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968B1 - 샤워 헤드 - Google Patents

샤워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968B1
KR102086968B1 KR1020190119703A KR20190119703A KR102086968B1 KR 102086968 B1 KR102086968 B1 KR 102086968B1 KR 1020190119703 A KR1020190119703 A KR 1020190119703A KR 20190119703 A KR20190119703 A KR 20190119703A KR 102086968 B1 KR102086968 B1 KR 102086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tap water
head
slide member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학수
Original Assignee
박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학수 filed Critical 박학수
Priority to KR1020190119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E03C1/0409Showe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 헤드에 관한 것으로, 샤워시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헤드 본체의 손잡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함과 동시에 유로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토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돗물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샤워 헤드를 사용 중에 간단한 수돗물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수돗물의 토수량 및 토수 압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그 조작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수돗물 조절수단의 구조 역시 간단해 조립 역시 용이한 샤워 헤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샤워 헤드 { Shower Head }
본 발명은 샤워 헤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샤워 헤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수도꼭지의 레버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손잡이 본체에 구비되는 수돗물 조절수단의 조작만으로 샤워 헤드로 분사되는 수돗물 개폐와 토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샤워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 헤드는 샤워헤드 본체의 출구측에 다수의 분사공을 뚫은 분사판을 결합시켜 호스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분사공으로 분사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샤워헤드는 분사판에 형성된 분사공의 크기를 따라 유체가 분출되는 것이고, 분출되는 유체에 의해 마사지 효과 등을 얻고 있다.
이러한 샤워 헤드의 일 예가 등록특허 제10-1120883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는 샤워기헤드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호스로 연결되어 물이 분사되는 샤워기헤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샤워기헤드는 사용자의 손이 감싸지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호스와 연통되는 관로가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는 중간부가 상기 관로와 연통되는 가이드통로가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일면에 상기 관로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노즐공이 형성된 분사노즐부; 및 상기 파지부의 가이드통로들을 관통하여 장착되며, 중간부에 상기 관로와 연통되는 유로가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할 때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손가락이 상기 슬라이드바의 양단부면을 눌러서 슬라이드바를 파지부의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시킴에 따라 파지부의 관로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수도꼭지의 레버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슬라이드바의 조작만으로 물의 분사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샤워기 헤드는 슬라이드바를 파지부의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시 관로가 단순 개폐됨에 따라 분사되는 물의 수압 및 토수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사용자에 따라 피부가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 등은 분사노즐부의 노즐공으로 분사되는 물의 토수량 및 수압이 강한 경우 통증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여전히 샤워 헤드기의 파지부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수도꼭지의 레버 조절을 통해 수압 및 토수량을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존재한다.
참고문헌 : 등록특허 제10-1120883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샤워 헤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손잡이 본체에 수돗물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샤워 헤드를 사용 중 사용자가 수도꼭지의 레버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수돗물의 개폐 제어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사노즐부를 통해 분사되는 수돗물의 토수량도 함께 조절할 수 있는 샤워 헤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수돗물 조절수단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전방 및 후방 버튼부재만 조작하면서도 수돗물의 개폐 및 토수량을 함께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수돗물의 수돗물의 토수량 조절에 따른 살수판을 통한 수돗물의 분사 압력도 조절이 가능하며 구조 역시 간단한 샤워 헤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돗물이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호스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공간이 형성되는 헤드부가 형성되는 헤드 본체와; 상기 헤드 본체의 헤드부 전단에 장착되어 물유입공간의 수돗물이 분사되는 복수의 분사공이 형성되는 살수판과; 상기 헤드본체의 손잡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함과 동시에 유로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토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돗물 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돗물 조절수단은 상기 손잡이부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유로와 연통되는 가이드부에 끼워져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되 전단이 개구된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와 연통되도록 하측 및 상측에 수돗물이 이동가능한 제1 및 제2통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후단에 결합되며 손으로 누를 수 있는 후방 버튼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안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전단에 결합되며 손으로 누를 수 있으면서도 회전가능한 전방 버튼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유로는 하측 유로와 상측 유로로 구분되며, 상기 하측 유로의 상단에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수돗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하측 외주면에 밀착되는 가압부재가 삽입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몸체에 전후 방향으로 안내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후측 하면 및 상면에는 제1 및 제2통공이 안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가이드부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전후 양단 테두리에 제1 및 제2링홈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오링이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후단에는 제1키이가 돌출되고, 상기 후방 버튼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제1키이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1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몸체의 후반부 일측에는 상기 제1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후단에는 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안내부 후측에 형성되는 축지지홈에 지지되며, 상기 몸체의 전반부에는 제3링홈이 형성되어 실리콘 고무 등의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제3 오링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안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안내부에 삽입된 회전부재가 이탈이 방지되도록 안내부의 전단에 