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173B1 - 부품공급장치및이를이용한부품공급방법 - Google Patents

부품공급장치및이를이용한부품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173B1
KR100312173B1 KR1019980709123A KR19980709123A KR100312173B1 KR 100312173 B1 KR100312173 B1 KR 100312173B1 KR 1019980709123 A KR1019980709123 A KR 1019980709123A KR 19980709123 A KR19980709123 A KR 19980709123A KR 100312173 B1 KR100312173 B1 KR 100312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arts
component
cassette
supply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974A (ko
Inventor
유조 니시모리
마키토 세노
마사토 다니노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0001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78Chip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83Multilead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복수의 공급카세트(1)가 탑재되며, 이들의 병설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이동하는 제1공급테이블(9, 9a)과 이 제1공급테이블의 후방에 위치하여 병설방향이 좌우방향이 되도록, 복수의 부품공급카세트(1)가 탑재되어 있는 제2공급테이블(10, 10a)과, 제1공급테이블의 옆쪽에 위치하여 좌우방향으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제2공급테이블 위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수취하여, 이것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부품이재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부품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품공급방법{PART SUPPLYING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PARTS USING THE SAME DEVICE}
종래, 이러한 종류의 부품공급장치는 특공평 3-221326호 공보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이 일반적이다.
도 4에 종래의 부품공급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며, 복수의 부품공급카세트(1)가 설정할 수 있는 제1공급테이블(2)과 제2공급테이블(3)이 레일(4)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각각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부품공급카세트(1)의 병설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 지지되어 있다. 5는 부품공급카세트(1)의 부품을 흡착 이동하여 XY테이블(6)에 의하여 위치결정된 기판(7) 위에 장착하는 장착헤드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공급테이블(2, 3)에 동일한 전자부품의 부품공급카세트(1)의 일조를 각기 설정하여 두면, 한쪽에서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또 한편의 공급테이블과 교체하여 사용하고, 그 동안에 부품품절이 발생한 부품공급카세트(1)에 부품보충을 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과 같이 제1공급테이블(2)에서 장착헤드(5)에 부품을 공급하고 있을 때, 제1공급테이블(2)에 부품품절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1공급테이블(2), 제2공급테이블(3)을 도면의 왼쪽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공급테이블(3)에서 장착헤드(5)로 부품을 공급함과 동시에, 제1공급테이블(2)에 부품보충을 한다.
또, 사용부품의 품종이 많을 경우에는, 공급테이블(2, 3)에 각기 다른 전자부품의 공급카세트(1)를 설정하여 두어, 순차적으로 공급테이블(2, 3)을 교체하면서 장착헤드(5)에 부품공급을 하도록 하고 있다.
요즘, 공장을 확장하지 않고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추구중이며, 전자부품실장기에 있어서도, 면적생산성 향상, 가동률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서는 공급테이블(2, 3)이 기판반송방향(x)과 같은 방향의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부품공급스페이스(F)와 그 양측에 대기스페이스(G, H)를 필요로 한다. 이것이 라인길이를 짧게 하는 것, 즉 면적생산성을 높이는 것에 장해로 되고 있다.
또, 부품공급중의 한편의 공급테이블에 부품품절이 발생한 경우에는 양 공급테이블을 이동시켜서 다른편의 공급테이블을 부품공급위치에 위치결정해야 하므로, 부품공급 효율이 저하한다.
