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502B1 - 회전헤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회전헤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502B1
KR100321502B1 KR1019990008992A KR19990008992A KR100321502B1 KR 100321502 B1 KR100321502 B1 KR 100321502B1 KR 1019990008992 A KR1019990008992 A KR 1019990008992A KR 19990008992 A KR19990008992 A KR 19990008992A KR 100321502 B1 KR100321502 B1 KR 100321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drum
fixed
earth brush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7975A (ko
Inventor
소노다가쓰나리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77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simultaneous movement of head and record carrier, e.g. rotation of head
    • G11B5/5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n rotating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조립시의 어스 브러시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조립후의 어스 브러시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회전헤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수납부(9a)에 수납된 어스 브러시(11)의 배면측의 고정부재(9)에, 어스 브러시(11)의 형상보다 작은 관통구멍(9b)을 형성하여, 이 관통구멍(9b)으로 어스 브러시(11)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회전헤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A ROTATING HEAD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장치로서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에 사용되는 회전헤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 은 종래의 회전헤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 는 종래의 회전헤드장치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종래의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사용되는 회전헤드장치는, 도 8,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고정드럼 K와, 이 고정드럼 K의 위쪽에 대향하여 배치된 회전드럼 R과, 이 회전드럼 R의 위쪽에 배치된 모터 M을 갖고 있다. 상기 고정드럼 K는 그의 중심구멍 Ka에 원기둥형상으로 외부의 자기기록재생장치(도시생략)측에 어스된 지지축(31)의 일단측(31a)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회전드럼 R에는 자기헤드(32)가 부착되어 있다.
회전드럼 R의 회전중심에 부착된 볼베어링(34)은, 내륜부(34a), 외륜부(34b) 및 내륜부(34a)와 외륜부(34b)의 사이에 배치된 볼(34c)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2개의 볼베어링(34)이, 회전드럼 R의 중심구멍(35)의 상하에, 외륜부(34b)를 압입시켜 고정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볼베어링(34)은, 내륜부(34a)가 지지축(31)에 압입되어 부착되고, 볼(34c)을 통해 외륜부(34b)와 회전드럼 R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자기헤드(32)에 대해, 기록시에는 비디오신호를 공급하는 동시에, 재생시에는 재생신호를 끄집어내는 회전트랜스(36)는, 고정측 트랜스(36a)와 회전측 트랜스(36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회전트랜스(36)는 볼베어링(34)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드럼 K와 회전드럼 R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측 트랜스(36a)는 고정드럼 K에 부착되고, 또한, 회전측 트랜스(36b)는 회전드럼 R에부착되고, 회전측 트랜스(36b)는 회전드럼 R과 같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 M은 고정부재(39)에 지지된 고정자(37), 회전드럼 R에 부착된 회전자(38)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자(37)는, 지지축(31)의 타단측(31b)에 압입 등으로 부착된 고정부재(39)및 고정부재(39)에 부착된 모터제어회로기판(37c)과, 모터제어회로기판(37c)의 회로패턴(도시생략)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코일(37d)을 설치한 자성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코어(37e)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모터제어회로기판(37c)은, 프린트기판에 모터제어회로가 장착된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코일(37d)에 공급하여, 회전드럼 R의 회전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39)에는 소정 깊이의 자루구멍(袋孔; 39a)이 형성되고, 이 자루구멍(39a)에는, 코일 스프링(40)과, 이 코일 스프링(40)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어스 브러시(41)가 수납되어 있다. 어스 브러시(41)는 볼베어링(34)의 외륜부(34b)에 탄성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어스 브러시(41)는 코일 스프링(40)을 통해 고정부재(39)에 접지되고, 고정부재(39)는 지지축(31)에 어스되고, 상기 지지축(31)은 자기기록 재생장치 (도시생략)측에 접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자(38)는 바닥판부(38a)와 통형상부(38b)에 의해 컵형상으로 형성된 부착판(38c) 및, 통형상부(38b)에 접착 고정된 원통형상의 자석(38e)으로 구성되고, 부착판(38c)의 바닥판부(38a)는 회전드럼 R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37e)는 원통형상의 자석(38e)내에 배치되고, 코어(37e)와 자석(38e)은 전체 둘레에서 동일 클리어런스 S를 갖고 대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회전헤드장치는, 모터 M에 의해서 회전드럼 R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드럼 R의 회전에 의해 자기헤드(32)도 회전하고, 이 자기헤드(32)에 대해, 소정의 누름력 P으로 눌려져 접촉된 상태로 자기테이프 T가 이동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회전드럼 R과 자기테이프 T의 미끄럼 운동 등에 의해 회전드럼 R측에 정전기가 대전된다.
