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173B1 -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173B1
KR100285173B1 KR1019990009375A KR19990009375A KR100285173B1 KR 100285173 B1 KR100285173 B1 KR 100285173B1 KR 1019990009375 A KR1019990009375 A KR 1019990009375A KR 19990009375 A KR19990009375 A KR 19990009375A KR 100285173 B1 KR100285173 B1 KR 100285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auxiliary tank
fuel tank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8072A (ko
Inventor
우메쓰구니히로
Original Assignee
오카메 히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995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8235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996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758113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카메 히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오카메 히로무
Publication of KR1999007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3Mounting pumps on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6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the pump being installed in a sub-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05Fuel tanks with supplementary interior tanks inside the fuel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3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filter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60K2015/03467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by clip or snap fit fit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연료탱크의 개구를 확대함이 없이, 깊이가 짧은 연료탱크에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차량의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려 하는 것으로,
차량의 연료탱크(3)의 개구(30)에 끼워맞추는 브래킷(차폐부)(5)은 보조탱크(2)에 L자형지지판(결합부)(7)을 통하여 결합되있고, L자형축받침(7)은, 브래킷(5)에 상하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서 보조탱크(2)를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피벗(pivot)하여, 스프링(8)이 L자형축받침(7)을 통하여 보조탱크(2)를 연료탱크(3)의 저부에 가압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연료공급장치{FUEL SUPPLY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펌프를 수용하는 보조탱크를 연료탱크저부에 부착한 인탱크식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탱크식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연료펌프를 내장하는 보조탱크를 연료탱크의 개구차폐용의 차폐부에 의하여 상하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며, 또한 스프링으로 보조탱크의 저면에 억누른 구조의 보조탱크 접지형(grounding type) 연료공급장치가 제안되어있다.
또, 미국특허 제5,669,359호에 명시된 바와 같이, 보조탱크를 연료탱크의 개구차폐용의 차폐부에 막대형 탄성부재로 결합하여, 이 막대형 탄성부재의 휨가압력에 의하여 보조탱크를 연료탱크의 밑면에 밀어붙이는 구조의 보조탱크 접지형 연료공급장치도 제안되고 있다.
이것들 보조탱크 접지형 연료공급장치에 의하면, 차체자세나 연료탱크 밑면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보조탱크 밑면의 연료흡입구는, 항상 연료탱크 밑면에 추종하므로, 연료펌프에의 연료공급을 원활화 할 수 있으며, 또한, 이 보조탱크에 연료레벨검출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연료탱크의 밑면의 위치변화에도 불구하고 정확하게 연료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고있다.
그러나, 전자의 보조탱크 접지형 연료공급장치에서는, 일정한 필요용적을 갖는 보조탱크를, 한정된 크기의 연료탱크의 개구에서 연료탱크내로 삽입하지 않으면 아니되기 때문에, 어떤일이 있어도 보조탱크의 높이가 증대하게 되어, 그 결과로서, 얕은 연료탱크에 채용할 수 없으며, 차종에 따라 많은 형상변이(variation)를 갖는 각 연료탱크의 일부에서 밖에 채용할 수 없고, 양산효과를 높일 수 없다고 하는 커다란 결점이 있었다. 물론, 연료탱크의 개구를 확대한다면, 보조탱크의 필요용적을 확보하면서 그 높이를 축소할 수 있으나, 이와같은 개구의 대형화는, 연료탱크 강도의 유지 및 연료증기의 방산방지라고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후자의 보조탱크 접지형 연료공급장치에서는, 보조탱크는 레벨검출용의 플로우트(float)등을 구비하는 경우도 있고, 연료탱크의 밑면에 자리잡은 후의 전후방향 치수는 그 높이보다도 격단히 크므로, 상술한 공보가 명시한 막대형 탄성부재를 사용한 보조탱크 접지형 연료공급장치에서는, 보조탱크를 연료탱크의 개구에서 그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에, 보조탱크를 연료탱크내에서 약 90도, 회동시킬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이 막대형 탄성부재를 강하게 탄성변형시키면서 이 회동, 삽입작업을 하지않으면 아니되어, 작업이 복잡하게 되고, 또한, 막대형탄성부재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차폐부 및 보조탱크의 해당부위의 강도를 증대하는 등의 특별한 형상연구를 필요로하였다. 물론, 연료탱크의 개구를 확대하면, 보조탱크의 삽입은 용이하게 되나, 이와같은 개구의 대형화는, 연료탱크강도의 유지 및 연료증기의 확산방지라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연료탱크 밑면에 탄력으로 밀어붙여진 보조탱크에 부착된 저면기준의 센터게이지(center gauge)가 공지되어 있다. 이것에서는 연료탱크의 상면에 고정된 방식의 센터게이지와 달라서, 연료탱크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에 보조탱크와 일체로 되어서 센터게이지가 추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액면의 위치를 비교적 정밀도 양호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근년에와서, 차량스페이스의 유효활용을 위하여, 연료탱크가 편평화 하는 경향에 있으며, 이와같은 상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편평한 연료탱크는 연료에 의한 무게나, 연료로부터의 증기발생에 따른 탱크내압에 의하여 굽어진다. 굽어짐에 따라 연료가 굽어진부분에 고이게 되고, 플로우트부의 위치에서 액면높이가 연료탱크 저면에 대하여 저하하면, 실제의 연료량은 변화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E점에서 어떤 기준위치에 대한 플로우트의 각도가 감소함으로써, 마치 연료잔량이 감소한 것과 같이 검출하여 버린다. 즉, 이른바 저면기준의 센터게이지였어도 굽은 부분에 연료가 괴이므로써, 플로우트부의 액면위치가 상대적으로 변화하여 버리면 액면위치의 검출오차가 커져버린다.
