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102B1 - 투명한시트를통하여보이는제2영상에제1영상을나타내기위한장치 - Google Patents

투명한시트를통하여보이는제2영상에제1영상을나타내기위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102B1
KR100300102B1 KR1019970704090A KR19970704090A KR100300102B1 KR 100300102 B1 KR100300102 B1 KR 100300102B1 KR 1019970704090 A KR1019970704090 A KR 1019970704090A KR 19970704090 A KR19970704090 A KR 19970704090A KR 100300102 B1 KR100300102 B1 KR 100300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elete
light
light source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7000589A (ko
Inventor
데터 크리스탈트
Original Assignee
크리스트할드 데텔 외1
엘데테 게엠바하 앤드 캄파니 레이저디스프레이 테크노로지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트할드 데텔 외1, 엘데테 게엠바하 앤드 캄파니 레이저디스프레이 테크노로지 카게 filed Critical 크리스트할드 데텔 외1
Publication of KR987000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7000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판에서 제1영상(6;15;18;20)으로부터 나오는 광(4,15)이 반사되며 이판은 제1영상과 제2영상이 동일한 시각에서 관찰자에 의하여 탐지 할 수 있도록 그렇게 배열된 그러한 투명판(11)을 통하여 볼 수 있는 제2영상내에 제1영상(6;15;18;20)을 나타내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3;13;15;18;20)이 대체로 평행한 광들을 위하여 제공되며, 이것에 의하여는 제1광원(6;15;18;20)으로부터 광속으로써 나오는 광은 작은 팽창을 가지고 생성되어 질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투명한 시트를 통하여 보이는 제1영상을 제2영상에 나타내기 위한 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투명한 창유리 또는 시트를 통하여 보이는 제1영상을 제2영상에 나타내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투명한 창유리 또는 시트에서 제1영상으로 진행하는 빛이 반사되고, 상기 장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이 동일한 조망 각도에서 관찰자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예를 들면 비행기 및 자동차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2영상은 예를 들면 전면 유리를 통하여 보이는 주위 환경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비행기의 조정을 위해, 제1영상은 심벌일 수 있으며,상기 심벌은 이륙 및 착륙을 위한 방향 보조 기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허상으로 전면 유리를 통하여 조종사의 가시 범위 또는 조망 영역에 표시된다. 또한, 이러한 장치의 사용은 자동차와 같은 다른 수송 수단에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들면, 제1영상에 의해 심벌은 안전 거리를 나타내기 위해 보여질 수 있으며, 안전 거리에 의해 차량 운전자가 그의 전방에서 이동하는 차량에 접근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러한 심벌의 시거리와 속도를 결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차량 운전자는 그와 그의 전방에서 이동하는 차량간에 적절한 안전거리가 유지되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로부터 중요 정보가 운전자의 시야에서 점차 뚜렷해지므로,운전자는 주변 및 계기판 사이에서 일정하게 전후를 보는 것보다 자동차 운전을 잘하며, 운전의 안전성 및 주행의 안전성이 실질적으로 향상된다.
이러한 장치를 위해 제안된 많은 시스템이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로 또한 공지된다. 상기 제안된 시스템으로부터, 멀리 있는 사물에 눈이 맞추어지는 동안, 피로를 줄이기 위해 허상과 같은 제1영상의 정보가 형성되어 눈의 조절이 필요없게 된다. 상당히 떨어져 있는 허상과 같은 영상을 형성하기 위해, 제1영상을 표시하는 객체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LCD)는 초점 및 영상 시스템의 제1렌즈 정점 사이에 배치된다.
지난 20년에 걸쳐, 많은 보호권이 자동차에 대한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세계적으로 주장되었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은 유럽에서 여전히 개발 및 시험 단계에 있다. 이것과 관련하여, 홀로그래픽 광학을 사용하는 시스템 및 홀로그래픽 광학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 사이에 차이가 있다. 홀로그래픽 광학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개요는 예를 들면 군사 기술 밀텍(Military Technology Miltec)(1985),6 페이지에 있는 우드콕과 커크햄의 "항공 전자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홀로그래픽 적용" (Holographic Applications in Avionic HUDS)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찾을 수 있다.
홀로그래픽 표현이 없는 시스템에 있어서, EP-A-0 202 460 또는 U.S.4,740,780에 공지된 바와 같이, 영상 광학이 완전히 없거나 종래의 유리 광학 예를 들면 GB 2 203 855 A에 있어서는 영상 발생기에 의해 허상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가장 기본적인 시스템에 있어서, 숨겨진 액정 표시 장치상의 제1영상으로 표시되는 정보는 자동차의 전면 유리상에 간단히 투영된다. 이러한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장점은 운전자가 표시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본인의 시선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데 있다. 그러나, 판독을 하기 위해, 운전자는 전면 유리에 대해 단거리로 본인의 눈을 맞추어야 한다. 주변을 보기 위한 거리 광경 및 전면유리로 눈을 변화시키는 조절은 눈을 피로하게 하여 나이든 운전자에 특히 응답 시간을 떨어뜨린다.
전면 유리 전방에 허상 표시의 여러 계기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편해진 눈은 어느 때라도 정보를 읽을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피로가 없어진다. 그러나, 곡선 모양인 전면 유리에서의 빛의 반사 때문에, 특히 허상 표시에 있어서, 영상 수차(imaging aberration)가 발생하며, 상기 영상 수차는 특히 계산된 광학으로 보정되어야 한다. DE 26 33 067 C2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광학적 보상의 산출 및 계산은 매우 복잡하고 제조 오차에 관하여 불리하다. 종래의 광학 시스템은 넓은 공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통합의 문제가 또한 발생한다.
특히, 다음의 문제가 자동차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대해 충족되어야 한다.
- 시스템을 위한 공간 요구조건이 얼마이고 상기 시스템이 자동차에 통합될 수 있는가?
- 자동차는 광원 및 영상 발생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충분한 출력을 공급할 수 있는가?
- 생산비용이 얼마인가?
상기 문제는 이미 설계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매우 상이한 설계에 대한 2개의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뮌헨에 있는 BW와 협력하고 있는 홀트로닉 게엠베하 오테르베르크(Holtronic GmbH ottersberg)에 의해 개발된 첫번째 장치는 외부 환경에 대한 운전자의 뚜렷한 시야를 해치지 않도록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결합하기 위해 전면 유리에 소위 분리 콤바이너가 없다. 상기 시스템은 예를 들면 DE 37 12 663 A1에서 설명된다. 영상 요소는 자동차의 계기판 또는 계기판의 패널에 통합되는 전송 동작(전송 HOE 또는 T-HOE)으로 홀로그래픽 광 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방안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부는 광원, 영상 발생기 및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T-HOE이다. 이것은 전면 유리상에 원하는 방향으로 광선을 향하게하며, 전면 유리 전방 수 미터의 거리에 확대된 물체의 허상을 생성하고 전면 유리에서 빛의 반사로 발생하는 에러를 보정한다.
