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274B1 - 스트립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274B1
KR100297274B1 KR1019960706130A KR19960706130A KR100297274B1 KR 100297274 B1 KR100297274 B1 KR 100297274B1 KR 1019960706130 A KR1019960706130 A KR 1019960706130A KR 19960706130 A KR19960706130 A KR 19960706130A KR 100297274 B1 KR100297274 B1 KR 100297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trip
electrodes
liquid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940A (ko
Inventor
다다시 후지이
에이이찌로 스기오까
Original Assignee
다나베 히로까즈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6134970A external-priority patent/JP30736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56603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9421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053325A external-priority patent/JP3073662B2/ja
Application filed by 다나베 히로까즈,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나베 히로까즈
Publication of KR97070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 from objects; Servicing or ope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 등의 스트립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성이 간단한 전극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하고, 전극의 내외에 흐르는 처리액의 흐름을 균일하게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며, 전극간의 처리액의 액면높이의 변동에 의한 처리 불균일의 방치를 제 3 목적으로 한다.
제 1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향 배치된 전극의 일방을 고정시키고, 타방을 이동시키는 개폐기구를 설치한다.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극에 정류부재를 설치하고, 이 접촉 부재와 전극 사이에 액류 (液溜) 공간을 형성하고 이 액류공간으로부터 전극간에 균일한 흐름이 흐르는 장공을 스트립의 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한다.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극을 지지하는 부스바의 전극을 지지하는 부분에 만곡을 형성하고 전극이 항상 처리액내에 침지되어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스트립 처리장치 {APPARATUS FOR TREATING STRIP}
상기의 스트립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증산이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트립과 양극 또는 음극 등의 전극간의 간격단축, 스트립과 양극 또는 음극 등의 전극간 내에서의 도금액 등의 처리액의 교반, 스트립과 양극 또는 음극 등의 전극간의 이온의 공급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대향 배치되는 동극 전극의 내면에 절연체 (스터빌라이저 : stabilizer) 를 대향하도록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돌출하여 설치하고, 이들의 절연체에 스트립의 주행방향 전방으로 향하여 전극측으로부터 스트립측으로 경사하는 테이퍼면을 설치할 장치를 개발하였다 (일본국 특개평 3-20494). 이에 의해 동극 전극간의 간극을 극히 좁게하는 것이 가능케되고, 스트립 처리장치의 생산성이 극히 향상되었다.
그러나 상기 스트립 저리장치에도 몇 가지 문제가 있어 더 한층의개량이 요망된다.
제 1 문제는 전극 상호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트립 처리장치에서는 극간이 좁기 때문에 전극을 고정식으로 하면 토기 통판시의 로프 통과를 시킬 수 없다. 또, 개발당초에는 스트립의 접속부가 용접 등으로 두껍게 되는 경우에는 그 부분이 스터빌라이저에 접촉하여 스터빌라이저를 파손한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전극의 개폐기구가 필요케 된다.
그래서, 종래는 초기 통판시의 로프 통과를 위한 공간확보, 및 스트립의 용접부가 주행중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방의 전극의 각각을 상대측에 대하여 개방할 수 있는 개폐기구와 그의 조작부를 설치하고 있었다.
도 13 에 있어서, 수직 패스식 액조 (1) 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금액 등의 처리액이 들어있다. 전극 (2) 으로서는 양극 또는 음극, 또는 양극과 음극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전극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2) 의 상측을 상측 전극받이 (3) 로 지지하고 이 상측 전극받이 (3) 에 전극의 상측 개폐용의 에어실린더 (4) 를 설치한다. 또 각각의 전극 (2) 의 하측을 하측 전극받이 (5) 로 받고, 이 하측 전극받이 (5) 에 하측 개폐용의 캠 (6) 을 설치해 두고, 전극간을 개폐할 때에는 한 쌍의 에어실린더 (4) 및 한 쌍의 캠 (6) 의 전부를 움직임으로써 실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쌍방의 전극을 열기 때문에, 특히 유도드럼 (7) 에 대하여반대측에 있는 전극, 즉 액조 (1) 의 벽측에 위치하는 전극 (2a) 도 이동시키는 공간을 액조 (1) 에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고, 따라서 보다 큰 액조가 필요하게 되어 원가가 상승하고, 또 기존의 액조 (1) 에 스트립 처리장치를 설치할 경우에 이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액조 (1) 를 개조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전극 (2) 의 하측 개폐용의 캠 (6) 의 조작부를 액조 (1) 의 벽으로부터 액조 (1) 의 외부로 신장하여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즉 액조 (1) 를 개구하지 않으면 안되고, 따라서 액 누설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운전을 해본 결과, 판두께 1.2 mm 의 스트립으로 포개합쳐서 용접을 한 용접부를 스터빌라이저가 간격 6 mm 에도 스터빌라이저에 접촉되는 일 없이 통판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전극 (2) 의 개폐는 초기 통판시의 로프 통과시만으로 족한 것으로 되었다. 이렇게 하여 상기 문제의 해결이 가능케 되었을 뿐 아니라 새로이 공간 절감에 의한 설비 설치도 가능케 되었다.
제 2 문제는 도금액 등의 처리액의 교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트립 처리장치에서는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2) 의 스터빌라이저 (8) 상호간에 전극의 내외면을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 (9) 을 설치하고 있다 (일본국 특공평 6-13759 호 공보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이므로, 스트립 (10) 이 전극 (2, 2) (대향하는 전극 (2) 은 도시되지 않음) 간을 주행하면스터빌라이저 (8, 8) 사이에 있어서 화살표와 같은 유체의 교란이 일어나고, 관통 구멍 (9) 을 통하여, 전극 (2) 의 내면측과 외면측에서 유체의 순환이 일어난다. 그 결과, 전극 내면측의 오래된 유체와 전극 외면측의 새로운 유체가 교체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관통 구멍과 관통 구멍 사이에 유속이 느린 부분이 생겨 유속의 불균일한 줄무늬 모양의 흐름이 생긴다. 그리고 이 줄무늬 모양의 불균일한 흐름이, 화학적으로 불균일성을 초래시키고 있었다. 관통 구멍과 관통 구멍 사이를 없애고 주행방향에 수직한 장공을 하나 뚫어서 줄무늬 모양의 흐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전극의 강도상의 문제가 생겨 이것을 해결하려고 하면 전극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 3 문제는 전극간을 스트립이 주행할 때에 일어나는 처리액의 액면 높이의 안정에 관한 것이다. 도 15 (동도 (a) 는 전극의 일방측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또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스트립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다)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또는 음극 등의 전극 (2, 2) 상호간의 간격을 극히 좁게해서 운전을 하면 도 1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10) 의 하방향으로의 주행에 수반하는 액의 연속적인 흡입에 의해 극간내의 액면이 불안정하게 되고, 즉 부호 p 및 부호 q 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액면이 상하로 도금 불균일 또는 클리닝 불균일이 생긴다.
