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761B1 -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761B1
KR100289761B1 KR1019940008816A KR19940008816A KR100289761B1 KR 100289761 B1 KR100289761 B1 KR 100289761B1 KR 1019940008816 A KR1019940008816 A KR 1019940008816A KR 19940008816 A KR19940008816 A KR 19940008816A KR 100289761 B1 KR100289761 B1 KR 100289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digital
information data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끼 오구로
겐 이이즈까
히로시 오타
신지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 H04N5/9208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involving the use of sub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5/926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04N5/9268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with insertion of the PCM audio signals in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f the PCM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4Signal drop-out compensation
    • H04N5/945Signal drop-out compensation for signals recorded by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5Time-base error compensation
    • H04N5/956Time-base error compensation by using a digital memory with independent write-in and read-out clock generators

Abstract

디지탈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는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에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는 기록용 데이타 발생 장치, 기록 매체에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기록하는 동작을 하는 기록용 부분, 및 기록용 부분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다수의 기록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하는 제어 장치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는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된 기록 모드에 대응하도록 선택된 코드를 가진 기록 모드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다.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재생하고 재생된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에 응답하여 재생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동작을 한다.

Description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의 실시예에서 실행되는 디지탈 정보 기록 설명에 이용된 도면.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3도, 제4(a)도 내지 제4(d)도, 제5도, 제6(a)도, 제6(b)도, 제7도, 제8도, 제9(a)도, 제9(b)도 및 제10도는 제1도, 제14도, 제15(a)도 내지 제15(c)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이용된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데이타 포맷을 각각 나타낸 도면.
제11도 및 제12도는 제1도 및 제14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이용된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데이타 포맷을 각각 나타낸 도면.
제13(a)도 및 제13(b)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각각의 부분에서 부수적 데이타 발생 부분을 구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기록 모드 데이타 코드 설정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 설명에 이용된 흐름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15(a)도 내지 제15(c)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의 다른 실시예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는 디지탈 정보 기록 재생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제16도 및 제17도는 제15(a)도 내지 제15(c)도에 나타낸 장치에 이용된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데이타 포맷을 각각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 : 동조기 35 : 압축 부호화 장치
37 : 음성 신호 선택 장치 39 : 데이타 부가 장치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얻기 위해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고, 기록 매체에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 데이타를 판독하고, 기록 매체에서 판독한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에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재생하도록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텔레비젼 방송 신호를 구성하는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고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로부터 신호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의 분야에서 다양한 이점이 있는 디지탈 기록 방식을 적용하는 것에 제안되고 있다. 여기서 말한 이점은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기초로 얻어진 화면과 음질의 질이 향상되고 영상 및 음성 신호의 고밀도 기록이 자기 테이프에서 이루어지며 다양한 정보가 영상 및 음성 신호와 함께 자기 테이프에 기록될 수 있다는 점이다. 디지탈 기록 방식이 적용되는 VTR을 통상 디지탈 VTR이라 한다. 이와 같은 디지탈 VTR에서는 텔레비젼 방송 신호를 구성하는 영상 및 음성 신호가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얻기 위해 각각 디지탈화되는데, 이때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발생되어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디지탈 VTR에서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될 때 자기 테이프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공급되는 회전 자기 헤드에 의해 주사가 행해진다. 그리고 통상의 VTR에서 기록하는 같은 방법으로, 자기 테이프가 확장하는 방향과 기울어져 서로 평행되게 확장하는 다수의 기록 트랙이 회전 자기 헤드의 각각의 주사에 의해 자기 테이프에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디지탈 VTR에서 기록을 위해서는 몇몇 데이타 배분 방법이 고려될 수 있고 이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자기 테이프에 형성된 각각의 기록 트랙에 분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데이타 분배 방법의 하나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한 단위 부분을 자기 테이프에 서로 순차적으로 인접해 배열되어 있는 10개의 기록 트랙으로 구성된 기록 트랙군에 기록하는 것이 제안된다. 여기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한 단위 부분은 영상 신호 한 프레임 주기에 대응되는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부분(이하,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이라고 함)과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에 대응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과 그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에 대응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각각의 단위 부분이 상기 방법에서와 같이 자기 테이프에 형성되어 있는 인접한 10개의 기록 트랙으로 구성된 기록 트랙군에 제1도와 같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MT로 나타내지고 화살표(TR)로 표시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자기 테이프는 화살표(HS)로 표시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회전 자기 헤드에 의해 주사가 행해진다. 그 결과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KT)인 기록 트랙군 다수를 구성하는 기록 트랙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기록 영역(AA1, AA2, VA)이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KT)인 기록 트랙군의 각각에 할당된다. 기록 영역(AA1)은 각각의 기록 트랙군의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중 처음 5개 부분에의 시단 부분에 형성되고, 기록 영역(AA2)은 각각의 기록 트랙군의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중 나중 5개 부분에의 시단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기록 영역(VA)은 각각의 기록 트랙군의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중 기록 영역(AA1, AA2)을 형성한 부분과 다른 나머지 부분으로 형성된다.
텔레비젼 방송 신호를 구성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기초로 얻어진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는 기록 모드(이하, 원래 기록 모드라 함)에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은 기록 영역(VA)에 기록되고 그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에 대응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은 기록 영역(AA1, AA2) 둘다 또는 둘중 하나에 기록된다.
그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과 이에 대응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이 기록 영역(VA)와 두 기록 영역(AA1, AA2) 또는 둘중 하나에 각각 기록된 후, 다른 음성 신호로부터의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부가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는 기록 모드(이하, 나중 기록 모드(after recording mode)라 함)에서는, 부가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에 포함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에 부가되어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과 그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에 대응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이 기록 영역(VA)와 두 기록 영역(AA1, AA2) 또는 둘중 하나에 각각 기록된 후, 다른 음성 신호로부터의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부가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을 대신하여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는 모드(이하, 삽입 기록 모드라 함)에서는, 부가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에 포함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가 앞서 기록되었던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을 대신해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다. 또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의 기록에 앞서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는 모드(이하, VOS 기록 모드라 함)에서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에 포함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가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이 기록 영역(VA)에 기록되기 전에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데이타 분배 방법에서는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과 그와 대응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각각의 단위 부분이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으로 구성되는 상기 기록 트랙군에 기록되고, 이 데이타 분배 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탈 VTR에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는 원래 기록 모드, 나중 기록 모드, 삽입 기록 모드 및 VOS 기록 모드중 하나의 모드에서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따라서,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가 그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된 자기 테이프(MT)로부터 재생될 때, 그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자기 테이프(MT)에 기록하는데 이용된 기록 모드를 아는 것은 자기 테이프(MT)로부터 재생된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데 매우 이롭고 편리하다. 따라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될 때 이용된 기록 모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앞서 제안된 디지탈 VTR에서는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가 자기 테이프(MT)로부터 재생될 때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자기 테이프(MT)에 기록하는데 이용된 기록 모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특별한 장치가 제공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MT)로부터 재생된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기록 모드에 적합한 방법에서 알맞게 처리하기 위하여 복잡한 방법이 이용된다.
또한, 데이타 분배 방법에서는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과 그와 대응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각각의 단위 부분이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으로 구성되는 기록 트랙군에 기록되고, 이 데이타 분배 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탈 VTR에의 원래 기록 모드에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은 자기 테이프(MT)의 기록 영역(AA1)에만 기록되거나 기록 영역(AA1, AA2)에 모두 기록된다. 이때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은 음성 신호 모드에서 기록되고, 또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얻어지는 음성 신호의 모드에 응답하여 2개의 분리된 서브 부분의 형태로 기록된다.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이 두 기록 영역(AA1, AA2) 모두에 2개의 분리된 서브 부분의 형태로 기록되는 경우에는, 2개의 다른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기록 상태가 음성 신호 모드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만들어진다. 기록 상태중 하나는 기록 영역(AA1, AA2)에 각각 기록된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에 있는 것이고, 기록 상태중 다른 하나는 기록 영역(AA1, AA2)에 각각 기록된 서브 부분이 상관 관계에 있지 않고 각각 독립된 것이다.
예컨대, 기록될 음성 신호가 좌전방 신호, 우전방 신호, 좌후방 신호와 우후방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4개의 채널 스테레오 신호일 때 좌전방, 우전방, 좌후방, 우후방 신호를 기초로 얻어지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이 기록 영역(AA1, AA2)에 기록되고, 여기서 좌전방과 우전방 신호에 대응되는 서브 부분은 기록 영역(AA1)에 기록되고 좌후방과 우후방 신호에 대응되는 서브 부분은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이 경우에는 기록 영역(AA1, AA2)에 각각 기록된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에 있다. 다른 예로, 기록될 음성 신호가 좌신호와 우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2쌍의 2개 채널 스테레오 신호일 때 제1의 1쌍의 좌신호, 우신호와 제2의 1쌍의 좌신호, 우신호를 기초로 얻어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이 기록 영역(AA1, AA2)에 기록되고, 여기서 제1의 1쌍의 좌신호와 우신호에 대응되는 서브 부분은 기록 영역(AA1)에 기록되고 제2의 1쌍의 좌신호와 우신호에 대응되는 서브 부분은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이 경우에는 기록 영역(AA1, AA2)에 각각 기록된 서브 부분이 각각 독립적이다.
자기 테이프(MT)의 기록 영역(AA1, AA2)은 나중 기록 모드에서 부가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에 포함되어 있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기록하는데 사용되거나 삽입 기록 모드에서 부가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에 포함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나중 기록 모드에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에 대응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은 기록 영역(AA1)이나 기록 영역(AA1, AA2) 둘다에 서브 부분의 형태로 기록되어 있고, 이때 부가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에 포함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는 기록 영역(AA2)에 서브 부분의 형태로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서브 부분에 부가되어 기록된다. 삽입 기록 모드에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에 대응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은 기록 영역(AA1)이나 기록 영역(AA1, AA2) 둘다에 서브 부분의 형태로 기록되어 있고, 이때 부가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에 포함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는 앞서 기록되었던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을 대신하여 기록 영역(AA1)에 다른 서브 부분의 형태로 기록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나중 기록 모드나 삽입 기록 모드에서 실행되는 자기 테이프(MT)에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자기 테이프(MT)가 배열이 잘 되어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기록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이롭고 편리하다. 여기서의 기록 상태는 기록 영역(AA1, AA2)에 각각 기록된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에 있거나 그 서브 부분이 상관 관계에 있지 않고 각각 독립된 것임을 나타낸다.
예컨대, 이미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MT)에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기록이 나중 기록 모드에서 행해질 때, 부가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에 포함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는 기록 영역(AA2)에 서브 부분의 형태로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서브 부분에 부가되어 기록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나중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이 기록 영역(AA1, AA2)에 각각 기록된 서브 부분간에 서로 상관 관계가 되기 전에 그 서브 부분이 나중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에 의해 훼손되면, 나중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 후에 기록 영역(AA1, AA2)의 서브 부분은 서로 상관 관계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나중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이 부주의 하게 실행되면 나중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 후에 기록 영역(AA1, AA2)의 서브 부분은 소용없게 되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나중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이 부주의 하게 실행됨에 따라 생겨나는 피해를 확실하게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점에 대해 자기 테이프(MT)에 있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기록 상태 각각이 선택적으로 탐지되고 쉽게 그 탐지된 출력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서로 상관 관계인 기록 영역(AA1, AA2)에 각각 기록된 서브 부분이 나중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자기 테이프(MT)에 있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기록 상태를 탐지한 출력에 의해 나중 기록 모드에서의 부주의한 기록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 상태는 기록 영역(AA1, AA2)에 각각 기록된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에 있는 것과 그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에 있지 않고 각각 독립된 것임을 말한다.
또한, 자기 테이프(MT)에 있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기록 상태를 탐지하여 쉽게 얻을 수 있는 이 출력은 자기 테이프(MT)로부터 재생된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해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앞서 제안된 디지탈 VTR에서는 자기 테이프(MT)가 잘 배열되어 자기 테이프(MT)에 있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기록 상태를 선택적으로 쉽게 탐지할 수 있는 어떤 특별한 장치가 없다. 여기서 기록 상태는 기록 영역(AA1, AA2)에 각각 기록된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에 있는 것과 그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에 있지 않고 각각 독립된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나중 기록 모드에서 부주의하게 실행되는 기록에 의해 생기는 피해는 제거되지 않는다.
