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199B1 -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방법 및 지지구조물 - Google Patents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방법 및 지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199B1
KR100286199B1 KR1019980708398A KR19980708398A KR100286199B1 KR 100286199 B1 KR100286199 B1 KR 100286199B1 KR 1019980708398 A KR1019980708398 A KR 1019980708398A KR 19980708398 A KR19980708398 A KR 19980708398A KR 100286199 B1 KR100286199 B1 KR 100286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vibration
mounts
gravity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551A (ko
Inventor
다카시 노자와
다다시 기무라
가츠히코 야마모토
히로키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2000001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60K5/1216Resilient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pports relative to the motor o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04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with the engine main axis, e.g. crankshaft axis, transversely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3 개의 마운트(32, 34, 36)는, 엔진의 전후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피칭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전후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요잉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폭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롤링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폭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요잉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상하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피칭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게 되고, 엔진의 상하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롤링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도록 정해져 있다.

Description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방법 및 지지구조물
승용차의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를 복수의 마운트를 개재하여 차체에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엔진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관성 주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상기 무게중심을 도심(圖心)으로 하는 정삼각형을 생각하고, 이 정삼각형의 한 변을 상기 관성 주축선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정삼각형의 정점(頂点) 부근에 마운트를 배치한 것이 있다(일본 실용신안공개 소 63-133408 호 공보). 또한,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의 롤링 운동에 대한 관성 주축선상과 피칭 운동에 대한 관성 주축선상에 진동 방지 고무 장치를 배치한 것이 있다(일본 특허공개 소 59-167327 호 공보).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의 진동 현상, 특히, 저주파의 진동 현상은, 상기 조립체의 고유값이나 고유 모드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상기 고유값이나 고유 모드는, 상기 조립체의 관성 제원, 마운트의 위치 및 마운트의 스프링 상수로 정해진다. 여기서, 관성 제원은 차체마다 주어지는 것으로 하면, 상기 조립체를 차체에 지지하기 위한 진동을 고려한 파라미터는, 마운트의 위치와 마운트의 스프링 상수이지만, 상기 공보에 기재된 지지 구조는 어느것이나, 마운트의 위치만을 제안하는 것에 머무르고 있다.
한편, 상기 조립체에 생기는 진동 현상과, 이 진동 현상에 대처하는 수단으로는, 진동 현상을 해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즉, 불규칙 연소에 의한 저주파 엔진 세이크 진동 현상에서는, 조립체에 각각 가해지는 엔진의 상하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피칭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고, 가감속시에 발생하는 엔진 와인드업 진동 현상이나, 불규칙 연소에 의한 저주파 아이들링 진동 현상에서는, 조립체에 각각 가해지는 엔진의 폭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롤링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또한, 조립체에 각각 가해지는 엔진의 상하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롤링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는 것이지만, 상기 일본 특허공개 소 59-167327 호 공보에 기재된 지지 구조는, 상기 조립체에 생기는 진동 현상에 종합적으로 대처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자동차, 특히 승용차의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를 차체에 지지하는 방법 및 조립체의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를 지지하는 방법의 실시에 사용된 3 자유도의 진동의 간이 모델도이다.