본 발명은 소형으로 생산성이 높은 부품공급장치 및 부품공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흡착하여 회로기판에 장착하는 부품실장기 등의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 및 이 부품공급장치를 이용한 부품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 그 밖의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한 다음의 기술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부품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부품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품공급방법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종래의 부품공급장치 전체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의 부품이재장치의 구체예를 나타낸 측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부품공급카세트가 탑재되어 이들의 병설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이동하는 제1공급테이블과,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후방에 위치하여 병설방향이 좌우방향이 되도록 복수의 부품공급카세트가 탑재되어 있는 제2공급테이블과,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옆쪽에 위치하여 좌우방향에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터 부품을 수취하여 이것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부품이재(移載)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의 전단부 또는 상기 부품이재장치의 전단부가 부품공급지점에 위치결정되었을 때, 이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이 그 전방에 위치하는 작업기에 공급되도록 한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공급테이블과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공통의 레일에 안내, 지지되어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실시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공급테이블이 좌우방향으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 또는 제2실시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공급테이블이 고정된 제1 또는 제2실시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공급테이블과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제1, 제3 또는 제4실시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에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복수의 부품을 받아서, 이들을 보류한 다음, 상기 작업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제2, 제3, 제4 또는 제5실시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의하면,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는 한편,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통하여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한 제1∼제6실시형태중의 어느 하나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지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부품이재장치와 상기 제2공급테이블이 상대적으로 이동해서, 항상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이 격납된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수취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제어하는 제7실시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에 의하면,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시켜서 좌우 대칭관계로 병설되도록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에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지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수취할 수 있는 위치에 부품이재장치가 항상 위치하도록 위치결정하여,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했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통해서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추가로 구비한 제4실시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형태에 의하면,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했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넘겨주어 상기 부품이재장치 위에 보류시켜, 제1공급테이블 위의 기타 부품공급카세트의 부품을 작업기에 공급하는 것에 선행시켜, 상기 제1공급테이블로부터의 부품공급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보류되어 있는 부품을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한 제6실시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1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또는 제2실시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했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통해서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는 부품공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2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1실시형태의 부품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지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부품이재장치 및 상기 제2공급테이블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항상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이 격납된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에 각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수취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제어하는 부품공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3실시형태에 의하면, 제4실시형태에 기재되고, 또한 상기 제1공급테이블과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시켜서 좌우대칭관계로 병설되도록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지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하는 제2공급테이블 위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수취할 수 있는 위치에 항상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결정하며,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했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통해서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는 부품공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4실시형태에 의하면, 제6실시형태에 기재된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했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넘겨주어 상기 부품이재장치 위에 보류시켜서,
제1공급테이블 위의 기타 부품공급카세트의 부품을 작업기에 공급하는 것에 선행시켜, 상기 제1공급테이블로부터의 부품공급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보류되어 있는 부품을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는 부품공급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의 부품공급장치 및 부품공급방법에 의하면, 작업기의 후방에 2열로 제1공급테이블과 제2공급테이블을 배치할 수 있고, 부품공급장치의 좌우방향의 폭을 좁게 할 수 있어서 면적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 제2공급테이블로부터의 작업기에의 부품공급은 부품이재장치를 통하여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제2공급테이블을 부품품절시의 보급부품을 탑재한 것으로서 사용할 때, 그 경우의 제1공급테이블, 부품이재장치 등의 이동량을 종래예의 각 공급테이블의 이동량에 비교하여 작은 것으로 할 수 있어, 부품품절시의 부품공급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의 부품공급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제1공급테이블 위에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공급지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 항상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하는 제2공급테이블 위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제어하면, 부품품절시에 있어서의 제2공급테이블 위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공급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의 부품공급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제2공급테이블이 고정되며, 또한 제1공급테이블과 부품이재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제2공급테이블 위에 제1공급테이블 위의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대응하는 부품공급카세트가 좌우대칭관계로 병설되도록 탑재하여, 제1공급테이블 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공급지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 항상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하는 제2공급테이블 위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결정하여, 제1공급테이블 위의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제2공급테이블 위의 대응하는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부품이재장치를 통하여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공급테이블은 고정되며, 부품이재장치는 제1공급테이블에 부설할 수 있으므로,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공급테이블의 좌우움직임을 제어하는 것만으로 부품품절시의 제2공급테이블 위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공급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의 부품공급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부품이재장치가 제2공급테이블 위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복수의 부품을 수취하여, 이것을 보류한 다음, 작업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제2공급테이블 위에 제1공급테이블 위의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여, 제1공급테이블 위의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제2공급테이블 위의 대응하는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부품이재장치로 넘겨주어 부품이재장치 위에 보류시켜, 제1공급테이블 위의 기타 부품공급카세트의 부품을 작업기에 공급하는 것에 선행시켜, 제1공급테이블로부터의 부품공급이 종료한 시점에서, 부품이재장치 위에 보류되어 있는 부품을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공급테이블 위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공급을, 부품품절의 것을 제거하여 선행시켜서 원활하게 한 다음, 부품품절에 대응하는 보급부품이 미리 보류되어 있는 부품이재장치로부터 계속 원활하게 공급되므로, 부품공급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계속하기 전에, 첨부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품에 대하여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부품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9, 10은 부품공급카세트(1)를 다수 병설하여 설정한 제1, 제2부품공급테이블이며, 서로 동일한 전자부품의 짝이 여러 종류 설정되어 있다.