[발명의 목적 및 개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장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여 얻어진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재생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얻기 위해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이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도록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장치이며, 이에 따라 상기 불이익이나 종래 기술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으로부터 벗어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장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여 얻어진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가 잘 배열되어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 매체에 기록될 때 거치는 기록 모드를 쉽게 탐지할 수 있어서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재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여 얻어진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장치이며, 또한 이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가 잘 배열되어 기록 매체에 있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기록 상태 각각을 선택적으로 쉽게 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록 상태는 2개의 기록 영역에 각각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이 기록 매체에 형성된 다수의 인접한 기록 트랙의 각각의 기록 트랙군에 할당되어 있고 이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에 있는 것과 그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에 있지 않고 각각 독립된 것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장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여 얻어진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그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얻기 위해 재생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이 장치에 의해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 매체에 기록함에 있어 거친 기록 모드를 쉽게 탐지할 수 있어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재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장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여 얻어진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그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얻기 위해 재생하는 장치이며, 또한 이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에 있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기록 상태 각각을 선택적으로 쉽게 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록 상태는 2개의 기록 영역에 각각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이 기록 매체에 형성된 다수의 인접한 기록 트랙의 각각의 기록 트랙군에 할당되어 있고 이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에 있는 것과 그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에 있지 않고 각각 독립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장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여 얻어진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그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재생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이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가 잘 배열되어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 매체에 기록될 때 거치는 기록 모드를 쉽게 탐지할 수 있어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재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 매체에 기록될 때 거치는 기록 모드는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될 때 쉽게 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여 얻어진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재생하는 장치이며, 또한 이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가 잘 배열되어 기록 매체에 있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기록 상태 각각을 선택적으로 쉽게 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록 상태는 2개의 기록 영역에 각각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이 기록 매체에 형성된 다수의 인접한 기록 트랙의 각각의 기록 트랙군에 할당되어 있고 이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에 있는 것과 그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에 있지 않고 각각 독립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제1기록 장치로서 주어진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가 있고, 이 장치의 구성은 영상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영상 신호를 디지탈화하는데 이용되는 영상 신호 디지탈화 부분, 음성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 하는데 이용되는 음성 신호 디지탈화 부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에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와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에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한 부수적 데이타 발생 부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 및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2차 부수적 데이타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한 기록용 데이타 발생 부분, 기록 매체에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기록하는 동작을 하는 기록용 부분, 및 기록 모드 제어 장치로 구성된다. 이때, 기록 모드 제어 장치는 기록용 부분에 의해 실행되는 기록 매체에의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 기록을 위해 다수의 기록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하고, 또한, 부수적 데이타 발생 부분은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를 발생해서 그 결과 기록 모드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된 기록 모드에 대응하여 선택된 코드를 가지고 있는 기록 모드 데이타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2기록 장치로서 주어진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가 또한 있고, 이 장치의 구성은 영상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영상 신호를 디지탈화하는데 이용되는 영상 신호 디지탈화 부분, 음성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 하는데 이용되는 음성 신호 디지탈화 부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에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와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에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한 부수적 데이타 발생 부분,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와 함께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및 부가된 제2부수적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한 기록용 데이타 발생 부분, 기록 매체에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기록하는 동작을 하는 기록용 부분, 및 기록 모드 제어 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록 모드 제어 장치는 기록용 부분에 의해 실행되는 기록 매체에의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 기록을 위해 다수의 기록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하고, 또한, 부수적 데이타 발생 부분은 제2부수적 데이타를 만들어내서 음성 신호 디지탈화 부분에 적용되는 음성 신호가 특정한 신호 모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특정 모드 데이타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1재생 장치로서 주어진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가 또한 있다. 이 장치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 및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를 포함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재생하는 동작을 하는 재생용 부분, 재생용 부분에 의해 재생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로부터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와 함께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및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와 함께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에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기 위한 데이타 분리 부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를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제1부수적 데이타로 나누기 위한 제1데이타 분할 부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를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제2부수적 데이타로 나누기 위한 제2데이타 분할 부분, 영상 신호를 만들기 위해 제1데이타 분할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 데이타 처리부분, 음성 신호를 만들기 위해 제2데이타 분할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음성 데이타 처리 부분, 제1 및 제2데이타 분할 부분 각각으로부터 얻어진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를 기초로 정보를 얻기 위한 부수적 데이타 정보 재생 부분, 및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에 포함된 기록 모드 데이타의 코드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2재생 장치로서 주어진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가 또한 있다. 이 장치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 및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를 포함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재생하는 동작을 하는 재생용 부분, 재생용 부분에 의해 재생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로부터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와 함께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및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와 함께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에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기 위한 데이타 분리 부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를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제1부수적 데이타로 나누기 위한 제1데이타 분할 부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를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제2부수적 데이타로 나누기 위한 제2데이타 분할 부분, 영상 신호를 만들기 위해 제1데이타 분할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 데이타 처리부분, 음성 신호를 만들기 위해 제2데이타 분할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음성 데이타 처리 부분, 제1 및 제2데이타 분할 부분 각각으로부터 얻어진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를 기초로 정보를 얻기 위한 부수적 데이타 정보 재생 부분, 및 제2부수적 데이타에 포함된 특정 모드 데이타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1기록 및 재생 장치로서 주어진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가 있다. 이 장치는 상기 제1기록 장치의 주된 구조 성분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구조 성분으로 된 기록용 부분과 상기 제1재생 장치의 주된 구조 성분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구조 성분으로 된 재생용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2기록 및 재생 장치로서 주어진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가 있다. 이 장치는 상기 제2기록 장치의 주된 구조 성분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구조 성분으로 된 기록용 부분과 상기 제2재생 장치의 주된 구조 성분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구조 성분으로 된 재생용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1기록 장치에서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에 포함된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 각각에 부가된 제1및 제2부수적 데이타가 발생되고, 또한,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이 부수적 데이타가 발생된 결과 기록 모드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된 기록 모드와 대응되어 코드가 선택된 기록 모드 데이타를 포함하고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 매체에 기록될 때 거친 기록 모드는 제1부수적 데이타와 제2부수적 데이타에 포함되어 있는 기록 모드 데이타의 코드를 기초로 쉽게 탐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는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 및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여기에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를 재생할 때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각각 재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2기록장치에서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에 포함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에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발생되고, 또한, 디지탈 음성 신호 디지탈화와 함께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이 부수적 데이타가 발생된 결과 음성 신호 디지탈화 부분에 주어진 음성 신호가 특정한 음성 신호 모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특정 모드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가 발생된 원래의 음성 신호가 특정한 음성 신호인지의 여부는 제2부수적 데이타에 포함된 특정 모드 데이타를 기초로 쉽게 탐지된다.
여기서 제2부수적 데이타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와 같이 또는 그것만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재생할 때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재생된다.
또한, 제2기록용 장치에서는 기록 매체에 있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기록 상태가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만들기 위한 원래의 음성 신호의 신호 모드에 의해 선택적으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기록 상태는 2개의 기록 영역에 각각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이 기록 매체에 형성된 다수의 인접한 기록 트랙의 각각의 기록 트랙군에 할당되어 있고 이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인 것과 그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가 아니고 각각 독립적인 것을 나타낸다.
음성 신호가 특정한 음성 신호 모드일 경우에는, 2개의 기록 영역에 각각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이 기록 매체에 형성된 다수의 인접한 기록 트랙의 각각의 기록 트랙군에 할당되어 있고 이 서브 부분이 상관 관계인 기록 상태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기록 상태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재생되는 제2부수적 데이타에 포함된 특정 모드 데이타를 기초로 선택적으로 쉽게 탑지된다. 여기서 기록 상태는 2개의 기록 영역에 각각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이 기록 매체에 형성된 다수의 인접한 기록 트랙의 각각의 기록 트랙군에 할당되어 있고 이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인 것과 그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가 아니고 각각 독립적인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1재생 장치에서, 제1 및 제2데이타 분할 부분으로부터의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를 기초로 부수적 데이타 정보 재생 부분에서 얻어진 정보는 기록 모드 데이타의 코드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 기록 모드 데이타는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함께 재생된 제1부수적 데이타 및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재생된 제2부수적 데이타에 포함된다. 따라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 매체에 기록될 때 거치는 기록 모드는 부수적 데이타 정보 재생 부분에서 얻어진 정보 일부에 포함된 기록 모드 데이타의 코드를 기초로 쉽게 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2재생 장치에서, 제1 및 제2데이타 분할 부분으로부터의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를 기초로 부수적 데이타 정보 재생 부분에서 얻어진 정보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재생되는 제2부수적 데이타에 포함된 특정 모드 데이타와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기록 상태는 부수적 데이타 정보 재생 부분에서 얻어진 정보 일부에 포함된 특정 모드 데이타를 기초로 선택적으로 매우 쉽게 탐지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 상태는 2개의 기록 영역에 각각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이 기록 매체에 형성된 다수의 인접한 기록 트랙의 각각의 기록 트랙군에 할당되어 있고 이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인 것과 그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가 아니고 각각 독립적인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1기록 및 재생 장치에서는 제1기록 장치의 주된 구조 성분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구조 성분으로 된 기록용 부분과 제1재생 장치의 주된 구조 성분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구조 성분으로 된 재생용 부분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기록 장치와 제1재생 장치 각각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와 이점에 대응하여 또한 얻어진다.
비슷하게, 본 발명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2기록 및 재생 장치에서도 제2기록 장치의 주된 구조 성분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구조 성분으로 기록용 부분과 제2재생 장치의 주된 구조 성분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구조 성분으로 된 기록용 부분과 제2재생 장치의 주된 구조 성분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구조 성분으로 된 재생용 부분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기록 장치와 제2재생 장치 각각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와 이점에 대응하여 얻어진다.
위에 주어진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 및 또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주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확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의 실시예를 보인다.
제2(a)도 및 제2(b)도에 관련하여, 한쌍의 회전 자기 헤드(HDA, HDB)가 주어지고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회전 자기 헤드(HDA, HDB)에 의해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는 영상 신호를 기초로 형성된 디지탈 영상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 및 음성 신호를 기초로 형성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다.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는데에 적용되는 분배 방법은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한 단위 부분을 자기 테이프에 형성된 인접한 10개의 기록 트랙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기록 트랙군에 기록하는 것인데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한 단위 부분이란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과 그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에 대응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기록을 위해 원래 기록 모드, 나중 기록 모드, 삽입 기록 모드, 및 VOS 기록 모드중 하나가 선택된다.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가 제2도에서의 실시예에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에 기록될 때, MT로 나타내지고 화살표(TR)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자기 테이프는 화살표(HS)로 표시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회전 자기 헤드(HDA, HDB) 각각에 의해 주사된다.
따라서, 인접한 10개의 기록 트랙(KT)으로 각각 구성되는 다수의 기록 트랙군을 형성하는 기록 트랙이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기록 영역(AA1, AA2, VA)이 인접한 10개의 기록 트랙(KT)으로 된 각각의 기록 트랙군에 할당된다. 기록 영역(AA1)은 각각의 기록 트랙군의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KT)중 처음 5개 부분의 시단 부분에 형성되고, 기록 영역(AA2)중 나중 5개 부분의 시단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기록 영역(VA)은 각각의 기록 트랙군의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KT)중 기록 영역(AA1, AA2)을 형성한 부분과 다른 나머지 부분으로 형성된다.
원래 기록 모드에서, 디지탈 영상 및 음성 정보 데이타는 텔레비젼 방송 신호를 구성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여 각각 발생되고,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의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과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는 기록 영역(VA)에 기록된다. 또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과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는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에 대응되는 것으로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다. 나중 기록 모드에서는,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과 함께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 및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에 대응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과 함께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기록 영역(VA, AA1)에 각각 기록된 후, 다른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여 형성되는 부가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는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에 더해져,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삽입 기록 모드에서는,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과 함께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 및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에 대응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과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기록 영역(VA, AA1)에 각각 기록된 후, 다른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여 형성되는 부가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는 앞서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을 대신해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다. 또한, VOS 기록 모드에서는,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 부분과 함께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 및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 프레임에 대응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과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기록 영역(VA, AA1)에 각각 기록되기에 앞서,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여 형성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2차 부수적 데이타는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상기 기록 모드중 임의의 모드에서 기록 동작을 할때, 자기 테이프(MT)를 주사하기 위해 화살표(HS)로 표시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회전 자기 헤드(HDA, HDB)를 사용하여 제3도에서와 같은 데이타가 자기 테이프(MT)에 형성된 각각의 기록 트랙(KT)에 다음과 같이 기록된다. 먼저, 각각 6바이트로 구성되는 53개의 동기 블럭을 가진 타이밍 데이타(TS)는 기록 트랙(KT) 시단부에 있는 마진부(MN)에 이어 기록되어 길이가 318(= 53 x 6)바이트가 된다. 그리고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로 구성된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는 각각 90바이트로 되어 있는 14개의 동기 블럭을 포함하며 사이에 빈곳을 두고 타이밍 데이타(TS)에 이어 기록되어서 길이가 1,260(= 14 x 90)바이트가 된다. 또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함께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로 구성된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는 각각 90바이트로 되어 있는 146개의 동기 블럭을 포함하며 사이에 빈곳을 두고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에 이어 기록되어서 길이가 13,140(= 146 x 90)바이트가 된다. 그리고 각각 12바이트로 되어 있는 12개의 동기 블럭을 포함하고 있는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가 사이에 빈곳을 두고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에 이어 기록되어 길이가 144(= 12 x 12)바이트가 된다. 또한, 기록 트랙(KT)의 종단부분에 마진부(MN)가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에 이어진다.
