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100B1 - 장방형으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정이 용이한 화상형성장치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장방형으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정이 용이한 화상형성장치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100B1
KR100324100B1 KR1019990004796A KR19990004796A KR100324100B1 KR 100324100 B1 KR100324100 B1 KR 100324100B1 KR 1019990004796 A KR1019990004796 A KR 1019990004796A KR 19990004796 A KR19990004796 A KR 19990004796A KR 100324100 B1 KR100324100 B1 KR 100324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mage
photoconductor
stay
ligh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2582A (ko
Inventor
야마카와타케시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90072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 H04N1/1135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for the main-sca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6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exposur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03G15/04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by introducing an optical element in the optical path, e.g. a fil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02Exposure devices
    • G03G2215/0404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exposure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46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ounting of scanning components

Abstract

화상형성장치는 광전도체,광빔을 방사하는 광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광원으로서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을 주사하도록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상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빔을 안내하는 스캐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과 스캐닝장치가 장착되는 하우징은 스테이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테이를 통하여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에 관련된 상기 광빔의 주사방향의 각도가 거의 직각도로 있도록 조정하기 위하여 지지되고, 이것에 의해서 화상은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장방형으로 형성되어진다.

Description

장방형으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정이 용이한 화상형성장치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DJUSTMENT FOR FORMINIG IMAGE IN RECTANGULAR FORM IS EASILY DON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PPARATUS}
본 발명은 편광기(an optical defector)에 의해서 광빔(a light beam)을 편향시키고, 상기 편향된 광빔으로서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을 노출시킴으로서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에 잠상을 기록하기 위한 화상기록장치(an image writing device)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잠상이 장방형(rectangular)으로 형성되기 위해서 광전도체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에 있도록 광빔의 주사방향의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술을 이용하는 디지탈 복사기는 편광기에 의해서 광원의 광빔을 편향시키고, 상기 편향된 광빔으로서 광전도체의 표면을 노출시킴으로서 광전도체의 표면상에 잠상을 기록하는 화상기록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알려져 있다.
도 1은 이러한 디지탈 복사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디지탈 복사기 110는 화상판독장치 111, 프린팅장치 112 및 자동원고공급장치 113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원고공급장치 113는 이에 세트된 원고종이를 하나씩 분리하고, 판독위치에 위치되도록 접촉유리(a contact glass)상에 분리된 원고종이를 공급한다. 상기 원고종이가 판독된 후에, 상기 자동원고공급장치 113는 상기 접촉유리 114상의 상기 판독위치로부터 상기 판독된 원고종이를 배출한다.
도 2는 화상판독장치 11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화상판독장치 111는 조명램프 (an illuminating lamp) 115와 반사미러( a reflecting mirror) 116와 제 1미러 117(도 2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한 광원을 갖는 제 1캐리지 A와 제 2,3미러 118,119를 갖는 제 2캐리지 B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유리 114상에 올려진 원고종이를 판독할 때, 상기 제 1캐리지 A는 일정속도로 왕복이동하고, 상기 제 2캐리지 B는 상기 제 1캐리지 A의 절반 속도로 왕복이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접촉유리 114상의 원고종이는 광학적으로 주사된다. 상기 접촉유리 114상의 원고종이는 상기 조명램프 115와 반사미러 116로서 조사되어지고,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원고종이에 의해서 반사된 빛은 제 1미러 117, 제 2미러 118, 제 3미러 119 및 칼라필터(a color filter) 120를 경유하여 렌즈 121에 의해서 전하결합소자(a charge-coupled device)(CCD) 122에 상을 형성한다. 상기 CCD 122는 수광된 화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하고, 상기 원고종이의 판독된 화상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화상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원고종이의 화상이 판독된 후에, 제 1캐리지 A와 제 2캐리지 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상판독종료의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된 원위치로 각각 복귀한다. 상기 CCD 122는 칼라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해서 CCD 요소의 3가지 배열(arrays)이 R(red), G(green) 및 B(blue)에 대하여 각각 배치되어져야 한다.
도 1에서, 상기 CCD 122로부터 출력된 상기 아날로그화상신호들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미도시)에 의해서 디지탈 화상신호들로 변환되고, 다중(multi-value)데이터를 이중데이터(binary data)로의 변환하고 그 역으로의 변환, 계조변환(gradation level conversion), 확대율변화(magnification ratio change), 화상편집등과 같은 다양한 화상처리가 화상처리판 123의 화상처리회로에 의해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들에 적용되어진다.