제1, 제2부품공급테이블(9, 10)은 기부(基部; 20) 위에 서로 평행으로 배설된 제1, 제2레일(11, 12)에 의하여 각기 안내, 지지되어 있고, 각각에 설치한 구동장치에 의하여 부품공급카세트(1)의 병설방향, 즉 도 1의 좌우방향으로 각 레일(11, 12) 위를 왕복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공급테이블(10)은 제1테이블(9)의 후방에 위치하여, 서로 접촉하지 않고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서, 근접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8은 앞쪽에 위치하는 제1레일(11) 위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 지지된 부품이재(移載)장치이며, 제2공급테이블(10) 위의 부품공급카세트(1)로부터 필요한 임의의 부품을 흡착하여, 제1레일(11)의 앞쪽에 위치하는 작업기(예컨대 부품장착기)(13)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부품이재장치(8)는 예컨대 컨베이어(8a), 1쌍의 흡착노즐(8p, 8q)을 구비한 회전흡착헤드(8b) 및 이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1레일(11) 위를 왕복이동할 수 있는 안내블록(8c)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품이재장치(8)는 제2공급테이블(10)로부터의 부품흡착 및 작업기(13)에의 부품공급을 제1공급테이블(9)에 있어서 부품품절이 발생할 때마다, 부품을 1개씩 흡착하여 공급하여도 좋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품품절 이외의 부품을 제1공급테이블(9)이 공급종료한 다음, 부품품절이 발생한 부품을 종합하여, 부품장착기(13)에 흡착하여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5는 부품이재장치(8)의 보다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부품이재장치(8s)도 동일한 기구를 갖는다. 이 도 5의 부품이재장치(8)가 도 1의 부품이재장치(8)와 다른 점은 한 쌍의 흡착노즐(8p, 8q)을 구비한 회전흡착헤드(8b) 대신에, 하나의 흡착노즐을 구비하여 x방향과 직교하는 y방향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흡착노즐(215)을 구비한 것이다. 한 쌍의 흡착노즐이 회전하는 동작도 하나의 흡착노즐(215)이 왕복운동하는 점을 제외하면, 양자는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도 5에 기초하여 부품이재장치(8)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부품이재장치(8)는 기부(20) 위에서 부품공급카세트(1)의 배열방향인 x방향을 따라서 부설된 제1레일(11)에 맞물린 테이블(207) 위에 설치되어, 부품이재장치(8)에 구비한 이동장치(208)에서 테이블(207)이 구동됨으로써 제1레일(11) 위를 활주한다.
이와 같은 부품이재장치(8)는 이재장치(211)와, 부품반송장치(221)를 구비한다.
이재장치(211)는 이송레버구동장치(213)와, 노즐유닛(214)을 구비하고 있다. 이송레버구동장치(213)는 부품공급카세트(1)의 부품공급부분에 설치되는 이송레버(251)를 아래로 가압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어실린더(212)를 구동원으로 하고 있다. 상기 이송레버(251)는 래치트(ratchet)기구를 구비하며, 이송레버구동장치(213)에서 이송레버(251)가 아래로 가압되어, 부품공급카세트(1)는 감고 있는 부품 가(假)고정 테이프를 송출함으로써 이 테이프에 부착하는 부품(252)을 하나씩 부품선택위치(253)에 공급한다. 노즐유닛(214)은 수직방향인 z방향에 상당하는 도시한 I방향 및 이 I방향과 부품공급카세트(1)의 배열방향인 x방향에 직교하는 y방향에 상당하는 II방향으로, 흡착노즐(215)을 캠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부품(252)에 적합한 흡착노즐(215)을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흡착노즐(215)은 부품선택위치(253)에서 상기 I방향으로 하강하여 부품(252)을 흡착한 다음 상승하여, 흡착한 부품을 지지한다. 그리고, 노즐유닛(214)이 상기 II방향으로 이동하여 이 부품이재장치(8)에 있어서 컨베이어(8a) 위의 반송개시위치(223)에 상기 보관부품(252)을 올려놓는다.
