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813B1 - 샤워헤드 - Google Patents

샤워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813B1
KR100294813B1 KR1019940000394A KR19940000394A KR100294813B1 KR 100294813 B1 KR100294813 B1 KR 100294813B1 KR 1019940000394 A KR1019940000394 A KR 1019940000394A KR 19940000394 A KR19940000394 A KR 19940000394A KR 100294813 B1 KR100294813 B1 KR 100294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ning
water
sel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130A (ko
Inventor
마쯔이카즈히로
Original Assignee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2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05B1/1627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05B12/002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restricting their movement
    • B05B12/0024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restricting their movement to a single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제 2 분출구로 부터 내부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샤워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레이 하우징(5)의 앞끝단에 배치한 분출구를 구비한 스프레이 시이트(27)와, 스프레이 하우징(5)내에 배치한 제 1 및 제 2 공급구(73), (77)를 가지는 디스트리뷰터(19)와, 스프레이하우징(5)내에 끼워져서 디스트리뷰터(19)내를 이동가능한 주입구(121)를 가지는 셀렉터(43)와, 디스트리뷰터(19)의 왼쪽끝단(81)에 설치한 제 1 챔버(82)와, 제 2 챔버(82)의 앞끝단에 설치한 직선형상 분출구(89)와, 제 1 챔버(82)내를 이동가능한 돌출부(101) 및 덮개부(99)를 가지는 니들밸브(23)와, 니들밸브(23)을 가세하는 코일스프링(177)을 구비한 샤워노즐(1)이 제공된다. 셀렉터(43)가 니들밸브(23)의 덮개부(99)를 눌려 직선형상 분출등을 하게 하는 경우에만, 직선형상분출구(89)가 디스트리뷰터(19)의 내부와 연이어 통한다.

Description

샤워 헤드
제1도는 본 발명의 샤워노즐(1)을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샤워노즐(1)의 수평관부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이다.
제3도는 제2도의 선 3-3 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이다.
제4도는 제2도의 선 4-4 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이다.
제5도는 샤워노즐(1)의 디스트리뷰터, 노즐헤드, 니들 및 코일스프링을 조합한 상태의 좌측면도 이다.
제6도는 제5도의 평면도 이다.
제7도는 제5도의 선 7-7 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이다.
제8도는 제6도의 선 8-8 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이다.
제9도는 밸브샤프트, 캠기구 및 밸브튜브를 조합한 상태의 사시도 이다.
제10도는 수평관부를 나타내는 제3도의 선 10-10 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이다.
제11도는 SE 링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이다.
제12도는 핸들그립을 쥔 상태를 나타내는 제3도와 유사한 단면도 이다.
제13도는 부채형상의 분출상태를 나타내는 제3도와 유사한 단면도 이다.
제14도는 샤워형상의 분출상태를 나타내는 제3도와 유사한 단면도 이다.
제15도는 물뿌리개(조로) 형상의 분출상태를 나타내는 제3도와 유사한 단면도 이다.
제16도는 직선형상의 분출상태를 나타내는 제3도와 유사한 단면도 이다.
제17도는 안개형상의 분출상태를 나타내는 제3도와 유사한 단면도 이다.
제18도는 종래의 샤워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워헤드 19 : 디스트리뷰터
23 : 니들밸브 25 : 코일스프링
43 : 셀렉터 73 : 디스트리뷰터의 제 1 공급구
77 : 디스트리뷰터의 제 2 공급구
82 : 제 1 챔버 89 : (직선형상) 분출구
91 : (부채형상) 분출구 99 : 덮개부
101 : (니들의) 돌출부 111 : (샤워형상) 분출구
121 : (셀렉터의) 주입구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태의 살수(撒水)를 행할 수 있는 샤워헤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피스톨형상 등으로 형성된 노즐본체의 손잡이 앞끝단에 호스접속부를 설치하고, 노즐본체의 손잡이에 설치한 핸들그립의 조작에 의해 분출구를 개폐하는 방식의 샤워헤드가 알려져 있다.
특히,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 1990-14765 호에는 여러 종류의 분출구를 가지고 있어서 살수상태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샤워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샤워헤드는, 제18도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샤워헤드(300)내에서 나사(302)에 의해 미끄럼 이동가능한 통형상의 셀렉터(304)의 측면에 개구(306)를 설치하고, 이 셀렉터(304)의 위치에 따라서 물을 방출시키는 분출구의 종류를 바꾸고 있다. 즉, 개구(306)를 소망하는 분출구와 연이어 통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셀렉터(304)내로 부터 물을 공급하여 소망하는 종류의 분출구로 부터 물을 방출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샤워헤드(300)에는 물의 일직선 형상의 방출을 위한 비교적 큰 중앙 분출구(308)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중앙 분출구(308)가 항상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물을 방출시키고 있지 많은 경우나 또는 다른 분출구로 물을 방출시키는 경우에 먼지등이 끼어들기 쉽다. 이렇게 먼지가 침입한 상태에서 셀렉터(304)를 미끄럼 이동시키면, 샤워헤드(300)의 내면과 미끄럼 이동하는 셀렉터(304)의 측면과의 사이에 먼지가 끼어들어가서 셀렉터(304)에 상처가 나거나 셀렉터가 움직이지 않아서 고장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분출구를 통해 내부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샤워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헤드는 하나의 축선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있는 샤워페이스를 포함한다. 샤워페이스에는, 직선형상의 분출물 위한 제 1 분출구와, 제 1 분출구와는 다른 종류의 분출을 위한 제 2 분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샤워헤드는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며 제 1 분출구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챔버와,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어서 제 1 챔버로부터 분리되어 제 2 분출구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챔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샤워헤드는 하우징내에 고정되어서 제 1 분출구와 제 2 분출구에 물을 공급하며, 제 1 챔버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개구부와 제 2 챔버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개구부를 갖춘 급수관도 포함한다. 또한, 샤워헤드는 제 1 챔버내에 지지되어서 제 1 개구부를 닫도록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와, 급수관내에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부착되어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며 제 1 개구부 또는 제 2 개구부에 급수접속을 하는 셀렉터 밸브를 포함하며, 아울러 제 2 개구부로부터 급수되는 제 1 위치와 제 1 개구부로부터 급수되며 스프링 작동밸브가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열리는 제 2 위치와의 사이에서 셀렉터 밸브를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샤워헤드는, 셀렉터 밸브가 제 1 위치에 있을때에는 제 2 개구부로 물을 분출하고, 제 2 위치에 있을때에는 제 1 개구부로 물을 분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헤드에 의하면, 제 1 분출구로부터 물을 방출시키는 경우 이외에는, 스프링 작동밸브가 제 1 챔버와 급수관의 사이를 밀폐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분출구를 통해 급수관으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 1 분출구로부터 물을 방출시킬 경우에는, 항상 급수관에서 제 1 분출구로 수압이 가해지고 있기때문에, 급수관으로 먼지가 침입하는 일은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노즐(1)의 정면도를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살수상태를 선택하는 선택마크(3)가 스프레이하우징(5)의 외주에 인쇄되어 있으나, 설명상 이 선택마크(3)만 전개하여 나타낸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샤워노즐(1)의 수평관부(7)의 좌측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선 3-3 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윗부분 절반이 수직으로 절단된 상태이고 아랫부분 절반이 수평으로 절단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4도는, 분출부(9)와 분출구 선택부(11)를 뺀 상태의 샤워노즐(1)을 제3도의 선 4-4 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며, 제5도는 디스트리뷰터(19), 노즐헤드(21), 니들밸브(23) 및 코일스프링(25)을 조합한 상태의 좌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평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선 7-7 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선 8-8 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그리고 제9도는 밸브샤프트(173), 캠기구(171) 및 밸브튜브(151)를 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샤워노즐(1)은 피스톨 형상이며, 수평관부(7)와 손잡이부(13)로 이루어진다.
