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048B1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048B1
KR100299048B1 KR1019980022868A KR19980022868A KR100299048B1 KR 100299048 B1 KR100299048 B1 KR 100299048B1 KR 1019980022868 A KR1019980022868 A KR 1019980022868A KR 19980022868 A KR19980022868 A KR 19980022868A KR 100299048 B1 KR100299048 B1 KR 10029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cuum cleaner
rotary
main body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085A (ko
Inventor
가즈요시 요시미
이사오 요네다
나오키 스에쓰구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07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2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means for connecting a ho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45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tub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기본체와, 청소기본체에 접속되는 호스와, 호스에 접속되는 지주용파이프와, 지주용파이프에 접속되는 흡입구로 이루어진 전기청소기.
상기한 흡입구에 주행용차륜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한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에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고착시키고, 청소기본체의 지주용파이프에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흡입구의 차륜으로 청소기본체를 주행시키는 구성으로 했다.
흡입구의 차륜으로 청소기본체를 주행시키므로써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청소기본체의 외관을 개량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청소하는 장소에 따라 변형가능한 전기청소기로서 청소기본체가 지주용파이프에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고착되므로서 직립식(up right)으로서의 사용상태나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겸용형의 전기청소기가 일본국 실개평 4-80455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한 종래의 겸용형의 전기청소기는 도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31)와 호스(hose)(40)와 지주용파이프(32)와 로터리벤드(rotary bend)(33)와 흡입구(34)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요소를 순차로 접속하므로서 청소기본체(31)와 지주용파이프(32)가 분리된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가 된다.
또 로터리벤드(33)는 흡입구(34)[또는 흡입구(34)에 접속된 로터리파이프(도시생략)]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하게 접속되어있다. 더욱이 청소기본체(31)의 하면측에 형성된 오목부(35)에 대해서 지주용파이프(32)의 외면에 돌출설치된 돌기(36)를끼워맞추므로서 청소기본체(31)의 하면을 지주용파이프(32)에 고착시키면 도21에 나타내는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로 변형할 수가 있다.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청소기본체(31)는 지주용파이프(32)에 의지하고 있고 흡입구(34)상에 맞닿아 있다.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호스(40)는 상단이 지주용파이프(32)의 후면측의 그립(grip)(37)의 거의 아래의 위치에 접속되고 중간부분이 지주용파이프(32)의 측면쪽으로 돌아가고 하단이 지주용파이프(32)의 전면측의 청소기본체(3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31a)는 청소기본체(31)의 하단후면부에 있어서의 후차륜(38)이 접속되는 부분이다. 또 청소기본체(31)의 하면의오목부(35)는 청소기본체(31)의 전후방향에 따라 적어도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35)에 각각 대응하도록 지주용파이프(32)의 상하방향에 따라 복수의 돌기(36)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직립상태에서는 흡입구의 전후차륜과 청소기본체의 후면차륜(38)이 접지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 구성에서는 6개의 차륜이 동시에 접지되기 때문에 청소조작시에 주행방향의 변경이 행하기 어렵고 청소작업성이나쁘고 지주용파이프로부터 청소기본체를 떼어낸 상태에서는 청소기본체의 후면차륜(38)이 후방으로 크게 돌출하고 볼품이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 종래의 전기청소기는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로터리벤드(33)가 흡입구(34)에 대해서 회전할 수가 있다. 더구나 지주용파이프(32)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는 청소기본체(31)의 무게중심이 회전축(즉, 로터리벤드 33과 흡입구 34와의접속부분(39)에 있어서의 중심축이 대응한다)보다도 위에 있다.
이때문에 지주용파이프(32)및 로터리벤드(33)를 흡입구(34)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도16의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하면 지주용파이프(32)의 상부의 그립(37)을 잡고 있는 손에 대해서 항상 회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며 대단히 불안정하게 되고, 그 결과, 조작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로터리벤드(33)를 흡입구(34)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도록 미리 고착시킨 구조로 하면 상기한 문제는 해소되지만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 로터리벤드(33)를 바닥면에 대해서 평행이 되기까지 회전시킨 상태에서 흡입구(34)를 침대의 아래 등의 좁은 간격에 쳐넣는 등의 사용이 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제한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시 또 도21에 나타내는 종래의 전기청소기에서는 청소기본체(31)를 지주용파이프(32)에 고정시키는 경우, 상하로 나란히있는 복수의 돌기(36)를 오목부(35)에 동시에 끼워맞추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부착·이탈시키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청소기본체를 부착·이탈시키는 도중에 하면측의 돌기(36)만이 오목부(35)에 끼워맞추어진 상태로 되었을 때에 청소기본체(31)의 전면측이 지주용파이프(32)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청소기본체(31)의 안정성이 나빠진다고 하는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종래의 전기청소기는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호스(40)의 상단부근의 부분이 그립(37)의 아래로부터 지주용파이프(32)의 후방으로 돌출해 있다.