USP5669359에는 굽음에 추종할 수 있는 스프링으로 보조탱크와 플랜지를 결합하여, 플랜지위치에 대한 수평의 상대위치를 바꾸면서 보조탱크를 굽음에 추종하게 한 것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 구조상, 스프링에는 부단히 반복하여 변형력이 작용하고, 그 위에 그 변형력의 반복회수나 크기는 연료탱크의 내압의 변화상황에 의존하므로, 수명확보상의 문제가 있다.
또, 플랜지 위치에 대한 보조탱크 수평위치가 외력에 의하여 차이지기 쉬운만큼 비탈길 주차시의 보조탱크 나머지량을 확보할 수 없게되어, 희망하는 선회성능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연료탱크의 개구를 학대함이 없이, 깊이가 짧은 연료탱크에서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차량의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한가지 목적은, 액면위치의 검출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의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연료공급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연료탱크의 개구에 끼워맞춘 차폐부는 보조탱크에 결합부를 통하여 결합되었고 결합부는, 차폐부에 지지되어서, 보조탱크를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피벗팅하여, 스프링이 결합부를 통하여 보조탱크를 연료탱크의 저부에 힘을 준다.
이에 따라, 보조탱크는 먼저 그 한쪽 단면(이하, 앞단면이라 한다)에서 연료탱크의 개구에 삽입한 다음, 연료탱크내에 일정한 회전운동면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삽입되어, 약 90도 회동후, 보조탱크의 저면이 연료탱크의 저부에 자리잡는다.
본 구성에 의하면, 연료탱크가 깊이가 짧아서도, 연료탱크의 개구를 확대하지 않으며 또한, 결합부에 굴곡탄성을 부여함이 없이, 보조탱크를 원활하게 연료탱크에 수용할 수 있고, 그 위에, 구조 및 삽입작업도 간단하게 된다.
또한, 결합부의 형상을 적당히 변경함에 따라, 상하운동거리를 초과하여 깊이가 긴 탱크나 깊이가 짧은 탱크에 적용함이 간단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보조탱크는 L자형상의 결합부의 선단부에 피벗되어서 차폐부의 하부옆쪽에 배설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면, 한층 깊이가 짧은 연료탱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에 의하면,
보조탱크는,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곧은 막대형상의 결합부의 선단부에 피벗팅되어서 차폐부의 바로밑에 배설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면, 결합부를 상하운동이 자유롭도록 안내하는 차폐부의 안내부에 뒤틀림이 발생할 일도 없고, 이 안내부의 내구성향상, 보조탱크의 이동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연료공급장치의 가장 적합한 형태를 다음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연료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보조탱크(2)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L자형 판(7)을 도시한 부분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보조탱크(2)이 연료탱크(3)로의 삽입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한, 연료탱크 저면이 수평면으로부터 β각도 경사지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약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보조탱크(2)와 연료탱크 저면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 5와의 비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연료공급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연료공급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연료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보조탱크(2)의 연료탱크(3)에의 삽입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본 발명의 차량의 연료공급장치의 가장 적합한 형태를 다음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의 차량의 연료공급장치의 개요를 도 1에, 그 보조탱크(2)를 도시한 부분단면도를 도 2에 나중에 설명하는, L자형 축받침판(7)을 도시한 부분단면 개략도를 도 3에 그 보조탱크 삽입공정을 도 4에 나타내었다.
이 연료공급장치(1)는 연료펌프(110)를 내장하는 편평밀폐캔 형상의 보조탱크(2)를 구비하여, 수지제의 연료탱크(3)내에 수용되어 있다.
