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974A - 부품공급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부품공급방법 - Google Patents

부품공급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부품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974A
KR20000010974A KR1019980709123A KR19980709123A KR20000010974A KR 20000010974 A KR20000010974 A KR 20000010974A KR 1019980709123 A KR1019980709123 A KR 1019980709123A KR 19980709123 A KR19980709123 A KR 19980709123A KR 20000010974 A KR20000010974 A KR 20000010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component
parts
cassette
supply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173B1 (ko
Inventor
유조 니시모리
마키토 세노
마사토 다니노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0001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78Chip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83Multilead component

Abstract

여러개의 공급카세트(1)가 탑재되있고, 이것들의 병설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이동하는 제1공급테이블(9, 9a)과 이 제1공급테이블의 후방에 위치하여 병설방향이 좌우방향이 되도록, 여러개의 부품공급카세트(1)가 탑재되어 있는 제2공급테이블(10, 10a)과, 제1공급테이블의 옆쪽에 위치하여 좌우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이동함과 동시에, 제2공급테이블상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받아서, 이것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부품이재장치(8)등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부품공급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부품공급방법
종래, 이러한 종류의 부품공급장치는 특개평 3-221326호 공보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이 일반적이였다.
도 4에 종래의 부품공급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여러개의 부품공급카세트(1)가 설정할 수 있는 제1공급테이블(2)과 제2공급테이블(3)이, 레일(4)상에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있고, 각각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부품공급카세트(1)의 병설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 지지되어 있다. 5는 부품공급카세트(1)의 부품을 흡착 이동하여 XY테이블(6)에 의하여 위치결정된 기판(7)위에 장착하는 장착헤드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공급테이블(2, 3)에 동일한 전자부품의 부품공급카세트(1)의 짝을 각기 설정하여두면, 한쪽에서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또한편의 공급테이블과 교체하여 사용하고, 그 동안에 부품품절이 발생한 부품공급카세트(1)에 부품보충을 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과 같이 제1공급테이블(2)에서 장착헤드(5)에 부품공급할 때, 제1공급테이블(2)에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제1공급테이블(2), 제2공급테이블(3)을 도면의 왼쪽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공급테이블(3)에서 장착헤드(5)로 부품공급함과 동시에, 제1공급테이블(2)에 부품 보충을 한다.
또, 사용부품의 품종이 많을 경우에는, 공급테이블(2, 3)에 각기 다른 전자부품의 공급카세트(1)를 설정하여 두어, 순차적으로 공급테이블(2, 3)을 교체하면서 장착헤드(5)에 부품공급을 하도록 한다.
요즘, 공장을 확장하지않고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추구중이며, 전자부품조립기에 있어서도, 면적생산성향상, 가동률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서는, 공급테이블(2, 3)이 기판반송방향(x)과 같은 방향의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부품공급스페이스(F)와 그 양측에 대기스페이스(G, H)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라인길이를 짧게하는 것, 즉 면적생산성을 높임에 대한 장해로 된다.
또, 부품공급중의 한편의 공급테이블에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양 공급테이블을 이동시켜서 다른편의 공급테이블을 부품공급위치에 위치결정하지 않으면 아니되므로, 부품공급의 효율이 저하한다.
