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737B1 - 조방기의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조방기의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737B1
KR100294737B1 KR1019980036563A KR19980036563A KR100294737B1 KR 100294737 B1 KR100294737 B1 KR 100294737B1 KR 1019980036563 A KR1019980036563 A KR 1019980036563A KR 19980036563 A KR19980036563 A KR 19980036563A KR 100294737 B1 KR100294737 B1 KR 100294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fibers
cleaning
roller
scra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557A (ko
Inventor
마사노리 오오카
가츠미 나카네
Original Assignee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137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810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7293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89413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시카와 타다시
Publication of KR1999002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60Arrangements maintaining drafting elements free of fibre accum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비임의 후방을 향한 롤러 비임의 상부면을 따라서 송풍되는 공기류에 의하여 야기되는 악영향이 없으며, 하부 청소용 피대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이 롤러 비임의 후방에 회수된 후에, 장치 프레임의 단부로 섬유를 운반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부 청소용 피대에 부착된 섬유 등은 롤러 비임(1)에 낙하되도록 스크래퍼에 의하여 벗겨진다. 낙하된 섬유와, 롤러 비임의 상부면에 쌓이게 되는 경향이 있는 섬유 폐기물들은 에어 송풍 튜브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류의 작용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25)로 가이드되어,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에 쌓인다. 섬유 등은 가이드 레일(25)을 따라서 이동하는 스크래퍼(41)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25)의 단부로 운반되고, 장치 프레임의 단부에 제공된 먼지 박스에서 회수된다.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은 롤러 비임(1)의 상부면보다 낮게 위치된다. 롤러 비임(1)과 마주한 측부에 배치된 벽(25b)은 섬유 등이 가이드 레일(25)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조방기의 청소장치
본 발명은 조방기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 폐기물이 플라이어 레일 및 롤러 비임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롤러 비임의 후방을 향한 공기류에 의하여 운반되는 섬유 폐기물이 장치 프레임의 단부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방 장치에 있어서 드래프트(draft) 장치의 롤러군을 청소하기 위하여, 상부 청소용 피대(top clearer cloth) 및 하부 청소용 피대(bottom clearer cloth)가 제공되며, 이러한 것들은 각각 회전되는 동안 상부 롤러군 및 하부 롤러군과 접촉한다. 두 청소용 피대는 스크래퍼(스크래핑 수단)에 의하여 청소되며, 스크래퍼는 접착된 섬유들을 청소용 피대로부터 벗겨낸다. 그러므로, 상부 청소용 피대로부터 벗겨진 섬유(즉, 면 먼지)들은 상부 청소용 피대 위에 배치된 커버에 제공되는 창을 통하여 작업자 또는 청소기에 의하여 수동으로 제거된다.
한편, 하부 청소용 피대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은 롤러 스탠드를 지지하는 롤러 비임 상에 낙하된다. 낙하된 섬유들은 섬유들이 드래프트 장치의 후방에 제공된 흡인 덕트 또는 벨트 컨베이어에 도달할 때까지 플라이어 레일의 전방 단부에 제공된 송풍 출구로부터 롤러 비임의 후방 단부를 향하여 송풍하는 공기류에 의하여 운반되고, 그 결과, 섬유들은 장치로부터 제거된다.
흡인 덕트를 이용하여 섬유들을 제거하는 장치는 다음의 문제들이 발생된다. 즉, 팬 모터가 흡인 덕트에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많은 전력을 소모하며, 섬유 폐기물이 흡인 덕트의 상부 부분에 쌓인다. 흡인 덕트의 존재는 조방 장치 프레임의 후면(후방 측부)으로부터 롤러 부분(하부 틈새 등)들 주위의 보수를 어렵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평 1-142474 호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를 개시하며, 이러한 장치는 벨트 컨베이어(72)가 롤러 비임(71)의 후방을 향한 장치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컨베이어(73)가 섬유 폐기물의 과잉 운반을 방지하도록 벨트 컨베이어(72)에 대하여 롤러 비임(71)과 마주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플라이어 레일(76)의 전방 단부에 제공된 에어 송풍 튜브(77)로부터 외부로 송풍되는 공기류는 하부 청소용 피대(74)에 의하여 벗겨진 섬유 및 드래프트 장치(75)에서 발생된 섬유 폐기물을 운반하여, 플라이어 레일(76) 또는 롤러 비임(71)의 상부면에 쌓여서(적용 가능할 때, 섬유들과 섬유 폐기물은 이후 단순히 섬유 등으로 언급된다), 섬유 등은 벨트 컨베이어(72) 상에 축적된다. 그런 다음, 섬유 등은 컨베이어(72)에 의하여 장치 프레임의 단부로 운반되고, 장치 프레임의 단부에서, 섬유 등은 장치 프레임의 단부에 있는 제거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벨트 컨베이어(72)로부터 제거된다.
한편,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8-13727호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 다른 장치를 개시한다. 이 장치에서, 한 쌍의 휠(79, 풀리)들이 롤러 비임(71)의 후방 단부로부터 하나의 단계만큼 하강되는 장치 프레임(78) 상에 제공되며, 무한 테이프(80)가 휠(79) 사이에서 현수된다. 피대(도시되지 않음)는 테이프(80)에 접착된다. 휠(79)들의 회전은 롤러 비임(71)을 따라서 테이프(80)의 이동을 유발하며, 섬유 등은 장치 프레임(78)의 단부로 운반되도록 테이프(80)와 함께 구동하는 피대와 결합되고, 섬유 등은 장치 프레임(78)의 단부에 제공되는 흡인 덕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흡입된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평 1-142474호에 개시된 장치에서, 섬유 등이 쌓이는 벨트 컨베이어(72)의 상부면은 롤러 비임(71)의 상부면과 동일한 레벨이 되도록 배열되며, 면 먼지의 과잉 운반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73)는 벨트 컨베이어(72)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에어 송풍 튜브(77)로부터 외부로 송풍되는 보다 강한 공기류가 커버(73)를 충돌하는 것에 의하여 섬유 등을 부풀릴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을 피하기 위한 공기류의 송풍 조정을 매우 힘들다.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8-13727호에 개시된 장치(도 29 참조)는 에어 송풍 튜브(77)로부터 외부로 송풍되는 공기류와 관련된 상기와 같은 문제는 없다. 그러나, 롤러 비임(71)으로부터 한 단계만큼 하강된 장치 프레임(78)에 대하여 롤러 비임(71)과 마주한 벽의 부재는 장치 프레임(78) 상에 쌓이는 섬유 등이 테이프(80)와 함께 이동하는 피대와 결합되어 운반될 때, 섬유 등의 일부가 장치 프레임(78)으로부터 낙하될 수도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따른다. 아울러, 섬유 등이 소위 주행 청소기로부터 외부로 송풍되는 공기류에 의하여 타격받는 것에 의하여 장치 프레임(78)으로 낙하하기 쉬우며, 주행 청소기는 방적기 프레임을 따라서 주행하는 동안 공기류를 송풍하는 것에 의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한다. 더욱이, 장치가 천과 같은 매우 부드러운 물질로 섬유 등을 제거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섬유 등의 양이 많으면, 섬유 등과 장치 프레임(78) 또는 롤러 비임(71) 사이의 마찰 저항에 대항하여 섬유 등을 운반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들을 극복하도록 만들어졌으며,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 비임의 후방을 향하여 롤러 비임의 상부면을 따라서 공기류를 송풍하는 것에 의하여 야기되는 악영향이 없으며, 하부 롤러로부터 제거되는 섬유, 먼지, 조각 등과 플라이어 레일 및 롤러 비임 상에 쌓이는 섬유 폐기물(이하, 적용 가능하면, 간단하게 섬유 등이라 한다)을 롤러 비임에 회수하여, 섬유 등이 회수되는 장치 프레임의 단부로 섬유들을 운반할 수 있는 조방기의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방기의 청소장치의 일반적인 구조 를 도시한 부분 개략 측단면도.
도 2는 운반 수단을 도시한 부분 개략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운반 수단의 구조 부분을 도시한 부분 확대 측면도.
도 4는 스크래퍼, 압축 부재로 구성된 하부 롤러 청소 기구의 주요 구조 부 분을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기어 단부측의 동력 전달 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외부 단부측의 운반 수단을 도시한 평면 도.
도 7은 외부 단부측의 종동 풀리의 지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방기의 청소장치의 기어 단부측의 주요 부분들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외부 단부측의 운반 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도 10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방기의 청소장치의 기어 단부측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도 12의 측면도.
도 14는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도 12의 평면도.
도 15는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조방 장치용 청소기의 일반적인 구조의 단면도로서, 도 15A는 벨트 상에 설치된 스크래핑 부재가 기어 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되는 상태를 예시하며, 도 15B는 스크래핑 부재가 외부 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6은 벨트 상에 스크래핑 부재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부분 측단면도.
도 18은 스크래핑 부재, 벨트 및 스크래퍼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 측단 면도.
도 19는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조방 장 치용 청소기의 기어 단부측을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스크래핑 부재가 벨트 상에 어떻게 장착되는 가를 도시한 부분 평면 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조방기의 청소장치의 일반적인 구조 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2는 하부 롤러 청소 기구의 하부측에 장착된 가이드 플레이트의 주요 부 분을 주로 도시한 구조도.
도 23은 스크래퍼, 압축 부재 및 가이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 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외부 단부측의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벨트의 개략 측면도.
