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325B1 -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325B1
KR100266325B1 KR1019970071050A KR19970071050A KR100266325B1 KR 100266325 B1 KR100266325 B1 KR 100266325B1 KR 1019970071050 A KR1019970071050 A KR 1019970071050A KR 19970071050 A KR19970071050 A KR 19970071050A KR 100266325 B1 KR100266325 B1 KR 100266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signal
outpu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1685A (ko
Inventor
김세용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71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6325B1/ko
Publication of KR1999005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address dischar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28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digital to analog [D/A] conversion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디피(PDP;Plasma Display Panel)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처리에서 어드레스 구동 IC에서 출력 쉬프트레지스터를 15개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한라인의 구간동안 5번의 셀렉트신호와 5번의 읽기동작과 같은 구간에서 5번의 쓰기동작을 반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데이터처리방식에 있어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의 한라인의 입력 쉬프트신호와 출력 쉬프트신호에 의한 데이터처리에 시간차를 두어 데이터출력의 효율을 높힐 수 있는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입출력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1라인의 테이터 입출력 동작을 동일구간에서 행하던 것을 데이터 입력에 필요한 1라인 구간보다 데이터의 출력에 관한 1라인의 구간을 하나의 셀렉트신호의 시간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시스템의 로직을 줄여서 효율을 높힐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
본 발명은 피디피 계조처리를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디피시스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에서 어드레스 구동 IC로의 데이터처리를 라인단위로 처리하지 않고 어드레스 구동 IC의 입력단위로 처리하기 위해서 출력 쉬프트레지스터를 15개(15sft15)로 사용하는 피디피 텔레비전시스템에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한라인의 데이터 입력쉬프트 개시시각보다 데이터 출력쉬프트 개시시각을 하나의 셀렉트신호만큼 지연시키기 위한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A data interface processing apparatus for plasma display panel television)에 관한 것이다.
피디피 텔레비전에서 아날로그영상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플라즈마 패널에 계조처리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피디피 텔레비전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복합영상신호입력부, 디지털영상데이터처리부 및 PDP 구동부로 구성되고, 상기의 디지털영상데이터처리부에서의 데이터처리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영상데이터 처리부에서의 데이터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영상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쉬프트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재배열하여 교번으로 쉬프트시키는 메모리부(3), 상기의 메모리부(3)로부터 인가된 데이터를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 상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플라즈마 패널에 출력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어드레스 구동 IC(6) 및 상기의 메모리부(3),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 어드레스 구동 IC(6)에 상기의 데이터처리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콘트롤러부(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화된 영상데이터를 PDP 계조처리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서 디지털 영상데이터 처리부의 메모리부(3)에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재배열한다. 재배열하여 선택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타이밍 콘트롤러부(5)의 메인클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선택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로 출력하고, 상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에서는 계조처리에 적절한 데이터 스트림형태로 하여 PDP 구동부의 어드레스 구동 IC(6)로 디지털영상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의 디지털데이터처리부에서 데이터를 PDP 구동부의 어드레스 구동 IC(6)로 출력하기 위해서 상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 처리부의 타이밍 콘트롤러부(5)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쉬프트신호에 의해서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에서의 데이터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기의 타이밍 콘트롤러부(5)로부터 메모리부(3)로 제공되는 클럭신호 clk_480은 화면 한프레임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480라인의 데이터를 출력시키는데 사용되는 클럭신호이다. 또한 타이밍 콘트롤러부(5)로부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로 제공되는 쉬프트신호 f_107sft는 어드레스 구동 IC(6)로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입력 쉬프트레지스터의 신호이고 f_32sft는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어드레스 구동 IC(6)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쉬프트레지스터의 신호이다.