상기 프린팅장치 112에서 화상이 형성될 때, 화상담체인 광전도체 드럼 125이 구동유니트(미도시)에 의해서 회전되고, 상기 광전도체 드럼의 표면이 대전장치 126에 의해서 동일하게 대전된 후에, 상기 화상처리판 123으로서 처리되었던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들은 반도체 회로판(미도시)으로 전송되어지고, 레이저빔 스캐닝장치 127에 의해서 수행된 화상노출작동으로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들에 따라 잠상이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상의 잠상은 현상장치 128에 의해서 가시화 토너상으로 토너로서 현상된다.
전사용지(a transfer sheet)는 다수개의 종이카세트 133,134,135중 선택된종이카세트로부터 레지스터롤러(a registration roller) 136로 공급되어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토너화상의 선단부로서 상기 전사용지의 선단부를 표시하는 타이밍에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측으로 공급되어진다.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상의 토너화상은 전사장치 130에 의해서 상기 전사용지상으로 전사된다. 상기 토너화상을 이송하는 상기 전사용지는 분리장치(a separating device) 131에 의해서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토너화상이 상기 전사용지에 정착되어지는 정착장치(a fixing device) 138로 이송장치(a conveying device) 137에 의해서 이송되어진다. 상기 정착된 토너화상을 이송하는 전사용지는 배출트레이 139로 배출된다.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의 표면은 상기 전사용지가 분리된 후에 잔류토너를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크리닝장치 132에 의해서 크리닝되어진다.
도 3은 상기 레이저빔 스캐닝장치 127의 구조와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과 상기 스캐닝장치 127사이에서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레이저빔 스캐닝장치 127는 반도체레이저를 갖는 반도체 레이저 유니트 140를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레이저로부터 방출된 레이저빔광은 상기 반도체 레이저유니트 140내의 조준렌즈(a collimate lens)(미도시)에 의해서 평행광속(a parallel light flux)으로 변환되어진다. 이어서 상기 평행광속은 상기 반도체 레이저유니트 140내의 렌즈구경 (aperture)(미도시)을 통해 통과하는 것으로서 사전에 설정된 모양으로 재형성되어진다. 상기 변형된 광속은 원통형 렌즈(a cylindrical lens) 141에 의해서 부 스캐닝(sub scanning) 방향으로 한점에 모아지고(converged), 다각형 미러(apolygonal mirror) 142의 표면으로 진행된다. 상기 다각형 미러 142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지고, 모터 143(도 1에 도시)에 의해서 고정방향으로 일정속도로 회전되어진다. 상기 다각형 미러 142의 회전속도는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의 회전속도, 상기 레이저빔 스캐닝장치 127의 기록해상도(the writing resolution) 및 상기 다각형 미러 142의 표면수에 따라서 결정되어진다.
상기 다각형 미러 142상으로 진행된 레이저빔은 등각속도(equiangular velocity)로 상기 다각형 미러 142의 반사면에 의해서 편향되어져 fθ렌즈 144 로 진행한다. 상기 fθ렌즈 144는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의 표면을 일정속도로 주사하도록 등각속도로 상기 다각형 미러 142에 의해서 편향된 레이저빔을 변환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레이저빔은 반사미러 145와 방진유리(a dust-proof glass) 146를 경유하여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의 표면에 상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fθ렌즈 144는 표면경사를 교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화상형성지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fθ렌즈 144를 통해서 통과하는 상기 레이저빔의 일부분은 동기검지센서(a synchronization detect sensor) 148에 의해서 검지되도록 동기검지미러 147에 의해서 반사되어진다. 상기 동기검지센서 148는 주주사방향(the main scanning direction)으로 각 주사에 대한 기록시작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얻기 위해서 상기 레이저빔의 진행에 따라 검지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상기 레이저빔 스캐닝장치 127는 각 모서리에서 직각도를 갖는 장방형으로 레이저빔으로서 광전도체 드럼 125의 표면상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디지탈 복사기 100의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어진다. 즉, 상기 장방형의잠상이 상기 레이저빔으로서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의 표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잠상이 토너에 의해서 현상되어질 때, 상기 장방형 토너화상의 일측은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이 회전하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며(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의 축과 평행), 상기 장방형 토너화상의 타측은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이 회전하는 방향과 평행하고(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의 축과 직각을 형성함), 또는 상기 장방형 토너화상이 전사용지상으로 이송되어질 때, 상기 장방형 토너화상의 측면들은 상기 전사용지의 테두리와 각각 평행하거나 상기 장방형토너화상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한 각 라인은 상기 전사용지의 테두리와 직각을 형성한다. 화상이 장방형으로 형성된다는 상기와 같은 특징은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이 회전하는 방향과 거의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레이저빔 스캐닝장치 127의 레이저빔이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의 표면을 주사하게 되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빔장치 127는 상기 광전도체 드럼과 레이저빔장치 127사이의 위치관계를 설정하기 위해서 디지탈 복사기의 본체의 하우징에 부착되어지고, 잠상이 장방형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레이저빔의 주사방향을 상기 광전도체 드럼 125이 회전하는 방향과 거의 직각을 이루기 위해 고정되어진다. 