이것과 관련하여, 정보의 광학적 표현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한다. 전자 장치에서 결함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계기의 가상 표시 또는 심벌을 위해, 예를 들면 고정 영상판이 적당하다. 다른 정보 표시, 예를 들면 위치에 종속되는 물체의 표시에 있어서, 안전 거리 지시기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변화하는 거리 표시가 유용하다. 이것은 상이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홀로그래픽 방법의 사용으로, 정지 부호는 소위 멀티 홀로그램에 의해 다양한 거리에서 3차원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홀로그램은 다른 거리에서 동일한 물체를 재구성하는 다수의 독립적인 홀로그램을 포함한다. 그러나, 조정 장치는 각각의 독립적인 홀로그램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요구된다. 영상 생성은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입체 빔 경로는 이와 반대로 더 좋은 방안이다. 상기 방법은 상술한 헤드업 디스플레이로 구현되어 왔다.
좌·우측 눈은 각각 약간 다른 방향의 물체로 향하므로, 공간 또는 3 차원 영상 효과는 쌍안 시차에 의해 스테레오스코픽 과정으로 생긴다. 물체의 수렴 및 크기가 고려될 때, 공간 이동은 각각 눈의 시각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물체에 대해 2개의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영상 면(초점면)은 고정된 채로 있게 된다. 따라서,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영상 발생기를 각각 갖는 2개의 광 채널에 형성된다. 각각 개별적인 영상 정보가 각각의 눈에 들어온 다음, 두뇌는 2개의 부분 영상을 전체 화면에 서로 결합시킨다.
원칙적으로, 정보의 다양한 표시가 가능하므로, 제1영상에 도시되는 심벌은 전자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요구가 있게 된다. 수상관 및 액정 표시 장치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다. 그러나, 수상관은 높은 가격 및 고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전압 공급 장치로 인하여 자동차에서 비실용적이다. 다른 한편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소형이고 구동하거나 또는 제어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전압 공급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 단점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휘도, 산란광의 파장 및 분극에 의존하는 낮은 콘트라스트, 온도 민감성 및 낮은 해상도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해 주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적절한 액정 표시 장치는 0.3 mm 이상의 화소 크기를 갖는다. 50배 확대로, 운전자는 크기가 15mm인 화소를 본다. 화소 사이의 간격은 화소 그 자체보다 약 10 % 더 크다. 따라서, 원하지 않는 화소 매트릭스의 영상은 10 내지 15 m의 거리에서 분명히 보여질 수 있다. 심벌의 크기가 정확하게 생성되는 동안, 생성되는 심벌의 거리에서 점프(측면 불일치)는 특히 긴 거리의 화소 크기로 인하여 특히 길기 때문에, 단지 상대적으로 긴 거리의 점프는 이러한 화소 크기로 정확히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절충이 이루어져야 하며, 영상은 어떤 분명한 영상의 거리에서 정확한 크기를 가지지만, 측면의 불일치는 낮은 해상도 때문에 단지 특정한 거리에 대해 정확하게 조정될 수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 이러한 시스템용 액정 표시 장치의 사용에 관하여, 해상도 능력, 콘트라스트 및 온도의 안정성이 향상되어야 한다.
상술한 T-HOE는 백색광을 스팩트럼 구성 요소로 분할하는 특성을 갖는다. 백색광으로 조사하는 T-HOE를 지나는 영상은 이러한 색수차로 인하여 영상이 희미해진다. 이러한 색수차는 다수의 HOE를 결합함으로써 약 1OOnm의 파장 영역에서 보상될 수 있다. 그러나,1개의 HOE가 사용되면, 이것은 △λ< 1O nm인 비현실적인 필요조건을 갖는 협대역 광원이 필요하다. 또한, 광원은 가능한 가장 높은 밝기 또는 휘도를 가져야 하며, 이것은 운전자가 실제 밝은 배경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를 계속 발견하게 된다. 광원에서 요구되는 휘도는 관찰자 위치에서의 휘도 및 광학 시스템의 효율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광원의 일치를 결정하는 다른 요소는 광원의 크기와 광 출력이다. 10O W이상을 소비하는 광원은 고출력일뿐만 아니라 고열 발생으로 인하여 비실용적이다. 또한, 광원은 경고 심벌이 가장 직접적으로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되도록 제어 또는 트리거 상태 및 작동 상태 사이에서 긴 지연 시간(t < 1O s)을 가져서는 안된다.
자동차 기술 잡지(Automobiltechnische Zeitschrift 91)(1989)의 342 내지 548 페이지에 있는 "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홀로그래픽 거울을 갖는 전면 유리" 라는 W Windeln과 M.A.Beeck의 논문은 아헨에 있는 페라인니그텐 그라스베르게 게엠베하(Vereinigten Glaswerke GmbH)와 협력하는 볼프스브르그에 있는 폭스바겐사(Volkswagen AG)에 의해 개발된 다른 장치를 설명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면 유리에서 조정되는 홀로그래픽 콤바이너를 사용한다. 원하는 정보는 액정표시 장치상에서 생성되고 고정 표시판을 갖는 영상 렌즈의 도움으로 나타난다. 고효율도는 콤바이너의 사용을 통해 전체 장치에서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콤바이너에 부과되는 필요 조건(고전송, 고효율, 고반사율, 스펙트럼 저대역폭 및 우수한 영상 품질)은 홀로그래픽 콤바이너에 의해서만 충족될 수 있다. 현재, 유일하게 적합한 홀로그래픽 저장 매체는 수년 동안 항공기에서 또한 사용되고 있는 중크롬산 젤라틴(dichromate gelatin)(DCG)이다. 또한, 광 중합체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재료를 나타낸다. 오펜바흐에 있는 폴라로이드(습식 현상을 갖는) 및 미국 윌링톤에 있는 듀폰사에 의해 공급되는 광 중합체는 특히 유명하다. 듀폰사의 광 중합체는 유독 화학물을 갖는 복잡한 습식 현상 과정을 요구하지 않는다. 간단한 확산 감광 및 다음의 열처리 후, 홀로그램은 완전히 현상되고 고착된다. 그러나 광 중합체는 아직 개발 상태이며, 즉, 아직까지 상용화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개발 노력은 콤바이너의 산업용 제조 및 전면 유리에서 콤바이너의 통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원칙적으로, 가상의 광 영상에 대한 일그러짐은 콤바이너에 의해 또한 교정될 수 있다. 협대역 녹색 인광물질은 디스플레이용 광원으로서 역할을 하고 콤바이너와 결합하여 색상의 오차를 억제시킨다.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해결 방안은 다음의 기본적인 단점을 갖는다. 또한, 장치는 햇빚의 영향을 받아도 작동되어야 하므로,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에서 요구되는 휘도는 액정 표시 장치 디스플레이 또는 후방 조명 디스플레이 또는 음극선관에 의해 달성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요소를 반사하는데 사용되는 홀로그램은 매우 불만족스러운 품질을 가지므로, 광대역 광으로 비추어 질 때, 홀로그램은 가시 스펙트럼 및 무지개 색으로 나타난다.
