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242B1 - 수압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 - Google Patents

수압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242B1
KR102444242B1 KR1020220020067A KR20220020067A KR102444242B1 KR 102444242 B1 KR102444242 B1 KR 102444242B1 KR 1020220020067 A KR1020220020067 A KR 1020220020067A KR 20220020067 A KR20220020067 A KR 20220020067A KR 102444242 B1 KR102444242 B1 KR 102444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ater pressure
pressure control
water
wa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주)엣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엣진 filed Critical (주)엣진
Priority to KR1020220020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7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space-saving features, e.g. retractable, demoun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압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맞게 사용자가 수압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싱크대용 수전 헤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 헤드는, 손잡이와 연결되고, 출수로가 형성된 외바디; 상기 외바디의 전면에 결합되며, 전면 중앙의 살수구와, 상기 살수구 둘레를 따라 형성된 미세 살수공을 구비한 살수부; 및 상기 외바디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좌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압 조절 노브와, 상기 수압 조절 노브에 연결되어 좌우 회전하여 상기 출수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수압 조절 조인트를 구비한 수압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압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FAUCET HEAD FOR SINK}
본 발명은 수압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맞게 사용자가 수압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싱크대용 수전 헤드에 관한 것이다.
주방 등의 싱크대에 설치되는 싱크대용 수전 헤드는 싱크대 내부로 수용된 자바라 타입의 출수관에 장착되어, 수전 헤드를 싱크대에 꽂아서 쓰거나 수전 헤드를 빼내어 쓸 수 있다.
이러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는 일반적으로 2가지의 살수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싱크대용 수전 헤드의 살수 방식은 공기 등이 혼합된 부드러운 1개의 물줄기가 수전 헤드의 살수판 중앙으로 살수되거나, 또는 샤워기 형태의 미세 물줄기들이 수전 헤드의 살수판 둘레에서 살수되어 구성되며, 수전 헤드의 외부로 노출된 노브를 조작하여 살수 방식이 변경된다.
한편 싱크대용 수전 헤드를 사용할 때 살수 방식의 변경과 함께 수압 조절이 필요할 때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싱크대용 수전 헤드는 자체 수압 조절을 위한 별도의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압 조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레버를 미세하게 조작하여 수압을 조절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레버를 이용한 수압 조절은 사용자가 원하는 수압을 맞추기가 쉽지 않고, 온도 조절 시 레버의 개방 정도가 달라지면서 수압까지 함께 변경되기 쉬워서, 수압 조절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레버를 조절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압을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싱크대용 수전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 헤드는,
손잡이와 연결되고, 출수로가 형성된 외바디;
상기 외바디의 전면에 결합되며, 전면 중앙의 살수구와, 상기 살수구 둘레를 따라 형성된 미세 살수공을 구비한 살수부; 및
상기 외바디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좌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압 조절 노브와, 상기 수압 조절 노브에 연결되어 좌우 회전하여 상기 출수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수압 조절 조인트를 구비한 수압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 헤드에서,
상기 수압 조절유닛은, 상기 외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출수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출수공을 구비한 수압 조절용 내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압 조절 조인트는 상기 내바디의 일면에서 좌우 회전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수공에 대응하는 수압 조절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 헤드에서,
상기 수압 조절용 내바디는, 상기 출수공을 중심으로 양측 일면에서 소정 각도로 벌어지게 돌출되어 있는 양측 스토퍼를 포함하여, 상기 수압 조절 노브와 수압 조절 조인트의 제1 결합부가 상기 양측 스토퍼 사이에 배열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 헤드에서,
상기 수압 조절 노브는, 상기 외바디의 내경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을 갖도록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압 조절 노브용 제1 가이드홈의 내측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 헤드는,
수압 조절 노브를 이용해 수전 헤드 내부의 수압 조절 조인트를 조작하여 출수로의 개폐 정도를 변경함으로써, 레버를 사용하지 않고 토출 수압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분해 단면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 조절유닛의 배면도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 방식 변경유닛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사용 상태별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2중 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 헤드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수전 헤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용 수전 헤드에 관한 것으로, 크게 손잡이(1)와 헤드 본체(M)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 본체(M)는 외바디(10), 살수부(20), 수압 토출용 내바디(이하 제1 내바디(30)로 구분함.), 수압 조절유닛(P), 살수 방식 변경유닛(C)을 포함하고,
상기 수압 조절유닛(P)은 수압 조절 노브(40), 수압 조절 조인트(50), 수압 조절용 내바디(이하 제2 내바디(60)로 구분함.)로 구성되고,
상기 살수 방식 변경유닛(C)은 살수 방식 변경용 내바디(이하 제3 내바디(70)로 구분함.), 살수 변경 노브(80), 살수 체인저(90)로 구성된다.