수평관부(7)는, 회전가능한 스프레이 하우징(5)과, 손잡이(13)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그립하우징(51)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분출부(9)와, 살수상태를 선택하는 분출구선택부(11)와, 그리고 급수부(15)를 포함하고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분출부(9)는 스프링이 하우징(5), 디스트리뷰터(19), 노즐헤드(21), 니들밸브(23), 코일스프링(25), 스프레이 시이트(27), 링너트(29) 및 프로텍트카바(31)로 이루어진다.
스프레이 하우징(5)은, 중앙에 중심구멍(33)을 뚫은 간막이판(35)을 경계로 하여, 좌측은 앞끝단을 향하여 넓어지는 대략 원추대형상부(37)를, 그리고 우측은 원통부(39)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원통부(39)에는, 그 내면(41)에 나사부(47)가 설치되어 있어서, 후술할 셀렉터(43)의 나사부(45)에 끼워맞추어진다. 또, 그 외부(49)에는 홈(57)이 설치되는데, 이 홈(57)으로 후술할 단면이 T 자형인 SE 링(53)의 갈고리부(55)가 끼워져서 그립하우징(51)을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한편, 원추대 형상부(37)의 내부중앙에는 디스트리뷰터(19)가 나사(58)에 의해 간막이판(35)에 고정되며, 그 앞끝단측에 노즐헤드(21)가 상기 디스트리뷰터(19)에 고정되어있다. 그리고, 개구부(59)는 원형의 스프레이 시이트(27)로 폐쇄되어 있다. 또, 스프레이 하우징(5)의 외주 앞끝단에는 나사부(60)가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링너트(29)와 끼워맞춰진다. 외주(61)의 중앙측에는, 살수상태를 선택하는 선택 마크(3)가 원주를 따라 인쇄되어 있는데, 이 선택마크(3)를 후술한 SE 링(53)의 지정마크(63)와 맞춤으로써 분출구가 지정된다.
디스트리뷰터(19)의 중앙에는 양끝단이 개구된 굵은 통형상부(65)가 형성되는데, 제5도 내지 제8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굵은 통형상부(65)의 바깥측에는 이 굵은 통형상부(65)와 180° 마주하고 그 왼쪽끝단(85)이 개구된 두개의 가는 통형상부(67)가 고정되어있다. 굵은 통형상부(65)와 가는 통형상부(67)는 각각 내벽(69)에 의해 격리되어 있으나, 오른쪽 끝단부(71)에 가는 통형상부(67)와 연이어 통하는 제 1 공급구(7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굵은 통형상부(65)의 상면에는 제 1 공급구(73)와는 연이어 통하지 않는 제 2 공급구(77)가 설치 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반대측의 하면에도 같은 모양의 제 2 공급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 굵은 통형상부(65)의 왼쪽 끝단(81) 내면에는, 후술할 니들밸브(23)의 외주돌기(95)를 굵은 통형상부(65)의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홈(97)이 설치되어 있다. 디스트리뷰터(19)의 오른쪽 끝단부(71)는, 상기 스프레이 하우징(5)의 중심구멍(33)과 굵은 통형상부(65)의 오른쪽 끝단개구(79)가 연이어 통하도록, 나사(58)에 의해 상기 스프레이 하우징(5)와 간막이판(35)에 고정되어 있다.
제3도,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노즐헤드(21)는 디스트리뷰터(19)의 굵은 통형상부(65)의 왼쪽끝단(81)의 외주에 방수가 되도록 겹쳐 접착된 직선 형상분출부(83)와, 가는 통형상부(67)의 왼쪽끝단(55) 내주에 방수가 되도록 겹쳐 접착된 부채형상분출부(87)로 이루어지며, 각각 굵은 통형상부(85)와 가는 통형상부(67)의 왼쪽끝단(81), (85)의 개구를 폐쇄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후술할 니들(23)을 디스트리뷰터(19)와 직선형상분출부(83)에 의해 배치시키는 제 1 챔버(82)가 형성된다. 가는 통형상부(67)와 부채형상분출부(87)가 제 2 챔버(84)를 형성한다. 제 3 챔버(86)는 디스트리뷰터(19)의 외주와 스프레이하우징(5)의 내벽에 의해 형성되며, 제 2 공급구(77)에 연결되어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직선형상분출부(83)에는, 그 앞끝단에 원형의 직선형상분출구(89)가 설치되어 있고, 부채형상분출부(87)에는, 그 앞끝단에 직선형상분출구(89) 보다도 개구면적이 작은 편평한 마름모꼴의 부채형상분출구(91)가 설치되어 있다.