도 2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가이드 레일의 구성을 도시한 단 면도이며, 도 2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가이드 레일 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28은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한 종래의 조방기의 청소장치의 일반적인 구 조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29는 종래의 바퀴와 테이프를 이용한 조방기의 청소장치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부분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롤러 비임 2 : 드래프트 장치
3 : 롤러 스탠드 4 : 하부 롤러
5 : 상부 롤러 6 : 하부 청소용 피대
7 : 상부 청소용 피대 8 : 브라켓
9,41, : 스크래퍼 10 : 지지체
12 : 구동축 13 : 편심캠
14 : 캠/링크 메커니즘 15 : 풀리
16 : 회전축 19 : 커버
20 : 청소부 21 : 압축 부재
22 : 플라이어 레일 23 : 가요성 튜브
24 : 에어 송풍 튜브 25 : 가이드 레일
26 : 지지 브라켓 27 : 지지축
29 : 베어링 유니트 31 : 무한 둥근 벨트
32 : 구동 풀리 35 : 프레임
39 : 종동 풀리 40 : 무한 벨트
42 : 노치 43 : 먼지 박스
45 : 모터 48 : 스터드
58,61 : 어태치먼트 60 : 스크래핑 부재
130 : 가이드 플레이트 140 : 지지 비임
141 : 지지 브라켓 142 : 지지 로드
상기된 목적은 달성하기 위하여, 드래프트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롤러를 청소하기 위한 하부 롤러 청소 장치를 포함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에 있어서, 장치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드래프트 장치를 지지하는 롤러 비임의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롤러 비임의 상부면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 부분, 및 섬유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부분에 대하여 상기 롤러 비임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벽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부 부분으로 가이드된 섬유들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결합부와 함께 상기 가이드 레일의 단부로 운반하기 위한 운반 수단과; 장치 프레임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운반 수단에 의하여 상기 장치 프레임으로 운반된 섬유들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를 포함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서 제공된다.
상기된 장치에서, 드래프트 장치의 하부 롤러에 대한 청소는 하부 롤러 청소기에 의하여 수행된다. 하부 롤러 청소기에 의하여 하부 롤러로부터 제거된 섬유들은 하부 롤러의 하부를 향하여 낙하한다. 플라이어 레일의 상부면 또는 롤러 비임 상에 쌓이게 되는 낙하된 섬유 및 섬유 폐기물(섬유 등)은 공기류의 작용에 의하여 롤러 비임 뒤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로 운반된다. 가이드 레일의 하부 부분으로 가이드된 섬유 등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결합부와 함께 가이드 레일의 단부로 운반되어, 장치 프레임의 단부에 제공된 회수부에서 회수된다. 가이드 레일의 하부 부분이 롤러 비임의 상부면보다 낮게 위치되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의 하부 부분으로 가이드된 섬유 등은 상기된 공기류에 의하여 나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롤러 비임과 마주한 측부에 위치된 가이드 레일의 벽은 섬유 등이 가이드 레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서, 섬유들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벽의 상단부는 롤러 비임의 상부면보다 낮다. 이러한 장치에 의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벽은 주행 청소기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류에 의하여 유발되는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이드 레일의 하부 부분 상에 쌓인 섬유 폐기물은 부분적으로 송풍되는 것이 방지되어, 바로 위에 제공된 조각에 휘감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의 폭은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라서 하부 부분을 향하여 감소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레일로 가이드된 섬유 등은 가이드 레일의 중앙부로 용이하게 회수되어, 스크래핑 부재의 폭이 작을지라도 가이드 레일의 단부로 운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양태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운반 수단은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 바로 위에서 연장되며, 방적기의 제 1 및 제 2 단부들에 각각 제공된 구동 및 종동 풀리들 사이에서 현수되는 무한 벨트와; 무한 벨트 보다 큰 폭을 가지고 무한 벨트와 함께 이동되도록 무한 벨트에 고정되며, 가이드 레일의 하부 부분에 쌓인 섬유들을 가이드 레일의 단부로 운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크래핑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의 하부 부분에 쌓인 섬유 등은 무한 벨트에 고정된 스크래핑 부재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의 단부로 운반된다. 그러므로, 벨트의 폭은 벨트 컨베이어가 운반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과 비교하여 그 절반 또는 그 이하로 감축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소비되는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래핑 부재는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의 하부 부분 상에 쌓인 섬유들을 가이드 레일의 단부로 운반하기 위한 하부 부분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와; 가이드 레일의 벽에 쌓인 섬유들을 가이드 레일의 단부로 운반하기 위한 벽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의 하부 부분에 쌓인 섬유 등은 하부 부분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의 단부로 운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의 벽에 쌓인 섬유 등은 벽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의 단부로 운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있어서, 벽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는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라서 가요성 물질로 만들어지며, 하부 부분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는 벽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를 만드는 물질보다 강성이 큰 물질로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스크래핑 부재들이 구동 또는 종동 풀리를 지지하는 브라켓과 간섭하는 위치들을 통과할 때, 스크래핑 부재들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변형되는 한편 브라켓을 피한다. 스크래핑 부재이 브라켓과 간섭하는 위치 이상 통과한 후에, 스크래핑 부재들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제 4 내지 제 6 양태들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동 풀리는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라서 운반 수단을 위한 구동원으로서 제공되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그러므로, 장치는 구동 풀리가 드래프트 장치의 구동원에 의하여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하여 구동되는 장치와 비교하여 간단하게 된다. 섬유 폐기물 등이 동력 전달 수단 상에 감겨질 가능성이 없다.
본 발명의 제 4 내지 제 7 양태들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동 및 종동 풀리용 지지축의 각각은 본 발명의 제 8 양태에 따라서 수평으로 제공된다.
벨트는 벨트의 폭 방향이 수직 방향과 평행한 상태하에서 두 풀리 상에 현수되어 주행한다. 벨트에 고정된 스크래핑 부재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의 하부 부분에 쌓인 섬유 등을 운반할 때, 스크래핑 부재는 하부 부분의 폭이 클지라도 하부 부분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의 전체 폭에 걸쳐서 매끄럽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내지 제 7 양태들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동 및 종동 풀리용 지지축의 각각은 본 발명의 제 9 양태에 따라서 수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하여, 벨트의 폭 방향이 수직인 상태에서 벨트가 두 풀리 상에 현수되어 주행하기 때문에, 섬유 등은 벨트 상에 거의 쌓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9 양태들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조방기의 청소장치는 본 발명의 제 10 양태에 따라서 하부 롤러 청소 기구 아래에 위치되며, 하부 롤러로부터 제거되어 낙하되는 섬유를 가이드 레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진 가이드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단부는 롤러 비임의 후방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단부 및 상기 롤러 비임의 상부면은 가이드 레일을 향하여 롤러 비임의 상부면을 따라서 송풍되는 공기류를 매끄럽게 하기 위한 틈새를 한정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하여, 하부 롤러로부터 제거되어 낙하되는 섬유 등은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적어도 롤러 비임의 후방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비스듬하게 하향 연장하기 때문에 롤러 비임의 후방을 향하여 송풍되는 공기류의 존재 또는 부재에 관계없이 섬유 운반 수단으로 가이드된다. 틈새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단부와 롤러 비임의 상부면 사이에서 한정되며, 틈새는 롤러 비임의 상부면을 따라서 상기된 섬유 운반 수단을 향하여 송풍되는 공기류를 매끄럽게 한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에 있어서, 하부 롤러 청소 기구는 본 발명의 제 11 양태에 따라서 구동 수단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부 롤러의 축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왕복하는 스크래핑 부재를 포함하며, 가이드 플레이트는 스크래핑 부재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가 스크래핑 부재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가이드 플레이트로 낙하된 섬유들은 가이드 플레이트가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고정 배치되는 것보다 빨리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낙하한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에 있어서, 하부 롤러 청소 기구는 본 발명의 제 12 양태에 따라서 하부 롤러와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주행하는 하부 청소용 피대와; 하부 청소용 피대에 접착된 섬유들을 벗기기 위하여 하부 청소용 피대의 외주변과 접촉한 상태에서 주행하여 왕복하는 스크래핑 부재와; 스크래핑 부재와 하부 청소용 피대들중 적어도 하나와 협응하여, 스크래핑 부재가 선단을 향하여 이동됨으로써, 스크래핑 부재에 의하여 하부 청소용 피대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하여, 벗겨진 섬유들이 압축되기 때문에, 청소기는 벗겨진 섬유들이 긴 스트립 형태로 하향 현수되는 종래의 장치에서 볼 수 있는 문제들이 없게 된다. 벗겨진 섬유들은 압축 작용에 의하여 비교적 짧은 벌레 형태의 섬유 덩어리로 형성되어 가이드 플레이트 상에 낙하되고, 섬유 운반 수단이 제공되는 위치에 도달하도록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따라서 가이드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기술 및 도면에서, 기능적으로 등가의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하여 인용된다. ‘오른쪽’,‘왼쪽’,‘위쪽’ 및 ‘아래쪽’등이 편의를 위하여 간단하게 사용되고, 엄격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가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방기의 청소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프트 장치(2)는 조방 장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롤러 비임(1) 상의 롤러 스탠드(3)를 통하여 지지된다. 드래프트 장치(2)의 롤러 부분은 하부 롤러(4)와 상부 롤러(5)를 포함한다. 상부 롤러(5)들은 하부 롤러(4) 위로 눌려지는 웨이팅 아암(도시되지 않음, waiting arm)에 의하여 편향된다. 하부 청소용 피대(6)와 상부 청소용 피대(7)들은 각각 하부 롤러(4)와 상부 롤러(5)의 섬유 제한 영역의 표면과 가압 접촉하여, 그 상태에서 롤러들 주위를 주행한다.
