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276B1 - Pdp-tv의 구동을 위한 방전유지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Pdp-tv의 구동을 위한 방전유지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276B1
KR100217276B1 KR1019970025972A KR19970025972A KR100217276B1 KR 100217276 B1 KR100217276 B1 KR 100217276B1 KR 1019970025972 A KR1019970025972 A KR 1019970025972A KR 19970025972 A KR19970025972 A KR 19970025972A KR 100217276 B1 KR100217276 B1 KR 100217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dp
vari
secti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379A (ko
Inventor
김세용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2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276B1/ko
Priority to JP13200598A priority patent/JP4163787B2/ja
Priority to GB9811012A priority patent/GB2326512B/en
Publication of KR1999000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PDP-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PDP 계조처리를 위한 신호처리에 관한 것이다. PDP 계조처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1프레임을 복수개의 서브필드로 나누어서 하나의 서브필드에서는 전 화면 소거(Erasing mode, 제1과정), 데이터 기입 및 주사(Writing and Scan, 제2과정) 및 방전유지(Discharge Sustain mode, 제3과정)를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
상기의 제 1 과정과 제 2 과정은 그 작동이 고정적이지만 제 3 과정의 방전유지(Discharge Sustain)구간은 계조처리를 위해 각 디지털 데이터의 가중치(Weight)별로 방전유지구간을 달리하여 반복적인 파형을 주는 가변구간이다. 가변구간인 방전유지동작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가변하는 방전유지구간의 카운트 신호 p-vari와, 그 구간동안 반복적인 동작을 위하여 반복되는 단위를 카운트 할 수 있는 카운트신호 c-vari의 두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방전유지 구간의 가변적인 특성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PDP-TV 의 구동을 위한 방전유지 제어방법
본 발명은 PDP-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플라즈마 패널에 화상표시를 하기 위한 PDP의 계조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 화면 소거구간, 어드레스 구간 및 방전유지 구간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서브필드에서 상기의 방전유지 구간의 신호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기인 PDP의 구동방법은 일반 CRT의 구동방법과는 다르다. 특히, 계조처리에 관한 방법에 있어서, CRT의 경우는 전자총이 한 화소씩 순차적으로 주사하는방식을 채용하며 계조처리는 아날로그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간단한 구동회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동 속도가 수십 나노초(㎱)로서 매우 빠른 편이나 HDTV와 같이 화소수가 수백만개로 늘어날 경우 수백만 화소의 구동을 한 화소씩 주사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PDP의 경우에는 한 화소씩 주사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체 방전의 강한 비선형성 특성을 이용한 행구동(matrix driving)방식을 이용한다. 비선형성이란 기체 방전의 하나의 특징으로서, 기체 방전 현상이 기체의 이온화 과정을 통한 전리에 의한 것이므로 이러한 이온화 반응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방전 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될 때만 방전이 일어나며, 그 이하의 전압에 대해서는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 기체 방전의 하나의 특성이다.
PDP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전압을 갖는 연속적인 펄스에 의해 구동되며, 계조 표시는 아날로그 방식이 아니라 디지털 방식에 의해 구현된다.
PDP의 계조처리를 위한 구동방법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1필드의 영상데이터를 1라인 분량의 Odd 라인 데이터의 독취후 Even 라인 데이터의 독취가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1 필드를 여러개의 서브필드(256 계조 - 8 서브필드)로 나누고 각 서브필드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차례로 독취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로 제공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1개의 서브필드의 구동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동순서로 행하고 있다.