연료탱크(3)의 개구(30)는 가스킷(4)을 통하여 연료공급장치(1)의 일부를 이루는 브래킷(차폐부)(5)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으며, 리테이너(retainer)(6)는 개구(30)를 구비한 통부(31)의 외주에 나사식으로 틀어넣어서, 리브붙이 두께원반형상의 브래킷(5)의 상기 리브 및 가스킷(4) 주연부를 통부(31)의 선단가장자리에 밀어붙여서 밀봉하고 있다.
브래킷(5)은 연료탱크(3)내에 드리운 돌출부(50)를 구비하였고, 돌출부(50)의 좌우측면(지면안 깊이방향)에는, 한쌍의 안내통부(도해없음)가 형성되있고, 이것들 안내통부에는 각기, 한쌍의 L자형 축받침판(결합부)(7)이 상하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넣고 있다. L자형상 축받침판(7)은,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원기둥형상의 기단부(71)와, 수평방향으로 뻗어있는 선단부(72)등을 구비하였고, 기단부(71)의 하단에는 칼라형상의 스토퍼(73)가 설치되있으며, 스토퍼(73)는, 기단이 브래킷(5)에 지지된 스프링(8)에 의하여 하방으로 힘이 가하여지고 있다. 이것들 한쌍의 L자형 축받침판(7)의 선단부(72)는 보조탱크(2)의 좌우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핀(20)을 회동이 자유롭도록 피벗팅하고 있어, 이에 따라, 보조탱크(2)는 L자형상 축받침판(7)의 회전운동면내에서 상하운동, 자전회동이 자유롭도록 되어있다.
(9)는 플로우트아암(80)의 선단에 설치된 플로우트로서, 플로우트아암은 보조탱크(2)에 피벗팅되어 있다. 플로우트아암(80)의 기단은 보조탱크(2)내에서 연료레벨센서(81)의 전위차계(potentiometer)를 회동시키는 구조로 되어있다.
보조탱크(2)에 내장된 연료펌프(110)로부터 토출된 가압연료는 배관부재(90) 및 그에 접속된 주름형호오스(91)(도중파단하여 1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압력조절기(100)를 경유하여 돌출부(50)내의 필터, 또한 브래킷(5)내의 연료관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연료공급파이프(41)를 통하여 내연기관으로 공급된다. 내연기관에 사용되지 않은 복귀연료는 압력조절기(100)로부터 주름형호오스(92), 분사펌프(130)를 경유하여 연료탱크(3)에 되돌아오게 된다. 분사펌프(130)는 나중에 설명하는 하측보조탱크(2b)에 고정된 C자상의 부착부재(140)에서 고정되어 있다, 분사펌프(130)는 연료탱크(3)로부터 복귀연료에 의하여 부압실(131)에서 발생하는 부압으로 연료를 보조탱크(2)내에 빨아들여, 이것을 펌프필터(120)로부터 연료펌프(110)가 흡입한다.
보조탱크(2)의 형상에 대하여 다시금 설명한다. 보조탱크(2)는 상측 보조탱크(2a)와 하측 보조탱크(2b)등으로 되있고, 상측 보조탱크(2a)의 개구부(2c)내에 하측 보조탱크(2b)가 들어가서 스냅피트로 결합되어 있다. 상측 보조탱크(2a)는 보조탱크내에 저장한 연료가 선회한다거나, 빗면에 주차하였을 경우에도 보조탱크 밖으로 탈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보조탱크(2)의 전단면(보조탱크(2)를 회동시키면서 연료탱크(3)내에 삽입하는 경우에 연료탱크(3)의 저면(32)에 최초에 닿는 측단면)(21)과 저면(22)과 사이의 각부가 모깍기되었고, 마찬가지로, 보조탱크(2)의 후단면(전단면(21)과 반대측의 단면)(23)과 저면(22)과 사이의 각부도 모깍기 되어있다.
이 보조탱크(2)를 연료탱크(3)내에 삽입하는 작업을 다음에 설명한다.
보조탱크(2)는, 먼저 그 전단면(21)에서 연료탱크(3)의 개구(30)에 삽입된 다음, 연료탱크(2)내에 수직회동면내에서 회동하면서 삽입되있고, 약 90도 회동후, 보조탱크(2)의 저면(22)이 연료탱크(3)의 저부(32)에 자리잡는다.