본 발명은, 소형으로 생산성이 높은 부품공급장치 및 부품공급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흡착하여 회로기판에 장착하는 부품조립기등의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 및 이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한 부품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것들과 그 밖의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한 다음의 기술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부품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부품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품공급방법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종래의 부품공급장치 전체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의 부품이재장치의 구체예를 나타낸 측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제1형태에 의하면, 여러개의 부품공급카세트가 탑재되어 이것들의 병설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이동하는 제1공급테이블과,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후방에 위치하여 병설방향이 좌우방향이 되도록 여러개의 부품공급카세트가 탑재되어 있는 제2공급테이블과,
상기한 제1공급테이블의 옆쪽에 위치하여 좌우방향에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받아서 이것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부품이재장치를 구비하였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각 부품공급카세트의 전단부 또는 상기 부품이재장치의 전단부가 부품공급포인트에 위치하였을 때, 이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이 그 앞쪽에 위치하는 작업기에 공급되도록한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공급테이블과 상기 부품이재장치등이 공통의 레일에 안내지지되어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공급테이블이 좌우방향으로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이동하게끔 구성된 제1 또는 제2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공급테이블이 고정된 제1 또는 제2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공급테이블과 상기 부품이재장치등이 일체로 결합된 제1, 3 또는 4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형태에 의하면,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여러개의 부품을 받아서, 이것들을 보류한 다음, 상기 작업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2, 3, 4 또는 5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형태에 의하면,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는 한편,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새로이 구비한 제1∼6형태중의 어느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포인트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부품이재장치와 상기 제2공급테이블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항상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이 격납된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의 각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제어하는 제7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9형태에 의하면,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시켜서 좌우대칭관계로 병설되도록 탑재하여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포인트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부품이재장치가 항상 위치하도록 위치결정하여,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다시금 구비한 제4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0형태에 의하면,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여,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상기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건너서, 상기 부품이재장치상에 보류시키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다른 부품공급카세트의 부품의 상기 작업기에의 공급을 선행시켜, 상기 제1공급테이블로부터의 부품공급이 종료한 시점에서, 상기 부품이재장치상에 보류되어 있는 부품의 상기 작업기에의 공급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다시금 구비한 제6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1형태에 의하면, 제1 또는 2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여,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는 부품공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2형태에 의하면, 제11형태의 부품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포인트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부품이재장치와 상기 제2공급테이블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항상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이 격납된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의 각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제어하는 부품공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3형태에 의하면, 제4형태에 기재되고, 또한 상기 제1공급테이블과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의 공급테이블상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시켜서 좌우대칭관계에 병설하도록 탑재하여,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포인트에 위차하고 있을 때,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하는 제2공급테이블상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항상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는 상품공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4형태에 의하면, 제6형태의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여,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상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상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건네어 상기 부품이재장치상에 보유시켜,
상기 제1공급테이블상의 다른 부품공급카세트의 부품의 상기 작업기에의 공급을 선행시켜, 상기 제1공급테이블로부터의 부품공급이 종료한 시점에서, 상기 부품이재장치상에 보류되어 있는 부품의 상기 작업기에의 공급을 하는 부품공급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의 부품공급장치 및 부품공급방법에 의하면, 작업기의 후방 2열에 제1공급테이블과 제2공급테이블을 배치할 수 있고, 부품공급장치의 좌우방향의 폭을 좁게할 수 있어서 면적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 제2공급테이블로부터의 작업기에의 부품공급은 부품이재장치를 개재하여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제2공급테이블을 부품품절시의 보급부품을 탑재한 것으로서 사용할 때, 그 경우의 제1공급테이블, 부품이재장치등의 이동량을, 종래예의 각 공급테이블의 이동량에 비교하여 작은 것으로 할 수 있어, 부품품절시의 부품공급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의 부품공급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제1공급테이블상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공급포인트에 위치하고 있을 때, 항상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하는 제2공급테이블상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제어하면, 부품품절시에 있어서의 제2공급테이블상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공급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상기 형태의 부품공급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제2공급테이블이 고정되있고, 또한 제1공급테이블과 부품이재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제2공급테이블상에 제1공급테이블상의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대응하는 부품공급카세트가 좌우대칭관계로 병설되도록 탑재하여, 제1공급테이블상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공급포인트에 위치하고 있을 때, 항상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하는 제2공급테이블상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결정하여, 제1공급테이블상의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제2공급테이블상의 대응하는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부품이재장치를 개재하여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제2공급테이블은 고정되있고, 부품이재장치는 제1공급테이블에 부설할 수 있으므로,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공급테이블의 좌우운동을 제어하는 것 만으로 부품품절시의 제2공급테이블상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공급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형태의 부품공급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부품이재장치가 제2공급테이블상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여러개의 부품을 수령하여, 이것을 보류한 다음, 작업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제2공급테이블상에 제1공급테이블상의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여, 제1공급테이블상의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제2공급테이블상의 대응하는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부품이재장치에 건너서 부품이재장치상에 보류시켜, 제1공급테이블상의 그밖의 부품공급카세트부품의 작업기에의 공급을 선행시켜, 제1공급테이블로부터의 부품공급이 종료한 시점에서, 부품이재장치상에 보류되어 있는 부품의 작업기에의 공급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제1공급테이블상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공급을, 부품품절의 것을 제거하고, 선행시켜서 원활하게 한 다음, 부품품절에 대응하는 보급부품이 미리 보류되어 있는 부품이재장치로부터 계속 원활하게 공급되므로, 부품공급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을 계속하기전에, 첨부도면에 있어서 같은부품에 대하여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부품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9, 10은 부품공급카세트(1)를 다수병설하여 설정한 제1, 제2부품공급테이블이며, 서로 동일한 전자부품의 짝이 여러종류 설정되어 있다.