도 4는 스크래퍼와 압축 부재가 배치된 도 1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구멍(8a)을 가지는 브라켓(8)은 하부 청소용 피대(6) 아래에 배치되고, 지지체(10)는 지지체(10)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편(10a)과 가늘고 긴 구멍(8a)으로 삽입되는 핀(11)의 도움으로 가늘고 긴 구멍(8a)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지지체(10)는 하부 청소용 피대(6)에 접착되는 섬유들을 벗기기 위한 스크래핑 부재로서 작용하는 스크래퍼(9)를 지지한다. 지지체(10)는 구동축(12)과 함께 회전되는 편심캠(13)의 회전과 결합하여 캠/링크 메카니즘(14,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평9-9583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음)에 의하여 왕복된다. 하부 청소용 피대(6)가 그 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현수되는 풀리(15)는 회전축(16)에 의하여 지지되고, 회전축(16)은 상기된 캠/링크 메카니즘(14)의 구동으로 원웨이 클러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간헐적으로 구동된다. 풀리(15) 상에 현수된 하부 청소용 피대(6)와 가이드 부재(6a)는 또한 도 1에서 시계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스크래퍼(9)는 하부 청소용 피대(6)를 위한 청소부를 구성한다. 하부 롤러 청소기는 하부 청소용 피대(6), 스크래퍼(9)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부 청소용 피대(7)는 풀리(17)와 가이드 부재(19) 사이에 현수되어서, 상부 주행 영역의 후방 절반부(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으로부터 후방측)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한다. 상부 청소용 피대(7)를 덮기 위한 커버(19)는 상부 청소용 피대(7) 바로 위에 제공되고, 상부 청소용 피대(7)를 위한 청소부(20, 일본국 특허 공개 평9-95830호에 개시됨)는 커버(19)에 제공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9)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체(10)의 선단에 굽혀진 형태의 장착편(10b)에 고정된다. 하부 롤러 청소기에 포함된 압축 부재(21)는 함께 이동되도록 스크래퍼(9)에 고정된다. 압축 부재(21)는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틈새를 형성하도록 스크래퍼(9)에 고정된다(이 실시예에서, 압축 부재(21)는 스크래퍼(9)의 하부면과 접촉한다). 이러한 배열은 일본국 특허 공개 평9-95830호에 개시된 장치와 동일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비임(1)의 상부면은 플라이어 레일(22)에 포함된 커버(22a)의 상부면과 동일면을 이룬다. 에어 송풍 튜브(24)는 커버(22a)의 전방 상단부(즉, 플라이어 레일(22)의 전방 상단부)에 있는 플라이어 레일(22)의 전장을 따라서 연장되고, 에어 송풍 튜브(24)는 가요성 튜브(23)를 통하여 에어 송풍 덕트(도시되지 않음)와 소통된다. 많은 수의 흡기 노즐(24a, 도 1에서는 단지 하나만 도시됨)이 에어 송풍 튜브(24)에 형성되어서, 공기류는 이로부터 플라이어 레일(22)의 상부면을 따라서 롤러 비임(1)의 후방을 향하여 송풍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방 장치에서의 운반 수단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5)이 롤러 비임(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장치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즉, 도 1 또는 도 3의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레일(25)은 그 중앙 부분에 수평부(25a, 즉 하부 부분), 수평부(25a)의 각 측부에서 수평부(25a)로부터 각각 위로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벽(25b), 및 각 벽(25b)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하는 장착부(25c)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들은 굽혀진 형태이며 서로 연속되어서, 가이드 레일(25)은 실질적으로 단면에 있어서 M자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 레일(25)은 장착부(25c)에 의하여 롤러 비임(1)과 지지 브라켓(26)에 고정되어서, 단면에 있어서 사다리꼴의 홈이 롤러 비임(1)의 뒤에 한정된다. 즉, 가이드 레일(25)은 하부 부분(25a)이 높이에 있어서 롤러 비임(1)의 상부면보다 낮게 배치되고 홈 폭이 하부 부분(25a)을 향하여 감소되도록 배열된다. 하부 부분(25a)에 대하여 롤러 비임(1)과 마주하여 위치된 벽(25b)은 섬유 등이 가이드 레일(25)로부터 롤러 비임(1)과 마주한 측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벽으로서 작용한다.
도 2는 청소기에 있는 운반 수단을 도시한 개략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기어 단부측에 있는 동력 전달 수단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27)은 브라켓(28)에 고정된 베어링 유니트(29)를 통하여 장치 프레임의 제 1 단부(즉, 이 실시예에서 기어 단부측, 및 도 2에서 좌측)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축(27)은 장치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즉 구동축(12)에 직각인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한다. 풀리(30b)는 함께 회전되는 지지축(27)에 고정되고, 구동축(12)에 직면한 위치에 배치된다. 풀리(30a)는 함께 회전되는 구동축(12)에 고정된다. 둥근 벨트 풀리는 각각의 풀리(30a,30b)를 위하여 사용되며, 무한 둥근 벨트(31)는 풀리(30a,30b)들 사이에서 현수된다. 가이드 레일(25)의 벽(25b)은 풀리(30b)와 지지축(27)과 간섭을 피하도록 풀리(30b)와 지지축(27)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노치(도시되지 않음)로 형성된다. 구동 풀리(32)는 지지축(27)과 함께 회전되도록 지지축(27)에 고정된다. 구동 풀리(32)는 하부 부분(25a)과 직면하도록 고정된다. 가이드 레일(25)은 도 5에서 생략되었다.
도 6은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운반 수단의 외부 단부측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며, 도 7은 외부 단부측에 있는 종동 풀리가 어떻게 지지되는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33)은 브라켓(34)에 고정된 베어링 유니트(29)를 통하여 장치 프레임의 제 2 단부(이 실시예에서 외부 단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브라켓(34)은 브라켓이 장치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지지축(33)을 지지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도록 그 사이의 상대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35)에 고정된 브라켓(36)에 고정된다. 브라켓(34)은 적소에서 브라켓(36)을 통하여 형성된 가늘고 긴 구멍(36a)에 대응하는 나사공으로 형성된다. 브라켓(34)은 가늘고 긴 구멍(36a)을 통과하여 나사공으로 나사 결합되는 볼트(37)에 의하여 브라켓(36)에 고정된다. 종동 풀리(39)는 실질적으로 지지축(33)과 함께 회전되도록 지지축(33)의 중앙부에서 지지축(33)에 고정된다.
무한 벨트(40)는 구동 풀리(32)와 종동 풀리(39) 사이에서 현수된다. 벨트(40)는 하부 부분(25a)보다 폭이 작다. 다수의 스크래퍼(41)들은 벨트(40)의 외주변에 고정되고, 각각의 벨트(40)는 결합부 및 스크래핑 부재로서 작용한다. 각각의 스크래퍼(41)들은 폭이 벨트(40)보다 크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41)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그 말단은 폭이 하부 부분(25a)보다 약간 작다. 스크래퍼(41)는 스크래퍼(41)가 하부 부분(25a)과 직면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으로부터 틈새를 형성하는 정도의 높이를 가진다. 풀리(32,39), 벨트(40) 및 스크래퍼(41)는 협응하여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으로 가이드되었던 섬유들을 가이드 레일(25)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25)의 단부로 운반하기 위한 운반 수단을 형성한다.
다수의 스크래퍼(41)는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품질 및 꼬여진 실의 종류(예를 들어, 100% 면 방적, 혼합 섬유 방적, 또는 수가공 섬유 방적)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섬유 폐기물의 양은 100% 면 방적인 경우에 가장 많고, 수가공 섬유 방적인 경우에 가장 적으며, 혼합 섬유 방적인 경우에 중간이다. 그러므로, 혼합 섬유 방적의 경우에 스크래퍼(41)의 수가 기준 또는 표준으로서 고려되면, 100% 면 방적은 보다 많은 스크래퍼(41)를, 수가공 섬유 방적인 경우에 보다 적은 스크래퍼(41)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120개의 보빈용 장치 프레임은 표준 형태의 경우에 5개의 스크래퍼(41)를 요구하고, 100% 면 방적인 경우에 4개의 스크래퍼(41)를, 수가공 섬유 방적인 경우에 6개의 스크래퍼(41)를 필요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42)는 하부 부분(25a)으로부터 각각의 벽(25b)으로 연장하도록 가이드 레일(25)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다. 먼지 박스(43)가 회수부로서 작용하도록 노치(42) 아래에 배치된다. 먼지 박스(43)는 상자의 형태를 하며, 그 상부는 개방된다.
장치의 작동이 기술된다. 조방 장치가 작동되기 시작할 때, 조각(S)들은 드래프트 장치(2)로 공급되어 드래프트되고, 플라이어(42)를 통하여 보빈(도시되지 않음)에 감겨진다. 구동축(12)이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회전축(16) 및 풀리(15)와 함께 하부 청소용 피대(6)는 캠/링크 메카니즘(14)의 도움으로 도 1에서 화살표에 의하여 지시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조각(S)들이 드래프트 장치(2)에 의하여 드래프트되었을 때, 소량의 짧은 섬유(이하 적용가능할 때 섬유들로서 언급된다)들이 하부 롤러(4)와 상부 롤러(5)에 접착된다. 하부 롤러(4)와 상부 롤러(5)에 접착된 섬유들은 롤러(4,5)들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부 청소용 피대(6)와 상부 청소용 피대(7)에 부착된다.
편심캠(13)의 회전과 관련하여, 스크래퍼(9)는 하부 청소용 피대(6)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왕복되어서, 하부 청소용 피대(6)에 부착된 섬유(F)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9)에 의하여 벗겨진다.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은 압축 부재(21)와 하부 청소용 피대(6) 사이에 쌓이게 된다. 스크래퍼(9)의 후방 이동(도 1 및 도 4에서 좌향 이동)은 하부 청소용 피대(6)의 이동과 동시에 일어나지만, 지지체(10)의 이동량은 하부 청소용 피대(6)의 이동량보다 많다. 결과적으로, 섬유들이 일정한 정도 쌓이면, 압축 부재(21)와 하부 청소용 피대(6) 사이에서 유지되는 섬유들의 일부는 스크래퍼(9)가 후방 이동될 때 압축되고 부분적으로 회전되어서, 벌레 형태의 섬유 덩어리를 형성한다. 벌레 형태의 섬유 덩어리는 압축 부재(21)의 선단으로부터 이탈하여, 롤러 비임(1) 위로 낙하한다.