제3도 및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니들밸브(23)는 제 1 챔버(82)내에 배치되며, 오른쪽 끝단의 덮개부(99)와, 왼쪽끝단의 돌출부(101)로 이루어진다. 덮개부(99)는 편평한 원추형이고, 저면(103)이 디스트리뷰터(19)의 중앙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을 가지며, 제 1 챔버(82)의 앞끝단측으로부터 가세된 상태로 제 1 챔버(82)의 뒷끝단을 폐쇄하고 있다. 또, 그 저면(103)에는 외주돌기(95)가 설치되는데, 상기 디스트리뷰터(19)의 홈(97)에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서 니들밸브(23)를 안내한다. 또한, 이 외주돌기(95)는 제 1 챔버(82)의 뒷끝단에 걸려져서 디스트리뷰터(19)가 중앙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돌출부(101)는 직선형상분출구(89)의 내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진 원통형이며, 덮개부(99)의 정점(頂点)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앞끝단에는, 우산형상부(105)가 형성되어있다. 니들밸브(23)는, 제 1 챔버(82)내에 배치된 코일스프링(25)에 의해서 항상 앞끝단에서 뒷끝단으로 밀리면서 제 1 챔버(52)의 뒷끝단에 걸려 있지만, 후술할 셀렉터(43)에 의해서 왼쪽방향으로 눌려짐으로써 제 1 챔버(82)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할 수가 있으며, 돌출부(101)는 직선형상분출구(89)로부터 출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프레이시이트(27)는 중앙이 볼록한 원형이며,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중앙에 제공된 직선형상분출구(89)를 관통할 수 있는 직선형상 분출구 관통구멍(107)과, 그것을 중심으로 하여 180° 마주보고 부채형상분출구(91)를 관통할 수 있는 2개의 부채형상 분출구 관통구멍(10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나머지 부분에는 극히 가는 다수의 샤워형상분출구(111)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전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프레이 시이트(27)는 상기 스프레이 하우징(5)의 개구부(59)에 배치되어서, 내주에 나사부(113)를 가지는 링너트(29)를 그 개구부(59)의 나사부(60)에 끼워맞춤으로써 고정되며, 링형상을 하고있는 고무 프로텍트커버(31)를 그 외부로부터 덮음으로써 방수가 되게 폐쇄된다.
분출구 선택부(11)는 셀렉터(43)와, 셀렉터 가이드(115)와, 단면이 T 자형인 SE 링(53)으로 이루어진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셀렉터(43)는 통형상부재이며 그 앞끝단(117)은 봉쇄되어 있고, 뒷끝단(125)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앞끝단(117)으로부터의 측면(119)에는 주입구(1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주입구(121) 근방에는, 세개의 O 링(123)이 각각 배치되어서 디스트리뷰터(19)의 굵은통형상부(65)와의 사이를 방수가 되게 유지하고 있다. 뒷끝단(125)에는, 스프레이 하우징(5)의 나사부(47)에 끼우는 나사부(45)를 구비한 볼록부(129)가 설치되어 있어서, 스프레이 하우징(5)을 회전시킴으로써 셀렉터(43)의 위치를 전진 또는 후퇴시킨다. 또, 제10도에서 제3도의 선 10-10 을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블록부(129)에는 후술할 셀렉터 가이드(115)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두개의 오목부(131)가 마주하여 설치되어 있다. 셀렉터(43)는 셀렉터가이드(115)에 의해서 안내되어서 디스트리뷰터(19)내를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다.
셀렉터가이드(115)는, 그 오른쪽끝단(133)이 후술할 그립하우징(51)에 구속된 메인튜브(135)에 회전운동할 수 없게 부착된 편평한 막대기 형상체 이다. 셀렉터 가이드(115)에는, 셀렉터(43)의 두개의 오목부(131)가 각각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끼워져서 셀렉터(43)를 안내한다. 따라서, 셀렉터(43)는 스프레이이하우징(5)을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셀렉터 가이드(115)에 의해서 안내되면서, 스프레이 하우징(5)의 나사부(4기에 셀렉터(43)의 나사부(45)가 끼워져서 디스트리뷰터(19)내를 전진 또는 후퇴한다.
SE 링(53)은, 제11도에 그 좌측면도를 나타낸 바와같이, 일부가 절단된 링형상이다. 그 내면에는, 중심을 향한 3개의 갈고리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갈고리부(55)는, 후술할 그립하우징(51)에 설치된 세개의 끼움구멍(137)을 관통하여서 스프레이 하우징(5)에 설치된 홈(57)에 도달함으로써, 스프레이 하우징(5)과 그립하우징(51)을 서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으며, 이 스프레이 하우징(5)과 그립하우징(51) 사이의 틈새를 덮어준다. 또, 갈고리(55)의 표면에는 그립하우징(51)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돌기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SE 링(53)의 중앙표면에는 지정마크(63)가 인쇄되어서, 스프레이 하우징(5)에 인쇄된 선택마크(3)를 지정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급수부(15)는 메인튜브(135)와, 튜브콕(139)과, 핸들콕(141)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튜브(135)는, 일체로된 우측의 굵은 통형상부(143)와, 좌측의 가는 통형상부(145)로 이루어지는데, 가는 통형상부(145)는 그 바깥둘레에 O 링(147)을 장착하여 셀렉터(43)내에 방수가 되게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또, 굵은 통형상부(143)의 저면(149)에는, 후술할 밸브(151)가 끼워져 들어가는 원통형상의 급수구(153)가 설치되는데, 급수구(153)로부터 공급된 물은 굵은 통형상부(143)로부터 가는 통형상부(145)를 지나서 셀렉터(43)내에 공급된다. 메인튜브(135)는, 후술할 그립하우징(51)에 고정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튜브콕(139)은 원통형이고, 메인튜브(135)의 굵은통형상부(143)내에 단면이 E 자형인 E 링(155)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며, 회전운동과 방수가 되게 끼워져 있다. 그 측면(157)에는, 한족 끝단이 넓고 다른쪽 끝단을 향해 점차로 좁아지는 이형개구(159)가 상기 메인튜브(135)의 급수구(153)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튜브콕(139)의 오른쪽 끝단(161)에는, 후술할 핸들콕(141)의 돌기(162)가 걸려지는 오목부(163)가 설치되어서, 핸들콕(141)와 회전에 연이어 회전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튜브콕(139), 즉, 이형개구(159)를 핸들콕(141)에 의해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상기 공급구(153)와의 사이에서 개구율을 변화시켜, 메인튜브(135)로 배출하는 수량을 조정한다. 튜브콕(139)의 오른쪽 끝단(161)측에 물이 새지않도록, 메인튜브(135)와 튜브콕(193) 사이로 O 링(165)이 배치되어 있다.
핸들콕(141)은 캡형상이며, 그 내면에 돌기(162)가 설치되어서, 상기와 같이 튜브콕(139)의 오목부(163)에 끼워져서 튜브콕(139)과 일체로 회전운동한다. 또, 그 외면(167)에는 조정수량을 나타내는 수량마크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손잡이부(13)는 그립하우징(51)과, 밸브시이트(169)를 가지는 밸브튜브(151)와, 캠기구(171)와, 밸브샤프트(173)와 밸브볼(175)과, 밸브스프링(177)과, 핸들그립(179)과, 죠이너(181)와, 그리고 핸들 스토퍼(183)로 이루어진다.
