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452B1 - 연료센서 - Google Patents

연료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452B1
KR100943452B1 KR1020080072803A KR20080072803A KR100943452B1 KR 100943452 B1 KR100943452 B1 KR 100943452B1 KR 1020080072803 A KR1020080072803 A KR 1020080072803A KR 20080072803 A KR20080072803 A KR 20080072803A KR 100943452 B1 KR100943452 B1 KR 100943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guide
cover
resistance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545A (ko
Inventor
황용택
곽훈표
Original Assignee
현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2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45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에는 입력관과 출력관이 연결된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상기 전원 연결부와 통하는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와 인접하는 위치에는 수용부와 격리된 고정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다수개의 저항단자를 각각 이분하여 호형태로 배열한 저항단자부를 구비한 세라믹 인쇄저항기판과; 호의 형태로 가이드하며 일측은 홈의 형태이고 타측은 돌출된 호가이드부와, 상기 호가이드부의 양측의 근방에 구비되는 방지턱과, 상기 호가이드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수평으로 가이드하는 수평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를 밀폐하도록 몸체를 커버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일측의 호가이드부에 안내되는 돌출편과, 상기 세라믹 인쇄저항기판에 구비된 이분된 다수개의 저항단자 중 어느 하나의 이분된 저항단자와 접촉하여 이분된 저항단자를 연결하는 접촉부와, 일측에 다수개의 자석이 구비된 연료량 측정부와; 상기 덮개의 타측의 호가이드부에 안내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근방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자석과, 상기 안내홈이 형성된 면의 맞은편에 형성되는 억지 끼움부와, 상기 억지 끼움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맞은편에 상기 몸체의 고정부에 삽입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를 기준으로 상기 덮개를 사이에 두고 연료량 측정부의 자석과 상기 자석을 통해 호가이드부를 따라 연료량 측정부와 연동되는 플로트암 고정대와; 상기 수평가이드부에 안내되며 일측은 상기 고정홀에 고정되고, 상기 일측의 근방은 억지 끼움부에 고정되며, 타측은 연료탱크내의 연료 수위에 따라 부유 위치가 변하는 플로트와 연결하여 플로트의 위치 변화에 따라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플로트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센서에 관한 것이다.
연료센서, 자동차, 계기판, 연료탱크, 저항

Description

연료센서{Sealed Fuel level sensor}
본 발명은 연료탱크에 구비되는 연료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에는 입력관과 출력관이 연결된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상기 전원 연결부와 통하는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와 인접하는 위치에는 수용부와 격리된 고정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다수개의 저항단자를 각각 이분하여 호형태로 배열한 저항단자부를 구비한 세라믹 인쇄저항기판과; 호의 형태로 가이드하며 일측은 홈의 형태이고 타측은 돌출된 호가이드부와, 상기 호가이드부의 양측의 근방에 구비되는 방지턱과, 상기 호가이드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수평으로 가이드하는 수평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를 밀폐하도록 몸체를 커버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일측의 호가이드부에 안내되는 돌출편과, 상기 세라믹 인쇄저항기판에 구비된 이분된 다수개의 저항단자 중 어느 하나의 이분된 저항단자와 접촉하여 이분된 저항단자를 연결하는 접촉부와, 일측에 다수개의 자석이 구비된 연료량 측정부와; 상기 덮개의 타측의 호가이드부에 안내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근방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자석과, 상기 안내홈이 형성된 면의 맞은편에 형성되는 억지 끼움부와, 상기 억지 끼움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맞은편에 상기 몸체의 고정부에 삽입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를 기준으로 상기 덮개를 사이에 두고 연료량 측정부의 자석과 상기 자석을 통해 호가이드부를 따라 연료량 측정부와 연동되는 플로트암 고정대와; 상기 수평가이드부에 안내되며 일측은 상기 고정홀에 고정되고, 상기 일측의 근방은 억지 끼움부에 고정되며, 타측은 연료탱크내의 연료 수위에 따라 부유 위치가 변하는 플로트와 연결하여 플로트의 위치 변화에 따라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플로트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연료탱크는 LPG차량,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을 막론하고 차량이 주행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있는 장치이며, 차량이 주행하는데 필요한 연료를 내부에 저장하였다가 상기 연료를 연료계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연료탱크는 주유후 차량이 일정 거리 이상 운행될 수 있도록 적정 용적을 가지며, 충격 등에 견딜 수 있도록 얇은 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연료탱크는 탱크 본체에 연료를 넣는 주유구, 드레인 플러그, 연료의 양을 알리는 연료센서 등이 부착되어 있고, 탱크 내부에는 주행시에 연료가 출렁거리는 것을 방지하고, 탱크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몇개의 간막이가 용접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료탱크에는 연료량을 체크하는 연료센서가 연료탱크와 일체형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연료센서는 연료의 양에 따라 부상되는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의 높이 이동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플로트암과, 상기 암의 상측 끝부분에 형성되는 저항핀과, 플로트의 상하이동에 따른 연료의 양을 저항값으로 변환하여 운전석에 마련된 연료계기판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세라믹 인쇄저항기판으로 구성된다.