공기류는 플라이어 레일(22)의 전방 단부에 제공된 송풍 노즐(24a)로부터 롤러 비임(1)의 후방을 향하여 항상 흐른다. 그러므로, 플라이어 레일(22)의 상부면과 롤러 비임(1)으로 낙하하는 섬유 폐기물과 섬유 덩어리(F, 또는 섬유 등)는 가이드 레일(25) 위로 낙하하도록 가이드 레일(25)로 공기류에 의하여 운반된다. 가이드 레일(25) 위로 낙하하는 섬유(F)는 벽(25b)을 따라서 이동되어 하부 부분(25a)에 쌓인다.
한편, 구동축(12)의 회전은 지지축(27)을 회전시키고, 그러므로 풀리(30a,30b) 및 둥근 벨트(31)를 통하여 구동 풀리(32)를 회전시켜서, 벨트(40)와 함께 스크래퍼(41)는 롤러 비임(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된다. 스크래퍼(41)가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과 직면하면서 장치 프레임의 기어 단부측으로부터 외부 단부측으로 이동될 때, 스크래퍼(41)는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에 쌓인 섬유(F)와 결합하여 가이드 레일(25)을 따라서 섬유(F)를 운반한다.
즉,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에 쌓인 섬유(F) 등은 가이드 레일(25)을 따르는 스크래퍼(41) 이동 과정동안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과 직면하는 스크래퍼(41)와 결합되어 스크래퍼(41)에 의하여 운반되어서, 섬유(F) 등은 장치 프레임의 외부 단부측에 도달한다. 섬유(F) 등이 가이드 레일(25)의 노치(42)에 대응하는 위치로 운반될 때, 섬유(F) 등은 스크래퍼(41)로부터 분리되어, 먼지 박스(43)에 낙하하여, 먼지 박스(43) 내에 회수된다. 섬유(F) 등이 일정 정도로 먼지 박스(43)에 쌓이면, 작업자에 의하여 회수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a) 공기류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25)로 운반된 섬유(F)는 롤러 비임(1)의 상부면보다 낮게 배치된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에 쌓이고, 그런 다음 스크래퍼(41)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25)의 단부로 운반된다. 결과적으로, 공기류가 롤러 비임(1)의 후방을 향하여 롤러 비임(1)의 상부면을 따라서 송풍되는 것과 관련하여 악영향이 없다.
(b) 벽(25b)은 섬유(F)등이 롤러 비임(1)과 마주한 측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 레일(25)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섬유(F) 등이 스크래퍼(41)의 작용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25)의 단부로 이동될 때, 섬유(F) 등은 가이드 레일(25)로부터 측방으로 낙하되는 것이 항상 방지된다.
(c) 가이드 레일(25)은 그 폭이 하부 부분(25a)을 향하여 감소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25)로 가이드된 섬유(F) 등은 가이드 레일(25)의 특정 부분에 용이하게 쌓이고, 스크래퍼(41)의 폭이 작을지라도, 섬유(F) 등은 가이드 레일(25)의 단부로 효과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
(d)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 상에 쌓인 섬유(F) 등은 무한 벨트(40)에 고정된 스크래퍼(41)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25)의 단부로 운반된다. 그러므로, 벨트(40)의 폭은 벨트 컨베이어가 운반을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절반 이하로 감소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e) 벨트(40)가 폭 방향이 수평인 상태로 풀리(32,39)들 사이에서 현수되면서 주행하기 때문에, 벨트(40)에 고정된 스크래퍼(41)는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에 쌓인 섬유(F) 등이 가이드 레일(25)을 따라서 운반될 때, 하부 부분이 넓을지라도, 하부 부분의 전체 폭에 걸쳐서 매끄럽게 이동될 수 있다.
(g) 섬유 등이 벨트 컨베이어에 의하여 운반되는 경우에, 섬유 등이 박층의 형태로 벨트 컨베이어 상에 쌓이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가 역전된 후에, 섬유 등은 벨트 컨베이어의 표면에 부착되기 쉽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스크래퍼(41)는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에 쌓인 섬유(F) 등을 눌러 회수하여, 가이드 레일(25)을 따라서 회수된 섬유(F) 등을 운반한다. 결과적으로, 가이드 레일(25)의 단부에 형성된 노치(42)에 대응하는 위치로 운반된 섬유(F) 등은 자체 중량에 의하여 먼지 박스(43)로 용이하고 매끄럽게 낙하할 수 있다.
(h) 가이드 레일(25)의 상단부가 롤러 비임(1)의 상단부 이상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 프레임의 후방 측부로부터의 하부 청소용 피대의 유지가 용이하다.
(i) 섬유들은 스크래퍼(41)에 의하여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벗겨지고, 압축 부재(21)의 작용에 의하여 압축되어서, 벌레 형태의 섬유 덩어리가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낙하한다. 롤러 비임(1)으로 낙하된 섬유 덩어리는 공기류의 작용에 의하여 스트립 형태로 절단된 섬유보다 용이하게 가이드 레일(25)로 운반될 수 있다.
(j) 스크래퍼(9)에 의하여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이 압축 부재(21)의 작용에 의하여 압축되어, 벌레 형태의 섬유 덩어리가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낙하하기 때문에,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은 결코 스트립 형태로 현수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현수된 섬유들이 하부 청소용 피대에서 구동부로 감겨지도록 공기류에 의하여 나쁜 영향을 받는 문제를 피하기 위한 제어 플레이트가 필요하지 않게 될 수 있다.
(k) 구동 풀리(32)는 하부 청소용 피대 청소부용 구동원인 구동축(12)의 회전 토오크를 구동원으로 하여 구동된다. 그러므로, 별도의 모터가 제공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별도의 모터를 위한 전기 배선의 필요성이 제거될 수 있고, 풀리는 장치가 작동상태에 있음으로써 자동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상기된 실시예와 이 실시예의 주요 차이는 구동 풀리가 운반 수단의 구동원으로서 작용하는 별도의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과,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용 지지축이 직각으로 배열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 실시예는 상기된 실시예와 섬유(F)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25)의 벽(25b)이 그 상단부가 롤러 비임(1)에 배치된 벽(25b)의 상단부보다 낮게 되도록 배열된다는 것이다. 이 실시예와 상기된 실시예 사이에서 기능적으로 등가의 구성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인용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이 설명에서 생략된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서의 운반 수단을 예시하기 위한 기어 단부측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5)는 가이드 레일(25)의 기어 단부측 바로 위에 배열되어서, 모터의 출력축(45a)은 하향 및 직각으로 연장한다. 모터(45)는 기어 단부측의 프레임(46)에 고정된 브라켓(47)에 고정된다. 풀리(32)는 출력축(45a)과 함께 회전되도록 출력축(45a)에 고정된다. 도 9에서, 가이드 레일(25)의 도시는 생략되었으며, 스크래퍼(53)의 궤적은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 10은 운반 수단의 외부 단부측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도 10의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48)는 가이드 레일(25)의 외부 단부측에 있는 노치(42)에 대응하는 위치에 직각으로 배열된다. 스터드(48)는 종동 풀리(39, 즉 인장 풀리)를 지지하는 지지축으로서 작용한다. 스터드(48)는 지지 브라켓(50a,50b)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 브라켓(50a,50b)은 외부 단부측의 프레임(35)에 고정된 브라켓(49)에 조정 가능하게 결합된다. 각각의 지지 브라켓(50a,50b)은 L자 형태를 하며, 스터드(48)의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실질적으로 U자 형상으로 볼트(51)에 의하여 서로 조립된다. 스터드(48)는 단이진 로드이며, 큰 직경 부분의 상부 단부면에 의하여 위치되는 베어링(52)을 통하여 종동 풀리(3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벨트(40)는 구동 풀리(32)와 종동 풀리(39) 사이에 현수되어서, 그 폭 방향이 수직으로 연장한다. 스크래퍼(53)들은 벨트(40)에 고정되고, 각각의 스크래퍼(53)는 결합 부분 및 스크래핑 부분으로 작용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53)는 가이드 레일(25)의 홈부 형상과 일치하도록 설계된다. 보다 상세하게, 스크래퍼(53)는 가이드 레일(25)의 중앙 부분에 있는 하부 부분(25a) 및 롤러 비임(1)의 측부에 배치된 벽(25b)의 하부 부분의 절반부와 형상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5)의 양측부에 있는 벽(25b)들은 형상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고, 롤러 비임(1)과 마주한 측부에 있는 하부 부분(25a)은 롤러 비임(1)의 측부에 배치된 벽(25b)보다 높이에 있어서 낮다. 수평부(25a)와 롤러 비임(1)과 마주한 측부에 배치된 벽(25b) 사이의 각도(θ1)는 수평부(25a)와 롤러 비임(1)의 측부에 배치된 벽(25b) 사이의 각도(θ2) 보다 작다.
그러므로, 구성된 운반 수단에서, 스크래퍼(53)는 모터(45)가 구동됨으로써 벨트(40)와 함께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을 따라서 이동된다. 스크래퍼(53)는 스크래퍼(53)가 기어 단부측으로부터 외부 단부측으로 또는 외부 단부측으로부터 기어 단부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관계없이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을 따라서 이동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에 쌓인 섬유(F) 등은 먼저 기어 단부측을 향하여 운반되어, 기어 단부측에서 U 턴되어, 먼지 박스(43)에서 회수되는 외부 단부측을 향하여 운반된다.
스크래퍼(53)가 외부 단부측에서 U 턴되었을 때, 스크래퍼(53)의 선단은 스터드(48)와 간섭되고(도 10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53)가 가요성이기 때문에 굽혀져 스터드(48)의 외부 원주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된다. 섬유(F) 등이 먼지 박스(43)로 회수되도록 스크래퍼(53)에 의하여 외부 단부측으로 운반된 후에, 스크래퍼(53)는 스터드(48)와 슬라이딩 접촉된다.