제4(a)도에 있는 타이밍 데이타(TS)에서 6바이트의 동기 블럭은 2바이트의 동기 데이타(SYNC), 각각의 1바이트의 인식 데이타(ID0, ID1, IDP(패리티)), 및 1바이트의 더미 데이타(DUM)로 구성된다. 제4(b)도에 있는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에서 90바이트의 동기 블럭은 5바이트의 동기 데이타 블럭, 제2부수적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77바이트의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 및 8바이트의 오류 정정 코드(C1)으로 구성된다. 제4(c)도에 있는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에서 90바이트의 동기 블럭은 5바이트의 동기 데이타 블럭, 제1부수적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77바이트의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 및 8바이트의 오류 정정 코드(C1)으로 구성된다.
제4(d)도에 있는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에서 12바이트의 동기 블럭은 5바이트의 동기 데이타 블럭, 5바이트의 서브 코드 데이타(SCD), 및 2바이트의 오류 정정 코드(C1)으로 구성된다.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 및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 각각에 있는 동기 블럭에서 5바이트의 동기 데이타 블럭은 공통으로 2바이트의 동기 데이타(SYNC)와 각각 1바이트인 인식 데이타(ID0, ID1, IDP(패리티))로 구성된다.
제2부수적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77바이트의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는 제5도에 나타낸 방법과 같이 배열되고, 이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는 각각의 기록 트랙(KT)에 있는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를 구성하는 14개의 동기 블럭안에 포함된다. 제5도를 보면 제2부수적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77바이트의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는 5개의 동기 블럭(동기 블럭 번호 0 내지 4) 각각에 포함되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4개의 동기 블럭(동기 블럭 번호 5 내지 8)에 관련되는 오류 정정 코드(C2)는 5개의 동기 블럭(동기 블럭 번호 0 내지 4)에 대응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에 이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부수적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77바이트의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가 다른 5개의 동기 블럭(동기 블럭 번호 9 내지 13 각각에 포함되어 오류 정정 코드(C2)에 이어 연속적으로 또한 연결되어 있다.
전부 10개의 동기 블럭(동기 블럭 번호 0 내지 4, 9 내지 13) 각각에 포함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는 시단 부분에 있는 11바이트의 제2부수적 데이타(AAUX)와 제2부수적 데이타(AAUX)에 이어 위치한 66바이트의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로 구성된다. 또한, 8바이트의 오류 정정 코드(C1)가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포함하고 각각의 동기 블럭에 내포되어 있는 77바이트의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에 이어 연결되어 있다. 11바이트의 제2부수적 데이타(AAUX)는 1바이트의 선두 바이트(FB)와 각각의 5바이트로 구성되고 선두 바이트(FB)에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2개의 데이타 팩(PCDF, PCDA)으로 구성된다.
11바이트의 제2부수적 데이타(AAUX)는 각각의 기록 트랙(KT)에 있는 10개의 동기 블럭(동기 블럭 번호 0 내지 4 및 9 내지 13) 각각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10개의 동기 블럭 각각에서부터 나온 제2부수적 데이타(AAUX)는 제6(a)도 및 제6(b)도에 나타낸 방법으로 모여질 수 있다. 제6(a)도에는 회전 자기 헤드(HDA)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 테이프(MT)에 있는 10개의 동기 블럭 각각에 포함된 11바이트의 일련의 제2부수적 데이타(AAUX)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2부수적 데이타(AAUX)는 10개의 선두 바이트(FB)와 전부 20개인 데이타 팩(PCDF, PCDA)(팩 0 내지 19)을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선두 바이트(FB)는 상위 4개의 비트에 적용 데이타(APPLN0 내지 APPLN3)를 포함하고 있다. 제2부수적 데이타(AAUX) 일렬의 시단부에 있는 6개의 데이타 팩(PCDF, PCDA)(팩 0 내지 5)은 기본 데이타 부분을 구성하고 나머지 14개의 데이타 팩(PCDF, PCDA)(팩 6 내지 19)은 추가 데이타 부분을 구성한다. 제6(b)도에는 회전 자기 헤드(HDB)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 테이프(MT)에 있는 10개의 동기 블럭 각각에 포함된 11바이트의 일련의 제2부수적 데이타(AAUX)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2부수적 데이타(AAUX)는 10개의 선두 바이트(FB)와 전부 20개인 데이타 팩(PCDF, PCDA)(팩 0 내지 19)을 포함하고 각각의 선두 바이트(FB)는 상위 4개의 비트에 적용 데이타(APPLN0 내지 APPLN3)를 포함하고 있다. 10개의 제2부수적 데이타의 시단부에 있는 14개의 데이타 팩(PCDF, PCDA)(팩 0 내지 13)은 추가 데이타 부분을 구성하고 나머지 6개의 데이타 팩(PCDF, PCDA)(팩 14 내지 19)은 기본 데이타 부분을 구성한다.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개의 데이타 팩(PCDF, PCDA)(팩 0 내지 19)으로 구성된 제2부수적 데이타(AAUX)의 기본 및 추가 부분 위치는 회전 자기 헤드(HDA, HDB)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기록 트랙(KT)간에 서로 교환되어 옮겨진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MT)가 기록 트랙(KT)를 가로질러 확장되는 손상을 받을 때에도 기본 및 추가 부분 모두는 자기 테이프(MT)로부터 재생될 수 있다.
제1부수적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77바이트의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는 제7도에 나타낸 방법과 같이 배열되고, 이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는 각각의 기록 트랙(KT)에 있는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를 구성하는 146개의 동기 블럭안에 포함된다. 연속적으로 연결된 5개의 동기 블럭(동기 블럭 번호 0 내지 4)의 각각에 포함되는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는 그 전체로 버퍼 블럭(BUFB)을 구성한다.
연속적으로 연결된 5개의 동기 블럭 각각에 포함되고 버퍼 블럭(BUFB) 부분을 구성하는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는 시단부에 있는 3바이트의 제1부수적 데이타(VAUX)와 제1부수적 데이타(VAUX)에 이어지는 74바이트의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R)로 구성된다. 또한, 8바이트의 오류 정정 코드(C1)가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포함하고 있는 77바이트의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에 이어 각각의 동기 블럭에 연결되어 있다.
3바이트의 제1부수적 데이타는 1바이트의 양자화 데이타(QB)와 각각의 1바이트로 구성되고 양자화 데이타(QB)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데이타(VAX0)와 데이타(VAX1)으로 구성된다. 데이타(VAX0, VAX1)는 나중에 언급될 각각의 5바이트로 구성되는 데이타 팩(PCDF, PCDA)을 구성하기 위해 제공된다.
1바이트의 양자화 데이타(QB)는 하위에서 4비트에 위치하는 양자화 레벨 번호 데이타(QN00 내지 QN03)와 상위 4비트에 있는 양자화 레벨에서 스위칭 점을 나타내는 데이타(SWP0 내지 SWP3)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동기 블럭(동기 블럭 번호 0 내지 1) 각각에 포함된 데이타(VAX0, VAX1)와 제3동기 블럭(동기 블럭 번호 2)에 포함된 데이타(VAX1)는 전체로 5바이트의 데이타 팩(PCDF)를 구성하고 제3동기 블럭(동기 블럭 번호 2)에 포함된 데이타(VAX0)와 제4 및 제5동기 블럭(동기 블럭 번호 3 내지 4)에 포함된 데이타(VAX0, VAX1)는 전체적으로 5바이트의 데이타 팩(PCDA)을 구성한다.
제8도에서 135개의 동기 블럭에 대응되는 버퍼 블럭(BUFB)(버퍼 블럭 번호 0 내지 26)이 11개의 동기 블럭에 대응되는 오류 정정 코드와 함께 모여져서 전부 146개의 동기 블럭 데이타를 형성한다. 이때, 이 146개의 동기 블럭 데이타는 각각에 77바이트의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135개의 동기 블럭 데이타로서 각각의 기록 트랙(KT)에 기록되고 77바이트의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는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포함하고 있다.
3바이트의 제1부수적 데이타(VAUX)에 있는 2바이트 데이타(VAX0, VAX1) 5쌍은 각각의 기록 트랙(KT)에서 27개의 버퍼 블럭(버퍼 블럭 번호 0 내지 26) 각각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데이타(VAX0, VAX1)로 구성되는 팩 데이타(PCDF, PCDA) 1쌍은 각각의 기록 트랙(KT)에서 27개의 버퍼 블럭(버퍼 블럭 번호 0 내지 26) 각각에 포함된다. 따라서, 각각의 기록 트랙(KT)의 3바이트 제1부수적 데이타(VAUX)에 있는 2바이트 데이타(VAX0, VAX1)는 제9(a)도 및 제9(b)도에 나타낸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제9(a)도에는 회전 자기 헤드(HDA)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 테이프(MT)에서 데이타(VAX0, VAX1)의 135(= .5 x 27)쌍 일렬이 도시되어 있고, 이 데이타(VAX0, VAX1)의 135쌍 일렬은 54개의 데이타 팩(PCDF, PCDA)(팩 0 내지 53)을 포함하고 있다. 데이타(VOX0, VOX1)의 135쌍 일렬 시단부에 위치하는 12개의 데이타 팩(PCDF, PCDA)(팩 0 내지 11)은 기본 데이타 부분을 구성하고 나머지 40개의 데이타 팩(PCDF, PCDA)(팩 12 내지 51)은 추가 데이타 부분을 구성한다.
제9(b)도에는 회전 자기 헤드(HDA)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 테이프(MT)에서 데이타(VAX0, VAX1)의 135( = 5 x 27)쌍 일렬이 도시되어 있고, 이 데이타(VAX0, VAX1)의 135쌍 일렬은 54개의 데이타 팩(PCDF, PCDA)(팩 0 내지 53)을 포함하고 있다. 데이타(VAX0, VAX1)의 135쌍 일렬 시단부에 위치하는 40개의 데이타 팩(PCDF, PCDA)(팩 0 내지 39)은 기본 데이타 부분을 구성하고 나머지 12개의 데이타 팩(PCDF, PCCA)(팩 40 내지 51)은 추가 데이타 부분을 구성한다.
제9(a)도 및 제9(b)도 도시된 바와 같이, 54개의 데이타 팩(PCDF, PCDA)(팩 0 내지 53)으로 구성된 제1부수적 데이타(VAUX)의 기본 및 추가 부분 위치는 회전 자기 헤드(HDA, HDB)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기록 트랙(KT)간에 서로 교환되어 옮겨진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MT)가 기록 트랙(KT)를 가로질러 확장되는 손상을 받을 때도 기본 및 추가 부분 모두는 자기 테이프(MT)로부터 재생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부수적 데이타(VAUX)나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데이타 팩(PCDF, PCDA) 각각이 제10도의 예에서는 각각의 PC0, PC1, PC2, PC3 및 PC4 워드명(word name)으로 1바이트(8비트)의 5가지로 된 5바이트 데이타로 구성된다. PC0 워드명의 데이타는 팩 타이틀(pack title)에 대응되는 팩 헤더 데이타이고 PC1, PC2, PC3 및 PC4인 워드명 데이타 각각은 실질적 데이타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팩 데이타이다.