보조탱크(2)의 전단면(21)이 연료탱크(3)의 저면(32)에 접촉하여, 보조탱크(2)의 후단면(23)의 일부가 또 연료탱크(3)의 개구(30)의 밖에 남아있는 상태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보조탱크(2)는, 도 4의 상태로부터 수직면내를 회동하면서 다소 전방으로 진출하면서, 연료탱크(3)에 삽입된다. 이때, 전단면(21)은 연료탱크(3)의 저면(32)을 문지르면서 회동하고, 후단면(23)은 연료탱크(3)의 통부(筒部)(31)의 내주면에 접촉 및 근접하면서 회동한다.
본 구성에서는, 보조탱크(2)의 전후단면(21, 23)이 도 4에 나타낸 사선부만 모깍기 되어있으므로, 개구(30)의 지름을 증대함이 없이, 연료탱크(3)의 깊이를 증대하지 않고, 보조탱크(2)의 용적을 축소함이 없이, 보조탱크(2)를 연료탱크(3)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보조탱크(2)의 용적이 최대로되는 것은, 보조탱크(2)의 정상면(26)이 통부(31)의 하단을 뒤틀리지 않고, 전단면(21)이 좌우전폭에 걸쳐서 연료탱크(3)의 저면(32)을 슬라이드하며, 또한, 후단면(23)이 그 좌우전폭에 거쳐서 통부(31)의 내주면에 접하는 형상으로 하였을 경우임을 알 수 있다.
보조탱크(2)가 연료탱크(3)의 저부(32)에 자리잡은뒤, 연료중량의 변동이나 차량자세의 변화에 의하여, 브래킷(5)을 기준으로하여 연료탱크(3)의 저부(32)의 위치가 변화하여도, 보조탱크(2)가 스프링(8)에 의하여 저부(32)로 향하여 항상 힘이 부여되므로, 또는 자체의 무게에 따라, 보조탱크(2)는 항상 연료탱크(3)의 저부(32)에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보조탱크(3)의 저면에 설치된 연료흡입구(도해없음)는, 항상 연료탱크(3)의 저부(32)에 근접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 보조탱크(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하면서 개구(30)에서 연료탱크(3)의 내부로 삽입되므로, 보조탱크(3)의 높이를 누르면서 그 필요용적을 확보할 수 있다.
그 위에, 도 3에서는, 보조탱크(2) 및 연료탱크(3)의 저부(32)를 기준으로하여 브래킷(5) 및 연료탱크(3)의 상부가 하동(下動)하는 바와 같이 기재하고 있으나, 이것은 브래킷(5) 및 연료탱크(3)의 상부를 기준으로하여 보조탱크(2) 및 연료탱크(3)의 저부(32)가 상동하는 경우도 같으며, 어느 경우에도 브래킷(5)에 대하여 보조탱크(3) 및 L자형상의 축받침판(7)이 상하동하여 상기 연료탱크(3)의 변위를 흡수하는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보조탱크(2)는 이상과 같이 L자형 축받침판(결합부)(7)에 대하여 자유로이 회동하는 것이나, 이것은 다음에 설명하는 기능도 함께 갖고 있다.
상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편평한 연료탱크가 연료에 의한 무게나 연료로부터의 증기발생에 따른 탱크내압에 의하여 탱크중앙부가 휘어짐에 따라, 연료가 굽은부분에 괴어, 플로우트부의 위치가 예컨대 연료탱크 중앙부로부터 약간 벗어난 위치에 있으면, 플로우트부 위치에 있어서는 액면높이가 연료탱크 저면에 대하여 저하하게 된다. 이 상태를 도 5에 도시하였다. 이 도 5에서는 보조탱크(2)의 부착위치에서는 연료탱크 저면이 굽음에 의하여, 수평면에 대하여 각도 β만큼 기울어져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실제의 연료량은 변화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E점인 기준위치에 대한 플로우트의 회동각도가 액면저하분만큼 감소함으로서, 마치 연료잔량이 감소한 바와 같이 검출하여 버린다. 즉, 이른바 저면기준의 연료레벨센서였어도 굽은부분에 연료가 괴임으로서 플로우트부의 액면위치가 상대적으로 변화하여 버리면 액면위치의 검출오차가 커져버린다.
도 5에서는 가령 본 실시예의 보조탱크가 연료탱크에 추종하지 않는 상태이라고 가정한 것이며, 연료탱크 저면이 도면의 좌측이 우측에 대하여 하방으로 굽어져있다.