화성형성장치에서 미러와 같은 관련부품은 상기 장치가 조립공정으로부터 선적되어질 때 조정가능하며, 상기 레이저빔의 주사방향은 상기 관련부품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장방형으로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광전도체 드럼이 회전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룰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광전도체 드럼의 회전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상기 레이저빔의 주사방향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스캐닝장치와 광전도체 드럼사이의 바람직한 위치관계(장방형으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함)가 상기와 같이 이루기 위해서 상기 레이저스캐닝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의 하우징에 부착되더라도, 이러한 위치관계는 장치를 사용자 위치로 이송하는 동안 또는 장치가 사용자 위치에 설치되는 위치의 조건 때문에 헛되이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장치가 경사진 곳에 위치되고, 이것에 의해서 장치가 왜곡(distort)될 때, 상기 레이저빔 스캐닝장치와 상기 광전도체 드럼사이의 바람직한 위치관계는 헛되어 버릴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광전도체 드럼의 표면은 화상이 상기 레이저빔 스캐닝장치의 레이저빔으로서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위치로부터 이탈될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화상은 예를들면 평행사변형(parallelogram)으로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레이저빔 스캐닝장치는 일반적으로 상기 장치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스캐닝장치내에 포함된 광학요소들이 먼지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구조로 완전히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미러와 같은 상기 스캐닝장치의 광학요소가 상기와 같이 조정할수 있다 할지라도 이러한 광학요소들의 조정이 사용자의 위치에서는 쉽지 않다. 더구나, 이러한 조정 특징의 추가는 장치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잠상이 거의 장방형으로 형성되기 위하여 광전도체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과 거의 직각을 이루도록 광빔의 스캐닝 방향의 조정이 장치의 추가비용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가 광전도체, 광빔을 방사하는 광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광빔으로서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을 주사하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상으로 방사되는 광빔을 안내하는 스캐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과 상기 스캐닝장치가 장착되는 하우징은 스테이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테이를 통하여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광빔의 주사방향의 각도가 상기 하우징의 회전에 의해서 거의 직각이 되도록 조정가능하게 상기 스테이에 의해서 지지되어진다. 한쌍의 상기 스테이는 상기 광전도체의 폭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고, 위치조정핀(positioning pin)은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며, 상기 위치조정핀이 삽입되는 위치조정핀삽입홀은 한쌍의 상기 스테이중의 일측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위치조정핀을 중심으로 회전되어진다.
드라이버 삽입홀은 상기 하우징과 스테이에 각각 제공되어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테이와 하우징의 드라이버 삽입홀내로 상기 드라이버 팁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스테이에 대하여 회전되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이 회전되는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스케일이 상기 스테이에 제공될수 있다.
상기 스케일의 눈금은 상기 스케일 한 눈금만큼의 상기 스테이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회전이, 직각으로 부터 광전도체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한 광빔의 주사방향 각도 편차를, 길이방향및 폭방향 라인의 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폭방향 라인이 길이방향 라인에 대하여 직각에서 상기 길이방향라인의 단부점으로 부터 상기 형성된 화상내의 화상의 최대 폭방향 길이이상으로 연장하는 경우, 상기 길이방향및 폭방향 라인 화상의 연결된 단부점들과 상기 폭방향 라인화상의 타단점으로 부터 연장된 라인이 상기 길이방향 라인화상에 직각으로 교차되는 위치인 상기 연결된 단부점들로 부터 연장하는 길이방향라인 화상의 점 혹은 길이방향 라인의 점사이에서, 0.5mm 혹은 1mm의 거리에 해당하는 량만큼 교정하도록 형성되어 진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인 디지탈복사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탈복사기의 화상판독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1의 디지탈 복사기에서 레이저빔 스캐닝장치의 구조와 레이저빔 스캐닝장치와 광전도체 드럼사이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의 광전도체 드럼의 표면을 스캐닝하기 위한 레이저빔 스캐닝장치가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스테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스캐닝장치와 광전도체 드럼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 4의 하우징과 스테이의 단면도;
도 6(a),(b)는 하우징과 스테이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a)는 스테이의 평면도;
도 7은 도 6(a)에 도시된 라인에서 하우징과 스테이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드라이버가 삽입되는 부분에서 하우징과 스테이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드라이버가 상기 관계를 조정하기 위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스테이상에 제공되는 스케일의 각 눈금사이의 거리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1 (a),(b)는 화상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지 않은 것을 설명하는 다이아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다각형 미러2,3 ...... fθ 렌즈
8,9,10,11,12 ...... 돌출판13 ..... 스케일
14 ...... 레이저유니트16 ..... 하우징
18,19 ..... 스테이21 ..... 광전도체 드럼
24 ...... 스크류삽입홀25 ...... 장공
26 ..... 지그핀통과홀27 ..... 홈
28 ..... 돌기29 ..... 드라이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복수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 여기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 부호가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빔 스캐닝장치가 장착되는 하우징의 구조와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스테이(a stay)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스캐닝장치와 광전도체 드럼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상기 하우징과 스테이의 단면도이다.