이 정전기가 볼베어링(34)의 외륜부(34b)에도 축적되지만, 외륜부(34b)와 지지축(31)에 접하고 있는 내륜부(34a)는 볼(34c)을 통해 접하고 있고, 볼(34c)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적 도통이 방해되어, 외륜부(34b)에 대전되어 있는 정전기를, 내륜부(34a)로부터 지지축(31)으로 흘려보낼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래서, 볼베어링(34)의 외륜부(34b)에, 어스 브러시(41)를 코일 스프링(40)으로 탄성접속시켜, 회전드럼 R에 대전된 정전기를, 고정부재(39)로부터, 지지축 (31)으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31)은 도시하지 않은 자기기록 재생장치측에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어스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회전헤드장치의 조립은, 지지축(31)과 고정측 트랜스(36a)를 부착한 고정드럼 K을 조립지그(도시생략)에 탑재한다.
다음에, 회전측 트랜스(36b)와, 볼베어링(34)을 부착한 회전드럼 R의 내륜부(34a)를 지지축(31)에 삽입하여, 고정측 트랜스(36a)와 회전측 트랜스(36b)를 대향시켜 부착한다.
다음에, 구멍(39a)에 코일 스프링(40)과 어스 브러시(41)를 수납한 고정부재 (39)를, 지지축(31)의 타단측(31b)으로부터 삽입하고, 고정부재(39)를 볼베어링 (34)에 맞닿게 하여, 고정부재(39)를 지지축(31)에 나사고정 등으로 부착한다.
다음에, 회전드럼 R에 모터 M의 회전자(38)를 부착하는 동시에, 코일(37d)을 형성한 코어(37e)와 전기적으로 도통시킨 모터제어회로기판(37c)을 고정부재(39)에 나사 고정하여 종래의 회전헤드장치가 조립된다.
그리고, 모터제어회로기판(37c)에 통전함으로써, 회전자(38)가 회전하는 동시에, 회전드럼 R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헤드장치에서는, 구멍(39a)에 코일 스프링(40)과 어스 브러시를 수납한 고정부재(39)를, 지지축(31)에 나사고정 등으로 부착하였기 때문에, 구멍(39a)에 수납되어 있는 어스 브러시(41)가 탈락하는 것이 있었다.
이와 같이 어스 브러시(41)가 구멍(39a)에서 탈락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 R에 대전된 정전기를, 지지축(31)측으로 흘려보낼 수 없고, 자기테이프 T에 적정한 기록·재생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대전된 정전기를 확실히 그라운드 패턴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회전헤드장치와, 그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6 은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7 은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8 은 종래의 회전헤드장치의 단면도;
도 9 는 종래의 회전헤드장치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지축 2 : 자기헤드
3 : 나사 4 : 볼베어링
4a : 내륜부 4b : 외륜부
4c : 볼 5 : 중심구멍
6 : 회전트랜스 6a : 회전측 트랜스
6b : 고정측 트랜스 7 : 고정자
7b : 나사 7c : 모터 제어회로 기판
7d : 코일 7e : 코어
8 : 회전자 8a : 바닥판부
8b : 통형상부 8c : 부착판
8d : 나사 8e : 자석
9 : 고정부재 9a : 수납부
9b : 관통구멍 9c : 볼록부
9d : 고정나사 9e : 간극
10 : 코일 스프링 11 : 어스 브러시
K : 고정드럼 R : 회전드럼
M : 모터 P : 누름력
T : 자기테이프 J : 조립지그
J1 : 탑재플랫폼 J2 : 부착부재
J3 : 빠짐방지부재 J4 : 검출핀
S : 검출부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는, 고정드럼과, 이 고정드럼에 고착된 지지축과, 이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자기헤드를 갖는 회전드럼과, 이 회전드럼에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에 고착된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드럼과 대향하는 측에 상기 고정부재에 부착된 어스 브러시를 구비하며, 이 어스 브러시를 상기 회전드럼에 탄성접속시키는 동시에, 상기 어스 브러시의 배면측의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어스 브러시의 형상보다 작은 관통구멍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회전드럼에는, 이 회전드럼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축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갖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베어링부가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깊이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이 수납부내에 상기 어스 브러시와 이 어스 브러시를 탄성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을 연속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지지축 주변의 상기 회전드럼과 대향하는 측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과 상기 고정부재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회전드럼의 일부를 구성하는 외륜부와 상기 지지축에 축고정된 내륜부를 갖는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지고, 이 볼베어링의 내륜부의 측면에 상기 고정부재의 볼록부를 맞닿게 하고, 상기 볼베어링의 외륜부에 상기 어스 브러시를 탄성 접속하여,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외륜부가 회전하면, 이 외륜부의 측면이 상기 어스브러시에 탄성접속 미끄럼 운동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자기헤드를 갖는 회전드럼과, 이 회전드럼에 고착되어 회전드럼의 회전과 함께 