하나의 어드레스 구동 IC(6)에서는 상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로부터 넘어오는 데이터처리의 규칙성을 확보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에서 어드레스 구동 IC(6)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어드레스 구동 IC(6)의 입력단위로 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15개의 출력 쉬프트레지스터로 4비트씩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어드레스 구동 IC(6) 입력단위에 맞추어 데이터 인터페이스 로직을 구현하기 위한 콘트롤신호로 1라인 동안 5번의 셀렉트 스위칭이 있다. 그 이유는 한 어드레스 구동 IC에 대한 데이터가 메모리부(3)에서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로 5번만에 쉬프트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15개의 출력 쉬프트레지스터(15sft1 ~15sft15)를 사용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 A, B 두 개로 분리처리할 때 하나의 셀렉트신호에 의해서 데이터 인터페이스 A에서는 15sft1,15sft2,15sft3가 가 먼저 처리되고 데이터 인터페이스 B에서 15sft4,15sft5,15sft6이 처리되고, 이어서 데이터 인터페이스 A에서 15sft7,15sft8,15sft9가, 데이터 인터페이스 B에서 15sft10, 15sft11,15sft12가 데이터 인터페이스 A에서 15sft13,15sft14,15sft15가 교번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5번의 처리절차를 거친다.
도 2는 상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15개의 출력 쉬프트를 사용하여 1라인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각부의 파형도이다.
1라인(clk_480)의 데이터는 도 2의 5번의 셀렉트신호(Interface_select)에 의해서 읽기 동작과 쓰기 동작이 교번으로 일어나는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 쉬프트레지스터 신호(f_107sft)에 의한 읽기 동작과 출력 쉬프트레지스터 신호(f_32sft)에 의한 쓰기 동작이 교번으로 일어나므로 쓰기 동작이 하나의 셀렉트신호 뒤에 행하여진다.
그러나 상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에서의 데이터 입출력 동작을 데이터 1라인의 구간 동안에 읽기 동작과 쓰기 동작을 같은 구간에 행하게 함으로써, 도 2의 쓰기 동작(f_32sft)에서 첫 번째 데이터(원부분)는 1라인의 구간에서는 쓰기 동작을 할 수 없고, 읽기 동작(f_107sft)에서 1라인의 마지막 데이터(원부분)는 그 라인의 구간에서는 작용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입출력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 것으로, 본 발명은 피디피 텔레비전에서 어드레스 구동 IC의 입력에 맞추어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에, 1라인 구간 동안 데이터의 읽기와 쓰기 동작에서 읽기 동작에서 읽어들인 데이터 모두를 쓰기 동작에서 작용을 하도록 하는 피디피 텔레비전에서 데이터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입출력 동작에서 1라인 구간에서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이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은 1라인 구간 전체를 지연시켜서 5번의 읽기 동작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를 빠뜨리지 않고 모두 출력할 수 있도록 데이터 입력과 출력의 시작위치를 하나의 셀렉트신호의 시간만큼 지연시켜서 작용을 하도록 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가 제시된다.
도 1은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데이터처리를 위한 시스템 각부의 파형도이다.
