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884Y1 -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 Google Patents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884Y1
KR200287884Y1 KR2020020017270U KR20020017270U KR200287884Y1 KR 200287884 Y1 KR200287884 Y1 KR 200287884Y1 KR 2020020017270 U KR2020020017270 U KR 2020020017270U KR 20020017270 U KR20020017270 U KR 20020017270U KR 200287884 Y1 KR200287884 Y1 KR 200287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resistance
resistance plate
holder
fu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훈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7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884Y1/ko

Links

Landscapes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부착되는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가변저항판이 수납되고, 연료의 수위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플로트 아암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플로트 아암에 연동되게 연결되어 그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변저항판 상을 이동하는 콘택트 아암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 홀더는, 가변저항판이 수납되는 수용부의 양 측벽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바닥면으로 상기 가변저항판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다수개의 안내돌기와, 상기 가변저항판이 걸려서 고정되도록 수용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변저항판의 측부를 잡고 레지스터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드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조립과정에서 가변저항판 전면의 저항도체에 땀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을 가능성이 적어 제품 불량 발생이 적을 뿐 아니라,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THE RESISTOR HOLDER OF THE FUEL SENDE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부착되는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변저항판이 수납되는 수용부의 양 측벽 상부에 다수개의 안내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에 가변저항판이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부재를 형성한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계기판 중 하나인 연료량 지시계는 연료탱크 내에 설치된 연료량 표시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종래의 연료량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 내에 설치되는 연료펌프의 외벽에 고정되는 레지스터 홀더(10)와, 상기 레지스터 홀더(10) 내부에 안착되며 그 표면에 각각 다른 크기의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도체(21)가 인쇄되어 있는 가변저항판(20)과, 연료의 부력(浮力)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플로트(31)를 일단에 구비하고 그 타단은 상기 레지스터 홀더(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로트 아암(30)과, 상기 저항도체(21)와 접촉하는 접촉단자(41)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 아암(30)에 연결되어 플로트 아암(3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콘택트 아암(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연료량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연료의 수위변화에 따라 플로트(31) 및 플로트 아암(30)이 상하로 이동하면, 상기 플로트 아암(30)과 연결된 콘택트 아암(40)이 상기 저항도체(21) 상을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접촉저항 및 이에 대응하는 전류값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전류변화에 대응하여 연료량 지시계의 지시기(미도시)가 이동하여 현재의 연료량을가리킴으로써, 연료잔량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연료량 표시장치에서, 가변저항판(20)을 삽입하는 방식은 레지스터 홀더(10)의 위에서 삽입하는 수직삽입방식이었다. 즉, 종래의 가변저항판 조립방식은, 레지스터 홀더(10)의 가변저항판(20) 수용부(15)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13,14)와 탄성 후크(11,12) 위에 가변저항판(20)을 놓고 손으로 누르면, 탄성 후크(11,12)가 뒤로 젖혀지면서 가변저항판(20)이 가이드(13,14)를 따라 레지스터 홀더 수용부(15)에 안착되며, 그 후, 탄성 후크(11,12) 상단의 후크부와, 가이드(13,14) 하단의 절곡부와, 수용부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고정리브(17) 및 지지리브(18)에 가변저항판(20)의 측면이 걸려 고정되는 가변저항판(20) 수직삽입방식이었다(도 2 참조).
그러나, 이러한 수직삽입방식에 의하면, 가변저항판의 전면을 손으로 눌러 고정하였으므로, 땀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가변저항판 상의 세라믹 재질의 저항도체에 혼입되어, 기 설정된 저항값에 오차를 발생시킬 염려가 있었다. 또한, 수용부 측면의 걸림후크가 뒤로 젖혀지도록, 위로부터 힘을 가하여 가변저항판을 눌러야만 하므로, 과도한 상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하여 가변저항판 또는 걸림후크가 파손될 위험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변저항판이 수용되는 수용부 측벽 상부에 형성된 안내돌기 하부로 가변저항판을 수평으로 슬라이드시켜 삽입하고, 가변저항판 하부의 걸림부재를 이용하여 가변저항판을 손쉽게고정결합시킬 수 있는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연료량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에 가변저항판을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에 가변저항판을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레지스터 홀더에 가변저항판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레지스터 홀더에 가변저항판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레지스터 홀더, 110...안내돌기,
120...걸림부재, 130...개구부,
140...위치고정 돌출부, 150...스토퍼,
200...가변저항판, 300...플로트 아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는, 가변저항판이 수납되고, 연료의 수위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플로트 아암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플로트 아암에 연동되게 연결되어 그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변저항판 상을 이동하는 콘택트 아암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 홀더는, 가변저항판이 수납되는 수용부의 양 측벽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바닥면으로 상기 가변저항판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다수개의 안내돌기와, 상기 가변저항판이 걸려서 고정되도록 수용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개구부 상에 레지스터 홀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개구부의 일측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가변저항판을 고정하는 후크부로 구성되는 탄성후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 내측벽에는 한 개 이상의 위치고정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용부 일측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100)에 가변저항판(200)을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100)에 가변저항판(200)을 조립하는 방식은 레지스터 홀더(100)의 측면으로부터 조립하는 수평결합방식이다.
상기 레지스터 홀더(100)의 내부에는 가변저항판(200)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의 폭방향 양 측벽 상부에는 안내돌기(11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돌기(110)는 가변저항판(200)이 삽입되는 입구쪽 뿐만 아니라, 레지스터 홀더(100)의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사출성형 시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가변저항판(200)이 삽입되는 입구쪽 측벽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제외하고, 한두 개 정도 더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안내돌기(110)와 레지스터 홀더(100)의 수용부 바닥면 사이로 가변저항판(200)의 양측부가 삽입되게 된다.
가변저항판(200)이 삽입되는 입구 반대쪽의 수용부에는 스토퍼(150)가 형성되어, 수평으로 슬라이드되어 삽입되는 가변저항판(200)을 멈추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안내돌기(110) 뒤쪽의 수용부 측벽에는 삽입되어 들어오는 가변저항판(200)를 고정하는 위치고정 돌출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고정 돌출부(140) 중 첫번째 위치고정 돌출부(140)는, 가변저항판(200)이 미끄러져 들어올수 있도록 수용부 내측벽으로부터 만곡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 바닥면에는 개구부(1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개구부를 형성한 이유는, 재료를 절감하기 위한 것일 뿐 아니라, 후술하는 걸림부재(120)가 탄성에 의하여 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유 공간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재(120)는 개구부(130)의 측벽으로부터 레지스터 홀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끝단에 형성된 후크부로 구성되는 탄성후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탄성후크(120)의 후크부 상단으로부터 반대쪽 수용부에 형성된 스토퍼(150)까지의 거리는 가변저항판(200)의 길이와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가변저항판(200)을 눕혀서 레지스터 홀더(100)의 측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상기 안내돌기(110)와 수용부 바닥면 사이 공간에 삽입하면, 상기 가변저항판(200)은 안내돌기(110)의 안내를 받으며 슬라이드되어 수용부에 안착된다.
이 때,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탄성후크(120)의 후크부는 가변저항판(200)에 의하여 눌려져서 하강하게 되며, 가변저항판(200)의 우측단이 수용부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150)에 닿아서 가변저항판(200)이 수용부에 완전히 안착된 후에, 탄성에 의하여 다시 상승하여 가변저항판(200)의 좌측단을 지지 및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후크(120)의 몸체부는 가변저항판(20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후크(120)의 후크부 상부면은 가변저항판(200)이 상기 후크부를 누르면서 이동하기 쉽게,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레지스터 홀더(100)에 가변저항판(200)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레지스터 홀더(100)에 가변저항판(200)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가변저항판(200)은, 그 하부에서 수용부와 탄성후크(120)의 몸체부에 의하여, 그 상부에서 다수개의 안내돌기(110)에 의하여, 그 측면에서 수용부 측벽, 위치고정 돌출부(140), 스토퍼(150) 및 탄성후크(120)의 후크부에 의하여 확실하게 지지 및 고정된다.
이후, 플로트 아암(300) 등의 구성부재가 상기 가변저항판(200) 상부를 이동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상기 레지스터 홀더(100)에 장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는, 가변저항판의 측부를 잡고 레지스터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결합하는 방식이므로, 가변저항판 전면의 저항도체에 땀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을 가능성이 적어 제품불량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드하여 조립하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손쉽게 조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변저항판 또는 걸림부재가 손상될 가능성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가변저항판이 수납되고, 연료의 수위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플로트 아암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플로트 아암에 연동되게 연결되어 그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변저항판 상을 이동하는 콘택트 아암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 홀더(100)는, 가변저항판(200)이 수납되는 수용부의 양 측벽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바닥면으로 상기 가변저항판(200)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다수개의 안내돌기(110)와, 상기 가변저항판(200)이 걸려서 고정되도록 수용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재(1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개구부(130)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재(120)를 상기 개구부(130) 상에 레지스터 홀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120)는 개구부(130)의 일측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가변저항판(200)을 고정하는 후크부로 구성되는 탄성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측벽에 한 개 이상의 위치고정 돌출부(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일측에는 스토퍼(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KR2020020017270U 2002-06-05 2002-06-05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KR200287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70U KR200287884Y1 (ko) 2002-06-05 2002-06-05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70U KR200287884Y1 (ko) 2002-06-05 2002-06-05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884Y1 true KR200287884Y1 (ko) 2002-09-09