상기 외바디(10)는 하부에 손잡이(1)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제1 내바디(30)와 수압 조절유닛(P)과 살수 방식 변경유닛(C)이 내장되어 출수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외바디(10)는 손잡이(1)와 연결된 유입구(11)를 가지며,
외바디(10) 내부에 결합된, 상기 제1 내바디(30)의 토출공(31), 상기 수압 조절 조인트(50)의 연통로(51)와 수압 조절공(52), 상기 제2 내바디(60)의 출수공(61), 상기 제3 내바디(70)의 제1 연통공(71) 또는 제2 연통공(72)을 따라 물이 순차적으로 토출되는 출수로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유입구(11)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살수부(20)의 살수구(21) 및/또는 미세 살수공(22)들로 살수된다.
그리고 상기 외바디(10)는 상기 수압 조절 노브(40) 및 살수 변경 노브(80)용 제1 가이드홈(12)과 제2 가이드홈(13)이 측벽부를 관통하여 좌우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살수부(20)는 상기 외바디(10)의 전면에 결합되며, 전면 중앙의 살수구(21)와, 상기 살수구(21) 둘레를 따라 형성된 미세 살수공(22)들을 구비한다.
상기 살수구(21)는 1개의 물줄기가 살수되고, 상기 미세 살수공(22)들은 샤워기 형태의 물줄기가 살수되며,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살수 방식 변경유닛(C)을 통해 상기 살수구(21)와 미세 살수공(22)들에서 동시에 물이 살수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물줄기가 공기와 혼합되어 부드러운 1개의 물줄기로 살수되도록 하는 필터(23)가 필터캡(24)에 의해 상기 살수구(21)에 결합된다.
이러한 살수부(20)는 전면캡(25)을 통해 상기 외바디(10)의 전면 개구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1 내바디(30)는 상기 외바디(10)의 내부 최후단에 삽입되며, 전면의 중앙에 상기 외바디(10)의 유입구(11)와 연통되는 토출공(31)을 형성하는 제1 암결합부(32)를 구비하여, 중앙에 상기 유입구(11)와 연결되는 토출공(31)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물이 상기 제1 내바디(30)의 후방에 채워져 수압이 상승한 상태로 상기 토출공(31)을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게 한다.
상기 수압 조절유닛(P)은 상기 외바디(10)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좌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압 조절 노브(40)와, 상기 수압 조절 노브(40)에 연결되어 좌우 회전하여 상기 출수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수압 조절 조인트(50)로 구성된다.
상기 수압 조절 노브(40)는 상기 외바디(10)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홈(12)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홈(12)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회동하여 동작한다.
이러한 수압 조절 노브(40)는 상기 외바디(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을 갖도록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홈(12)의 내측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날개부(41)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41)의 중앙 하부로 연결된 제1 결합돌기(42)가 상기 수압 조절 조인트(50)에 결합된다.