그립하우징(51)은, 스프레이하우징(5)과 SE 링(53)에 의해 회전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통형상의 수평부(185)와, 이 수평부(185)로부터 둔각으로 굴곡되어 하방으로 신장되어 있는 하단부(187)로 이루어지며, 수평관부(7)와 손잡이부(13)를 연결하고 있다. 수평부(185)에는 상기 분출구 선택부(11)와 급수부(15)가 배치되고, 하단부(187)에는 상기 손잡이부(13)의 다른 구성부재가 배치된다. 하단부(187)의 좌측면에는, 후술할 핸들그립(179)을 수납하고 있는 수납구멍(18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수납구멍(180)의 상부에는 돌기(239)가 형성되어서, 후술할 핸들스토퍼(183)의 관통구멍(237)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어준다.
밸브튜브(151)는 대략 L자 형상의 원통수로이며, 그 상부(189)가 상기 메인튜브(135)의 급수구(153)에 방수가 되게 연결되어 있다. 그 전방 바깥표면(191)에는, 후술할 밸브샤프트(173)를 유도하는 레일(193)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밸브튜브(151)의 하부(195)는, 상부(189)로부터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그 앞끝단이 폐쇄되어있다. 하부(195)의 저면 중앙에는, 밸브시이트(16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밸브시이트(169)를 개재하여 밸브시이트통(170)이 설치되어 있다. 밸브시이트통(170)은, 밸브볼(175)의 바깥지름보다도 큰 안쪽지름을 가지는 원통형상이며, 밸브튜브(151)의 내부와 외부로부터의 수로를 연이어 통하게 한다. 밸브시이트(169)는, 밸브볼(175)이 상방으로 밀려지는 상태에서 밸브볼(175)과 방수가 되게 끼워지며, 밸브볼(175)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상면에 방수패킹(200)이 구비되어 있다. 밸브시이트(169)는, 후술할 밸브스프링(177)의 힘에 대항하여 밸브볼(175)이 하방으로 눌려 내려가면 개구되어, 밸브시이트통(170)과 밸브튜브(151)의 내부가 연이어 통하게 된다. 밸브시이트통(170)의 내면에는, 밸브볼(175)을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지지돌기(198)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시이트통(170)의 외주에는, 후술할 죠이너(181)와 끼워맞추어지도록, 나사부(19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하부(195)의 상면에는 상부(189)와 평행하게 상방을 향한 밸브샤프트 관통구멍(201)이 설치되어서, 후술할 밸브샤프트(173)를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유지한다.
밸브샤프트(173)는 막대기형상체이며, 밸브튜브(151)의 상부(189)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 윗끝단(203)은, 우측이 개구된 대략 ㄷ 자 형으로 형성되며,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밸브튜브(151)에 설치된 레일(193)에 끼워져서, 이 레일(193)에 의해 안내된다. 그 중앙에는, 좌우를 향해 개구되어 있는 세로구멍(206)이 형성되어서, 후술할 밸브레버(205)의 원호형상 돌출부(207)를 끼워둔다. 세로구멍(206)의 저면(209)은, 밸브레버(205)의 원호형상 돌출부(207)에 의한 접촉이 매끄럽게 되도록, 아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단(211)은, 원추형상으로 하방을 향해 좁혀져서 상기 밸브샤프트 관통구멍(201)에 삽입되며, 그 중앙에는 상기 밸브샤프트 관통구멍(201)에 방수가 되게 끼우기 위한 O 링(213)이 배치된다. 그 앞끝단(215)은, 상기 밸브튜브(151)의 하부(195)로부터 밸브시이트(169)를 관통하여서 밸브볼(175)에 맞붙어있다.
캠기구(171)는 밸브레버(205)와, 링크로울러(217)와, 링크 샤프트(219)로 이루어진다.
밸브레버(205)는 윗끝단에 링크로울러 끼움부(221), 이랫끝단에 원호형상돌출부(207)를 각각 갖추고 있는 막대기 형상체이다. 밸브레버(205)는, 밸브튜브(151)의 하부(195) 상면에서 밸브샤프트(173)와 나란히 링크샤프트(219)에 의해 요동이 자유롭게 고정되어있다. 링크로울러 끼움부(221)는, 상방을 향해 개구된 대략 ㄷ자 형이며, 전후로 관통하는 오목걸림부(222)가 설치되어서 후술할 링크로울러(217)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어준다. 원호형상 돌출부(207)는, 상기 밸브샤프트(173)의 세로구멍(206)에 삽입되며, 밸브레버(205)가 시계방향(즉, 제9도에 있어서, Y1방향)으로 요동하면, 세로구멍(206)이 눌려져서 밸브샤프트(173)가 하방(즉, 제9도에 있어서 Y2방향)으로 이동하며, 밸브볼(175)이 하방으로 눌려진다. 또한, 세로구멍(206)의 저면(209)이 아아치형이기 때문에, 이 원호형상 돌출부(207)와 세로구멍(206)과의 접촉은 매끄럽다. 링크로울러(217)는 원판형상이며, 중심에 전후로 관통하는 축(223)이 설치되어있다. 이 축(223)는 상기 링크로울러 끼움부(221)의 오목걸림부(222)에 의해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걸려지고, 링크로울러(217)는 링크로울러 끼움부(221)에 끼워져있다. 링크로울러(217)는, 후술할 핸들그립(179)에 의해 눌려져서 그 내면(225)을 매끄럽게 회전하면서 이동하여서, 핸들그립(119)의 누름에 의한 밸브레버(205)의 위치변화를 매끄럽게 한다.
링크샤프트(219)에는, 스프링부재인 리턴스프링(220)이 구비되어 있어서, 항상 밸브레버(205)를 핸들그립(179)(즉, 제9도에 있어서, X2방향)쪽으로 강하게 누르고 있다. 이에 따라서, 핸들그립(179)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작동되어, 밸브레버(205)가 핸들그립(179) 및 그립하우징(51) 내에서 헐렁거려서 잡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밸브볼(175)은, 상기 밸브시이트(169)에 배치되며, 밸브시이트(169)와 후술할 죠이너(181)와의 사이에 배치된 밸브스프링(177)에 의해서 항상 상방으로 가세되어서, 밸브볼(175)을 방수가 되도록 유지하고 있다.