각도(α1)는 비교를 위하여 액면이 저하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E점 아암이 스토퍼(82)에 닿아서 멎는점)에 대한 아암각도를 나타낸 것으로, 각도(α2)는 액면이 저하한 상태에서의 E점에 대한 아암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와 같이, 액면이 굽음에 의하여 저하하는 경우이라면 α2<α1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L자형상 축받침판(결합부)(7)의 기단부(71)가 브래킷(차폐부)(5)에 지지되었고, 선단부(72)가 보조탱크(2)를 핀(20)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였으며 저면의 굽은부분의 굽음에 따라서 플로우트아암(80)이 아암부착부(81)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아암부착부(81)가 보조탱크(2)와 일체로되어서 핀(20)을 중심으로 굽음에 대한 각도변화분(β)만큼 회동할 수 있다. 도 6은 굽음에 의하여 연료탱크저면이 각도(β)만큼 보조탱크(2)와 연료탱크 저면의 접촉점(A)을 중심으로 기울어져, 보조탱크(2)가 이에 추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각도(α3)는 액면이 저하한상태에서의 E점에 대한 아암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보조탱크(2)에 부착한 연료레벨센서의 기준각도(E점의 각도)가 저면에 대하여 추종하는 각도는 β이므로 α3=α2+β이다. 즉, α2<α3이다. 이에 따라, 액면위치변화에 따른 연료레벨센서의 측정각도오차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연료탱크저면으로부터의 반복변형력이 가하여지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좋다. 또한 보조탱크의 플랜지에 대한 수평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보조탱크를 탱크저면의 기울기에 추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탱크의 굽음에 의하여 액면이 저하하는 위치에 플로우트를 설치하여, 연료레벨센서의 기준각도가 보조탱크와 동시에, 탱크저면의 기울기에 추종함으로써 측정각도를 크게하는 예로서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연료탱크의 굽음에 의하여 굽은부분에 연료가 흘러들어가는 액면이 상승하는 위치에 플로우트를 설치하여, 연료레벨센서의 기준각도가 보조탱크와 함께, 탱크저면의 기울기에 추종하므로써 측정각도를 작게하는 것이 였어도 좋다. 중요한 것은, 플로우트의 회전과 같은방향으로 연료레벨센서의 기준각도가 보조탱크와 함께, 탱크저면의 기울기에 추종하는 일이다.
또, 분사펌프(130)에 대하여도 보조탱크(2)와 함께 연료탱크저면에 추종하여 회동하므로, 도 5의 상태에서는 연료를 흡입할 수 없어도 도 6의 상태에서는 부압실(131)이 액면 아래에 몰입함에 따라 보조탱크밖으로부터 연료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2]
다른 실시예의 차량의 연료공급장치의 종단면도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이 연료공급장치(1)는 실시예 1에 나타낸 좌우한쌍의 L자형상 축받침판(7)을 아래방향으로 뻗어있는 곧은막대형상의 축받침판(7a)으로 변경한 것이다. 즉, 이 좌우한쌍의 축받침판(7a)은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원기둥형상의 기단부(71a)와, 기단부(71a) 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뻗어있는 선단부(72a)등을 구비하였고 기단부(71a)의 하단에는 칼라형상의 스토퍼(73a)가 설치되있고, 스토퍼(73a)는 기단이 브래킷(5)에 지지된 스프링(8)에 의하여 하방으로 힘이 부여되고 있다. 이것들 한쌍의 축받침판(7a)의 선단부(72a)는 보조탱크(2)의 좌우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핀(20)을 회동이 자유롭도록 피벗팅하고 있어, 이에 따라, 보조탱크(2)는 축받침판(7a)의 회동면내에서 상하동, 자전회동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이 보조탱크(2)를 연료탱크(3)내에 삽입하는 작업은 실시예 1의 경우와 거의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하나, 개구(30)를 확대하지 않고, 또한, 보조탱크(2)의 높이를 억누르면서, 보조탱크(2)의 필요한 용적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은 실시예 1의 경우와 같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보조탱크(2)로부터 축받침판(7a)의 기단부(71a)에 가할 수 있는 힘의 방향이 대략 기단부(71a)의 상하동 방향으로 일치하므로, 기단부(71a)의 상하동 동작이 뒤틀림에 의하여 저해되는 일이 없이, 동작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발생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의 차량의 연료공급장치의 종단면도를 도 8에 나타내있으며, 그 사시도를 도 9에 나타내었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같은부품에는 같은 부호를 붙였다.
브래킷(5)은 연료탱크(3)내에 밑으로 드리운 돌출부(50)를 구비하였고, 돌출부(50)의 좌우측면(지면안 깊이방향)에는, 부우메랑(boomerang)형상을 갖는 한쌍의 링크플레이트(링크부, 결합부)(7)의 기단부가 피벗팅되어 있다. 돌출부(50)와 링크플레이트(7)의 사이에는 링크플레이트(7)를 탱크(3)의 저면(32)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00)이 설치되어 있다.
링크플레이트(7)의 선단부는, 보조탱크(2)의 좌우측면 대략 중앙부에 개별로 선회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보조탱크(2)는 링크플레이트(7)의 회동면내에서 자전회동, 공전회동이 자유롭도록 되어있다.