방전 소거를 위한 동작 모드로서 AC PDP의 경우 변전하를 중화시키는 주기에서 낮은 전압으로 방전을 형성시켜 벽전하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게 하거나, 짧은 펄스폭을 갖는 소거펄스를 인가하여 벽전하가 정상 상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여 벽전하를 제거한다. 즉, 이전 서브필드의 방전 유지 후에 선택된(방전한) 화소에 남아있는 벽전하(Wall charge)를 소거하기 위해, 가시적이지 않을 만큼의 짧은 시간동안에 전 화소에 벽전하를 기입시키고, 다음에 전 화소를 소거하여 남아있는 벽전하를 모두 소거시킴으로써 PDP를 초기화 하는 전 화면 소거동작(Erasing mode)과, 라인 주사 전극에 순차적으로 주사 펄스를 쉬프트시키면서 데이터 기입 전극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라인 단위로 기입하여 방전시키고자 하는 화소에 선택적으로 벽전하를 형성시키는 초기 방전 형성을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 기입 및 주사동작(Data writing and scan mode) 및, 기체방전의 기억 기능 특성을 이용하여 선택 펄스 보다 낮은 전압의 유지펄스에 의해 방전이 유지되는 방전유지 동작(Discharge sustain), 상기와 같은 하나의 서브필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전 화면 소거구간과 데이터 기입 및 주사구간의 신호처리 상태는 각 서브필드에 따라 변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전유지 구간은 화상표시 구간에 해당되므로 입력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각 서브필드별로 상이하게 작용을 한다. 즉, 방전유지 구간은 계조처리를 위해 각 디지털 데이터의 가중치별로 방전유지 구간을 달리하여 반복적인 파형을 주는 가변적인 구간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가변적인 방전유지 구간의 신호처리를 상기의 고정구간인 전 화면 소거 및 데이터 기입 및 주사구간에서 사용하는 메인클럭에 의존하여 제어하므로써 신호처리가 매끄럽지 못하고, 또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그 문제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써, 하나의 서브필드의 구동에 있어서 방전유지 구간의 신호처리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방전유지 구간중 가변하는 구간을 카운트하는 기본카운터의 신호를 P-Vari라 하고, 그 구간 동안 반복적인 동작을 위하여 반복되는 단위를 카운트할 수 있는 카운트신호를 C-Vari로 하여 상기의 두 카운트신호를 이용하여 가변적인 방전유지 구간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PDP-TV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메모리부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1 서브필드의 구동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변구간인 방전유지 제어방법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V부 2 : ADC부
3 : 메모리부 4 :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5 : 타이밍 콘트롤부 6 : 어드레스 구동 IC
7 : 유지/주사 구동 IC 8 : 고전압 구동회로부
9 : AC/DC 전환부 10 : 복합영상신호처리부
20 : 디지털 데이터 처리부 30 : PDP 구동부
40 : 데이터 재배열부 50 : 어드레스 생성부
60 : 콘트롤 클럭 생성기 100 : 전 화면 소거구간
200 : 기입 및 주사구간 300 : 방전유지구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AC형 PDP-TV 시스템은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복합영상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처리부(10)의 AV(Audio- Video)부(1)에서 아날로그 처리되고, ADC(Analog-to-Digital Conveter)부(2)에서 일정한 데이터로 디지탈화되어, 이 영상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부(20)의 메모리부(3)와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를 통해 PDP 계조처리 특성에 부합되는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의 형태로 PDP 구동부(30)의 어드레스 구동 IC(6)에 제공된다.
또한 PDP 구동부(30)의 타이밍 콘트롤부(5)와 PDP 구동부(30)의 고압구동회로부(8)는 유지/주사 구동 IC(7)에서 필요로 하는 고압 콘트롤 펄스를 출력하고, AC/DC변환부(9)는 교류전원을 입력으로 하여 전체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DC전압을 생성, 공급한다. 이상의 구성에 대해서 각각의 블록별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AV부(1)에서는 NTSC 복합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R,G,B와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고, 휘도신호(Y)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APL(Average Picture Level)을 구해 ADC부(2)에 공급한다. 이 APL은 PDP-TV 시스템의 밝기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NTSC 복합영상신호는 비월주사 방식으로 1프레임이 Odd/Even의 2필드로 구성되어 있고, 수평동기신호는 약 15.73KHZ, 수직동기신호는 약 60Hz의 주파수를 갖는다. 복합영상신호로부터 분리한 음성신호는 음성증폭기를 거쳐 직접 스피커로 출력한다.