회전가능한 지지축과, 이 지지축이 회전가능하게 축 지지된 고정드럼과, 이 고정드럼에 대향상태로 배치 되어 상기 지지축에 고착된 회전가능한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드럼과 대향하는 측에 상기 회전부재에 부착된 어스 브러시를 구비하며, 이 어스 브러시를 상기 고정드럼에 탄성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어스 브러시의 배면측의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어스 브러시의 형상보다 작은 관통구멍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고정드럼에는, 고정드럼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축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갖고,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베어링의 측면이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깊이의 수납부를 형성하여, 이 수납부내에 상기 어스 브러시와 이 어스 브러시를 탄성가압하 는 가압부재를 수납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을 연속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7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지지축 주변의 상기 고정드럼과 대향하는 측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에 의해 상기 고정드럼과 상기 회전부재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8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고정드럼의 일부를 구성하는 외륜부 및 회전가능한 상기 지지축에 축고정된 내륜부를 갖는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베어링의 내륜부의 측면에 상기회전부재의 볼록부를 맞닿게 하고, 상기 볼베어링의 외륜부에 상기 어스 브러시를 탄성 접속시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어스 브러시가 상기 외륜부에 탄성 접속 미끄럼 운동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9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조립방법은, 고정드럼과, 이 고정드럼에 고착된 지지축과, 이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자기헤드를 갖는 회전드럼과, 이 회전드럼에 대향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축에 고착된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의 상기 회전드럼과 대향하는 측에 부착된 어스 브러시를 구비하는 회전헤드장치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이 어스 브러시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어스 브러시의 배면측의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어스 브러시의 형상보다 작은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어스 브러시를, 조립지그로 빠짐방지하면서, 검출핀을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어스 브러시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0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된 상기 검출핀은, 상기 수납부내의 상기 어스 브러시의 유무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되고, 이 검출핀의 이동에 의해, 검출부재를 동작시켜, 상기 어스 브러시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9 기재의 회전헤드장치의 조립방법으로 하는 누름부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요부 확대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7 은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제 1 실시예는, 도 1,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고정드럼 K와, 이 고정드럼 K의 위쪽에 배치된 회전드럼 R과, 이 회전드럼 R의 위쪽에 배치된 모터 M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드럼 K는, 그 중심부의 축구멍 Ka에 원기둥형상으로 세로길이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지지축(1)의 일단측(1a)이 압입 등으로 고착되어 있고, 지지축(1)은 도시하지 않은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에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를 부착할 때에, 일단측(1a), 또는 타단측(1b)이 자기기록 재생장치측에 어스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회전드럼 R에는, 자기헤드(2)가 나사(3)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드럼 R에는, 이 회전드럼 R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외륜부(4b)와, 지지축(1)에 축고정된 내륜부(4a)로 이루어지는 볼베어링(4)을 갖고, 이 볼베어링(4)은 내륜부(4a)와 외륜부(4b)와의 사이에 배치된 볼(4c)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2개의 볼베어링(4)이, 회전드럼 R 의 중심구멍 (5)의 상하에, 외륜부(4b)가 압입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들 2개의볼베어링(4)은, 내륜부(4a)가 지지축(1)에 삽입되어 축지지되고, 볼(4c)을 통해서 외륜부(4b)와 회전드럼 R이 회전하게 되어 있다. 상기 외륜부(4b)는 경질의 강재(鋼材)로 이루어지고, 그 측면은 경면(鏡面) 마무리되어 있다.
