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245B1 - 영상표시모니터 - Google Patents

영상표시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245B1
KR100281245B1 KR1019970066506A KR19970066506A KR100281245B1 KR 100281245 B1 KR100281245 B1 KR 100281245B1 KR 1019970066506 A KR1019970066506 A KR 1019970066506A KR 19970066506 A KR19970066506 A KR 19970066506A KR 100281245 B1 KR100281245 B1 KR 10028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ields
frequency
subfield
vertical synchronization
display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876A (ko
Inventor
미쯔히로 카사하라
카즈오 오오히라
카쯔히로 나카이
히데아끼 카와무라
타케히사 히라노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80063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DC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05Simultaneous scanning of several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6Interleaved control phases for different scan lines in the same sub-field, e.g. initialization, addressing and sustaining in plasma displays that are not simultaneous for all scan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서브필드법을 사용하고 있는 플라즈마표시모니터 등의 영상표시모니터는 표시를 위하여 가중된 다수의 2치영상화상을 시간축으로 중첩한다. 입력영상신호의 수직동기주파수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플라즈마표시패널의 안정한 구동을 보장할 수도 있고 256계조표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수직동기측정단위는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주파수를 측정하고, 서브필드수조정단위는 측정된 수직동기주파수에 따라 서브 필드의 수를 조정한다. 출력신호의 비트수를 변환하기 위해 사용한 다수의 ROM테이블로부터 출력될 서브필드의 수와 동등한 출력비트폭을 가지는 ROM테이블을 선택함으로써 플라즈마표시패널의 안정한 구동과 계조표시를 보장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모니터
본 발명은 가중된 다수의 2치영상화면을 표시를 위하여 시간축으로 중첩하는 서브필드법(subfield method)을 사용하는 플라즈마표시를 포함한 영상표시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라즈마표시모니터의 이용이 초박형 칼라표시모니터의 분야로 확장되었다.
일본국 특개평 H4-19508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표시모니터는 중간조를 표시하기 위해 소위 서브필드법을 사용한다. 일본국 특개평 H6-129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DC플라즈마표시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그것의 구동방법으로 표시데이타기록과 지속주기가 필요하다. 다음, 종래기술에 있어서 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에 대하여 제15도, 제16도, 제17도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5도는 단일주사시스템 구동법을 사용하는 종래기술의 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영상표시모니터는, 영상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 분리기(1), 동기신호분리기(1)에 의해 분리된 동기신호에 따라 타이밍펄스를 발생하는 타이밍펄스발생기(2), 영상신호를 디지틀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3), 서브 필드프로세서(4), 서브필드프로세서(4)에 필요한 프레임메모리(5), DC플라즈마표시패널(9), DC플라즈마표시패널(9)용 양극구동회로(6), 음극구동회로(7), 보조양극구동회로(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영상표시모니터에 있어서, A/D변환기(3)는 영상신호를 디지틀신호로 변환하여 이 디지틀신호를 서브필드프로세서(4)에 출력한다. 동시에 동기신호분리기(1)는 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한다. 타이밍발생기(2)는, 동기신호분리기(1)로부터의 동기신호출력에 따라 서브필드프로세서(4)와 A/D컨버터(3)에 필요한 타이밍펄스를 발생한다. 서브필드프로세서(4)는 프레임메모리(5)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서브필드프로세서(4)는 영상신호의 계조를 표시하기 위하여 영상신호의 1개 필드를 다수의 서브필드로 분할하여, 필요한 신호를 음극구동회로(7)와 보조양극구동회로(8)에 출력한다. 서브필드프로세서(4)는 또한 서브필드법을 사용하여 영상신호의 계조를 얻기 위해 입력영상디지틀신호를 변환하여 이 변환된 신호를 양극구동회로(6)에 공급한다. 하나의 양극전극집단은 다수의 양극전극의 단자 각각에 화면의 수직방향으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보조양극전극집단도 다수의 보조양극전극단자 각각에 화면의 수직방향으로 접속된다. 하나의 음극전극집단은 다수의 음극전극단자 각각에 화면의 수평방향으로 접속된다. 이들 음극전극을 수평으로 접속함으로써 만들어진 선을 이후 주사선이라 부른다.
제16(a)도는 내지 제16(e)도는 플라즈마표시패널(9)의 구동회로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파형은, 양극전극단자에 인가된 신호(펄스)와 음극단자 및 보조양극 전극단자에 인가된 신호사이의 관계를 1개의 양극전극단자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음극구동회로(7)는 제16(c)도 내지 제16(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음극전극단자K1(이후, 주사선K1이라 칭함)으로부터 최종음극전극단자(Km)까지 “activelow”기록펄스 SC를 출력한다. 제16(b)도를 참조하면, 양극구동회로(6)는 동기된 “active high”기록펄스와, 양극전극단자의 각 주사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DK1, DK2, DK3등을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보조양극구동회로(8)는 제16(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을 유도하기 위하여 기록펄스에 동기된 “active high”보조양극펄스를 보조양극전극단자에 출력한다. 보조양극펄스는 양극전극의 방전을 보장하는 출력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기록펄스가 주사선 K1에서 Km까지 연속으로 인가된다. 동시에 각 주사선의 각 음극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가 각각의 연속적인 양극 전극단자에 인가되고 보조양극펄스가 보조양극전극단자에 인가된다.
제16(e)를 참조하면, 다음에, 음극구동회로(7)는, 기록펄스를 출력한 이후 지속주기(SUS)동안 지속펄스를 출력한다. 플라즈마표시패널을 확실히 조사하기 위해 지속펄스가 인가되어 양극전극단자에서 방전을 보장한다 지속주기의 길이는 디지틀영상신호의 웨이트에 상당한다.
제17도는 8비트 256계조의 영상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기록 및 지속동작을 반복하는 서브필드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이다. 제17도에서, 시간은 가로좌표를 따라 결정되고, 주사선K1 내지 Km을 세로좌표를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에, 1필트주기(TfO)에서의 구동주기(TkO)는 SF1내지 SF8의 8개의 서브필드로 분할된다. 제1서브필드(SF1)에서 지속주기의 길이는 MSB(Most Significant Bit)에 상당하여, 이 예에서는 128t(여기서 t는 소정 단위의 주기)이다. 즉 동일길이의 지속주기가 동일한 하나의 서브필드에 있어서 K1으로부터 Km까지 각 주사선에 주워진다.