일반적으로, 방적 공장은 소위 방적 기계 프레임을 따라서 주행하는 동안 공기류로 청소를 수행하는 주행 청소기가 구비된다. 주행 청소기로부터의 공기류는 도 8에서 점선(X)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5) 상으로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충돌한다. 롤러 비임(1)과 마주한 측부에 배치된 벽(25b)이 점선으로 도시된 것만큼 높으면, 공기류는 점선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벽(25b)에 의하여 상향으로 향하여서,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에 쌓인 섬유 폐기물의 일부는 공기류와 함께 벽(25b)을 따라서 위로 불려지고, 섬유 폐기물은 궁극적으로 바로 위에 배치된 조각(S)에 감길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롤러 비임(1)과 마주한 측부에 배치된 벽(25b)이 낮으면, 공기류는 실선(Y)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프레임의 후방을 향하여 벽(25b)의 상단부를 교차하여 전진하도록 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a) 내지 (d), (g) 내지 (j) 효과에 추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l) 구동 풀리(32)가 별도의 모터(45)에 의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구동 풀리(32)가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하여 조방 장치의 드래프트 장치(2)의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장치와 비교하여 구조가 간단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섬유(F)가 동력 전달 수단에 감길 가능성이 없으며, 그러므로 청소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조방 장치가 작동되지 않을 때조차도, 벨트(40)는 섬유(F) 등을 회수하도록 주행될 수 있으며, 유지 작업이 가능하다.
(m) 벨트(40)가 그 폭 방향이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주행하기 때문에, 섬유(F) 등은 벨트(40)에 거의 쌓이지 않는다.
(n) 출력축(45a)이 수평으로 연장하는 모터(45)의 배열은 가이드 레일(25)과 모터(45)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노치의 형성을 필요로 하고, 장착 작업 문제를 만든다. 그러나, 출력축(45a)이 수평으로 연장하는 모터(45)의 배열은 노치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o) 섬유(F) 등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벽(25b)의 상단부가 롤러 비임(1)의 상부면보다 낮기 때문에, 섬유 폐기물이 조각(S)으로 감겨지도록 불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행 청소기로부터의 공기류에 의한 악영향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이 실시예와 제 1 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구동 풀리(32)가 운반 수단의 구동원으로서 작용하는 별도의 모터(45)에 의하여 구동된다는 것과, 섬유(F)등이 가이드 레일(25)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벽(25b)의 상단부가 롤러 비임(1)의 측부에 배치된 벽(25b) 보다 높이에 있어서 높다는 것이다. 이 실시예와 제 1 실시예의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품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하여 인용되며, 그래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가이드 레일(25)의 구성은 제 2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운반 수단의 기어 단부측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비임(1)과 마주한 측부에 배치된 벽(25b)은 롤러 비임(1)의 측부에 배치된 벽(25b)보다 높이에 있어서 낮다. 수평부(25a)와 롤러 비임(1)과 마주한 측부에 배치된 벽(25b) 사이의 각도(θ1)는 수평부(25a)와 롤러 비임(1)의 측부에 배치된 벽(25b) 사이의 각도(θ2)보다 작다.
도 13은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제 3 실시예의 기어 단부측의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5)는 가이드 레일(25)의 기어 단부측 단부 부분에 배열되어서, 모터(45)는 가이드 레일(25)에 형성된 노치(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한다. 모터(45)의 출력축(45a)은 수평으로 연장한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과 유사한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기어 단부측의 평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5)는 지지 브라켓(55)을 통하여 기어 단부측의 프레임(46)에 고정된 브라켓(54)에 지지된다. 지지 브라켓(55)은 모터(45)가 삽입되는 구멍(55a)과 볼트(56)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이 구비된다. 모터(45)는 4개의 볼트(56)의 도움으로 지지 브라켓(55)에 고정된다. 구동 풀리(32)는 모터(45)의 출력축(45a)에 고정된다. 외부 단부측에서, 종동 풀리(39)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지지축에 의하여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벨트(40)는 풀리(32,39)들 사이에서 현수되며, 스크래퍼(41)들은 벨트(40) 상에 고정된다. 도 12 및 도 13에서, 브라켓(54)과 지지 브라켓(55)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이 실시예에서, 스크래퍼(41)의 작용에 의한 섬유(F) 등의 운반 작업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a) 내지 (j)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5)의 구성이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동 풀리(32)는 별도의 모터(45)에 의하여 구동되며, 이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l) 내지 (o)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는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상기된 각각의 실시예로부터 이 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이 실시예가 가이드 레일(25)의 벽(25b)뿐만 아니라 롤러 스탠드(3)보다 가이드 레일(25)에 보다 밀접한 롤러 비임(1)이 일부분에 쌓인 섬유 등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스크래핑 부재(57)는 벽(25b)의 상단부까지 완전히 벽(25b)과 접촉되는 벨트(40) 상에 장착되고, 이는 제 3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하여 인용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5A는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단면도이며, 벨트(40) 상에 장착된 스크래핑 부재(57)가 기어 단부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5B는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되고, 스크래핑 부재(57)가 외부 단부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5A 및 도 15B에서, 종동 풀리(39), 스크래퍼(41), 지지 브라켓(50a) 등에 대한 도시는 생략되었다. 풀리 스크래핑 부재(57)는 어태치먼트(58)의 도움으로 벨트(40)의 표면측에 장착된다. 도 16은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평면도이며, 벨트 상에 스크래핑 부재의 장착을 도시하며, 도 17은 부품들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도 16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핑 부재(57)는 벨트(40)와 벨트(40)에 직각으로 연장하도록 벨트(40)에 고정된 어태치먼트(58) 사이에 형성된 끼움공(59)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하나의 스크래핑 부재(57)가 2개의 인접한 스크래퍼(41) 사이의 중간 지점에 배치되도록, 스크래퍼(41)와 동일한 수의 스크래핑 부재(57)들이 제공된다.
스크래퍼(41)에 대한 고정 거리가 대략 6mm이기 때문에, 벨트(40)의 느슨함은 스크래핑 부재(57)가 하부 부분(25a)의 근방에서 하부 부분(25a)을 따라서 이동될 때, 즉 스크래핑 부재(57)가 외부 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될 때, 어태치먼트(58)가 도 15B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25a)와 접촉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크래퍼(41)가 하부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로서 작용하는데 반하여, 스크래핑 부재(57)는 벽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로서 작용한다. 스크래핑 부재(57)는 또한 하부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스크래핑 부재(57)는 변형될 수 있도록 가요성 물질로 형성되어서, 스크래핑 부재(57)는 스크래핑 부재(57)가 외부 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될 때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 및 양쪽 벽(25b)을 따라서 연장되는 데 반하여, 스크래핑 부재(57)가 기어 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될 때, 스크래핑 부재(57)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비임(1)의 상부면과 접촉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크래핑 부재(57)는 벨트(40)와 동일한 물질(예를 들어, 폴리우레탄)로 만들어진다. 스크래핑 부재(57)는 구동 풀리(32)와 종동 풀리(39)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55)의 간섭으로 쉽게 변형되어, 스크래핑 부재(57)가 이들 구성품을 통과한 후에 쉽게 복귀되는 정도의 가요성을 가진다. 스크래핑 부재(57)의 적절한 폭은 물질 및 두께에 좌우되고, 폴리우레탄의 경우에 1 내지 4mm 두께이며, 폭은 10 내지 20mm에서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이 실시예에서, 스크래핑 부재(57)는 15mm의 폭을 가지며, 벨트(40)와 동일한 폭이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핑 부재(57)는 스크래핑 부재(57)가 외부 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되었을 때, 각 단부가 대응하는 벽(25b)의 상단부에 도달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이 실시예의 스크래퍼(41)는 제 3 실시예의 스크래퍼와 유사하게 작용한다. 스크래핑 부재(57)는 벽(25b)에 쌓인 섬유 폐기물, 먼지, 조각 등을 벗기도록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벽(25b)과 접촉하면서 외부 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스크래핑 부재(57)의 이동과정 동안, 섬유 등의 일부는 하부 부분(25a)으로 낙하되고, 나머지는 먼지 박스(43)로 회수되도록 외부 단부측으로 운반된다.
한편,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핑 부재(57)는 한 쪽 단부가 가이드 레일(25)에 밀접한 롤러 비임(1)의 일부분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반면에, 다른 쪽 단부는 롤러 비임(1)과 마주한 측부에 배치된 벽(25b)의 정점(상단부)과 접촉되는 방식으로 기어 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일반적으로, 흡기 노즐(24a)로부터의 공기류와 주행 청소기로부터의 공기류는 롤러 비임(1)의 상부면에 섬유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지만, 이러한 공기류는 롤러 스탠드(3) 뒤 부분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그러므로, 섬유 등은 그 부분에 쌓일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스크래핑 부재(57)가 기어 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될 때, 스크래핑 부재(57)는 롤러 스탠드(3) 뒤 부분으로부터 상기된 공기류가 영향을 줄 수 있는 영역으로 섬유 등을 운반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공기류의 작용에 의하여, 섬유 등은 가이드 레일(25)로 낙하한다.
스크래핑 부재(57)의 이동 방향이 기어 단부측 또는 외부 단부측에서 변경될 때, 스크래핑 부재(57)는 구동 풀리(32) 또는 종동 풀리(39)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55)과 간섭하는 위치 위를 통과하여야만 한다. 이 때, 스크래핑 부재(57)는 스크래핑 부재(57)가 지지 브라켓(55) 등과 가이드 레일(25) 사이의 공간 틈새를 통과하는 형상으로 변형되어, 통과 후에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결과적으로, 상기된 작업이 반복된다.
