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130B1 -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130B1
KR100296130B1 KR1019980024735A KR19980024735A KR100296130B1 KR 100296130 B1 KR100296130 B1 KR 100296130B1 KR 1019980024735 A KR1019980024735 A KR 1019980024735A KR 19980024735 A KR19980024735 A KR 19980024735A KR 100296130 B1 KR100296130 B1 KR 100296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oxide film
double
reg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493A (ko
Inventor
이종욱
조규석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80024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130B1/ko
Priority to TW088110771A priority patent/TW439227B/zh
Priority to US09/340,427 priority patent/US6194256B1/en
Priority to JP18189099A priority patent/JP3852068B2/ja
Publication of KR20000003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0Deposi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on a substrate, e.g. epitaxial growth solid phase epitax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4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being an insulating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0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the substrate comprising an insulating body on a semiconductor body, e.g. SO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박막형 N채널 및 P채널 MOSFET의 이동도를 동시에 증가시키기 위해 N채널소자가 제조될 영역은 쉘로우 트렌치 소자분리구조로 하여 실리콘박막내에 존재하는 스트레스를 최소로 유지하고 P채널소자가 제조될 영역은 실리콘국부산화에 의한 소자분리구조로 하여 실리콘박막내에 존재하는 스트레스를 압축변형력(compressive stress)이 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실리콘박막내에서의 전자와 정공의 이동도를 증가시켜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MOSFET이 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막 실리콘웨이퍼(SOI; silicon on insulator)를 이용한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MOSFET)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소자를 이용한 집적회로의 특성이 고집적화, 고속화, 저전력화되는 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얻기 위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도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그러한 많은 방법들중에서 실리콘 이중막웨이퍼를 이용하여 반도체소자를 제작하는 기술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하여 제작한 반도체소자는 단결정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하여 제작한 반도체소자에 비해 작은 접합용량(junction capacitance)에 의한 고속화, 낮은 문턱전압에 의한 저전력화, 완벽한 소자격리에 의한 래치업(latch-up)의 방지등의 장점들을 갖는다.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하여 제작된 반도체소자가 상기의 장점을 갖기 위해서는 이중막 실리콘웨이퍼의 상부실리콘층의 두께가 100nm이하로 얇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필드산화막을 형성하여 소자와 소자를 분리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 형성된 필드산화막이 매몰산화막과 접촉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부실리콘층은 과도한 변형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실리콘층에 과도한 변형력이 존재하는 경우에 N채널 소자의 전자이동도는 감소하는 반면 P채널소자의 정공이동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상부실리콘박막내에 존재하는 인장 변형력이 증가할수록 전자의 이동도는 감소하는 반면 압축변형력(compressive stress)이 증가할수록 정공의 이동도는 증가한다.
따라서 고속화 및 저전압화가 가능한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하여 제작한 CMOS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N채널 및 P채널 MOS트랜지스터의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박막형 N채널 및 P채널 MOSFET의 이동도를 동시에 증가시키기 위해 N채널소자가 제조될 영역의 실리콘박막내에 존재하는 스트레스를 최소로 유지하고 P채널소자가 제조될 영역의 실리콘박막내에 존재하는 스트레스를 압축변형력(compressive stress)이 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실리콘박막내에서의 전자와 정공의 이동도를 증가시켜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MOSFET이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h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MOSFET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MOSFET 단면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실리콘기판 2.매몰산화막
3.상부실리콘층 4.패드산화막
5.실리콘질화막 6.필드산화막 형성영역
7.필드산화막 8.감광막
9.트렌치 형성영역 10.트렌치
11.산화막 16.N채널소자의 소오스
17.N채널소자의 드레인 18.N채널소자의 게이트산화막
19.N채널소자의 게이트 20.P채널소자의 소오스
21.P채널소자의 드레인 22.P채널소자의 게이트산화막
23.P채널소자의 게이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MOSFET제조방법은 하부실리콘층, 매몰절연막과 상부실리콘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제1영역과 이에 인접한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이중막 실리콘웨이퍼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상부실리콘층 소정부분에 실리콘국부산화에 의해 제1필드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상부실리콘층의 소정부분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내에 제2필드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에 P채널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영역에 N채널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h에 본 발명에 의한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MOSFET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서에 따라 나타내었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실리콘기판(1)내의 소정부분에 매몰산화막(2)을 형성하고, 기판상부에 패드산화막(4)과 실리콘질화막(5)을 차례로 형성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3은 실리콘기판(1)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부실리콘층(3)을 나타낸다. 이어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진식각공정을 통해 상기 실리콘질화막(5)을 패터닝하여 필드산화막이 형성될 영역(6)을 정의한다.