제1서브필드의 주사가 완료된 후, 제2서브필드(SF2)가 주사된다. 제2서브필드에서는, 양극구동회로(6)가 영상데이터를 양극전극단자에 출력한다. 이 영상데이터는 각 주사선의 디지틀영상신호의 제2유효비트(제2SB)에 대응한다. 음극구동회로(7)는 기록펄스후에 제2유효비트(제 2SB)에 해당하는 지속주기 동안 각 주사선에 지속펄스를 출력한다. 제2서브필드에 대한 지속주기의 길이는, 제2유효비트이며, 예를 들면 64t이다. 또한 양극구동회로(6)는 각 주사선의 디지틀영상신호의 각 비트에 대응하여, 영상데이터를 각 서브필트의 양극전극단자에 출력한다. 제3서브필드(SF3)에 대한 지속주기의 길이는, 제3유효비트이며, 예를 들면 32t이다. 각 서브필드에 대해서, 지속펄스의 길이는 비트웨이트에 상당하도록 설정된다. 제8서브필드(SF8)에서는, 지속주기의 길이가 예를 들면 1t이다.
따라서, 종래의 영상표시모니터는 각 디지틀신호값에 대응하는 각 화소에 대한 조사지속주기를 제어함으로써 256계조의 영상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종래의 영상포시모니터는 구동법으로서 단일주사시스템을 사용한다. 한편, 구동법으로서 이중 주사시스템을 사용한 영상표시장치가 있다. 이중주사시스템을 사용한 구동법에서는 플라즈마표시패널의 전극이 상부집단과 하부집단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진다. 이들 집단은, 1개 필드를 9개 서브필드로 분할함으로써 영상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동시에 제어된다. 다음, 이중 주사시스템을 사용한 영상표시모니터에 대하여 제18도 제19도, 제2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8도는 이중주사시스템을 사용한 종래기술에 있어서 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종래의 영상표시모니터는 영상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분리기(1), 동기신호분기기(1)에 의해 분리된 동기신호에 따라 타이밍펄스를 발생하는 타이밍펄스발생기(2), 영상신호를 디지틀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 서브필드프로세서(4) 서브필드프로세서(4)에 필요한 프레임메모리(5), 이중주사시스템을 위한 DC플라즈마표시패널(39), DC플라즈마표시패널(39)의 상반부를 제어하는 상부양극구돈회로 및 상부보조양극구동회로(36), 상·하부음극구동회로(37), DC플라즈마표시 패널(39)의 하반부를 제어하는 하부양극구동회로 및 하부보조양극구동회로(38)를 구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영상표시모니터에서, 서브필드프로세서(4)는 계조로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하여 영상신호의 1개 필드를 다수의 서브필드로 분할한다. 다음에 서브필드프로세서(4)는 필요한 신호를 상·하부음극구동회로(37), 상부양극 구동회로 및 상부보조양극구동회로(36), 그리고 하부양극구동회로 및 하부보조양극 구동회로(38)에 출력한다. 양극전극, 음극전극, 보조양극전극의 동작은 단일구사시스템과 일치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상기 구성된 영상표시모니터에서 서브필드프로세서(4)는 프레임메모리(5)에 따라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서브필드프로세서(4)는 계조로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해 영상신호를 서브필드로 분할함으로써 입력영상디지틀신호를 변환한다. 다음에 서브필드프로세서(4)는 이 변환된 신호를 상부양극구동회로 및 상부보조양극구동회로(36), 상·하부음극구동회로(37), 하부양극구동회로 및 하부보조양극구동회로(38)에 출력한다.
제19(a)도는 내지 제19(h)도는 이중주사시스템을 사용한 DC플라즈마표시패널구동회로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상·하부음극구동회로(37)는 기록펄스를 플라즈마표시패널상반부의 주사선K1 내지 Kn상의 음극전극단자에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주사선 K(n+1)내지 Km상의 음극전극단자에도 기록펄스를 출력한다. 여기서, n값은 2n=m을 만족하며, 여기서 m은 음극전극단자의 총수를 나타낸다.
상부양극구동회로 및 상부보조양극구동회로(36)는, 기록펄스에 동기된 영상 데이터를 상부양극전극단자에 출력하고, 여기서 영상데이터는 각 주사선에 대응한다. 상부양극구동회로 및 상부보조양극구동회로(36)는 또한 방전을 유도하기 위한 보조양극펄스를 상부보조양극전극단자에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하부양극구동회로 및 하부보조양극구동회로(36)는 각 주사선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를 하부양극전극단자에 출력하고, 또한 방전을 유도하기 위한 보조양극펄스를 하부보조양극 전극단자에 출력한다. 또한, 주사선, K1 및 K(n+1)에서 Km 및 Km까지 연속적으로 기록펄스가 인가된다. 게다가 각 주사선상의 각 음극에 대응하여, 영상데이터 DK1, DK2, DK3등과 DK(n+1), DK(n+2), DK(n+3)등이 양극전극단자에 동시에 인가되고, 보조양극펄스는 보조양극전극단자에 인가된다.
상·하부음극구동회로(37)는 또한 기록펄스이후에도 각 음극전극단자에 지속주기(SUS)를 위해 지속펄스를 출력한다. 지속펄스는 플라즈마표시패널을 확실히 조사하기 위해 양극전극단자의 방전을 보장한다. 이 지속주기의 길이는 디지틀영상신호의 웨이트에 상당한다.