부품반송장치(221)는 상기 컨베이어(8a)와, 이 컨베이어(8a)가 감겨 있는 공급측 리일(reel)(225) 및 컨베이어(8a)를 권취(卷取)하는 권취리일(224)과, 컨베이어(8a)를 이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 모터(226)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베이어(8a)는 부품(252)이 올려지는 면이 점착성을 구비한 점착테이프이며, 상기 II방향을 따라서 배설된 2개의 풀리(227a, 227b)사이에서 상기 II방향을 따라서 인장, 설치된다. 컨베이어(8a)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에 있어서 측연부에는 이송구멍이 상기 연장방향에 일정간격으로 열려져 있어, 이 이송구멍과 풀리(227a, 227b)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맞물리어, 타이밍벨트를 통하여 모터(226)에서 풀리(227b)가 구동됨으로써 컨베이어(8a)는 상기 II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부품반송장치(221)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공급측 리일(225)로부터 송출된 컨베이어(8a)는 풀리(227a)에 맞물린 다음, 반송개시위치(223)로 이동한다. 반송개시위치(223)에서는 흡착노즐(215)에서 부품(252)이 컨베이어(8a) 위에 놓여진다. 컨베이어(8a)는 부품(252)이 놓여질 때마다 다음의 부품(252)이 놓여질 수 있도록 모터(226)로 일정량만큼 상기 II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품(252)이 컨베이어(8a) 위에 놓여진다. 놓여진 부품(252)은 모터(226)에 의한 컨베이어(8a)의 이송에 의하여 반송종료위치(228)까지 반송된다. 부품반송장치(221)에 있어서 반송종료위치(228)와 부품공급지점(P)을 일치시키도록 부품(252)의 반송종료위치(228)까지의 반송과 함께 또는 반송후에, 테이블(207)에 구비한 이동장치(208)에서 부품이재장치(8) 전체가 제1레일(11)에 안내되어 x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 이동에 의해 상기 반송종료위치(228)와 상기 부품공급지점(P)이 일치한 상태에서, 장착헤드(306)의 노즐(309)은 부품반송장치(221)에서 반송종료위치(228)로 반송된 부품(255)을 유지한다.
또, 컨베이어(8a) 위에 복수의 부품(252)이 놓여져 있을 때는 부품반송장치(221)는 권취측 리일(224)에 컨베이어(8a)를 권취하면서 컨베이어(8a)를 이동함으로써, 컨베이어(8a) 위에 놓여진 복수의 부품(252)을 순차적으로 반송종료위치(228)로 반송한다. 따라서, 상기 장착헤드(5)에 의하여 순차 부품(252)을 흡착, 유지하여 나간다.
또, 공급측 리일(225) 및 권취측 리일(224)을 설치하지 않고, 컨베이어(8a)는 무단(endless)벨트와 같이 구성하여, 몇 번이고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 반송개시위치(223)에서 부품(252)이 최초로 컨베이어(8a)에 놓여지기 전에, 반송개시위치(223)로부터 반송종료위치(228)까지 사이에 연장, 설치되어 있는 컨베이어(8a)가 낭비되지 않도록, 순차적으로 소정량의 컨베이어(8a)를 공급측 리일(225)에 되감아서, 헛됨이 없이 사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한편, 도 1에 있어서, 500은 제어부로서, 제1공급테이블(9)의 왕복동작 및 각 부품공급카세트(1)에서의 전단부까지의 부품이송동작, 제2공급테이블(10)의 왕복동작 및 각 부품공급카세트(1)에서의 전단부까지의 부품이송동작, 부품이송장치(8)의 왕복동작, 회전흡착헤드(8b)의 회전동작, 각 흡착노즐(8p, 8q)의 흡착동작 및 컨베이어(8a)의 부품반송동작, 장착헤드(5)의 회전동작, 장착헤드(5)의 도시치 않은 흡착노즐의 부품흡착동작 및 부품장착동작, XY테이블(6)의 기판이동동작 및 기판반송동작을 제어한다.