도 4와 5에서, 하우징 16은 그 내부에 레이저빔 스캐닝장치 27의 구성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구성부재가 먼지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완전히 밀봉되어진다. 다각형 미러 1는 상기 하우징 16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전도체 드럼 21의 표면상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레이저빔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 5는 상기 하우징 16의 타단부에 배치된다. 레이저유니트 14는 상기 다각형 미러 1로서 편향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레이저유니트 14로부터 방사된 레이저빔을 상기 미러 5측으로 진행시킬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진다. 콜리메이터 렌즈(a collimator lens) 15 는 상기 레이저유니트 14와 다각형 미러 1사이의 광행로에 배치되고, fθ 렌즈 2,3와 표면경사교정렌즈(a surface tilt correcting lens) 4는 상기 다각형 미러 1와 상기 미러 5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렌즈 2,3,4,15들은 fθ 특성을 달성한다. 화살표 'a' 는 상기 다각형 미러 1의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b'와 'c'는 레이저빔의 주사선 17의 폭단부를 나타낸다.
상기 하우징 16은 우측스테이 18와 좌측스테이 19 양측위에 연장하도록 위치되어지고, 상기 미러 5에 의해서 반사된 레이저빔이 개구 6를 통해서 상기 광전도체 드럼 21의 표면을 주사하기 위하여 이들 스테이 18,19에 부착되어진다. 상기 스테이 18,19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의 측판(미도시)에 부착되어진다. 상기 광전도체 드럼 21은 상기 측판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구동되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 16과 광전도체 드럼 21의 위치관계는 복수개의 구성부재에 의하여 결정되어진다.
3개의 돌출판(protruded plate) 8,9,11은 상기 미러 5 측방의 하부모서리에서 상기 하우징 16에 제공되고, 2개의 돌출판 10,12은 상기 다각형 미러 1일측에서 하부테두리에 제공되어진다. 상기 각 돌출판 8,9,10,11,12은 상기 하우징 16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구성된다. 핀 11a은 직각으로 하향 돌출하여 상기 판 11의 바닥면에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 16의 위치가 광전도체 드럼 21과 관련하여 조정될때(후에 기술), 상기 하우징 16은 회전중심인 상기 핀 11a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지그핀(a jig pin)을 삽입하기 위한 지그핀 통과홀 26은 상기 돌출판 12에 형성되어진다. 상기 핀 11a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 18a은 상기 우측스테이 18에 형성되고, 상기 홀 26을 통하여 상기 지그핀을 삽입하기 위한 지그핀 삽입홀 23은 좌측스테이 19에 제공되어진다. 상기 지그핀 삽입홀 23은 조립공장에서 기준위치(default position)로 상기 하우징 16을 위치시키기 위해서 제공되어진다. 상기 하우징 16은 상기 우측스테이 18에 제공되는 삽입홀 18a내로 상기 핀 11a을 삽입하고, 그에 일치되는 상기 지그핀 삽입홀 23과 지그핀 통과홀 26내로 상기 지그핀을 삽입함으로서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되어진다.