즉,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 변화에 따라 상기한 플로트는 그 높이가 변하게 되고, 플로트의 높낮이에 따라 회동되는 플로트암의 끝부분에 연결된 저항핀이 상기한 세라믹 인쇄저항기판의 표면에 접촉된다. 여기서 세라믹 인쇄저항기판은 그 위치마다 저항의 크기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저항핀이 어느 위치에 접촉되는가에 따라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변화된 저항값은 운전석에 마련된 연료계기판에 전달되어 지침이 현재의 연료량을 지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료센서로는 미국특허 US 6,868,724 B2(Mar.22,2005)가 있으나 이는 플로트암은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고 플로트암에 의해 저항핀이 연동되도록 하우징의 내측에는 플로트암의 중심축과 연결되어 플로트암과 연동되는 별도의 연결부재(일측에 저항핀이 장착된)가 구비됨으로 부품수가 증대되는 한편, 외측 마그네트의 상하 움직임에 의하여 내측 마그네트도 상하 움직임이 발생하여 접촉힘(contact force)의 불안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힘의 불안정으로 접촉성이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고, 이는 연료센서의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한편, 연료센서는 연료 내에서 침적되어 사용되는 부품으로 연료에 의한 산화 및 저항 오지침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어 이러한 점을 막기 위하여 종래에는 실링 타입의 연료센서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거나 실링의 안전성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센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필드 크레임의 차단 및 기존 실링 타입 연료센서의 복잡성 및 불안전성을 해소하면서도 재연성이 우수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탱크에 구비되는 연료센서에 있어서, 일측에는 입력관과 출력관이 연결된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상기 전원 연결부와 통하는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와 인접하는 위치에는 수용부와 격리된 고정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다수개의 저항단자를 각각 이분하여 호형태로 배열한 저항단자부를 구비한 세라믹 인쇄저항기판과; 호의 형태로 가이드하며 일측은 홈의 형태이고 타측은 돌출된 호가이드부와, 상기 호가이드부의 양측의 근방에 구비되는 방지턱과, 상기 호가이드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수평으로 가이드하는 수평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를 밀폐하도록 몸체를 커버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일측의 호가이드부에 안내되는 돌출편과, 상기 세라믹 인쇄저항기판에 구비된 이분된 다수개의 저항단자 중 어느 하나의 이분된 저항단자와 접촉하여 이분된 저항단자를 연결하는 접촉부와, 일측에 다수개의 자석이 구비된 연료량 측정부와; 상기 덮개의 타측의 호가이드부에 안내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근방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자석과, 상기 안내홈이 형성된 면의 맞은편에 형성되는 억지 끼움부와, 상기 억지 끼움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맞은편에 상기 몸체의 고정부에 삽입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를 기준으로 상기 덮개를 사이에 두고 연료량 측정부의 자석과 상기 자석을 통해 호가이드부를 따라 연료량 측정부와 연동되는 플로트암 고정대와; 상기 수평가이드부에 안내되며 일측은 상기 고정홀에 고정되고, 상기 일측의 근방은 억지 끼움부에 고정되며, 타측은 연료탱크내의 연료 수위에 따라 부유 위치가 변하는 플로트와 연결하여 플로트의 위치 변화에 따라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플로트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센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센서에 의하면, 전기적 구성(세라믹 인쇄저항기판, 접촉부 등)은 케이스 및 덮개에 의해 기밀하게 구성되면서도 플로트와 플로트암을 이용하여 연료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덮개를 사이에 두고 연료량 측정부와 플로트암 고정대를 이용함으로써 연료량에 따라 탄성력을 갖는 브러쉬가 각기 다른 저항단자에 위치되어 연료계기판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여서 연료센서에 필드 크레임과 같은 현상은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연료센서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고, 기존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연료센서의 가격상승요인이 해소되어 기존의 연료센서 보다 저가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들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 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몸체(10)와, 세라믹 인쇄저항기판(30)과, 덮개(20)와, 연료량 측정부(40)와, 플로트암 고정대(60)와, 플로트암(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는 일측에는 입력관(12a)과 출력관(12b)이 연결된 전원 연결부(12)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상기 전원 연결부(12)와 통하는 수용부(11)를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11)와 인접하는 위치에는 수용부(11)와 격리된 고정부("U"자형 홈(13), 삽입부(13))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연결부(12)는 수용부(11)와 통하지만 덮개(20)로 수용부(11)를 커버하면 밀폐되는 구성이고, 수용부(11)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전원 연결부(12)와는 통하며 고정부와는 격리된 구성이다. 또한, 수용부(11)는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이분된 다수개의 저항단자를 호형태로 배열한 저항단자부(31)를 구비한 세라믹 인쇄저항기판(30)이 수용되도록 공간을 확보한다.