여러 종류의 팩 타이틀을 가진 데이타 팩이 형성되고, 여기서 신호 정보가 자기 테이프(MT)에 기록된 것을 나타내는 팩 타이틀 “ SOURCE CONT”의 데이타 팩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타 팩(PCDF, PCDA)이 제공된다. 팩 타이틀 “SOURCE CONT”을 가진 데이타 팩으로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R)에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구성하는 “SOURCE CONT” 데이타 팩(이하, 간략하게 S.P.로 함)과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에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를 구성하는 S.P.가 형성된다.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구성하는 S.P.가 제11도와 같이 형성되고,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구성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코드 “01100100”의 팩 헤더 데이타(PC0)를 가지고 있다.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구성하는 S.P.에서 팩 데이타(PC1)는 데이타 “DUB GEN”, 데이타 “DUB SOURCE” 및 “SCMS”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데이타 “DUB GEN”는 하위 4비트에서 더빙의 횟수에 대응되고 데이타 “DUB SOURCE”는 데이타 “DUB GEN”보다 2비트 높은데에서 더빙에 대한 입력 신호(아날로그 입력/디지탈 입력) 종류에 대응된다. 또한, 데이타 “SCMS”는 상위 2비트에서 더빙을 방지하는데 대응된다. 팩 데이타(PC2)는 하위 3비트에 예비 비트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3개의 예비 비트보다 1비트 높은데에 정지한 화면에 대응되는 데이타 “PHOTO”, 원래 기록 모드와 VOS 기록 모드중 하나에 대응되는 코드를 가진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보다 1비트 높은데서 1개의 예비 비트, 및 맨 상위 비트에는 기록 시작점에 대응되는 데이타 “REC ST”를 포함하고 있다. 팩 데이타(PC3)는 재생된 화면의 모드, 화상 비율등에 대응되고 하위 3비트에 있는 데이타 “DISP”, 데이타 “DISP”의 비트보다 위로 3비트의 예비 비트, 및 상위 2비트의 회선 데이타 유무에 대응되는 데이타 “LINE ID”를 포함하고 있다. 팩 데이타(PC4)는 모드 8비트의 예비 비트만을 포함하고 있다.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가 제12도와 같이 형성되고,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함을 나타내기 위해 코드 “01110100”의 팩 헤더 데이타(PC0)을 가지고 있다.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서 팩 데이타(PC1)는 하위 4비트에서 더빙의 횟수에 대응되는 데이타 “DUB GEN”, 데이타 “DUB GEN”보다 2비트 높은데에서 더빙에 대한 입력 신호(아날로그 입력/디지탈 입력) 종류에 대응되는 데이타 “DUB SOURCE”, 및 상위 2비트에서 더빙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타 “SCMS”를 포함하고 있다. 팩 데이타(PC2)는 하위 4비트에 예비 비트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원래 기록 모드, 나중 기록 모드, VOS 기록 모드중 하나에 대응되는 코드를 가진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보다 1비트 높은에서 기록 마침점에 대응되는 데이타 “REC END”, 및 맨 상위 비트에 기록 시작점에 대응되는 데이타 “REC ST”를 포함하고 있다. 팩 데이타(PC3, PC4) 각각에는 모드 8비트의 예비 비트만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다양한 데이타가 형성되어 있는 조건하에서의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 단자(11)로부터 모드 지정 신호(SCO), 제어 신호 단자(12)로부터 모드 지정 신호(SCA), 제어 신호 단자(13)로부터 모드 지정 신호(SCI), 또는 제어 신호 단자(14)로부터 모드 지정 신호(SCV)가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에 제공된다. 모드 지정 신호(SCO, SCA, SCI 또는 SCV)에 응답하여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는 원래 기록 모드, 나중 기록 모드, 삽입 기록 모드, 또는 VOS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와 원래 기록 모드, 나중 기록 모드, 삽입 기록 모드, 또는 VOS 기록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SS)를 만들어 낸다.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로부터 얻어진 기록 모드 정보 신호는 부수적 데이타 형성 장치에 제공되고,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로부터 얻어진 제어 신호(SS)는 기록 동작 제어 장치(18)에 적용된다. 제어 신호(SS)에 응답하여 기록 동작 제어 장치(18)는 기록 동작 제어 신호(SCR)를 형성하고 이 기록 동작 제어 신호(SCR)를 기록용 부분으로 송출한다. 여기서 기록 동작 제어 신호(SCR)는 회전 자기 헤드(HDA, HDB)와 회전 자기 헤드(HDA, HDB)를 회전하기 위한 헤드 구동 장치 및 자기 테이프(MT)를 구동하고 주행 안내하기 위한 테이프 구동 장치 등을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부분이 원래 기록 모드, 나중 기록 모드, 삽입 기록 모드 또는 VOS 기록모드에서 동작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모드 지정 신호(SCO)가 제어 신호 단자(11)에 주어지면 기록용 부분은 원래 기록 모드를 위한 동작 조건에 놓이게 된다. 또한, 모드 지정 신호(SCA)가 제어 신호 단자(12)에 주어지면 기록용 부분은 나중 기록 모드를 위한 동작 조건에, 모드 지정 신호(SCI)가 제어 신호 단자(13)에 주어지면 기록용 부분은 삽입 기록 모드를 위한 동작 조건에, 및 모드 지정 신호(SCV)가 제어 신호 단자(14)에 주어지면 기록용 부분은 VOS 기록 모드를 위한 동작 조건에 각각 놓이게 된다.
원래 기록 모드, 나중 기록 모드, 삽입 기록 모드 또는 VOS 기록 모드에서 동작하는 기록용 부분은 헤드 위치 신호(IHP)와 트랙 번호 신호(ITN)를 송출한다. 여기서 헤드 위치 신호(IHP)는 자기 테이프(MT)에서 기록 트랙(KT)를 형성하는 동작을 하는 회전 자기 헤드(HDA, HDB)중 하나의 자기 테이프(MT)상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트랙 번호 신호(ITN)는 기록 트랙군을 구성하는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KT)에서 회전 자기 헤드(HDA, HDB)중 하나에 의해 형성된 기록 트랙(KT)의 순서 번호를 나타낸다. 기록용 부분으로부터 얻어진 헤드 위치 신호(IHP)와 트랙 번호 신호(ITN)은 신호 입력 단자(19,20) 각각을 통해 기록 영역 검출 장치(21)에 전해진다. 헤드 위치 신호(IHP)와 트랙 번호 신호(ITN)를 기초로 기록 영역 검출 장치(21)가 동작하여 인접한 10개의 기록 트랙(KT)의 기록 트랙군에 제1도와 같이 할당되는 기록 영역(AA1, AA2 또는 VA)중 어느 것에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중 하나가 기록 트랙(KT)을 형성하기 위해 위치하는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 기록 영역 검출 장치(21)는 부수적 데이타 발생 장치(16)에의 공급을 위해 검출된 기록 영역(AA1, AA2 또는 VA)을 나타내는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를 형성한다.
모드 지정 신호(SCO)가 공급되고 원래 기록 모드가 지시되었을 때, 텔레비젼 방송 신호(SX)가 안테나 부분(31)을 거쳐 동조기(32)에 제공된다. 동조기(32)에서, 원래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로부터의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에 응답하여 동조 동작이 실행되고 그결과 텔레비젼 방송 신호(SX)중 선택된 하나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수신된 텔레비젼 방송 신호(SX)는 고주파 증폭, 주파수 변환, 중간 주파수 증폭, 영상 신호 검파, 음성 신호 분리, 음성 신호 검파 등을 포함하고 있는 신호 처리가 행해져서 결과적으로 영상 신호(SVT)와 음성 신호(SAT)를 동조기(32)로부터 송출하게 된다.
동조기(32)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젼 방송 신호(SX)에 대응되는 정보 신호(IX)가 또한 동조기(32)에서 부수적 데이타 발생 장치(16)에 공급된다.
동조기(32)로부터의 영상 신호(SVT)가 디지탈화 되기 위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3)에 제공되고 그 영상 신호(SVT)를 기초로 한 디지탈 영상 데이타(VDT)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3)로부터 얻어진다. 디지탈 영상 데이타(VDT)는 데이타 압축 부호화를 위해 데이타 블럭 형성 부분(34)에 있는 다수의 데이타 블럭으로 보내지고 블럭화 디지탈 영상 데이타(VDB)는 이 데이타 블럭 형성 부분(34)에서 부터 압축 부호화 장치(35)에 공급된다. 압축 부호화 장치(35)에서 블럭화 디지탈 영상 데이타(VDB)는 데이타 압축 부호화가 행해져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R)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얻어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R)는 데이타 부가 장치(36)로 보내진다.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R)는 제4(c)도에서와 같은 동기 블럭을 각각 구성하는 단위 영상 정보 데이타 블럭의 일렬을 포함하고 있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3), 데이타 블럭 형성 부분(34), 및 압축 부호화 장치(35)는 전체적으로 영상 신호(SVT)를 기초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R)를 만들기 위한 영상 신호 디지탈화 부분을 구성한다.
동조기(32)에서 얻어진 음성 신호(SAT)는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에 공급된다.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에서, 동조기(32)에서의 음성 신호(SAT)는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의 출력 단자로 제공되어,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로부터 공급된 원래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에 응답하여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8)로 보내진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8)에서 음성 신호(SAT)는 디지탈화되어 음성 신호(SAT)를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얻어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는 데이타 부가 장치(39)에 공급된다.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는 제4(b)도에서와 같은 동기 블럭을 각각 구성하는 단위 음성 정보 데이타 블럭의 일렬을 포함하고 있다.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8)는 전체적으로 음성 신호(SAT)를 기초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를 만들기 위한 음성 신호 디지탈화 부분을 구성한다.
부수적 데이타 발생 장치(16)에서,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에서의 원래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 기록 영역 검출 장치(21)로부터의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 및 동조기(32)부터의 정보 신호(IX)에 응답하여 제1부수적 데이타(VAUX)가 제공되어 데이타 팩(PCDF, PCDA)을 포함하게 되고 또한 제2부수적 데이타(AAUX)가 제공되어 데이타 팩(PCDF, PCDA)을 포함하게 된다.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가 원래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상황에서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가 기록 영역(VA)에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위치함을 나타낼 때,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는 코드 “00”이 제공된다.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가 기록 영역(AA1)에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있음을 나타낼 때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는 코드 “00”이 주어지고,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가 원래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상황에서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가 기록 영역(AA2)에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있음을 나타낼 때는 코드 “11”이 제공된다.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의 코드 “11”은 아무런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자기 테이프(MT)에 기록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부수적 데이타 발생 장치(16)에 의해 형성되는 제1부수적 데이타(VAUX)와 제2부수적 데이타(AAUX)는 데이타 부가 장치(36,39) 각각에 공급된다. 동기 데이타(SYNC)와 식별 데이타(ID0, ID1, IDP)를 포함하고 있는 동기 데이타 부분(DTM)이 동기 데이타 부분 발생 장치(40)로부터 데이타 부가 장치(36,39)에 공급된다. 데이타 부가 장치(36)에서, 동기 데이타(SYNC)와 식별 데이타(ID0, ID1, IDP)를 포함하고 있는 동기 데이타 부분(DTM)과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R)에 부가함으로써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가 만들어져 데이타 합성 장치(42)에 공급된다.
또한, 데이타 부가 장치(39)에서는, 동기 데이타(SYNC)와 식별 데이타(ID0, ID1, IDP)를 포함하고 있는 동기 데이타 부분(DTM)과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에 부가함으로써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가 만들어져 데이타 합성 장치(42)에 공급된다.
서브코드 데이타 발생 장치(43)로부터의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와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에서의 원래 기록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SS)가 또한 데이타 합성 장치(42)에 공급된다. 데이타 합성 장치(42)에서,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 및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가 제어 신호(SS)의 제어하에서 소정의 타이밍에 서로 합성된다. 그 결과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 및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가 제공된다. 데이타 합성 장치(42)로부터 얻어진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는 자기 테이프(MT)에 기록하기 위해 시간축 조정 장치(44)에서 시간축 조정을 행하게 되고 이어서 데이타 정형 장치(45)에 공급된다. 타이밍 데이타 발생 장치(46)로부터의 타이밍 데이타(TS) 또한 데이타 정형 장치(45)에 공급된다. 타이밍 정형 장치(45)에서, 타이밍 데이타(TS)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에 부가된다. 따라서, 그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와 함께 부가된 타이밍 데이타(TS)는 자기 테이프(MT)에 기록하기 위해 데이타 정형이 행해져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C)를 형성하게 된다.
데이타 정형 장치(45)에서 얻어진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C)는 기록 증폭 장치(47)를 통해 회전 자기 헤드(HDA)로, 또한, 기록 증폭 장치(48)를 통해 회전 자기 헤드(HDB)로 전달되고, 각각의 회전 자기 헤드(HDA, HDB)에 의해 자기 테이프(MT)에 기록된다. 그 결과, 제3도에 배열된 것과 같이 타이밍 데이타(TS),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 및 복합 서브 코드 데이타(SC)가 자기 테이프(MT)에 형성된 각각의 기록 트랙(KT)에 기록된다. 이 기록이 행해질 때, 영상 신호(SVT)의 한 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 부분과 그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 부분에 대응하는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 부분이 각각 기록 영역(VA, AA1)에 기록되고, 이 기록 영역(VA, AA1)은 제1도에서와 같이 자기 테이프(MT)에 형성된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KT)의 기록 트랙군에 할당되어 있다.
모드 지정 신호(SCA)가 제어 신호 단자(12)에 제공되고 나중 기록 모드가 지시되었을 때, 외부 음성 신호(SAA)가 외부 음성 신호 단자(50)를 통해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에 공급된다. 이 경우에, 나중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가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로부터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에 제공된다.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에서, 나중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에 응답하여 외부 음성 신호(SAA)가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의 출력 단자에 제공되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8)에 공급된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8)에서는, 외부 음성 신호(SAA)가 디지탈화되어 외부 음성 신호(SAA)를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얻어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가 데이타 부가 장치(39)에 공급된다.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8)는 전체적으로 외부 음성 신호(SAA)를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를 형성하기 위한 음성 신호 디지탈화 부분을 구성한다.
부수적 데이타 발생 장치(16)에서는,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에서의 나중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와 기록 영역 검출 장치(21)에서의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에 응답하여, 제2부수적 데이타(AAUX)가 형성되어 데이타 팩(PCDF, PCDA)을 포함하게 된다.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가 나중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상황에서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가 기록 영역(AA2)에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위치함을 나타낼 때,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는 코드 “01”이 제공된다.
부수적 데이타 발생 장치(16)에 의해 만들어진 제2부수적 데이타(AAUX)가 데이타 부가 장치(39)에 공급된다. 동기 데이타(SYNC)와 식별 데이타(ID0, ID1, IDP)를 포함하고 있는 동기 데이타 부분(DTM)이 또한 동기 데이타 부분 발생 장치(40)로부터 데이타 부가 장치(39)에 공급된다. 데이타 부가 장치(39)에서, 동기 데이타(SYNC)와 식별 데이타(ID0, ID1, IDP)를 포함하고 있는 동기 데이타 부분(DTM)과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에 부가함으로써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가 만들어져 데이타 합성 장치(42)에 공급된다.
