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0591B1 - 디스크장치 및 헤드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크장치 및 헤드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591B1
KR100280591B1 KR1019950701637A KR19950701637A KR100280591B1 KR 100280591 B1 KR100280591 B1 KR 100280591B1 KR 1019950701637 A KR1019950701637 A KR 1019950701637A KR 19950701637 A KR19950701637 A KR 19950701637A KR 100280591 B1 KR100280591 B1 KR 100280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e
side transmission
transmission gear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4784A (ko
Inventor
도시히로 오따
마사까쯔 호소야
다까시 야마자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5070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4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04Automatic feed mechanism producing a progressive transducing traverse of the head in a direction which cuts across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recording medium, e.g. helical scan, e.g. by lead-screw
    • G11B21/046Automatic feed mechanism producing a progressive transducing traverse of the head in a direction which cuts across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recording medium, e.g. helical scan, e.g. by lead-screw details of the feed mechanis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11B7/08582Sled-type positio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측 전달기구(61)에 래크(55)와 구동기어(59a)간의 백래시를 흡수하는 코일스프링(96, 97)을 포함한다. 따라서, 코일스프링(96, 97)에 의해 구동기어(59a)와 래크(55)간의 각 백래시가 흡수되기 때문에, 조립시의 기어 위상결합으로서 단일의 구동측 전달기구(61)의 기어 주상조립을 하면 좋고, 조립작업의 간소화 및 조립작업 시간의 단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래크(55)내에 코일스프링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래크(55)의 폭방향 크기를 작은 칫수로 설정할 수 있고, 광학헤드 캐리지(53)에 작용하는 연결점 주위의 모멘트들 적게하여 헤드 이송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디스크장치 및 헤드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의 조립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어 CD 플레이어나 CD-ROM 드라이브 등에 사용하기 적합한 디스크장치 및 헤드 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광학 디스크장치는 전송구동모터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하는 광학 픽업(Pick up)장치 및 스핀들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디스크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테이블면에 광학 디스크를 장착하여 회전조작하는 동시에 광학 픽업장치를 광학 디스크의 직경방향으로 주행조작하고, 광학 픽업장치로 부터의 레이저빔을 광학 디스크에 하방에서 수직으로 조사하여 기록트랙킹을 조작하고, 상기 기록트랙킹에 기록된 소정의 정보신호를 판독재생하는 디스크장치로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학디스크장치에서는, 광학 픽업장치를 광학 디스크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이송하면서 고밀도 기록된 광학디스크의 정보신호를 판독하기 때문에, 광학 픽업장치가 이송오차에 의해 기록트랙의 트랙킹어긋남을 일으키고, 이 결과 정보신호가 판독되지 않고, 재생신호의 미스(miss)에 의해 양호한 재생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광학디스크장치에서는 광학 픽업장치를 이송하는 구동력 전달기어기구에 백래시 흡수기구를 포함시킴으로써, 각각 상호 결합하는 2개의 기어간의 백래시를 흡수하여 광학 픽업장치 이송상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광학 디스크 장치에 대하여, 제3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 은 상하방향으로 개방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관통창(la) 및 상기 관통창(la)으로 통과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반원형의 절결(1b)을 갖는 베이스이고, 광학 디스크플레이어용의 기기통(도시않됨)내에 설치되어 있다.
부호 2는 상기 절결(1b)을 통과하는 출력축(2a)을 갖는 스핀들 모터이고, 상기 베이스(1)의 뒷면(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부호 3은 디스크장착용 디스크테이블로서 상기 출력축(2a)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핀들모터(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4 및 5는 후술하는 광학 헤드캐리지의 왕복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좌우 2개의 가이드축이고,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기기통(도시안됨)내에 병렬설치되고, 또한 상기 관통창(1a)의 내측개구 원주엣지(edge) 전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부호 6은 광학 픽업장치(7)를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광학 헤드 캐리지이고, 상기 양 가이드축(4,5)에 베어링부시(bearing bush)(8)를 거쳐서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부호 9는 모터 구동력전달용의 래크(rack)기구로서, 상기 광학 헤드 캐리지(6)의 편측 측부엣지에 고정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래크(10)와, 상기 제1래크(10)의 상단면에 스페이서(11)를 거쳐서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래크(12)와, 상기 제2래크(12)와 상기 제1래크(10)사이에 탄성적으로 장착되어 래크 연장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갖는 백래시 흡수기구로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 14는 헤드캐리지 구동용 모터로서, 상기 베이스(1)의 편측측부엣지 상방단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모터(14)의 출력축(14a)에는 상기 베이스(1)의 내측으로 대향한 모터기어(15)가 고정 장착되어 있다.