제20도는 상기 기록 및 지속동작을 반복함으로써 256계조로 표시하기 위한 서브필드법의 일예이다. 이중주사시스템은 단지 플라즈마표시패널의 절반에서만 주사용 음극전극단자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1개 필드를 9개 이상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부 유효비트를 다수의 서브필드로 분할할 수 있다. 종래에는, 플라즈마표시패널 특유의 동화상의사윤곽선이라 불리는, 화질의 열화를 상부유효비트를 다수의 서브필드로 분할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상·하부음극구동회로(37)는 영상신호의 MSB(128t)의 1/4에 강당하는 예를 들면 32t인 지속주기를 위한 지속펄스를 제1서브필드(SF1)에 대해 상반부스크린의 주사선K1내지 Kn에 그리고 하반부스크린의 주사선K(n+1) 내지 Km에 출력한다. 다음에는 제2서브필드(SF2)에 대하여, 상·하부음극구동회로(37)는 또한 영상신호MSB의 32t지속주기의 지속펄스를 출력한다. 이 예에서, 영상신호의 1개 필드는 SF1 내지 SF12의 12개 서브필드로 분할된다. 4서브필드의 지속펄스의 지속시간은 디지틀영상신호에서 128치로 가중된 MSB의 1/4, 그 다음은 다음의 2서브필드에서 64치로 가중된 제2MSB의 1/2, 그리고 남아있는 6개 하부비트의 비트웨이트에 상당한다. 따라서, 지속펄스는 제1서브필드에 대한 LSB의 1/4에 상당하는 주기에 대하여 제12서브필드에 대한 LSB로 지속적으로 출력된다. 이들 출력은 각 영상비트용의 각 화소를 조사하여, 256계조신호의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현재의 영상표시모니터에는 다른 유형의 입력신호에 응하여, 일반수직동기주파수인 60Hz이외의 광역수직동기주파수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설명만 바와 같이 종래의 구성에서는, 영상신호에서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가 높고 1필드주기가 8개 서브필드에 대한 구동주기보다 짧게 되는 경우, 다음 필드에서의 제1서브필드의 구동이 앞선 필드의 제8서브필드를 구동하는 동안 시작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플라즈마표시패널이 불안정하게 구동한다.
상기의 불익을 피하기 위해 기록펄스와 지속펄스의 펄스폭을 단축시기거나 그 주파수를 증가시킨다면 플라즈마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충분한 주기를 확보할 수 없다. 또한 그 결과로 플라즈마표시패널의 on/off작동이 불안정해진다.
한편, 수직동기주파수가 낮고, 1필드주기가 길어지면, 1개 필드의 초반에서 플라즈마표시패널을 줄줄이 구동하기 위한 주기와 제8서브필드를 구동시킨 후의 구동휴회주기가 더 길어지고, 그 결과 명멸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또한, 이중주사시스템에서는, 단일 주사시스템의 상기 불익에 더하여 1필드 주기가 12개 서브필드에 대한 구동주기보다 짧은 겅우에는 다음필드에서의 제1서브필드의 구동이 앞선 필드의 제12서브필드를 구동하는 동안 시작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플라즈마표시패널이 불안정하게 구동한다.
상기의 불익을 피하기 위해 기록펄스와 지속펄스의 펄스폭을 단축시키거나 그 주파수를 증가시킨다면 플라즈마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충분한 주기를 확보 할 수 없다. 또한 그 결과로 플라즈마표시패널의 on/off작동이 불안정해진다.
한편, 수직동기주파수가 짧고, 1필드주기가 길어지면 1개 필드의 초반에서 플라즈마표시패널을 줄줄이 구동하기 위한 주기와, 제12서브필드를 구동시킨 후의 구동휴회주기가 더 길어지고, 그 결과 명멸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영상표시모니터는 영상신호의 각 필드를 시간폭 또는 펄스수에 따라 각각 가중된 다수의 서브필드로 분할하여 이에 의해, 표시를 위해 시간축으로 이들 서브필드의 영상화상을 중첩시킴으로써 계조표시를 할 수 있다. 수직동기주파수측정단위는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주파수를 측정한다. 서브필드수조정단위는 측정된 수직동기주파수에 따라 서브필드의 수를 조정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1에 의한 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1에 의한 서브필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1에 의한 서드필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2에 의한 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2에 의한 서브필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3에 의한 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4에 의한 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4에 의한 서브필드의 구성을 도시탄 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4에 의한 서브필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
제10도는 각 출력비트폭에 대한 각 서브필드를 가중시키는 것의 일례를 도시한 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4에 의한 각 계조에 대한 서브필드배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4에 의한 각 계조에 대한 서브필드배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4에 의한 각 계조에 대한 서브필드배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5에 의한 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
제15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
제16(a) 내지 제16(e)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DC플라즈마표시패널의 구동파형을 도시한 도.
제17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서브필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8도는 종리기술에 의한 이중주사시스템을 사용한 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
제19(a) 내지 제19(h)는 이중주사시스템을 사용한 종래기술에 의한 DC플라즈마표시패널의 구동파형을 도시한 도.
제20도는 이중주사시스템을 사용한 종래기술의 영상표시모니터에 있어서 서브필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기신호분리기 2 : 타이밍펄스발생기
3 : A/D변환기 4 : 서브필드프로세서
5 : 프레임메모리 6 : 양극구동회로
7 : 음극구동회로 8 : 보조양극구동회로
9 : 단일주사용 PDP패널 10 : 수직동기주파수측정회로
11 : 서브필드수조정단위 12 : 서브필드길이조정단위
13 : 비교기 21∼25 : ROM테이블
26 : 선택기 31 : RAM테이블
32 : 외부기억장치 33 : RAM제어기
36 : 상부양극구동회로 및 상부보조양극구동회로
37 : 상·하부음극구동회로
38 : 하부양극구동회로 및 하부보조음극구동회로
39 : 이중주사용 PDP패널
[실시예 1]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1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3도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다중주사적용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상표시모니터는, 동기분리기(1), 타이밍펄스발생기(2), A/D변환기(3), 서브필드프로세서(4), 프레임메모리(5), 양극구동회로(6), 음극구동회로(7), 보종양극구동회로(8), DC플라즈마표시패널(9), 동기 분리기(1)에서 분리된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수직동기신호주파수측정회로(10), 수직동기주파수측정회로(10)에 의해 측정된 수직동기주파수에 의거하여 서브필드프로세서(4)를 제어함으로써 서브필드의 수를 조정하는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를 구비하고 있다. 제15도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목적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제1도에서, (1)∼(9)는 종래기술의 영상표시모니터를 도시한 제15도의 (1)∼(9)와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예시적인 제1실시예에 있어서 다중주사적용 영상표시모니터의 작동에 대해서 제2도와 제3도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와 제3도에서, 시간은 가로좌표를 따라 나타내고 주사선 Kl내지 Km은 세로좌표를 따라 나타낸다. 1필드주기(Tf1)에서의 구동주기(Tk1)는 SF1∼SF7의 7개 서브필드로 분할된다.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는 제1서브필드(SF1)에서의 지속주기의 길이가 MSB의 지속길이에 상당하며, 예를 들면 128t이다(여기서 t는 소정의 주기단위) 즉, 동일한 서브필드에서의 주사선 K1 내지 Km각각에는 동일한 지속주기가 부여된다.