서브코드 데이타 발생 장치(43)부터의 복합 서브 코드 데이타(SC)와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에서의 나중 기록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SS)가 또한 데이타 합성 장치(42)에 공급된다. 데이타 합성 장치(42)에서,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와 복합 서브 코드 데이타(SC)가 제어 신호(SS)의 제어하에서 소정의 타이밍에서 서로 합성된다. 그결과,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와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가 제공된다.
데이타 합성 장치(42)로부터 얻어진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는 자기 테이프(MT)에 기록하기 위해 시간축 조정 장치(44)에서 시간축 조정을 행하게 되고 이어서 데이타 정형 장치(45)에 공급된다. 타이밍 데이타 발생 장치(46)로부터의 타이밍 데이타(TS)가 또한 데이타 정형 장치(45)에 공급된다.
데이타 정형 장치(45)에서는, 타이밍 데이타(TS)가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에 부가된다. 따라서, 그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와 함께 부가된 타이밍 데이타(TS)는 자기 테이프(MT)에 기록하기 위해 데이타 정형이 행해져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C)를 발생하게 된다.
데이타 정형 장치(45)에서 얻어진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C)는 기록 증폭 장치(47)를 통해 회전 자기 헤드(HDA)로, 또한, 기록 증폭 장치(48)를 통해 회전 자기 헤드(HDB)로 전달되어 각각의 회전 자기 헤드(HDA, HDB)에 의해 자기 테이프(MT)에 기록된다. 그 결과,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가 제1도와 같이 자기 테이프(MT)에 형성된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KT)의 기록 트랙군에 할당되어 있는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이것은 자기 테이프(MT)에 형성된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KT)의 기록 트랙군에 또한 할당되어 있는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 부분에 부가되어 기록된 것이다.
모드 지정 신호(SCI)가 제어 신호 단자(13)에 제공되고 삽입 기록 모드가 지시되었을 때, 외부 음성 신호(SAA)가 외부 음성 신호 단자(50)를 통해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에 공급된다. 이 경우에는, 삽입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가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로부터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에 제공된다.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에서는, 삽입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에 응답하여 외부 음성 신호(SAA)가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의 출력 단자에 제공되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8)에 공급된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8)에서는, 외부 음성 신호(SAA)가 디지탈화되어 외부 음성 신호(SAA)를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얻어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가 데이타 부가 장치(39)에 공급된다.
부수적 데이타 발생 장치(16)에서는,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에서의 삽입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와 기록 영역 검출 장치(21)에서의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에 응답하여 제2부수적 데이타(AAUX)가 형성되며 데이타 팩(PCDF, PCDA)을 포함하게 된다.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가 삽입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상황에서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가 기록 영역(AA1)에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위치함을 나타낼 때,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는 코드 “01”이 제공된다.
부수적 데이타 발생 장치(16)에 의해 만들어진 제2부수적 데이타(AAUX)가 데이타 부가 장치(39)에 공급된다. 동기 데이타(SYNC)와 식별 데이타(ID0, ID1, IDP)를 포함하고 있는 동기 데이타 부분(DTM)이 또한 동기 데이타 부분 형성 장치(40)로부터 데이타 부가 장치(39)에 공급된다. 데이타 부가 장치(39)에서, 동기 데이타(SYNC)와 식별 데이타(ID0, ID1, IDP)를 포함하고 있는 동기 데이타 부분(DTM)과 2차 부수적 데이타(AAUX)를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에 부가함으로써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가 만들어져 데이타 합성 장치(42)에 공급된다.
서브코드 데이타 발생 장치(43)로부터의 복합 서브 코드 데이타(SC)와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에서의 삽입 기록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SS)가 또한 데이타 합성 장치(42)에 공급된다. 데이타 합성 장치(42)에서,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와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가 제어 신호(SS)의 제어하에서 소정의 타이밍에서 서로 합성된다. 그 결과,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와 복합 서브 코드 데이타(SC)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가 제공된다.
데이타 합성 장치(42)로부터 얻어진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는 자기 테이프(MT)에 기록하기 위해 시간축 조정 장치(44)에서 시간축 조정을 행하여 데이타 정형 장치(45)에 공급된다. 타이밍 데이타 발생 장치(46)로부터의 타이밍 데이타(TS)가 또한 데이타 정형 장치(45)에 공급된다.
타이밍 정형 장치(45)에서는, 타이밍 데이타(TS)가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에 부가된다. 따라서, 그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와 함께 부가된 타이밍 데이타(TS)는 자기 테이프(MT)에 기록하기 위해 데이타 정형이 행해져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C)를 형성하게 된다.
데이타 정형 장치(45)에서 얻어진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C)는 기록 증폭 장치(47)를 통해 회전 자기 헤드(HDA)로, 또한, 기록 증폭 장치(48)를 통해 회전 자기 헤드(HDB)로 전달되고 각각의 회전 자기 헤드(HDA, HDB)에 의해 자기 테이프(MT)에 기록된다. 그 결과,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는 제1도와 같이 자기 테이프(MT)에 형성된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KT)의 기록 트랙군에 할당되어 있는 기록 영역(AA1)에 앞서 거기에 기록되었던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 부분을 대신하여 기록된다.
모드 지정 신호(SCV)가 제어 신호 단자(14)에 제공되고 VOS 기록 모드가 지시되었을 때 외부 음성 신호(SAA)가 외부 음성 신호 단자(50)를 통해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에 공급된다. 이 경우에, VOS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가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로부터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에 제공된다.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에서, VOS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에 응답하여 외부 음성 신호(SAA)가 음성 신호 선택 장치(37)의 출력 단자에 제공되고,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8)에서, 외부 음성 신호(SAA)는 디지탈화되어 외부 음성 신호(SAA)를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얻어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가 데이타 부가 장치(39)에 공급된다.
부수적 데이타 발생 장치(16)에서,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에서의 VOS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와 기록 영역 검출 장치(21)부터의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에 응답하여 제1부수적 데이타(VAUX)가 제공되어 데이타 팩(PCDF, PCDA)을 포함하게 되고, 또한 제2부수적 데이타(AAUX)가 제공되어 데이타 팩(PCDF, PCDA)을 포함하게 된다.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가 VOS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상황에서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가 기록 영역(VA)에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있음을 나타낼 때,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는 코드 “11”이 제공된다.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가 기록 영역(AA1)에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있음을 나타낼 때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는 코드 “11”이 주어지고,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가 VOS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상황하에서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가 기록 영역(AA2)에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있음을 나타낼 때는 코드 “01”이 제공된다.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의 코드 “11”은 아무런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자기 테이프(MT)에 기록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부수적 데이타 발생 장치(16)에 의해 형성되는 제1부수적 데이타(VAUX)와 제2부수적 데이타(AAUX)는 데이타 부가 장치(36,39) 각각에 공급된다. 동기 데이타(SYNC)와 식별 데이타(ID0, ID1, IDP)를 포함하고 있는 동기 데이타 부분(DTM)이 동기 데이타 부분 발생 장치(40)로부터 데이타 부가 장치(36,39)에 공급된다. 데이타 부가 장치(36)에서, 동기 데이타(SYNC)와 식별 데이타(ID0, ID1, IDP)를 포함하고 있는 동기 데이타 부분(DTM)과 제1부수적 데이타(VAUX)로 구성되는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가 만들어져 데이타 합성 장치(42)에 공급된다. 또한, 데이타 부가 장치(39)에서는, 동기 데이타(SYNC)와 식별 데이타(ID0, ID1, IDP)를 포함하고 있는 동기 데이타 부분(DTM)과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에 더함으로써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가 만들어지고 이것은 데이타 합성 장치(42)에 공급된다.
서브코드 데이타 발생 장치(43)로부터의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와 기록 모드 제어 장치(15)에서의 VOS 기록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SS)가 또한 데이타 합성 장치(42)에 공급된다. 데이타 합성 장치(42)에서,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 및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가 제어 신호(SS)의 제어하에서 소정의 타이밍에 서로 합성된다. 그 결과,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 및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가 제공된다. 데이타 합성 장치(42)로부터 얻어진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는 자기 테이프(MT)에 기록하기 위해 시간축 조정 장치(44)에서 시간축 조정을 행하여 데이타 정형 장치(45)에 공급된다. 타이밍 데이타 발생 장치(46)로부터의 타이밍 데이타(TS)가 또한 데이타 정형 장치(45)에 공급된다. 타이밍 정형 장치(45)에서, 타이밍 데이타(TS)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에 부가된다. 따라서, 그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D)와 함께 부가된 타이밍 데이타(TS)는 자기 테이프(MT)에 기록하기 위해 데이타 정형이 행해져 그결과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C)를 형성하게 된다.
데이타 정형 장치(45)에서 얻어진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C)는 기록 증폭 장치(47)를 통해 회전 자기 헤드(HDA)로, 또한, 기록 증폭 장치(48)를 통해 회전 자기 헤드(HDB)로 전달되고 각각의 회전 자기 헤드(HDA, HDB)에 의해 자기 테이프(MT)에 기록된다. 그 결과, 동기 데이타(SYNC)와 식별 데이타(ID0, ID1, IDP)를 포함하고 있는 동기 데이타 부분(DTM)과 제1부수적 데이타(VAUX), 동기 데이타(SYNC)와 식별 데이타(ID0, ID1, IDP)를 포함하고 있는 동기 데이타 부분(DTM)과 제2부수적 데이타(AAUX), 및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가 각각 기록 영역(VA, AA1, AA2)에 기록되고, 이 기록 영역은 제1도와 같이 자기 테이프(MT)에 형성된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KT)의 기록 트랙군에 할당된 것이다.
데이타 합성 장치(42), 시간축 조정 장치(44) 및 데이타 정형 장치(45)는 기록용 데이타 발생 부분을 구성하고, 이것은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R)와 함께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VAUX)(= VDD)와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와 함께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AAUX)(= AU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C)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a)도 및 제2(b)도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VAUX, AAUX)를 만들기 위한 부수적 데이타 발생 장치(16)는 예컨대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다. 부수적 데이타 발생 장치(16)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실행되는 동작 프로그램의 한 예가 제13(a)도 및 제13(b)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추후 설명되며, 이는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의 코드와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의 코드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제13(a)도 및 제13(b)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제1단계인 단계(51)에서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와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가 저장된다. 그리고 단계(52)에서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를 기초로 원래 기록 모드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원래 기록 모드가 지시 되었으면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를 기초로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1)에 있는지의 여부를 단계(53)에서 점검한다. 그 결과,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1)에 있다면, 단계(54)에서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의 코드가 “00”으로 주어지고 과정은 단계(51)로 복귀한다.
단계(53)에서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1)에 있지 않음이 확인되면, 단계(55)에서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를 근거하여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2)에 있는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그 결과,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2)에 있다면, 단계(56)에서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의 코드는 “11”로 설정되고 과정은 단계(51)로 복귀한다. 또한, 단계(55)에서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2)에 있지 않음이 확인되면, 단계(57)에서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를 근거하여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VA)에 있는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그 결과,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VA)에 있다면, 단계(58)에서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의 코드가 “00”로 설정되고 과정은 단계(51)로 복귀한다. 반대로,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VA)에 있지 않다면, 과정은 단계(57)에서 바로 단계(51)로 복귀한다.
단계(52)에서 원래 기록 모드가 지시되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를 기초로 단계(59)에서 나중 기록 모드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나중 기록 모드가 지시되었으면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를 기초로 단계(60)에서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2)에 있는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2)에 있으면, 단계(61)에서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의 코드가 “01”로 설정되고 과정은 단계(51)로 복귀한다. 반대로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2)에 있지 않으면 과정은 단계(60)에서 바로 단계(51)로 복귀한다.
단계(59)에서의 점검 결과 나중 기록 모드가 지시되지 않았으면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를 기초로 단계(62)에서 삽입 기록 모드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삽입 기록 모드가 지시되었으면,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를 기초로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1)에 있는지의 여부를 단계(63)에서 점검한다. 회전 자기 헤드(HDA 및 HDB)가 기록 영역(AA1)에 있으면, 단계(64)에서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의 코드가 “10”으로 설정되고 과정은 단계(51)로 복귀한다. 반대로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1)에 있지 않으면 과정은 단계(63)에서 바로 단계(51)로 복귀한다.
또한, 단계(62)에서 삽입 기록 모드가 지시되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 기록 모드 정보 신호(IM)를 기초로 VOS 기록 모드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단계(65)에서 점검한다. VOS 기록 모드가 지시되었으면,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를 기초로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1)에 있는지의 여부를 단계(66)에서 점검한다. 그 결과,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1)에 있으면, 단계(67)에서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의 코드가 “11”로 설정되고 과정은 단계(51)로 복귀한다.
단계(66)에서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1)에 있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를 기초로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2)에 있는지의 여부를 단계(68)에서 점검한다.