핸들그립(179)은, 상기 그립하우징(51)의 핸들그립의 구멍(188)에 있어서, 삽입되며, 하부에 설치한 핀(227)을 중심으로하여 요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상면에는, 후술할 핸들스토퍼(183)에 의해 그립하우징(51)측에 걸려지기 위한 오목부(245)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그립(179)이 시계방향으로 요동하면 밸브레버(205)가 제9도에 나타낸 Y2방향으로 눌려지고, 그 원호형상 돌출부(207)가 밸브샤프트(173)의 세로구멍(206)을 Y2방향으로 눌러주어서, 밸브샤프트(173)가 밸브스프링(177)의 힘에 대항하여 밸브볼(175)을 하방으로 밀어넣는다.
죠이너(181)는, 외부로부터의 수로를 상기 밸브시이트통(170)에 연결시키는 통형상부재 이다. 상단의 내면에는 나사부(229)가 설치되는데, 이 나사부(229)를 상기 밸브시이트통(170)의 외주에 설치된 나사부(199)에 끼워맞춘다. 또한 하단 외주의 연결부에는 O 링이 배치되는 O 링용 구멍(233)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수로를 방수가 되게 연결한다. 그리고, 죠이너(181)의 내면에는 걸림턱(235)이 설치되어서 밸브스프링(177)의 하단을 걸어준다.
핸들스토퍼(183)는 손잡이(184)와, 굴곡된 가세판(241)과, 핸들그립멈춤용돌기(243)를 가지는 판형상부재이다. 그 중앙에 전후로 관통하는 관통구멍(237)이 그립하우징(51)의 돌기(239)에 걸려지는데,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있다. 가세판(241)이 오른쪽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튜브(135)를 눌러 주어서, 항상 핸들스토퍼(183)를 시계방향으로 밀어주고 있다. 또한, 핸들그립멈춤용돌기(243)가 하면에 설치되어서,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핸들그립(179)을 그립하우징(51)측으로 꽉 쥔 상태에서, 핸들그립(179)의 오목부(245)를 걸어줌으로써 핸들그립(179)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제12도 내지 제17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샤워노즐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외부수로를 죠이너(181))에 연결시켜, 물을 밸브시이트통(170)에 공급한다. 이 상태에서는, 아직 핸들그립(179)을 그립하우징(51)측으로 쥐고있지 않기 때문에, 밸브시이트(169)는 밸브볼(175)에 의해 방수가 되게 폐쇄되어 있으며, 물은 샤워노즐(1)내에 들어오지 않는다.
그 다음, 핸들그립(179)을 쥔다. 그러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링크롤러(217)를 통해 밸브레버(205)가 시계방향(제9도에 있어서, Y1방향)으로 눌려지고, 원호형상 돌출부(207)에 의해 밸브샤프트(173)가 하방(제9도에 있어서, Y2방향)으로 눌려내려가서, 밸브볼(175)을 밸브스프링(177)의 힘에 대항하여 눌러내린다. 그 결과,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은 제12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죠이너(181)의 내부로부터 밸브시이트(169)를 지나 밸브튜브(151)내로 주입된다. 여기에서, 핸들스토퍼(183)의 핸들그립 멈춤돌기(243)에 핸들그립(179)의 오목부(245)를 걸고, 핸들그립(179)을 그 상태로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밸브샤프트(173)는 밸브시이트통(170)과 거의 같은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측면으로부터 수압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물의 흐름에 의해 편심되거나 진동하는 일 없이, 밸브볼(175)을 항상 일정한 위치로 유지할 수가 있는데, 이로써 물의 흐름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뿐만아니라 진동이 없기때문에, 밸브샤프트(173)나 밸브볼(175) 및 그 주위에 배치된 부재를 마모시키거나 고장내는 일이 없다.
다믐으로, 핸들콕(141)에 의해 수량을 조정한다. 수량은, 핸들콕(141)을 회전운동시켜서 핸들콕(141)의 외면(167)에 돌출설치된 수량마크를 소정의 위치에 맞춤으로써 조정된다. 즉,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형개구(159)와 공급구(153)가 서로 겹쳐있지 않은(물이 메인튜브(135)에 공급되고있지 않은) 상태에서, 튜브콕(139)에 설치된 이형개구(159)를 핸들콕(141)에 의해 회전운동시킴으로써, 공급구(153)와 이형개구(159)의 시이에서 개구율을 변화시켜서 메인튜브(135)로 배출되는 수량을 조정한다. 그러면, 물은 소망하는 수량으로 메인튜브(135)내에 주입되고, 또한 셀렉터(43)내로 주입된다.
그리고, 스프레이하우징(5)을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살수상태를 선택한다. 살수상태의 선택은, 그 외주(61)에 인쇄된 살수상태를 선택하는 선택마크(3)를 SE 링(53)의 지정마크(63)와 맞춤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제1도, 제3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선택마크(3)의 부채형상 분출마크(3a)가 지정마크(63)에 맞추어져 있는 경우에는, 셀렉터(43)의 주입구(121)가 디스트리뷰터(19)의 제 1 공급구(73)와 연이어 통해있기 때문에, 물은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셀렉터(43)내로부터 주입구(121)을 나와서 제 1 공급구(73) 및 제 2 챔버(84)로부터 부채형상 분출구(91)로 분출된다. 여기에서, 직선형상분출구(89)는 니들(23)의 덮개부(99)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므로, 먼지등의 침입이 방지된다.
또, 스프레이 하우징(5)을 회전운동시켜서 선택마크(3)의 샤워형상분출마크(36)를 지정마크(63)에 맞춘 경우에는, 제1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셀렉터(43)가 제13도 보다도 더 왼쪽방향으로 전진되어서 주입구(121)와 제 1 공급구(73) 사이의 연결통로가 폐쇄되고, 셀렉터(43)의 주입구(121)가 디스트리뷰터(19)의 제 2 공급구(77)와 연이어 통하게 된다. 그러면, 물은 제14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셀렉터(43)내로 부터 주입구(121)를 빠져나와서 제 2 공급구(77) 및 제 3 챔버(86)로 부터 샤워형상분출구(111)로 분출된다.