동기분리기(1)는 입력영상신호로부터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해낸다. 수직동기주파수측정회로(10)는 입력수직동기신호의 수직동기주파수를 측정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제1서브필드(SF1)로부터 제7서브필드(SF7)까지 구동하도록 서브필드프로세서(4)에게 지시한다. 수직동기주파수가 1필드주기내의 제8서브필드까지 구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는 특정의 제1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제8서브필드는 구동되지 않는다.
수직동기주파수가 1필드주기내에서 제9서브필드까지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도 있는 특정의 제2레벨 이하로 감소되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제1서브필드를 각각 64t(제3도에서 SF1과 SF1′)로 분할하도록 서브필드프로세서(4)에게 지시하여 총 9개의 서브필드로 플라즈마표시패널을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예시적인 제1실시예에서, 수직동기주파수가 제1특정레벨보다 높으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시기고, 누직동기주파수가 제2특정레벨보다 낮으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서브필드의 수를 증가시킨다. 이 때문에, 높은 수직동기주파수에 기인하여 영상신호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일정필드에서의 영상화상에 대해 서브필드를 구동시키는 동안 다음필드의 제1서브필드의 구동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서브필드를 구동시키는 동안 입력영상신호의 1개필드가 완료되는 것과 다음필드에서의 제1서브필드의 구동개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표시패널을 안정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제1실시예에 의하면 1개 필드의 초반에서 플라즈마표시패널이 줄줄이 구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명멸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직동기 주파수가 낮은 경우 1필드주기가 더 길어지기 때문에 제8서브필드의 구동이 완료된 후에 약간의 시간이 남게 된다.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수직동기주파수에 응해서 서브필드의 수를 증가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특정레벨을 가지고 있다. 특정레벨과 수직동기주파수 사이의 관계에 의거하여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시기거나 또는 서브필드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각 특정레벨은 자동적으로 변경되거나 또는 외부명령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그 주파수에 따라 2개 이상의 서브필드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표시모니터의 서브필드수조정수단은 다음기능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다: i) 수직동기주파수가 제1특정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하는 기능, ii) 수직동기주파수가 제2특정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증가하는 기능. iii) 수직동기주파수가 제1특정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하고, 수직동기주파수가 제2특정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증가하는 기능.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에 응답하여 서브필드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플라즈마표시패널을 안정하게 구동시킬 수 있는 다중주사적용 영상표시모니터를 제공한다.
[실시예 2]
제4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2에 있어서 다중주사적용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1도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목적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나타내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4도에서, (1)∼(10)은 예시적인 실시예 1를 도시한 제1도의 (1)∼(10)과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가진다.
수직동기주파수측정회로(10)에 의해 측정된 수직동기주파수가 제1특징레벨 보다 높으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시키도록 서브필드프로세서(4)에게 지시한다. 수직동기주파수측정회로(10)에 의해 측정된 수직동기주파수가 제3특정레벨보다 낮으면 서브필드길이조정단위(12)는 서브필드의 길이를 증가시키도록 서브필드프로세서(4)에게 지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예시적인 제2실시예에 있어서, 다중주사적용영상표시모니터의 작동에 대해서 제4도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기분리기(1)는 입력영상신호로부터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해내고, 수직동기주파수측정회로(10)는 수직동기주파수를 측정한다. 수직동기주파수가 1필드주기내에서 제8서브필드까지 구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제1특정레벨을 초과하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8서브필드를 소거하고 플라즈마표시패널을 구동하도록 서브필드프로세서(4)에게 지시한다. 서브필드길이조정단위는 더 긴 시간주기를 설정함으로써 각 서브필드의 지속주기를 연장한다. 예를 들면 제5도를 참조하면, 수직동기주파수가 제3특정레벨보다 더 낮아질 때 제1서브필드에 대해 128t는 128t 1(t1>t)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예시적인 제2실시예에서,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수직동기주파수가 제1특정레벨보다 높은 경우에,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시키고, 서브필드길이조정단위(12)는, 수직동기주파수가 제3특정레벨보다 낮은 경우에, 서브필드의 길이를 연장시킨다. 높은 수직동기주파수에 기인하여 영상신호가 완료되지 않는 일정필드에서의 영상화상에 대해 서브필드를 구동시키는 동안 다음필드에서의 제1서브필드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플라즈마표시패널을 안정하게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예시적인 제1실시예에 의하면 1개 필드의 초반에서 플라즈마표시패널이 줄줄이 구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명멸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직동기주파수가 낮은 경우 1필드주기가 더 길어지기 때문에 제8서브필드의 구동이 완료된 후에 약간의 시간이 남게 된다.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는, 그들의 주파수에 따라 2개 이상의 서브필드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에 응답하여 서브필드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플라즈마표시패널을 안정하게 구동시킬 수 있는 다중주사적용 영상표시모니터를 제공한다.