광도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전면 유리의 내부에 편광 필터를 배치하고 전면 유리에 허상으로서 광학 시스템을 직접 지나는 제1영상을 반사시키는 것이 DE 38 22 222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햇빚은 예를 들면 제1영상이 더 잘 보이도록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편광 필터는 이중 영상 및 전면 유리에서 빗나가는 반사가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 방안은 밝은 제2영상의 동시 시감도를 갖는 제1영상을 위한 충분한 고광도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형태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에서 제1영상은 제2영상에 관하여 충분한 휘도를 갖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더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성이 또한 가능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술한 형태의 장치로 처리되며,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을 위해 적어도 1개의 광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며, 이것에 의해 제1영상으로 진행하는 광은 확장 없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지개 색 및 해상도의 손상을 일으키는 홀로그래픽 콤바이너를 제거한다. 제1영상 및 제2영상은 시트 예를 들면 전면 유리에 간단히 결합된다. 이것은 경제적이고 제1영상의 분명한 표시를 또한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독일특허 제 38 22 222 A1 호에 공지된 것과 유사한 배치이다. 그러나, 이것은 생성된 모든 출력 광이 시트를 지나 운전자의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을 갖는 광원으로서 상기 공지된 것과 다르다.편광 장치는 더 이상 전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영상으로부터 나오는 약간의 광 확장으로 인하여, 광선은 운전자가 본인의 머리를 움직일 수 있는 영역 내에서 운전자에 의해서만 또한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차량의 운전자 및 승객에게 좋지 않은광 반사 및 광 현상이 제거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운전자의 영역에 1 또는 그 이상의 광학 시스템으로 투과한 후, 광선의 확장은 한편으로 제1영상이 운전자의 머리 위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감지되도록 최대 30 내지 50 cm의 범위에 있어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 광선의 확장이 충분히 작아서 최적의 광도로 운전자에게 도달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해진다. 실제로, ±7°미만의 빔 확장을 갖는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세그먼트는 약간 확장된 광선을 방사하거나 또는 광원으로부터 광을 반사하거나 또는 투과하기 위해 제공되며, 제1영상을 형성하는 방사, 투과 및 반사에 관하여 제어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세그먼트가 있게 된다.
상기 세그먼트에 의해, 제1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는 약간 확장된 광선 또는 광선에 이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수개의 실시예가 존재한다. 첫번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세그먼트 그 자체가 광선을 방사하는 것이다. 상기 세그먼트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레이저 다이오드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는 적당한 고강도를 갖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선을 생성하므로 투영된 제1영상은 제2영상으로부터 충분히 두드러진다. 반사 및 투과에 의해 광원의 평행한 광을 형성하기 위한 제1영상의 정보를 이용하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2영상과 비교하여 제1영상의 고강도를 마찬가지로 가능하게 하며, 다른 영상의 내용은 세그먼트의 제어로 또한 나타낼 수 있다.
세그먼트는 예를 들면 수치 정보를 표시하는 7 세그먼트 표시 장치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매트릭스의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더 큰 정보 밀도는 예를 들면 제1영상에서 그래픽을 보기 위해 개발되고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액정 표시 장치 매트릭스일 때, 투과는 특히 유리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1 또는 그 이상의 거울이 설치될 때, 투과의 장점과 유사한 장점이 또한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울은 영상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1개의 광원에 의해 생성된 광선을 반사한다. 적어도 1개의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광선은 반사에 의해 시트 또는 전면 유리 전체에 향하게 될 때, 특히 유리하며,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매트릭스에서 편광에 의해 발생되는 광 손실이 방지된다. 따라서, 광도는 마찬가지로 간단한 방법으로 증가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거울의 비용은 2개의 거울을 제공함으로써 특히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광선은 두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영상 생성을 위한 비용은 예를 들면 거울로 형성된 화소 매트릭스와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된다. 또한, 제1영상이 편향에 의해 생성되므로, 전체 광선의 광도는 그것의 전체 강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특히 두드러지며, 여기에서 거울은 편향 장치에 의해 각도가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제1영상은 선그림 그래픽으로 표시될 수 있다. 선그림 그래픽에 있어서, 조명된 점으로 검출될 수 있는 점만이 주사된다. 귀선 시간(blanking times)이 최소로 감소되므로 특히 1차 광원의 전체 광도는 제1영상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1개의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광선이 두 방향으로 래스터 주사될 수 있는 편향 장치 및 광선의 강도가 제어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텔레비젼 화상 투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일정한 래스터를 지나는 영상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특히 좋은 화상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것은 운전 경험을 향상시키고 운전의 안정성을 또한 증가시킨다.
편향은 예를 들면 음향-광 변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거울을 지나 광선의 편향으로 생기는 본 발명의 상술한 다른 실시예의 장점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거울 중 1개의 거울이 일정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다각형 거울이므로 매우 신속한 편향이 실현될 수 있고 영상의 깜박거림이 방지된다. 또한, 회전 거울의 관성으로 인하여, 단지 약간의 동기 오류가 있으며, 회전 거울의 관성은 장치가 충격 및 진동에 민감한 자동차에 또한 사용될 때 상당한 장점을 가져다 준다.
본 발명의 상술한 장점 및 이것의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1개의 광원이 평행 및 조준 광학 시스템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라는 점에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특히 경제적인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크기가 다른 자동차에 관하여, 발광 다이오드는 실질적으로 정확한 형태가 고려되므로 확장을 위한 필요조건은 조준으로부터 생기는 광 손실로 인한 강도의 뚜렷한 감소없이 이러한 광학 시스템에 의해 간단한 방법으로 충족될 수 있다.
광원 중 적어도 1개가 레이저일 경우, 조준 작업으로 인하여 가능한 손실을 완전히 피할 수 있다. 레이저는 확장과 관계가 있는 필요 조건을 완전히 충족시키는 광선을 처음부터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레이저는 레이저 다이오드이거나 또는 펌프 소스(pump source)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레이저다이오드는 자동차 배터리의 전압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전압에서 높은 광 출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기체 레이저를 사용할 때, 고전압 전원과 같이 정교한 전자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레이저가 다이오드-핌핑 고체 레이저일 경우, 고강도는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특히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 변환 장치가 다이오드-펌핑 고체 레이저를 위해 또한 설치된다. 주파수 변환장치 때문에, 파장을 선택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며, 예를 들면 고강도에 관하여 다이오드-펌핑 고체 레이저의 선택에 실질적으로 한정되는 것없이, 녹색 영역에서 눈의 감도가 매우 높거나 또는 적색 영역에서는 사람에게 항상 경고로 해석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특히 고광도는 1차 광원을 위해 경제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영상으로부터 나오는 빛은 편광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편광 필터가 설치되거나 또는 편광을 방사하는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편광을 사용하는 장점은 이미 상술되어 있는 독일특허 제 3822 222A1 호에 특히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과 대조적으로, 광원 그 자체가 편광되므로 반사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2영상의 광을 약화시키는 추가적인 편광으로 인하여 광 손실은 편광 방향에 상응하는 조정으로 제1영상에 대하여는 발생하지 않는다.
편광을 사용하는 장점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특히 두드러지며 광원은 제1영상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부루스터 각에 대체로 상응하는 각에서 시트 또는 전면 유리에 영향을 주도록 배치된다. 상기 브루스터 각에서, 편광은 완전히 반사되므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선의 전체 강도는 제1영상을 관찰하기 위한 자동차 운전자에게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광도는 예를 들면 반사 시트에서 추가적인 편광자를 설치할 필요없이 최적이 된다.