상기 수압 조절 조인트(50)는 전면이 밀폐된 연통로(51)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통로(51)의 전면부에 수압 조절공(52)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압 조절 조인트(50)는 상기 수압 조절 노브(40)에 연결되어 제2 내바디(60)의 후면에서 좌우 회전하게 결합하여 출수공(61)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며, 제1 수결합부(54)와 제2 수결합부(55)의 중앙을 관통하면면서 전면이 밀폐된 연통로(51)와, 상기 연통로(51)의 전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수압 조절공(52)과, 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암결합부(32)로 끼워지는 제1 수결합부(54)와, 전면에서 돌출된 제2 수결합부(55)를 구비하여, 상기 수압 조절공(52)이 후술하는 출수공(61)에 대응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압 조절 조인트(50)는 상면에 상기 제1 결합돌기(42)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1 결합부(53)가 돌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내바디(60)는 상기 제1 내바디(30)의 전면에 중첩하도록 상기 외바디(10)에 내장되며, 상기 출수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출수공(61)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출수공(61)이 상기 수압 조절공(52)에 대응하게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면서, 후면에 상기 제2 수결합부(55)가 끼워지는 제2 암결합부(67)를 구비한다.
상기 출수공(61)은 상기 제2 내바디(60)의 중앙을 관통하여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압 조절유닛(P)은,
상기 수압 조절 노브(40)를 좌우 양방향으로 끝까지 회동시키면 상기 수압 조절공(52)이 상기 출수공(61)과 서로 완전하게 어긋나게 위치하여, 출수로가 완전 폐쇄되고,
상기 수압 조절 노브(40)를 중앙 위치로 회동시키면 상기 수압 조절공(52)과 출수공(61)이 동일선 상에 맞춰져 상기 출수로가 완전 개방되며,
이때 상기 수압 조절 노브(40)가 좌우 회동하는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날개부(41)가 상기 제1 가이드홈(12)의 개구부를 덮어서 이를 밀폐시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에 제1 가이드홈(12)의 중앙을 기점으로, 상기 수압 조절 노브(40)를 좌우로 소정 각도 회동시키면,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수압 조절공(52)과 출수공(61)이 서로 겹쳐서 개구되는 면적이 달라지고,
이를 통해 상기 수압 조절공(52)과 출수공(61)을 통과하는 물의 양이 조절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수전의 레버 조작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살수부(20)로 살수되는 물의 압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내바디(60)는, 상기 출수공(61)을 중심으로 양측 일면에서 소정 각도로 벌어지게 돌출되어 있는 양측 스토퍼(62)를 포함하여, 상기 수압 조절 노브(40)와 수압 조절 조인트(50)의 결합부가 상기 양측 스토퍼(62) 사이에 배열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양측 스토퍼(62)는 각각의 내측면에 상기 제1 결합부(53)의 측면부가 접촉하여 상기 수압 조절 노브(4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한다.
다음으로 상기 살수 방식 변경유닛(C)은, 상기 살수구(21) 또는 상기 미세 살수공(22)들 또는 이들 모두를 선택하여 상기 출수로와 연통되게 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살수구(21)가 출수로를 형성하면 상기 살수구(21)를 통해 1개의 부드러운 물줄기가 살수되고, 상기 미세 살수공(22)들이 출수로를 형성하면 상기 미세 살수공(22)들을 통해 다수개의 미세 물줄기가 샤워기 형태의 물줄기로 살수되며, 상기 살수구(21)와 미세 살수공(22)들이 모두 출수로를 형성하면 2가지 타입의 물줄기가 동시에 살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살수 방식 변경유닛(C)은,
상기 출수로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살수구(21)와 연결된 제1 연통공(71)과, 상기 미세 살수공(22)들과 연결된 제2 연통공(72)을 갖는 제3 내바디(70)와,
상기 외바디(10)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3단계로 좌우 시소 운동하게 결합된 살수 변경 노브(80)와,