그래서, 도 16 (동도 (a) 는 전극의 한 쪽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또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스트립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다)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2) 의 상부에 액주입 장치 (11) 를 설치하여 이에 의해 극간내에 액을 주입하여 극간내의 액면의 불안정을 방지한다. 더욱이 클리닝장치와 같은 그리드 (grid) 통전의 경우는 액면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전압 드롭이 낮아지지만, 도금장치의 경우에는 액면수위가 낮아져서 컨덕터롤과 수위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면 전압 드롭이 크게되고 여분의 전력이 필요케 되므로 액면수위를 높게 하도록 더욱 많은 액을 전극 (2, 2) 간에 주입한다.
따라서 액주입장치 (11) 가 필요케되나 여러 가지의 장치ㆍ파이프 등의 얽힌 양극 또는 음극의 상부에 다시 이 액주입장치 (11) 를 배치하는 것은 도금장치 또는 클리닝 장치를 매우 복잡화시킨다. 또 스터빌라이저 (8) 를 설치하여 극히 좁게 하는 것이 가능케 된 전극 (2, 2) 사이에 액을 주입하는 것 (도 16) 은 용이하지 않고 이것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더욱 여러 가지의 장치를 부가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따라서 이것들로 인하여 도금장치 또는 클리닝 장치의 비용을 증대시키고 또 정비도 번잡하게 되므로 스터빌라이저 (8) 를 설치하여 전극 (2, 2) 의 간격을 극히 좁게 하는 것이 가능케 된 도금장치 또는 클리닝장치 (특개평 3-20494) 의 보급을 방해하는 큰 요인으로 되고 있었다.
이상의 문제 때문에,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필요 최소한의 설비로서 작은 액조나 기존의 액조에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전극의 개폐기구를갖는 도금장치 또는 클리닝장치 등의 스트립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액 누설이 수반되지 않는 전극의 개폐기구를 갖는 스트립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구성의 도금장치 및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정류 부재를 설치하여 전극의 외면측으로부터 유입하는 유체가 전극의 내면측에 스트립 주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균일한 흐름으로 되도록 상기 줄무늬 모양의 흐름의 발생을 방지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액 주입장치 (11) 를 설치하는 일 없이 간단한 구성에 의해 극간내의 액면의 불안정으로 인한 도금 불균일 또는 클리닝 불균일 장치 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강판 등의 스트립 처리장치, 예컨대 도금장치, 클리닝장치 등에 관한, 특히 액조 내에 양극 또는 음극 등의 동극 전극을 배치하고 이들의 전극간에 스트립을 주행시키는 형식의 스트립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는 제 1 실시예인 스트립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며, 동도 (b) 는 동도 (a) 의 캠과 틀체와의 끼워맞춤상태를 도시하는 평면설명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스트립 처리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는 제 2 실시예인 스트립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스트립 처리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폐기구부의 확대정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제 1 실시예이며, 동도 (a) 는 양극 또는 음극을 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동도 (b) 는 정류 부재의 사시도이며, 동도 (c) 는 정류 부재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동도 (d) 는 액의 흐름의 양상을 도시하는 정류 부재의 횡방향 단면도이고, 동도 (e) 는 액의 흐름의 양상을 도시하는 양극 또는 음극을 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제 2 실시예인 양극 또는 음극을 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제 3 실시예인 스터빌라이저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제 4 실시예인 스터빌라이저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제 5 실시예인 스터빌라이저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제 6 실시예인 스터빌라이저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제 7 실시예인 양극 또는 음극의 외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2(a) 는 본 발명의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의 평면설명도이고, 동도 (b) 는 동 측면 설명도이며, 동도 (c) 는 양극 또는 음극내측에서 본 평면도이고, 동도 (d) 는 동측면도이다.
도 13 은 종래의 스트립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종래의 도금장치 또는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의 액의 흐름의 양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a) 는 도금장치 또는 클리닝 장치의 액의 수반을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동도 (b) 는 동측면도이다.
도 16(a) 는 액의 수반을 방지하기 위한 액주입장치를 설치한 종래의 도금장치 또는 클리닝 장치의 평면도이며, 동도 (b) 는 동측면도이다.