[실시예 3]
제6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3에 있어서 다중주사적용 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 2에 대해 도시한 제4도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목적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6도에서, (I)∼(12)는 예시적인 실시예 2를 도시한 제4도의 (1)∼(12)와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가진다. 비교기(13)는 히스테리시스에 의거하여 수직동기주파수, 제1특정레벨, 그리고 제3특정레벨을 비교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예시적인 실시예 3에서, 비교기(13)는 히스테리시스에 의거하여 주파수의 변화를 비교하여, 주파수전환으로 인한 채터링을 방지할 수 있는 서브피드길이조정단위(12)와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를 제어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 3는 플라즈마표시패널의 안정한 구동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하는 다중주사적용영상표시모니터를 제공한다.
[실시예 4]
제7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4에 있어서 다중주사적용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 3의 구성을 도시한 제6도의 구성 요소와 종래의 이중주사구동법을 도시한 제18도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목적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6도에서, (1)∼(5), (10),(11),(13)은 예시적인 실시예 3를 도시한 제6도의 구성요소와, 종래기술을 도시한 제18도의 (36∼(39)와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ROM테이블(21)∼(25)는 8비트입력폭을 가진 영상신호를 다른 출력비트폭을 가진 영상신호로의 테이블변환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면, ROM테이블(21)은 8비트입력데이터를 9비트출력데이터로 변환시키고, ROM테이블(25)은 동일한 8비트입력데이터를 8+N비트출력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선택기(26)는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A/D변환기(3)의 8비트출력과 ROM테이블(21)내지 ROM테이블(25)의 출력중으로부터 선택한다.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표시된 숫자8∼8+N은 각 신호의 비트폭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예시적인 실시예 4에 있어서 다중주사적용영상표시모니터의 작동에 대해서 제7도내지 제13도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8도을 참조하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수직동기주파수가 1필드주기내의 제12서브필드까지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는 제4특정레벨보다 높으면, SF1 내지 SF11까지의 11개의 서브필드에서 플라즈마표시패널을 구동하도록, 서브필드프로세서(4)와 선택기(26)에서 지시한다. 여기서, 선택기(26)는 서브필드의 수와 동등한 출력비트폭을 가지는 ROM테이블(22)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제어된다.
한편, 제9도에 의하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수직동기주파수가 1필드주기내에서의 제13서브필드까지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5특정레벨보다 낮으면 SF1 내지 SF13까지의 총13개의 서브필드에서 플라즈마표시패널을 구동하도록, 서브필드프로세서(4)와 선택기(26)에게 지시한다. 여기서, 선택기(26)는 서브필드의 수와 동등한 출력비트폭을 가지는 ROM테이블(24)의 출력을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예시적인 실시예 4에서, 수직동기주파수가 제4특정레벨보다 높으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시키고, 수직동기주파수가 제5특정레벨보다 낮으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서브필드의 수를 증가시킨다. 동시에 서브필드의 수에 대응하는 ROM테이블이 또한 선택된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ROM테이블(21) 내지 (25)는 각 서브필드에 대응하는 비트웨이트에 따라 사전에 가중되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서브필드에 대응하는 비트웨이트에 따라 사전에 가중되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서브필드의 수의 증가 또는 감소에 상관없이 256계조로 영상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해준다.
제11도는 12개 서브필드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각 계조에 서브필드를 배치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제11도는 8비트 256계조입력데이터가 제10도에 도시한 비트가중테이블에 따라 12개 서브필드에 가중되는 경우 서브필드의 배지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11도는 도시한 서브필드가 제10도는 도시한 비트가중테이블에 따라 배치된다면 계조 100을 가진 화소는 4개의 서브필드(5),(6),(7),(10)을 조사함으로써 표시된다.
제12도는 11개의 서브필드를 사용한 경우의 각 계조에 서비필드를 배치한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2도는 8비트 256계조입력데이터가 11개 서브필드에 가중되는 경우 서브필드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12도에 도시한 서브필드가 제10도는 도시한 비트가중테이블에 따라 배치된다면, 계조 100을 가진 화소 4개의 서브필드(4),(5),(6),(9)를 조사함으로써 표시된다.
제13도는 13개의 서브필드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각 계조에 서브필드를 배치만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3도는 제10도에 도시한 비트가중테이블에 따라 8비트 256계조입력데이터가 13개 서브필드에 가중되는 경우 서브필드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13도에 도시한 서브필드가 제10도에 도시한 비트 가중테이블에 따라 배치된다면, 계조 100을 가진 화소는 5개의 서브필드 (5),(6),(7),(8),(11)을 조사함으로써 표시된다.
제10도는 도시한 서브필드의 가중과, 제11도, 제12도, 제13도에 도시한 각 계조에 대한 서브필드의 배치는 단지 예일뿐이며, 다른 조합도 가능하다.
높은 수직동기주파수에 기인하여 영상신호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일정필드에서의 영상화상에 대해 서브필드를 구동시키는 동안 다음필드에서 제1서브필드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플라즈마표시패널의 안정한 구동을 보장할 수 있다.
서브필드의 수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256계조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1개 필드의 초반에서 플라즈마표시패널이 줄줄이 구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명멸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1필드주기가 더 길어지기 때문에 제12서브필드의 구동이 완료된 후에 약간의 시간이 남게 된다.
[실시예 5]
제14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1에 있어서 다중주사적용 영상표시모니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 4를 도시한 제7도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목적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14도에서, (1)∼(5), (10),(11),(13),(36)∼(39)는 예시적인 실시예 4를 도시한 제7도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RAM테이블(31)은 입력영상신호의 테이블변환에 대한 것이고, 외부기억장치(32)는 RAM테이블(31)에 기록될 데이터를 기억하고, RAM컨트롤러(33)는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외부기억장치에 기억된 테이블데이타를 RAM테이블(31)에 기록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예시적인 제5실시예에 있어서 다중주사적용영상표시모니터의 작동에 대해서 제14도와 제8도 내지 제13도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수직동기주파수가 1필드주기내에서의 제12서브필드까지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게 될 수도 있는 제4특정레벨을 초과하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11개 서브필드까지 플라즈마표시패널을 구동하도록 서브필드프로세서(4)와 RAM컨트롤러(33)에게 지시한다. 제14도를 참조하면, RAM컨트롤러(33)는 서브필드의 수와 동등한 11비트출력폭을 가지는 테이블데이터를 외부기억장치(32)로부터 선택하여 RAM테이블(31)에 기록한다.