세라믹 인쇄저항기판(30)은 이분된 다수개의 저항단자를 갖는 저항단자부(31)를 구비한 것이다. 즉, 이분된 저항단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로 구분되어 하나의 저항단자(31a)는 +극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저항단자(31b)는 -극과 연결된다. 이를 위해 세라믹 인쇄저항기판(30)의 일측에는 두개의 리드선(미도시)이 연결되고, 이러한 리드선은 전원 연결부(12)의 입력과(12a), 출력관(12b)에 보호를 받으며 외부 전원과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원 연결부(12)를 커넥터 형식으로 세라믹 인쇄저항기판(30)에 접속하여 저항단자부(31)와 연결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인 것이다.
덮개(20)는 도 1과 같이 수용부(11)를 밀폐하여 수용부(11)와 외부와의 기밀성을 유지하게 하고, 고정부를 외부와 개방되게 하여 몸체(10)를 커버하는 구성이다. 또한, 덮개(20)의 일측의 중심부에는 호의 형상으로 돌출된 호가이드부(21)를 형성하고, 덮개(20)의 일측의 하부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수평으로 가이드하는 수평가이드부(22)를 형성한다. 또한, 플로트암 고정대(60)가 호가이드부(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가이드부(21)의 양측 근방엔 도 2와 같이 방지턱(23,24)이 구비된다. 여기서 호가이드부(21)는 덮개(20)의 일면에는 홈의 형태로 들어간 형상이고, 맞은편은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연료량 측정부(40)는 상기 덮개(20)의 일측의 호가이드부(21)에 안내되는 돌출편(44)과, 상기 세라믹 인쇄저항기판(30)에 구비된 이분된 다수개의 저항단자 중 어느 하나의 이분된 저항단자와 접촉하여 이분된 저항단자를 연결하는 접촉부와, 일측에 다수개의 자석(81,82)이 구비된다. 이러한 연료량 측정부(40)는 몸체(10)의 수용부(11)에 세라믹 인쇄저항기판(30)이 수용되고 난 후에 수용되는 것이다.
한편, 접촉부는 도 3과 같이 다수개의 결합홈(41a)을 형성한 결합편(41)과, 상기 이분된 저항단자에 접촉되어 이분된 저항단자를 연결하는 브러쉬(42)와, 상기 결합편(41)과 브러쉬(42)를 연결하는 링크(43)로 구성된다. 그리고 연료량 측정부(40)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결합홈(41a)과 대응되는 돌기(40a)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홈(41a)에 돌기(40a)를 삽입하면 접촉부는 연료량 측정부(40)에 고정된다. 여기서 브러쉬(42)는 도 3과 같이 양갈래로 나누어져 있어 한쪽은 +극과 연결된 저항 단자(31a)에, 다른 한쪽은 -극과 연결된 저항단자(31b)에 접촉되어 두개로 구분되어진 저항단자에 의해 전원이 통하지 않았던 것을 통하게 한다.