ADC부(2)는 아날로그 R,G,B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디지털 테이타로 변환하여 메모리부(3)로 출력해 주며, 이때 이 디지털 데이타는 PDP-TV시스템의 밝기 개선을 위해 변환된 형상의 영상데이타이다. ADC부(2)는 증폭부, 클럭 생성부, 샘플링 영역설정부, 그리고 데이터 맵핑부로 나뉜다. AMP부는 아날로그 R,G,B 및 APL 신호를 양자화시키기에 적당한 신호레벨로 증폭하고,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일정한 위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클럭 생성부는 샘플링 클럭은 반드시 입력동기신호에 동기된 클럭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PLL(Phase Locked Loops)을 사용하여 클럭을 생성한다. PLL은 입력동기신호의 위상과 Loop에서 출력된 가변펄스의 위상을 비교하는 PD(Phase Detector), VCXO(Voltage Controlled Crystal Oscillstor)의 콘트롤전압을 출력하는 LF(Loop Filter), 콘트롤전압에 의해 발진하는 VCXO, 그리고 VCXO의 출력을 분주하여 위상비교펄스를 출력하는 PC(Programmable Counter)로 구성되어, 입력동기신호에 동기된 클럭을 출력한다. 만약 입력동기신호에 동기된 클럭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수직 직선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샘플링 영역은 수직위치와 수평위치로 설정된다. 수직위치구간은 입력신호중 영상정보가 있는 라인만을 설정하는 펄스이고, 수평위치구간은 수직위치로 설정된 라인중 영상정보가 있는 시간만을 설정하는 펄스이다. 수직위치구간과 수평위치구간은 샘플링을 하는 기준이 된다. Odd/Even 필드 각각 240 라인씩, 총 480 라인이 선택된다. 수평위치구간은 선택된 라인마다, 최소 853개(스펙을 853으로 정한 경우)의 샘플링 클럭이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데이터 맵핑부는 A/D 컨버터에서 출력된 R, G, B 데이터를 PDP의 밝기 특성에 부합하는 데이터로 맵핑하여 출력한다. 즉, ROM에 몇가지 벡터테이블을 마련해놓고 디지털화된 APL데이타에 따라 최적의 벡터테이블을 선택하여, A/D컨버터에서 출력된 R,G,B데이터를 1:1 맵핑하여 개선된 R,G,B 데이터 형태로 메모리부(3)에 제공한다.
메모리부(3)에서는 PDP 계조처리를 위해서는 1필드의 영상데이터를 복수개의 서브필드로 재구성한 다음, 최상위 비트(MSB)부터 최하위 비트(LSB)까지 재배열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월주사(Interlaced scanning)방식으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순차주사(Progresive scanning)방식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1프레임 분량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영역이 필요하게 된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부(3)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즉, 메모리부(3)는 크게 데이터 재배열부(40), 어드레스 생성부(50)로 나눌 수 있고, 그밖에 콘트롤 클럭 생성기(60)와 2개의 프레임 메모리 A,B 및 데이터 선택기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재배열부(40)는 쉬프트 레지스터 A,B, D-FF MUX.(D 플립플롭 과 멀티플렉서), 그리고 3상태 버퍼 A,B로 구성되어, ADC부(2)에서 병렬(MSB~LSB)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가 프레임메모리의 한 어드레스에 동일한 가중치를 갖는 비트들로 저장되도록 재배열 한다. 제 1 쉬프트 레지스터가 8개 샘플의 영상 데이터를 로드(Load)하는 동안, 제 2 쉬프트 레지스터에서는 이전에 로드되었던 8개 샘플의 영상 데이터가 최상위 비트(MSB, 8 Bits)로부터 최하위 비트(LSB, 8 Bits)까지 순차적으로 쉬프트하면서 출력된다.