상기 살수 변경 노브(8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연통공(71)과 제2 연통공(72) 사이를 왕복하여 개폐 작동하게 결합하되, 상기 제1 연통공(71)만을 개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연통공(72)만을 개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연통공(71)과 제2 연통공(72)을 동시 개방하는 살수 체인저(9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내바디(70)는 상기 출수공(61)에서 출수된 물이 상기 제2 내바디(60)와의 사이 공간에 채워지도록 결합되며, 하측 중간에 상기 제1 연통공(71)과 제2 연통공(72)이 좌우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연통공(71)과 제2 연통공(72)은 후술하는 볼 플랜저(91)와의 밀착을 위해 고무 등의 연질 재질로 따로 제작되어 상기 제3 내바디(70)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통공(71)과 제2 연통공(72)은 전면이 밀폐된 형태로서, 상기 살수구(21)에 상응하는 직경의 격벽부(73)가 상기 제3 내바디(70)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부(73)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통공(71)은 상기 격벽부(73)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연통공(72)은 상기 격벽부(73)의 외부 공간과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살수 변경 노브(80)는 상기 제2 가이드홈(13)에 끼워져 결합되며, 후술하는 걸림돌기(93) 및 걸림홈(65)과 지지돌부(66)를 통해 중앙을 기점으로 좌측과 중앙 및 우측에서 각각 정지하는 3단계 좌우 시소 운동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살수 변경 노브(80)는 제2 결합부(82)가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살수 체인저(9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내바디(60)는 전면 상단에 상기 살수 체인저(90)의 결합돌기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회동축부(6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축부(63)의 후단 상부로 노출공(64)이 내외를 관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부(82)가 상기 노출공(64)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살수 체인저(90)는 상단 후면에서 돌출된 제2 결합돌기(91)가 상기 회동축부(63)로 끼워져 상기 노출공(64)의 제2 결합부(82)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결합돌기(91)가 살수 체인저(90)의 축으로 기능함과 동시에 살수 변경 노브(80)와 살수 체인저(90)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살수 체인저(90)는 상기 제1 연통공(71)과 제2 연통공(72) 중 하나만을 개방시켜 개방된 연통공으로 물이 배출되게 하여, 살수부(20)에서는 살수구(21) 또는 미세 살수공(22)들을 통해 살수가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살수 체인저(90)가 상기 제1 연통공(71)과 제2 연통공(72)을 모두 개방시켜 각 연통공(71)(72)을 통해 물이 동시에 배출되게 함으로써, 기존에 1개의 부드러운 물줄기와 샤워기 형태의 미세 물줄기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달리, 서로 다른 종류의 물줄기를 동시에 살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살수 체인저(90)는 상기 제3 내바디(70)의 후면을 향해 탄지되되 상기 제1 연통공(71) 또는 제2 연통공(72)에 끼워져 이들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볼 플랜저(91)를 포함한다.
상기 볼 플랜저(91)는 상기 살수 체인저(9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살수 체인저(90)의 하단 연결된 케이싱부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결합된 볼부재(911)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서 상기 볼부재(911)를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912)으로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살수 변경 노브(80)의 3단계 좌우 시소 운동을 위해, 상기 살수 방식 변경유닛(C)은,
상기 볼 플랜저(91)의 후면에서 돌출된 걸림돌기(93)와,
상기 걸림돌기(93)의 후방에서 걸림돌기(93)를 전방으로 지지하되, 상기 제1 연통공(71)과 제2 연통공(72)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걸림돌기(93)가 걸리는 걸림홈(65)과, 상기 걸림홈(65)의 양측으로 상기 걸림돌기(93)가 접하도록 돌출된 지지돌부(66)로 구성된 3단계 작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돌부(66)는 상기 제2 내바디(60)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양측 지지돌부(66) 사이에 상기 걸림홈(6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살수 변경 노브(80)의 일측단을 끝까지 누르면 상기 살수 체인저(90)가 일방향(도 4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볼 플랜저(91)의 볼부재(911)가 타측의 제2 연통공(72)을 폐쇄하여 일측의 제1 연통공(71)만이 개방되며, 이때 상기 걸림돌기(93)가 타측의 지지돌부(66)를 타고 넘어가 지지돌부(66)의 외측면에 걸려서 살수 변경 노브(80)의 누름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살수 변경 노브(80)의 타측단을 끝까지 누르면 상기 살수 체인저(90)가 타방향(도 4 기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볼 플랜저(91)의 볼부재(911)가 일측의 제1 연통공(71)을 폐쇄하여 타측의 제2 연통공(72)만이 개방되며, 이때 상기 걸림돌기(93)가 일측의 지지돌부(66)를 타고 넘어가 지지돌부(66)의 외측면에 걸려서 살수 변경 노브(80)의 누름 상태가 유지된다.