와셔 8a,9a,10a는 상기 돌출판 8,9,10의 바닥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16과 광전도체 드럼 21사이에서 높이방향 위치관계의 정밀도는 상기 와셔 8a,9a,10을 통하여 각각 상기 스테이 18,19로서 수용되도록 상기 돌출판 8,9,10의 바닥면을 배치함으로서 달성되고 유지되어진다. 상기 하우징 16과 광전도체 드럼 21사이의 높이방향 위치관계가 이루어진후에, 상기 돌출판 8.9,10을 각각 지지하는 상기 스테이 18,19의 부분들과 상기 돌출판 8,9,10의 부분들은 스크류로서 연결되어 고정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빔의 주사방향이 상기 광전도체 드럼 21이 회전하는 방향과 직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 16과 광전도체 드럼 21사이의 위치관계를 조정할 때(화상을 장방형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 16은 상기 돌출판 8,9,10의 스크류들을 풀은 다음,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상기 핀 11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어진다. 상기 하우징 16과 상기 광전도체 드럼 21사이의 바람직한 위치관계가 얻어진후에, 상기 하우징 16은 상기 스크류들로서 상기 스테이 18,19에 다시 고정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16과 광전도체 드럼 1사이의 위치관계는 장치의 비용을 증가시킬 필요없이 사용자의 위치에서 용이하게 조정될수 있다.
더구나, 상기 하우징 16의 회전량은 상기 하우징 16에 제공되는 돌기(protrusion) 28와 상기 좌측스테이 19에 제공되는 스케일(a scale) 13로서 용이하게 측정될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준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스케일 13의 표시는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회전량을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도록 상기 스케일 13의 다른 스케일표시보다도 길게 한다.
도 6(a)(b)는 상기 하우징 16과 상기 좌측스테이 19사이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a)는 상기 좌측스테이 19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b)에서 의 e-e선으로서 표시된 선에서 상기 좌측스테이 19와 하우징 16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드라이버(a driver)가 삽입되는 부분에서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관계를 조정하기 위해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b)에서, 상기 스케일 13은 상기 좌측스테이 19의 상부면에 제공되고, 상기 기준위치에 상기 하우징 16을 위치시키기 위한 상기 지그핀 삽입홀 23은 상기 스케일 13의 우측에 형성되어진다. 드라이버를 삽입하기 위한 홀 22은 상기 지그핀 삽입홀 23상측에 형성되어지고(도 6(a)에서), 상기 하우징 16을 상기 좌측스테이 19에 고정하기 위하여 스크류를 삽입하기 위한 스크류삽입홀 24은 상기 지그핀 삽입홀 23하측에 제공되어진다. 상기 홀 24에 연결하기 위하여 스크류를 삽입하기 위한 장공(an elongated hole) 25, 지그핀을 통과시키기 위한 상기 지그핀통과홀 26, 및 일자 드라이버( a minus driver)를 삽입하기 위한 홈(a groove) 27 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우징 16의 일측부에 제공되어진다. 상기 돌기 28는 상기 스케일 13을 가리키도록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지그핀 통과홀 26의 좌측위치에 형성되어진다. 상기 우측스테이 18와 하우징 16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구조로 배치된다. 와셔(미도시)는 상기 장공 25의 바닥면에 제공되어진다.
도 6(a),(b) 및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기준위치에서 지그핀(미도시)은 상기 지그핀삽입홀 23과 상기 지그핀통과홀 26내로 삽입되고, 상기 홈 27은 상기 드라이버 삽입홀 22과 겹쳐지며, 상기 장공 25은 상기 스크류홀 24과 겹쳐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핀이 제거된 다음, 이어서 드라이버 29가 상기 홈 27을 통해 상기 드라이버 삽입홀 22내로 삽입되어진다. 상기 드라이버 29가 도 8의 화살표방향으로 돌려진다. 상기 드라이버 29가 예를들어 도 9에서 화살표 'h'로 도시된 방향으로 돌려지면, 상기 하우징 19은 도 9에서 화살표 'g'로 도시된 방향으로 상기 좌측스테이 19에 대하여 이동되어진다. 상기 드라이버 29의 회전작동에 의해서, 도 4와 5에 언급한 바와같이, 상기 광전도체 드럼 21이 회전하는 방향에 관련된 주사선의 각도 또는 상기 광전도체 드럼 21의 축방향(길이방향(longitudinal)에 관련된 각도는 조정되어진다. 상기 하우징 16이 위치조정핀 11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16에 장착된 각 광학구성부재의 관련위치는 이러한 조정에 의해서 변하지 않는다. 더구나, 상기 광행로의 길이는 변하지 않고 동일하게 유지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16과 광전도체 드럼 21사이의 위치관계는 광빔의직경과 같은 다른 광특성을 저하시키는 것없이 장방형으로 화상을 형성하도록 조정되어지고, 이것에 의해서 최종화상의 질을 열화시키는 것이 없어진다.