또한, 자기헤드(2)에 대하여, 기록시에는 비디오신호를 공급하는 동시에, 재생시에는 재생신호를 끄집어내는 회전트랜스(6)는, 고정측 트랜스(6a)와 회전측 트랜스(6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회전트랜스(6)는 볼베어링(4)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드럼 K와 회전드럼 R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측 트랜스(6a)는 고정드럼 K에 부착되고, 또한, 회전측 트랜스(6b)는 회전드럼 R에 부착되고, 회전측 트랜스(6b)는 회전드럼 R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드럼 R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모터 M은, 고정자(7)와 회전드럼 R에 부착된 회전자(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7)는, 지지축(1)에 고정나사(9d) 등으로 고착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9)와, 이 고정부재(9)의 외주부에 고착된 코일(7d)을 설치한 자성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코어(7e)와, 고정부재(9)에 나사(7b)로 부착된 모터제어회로기판(7c)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제어회로기판(7c)은, 프린트기판에 모터제어회로가 장착된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기록재생장치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코일(7d)에 공급하여, 회전자(8)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회전드럼 R의 회전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회전자(8)는, 바닥판부(8a)와 통형상부(8b)에 의해 컵형상으로 형성된 설치판(8c)과, 이 바닥판부(8a)를 회전드럼 R에 부착시키는 나사(8d)와, 통형상부(8b)에 접착 고정된 원통형상의 자석(8e)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상기 코어(7e)는 원통형상의 자석(8e)내에 배치 형성되고, 코어(7e)와 자석(8e)은 자기(磁氣)갭을 형성하도록 대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재(9)에는 회전드럼 R과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수납부(9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9a)는, 볼베어링(4)의 외륜부(4b)와 대향하는 위치에, 예컨대 자루구멍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수납부(9a)에는, 도전성이 좋은 가압부재인 코일 스프링(10)과, 미끄럼 운동성이 좋은 황동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주형상의 어스 브러시(11)가 수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수납부(9a)에 수납된 어스 브러시(11)는, 그 배면이 가압부재인 코일 스프링(10)에 의해 볼베어링(4)의 외륜부(4b)측으로 눌려져서, 어스 브러시(11)의 첨단이 회전드럼 R의 일부인 외륜부(4b)의 측면에 탄성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부(9a)에 수납된 어스 브러시(11)의 배면측의 고정부재(9)에는, 어스 브러시(11)의 형상보다 작은 관통구멍(9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관통구멍(9b)은 적어도 수납부(9a)에 연통하는 구멍부분의 크기가, 코일 스프링(10)과 어스 브러시(11)의 외형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즉, 수납부(9a)에 수납되어 있는 전술의 부재의 내부유지를 방해하지 않은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 2 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관통구멍(9b)을 수납부(9a)의 바닥부의 세로방향으로 형성하여, 지지축(1)에의 고정부재(9)의 부착방향과 일치시키고 있지만, 어스 브러시(11)의 측면측에, 고정부재(9)의 외주측면으로 통하는 가로방향으로 관통구멍(도시생략)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 지지축(1)에 고착된 고정부재(9)에는, 지지축(1)의 주변의 회전드럼 R과 대향하는 측에 볼록부(9c)가 형성되고, 이 볼록부(9c)에 의해 회전드럼 R의 일부인 볼베어링(4)의 외륜부(4b)와 고정부재(9)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9e)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는, 모터 M에 의해 회전드럼 R이 회전하고, 이 회전드럼 R의 회전에 의해 자기헤드(2)도 회전한다. 이 자기헤드(2)에 대하여, 소정의 누름력 P로 눌려져 접촉된 상태로 자기테이프 T가 이동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회전드럼 R과 자기테이프 T와의 미끄럼 운동 등에 의해 회전드럼 R 측에 정전기가 발생하고, 이 정전기는 볼베어링(4)의 외륜부(4b)에도 대전된다.