도 3는 피디피 텔레비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어드레스 구동 IC의 개념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각부의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V부 2 : ADC부
3 : 메모리부 4 :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5 : 타이밍콘트롤러부 6 : 어드레스 구동 IC
7 : 유지/주사 구동 IC 8 : 고전압 구동회로부
9 : AC/DC 전환부 10 : 아날로그 복합영상신호처리부
20 : 디지털 데이터 처리부 30 : PDP 구동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피디피 텔레비전의 계조처리를 기술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피디피(PDP;Plasma Display Panel)는 칼라표시와 대형화가 용이한 점 때문에 차세대 디스플레이기기로써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피디피를 이용한 텔레비전인 피디피 텔레비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것으로, 플라즈마란 일반적으로 물질의 3상인 고체, 액체, 기체의 상태와는 다른 또 하나의 상태를 말하지만 여기서는 기체 상태에 있는 물질이 전압과 같은 외부의 힘을 받아 에너지를 얻어 이온화된 상태를 말한다. 그러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기체방전 현상중에서 글로우(glow)방전 영역을 이용하여 문자, 그래픽 혹은 영상을 표시하는 소자라 할 수 있다. 이와같은 글로우방전 영역에서 동작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는 방전개시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방전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잇점을 지니고 있다. 피디피 텔레비전은 상기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아날로그영상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화하여 플라즈마 패널에 계조처리를 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도 3은 상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피디피 텔레비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안테나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복합영상신호가 AV(Audio-Video)부(1)에서 아날로그처리되는 아날로그복합신호처리부(10)와, 상기의 아날로그신호를 입력받아 ADC부(2)에서 일정한 데이터로 디지탈화되고, 상기의 디지털영상데이터는 다시 메모리부(3)와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를 통해 PDP 계조처리 특성에 부합되는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의 형태로 만드는 디지털데이터처리부(20)와, 상기의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 어드레스 구동 IC부(6)에서 플라즈마 패널로 제공하여 화상표시를 하도록 하는 PDP 구동부(30)와, 또한 타이밍 콘트롤부(5)와 고압구동회로부(8)는 어드레스, 주사 및 유지구동IC(Sustain Driver IC)부(6)에서 필요로 하는 고압 콘트롤 펄스를 출력하고, AC/DC부(9)는 교류전원을 입력으로 하여 전체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DC전압을 생성, 공급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AV부(1)에서는 NTSC 복합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RGB 신호와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고, 휘도신호(Y)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APL(Average Picture Level)을 구해 ADC부(2)에 공급한다. 이 APL은 피디피 텔레비전시스템의 밝기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NTSC 복합영상신호는 비월주사(Interlaced scan) 방식으로 1프레임이 기수/우수의 2필드로 구성되어 있고, 수평동기신호는 약 15.73KHZ, 수직동기신호는 약 60Hz의 주파수를 갖는다. 복합영상신호로부터 분리한 음성신호는 음성증폭기를 거쳐 직접 스피커로 출력한다.
ADC부(2)는 아날로그 RGB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디지털테이타로 변환하여 메모리부(3)로 출력해 주며, 이때 이 디지털 데이타는 피디피 텔레비전시스템의 밝기 개선을 위해 변환된 형상의 영상데이타이다. ADC부(2)는 증폭부, 클럭생성부, 샘플링 영역 설정부, 그리고 데이터 맵핑부로 구성된다.
상기 ADC부(2)의 증폭부는 아날로그 RGB 신호 및 APL 신호를 양자화시키기에 적당한 신호레벨로 증폭하고,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일정한 위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클럭생성부는 샘플링 클럭은 반드시 입력동기신호에 동기된 클럭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PLL(Phase Locked Loops)을 사용하여 클럭을 생성한다. PLL은 입력동기신호의 위상과 루프(Loop)에서 출력된 가변펄스의 위상을 비교하는 PD(Phase Detector), VCXO(Voltage Controlled Crystal Oscillstor)의 콘트롤전압을 출력하는 LF(Loop Filter), 콘트롤전압에 의해 발진하는 VCXO, 그리고 VCXO의 출력을 분주하여 위상비교펄스를 출력하는 PC(Programmable Counter)로 구성되어, 입력동기신호에 동기된 클럭을 출력한다. 만약 입력동기신호에 동기된 클럭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수직 직선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샘플링영역은 수직위치와 수평위치로 설정된다. 수직위치구간은 입력신호중 영상정보가 있는 라인만을 설정하는 펄스이고, 수평위치구간은 수직위치로 설정된 라인중 영상정보가 있는 시간만을 설정하는 펄스이다. 수직위치구간과 수평위치구간은 샘플링을 하는 기준이 된다.