기부(20) 및 제1, 제2레일(11, 12)의 좌우방향의 길이(L)는 제1, 제2공급테이블(9, 10)의 1대분의 길이(M)의 약 2배(도 4의 F의 길이에 상당)로 할 수 있으며, 도 4의 종래예에 있어서 G, H와 같은 대기스페이스를 부품공급스페이스(F)의 좌우에 두는 것은 불필요하다.
그리고, 부품장착기(13)는 제1부품공급테이블(9)의 전방에 XY테이블(6)이 배치되어 있으며, XY테이블(6) 위에는 기판(7)이 놓여져 있으며, XY테이블(6)에 의해 기판(7)이 소정의 부품조립위치에 위치결정된 다음, 장착헤드(5)에 의해 소요 부품이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판(7)은 도 1에 화살표(X)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방향으로 반송된다.
도 1에 도시한 부품공급장치는 제1공급테이블(9) 위의 부품공급카세트(1)중 한 부품공급테이블에 부품소비에 의해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제2공급테이블(10) 위에 제1공급테이블(9) 위의 부품공급카세트(1)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1)를 탑재하여, 상기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즉시 제2공급테이블(10)의 대응하는 부품공급카세트(1)로부터의 부품을 부품이재장치(8)를 통하여 부품장착기(13)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품품절의 검출은 예컨대, 장착헤드(5)의 흡착노즐을 사용하여 부품공급지점(P)에 위치한 부품을 흡착할 때, 부품흡착동작시의 흡인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어부(500)에 의해 부품이 흡착노즐에 흡착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부품품절이라고 판단한다거나 또는 흡착노즐에서 부품을 흡착한 뒤에 부품의 위치인식을 하는 경우에는, 그 인식시에 부품이 흡착되어 있지 않는 것을 인식하여 부품품절을 판단하는 것 등으로 실행할 수 있다.
통상시는, 제1공급테이블(9)이 좌우로 이동하여, 도 1에 A1으로 나타낸 소정의 부품공급카세트(1)의 전단부가 부품공급지점(P)에 합치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으면, 상기 부품공급카세트(1)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부품이 장착헤드(5)에 의하여 흡착되며, 이어서 기판(7)의 서로 직교하는 xy방향에 의해 지시되는 소정 위치에 장착된다. 이때, 제2공급테이블(10) 및 부품이재장치(8)는 제1공급테이블(9)로부터의 부품공급에 지장이 되지 않는 위치에 있으며, 좌우로 이동하면서, 제2공급테이블(10)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1)에 대응하는 도 1에 A2로 나타낸 부품공급카세트(1)로부터 바로 부품을 수취할 수 있는 위치에 부품이재장치(8)가 위치할 수 있는 관계를 유지하도록 제어부(500)에 의해 위치제어되어 있다.