이 외륜부(4b)에 대전되어 있는 정전기를 지지축(1)으로 흘려 보내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어스경로는, 볼베어링(4)의 외륜부(4b)에 탄성 접속된 어스 브러시(11)로부터, 코일 스프링(10)을 경유하여 고정부재(9)로 흐르고, 고정부재(9)로부터 지지축(1)에 어스되어, 정전기가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전술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조립방법을 도 5∼도 7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에 지지축(1)의 일단측(1a)이 압입 등으로 축구멍 Ka에 고착되어, 내면에 고정측 트랜스(6a)가 부착된 고정드럼 K을, 조립지그 J의 탑재 플랫폼 J1에 탑재한다.
다음에, 회전측 트랜스(6b)와, 볼베어링(4)이 부착된 회전드럼 R을, 고정드럼 K에 부착된 지지축(1)의 타단측(1b)으로부터 삽입하여, 회전드럼 R을 고정드럼 K 상에 대향시켜 탑재한다.
다음에,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부(9a)에 코일 스프링(9b)과, 다음에 어스 브러시(11)를 수납하고, 이 고정부재(9)를 조립지그 J의 설치부재 J2에 압착하고, 판용수철 등으로 이루어지는 빠짐방지부재 J3로, 상기 수납부(9a)에 수납되어 있는 어스 브러시(11)을 빠짐방지하는 동시에, 어스 브러시(11)의 유무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검출핀 J4를 관통구멍(9b)에 삽입한다.
이 검출핀 J4는, 수납부(9a)내의 어스 브러시(11)의 유무에 의해 이동가능으로 되고, 이 검출핀 J4의 이동에 의해, 검출핀 J4의 위쪽에 부착되어 있는 누름보턴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검출부재 S를 동작시켜, 어스 브러시(11)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부(9a)에 수납되어 있는 어스 브러시(11)를 검출부재 S가 검출한 상태로, 고정부재(9)를 지지축(1)의 타단측(1b)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렇게 하면, 고정부재(9)의 볼록부(9c)가 볼베어링(4)의 내륜부(4a)의 측면에 맞닿고, 고정부재(9)와 외륜부(4b)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9e)에 빠짐방지부재 J3가 위치한다.
다음에, 고정나사(9d)로 고정부재(9)를 지지축(1)에 고착한다. 이 상태에서 조립지그 J의 설치부재 J2를, 고정부재(9)로부터 제거하면, 코일 스프링(10)에 탄성 가압된 어스 브러시(11)가, 회전드럼 R의 일부인 외륜부(4b)의 측면에 탄성 접속한다.
다음에, 회전드럼 R에 모터 M의 회전자(8)를 나사(8d)로 부착하는 동시에,도 1 에 나타낸 코일(7d)를 설치한 코어(7e)를 고정부재(9)에 부착한다. 그리고, 고정부재(9)에 모터제어회로기판(7c)을 나사(7b)로 부착하는 동시에, 코일(7d)과 모터제어회로기판(7c)의 회로패턴(도시생략)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가 조립된다.