한편, 서브필드개수조정단위(11)는 수직동기주파수가 1필드주기내에서의 제13서브필드까지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도 있는 제5특정레벨보다 낮으면,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 13개의 서브필드에서 플라즈마표시패널을 구동하도록 서브필드프로세서(4)와 RAM컨트롤러(33)에게 지시한다. 여기서, RAM컨트롤러(33)는 서브필드의 수와 동등한 13비트출력폭을 가지는 테이블데이터를 외부기억장치(32)로부터 선택하여 RAM테이블(31)에 기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예시적인 제5실시예에서, 수직동기주파수가 제4특정레벨보다 높으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시키고 수직동기 주파수가 제5특정레벨보다 낮으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는 서브필드의 수를 증가시킨다. 양쪽 경우 모두, 서브필드의 수와 동등한 출력비트곡을 가지는 태이블 데이터를 RAM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외부기억장치(32)에 기억된 각 출력비트폭에 대한 테이블데이터는, 예시적인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가중테이블의 예에 따라 각 서브필드에 대응하는 비트로 가중되도록 또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구동될 서브필드의 각 수에 대한 각 계조에 서브필드를 배치하는 것은, 서브필드의 수의 증가 또는 감소에 관계없이 256계조로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11도 제12도,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제10도에 도시한 서브필드의 가중 및 제11도, 제12도, 제13도에 도시한 각 계조에 대한 서브필드의 배치는 단지 예일뿐이며, 다른 조합도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해, 높은 수직동기주파수에 기인하여 영상신호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일정필드에서의 영상화상에 대해 서브필드를 구동시키는 동안 다음필드에서 제1서브필드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플라즈마표시패널의 안정한 구동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1개 필드의 초반에서 플라즈마표시패널이 줄줄이 구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명멸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수직동기주파수가 낮은 경우 1필드주기가 더 길어지기 때문에 제12서브필드의 구동이 완료된 후에 약간의 시간이 남게 된다. 서브필드수의 증가 또는 감소에 상관없이 256계조표시를 또한 유지할 수 있다.
테이블데이터를, 수직리트레이스(retrace)주기동안에만 RAM테이블에 기록함으로써 표시된 영상화상을 열화시키지 않고 스위치할 수 있다.
RAM, ROM, 데이터디스크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장치들은 외부기억장치(32)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로 데이터를 창출함으로써 RAM테이블에 데이터를 직접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동기주파수가 제1특정레벨보다 높으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가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시키고, 수직동기주파수가 제2특정 레벨보다 낮으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11)가 서브필드의 수를 증가시키도록 한다.
이 때문에, 높은 수직동기주파수에 기인하여 영상신호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일정필드에서의 영상화상에 대해 서브필드를 구동시키는 동안 다음필드에서 제1서브필드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플라즈마표시패널의 안정한 구동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개 필드의 초반에서 플라즈마표시패널이 줄줄이 구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명멸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수직동기주파수가 낮은 경우 1필드주기가 더 길어지기 때문에 제8서브필드의 구동이 완료된 후에 약간의 시간이 남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입력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에 응답하여 서브필드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안정한 플라즈마표시패널의 구동을 보장할 수 있는 다중주사적용영상표시모니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히스테리시스를 이용한 주파수의 변화를 비교하는 비교기를 사용하고 서브필드수조정단위와 서브필드길이조정단위를 제어하여, 이에 의해 더욱 안정한 플라즈마표시패널의 구동을 보장함으로써 주파수가 절환되는 경우의 채터링을 방지할 수도 있는 다중주사적용영상표시모니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수직동기주파수가 제4특정레벨보다 높은 경우 서드필드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서브필드수조정단위를 사용하며, 감소된 서브필드의 수에 대응하는 ROM테이블의 출력이 선택된다. 이 때문에 영상신호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일정필드에서의 영상화상에 대해 서브필드를 구동시키는 동안 다음필드에서 제1서브필드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플라즈마표시패널의 안정한 구동을 보장할 수 있고 256계조신호의 표시를 보장할 수도 있다. 수직동기주파수가 제5특정레벨보다 낮으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는 서브필드의 수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서브필드수에 대응하는 ROM테이블의 출력이 선택된다. 이 때문에 1개 필드의 초반에서 플라즈마표시패널이 줄줄이 구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명멸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고 256계조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직동기주파수가 낮은 경우는 1필드주기가 더 길어지기 때문에 제12서브필드의 구동이 완료된 후에 약간의 시간이 남게된다.
본 발명은 또한, 수직동기주파수가 제4특정레벨보다 높은 경우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서브필드수조정단위를 사용하며, 감소된 서브필드의 수에 대응하는 테이블데이터를 RAM테이블에 기록한다. 이 때문에 영상신호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일정필드에서의 영상화상에 대해 서브필드를 구동시키는 동안 다음필드에서 제1서브필드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플라즈마표시패널의 안정한 구동을 보장할 수 있고 256계조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수직동기주파수가 제5특정레벨보다 낮으면, 서브필드수조정단위는 서브필드의 수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서브필드수에 대응하는 테이블데이터가 RAM테이블에 기록된다. 이 때문에 1개 필드의 초반에서 플라즈마표시패널이 줄줄이 구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명멸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고 256계조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직동기주파수가 낮은 경우 1필드주기가 더 길어지기 때문에 제12서브필드의 구동이 완료된 후에 약간의 시간이 남게 된다. 테이블변환으로 인한 영상화상의 열화를, 수직리트레이스주기 동안 RAM테이블에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또한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DC플라즈마표시를 구동시키는 것에 관계되는 설명이다. 동일한 구상을, 즉 256계조로 표시하기 위한 비트가중에 따라 1필드의 필드를 다수의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각 시브필드중 플라즈마표시패널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방전을 지속시키는 것에 대하여 AC플라즈마표시모니터에도 또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C플라즈마표시모니터에서 단일주사 및 이중주사구동시스템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뿐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로 나타낸 본 발명의 범위 및 청구범위에 적법한 사상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내에 포함된다.