시트는 제1영상이 완전히 반사될 수 있는 막에 설치될 때, 제1영상으로부터 나오는 전체 강도는 이러한 경우에 제1영상을 검출하기 위한 자동차 운전자의 위치에서 또한 이용가능하므로, 편광자에 의해 제공되는 장점과 유사한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 주어진다.
이것은 막이 절연층이거나 절연층을 포함하고 제1영상을 완전히 반사할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반사를 위한 절연층은 예를 들면 렌즈용 무반사 처리 코팅을 위한 선행 기술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렌즈의 무반사 처리 코팅을 위해 높은 투과성이 있는 반면, 층의 두께는 막 재료의 광학적 파라미터의 견지에서 최대 반사가 일어나도록 크기가 정해지는 것이 현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관계로, 주어진 바와 같이 제1광의 독립적인 파장을 위해 예를 들면 레이저를 사용할 때 특히 유용하며, 입사광의 각도에서 절연층 두꼐는 투과된 광선이 간섭을 통해 서로 상쇄되도록 선택되는 단지 1개의 개별적인 절연층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영상으로 진행하는 광이 편광될 때, 특히 간단한 방법으로 반사막의 장점이 또한 실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상의 막은 편광 막이거나 부분 편광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막은 제2영상으로 부터 떨어진 측면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막이 제1영상으로부터 떨어진 측면에서 사용되면, 시트의 정면 및 배면상에서 다른 반사에 의해 발생되는 이중 영상이 유리하게도 방지된다. 따라서, 영상이 특히 분명하게 나타나므로 제1 영상의 광도는 이러한 다른 실시예로 인하여 관측자에게 최적이 된다. 또한, 더 분명한 영상은 운전의 부담을 감소시키므로 감소된 피로로 인하여 운전의 안전성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막은 다수의 독립적인 층으로 된 복합물이다. 다수의 개개 층이 설치될 때, 반사율 성질은 광원의 광역파장 스팩트럼에 맞추어질 수 있다. 복합물은 예를 들면 전면 유리의 복합 유리로 제조 기술에 관하여 특히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막이 배치되므로 제2영상의 광이 방해없이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를 위한 주위 시야에 영향이 없게 된다. 이것은 좋지 않은 광 조건으로 인하여 안전성이 저하되는 야간운전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추가적인 막으로 주위의 입사광이 약화되지 않아야 한다.
여러 번 상술한 막은 예를 들면 전면 유리 그 자체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설계의 결정 때문에 및 운전중에 가능한 한 최저 공기 마찰 손실을 위해, 전면 유리의 형상이 만곡되어 있으므로, 제1영상은 상기 만곡으로부터 생기는 일그러짐이 일반적으로 교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일그러짐은 예를 들면 제1영상의 적당한 표시로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특수한 시트가 설치되며 상기 시트는 전면 유리 및 자동차 운전자 위치 사이의 자동차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의 형태는 제1영상을 나타내기 위해 적절한 크기가 된다. 특히, 특수한 제조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평면 시트는 경제적인 것이 유리하다.
전면 유리의 불필요한 반사 및 광 손실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전면 유리 및 자동차 운전자의 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또한, 시트는 자동차의 내부에 또한 배치된다. 이것은 어떠한 기상조건에서도 시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다른 장점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시트가 자동차의 외부에 배치될 경우, 안개의 응축물 또는 부착되는 빗방울은 제1영상의 시야를 매우 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은 3개의 상이한 파장의 광선을 방사한다. 따라서, 색 영상은 제1영상에 또한 표시될 수 있으므로, 정보의 내용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제1영상에 표시된 정보가 특히 기술적으로 충족되는 방법으로 설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추가적인 정보에 의해 발생되는 신경의 피로가 감소되므로 운전 경험을 향상시키고 운전의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색 표시 예를 들면 적색은 경고 신호 및 예를 들면 운전자에게 좋은 녹색은 정적인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독일 교통규칙에 따른 청색 표시는 상향등이 스위치 온되는 것을 나타내며,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제1영상 내에서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광학 시스템은 투명한 시트 및 제1영상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종류의 광학 시스템은 먼 거리에서 허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것은 운전자의 눈에 적합해지거나 또는 조절을 위해 특히 유리하다. 특히, 허상은 제1영상이 광학 시스템의 물체 측면 초점 길이 내에 영상화되는 유리한 방법으로 먼 거리에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 도면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제2도는 제1영상이 산란 시트상의 매트릭스에 도시되는 실시예의 개략도이며; 제3도는 색상을 갖는 제1영상의 개략도이며; 제4도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매트릭스가 사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제5도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및 편광 필터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제6도는 색상을 갖는 제1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매트릭스에 적합한 기본적인 배치를 도시하며;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례로 배치되는 2개의 이동가능한 거울을 사용하여 영상 생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제8도는 내부 반사막을 갖는 전면유리를 도시한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는 제어 장치(1)를 가지며, 상기 제어 장치(1)는 심볼 표시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 장치(1)의 출력부는 전자 제어 장치(2)의 입력부와 연결되며, 상기 전자 제어 장치(2)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선(4)을 생성시키기 위한 광원(3)을 구동하거나 제어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은 시각 감도의 최대 파장을 갖는 광을 생성시키기 위해 주파수 변환을 갖는 다이오드 펌핑 고체 레이저이다.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선(4)은 산란 시트(6)의 방향으로 반사되어 거울(5)과 충돌한다. 거울(5)은 광선의 편향을 위해 2개의 축 주위에서 선회가 가능하다. 대응하는 회전각은 ω 및 ф로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다.
각 ω 및 ф로 실시되는 선회운동은 제어 장치(1)로 동일하게 제어된다. 제어 장치(1)의 구조 형태에 따라 영상은 상기 종류의 장치와 함께 상이한 방법으로 산란 시트(6) 상에서 생성될 수 있다. 거울(5)은 산란 시트(6) 상에서 일정한 래스터 주사로 광선을 이동시키고 광선(4)의 강도가 전자 제어 장치(2)로 제어되는 방법으로 상기 제어 장치(1)가 구성될 경우, 예를 들면 텔레비젼 수상관의 영상 스크린상에 전자빔을 갖는 텔레비젼 기술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영상은 래스터 주사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광선(4)의 강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구조 또는 형태는 거울(5)의 이동으로 산란 시트(6)상에 투영된다. 광선의 강도는 한 구조로부터 다른 구조로 이동하는 동안만 약해진다. 상기 구조는 예를 들면 선그림 그래픽(vector graphics)의 형태로 산란 시트상에 도시된다.