제1, 제2부품공급테이블(9, 10)은, 기대(20)위에 서로 평행으로 배설된 제1, 제2레일(11, 12)에 의하여 각기 안내 지지되있고, 각각에 설치한 구동장치에 의하여 부품공급카세트(1)의 병설방향, 즉 도 1의 좌우방향으로 각 레일(11, 12)상을 왕복이동할 수 있다. 그 위에 제2공급테이블(10)은 제1테이블(9)의 후방에 위치하여, 서로 접촉하지 않고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서, 근접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8은 앞쪽에 위치하는 제1레일(11)상에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지지된 부품이재장치이며, 제2공급테이블(10)상의 부품공급카세트(1)로부터 필요한 임의의 부품을 흡착하여, 제1레일(11)의 앞쪽에 위치하는 작업기(예컨대 부품장착기)(13)에 공급한다. 부품이재장치(8)는, 예컨대 컴베이어(8a), 1쌍의 흡착노즐(8p, 8q)을 구비한 회전흡착헤드(8b) 및 이것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1레일(11)상을 왕복이동할 수 있는 안내블록(8c)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부품이재장치(8)는, 제2공급테이블(10)로부터의 부품흡착 및 작업기(13)에의 부품공급을 제1공급테이블(9)에 있어서의 부품품절의 발생할 때 마다, 부품 1개씩 흡착하여 공급하여도 좋으나,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부품품절 이외의 부품을 제1공급테이블(9)이 공급하여 끝난 다음, 부품품절의 발생한 부품을 종합하여, 부품장착기(13)에 흡착하여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5는 부품이재장치(8)의 보다 구체적인 한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 위에, 나중에 설명하는 부품이재장치(8s)도 마찬가지 기구를 갖는다. 이 도(5)의 부품이재장치(8)가 도 1의 부품이재장치(8)와 다른점은, 한쌍의 흡착노즐(8p, 8q)을 구비한 회전흡착헤드(8b)대신에, 하나의 흡착노즐을 구비하여 x방향과 직교하는 y방향에 따른 왕복운동하는 흡착노즐(215)을 구비하였다. 한쌍의 흡착노즐이 회전하는 동작도 하나의 흡착노즐(215)의 왕복운동하는 지점을 제외하면, 양자는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도 5에 기초하여 부품이재장치(8)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부품이재장치(8)는, 기대(20)상에서 부품공급카세트(1)의 배열방향인 x방향으로 잇따라서 부설된 제1레일(11)에 맞물린 테이블(207)상에 설치되어, 부품이재장치(8)에 구비한 이동장치(208)에서 테이블(207)이 구동되므로서 제1레일(11)상을 활동한다.
이와같은 부품이재장치(8)는, 이재장치(211)와, 부품반송장치(221)등을 구비한다.
이재장치(211)는 이재레버 구동장치(213)와, 노즐유닛(21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재레버 구동장치(213)는, 부품공급카세트(1)의 부품공급부분에 설치되는 이재레버(251)를 내려누루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어실린더(212)를 구동원으로 한다. 상기 이재레버(251)는 래칫기구를 구비하였고, 이재레버 구동장치(213)에서 이재레버(251)가 내려누름으로서, 부품공급카세트(1)는 돌려감는 부품 임시 고정테이프를 송출하므로서 이 테이프에 부착하는 부품(252)을 하나씩 부품선택위치(253)에 공급한다. 노즐유닛(214)은, 수직방향인 z방향에 상당하는 도해의 I방향 및 이 I방향과 부품공급카세트(1)의 배열방향인 x방향에 직교하는 y방향에 상당하는 II방향으로, 흡착노즐(215)을 캠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부품(252)에 적합한 흡착노즐(215)을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구를 갖는다. 이와같은 흡착노즐(215)은 부품선택위치(253)에서 상기 I방향 하향으로 이동하여 부품(252)을 흡착한 다음 상승하여, 흡착한 부품을 지지한다.
그리고, 노즐유닛(214)이 상기 II방향으로 이동하여 이 부품이재장치(8)에 있어서의 컨베이어(8a)상의 반송개시위치(223)에 상기 보관부품(252)을 재치한다.