상기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조내에 동극 전극을 대향 배치하고 이것들의 전극간에 스트립을 주행시켜서 이 스트립의 도금이나 클리닝 등을 실시하는 스트립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의 대향면에 절연체를 돌출 설치하고 이 절연체에 스트립의 주행방향 전방으로 향하여 전극측으로부터 스트립측으로 경사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상기 대향 배치된 동극 전극의 일방측전극을 액층내에 고정시키고,
상기 대향 배치된 타방측전극에 양 전극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개폐기구를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동극 전극이 액조내에 수직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개폐기구의 조작부의 전부는 액조의 액면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타방측전극의 양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받이와, 이 타방측전극의 양단부에 형성된 틀체와 이 전극받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캠축과 이 캠축의 양단측에 고착되어 상기 틀체내에 끼워맞춤된 캠과 상기 캠축의 일단측에 설치된 조작부를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동극 전극이 액조내에 수직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개폐기구가 상기 타방측전극의 상단에 접속된 버스 바아 (bus bar) 와 상기 타방측전극의 상단측에 설치된 상측 전극받이와 이 상측 전극받이 위에 상기 버스 바아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시스템과 이 슬라이드 시스템상의 버스 바아를 미끄럼운동 시키는 리니어 (linear) 액튜에이터를 갖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조내에 동극 전극을 대향 배치하고 이들의 전극간에 스트립을 주행시켜서 이 스트립의 도금이나 클리닝 등을 실시하는 스트립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대향면에 스트립의 주행방향 전방을 향하여 전극측으로부터 스트립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을 구비한 스터빌라이저를 설치하고 이 스터빌라이저의 스트립 주행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에 복수의 관통 구멍을 뚫어서 전극의 내외면을 연통시키고 스터빌라이저의 상기 상류측과 하류측의 쌍방 또는 하류측에만 상기 관통 구멍과 대향하는 정류 부재를 설치하고, 이 정류 부재의 상기 관통 구멍측에 액류를 형성하고 이 정류 부재에 상기 스트립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슬릿상의 구멍을 뚫은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스터빌라이저가 정류 부재를 겸하고 있는 구성이나, 전극이 오목부를 가지며 이 오목부에 상기 정류 부재를 부착시킨 구성이나, 정류 부재가 내약품재료, 내열재로, 또는 내약품재료와 내열재료의 혼합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 또는 상기 정류 부재의 어느 하나에 전극과 정류 부재를 결합하는 부착구멍을 설치하고 어느 타방측에 이 부착구멍에 헐겁게 끼워지는 볼트를 설치하고 이 헐겁게 끼워진 부분에 의해서 정류 부재와 전극 사이의 열팽창 등에 의한 신장을 흡수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극은 양극 또는 음극, 또는 양극과 음극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전극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조내에 동극 전극을 대향 배치하고 이들의 전극간에 스트립을 주행시켜서 이 스트립의 도금이나 클리닝 등을 실시하는 스트립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방전면 상단의 위치가 상기 액조내의 액면보다 하측에 배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표면을 절연체로 피복한 버스 바아로 그의 상단이 지지되고 이 버스 바아의 상기 전극을 지지하는 부분이 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전극의 방전면 상단의 위치가 상기 액조내의 액면 보다 하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 1 목적을 달성하는 스트립 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대향 배치된 동극 전극의 일방측전극은 위치 결정된 후 고정되고 타방측전극은 개페 가능하게 배치하여 그의 개폐기구를 설치한다. 따라서, 초기 통판의 로프 통과시에 타방측전극만을 열어서 필요한 극간을 얻는다. 이 때 일방측전극은 닫았을 때의 위치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초기 통판시에 스트립의 접촉의 염려가 있으나 극면상에는 절연체 (스터빌라이저) 가 있기 때문에 스트립은 이 절연체상을 미끄러지므로 극면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또 스트립에는 인장이 걸려있지 않으므로 절연체 (스터빌라이저) 를 파손하는 일도 없다. 액조의 벽측의 전극을 고정측 전극으로 함으로써 이 이동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은 액조는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이 공간이 없는 기존의 액조에 스트립 처리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 개폐기구를 타방측전극에만 설치함으로써 개폐기구의 비용이 반감된다.
동극 전극이 액조내에 수직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개폐기구의 조작부의 전부를 액조의 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배치함으로써 조작부를 액조의 벽을 개구하여 끌어낼 필요가 없고 따라서 액누설이 방지되고 또 조작부가 액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것에 의한 조작부의 고장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란 개폐기구를 구동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부분을 말하고 수동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손이 작용하는 부분을 가리키고, 자동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 즉 로터리 실린더 등의 로터리-액튜에이터, 에어 실린더 등의 리니어 액튜에이터 부분 등을 말한다.
개폐기구가 한 쌍의 전극받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타방측전극의 양단부 위치에서 각각 캠이 고착되고 또한 일단부에서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캠축과, 다른 쪽 전극의 양단부에 고착된 상기 캠축의 캠의 끼워맞추는 한 쌍의 틀체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기구로 또한 작은 공간의 개폐기구가 얻어지고 또한 타방측전극의 양단부가 한 쌍의 전극받이에 축지지 된 캠축에 의해 개폐되므로 확실한 개폐가 가능하다.
동극 전극이 액조내에 수직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개폐기구를 상측 전극받이와 타방측전극의 버스 바아 사이에 설치된 슬라이드 시스템과 상측 전극받이에 설치된 슬라이드 시스템 상에서 타방측전극을 슬라이드 시키는 리니어 액튜에이터에 의해 구성하므로써 낮은 마찰로 타방측전극을 움직이게 하는 것이 가능케되고 따라서 작은 힘으로 전극을 움직일 수 있으므로 액튜에이터를 콤팩트로 할 수 있다.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도금장치 및 클리닝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스터빌라이저 사이의 스트립 주행 상류측의 액은 부압상태가 된다. 왜냐하면 스트립의 주행으로 액은 진행방향에 따라 가기때문이다. 따라서 이 부분이 흡입측으로 된다. 그리고, 전극 외면측으로부터 전극 내외면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통하여 전극내면에 액이 인입된다. 이 액은 먼저 흡입측에 설치한 정류 부재의 액류로 들어간다. 그리고 나서 여기서 압력이 균일화되고 슬릿 형상의 구멍으로부터 스트립으로 향하여 인입된다.
이 때 슬릿형상의 구멍으로부터 인출되는 흐름은 균일하게 되므로 불균일 없는 도금 또는 클리닝이 가능케된다.
다음에, 스터빌라이저간의 스트립 주행 하류측에는 스터빌라이저에 의해서 블록되어서 전극내면의 압력이 높아지므로 액의 토출측으로 되고 전극 내외면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통하여 전극외면측에 액이 토출된다.
또 일부는 전극 내면에 따라 스트립 주행 상류측에 흐른다.
이 때 구멍이 있는 부분과 구멍이 없는 부분으로 흐름에 상위가 발생하므로 토출측에도 정류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면 흐름도 균일하게 된다.
또한 토출측에 있어서는 구멍의 피치나 크기 등에 따라 정류 부재가 불필요한 경우도 있다.
정류 부재를 부착한 경우는 정류 부재의 부분만 방전면이 감소하나 스터빌라이저가 정류 부재를 겸하도록 하면, 상기 방전면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액류를 전극에 설치한 오목부를 이용하여 형성하면 정류 부재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스터빌라이저가 정류 부재를 겸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것에 의해 스터빌라이저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짧은 극간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정류 부재를 내열재료, 내약품 재료, 또는 내열재료와 내약품재료의 혼합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그러면 정류 부재의 열이나 약품에 의한 변형 등이 방지되어서, 정류 부재의 열이나 약품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어서 정류 부재의 기능이 유지된다. 또 정류 부재가 변형하여 스트립에 접촉하는 것 등이 방지된다.