물체의 측면에 초점(7)을 갖는 광학 시스템(8)은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에서 허상으로 산란 시트(6)상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산란 시트(6)는 광학 시스템(8)의 초점 길이 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학 시스템(8)으로부터 나오는 광은 반사막(9)과 충돌하므로 생성된 영상은 위치(10)에서 실질적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반사막(9)은 자동차의 전면 유리(11) 내부에 배치된다. 관측자의 눈(12)이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관측자는 이때 시야내에 위치된 주위 환경이외에도 전면 유리 뒤에 있는 허상(10)을 볼 수 있다. 상기 반사막(9)은 광원(3)의 파장내에서만 실질적으로 반사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위치(12)에서의 관측자는 또한 주위 환경의 시야에 방해를 받지 않고 위치(10)에서의 허상은 상기 시야에 포함된다.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원(3)의 광선 때문에, 위치(10)에서의 허상이 분명히 보여지는 범위는 산란 시트(6)의 산란 특성에 의해 실질적으로 주어진다. 이것은 제 1 광선(4)의 산란과 관련하여 설계되므로 위치(10)에서의 영상은 운전자의 일반적인 머리 이동의 범위에서만 시각적으로 유리하게 알 수 있다.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선의 확장은 산란 시트(6) 및 그것의 다음에 있는 광학 시스템(8)을 고려하여 최대 30 내지 50 c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제로 전체 광선(4)은 광선의 전체 강도로 운전자에게 향하게 된다. 초과된 각 범위에 대한 광 손실이 최소로 감소된다. 실제로, ±7°보다 작거나 또는 동일한 광선의 확장으로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
운전자의 눈(12) 근처에서 더 강한 광도가 요구된다면, 산란 시트(6)는 광선의 더 작은 각 발산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장치를 제조하거나 또는 조절될 수 있는 직류 전압을 갖는 제어 장치(1)를 지나 거울(5)의 경사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이한 크기 및 상이한 착석 위치의 운전자를 위해 최적의 강도로 허상이 보이도록 위치(12)에서의 운전자는 허상(10)을 운전자 머리의 최적 영역으로 가져다 줄 수 있다.
확장으로 표시된 변수로부터 광선(4)을 평행하게 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는 것을 또한 즉시 알 수 있다. 따라서, 고강도의 발광 다이오드는 레이저 대신 광원(3)으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부품에서 광은 장벽층에서 본질적으로 발생하므로, 이것은 본래 점광원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출력부의 광선은 렌즈, 오목 거울 또는 콜리메이터에 의해 적절한 방법으로 평행하게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광원(3)을 위해 레이저를 선택하는 것은 전면 유리(12)에서의 반사와 관련하여 장점을 또한 갖는다. 실시예에 있어서, 직선으로 편광되는 광선(4)은 표시된 레이저로 발생된다. 반사막(9)은 편광자로 형성되며 편광자의 직선 편광 방향은 산란 시트(6)에 의해 발생된 모든 광이 운전자 머리의 영역에서 반사되는 방법으로 선택된다. 최적의 광도를 달성하는 것 이외에도, 반사막(9)의 편광 특성은 전면 유리에서 반사가 방지되어 허상이 더 확실히 보여지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고강도를 달성하고 비용을 줄이기 위해 반사막(9)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장치는 광학 시스템으로부터 나오는 광선이 대략 브루스터 각에서 전면 유리(11)상에 충돌하는 방법으로 또한 배치될 수 있다. 충분히 공지된 바와 같이, 편광되는 광선의 반사율은 적당한 편광 방향에서 최대이다. 따라서, 반사막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제1도에 있어서, 전면 유리(11)는 평면으로 도시된다. 따라서, 영상(6)은 일그러짐없이 위치(10)에 도시된다. 그러나, 전면 유리는 일반적으로 굴곡되어 있다.
일그러짐이 전면 유리(11)에서 거울의 반사에 의해 소멸되는 방법으로 산란 시트(6)상의 영상이 왜곡된다는 점에서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일그러짐은 제어 장치(1)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위치(10)에서 허상의 상이한 영상 범위에서 분해능을 변화시킨다.
그러나, 이것 대신으로,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편평한 전면 유리(11)의 특성으로 동일한 장점을 갖는 영상 특성이 나타나는 전면 유리(11) 및 운전자사이의 편평한 시트를 배치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반사막(9)은 이것이 전면 유리(11)에 적용되었는지 분리 시트에 적용되었는지에 관계없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시트 그 자체의 다중 반사는 상당히 성가신 다른 허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광학의 다른 적용예에 공지된 것과 같이, 반사막은 소위 막 또는 유전체 거울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파장이 상기 막에 의해 반사될 경우, 파장 또는 광원(3)의 파장에 적합한 다수의 개개 층에 형성된 복합물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하나, 여기에서 산란 시트(6)상의 영상 디스플레이는 상이하다. 제 2 도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은 래스터 매트릭스로 생성된다.
다른 실시예는 제 2 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광선(4)이 대응적으로 확장될 경우, 예를 들면 광원(3)이 병렬 광학 시스템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일경우, 액정 표시 장치 매트릭스는 산란 시트(6)의 면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광선(4)이 이미 편광되었다면, 실제로 모든 광은 액정 표시 장치 매트릭스에 의해 광선(4)으로서 동일한 편광을 갖는 점으로 통과되는 것이 허용되며, 영상 디스플레이는 잘 공지된 방법으로 매트릭스에서 상이한 세그먼트에 인가된 전압과 함께 상이한 편광 방향에 의존한다.
제3도는 제1도와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것의 경우에, 광원(3)은 광원(13)으로 대체된다. 적, 녹 및 청색을 갖는 3개의 레이저가 광원(13)내에 배치된다. 레이저로부터 나오는 광선은 광선 결합 장치(14)에 의해 개개의 평행한 광선(15)으로 재결합된다. 영상 생성은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르. 달성된다. 예를 들면, 레이저 TV 기술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다이크로익 거울은 상이한 색상의 광선을 결합하기 위한 광선결합 장치(14)에 배치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독립적인 광선(4) 또는 광선 결합 장치(14) 및 편향 거울(5)이 없다. 산란 시트(6) 대신, 제4도에서, 레이저 다이오드 매트릭스(18)가 광학 시스템 및 조합 초점(7) 사이에 배치된다. 영상 생성은 매트릭스에 대응하는 영상점에서 독립적인 레이저 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제4도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매트릭스에서 독립적인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도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17)는 동일한 구성내에서 통합 매트릭스 장치와 함께 통합된다.
유사한 실시예가 제 5 도에 또한 도시된다. 이러한 경우에, 통합 전자 제어 장치(16)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매트릭스(15)는 레이저 다이오드 매트릭스(18)의 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매트릭스가 선택되어 본 발명에 따라 요구되는 확장은 구성에 기초가 된 매트릭스에 독립적인 발광 다이오드의 최대 광도로 주어진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발광 다이오드는 약간 상승한 부분이 발광 다이오드에 적합한 렌즈로 형성되는 포일(foil) 또는 시트가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 매트릭스에 걸쳐 배치되는 곳에 또한 사용되며, 광학 시스템으로 인하여 광선의 윤곽 변화와 함께 나오는 광선의 확장은 충분히 작아서 광의 필수 구성 요소가 운전자의 머리 이동으로 접근 가능하게 제조된 범위내에 놓이는 방법으로 상승한 부분의 치수가 정해진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 매트릭스(15)에서, 편광되는 광에 의해 제공되는 장점은 편광 필터(19)가 발광 다이오드로 진행하는 광선의 광 경로에 배치되든 않되든간에 상실되지 않는다. 제 5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편광 필터(19)는 광학 시스템(8) 및 발광 다이오드 매트릭스(15)사이에 삽입된다.