(8)은 플로우트아암(80)의 선단에 설치된 부자로서, 플로우트아암(80)은 보조탱크(2)에 피벗팅되어있으며, 플로우트아암(80)의 기단(其端)은 보조탱크(2)내에서 연료레벨센서(81)의 전위차계를 회동시키는 구조로 되어있다.
보조탱크(2)에 내장된 도면에 없는 연료펌프로부터 토출된 가압연료는 돌출부(50)내의 필터, 브래킷(5)에서 외부로 돌출하는 연료공급파이프(41)를 통하여 외부로 송급된다.
보조탱크(2)의 형상에 대하여 다시금 설명한다.
보조탱크(2)의 전단면(보조탱크(2)를 회동시키면서 연료탱크(3)내에 삽입하는 경우에 연료탱크(3)의 저면(32)에 최초에 닿는 측단면)(21)과 저면(22)과 사이의 각부가 모깍기되어서, 전방 모깍기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보조탱크(2)의 후단면(전단면(21)가 반대측의 단면)(23)과 저면(22)과 사이의 각부가 모깍기되어서, 후방 모깍기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모깍기부(121)는 보조탱크(2)의 회동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뻗어있는 부분통상면으로 되있고, 후방 모깍기부(123)의 좌우단부(123a)는 후방 모깍기부(123)의 좌우방향 중앙부(123b)보다도 더욱 크게 모깍기되어 있다.
이 보조탱크(2)를 연료탱크(3)내에 삽입하는 작업을 다음에 설명한다. 보조탱크(2)는, 먼저 그 전단면(21)에서 연료탱크(3)의 개구(30)로 삽입된 다음, 연료탱크(3)내에 수직회동면내에서 회동하면서 삽입되어, 약 90도 회동하고 나서 보조탱크(2)의 저면(22)이 연료탱크(3)의 저부(32)에 자리잡는다.
보조탱크(2)의 전방 모깍기부(121)가 연료탱크(3)의 저면(32)에 접촉하여 보조탱크(2)의 후방 모깍기부(123)의 일부가 아직 연료탱크(3)의 개구(30)의 바깥에 남아있는 상태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보조탱크(2)는, 도 10의 상태로부터 수직면내를 회동하면서 다소전방으로 진출하면서 연료탱크(3)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전방 모깍기(121)는 연료탱크(3)의 저면(32)을 문지르면서 회동하고, 후방 모깍기부(123)는 연료탱크(3)의 통부(31)의 내주면에 접촉 및 근접하면서 회동한다.
본 구성에서는, 보조탱크(2)가 도 10에 도시한 사선부분만 모깍기되고, 또한, 후방 모깍기부(123)의 좌우단부(123a)는 그 중앙부(123b)보다 더욱 모깍기되어 있으므로, 개구(30)의 크기를 증대하는일 없이, 연료탱크(3)의 깊이를 증대함이 없이, 보조탱크(2)의 용적을 축소하지 않고, 보조탱크(2)를 연료탱크(3)에 삽입할 수 있다.
본 보조탱크(2)를 연료탱크(3)내에 삽입하는 작업은, 개구(30)를 확대함이 없이, 또한 보조탱크(2)의 높이를 억제하면서 보조탱크(2)의 필요용적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은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탱크(2)로부터 축받침판(7a)의 기단부(71a)에 가하여지는 힘의 방향이 대략 기단부(71a)의 상하 운동방향이 일치하므로, 기단부(71a)의 상하 운동동작이 뒤틀림에 의하여 저해되는 일이 없어, 동작의 원활화를 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발생한다.