그리고, 스프레이 하우징(5)을 회전운동시켜서 선택마크(3)의 조로형상분출마크(3c)를 지정마크(63)에 맞춘 경우에는,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셀렉터(43)가 제14도 보다도 더 왼쪽방향으로 전진되어서 주입구(121)와 제 2 공급구(77) 사이의 연결통로가 폐쇄되고, 셀렉터(43)는 니들(23)을 밀어넣는다. 그러면, 셀렉터(43)의 주입구(121)는 제 1 챔버(82)에서 개구되고, 물은 셀렉터(43) 내로부터 주입구(121)를 나와서 제 1 챔버(82)로부터 직선형상분출구(89)로 분출된다. 물은, 코일스프링(25)에 의해 그 나선방향을 따라서 회전력이 주어져 똑바르게 니들밸브(23)의 축선을 따라 방출된다. 이 상태에서는, 셀렉터(43)의 주입구(121)는 제 1챔버(82)에 있어서 개구율이 적기 때문에, 수량이 적어서 물은 조로(물뿌리개) 형상으로 분출된다. 여기서, 처음으로 직선형상분출구(89)는 디스트리뷰터(19)내와 연이어 통하지만, 항상 수압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먼지등이 침입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스프레이하우징(5)을 회전운동시켜서 선택마크(3)의 직선형상분출마크(3d)를 지정마크(63)에 맞춘 경우에는, 제1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셀렉터(43)가 제15도 보다도 더 왼쪽방향으로 전진되어서 니들밸브(23)를 더 밀어넣는다. 그러면, 물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셀렉터(43)내로 부터 주입구(121)를 나와서 제 1 챔버(82)로 부터 직선형상분출구(89)로 분출되는 것인데, 셀렉터(43)의 주입구(121)가 제 1챔버에 충분히 개구되기 때문에, 수량이 충분해져서 물은 직선형상으로 분출된다.
또, 스프레이하우징(5)을 회전운동시켜서 선택마크(3)의 안개형상 분출마크(3e)를 지정마크(63)에 맞춘 경우에는, 제1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셀렉터(43)가 제16도 보다도 더 왼쪽방향으로 전진되어서 니들밸브(23)를 더 밀어넣는다. 그러면, 물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셀렉터(43)내로 부터 주입구(121)를 나와서 제 1 챔버(82)로 부터 직선형상 분출구(89)로 분출되는 것인데, 니들밸브(23)의 돌출부(101)가 직선형상 분출구(89)를 관통하여서 니들밸브(23)의 돌출부(101)와 직선형상 분출구(89) 사이의 틈새가 극히 좁아져 있기 때문에, 물은 니들밸브(23)의 돌출부(101)를 따라서 그 우산형상부(105)에 충돌하여 우산형상 박막으로서 안개형상으로 분출된다.
사용이 끝난 경우에는, 하기와 같이하여 물의 유입을 막는다.
즉, 핸들그립(179)을 다시 쥔다. 그러면 핸들 스토퍼(183)의 핸들그립 멈춤용돌기(243)와 핸들그립(179)의 오목부(245) 사이에 틈새가 생기기 때문에, 핸들 스토퍼(183)는 작동판(241)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밀려져서 걸림이 해제된다. 그리고, 핸들그립(179)을 쥐었던 힘을 푼다. 그러면, 밸브샤프트(173)에 의한 밸브볼(175)에의 압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밸브스프링(177)에 의해 밸브볼(175)이 상방으로 밀리게 되어, 밸브시이트(169)를 방수가 되도록 폐쇄시킨다. 동시에 밸브스프링(177)이 밸브볼(175)을 밀어올림으로써, 밸브샤프트(173)가 밀려올라가서 (제9도에 있어서, X2방향), 밸브 레버(205)를 반시계방향(제9도에 있어서, X1방향)으로 밀어주며, 또 리턴스프링(220)이 밸브레버(205)를 반시계방향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밸브레버(205)가 핸들그립(179)을 강하게 눌러서 핸들그립(179)이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여 제4도에 나타낸 상태로 돌아온다. 여기서, 핸들그립(179)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힘을 한층 높이기 위해, 핸들그립(179)과 그립하우징(51) 사이의 스프링받치(251)(제4도)에 작동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수량과 살수상태의 선택은 물을 공급하기 전에 해두면, 소망하는 상태의 살수가 물의 공급과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상태에 따라 약간의 조정을 하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셀렉터(43)와 니들밸브(23)를 분리하여, 직선형상분출구(89)로 부터 분출시키는 경우 이외에는, 직선형상분출구(89)를 니들밸브(23)의 덮개부(99)에 의해 밀폐함으로써 직선형상분출구(89)로부터 먼지등이 침입되는 것을 막을 수가 있었다. 또, 직선형상분출구(89)로 부터 물을 분출시킬 경우에는, 수압에 의해서 직선형상 분출구(89)로 부터 먼지등이 침입되는 일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먼지등이 들어와서 디스트리뷰터(19)와 미끄러져 움직이는 셀렉터(43)의 측면 사이에 물려 들어가, 셀렉터(43)에 상처가 나거나 셀렉터가 작동되지 않는 등의 고장이 사라진다.
또한, 부채형상분출구(91)나 샤워형상분출구(111)는 구경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고장의 원인이 되는 먼지는 들어오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않는 범위내에서라면 어떠한 양태로든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샤워헤드에 의하면, 제 2 분출구를 통해 내부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9)

  1. 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으며 직선형상의 분출을 위한 제 1 분출구 및 상기 제 1 분출구와는 다른 종류의 분출을 위한 제 2 분출구가 제공되어 있는 샤워페이스와, 상기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어서 상기 제 1 분출구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챔버와, 상기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어서 상기 제 1 챔버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상기 제 2 분출구에 접속되어있는 제 1 챔버와,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 1 분출구와 상기 제 2 분출구에 물을 급수하며 상기 제 1 챔버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2 챔버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개구부를 가지는 급수관과, 상기 제 1 챔버내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개구부를 닫도록 스프링에 의해 힘을 받고있는 밸브와, 상기 급수관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하여서 상기 제 1 개구부 또는 상기 제 2 개구부에 급수접속을 하는 셀렉터 밸브와, 그리고 상기 제 2 개구부로부터 급수되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개구부로부터 급수되며 상기 밸브가 상기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열리는 제 2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셀렉터 밸브를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셀렉터 밸브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 제 2 개구부로 부터 물을 분출하고, 상기 셀렉터 밸브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 제 1 개구부로 부터 물을 분출하도록 구성된 샤워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셀렉터 밸브가 상기 스프링 작동밸브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스프링 작동밸브를 개구시키는 샤워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작동밸브가 이동하면 상기 제 1 분출구로 부터 돌출이 가능한 니들밸브를 상기 스프링 작동밸브가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분출구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조정 및 제어하는 샤워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이 원통형상이며, 상기 제 1 개구부가 상기 급수관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됨으로써 상기 셀렉터 밸브가 상기 스프링 작동밸브와 접촉하여서 상기 스프링 가세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 2 개구부는 상기 급수관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셀렉터 밸브는 스풀 밸브인 샤워 헤드.