우수/기수 필드 각각 240 라인씩, 총 480 라인이 선택된다. 수평위치구간은 선택된 라인마다, 최소 853개의 샘플링 클럭이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데이터 맵핑부는 ADC부(2)에서 출력된 RGB 데이터를 PDP의 밝기 특성에 부합하는 데이터로 맵핑하여 출력한다. 즉, ROM에 몇가지 벡터테이블을 마련해놓고 디지털화된 APL데이타에 따라 최적의 벡터테이블을 선택하여, ADC부(2)에서 출력된 RGB데이터를 1:1 맵핑하여 개선된 RGB 데이터 형태로 메모리부(3)에 제공한다.
메모리부(3)에서는 PDP 계조처리를 위해서는 1필드의 영상데이터를 복수개의 서브필드로 재구성한 다음, 최상위 비트(MSB)부터 최하위 비트(LSB)까지 재배열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월주사 방식으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순차주사 방식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1프레임 분량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영역이 필요하게 된다. 메모리부(3)에서 출력되는 RGB 화소 배치에 맞게 배열되어 어드레스 구동 IC(6)에 공급되어야 하며, 이 때문에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가 필요하다. 디스플레이 사이즈는 853×3(RGB)×480이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에서는 1라인 분량(853×3=2559bits)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여야 하는데 데이터의 연속성을 보장(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하므로 2라인 분량(2559×2=5118bits)의 임시저장장소가 필요하다. 메모리부(3)로부터 RGB 각각 8bits씩 총 24bits의 데이터가 차례로(107회) 임시 저장영역 A에 입력되면서(24bits×107=2568bits), 이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임시 저장영역 B의 이전 1라인분량의 데이터가 어드레스 구동 IC에서 요구하는 데이터스트림의 형태로 출력된다. 이와 같은 입출력 동작은 임시저장영역 A와 B에서 교대로 일어나게 된다. 즉, 임시 저장영역 A가 입력모드, B가 출력모드로 동작한 후, 그 다음에는 A가 출력모드, B가 입력모드가 되는 동작을 반복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는 임시저장된 디지털데이터를 어드레스 구동 IC(6)로 출력할 때, 각 어드레스 구동 IC(6)에 1bit의 데이터, 총 48bits의 영상데이터를 스트림 형태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가 어드레스 구동 IC에 차례로 입력되면서, 병렬로 쉬프트되면 1라인분량(2559bits)의 영상 데이터가 어드레스 구동 IC(6)에 모두 로드되게 된다. 이 과정은 다른 임시저장영역의 입력모드 동작시간과 동일해야 하므로 입력모드는 출력모드에 비해 2배의 주파수로 동작되어야 한다.
고압구동회로부(8)는 타이밍 콘트롤러부(5)에서 출력되는 각종 로직레벨의 콘트롤펄스에 따라, AC/DC 변환부(9)에서 공급되는 DC 고압을 조합하여 어드레스, 주사 및 유지구동IC(7)에서 필요로 하는 콘트롤 펄스를 생성하여 플라즈마 패널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로부터 어드레스구동 IC(6)로 제공되는 데이터 스트림도 적당한 전압레벨로 높여 패널에 선택적 기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AC/DC변환부(9)에서는 교류전원(220V, 60Hz)을 입력으로 하여 PDP 구동을 위해 각 전극 구동펄스를 조합하는데 필요한 고압과 그 밖의 피디피 텔레비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부에서 요구하는 DC전압을 생성, 공급한다.
한편, PDP 계조처리를 위한 구동방법은 우선 1필드(60Hz)를 몇 개의 서브필드(64계조 : 6 서브필드, 256계조 : 8 서브필드)로 나누고, 각 서브필드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어드레스 구동 IC(6)를 통하여 라인 단위로 피디피 패널에 기입한다. MSB 데이터가 기입되는 서브필드에서 LSB 서브필드 순으로 방전유지 펄스의 갯수를 적게하여, 이들의 조합에 따른 총 방전 유지 기간으로 계조처리를 하게 된다. 이 경우 동일한 데이터를 우수/기수 필드에 두번 디스플레이하여 순차주사에 따른 깜빡거림(Flickering)을 없앤다. 모든 서브필드의 구동 순서는 전 화면 기입 및 소거, 데이터 기입, 방전유지(화면표시)의 동작을 반복한다.