이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효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p)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에 쌓인 섬유 등뿐만 아니라 벽 및 가이드 레일(25)의 정점 부분 및 롤러 스탠드(3) 뒤의 롤러 비임(1)의 부분에 쌓인 섬유 등을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q) 스크래핑 부재(57)가 어태치먼트(58)와 벨트(40) 사이에 스크래핑 부재(57)를 끼워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벨트(40)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이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가이드 레일(25)의 벽(25b)에 쌓인(축적된) 섬유 등에 대한 청소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제 5 실시예는 스크래핑 부재(60)가 벽의 상단부와 접촉되도록 벽(25b)들중 가장 높은 것을 따라서 벨트(40) 상에 장착되도록 배열되며, 이는 제 2 실시예와 다르다.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하여 인용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 실시예의 스크래핑 부재(60)는 제 4 실시예의 스크래핑 부재(57)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다. 스크래핑 부재(60)는 어태치먼트(61)에 의하여 벨트(40) 상에 장착된다. 도 20은 벨트 상에 스크래핑 부재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61)는 어태치먼트(61)와 벨트(40) 사이에 끼움공(62)을 한정하는 형상을 가지며, 벨트(40)에 고정되어서, 끼움공(62)은 벨트(40)의 폭 방향으로 연장한다. 끼움공(62)은 벨트(40)의 폭 보다 작다. 스크래핑 부재(60)는 그 한 쪽 단부에 어태치먼트(61)와 접합하는 장착부(60a)를 가진다. 장착부(60a)는 폭에 있어서 끼움공(62)보다 약간 작으며, 장착부(60a)의 선단은 제거 방지부(60b) 내로 형성되며, 장착부(60a)는 제거 방지부(60b)에 의하여 큰 힘으로 강제적으로 당겨지지 않으면, 끼움공(62)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스크래핑 부재(60)의 적절한 폭은 물질과 두께에 좌우되고, 이 실시예에서, 폭은 벨트(40)의 폭보다 약간 크도록 선택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핑 부재(60)는 장착부(60a)에 인접한 스크래핑 부재(60)의 일부가 굽혀지는 방식으로 벨트(40) 상에 장착된다. 스크래핑 부재(60)는 스크래핑 부재(60)가 벽을 따라서 연장될 때 롤러 비임(1) 측부의 벽(25b)의 상단부까지 연장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스크래퍼(54)는 하부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로서 작용하는데 반하여, 스크래핑 부재(60)는 벽 청소용 부재로서 작용한다.
이 실시예의 스크래퍼(53)는 제 2 실시예의 스크래퍼와 유사하게 작용한다. 스크래핑 부재(6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비임(1)의 벽(25b)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면서 외부 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되어서, 스크래핑 부재(60)는 벽(25b)에 쌓인 섬유, 먼지, 조각 등(섬유 등)을 벗긴다. 스크래핑 부재(60)의 이동 과정 동안, 섬유 등의 일부는 하부 부분(25a)으로 낙하하고, 나머지는 외부 단부측으로 운반되어, 먼지 박스(43)에서 회수된다.
한편, 스크래핑 부재(60)는 도 19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비임(1)과 마주한 측부에 배치된 벽(25b)과 접촉하면서 기어 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스크래핑 부재(60)의 이러한 움직임에 의하여, 섬유 등은 섬유 등이 스크래핑 부재(60)의 역적으로 인하여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으로 낙하하는 기어 단부측으로 벽(25b)을 따라서 운반된다. 그런 다음, 섬유 등은 스크래퍼(53)에 의하여 먼지 박스(43)에 회수되도록 외부 단부측으로 운반된다.
이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r)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에 쌓인 섬유 등뿐만 아니라 가이드 레일(25)의 벽(25b)에 쌓인 섬유등을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s) 스크래핑 부재(60)는 어태치먼트(61)와 벨트(40) 사이에 스크래핑 부재를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하게 벨트(4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체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t) 스크래핑 부재(60)가 롤러 비임(1) 측부를 따라서 이동될 때, 스크래핑 부재(60)는 롤러 비임(1)의 상부 및 후면과 접촉되는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롤러 스탠드(3) 뒤의 롤러 비임(1)에 쌓인 섬유 등을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6 실시예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조방기의 청소장치는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이 실시예와 제 1 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가이드 플레이트(13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 청소용 피대(6), 스크래퍼(9) 등으로 구성된 하부 롤러 청소용 기구의 하부 부분에 장착된다는 것이다.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인용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21은 가이드 플레이트(130)가 하부 롤러 청소용 기구의 하부 부분에 장착되는 조방 장치의 일반적인 배열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배열을 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3은 스크래퍼, 압축 부재 및 가이드 플레이트의 배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가이드 레일(25)로 벗겨진 섬유들을 가이드하도록 드래프트 장치(2)의 하부 부분에 제공된다.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그 상부 부분이 스크래퍼(9) 바로 아래의 스크래퍼(9)의 이동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하는데 반하여, 그 하부 부분이 가이드 레일(25)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하향 연장하도록 굽혀진다.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하단부가 롤러 비임(1)의 후방 단부(도 21에서 우측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도달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하단부 및 롤러 비임(1)의 상부면은 협응하여 틈새(ΔD)를 한정하며, 이러한 틈새는 롤러 비임(1)의 상부면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25)로 송풍되는 공기류를 매끄럽게 한다. 틈새(ΔD)는 10-20mm의 범위에서 설정되고, 바람직하게 20-50mm의 범위에서 설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틈새(ΔD)는 대략 30mm로 설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스크래퍼(9)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그 상단부에 훅(131)들이 형성된다. 각 훅(131)의 말단부는 스크래퍼(9)와 압축 부재(21)의 총량에 대응하는 거리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30)로부터 떨어져 위치된 굽힘부를 제공하도록 직각으로 굽혀진다. 훅(131)들은 사전 결정된 경사로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지지하여 위치시키도록 스크래퍼(9)와 압축 부재(21)를 통하여 형성되는 접합공(9d)에 걸려 결합된다.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그 하단부가 스크래퍼(9)의 후향 이동(도 21에서 좌향 이동)의 종료로 롤러 비임(1)의 후방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덧붙여, 노치(130a)가 지지체(10)와 간섭을 방지하도록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상부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하부 청소용 피대(6)에 부착된 섬유들은 스크래퍼(9)에 의하여 벗겨져, 하부 청소용 피대(6)와 압축 부재(21) 사이에 쌓인다. 하부 청소용 피대(6)와 지지체(10) 사이의 상이한 이동은 벗겨진 섬유가 벌레 형태의 섬유 덩어리로 압축되도록 한다.
벌레 형태의 섬유 덩어리는 압축 부재(21)의 말단부로부터 이탈되어, 가이드 플레이트(130)로 낙하하고, 가이드 레일(25)을 향하여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따라서 이동되어, 가이드 레일(25) 상으로 낙하된다. 가이드 레일(25)로 낙하된 섬유 덩어리는 벽(25b)을 따라서 이동되어, 하부 부분(25a)에 쌓인다.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하단부는 스크래퍼(9)가 맨 나중의 위치에 있을 때 롤러 비임(1)의 후방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고, 스크래퍼(9)가 맨 처음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레일(25) 바로 위에 위치된다. 따라서, 어떠한 섬유 덩어리도 가이드 레일(25)로 낙하되도록 가이드 플레이트(130)에 의하여 하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존재는 공기류가 분산없이 플라이어 레일(22)의 전방 단부로부터 롤러 비임의 후방으로 송풍되도록 한다. 드래프트 장치(2)에 의하여 발생되어 플라이어 레일(22)과 롤러 비임(1)의 상부면들에 낙하된 섬유들은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에 쌓이도록 가이드 레일(25)로 공기류에 의하여 운반될 수 있다.
제 6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u) 가이드 플레이트(130)가 롤러 비임(1)의 후방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연장하기 때문에,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은 롤러 비임(1)의 후방을 향하여 송풍되는 공기류의 존재 또는 부재에 관계없이 롤러 비임(1)의 후방을 향하여 위치된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으로 확실하게 가이드된다.
(v) 롤러 비임(1)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25)로 공기류가 매끄럽게 흐르도록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하단부와 롤러 비임(1)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ΔD)가 존재하는 것에 의하여, 흡기 노즐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류는 실질적인 분산없이 가이드 레일(25)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섬유(F) 등에 대한 운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플라이어 레일(22) 및 롤러 비임(1)의 상부면들로 낙하하는 섬유 폐기물은 높은 효율로 가이드 레일(25)로 운반될 수 있다. 동일한 운반 성능이 흡기 노즐로부터의 공기류의 흐름이 감소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w)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이 벌레 형태의 섬유 덩어리로 형성되는 배열 대신에, 하부 청소용 피대(6)에 대한 청소부가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이 스트립 형태로 현수되도록 배열되는 경우에,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존재는 현수된 섬유들이 흡기 노즐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류의 이점에 의하여 송풍되는 경우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x) 가이드 플레이트(130)가 스크래퍼(9)와 함께 왕복하기 때문에,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왕복에 의하여 야기되는 진동은 가이드 플레이트(130)로 낙하된 섬유들의 하강 운동을 용이하게 한다.
(y) 스크래퍼(9)에 의하여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은 압축 부재(21)의 작용에 의하여 벌레 형태의 섬유 덩어리(F)로 압축된 후에 낙하한다. 그러므로, 가이드 레일(130)로 낙하된 섬유 덩어리(F)는 스트립 형태로 절단된 섬유와 비교하여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아래로 이동된다.
상기된 실시예들은 상기된 특정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ⅰ)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41,53)와 결합될 수 있는 브러쉬(63)가 노치(42)가 가이드 레일(25)에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크래퍼(41)가 운반된 섬유(F)등을 분리한 후에, 스크래퍼(41)는 스크래퍼(41)가 브러쉬(63)와 접촉되는 위치를 통과한다. 그러므로, 섬유 폐기물이 스크래퍼(41)에 부분적으로 부착되어 남아있을지라도, 브러쉬(63)와의 접촉은 부착된 섬유 폐기물을 스크래퍼(41)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스크래퍼(41)와 가이드 레일(25) 사이에 남아 있는 섬유 폐기물에 의하여 유발되는 마찰 저항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과잉의 전력 소모를 피할 수 있다.