  5. 제4항에 있어서, 샤워페이스가 복수의 분출구멍을 형성하여 가는 물의 분출을 가능하게 하는 샤워 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로 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 3 챔버가 상기 분출구멍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관이 상기 제 3 챔버를 경유하여 상기 분출구멍에 급수를 하기 위한 반경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 3 개구부를 가지는 샤워 헤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터 밸브가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 3 개구부에 선택적으로 급수접속하며, 미끄럼 이동수단은 상기 제 3 개구부에 급수되는 제 3 위치로 상기 셀렉터 밸브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기도 한 샤워 헤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기 샤워 헤드의 고정부분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물의 분출의 종류가 선택되며, 상기 미끄럼 이동수단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셀렉터 밸브 사이에서 스플라인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축을 중심으로 히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셀렉터 밸브 사이의 위치가 유지되며, 상기 미끄럼 이동수단이 상기 미끄럼 이동가능한 수단과 상기 고정부분 사이에서 나사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회전하면 상기 셀렉터 밸브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를 미끄럼 이동하는 샤워 헤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터 밸브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스프링 작동밸브만을 개구시키는 샤워 헤드.
KR1019940000394A 1993-03-25 1994-01-12 샤워헤드 KR100294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3-66960 1993-03-25
JP5066960A JPH06277564A (ja) 1993-03-25 1993-03-25 シャワー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130A KR940021130A (ko) 1994-10-17
KR100294813B1 true KR100294813B1 (ko) 2001-09-17

Family

ID=1333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0394A KR100294813B1 (ko) 1993-03-25 1994-01-12 샤워헤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44080A (ko)
JP (1) JPH06277564A (ko)
KR (1) KR100294813B1 (ko)
DE (2) DE4338268C2 (ko)
GB (1) GB2276337B (ko)
IT (1) IT12699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9316A1 (de) * 1995-05-26 1996-11-28 Klaus Schaef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randbekämpfung
JP2784382B2 (ja) * 1995-08-03 1998-08-06 有限会社寿通商 散水ノズル
IT1294939B1 (it) * 1997-07-31 1999-04-23 Arrow Line Srl Lancia doppia di lavaggio a comando assiale
EP1115495A4 (en) 1998-08-26 2004-10-06 Water Pik Inc MULTIFUNCTIONAL SHOWERHEAD
JP2001205141A (ja) * 2000-01-28 2001-07-31 Iris Ohyama Inc 散水ノズル
USD450807S1 (en) 2000-12-12 2001-11-20 Water Pik, Inc. Traditional standard wall-mount shower head
USD451980S1 (en) 2000-12-12 2001-12-11 Water Pik, Inc. Traditional large handheld shower head
USD457937S1 (en) 2000-12-12 2002-05-28 Water Pik, Inc. Classic large handheld shower head
USD451170S1 (en) 2000-12-12 2001-11-27 Water Pik, Inc. Classic standard wall-mount shower head
USD450806S1 (en) 2000-12-12 2001-11-20 Water Pik, Inc. Modern handheld shower head
USD453370S1 (en) 2000-12-12 2002-02-05 Water Pik, Inc. Euro large handheld shower head
USD452725S1 (en) 2000-12-12 2002-01-01 Water Pik, Inc. Euro standard handheld shower head
USD451171S1 (en) 2000-12-12 2001-11-27 Water Pik, Inc. Traditional large wall-mount shower head
USD451172S1 (en) 2000-12-12 2001-11-27 Water Pik, Inc. Euro standard wall-mount shower head
USD453551S1 (en) 2000-12-12 2002-02-12 Water Pik, Inc. Modern wall-mount shower head
USD451169S1 (en) 2000-12-12 2001-11-27 Water Pik, Inc. Traditional standard handheld shower head
USD452553S1 (en) 2000-12-12 2001-12-25 Water Pik, Inc. Euro large wall-mount shower head
US6641057B2 (en) 2000-12-12 2003-11-04 Water Pik, Inc. Shower head assembly
USD452897S1 (en) 2000-12-12 2002-01-08 Water Pik, Inc. Pan head shower head
USD451583S1 (en) 2000-12-12 2001-12-04 Water Pik, Inc. Classic large wall-mount shower head
USD450805S1 (en) 2000-12-12 2001-11-20 Water Pik, Inc. Classic standard handheld shower head
USD485887S1 (en) 2002-12-10 2004-01-27 Water Pik, Inc. Pan head style shower head
US7114666B2 (en) 2002-12-10 2006-10-03 Water Pik, Inc. Dual massage shower head
ITMI20040240A1 (it) * 2004-02-13 2004-05-13 Claber Spa Pistola per l'erogazione di liquido in particolare per il giardinaggio dotata di un tasto di bloccaggio in posizione di erogazione
ITMI20040239A1 (it) * 2004-02-13 2004-05-13 Claber Spa Pistola spruzzatrice di liquidi a getto variabile per il giardinaggio
US7740186B2 (en) 2004-09-01 2010-06-22 Water Pik, Inc. Drenching shower head
GB2418160B (en) * 2004-09-18 2007-08-29 Shin Tai Spurt Water Garden A spraying gun having a water guide pipe
US7322535B2 (en) * 2005-01-24 2008-01-29 Newfrey, Llc Faucet spray head
US20060219822A1 (en) * 2005-03-17 2006-10-05 Alsons Corporation Dual volume shower head system
US20060261191A1 (en) * 2005-05-02 2006-11-23 Tsung-Chieh Chang Shower head assembly
US7240858B2 (en) * 2005-05-31 2007-07-10 King-Yuan Wang Trigger mechanism for watering nozzles
TWM283682U (en) * 2005-07-26 2005-12-21 Yuan Mei Corp Sprinkle-nozzle structure
CN100410528C (zh) * 2006-03-15 2008-08-13 大连理工大学 带针阀头部保护罩的伞喷喷油嘴
WO2007124455A2 (en) 2006-04-20 2007-11-01 Water Pik, Inc. Converging spray showerhead
US8020787B2 (en) 2006-11-29 2011-09-20 Water Pik, Inc. Showerhead system