그리고, 모터제어회로기판(7c)에 통전함으로써, 회전자(8)가 회전하는 동시에, 회전드럼 R가 회전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방측에 자기헤드(2)가 부착된 회전드럼(51)이 배치 형성되고, 이 회전드럼(51)의 회전과 함께 회전가능한 지지축(1)이 회전드럼(51)에 압입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드럼(51)과 대향하는 하방측에는, 볼베어링(4)이 부착된 고정드럼 (5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드럼(52)의 하방에 배치된 모터 M은, 고정드럼(52)에 부착된 고정자(57)와, 회전부재에 지지된 회전자(5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57)는, 바닥판부(57a)와 통형상부(57b) 에 의해 컵형상으로 형성된 부착판(57c)과, 이 바닥판부(57a)를 고정드럼(52)에 부착하는 나사(57d)와, 통형상부(57b)에 접착 고정된 원통형상의 자석(57e)과, 통형상부(57b)의 하방단부에 접착제(도시생략) 등으로 부착된 모터제어회로기판(57f)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자(58)는, 고정드럼(52)에 대향상태로 지지축(1)에 고정나사(59d) 등으로 나사 고정하여 고착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재(59)와, 이 회전부재(59)의 외주부에 고착된 코일(58d)을 설치한 자성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코어(58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어(58e)는 원통형상의 자석(57e)내에 배치되고, 코어(58e)와 자석(57e)은 자기갭을 형성하도록 대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제어회로기판(57f)은, 프린트기판에 모터제어회로가 장착된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기록재생장치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미끄럼 운동 브러시 (도시생략)등으로 코일(58d)에 공급하여, 회전자(58)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지지축 (1)을 회전시켜, 지지축(1)에 고착되어 있는 회전드럼(51)의 회전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59)에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고정부재(9)의 수납부(9a), 관통구멍(9b), 볼록부(9c)와 동일한, 수납부(59a), 관통구멍(59b), 볼록부(59c)가 형성되고, 수납부(59a)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코일 스프링(10)과 어스 브러시(11)가 수납되고, 이 어스 브러시(11)는 볼베어링(4)의 외륜부(4b)에 탄성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 M의 회전자(58)의 회전에 따라, 회전부재(59)가 회전하면, 어스 브러시(11)가 볼베어링(4)의 외륜부(4b)의 측면에 탄성 접속 미끄럼 운동하게 되어 있다.
한편,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서, 동일부품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의 회전헤드장치의 조립은, 도 4 에 나타낸 상태의 회전헤드장치를 거꾸로 하여, 회전드럼(51)을 하방측으로 고정드럼(52)을 상방측으로 하여,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조립방법과 동일하게 조립한다.
단지, 상기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은, 모터 M의 모터제어회로기판(57f)의 부착을, 컵형상의 통형상부(57b)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모터 M의 고정자(57)를 컵형상의 부착판(57c)으로 구성하고, 회전자(58)를 회전부재(59)에 부착된 코어(58e)로 구성하여, 이 회전자(58)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부재(59)가 회전하여 지지축(1)이 회전하는 동시에, 회전드럼(51)이 회전하게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어스 브러시(11)를 원주형상의 도전성 부재로 설명하였지만,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스 브러시(21)를 판용수철 형상의 도전성부재로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상기 판용수철 형상의 어스 브러시(21)는, 도 4 에 나타낸 고정부재(19)에 형성된 얕은 수납부(19a)에 수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9a)에 부착된 어스 브러시(21)의 배면측의 고정부재(19)에, 어스 브러시(21)의 형상보다 작은 관통구멍(19b)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는, 어스 브러시를 회전드럼에 탄성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어스 브러시의 배면측의 고정부재에 상기 어스 브러시의 형상보다 작은 관통구멍을 형성한 것으로, 이 관통구멍으로 조립지그의 검출핀을 삽입함으로써, 조립시, 또는 조립후에 어스 브러시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어, 어스 브러시의 탈락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드럼에는, 이 회전드럼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축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갖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베어링부의 측면이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 깊이의 수납부를 형성하여, 이 수납부내에 상기 어스 브러시와 이 어스 브러시를 탄성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을 연속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수납부에 가압부재인 코일 스프링과 어스 브러시를 수납하는 것만으로, 어스 브러시와 고정부재와의 전기적 도통을 취할 수 있고, 특별한 부착용 부재 등이 필요없고, 적은 부품수로 확실한 도통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에 조립지그의 검출핀을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어스 브러시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어, 어스 브러시의 탈락불량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지지축 주변의 상기 회전드럼과 대향하는 측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과 상기 고정부재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어스 브러시를 수납한 고정부재를, 어스 브러시의 빠짐방지부재를 조립한 채로, 지지축에 부착해도, 상기 빠짐방지부재가 상기 간극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립종료까지 빠짐방지부재를 제거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어스 브러시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회전드럼의 일부를 구성하는 외륜부와 상기 지지축에 축고정된 내륜부를 갖는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지고, 이 볼베어링의 내륜부의 측면에 상기 고정부재의 볼록부를 맞닿게 하여, 상기 볼베어링의 외륜부에 상기 어스 브러시를 탄성 접속하고,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외륜부가 회전하면, 이 외륜부의 측면이 상기 어스 브러시에 탄성 접속 미끄럼 운동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볼록부에서 볼베어링으로 부착외 지지축의 축방향의 요동을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외륜부의 측면은 평활한 면으로 마무리되고, 또한 경도가 높기 때문에, 외륜부의 측면이 어스 브러시에 탄성 접속 미끄럼 운동함으로써, 외륜부에 대전되어 있는 정전기를 확실히 지지축측으로 흘려 보낼 수 있다.