도 2는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조립체의 배면도로, 무게중심으로부터 3 개의 마운트까지의 치수를 추가하고 있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조립체의 측면도로, 무게중심으로부터 3 개의 마운트까지의 치수를 추가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의 지지 구조의 실시예의 사시도로, 평면에는 사선을 넣어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의 지지 구조의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평면도, (c)는 사시도이고, 평면에는 사선을 넣어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의 지지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평면도이고, 평면에는 사선을 넣어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의 지지 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자동차에 작용하는 굽힘 모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를 복수의 마운트를 통해 차체에 지지할 때의 마운트의 위치와 스프링 상수를 적절히 정할 수 있는, 엔진과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에 생기는 진동 현상에 종합적으로 대처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의 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엔진의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스프링 기능을 각각 가지는 3 개의 마운트를,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의 무게중심 또는 그 근방을 지나는 평면내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무게중심을 상기 3 개의 마운트로 만들어지는 삼각형 내에 위치시켜 상기 조립체를 지지하는 방법이다. 이 지지 방법은, 상기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3 개의 마운트의 엔진의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위치를 각각 (l1, w1, h1), (l2, w2, h2), (l3, w3, h3)으로 하고, 상기 3 개의 마운트의 엔진의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스프링 상수를 각각 (kl1, kw1, kh1), (kl2, kw2, kh2), (kl3, kw3, kh3)으로 할 때,
을 만족하도록, 상기 3 개의 마운트의 상기 위치와 상기 스프링 상수를 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3 개의 마운트는,
h1+h2+h3=0, 또한, l1+l2+l3=0
이 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 개의 마운트는, 상기 조립체의 무게중심이 3 개의 마운트로 만들어지는 삼각형내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무게중심 또는 그 근방을 지나는 평면 내에 배치하지만, 이 배치는, 2 개의 마운트와 무게중심이 1 개의 평면내에 있고, 무게중심의 둘레의 회전 진동과, 병진 진동이 마운트에 가해진다고 가정된, 3 자유도(自由度)의 진동의 간이 모델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으로부터 5 개의 연립 방정식이 얻어지지만, 변수는 이것보다 많다. 그래서, 자동차에 필요하게 되는 몇개의 구속 조건을 주도록 한다. 예를 들면, 엔진과 변속기 조립체의 배치는, 차체의 엔진실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정해지고, 마운트의 위치도 실질적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이들 위치를 미리 정해진 상태로 유지할 때, 마운트의 스프링 상수는 어떻게 정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반대로, 3 개의 마운트 각각의 차체의 전후 방향과 차체의 폭 방향과의 스프링 상수를 동등하게 하거나, 마운트 전체의 동일 방향의 스프링 상수를 일정하게 하거나 하는 조건을 부여하여, 마운트의 위치를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으로부터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엔진의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스프링 기능을 각각 가지는 3 개 또는 4 개의 마운트에 의해서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를 차체에 지지하는 구조이다. 상기 마운트는, 마운트로 만들어지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이 상기 조립체의 무게중심을 둘러싸도록 상기 무게중심 또는 그 근방을 지나는 평면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트는, 상기 마운트에 가해지는, 엔진의 전후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피칭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전후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요잉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폭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롤링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폭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요잉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상하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피칭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게 되고, 엔진의 상하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롤링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도록 정해진다.
상기 무게중심 또는 그 근방을 지나는 상기 평면은, 상기 엔진의 관성 주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조립체는, 엔진의 크랭크축의 회전축선이 차체의 폭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차체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게중심 또는 그 근방을 지나는 상기 평면은, 상기 엔진의 관성 주축선 방향에서 본 상기 조립체의 관성 모멘트의 관성 주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상기 조립체의 토크 롤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지지 방법에 의하면, 조립체의 무게중심이 3 개의 마운트와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 내에 있고 3 개의 마운트로 만들어지는 삼각형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립체의 무게중심 주위의 회전 진동이 생기더라도, 조립체의 병진 운동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추가하여,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의한 평형의 식으로부터, 별지에 기재한 표 1에 나타낸 행렬(matrix)을 만족하기 위한 마운트의 위치와 스프링 상수가 구비해야 할 조건이 얻어진다. 이것에 의해서, 3 개의 마운트의 위치와 스프링 상수를 최적으로 선정할 수가 있다.
상기 3 개의 마운트가, h1+h2+h3=0, 또한, l1+l2+l3=0 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3 개의 마운트의 스프링 상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 구조에 의하면, 3 개 또는 4 개의 마운트의 위치와 스프링 상수를 최적으로 선정한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지지 구조에 의해서,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를 차체에 지지할 때, 조립체에 가해지는 진동에 종합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차체 엔진실의 공간, 차체의 감도, 마운트를 장치하는 브래킷의 강성, 마운트의 형상 등을 고려한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무게중심 또는 그 근방을 지나는 상기 평면이 상기 엔진의 관성 주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한 상하 방향의 힘이 마운트에 입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방향의 강성이 비교적 낮은 차체에서 유리하다.
상기 조립체가, 엔진의 크랭크축의 회전축선이 차체의 폭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차체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경우, 관성 주축선이 차체의 폭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차체의 전방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차체의 굽힘 모드의 마디 근방에 조립체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엔진으로부터 차체로의 진동의 입력점이 차체가 진동하기 어려운 장소로 되는 것으로, 특히, 아이들링 진동에 유리하다.