그 결과,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2)에 있으면, 단계(69)에서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의 코드가 “01”로 설정되고 과정은 단계(51)로 복귀한다. 또한, 단계(68)에서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AA2)에 있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를 기초로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VA)에 있는지의 여부를 단계(70)에서 점검한다. 그 결과,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VA)에 있다면, 단계(71)에서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의 코드가 “11”로 설정되고 과정은 단계(51)로 복귀한다. 반대로,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기록 영역(VA)에 있지 않는다면, 과정은 단계(70)에서 바로 단계(51)로 복귀한다.
마지막으로, 단계(65)에서 VOS 기록 모드가 지시되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 과정은 단계(65)에서 바로 단계(51)로 복귀한다.
제14도에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4도를 참조하면 회전 자기 헤드(HDa, HDb)가 있고, 이 회전 자력 헤드(HDa, HDb)에 의해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자기 테이프에서 재생된다. 여기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는 영상 신호를 기초로 형성된 디지탈 영상 신호와 함께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 및 음성 신호를 기초로 형성된 디지탈 음성 신호와 함께 부가된 부수적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다. 제14도의 실시예에서 재생을 위해 이용되는 자기테이프 위의 기록트랙은 제1도에서 자기테이프(MT)에의 기록트랙(KT)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3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배열되는 타이밍 데이타(TS),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 및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가 각각 기록 트랙(KT)에 기록된다.
제14도의 실시예에서, 자기테이프의 각각의 기록트랙으로부터 교대로 회전 자기 헤드(HDa, HDb)에 의해 재생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C)는 재생 증폭 장치(81,82)를 통해 스위치(83)에 공급된다. 스위치(83)는 회전자기 헤드(HDa, HDb)로부터 교대로 얻어지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C)를 계속적으로 발췌해 데이타 복구 정형장치(84)에 공급하게 된다. 데이타 복구 정형장치(84)에서 기록용 디지탈 정보데이타(DRC)는 자기테이프에 기록될 때 생겨난 데이타 정형을 없애기 위해 데이타 복구 정형이 행해진다.
데이타 복구 정형장치(84)로부터 얻어진 기록용 디지탈 정보데이타(DRC)는 과정 재생을 위해 시간축 조정 장치(85)에서 시간축 조정이 행해지고 데이타 분리 및 오류 정정부분(86)으에 공급된다. 데이타 분리 및 오류 정정부분(86)에서, 복합 디지탈 영상정보 데이타(VD),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AU), 및 복합 서브 코드 데이타(SC)가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DRC)로부터 분리되어 각각의 오류 정정이 행해진다. 오류 정정이 행해진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 오류 정정이 행해진 복합 디지탈 음성정보 데이타(AU), 및 오류 정정이 행해진 복합 서브 코드 데이타(SC)는 각각 데이타 분할 장치(87,88) 및 서브코드 데이타 프로세서(89)에 공급된다.
데이타 분할 장치(87)에서,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는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R)와 제1부수적 데이타(VAUX)로 나누어진다. 데이타 분할 장치(87)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R)는 데이타 부호 해독 장치(90)로 보내져 거기서 보호 해독이 행해지고 블럭화 디지탈 영상 데이타(VDB)를 발생한다. 데이타 부호 해독 장치(90)로부터 얻어진 블럭화 디지탈 영상 데이타(VDB)는 데이타 복구 장치(91)에서 복구되어 디지탈 영상 데이타(VDT)가 된다. 데이타 복구 장치(91)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영상 데이타(VDT)는 디지탈에서 아날로그화 변환기(92)에 공급되어 영상 신호(SVT)로 변환된다.
따라서, 재생된 영상 신호(SVT)가 영상 신호 출력 단자로부터 얻어진다.
데이타 분할 장치(87)로부터 얻어진 제1부수적 데이타(VAUX)는 부수적 데이타 정보 재생 부분(94)으에 공급된다. 부수적 데이타 정보 재생 부분(94)에서, 제1부수적 데이타(VAUX)에 의해 나타내어진 다양한 정보가 재생되는데, 예컨대,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의 코드와 대응되는 재생 정보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검출 출력 신호(SVRM)가 부수적 데이타 정보 재생 부분(94)으로부터 얻어지고 재생 동작 제어 장치(94)로 보내진다.
데이타 분할 장치(88)에서, 복합 디지탈 음성정보 데이타(AU)는 디지탈 음성정보 데이타(AUDR)와 제2부수적 데이타(AAUX)로 나누어진다. 데이타 분할 장치(88)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음성정보 데이타(AUDR)는 데이타 프로세서(96)에 공급되어 미리 정해진 데이타 처리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타 프로세서(96)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음성정보 데이타(AUDR)는 디지탈에서 아날로그화 변환기(97)로 보내져 음성 신호(SAT)로 변환된다.
따라서, 얻어진 음성 신호(SAT)는 음성 신호 출력단자(98)로부터 얻어진다.
데이타 분할 장치(88)로부터 얻어진 제2부수적 데이타(AAUX)는 부수적 데이타 정보재생 부분(99)에 공급된다. 부수적 데이타 정보재생 부분(99)에서, 제2부수적 데이타(AAUX)에 의해 나타내어진 다양한 정보가 재생되는데, 예컨대,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기록 모드 데이타 “REC MODE”의 코드와 관계하는 재생정보를 나타내는 기록 모드 검출 출력 신호(SARM)가 부수적 데이타 정보재생 부분(99)으로부터 얻어지고 재생 동작 제어 장치(95)로 보내진다.
기록 모드 검출 출력 신호(SVRM, SARM)가 공급되는 재생 동작 제어장치(95)에서, 복합 디지탈 음성정보(AU)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될 때 거친 기록 모드는 기록 모드 검출 출력 신호(SVRM, SARM)에 의지하여 쉽게 탐지될 수 있다.
또한, 데이타 분리 및 오류 정정부분(86)으로부터 얻어진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가 공급되는 서브코드 데이타 프로세서(89)에서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가 다양한 데이타 처리를 거치게 되는데, 예컨대,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의 코드에 대응되는 검출 출력 신호(SSC)가 얻어져 재생 동작 제어장치(95)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실시예는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낸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와 제14도에 나타낸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로 구성된다. 이들은 예컨대 회전 자기 헤드(HDa, HDb)를 사용하지 않고 기록과 재생을 위해 이용되는 회전 자기 헤드(HDA, HDB)를 갖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5(a)도 내지 제15(c)도에는 기록용 및 재생용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기록용 및 재생용 부분은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의 다른 실시예,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고 있다.
제15(a)도 내지 제15(c)도에 나타낸 장치는 기록 영역과 재생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주어진 기록 영역의 주된 부분은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낸 디지탈 정보기록장치의 실시예와 비슷한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여기서 주어진 재생 부분의 주된 부분은 제14도에 나타낸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의 실시예와 비슷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제15(a)도 내지 제15(c)도에서 제2도 및 제14도와 대응되는 블럭, 부분, 데이타 및 신호는 똑같이 참조되어 표시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서술은 생략한다.
제15(a)도 내지 제15(c)도를 참조하면, 단지 제어 신호 단자(11)와 제어 신호 단자(12)만이 모드 지정 신호(SCO)와 모드 지정 신호(SCA) 각각을 기록 모드제어 장치(15)에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고,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주어진 제어 신호 단자(13,14)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 단자는 없다. 또한, 2개의 스위치(100,101)가 주어지는데, 여기서 스위치(100)는 회전자기 헤드(HDA)와 연결된 옮겨질 수 있는 접점과, 기록 영역에 포함된 기록 증폭 장치(47)의 출력 단자와 재생 부분에 포함된 재생 증폭 장치(81)의 입력 단자에 각각 연결된 2개의 선택적 접점(R, P)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스위치(101)는 회전 자기 헤드(HDB)와 연결된 옮겨질 수 있는 접점과, 기록 영역에 포함된 기록 증폭 장치(48)의 출력 단자와 재생 부분에 포함된 재생 증폭 장치(82)의 입력 단자에 각각 연결된 2개의 선택적 접점(R, P)을 가지고 있다.
스위치(100,101)의 옮겨질 수 있는 접점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 제어 신호(SCS)에 의해 다음에 설명될 방법으로 제어된다. 이 방법은 제15(a)도 내지 제15(c)도의 장치에서 기록 동작이 실행될 때는 각각 선택적 접점(R)에 연결되고, 제15(a)도 내지 제15(c)도의 장치에서 재생 동작이 실행될 때는 각각 선택적 접점(P)에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 자기 헤드(HDA, HDB)가 기록 동작 및 재생 동작을 위해 사용된다.
제15(a)도 내지 제15(c)도의 장치에서는, 회전 자기 헤드(HDA,HDB)가 스위치(100,101)를 통해 기록 증폭 장치(47,48)와 각각 연결될 때, 기록 증폭 장치(47,48)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 영역은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낸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의 실시예에서와 실질적으로 같은 방법으로 기록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회전 자기 헤드(HDA,HDB)가 스위치(100,101)를 통해 재생 증폭 장치(81,82)와 각각 연결될 때, 재생 증폭 장치(81,82)를 포함하고 있는 재생 부분은 제14도에 나타낸 디지탈 정보재생장치의 실시예에서와 실질적으로 같은 방법으로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15(a)도 내지 제14(b)도의 장치에서 다양한 종류의 팩타이틀을 가진 데이타 팩이 데이타팩(PCDF, PCDA)으로 주어지고, 신호의 정보가 자기테이프에 기록됨을 나타내는 팩 타이틀 “SOURCE CONT”을 가진 데이타 팩을 포함하고 있다. 팩 타이틀 “SOURCE CONT”을 가진 데이타 팩으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DR)에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구성하는 S.P.와 디지탈 음성정보 데이타(AUDR)에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가 제공된다.
디지탈 영상정보 데이타(VDDR)에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VAUX)를 구성하는 S.P.는 제11도에서 주어진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다.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에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는 제16도에서와 같이 형성되며,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함을 나타내기 위해 코드 “01110011”의 팩 헤더 데이타(PC0)을 가지고 있다.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서, 팩 데이타(PC1)는 하위 6비트에 초과한 데이타나 감소된 데이타에 대응되는 데이타 “AU SIZE”, 데이타 “AU SIZE”보다 위로 1비트에 동기성과 대응되는 데이타 “SYNC”, 및 맨 상위 비트에 기록을 위한 주파수 50㎐나 60㎐에 대응되는 데이타 “50/60”를 포함하고 있다.
팩 데이타(PC2)는 하위 4비트에 음성 신호 모드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 모드 데이타 “AUDIO MODE”, 음성 신호 데이타 “AUDIO MODE”의 비트보다 위로 1비트에 특정 음성 신호 모드에 대응되는 특정 모드 데이타 “PAIR”, 특정 모드 데이타 “PAIR”의 비트보다 위로 2비트에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기록 채널수에 대응되는 데이타 “CH”, 및 맨 상위 비트에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가 기록된 기록 트랙에 대응되는 데이타 “HD”를 포함하고 있다. 팩 데이타(PC3)는 하위 3비트에 양자화 비트수에 대응되는 데이타 “QU”, 데이타 “QU”의 비트보다 위로 3비트에 표본화 주파수에 대응되는 데이타 “SMP”, 및 상위 2비트에 엠퍼시스(emphasis) 상태에 대응되는 데이타 “EMP”를 포함하고 있다. 팩 데이타(PC4)는 모두 8개의 예비 비트만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서, 음성 신호 모드 데이타 “AUDIO MODE”는 제2부수적 데이타(AAUX)가 부가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를 생기게 한 음성 신호의 신호 모드(음성 신호 모드)를 나타내고, 특정 모드 데이타 “PAIR”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가 생겨난 음성 신호가 특정 음성 신호 모드인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특정 음성 신호 모드는 기록상태가 만들어진 음성 신호 모드로서 정의되고, 여기서 기록 상태는 제1도와 같이 자기 테이프(MT)에서 10개의 인접한 기록트랙(KT)의 각각의 기록 트랙군에 할당된 기록 영역(AA1,AA2)에 각각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관계임을 나타낸다.
음성 신호 모드간의 관계에 대한 예로, 특정 모드 데이타 “PAIR”과 음성 신호 모드 데이타 “AUDIO MODE”가 제1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7도에 나타낸 관계에는 12종류의 음성 신호 모드가 주어졌다.
음성 신호 모드 “3-1 방식”은 좌신호, 우신호, 중앙신호 및 서라운드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4채널의 음성 신호 모드이다. 음성 신호 모드 “3-1 방식”의 경우에, 좌신호 및 우신호를 각각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L, R)은 기록 영역(AA1)에 기록되고, 중앙 신호 및 서라운드 신호를 각각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C, S)는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서브 부분(L, R) 및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 C, S는 서로 상관관계에 있다.
음성 신호 모드 “2-2 방식”은 좌전방 신호, 우전방 신호, 좌후방신호 및 우후방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4채널의 음성 신호 모드이다.
음성 신호 모드 “2-2 방식”의 경우에, 좌전방신호 및 우전방신호를 각각 기초로 하는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LF, RF)은 기록 영역(AA1)에 기록되고, 좌후방신호 및 우후방신호를 각각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LR, RR)는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서브 부분(LF, RF)과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 서브 부분(LR, RR)은 서로 상관관계에 있다.