지지구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전단에는 제2키이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구는 지지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의 테두리에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안내부 전반 가장자리에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전단에 돌출되는 제2키이는 상기 전방 버튼부재의 후면에 형성된 제2키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버튼부재는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내측에 제1 및 제2멈춤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가이드부 전단 하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멈춤돌기가 접촉가능한 제1 및 제2스터퍼면을 갖는 스토퍼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는 손잡이 본체에 수돗물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샤워 헤드를 사용 중에 간단한 조작만으로 수돗물의 토수량 및 토수 압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돗물 조절수단은 전방 및 후방 버튼부재만을 구비하여 전후방에서 누르면 수돗물의 토출을 개폐할 수 있고, 전방 버튼부재를 회전하면 수돗물의 토수량 및 토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샤워시 다양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시 전방 및 후방 버튼부재만 조절하면 되므로 그 조작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수돗물 조절수단의 구조 역시 간단해 샤워헤드의 조립 역시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워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워 헤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워 헤드의 유로 차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워 헤드의 유로 개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전방 버튼부재를 회전시켜 유로를 전부 차단 및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샤워 헤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1)는 수돗물이 이동하는 유로(110)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호스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20)의 상단에는 상기 유로(110)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공간(132)이 형성되는 헤드부(130)가 형성되는 헤드 본체(100)와; 상기 헤드 본체(100)의 헤드부(130) 전단에 장착되어 물유입공간(132)의 수돗물이 분사되는 복수의 분사공(202)이 형성되는 살수판(200)과; 상기 헤드본체(100)의 손잡이부(120)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110)를 개폐함과 동시에 유로(110)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토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돗물 조절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헤드 본체(10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측에 손잡이부(120)가 구비되며, 손잡이부(120) 상측에 살수판(200)이 설치되는 헤드부(1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20)는 하단의 유입구(121)에서 상기 헤드부(130)의 물유입공간(132)으로 수돗물이 이동하도록 내부에 유로(1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부(120)는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디자인을 고려하여 다각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120) 하단에 형성되는 유입구(121)의 외주면에는 수도꼭지와 연결되는 호스(140)의 단부가 결합가능하도록 수나사부(121a)가 형성되어, 니플 등의 체결구(142)에 의해 나사결합된다.
한편, 상기 헤드부(130)는 상기 손잡이부(120)의 유로(110)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공간(132)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30)의 개구부(133)에는 살수판(200)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살수판(200)은 수돗물이 분사되는 복수의 분사공(202)이 표면에 고르게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130)의 개구부(133)에 결합되어 상기 살수판(200)을 상기 개구부(133)에 밀착시키는 전방커버(210)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130)의 개구부(133) 외측면에 수나사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30)의 물유입공간(132)에는 세라믹볼, 황토볼, 원적외선볼, 게르마늄볼, 음이온볼, 비타민볼 등의 기능성 제재가 구비되는 기능성 카트리지(2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커버(210)는 후측에 상기 살수판(200)의 전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단턱(211)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헤드부(130)의 수나사부(212)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1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전방커버(210)의 단턱(211)에 살수판(200)의 전면 가장자리를 지지한 상태에서 전방커버(210)를 헤드부(130)에 나사결합시키면 살수판(200)이 전방커버(210)와 헤드부(130)의 개구부(133)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경우 수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방커버(210)의 단턱(211)에 살수판(200)의 전면 가장자리를 지지한 상태에서 실리콘 고무 등의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누수방지링(230)을 끼운상태에서 헤드부(130)에 나사결합시키면 헤드부(130)의 개구부(133) 단부가 누수방지링(220)을 통해 살수판(200)의 후면 가장자리에 가압하여 수돗물이 틈새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20) 상측에는 수돗물 조절수단(300)이 구비되어 상기 유로(110)를 개폐함과 동시에 유로(110)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토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수돗물 조절수단(300)은 상기 손잡이부(120)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유로(110)와 연통되는 가이드부(122)에 끼워져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되 전단이 개구된 안내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312)와 연통되도록 하측 및 상측에 수돗물이 이동가능한 제1 및 제2통공(314,315)이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31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후단에 결합되며 손으로 누를 수 있는 후방 버튼부재(32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안내부(3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통공(314)을 개폐하는 개폐부(332)가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부재(330)와, 상기 회전부재(330)의 전단에 결합되며 손으로 누를 수 있는 전방 버튼부재(3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20)의 상기 가이드부(122)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유로(110)는 하측 유로(112)와 상측 유로(114)로 구분되며, 상기 하측 유로(112)의 상단에는 안착부(112a)가 형성되어 수돗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113a)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하측 외주면에 밀착되는 가압부재(113)가 삽입 안착된다. 이러한 가압부재(113)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하단에 밀착시 수돗물이 슬라이드부재(31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상측 유로(114)의 하단에도 안착부(114a)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상측 외주면에 밀착되며 수돗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115a)가 형성되는 가압부재(115)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부재(310)는 상기 손잡이부(120)의 가이드부(122)에 수평으로 끼워져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으로, 몸체(311)에는 전후 방향으로 안내부(312)가 형성되고 몸체(311)의 후측 하면 및 상면에는 제1 및 제2통공(314,315)이 안내부(312)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드부재(310)는 전체적으로 후단이 마감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120)의 가이드부(122)에 끼워져 전후방향으로 이동시 수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122)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311)의 전후 양단 테두리에 제1 및 제2링홈(313a,315a)이 형성되어 실리콘 고무 등의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오링(313,315)이 장착된 상태로 가이드부(122)에 삽입된다.