Claims (11)

  1. 차량의 연료탱크의 개구에 끼워맞추는 차폐부, 상기 연료탱크의 저면에 자리잡을 수 있는 저부를 구비하여 연료탱크에 내설(內設)된 보조탱크, 기단부가 차폐부에 지지되어 선단부가 상기 보조탱크를 피벗팅하는 결합부, 상기 차폐부에 지지되어서 결합부를 연료탱크의 저부로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 및 상기 보조탱크에 수용되어서 차폐부를 통하여 외부에 연료를 토출하는 연료펌프를 구비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는 상기 차폐부에 상하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는 L자형상의 상기 결합부의 선단부에 피벗되어서, 상기 차폐부의 하부옆쪽으로 배설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보조탱크는,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곧은 막대형상의 결합부의 선단부에 피벗되어서, 차폐부의 바로밑에 배설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보조탱크와 상기 차폐부를 연결결합하는 연결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보조탱크를 상기 차폐부에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보조탱크를 회동하면서 연료탱크에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연료탱크의 저면에 최초에 닿은 측단면을 의미하는 상기 보조탱크의 전단면은, 상기 보조탱크의 저면으로 향하여 모깍기되어서 전방 모깍기부를 이루고, 전단면과 반대측의 단면인 상기 보조탱크의 후단면은, 상기 보조탱크의 저면으로 향하여 모깍기되어서 후방 모깍기부를 이루어, 상기 보조탱크 전후 단면사이의 거리는, 상기 연료탱크의 개구지름보다 크게되있으며, 상기 보조탱크는 모깍기부없이는 연료탱크내에 삽입불능하였으며 또한, 상기 모깍기부의 형성에 의하여 상기 연료탱크내에 삽입할 수 있게되는 형상을 구비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보조탱크를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보조탱크와 같은 회동면에서 상기 차폐부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는 결합부로 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의 모깍기부의 좌우단부는, 상기 후방 모깍기부의 중앙부보다도 더욱 모깍기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모깍기부는, 상기 회동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뻗어있는 부분통형상면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10. 상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편평하고, 그 내부의 내압의 변화에 의하여 깊이가 변화하는 휨부를 구비한 연료탱크와 이 휨부근방에 배치된 보조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의 개구에 끼워맞추는 차폐부와, 기단부가 상기 차폐부에 지지되있고, 선단부가 상기 보조탱크를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결합부와, 상기 보조탱크내에 수용되어서 상기 차폐부를 통하여 외부에 연료를 토출하는 연료펌프를 구비하였으며, 상기 보조탱크는 상기 연료탱크의 저면에 위치할 수 있는 저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탱크의 아암부착부로부터 상기 휨부로 향하여 돌출해서 뻗은 아암과 액면위치에 부유하는 플로우트등을 구비한 중심계(conter gauge)를 구비하고, 상기 휨부분의 휨에 상응하여 연료액면 플로우트가 아암부착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아암부착부가 상기 선단부를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가 상기 차폐부에 상하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KR1019990009375A 1998-03-19 1999-03-19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KR100285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995698A JP3823523B2 (ja) 1998-03-19 1998-03-19 車両の燃料供給装置
JP98-69961 1998-03-19
JP6996198A JP3758113B2 (ja) 1998-03-19 1998-03-19 車両の燃料供給装置
JP98-69956 1998-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072A KR19990078072A (ko) 1999-10-25
KR100285173B1 true KR100285173B1 (ko) 2001-03-15

Family

ID=2641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375A KR100285173B1 (ko) 1998-03-19 1999-03-19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30690B1 (ko)
KR (1) KR100285173B1 (ko)
DE (1) DE19912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3240B2 (ja) * 1998-03-12 2002-05-20 東洋▲ろ▼機製造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US7046711B2 (en) * 1999-06-11 2006-05-16 High Q Laser Production Gmbh High power and high gain saturation diode pumped laser means and diode array pumping device
JP3830734B2 (ja) * 1999-09-02 2006-10-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燃料タンク構造
DE10004356A1 (de) * 2000-02-02 2001-08-09 Mannesmann Vdo Ag Fördereinheit
FR2814200B1 (fr) * 2000-09-21 2005-08-05 Marwal Systems Dispositif de puisage et de jaugeage pour reservoir de carburant de vehicule automobile
JP4370610B2 (ja) 2001-06-29 2009-11-25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4359806B2 (ja) 2001-06-29 2009-11-11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US20030102035A1 (en) * 2001-11-30 2003-06-05 Dasilva Antonio J. Fuel tank assembly
US6990862B2 (en) * 2002-02-26 2006-01-31 Rudolph Bergsma Trust Hermetic fuel level sender having tank bottom referencing
FR2838681B1 (fr) * 2002-04-19 2004-10-15 Marwal Systems Ensemble de puisage de carburant pour vehicules
JP2004068768A (ja) * 2002-08-09 200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供給装置及びこの燃料供給装置の燃料残量表示装置
JP4051564B2 (ja) * 2002-10-18 2008-02-27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4112971B2 (ja) * 2002-12-27 2008-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供給装置
US6886541B2 (en) * 2003-02-25 2005-05-0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Fuel pump module and method of assembly
US7061725B2 (en) * 2003-12-01 2006-06-13 Seagate Technology Llc Magnetic read sensor with stripe width and stripe height control