음성 신호 모드 “3- 채널”은 좌신호, 우신호, 중앙 신호를 포함한 3채널의 음성 신호 모드이다. 음성 신호 모드 “3- 채널”의 경우에, 좌신호와 우신호를 각각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L, R)은 기록 영역(AA1)에 기록되고, 중앙신호를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C)은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서브 부분(L, R)과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 C는 서로 상관관계에 있다.
음성 신호 모드 “3-채널 + 모너럴(monaural)”은 좌신호, 우신호, 중앙 신호 및 모너럴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4개 채널의 음성 신호 모드이다. 음성 신호 모드 “3-채널 + 모너럴”의 경우에, 좌신호와 우신호 각각을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L, R)은 기록 영역(AA1)에 기록되고, 중앙 신호를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c)과 모너럴 신호를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M)은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L, R과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 C, M은 서로 상관관계에 있다.
음성 신호 모드 “스테레오”는 좌신호와 우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2개 채널의 음성 신호 모드이다. 음성 신호 모드 “스테레오”의 경우에, 좌신호와 우신호 각각을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L, R)은 기록 영역(AA1)에 기록되고 기록 영역(AA2)에는 데이타가 기록되지 않는다.
음성 신호 모드 “스테레오 + 스테레오”는 좌신호와 우신호 2쌍을 포함하고 있는 4개 채널의 음성 신호 모드이다. 음성 신호 모드 “스테레오 + 스테레오”의 경우에, 좌신호와 우신호 1쌍을 각각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L1, R1)은 기록 영역(AA1)에 기록되고, 좌신호와 우신호 나머지 1쌍을 각각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L2, R2)는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서브 부분(L1, R1)과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 서브 부분(L2, R2)는 상관관계에 있지 않고 각각 독립된 것이다.
음성 신호 모드 “스테레오 + 모너럴”은 좌신호와 우신호 1쌍과 모너럴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3개 채널의 음성 신호 모드이다.
음성 신호 모드 “스테레오 + 모너럴”의 경우에, 좌신호와 우신호 1쌍을 각각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L, R)은 기록 영역(AA1)에 기록되고, 모너럴 신호를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M)은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서브 부분(L, R)과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 서브 부분(M)는 상관관계에 있지 않고 각각 독립된 것이다.
음성 신호 모드 “스테레오 + 바이링걸(Bilingual)”을 좌신호 및 우신호 1쌍과 모너럴 신호 1쌍을 포함하고 있는 4개 채널의 음성 신호 모드이다. 음성 신호 모드 “스테레오 + 바이링걸”의 경우에, 좌신호 및 우신호 1쌍을 각각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L, R)은 기록 영역(AA1)에 기록되고 모너럴 신호 1쌍을 각각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M1, M2)는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서브 부분(L, R)과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 서브 부분(M1, M2)는 상관관계에 있지 않고 각각 독립된 것이다.
음성 신호 모드 “모너럴”은 단 하나의 채널을 가진 모너럴 음성 신호 모드이다. 음성 신호 모드 “모너럴”인 경우 모너럴 음성 신호를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M)은 기록 영역(AA1)에 기록되고 기록 영역(AA2)에는 아무런 데이타도 기록되지 않는다.
음성 신호 모드 “바이링걸”은 모너럴 신호 1쌍을 포함하고 있는 2개 채널의 음성 신호 모드이다. 음성 신호 모드 “바이링걸”의 경우, 모너럴 신호 1쌍을 각각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M1, M2)는 기록 영역(AA1)에 기록되고 기록 영역(AA2)에는 데이타가 기록되지 않는다.
음성 신호 모드 “바이링걸 + 모너럴”은 1쌍의 모너럴 신호와 또다른 모너럴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3개 채널의 음성 신호 모드이다. 음성 신호 모드 “바이링걸 + 모너럴”의 경우에, 1쌍의 모너럴 신호 각각을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M1, M2)는 기록 영역(AA1)에 기록되고 다른 한개의 모너럴 신호를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M)은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서브 부분(M1, M2)와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 서브 부분(M)은 상관관계가 아니고 독립적이다.
음성 신호 모드 “바이링걸 + 바이링걸”은 2쌍의 모너럴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4개 채널의 음성 신호 모드이다. 음성 신호 모드 “바이링걸 + 바이링걸”의 경우에, 2쌍의 모너럴 신호중 한쌍을 각각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M1, M2)는 기록 영역(AA1)에 기록되고, 2쌍의 모너럴 신호중 다른 한쌍을 각각 기초로 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M1′, M2′)은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다. 기록 영역(AA1)에 기록된 서브 부분(M1, M2)와 기록 영역(AA2)에 기록된 서브 부분(M1′, M2′)은 상관관계에 있지 않고 각각 독립된 것이다.
특정 코드 데이타 “PAIR”는 두 기록 영역(AA1,AA2)에서 음성 신호 모드 “3-1 방식”, “2-2 방식”, “3-채널” 또는 “3-채널 + 모너럴”에 응답하여 “1”로 설정되고, 음성 신호 모드 “스테레오”, “스테레오 + 스테레오”, “스테레오 + 모너럴”, “스테레오 + 바이링걸”, “모너럴”, “바이링걸”, “바이링걸 + 모너럴”, 또는 “바이링걸 + 바이링걸”에 응답하여 “0”으로 설정된다.
이에 반해, 음성 신호 모드 데이타 “AUDIO MODE”는 기록 영역(AA1)에서 음성 신호 모드 “3-1 방식”, “2-2 방식”, “3-채널”, “3-채널 + 모너럴”, “스테레오”, “스테레오 + 스테레오”, “스테레오 + 모너럴”, 또는 “스테레오 + 바이링걸”에 응답하여 “0001”로 설정되고, 음성 신호 모드 “모너럴”에 응답하여 “0000”로 설정되며, 및 음성 신호 모드 “바이링걸”, “바이링걸 + 모너럴”, 또는 “바이링걸 + 바이링걸”에 응답하여 “0010”으로 설정된다. 음성 신호 모드 데이타 “AUDIO MODE”가 기록 영역(AA2)에서는 음성 신호 모드 “3-1 방식”에 응답하여 “0011”로 설정되고, 음성 신호 모드 “2-1 방식”에 응답하여 “0100”으로, 음성 신호 모드 “3-채널”에 응답하여 “0101”로, 음성 신호 모드 “3-채널 + 모너럴”에 응답하여 “0110”으로, 음성 신호 모드 “스테레오”, “모너럴”, 또는 “바이링걸”에 응답하여 “1111”로, 음성 신호 모드 “스테레오 + 스테레오”에 응답하여 “0001”로, 음성 신호 모드 “스테레오 + 모너럴” 또는 “바이링걸 + 모너럴”에 응답하여 “0000”으로, 및 음성 신호 모드 “스테레오 + 바이링걸” 또는 “바이링걸 + 바이링걸”에 응답하여 “0010”으로 설정된다.
기록 동작 모드가 제15(a)도 내지 제15(c)도에 나타낸 장치에서 설정되었을 때, 먼저, 스위치(100,101)가 스위치 제어 신호(SCS)에 의해 제어되어 스위치(100)의 접점이 움직여서 선택적 접점(R)에 연결되고 스위치(101)의 접점도 움직여서 선택적 접점(R)에 또한 연결된다.
원형 기록 모드에서 기록을 위한 동작은 부수적 데이타 발생 장치(16)에서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만들기 위한 동작을 제외하고 제2(a)도 및 제2(b)도의 디지탈 정보기록장치의 실시예에 의한 방법과 거의 같게 실행된다.
원래 기록 모드에서의 부수적 데이타 발생 장치(16)에서 제1부수적 데이타(VAUX)가 만들어져 데이타 팩(PCDF, PCDA)을 포함하게 되고 제2부수적 데이타(AAUX)도 또한 만들어져 데이타 팩(PCDF, PCDA)을 포함하게 된다. 특히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특정 모드 데이타 “PAIR”와 음성 신호모드 데이타 “AUDIO MODE”에 각각 코드가 주어져서 제17도에서 보여진 관계를 만족시키게 되고, 여기서 각각의 코드는 동조기(32)로부터의 정보 신호(IX)에 의해 나타내어진 음성 신호(SAT)의 신호 모드와 기록 영역 검출 장치(21)로부터의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에 의해 나타내어진 기록 영역을 기초로 하여 결정된다.
즉, 정보 신호(IX)가 특정 음성 신호 모드를 나타내는 상황에서 기록 영역 검출 출력 신호(IA)가 기록 영역(AA1,AA2)중 하나에 회전 자기 헤드(HDA 또는 HDB)가 있다는 것을 나타낼 때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특정 모드 데이타 “PAIR”는 코드 “1”로 설정되고 그와 다른 경우에는 코드 “0”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2부수적 데이타(AAUX)는 음성 신호(SAT)가 특정 음성 신호 모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코드인 특정 모드 데이타 “PAIR”를 포함하고 있다.
원래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에서, 영상신호(SVT)의 한 프레임 주기에 대응되는 복합 디지탈 영상정보 데이타(VD) 부분과 그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 부분에 대응되는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는 제1도에서와 같이 자기 테이프(MT)에 형성된 10개의 인접한 기록 트랙(KT)의 기록 트랙군에 할당된 기록 영역(VA, AA1)에 각각 기록된다. 복합 디지탈 음성정보 데이타(AU)를 기록 영역(AA1,AA2)에 기록하는 동작은 제17도에 나타낸 관계에 따라 실행된다.
재생 동작 모드가 제15(a)도 내지 제15(c)에 나타낸 장치에서 설정되었을 때, 먼저, 스위치(100,101)가 스위치 제어 신호(SCS)에 의해 제어되어 스위치(100)의 접점이 움직여서 선택적 접점(R)에 연결되고 스위치(101)의 접점도 움직여서 선택적 접점(R)에 또한 연결된다. 제15(a)도 내지 제15(c)도의 장치에서 재생을 위해 사용되는 자기 테이프에는 제1도의 자기 테이프(MT)에 있는 기록 트랙(KT)과 같은 방법으로 기록 트랙이 형성된다. 그리고 타이밍 데이타(TS), 복합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 복합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VD), 및 복합 서브코드 데이타(SC)는 제3도에 나타낸 방법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기록트랙(KT)에 기록된다.
재생을 위한 동작은 부수적 데이타 정보재생 부분(94)에서 제1부수적 데이타(VAUX) 정보를 재생하는 동작, 부수적 데이타 정보재생 부분(99)에서 제2부수적 데이타(AAUX) 정보를 재생하는 동작, 및 데이타 프로세서(96)에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를 처리하는 동작을 제외하면 제14도의 재생용 디지탈 정보를 위한 장치의 실시예에 의한 방법과 거의 같은 방법으로 실행된다.
부수적 데이타 정보재생 부분(94)에서, 데이타 분할 장치(87)로부터 공급된 제1부수적 데이타(VAUX)가 나타내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재생된다. 그리고 재생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검출 출력 신호(SVI)가 부수적 데이타 정보 재생 부분(94)으로부터 얻어져서 재생 동작 제어 장치(94)에 공급된다.
부수적 데이타 정보 재생 부분(99)에서는 데이타 분할 장치(88)로부터 공급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나타내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재생된다. 그리고 재생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검출 출력 신호(SAI)가 부수적 데이타 정보 재생 부분(99)으로부터 얻어져서 재생 동작 제어 장치(95)로 보내진다. 정보 검출 출력 신호(SAI)에 의해 나타내어진 재생 정보는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음성 신호 모드 데이타 코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즉, 디지탈 음성정보 데이타(AUDR)가 원래 만들어진 음성 신호(SAT)의 신호 모드에 대한 정보와 음성 신호 모드 데이타 “AUDIO MODE”의 코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정보 검출 출력 신호(SAI)에 의하여 데이타 프로세서(96)로 보내진다. 또한, 부수적 데이타 정보재생 부분(99)에서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특정 모드 데이타 “PAIR”의 코드가 검출되며, 그 특정 모드 데이타 “PAIR”의 검출된 코드를 나타내는 특정 모드 데이타 검출 출력 신호(SPR)가 부수적 데이타 정보재생 부분(99)으로부터 얻어져 데이타 프로세서(96)에 공급된다.
데이타 프로세서(96)에서는 데이타 분할 장치(88)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에 적당한 데이타 처리가 행해지는데 이는 음성 신호 모드 데이타 “AUDIO MODE”의 코드와 특정 모드 데이타 “PAIR”의 코드에 의지해 실행되는 재생을 위한 것이다.
모드지령신호(SCA)가 제어신호단자(12)에 공급되어 나중 기록 모드가 지시되었을 때, 재생 동작 모드는 각각의 회전자기 헤드(HDA,HDB)가 기록 영역(AA2)에서 주사하는 것에 앞서 기록 영역(AA1) 주사를 행할 때 한번 설정된다. 각각의 회전 자기 헤드(HDA,HDB)가 기록 영역(AA1)을 주사함으로써 재생이 실행되는 동안, 제2부수적 데이타(AAUX)를 구성하는 S.P.에 특정 모드 데이타 “PAIR”의 코드가 부수적 데이타 정보재생 부분(99)에서 검출된다.