ADC부(2)에서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재배열하기 위해 제 1, 제 2 쉬프트레지스터 2개를 마련하고, 이들이 교번으로 로드(Load)와 쉬프트(Shift) 동작을 반복하도록 한다. D-FF MUX는 이들 중 쉬프트 모드에서 출력되는 동일한 가중치(Weight)의 데이터(Recordered Data)를 선택하여 3상태 버퍼로 공급한다.
한 장의 영상 데이터(853×3(RGB)×480×8Bits≒10Mbit)를 저장할 수 있는 프레임 메모리 또한, 2개를 마련하여 이들이 프레임 단위로 기입(Write), 독취(Read)동작을 교번으로 수행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3상태 버퍼 A,B는 D-FF MUX로부터 제공되는 재배열된 영상 데이터를 기입 모드에 있는 프레임 메모리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어드레스 생성기(60)에 대해서는, 비월주사 방식으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순차주사 방식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기입 어드레싱과 독취 어드레싱의 순서가 다르게 된다. 즉, 메모리에 저장된 1필드의 영상 데이터는 1라인 분량의 Odd 라인 데이터 독취후 Even 라인 데이터 독취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또한, PDP 계조처리상 1필드를 몇 개의 서브필드로 나누고, 각 서브필드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차례로 독취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로 제공하여야 하므로, 기입순서와는 구조적으로 아주 다른 독취순서를 갖게된다. 그러므로 설계한 메모리맵 구성에 따른 기입 어드레스 생성기와 독취 어드레스 생성기가 필요하며, 어드레스 선택기는 프레임 메모리 A,B의 각 동작모드(기입, 독취모드)에 따라 해당 어드레스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콘트롤 클럭 생성기(60)에서는 수직,수평동기신호(H, Vsync) 및 메인 클럭을 입력으로 하여 기입/독취 어드레스 클럭 및 메모리부(3)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그 밖의 모든 로직 콘트롤 펄스를 생성, 공급한다. 데이터 선택기는 프레임 메모리 A, B 중 독취 모드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에 제공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는 메모리부(3)로부터 넘어오는 R,G,B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어드레스 구동 IC(6)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형태로 맞추어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부(3)에서 출력되는 R,G,B 화소 배치에 맞게 배열되어 어드레스 구동 IC(6)에 공급되어야 하며, 이 때문에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가 필요하다. 디스플레이 사이즈는 853×3(r,g,b)×480이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에서는 1라인 분량(853×3=2559 bits)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여야 하는데 데이터의 연속성을 보장(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하므로 2 라인 분량(2559×2=5118 bits)의 임시 저장장소가 필요하다. 즉, 메모리부(3)로부터 R,G,B 각각 8bits씩 총 24bits의 데이터가 차례로(107회) 임시 저장영역 A에 입력되면서(24bits×107 =2598bits), 이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임시 저장영역 B의 이전 1라인 분량의 데이터가 어드레스 구동 IC(6)에서 요구하는 데이터스트림의 형태로 출력된다.
이와 같은 입출력 동작은 제1, 제2 임시 저장영역에서 교대로 일어나게 된다. 즉, 제1 임시 저장영역가 입력모드, 제2 임시 저장영역이 출력모드로 동작한 후, 그 다음에는 그 역으로 동작을 반복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는 임시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어드레스 구동 IC(6)로 출력할 때, 각 구동 IC에 1bit의 데이터, 총 48bits의 영상 데이터를 스트림 형태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가 구동 IC에 차례로(75회) 입력되면서, 병렬로 쉬프트되면 1라인 분량(48bits×75=3600 bits)의 영상 데이터가 어드레스 구동 IC에 모두 로드되게 된다. 이 과정은 다른 임시 저장영역의 입력 모드 동작시간과 동일해야 하므로 입력모드는 출력모드에 비해 2배의 주파수로 동작되어야 한다.