따라서, 제1공급테이블(9) 위의 소정의 부품공급카세트(1)에 있어서 부품품절이 발생하면, 제어부(500)의 제어하에, 즉시 부품이재장치(8)는 제2공급테이블(10) 위의 동종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1)로부터 그 부품을 수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회전흡착헤드(8b)의 흡착노즐(8p 또는 8q)에서 흡착된 부품은 컨베이어(8a)로 이재되어, 컨베이어(8a) 위 전방으로 이송된다. 부품이 전방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제1공급테이블(9)은 부품공급지점(P)에 대하여 도 1의 왼쪽으로 퇴피하고, 부품이재장치(8)는 공급지점(P)으로 향하여 이동하여 부품공급지점(P)에서 정지한다. 이 부품공급지점(P)에서, 컨베이어(8a)의 전단부에 도달한 부품은 상기 공급지점(P)으로부터 흡착헤드(5)의 도시치 않은 흡착노즐에 흡착되어, 기판(7)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부품품절시에 있어서도, 보급부품에 의한 신속한 부품장착작업을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부품공급장치 및 방법을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부품공급장치는 제2공급테이블(10a)이 제1실시형태의 부품공급테이블과 다르며, 기부(20)에 고정되며, 또한 제1공급테이블(9a) 위에 부품이재장치(8s)를 탑재하여, 제1공급테이블(9a)과 부품이재장치(8s)를 일체로 결합한 외는, 기본적으로는 제1실시형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a∼i로 부품공급카세트를 대조시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공급테이블(10a) 위에, 제1공급테이블(9a) 위의 부품공급카세트(1)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1)를 대응하는 부품공급카세트(1)가 제1공급테이블(9a)의 부품공급카세트와 좌우대칭관계로 병설되도록 탑재하고 있다. 또, 상기 부품이재장치(8s)는 제1공급테이블(9a) 위의 도 2의 우단에 위치하며, 예컨대 b로 나타낸 제1공급테이블(9a) 위의 부품공급카세트(1)가 공급지점(P)에 위치할 때, 이에 대응하는 b로 나타낸 제2공급테이블(10a) 위의 부품공급카세트(1)로부터 부품을 받을 수 있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다. a 및 c∼i로 나타낸 두 공급테이블(9a, 10a) 위의 부품공급카세트(1, 1) 및 부품이재장치(8s)의 위치관계도 상기와 같게 되어 있다.
또, 제1공급테이블(9a) 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1)에는 부품잔량센서(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카세트마다 부품잔량이 소정치 이하로 되어 있을 때, 부품부족신호 또는 그 예측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소정값의 설정에 있어서, 각 부품의 사용빈도가 대략 같을 경우에는, 각 카세트를 같은 값으로 해도 좋으나, 부품의 사용빈도에 상당한 차가 있을 경우에는, 카세트마다 다른 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제2실시형태에서도, 부품잔량센서(16) 대신으로,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장치헤드(5)의 흡착노즐의 흡인압력의 변화에 의하여 부품품절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부품이재장치(8s)는 부품품절시에, 제2공급테이블(10a) 위의 부품공급카세트(1)로부터 부품을 수취하는 것이나, 복수의 부품을 수취하여, 이것을 컨베이어(8a) 위에 순서좋게 정렬시켜서 보류하여 두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보류부품을 일괄하여 순서 좋게 부품장착기(13)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한 상기 구성의 부품공급장치의 동작을 도 3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공급테이블(9a)을 소정의 부품공급카세트(1)가 공급지점(P)에 합치하도록 이동하여, 위치결정한다(스텝 #1). 이에 수반하여 부품이재장치(8s)의 위치결정도 동시에 자동적으로 된다(스텝 #2). 이 상태에서, 제1공급테이블(9a)에서 부품장착기(작업기의 일례)(13)에 필요한 부품을 공급한다(스텝 #3). 이 부품공급동작중에서, 제1공급테이블(9a)에 있어서는, 각 카세트마다 부품잔량센서(16)에 의하여 항상 부품품절의 유무를 감시하고 있으며(스텝 #4), 어느 한 카세트에 있어서 부품품절 발생이 검출된 경우에는, 부품이재장치(8s)는 부품품절 발생이 검출된 부품과 동일한 부품을 제2공급테이블(10a)의 대응카세트로부터 흡착, 수취하여 이것을 보류하여 둔다(스텝 #5).
이하 마찬가지로 해서, 제1공급테이블(9a)에 의한 부품장착기(13)에의 부품공급, 부품이재장치(8s)에 의한 부품품절 발생의 부품과 동일한 부품의 제2공급테이블(10a)로부터의 수취, 보류를 반복한다. 제1공급테이블(9a) 위의 장착부품에 대하여, 부품품절의 부품을 제외하고, 부품장착기(13)에의 부품공급이 종료하며, 또한 부품이재장치(8s)가 부품품절의 부품과 동일한 부품을 제2공급테이블(10a)로부터 수취가 종료한(스텝 #6) 경우에는 제1공급테이블(9a)을 대기위치로 이동시킴(스텝 #7)과 동시에, 부품이재장치(8s)를 이동시켜서 공급지점(P)에 위치결정한다(스텝 #8).