상기 좌측스테이 19의 상부면에 제공되는 스케일 13은 상기 좌측스테이 19에 대한 상기 하우징 16의 이동량을 알수 있도록 간단하게 이용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화상이 상기 하우징 16과 광전도체 드럼 21사이에서의 위치관계를 조정한 후에 장방형으로 형성되지 않으면, 상기 하우징 16과 광전도체 드럼 21사이의 위치관계는 다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케일 13의 한 눈금만큼 상기 하우징 16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교정할수 있는 장방형으로부터의 화상형성 편차량을 미리 알고 있으면, 상기 화상이 장방형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장방형으로부터 벗어난 화상편차가 상기 스케일 13의 필요한 눈금수만큼 상기 하우징을 간단히 한번에 회전시킴으로서 교정될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조정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스케일 13의 각 눈금사이의 거리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1(a)(b)는 화상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지 않는, 즉, 화상형성이 장방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아그램이다.
도 1,10 및 11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화상의 폭을 L 이라 하고, 장방형으로부터의 화상형성의 편차량은 △x 이고(도 11(a)(b)), 상기 돌출판 11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스케일 13까지의 거리는 l이며(도 1), 상기 스케일 13의 각 눈금사이의 폭은 △y 이라고(도 10) 가정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된다;
△y/l = △x/L
여기서, 장방형으로부터 화상형상의 편차량(△x)은 도 11(a)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연결되고 그 연결점에서 직각을 형성하는 폭방향 라인과 길이방향 라인의 화상을 형성함으로서 측정되어진다. 도 11(a)에서, 폭방향 라인 202은 상기 길이방향 라인 201과 직각을 이루면서 길이방향 라인 201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화상의 최대 폭방향 길이 L 이상으로 연장한다. 상기 화상의 크기가 A3사이즈일 때, 예를들어 상기 폭방향 라인 202의 폭은 상기 A3사이즈인 297mm 보다 짧게 예를들어 290mm로 설정되어진다. 상기 길이방향 라인 화상은 상기 용지이동방향으로 전사용지의 좌측단부에 가깝게 형성되어진다.
도 11(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길이방향과 폭방향 라인들의 화상이 장방형으로부터 이탈된 형상과 함께 형성되어진다고 하면, 상기 장방형으로부터 벗어난 상기 형성된 화상형상의 편차량(△x)은 길이방향, 폭방향 라인 화상 201,202의 연결단부점 203과, 상기 폭방향 라인 화상 202의 타단점 208로부터의 수직선 207이 교차하는 상기 길이방향및 폭방향 라인화상 201,202의 연결단부점 203으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길이방향 라인 화상 201의 점 204 또는 길이방향 라인 206의 점 205사이의 거리에 의해서 표현되어진다.
상기 편차량 △x이 예를들면 0.5mm이고, 상기 화상의 폭 L이 290mm이며, 상기 돌출판 11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스케일까지의 거리 l가 400mm 이면,
△y = △x × l/L = 0.69mm 이다.
따라서, 상기 스케일 13의 각 눈금사이의 거리가 0.69mm로 제작되어지면, 장방형으로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 16과 광전도체 드럼 21사이의 위치관계를 조정할 때, 장방형으로부터 0.5mm의 이탈거리는 상기 스케일 13의 한 눈금만큼 상기 하우징 16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교정되어진다.
따라서, 장방형으로부터의 이탈이 예를들어 0.5mm 이면, 상기 이탈은 상기 스케일 13의 한 눈금만큼 상기 하우징 16을 간단히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교정될수 있고, 상기 이탈이 1mm이면, 상기 스케일 13의 2개의 눈금만큼 상기 하우징 16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교정될수 있다. 따라서, 화상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지도록 상기 하우징 16과 광전도체 드럼 21사이의 위치관계를 조정하는 조작은 간단해지고, 상기 조정을 위한 시간도 절약되어진다.
본 발명의 많은 부가적인 변형과 개선구조는 상술한 내용에 비추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내에서 본 명세서내에 특별히 기술된 것과는 다르게 이루어질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은 우선권을 주장하고, 1998. 2. 16자로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제 10-032836호에 관련된 주제를 포함하며, 그 전체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수록되어 있다.