Claims (16)

  1. 영상신호의 각 필드가 각각의 수의 서브필드로 분할되고, 상기 서브필드는 각각 시간폭과 펄스치중 하나로 가중되며, 상기 서브필드의 영상화상은 상기 영상 화상을 계조로써 표시하기 위하여 시간축으로 중첩되는 수직동기주파수를 가진 영상신호를 사용하는 영상표시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주파수를 측정하는 수직동기주파수측정수단과, 상기 측정에 따라서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조정하는 서브필드수조정수단과, 상기 수직동기주파수측정수단의 측정결과에 따라서 i) 상기 서브필드의 시간폭과, ii) 상기 서브필드의 펄스치중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서브필드길이 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2. 영상신호의 각 필드가 각각의 수의 서브필드로 분할되고, 상기 서브필드는 각각 시간폭과 펄스치중 하나로 가중되며, 상기 서브필드의 영상화상은 상기 영상화상을 계조로써 표시하기 위하여 시간축으로 중첩되는 수직동기주파수를 가진 영상신호를 사용하는 영상표시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주파수를 측정하는 수직동기주파수측정수단과, 상기 측정에 따라서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조정하고, 상기 수직동기주파수가 소정의 해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1필드주기내에서 소정의 서브필드수까지 구동이 방지되는 주파수인 제1특정주파수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시키는 서브필드수조정수단과, 상기 수직동기주파수가 소정의 서브필드길이보다 긴 서브필드길이가 1필드주기 내에서 설정가능한 주파수인 제3특정주파수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서브필드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서브필드길이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3. 제1항에 있어서, 입력비트 폭에 대응하는 다른 출력비트폭을 가진 ROM(read only memory)테이블을 또 구비하고, 상기 ROM테이블의 다른 출력비트폭중 하나는 상기 서브필드수 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필드의 수에 따라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변환을 행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테이블과, 상기 서브필드수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서브필드수와 동등한 출력비트폭을 가진 테이블데이터를 상기 RAM테이블에 기록하는 RAM제어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AM제어수단은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리트레이스주기 동안 상기 RAM테이블에 테이블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필드수 조정수단은 다음 기능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i) 수직동기주파수가 소정의 해상도를 유지하기 위해 1필드주기내에서 소정의 서브필드수 까지 구동이 방지되는 주파수인 제4특정주파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하는 기능 (ii) 수직동기주파수가 상기 소정의 서브필드수보다 높은 서브필드수가 1필드주기내에 까지 구동가능한 주파수인 제5특정주파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증가하는 기능 (iii) 수직동기주파수가 제4특정주파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하고, 수직동기주파수가 제5특정주파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증가하는 기능.
  7. 제3항에 있어서, i) 상기 서브필드의 시간폭과, ii) 상기 서브필드의 펄스치 중 하나를 조정하는 서브필드길이조정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필드수조정수단은 상기 수직동기주파수가 제4특정주파수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서브필드 길이조정수단은 상기 수직동기주파수에 제6특정주파수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서브필드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9. 제6항에 있어서, 히스테리시스를 사용하여 수직동기주파수와 상기 제4 및 제5특정주파수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10. 제8항에 있어서, 히스테리시스를 사용하여 수직동기주파수와 상기 제4 및 제6특정주파수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11. 제2항에 있어서, 히스테리시스를 사용해서 수직동기주파수와 상기 제1 및 제3특정주파수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필드수조정수단은 다음 기능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i) 수직동기주파수가 소정의 해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1필드주기내에서 소정의 서브필드수까지 구동이 방지되는 주파수인 제4특정주파수보다 높으면 상기 서브필드수를 감소하는 기능 (ii) 수직동기주파수가 상기 소정의 서브필드수보다 높은 서브필드수가 구동가능한 주파수인 제5특정주파수보다 낮으면 상기 서브필드수를 증가하는 기능 (iii) 수직동기주파수가 제4특정주파수보다 높으면 상기 서브필드수를 감소하고, 수직동기주파수가 제5특정주파수보다 낮으면 상기 서브필드수를 증가하는 기능.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필드수조정수단은 다음 기능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i) 수직동기주파수가 소정의 해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1필드주기내에서 소정의 서브필드수까지 구동이 방지되는 주파수인 제4특정주파수보다 높으면 상기 서브필드수를 감소하는 기능 (ii) 수직동기주파수가 상기 소정의 서브필드수보다 높은 서브필드수가 1필드주기내에까지 구동가능한 주파수인 제5특정주파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서브필드수를 증가하는 기능 (iii) 수직동기주파수가 제4특정주파수보다 높으면 상기 서브필드수를 감소하고, 수직동기주파수가 제5특정주파수보다 낮으면 상기 서브필드수를 증가하는 기능.
  14. 제7항에 있어서, i) 상기 서브필드의 시간폭과, ii)상기 서브필드의 펄스치중 하나를 조정하는 서브필드길이 조정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영상표시모니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필드수 조정수단은 다음 기능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i) 수직동기주파수가 소정의 해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1필드주기내에서 소정의 서브필드수까지 구동이 방지되는 주파수인 제1특정주파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하는 기능 (ii) 수직동기주파수가 상기 소정의 서브필드수보다 높은 서브필드수가 1필드주기내에 까지 구동가능한 주파수인 제2특정주파수보다 낮으면 상기 서브필드수를 증가하는 기능 (iii) 수직동기주파수가 제1특정주파수보다 높으면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감소하고, 수직동기주파수가 제2특정주파수보다 낮으면 상기 서브필드의 수를 증가하는 기능.
  16. 제14항에 있어서, 히스테리시스를 사용해서 상기 수직동기주파수와 상기 제1 및 제2특정주파수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모니터.