다음에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필드산화막 형성영역(6)에 실리콘국부산화(LOCOS)에 의해 필드산화막(7)을 형성한다. 이때 필드산화막(7)이 상기 매몰산화막(2)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공정시간과 온도를 조절하여 형성한다. 이어서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전면에 감광막(8)을 형성하고 사진식각공정을 통해 상기 감광막(8) 및 실리콘질화막(5)을 패터닝하여 트렌치가 형성될 영역(9)을 정의한 후, 그 하부에 해당하는 상부실리콘층(3)부분을 도 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식식각에 의해 제거한다.
이어서 도 1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감광막을 제거하고, 기판 전면에 산화막(11)을 형성하여 트렌치영역(10)을 매립한 후, 도 1G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기계연마법을 이용하여 실리콘질화막(5)이 노출되도록 상기 산화막(11)을 제거한 다음, 인산용액을 이용하여 실리콘질화막(5)을 제거하면 도 1H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렌치영역에 필드산화막(11)이 형성된 트렌치 소자분리구조(A)와 실리콘 국부산화에 의해 필드산화막(7)이 형성된 소자분리구조(B)가 얻어진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친 웨이퍼위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준 반도체소자 제조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콘 국부산화에 의한 소자분리영역(B)에는 소오스 및 드레인(20,21), 게이트산화막(22)과 게이트(23)로 이루어진 P채널 MOSFET를 제조하고, 트렌치 소자분리영역(A)에는 소오스 및 드레인(16,17), 게이트산화막(18)과 게이트(19)로 이루어진 N채널 MOSFET를 제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리콘국부산화법과 쉘로우 트렌치분리법을 이용하여 각각 N채널 및 P채널소자가 제작될 영역에서의 소자간 분리를 행함으로서 상부실리콘박막내에 존재하는 스트레스를 조절하여 전자와 정공의 이동도를 동시에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먼저,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박막형 P채널 MOSFET제조시 실리콘박막내에 존재하는 스트레스의 양태를 조절함으로써 정공의 이동도를 증가시켜 P채널 MOSFET의 이동도를 증가시킨다. 이중막 실리콘구조에서 실리콘박막이 압축변형력을 받고 있을때 그 실리콘박막내에서의 정공의 이동도는 벌크실리콘에서의 정공의 이동도보다 더 크다는 것이 문헌에 보고되어 있다(Silicon-on-insulator technology and devices VIII, edited by S. Cristoloveanu, pp. 335). 따라서 필드산화막공정에서 공정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실리콘박막으로 하여금 압축변형력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중막 실리콘웨이퍼의 매몰산화막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실리콘박막이 압축변형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매몰산화막의 두께가 얇을수록 실리콘박막이 더 큰 압축변형력을 받기 쉬우므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매몰산화막의 두께가 약 100nm정도인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위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매몰산화막내에 존재하는 스트레스의 양이 적어도 1X10010dyne/cm2이상이 되어야만 가능하다.
그리고 실리콘국부산화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N채널소자의 전자이동도는 벌크실리콘에 비해 감소한다는 것이 문헌에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N채널소자의 경우에는 실리콘국부산화법이 아닌 트렌치분리법을 적용하여 상부실리콘박막내에 존재하는 스트레스의 양을 최소화하여 전자를 이동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리콘박막내에서의 전자와 정공의 이동도를 동시에 증가시키기 위해 N채널소자가 형성될 영역에서는 쉘로우 트렌치분리법을 적용하여 상부실리콘박막내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P채널소자가 형성될 영역에서는 실리콘국부산화법을 적용하여 상부실리콘박막내의 스트레스가 압축변형력이 되도록 필드산화막 형성조건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도가 증가된 N채널 및 P채널 MOSFET를 이용하여 고성능 CMOS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3)

  1. 하부실리콘층, 매몰절연막과 상부실리콘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제1영역과 이에 인접한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이중막 실리콘웨이퍼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상부실리콘층 소정부분에 실리콘국부산화에 의해 제1필드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상부실리콘층의 소정부분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내에 제2필드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에 P채널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영역에 N채널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드산화막 형성단계에서 상기 이중막 실리콘웨이퍼의 매몰절연막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실리콘국부산화시의 시간과 온도를 조절하여 제1필드산화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드산화막은 상기 트렌치가 형성된 이중막 실리콘웨이퍼 전면에 상기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산화막을 형성한 후, 화학기계연마법을 이용하여 상기 산화막을 제거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19980024735A 1998-06-29 1998-06-29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296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735A KR100296130B1 (ko) 1998-06-29 1998-06-29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조방법
TW088110771A TW439227B (en) 1998-06-29 1999-06-25 Method for fabricating CMOS device
US09/340,427 US6194256B1 (en) 1998-06-29 1999-06-28 Method for fabricating CMOS device
JP18189099A JP3852068B2 (ja) 1998-06-29 1999-06-28 電子及び正孔の移動度を向上させることができるcmos素子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735A KR100296130B1 (ko) 1998-06-29 1998-06-29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493A KR20000003493A (ko) 2000-01-15
KR100296130B1 true KR100296130B1 (ko) 2001-08-07

Family

ID=1954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735A KR100296130B1 (ko) 1998-06-29 1998-06-29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94256B1 (ko)
JP (1) JP3852068B2 (ko)
KR (1) KR100296130B1 (ko)