또한, 회전가능한 회전부재에 부착된 어스 브러시를 고정드럼에 탄성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어스 브러시의 배면측의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어스 브러시의 형상보다 작은 관통구멍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이 관통구멍에 조립지그의 검출핀을 삽입함으로써, 조립시, 또는 조립후에 어스 브러시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어, 어스 브러시의 탈락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드럼에는, 이 고정드럼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축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갖고,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베어링의 측면이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 깊이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이 수납부내에 상기 어스 브러시와 이 어스 브러시를 탄성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수납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을 연속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수납부에 코일 스프링과 어스 브러시를 수납하는 것만으로, 어스 브러시와 고정부재와의 전기적 도통을 취할 수 있고, 특별한 부착부재 등이 필요없고, 적은 부품수로 확실한 도통이 취해진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에 조립지그의 검출핀을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어스 브러시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어, 어스 브러시의 탈락불량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축 주변의 상기 고정드럼과 대향하는 측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에 의해 상기 고정드럼과 상기 회전부재와의 사이에소정의 간극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어스 브러시를 수납한 고정부재를, 어스 브러시의 빠짐방지부재를 조립한 채로, 지지축에 부착해도, 상기 빠짐방지부재가 상기 간극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립종료까지 빠짐방지부재를 제거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어스 브러시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는, 고정드럼의 일부를 구성하는 외륜부와 회전가능한 상기 지지축에 축고정된 내륜부를 갖는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베어링의 내륜부의 측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볼록부를 맞닿게 하고, 상기 볼베어링의 외륜부에 상기 어스 브러시를 탄성 접속시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어스 브러시가 상기 외륜부에 탄성 접속 미끄럼 운동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어스 브러시가 외륜부의 측면에 탄성 접속 미끄럼 운동함으로써, 확실히 외륜부에 대전되어 있는 정전기를 지지축측으로 흘려 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헤드장치의 조립방법은, 수납부에 수납된 어스 브러시를, 조립지그로 빠짐방지하는 동시에, 검출핀을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어스 브러시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수납부로부터의 어스 브러시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어, 어스 브러시가 탈락하는 것이 없는 회전헤드장치의 조립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에 삽입된 상기 검출핀은, 상기 수납부내의 상기 어스 브러시의 유무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되고, 이 검출핀의 이동에 의해, 검출부재를 동작시켜, 상기 어스 브러시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검출부재를 동작시킴으로써, 더욱 확실히 어스 브러시의 탈락을 검출할 수 있다.

Claims (10)

  1. 고정드럼;
    상기 고정드럼에 고착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자기헤드를 갖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에 대향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축에 고착된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드럼과 대향하는 측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부착된 어스 브러시를 구비하며,
    상기 어스 브러시를 상기 회전드럼에 탄성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어스 브러시의 배면측의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어스 브러시의 형상보다 작은 관통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에는 상기 회전드럼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축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갖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베어링부가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 깊이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내에, 상기 어스 브러시 및 상기 어스 브러시를 탄성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을 연속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지지축 주변의 상기 회전드럼과 대향하는 측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과 상기 고정부재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회전드럼의 일부를 구성하는 외륜부 및 상기 지지축에 축고정된 내륜부를 갖는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베어링의 내륜부의 측면에 상기 고정부재의 볼록부를 맞닿게 하고, 상기 볼베어링의 외륜부에 상기 어스 브러시를 탄성 접속하여,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외륜부가 회전하면, 상기 외륜부의 측면이 상기 어스 브러시에 탄성 접속 미끄럼 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
  5. 자기헤드를 갖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에 고착되어 회전드럼의 회전과 함께 회전가능한 지지축;
    상기 지지축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고정드럼;
    상기 고정드럼에 대향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축에 고착된 회전가능한 회전부재; 및
    상기 고정드럼과 대향하는 측에서 상기 회전부재에 부착된 어스 브러시를 구비하며,