이 때문에 호스(40)가 사용자에게 스치는 것과 같이 닿아서 사용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청소기본체의 외관을 개량한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청소기본체의 하중을 받는 로터리벤드가 흡입구측의 로터리파이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더구나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일 때에는 회전이 허용되므로서 사용범위가 제한되지 않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또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에 부착·이탈이 용이한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청소기본체를 부착·이탈시키는 도중에 있어서의 청소기본체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또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호스가 사용자에게 접촉하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조작할 수가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직립식의 사용상태의 전
기청소기의 사시설명도
도2는 도1의 지주용파이프, 로터리벤드, 로터리파이프의 부분확대사시도
도3은 도1의 청소기본체의 하면을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4는 도1의 전기청소기의 직립식의 사용상태로 변형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
타내는 사시설명도
도5는 도4의 로터리벤드와 로터리파이프와의 사이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평
면설명도
도6은 도4의 로터리벤드를 바닥면에 대해서 평행이 되기까지 회전시킨 상태
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정면도
도7은 도4의 로터리벤드와 로터리파이프의 접속부분의 부분확대 단면설명도
도8(a)는 도7의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8(b)는 그 (a)의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9는 도1의 청소기본체 내부의 배기유로를 나타내는 단면설명도
도10은 도1의 청소기본체 측면부부근의 부분확대도
도11은 도1의 청소기본체 상부부근의 부분확대도
도12는 도1의 청소기본체를 다루기 쉬운 상태로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
내는 설명도
도13은 도1의 전기청소기를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변형해서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4는 도1의 지주용파이프와 로터리벤드와의 사이의 끼워맞춤방법을 나타내
는 지주용파이프의 축방향에 따른 단면설명도
도15는 도1의 지주용파이프와 로터리벤드와의 사이의 끼워맞춤방법을 나타내
는 지주용파이프의 반경방향에 따른 단면설명도이며, (a)는 끼워맞춤
후의 상태, (b)는 끼워맞춤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6은 도4의 크램프훅이 상향의 오목부에 끼워맞추기 직전의 상태를 나
타내는 단면설명도
도17은 도1의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의 전기청소기의 정면도
도18은 도1의 지주용파이프의 후면측에 간극노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지주용파이프의 부분확대도
도19는 도1의 그립의 부분확대 정면도
도20은 도19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
도21은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청소기본체
2. 지주용파이프
3. 로터리벤드
4. 로터리파이프
5. 흡입구
11,12,13. 평탄부
14. 회전잠금기구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본체에 접속되는 호스와, 호스에 접속되는 지주용 파이프와, 지주용 파이프에 접속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주행용 차륜을 구비하고, 상기 청소기 본체는 지주용 파이프에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고착됨으로써 청소기 본체가 지주용 파이프에 부착되었을때, 상기 청소기 본체는 흡입구의 차륜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본체에 접속되는 호스와, 호스에 접속되는 지주용 파이프와, 지주용 파이프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로터리 파이프와, 로터리 파이프에 접속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지주용 파이프에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고착됨과 동시에, 청소기 본체가 지주용 파이프에 장착되었을 때, 지주용 파이프에 대한 로터리 파이프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 규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또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는 (a) 청소기 본체와, (b) 청소기 본체의 흡입구에 접속된 지주용 파이프와, (c) 이 지주용 파이프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로터리 벤드와, (d) 이 로터리벤드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로터리 파이프와, (e) 이 로터리 파이프에 접속된 흡입구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지주용 파이프에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고착됨과 동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가 지주용 파이프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로터리 파이프에 대한 상기 로터리 벤드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규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잠금수단이 상기한 청소기본체에 형성된 평탄부와 로터리벤드에 형성된 평탄부와 상기한 로터리파이프에 형성된 평탄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로터리벤드의 평탄부 및 상기한 로터리파이프의 평탄부의 적어도 일부가 로터리벤드 또는 로터리파이프의 외부원주면으로부터 그 외부원주면의 대략 접선방향에 따라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회전잠금수단이 상기한 로터리벤드 및 로터리파이프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한 청소기본체에 상기한 돌기와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므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는 청소기본체와, 청소기본체에 접속되는 호스와, 호스에 접속되는 지주용파이프와, 지주용파이프에 접속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용파이프에는 청소기본체 후면부에 형성한 제1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 이탈이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제1의 걸어맞춤부와, 청소기 본체 전면부에 형성된 제2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 이탈이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제2의 걸어맞춤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지주용파이프의 제2의 걸어맞춤부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용파이프의 제2의 걸어맞춤부의 선단부분에 있어서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위로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지주용파이프의 제2의 걸어맞춤부를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힘을 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는 청소기본체와, 청소기본체에 접속되는 호스와, 호스에 접속되는 지주용파이프와, 지주용파이프에 접속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한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의 전방으로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고착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호스를 지주용파이프의 전방에서 청소기본체와 지주용파이프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주용파이프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지주용파이프의 전면측으로 굴곡되고 그 지주용파이프의 굴곡된 부분의 상단에 상기한 상단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지주용파이프의 굴곡된 부분의 후면측에 그립이 고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에서는 흡입구에 주행용 차륜을 설치하고 청소기본체의 지주용파이프에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흡입구의 차륜으로 청소기본체를 주행시키므로서 청소작업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는 로터리파이프에 대한 로터리벤드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잠금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로 변형하는 경우에 청소기본체를 로터리파이프의 소정의 위치에 맞닿게 하면 회전잠금수단이 로터리파이프와 로터리벤드와의 사이를 회전되지 않도록 잠금한다.
따라서, 지주용파이프 및 로터리벤드를 흡입구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할 수가 없다.
따라서 지주용파이프의 상부의 그립을 잡고 있는 손에 대해서 회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다.
또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변형하는 경우, 청소기본체를 로터리파이프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이탈시키는 것만으로 회전잠금수단에 의한 로터리파이프와 로터리벤드와의 사이의 회전의 잠금이 해제된다.
따라서,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 로터리벤드를 바닥면에 대해서 평행이 되기까지 회전시켜서 흡입구를 침대의 아래등의 좁은 간격에 쳐넣는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는 청소기본체의 전후의 단말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한편, 그 오목부에 대응하도록 지주용파이프등에 상하방향 및 더구나 상호 대향하는 볼록부(즉, 상향의 볼록부의 위에 하향의 볼록한 부가 있다)가 형성되어 있다.
더구나, 지주용파이프의 하향의 볼록부가 상하이동이 가능하다.
그러한 특징에 의해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를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로 변형하는 경우, 우선 청소기본체의 후단 하향의 오목부를 지주용파이프등에 있는 상향의 볼록부에 끼워맞추고, 그후 청소기본체의 전단부의 상향의 오목부를 지주용파이프의 예를들면 클램프훅(clamp hook)으로 된 하향의 볼록부에 끼워맞추면 된다.
반대로,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이탈시킬 때에는 전술과 역의 수순으로 실행하면 된다. 따라서 오목부와 볼록부의 끼워맞춤 및 분리를 1개소씩 순차로 행할 수가 있으므로 청소기본체의 부착·이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클램프축으로 된 하향의 볼록부를 밀어을리면 청소기본체는 상향의 볼록부와 끼워맞추어지는 후부단말의 오목부의 위치를 지지점으로 해서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전도되려고 한다.
이 경우, 청소기본체와 지주용파이프를 접속하기 위한 호스를 다시 또 구비하고 지주용파이프의 하향의 볼록부보다도 위의 위치에 상기한 호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호스 리테이너(hose retainer)가 배치되어 있으면 청소기본체는 호스 및 호스 리테이너에 의해 지주용파이프에 고정되므로 청소기본체의 전도를 방지할 수가 있다.
다시 또,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는 전기청소기 본체 및 지주용파이프의 상단 개방구가 지주용파이프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또한 전기청소기 본체와 상단 개방구와를 접속하는 호스가 전장에 걸쳐서 지주용파이프의 전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문에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호스가 지주용파이프의 후면측에 있는 사용자에게 닿는 일이 없고, 그 결과, 사용하기 쉽게 된다.
[실시예]
다음에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는 청소기본체(1)가 지주용파이프(2)에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고착되므로서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도1참조),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도13참조)및 청소기본체(1)만으로 사용하는 다루기 쉬운 상태(도12참조)로 사용할 수 있는 겸용형의 전기청소기이다.