상기 무게중심 또는 그 근방을 지나는 상기 평면이, 상기 엔진의 관성 주축선 방향에서 본 상기 조립체의 관성 모멘트의 관성 주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상기 조립체의 토크 롤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선정되는 경우, 몇개의 진동 현상 중의 특정한 것에 우선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본적인 지지 구조에 의해서 조립체에 가해지는 진동에 종합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이유이지만, 이것에 의하여도, 특정한 진동에의 대처가 불충분한 때, 조립체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평면의 위치를 선정하고, 다시 유효한 진동 대책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들링 진동을 중시할 때, 평면을 토크 롤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에 가까이 하고, 그 밖의 때에는 평면을 관성 주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에 가까이 한다.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를 지지하는 방법의 실시에 있어서, 엔진의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스프링 기능을 각각 가지는 3 개의 마운트를, 상기 조립체의 무게중심 또는 그 근방을 지나는 평면내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무게중심을 상기 3 개의 마운트로 만들어지는 삼각형내에 위치시킨다. 무게중심의 상기 배치는 다음과 같이 하여 얻어졌다.
진동 현상, 특히 저주파의 진동 현상에는 상기 조립체의 고유값 및 고유 모드의 영향이 크고, 고유값이나 고유 모드는, 엔진의 관성 제원, 마운트의 위치 및 마운트의 스프링 상수식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관성 제원은 자동차에 의해서 주어지는 것으로 하면, 파라미터는 마운트의 위치와 마운트의 스프링 상수식이다. 그래서, 도 1에 나타내는 것 같은 3 자유도의 간이 모델을 생각한다. 진동체(20)가 2 개의 마운트(22, 24)에 의해서 지지되고, 그 무게중심(G)이 x 방향의 길이(21)의 무게중심에서, z 방향의 h에 있고, 회전 토크(T)를 받아 회전 진동하는 것으로 한다. 진동체(20)의 관성 모멘트를 I, 질량을 m, 마운트(22, 24)의 x 방향의 스프링 상수를 kx1, kx2, z 방향의 스프링 상수를 kz1, kz2로 하면, 별지에 기재한 다음 운동방정식이 얻어진다.
또한, 수학식 4, 수학식 5 및 수학식 6 중의 h', l'는 다음과 같다.
수학식 4, 수학식 5 및 수학식 6을 x 에 대하여 풀면, 다음 식이 얻어진다
또한, 수학식 9 중의 s는 라플라스 연산자이다. 따라서, 회전 토크(T)의 입력에 대하여 x 방향으로 진동하지 않는 조건은, kx1+kx2〉0 이므로, h'=0으로 되고, 수학식 7로부터 h=0이 얻어진다. 즉, 무게중심(G)이 2 개의 마운트(22, 24)를 연결하는 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다. 3 개의 마운트의 임의의 2 개에 관해서 수학식 9가 성립하기 때문에, 결국, 3 개의 마운트에 의해서 진동체(20)를 지지할 때, 진동체(20)의 무게중심(G)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에 의해서 병진 진동하지 않는 조건은, 진동체(20)의 무게중심은 3 개의 마운트로 만들어지는 평면상에 있으며, 3 개의 마운트에 둘러싸여 있지 않으면 않되도록 된다.
엔진(26)과 변속기(28)의 조립체(30)의 무게중심(G)과, 3 개의 마운트(32, 34, 36)를 평면상에 배치하고, 또한, 무게중심(G)을 3 개의 마운트로 만들어지는 삼각형내에 위치시키는 것을 전제로 하여, 다음에, 3 개의 마운트의 위치와 3 개의 마운트의 스프링 상수식을 정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것같이, 3 개의 마운트(32, 34, 36)는, 엔진의 전후 방향(L)의 진동과 엔진의 피칭(P)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전후 방향(L)의 진동과 엔진의 요잉(Y)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폭 방향(W)의 진동과 엔진의 롤링(R)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폭 방향(W)의 진동과 엔진의 요잉(Y)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상하 방향(H)의 진동과 엔진의 피칭(P)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게 되고, 엔진의 상하 방향(H)의 진동과 엔진의 롤링(R)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도록 정해진다. 이것을 행렬로 정리한 것이 별지에 기재한 표 1이다.