정류 부재의 부착용뿐만 아니라, 정류 부재의 열팽창 등에 의한 신장을 도피시키기 위한 구멍을 전극 또는 정류 부재에 설치한다. 이에따라 정류 부재와 전극의 재질이 다르더라도 (따라서 열팽창이 다르더라도), 또 정류 부재가 팽윤되어도 정류 부재의 휘는 변형이 방지되고 이로써 정류 부재의 스트립에의 접촉 등이 방지된다.
제 3 목적을 달성하는 도금 장치 및 클리닝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양극의 방전면으로부터 액중에 이온이 흘러서 또는 음극의 방전면에 이온이 부착하여 도금 또는 클리닝이 행하여지나 양극 또는 음극의 방전면의 상단의 위치가 액조내의 액면 보다 하측에 위치하므로 방전면의 부분은 반드시 액중에 존재하게 되고 따라서 불균일이 없는 도금 또는 클리닝을 실시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는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패스식 액조 (1) 내에 도금액 (도시생략) 이 저장되고, 이 도금액에 그의 상부 (2d) 가 액조 (1) 액면 (도시생략)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양극 전극 (2, 2) 이 수직상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전극 (2) 의 내면에는 절연체 (스터빌라이저) 가 돌출하여 설치되며, 절연체는 스트립의 주행방향전방 (도의 하방) 으로 향해서 전극측으로부터 스트립으로 경사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생략). 전극 (2) 의 상단에는 버스 바아 (2c) 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것을 통하여 전기가 공급된다.
다음에는 대향 배치되어 있는 동극 전극의 일방측전극 (2a) 이 고정된다. 즉, 상측 전극받이 (3), 하측 전극받이 (5) 는 그것에 설치된 버스 바아 끼워맞춤부 (3a, 5a) 의 위치를 위치결정하여 액조 (1) 내에 고정되어 있고, 일방측전극 (2a) 의 상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버스 바아 (2c) 를 버스 바아 끼워맞춤부 (3a, 5a) 에 끼워맞춤으로써 일방측전극(2a) 은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측 전극받이 (3) 는 액조 (1) 의 액면 보다 상측으로 되어 있다. 일방측전극 (2a) 은 액조 (1) 의 벽측으로 접근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음에 타방측전극 (2b) 의 상측 버스 바아 (2c) 가 상측 전극 받이 (3) 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되고, 따라서 한 쪽 전극 (2a) 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된다. 또한 타방측전극 (2b) 의 닫은 상태에서의 위치 결정을 하는 접촉부 (3b, 5b) 가 상하의 전극받이부 (3,5) 에 설치된다. 그리고, 타방측전극 (2b) 에 개폐기구 (20) 가 설치된다. 즉, 캠 축 (20a) 이 상하 한 쌍의 전극받이부 (3, 5) 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타방측전극 (2b) 의 양단부 위치에서 각각 캠 (20b) 이 고착되고 또한 상단부에서 수동레버로 이루어지는 조작부 (20c) 가 고착되어 설치된다. 조작부 (20c) 의 위치는 액조 (1) 의 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된다. 그리고 캠 (20b) 은 도 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상이고, 또한 편심 캠이며, 조작부 (20c) 의 방향을 전극측에 직각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타방측전극 (2b) 을 접촉부 (3b, 5b) 에 가압하는 상태로 일방측전극 (2a) 에 대하여 닫고, 조작부 (20c) 의 방향을 전극면에 평행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틀체 (20d) 와 함께 다른 쪽 전극 (2b) 을 일방측전극 (2a) 에 대하여 열도록 구성된다. 또한 캠 (20b) 의 편심량은 타방측전극의 이동만으로 로프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개방이 얻어지도록 소정의 크기로 설정된다. 다음에 틀체 (20d) 는, 버스 바아 (2c) 에 고착되어 타방측전극의 양단부에 설치된다. 틀체 (20d) 는 구형 형상이고, 또한 캠 (20b) 의 지름과 같은 폭을 가지고 있고, 틀체 (20d) 에 캠 (20b) 을 끼워 맞춘다. 따라서 편심 캠 (20b) 의 위치가 변할 때에 그 위치에 틀체(20d) 가 따라간다.
액조 (1) 의 저부에는 유도드럼 (7) 이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전극 (2, 2) 사이를 주행하는 스트립은 유도드럼 (7) 에 감겨서 그 방향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초기 통판의 로프통과를 실시하려고 할 때에는, 조작부 (20c) 를 움직여서 그 방향을 전극면과 평행하게 한다 (도 1(b) 의 점선). 그러면 타방측전극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쌍방에 있어서 틀체가 편심 캠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므로, 타방측전극이 열린다. 이때,타방측전극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쌍방을 열기 때문에 개폐가 확실하게 된다. 또 액면보다 상측에 있는 조작부 (20c) 만을 조작하면 되므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방측전극이 이 일방측전극을 닫았을 때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초기 통판시에 스트립의 접촉 염려가 있으나, 극면상에는 절연체 (스터빌라이저) 가 있기 때문에 스트립은 이 절연체 위를 미끄러지므로, 극면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또 스트립에는 텐션이 걸려있지 않으므로 절연체 (스터빌라이저) 를 파손하는 일도 없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초기 통판의 로프통과를 실시하고, 또 유도드럼 (7) 으로 스트립의 방향을 바꾸고, 다음에, 조작부 (20c) 를 움직여서 그 방향을 전극면과 수직으로 한다 (도 1 (b) 의 실선). 그러면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열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틀체 (20d) 가 편심캠 (20b) 에 따라 이동하고, 타방측전극 (2b) 이 닫힌다. 이때, 타방측전극이 접촉부 (3b, 5b) 에 접촉하여 닫는 동작을 끝내지만, 편심 캠 (20b) 에 버스 바아 (2c) 를 보다 접촉부 (3b, 5b) 에 밀어 붙이므로써, 이 접촉이 확실하게 된다. 또, 이 사이의 조작부 (20c) 의 회전운동은 조작부 (20c) 에 소정의 길이를 부여하여 둠으로써, 지레의 원리에 의해 작은 힘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해서 초기 통판의 로프통과가 끝나면, 좁은 간격의 전극 (2) 을 사용하여 스트립에 고전류 밀도 도금이 행해진다.