도1~도8에 나타내는 전기청소기는 청소기본체(1)와 지주용파이프(2)와 로터리벤드(3)와 로터리파이프(4)와 흡입구(5)와 지주용파이프(2)의 상단 개방구(2a)와 청소기본체(1)의 흡입구(吸入口)(1a)를 접속하기 위한 호스(6)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구(吸入口)(5)에는 주행용차륜(W)이 설치되어 있고 전술한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에서는 주행용차륜(W)에 의해 전기청소기의 주행이 행해진다. 또 지주용파이프(2)의 상부에는 손으로 잡기 위한 그립(7)이 고착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주용파이프(2)의 하단 개방구(2b)에는 로터리벤드(3)의 상단개방구(3a)가 접속되어 있다. 지주용파이프(2)와 로터리벤드(3)의 사이는 전술한 C링(30)(도15참조)에 의해 회전이 되지 않도록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리벤드(3)의 하단 개방구(3b)에는 로터리파이프(4)의 상단개방구(4a)가 회전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로터리벤드(3)와 로터리파이프(4)의 사이에는 잠금편(8)(도8참조)에 의해 상호 회전할 수 있으나 부착·이탈이 되지 않도록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터리파이프(4)의 상부의 외부원주면에는 원주상의 홈(4b)(도7~8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로터리벤드(3)의 하부에는 대향하는 한쌍의 4각형개방구(3c)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홈(4b)과 4각형개방구(3c)를 연달아 통하도록 로터리벤드(3)와 로터리파이프(4)를 접속하고 (도8 b참조), 그후, 잠금편(8)의 설편(8a)을 홈(4b)내부에 배치되도록 잠금편(8)을 4각형개방구(3c)에 끼워맞주면 로터리벤드(3)와 로터리파이프(4)의 사이는 상호 회전할 수가 있으나 부착·이탈이 되지 않도록 접속된다.
도4~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리파이프(4)의 하단개방구(4c)에는 흡입구(5)가 접속되어 있다. 흡입구(5)는 로터리파이프(4)의 축방향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도록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로터리파이프(4)의 하단 개방구(4c)에 중공의 회전축(9)이 고착되고 회전축(9)의 양단이 흡입구(5)의 후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리파이프(4)는 흡입구(5)에 대해서 회전축(9)주위를 요동할 수가 있다.
도2~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1)의 하면(1b)은 지주용파이프(2)의 외면에 대해서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고착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착방법은 우선 청소기본체(1)의 하면(1b)의 후단에 형성된 도3에 있어서의 하향의 오목부(1c)(제1의 걸어맞춤부)를 로터리파이프(4)에 형성된 도2에 있어서의 상향의 볼록부(4d)(제1의 걸어맞춤부)에 끼워맞추므로서 도4와 같은 상태로 한다.
이어서, 청소기본체(1)를 지주용파이프(2)에 맞닿게 하므로서 청소기본체(1)의 하면(1b)의 전단에 형성된 도3에 있어서의 상향의 오목부(1d)(제2의 걸어맞춤부)에 지주용파이프(2)에 형성된 도2에 있어서의 하향의 클램프훅(10)을 끼워맞추면 도1과 같이 청소기본체(1)의 하면(1b)을 지주용파이프(2)의 외면에 고착시킬 수가 있다. 클램프훅(10)은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손잡이(1Oa)와 돌기부(1Ob)(제2의 걸어맞춤부)와의 사이를 한쌍의 연결판(1Oc)으로 연결하므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연결판(1Oc)은 압축코일 용수철(11)을 도16의 지면에 수직방향으로부터 끼우도록 각각 압축코일 용수철(11)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압축코일용수철(11)의 상단은 지주용파이프(2)에 고착된 용수철저지부(12)에 맞닿아 있다.
용수철저지부(12)는 상기한 한쌍의 연결판(10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혹(10)은 지주용파이프(2)에 고착된 커버(13)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의 전기청소기를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로 변형하는 경우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청소기본체(1)의 후단의 하향의 오목부(1c)를 로터리파이프(4)에 있는 상향의 볼록부(4d)에 끼워맞춘다.
그후, 오목부(1c)와 볼록부(4d)와의 끼워맞춤부분을 지지점으로 해서 청소기본체(1)를 회전시켜서 청소기본체(1)의 전단의 상향의 오목부(1d)를 지주용파이프(2)의 클램프훅(10)에 끼워맞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훅(10)의 돌기부(1Ob)에 있어서 지주용파이프(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위로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Od)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청소기본체(1)를 지주용파이프(2)에 맞닿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청소기본체(1)의 오목부(1d)의 단말가장자리(1f)가 경사면(1Od)에 접촉되면서 클램프훅(10)을 밀어올려 그후 돌기부(1Ob)의 전체가 단말가장자리(1f)를 완전히 타고넘었을 때에 오목부(1d)의 내부로 낙하한다. 그 결과, 오목부(1d)와 클램프훅(10)의 꺼워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1Od)을 갖는 예를 들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사면(1Od)이 없어도 해제손잡이(1Oa)를 수동으로 상하로 조작하면 오목부(1d)와 클램프훅(10)과의 끼워맞춤을 행할 수가 있다.
더구나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프축(10)이 압축코일용수철(11)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오목부(1d)와 클램프훅(10)과의 끼워맞춤을 보다 강고히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프훅(10)을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힘을 가하는 수단의 1예로서 압축코일 용수철(11)을 갖는 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기타의 힘을 가하는 수단으로서 고무등의 탄성부재를 사용해도 오목부(1d)와 클램프훅(10)의 끼워맞춤을 보다 강고히 할 수가 있다. 또한 힘을 가하는 수단을 갖고 있지 않아도 클램프훅(10)의 자중에 의한 낙하만으로도 오목부(1d)와 클램프훅(10)과의 끼워맞춤을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청소기본체(1)를 지주용파이프(2)로부터 이탈시킬 때에는 전술한 것과 역의 수순으로 클램프훅(10)의 해제손잡이(1Oa)를 위쪽으로 슬라이드시키므로서 클램프훅(10)을 오목부(1d)로부터 빼내고 이하 같은 모양으로 역의 수순으로 떼어내면된다. 따라서 상기한 오목부(1c)와 볼록한 부(4d)와의 사이 및 오목부(1d)와 클램프훅(10)과의 사이와의 끼워맞춤 및 분리를 1개소씩 순차로 행할 수가 있으므로 청소기본체(1)의 부착·이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청소기본체(1)를 지주용파이프(2)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클램프훅(10)을 밀어올리면 청소기본체(1)는 상향의 볼록부(4d)와 끼워맞추어지는 후단의 오목부(1c)의 위치를 지지점으로 해서 지주용파이프(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전도되려고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1)와 지주용파이프(2)를 접속하는 호스(6)를 지주용파이프(2)에 고정시키기 위한 호스리테이너(14)가 클램프훅(10)보다도 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호스(6)를 호스리테이너(14)에 의해 지주용파이프(2)에 고정시키므로서 호스(6)의 장력을 이용해서 청소기본체(1)의 전도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청소기본체(1)를 로터리파이프(4)의 소정의 위치에 맞닿게 했을때에 로터리파이프(4)에 대한 로터리벤드(3)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잠금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2~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1)의 하면(1b)측에 형성된 평탄부(11)와 로터리벤드(3)의 외면에 있어서의 로터리파이프(4)에 대한 접속부분 부근에 형성된 평탄부(12)와 로터리파이프(4)의 외면에 있어서의 로터리벤드의 평탄부(12)부근에 형성된 평탄부(13)로 구성되는 회전잠금기구(14)가 설치되어있다.