마운트(32)의 무게중심(G)을 기준으로 한 엔진의 전후 방향(L), 폭 방향(W) 및 상하 방향(H)의 위치를 (l1, w1, h1)로 하고, 마운트(34)의 각각의 방향의 위치를 (l2, w2, h2)로 하고, 마운트(36)의 각각의 방향의 위치를 (l3, w3, h3)으로 한다. 또한, 마운트(32)의 엔진의 전후 방향(L), 폭 방향(W) 및 상하 방향(H)의 스프링 상수를 (kl1, kw1, kh1)으로 하고, 마운트(34)의 각각의 방향의 스프링 상수를 (kl2, kw2, kh2)로 하고, 마운트(36)의 각각의 방향의 스프링 상수를 (kl3, kw3, kh3)로 한다. 3 개의 마운트(32, 34, 36)가 표 1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각 방향이 평형을 이루어야 하므로 적어도 다음 수학식을 만족하지 않으면 안된다.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
이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으로부터 마운트(32, 34, 36)의 위치와 스프링 상수가 결정된다.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만족하면서, 3 개의 마운트의 스프링 상수를 동일하게 하는 조건은,
h1+h2+h3=0, 또한, l1+l2+l3=0
이 되는 위치에 3 개의 마운트를 배치하는 것이다.
마운트(32, 34, 36)는, 도 5에 나타내는 것같이, 조립체(30)의 무게중심(G)과 3 개의 마운트(32, 34, 36) 각각의 무게중심이 평면(PL) 상에 위치하고, 또한, 무게중심(G)이 3 개의 마운트(32, 34, 36)로 만들어지는 삼각형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배치상 기타의 제약으로부터, 엄밀하게 무게중심(G)과 3 개의 마운트 각각의 무게중심을 평면(PL) 상에 위치시킬 수 없는 경우, 무게중심의 근방을 상기 평면(PL) 상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예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한, 도 5와 같이, 2 개의 마운트(34, 36)가 무게중심(G)의 하방이 되고, 1 개의 마운트(32)가 무게중심(G)의 상방이 되더라도, 또한 도 6과 같이, 2 개의 마운트(32, 34)가 무게중심(G)의 상방이 되고, 1 개의 마운트(36)가 무게중심(G)의 하방이 되어도 좋다.
수학식 9는 임의의 2 개의 마운트에 대하여 성립하기 때문에, 전체로 4 개의 마운트에 의해서 진동체(20)를 지지하는 경우에도 당연히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4 개의 마운트에 의해서 진동체(20)를 지지할 때, 진동체(20)의 무게중심(G)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에 의해서 병진 진동하지 않는 조건은, 진동체(20)의 무게중심이 4 개의 마운트로 만들어지는 평면상에 있으며, 4 개의 마운트로 둘러싸여 있지 않으면 않되는 것으로 된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내는 것같이, 4 개의 마운트(38, 40, 42, 44)에 의해서 조립체(30)를 지지하는 구조가 얻어진다. 4 개의 마운트(38, 40, 42, 44)는, 조립체(30)의 무게중심(G)과 4 개의 마운트(38, 40, 42, 44) 각각의 무게중심이 평면(PL) 상에 위치하고, 또한, 무게중심(G)이 4 개의 마운트(38, 40, 42, 44)로 만들어지는 사각형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2 개의 마운트(38,40)가 무게중심(G)의 상방이 되고, 2 개의 마운트(42, 44)가 무게중심(G)의 하방이 되는 배치가 편리하다.
도 6의 (b) 또는 도 7의 (b)에 나타내는 것같이, 조립체(30)의 무게중심(G)을 지나는 평면(PL)은, 상기 엔진의 관성 주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체(30)의 무게중심(G)을 지나는 평면(PL)이 관성 주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때, 조립체(30)는, 도 8에 나타내는 것같이, 엔진의 크랭크축의 회전축선이 차체의 폭 방향(W)으로 신장하도록 차체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조립체(30)의 가로 배치이고, 차체(50)가 도 9에 나타내는 것 같은 굽힘 모드(52)로 진동할 때, 진동의 마디(54)가 조립체(30)의 설치 위치의 근방이 된다.
조립체(30)의 무게중심(G)을 지나는 평면(PL)은, 엔진의 상기 관성 주축선 방향에서 본, 즉 도 8에서는 폭 방향(W)으로 본 조립체(30)의 관성 모멘트의 관성 주축선(60)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조립체(30)의 토크 롤축선(62)을 포함하는 연직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선정할 수 있다.