부품반송장치(221)는, 상기 컨베이어(8a)와, 이 컨베이어(8a)가 감겨있는 공급측리일(reel)(225) 및 컨베이어(8a)를 당겨 감는쪽 리일(224)과, 컨베이어(8a)를 이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의 모우터(226)등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베이어(8a)는, 부품(252)이 재치되는 재치면이 점착성을 구비한 점착테이프이며, 상기 II방향에 잇따라서 배설된 2개의 풀리(227a, 227b)사이에서 상기 II방향으로 잇따라서 긴장설치된다. 컨베이어(8a)의 뻗어있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폭방향에 있어서의 측연부에는, 도면에 없는, 이재구멍이 상기 뻗어있는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비워있어, 이 이재구멍과 풀리(227a, 227b)에 형성되어있는 돌기둥이 맞물리어, 타이밍벨트를 개재하여 모우터(226)에서 풀리(227b)가 구동되므로서 컨베이어(8a)는 상기 II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부품반송장치(221)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공급측 리일(225)에서 송출된 컨베이어(8a)는, 풀리(227a)에 맞물린다음, 반송개시위치(223)에 이동한다. 반송개시위치(223)에서는, 흡착노즐(215)에서 부품(252)이 컨베이어(8a)상에 재치된다. 컨베이어(8a)는, 부품(252)이 재치될때마다 다음의 부품(252)이 재치할 수 있도록 모우터(226)로 일정량만큼 상기한 II방향으로 이재한다. 이와같이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품(252)이 컨베이어(8a)상에 재치된다. 재치된 부품(252)은 모우터(226)에 의한 컨베이어(8a)의 이재에 의하여 반송종료위치(228)까지 반송된다. 부품반송장치(221)에 있어서의 반송종료위치(228)와 부품공급포인트(P)를 일치시키도록, 부품(252)의 반송종료위치(228)까지의 반송과 함께 또는 반송후에, 테이블(207)에 구비한 이동장치(208)로 부품이재장치(8)의 전체가 제1레일(11)에 안내되어 x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위에, 이 이동에 따라 상기 반송종료위치(228)와 상기 부품공급포인트(P)가 일치한 상태에서, 장착헤드(306)의 노즐(309)은 부품반송장치(221)에 의하여 반송종료위치(228)에 반송된 부품(255)을 보존한다.
또, 컨베이어(8a)상에 여러개의 부품(252)이 재치되어 있을때에는, 부품반송장치(221)는, 당겨감는쪽 리일(224)에 컨베이어(8a)를 당겨감으면서 컨베이어(8a)를 이동하므로서, 컨베이어(8a)상에 재치한 여러개의 부품(252)을 순차로, 반송종료위치(228)로 반송한다. 따라서, 상기 장착헤드(5)에 의하여 순차부품(252)을 흡착 유지하여 나아간다.
또, 공급측 리일(225) 및 당겨감는쪽 리일(224)을 설치함이 없이 컨베이어(8a)는 무단벨트와 같이 구성하여, 몇번이고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반송개시위치(223)에 의하여 부품(252)이 최초로 컨베이어(8a)에 재치되기전에, 반송개시위치(223)에서 반송종료위치(228)까지 사이에 긴장설치되어 있는 컨베이어(8a)가 불필요하게 되지않도록, 순차, 소정량의 컨베이어(8a)를 공급측 리일(225)에 되감아서, 헛됨이 없이 사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한편, 도 1에 있어서, 500은 제어부로서, 제1공급테이블(9)의 왕복동작 및 각 부품공급카세트(1)에서의 전단부까지의 부품이재동작, 제2공급테이블(10)의 왕복동작 및 각 부품공급카세트(1)에서의 전단부까지의 부품이재동작, 부품이재장치(8)의 왕복동작, 회전흡착헤드(8b)의 회전동작, 각 흡착노즐(8p, 8q)의 흡착동작 및 컨베이어(8a)의 부품반송동작, 장착헤드(5)의 회전동작, 장착헤드(5)의 도면에 없는 흡착노즐의 부품흡착동작 및 부품장착동작 XY테이블(6)의 기판이동동작 및 기판반송동작을 제어한다.
기대(20) 및 제1, 제2레일(11, 12)의 좌우방향의 길이(L)는, 제1, 제2공급테이블(9, 10)의 1대분의 길이(M)의 약 2배(도 4의 F의 길이에 상당)로 할 수 있으며, 도 4의 종래예에 있어서의 G, H와 같은 대기스페이스를 부품공급스페이스(F)의 좌우에 잡는 것은 불필요하다.