이어서, 부품이재장치(8s)는 보류하고 있는 부품을 일괄하여 순차적으로 부품장착기(13)에 공급하는(스텝 #9) 한편, 제1공급테이블(9a)에 부품품절 부품을 보충하여 (스텝 #10),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최후에 일괄하여 대상작업기에 공급을 행하는 방법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부품부족시마다 부품이재장치(8s)로부터 부품장착기(13)에 대응부품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기에의 부품공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판의 반송방향의 길이가 짧은 소형의 부품공급장치 및 부품공급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명세서, 청구의 범위, 도면, 요약서를 포함한 1996년 5월 22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8-126666호에 명시된 것의 모두는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일체화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으나, 이 기술의 숙련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속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4)

  1. 복수의 부품공급카세트(1)가 탑재되고, 이 카세트들의 병설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이동하는 제1공급테이블(9, 9a)과,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후방에 위치하여 병설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되도록 복수의 부품공급카세트(1)가 탑재되어 있는 제2공급테이블(10, 10a), 및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옆쪽에 위치하여 좌우방향으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252)을 수취하여 이것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부품이재장치(8, 8a)를 구비하며,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의 전단부 또는 상기 부품이재장치의 전단부가 부품공급지점(P)에 위치결정되었을 때, 이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이 그 앞쪽에 위치하는 작업기(13)에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테이블(9)과 상기 부품이재장치(8)가 공통의 레일(11)에 안내, 지지되어 좌우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테이블(10)이 좌우방향으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된 부품공급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테이블(10a)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테이블(9a)과 상기 부품이재장치(8s)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복수의 부품을 수취하여, 이것을 보류한 후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7.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는 한편,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했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통해서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지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부품이재장치와 상기 제2공급테이블이 상대적으로 이동해서, 항상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이 격납된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수취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시켜서 좌우대칭관계로 병설되도록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지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수취할 수 있는 위치에 부품이재장치가 항상 위치하도록 위치결정하여,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했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통해서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했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 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넘겨주어 상기 부품이재장치 위에 보류시켜, 제1공급테이블 위의 기타 부품공급카세트의 부품을 작업기에 공급하는 것에 선행시켜, 상기 제1공급테이블로부터의 부품공급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보류되어 있는 부품을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했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통해서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 공급지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부품이재장치 및 상기 제2공급테이블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항상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이 격납된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수취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방법.
  13. 제4항에 기재되고, 또한 상기 제1공급테이블과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시켜서 좌우대칭관계로 병설되도록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지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하는 제2공급테이블 위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수취할 수 있는 위치에 항상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결정하며,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했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통해서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방법.
  14. 제6항에 기재된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 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했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 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넘겨주어 상기 부품이재장치위에 보류시켜서, 제1공급테이블 위의 기타 부품공급카세트의 부품을 작업기에 공급하는 것에 선행시켜, 상기 제1공급테이블로부터의 부품공급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보류되어 있는 부품을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방법.