아울러 상기 살수 변경 노브(80)를 수평하게 누름 동작시키면, 상기 살수 체인저(90)가 수직방향으로 입설됨에 따라 상기 볼 플랜저(91)의 볼부재(911)가 제1 연통공(71)과 제2 연통공(7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연통공(71)과 제2 연통공(72)이 모두 동시에 개방되며, 이때 상기 걸림돌기(93)는 지지돌부(66)들 사이의 걸림홈(65)에 걸려서 살수 변경 노브(80)의 누름 상태가 유지된다.
이렇게 3단계 동작하는 살수 방식 변경유닛(C)을 통해, 본 발명은 기존에 살수구(21)만 또는 미세 살수공(22)들로만 살수가 이루어는 것이 아니라, 살수구(21)와 미세 살수공(22)들로 동시 살수가 가능해져, 1개의 부드러운 물줄기 및 샤워기 형태의 미세 물줄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바디(10)는 후면의 내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나사공이 형성된 제1 내기둥부(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바디(30)는 전면에서 돌출되는 제1 외기둥부(33)와, 상기 제1 외기둥부(33)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1 내기둥부(14)가 끼워지는 제1 끼움홀(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바디(60)는 전면에서 돌출되는 제2 외기둥부(68)와, 상기 제2 외기둥부(68)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후단측에 상기 제1 외기둥부(33)가 끼워지는 제2 끼움홀(69)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내바디(70)는 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끼움홀(69)로 끼워져 상기 제1 외기둥부(33)에 접하는 제2 내기둥부(74)와, 상기 제2 내기둥부(74)를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홀(75)을 포함하여,
볼트(76)를 상기 체결홀(75)로 끼워서 상기 나사공에 결합하여, 내부 부품 어셈블리가 상기 외바디(10)에 조립된다.
상기 제1 내기둥부(14)를 비롯한 볼트 결합 구조는 상기 살수구(21)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내바디(30)(60)(70)가 상기 외바디(10)에 볼트(76)로 하나로 동시에 조립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1 내기둥부(14)의 나사공에 상기 볼트(76)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2중 볼트로 구성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76)는, 제1 헤드부(761)의 제1 드라이버홈(762)에서 길이방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암나사홀(763)과, 상기 암나사홀(763)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 헤드부(761)의 반대편 끝단 일부의 내경이 점감되게 형성된 테이퍼면(764)과, 상기 테이퍼면(764)이 형성된 부위가 원주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된 벌림부(766)를 가지며,
상기 암나사홀(763)에 나사 결합하되, 제2 헤드부(771)에 상기 제1 드라이버홈(762)보다 작은 치수의 제2 드라이버홈(77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헤드부(771)의 반대편 끝단에 반구형의 가압돌부(773)가 구비되어 있는 소구경 가압볼트(77)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볼트(76)를 상기 제1 내기둥부(14)의 나사공에 1차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소구경 가압볼트(77)를 추가로 조이면, 상기 가압돌부(773)가 상기 테이퍼면(764)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벌림부(766)가 벌어지면서 상기 벌림부(766)의 나사산이 상기 나사공의 나사산에 엇각으로 비틀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나사홀(763)은 제1 헤드부(761)가 위치한 일측단에 상기 제2 헤드부(77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면서 소정 깊이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퍼면(764)이 형성된 볼트(76)의 나사부 끝단에는 길이방향으로 테이퍼면(764)의 길이만큼 절삭 가공된 절삭부(765)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절삭부(765)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벌림부(766)가 형성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벌림부(766)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상기 볼트(76)의 나머지 나사산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면서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벌림부(766)의 나사골 깊이가 볼트(76)의 나머지 나사골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소구경 가압볼트(77)는 나사부의 끝단에 상기 가압돌부(773)가 소구경 가압볼트(77)와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반구형으로 돌출되어 연장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소구경 가압볼트(77)는 상기 가압돌부(773)가 상기 테이퍼면(764)에 끼워지지 않도록 가결합되어 있다.
