,
    상기 스크린프레임의 스크린이 상기 패널의 내면에 대하여 소정의 클리어런스로 배치되도록, 스크린프레임을 설치하는 스크린프레임설치수단과,
    스크린의 표면에 도포된 형광면제작용 잉크가 스크린을 통과하여, 패널내면에 인쇄되도록, 상기 요부에 들어간 스퀴지를 스크린의 표면에 압착하면서 이동시키는 스퀴지이동수단을 가지는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프레임의 판두께가 0.5∼2.0mm이고, 상기 스크린프레임의 요부의 깊이가 당해 스크린프레임을 패널의 내면에 설치한 경우에 패널의 스커트부로부터 스크린프레임이 빠져나올 정도로 설정되어 있는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깔리는 스크린프레임의 저부의 곡률이 패널내면의 곡률에 대하여, 80∼120%의 범위에 있는 음극선관의 형광면제작장치.
KR1019950006022A 1994-03-23 1995-03-22 음극선관의형광면제작방법및장치 KR100325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178394A JP3318906B2 (ja) 1994-03-23 1994-03-23 陰極線管の蛍光面作製方法、装置および陰極線管
JP94-51783 1994-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78A KR950034378A (ko) 1995-12-28
KR100325403B1 true KR100325403B1 (ko) 2002-08-08

Family

ID=1289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022A KR100325403B1 (ko) 1994-03-23 1995-03-22 음극선관의형광면제작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5660875A (ko)
JP (1) JP3318906B2 (ko)
KR (1) KR100325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454B1 (ko) * 1996-09-30 2000-05-01 김영남 평판표시소자의 형광체 인쇄방법
JP2000057946A (ja) * 1998-08-11 2000-02-25 Kasei Optonix Co Ltd ディスプレイ用蛍光面の形成方法
JP2002255136A (ja) * 2001-02-26 2002-09-11 Sony Corp 転写方法及び転写装置
KR100407170B1 (ko) * 2001-08-08 2003-11-28 박수관 평면브라운관 제조공정 중 패널상 형광체 인쇄방법 및 그장치
US7378125B2 (en) * 2001-10-31 2008-05-27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screen printed lacquer deposition for a display device
US7743702B2 (en) * 2006-07-18 2010-06-29 Max Levy Autograph, Inc. Method for applying electronic circuits to curved surfaces
US8561535B2 (en) * 2010-02-27 2013-10-22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screen printing on 3D glass articles
JP6788603B2 (ja) * 2015-11-14 2020-11-25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スクリーン印刷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6540822B2 (ja) * 2015-11-18 2019-07-10 Agc株式会社 印刷版及び印刷装置
JP6547794B2 (ja) * 2016-06-28 2019-07-24 Agc株式会社 印刷層付き屈曲板の製造方法
DE102018004023A1 (de) * 2017-05-17 2018-11-22 AGC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 einer gedruckten schicht versehenen basiselements und mit gedruckter schicht versehenes basiselement
CN111672678B (zh) * 2020-06-19 2021-06-08 绍兴柯桥皓悦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板喷漆用刮平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871A (ja) * 1981-06-26 1983-01-12 東レ株式会社 合成繊維の処理方法
JPS59111227A (ja) * 1982-12-15 1984-06-27 Hitachi Ltd パタ−ン膜形成装置
JPS61259432A (ja) * 1985-05-10 1986-11-17 Sony Corp 螢光面の形成方法
JPS6380440A (ja) * 1986-09-22 1988-04-11 Sony Corp 螢光面形成法
KR920005264U (ko) * 1990-08-18 1992-03-26 삼성전관 주식회사 평면 브라운관의 형광면 형성장치
JPH05182586A (ja) * 1991-12-27 1993-07-23 Sony Corp 陰極線管用蛍光面の作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7390A (en) * 1955-02-14 1958-03-18 Thomas Electronics Inc Production of kinescope targets
US4075968A (en) * 1974-12-09 1978-02-28 Caddock Richard 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resistors by thick-film silk-screening
JPS5214348A (en) * 1975-07-24 1977-02-03 Toshiba Corp Film producing method
US4209551A (en) * 1977-12-28 1980-06-24 Toppan Printing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a phosphor screen of a color television picture tube
US4531475A (en) * 1982-08-09 1985-07-30 Spearhead Industries, Inc. Article decorating device
JPH0159629U (ko) * 1987-10-08 1989-04-14
CA1337918C (en) * 1988-03-16 1996-01-16 Norihisa Osaka Phosphor paste compositions and phosphor coatings obtained therefrom
JPH0631895A (ja) * 1990-12-26 1994-02-08 Asahi Plast:Kk スクリ−ン印刷装置
US5174201A (en) * 1991-06-07 1992-12-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ick film mask separation detection system
JP2785555B2 (ja) * 1991-12-17 1998-08-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クリーン印刷機のインキ返し装置
JPH05193100A (ja) * 1992-01-20 1993-08-03 Nippon Bunka Seiko Kk スクリーン印刷用の円弧面スクリーン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871A (ja) * 1981-06-26 1983-01-12 東レ株式会社 合成繊維の処理方法
JPS59111227A (ja) * 1982-12-15 1984-06-27 Hitachi Ltd パタ−ン膜形成装置
JPS61259432A (ja) * 1985-05-10 1986-11-17 Sony Corp 螢光面の形成方法
JPS6380440A (ja) * 1986-09-22 1988-04-11 Sony Corp 螢光面形成法
KR920005264U (ko) * 1990-08-18 1992-03-26 삼성전관 주식회사 평면 브라운관의 형광면 형성장치
JPH05182586A (ja) * 1991-12-27 1993-07-23 Sony Corp 陰極線管用蛍光面の作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78A (ko) 1995-12-28
US5702526A (en) 1997-12-30
JPH07262919A (ja) 1995-10-13
US5744191A (en) 1998-04-28
JP3318906B2 (ja) 2002-08-26
US5660875A (en) 1997-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5403B1 (ko) 음극선관의형광면제작방법및장치
WO2011106615A1 (en) Method of screen printing on 3d glass articles
CN1535082A (zh) 淀积掩模框架组件及其制造方法、有机电致发光器制造方法
US5713276A (en) Flexible self-level squeegee blade
KR100432112B1 (ko) 음극선관의형광면제작방법및장치
CN109856866A (zh) 封框胶固化装置及其固化方法
US53438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contact printing screens on CRT faceplates
JP2006167639A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CN212092857U (zh) 工件喷涂遮盖装置及工件喷涂生产线
EP0833360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adow mask and etching-resistant layer-coating apparatus
CA2379107A1 (en) Holder for holding a printed circuit for exposure to light
CN212850690U (zh) 摄像头装饰件
KR100467673B1 (ko) 스마트 포토리소그래피 방법
KR100233268B1 (ko) 플럭스 도포용 지그 및 그를 이용한 플럭스 자동 도포장치
KR102058089B1 (ko) 변형을 이용한 저진공 합착장치 및 합착방법
KR200266647Y1 (ko) 멀티 스퀴즈 장치
KR950002718B1 (ko) 평판디스플레이용 스페이서의 성형방법
KR100189415B1 (ko) 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 중심점 조정방법
KR100223843B1 (ko) 브라운관
KR900006621Y1 (ko) 도포 장치
KR0136471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펀넬의 내부흑연막 도포장치
KR0118765B1 (ko) 유기수지막 도포방법
GB2296781A (en) Exposure apparaus for manufacturing CRT's
KR19990030531A (ko) 칼라 음극선관의 도전막 형성방법
JPH11250798A (ja) プラズマ表示装置用基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