고압구동회로부(8)는 타이밍 콘트롤러부(5)에서 출력되는 각종 로직레벨의 콘트롤 펄스에 따라, AC/DC 변환부(9)에서 공급되는 DC 고압을 조합하여 유지/주사 구동 IC(7)에서 필요로 하는 콘트롤 펄스를 생성하여 PDP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로부터 어드레스 구동 IC(6)로 제공되는 데이터 스트림도 적당한 전압레벨로 높여 패널에 선택적 기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PDP 계조처리를 위한 구동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우선 1필드(60Hz)를 몇 개의 서브필드(64계조 : 6 서브필드, 256계조 : 8 서브필드)로 나누고, 각 서브필드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어드레스 구동 IC(6)를 통하여 라인 단위로 패널에 기입한다. MSB 데이터가 기입되는 서브필드에서 LSB 서브필드 순으로 방전유지 펄스의 갯수를 적게하여, 이들의 조합에 따른 총 방전 유지 기간으로 계조처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모든 서브필드의 구동 순서는 전화면 기입 및 소거, 데이터 기입, 방전유지(화면표시)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방전 소거를 위한 동작 모드로서 AC PDP의 경우 변전하를 중화시키는 주기에서 낮은 전압으로 방전을 형성시켜 벽전하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게 하거나, 짧은 펄스폭을 갖는 소거펄스를 인가하여 벽전하가 정상 상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여 벽전하를 제거한다. 이전 서브필드의 방전 유지 후에 선택된(방전한) 화소에 남아있는 벽전하(Wall charge)를 소거하기 위해, 가시적이지 않을 만큼의 짧은 시간동안에 전 화소에 벽전하를 기입시키고, 다음에 전 화소를 소거하여 남아있는 벽전하를 모두 소거시킴으로써 PDP를 초기화시키는 전 화면 소거(Erasing mode) 동작,
둘째, 초기 방전 형성을 위해서 필요한 구동 동작으로써, PDP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e+Xe, Ne+Xe의 페닝 혼합기체의 경우 240Volt-280Volt의 전위를 인가해 준다. AC의 경우 제3전극을 도입하여 면 방전 형태에서의 유지전극과 유전체에 의한 기생 커패시터에 의해 야기되는 고전류를 감소시키며, 선택 동작과 유지동작을 분리시키는 구동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실제의 적용에 있어서는 라인 주사 전극에 순차적(1~480)으로 주사 펄스를 쉬프트시키면서 데이터 기입 전극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라인 단위로 기입하여 방전시키고자 하는 화소에 선택적으로 벽전하를 형성시키므로 선택동작이라고도 부르는 데이터 기입 및 주사(Data writing and scanning)동작과,
끝으로 기체방전의 기억 기능 특성을 이용하여 선택 펄스 보다 낮은 전압의 유지펄스에 의해 방전이 유지되는 구동동작이다. AC PDP의 경우 벽전하(wall charge)에 의한 기억기능 효과와 DC PDP의 경우 자기 하전 입자공급(self priming)효과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기억 기능을 이용하여 선택동작과 유지동작을 분리할 수 있는 기억형 구동방식의 경우 고화질 표시소자를 구현하기 위한 고계조 표시의 경우에 PDP가 대형의 표시소자에 대해서도 휘도의 저하 없이 동작할 수 있는 구동방식을 제공한다. 방전유지 동작의 실제에 있어서는 방전 유지 구동부전극과 라인 주사 전극사이에 교번으로 유지 펄스를 인가하여 벽전하가 형성된 화소의 방전을 개시, 유지시킨다. 이 때, 기입되지 않은 화소가 기입된 주변 화소에 의해 영향을 받아, 오류방전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지 펄스 인가 후 마다 소폭소거를 행하여 정확한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AC/DC 변환부(9)에서는 교류전원(220V, 60Hz)을 입력으로 하여 각 전극 구동펄스를 조합하는데 필요한 고압과 그 밖의 PDP-TV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부에서 요구하는 DC전압을 생성,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PDP-TV 시스템의 계조처리에 관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필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전 화면 소거구간과 데이터 기입 및 주사구간의 신호처리 상태는 각 서브필드에 따라 변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고, 상기의 방전유지 구간은 화상표시 구간에 해당되므로 입력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각 서브필드별로 상이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즉, 방전유지 구간은 계조처리를 위해 각 디지털 데이터의 가중치별로 방전유지 구간을 달리하여 반복적인 파형을 주는 가변적인 구간이다. 