KR1019970066506A 1996-12-06 1997-12-06 영상표시모니터 KR100281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26397 1996-12-06
JP1996-326397 1996-12-06
JP32639796 1996-12-06
JP97-084954 1997-04-03
JP1997-84954 1997-04-03
JP8495497 1997-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876A KR19980063876A (ko) 1998-10-07
KR100281245B1 true KR100281245B1 (ko) 2001-02-01

Family

ID=26425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506A KR100281245B1 (ko) 1996-12-06 1997-12-06 영상표시모니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43073B1 (ko)
EP (1) EP0847037B1 (ko)
KR (1) KR100281245B1 (ko)
CN (1) CN1112035C (ko)
DE (1) DE69732891T2 (ko)
TW (1) TW3713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8816B1 (en) * 1998-08-07 2002-02-1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pictures, especially for false contour effect compensation
EP0987675A1 (en) * 1998-09-16 2000-03-22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pictures, especially for false contour effect compensation
JP3426520B2 (ja) * 1998-12-08 2003-07-14 富士通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表示装置
JP3761132B2 (ja) * 1999-03-04 2006-03-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2000259116A (ja) * 1999-03-09 2000-09-22 Nec Corp 多階調表示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および装置
KR100585631B1 (ko) * 1999-04-10 2006-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계조표현 방법
KR100617445B1 (ko) * 1999-11-30 2006-09-01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338519B1 (ko) * 1999-12-04 2002-05-30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방법
JP3767791B2 (ja) * 2000-04-18 2006-04-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363679B1 (ko) * 2000-04-19 200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TW518555B (en) * 2000-04-21 2003-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ray-scale image display device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when writing data
JP2001306030A (ja) * 2000-04-25 2001-11-02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4253422B2 (ja) * 2000-06-05 2009-04-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FR2824947B1 (fr) * 2001-05-17 2003-08-08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d'affichage d'une sequence d'image video sur un panneau d'affichage au plasma
JP4698070B2 (ja) 2001-06-07 2011-06-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420023B1 (ko) * 2001-09-25 2004-02-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계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72798A (ko) * 2002-03-06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방법
TW550537B (en) * 2002-05-06 2003-09-0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driving method capable of changing the display screen frequency
KR20030091580A (ko) * 2002-05-28 2003-1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JP4649108B2 (ja) * 2003-01-16 2011-03-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4410997B2 (ja) * 2003-02-20 2010-02-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KR100540228B1 (ko) 2003-09-04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490635B1 (ko) * 2003-10-01 2005-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EP2264690A1 (en) * 2005-05-02 2010-12-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gray scale driving method with subframes thereof
KR100757547B1 (ko) * 2005-11-28 2007-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9513705B2 (en) 2008-06-19 2016-12-06 Tactile Displays, Llc Interactive display with tactile feedback
EP2200008A1 (en) * 2008-12-17 2010-06-23 Thomson Licensing Analog sub-fields for sample and hold multi-scan displays
CN106097972A (zh) * 2016-08-25 2016-11-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oled pwm数字驱动方法及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2009B2 (ja) * 1988-05-28 1999-05-17 株式会社東芝 表示制御方式
JP3259253B2 (ja) * 1990-11-28 2002-02-25 富士通株式会社 フラット型表示装置の階調駆動方法及び階調駆動装置
JP2932686B2 (ja) 1990-11-28 1999-08-09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3078114B2 (ja) 1992-06-26 2000-08-21 日本放送協会 気体放電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
JP2856241B2 (ja) * 1993-11-17 1999-02-10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階調制御方法
JP3345184B2 (ja) * 1994-09-07 2002-11-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マルチスキャン適応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DE69529716T2 (de) * 1994-10-06 2003-07-17 Fujitsu General Ltd Grauskalaverarbeitung unter Verwendung eines Fehlerdiffusionsverfahren
JPH08202311A (ja) 1995-01-20 1996-08-09 Fujitsu General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JP3891499B2 (ja) 1995-04-14 2007-03-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における輝度調整装置
JP3375473B2 (ja) 1995-10-31 2003-02-10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5818419A (en) * 1995-10-31 1998-10-06 Fujitsu Limi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3672697B2 (ja) * 1996-11-27 2005-07-20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962253B2 (ja) * 1996-12-25 1999-10-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43073B1 (en) 2001-06-05
DE69732891D1 (de) 2005-05-04
EP0847037B1 (en) 2005-03-30
CN1188369A (zh) 1998-07-22
DE69732891T2 (de) 2006-04-06
CN1112035C (zh) 2003-06-18
TW371386B (en) 1999-10-01
KR19980063876A (ko) 1998-10-07
EP0847037A1 (en) 1998-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245B1 (ko) 영상표시모니터
US6535224B2 (en) Display device
KR100358554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장치
KR20000016955A (ko) 광역플리커효과감소를위해비디오화상을처리하는방법및장치
JPH0876716A (ja) マルチスキャン適応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20140636A1 (en) Matrix display device and method
US7053870B2 (en) Drive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device
KR100279044B1 (ko) Pdp의유지펄스제어장치
JPH11259043A (ja) 画像表示装置
JP3336935B2 (ja) 画像表示装置
JP2954329B2 (ja) 多階調画像表示装置
KR100217279B1 (ko) Pdp-tv시스템의 계조처리를 위한 메인클럭 분리적용 방법.
KR19980075493A (ko) 피디피에서의 적응적인 화면 밝기 보정 장치 및 그 보정 방법
KR2000000073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JP2002366085A (ja) 表示装置及び階調表示処理方法
KR20040063767A (ko) 표시장치 및 그 계조표시방법
KR100279045B1 (ko) Pdp의유지방전펄스수증가에따른밝기보상방법
KR100397355B1 (ko) Pdp 텔레비전의 수직동기구간에서의 오동작 방지방법
KR100256495B1 (ko) Pdp 텔레비전의 휘도제어방법
KR100217276B1 (ko) Pdp-tv의 구동을 위한 방전유지 제어방법
KR100283583B1 (ko) 피디피 텔레비젼의 밝기 조절 장치
JPH1022212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輝度制御方法
KR100256501B1 (ko) 피디피(pdp) 텔레비전의 타이밍콘트롤러 제어방법
JPH06202590A (ja) 液晶駆動方法
KR20000019089A (ko) 피디피 티브이의 휘도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