이러한 슬라이드부재(310)의 후단에는 제1키이(316)가 돌출되고, 상기 후방 버튼부재(320)의 전면에는 상기 제1키이(316)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1키홈(322)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후방 버튼부재(320)를 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31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하측 유로(112)의 상단과 상측 유로(114)의 하단으로 제1 및 제2통공(314,315)이 위치한 상태(개방상태)가 되어 하측 유로(112)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이 제1통공(314)을 통해 안내부(312)로 유입되며, 이후 제2통공(315)을 통해 상측 유로(114)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30)는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안내부(31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몸체(331)의 후반부 일측에는 상기 제1통공(314)을 개폐하는 개폐부(33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331)의 후단에는 축부(333)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안내부(312) 후측에 형성되는 축지지홈(312a)에 지지되며, 상기 몸체(331)의 전반부에는 제3링홈(334a)이 형성되어 실리콘 고무 등의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제3 오링(334)이 장착된 상태로 안내부(312)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3 오링(334)에 의해 안내부(312)의 수돗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부재(310)의 안내부(312)에 삽입된 회전부재(330)가 이탈이 방지되도록 안내부(312)의 전단에 지지구(35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330)의 전단에는 제2키이(335)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구(350)는 지지공(352)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350)의 테두리에는 걸림돌기(354)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안내부(312) 전반 가장자리에는 걸림공(317)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안내부(312)에 회전부재(330)를 삽입하고, 상기 지지구(350)의 지지공(352)에 회전부재(330)의 제2키이(335)를 관통시킨 후 걸림돌기(354)를 슬라이드부재(310)의 걸림공(317)에 걸어 지지함으로서 회전부재(3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회전부재(330)의 몸체(331) 전단에 돌출되는 제2키이(335)는 상기 전방 버튼부재(340)의 후면에 형성된 제2키홈(342)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전방 버튼부재(340)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31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통공(314,315)이 이동하게 되어 하측 유로(112)의 상단과 상측 유로(114)의 하단에 연통된 상태를 벗어난 상태(폐쇄상태)가 되어 하측 유로(112)의 수돗물이 제1통공(314)을 통해 안내부(31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전방 버튼부재(340)는 조그셔틀과 같이 회전가능하며, 그에 따라 회전부재(330)는 슬라이드부재(310)의 안내부(312)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하측 유로(112)의 상단과 상측 유로(114)의 하단으로 제1 및 제2통공(314,315)이 위치한 상태(개방상태)에서 전방 버튼부재(3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330)의 개폐부(332)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제1통공(314)을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전반 외주면에는 지지돌부(318)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버튼부재(340)에는 상기 지지돌부(318)가 지지되는 지지홈부(34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기 전방 버튼부재(340)의 후면에 형성된 제2키홈(342)에 끼우고 가압하면 슬라이드부재(310)의 지지돌부(318)가 전방 버튼부재(340)의 지지홈부(343)에 지지되어 전방 버튼부재(340)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버튼부재(340)는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내측에 제1 및 제2멈춤돌기(344,345)가 중심에서 90°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120)의 가이드부(122) 전단 하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멈춤돌기(344,345)가 접촉가능한 제1 및 제2스터퍼면(129a,129b)을 갖는 스토퍼부(129)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포부(129)는 상기 가이드부(122) 전단 하측에 전방으로 돌출되되 양단이 상향될출되어 제1 및 제2스터퍼면(129a,129b)을 형성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전방 버튼부재(340)를 일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스터퍼면(129a)에 제1멈춤돌기(344)가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으며 회전부재(330)의 개폐부(332)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제1통공(314)을 폐쇄하고, 상기 전방 버튼부재(340)를 타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스터퍼면(345)에 제2멈춤돌기(129b)가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으며 회전부재(330)의 개폐부(332)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제1통공(314)을 개방한다.