하나의 서브필드는 방전소거를 위한 동작 모드로서 AC PDP의 경우 벽전하를 중화시키는 주기에서 낮은 전압으로 방전을 형성시켜 벽전하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게 하거나, 짧은 펄스폭을 갖는 소거펄스를 인가하여 벽전하가 정상 상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여 벽전하를 제거한다. 이전 서브필드의 방전 유지 후에 선택된(방전한) 화소에 남아있는 벽전하(Wall charge)를 소거하기 위해, 가시적이지 않을 만큼의 짧은 시간동안에 전 화소에 벽전하를 기입시키고, 다음에 전 화소를 소거하여 남아있는 벽전하를 모두 소거시킴으로써 PDP를 초기화 하는 전 화면 소거동작(Erasing mode)과, 라인 주사 전극에 순차적으로 주사 펄스를 쉬프트시키면서 데이터 기입 전극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라인 단위로 기입하여 방전시키고자 하는 화소에 선택적으로 벽전하를 형성시키는 초기 방전 형성을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 기입 및 주사동작(Data writing and scan mode)과, 기체방전의 기억 기능 특성을 이용하여 선택 펄스 보다 낮은 전압의 유지펄스에 의해 방전이 유지되는 방전유지 동작(Discharge sustain)의 반복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피디피 텔레비전에서 지금까지는 상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와 어드레스 구동 IC(6)에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작용을 하는 것을 라인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어드레스 구동 IC의 입력단위에 맞추어 데이터처리를 하도록하여 시스템의 로직을 단순화하고 데이터처리의 스피드를 높히기 위해서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구조는 어드레스 구동 IC의 입력단위에 맞추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4비트씩 15개의 출력 쉬프트레지스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이루어진다. 도 4는 이와같은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사용되는 어드레스 구동 IC의 데이터처리에 대한 개념도이다. 어드레스 구동 IC의 입력핀 B1,B2,B3,B4를 통하여 4비트씩 15번에 걸쳐서 테이터처리가 행하여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드레스 구동 IC에서 활용되는 핀의 패턴이 60으로 형성된다.
도 5는 상기의 데이터처리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각부의 파형도이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처리장치에서 데이터 1라인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입력시(메모리부 출력)의 구간보다 데이터 인터페이스 출력시(어드레스 구동 IC 입력)의 1라인의 구간을 1셀렉트신호의 시간만큼 뒤로 쉬프트시켜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라인의 데이터(clk_480)를 5개의 셀렉트신호에 의해서 두 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A, B에 교번으로 읽고 쓰기를 행하는 처리과정에서, 데이터 인터페이스 입력단계에서 a - b 구간의 1라인 구간의 첫 번째 쉬프트신호에 의해서 데이터 인터페이스A에 데이터를 입력시킨다. 하나의 셀렉트신호구간 만큼 지연하여 시작하는 1라인(c - d 구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출력단계에서 상기의 입력단계에서 일어들인 데이터를 어드레스 구동 IC에 출력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데이터 인터페이스A가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데이터 인터페이스B에 두 번째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시킨다. 이와같은 처리과정을 셀렉트신호의 스위칭작용에 의해서 교번으로 행하여진다.
상기의 1셀렉트신호구간 만큼 지연처리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출력(데이터 쓰기 동작)은 1라인구간(a - b 또는 c - d)은 셀렉트신호가 5개로 이루어지고 데이터 1라인구간의 처리시간은 3㎲이므로 지연되는 출력구간은 600㎱만큼 지연되어 출력을 시작한다.