또,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리벤드(3)의 평탄부(12)및 상기한 로터리파이프(4)의 평탄부(13)의 적어도 일부가 로터리밴드(3)또는 로터리파이프(4)의 외부원주면으로부터 그 외부원주면의 접선방향에 따라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평탄부(12),(13)의 면적이 넓게 되어 있고 그 때문에 보다 간단히 또한 확실히 청소기본체(1)측의 평탄부(11)에 맞닿게 할 수가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기청소기는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로 변형하는 경우에는 오목부(1c)와 볼록부(4d)와의 사이의 끼워맞춤에 의해 청소기본체(1)를 로터리파이프(4)의 소정의 위치에 맞닿게 한다. 이것에 의해 로터리벤드(3)의 평탄부(12)및 로터리파이프(4)의 평탄부(13)의 어느 것이나 청소기본체(1)측의 평탄부(11)에 맞닿으므로서 로터리파이프(4)와 로터리벤드(3)와의 사이를 회전되지 않도록 잠글수가 있다.
따라서 지주용파이프(2) 및 로터리벤드(3)를 흡입구(5)에 대해 회전하도록 경사지게 할 수가 없게 된다. 그 결과, 지주용파이프(2)의 상부의 그립(7)을 잡고 있는 손에 대해서 회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다.
또 로터리벤드(3)가 로터리파이프(4)에 대해서 다소 뒤틀린 위치에 있어도 청소기본체(1)를 로터리파이프(4)에 맞닿게 할때에 평탄부(12)가 청소기본체(1)측의 평탄부(11)에 평행으로 따르도록 로터리벤드(3)가 정면을 향해서 로터리파이프(4)에 대한 뒤틀림을 자동적으로 수정하므로 클램프훅(10)이 청소기본체(1)의 상측의 오목부(1d)에 끼워맞추기 쉽게 된다.
한편,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변형하는 경우, 청소기본체(1)를 로터리파이프(4)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이탈시키면 평탄부(12),(13)가 평탄부(11)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로터리파이프(4)와 로터리벤드(3)와의 사이의회전의 잠금이 해제되고 자유로이 회전할 수가 있다. (도5 a,b참조)
따라서,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 도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리벤드(3)를 바닥면에 대해서 평행이 되기까지 90도정도 회전시키면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훌플래트의 상태가 되고 흡입구(5)를 침대의 아래등의 좁은 간격에 쳐넣을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일 때에 로터리벤드(3)와 로터리파이프(4)와의 사이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잠금수단으로서 평탄부(11),(12)및 (13)으로 된 회전잠금기구(14)를 예로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타의 형태의 회전잠금수단을 채용해도 되는것은 물론이다.
예를들면, 회전잠금수단의 다른 형태로서는 로터리벤드(3)와 로터리파이프(4)로부터 돌기를 형성하여 이 돌기를 청소기본체(1)에 형성한 오목한 곳에 끼워맞추는 형태를 채용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는 도9~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1)의 측면으로부터의 배기가스가 전술한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도1참조),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도13참조), 및 다루기 쉬운 상태(도12참조)의 어느 경우에도 사용자측으로 향하지 않도록 개량되어 있다.
종래에 ①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와 다루기 쉬운 상태겸용의 전기청소기, 또는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와 청소기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 겸용의 전기청소기등 1대로 2가지의 사용상태가 가능한 전기청소기는 존재하고 있고 이들은 적당한 위치에 적당한 배가방향의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①의 경우,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의 청소기본체 상부의 측면에 사용자측으로 향한 배기구가 형성되고 ②의 경우에는 청소기본체 하부전면에 사용자와는 반대측으로 향한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3가지의 사용상태가 가능한 전기청소기는 지금까지는 없고 상기한 ①,②의 경우의 어느 배기구를 적용해도 3가지의 사용상태의 어느 것인가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배기가스가 닿거나 배기가스로 먼지를 말아올린다고 하는 불합리함이 생긴다.
여기서, 그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9~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1)의 배기구(21)가 도10및 도12~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1)의 측면으로부터 보아서 경사지게 후방으로 경사진 슬릿(slit)형상이며, 또한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1)의 상면측으로부터 보아서 그 본체의 단면(청소기본체 1에 있어서의 수평단면)은 청소기본체(1)에 대해서 경사지게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더구나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1)의 내부의 배기유로는 전동기(22)의 후방으로부터 일단 청소기본체(1)의 후면으로 흐르고 돌아가게 해서 측면으로부터 배기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기(22)로부터 배기된 배기가스는 전동기(22)의 후방(도9에서 아래쪽)으로 흐르고 두길로 나뉘어서 청소기본체(1)의 외벽(1e)및 그 외벽(1e)과 전동기(22)의 사이에 형성된 리브(rib)(분리벽)(23)에 끼워진 공간부(24)로 흐른다.
공간부(24)에서는 배기가스가 반전해서 경사전방(도9에 있어서 경사지게 위쪽)로 배기된다.
그후, 경사전방으로 경사진 형상을 나타내는 안내리브(25)및 슬릿상의 배기구(21)에 의해 배기가스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전방으로 안내된다.
또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상의 배기구(21)는 청소기본체(1)의 측면으로부터 보아서 경사전방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개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화살표 B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를 경사지게 위쪽으로 배기한다.
따라서, 도1O~11의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배기가스는 도1O~11에 있어서 청소기에 대해 우측에 있는 사용자에게 닿지 않기 때문에 쾌적하게 사용할 수가 있고 더구나 바닥면의 먼지를 감아올리는 일도 없다.