이러한 전방 버튼부재(34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구조는 전체적으로 전방 버튼부재(34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제1통공(314) 개폐면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통공(314)을 통과하는 수돗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샤워 헤드(1)의 살수판(200)으로 토출되는 수돗물의 토출량 및 토출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버튼부재(340)의 측면에는 개방 및 폐쇄를 확인할 수 있는 안내돌기(346)가 돌출 형성되어 안내돌기(346)가 가르키는 방향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부의 표면에 개방(open) 및 폐쇄(close)를 표시하거나 안내돌기(346)에 대응하는 화살표 등의 도안 또는 문자를 전방 버튼부재(340)의 표면에 인쇄 또는 음각, 양각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전방 버튼부재(340)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31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하측 유로(112)의 상단과 상측 유로(114)의 하단에서 제1 및 제2통공(314,315)이 이탈하며 하측 유로(112)를 슬라이드부재(310)의 외주면이 막게 되어 하측 유로(112)의 수돗물이 안내부(312)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샤워 헤드 100: 헤드 본체
110: 유로 120: 손잡이부
130: 헤드부 200: 살수판
210: 전방커버 220: 누수방지링
230: 기능성 카트리지 300: 수돗물 조절수단
310: 슬라이드부재 320: 후방 버튼부재
330: 회전부재 340: 전방 버튼부재
350: 지지구

Claims (6)

  1. 수돗물이 이동하는 유로(110)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호스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20)의 상단에는 상기 유로(110)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공간(132)이 형성되는 헤드부(130)가 형성되는 헤드 본체(100)와; 상기 헤드 본체(100)의 헤드부(130) 전단에 장착되어 물유입공간(132)의 수돗물이 분사되는 복수의 분사공(202)이 형성되는 살수판(200)과; 상기 헤드본체(100)의 손잡이부(120)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110)를 개폐함과 동시에 유로(110)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토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돗물 조절수단(3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돗물 조절수단(300)은 상기 손잡이부(120)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유로(110)와 연통되는 가이드부(122)에 끼워져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되 전단이 개구된 안내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312)와 연통되도록 하측 및 상측에 수돗물이 이동가능한 제1 및 제2통공(314,315)이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31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후단에 결합되며 손으로 누를 수 있는 후방 버튼부재(32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안내부(3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통공(314)을 개폐하는 개폐부(332)가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부재(330)와, 상기 회전부재(330)의 전단에 결합되며 손으로 누를 수 있으면서도 회전가능한 전방 버튼부재(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20)의 상기 가이드부(122)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유로(110)는 하측 유로(112)와 상측 유로(114)로 구분되며, 상기 하측 유로(112)의 상단에는 안착부(112a)가 형성되어 수돗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113a)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하측 외주면에 밀착되는 가압부재(113)가 삽입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310)는 몸체(311)에 전후 방향으로 안내부(312)가 형성되고 몸체(311)의 후측 하면 및 상면에는 제1 및 제2통공(314,315)이 안내부(312)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가이드부(122)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311)의 전후 양단 테두리에 제1 및 제2링홈(313a,315a)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오링(313,315)이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후단에는 제1키이(316)가 돌출되고, 상기 후방 버튼부재(320)의 전면에는 상기 제1키이(316)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1키홈(322)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330)는 몸체(331)의 후반부 일측에는 상기 제1통공(314)을 개폐하는 개폐부(33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331)의 후단에는 축부(333)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안내부(312) 후측에 형성되는 축지지홈(312a)에 지지되며, 상기 몸체(331)의 전반부에는 제3링홈(334a)이 형성되어 실리콘 고무 등의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제3 오링(334)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안내부(31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안내부(312)에 삽입된 회전부재(330)가 이탈이 방지되도록 안내부(312)의 전단에 지지구(350)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330)의 