Claims (10)

  1. 광전도체;
    광빔을 방사하는 광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광빔으로서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을 주사하도록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상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빔을 안내하는 스캐닝장치;
    상기 광원과 스캐닝장치가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고,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상기 하우징을 장착하기 위한 스테이;및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토너로서 상기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장치;를 갖추고,
    상기 하우징은 광전도체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한 광빔의 주사방향의 각도가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킴에 의해서 거의 직각으로 조정가능하도록 상기 스테이에 의해서 지지되며 그리고,
    상기 한쌍의 스테이는 상기 광전도체의 폭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배열되고, 위치조정핀은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며, 상기 위치조정핀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이 그 둘레를 회전하는 위치조정핀삽입홀이 상기 한쌍의 스테이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스테이 각각에 드라이버삽입홀이 제공되며, 상기하우징과 스테이의 상기 드라이버홀내로 상기 드라이버의 팁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스테이에 대하여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회전량을 표시하기 위한 스케일이 상기 스테이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의 눈금은 상기 스케일 한 눈금만큼의 상기 스테이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회전이 직각으로 부터 광전도체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한 광빔의 주사방향 각도 편차를, 길이방향 및 폭방향라인의 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폭방향 라인이 길이방향 라인에 대하여 직각에서 상기 길이방향라인의 단부점으로 부터 상기 형성된 화상내의 화상의 최대 폭방향 길이이상으로 연장하는 경우, 상기 길이방향및 폭방향 라인 화상의 연결된 단부점들과 상기 폭방향 라인화상의 타단점으로 부터 연장된 라인이 상기 길이방향 라인화상에 직각으로 교차되는 위치인 상기 길이방향및 폭방향 라인화상의 서로 연결된 단부점들로 부터 연장하는 길이방향라인 화상의 점 혹은 길이방향 라인의 점사이에서, 0.5mm 내지 1mm의 거리에 해당하는 량만큼 교정하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의 눈금은, 상기 스케일 한 눈금만큼의 상기 스테이에 대한 하우징의 회전이, 길이방향과 폭방향 라인의 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폭방향 라인이 상기 길이방향 라인에 대하여 직각에서 상기 길이방향 라인의 단부점으로부터 상기 형성된 화상내의 화상의 최대폭방향 길이이상으로 연장한 경우,
    상기 폭방향 라인화상의 타단점으로 부터 연장된 라인이 상기 길이방향 라인화상에 직각으로 교차되는 위치인 상기 길이방향및 폭방향 라인화상의 서로 연결된 단부점들로 부터 연장하는 길이방향라인 화상의 점 혹은 길이방향 라인의 점으로 부터, 상기 길이방향및 폭방향 라인화상의 서로 연결된 단부점의 0.5mm 혹은 1mm의 편차를 교정하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광전도체;
    광빔을 방사하는 광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광빔으로서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을 주사하도록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상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빔을 안내하는 스캐닝장치;
    상기 광원과 스캐닝장치를 장착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고,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상기 하우징을 장착하는 스테이;및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토너로서 상기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장치;를 갖추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한 광빔의 주사방향의 각도를 상기 잠상이 상기 하우징의 회전에 의해서 거의 장방형(rectangular)으로 형성되도록 조정가능하게 상기 스테이에 장착되며 그리고,
    상기 한쌍의 스테이는 상기 광전도체의 폭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배열되고, 위치조정핀은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며, 상기 위치조정핀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이 그 둘레를 회전하는 위치조정핀삽입홀이 상기 한쌍의 스테이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화상형성장치.
  7. 광전도체;
    광빔을 방사하는 광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광빔으로서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을 주사하도록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상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빔을 안내하는 스캐닝장치;
    상기 광원과 스캐닝장치를 장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장치의 본체에 상기 하우징을 장착하는 스테이;및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토너로서 상기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장치;를 갖추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잠상이 상기 하우징의 회전에 의해서 장방형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광전도체사이의 위치관계가 조정가능하게 상기 스테이에 장착되며 그리고,
    상기 한쌍의 스테이는 상기 광전도체의 폭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배열되고, 위치조정핀은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며, 상기 위치조정핀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이 그 둘레를 회전하는 위치조정핀삽입홀이 상기 한쌍의 스테이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화상형성장치.
  8. 광전도체, 광빔을 조사하는 광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광빔으로서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을 주사하도록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상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빔을 안내하는 스캐닝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스캐닝장치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을 스테이로서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스테이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스테이를 통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상기 하우징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에 관련된 상기 광빔의 주사방향 각도가 상기 하우징의 회전에 의해서 직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광전도체사이의 위치관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작하는 방법.
  9. 광전도체, 광빔을 조사하는 광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광빔으로서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을 주사하도록 상기 광전도체의 표면상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빔을 안내하는 스캐닝장치및,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토너로서 상기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스캐닝장치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을 스테이로서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스테이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스테이를 경유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상기 하우징을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토너화상이 상기 하우징의 회전에 의해서 거의 장방형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광전도체사이의 위치관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작하는 방법.