부호 16은 상기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이고, 상기 베이스(1) 내측에 스핀들(17)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부호 18은 상기 모터(14)의 구동력을 상기 광학헤드 캐리지(6)에 전달하기 위한 중간 전달기어기구이고, 구동측 전달기어기구(19) 및 종동측 전달기어기구(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크 기구(9) 및 상기 구동기어(1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간 전달기어기구(18)의 전달기어기구(19,20)중 구동측전달기어기구(19)는 서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16)에 결합되어 있는 2개의 전달기어(21,22)와, 이들 각 전달기어(21,22)를 서로 반대의 원주방향으로 가압하는 백래시 흡수기구로서의 압축코일스프링(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달기어(21,22)중 전달기어(21)의 편측단면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소형기어(2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중간전달기어기구(18)의 종동측 전달기어기구(20)는 각각 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소형기어(24)에 결합하는 2개의 전달기어(25,2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전달기어(25,26)는 각각 상기 제1래크(10)와 상기 제2래크(12)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학 디스크장치에서는 모터(14)의 구동력이 구동기어(16)로부터 구동측 전달기어기구(19)의 각 전달기어(21,22)와 종동측 전달기어기구(20)의 각 전달기어(25,26)를 거쳐서 래크기구(9)의 제1래크(10)와 제2래크(12)에 전달되고, 광학 헤드캐리지(6)가 가이드축(4,5)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한다.
이때, 압축코일스프링(23)에 의해 각 전달기어(21,22)와 구동기어(16)간의 백래시가 흡수되고, 압축코일스프링(13)에 의해 각 전달기어(25,26)와 각 래크(10,12)간의 백래시가 흡수되며, 또한 압축코일스프링(13,23)에 의해 소형기어(24)간의 백래시가 흡수된다.
그런데, 종래의 광학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2개의 백래시 흡수기구(압축코일스프링(13,23))가 각 래크기구(9)와 구동측 전달기어기구(19)에 분산하여 포함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들 각 기구(9,19)의 기어의 치위상맞춤을 동시에 필요로 하고, 기구전체의 조립작업을 번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에 많은 시간을 허비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래크기구(9)내에 압축코일스프링(13)이 포함되는 것은, 래크기구(9)의 폭방향 크기를 큰 칫수로 설정해야만 하고, 이 칫수만큼 가이드축(5)으로 부터 래크기구(9)와 종동측 전달기어기구(20)의 연결점까지의 거리가 길게 되어 있다. 그 결과, 광학 픽업장치(7)의 이송시에 광학 헤드캐리지(6)에 대한 연결점 주위의 모멘트가 증가하고, 헤드 이송손실이 증대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립작업의 간소화 및 조립작업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헤드이송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헤드캐리지의 이송조작을 원활하게 이행할 수 있는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디스크장치(청구항 1)는 구동측 전달기어기구에 래크와 구동기어간의 백래시를 흡수하는 제1백래시 흡수기구와 제2백래시 흡수기구를 포함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간전달기구의 구동측 전달기구에 포함되는 제1백래시 흡수기구 및 제2백래시 흡수기구에 의해 구동기어와 래크간의 백래시가 흡수되기 때문에, 백래시 흡수기구가 부착된 전달기구의 기어의 치위상 맞춤으로서 단일의 전달기구의 기어의 치위상 맞춤을 하면 좋다.