원칙적으로, 발광 다이오드 매트릭스(15) 및 레이저 다이오드 매트릭스(18)는 광원 매트릭스와 관계가 있다. 제6도의 실시예는 색 영상을 얻기 위해 이러한 광원 매트릭스가 얼마나 형성되어야 하는지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제어 장치(26)와 함께 통합되는 광원 매트릭스(20)는 TV에서 적,녹 및 청 화소를 위한 표시 R, G, B에 대응하는 R, G, B에 의해 표시되는 상이한 파장을 갖는 상이한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 다이오드의 파장에 대응하는 상이한 셰이딩(shading)을 사용하여 제6 도에 도시된다.
색 영상이 표시되는 것에 의해 상이한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의 가능한 배치가 제6도에 도시된다.
제1도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5) 대신으로, 2개의 독립적인 거울(22,23)이 2개의 축 주위에 일반적인 경사로 또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실시예는 제7도에 도시된다. 일정한 주사를 위해, 다각형 거울은 라인 주사를 위한 거울(22) 또는 거울(23) 중 1개 대신으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각형 거울은 거울의 관성으로 인하여 매우 일정한 래스터 주사를 일반적으로 보장한다.
제8도는 반사막(9)이 그, 자체의 전면 유리(11)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안에 통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술한 반사막은 주로 매우 얇은 막이므로, 전면 유리로 구성된 복합 유리(11) 내에 이러한 종류의 설치는 제8도에 도시된 얇은 막(24)의: 보호를 보장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막(24)은 광선(4)의 전반사를 위한 얇은 막으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편광에 의존하는 방법으로 반사되는 막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이 많은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는 것을 명백히 보여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질적인 요소는 최대 광도가 광선에 대해 약간의 확장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야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선으로 인하여 발생된다는 것에 있다.

Claims (44)

  1. (2회 정정) 제1영상(6,15,18,20)으로 진행하는 빛(4,15)이 반사되고 제1영상 및 제2영상이 동일한 시각에서 관찰자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투명한 시트(11)를 통하여 볼 수 있는 제1영상(6,15,18,20)을 제2영상에 나타내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선을 생성시키는 적어도 1개의 레이저 광원(3,13,15, 18, 20); 상기 레이저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광선을 수용하고 상기 제1영상을 형성하는 광선을 두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래스터 주사를 수행하는 적어도 1개의 거울(5,22,23);및 광이 관찰자의 머리 위치에서 50cm 보다 작고 관찰자의 머리 크기보다 큰 광선의 확장을 초래하는 확장을 갖는 광선으로서 제1영상(6,15,18,20)으로 진행하도록 래스터 주사에 관한 거울 및 광선의 강도에 관한 레이저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2회 정정)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거울(22,23)은 편향 장치에 의해 2개의 경사 방향으로 각도가 독립적으로 조절되므로, 제1영상(6,15,18,20)은 선그림 그래픽으로 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삭제)
  9. (2회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거울(22,23)은 일정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다각형 거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2회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원(3)은 레이저 다이오드이거나 또는 펌프 소스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레이저 광원은 다이오드 펌핑 고체 레이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정정) 제13항에 있어서, 주파수 변환 장치는 다이오드 폄핑 고체 레이저를 위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제1영상(6,15,18,20)으로 진행하는 광은 편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정정) 제15항에 있어서, 편광 필터(19)는 편광을 위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2회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원(3,13)은 편광을 방출하는 레이저이거나 또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2회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원(3,13)은 제1영상에 의해 방출되는 광이 브루스터 각에서 투명한 시트(11)와 충돌하는 방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2회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시트(11)는 제1영상(6,15,18,20)이 완전히 반사되는 막(9,24)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2회 정정)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막(9,24)은 유전체 층이거나 또는 제1영상(6,15,18,20)을 완전히 반사시키는 유전체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정정)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막(9,24)은 편광 막이거나 편광 부분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2회 정정)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9,24)은 제2영상에서 떨어진 투명한 시트(11)의 측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정정)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9,24)은 다수의 개개 층으로 된 복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2회 정정)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9,24)은 제2영상의 빛을 방해없이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2회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시트(11)는 전면 유리 및 자동차 운전자 위치 사이의 자동차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2회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원(13,20)은 3개의 상이한 파장의 광선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2회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영상 광학 시스템(8)은 투명한 시트(11) 및 제1영상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2회 정정) 제27항에 있어서, 실상은 광학 시스템(8)의 물체 측면 초점 거리 내에서 생성될 수 있고 제1영상(6,15,18,20)으로서 투명한 시트(11) 상에서 반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KR1019970704090A 1995-10-27 1996-09-13 투명한시트를통하여보이는제2영상에제1영상을나타내기위한장치 KR100300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40108A DE19540108C2 (de) 1995-10-27 1995-10-27 Vorrichtung zur Darstellung eines ersten Bildes in einem durch eine durchsichtige Scheibe sichtbaren zweiten Bild
DE19540108.5 1995-10-27
PCT/EP1996/004041 WO1997016757A1 (de) 1995-10-27 1996-09-13 Vorrichtung zur darstellung eines ersten bildes in einem durch e ine durchsichtige scheibe sichtbaren zweiten bi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7000589A KR987000589A (ko) 1998-03-30
KR100300102B1 true KR100300102B1 (ko) 2001-10-27

Family

ID=777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090A KR100300102B1 (ko) 1995-10-27 1996-09-13 투명한시트를통하여보이는제2영상에제1영상을나타내기위한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864432A (ko)
EP (1) EP0800661A1 (ko)
JP (1) JP3146286B2 (ko)
KR (1) KR100300102B1 (ko)
CN (1) CN1166878A (ko)
BR (1) BR9607549A (ko)
CA (1) CA2205994A1 (ko)
DE (1) DE19540108C2 (ko)
IL (1) IL120934A (ko)
WO (1) WO1997016757A1 (ko)
ZA (1) ZA9688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7779A (ja) * 1997-09-22 1999-04-09 Sony Corp 多色光の変調増幅器及びこれを用いた投射型表示装置
DE19751707A1 (de) * 1997-11-21 1999-05-27 Bosch Gmbh Robert Anzeigevorrichtung
DE19852842C1 (de) * 1998-11-17 2000-09-07 Mannesmann Vdo Ag Für ein Kraftfahrzeug bestimmte Anzeigeeinheit
DE19858591A1 (de) * 1998-12-18 2000-06-21 Mannesmann Vdo Ag Projektionseinheit
US6262848B1 (en) * 1999-04-29 2001-07-17 Raytheon Company Head-up display
AU1648100A (en) * 1999-10-09 2001-04-23 Lutz Richter Device for projecting information onto an inclined surface
DE10016817A1 (de) 2000-04-05 2001-10-18 Mannesmann Vdo Ag Farb-Head-up Display,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DE10036570B4 (de) * 2000-07-27 2004-07-15 Robert Bosch Gmbh Anzeigevorrichtung
US6897892B2 (en) * 2000-10-13 2005-05-24 Alexander L. Kormos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images for display in a vehicle
DE10057791A1 (de) * 2000-11-22 2002-05-29 A R T Gmbh Projektionseinheit mit Lichtemitterarray und Projektionsverfahren hierfür
DE10062723A1 (de) * 2000-12-15 2002-06-20 Siemens Ag Head-up Display
DE10119167A1 (de) * 2001-04-19 2002-12-05 Joachim Brandt Integration von Daten zur Handhabung von Fahrzeugen (Kraftfahrzeugen aller Art, Wasserfahrzeugen, Luftfahrzeugen, Kränen, Stablern und Containerbrücken) in der Frontscheibe, gültig insbesondere im Fahrbetrieb als auch im Stand
DE10135342C1 (de) * 2001-07-20 2002-10-31 Schneider Laser Technologies Projektionsanordnung
US6731435B1 (en) 2001-08-15 2004-05-04 Raytheo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with a head-up display