또 도12의 다루기 쉬운 상태에 있어서 청소기본체(1)는 흡입구(1a)가 하향으로 되는 상태로 사용되지만, 배기가스는 도12에 있어서 청소기본체(1)에 대해서 우측에 있는 사용자에게 닿지 않기 때문에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바닥면의 먼지를 감아올리는 일도 없다.
다시 또 도13의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 청소기본체(1)는 흡입구(1a)의 방향이 수평이 되는 상태로 사용되지만, 배기가스는 도13에 있어서 청소기본체(1)에 대해서 우측에 있는 사용자에게 닿지 않기 때문에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바닥면의 먼지를 감아올리는 일도 없다.
또한 배기가스의 방향을 안내하는 배기구(21)를 청소기본체(1)(특히, 도9에 있어서의 하부부분)에 일체화하므로서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가 있다.
다시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2 및 도14~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주용파이프(2)와 로터리벤드(3)와의 사이 또는 기타의 파이프끼리나 파이프-호스간을 용이하게 부착·이탈될 수 있도록 벤드세트링(bend set ring)으로서 C링을 채용하고 C링을 지주용파이프(2)의 외면에 형성된 홈(25)에 항상 걸어맞춘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4~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위 C커트를 추가한 링인 C링을 사용하고 있다.
지주용파이프(2)에 로터리벤드(3)를 끼워맞출 때에 로터리벤드(3)가 C링(30)에 맞닿으므로서 C링(30)이 자동적으로 지주용파이프(2)의 표면으로부터 일단 떠오른 후, C링(30)이 갖는 탄성(용수철성)에 의해 복귀되는 동작을 할 수가 있다.
더구나, 그러한 C링(30)이 지주용파이프(2)의 외면에 흠(25)이 형성되고 홈(25)의 내부에 C링(30)이 항상 걸어맞추어져있다.
또 C링(30)의 내면측에는 볼록부(3Oa)가 형성되고 그러한 볼록부(3Oa)는 홈(25)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25a)을 통해서 지주용파이프(2)의 내부에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C링(30)은 지주용파이프(2)에 로터리벤드(3)를 끼워맞추는 때에 도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주용파이프(2)의 표면으로부터 일단 떠올라도 볼록부(3Oa)가 홈(25)내부에 걸리기 때문에 C링(30)이 지주용파이프(2)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다.
이상과 같은 C링(30)및 홈(25)을 갖는 구조에 의해 지주용파이프(2)에 로터리벤드(3)를 끼워맞추는 경우에는 도14(a)의 상태로부터 C링(30)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단지 로터리벤드(3)를 지주용파이프(2)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된다.
즉, C링(30)은 볼록부(3Oa)가 로터리벤드(3)의 외면에 압축되므로서 지주용파이프(2)의 표면으로부터 일단 떠오르고(도15b참조), 그후 볼록부(3Oa)가 로터리벤드(3)에 끼워맞추어지면서 C링(30)이 갖는 탄성에 의해 재차 지주용파이프(2)의 표면상으로 복귀되기 때문에 C링(30)을 손으로 잡는 일이 없이 파이프끼리의 끼워맞춤이 가능해진다.
한편, 지주용파이프(2)로부터 로터리벤드(3)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C링(30)을 손으로 잡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볼록부(3Oa)가 홈(25)내부에 걸리기 때문에 C링(30)을 완전히 지주용파이프(2)로부터 떼어내버리지 않고 로터리벤드(3)를 떼어낼 수가 있다.
도1및 도4에 나타내는 전기청소기에 있어서는 청소기본체(1)의 하면(1b)은 지주용파이프(2)의 전면측에 후술하는 고착방법으로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지주용파이프(2)의 상단개방구(2a)가 지주용파이프(2)의 전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청소기본체(1)와 지주용파이프(2)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호스(6)는 전장에 걸쳐서 지주용파이프(2)의 전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때문에 도1의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호스(6)가 지주용파이프(2)의 후면측에 있는 사용자에게 닿는 일이 없어지고 조작이 쉽게 된다.
또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주용파이프(2)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 예를들면 지주용파이프(2)의 상부의 벤드부(2b)가 지주용파이프(2)의 전면측으로 굴곡되고 지주용파이프(2)의 굴곡된 벤드부(2b)의 상단에 상단개방구(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상단개방구(2a)에 접속되는 호스(6)를 사용자로부터 보다 멀리 멀어지게 할 수가 있고 다시 또 사용하기 쉽게된다.
더구나 벤드부(2b)의 후면측에 그립(7)이 고착되어 있으므로 그립(7)을 손으로 잡기 쉽고 더구나 사용하기 쉽게 된다.
또한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청소기는 호스(6)가 청소기본체 및 지주용파이프(2)에 대해서 도17의 전기청소기의 정면으로부터 보아서 좌우대칭이 되도록 뻗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오른손잡이인 사람과 왼손잡이인 사람의 사이에서 사용의 용이성에 차이가 없어진다.
더구나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청소기는 청소기본체(1)의 내부구성 중, 전동기(22)등의 중량균형에 관한 것도 전기청소기의 정면으로부터 보아서 좌우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오른손잡이인 사람과 왼손잡이인 사람의 사이에 사용의 용이성의 차이가 없어진다.
또한 도9의 (21)은 청소기본체(1)의 외벽(1e)에 형성된 배기구멍, (23)은 리브, (24)는 공간부,(25)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변경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이다.
또 본 실시예의 전기청소기는 도1 및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효율이 양호한 공간활용 때문에 부속품의 수용부분도 개량하고 있다.
종래에는 공극노즐 등의 부속의 부속품은 본체 후면부를 오목하게 해서 형성된 수납부에 수납시키거나 본체나 그립부근에링상 또는 통상의 수납용의 별도부품을 부착시키거나해서 수납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본체 후면부에 수납시키면 부속품의 수납위치가 낮게 되어 부속품을 부착·이탈시킬 때마다에 몸을 쭈그려야하기 때문에 번거롭다.
한편, 수납용의 별도부품을 추가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새로이 공간도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도1 및 도l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코드(12)를 권취하기 위한 지주용파이프(2)의 후면측에 설치된 상대하는 한쌍의 코드랙(code rack)(11a),(11b)의 사이에 간격노즐(13)등의 부속품을 수납시키므로서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가 있다.
또 부속품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부품을 삭감시킬 수가 있고, 다시 또 그립(7)에 가까운 장소에 부속품 수납부를 설치하므로서 사용하기 쉽게 된다.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격노즐(13)의 하단을 코드랙(11b)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3각리브(14)에 걸어맞추고, 이어서 간격노즐(13)의 상단양측에 돌출된 반구상의 돌기(15)를 코드랙(11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3각리브(14)의구멍(14a)에 끼워맞추므로서 간격노즐(13)을 코드랙(11a),(11b)의 사이에 수납시킬 수가 있다.