US20060000454A1 (en) * 2004-07-02 2006-01-0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n-tank fuel supply unit having long life filter
JP4329037B2 (ja) * 2004-12-28 2009-09-09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DE102005017520A1 (de) * 2005-04-15 2006-10-19 Siemens Ag Förderein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FR2885179B1 (fr) * 2005-04-27 2007-10-12 Ti Fuel Systems Sas Soc Par Ac Ensemble comprenant un module de puisage et filtre a charbon actif pour reserv0ir de carburant de vehicule automobile
JP2007118627A (ja) * 2005-10-24 2007-05-17 Yamaha Motor Co Ltd 燃料タンクアセンブリ及び当該燃料タンクアセンブリを備えた鞍乗型車両
FR2961738B1 (fr) * 2010-06-23 2014-02-28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Procede de fabrication d'un reservoir a carburant muni d'un baffle
CN102536528A (zh) * 2012-01-16 2012-07-04 中国嘉陵工业股份有限公司(集团) 一种摩托车燃油蒸发控制及油位指示浮漂结构
JP6215155B2 (ja) 2014-08-26 2017-10-18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6297451B2 (ja) * 2014-08-26 2018-03-20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US9539893B2 (en) 2014-09-29 2017-01-10 Spectra Premium Industries Inc. Fuel delivery module for low-profile fuel tank
JP6695707B2 (ja) * 2016-02-19 2020-05-20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6414113B2 (ja) * 2016-03-24 2018-10-31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6388001B2 (ja) * 2016-04-20 2018-09-12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6394636B2 (ja) * 2016-04-28 2018-09-26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CN106427829A (zh) * 2016-08-10 2017-02-22 瑞安市中申电器有限公司 油泵传感数显总成
EP3988367B1 (de) * 2020-10-23 2023-05-03 Magna Energy Storage Systems GesmbH Tank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20220081726A (ko) * 2020-12-09 2022-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펌프 모듈
KR20230028825A (ko) * 2021-08-23 2023-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펌프 모듈
US20230068333A1 (en) * 2021-09-02 2023-03-02 Richard Mellick Zock Modified gas tank with built-in fuel pump with internal regulator adapted for utility, off-road, and all-terrain vehicles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464A (en) * 1974-08-01 1975-10-07 Gen Motors Corp In-tank fuel pump support unit and assembly
SE425230B (sv) * 1979-02-19 1982-09-13 Saab Scania Ab Arrangemang vid infestning av tankarmatur i en brensletank
JPS6296136A (ja) * 1985-10-23 1987-05-02 Nissan Motor Co Ltd フユ−エルタンクのタンク内部品取付構造
US4672937A (en) * 1986-05-19 1987-06-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pump system
DE3914081A1 (de) * 1989-04-28 1990-11-0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foe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tank zu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JP2684099B2 (ja) * 1989-10-20 1997-12-0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2槽式燃料タンク装置
US5080077A (en) * 1990-06-01 1992-01-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dular fuel delivery system
DE4336858C1 (de) * 1993-10-28 1995-01-0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ördereinheit mit einem Füllstandsgeber
US5394902A (en) * 1994-04-29 1995-03-07 Nifco, Inc. Fuel pump inlet chamber assembly for a vehicle fuel tank
DE19528182B4 (de) 1995-08-01 2005-03-03 Robert Bosch Gmbh Kraftstoffördereinheit
US5762049A (en) * 1997-06-27 1998-06-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supply apparatus for motor vehicle
JP3846604B2 (ja) * 1997-09-30 2006-11-15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30690B1 (en) 2001-05-15
KR19990078072A (ko) 1999-10-25
DE19912494A1 (de) 199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5173B1 (ko)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JP3283240B2 (ja) 燃料供給装置
CN109154259B (zh) 燃料供给装置
KR20080056762A (ko) 연료 배급 모듈
US5169531A (en) Noise diffusing fuel filter
JPH0653757U (ja) 自動車の燃料タンクのインタンクポンプ用のフィルター
JPH0640313A (ja) 洗浄液槽を備える窓拭きワイパー装置
US20040055581A1 (en) Fuel supply apparatus
US5284055A (en) Device for measuring the fuel level in a motor vehicle tank
JP3758113B2 (ja) 車両の燃料供給装置
EP1433950A2 (en) Fuel supply system for vehicle
JP3823523B2 (ja) 車両の燃料供給装置
JP2005163565A (ja) ダイヤフラム型ポンプ
CN210623007U (zh) 一种智能注液泵机构
JPS61113519A (ja) 自動車用燃料タンク構造
JP3303709B2 (ja)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JPH0226737Y2 (ko)
JP2808720B2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CN220632022U (zh) 供水装置和清洗设备
JP2002098018A (ja) 燃料供給装置
JPH02144654U (ko)
CN221004009U (zh) 一种底阀
JPS6315818Y2 (ko)
JPH0413410Y2 (ko)
JP3298261B2 (ja) 燃料ゲ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