다음에, 용접 등으로 두껍게 되어 있는 스트립의 접속부분을 통과시킬때에는, 필요에 따라 타방측전극 (2b) 을 재차 열어서 이것을 통과시키고,그후, 재차 상기와 동일하게 해서 고전류밀도 도금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부는 수동이 아니고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 에 표시한 바와 같이, 캠축 (20a) 의 상단에 로터리 실린더 (20f) 를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캠축 (20a) 을 회전 운동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도 로터리 실린더 (20f) 가 액조 (1) 의 액면 보다 상측의 위치에 있으므로, 전기 계통 등을 갖는 로터리 실린더 (20f) 에 액조 (1) 내의 도금 액 등의 처리액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는 제 2 실시예를 도 3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동도에 있어서, 타방측전극 (2b) 은 상측 전극받이 (3) 위를 미끄러 움직여서 개폐가능하고, 또한 개폐기구 (21) 로서 에어실린더 (21f) 가 상측 전극받이 (3) 에 고정된다. 즉, 에어실린더 (21f) 의 축 (21a) 의 선단이 타방측전극 (2b) 의 상측 버스 바아 (2c) 에 고착되고, 또한 축 (21a) 의 중간에 수직봉 (21b) 이 고착되고, 수직봉 (21b) 의 하단부가 90°굽혀져서 수평부 (21c) 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의 선단이 타방측전극 (2b) 의 하측 버스 바아 (2c) 에 고착된다. 또한 에어실린더 (21f) 는 자동조작부가 된다. 타방측전극이 닫힌 상태에서의 위치결정을 하는 접촉부 (3b, 5b) 가 상하의 전극받이부 (3, 5) 에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고, 에어실린더 (21f) 를 구동하여 그의 축 (21a) 을 축소시키면 타방측전극 (2b) 이 상측 전극받이 (3) 위를 미끄러 움직여서연다. 이때, 축 (21a) 에는 하단부도 수직봉 (21b) 을 통하여 직접 고착되어 있으므로, 축 (21a) 의 이동에 의해 전극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직접 이동시킬 수가 있고, 상측 전극받이 (3) 의 미끄럼운동면의 마찰로 인해 타방측전극 (2b) 이 미끄러 움직일 때에 요동되기 쉬운 경우에 있어서도, 전극면을 요동시키는 일이 없이 전극을 개폐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 미끄럼운동면의 마찰력을 보다 줄일 수 있다. 즉,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전극받이 (3) 와 다른 쪽 전극 (2b) 의 상측 버스 바아 (2c) 사이에 상측 전극받이 (3) 에 고정된 LM 가이드 (22a) 와 버스 바아에 고정된 그의 끼워맞춤부재 (22b) 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시스템을 설치한다. 그리고 버스 바아 (2c) 에 상측 전극받이 (3) 에 고정된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리니어 액튜에이터 (22c) 의 축 (22d) 을 고정시킨다. 이로써, 미끄럼운동 마찰력이 작으므로 작은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리니어 액튜에이터 (22c) 로 구동하여 타방측전극을 개폐할 수 있다. 또 전극면이 이동중에 요동되지 않으므로 축 (22d) 으로부터 직접 전극의 하단부에 접속하는 수직봉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기구가 간단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는 도금장치이지만 본 발명은 다른 스트립 처리장치, 예를 들면, 스트립의 표면 부착오물의 알칼리 처리액 중에 있어서의 전기 분해에 의한 클리닝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이 음극으로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에 있어서, 도금장치 또는 클리닝장치에는 액조 (도시생략) 내에 양극 또는 음극으로 되는 전극 (2) 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5 (a) 는 한 쪽만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호 대향하는 면에는 스터빌라이저 (8) 가 배치된다.
스터빌라이저 (8) 는 스트립의 주행방향 (a) 전방으로 향하여 전극측으로부터 스트립측으로 경사되는 데이퍼면을 형성한다. 스터빌라이저 (8) 의 도 5 (a), (e) 에서의 상측 근방 및 하측 근방은 각각 액의 흡입측 및 토출측으로 된다. 그리고 스터빌라이저 (8) 를 따라, 전극의 내외면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 (23, 24) 이 복수개 설치된다.
또 흡입측에는 전극 (2) 의 내면측에 정류부재 (25) 가 설치된다. 정류부재 (25) 는 동도 (b), (c), (d) 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자 형상으로 된다. 액의 흡입측에서, 스터빌라이저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 (24) 을 덮고 있으며, 내부는 액류 (25a) 가 된다.
정류부재 (25) 의 스트립측의 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 (23) 사이에 걸친 길이의 스트립의 주행방향과 수직한 슬릿형상의 구멍 (25b) 이 설치된다. 정류부재 (25) 는 전극 (2) 으로 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만일의 스트립과의 접촉을 고려하여, 절연성의 재료이며, 또한 내열 및 내약품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금장치 또는 클리닝장치는,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극 (2) 의 외측으로부터 도금액 또는 클리닝액이 관통 구멍 (23) 을통과하여 내면측으로 유입한다. 이 액은 정류부재 (25) 내의 액류 (25a) 에서 압력이 균일화되어 슬릿형상의 구멍 (25b) 을 거쳐 스트립을 향하여 유입된다. 이때의 액의 흐름은 균일화되어 있으므로, 불균일이 없는 도금 또는 클리닝이 가능하게 된다. 토출측에서는 스터빌라이저 (8) 에 의해서 블록된 액이 복수개의 관통 구멍 (24) 을 통하여 외면으로 배출된다.