또 코드랙(11a),(11b)의 사이의 지주용파이프(2)의 외면에 리브(16),(17)를 설치하므로서 간격노즐(13)과 지주용파이프(2)와의 사이에 간격을 확보할 수가 있고 그 간격을 확보하므로서 간격노즐(13)을 떼어내기 쉽게 된다.
또 도1과 같이 전기청소기를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전원코드(12)를 코드랙(11a),(11b)로부터 풀어서 사용된다. 이때 전원코드(12)는 사용자의 발밑부근에 뻗어서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19~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코드(12)를 그립(7)에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걸어맞추므로서 전원코드가 사용자의 방해가 되지않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립(7)내부에 전원코드(12)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돌기부(18)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한 돌기부(18)에 전원코드(12)를 걸어맞추므로서 도1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코드(12)는 그립(7)을 시발점으로 해서 루우프(loop)를 그리면서 착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밑을 방해하는 일이 없게 되고 사용의 편리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돌기부(18)는 그립(7)과 별도부재로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에 주행용차륜을 설치하고 청소기본체의 지주용파이프에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흡입구의 차륜으로 청소기본체를 주행시키므로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청소기본체의 외관을 개량할 수가 있다. 또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청소기본체의 하중을 받는 로터리벤드가 흡입구측의 로터리파이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그립을 잡는 손에 회전방향의 힘이 걸리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그 결과 조작이 용이해진다.
더구나,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일 때에는 로터리벤드와 로터리파이프와의 사이의 회전이 허용되므로서 흡입구를 침대의 아래등의 좁은 간격에 쳐넣는 등의 사용도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범위가 제한되는 일도 없다.
다시또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에 부착·이탈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대폭으로 사용하기 쉽게 된다.
또 호스를 갖는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호스리테이너의 위치를 청소기본체와 지주용파이프와의 상측의 끼워맞춤부분보다도 다시또 위에 배치하므로서 청소기본체를 부착·이탈시키는 도중에 있어서의 청소기본체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다시또 본 발명에 의하면 직립식으로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호스가 사용자에게 접촉하는 일이 없고 원활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더구나, 호스가 사용자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끼는 일이 없이 쾌적한 청소를 행할 수가 있다.

Claims (13)

  1.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본체에 접속되는 호스와, 호스에 접속되는 지주용 파이프와, 지주용 파이프에 접속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주행용 차륜을 구비하고, 상기 청소기 본체는 지주용 파이프에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고착됨으로써 청소기 본체가 지주용 파이프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청소기 본체는 흡입구의 차륜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2.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본체에 접속되는 호스와, 호스에 접속되는 지주용 파이프와, 지주용 파이프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로터리 파이프와, 로터리 파이프에 접속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지주용 파이프에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고착됨과 동시에, 청소기 본체가 지주용 파이프에 장착되었을 때, 지주용 파이프에 대한 로터리파이프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규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a) 청소기 본체와, (b) 청소기 본체의 흡입구에 접속된 지주용 파이프와, (c) 이 지주용 파이프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로터리 벤드와, (d) 이 로터리벤드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로터리 파이프와, (e) 이 로터리 파이프에 접속된 흡입구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지주용 파이프에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고착됨과 동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가 지주용 파이프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로터리 파이프에 대한 상기 로터리 벤드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규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잠금수단이, 상기한 청소기본체에 형성된 평탄부와, 로터리벤드에 형성된 평탄부와, 상기한 로터리파이프에 형성된 평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터리벤드의 평탄부 및 상기한 로터리파이프의 평탄부의 적어도 일부가 로터리벤드 또는 로터리파이프의 외부 원주면으로부터 그 외부원주면의 대략 접선방향에 따라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잠금수단이, 상기한 로터리벤드 및 로터리파이프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한 청소기본체에 상기한 돌기와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7. 청소기본체와, 청소기본체에 접속되는 호스와, 호스에 접속되는 지주용파이프와, 지주용파이프에 접속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용파이프에는 청소기본체 후면부에 형성한 제1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 이탈이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제1의 걸어맞춤부와, 청소기본체 전면부에 형성된 제2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 이탈이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제2의 걸어맞춤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용파이프의 제2의 걸어맞춤부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용파이프의 제2의 걸어맞춤부의 선단부분에 있어서,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위로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용파이프의 제2의 걸어맞춤부를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힘을 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1. 청소기본체와, 청소기본체에 접속되는 호스와, 호스에 접속되는 지주용파이프와, 지주용파이프에 접속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한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의 전방으로 부착·이탈이 가능하게 고착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호스를 지주용파이프의 전방에서 청소기본체와 지주용파이프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용파이프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지주용파이프의 전면측으로 굴곡되고, 그 지주용파이프의 굴곡된 부분의 상단에 상기한 상단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용파이프의 굴곡된 부분의 후면측에 그립이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KR1019980022868A 1997-06-23 1998-06-18 전기청소기 KR100299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624297A JP3609582B2 (ja) 1997-06-23 1997-06-23 電気掃除機
JP166242 1997-06-23
JP97-166242 1997-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085A KR19990007085A (ko) 1999-01-25
KR100299048B1 true KR100299048B1 (ko) 2001-10-27

Family

ID=1582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868A KR100299048B1 (ko) 1997-06-23 1998-06-18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58559A (ko)
EP (1) EP0887040B1 (ko)
JP (1) JP3609582B2 (ko)
KR (1) KR100299048B1 (ko)
CN (2) CN1582836A (ko)
AU (1) AU736814B2 (ko)
CA (1) CA2241644C (ko)
DE (1) DE69817922D1 (ko)
TW (1) TW42449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650B1 (ko) * 2002-09-12 2005-03-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26669D0 (en) * 1997-12-17 1998-02-18 Notetry Ltd A handle for a vacuum cleaner
US6363571B1 (en) * 1999-02-26 2002-04-02 Pacific Steamex Cleaning Systems, Inc. Convertible upright vacuum
US6374453B1 (en) * 1999-09-02 2002-04-23 Young S. Kim Convertible vacuum cleaner
US6467122B2 (en) * 2000-01-14 2002-10-22 Bissell Homecare, Inc. Deep cleaner with tool mount
GB2359735A (en) * 2000-03-03 2001-09-05 Notetry Ltd Hose and wand assembly for dual mode vacuum cleaner
US7188388B2 (en) * 2000-05-05 2007-03-13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detachable cyclonic vacuum module
US6295692B1 (en) * 2000-05-10 2001-10-02 Pro-Team, Inc. Convertible vacuum cleaner
