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574B1 - 차량용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574B1
KR100288574B1 KR1019970066276A KR19970066276A KR100288574B1 KR 100288574 B1 KR100288574 B1 KR 100288574B1 KR 1019970066276 A KR1019970066276 A KR 1019970066276A KR 19970066276 A KR19970066276 A KR 19970066276A KR 100288574 B1 KR100288574 B1 KR 100288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rank
link
vehicle
shif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7760A (ko
Inventor
송준규
Original Assignee
밍 루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루,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밍 루
Priority to KR1019970066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574B1/ko
Publication of KR19990047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6Means, e.g. links, for connecting the pedal to the controlle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풋 브레이크(Foot Break)가 핸드 브레이크(Side Break)로서 기능을 병행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1)로 연결되는 풋 브레이크페달(2)의 일측 선단에 톱니 형상으로 되는 다수의 치차(20)를 형성하고, 중앙부가 차체에 축핀으로 고정되어 서로 상대되는 시이소오 운동하는 링크(3)가 페달(2)과 인접되게 고정 배치되어 페달(2)이 회동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되고, 상기 링크(3)의 양단부(31,33)는 리턴스프링(4,5)과 연결되어 평형을 이루도록 되고, 상기 리턴스프링(5)은 변속기의 크랭크(6)와 연결된 와이어(7)에 고정되어 변속레버(8)에 의해 크랭크(6)와 링크(3)가 연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크랭크(6)는 변속레버(8)를 주차 위치 즉, "P"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크랭크(6)의 한쪽 단이 밀리면서 타측 단에 연결된 와이어(7)를 잡아당기는 구성으로 된 것임.

Description

차량용 제동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풋 브레이크(Foot Break)가 핸드 브레이크(Side Break)로서 기능을 병행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제동장치에는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풋 브레이크(Foot Break)와 정차 또는 주차 상태에서 후륜에 제동력을 가하는 핸드 브레이크(Side Break)가 함께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제동장치에 있어 핸드 브레이크는 주차 후 운전자가 핸드 브레이크 손잡이를 잡아당김에 따라 후륜의 브레이크 드럼과 연결된 와이어가 잡아당겨지며 후륜을 제동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하지만 핸드 브레이크는 제동력의 크기가 작아서 언덕길에 주차하는 경우 미끄러져 내리는 문제점이 있어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P"의 위치로 조정하여야만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그러나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를 "P"의 위치하게 되면 변속기의 출력단이 치형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록킹 상태를 이루게 되어, 운전자가 시동을 걸고 차량을 출발하고자 할 때 "더기덕" 하는 이음이 발생하고, 변속기 자체에도 무리한 외력이 가해져 변속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의 풋 브레이크의 구조 개선을 통해 풋 브레이크가 핸드 브레이크와 같은 기능과 역할을 병행할 수 있게하여 하나의 브레이크장치 즉, 풋 브레이크 이외에 별도로 핸드 브레이크를 장착하는 번거러움이 없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인바, 이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힌지 2 : 페달
3 : 링크 4,5: 리턴스프링
6 : 레버 7 : 와이어
8 : 변속레버 20: 치차
본 발명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1)로 연결되는 풋 브레이크페달(2)의 일측 선단에 톱니 형상으로 되는 다수의 치차(20)를 형성하고, 중앙부가 차체에 축핀으로 고정되어 서로 상대되는 시이소오 운동하는 링크(3)가 페달(2)과 인접되게 고정 배치되어 페달(2)이 회동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되고, 상기 링크(3)의 양단부(31,33)는 리턴스프링(4,5)과 연결되어 평형을 이루도록 되고, 상기 리턴스프링(5)은 변속기의 크랭크(6)와 연결된 와이어(7)에 고정되어 변속레버(8)에 의해 크랭크(6)와 링크(3)가 연동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크랭크(6)는 변속레버(8)를 주차 위치 즉, "P"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크랭크(6)의 한쪽단이 밀리면서 타측단에 연결된 와이어(7)를 잡아당기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속레버(8)가 주차 위치("P")를 제외한 위치에 있으면 링크(3)는 리턴스프링(4)에 의하여 페달(2)에 형성된 톱니 모양의 가공면과 서로 접촉되는 일이 없게 되어 풋 브레이크페달(2)은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변속레버(8)를 "P" 위치로 옮기면서 브레이크 제동시처럼 풋 브레이크페달(2)을 깊게 밟거나, 풋 브레이크페달(2)을 밟으면서 변속레버(8)를 "P" 위치로 이동시키면, "P"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변속레버(8)가 크랭크(6)와 접촉되고, 이때 크랭크(6)는 핀축을 기점으로 한쪽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처럼 변속레버(8)에 의해 크랭크(6)가 회동될 때, 크랭크(6)의 타측 단은 와이어(7)가 잡아당기게 되어 결국 링크(3)의 선단(31)은 톱니 형상의 치차(20)쪽으로 회동되어지며 치차(20)와 접촉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주차 시에 밟아 놓은 풋 브레이크페달(2)에서 발을 떼더라도 페달(2)은 링크(3)에 의해 다시 후퇴할 수 없게 되어 페달(2)을 일부러 밟지 않더라도 브레이크가 작동되게 되어 주차 브레이크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풋 브레이크에 별도의 장치를 부가하여 주차 브레이크로서의 기능을 병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핸드 브레이크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는 경사가 심한 곳에서 주차할 경우 핸드 브레이크의 힘만으로는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은 기존의 풋 브레이크 장치의 구조 개선을 통해 풋 브레이크가 전/후륜을 제동하는 주차 브레이크로서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충분한 제동력이 확보됨은 물론 안정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로 핸드 브레이크를 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 생산시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1)로 고정되는 풋 브레이크페달(2)에 톱니형 치차(20)가 형성되고, 중앙부가 차체에 축핀으로 고정되어 서로 상대되는 시이소오 운동하는 링크(3)가 페달(2)과 인접되게 고정 배치되어 페달(2)이 회동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되고, 상기 링크(3)의 양단부(31,33)는 리턴스프링(4,5)과 연결되어 평형을 이루도록 되고, 상기 리턴스프링(5)은 변속기의 크랭크(6)와 연결된 와이어(7)에 고정되어 변속레버(8)에 의해 크랭크(6)와 링크(3)가 연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6)는 변속레버(8)를 주차 위치("P"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크랭크(6)의 한쪽 단이 밀리면서 타측 단에 연결된 와이어(7)를 잡아당기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KR1019970066276A 1997-12-05 1997-12-05 차량용제동장치 KR100288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276A KR100288574B1 (ko) 1997-12-05 1997-12-05 차량용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276A KR100288574B1 (ko) 1997-12-05 1997-12-05 차량용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760A KR19990047760A (ko) 1999-07-05
KR100288574B1 true KR100288574B1 (ko) 2001-07-12