KR1019980709123A 1996-05-22 1997-05-20 부품공급장치및이를이용한부품공급방법 KR100312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26666 1996-05-22
JP12666696A JP3579538B2 (ja) 1996-05-22 1996-05-22 部品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部品供給方法
PCT/JP1997/001692 WO1997044156A1 (fr) 1996-05-22 1997-05-20 Dispositif d'alimentation en pieces et procede d'alimentation en pieces au moyen dudit disposi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974A KR20000010974A (ko) 2000-02-25
KR100312173B1 true KR100312173B1 (ko) 2001-12-28

Family

ID=1494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123A KR100312173B1 (ko) 1996-05-22 1997-05-20 부품공급장치및이를이용한부품공급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57391B1 (ko)
EP (1) EP0919323B1 (ko)
JP (1) JP3579538B2 (ko)
KR (1) KR100312173B1 (ko)
CN (1) CN1098626C (ko)
DE (1) DE69718010T2 (ko)
WO (1) WO1997044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5168A1 (fr) * 1997-11-10 1999-05-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eil de montage de pieces et appareil d'alimentation en pieces
US5944181A (en) * 1998-09-09 1999-08-31 Finest Industrial Co., Ltd. Disk protective enclosure
JP3978910B2 (ja) * 1998-12-07 2007-09-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実装装置
US6629007B1 (en) * 1998-12-25 2003-09-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lack of component in advanc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article of manufacture comprising computer usable medium
US6571462B1 (en) * 1999-04-27 2003-06-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using duplicate sources of components
JP3719051B2 (ja) 1999-07-02 2005-11-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実装装置および実装方法
US6836960B2 (en) * 2000-05-15 2005-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oard transfer apparatus, board transfer method, an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DE10159976A1 (de) * 2001-12-06 2003-08-14 Michael Geringer Vorrichtung zum Handhaben von Bauelementen mit kleinen Abmessungen
JP4952476B2 (ja) * 2007-09-25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
KR101594083B1 (ko) * 2009-08-04 2016-02-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전자 부품 제조 장치
DE102009052292B3 (de) * 2009-11-09 2011-04-14 Fritz Collischan Gmbh & Co. Kg Vorrichtung zum Zählen von als Schüttgut zugeführten Objekten
CN104275601B (zh) * 2014-09-24 2017-04-12 张颖 鼠标的电路模组的供给装置
CN112219461B (zh) * 2018-06-29 2022-01-1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作业系统以及馈送器台车的搬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6348A (en) * 1976-07-19 1978-09-26 Deval Industries, Inc. Component locating apparatus
JPS61121397A (ja) * 1984-11-16 1986-06-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送り装置のカセツト自動交換方法
JPS62199322A (ja) * 1986-02-27 1987-09-03 Toshiba Corp 部品装着装置
CA1320005C (en) * 1988-06-16 1993-07-06 Kotaro Harigan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H0372698A (ja) * 1989-04-05 1991-03-27 Sanyo Electric Co Ltd 部品供給装置
EP0391707A1 (en) 1989-04-05 1990-10-10 Sanyo Electric Co., Ltd. Parts feeding apparatus
JP2989202B2 (ja) * 1989-10-11 1999-12-13 三洋電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3549327B2 (ja) * 1996-03-11 2004-08-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装着方法及び部品装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8010T2 (de) 2003-11-06
WO1997044156A1 (fr) 1997-11-27
CN1098626C (zh) 2003-01-08
US6257391B1 (en) 2001-07-10
JPH09309029A (ja) 1997-12-02
DE69718010D1 (de) 2003-01-30
JP3579538B2 (ja) 2004-10-20
EP0919323B1 (en) 2002-12-18
EP0919323A1 (en) 1999-06-02
KR20000010974A (ko) 2000-02-25
EP0919323A4 (en) 2001-10-17
CN1218428A (zh) 199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0925B2 (en) Component mounting method
KR100312173B1 (ko) 부품공급장치및이를이용한부품공급방법
US5778525A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JP3549327B2 (ja) 部品装着方法及び部品装着機
KR20000070938A (ko) 전자부품 실장방법 및 장치
KR20140072788A (ko) 전자 부품의 실장 방법, 및 표면 실장기
EP0259489B1 (en) Working apparatus
CN1326438C (zh) 安装机及安装方法
JPH0730292A (ja) 表面実装機
JPH0538641A (ja) 部品実装機の部品供給装置
JPH10209678A (ja) 表面実装機のエア供給回路
JP2000174495A (ja) 給送フィ―ダ―
JP2563495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2017152593A (ja) 電子部品実装機
JP2683513B2 (ja) チップ部品装着装置
JPH06204692A (ja) 給送フィーダー
JP3239003B2 (ja) 部品装着装置
JP2018113455A (ja) 対基板作業システム
JPH1187990A (ja) 部品供給装置、部品供給方法、部品実装機、及び部品実装方法
JPH0946096A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の装着方法
JPH05275887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H05275885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H0730290A (ja) 電子部品装着機
JPH10256781A (ja) 部品供給装置、部品供給方法、部品実装機、及び部品実装方法
JP2000174494A (ja) 給送フィ―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