KR100540426B1 (ko) * 2000-12-29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US6502276B2 (en) * 2001-05-24 2003-01-07 Edward P. Iversen Vacuum hose and cord holder
DE10200914A1 (de) * 2002-01-12 2003-07-24 Vorwerk Co Interholding Gerätestiel, sowie Leistungssteller und Geräte-Steckeraufnahme eines Staubsaugers
GB2394650B (en) * 2002-11-01 2006-03-08 Black & Decker Inc Convertible vacuum cleaner
GB0228148D0 (en) * 2002-12-03 2003-01-08 Techtronic Ind Co Ltd Dust separator and collector arrangement for suction cleaner
GB0228153D0 (en) * 2002-12-03 2003-01-08 Techtronic Ind Co Ltd Suction cleaners
GB0228152D0 (en) * 2002-12-03 2003-01-08 Techtronic Ind Co Ltd Cyclonic separators for suction cleaners
RU2302809C2 (ru) * 2002-12-06 2007-07-20 Тектроник Индастриз Кампани Лимитид Насадка для мусороуборочной машины вакуумного действия
JP2004254940A (ja) * 2003-02-26 2004-09-16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GB2416482B (en) * 2004-07-22 2007-12-05 Techtronic Ind Co Ltd Hose assembly for suction cleaner
CA2514532C (en) * 2004-08-04 2009-12-01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Upright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releaseable locking mechanism for wand assembly
GB2417674B (en) * 2004-09-02 2007-12-19 Techtronic Ind Co Ltd Suction cleaners
US20060070205A1 (en) * 2004-10-04 2006-04-06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Upright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telescopic wand assembly
GB2422090B (en) * 2005-01-12 2008-07-02 Techtronic Ind Co Ltd Head for a suction cleaner
GB2423037A (en) * 2005-02-15 2006-08-16 Techtronic Ind Co Ltd Cyclonic separator for suction cleaner
KR100627903B1 (ko) * 2005-03-29 2006-09-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기능 진공청소기
GB2425246B (en) * 2005-04-21 2008-07-23 Vax Ltd Dust separator/collector assembly for suction cleaner
US7624475B2 (en) * 2005-08-18 2009-12-01 Ace Electronics Co., Ltd.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canister type
US7690078B2 (en) * 2005-11-02 2010-04-06 The Scott Fetzer Company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cleaning attachment
US20070094839A1 (en) * 2005-11-03 2007-05-03 The Scott Fetzer Company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handle
US7694383B2 (en) * 2006-01-06 2010-04-13 The Scott Fetzer Company Upright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power head
US20070163075A1 (en) * 2006-01-17 2007-07-19 Butler Dennis C Stair cleaning vacuum cleaner
US8621709B2 (en) * 2006-12-12 2014-01-07 G.B.D. Corp. Multi-strut cleaning head
US8950039B2 (en) 2009-03-11 2015-02-10 G.B.D. Corp.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WO2008070966A1 (en) 2006-12-12 2008-06-19 Gbd Corp. Converti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65277B2 (en) 2006-12-12 2020-09-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0802113B1 (ko) 2006-12-22 2008-02-1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WO2008132243A1 (en) * 2007-05-01 2008-11-06 Arcelik Anonim Sirketi A vacuum cleaner
US20090031522A1 (en) * 2007-08-02 2009-02-05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Suction port assembly of vacuum cleaner
US20100175217A1 (en) * 2007-08-29 2010-07-15 G.B.D. Corp. Cycloni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externally positioned dirt chamber
US11751733B2 (en) 2007-08-29 2023-09-1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0814003B1 (ko) * 2007-09-05 2008-03-14 김영준 진공청소기
KR101375653B1 (ko) * 2007-12-05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KR101491002B1 (ko) * 2007-12-05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US7979953B2 (en) * 2008-01-16 2011-07-19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KR20100006786A (ko) * 2008-07-10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청소기
KR101534063B1 (ko) * 2008-12-09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CN102281809A (zh) 2008-12-24 2011-12-14 伊莱克斯家用产品有限公司 磁性真空工具安装架
US20100199969A1 (en) * 2009-02-10 2010-08-12 Edmund Chan Pool protection and solar heating cover
CA2917900C (en) 2009-03-13 2019-01-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80373B2 (en) 2009-03-13 2016-11-0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11044B2 (en) 2011-03-04 2015-12-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ompact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198551B2 (en) 2013-02-28 2015-12-0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26633B2 (en) 2009-03-13 2016-0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690489B2 (en) 2009-03-13 2023-07-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n external dirt chamber
US11612288B2 (en) 2009-03-13 2023-03-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138114B2 (en) 2009-03-13 2015-09-2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674376A1 (en) 2009-03-13 2010-09-13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different cleaning configurations
US9591953B2 (en) 2009-03-13 2017-03-1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674761C (en) 2009-03-13 2016-10-04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different cleaning configurations
US9392916B2 (en) 2009-03-13 2016-07-1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27122B2 (en) 2009-03-13 2016-08-3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754973C (en) * 2009-03-31 2016-04-05 Dyson Technology Limited Cylinder type vacuum cleaner
GB2469055B (en) * 2009-03-31 2013-01-02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with spherical floor engaging arrangement
GB2469038B (en) * 2009-03-31 2013-01-02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GB2469048B (en) * 2009-03-31 2013-05-15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with steering mechanism
GB2469047B (en) * 2009-03-31 2013-12-04 Dyson Technology Ltd A cylinder type cleaning appliance
GB2469046B (en) 2009-03-31 2012-07-25 Dyson Technology Ltd Mounting arrangement for separating apparatus in a cleaning appliance
WO2010112885A1 (en) * 2009-03-31 2010-10-07 Dyson Technology Limited A cleaning appliance
GB2469051B (en) * 2009-03-31 2013-01-02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with steering mechanism
GB2469049B (en) 2009-03-31 2013-04-17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with steering mechanism
GB2469053B (en) * 2009-03-31 2013-02-06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having pivotal movement
GB2469045B (en) * 2009-03-31 2012-08-29 Dyson Technology Ltd Duct and chassis arrangement of a cleaning apparatus
CA2953105C (en) * 2009-07-30 2020-02-1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674410A1 (en) * 2009-07-30 2011-01-30 G.B.D. Corp. Construction technique for a domestic appliance such as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SE535305C2 (sv) 2009-12-22 2012-06-26 Electrolux Ab Dammsugare med indragbar hjälpsugslang