그리고, 그 특정 모드 데이타 “PAIR”의 검출된 코드를 나타내는 특정 모드 데이타 검출 출력 신호(SPR)가 부수적 데이타 정보재생 부분(99)에서 기록 모드제어장치(15)에 공급된다. 특정 모드 데이타 검출 출력 신호(SPR)가 공급된 기록 모드제어장치(15)에서, 특정 모드 데이타 검출 출력 신호(SPR)에 의해 나타내어진 특정 모드 데이타 “PAIR” 코드를 기초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를 만들었던 원래의 음성 신호(SAT)가 특정 음성 신호 모드인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다시 말하면, 기록 모드 제어장치(15)에 의해 기록 영역(AA1,AA2)에 각각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의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관계인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점검 결과 기록 영역(AA1,AA2)에 각각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의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관계에 있으면, 기록 모드제어장치(15)에서 나중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이 기록 영역(AA1,AA2)에 실행되지 말아야 하며 나중 기록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신호(SS)가 기록 모드제어장치(15)로부터 앞으로 전달되지 않음을 뜻한다. 이와 같은경우 나중 모드에서의 기록은 기록부분에서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록 영역(AA,AA2)에 각각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서브 부분은 서로 상관관계에 있기 위해서 부주의하게 실행되는 나중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으로부터 생기는 피해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또한, 기록 모드제어장치(15)에서의 점검에 의해 기록 영역(AA1,AA2) 각각에 기록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AUDR)의 서브 부분이 상관관계가 아니고 각각 독립적인 것이 확인되면, 나중 기록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신호(SS)는 기록 모드제어장치(15)로부터 앞으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나중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 동작이 기록용 부분에서 실행된다. 이 경우에 스위치(100,101)는 각각의 회전 자기 헤드(HDA,HDB)가 기록 영역(AA2)에서 주사를 시작하기 전에 기록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움직일 수 있는 스위치의 접점을 해당하는 선택적 접점(R)에 연결하도록 제어된다. 나중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은 제2(a)도 및 제2(b)도의 기록용 디지탈 정보를 위한 장치의 실시예에서 나중 기록 모드에서 기록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된다.

Claims (13)

  1.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영상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영상 신호를 디지탈화하는 수단과; 음성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는 수단과;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에 부가될 제1부수적 데이타와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에 부가될 제2부수적 데이타를 발생하는 수단과;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도록 동작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의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기록을 위해 복수의 기록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동작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
  2.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영상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영상 신호를 디지탈화하는 제1디지탈화 수단과; 음성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는 제2디지탈화 수단과;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에 부가될 제1부수적 데이타와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에 부가될 제2부수적 데이타를 발생하는 부수적 데이타 발생 수단과;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상기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는 기록용 데이타 발생 수단과; 상기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도록 동작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의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기록을 위해 복수의 기록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동작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부수적 데이타 발생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설정된 기록 모드에 대응되도록 선택된 코드를 가진 기록 모드 데이타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를 발생하는 동작을 하는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지탈화 수단은 일련의 데이타 블럭의 형태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2디지탈화 수단은 일련의 데이타 블럭의 형태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부수적 데이타 발생 수단은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의 각 데이타 블럭에 부가될 제1부수적 데이타와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각 데이타 블럭에 부가될 제2부수적 데이타를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적 데이타 발생 수단은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가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지 않아야 함을 지시하는 특정 코드를 선택적으로 가지도록 상기 기록 모드 데이타를 발생하는 동작을 하는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
  5.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영상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영상 신호를 디지탈화하는 제1디지탈화 수단과; 음성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는 제2디지탈화 수단과;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에 부가될 제1부수적 데이타와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에 부가될 제2부수적 데이타를 발생하는 부수적 데이타 발생 수단과;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는 기록용 데이타 발생 수단과; 상기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도록 동작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의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기록을 위해 복수의 기록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동작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부수적 데이타 발생 수단은 상기 제2디지탈화 수단에 공급된 음성 신호가 특정 음성 신호 모드의 신호인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특정 모드 데이타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제2부수적 데이타를 발생하는 동작을 하는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지탈화 수단은 일련의 데이타 블럭의 형태로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2디지탈화 수단은 일련의 데이타 블럭의 형태로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부수적 데이타 발생 수단은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의 각 데이타 블럭에 부가될 제1부수적 데이타와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각 데이타 블럭에 부가될 제2부수적 데이타를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각 부분을 이 부분을 구성하는 서브 부분이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제1 및 제2기록 영역에 각각 기록될 수 있도록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동작을 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의 상기 부분은 영상 신호의 소정의 단위 기간에 대응하는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의 부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부수적 데이타 발생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기록 영역 상에 각각 기록된 상기 서브 부분이 서로 상관 관계에 있는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상기 특정 모드 데이타를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디지탈 정보 기록 장치.
  8.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로부터,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분리하는 수단과;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제1부수적 데이타로 분할하는 제1분할 수단과;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제2부수적 데이타로 분할하는 제2분할 수단과; 영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1분할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수단과; 음성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2분할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분할 수단으로부터 각각 얻어진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를 기초로 정보를 얻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
  9.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이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도록 동작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로부터,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분리하는 데이타 분리 수단과;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제1부수적 데이타로 분할하는 제1데이타 분할 수단과;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제2부수적 데이타로 분할하는 제2데이타 분할 수단과; 영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1데이타 분할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영상 데이타 처리 수단과; 음성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2데이타 분할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음성 데이타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데이타 분할 수단으로부터 각각 얻어진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를 기초로, 상기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에 포함된 기록 모드 데이타의 코드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얻도록 동작하는 정보 재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
  10.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이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도록 동작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로부터,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분리하는 데이타 분리 수단과;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제1부수적 데이타로 분할하는 제1데이타 분할 수단과;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제2부수적 데이타로 분할하는 제2데이타 분할 수단과; 영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1데이타 분할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영상 데이타 처리 수단과; 음성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2데이타 분할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음성 데이타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데이타 분할 수단으로부터 각각 얻어진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를 기초로, 상기 제2부수적 데이타에 포함된 특정 모드 데이타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얻도록 동작하는 정보 재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디지탈 정보 재생 장치.
  11.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영상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영상 신호를 디지탈화하는 수단과; 음성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는 수단과;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에 부가될 제1부수적 데이타와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에 부가될 제2부수적 데이타를 발생하는 수단과;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상기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도록 동작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의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기록을 위해 복수의 기록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동작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로부터,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분리하는 수단과;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제1부수적 데이타로 분할하는 제1분할 수단과;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제2부수적 데이타로 분할하는 제2분할 수단과; 영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1분할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수단과; 음성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2분할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분할 수단으로부터 각각 얻어진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를 기초로 정보를 얻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12.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영상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영상 신호를 디지탈화하는 제1디지탈화 수단과; 음성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는 제2디지탈화 수단과;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에 부가될 기록 모드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제1부수적 데이타와,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에 부가될 기록 모드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제2부수적 데이타를 발생하는 부수적 데이타 발생 수단과;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상기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는 기록용 데이타 발생 수단과; 상기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도록 동작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의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기록을 위해 복수의 기록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동작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재생하도록 동작하는 데이타 재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로부터,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분리하는 데이타 분리 수단과;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제1부수적 데이타로 분할하는 제1데이타 분할 수단과;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제2부수적 데이타로 분할하는 제2데이타 분할 수단과; 영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1데이타 분할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영상 데이타 처리 수단과; 음성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2데이타 분할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음성 데이타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데이타 분할 수단으로부터 각각 얻어진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를 기초로, 상기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에 포함된 기록 모드 데이타의 코드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얻도록 동작하는 정보 재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13.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영상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영상 신호를 디지탈화하는 제1디지탈화 수단과; 음성 신호를 기초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음성 신호를 디지탈화하는 제2디지탈화 수단과;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에 부가될 제1부수적 데이타와, 상기 제2디지탈화 수단에 공급된 음성신호가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에 부가될 특정 음성 신호 모드의 신호인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특정 모드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제2부수적 데이타를 발생하는 부수적 데이타 발생 수단과;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상기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상기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상기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발생하는 기록용 데이타 발생 수단과; 상기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도록 동작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의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의 기록을 위해 복수의 기록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동작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를 재생하도록 동작하는 데이타 재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기록용 디지탈 정보 데이타로부터,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분리하는 데이타 분리 수단과; 부가된 제1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와 제1부수적 데이타로 분할하는 제1데이타 분할 수단과; 부가된 제2부수적 데이타가 수반된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와 제2부수적 데이타로 분할하는 제2데이타 분할 수단과; 영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1데이타 분할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영상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영상 데이타 처리 수단과; 음성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2데이타 분할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디지탈 음성 정보 데이타를 처리하는 음성 데이타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데이타 분할 수단으로부터 각각 얻어진 제1 및 제2부수적 데이타를 기초로, 상기 제2부수적 데이타에 포함된 특정 모드 데이타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얻도록 동작하는 정보 재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19940008816A 1993-04-23 1994-04-23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289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097538 1993-04-23
JP09753893A JP3371154B2 (ja) 1993-04-23 1993-04-23 ディジタル情報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9761B1 true KR100289761B1 (ko) 2001-05-15

Family

ID=14195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816A KR100289761B1 (ko) 1993-04-23 1994-04-23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87276A (ko)
EP (1) EP0621731B1 (ko)
JP (1) JP3371154B2 (ko)
KR (1) KR100289761B1 (ko)
AU (1) AU684262B2 (ko)
DE (1) DE6941708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4646B1 (en) * 1994-01-20 2007-08-08 Sony Corporation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s
DE69603118T2 (de) * 1995-04-11 2000-02-03 Toshiba Kawasaki Kk Aufzeichnungdmedium, -gerät und -methode zur Aufzeichnung von Daten auf einem Aufzeichnungsmedium, und Wiedergabegerät und -methode zur Wiedergabe von Daten von einem Aufzeichnungs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4383A (ja) * 1982-03-25 1983-09-29 Sony Corp ビデオ信号記録装置
US4703369A (en) * 1983-09-26 1987-10-27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Video format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US5012352A (en) * 1987-08-10 1991-04-30 Canon Kabushiki Kaisha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time-division multiplexing video and audio signals
JP2721356B2 (ja) * 1988-06-29 1998-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情報記録方法
US5132807A (en) * 1988-07-28 1992-07-2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main information with additional information
JPH0447877A (ja) * 1990-06-15 1992-02-18 Aiwa Co Ltd ディジタル信号の記録再生方式
JPH0461669A (ja) * 1990-06-27 1992-02-27 Sony Corp Vtr
JPH0468878A (ja) * 1990-07-06 1992-03-04 Pioneer Electron Corp 情報再生装置
EP0479188B1 (en) * 1990-10-01 1996-02-07 Sony Corporation Disc reproducing apparatus
JPH03156764A (ja) * 1990-10-26 1991-07-04 Sony Corp デジタルvtr
JPH04278262A (ja) * 1991-03-05 1992-10-02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EP0503859B1 (en) * 1991-03-12 1998-01-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signal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JP2947978B2 (ja) * 1991-06-21 1999-09-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3508138B2 (ja) * 1991-06-25 2004-03-22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JPH0574007A (ja) * 1991-09-17 1993-03-26 Sony Corp デイジタルvtr
US5438463A (en) * 1992-12-28 1995-08-01 Teac Corporation Magnetic video and audio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recording input video and audio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17088D1 (de) 1999-04-22
EP0621731A3 (en) 1995-02-01
EP0621731A2 (en) 1994-10-26
JPH06309806A (ja) 1994-11-04
DE69417088T2 (de) 1999-10-14
EP0621731B1 (en) 1999-03-17
AU5946294A (en) 1994-10-27
US5687276A (en) 1997-11-11
JP3371154B2 (ja) 2003-01-27
AU684262B2 (en)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2352A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time-division multiplexing video and audio signals
US4583132A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cessing monaural, stereo and bilingual signals
US4468710A (en) Digital video recorder
EP06824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digital audio signal made up of a plurality of audio channel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se
US5101274A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time-division multiplexing video and audio signals
US6317557B1 (en) Digital signal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0289761B1 (ko) 디지탈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EP0306964B1 (en) Recording apparatus
US5790500A (en)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converted four-channel audio signals
JP3441748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5323273A (en) Audio signal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of magnetic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JP3371153B2 (ja) ディジタル情報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EP1049332B9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recording digital information signal
JPH0520798A (ja) 映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KR0144784B1 (ko) 오디오 더빙데이타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WO1996031879A2 (en) Various recording/reproduction modes in recording/reproducing a digital information signal and at least one digital auxiliary signal
EP0693214A1 (en) Arrangement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a digital video signal and a corresponding digital audio signal
JPH05103290A (ja) 未使用音声記録エリアに付加情報を記録する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479071A (ja) 音声信号記録装置
JPH0750070A (ja) 記録再生装置
JPS6110436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65511A (ja)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JPH06121270A (ja) 記録再生装置
JPH06150567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式
JPH06209453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