그위에, 부품장착기(13)는, 제1부품공급테이블(9)의 전방에 XY테이블(6)이 배치되었고, XY테이블(6)상에는 기판(7)이 위치하고 있으며, XY테이블(6)에 의하여 기판(7)이 소정의 부품조립위치에 위치결정된 다음, 장착헤드(5)에 의하여, 필요로하는 부품이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판(7)은 도 1에 화살표(X)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방향으로 반송된다.
도 1에 도시한 부품공급장치는, 제1공급테이블(9)상의 부품공급카세트(1)의 어느것인가에 부품소비에 의한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제2공급테이블(10)상에 제1공급테이블(9)상의 부품공급카세트(1)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1)를 탑재하여, 상기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즉시 제2공급테이블(10)의 대응하는 부품공급카세트(1)로부터의 부품을 부품이재장치(8)를 개재하여 부품장착기(13)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위에, 부품품절의 검출은, 예컨대, 장착헤드(5)의 흡착노즐을 사용하여 부품공급포인트(P)에 위치한 부품을 흡착할 때, 부품흡착동작시의 흡인압력이 소정압력으로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어부(500)에 의하여 부품이 흡착노즐에 흡착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부품품절이라고 판단한다거나 또는 흡착노즐에서 부품을 흡착한 뒤에 부품의 위치인식을 하는 경우에는, 그 인식시에 부품이 흡착되어 있지 않음을 인식하여 부품품절을 판단함에 따라 실행할 수 있다.
통상시는, 제1공급테이블(9)이 좌우로 이동하여, 도 1에 A1으로 나타낸 소정의 부품공급카세트(1)의 전단부가 부품공급포인트(P)에 합치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으면, 상기 부품공급카세트(1)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부품이 장착헤드(5)에 의하여 흡착되있고, 뒤이어 기판(7)의 서로 직교하는 xy방향에 의하여 지시되는 소정위치에 장착된다. 이때, 제2공급테이블(10) 및 부품이재장치(8)는, 제1공급테이블(9)로부터의 부품공급에 지장이 되지않는 위치로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제2공급테이블(10)상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1)에 대응하는 도 1에 A2로 나타낸 부품공급카세트(1)로부터 곧 부품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부품이재장치(8)가 위치할 수 있는 관계를 유지하도록 제어부(500)에 의하여 위치 제어되어 있다.
따라서, 제1공급테이블(9)상의 소정의 부품공급카세트(1)에 있어서 부품품절이 발생하면, 제어부(500)의 제어하에, 곧 부품이재장치(8)는 제2공급테이블(10)상의 동종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1)로부터 그 부품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회전흡착헤드(8b)의 흡착노즐(8p 또는 8q)에서 흡착된 부품은 컨베이어(8a)에 이재되어, 컨베이어상을 전방으로 이재된다. 부품이 전방으로 이재되는 동안에, 제1공급테이블(9)은 부품공급포인트(P)에 대하여 도 1의 왼쪽으로 대피하고, 부품이재장치(8)는 공급포인트(P)로 향하여 이동하고 부품공급포인트(P)에서 정지한다. 이 부품공급포인트(P)에서, 컨베이어(8a)의 전단부에 도달한 부품은, 상기 공급포인트(P)에서 흡착헤드(5)의 도해없는 흡착노즐에 흡착되어, 기판(7)에 장착된다. 이와같이 부품품절시에 있어서도, 보금부품에 의한 신속한 부품장착작업을 할 수 있다.
뒤이어,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부품공급장치 및 방법을 도 2,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부품공급장치는, 제2공급테이블(10a)이 제1실시형태의 그것과 달라서, 기대(20)에 고정되고, 또한 제1공급테이블(9a)위에 부품이재장치(8s)를 탑재하여, 제1공급테이블(9a)과 부품이재장치(8s)를 일체로 결합한 외는, 기본적으로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서(a∼i)로 부품공급카세트를 대조시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공급테이블(10a)위에, 제1공급테이블(9a)위의 부품공급카세트(1)와 동종의 부품을 구비한 부품공급카세트(1)를 대응하는 부품공급카세트(1)가 제1공급테이블(9a)의 부품공급카세트와 좌우 대칭관계로 병설되도록 탑재하고 있다. 또, 상기 부품이재장치(8s)는, 제1공급테이블(9a)상의 도 2의 우단에 위치하며, 예컨대 (b)로 나타낸 제1공급테이블(9a)상의 부품공급카세트(1)가 공급포인트(P)에 위치할 때, 이에 대응하는 (b)로 나타낸 제2공급테이블(10a)상의 부품공급카세트(1)로부터 부품을 받을 수 있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a) 및 (c∼i)로 나타낸 양공급테이블(9a, 10a)상의 부품공급카세트(1), (1) 및 부품이재장치(8s)의 위치관계도 상기와 같게 되어있다.