(ⅱ) 스크래퍼(41)가 벨트(40)에 고정되는 배열대신에,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변에 일전 간격의 돌출부(64a)가 형성되는 무한 벨트(64)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각각의 돌출부(64a)는 스크래퍼로서 사용된다. 벨트(40) 상에 스크래퍼(41)들을 장착하도록 단계의 수는 필요하지 않고, 이러한 것에 의하여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이러한 벨트(64)의 사용과 조합하여, 스크래핑 부재(57)는 사전 결정된 간격으로 벨트(64)에 장착될 수도 있다.
(ⅲ) 가이드 레일(25)의 구성은 하부 부분(25a)을 향하여 테이퍼진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 레일(25)이 섬유들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롤러 비임(1)과 마주한 측부에 위치된 벽(25b)을 가지는 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5)은 L자 형상으로 간단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가이드 레일(25)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의 가이드 레일(25)과 비교하여 감소된 제조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제조 비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다. 더욱이, 동일한 이점이 L자 형상의 가이드 레일(25)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 레일(25)은 벽(25b, 섬유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의 높이가 주행 청소기로부터의 공기류에 의하여 야기되는 악영향을 제거하도록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비임(1)의 상부면보다 낮게 만들어진다. 가이드 레일(25)은 수평인 하부 부분(25a)을 가지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V 형상 또는 예각 단면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ⅳ) 일본국 특허 공개 평 1-26277호에 개시된 장치에서와 같이, 먼지 박스(43)에 축적된 섬유(F) 등이 작업자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회수되는 배열대신에, 먼지 박스의 저부는 면 축적 박스에 연결된 흡인 덕트와 소통될 수도 있으며, 개폐 밸브가 먼지 박스의 중간 지점에 제공될 수도 있다. 개폐 밸브는 먼지 박스 내에서 통상적으로 흡인 덕트의 부압이 섬유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폐쇄되며, 개폐 밸브는 먼지 박스 내에서 흡인 덕트의 부압을 섬유에 적용할 필요성이 있을 때 개방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섬유 등이 먼지 박스 내에 일정한 정도 회수되었을 때, 개폐 밸브는 먼지 박스 내에서 섬유에 흡인 덕트의 진공 효과를 적용하도록 일정 시간 동안 개방되며, 이러한 것에 의하여, 섬유 등은 자동적으로 먼지 박스로부터 회수된다.
(ⅴ) 스크래퍼(41,53)들의 사용없이, 벨트 컨베이어가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으로 가이드된 섬유(F) 등을 가이드 레일(25)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25)의 단부로 운반하기 위한 운반 수단으로서 가이드 레일의 하부 부분을 따라서 연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면이 가이드 레일(25)의 하부로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벽(25b)들은 가이드 레일(25)의 수평부의 준비없이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서 연장될 수도 있다.
(ⅵ) 일본국 특허 공개 평 9-95830호에 개시된 장치는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을 벌레 형태의 섬유 덩어리로 형성하기에 적합할 수도 있다.
(ⅶ)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드래프트 장치(2)의 하부 롤러(후방 하부 롤러)는 하부 청소용 피대(6)에 대한 청소부의 구동원(구동축(12))의 사용없이 구동 풀리(3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ⅷ) 하부 청소용 피대(6)에 의하여 하부 롤러(4)로부터 제거된 섬유들은 스크래퍼(9)에 의하여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벗겨지는 장치대신에, 하부 롤러 청소기로서, 각 하부 롤러의 하부 위치와 접촉될 수 있는 스크래처(scratcher)가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 63-106776호에 개시된 장치에서와 같이 구동 장치를 통하여 이동될 수도 있다.
(ⅸ) 롤러 스탠드(3)가 서있는 평면 부분을 가지는 롤러 비임(1) 대신에, 롤러 비임(1)은 다수의(예를 들어 2개) 원통형 파이프 또는 로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롤러 스탠드(3)는 롤러 비임(1)이 롤러 스탠드(3)와 클램프 부재 사이에서 유지되는 상태하에서 장착된다. 이러한 경우에, 가이드 플레이트는 플라이어 레일(22)과 가이드 레일(25) 사이에서 요구된다.
(ⅹ) 본 발명의 제 4 또는 제 5 실시예에서, 스크래핑 부재(57 또는 60)는 어태치먼트(58 또는 61)의 사용없이 벨트(40) 상에 접착제 도는 스크루로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조 비용이 어태치먼트가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게 될 수 있다.
(ⅹⅰ)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 단지 스크래핑 부재(57) 만이 스크래퍼(41)의 사용없이 벨트(40)에 장착하는데 필요하였다. 이러한 경우에, 필요한 부품의 종류가 감소될 수 있으며, 문제가 있는 장착 작업이 감소될 수 있다.
(ⅹⅰⅰ) 이로부터 공기류가 플라이어 레일(22)을 따라서 롤러 비임(1)의 후방으로 송풍되는 플라이어 레일(22)의 전방 단부에 흡기 노즐(24)의 준비 없이, 방적기 프레임 상에 장착된 주행 청소기로부터의 공기류는 섬유 등을 가이드 레일(25)로 운반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ⅹⅰⅰⅰ)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스크래퍼(9)와 가이드 플레이트(130)가 일체로 이동되도록 제공되는 배열대신에, 사전 결정된 위치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ⅹⅳ) 압축 부재(21)는 스크래퍼(9)와 함께 가동하도록 제공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전 결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140a)이 하부 청소용 피대(6)에 대한 가이드 부재(6a)를 지지하는 지지 비임(140) 상에 돌출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으며, 평면형 압축 부재(21)가 지지편(140a)에 고정된다. 압축 부재(21)는 압축 부재(21)가 스크래퍼(9)로부터 멀리 위치됨에 따라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의 틈새가 보다 좁게 만들어지도록 바람직하게 고정된다. 압축 부재(21)는 예를들어 나이론 또는 스프링강과 같은 가요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벗겨진 섬유등이 일정 정도까지 압축 부재(21)에 쌓인 후에, 섬유 등은 벌레 형태의 섬유 덩어리(F)를 형성하도록 스크래퍼(9)의 작용으로 압축되면서 비틀리게 된다.
(ⅹⅴ) 스크래퍼(9)를 지지하는 지지체(10)는 핀(11)을 통하여 가늘고 긴 구멍(8a)을 가지는 브라켓(8)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배열 대신에, 지지 로드(142)는 지지 비임(140)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 브라켓(141)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지지체(10)의 선단 측부는 스크래퍼(9)의 고정부의 전방을 향하여 신장되며, 신장된 부분(10c)은 지지 로드(142)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링크(150)의 스윙과 관련하여, 지지체(10)의 신장된 부분(10c)은 지지 로드(142) 상에서 슬라이딩된다.
(ⅹⅵ) 구멍이 섬유 덩어리(F)를 수용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일부분 위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장치 프레임을 따라서 이동되는 주행 청소기가 빠져나가면, 주행 청소기로부터의 공기류는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상부면을 따라서 송풍되도록 구멍을 통과한다. 결과적으로, 공기류는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따른 섬유 덩어리(F)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섬유 덩어리(F)가 가이드 플레이트(130)에 보유될지라도, 공기류는 그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섬유 덩어리(F)를 밀어서, 섬유 덩어리(F)를 가이드 레일(25)로 보다 매끄럽게 가이드한다.
(ⅹⅶ)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제거에 의하여 장치 프레임의 후면측으로부터 유지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도록 가이드 플레이트(130)가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배열 대신에,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회전 위치와 비회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유지 작업이 수행되도록 가이드 플레이트의 제거없이 간단히 회전된다.
(ⅹⅷ) 섬유 덩어리(F)를 형성하는 압축 부재(21)의 사용없이,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은 하부 청소용 피대(6)로부터 스트립 형태로 간단하게 현수될 수도 있다.
(ⅹⅰⅹ) 스크래퍼(9)는 전후로 이동하기보다는 오히려 사전 결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ⅹⅹ) 스크래퍼(9)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래퍼(9)의 스크래핑 부분은 톱날 또는 평면의 블레이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스크래퍼(9) 자체를 L 자 형상의 압축 부재(21)의 상부면에 고정되도록 평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된 실시예 및 변경예에서 볼 수 있었던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다음의 효과와 연결되어 기술된다.
(1)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 하부 부분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와 벽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들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스크래핑 부재들이 분리되어 제공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필요한 종류의 부품들이 감소되고 장착 작업 문제가 감축될 수 있다.
2) 제 1 내지 제 9 양태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부 청소용 부분은 하부 청소용 피대의 주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스크래핑 부재, 스크래핑 부재에 의하여 하부 청소용 피대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을 스크래핑 부재 또는 하부 청소용 피대와 협응하여 압축하기 위한 압축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하부 청소용 피대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은 압축되어, 긴 스트립 형태로 현수되지 않고 낙하하도록 벌레 형태의 섬유 덩어리로 형성된다. 섬유 덩어리의 이러한 형태는 스트립형 섬유와 비교하여 롤러 비임을 따른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3)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양태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이드 플레이트는 섬유 수용부 위에 배치되는 구멍을 가진다. 이러한 경우에, 조방 장치의 프레임을 따라서 이동하는 주행 청소기가 제공되면, 주행 청소기로부터의 공기류는 부분적으로 구멍을 통과하여, 섬유 운반 수단을 향하여 가이드 플레이트 상의 섬유들을 보다 매끄럽게 가이드한다.