US6909408B2 (en) * 2001-12-20 2005-06-21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Mounting assembly for night vision display unit
US6789901B1 (en) 2002-01-04 2004-09-14 Raytheon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s for an operator of a vehicle
DE10215893C1 (de) * 2002-04-11 2003-10-23 Daimler Chrysler Ag Projektionseinrichtung und Projektionsverfahren
US6808274B2 (en) 2002-06-04 2004-10-26 Raytheon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deploying a mirror assembly from a recessed position
US6815680B2 (en) * 2002-06-05 2004-11-09 Raytheon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n image
DE10230652A1 (de) * 2002-07-08 2004-01-29 Carl Zeiss Smt Ag Optische Vorrichtung mit einer Beleuchtungslichtquelle
DE10238011A1 (de) * 2002-08-20 2004-03-11 GfM Gesellschaft für Medizintechnik mbH Semitransparenter Bildschirm für AR-Anwendungen
DE10251405A1 (de) * 2002-11-05 2004-05-19 Adam Opel Ag Head-Up Display für ein Kraftfahrzeug
JP2004184767A (ja) * 2002-12-04 2004-07-02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その導光板
DE10302387A1 (de) * 2003-01-22 2004-08-26 Siemens Ag Head-up-Display für den Einsatz in Kraftfahrzeugen
DE10344686A1 (de) * 2003-09-25 2005-05-25 Siemens Ag Head-Up-Display
DE10344687A1 (de) * 2003-09-25 2005-05-12 Siemens Ag Head-Up-Display mit einem mittels einer Lichtquelle beleuchtbaren TFT-Display zum Einsatz in Kraftfahrzeugen, Flugzeugen oder Schiffen
DE10344684A1 (de) * 2003-09-25 2005-05-25 Siemens Ag Head-Up-Display, insbesondere zum Einsatz in Kraftfahrzeugen
DE10359691A1 (de) * 2003-12-18 2005-07-14 Carl Zeiss Beobachtungssystem und -verfahren
US7131728B2 (en) * 2003-12-31 2006-11-07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utomotive application using a laser projection display
KR101220894B1 (ko) * 2004-02-04 2013-01-11 마이크로비젼, 인코퍼레이티드 주사-빔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 관련 시스템 및 방법
US7031067B2 (en) * 2004-03-10 2006-04-18 Motorola, Inc. Head-up display
DE102004013680A1 (de) * 2004-03-18 2005-10-20 Siemens Ag Lichtquelle für Bilderzeugungseinheit
DE502005007961D1 (de) 2004-10-26 2009-10-01 Volkswagen Ag Rückspiegel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12011A1 (de) * 2005-03-16 2006-09-28 Carl Zeiss Jena Gmbh Projektionseinheit für ein Head-Up-Display
DE102006004085A1 (de) * 2006-01-25 2007-08-02 Jenoptik Ldt Gmbh Projektionsanordnung für ein Head Up Display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FR2906505B1 (fr) * 2006-10-03 2008-12-12 Renault Sas Agencement d'affichage d'informations a l'interieur d'un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7007162A1 (de) * 2007-02-09 2008-08-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Hologaphisches Informations-Display
TWI339574B (en) * 2007-10-31 2011-04-01 Nat Applied Res Laboratories Color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JP4660584B2 (ja) * 2008-09-25 2011-03-30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及びその変速制御方法
EP2308712B1 (en) * 2009-10-06 2016-11-30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n operating state of a vehicle, in particular a rail vehicle, respective arrangement and rail vehicle comprising such an arrangement
WO2011091825A2 (fr) * 2010-01-27 2011-08-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Dispositif d'affich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955944B1 (fr) * 2010-01-29 2012-03-0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affichage d'informations sur le pare-brise d'une automobile
CN102640033B (zh) * 2010-10-01 2014-12-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装置、移动体以及控制装置
EP2511750A1 (en) * 2011-04-15 2012-10-17 Volvo Car Corporation Vehicular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2013061554A (ja) * 2011-09-14 2013-04-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を搭載した車両
DE102011082985B4 (de) * 2011-09-19 2023-04-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ead-Up Display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r Projektion eines Bildes
EP2761361B1 (de) * 2011-10-01 2017-04-26 Johnson Controls Automotive Electronics SAS Head-up-display mit mehreren projektionsebenen
GB2498715A (en) * 2012-01-20 2013-07-31 Bae Systems Plc Head up display providing two non-coincident virtual images
DE102012210808B4 (de) 2012-06-26 2018-05-17 Sypro Optics Gmbh Head-up Display und Projektionsoptik für ein Head-up Display
CN103513420A (zh) * 2012-06-27 2014-01-15 北京理工大学 基于全息光学元件的车载平视显示器投影准直中继光学系统
DE102012014447A1 (de) * 2012-07-21 2014-01-23 Daimler Ag Projektionsanordnung
DE102013001097A1 (de) 2012-08-10 2014-02-13 Johnson Controls Gmbh Head-up-Display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ead-up-Displays
DE102012020312A1 (de) * 2012-10-16 2014-04-17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Flurförderzeug mit einer Steuereinheit sowie einer Projektionseinrichtung
JP6052050B2 (ja) * 2013-05-14 2016-12-27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N103487942B (zh) * 2013-09-29 2016-08-10 惠州市华阳多媒体电子有限公司 一种hud亮度改善装置
JP6340807B2 (ja) 2014-02-05 2018-06-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表示装置及び移動体
CN103852893A (zh) * 2014-03-26 2014-06-11 李艳龙 一种基于激光光源的平视显示系统
JP6638198B2 (ja) * 2014-05-12 2020-01-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表示装置及び移動体
DE102015104085B4 (de) 2015-03-18 2024-03-28 Carl Zeiss Jena Gmbh Bildgebungseinrichtung und Vorrichtung zur Dateneinspiegelung
WO2016156614A1 (en) * 2015-04-03 2016-10-06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s and systems for augmented reality
US10302937B2 (en) 2015-08-07 2019-05-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ead-up display system and device
US11119315B2 (en) * 2015-10-15 2021-09-14 Maxell, Lt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JP6658410B2 (ja) * 2016-09-05 2020-03-04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11215819B2 (en) * 2016-11-11 2022-01-04 Nippon Seiki Co., Ltd. Head-up display
DE102017212367B4 (de) * 2017-07-19 2022-12-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nzeige des Verlaufs einer Trajektorie vor einem Fahrzeug oder einem Objekt mit einer Anzeigeeinheit sowie Kraftfahrzeug
EP3447590B1 (fr) * 2017-08-21 2020-07-22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Dispositif d'affichage holographique
CN110275295B (zh) * 2018-03-14 2022-09-16 蒋晶 衍射显示系统
JP6757910B2 (ja) 2018-03-29 2020-09-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移動体
JP6651139B2 (ja) * 2018-05-14 2020-02-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表示装置及び移動体
US10996481B1 (en) * 2019-11-19 2021-05-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ead-up display calibration
DE102020103964A1 (de) 2020-02-14 2021-08-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lickfeldanzeigevorrichtung mit einer Höhenversatz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2020103967A1 (de) 2020-02-14 2021-08-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lickfeldanzeigevorrichtung mit einem hellen energieeffizienten Backlight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3104A (en) * 1968-05-17 1970-10-06 Ibm Head-up display system
DE2633067C2 (de) * 1976-07-22 1986-07-1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uenchen Einrichtung zur optischen Anzeige eines veränderlichen Sicherheitsabstandes eines Fahrzeuges
NO155120C (no) * 1980-01-22 1987-02-18 Elliott Brothers London Ltd Observasjonsanordning.