    상기 어스 브러시를 상기 고정드럼에 탄성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어스 브러시의 배면측의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어스 브러시의 형상보다 작은 관통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드럼에는 상기 고정드럼의 일부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축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갖고,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베어링부가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깊이의 수납부를 형성하여, 상기 수납부내에 상기 어스 브러시 및 상기 어스 브러시를 탄성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수납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을 연속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지지축 주변의 상기 고정드럼과 대향하는 측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에 의해 상기 고정드럼과 상기 회전부재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고정드럼의 일부를 구성하는 외륜부 및 회전가능한 상기 지지축에 축고정된 내륜부를 갖는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베어링의 내륜부의 측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볼록부를 맞닿고, 상기 볼베어링의 외륜부에 상기 어스 브러시를 탄성 접속시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어스 브러시가 상기 외륜부에 탄성접속 미끄럼 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
  9. 고정드럼;
    상기 고정드럼에 고착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자기헤드를 갖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에 대향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축에 고착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회전드럼과 대향하는 측에 부착된 어스 브러시를 구비하는 회전헤드장치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스 브러시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어스 브러시의 배면측의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어스 브러시의 형상보다 작은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어스 브러시를, 조립지그로 빠짐방지함과 동시에, 검출핀을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어스 브러시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회전헤드장치의 조립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된 상기 검출핀은, 상기 수납부내의상기 어스 브러시의 유무에 의해 이동가능해지고, 이 검출핀의 이동에 의해, 검출부재를 동작시켜, 상기 어스 브러시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의 조립방법.
KR1019990008992A 1998-03-19 1999-03-17 회전헤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KR100321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70249 1998-03-19
JP07024998A JP3569437B2 (ja) 1998-03-19 1998-03-19 回転ヘッド装置の組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975A KR19990077975A (ko) 1999-10-25
KR100321502B1 true KR100321502B1 (ko) 2002-01-23

Family

ID=1342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992A KR100321502B1 (ko) 1998-03-19 1999-03-17 회전헤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69437B2 (ko)
KR (1) KR100321502B1 (ko)
CN (1) CN112047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167B1 (ko) * 1999-07-22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드럼장치의 접지구조
KR20050051858A (ko) * 2003-11-28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20060000015A (ko) * 2004-06-28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헤드드럼 조립체 조립방법
KR20060000017A (ko) * 2004-06-28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드럼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자기 기록/재생장치 및헤드드럼 조립체의 조립방법
KR101330815B1 (ko) * 2011-04-08 2013-11-15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접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1482A (ja) * 1991-10-04 1993-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ヘツドド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1482A (ja) * 1991-10-04 1993-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ヘツドド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474C (zh) 2003-09-03
JPH11273039A (ja) 1999-10-08
JP3569437B2 (ja) 2004-09-22
CN1229982A (zh) 1999-09-29
KR19990077975A (ko) 199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9833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このスピンドルモータを備えた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US6828705B1 (en) Vibration motor
US6121701A (en) Snap o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EP0128222B1 (en) Rotary head cylinder with fluid bearing
US20040042695A1 (en) Bearing unit, and motor using same
US20060227455A1 (en) Spindle motor with flexible circuit board and disk drive including the same
KR100321502B1 (ko) 회전헤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JP2921967B2 (ja) 電気的に絶縁されたディスクスタックを備えるディスクドライブ
US5982061A (en) Spindle motor with two-piece shaft and connector
US4841408A (en) Electroconductive sliding apparatus
US6702465B2 (en) Exclusion seal for fluid dynamic bearing motors
US63788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ferrofluidic seal
JPH11219549A (ja) 回転ヘッド装置
US5471732A (en) Method for detaching and attaching a rotary cylinder
JP2658504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3569435B2 (ja) 回転ヘッド装置
US6487054B1 (en) Ground device of head drum apparatus
JPH11167765A (ja) 磁気ディスク駆動装置
JPH07253165A (ja) 導電性磁性流体シール装置
KR200219055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헤드드럼 접지장치
JP2725301B2 (ja) 回転ドラムのアース装置
JPH1064002A (ja) 回転磁気ヘッド装置
JPH06208702A (ja) 回転ドラム装置
JPH0863825A (ja) 回転磁気ヘッド装置
JPH1125980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