Family

ID=3751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276A KR100288574B1 (ko) 1997-12-05 1997-12-05 차량용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49B1 (ko) 2008-03-13 2010-07-06 이해석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49B1 (ko) 2008-03-13 2010-07-06 이해석 차량용 핸드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760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8574B1 (ko) 차량용제동장치
KR100259244B1 (ko) 풋 작동식 주차 브레이크
KR970007714B1 (ko) 자동변속기의 주차브레이크 장치
KR0124644Y1 (ko) 기어를 구비한 주차 브레이크
KR200230994Y1 (ko) 높이조절식 페달장치
KR19980017365A (ko) 주차용 풋 브레이크
KR200143693Y1 (ko)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풀림 방지장치
KR100224180B1 (ko) 버튼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KR970008054B1 (ko)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의 로킹장치
KR200145750Y1 (ko) 차량의 제동장치
KR100405529B1 (ko) 자동변속기의 기어 중립시 보조브레이크장치
KR0176358B1 (ko) 자동차의 클러치구조
KR100230204B1 (ko) 족답식 파킹 브레이크 중간레버장치
KR0152618B1 (ko) 자동차용 풋 브레이크를 이용한 파킹 해제장치
KR19990011011U (ko) 주차브레이크 자동해제장치
KR20050093990A (ko) 자동차용 드럼 브레이크
KR19990049817A (ko) 풋 작동식 주차 브레이크
KR19990027428A (ko) 주차 브레이크의 릴리스 구조
KR19980049086A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KR19980017360A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레버
KR19980028362U (ko) 트랜스미션을 이용한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970069719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19980013336U (ko) 주차용 풋 브레이크
KR19980060477A (ko) 수동 변속용 차량의 급제동시 시동 꺼짐 방지 시스템
KR19980023593U (ko) 차량용 주차브레이크의 노이즈감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