DE3328226A1 (de) * 1983-08-04 1985-02-2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Einrichtung zur optischen anzeige eines veraenderlichen sicherheitsabstandes eines fahrzeuges
US4613200A (en) * 1984-07-09 1986-09-23 Ford Motor Company Heads-up display system with holographic dispersion correcting
US4711544A (en) * 1985-04-12 1987-12-08 Yazaki Corporation Display system for vehicle
DE3822222A1 (de) * 1988-07-01 1990-01-04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fuer head-up-displays an kraftfahrzeugen
US4740780A (en) * 1985-06-24 1988-04-26 Gec Avionics, Inc. Head-up display for automobile
FR2584843B1 (fr) * 1985-07-12 1989-02-24 Sfena Appareil de visualisation a champ etendu dans lequel l'image est formee par la juxtaposition d'au moins deux images partielles
IL79391A (en) * 1985-08-14 1994-06-24 Hughes Aircraft Co Non-spherical patch with a stepped key and a display system that uses it
DE3532120A1 (de) * 1985-09-10 1987-03-19 Ver Glaswerke Gmbh Windschutzscheibe mit einer reflektierenden einrichtung zur einspiegelung von optischen signalen in das gesichtsfeld des fahrers
DE3532301A1 (de) * 1985-09-11 1987-03-12 Arlice Ag Einrichtung zur optischen anzeige von betriebszustaenden eines kraftfahrzeuges oder dergleichen an der windschutzscheibe desselben
DE3701359A1 (de) * 1987-01-19 1988-07-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nzeigevorrichtung fuer eine variable betriebsgroesse von kraftfahrzeugen
DE3712663A1 (de) * 1987-04-14 1988-10-27 Holtronic Gmbh Anzeigesystem zum moeglichst akkommodationsfreien ablesen von informationen bei auf fernsicht eingestelltem auge
DE8715025U1 (ko) * 1987-07-30 1988-01-28 Tsai, Tony, Taipeh/T'ai-Pai, Tw
DE3735124A1 (de) * 1987-10-16 1989-05-0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ildwiedergabeeinrichtung fuer kraftfahrzeuge
US4889780A (en) * 1988-03-14 1989-12-26 Hughes Aircraft Company Multiple exposure hologram for minimizing crosstalk
US5162928A (en) * 1988-11-02 1992-11-10 Canon Kabushiki Kaisha Head-up display apparatus
DE3929842A1 (de) * 1989-09-08 1991-03-14 Vdo Schindling Anzeigeeinrichtung fuer fahrzeuge
EP0422583A3 (en) * 1989-10-09 1991-12-11 Asahi Glass Company Ltd. Combiner for head-up display and glass with durable reflective coating
US4973132A (en) * 1989-10-27 1990-11-27 Hughes Aircraft Company Polarized holographic heads up display
FR2655742B1 (fr) * 1989-12-12 1992-01-17 Sextant Avionique Dispositif optique pour la visualisation de donnees lumineuses collimatees a l'infini.
DE4102678A1 (de) * 1990-02-08 1991-08-14 Smiths Industries Plc Headup-anzeigevorrichtung
JPH03114433U (ko) * 1990-03-09 1991-11-25
US5194989A (en) * 1990-05-07 1993-03-16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Dielectric combiner including first and second dielectric materials having indices of refraction greater than 2.0
JPH0751390Y2 (ja) * 1990-05-17 1995-11-22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GB2244569A (en) * 1990-06-01 1991-12-04 Delco Electronics Corp Image source for head-up display
JP2546188Y2 (ja) * 1990-08-07 1997-08-27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US5227769A (en) * 1991-05-23 1993-07-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Heads-up projection display
IT1256343B (it) * 1991-08-20 1995-12-01 Ppg Industries Inc Parabrezza automobilistico per un sistema di visualizzazione a testa eretta
JP2587676Y2 (ja) * 1992-01-07 1998-12-24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US5200844A (en) * 1992-05-22 1993-04-06 Kaiser Aerospace & Electronics Corporation Color head-up display system
JP3351474B2 (ja) * 1992-06-18 2002-11-25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3313182B2 (ja) * 1993-04-21 2002-08-12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US5486840A (en) * 1994-03-21 1996-01-23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Head up display with incident light filter
US5576886A (en) * 1994-08-08 1996-11-19 Mcdonnell Douglas Corp. Hud with a spectral contour dielectric comb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10069A (ja) 1998-09-29
IL120934A0 (en) 1997-09-30
BR9607549A (pt) 1998-07-07
EP0800661A1 (de) 1997-10-15
KR987000589A (ko) 1998-03-30
US5864432A (en) 1999-01-26
CA2205994A1 (en) 1997-05-07
CN1166878A (zh) 1997-12-03
ZA968870B (en) 1997-05-27
JP3146286B2 (ja) 2001-03-12
DE19540108C2 (de) 1998-08-06
WO1997016757A1 (de) 1997-05-09
DE19540108A1 (de) 1997-04-30
IL120934A (en) 2000-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102B1 (ko) 투명한시트를통하여보이는제2영상에제1영상을나타내기위한장치
US1197722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data projection
US6359737B1 (en) Combined head-up display
US7777960B2 (en) Wide field of view head-up display system
US4613200A (en) Heads-up display system with holographic dispersion correcting
KR100206688B1 (ko) 천연색 홀로그래픽 헤드 업 표시 장치
JP7081021B2 (ja) 情報表示装置
US8804247B2 (en) Transmissive display device
EP0436662B1 (en) Head-up display
US4973139A (en) Automotive head-up display
US4652870A (en) Display arrangements for head-up display systems
WO2005054929A2 (en) Vehicle display system
CN103003736A (zh) 显示器,尤其是车辆的平视显示器
JP6940361B2 (ja) 情報表示装置
JP2022020704A (ja) 情報表示装置
JP4452613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表示システム
CN217821128U (zh) 多视角浮空投影器
CA2110075A1 (fr) Systeme de visualisation monte sur casque
RU2371745C2 (ru)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на лобовом стекл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8824979U (zh) 抬头显示装置及交通设备
JP6907488B2 (ja) 光源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物体装置
CN117348272A (zh) 多视角浮空投影器
KR19980014603A (ko) Hud 광학 시스템에 있어 상 왜곡방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