(4)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양태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단부와 롤러 비임의 상부면 사이의 거리는 10 내지 50mm의 범위에서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롤러 비임의 후방을 향하여 플라이어 레일에 형성된 에어 송풍 부분으로부터의 공기류는 섬유 폐기물을 섬유 운반 수단으로 효과적으로 운반할 수 있으며, 섬유 폐기물은 플라이어 레일과 롤러 비임의 상부면들에 쌓이는 경향이 있다.
덧붙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섬유 등”이라는 용어는 플라이어 레일 및 롤러 비임에 쌓이는 드래프트 장치로부터 발생된 섬유, 하부 청소용 피대로부터 벗겨진 먼지, 조각 및 섬유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현재 가장 최적의 모드로 믿어지는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경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 및 변경예의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추가의 실시예 및 변경예들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명백하게 실현될 수 있다.

Claims (12)

  1. 드래프트 장치(2)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롤러(4)를 청소하기 위한 하부 롤러 청소장치(6,9)를 포함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에 있어서, 장치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드래프트 장치를 지지하는 롤러 비임(1)의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롤러 비임의 상부면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 부분(25a) 및 섬유(F)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부분에 대하여 상기 롤러 비임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벽(25b)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25)과; 상기 가이드 레일(25)의하부 부분으로 가이드된 섬유들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결합부와 함께 상기 가이드 레일의 단부로 운반하기 위한 운반수단(32,39~41)과; 장치 프레임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운반수단에 의하여 상기 장치프레임으로 운반된 섬유(F)들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43)를 포함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섬유들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벽(25b)의 상단부는 롤러 비임(1)의 상부면보다 낮은 조방기의 청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25)의 폭은 하부 부분(25a)을 향하여 감소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수단은 가이드 레일(25) 바로 위에서 연장되며, 방적기 프레임의 제1 및 제2단부들에 각각 제공된 구동 및 종동풀리(32,39)들 사이에서 현수되는 무한 벨트(40)와; 상기 무한 벨트보다 큰 폭을 가지고 무한 벨트와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무한 벨트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에 쌓인 섬유(F)들을 상기 가이드 레일의 단부로 운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크래핑 부재를 포함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래핑 부재는 가이드 레일(25)의 하부 부분(25a)상에 쌓인 섬유(F)들을 가이드 레일의 상기 단부로 운반하기 위한 하부 부분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41,53)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벽(25b)에 쌓인 섬유(F)들을 가이드 레일(25)의 단부를 향하여 운반하기 위한 벽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57,60)를 포함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벽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57,60)는 가용성 물질로 만들어지며, 하부 부분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41,53)는 벽 청소용 스크래핑 부재를 만드는 물질보다 강성이 큰 물질로 만들어지는 조방기의 청소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풀리(32)는 상기 운반수단을 위한 구동원으로서 제공되는 모터(45)에 의하여 구동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및 종동 풀리(32,39)를 위한 각각의 지지축(45a)은 수평으로 제공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
  9.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및 종동풀리(32,39)를 위한 각각의 지지축(45a)은 수직으로 제공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롤러 청소 기구(6,9) 아래에 위치되며, 하부 롤러(4)로부터 제거되어 낙하되는 섬유(F)를 가이드 레일(25)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25)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진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하단부는 롤러 비임(1)의 후방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하단부 및 상기 롤러 비임(1)의 상부면은 가이드 레일(25)을 향하여 롤러 비임의 상부면을 따라서 송풍되는 공기류를 매끄럽게 하기 틈새(△D)를 한정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롤러 청소기구는 구동 수단(10,13)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부 롤러(4)의 축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왕복하는 스크래핑 부재(9)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상기 스크래핑 부재(9)와 함께 이동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하부 롤러 청소 기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롤러(4)와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주행하는 하부 청소용 피대(6)와; 상기 하부 청소용 피대에 접착된 섬유(F)들을 벗기기 위하여 상기 하부 청소용 피대(6)의 외주변과 접촉한 상태에서 주행하여 왕복하는 스크래핑부재(9)와; 상기 스크래핑 부재와 하부 청소용 피대들 중, 적어도 하나와 협응하여, 상기 스크래핑 부재가 선단을 향하여 이동됨으로써, 스크래핑 부재에 의하여 하부 청소용 피대로부터 벗겨진 섬유들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 부재(21)를 포함하는 조방기의 청소장치.
KR1019980036563A 1997-09-05 1998-09-04 조방기의청소장치 KR100294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41378 1997-09-05
JP97-241377 1997-09-05
JP24137797 1997-09-05
JP24137897A JPH1181059A (ja) 1997-09-05 1997-09-05 粗紡機における清掃装置
JP1997-241378 1997-09-05
JP27293097A JP3489413B2 (ja) 1997-09-05 1997-10-06 粗紡機の清掃装置
JP97-272930 1997-10-06
JP1997-272930 1997-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557A KR19990029557A (ko) 1999-04-26
KR100294737B1 true KR100294737B1 (ko) 2001-11-22

Family

ID=27332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563A KR100294737B1 (ko) 1997-09-05 1998-09-04 조방기의청소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82088A (ko)
EP (1) EP0900864B1 (ko)
KR (1) KR100294737B1 (ko)
DE (1) DE69813419T2 (ko)
TW (1) TW4049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681B1 (ko) * 1997-09-20 2005-01-17 주식회사 휴비스 고뎃롤러의 자동세정 기능을 가진 용융방사기
CN101845694B (zh) * 2010-04-27 2011-12-28 青岛环球集团股份有限公司 粗纱机集棉装置
US9051126B2 (en) * 2010-10-12 2015-06-09 Novae Corporation Toothed belt drive system for augers
JP2013067871A (ja) * 2011-09-20 2013-04-18 Murata Mach Ltd ドラフト装置及び紡績機
CN105442117A (zh) * 2016-01-06 2016-03-30 无锡宏源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粗纱机集中除棉装置
CN117163709B (zh) * 2023-11-03 2024-01-19 常州虹纬纺织有限公司 一种无纺布卷绕输送系统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52180A (en) * 1915-08-16 1918-01-01 Gus F Roberts Cleaner for spinning-machines.
DE1510216A1 (de) * 1963-12-12 1969-08-21 Schuessler Geb Jaross Vorrichtung zum Reinigen der Walzen von Streckwerken an Spinnereimaschinen
DE2356180C2 (de) * 1973-11-09 1984-02-02 Stahlecker, Fritz, 7347 Bad Überkingen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Verunreinigungen aus Fasermaterial
DE2634770B2 (de) * 1976-08-03 1979-12-13 Schubert & Salzer Maschinenfabrik Ag, 8070 Ingolstadt Vorrichtung zum Abführen von Verunreinigungen bei einer OE-Spinnmaschine mit mehreren Spinnstellen
DE2658752C2 (de) * 1976-12-24 1986-09-18 Fritz 7347 Bad Überkingen Stahlecker Offenend-Spinnmaschine mit Mitteln zum Aufnehmen und Abführen abgeschiedener Verunreinigungen
JPS5842459Y2 (ja) * 1979-12-03 1983-09-26 吉雄 村尾 ドラフトロ−ラの上部に配置するクリヤラ−装置
JPS5813727A (ja) * 1981-07-16 1983-01-26 Toyobo Co Ltd 粗紡機の掃除装置
JPH0833701B2 (ja) * 1986-10-24 1996-03-2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クリ−ニングカセツト
JPH0762288B2 (ja) * 1987-07-07 1995-07-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紡機における集塵綿の処理装置
JPH01142474A (ja) * 1987-11-30 1989-06-05 Hitachi Chem Co Ltd カーボンブラシの性能評価法
JP2558806B2 (ja) * 1988-04-18 1996-11-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紡機のダスト処理方法
JPH0995830A (ja) * 1995-07-21 1997-04-0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紡機におけるクリヤラクロスの清掃装置
US5901543A (en) * 1997-11-20 1999-05-11 Anthony; Phillip K. Independently controlled-brush motor for open-end spinning machin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82088A (en) 2000-07-04
EP0900864B1 (en) 2003-04-16
TW404992B (en) 2000-09-11
EP0900864A2 (en) 1999-03-10
DE69813419T2 (de) 2003-12-24
KR19990029557A (ko) 1999-04-26
EP0900864A3 (en) 2000-02-23
DE69813419D1 (de)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8812A (en) Open-end spinning machine having spinning units with removal opening for impurities
US3924397A (en)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fibrous material
KR100294737B1 (ko) 조방기의청소장치
US45191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extile fiber
US3045274A (en) Traveling suction cleaner for textile mills
CN115404573B (zh) 一种棉纱加工用梳棉机
US4926627A (en) Device to feed and open a fiber sliver on an open-end spinning device
US5732543A (en) Open-end spinning machine for producing cheeses
US4617792A (en) Air flow control arrangement for an open-end friction spinning machine
CN212669911U (zh) 一种细纱机吸棉系统
US4339852A (en) Clearer device for draft rolls
JP3489413B2 (ja) 粗紡機の清掃装置
JPH06108328A (ja) 紡機における集塵綿処理装置
KR100336695B1 (ko) 방진망 청소기가 부착된 공조기
JPH069031Y2 (ja) 粗紡機の清掃装置
US6353972B2 (en) Apparatus for cleaning traveling flat bars of a carding machine
JPH1181059A (ja) 粗紡機における清掃装置
JPS5829183Y2 (ja) 粗紡機におけるロ−ラパ−トならびにフライヤ支持レ−ル上の清掃装置
CN215209782U (zh) 一种多节联动式粗纱机牵伸装置
JPS6328923A (ja) 紡機における清掃装置
JP2541074Y2 (ja) 紡機の風綿堆積防止装置
JP2547994Y2 (ja) ウエブ集束装置
JPH0995830A (ja) 紡機におけるクリヤラクロスの清掃装置
JP2650368B2 (ja) 粗紡機におけるトップクリヤラクロスの清掃装置
JPS5932613Y2 (ja) トツプクリヤラ−の清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