또 일부는 전극 내면을 따라 스트립 주행 상류에도 흐른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제 2 실시예를 도 6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 부가하여 토출측 (관통 구멍 (24) 측) 에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의 정류 부재 (26) 를 배치한다. 따라서 스터빌라이저 (8) 에 의해서 블록된 액은 슬릿형상의 구멍 (26b) 을 거쳐 정류부재 (26) 내의 액류 (26a) 에 들어가고, 이 속에서 액의 교반이 일어나고, 따라서 이 영향이 스트립 표면에는 미치지 않으므로, 토출측 근방에 있어서의 도금 또는 클리닝의 불균일도 방지된다. 또한 토출측에 있어서의 액의 교반에 의한 도금 또는 클리닝의 불균일의 영향은 흡입측에 비하여 작으므로 토출측에 있어서는 정류부재의 설치는 흡입측 만큼은 중요치 않고, 또 토출측에서는, 구멍의 피치나 크기 등에 따라, 정류부재가 불필요한 경우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제 3 실시예를 도 7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흡입측의 관통 구멍 (35) 이 스터빌라이저 (32) 에 대향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또한 관통 구멍 (35) 에 대향하여 스터빌라이저 (32) 의 일부가 정류부재 (37) 로 된다. 즉, 관통 구멍 (35) 에 대향하여 스터빌라이저 (32) 에 액류 (38) 의 오목부가 설치된다. 또 액류 (38) 에 접속하여 스터빌라이저 (32) 의 스트립 주행방향 (a) 의 상류측 단부와 전극 (2) 사이에 슬릿형상의 구멍 (39) 이 설치된다. 이와같이 스터빌라이저를 정류부재와 겸용함으로써, 방전면적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제 4 실시예는,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토출측의 관통 구멍 (46) 이 스터빌라이저 (42) 에 대향하여 설치되었다. 더욱이, 관통 구멍 (46) 에 대향하여 스터빌라이저 (42) 내에 정류부재 (47) 가 형성된 것이다. 먼저 관통 구멍 (46) 에 대향하여 스터빌라이저 (42) 에 액류 (48) 의 오목부가 설치된다. 또 액류 (48) 에 접속하여 스터빌라이저 (42) 의 스트립 주행 하류측 단부와 전극 (2) 사이에 슬릿형상의 구멍 (49) 이 설치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제 5 실시예를 도 9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흡입측의 관통 구멍 (55) 의 위치에 접속하여 전극 (51) 에 오목부 (51a) 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 (51a) 내에 단면 L 자형의 스터빌라이저 (52) 가 액류 (58) 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또 전극 (51) 과 스터빌라이저 (52) 와의 사이에 슬릿 (59) 이 형성된다. 스터빌라이저 내에 액류를 설치하여 스터빌라이저를 정류부재와 겸용하면, 스터빌라이저가 크게된다 (제 1, 2 실시예). 이 때문에 스터빌라이저는 극간의 단축을 방해하게 되나, 전극 (51) 에 오목부 (51a) 를 형성하여 이것을 액류의 일부로서사용함으로써, 전극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스터빌라이저의 높이를 줄여서 극간의 단축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제 6 실시예는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측의 관통 구멍 (66) 의 위치에도 접속하여 전극 (61) 에 오목부 (61a) 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오목부 (61a) 내에 단면 T 자형의 스터빌라이저 (62) 가 액류 (68) 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또 전극 (61) 과 스터빌라이저 (62) 사이에 슬릿 (69) 이 형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는 제 7 실시예를 도 11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동도는 전극을 외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8 의 구성의 정류부재를 겸용한 스터빌라이저 (42) 에 있어서 그의 부착축 (42a) 이, 전극 (71) 의 스터빌라이저의 길이 방향을 향한 구멍 (71a) 내에 헐겁게 끼워진다. 그리고 부착축 (42a) 은 각각, 전극 (71) 의 외면측에서 상기 전극 (71) 의 외면을 따라 미끄러 움직이는 도시되지 않은 플랜지에 고정된다. 그리고, 스터빌라이저 (42) 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한 길이방향의 신축을 가능케 된다. 정류부재 (본 실시예에서는 정류부재를 겸용하는 스터빌라이저) 는, 전극과는 다른 재질이 사용되므로 온도 변화에 따라 서로의 위치 어긋남을 야기시키거나 흡수하여 팽윤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그래서, 정류부재의 열팽창 등에 의한 신장을 도피시키기 위한 구멍 (71a) (정류부재의 부착용의 구멍을 겸하고 있다) 을 전극 (71) 에 설치하고, 정류부재와 전극과의 결합부를 이동가능케 해두고, 무리한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아울러 정류부재가 스트립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정류부재 및 전극에 구멍을 뚫어 이것들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양자를 고정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구멍을 겸한 상기 정류부재의 열팽창 등에 의한 신장을 도피시키기 위한 구멍을 설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상기 제 3 목적을 달성하는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a) 는 전극의 한 쪽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또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스트립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다. 도 12 (b) 는 측면도이다. 또 도 12 (c) 및 (d) 는 버스 바아 및 전극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동도 (a), (b) 에 있어서, 액조 (도시 생략) 내에, 도금액 또는 클리닝액 (80) 이 저장되어 있으며, 전극 (2) 이 대향 배치된다.
동도 (c), (d) 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극 (2) 에는 내면측에 스터빌라이저 (8) 가 돌출하여 설치되고, 스터빌라이저 (8) 에는, 스트립의 주행방향 전방으로 향하여 전극측에서 스트립측으로 경사되는 테이퍼면 (8a) 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극 (2) 을 매달고, 또한 전류를 흘리기 위한 버스 바아 (82) 는 전극 (2) 을 매단 위치 부근에서 소정의 절연재료 (83) 로 표면이 절연되어 있으며, 또한 대략 U 자형으로 하방으로 만곡된다. 그리고 이 만곡부 (84) 에 전극 (2) 이 매달린다. 또한 전극 (2) 에는 절연체에 의한 피복은 실시되어 있지 않다. 버스 바아 (82) 의 만곡부 (84) 의 만곡의 깊이는 이 전극 (2) 을 매달은 버스 바아 (82) 를 액조내에 매달았을 때에, 전극 (2) 의 상단 즉 버스 바아 (82) 의 피복부의 최하단위치 (r) 가 극간내의 액면의 변동의 최하단 위치 (q) 보다도 하측위치가 되도록 정해진다.
다음에 전극 (2) 의 상방에 콘덕터롤 (도시 생략) 이 설치되며, 스트립 (10) 은 콘택터롤에 접촉한 후, 대향하는 전극 (2) 간내를 하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되어 있고, 버스 바아 (82) 와 콘덕터롤 사이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고, 스트립을 주행시키면, 극간이 좁기 때문에 액의 연속적인 주입에 의해, 극간 내의 액면이 내려가 최상단위치 (p) 및 최하단 위치 (q) 사이에서 변동한다. 그러나, 방전면의 상단 (r) 이 액면 변동의 최하단 위치 (q) 보다도 하측위치에 있으므로, 방전면은 모두 반드시 액중에 존재하고, 따라서 불균일이 없는 도금 또는 클리닝이 실시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 표면을 절연한 버스 바아 (82) 를 액면으로부터 하측까지 만곡하여 그의 하측에 전극을 매달게 하였으므로, 도금액면으로부터 위의 부분으로 스트립이 전극에 접촉하여 찰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콘덕터롤과 액의 수위를 근접시킬 수 있고 전압드롭을 줄일 수 있어 전력 절감도 가능케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타방측전극만을 개폐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일방측전극의 이동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작은 액조를 사용할 수 있고, 또 이 공간이 없는 기존의 액조에 스터빌라이저를 설치한 스트립 처리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이 스트립 처리장치의 이용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개폐기구를 타방측전극에만 부착함으로 개폐기구의 비용이 줄어든다.