  10. (신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의 눈금이 직각으로 부터 광전도체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한 광빔의 주사방향 각도 편차량에 관계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90004796A 1998-02-16 1999-02-11 장방형으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정이 용이한 화상형성장치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100324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32836A JPH11227249A (ja) 1998-02-16 1998-02-16 画像形成装置
JP10-32836 1998-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582A KR19990072582A (ko) 1999-09-27
KR100324100B1 true KR100324100B1 (ko) 2002-02-20

Family

ID=1236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796A KR100324100B1 (ko) 1998-02-16 1999-02-11 장방형으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정이 용이한 화상형성장치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43128B1 (ko)
JP (1) JPH11227249A (ko)
KR (1) KR100324100B1 (ko)
CN (1) CN1117287C (ko)
DE (1) DE1990644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4070B2 (en) * 2001-09-19 2007-02-27 Kabushiki Kaisha Toshiba Exposure device including housing rotated about projection
JP4008262B2 (ja) 2002-02-28 2007-11-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N1300646C (zh) * 2002-09-16 2007-02-14 三星电子株式会社 激光扫描单元及采用其的电子照相成像装置
JP2004291624A (ja) * 2003-03-13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走査装置の支持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4302415B2 (ja) * 2003-03-14 2009-07-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4354848A (ja) * 2003-05-30 2004-12-16 Ricoh Co Ltd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25838B2 (ja) * 2003-06-03 2009-02-18 株式会社リコー レーザ書き込み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193760B2 (en) * 2004-09-07 2007-03-20 Kabushiki Kaisha Toshiba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559875B2 (ja) * 2005-03-02 2010-10-13 株式会社クボタ 静油圧式無段変速装置
JP2006253914A (ja) * 2005-03-09 2006-09-21 Sharp Corp 原稿読取装置
EP1772279B1 (en) * 2005-09-26 2018-04-04 Ricoh Company, Ltd.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70905B2 (ja) 2005-11-07 2012-07-11 株式会社リコー 構造体、それを有する光学装置、その光学装置の組立方法、その光学装置を有する画像読み取り装置、並びに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8199369B2 (en) 2005-11-07 2012-06-12 Ricoh Company, Ltd. Optical device having fixture structure and used i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2007144951A (ja) 2005-11-30 2007-06-1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597906B2 (ja) * 2005-11-30 2014-10-01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69780B2 (ja) * 2005-12-16 2011-04-13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37583A (ja) * 2006-03-09 2007-09-20 Funai Electric Co Ltd 画像形成装置
US7414239B2 (en) * 2006-04-27 2008-08-19 Ricoh Company, Ltd. Optical-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042530B2 (ja) * 2006-06-02 2012-10-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967651B2 (ja) * 2006-12-28 2012-07-0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185806A (ja) * 2007-01-30 2008-08-14 Kyocera Mita Corp 露光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JP5069552B2 (ja) * 2007-12-25 2012-11-07 株式会社リコー 光学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9294238A (ja) * 2008-06-02 2009-12-17 Ricoh Co Ltd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520174B2 (ja) 2015-02-10 2019-05-29 株式会社リコー 筐体構造、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5524A (en) * 1980-04-04 1981-05-05 Rca Corporation Optical scanner with variable scan line angle
DE3818218A1 (de) * 1988-04-16 1989-10-26 Heidenhain Gmbh Dr Johannes Lichtelektrische winkelmesseinrichtung
US5237348A (en) * 1991-10-31 1993-08-1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ment of scan line optics with target medium using external adjusting mem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06443C2 (de) 2003-08-14
CN1117287C (zh) 2003-08-06
CN1226686A (zh) 1999-08-25
US6243128B1 (en) 2001-06-05
JPH11227249A (ja) 1999-08-24
KR19990072582A (ko) 1999-09-27
DE19906443A1 (de) 199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4100B1 (ko) 장방형으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조정이 용이한 화상형성장치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US7515167B2 (en) Multi-beam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canning device
US2007016509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optical writing device, and housing molding method providing simple structure
US5694637A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uses plural laser beams
JP2001133718A (ja) 走査光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8154774B2 (en) Optical unit,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713625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13855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01941A (ja) 走査光学装置
JP3443353B2 (ja) 原稿読取り装置の調整装置および方法
US7184070B2 (en) Exposure device including housing rotated about projection
JP3697879B2 (ja) 光走査装置
JP2005258244A (ja) 光走査装置、光路調整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160746A (ja) レーザ走査装置
JP3633792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230640A (ja) 光書込ユニット
JP2003057579A (ja) レーザ光源装置とそ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JPH0818477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46329A (ja)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158564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07155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311368A (ja) 光走査装置、及び光走査装置のレジ調整・左右倍率調整方法
JPH081463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72896A (ja) 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274951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