이에 상기 제1 드라이버홈(762)에 맞는 대구경 드라이버로 상기 볼트(76)를 조여서 상기 제1 내기둥부(14)의 나사공에 1차 나사 결합한 후, 상기 제2 드라이버홈(772)에 맞는 소구경 드라이버로 상기 소구경 가압볼트(77)를 추가로 조이면,
상기 소구경 가압볼트(77)가 상기 볼트(76)에 대하여 2차로 조여짐에 따라 상기 가압돌부(773)가 상기 테이퍼면(764)에 진입하면서 상기 벌림부(766)를 벌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벌림부(766)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비틀림각이 변경됨에 따라 벌림부(766)는 상기 제1 내기둥부(14)의 나사공에 엇각으로 비틀려서 치합되면서, 벌림부(766) 자체가 일종의 너트 기능을 하게 되어, 상기 볼트(76)가 상기 제1 내기둥부(14)의 나사공에서 풀리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싱크대용 수전 헤드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손잡이 P : 수압 조절유닛
C : 살수 방식 변경유닛
10 : 외바디 20 : 살수부
30 : 제1 내바디 40 : 수압 조절 노브
50 : 수압 조절 제2 내바디 60 : 제2 내바디
70 : 제3 내바디 80 : 살수 변경 노브
90 : 살수 체인저

Claims (4)

  1. 손잡이(1)와 연결되고, 전면 개구부를 갖는 외바디(10),
    상기 외바디(10)의 전면 개구부에 결합되며, 전면 중앙의 살수구(21)와, 상기 살수구(21) 둘레를 따라 형성된 미세 살수공(22)을 구비한 살수부(20),
    상기 외바디(10)의 내부 최후단에 삽입되며, 전면의 중앙에 상기 외바디(10)의 유입구(11)와 연통되는 토출공(31)을 형성하는 제1 암결합부(32)를 구비한 수압 토출용 제1 내바디(30),
    상기 외바디(10)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좌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압 조절 노브(40),
    상기 수압 조절 노브(40)에 연결되어 제2 내바디(60)의 후면에서 좌우 회전하게 결합하여 출수공(61)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며, 제1 수결합부(54)와 제2 수결합부(55)의 중앙을 관통하면면서 전면이 밀폐된 연통로(51)와, 상기 연통로(51)의 전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수압 조절공(52)과, 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암결합부(32)로 끼워지는 제1 수결합부(54)와, 전면에서 돌출된 제2 수결합부(55)를 구비한 수압 조절 조인트(50),
    상기 수압 조절공(52)에 대응하게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출수공(61)과, 후면에 상기 제2 수결합부(55)가 끼워지는 제2 암결합부(67)를 구비한 수압 조절용 제2 내바디(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수전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구(21)와 연결된 제1 연통공(71)과, 상기 미세 살수공(22)들과 연결된 제2 연통공(72)을 갖는 제3 내바디(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바디(10)는 후면의 내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나사공이 형성된 제1 내기둥부(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바디(30)는 전면에서 돌출되는 제1 외기둥부(33)와, 상기 제1 외기둥부(33)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1 내기둥부(14)가 끼워지는 제1 끼움홀(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바디(60)는 전면에서 돌출되는 제2 외기둥부(68)와, 상기 제2 외기둥부(68)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후단측에 상기 제1 외기둥부(33)가 끼워지는 제2 끼움홀(69)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내바디(70)는 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끼움홀(69)로 끼워져 상기 제1 외기둥부(33)에 접하는 제2 내기둥부(74)와, 상기 제2 내기둥부(74)를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홀(75)을 포함하여,
    볼트(76)를 상기 체결홀(75)로 끼워서 상기 나사공에 결합하여, 내부 부품 어셈블리가 상기 외바디(10)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수전 헤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바디(60)는, 상기 출수공(61)을 중심으로 양측 일면에서 소정 각도로 벌어지게 돌출되어 있는 양측 스토퍼(62)를 포함하여, 상기 수압 조절 노브(40)와 수압 조절 조인트(50)의 제1 결합부가 상기 양측 스토퍼(62) 사이에 배열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수전 헤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조절 노브(40)는, 상기 외바디(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을 갖도록 양측으로 돌출되어 수압 조절 노브(40)용 제1 가이드홈(12)의 내측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날개부(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수전 헤드.