이와 같은 가변구간의 카운트는 고정된 하나의 카운트신호를 가지고 제어하면 신호처리가 매끄럽지 못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서브필드에 대한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서브필드 동작 제어방법은 PDP 계조처리를 위한 하나의 서브필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이전 서브필드의 방전유지후에 남아있는 벽전하를 소거하기 위하여 전 화소를 소거하여 남아있는 벽전하를 소거시켜 PDP를 초기화 시키는 제 1 과정(100)과, 데이터를 기입하고, 라인 주사 및 방전유지 구동부의 전극에 순차적으로 주사 펄스를 주사하기 위해 데이터를 기입 및 주사하는 제 2 과정(200)과, 그리고유지펄스(Sustain Pulse)를 PDP의 방전유지 구동부에 인가하여 벽전하가 형성된 화소의 방전을 개시, 유지시키는 제 3 과정(300)으로 이루어진 PDP-TV 시스템의 계조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제 3 과정(300)은 가변하는 방전유지 구간을 카운트하는 제1 카운트신호(P-Vari)와 그 상기의 구간 동안 반복적인 동작을 위하여 반복되는 동작을 위하여 반복되는 단위를 카운트할 수 있는 제2 카운트신호(C-Vari)의 두 신호를 이용하여 제 3과정의 가변적인 방전유지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4은 상기의 두 카운트신호(P-Vari, C-Vari)를 이용한 본 발명의 방전유지 구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방전유지 구간의 가변구간 카운트신호인 제1 카운트신호(P-Vari)는 2MHz 클럭의 15bits 카운터를 사용하고 있고, 상기의 제2 카운트신호(C-Vari)는 6bit(FF1~FF6)짜리 카운터를 사용하고 있다. 제2 카운터 신호의 C-Vari의 카운트가 40인 순간 상기의 제1 카운트신호(P-Vari)와 제2 카운트신호(C-Vari)가 AND 게이트로 입력되어 상기의 6bits 카운터를 리셋트시키므로써 가변적인 방전유지구간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가변적인 방전유지 구간의 신호처리를 상기의 고정구간인 전 화면 소거 및 데이터 기입 및 주사구간에서 사용하는 메인클럭에 의존하여 제어하므로써 신호처리가 매끄럽지 못하고, 또 가변적인 구간의 구동에 적합하지 못한 종래기술에 대해서, 본 발명은 PDP 계조처리에 있어서, 하나의 서브필드의 구동에 있어서 방전유지 구간의 신호처리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방전유지 구간중 가변하는 구간을 카운트하는 기본카운터의 신호 P-Vari와, 그 구간 동안 반복적인 동작을 위하여 반복되는 단위를 카운트할 수 있는 카운트신호 C-Vari의 두 카운트신호를 이용하여 가변적인 방전유지 구간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므로써 가변구간의 신호처리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PDP 계조처리를 위한 하나의 서브필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이전 서브필드의 방전유지후에 남아있는 벽전하를 소거하기 위하여 전 화소를 소거하여 남아있는 벽전하를 소거시켜 PDP를 초기화 시키는 제 1 과정(100)과, 데이터를 기입하고, 라인 주사 및 방전유지 구동부의 전극에 순차적으로 주사 펄스를 주사하기 위해 데이터를 기입 및 주사하는 제 2 과정(200)과, 그리고 유지펄스를 PDP의 방전유지 구동부에 인가하여 벽전하가 형성된 화소의 방전을 개시, 유지시키는 제 3 과정(300)으로 이루어진 PDP-TV 시스템의 계조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제 3 과정(300)은 가변하는 방전유지 구간을 카운트하는 제1 카운트신호(P-Vari)와 그 상기의 구간 동안 반복적인 동작을 위하여 반복되는 동작을 위하여 반복되는 단위를 카운트할 수 있는 제2 카운트신호(C-Vari)의 두 신호를 이용하여 가변적인 방전유지 구간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TV 의 구동을 위한 방전유지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방전유지 구간의 가변구간 카운트신호인 제1 카운트신호(P-Vari)는 2MHz 클럭의 15bits 기본 카운터를 사용하고, 상기의 제2 카운트신호(C-Vari)는 6bit(FF1~FF6)짜리 카운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TV 의 구동을 위한 방전유지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2 카운터 신호의 C-Vari의 카운트가 40인 순간 상기의 제1 카운트신호(P-Vari)와 제2 카운트신호(C-Vari)가 AND 게이트로 입력되어 상기의 6bits 카운터를 리셋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TV 의 구동을 위한 방전유지 제어방법.