전단에는 제2키이(335)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구(350)는 지지공(352)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350)의 테두리에는 걸림돌기(354)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310)의 안내부(312) 전반 가장자리에는 걸림공(317)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330)의 몸체(331) 전단에 돌출되는 제2키이(335)는 상기 전방 버튼부재(340)의 후면에 형성된 제2키홈(342)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버튼부재(340)는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내측에 제1 및 제2멈춤돌기(344,345)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120)의 가이드부(122) 전단 하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멈춤돌기(344,345)가 접촉가능한 제1 및 제2스터퍼면(129a,129b)을 갖는 스토퍼부(129)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
  6. 삭제
KR1020190119703A 2019-09-27 2019-09-27 샤워 헤드 KR102086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703A KR102086968B1 (ko) 2019-09-27 2019-09-27 샤워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703A KR102086968B1 (ko) 2019-09-27 2019-09-27 샤워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968B1 true KR102086968B1 (ko) 2020-03-09

Family

ID=6980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703A KR102086968B1 (ko) 2019-09-27 2019-09-27 샤워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9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039A (ko) * 2020-07-20 2022-01-2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샤워필터 및 샤워필터를 이용한 사회공헌 시스템
KR102368538B1 (ko) * 2021-06-04 2022-03-02 김태균 샤워기 헤드
KR102444242B1 (ko) * 2022-02-16 2022-09-19 (주)엣진 수압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
KR102444245B1 (ko) * 2022-02-16 2022-09-19 (주)엣진 조립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킨 싱크대용 수전 헤드
KR20230146301A (ko) * 2022-04-12 2023-10-19 (주)김군기획 급수량 조절 및 개폐 기능을 가지는 절수 샤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883B1 (ko) 2011-05-26 2012-02-27 서상련 샤워기헤드
KR20190001736U (ko) * 2017-12-28 2019-07-08 오교선 샤워 헤드의 분사량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883B1 (ko) 2011-05-26 2012-02-27 서상련 샤워기헤드
KR20190001736U (ko) * 2017-12-28 2019-07-08 오교선 샤워 헤드의 분사량 조절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039A (ko) * 2020-07-20 2022-01-2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샤워필터 및 샤워필터를 이용한 사회공헌 시스템
KR102480166B1 (ko) * 2020-07-20 2022-12-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샤워필터 및 샤워필터를 이용한 사회공헌 시스템
KR102368538B1 (ko) * 2021-06-04 2022-03-02 김태균 샤워기 헤드
KR102444242B1 (ko) * 2022-02-16 2022-09-19 (주)엣진 수압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
KR102444245B1 (ko) * 2022-02-16 2022-09-19 (주)엣진 조립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킨 싱크대용 수전 헤드
KR20230146301A (ko) * 2022-04-12 2023-10-19 (주)김군기획 급수량 조절 및 개폐 기능을 가지는 절수 샤워기
KR102623280B1 (ko) * 2022-04-12 2024-01-10 (주)김군기획 급수량 조절 및 개폐 기능을 가지는 절수 샤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968B1 (ko) 샤워 헤드
KR100294813B1 (ko) 샤워헤드
US8573512B2 (en) Handheld water discharging device
US7150415B2 (en) Pre-rinse unit spray valve mechanism
US6367710B2 (en) Showerhead
US20100257670A1 (en) Shower head for the selective operation in at least two operating modes
JP2010503785A (ja) 蛇口のスプレーを制御するアセンブリ
US6644625B1 (en) Pistol grip hose nozzle with proportional flow control
KR20140138156A (ko) 살수 노즐
JP2007130615A (ja) シャワーヘッド
JP2007130614A (ja) シャワーヘッド
JP6228178B2 (ja) ハンドシャワ
JPH084068A (ja) 切換吐水器具
CA2708454C (en) Handheld water discharging device
KR20190137366A (ko) 샤워 헤드
CN111442114A (zh) 一种自动复位切换阀及其淋浴装置
KR102491323B1 (ko) 원터치 버튼식 샤워 헤드
KR20190020565A (ko) 자동 복원 기능을 가지는 수전용 다방향 전환밸브
KR20020081848A (ko) 샤워기
KR102623280B1 (ko) 급수량 조절 및 개폐 기능을 가지는 절수 샤워기
KR20150079547A (ko) 살수 장치
KR102558370B1 (ko) 꼭지형 슬라이딩밀바식 샤워수 온오프 형성장치 및 방법
KR200340463Y1 (ko) 바디샤워가 가능한 샤워기
KR100490023B1 (ko) 절수 샤워헤드
TW201722561A (zh) 噴水槍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