또, 제1공급테이블(9a)상의 각 부품공급카세트(1)에는, 부품잔량센서(16)가 설치되있고, 카세트마다 부품잔량이 소정값 이하로 되있을 때, 부품부족신호 또는 그 예측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소정값의 설정에 있어서, 각 부품의 사용빈도가 대략 같을 경우에는, 각 카세트를 같은 값으로서 좋으나, 부품의 사용빈도에 상당한 차가 있을 경우에는, 카세트마다 다른 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위에 이 제2실시형태에서도, 부품잔량센서(16) 대신으로,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장치헤드(5)의 흡착노즐의 흡인압력의 변화에 의하여 부품품절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부품이재장치(8s)는, 부품품절시에, 제2공급테이블(10a)상의 부품공급카세트(1)로부터 부품을 받는것이나, 여러개의 부품을 받아서, 이것을 컨베이어(8a)상에, 순서좋게 정렬시켜서 보류하여두어, 나중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것들 보류부품을 일괄하여 순서좋게 부품장착기(13)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뒤이어,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한 상기 구성의 부품공급장치의 동작을 도 3의, 순서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공급테이블(9a)을 소정의 부품공급카세트(1)가 공급포인트(P)에 합치하도록 이동하여, 위치결정한다(스텝 #1). 이에따라 부품이재장치(8s)의 위치결정도 동시에 자동적으로 하게된다(스텝 #2). 이 상태에서, 제1공급테이블(9a)에서 부품장착기(작업기의 한예)(13)에 필요한 부품을 공급한다(스텝 #3). 이 부품공급동작중에서, 제1공급테이블(9a)에 있어서는, 각 카세트마다 부품잔량센서(16)에 의하여 항상 부품품절의 유무를 감시하고 있으며(스텝 #4), 어느 한 카세트에 있어서 부품품절 발생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부품이재장치(8s)는, 부품품절 발생이 검출된 부품과 동일한 부품을 제2공급테이블(10a)의 대응카세트로부터 흡착하여 받아서, 이것을 보류하여 둔다(스텝 #5).
이하 마찬가지로하여, 제1공급테이블(9a)에 의한 부품장착기(13)에의 부품공급, 부품이재장치(8s)에 의한 부품품절 발생의 부품과 동일한 부품의 제2공급테이블(10a)로부터의 받은, 보류를 반복한다. 제1공급테이블(9a)상의 장착부품에 대하여, 부품품절의 부품을 제외하고, 부품장착기(13)에의 부품공급이 종료하며, 또한 부품이재장치(8s)가 부품품절의 부품과 동일한 부품을 제2공급테이블(10a)로부터 수령이 종료하였을(스텝 #6) 경우에는, 제1공급테이블(9a)을 대기위치에 이동시킴(스텝 #7)과 동시에, 부품이재장치(8s)를 이동시켜서 공급포인트(P)에 위치결정한다(스텝 #8).
뒤이어, 부품이재장치(8s)는, 보류하고 있는 부품을 일괄하여 순차 부품장착기(13)에 공급하는(스텝 #9) 한편, 제1공급테이블(9a)에 부품품절 부품을 보충하여 (스텝 #10),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그 위에, 이상의 설명에서는, 최후에 일괄하여 대상작업기에 공급을 하는 방법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부품부족의 때마다 부품이재장치(8s)로부터 부품장착기(13)에 대응부품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기에의 부품공급이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판의 반송방향의 길이가 짧은 콤팩트한 부품공급장치 및 부품공급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명세서, 청구의 범위, 도면, 요약서를 포함한 1996년 5월 22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8-126666호에 명시된 것의 모두는, 참고로서 여기에 거두어 넣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으나, 이 기술의 숙련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속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4)

  1. 여러개의 부품 공급 카세트(1)가 탑재되고, 이 카세트들의 병설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위치 결정이 가능하도록 이동하는 제1공급테이블(9, 9a) 및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후방에 위치하여 병설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되도록 여러개의 부품공급카세트(1)가 탑재되어 있는 제2의 공급테이블(10, 10a)과, 상기의 제1공급테이블의 옆쪽에 위치하여 좌우방향으로 위치결정이 가능하도록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252)을 받아서 이것을 이동시키는 부품이재장치(8, 8a)를 갖추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의 전단부 또는 상기 부품이재장치의 전단부가 부품공급포인트(P)에 위치 결정될 때, 이 위치에 있는 상기 부품이 앞쪽에 위치하는 작업기(13)에 공급되도록 하는 부품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테이블(9) 및 상기 부품이재장치(8)가 공통의 레일(11)에 안내 지지되어 좌우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부품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테이블(10)이 좌우방향으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된 부품공급장치.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테이블(10)이 고정된 부품공급장치.