플로트암 고정대(60)는 도 4와 같이 덮개(20)의 타측의 호가이드부(21)에 안내되는 안내홈(62)과, 상기 안내홈(62)의 근방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자석(83,84)과, 상기 안내홈(62)이 형성된 면의 맞은편에 형성되는 억지 끼움부(61)와, 상기 억지 끼움부(61)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홀(63)과, 상기 고정홀(63)의 맞은편에 상기 몸체(10)의 고정부에 삽입되는 회전부(64)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64)를 기준으로 상기 덮개(20)를 사이에 두고 연료량 측정부(40)의 자석(81,82)과 상기 자석(83,84)을 통해 호가이드부(21)를 따라 측정부(40)와 연동된다.
플로트암(70)은 도 1과 같이 수평가이드부(22)에 안내되며 일측은 상기 고정홀(63)에 고정되고, 상기 일측의 근방은 억지 끼움부(61)에 고정되며, 타측은 연료탱크내의 연료 수위에 따라 부유 위치가 변하는 플로트(미도시)와 연결하여 플로트의 위치변화에 따라 회전부(64)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센서의 동작 관계를 설명한다.
우선, 세라믹 인쇄저항기판(30)의 저항단자부(31)에 전원을 연결하여 실시준비를 완료한다.
연료탱크의 연료량이 가득찬(Full) 경우에는 플로트는 연료탱크의 내부에서 최상단에 위치하게 될 것이고, 플로트를 일측에 구비한 플로트암(70)은 플로트의 위치에 따라 도 1을 기준으로 호가이드부(21) 및 수평가이드부(22)에 안내되어 덮개(20)의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플로트암(70)과 연동되는 플로트암 고정 대(60)와 연료량 측정부(40)에 의해 브러쉬(42)가 연동되어 세라믹 인쇄저항기판(30)의 이분된 다수개의 저항단자 중 저항값이 가장 작은, 또는 가장 큰 이분된 저항단자에 위치되면 저항값이 측정되고 이러한 저항값은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되어 제어부를 통해 연료계기판이 구동되어 연료계기판에는 연료량의 가득참(Full)을 지시하게 한다.
한편, 차량이 운전되어 연료량이 전부 소모되면 플로트는 연료탱크의 내부의 최상단의 위치에서 서서히 하강하게 되고, 이와 연동되는 플로트암(70), 플로트암 고정대(60), 연료량 측정부(40)에 의해 브러쉬(42)는 세라믹 인쇄저항기판(30)의 이분된 저항단자 중 저항값이 가장 큰, 또는 가장 작은 이분된 저항단자에 위치되어 저항값이 측정되고 이러한 저항값은 제어부에 전달되어 제어부를 통해 연료계기판이 구동되어 연료계기판에는 연료량이 빈상태(Empty)를 지시하게 한다.
여기서, 연료량이 Full일 경우 브러쉬(42)가 위치하게 되는 이분된 저항단자의 저항값이 가장 큰 경우이면 Empty의 경우는 이분된 저항단자의 저항값이 가장 작은 것이 될 것이다. 한편, 이를 역으로도 해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은 통상적인 것이어서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센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센서의 연료량 측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센서의 플로트암 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센서의 세라믹인쇄저항기판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연료센서의 좌측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센서의 우측을 절단하여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1: 수용부
12: 전원 연결부 13: "U"자형 홈
14: 삽입부 20: 덮개
21: 호가이드부 22: 수평가이드부
30: 세라믹 인쇄저항기판 31: 저항단자부
40: 연료량 측정부 40a: 돌기
41: 결합편 41a: 결합홈
42: 브러쉬 43: 링크
60: 플로트암 고정대 61: 끼움부
62: 안내홈 70: 플로트암
81,82,83,84: 자석

Claims (3)

  1. 연료탱크에 구비되는 연료센서에 있어서,
    일측에는 입력관(12a)과 출력관(12b)이 연결된 전원 연결부(12)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상기 전원 연결부(12)와 통하는 수용부(11)를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11)와 인접하는 위치에는 수용부(11)와 격리된 고정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되며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다수개의 저항단자를 각각 이분하여 호형태로 배열한 저항단자부(31)를 구비한 세라믹 인쇄저항기판(30)과;
    호의 형태로 가이드하며 일측은 홈의 형태이고 타측은 돌출된 호가이드부(21)와, 상기 호가이드부(21)의 양측의 근방에 구비되는 방지턱(23,24)과, 상기 호가이드부(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수평으로 가이드하는 수평가이드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11)를 밀폐하도록 몸체(10)를 커버하는 덮개(20)와;
    상기 덮개(20)의 일측의 호가이드부(21)에 안내되는 돌출편(44)과, 상기 세라믹 인쇄저항기판(30)에 구비된 이분된 다수개의 저항단자 중 어느 하나의 이분된 저항단자와 접촉하여 이분된 저항단자를 연결하는 접촉부와, 일측에 다수개의 자석(81,82)이 구비된 연료량 측정부(40)와;