Claims (12)

  1. 엔진의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스프링 기능을 각각 가지는 3 개의 마운트를,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의 무게중심 또는 그 근방을 지나는 평면내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무게중심을 상기 3 개의 마운트로 만들어지는 삼각형내에 위치시켜 상기 조립체를 지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3 개의 마운트의 엔진의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위치를 각각 (l1, w1, h1), (l2, w2, h2), (l3, w3, h3)으로 하고, 상기 3 개의 마운트의 엔진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스프링 상수를 각각 (kl1, kw1, kh1), (kl2, kw2, kh2), (kl3, kw3, kh3)로 할 때,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
    을 만족하도록, 상기 3 개의 마운트의 상기 위치와 상기 스프링 상수를 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 개의 마운트는,
    h1+h2+h3=0, 또한, l1+l2+l3=0
    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 개의 마운트 각각의 위치가 우선적으로 정해지고, 이것에 기초하여 상기 3 개의 스프링 상수가 정해지는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 개의 마운트 각각의 스프링 상수가 우선적으로 정해지고, 이것에 기초하여 상기 3 개의 마운트 위치가 정해지는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방법.
  5. 엔진의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스프링 기능을 각각 가지는 3 개 또는 4 개의 마운트에 의해서 엔진과 변속기의 조립체를 차체에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마운트는, 마운트로 만들어지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이 상기 조립체의 무게중심을 둘러싸도록 상기 무게중심 또는 그 근방을 지나는 평면 내에 배치되고,
    상기 마운트는, 상기 마운트에 가해지는, 엔진의 전후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피칭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전후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요잉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폭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롤링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폭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요잉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게 되고, 엔진의 상하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피칭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게 되고, 엔진의 상하 방향의 진동과 엔진의 롤링 방향의 진동이 연결되지 않도록 정해진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구조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 또는 그 근방을 지나는 상기 평면은, 상기 엔진의 관성 주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크랭크축의 회전축선이 차체의 폭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차체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구조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 또는 그 근방을 지나는 상기 평면은, 상기 엔진의 관성 주축선 방향에서 본 상기 조립체의 관성 모멘트의 관성 주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상기 조립체의 토크 롤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선정되는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구조물.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의 수량은 3 개인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구조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3 개의 마운트 중 2 개가 상기 무게중심의 상방에 위치하고, 나머지 1 개가 상기 무게중심의 하방에 위치하는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구조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3 개의 마운트 중 2 개가 상기 무게중심의 하방에 위치하고, 나머지 1 개가 상기 무게중심의 상방에 위치하는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구조물.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의 수량은 4 개이고, 이 중 2 개가 상기 무게중심의 상방에 위치하고, 나머지 2 개가 상기 무게중심의 하방에 위치하는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구조물.
KR1019980708398A 1996-04-23 1997-04-17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방법 및 지지구조물 KR100286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398296A JP3374655B2 (ja) 1996-04-23 1996-04-23 エンジンとトランスミッションとの組立体を車体に支持する方法および組立体の支持構造
JP96/123982 1996-04-23
PCT/JP1997/001328 WO1997039908A1 (fr) 1996-04-23 1997-04-17 Methode permettant a la carrosserie d'une voiture de supporter l'ensemble moteur et transmission et structure de support de l'ensem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551A KR20000010551A (ko) 2000-02-15
KR100286199B1 true KR100286199B1 (ko) 2001-06-01

Family

ID=1487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398A KR100286199B1 (ko) 1996-04-23 1997-04-17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방법 및 지지구조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891886B1 (ko)
JP (1) JP3374655B2 (ko)
KR (1) KR100286199B1 (ko)
CN (1) CN1066106C (ko)