  5. 제1,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테이블(9a) 및 상기 부품이재장치(8s)가 일체로 결합되는 부품공급장치.
  6. 제1, 2, 3,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여러개의 부품을 받아서, 이것을 보류했다가 공급받도록 구성된 부품공급장치.
  7. 제1항 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갖춘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는 한편,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할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통해서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또한 갖춘 부품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포인트에 위차하고 있을 때, 상기 부품이재장치와 상기 제2공급테이블이 상대적으로 이동해서, 항상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이 격납되는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쉬치해 받는 위치에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제어하는 부품공급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갖춘 부품공급카세트를,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시켜서 좌우 대칭관계로 병설되도록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지점에 위치할 때,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수취해 받는 위치에 부품이재장치가 항상 위치하도록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할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통해서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또한 구비한 부품공급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갖춘 상기 구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할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넘겨주어 상기 부품이재장치위에 보류시켜서,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기타 부품공급카세트의 부품을 상기 작업기에로의 공급을 선행시키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로부터의 부품공급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보류되어 있는 부품을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또한 갖춘 부품공급장치.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의 대응하는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넘겨주어 상기 부품이재장치위에 보류시켜서,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기타 부품공급카세트의 부품을 상기 작업기에로의 공급을 선행시키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로부터의 부품공급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보류되어 있는 부품을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또한 갖춘 부품공급장치.
  11. 제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갖춘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할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통해서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는 부품공급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지점에 위치할 때, 상기 부품이재장치 및 상기 제2공급테이블의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항상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이 격납되는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수취해 받는 위치에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 제어하는 부품공급방법.
  13. 제4항에 기재되고, 또한 상기 제1공급테이블과 상기 부품이재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갖춘 부품공급카세트를, 상기 제1공급테이블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시켜서 좌우대칭관계로 병설되도록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각 부품공급카세트가 상기 부품공급포인트에 위치할 때,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대응하는 제2공급테이블위의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 부품을 수취해 받는 위치에 항상 부품이재장치가 위치하도록 위치결정해서,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를 통해서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는 부품공급방법.
  14. 제6항에 기재된 부품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부품의 소비에 의한 부품의 품절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에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와 동종의 부품을 갖춘 부품공급카세트를 탑재하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상기 부품공급카세트에 부품품절이 발생할 때, 상기 제2공급테이블위의 대응하는 상기 부품공급카세트로부터의 부품을 상기 부품이재장치에 넘겨주어 상기 부품이재장치위에 보류시켜서, 상기 제1공급테이블위의 기타 부품공급카세트의 부품을 상기 작업기에로의 공급을 선행시키고, 상기 제1공급테이블로부터의 부품공급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상기 부품이재장치위에 보류되어 있는 부품을 상기 작업기에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
KR1019980709123A 1996-05-22 1997-05-20 부품공급장치및이를이용한부품공급방법 KR100312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26666 1996-05-22
JP12666696A JP3579538B2 (ja) 1996-05-22 1996-05-22 部品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部品供給方法
PCT/JP1997/001692 WO1997044156A1 (fr) 1996-05-22 1997-05-20 Dispositif d'alimentation en pieces et procede d'alimentation en pieces au moyen dudit disposi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974A true KR20000010974A (ko) 2000-02-25