TW (1) TW4392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8793B2 (ja) * 2000-04-03 2011-06-0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N101465295A (zh) * 2000-11-22 2009-06-24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JP2003086708A (ja) * 2000-12-08 2003-03-20 Hitachi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57301A (ja) * 2000-12-08 2005-03-03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173672B2 (ja) * 2002-03-19 2008-10-29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030383B2 (ja) * 2002-08-26 2008-01-09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52592B1 (ko) 2004-01-27 200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8450806B2 (en) * 2004-03-31 2013-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strained silicon-on-insulator structures and strained silicon-on insulator structures formed thereby
US7402885B2 (en) * 2006-05-15 2008-07-22 Toshiba America Electronic Components, Inc. LOCOS on SOI and HOT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JP5103804B2 (ja) * 2006-06-27 2012-12-1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038689A1 (en) * 2008-08-13 2010-02-18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Integrating fabrication of photodetector with fabrication of cmos device on a silicon-on-insulator substrate
EP2626917B1 (en) * 2012-02-10 2017-09-27 IHP GmbH-Innovations for High Performance Microelectronics / Leibniz-Institut für innovative Mikroelektronik A CMOS-compatible germanium tunable Laser
FR3046492B1 (fr) 2015-12-31 2018-03-23 Stmicroelectronics Sa Procede de realisation de transistors mos contraint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797B2 (ja) * 1986-08-06 1994-07-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Cmos半導体装置
JP3164381B2 (ja) 1991-07-09 2001-05-08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555358A (ja) 1991-08-29 1993-03-05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496764A (en) 1994-07-05 1996-03-05 Motorola, Inc. Process for forming a semiconductor region adjacent to an insulating layer
JPH08181296A (ja) 1994-12-26 1996-07-12 Nippondenso Co Ltd 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US5670387A (en) 1995-01-03 1997-09-23 Motorola, Inc. Process for forming semiconductor-on-insulator device
US5679599A (en) 1995-06-22 1997-10-21 Advanced Micro Devices, Inc. Isolation using self-aligned trench formation and conventional LOCOS
FR2736208B1 (fr) * 1995-06-30 1997-09-19 Motorola Semiconducteurs Procede de fabrication de circuits integres
JPH0974133A (ja) 1995-09-05 1997-03-18 Fuji Electric Co Ltd 誘電体分離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9172061A (ja) 1995-12-18 1997-06-30 Fuji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731619A (en) * 1996-05-22 1998-03-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MOS structure with FETS having isolated wells with merged deple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5811329A (en) * 1996-06-03 1998-09-2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CMOS circuitry including patterning a layer of conductive material overlying field isolation ox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94256B1 (en) 2001-02-27
JP3852068B2 (ja) 2006-11-29
KR20000003493A (ko) 2000-01-15
JP2000036605A (ja) 2000-02-02
TW439227B (en) 200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725B1 (ko) 변형된 디바이스 막을 구비한 실리콘-온-절연체 디바이스및 절연 산화물을 부분적으로 대체하여 상기 디바이스를생성하는 방법
US6900094B2 (en) Method of selective removal of SiGe alloys
KR0176202B1 (ko) 에스.오.아이형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8211761B2 (en) Semiconductor system using germanium condensation
KR101035596B1 (ko) 딥 트렌치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US20040150013A1 (en) Semiconductor device
US6764917B1 (en) SOI device with different silicon thicknesses
KR100296130B1 (ko) 이중막 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한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조방법
US8946819B2 (en) Silicon-on-insulator integrated circuits with local oxidation of silicon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294640B1 (ko) 부동 몸체 효과를 제거한 실리콘 이중막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1015734A (ja) トランジスタ素子製造におけるトレンチ分離構造を利用した高圧素子と低圧素子の整合方法
KR100861523B1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6605843B1 (en) Fully depleted SOI device with tungsten damascene contacts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100263475B1 (ko) 반도체 소자의 구조 및 제조 방법
JP2002289698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と携帯電子機器
KR100226784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3714654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07047B1 (ko) 에스.오.아이(soi)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H0722625A (ja) 半導体装置
JP2007207825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194315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9148319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82789A (ja) Mos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63484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57816A (ko) 실리콩온인슐레이터기판을사용한완전공핍형트랜지스터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