    상기 덮개(20)의 타측의 호가이드부(21)에 안내되는 안내홈(62)과, 상기 안내홈(62)의 근방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자석(83,84)과, 상기 안내홈(62)이 형성된 면의 맞은편에 형성되는 억지 끼움부(61)와, 상기 억지 끼움부(61)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홀(63)과, 상기 고정홀(63)의 맞은편에 상기 몸체(10)의 고정부에 삽입되는 회전부(64)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64)를 기준으로 상기 덮개(20)를 사이에 두고 연료량 측정부(40)의 자석(81,82)과 상기 자석(83,84)을 통해 호가이드부(21)를 따라 연료량 측정부(40)와 연동되는 플로트암 고정대(60)와;
    상기 수평가이드부(22)에 안내되며 일측은 상기 고정홀(63)에 고정되고, 상기 일측의 근방은 억지 끼움부(61)에 고정되며, 타측은 연료탱크내의 연료 수위에 따라 부유 위치가 변하는 플로트와 연결하여 플로트의 위치 변화에 따라 회전부(64)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플로트암(7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회전부(64)의 외주면과 면접하는 "U" 자형 홈(13)과, 상기 플로트암 고정대(60)의 회전부(64)의 삽입홀(64a)이 삽입되도록 "U" 자형 홈(13)의 일측에 구비되는 삽입부(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센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다수개의 결합홈(41a)을 형성한 결합편(41)과, 상기 이분된 저항단자와 접촉하는 브러쉬(42)와, 상기 결합편(41)과 브러쉬(42)를 연결하는 링크(43)로 구성되며,
    상기 연료량 측정부(40)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결합홈(41a)과 대응되는 돌기(40a)를 형성하여 결합홈(41a)에 돌기(40a)를 삽입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센서.
KR1020080072803A 2008-07-25 2008-07-25 연료센서 KR100943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803A KR100943452B1 (ko) 2008-07-25 2008-07-25 연료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803A KR100943452B1 (ko) 2008-07-25 2008-07-25 연료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45A KR20100011545A (ko) 2010-02-03
KR100943452B1 true KR100943452B1 (ko) 2010-02-22

Family

ID=4208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803A KR100943452B1 (ko) 2008-07-25 2008-07-25 연료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4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886Y1 (ko) 2002-06-05 2002-09-09 우리산업 주식회사 연료량 표시장치
KR200287884Y1 (ko) 2002-06-05 2002-09-09 우리산업 주식회사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886Y1 (ko) 2002-06-05 2002-09-09 우리산업 주식회사 연료량 표시장치
KR200287884Y1 (ko) 2002-06-05 2002-09-09 우리산업 주식회사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45A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1301B (zh) 电磁流量计
US8469718B2 (en) Sensor apparatus having a sensor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connected to external terminals
US8159232B2 (en) Fuel property sensor
KR20100062725A (ko) 차량용 연료 센더 어셈블리
KR100987337B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내장기어형 연료센더
KR100943452B1 (ko) 연료센서
JP2014187751A (ja) 燃料供給装置
JP2019220255A (ja) 端子
KR100987338B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외장기어형 연료센더
US9435678B2 (en) Liquid level detection device
JP2007242681A (ja) 電子部品収容ケース
US10788353B2 (en) Liquid-surface detection device
KR101267503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센서
KR101816883B1 (ko) 연료 탱크용 유량 검출 장치
US11105672B2 (en) Liquid level detection unit
JP2010038550A (ja) 液面検出装置
KR101267502B1 (ko) 접촉부위에 윤활제를 도포한 방수형 연료센서
JP2007240274A (ja) 液面検出装置
CN220120208U (zh) 一种油位检测装置及系统
CN109890161B (zh) 一种传感器
WO2023106025A1 (ja) 液位検出装置
JP7384887B2 (ja) 液位検出装置
JP5119954B2 (ja) 液面検出装置
KR20110128493A (ko) 비접촉식 연료센더의 홀더와 그립퍼의 결합구조
JP2023085856A (ja) 液位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