KR100312173B1 KR100312173B1 (ko) 2001-12-28

Family

ID=1494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123A KR100312173B1 (ko) 1996-05-22 1997-05-20 부품공급장치및이를이용한부품공급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57391B1 (ko)
EP (1) EP0919323B1 (ko)
JP (1) JP3579538B2 (ko)
KR (1) KR100312173B1 (ko)
CN (1) CN1098626C (ko)
DE (1) DE69718010T2 (ko)
WO (1) WO1997044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08C (zh) * 1997-11-10 2004-05-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零件安装装置及零件供给装置
US5944181A (en) * 1998-09-09 1999-08-31 Finest Industrial Co., Ltd. Disk protective enclosure
JP3978910B2 (ja) * 1998-12-07 2007-09-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実装装置
US6629007B1 (en) * 1998-12-25 2003-09-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lack of component in advanc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article of manufacture comprising computer usable medium
US6571462B1 (en) * 1999-04-27 2003-06-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using duplicate sources of components
JP3719051B2 (ja) 1999-07-02 2005-11-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実装装置および実装方法
US6836960B2 (en) * 2000-05-15 2005-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oard transfer apparatus, board transfer method, an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DE10159976A1 (de) * 2001-12-06 2003-08-14 Michael Geringer Vorrichtung zum Handhaben von Bauelementen mit kleinen Abmessungen
JP4952476B2 (ja) * 2007-09-25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
KR101594083B1 (ko) * 2009-08-04 2016-02-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전자 부품 제조 장치
DE102009052292B3 (de) * 2009-11-09 2011-04-14 Fritz Collischan Gmbh & Co. Kg Vorrichtung zum Zählen von als Schüttgut zugeführten Objekten
CN104275601B (zh) * 2014-09-24 2017-04-12 张颖 鼠标的电路模组的供给装置
JP6827191B2 (ja) * 2018-06-29 2021-02-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作業システム及びフィーダ台車の搬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6348A (en) * 1976-07-19 1978-09-26 Deval Industries, Inc. Component locating apparatus
JPS61121397A (ja) * 1984-11-16 1986-06-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送り装置のカセツト自動交換方法
JPS62199322A (ja) * 1986-02-27 1987-09-03 Toshiba Corp 部品装着装置
CA1320005C (en) * 1988-06-16 1993-07-06 Kotaro Harigan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H0372698A (ja) * 1989-04-05 1991-03-27 Sanyo Electric Co Ltd 部品供給装置
EP0391707A1 (en) 1989-04-05 1990-10-10 Sanyo Electric Co., Ltd. Parts feeding apparatus
JP2989202B2 (ja) * 1989-10-11 1999-12-13 三洋電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3549327B2 (ja) * 1996-03-11 2004-08-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装着方法及び部品装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19323B1 (en) 2002-12-18
CN1098626C (zh) 2003-01-08
JPH09309029A (ja) 1997-12-02
CN1218428A (zh) 1999-06-02
KR100312173B1 (ko) 2001-12-28
EP0919323A4 (en) 2001-10-17
WO1997044156A1 (fr) 1997-11-27
JP3579538B2 (ja) 2004-10-20
DE69718010D1 (de) 2003-01-30
US6257391B1 (en) 2001-07-10
EP0919323A1 (en) 1999-06-02
DE69718010T2 (de) 200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0925B2 (en) Component mounting method
KR100496949B1 (ko) 전자부품 실장방법 및 장치
KR20000010974A (ko) 부품공급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부품공급방법
JP6300808B2 (ja) 対基板作業システム、およびフィーダ移し替え方法
JPH09246779A (ja) 部品装着方法及び部品装着機
KR101489703B1 (ko) 전자 부품의 실장 방법, 및 표면 실장기
JP2007142216A (ja) 部品実装方法およびノズル割付け方法
JP2004265887A (ja) 実装ラインにおける基板搬入方法、基板生産システムおよび基板生産システムにおける基板生産方法
JP2000022387A (ja) 部品実装装置
KR20000012142A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방법
EP0259489A1 (en) Working apparatus
JPH11214894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3483347B2 (ja) 実装機の部品供給部構造
JP3769160B2 (ja) 給送フィーダー
JPH0730292A (ja) 表面実装機
JPH06135504A (ja) チップ供給装置
WO2003081975A1 (fr) Appareil et procede de montage
JPH06204692A (ja) 給送フィーダー
JP2023144865A (ja) 部品実装システム
JPH10209678A (ja) 表面実装機のエア供給回路
JP2683513B2 (ja) チップ部品装着装置
JPH0370199A (ja) 電子部品の搭載装置及び搭載方法
JP2018113455A (ja) 対基板作業システム
JPH01194406A (ja) 巻線、巻線仕上げ連続自動加工装置
JPH0730290A (ja) 電子部品装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