Family

ID=7312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270U KR200287884Y1 (ko) 2002-06-05 2002-06-05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8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52B1 (ko) 2008-07-25 2010-02-22 현담산업 주식회사 연료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52B1 (ko) 2008-07-25 2010-02-22 현담산업 주식회사 연료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3046B2 (en) Electrical connector
CN205621903U (zh) 卡用连接器
US4365857A (en) Connector having polarity
KR960043357A (ko) Sim 카드 커넥터
CN218349033U (zh) 取水装置及冰箱
US4183602A (en) Front panel for circuit boards
KR200287884Y1 (ko)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CN109659728B (zh) 连接端子及用于电池模组的支架组件
KR870008411A (ko) 기판의 전기 접속용 엣지 코넥터
CN210378827U (zh) 按键结构及电子设备
CN109659729B (zh) 连接端子及用于电池模组的支架组件
US7114962B1 (en) Circuit unit device
CN209843993U (zh) 卡连接器
CN201130783Y (zh) 电连接器
CN207602828U (zh) 电子卡连接器
CN208571149U (zh) 同轴连接器
JPH0338956Y2 (ko)
KR200287886Y1 (ko) 연료량 표시장치
JPH10511499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ー装置
CN211351076U (zh) 一种开关装置的接线组件及熔断器
CN204424534U (zh) 一种信息插座
CN217239898U (zh) 一种抗震动的sim卡连接器
JPS6332777Y2 (ko)
JP2534469Y2 (ja) コネクタ
CN210501494U (zh) 胶塞的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