US8875340B2 (en) * 2010-03-12 2014-11-04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enhanced operability
GB2484121B (en) 2010-09-30 2014-10-22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ing appliance
GB2484122A (en) * 2010-09-30 2012-04-04 Dyson Technology Ltd A cylinder type cleaning appliance
GB2484120B (en) 2010-09-30 2014-10-01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GB2484124B (en) 2010-09-30 2014-12-03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GB2485401B (en) * 2010-11-15 2015-04-01 Hoover Ltd Locking coupling for a vacuum cleaner
JP6032459B2 (ja) * 2012-02-17 2016-11-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WO2014026131A1 (en) * 2012-08-09 2014-02-13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including a removable canister assembly
DE102012216884A1 (de) * 2012-09-20 2014-03-20 Robert Bosch Gmbh Absauganschlusssystem
US20140208540A1 (en) * 2013-01-29 2014-07-31 Techtronio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Upright vacuum cleaner nozzle handle
US9591958B2 (en) 2013-02-27 2017-03-1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95995B2 (en) 2013-02-28 2016-03-2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15960B2 (en) 2013-02-28 2015-12-2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27151B2 (en) 2013-02-28 2016-0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326652B2 (en) 2013-02-28 2016-05-0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8201408B (zh) * 2013-02-28 2021-07-02 奥马克罗知识产权有限公司 表面清洁装置
US9364127B2 (en) 2013-02-28 2016-06-1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38235B2 (en) 2013-02-28 2016-01-1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820621B2 (en) 2013-02-28 2017-11-2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27201B2 (en) 2013-02-28 2016-0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40237764A1 (en) 2013-02-28 2014-08-28 G.B.D. Corp.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56721B2 (en) 2013-02-28 2016-10-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314138B2 (en) 2013-02-28 2016-04-1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51855B2 (en) 2013-02-28 2016-09-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4224043A (zh) * 2013-06-24 2014-12-2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尘器及其制造方法
US8943647B1 (en) 2013-08-09 2015-02-03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including a removable handle assembly
WO2015068046A2 (en) * 2013-11-07 2015-05-14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Latching arrangement for vacuum cleaner
US10080471B2 (en) 2015-12-21 2018-09-25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Versatile vacuum cleaners
US10292550B2 (en) 2016-08-29 2019-05-2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13141B2 (en) 2016-08-29 2019-09-1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41125B2 (en) * 2016-08-29 2019-10-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321794B2 (en) * 2016-08-29 2019-06-1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78117B2 (en) 2016-08-29 2022-10-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136779B2 (en) 2016-08-29 2018-11-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33689B2 (en) 2016-08-29 2019-10-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136780B2 (en) 2016-08-29 2018-11-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29295B2 (en) 2016-08-29 2020-08-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05711B2 (en) 2016-08-29 2019-09-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41124B2 (en) 2016-08-29 2019-10-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962050B2 (en) 2016-08-29 2018-05-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EP3790436B1 (en) 2018-05-09 2023-07-19 SharkNinja Operating LLC Upright vacuum cleaner including main body moving independently of wand to reduce movement of main body center of gravity
CN108542308A (zh) * 2018-06-11 2018-09-18 苏州诚河清洁设备有限公司 用于表面清洁装置的管连接组件
US11192122B2 (en) 2018-08-13 2021-12-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006799B2 (en) 2018-08-13 2021-05-1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013384B2 (en) 2018-08-13 2021-05-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22217044A1 (en) * 2021-04-08 2022-10-13 Techtronic Cordless Gp Surface clea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3536A (en) * 1982-01-25 1983-07-19 Tapp Ruel W Dual mode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0828A (en) * 1964-06-10 1967-03-28 Direct Sales Inc Vacuum cleaner
US4443910A (en) * 1982-06-29 1984-04-24 General Signal Corporation Above-the-floor adaptor for upright vacuum cleaner
US4573236A (en) * 1983-07-08 1986-03-04 Prototypes, Ltd. Vacuum cleaning appliances
US5054157A (en) * 1989-05-19 1991-10-08 Whirlpool Corporation Combination stand alone and canister vacuum cleaner
US5287591A (en) * 1992-03-30 1994-02-22 Racine Industries, Inc. Carpet cleaning machine with convertible-use feature
US5715566A (en) * 1993-02-12 1998-02-10 Bissell Inc. Cleaning machine with a detachable cleaning module
US5836047A (en) * 1994-01-20 1998-11-17 Daewoo Electronics Co., Inc. Vacuum cleaner for both upright and canister modes
US5842254A (en) * 1995-03-31 1998-12-01 Daewoo Electronics Co., Ltd. Dual mode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3536A (en) * 1982-01-25 1983-07-19 Tapp Ruel W Dual mode vacuum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650B1 (ko) * 2002-09-12 2005-03-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41644A1 (en) 1998-12-23
AU7312098A (en) 1998-12-24
CA2241644C (en) 2007-12-18
EP0887040B1 (en) 2003-09-10
JP3609582B2 (ja) 2005-01-12
AU736814B2 (en) 2001-08-02
TW424496U (en) 2001-03-01
DE69817922D1 (de) 2003-10-16
US6058559A (en) 2000-05-09
KR19990007085A (ko) 1999-01-25
JPH119510A (ja) 1999-01-19
CN1582836A (zh) 2005-02-23
CN1208597A (zh) 1999-02-24
EP0887040A1 (en) 1998-12-30
CN1121843C (zh) 200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048B1 (ko) 전기청소기
WO2018087937A1 (ja) 電気掃除機の延長管
US6510583B2 (en) Cord retainer for vacuum cleaner
JP3964906B2 (ja) 清掃機器
US20050115018A1 (en) Bendable extension pipe for vacuum cleaner
JP3803660B2 (ja) 真空掃除機の延長管ロック装置
US7260865B2 (en) Twist mop
WO2018087936A1 (ja) 電気掃除機の延長管
JP2018075188A (ja) 電気掃除機
JP2010075471A (ja) 電気掃除機
KR20050116917A (ko) 연장관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GB2415361A (en) Accessory support unit for an upright vacuum cleaner
JP2013070839A (ja) 電気掃除機
KR960010997B1 (ko) 직립형 전기청소기
JP3609584B2 (ja) 電気掃除機
JP3801443B2 (ja) 電気掃除機
JP3732922B2 (ja) 電気掃除機
JP3400948B2 (ja) 電気掃除機
JPH0436781Y2 (ko)
JP3609583B2 (ja) 電気掃除機
JP2505872B2 (ja) 電気掃除機
JP2002010955A (ja) 電気掃除機
JPH0733724Y2 (ja) 電気掃除機
JP3036213B2 (ja) 電気掃除機
JPH1199094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