AU (1) AU709632B2 (ko)
CA (1) CA2249311A1 (ko)
DE (1) DE69713579T2 (ko)
WO (1) WO1997039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2426C2 (sv) 2001-06-08 2004-02-10 Scania Cv Ab Upphängningsarrangemang för drivaggregat vid motorfordon
DE10200311A1 (de) * 2002-01-07 2003-07-24 Freudenberg Carl Kg Lagerung für eine Motor- und/oder Getriebeeinheit
EP1580057B1 (en) * 2004-03-24 2013-04-24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Power train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otive vehicle
FR2884210B1 (fr) * 2005-04-12 2007-06-15 Hutchinson Sa Dispositif de suspension d'un moteur sur un chassis de bogie
US20070107971A1 (en) * 2005-10-28 2007-05-17 Mazda Motor Corporation Product designing system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duct designing program recorded thereon
JP2007139080A (ja) * 2005-11-18 2007-06-07 Bridgestone Corp 防振支持構造
JP4923898B2 (ja) * 2006-09-15 2012-04-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マウントシステム
EP2505407B1 (en) * 2009-11-26 2019-07-17 Nissan Motor Co., Ltd. Three-cylinder engine
FR2966784B1 (fr) * 2010-10-28 2012-12-1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semble de suspension d'un organe generateur de vibrations embarqu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JP2016078622A (ja) * 2014-10-16 2016-05-16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発動発電機搭載構造
JP6616122B2 (ja) * 2015-08-07 2019-12-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エンジン装置支持構造、及び、エンジン装置設置方法
GB2543796B (en) * 2015-10-28 2018-06-06 Ford Global Tech Llc A powertrain moun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6288656B2 (ja) * 2016-07-25 2018-03-07 国立研究開発法人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振動アイソレータの共振周波数の調整方法及び調整システム、振動アイソレータ、並びに振動アイソレータの設計方法、設計システム、及び製造方法
CN109764083A (zh) * 2019-01-25 2019-05-17 福建侨龙应急装备有限公司 一种车载设备减震装置及设备运载车
DE102021114991A1 (de) 2021-06-10 2022-12-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geranordnung zur Lagerung eines Aggregats eines Kraftfahrzeugs an einer Strukturkomponente des Kraftfahrzeugs
DE102021114994A1 (de) 2021-06-10 2022-12-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geranordnung zur Lagerung eines Aggregats eines Kraftfahrzeugs an einer Strukturkomponente d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7327A (ja) * 1983-03-14 1984-09-20 Toyota Motor Corp 車輌に於けるエンジン−トランスミツシヨン組立体の支持構造
DE3638504A1 (de) * 1986-11-11 1988-05-26 Sds Relais Ag Elektrische kontaktvorrichtung
JPS63133408U (ko) 1987-02-24 1988-08-31
DE4307999A1 (de) * 1993-03-13 1994-09-15 Porsche Ag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09632B2 (en) 1999-09-02
CN1066106C (zh) 2001-05-23
JPH09286244A (ja) 1997-11-04
AU2576097A (en) 1997-11-12
EP0891886A1 (en) 1999-01-20
CA2249311A1 (en) 1997-10-30
EP0891886B1 (en) 2002-06-26
DE69713579D1 (de) 2002-08-01
CN1216504A (zh) 1999-05-12
DE69713579T2 (de) 2002-11-21
JP3374655B2 (ja) 2003-02-10
EP0891886A4 (en) 2000-05-17
WO1997039908A1 (fr) 1997-10-30
KR20000010551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199B1 (ko)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방법 및 지지구조물
Johnson et al. Computer optimization of engine mounting systems
US6155372A (en) Suspension system for power train
US4941544A (en) Bearing arrangement for a drive assembly of a motor vehicle
JP2547847B2 (ja) 自動車のパワープラント構造
JPH08326557A (ja) ガスタービンの支持構造
JP2000120770A (ja) 自動車の振動防止装置
JP2841121B2 (ja) 3気筒エンジンの防振支持装置
JPS6264622A (ja) パワ−ユニツトの支持装置
JP3228047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マウント装置
JP2596062Y2 (ja) 自動車のパワユニット支持構造
JPS59167327A (ja) 車輌に於けるエンジン−トランスミツシヨン組立体の支持構造
JPS6264623A (ja) パワ−ユニツトの支持装置
EP0214825A2 (en) Vibration damper
JPH0730416Y2 (ja) 独立懸架装置のデフケース支持構造
JPH03267527A (ja) エンジンの補機取付構造
KR100403477B1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JPH0619383Y2 (ja) ラジエータアッシーの支持構造
JP2021187241A (ja) 車体構造
JP2708444B2 (ja) 動吸振器の副振動系の支持方法
JPH0571580A (ja) エンジン懸架装置
JPH08282303A (ja) パワープラントの支持構造
JPH06199259A (ja) フットレストの防振構造
KR19980083086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시스템
KR19980052864U (ko) 3축 거동제어 엔진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