그러므로 상기의 본 발명을 데이터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600ns의 지연시간을 갖는 클럭을 만들어 데이터 인터페이스 출력단계에 기입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출력단위를 15개의 쉬프트레지스터를 사용하여 어드레스 구동 IC의 입력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처리에 있어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의 1라인의 데이터 입력구간과 1라인의 데이터 출력구간을 하나의 셀렉트신호구간 만큼 지연시켜서 처리함으로써 데이터처리의 효율을 높히고, 스피드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신된 아나로그영상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플라즈마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출력단위를 15개의 쉬프트레지스터를 사용하여 어드레스 구동 IC의 입력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메모리부로부터 인가되는 1라인의 데이터를 첫 번째 셀레트신호에 따라서 읽기 동작을 하는 데이터 입력 수단과,
    상기의 데이터입력수단에 의해서 읽어들인 데이터를 두 번째 셀렉트신호에 의해서 쓰기 동작을 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의 데이터 입력 수단에서 읽어들인 마지막 데이터를 상기의 데이터 출력 수단에서 쓰기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1라인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수단과 데이터 출력 수단의 동작을 스위칭하는 셀렉트신호는 소정의 스위칭신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
KR1019970071050A 1997-12-19 1997-12-19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 KR100266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050A KR100266325B1 (ko) 1997-12-19 1997-12-19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050A KR100266325B1 (ko) 1997-12-19 1997-12-19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685A KR19990051685A (ko) 1999-07-05
KR100266325B1 true KR100266325B1 (ko) 2000-09-15

Family

ID=1952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050A KR100266325B1 (ko) 1997-12-19 1997-12-19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63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685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6429B1 (ko) 피디피텔레비전의 데이터처리장치
KR100217279B1 (ko) Pdp-tv시스템의 계조처리를 위한 메인클럭 분리적용 방법.
KR100266326B1 (ko) 피디피 텔레비전 데이터처리의 오동작방지장치
KR100266325B1 (ko)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처리장치
KR100256502B1 (ko)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분리처리장치
KR100397356B1 (ko)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처리장치
KR100416849B1 (ko) Pdp-tv의구동장치및방법
KR100266323B1 (ko) 데이터 소거 방식에 따른 피디피 텔레비전의 무신호시 데이터인터페이스 안정화방법
KR100416850B1 (ko) 피디피텔레비전의시스템초기화처리장치
KR100217280B1 (ko) Pdp-tv에서 어드레스 구동ic의 데이터 입력 제어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53561A (ko) 피디피 텔레비전의 전원 온·오프 방법
KR19990051694A (ko) 피디피 텔레비전의 시스템 초기화 처리장치
KR100217275B1 (ko) Pdp-tv의 데이터 로드클럭 발생장치.
KR100397355B1 (ko) Pdp 텔레비전의 수직동기구간에서의 오동작 방지방법
KR100256503B1 (ko) Pdp 텔레비전의 데이터인터페이스 제어방법
KR100217276B1 (ko) Pdp-tv의 구동을 위한 방전유지 제어방법
KR100217278B1 (ko) Pdp-tv의 데이터 로드클럭 발생장치.
KR100431671B1 (ko) Pdp 텔레비전의 더블라인 스캔방법
KR100256495B1 (ko) Pdp 텔레비전의 휘도제어방법
KR100256501B1 (ko) 피디피(pdp) 텔레비전의 타이밍콘트롤러 제어방법
KR100217282B1 (ko) Pdp-tv의 데이터 입출력 제어클럭의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pdp 구동방법.
KR100266322B1 (ko) 피디피 텔레비전의 디지털데이터 분리처리장치
KR19990051701A (ko) 데이터소거방식에 따른 피디피텔레비전의 인터페이스방법
KR100266321B1 (ko) Pdp-tv의 서스테인 전극분리를 통한 인터레이스 어드레싱장치
KR100256500B1 (ko) Pdp 텔레비전의 데이터 로드클럭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