KR1019970025972A 1997-06-20 1997-06-20 Pdp-tv의 구동을 위한 방전유지 제어방법 KR100217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972A KR100217276B1 (ko) 1997-06-20 1997-06-20 Pdp-tv의 구동을 위한 방전유지 제어방법
JP13200598A JP4163787B2 (ja) 1997-06-20 1998-05-14 交流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平板装置のタイミング制御装置及び方法
GB9811012A GB2326512B (en) 1997-06-20 1998-05-2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iming of an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flat pane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972A KR100217276B1 (ko) 1997-06-20 1997-06-20 Pdp-tv의 구동을 위한 방전유지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379A KR19990002379A (ko) 1999-01-15
KR100217276B1 true KR100217276B1 (ko) 1999-09-01

Family

ID=1951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5972A KR100217276B1 (ko) 1997-06-20 1997-06-20 Pdp-tv의 구동을 위한 방전유지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2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3588B1 (en) 1999-09-21 2004-01-27 Lg Electronics Inc. Low voltage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3588B1 (en) 1999-09-21 2004-01-27 Lg Electronics Inc. Low voltage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379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347616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100217279B1 (ko) Pdp-tv시스템의 계조처리를 위한 메인클럭 분리적용 방법.
KR100256502B1 (ko)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분리처리장치
KR100217276B1 (ko) Pdp-tv의 구동을 위한 방전유지 제어방법
KR100416849B1 (ko) Pdp-tv의구동장치및방법
KR100217280B1 (ko) Pdp-tv에서 어드레스 구동ic의 데이터 입력 제어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100217275B1 (ko) Pdp-tv의 데이터 로드클럭 발생장치.
KR100217278B1 (ko) Pdp-tv의 데이터 로드클럭 발생장치.
KR100431671B1 (ko) Pdp 텔레비전의 더블라인 스캔방법
KR100256503B1 (ko) Pdp 텔레비전의 데이터인터페이스 제어방법
KR100397355B1 (ko) Pdp 텔레비전의 수직동기구간에서의 오동작 방지방법
KR100266322B1 (ko) 피디피 텔레비전의 디지털데이터 분리처리장치
KR100256501B1 (ko) 피디피(pdp) 텔레비전의 타이밍콘트롤러 제어방법
KR100217282B1 (ko) Pdp-tv의 데이터 입출력 제어클럭의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pdp 구동방법.
KR100266325B1 (ko)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
KR100266323B1 (ko) 데이터 소거 방식에 따른 피디피 텔레비전의 무신호시 데이터인터페이스 안정화방법
KR1999004918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예비방전 장치
KR100397356B1 (ko)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처리장치
KR100256495B1 (ko) Pdp 텔레비전의 휘도제어방법
KR100266321B1 (ko) Pdp-tv의 서스테인 전극분리를 통한 인터레이스 어드레싱장치
KR100269641B1 (ko)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레이스 방법
KR100416850B1 (ko) 피디피텔레비전의시스템초기화처리장치
KR19990051686A (ko) 피디피 텔레비전 데이터처리의 오동작방지장치
KR19990051701A (ko) 데이터소거방식에 따른 피디피텔레비전의 인터페이스방법
KR19990049187A (ko) 피디피(pdp)의 스캔구간 내에서의 안정화 파형 구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