KR1020220020067A 2022-02-16 2022-02-16 수압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 KR102444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067A KR102444242B1 (ko) 2022-02-16 2022-02-16 수압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067A KR102444242B1 (ko) 2022-02-16 2022-02-16 수압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242B1 true KR102444242B1 (ko) 2022-09-19

Family

ID=8346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067A KR102444242B1 (ko) 2022-02-16 2022-02-16 수압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351B1 (ko) 2023-05-31 2023-10-25 프리젠트 주식회사 필터 수전 헤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289Y1 (ko) * 1999-03-31 2002-03-16 이태형 씽크대용 물 분사구
KR20060121007A (ko)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노브설치구조
KR20060126362A (ko) * 2006-05-23 2006-12-07 오영국 다용도 샤워기
KR20130017393A (ko) * 2011-08-10 2013-02-20 김학주 싱크대용 물 분사기
KR102086968B1 (ko) * 2019-09-27 2020-03-09 박학수 샤워 헤드
KR102281426B1 (ko) * 2021-01-26 2021-07-23 성종현 분사영역의 조절이 가능한 싱크헤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289Y1 (ko) * 1999-03-31 2002-03-16 이태형 씽크대용 물 분사구
KR20060121007A (ko)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노브설치구조
KR20060126362A (ko) * 2006-05-23 2006-12-07 오영국 다용도 샤워기
KR20130017393A (ko) * 2011-08-10 2013-02-20 김학주 싱크대용 물 분사기
KR102086968B1 (ko) * 2019-09-27 2020-03-09 박학수 샤워 헤드
KR102281426B1 (ko) * 2021-01-26 2021-07-23 성종현 분사영역의 조절이 가능한 싱크헤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351B1 (ko) 2023-05-31 2023-10-25 프리젠트 주식회사 필터 수전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3445B1 (en) Water mixer with lever handle
US5918816A (en) Multifunction hand shower
US6691937B2 (en) One touch actuated valve
US4394969A (en) Showerhead control
KR102444242B1 (ko) 수압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
US7182100B2 (en) Retrofittable mixing valve and method of assembly
WO2005031074A1 (ja) 水栓設備における吐水装置
US20130254985A1 (en) Rotary switch shower and its control method
CN109595360A (zh) 水路切换装置及出水装置
EP3377792B1 (en) Adjustable flow regulator
JP3231629U (ja) 流量調節装置
US7191958B1 (en) Revolving lawn sprinkler
US8567700B2 (en) Showerhead with 360 degree rotational spray control
KR102444243B1 (ko) 살수 방식을 혼용할 수 있는 싱크대용 수전 헤드
KR102444245B1 (ko) 조립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킨 싱크대용 수전 헤드
US10005090B1 (en) Shower head structure
JPH05215256A (ja) 切換弁及び水の流れを制御する方法
US20020175223A1 (en) Switch of straight sprinkling gun
US6354518B1 (en) Pressure actuated shower head mechanism
RU2565116C2 (ru) Санитарный фитинг
JP5497545B2 (ja) 節水器具
JP4248009B2 (ja) 水栓設備における吐水装置
CN113551042A (zh) 一种啤酒分发可调节龙头
JPH09203480A (ja) 水栓におけるクリック機構
AU8611598A (en) Pressure actuated shower head mech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