동극전극이 액조내에 수직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개폐기구의 조작부의 전부를 액조의 액면보다 상측에 배치함으로써, 조작부를 액조의 벽을 개구하여 인출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액누설이 방지되고, 또 조작부가 액에 젖는 것이 방지되므로 조작부의 고장 등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은, 액류 및 슬릿형상의 구멍을 갖는 정류부재를 설치하였으므로, 슬릿형상의 구멍을 통하여 액이 스트립에 접촉하도록 되고, 균일한 흐름의 액이 스트립에 접촉하여, 불균일이 없는 도금 또는 클리닝이 가능케 된다.
또 본 발명은 양극 또는 음극의 방전면의 상단의 위치가 액조내의 액면보다 하측에 위치가 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액면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불균일이 없는 도금 또는 클리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동시에, 장치구성이 극히 간단하고, 따라서 저비용으로 본 발명의 실시를 극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 정비도 극히 용이하고, 따라서 스트립의 주행방향으로 향해서, 전극측으로부터 스트립측으로 향하여 경사되는 테이퍼면을 갖는 절연체가 돌출하여 설치된 양극 또는 음극을 대향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도금장치 및 클리닝 장치의 보급을 크게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8)

  1. 액조(1)내에 동극 전극(2)을 대향 배치하고, 이들 전극(2) 사이에 스트립(10)을 주행시켜서 이 스트립(10)의 도금이나 클리닝 등을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 전극(2)의 대향면에 절연체를 돌출하여 설치하고, 이 절연체에 스트립의 주행방향 전방을 향하여 전극측으로부터 스트립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8a)을 형성하고,
    상기 대향 배치된 동극 전극의 일방측전극(2a)을 액층내에 고정시키고,
    상기 대향 배치된 타방측전극(2b)에, 양 전극(2)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개폐기구(2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극 전극(2)은 상기 액조(1)내에 수직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기구(20)의 조작부(20c)의 전부는 상기 액조(1)의 액면 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20)가 상기 타방측전극(2b)의 양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받이부(3, 5)와, 이 타방측전극(2b)의 양단부에 형성된 틀체(20d)와, 이 전극받이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캠축(20a)과, 이 캠축(20a)의 양단측에 고착되어 상기 틀체(20d)내에 끼워장착된 캠(20b)과, 상기 캠축의 일단측에 설치된 조작부(20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20)가, 상기 타방측전극(2b)의 상단에 접속된 버스 바아(2b)와, 상기 타방측전극(2b)의 상단측에 설치된 상측 전극받이(3)와, 이 상측 전극받이(3) 위에 상기 버스 바아(2c)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시스템과, 이 슬라이드 시스템상의 버스 바아를 미끄럼운동 시키는 리니어 액튜에이터(22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5. 액조내에 동극 전극을 대향 배치하고, 이들의 전극(2) 사이에 스트립(10)을 주행시켜서 이 스트립(10)의 도금이나 클리닝 등을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2)의 대향면에 스트립의 주행방향 전방을 향해서 전극측으로부터 스트립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을 구비한 스터빌라이저(8)를 설치하고, 이 스터빌라이저(8)의 스트립 주행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2)에 복수의 관통 구멍(23, 24)을 뚫어서 전극의 내외면을 연통시키고, 상기 상류측과 하류측의 쌍방, 또는 하류측에만 상기 관통 구멍(23, 24)과 대향하는 정류부재(25, 26)를 설치하고, 이 정류부재(25, 26)의 상기 관통 구멍(23, 24)측에 액류를 형성하고, 이 정류부재(25, 26)에, 상기 스트립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슬릿 형상의 구멍을 뚫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빌라이저(32, 42, 52, 62)가 상기 정류부재(37, 47, 57, 67)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오목부(51a, 61a)를 가지며, 이 오목부에 상기 정류부재(25, 26, 37, 47, 57, 67)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재(25, 26, 37, 47, 57, 67)가 내약품 재료, 내열재료, 또는 내약품 재료와 내열재료의 혼합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2, 51, 61, 71) 또는 상기 정류 부재(25, 26, 37, 47, 57, 67)의 어느 하나에 전극(2, 51, 61, 71)과 정류부재(25, 26, 37, 47, 57, 67)를 결합하는 부착구멍을 설치하고, 어느 타방측에 이 부착구멍에 헐겁게 끼워진 볼트를 설치하고, 이 헐겁게 끼워진 부분에 의해서 정류부재(25, 26, 37, 47, 57, 67)와 전극(2, 51, 61, 71) 사이의 열팽창 등에 의한 신장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10.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2, 51, 61, 71)이 양극 또는 음극, 또는 양극과 음극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11. 액조 내에 동극 전극을 대향 배치하고, 이들의 전극(2, 51, 61, 71)간에 스트립(10)을 주행시켜서 이 스트립(10)의 도금이나 클리닝 등을 실시하는 스트립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2, 51, 61, 71)의 방전면 상단의 위치가 상기 액조(1)내의 액면 보다 하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2, 51, 61, 71)이 표면을 절연체로 피복한 버스 바아(82)로 그의 상단이 지지되고, 이 버스 바아의 상기 전극을 지지하는 부분이 만곡부(84)를 가지며, 상기 전극의 방전면 상단의 위치가 상기 액조내의 액면보다 하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재(25, 26, 37, 47, 57, 67)가 내약품 재료, 내열재료, 또는 내약품 재료와 내열재료의 혼합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2, 51, 61, 71) 또는 상기 정류 부재(25, 26, 37, 47, 57, 67)의 어느 하나에 전극(2, 51, 61, 71)과 정류부재(25, 26, 37, 47, 57, 67)를 결합하는 부착구멍을 설치하고, 어느 타방측에 이 부착구멍에 헐겁게 끼워지는 볼트를 설치하고, 이 헐겁게 끼워진 부분에 의해서 정류부재(25, 26, 37, 47, 57, 67)와 전극(2, 51, 61, 71) 사이의 열팽창 등에 의한 신장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2, 51, 61, 71) 또는 상기 정류 부재(25, 26, 37, 47, 57, 67)의 어느 하나에 전극(2, 51, 61, 71)과 정류부재(25, 26, 37, 47, 57, 67)를 결합하는 부착구멍을 설치하고, 어느 타방측에 이 부착구멍에 헐겁게 끼워지는 볼트를 설치하고, 이 헐겁게 끼워진 부분에 의해서 정류부재(25, 26, 37, 47, 57, 67)와 전극(2, 51, 61, 71) 사이의 열팽창 등에 의한 신장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2, 51, 61, 71)이 양극 또는 음극, 또는 양극과 음극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2, 51, 61, 71)이 양극 또는 음극, 또는 양극과 음극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2, 51, 61, 71)이 양극 또는 음극, 또는 양극과 음극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처리장치.