US7789326B2 (en) 2006-12-29 2010-09-07 Water Pik, Inc. Handheld showerhead with mode control and method of selecting a handheld showerhead mode
US8794543B2 (en) 2006-12-28 2014-08-05 Water Pik, Inc. Low-speed pulsating showerhead
US8366024B2 (en) 2006-12-28 2013-02-05 Water Pik, Inc. Low speed pulsating showerhead
US7770822B2 (en) 2006-12-28 2010-08-10 Water Pik, Inc. Hand shower with an extendable handle
US8789218B2 (en) 2007-05-04 2014-07-29 Water Pik, Inc. Molded arm for showerhead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104697B2 (en) * 2008-03-19 2012-01-31 Petrovic John E Fluid spray control device
USD624156S1 (en) 2008-04-30 2010-09-21 Water Pik, Inc. Pivot ball attachment
CA2678769C (en) 2008-09-15 2014-07-29 Water Pik, Inc. Shower assembly with radial mode changer
USD616061S1 (en) 2008-09-29 2010-05-18 Water Pik, Inc. Showerhead assembly
DK2172274T3 (da) * 2008-10-04 2011-04-26 Kwc Ag Indstilleligt bruserhoved
EP2172273B1 (de) * 2008-10-04 2012-11-21 Kwc Ag Brause mit trennbarem Halteteil und Brausekopf
USD625776S1 (en) 2009-10-05 2010-10-19 Water Pik, Inc. Showerhead
US8616470B2 (en) 2010-08-25 2013-12-31 Water Pik, Inc. Mode control valve in showerhead connector
US8985483B2 (en) 2012-01-24 2015-03-24 John E. Petrovic Adjustable trajectory spray nozzles
USD678463S1 (en) 2012-01-27 2013-03-19 Water Pik, Inc. Ring-shaped wall mount showerhead
USD678467S1 (en) 2012-01-27 2013-03-19 Water Pik, Inc. Ring-shaped handheld showerhead
CA2820623C (en) 2012-06-22 2017-10-03 Water Pik, Inc. Bracket for showerhead with integral flow control
JP5681159B2 (ja) * 2012-10-30 2015-03-04 株式会社タカギ 散水装置
US9404243B2 (en) 2013-06-13 2016-08-02 Water Pik, Inc. Showerhead with turbine driven shutter
USD744612S1 (en) 2014-06-13 2015-12-01 Water Pik, Inc. Handheld showerhead
USD744614S1 (en) 2014-06-13 2015-12-01 Water Pik, Inc. Wall mount showerhead
USD744064S1 (en) 2014-06-13 2015-11-24 Water Pik, Inc. Handheld showerhead
USD744065S1 (en) 2014-06-13 2015-11-24 Water Pik, Inc. Handheld showerhead
USD744066S1 (en) 2014-06-13 2015-11-24 Water Pik, Inc. Wall mount showerhead
USD744611S1 (en) 2014-06-13 2015-12-01 Water Pik, Inc. Handheld showerhead
USD745111S1 (en) 2014-06-13 2015-12-08 Water Pik, Inc. Wall mount showerhead
US10449558B2 (en) 2016-02-01 2019-10-22 Water Pik, Inc. Handheld pet spray wand
USD803981S1 (en) 2016-02-01 2017-11-28 Water Pik, Inc. Handheld spray nozzle
US10265710B2 (en) 2016-04-15 2019-04-23 Water Pik, Inc. Showerhead with dual oscillating massage
USD970684S1 (en) 2016-04-15 2022-11-22 Water Pik, Inc. Showerhead
WO2018049213A1 (en) 2016-09-08 2018-03-15 Water Pik, Inc. Pause assembly for showerheads
USD843549S1 (en) 2017-07-19 2019-03-19 Water Pik, Inc. Handheld spray nozzle
USD872227S1 (en) 2018-04-20 2020-01-07 Water Pik, Inc. Handheld spray device
CN216779127U (zh) * 2021-12-24 2022-06-21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出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062A (en) * 1896-02-18 Convertible spray and jet nozzle
US1330379A (en) * 1919-07-07 1920-02-10 Swiss Mfg Company Faucet
US3111273A (en) * 1962-02-05 1963-11-19 Frank T Mei Soaker and spray nozzle
US3377028A (en) * 1966-04-05 1968-04-09 L & A Products Inc Self-sealing connector for multiaperture nozzle
US4187986A (en) * 1977-12-17 1980-02-12 Teledyne Industries, Inc. Sprayer
GB2155817B (en) * 1984-02-21 1988-06-08 Hitachi Maxell Nozzle for spray
US4785998A (en) * 1986-06-09 1988-11-22 Toshio Takagi Water spraying nozzle
DE8632798U1 (ko) * 1986-12-06 1987-02-05 Hane, Heinz, 8900 Augsburg, De
JPH0214765A (ja) * 1988-02-27 1990-01-18 Toshio Takagi 散水用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130A (ko) 1994-10-17
ITMI940554A0 (it) 1994-03-23
IT1269909B (it) 1997-04-16
JPH06277564A (ja) 1994-10-04
GB2276337B (en) 1997-04-09
GB9320394D0 (en) 1993-11-24
DE4338268A1 (de) 1994-09-29
DE4338268C2 (de) 1997-11-27
DE9317167U1 (de) 1994-01-20
GB2276337A (en) 1994-09-28
ITMI940554A1 (it) 1995-09-23
US5344080A (en) 1994-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813B1 (ko) 샤워헤드
US20100257670A1 (en) Shower head for the selective operation in at least two operating modes
JPH0477622B2 (ko)
US8726939B2 (en) Hand-held dispenser
KR20040041005A (ko) 정지 버튼을 갖는 풀아웃 스프레이 헤드
KR20040041004A (ko) 단일 버튼 모드 선택기를 갖는 풀아웃 스프레이 헤드
KR102086968B1 (ko) 샤워 헤드
CA2428162A1 (en) Safety mechanism for dispensing apparatus
JPH0592154A (ja) スプレーガン
JP6644924B2 (ja) ボタン切替式シャワーヘッド装置
US7281673B2 (en) Multi-pattern spray nozzle assembly with movable water conduit
KR20170004318U (ko) 수전금구용 이중경로 토출밸브
US5845851A (en) Irrigation hose nozzle
US10946401B2 (en) Liquid dispenser with a discharge head
JP4358948B2 (ja) 散水器
JPH06277565A (ja) シャワーノズル
JP2007130614A (ja) シャワーヘッド
JPH07171447A (ja) 添加液混入器と散水ノズル
KR200415716Y1 (ko) 측면 노즐이 구비된 샤워 헤드
JPH0336779Y2 (ko)
KR102491323B1 (ko) 원터치 버튼식 샤워 헤드
JPH0721237Y2 (ja) 散水ノズル
JPH084068A (ja) 切換吐水器具
JPH06174114A (ja) シングルレバー湯水混合栓
JP2004290884A (ja) シャワー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