KR1019960706130A 1994-05-24 1995-05-22 스트립처리장치 KR100297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134970A JP3073653B2 (ja) 1994-05-24 1994-05-24 ストリップ処理装置
JP94-134970 1994-05-24
JP94-156603 1994-06-14
JP15660394A JP2942146B2 (ja) 1994-06-14 1994-06-14 メッキ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
JP94-53325 1995-02-17
JP07053325A JP3073662B2 (ja) 1995-02-17 1995-02-17 めっき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
PCT/JP1995/000982 WO1995032322A1 (fr) 1994-05-24 1995-05-22 Appareil pour le traitement d'une ban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940A KR970702940A (ko) 1997-06-10
KR100297274B1 true KR100297274B1 (ko) 2001-08-07

Family

ID=2729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130A KR100297274B1 (ko) 1994-05-24 1995-05-22 스트립처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3) EP0765953B1 (ko)
KR (1) KR100297274B1 (ko)
CN (2) CN1122121C (ko)
AU (1) AU697938B2 (ko)
CA (1) CA2191225C (ko)
DE (3) DE69528458T2 (ko)
ES (2) ES2214810T3 (ko)
WO (1) WO19950323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92859B (en) * 2001-09-11 2004-06-21 Ebara Corp Electrolytic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DE102009060937A1 (de) * 2009-12-22 2011-06-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80333 Verfahren zum elektrochemischen Beschichten
CN104419974B (zh) * 2013-08-19 2017-06-16 柳广德 供成捆不锈钢线可连续进行电浆抛光及降低表面粗糙度的装置方法
EP3156523B1 (en) * 2014-06-11 2019-03-27 Shanghai Meishan Iron & steel Co., Ltd. Continuous electroplating test device simulating different linear speeds of band stee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18664Y1 (ko) * 1966-12-14 1970-07-29
US4652346A (en) * 1984-12-31 1987-03-24 Olin Corporatio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continuous plating of wide delicate metal foil
JPS61217596A (ja) * 1985-03-25 1986-09-27 Sumitomo Metal Ind Ltd 鋼帯の均一電気メツキ方法及びその装置
JPS62211399A (ja) * 1986-03-11 1987-09-17 Nippon Kokan Kk <Nkk> 合金電気鍍金用電解槽
JPS63303100A (ja) * 1987-06-03 1988-12-09 Mitsubishi Heavy Ind Ltd 帯鋼連続処理設備
JPH01306596A (ja) * 1988-06-06 1989-12-11 Eagle Ind Co Ltd 鍍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940A (ko) 1997-06-10
ES2214810T3 (es) 2004-09-16
CA2191225C (en) 2003-11-04
EP1029951A3 (en) 2000-12-06
DE69532421D1 (de) 2004-02-12
CN1276132C (zh) 2006-09-20
WO1995032322A1 (fr) 1995-11-30
EP1029950A3 (en) 2000-12-06
EP1029950A2 (en) 2000-08-23
DE69532422T2 (de) 2004-12-02
EP1029950B1 (en) 2004-01-07
ES2210968T3 (es) 2004-07-01
DE69528458D1 (de) 2002-11-07
EP0765953A4 (ko) 1997-04-23
EP0765953B1 (en) 2002-10-02
CA2191225A1 (en) 1995-11-30
EP0765953A1 (en) 1997-04-02
AU697938B2 (en) 1998-10-22
DE69532422D1 (de) 2004-02-12
CN1148873A (zh) 1997-04-30
DE69528458T2 (de) 2003-06-05
EP1029951A2 (en) 2000-08-23
CN1515704A (zh) 2004-07-28
EP1029951B1 (en) 2004-01-07
DE69532421T2 (de) 2004-11-11
CN1122121C (zh) 2003-09-24
AU2455795A (en)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487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surface treatment
US4119515A (en)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sheet metals
US6872288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in an electrodeposition process
DE3108615C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lektrolytischen Behandeln eines Metallbandes
KR100297274B1 (ko) 스트립처리장치
CA12054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ting metallic strip
US4642173A (en) Cell having coated valve metal electrode for electrolytic galvanizing
DE3246690C2 (ko)
KR100568022B1 (ko) 스트립의 전기 아연도금식 금속코팅 장치
JPH0338352B2 (ko)
US4118302A (en) Cathode structure for use in electrolytic process
US4869798A (en) Apparatus for the galvanic reinforcement of a conductive trace on a glass pane
US5837109A (en) Apparatus for treating a strip
JPS592115Y2 (ja) 金属ストリツプの連続片面電気メツキ装置
JP2942144B2 (ja) ストリップ処理装置
DE3527490C2 (ko)
JP3073653B2 (ja) ストリップ処理装置
KR101628061B1 (ko) 이동식 가상 전극을 갖는 전기 도금 장치
JP2540023Y2 (ja) 竪型電解めっき装置
KR820001080Y1 (ko) 금속 스트립의 수평직선형 도금장치
JPS5824934Y2 (ja) 金属ストリツプの連続片面電気メツキ装置
JP2000192292A (ja) 電気メッキ用陽極装置
JP2712118B2 (ja) 鋼帯の連続電解処理方法
JPH0562570U (ja) 竪型電解めっき装置
JP2594156Y2 (ja) 電着塗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