또한, 래크내에 백래시 흡수기구가 포함되지 않는 것은 래크의 폭방향 크기를 작은 칫수로 설정함으로써 헤드 이송시에 헤드캐리지에 작용하는 연결점 주위의 모멘트가 작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장치(청구항 5)는 헤드캐리지에 각 전달기어의 축선과 평행한 스핀들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래크가 피봇된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 제5항에서는 스핀들 주위의 래크가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중간 전달기구로부터 래크에 작용하는 부하가 분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치(청구범위 제6항)는 제1구동측 전달 기어와 제2구동측 전달기어와 레버에 각각 치위상 맞춤용의 관통구멍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청구범위 제6항에서는 제1구동측 전달기어의 관통구멍의 개구부와 제2구동측 전달기어의 관통구멍의 개구부와 레버의 관통구멍의 개구부를 합치시킴으로써, 구동측 전달기어기구의 각 구동측 전달기어의 기어의 기어 위상이 가지런해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장치의 헤드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헤드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헤드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헤드캐리지와 헤드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헤드캐리지와 해드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를 도시한 하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구동기어기구의 구동기어를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구동측 전달기구의 기어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8(a)도 및 제8(b)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구동측 전달기구의 제1구동측 전달기어를 도시한 평면도 및 선 B-B를 따른 단면도.
제9(a)도 내지 제9(c)도는 제8(a)도의 선 a-a, b-b, c-c를 따른 단면도.
제10(a)도 및 제10(b)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구동측 전달기구의 제2구동측 전달기어를 도시한 평면도 및 선 B-B를 따른 단면도.
제11(a)도 내지 제11(c)도는 제10(a)도의 선 a-a, b-b, c-c를 따른 단면도.
제12(a)도 내지 제12(c)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구동측 전달기구의 제3구동측 전달기어를 도시한 평면도와 선 B-B을 따른 단면도 및 화살표 C 를 따른 사시도.
제13(a)도 및 제13(b)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구동측 전달기구의 레버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
제14(a)도 및 제14(b)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종동측 전달기구의 제1종동측 전달기어를 도시한 평면도 및 선 B-B을 따른 단면도.
제15(a)도 및 제15(b)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종동측 전달기구의 제2종동측 전달기어를 도시한 평면도 및 선 B-B을 따른 단면도.
제16(a)도 및 제16(c)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헤드캐리지 구동용 모터의 구동력을 받는 래크를 도시한 평면도와 선 B-B 을 따른 단면도 및 하면도.
제17(a)도 및 제17(b)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헤드 캐리지 구동용 모터구동력을 받는 래크를 도시한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헤드캐리지 구동용 모터의 구동력을 받는 래크의 정지와셔를 도시한 평면도.
제19(a)도 및 제19(b)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중간전달기구 및 구동기어 기구의 트러스트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종동측 전달 기구의 각 전달기어와 래크의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구동치차 기구의 구동기어와 구동측 전달기구의 각 전달기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2(a)도 및 제22(b)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헤드캐리지구동용 모터구동력의 전달상대와 스프링 가압력의 작용상태를 설명한 도면.
제23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헤드캐리지를 디스크내의 원주위치에 이송조작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헤드캐리지를 디스크 외의 원주위치에 이송조작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비상방출조작을 설명한 평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디스크트레이의 로딩완료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디스크척킹 완료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디스크 트레이를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시시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디스크 트레이의 래크 및 가이드홈과 소형기어 및 가이드핀 과의 상대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제30도는 제28도의 선 H-H를 따른 단면도.
제31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디스크 트레이 구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2(a)도 및 제32(b)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홀더 구동레버 회전구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제31도의 화살표 I-I 방향을 따른 사시도.
제33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비상방출 조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31도의 화살표 J-J 방향을 따른 사시도.
제34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상부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35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척킹 기구의 디스크 척킹 해제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제34도의 선 K-K 를 따른 단면도.
제36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척킹 기구의 디스크 척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제34도의 선 K-K 를 따른 단면도.
제37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트레이의 방출완료 상태를 도시한 시시도.
제38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트레이의 로딩완료 상태를 도시한 시시도.
제39도는 종래 디스크 장치의 헤드 캐리지와 헤드 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를 도시 한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제1도 내지 제38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00으로 도시된 것은 광학 디스크 장치용 본체이고, 전방에 개방되어 스테인레스제의 상부 커버(101a) 및 하부 커버(101b)로 이루어진 각진 상자형의 통(101)과, 상기 통(101)의 전방 개구부에 장착되고 트레이 출입용 개구부(102a)를 갖는 합성수지제의 전방패널(10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커버(101a, 101b) 중 하부 커버(101b)의 상방에 위치하는 프린트기판(103)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전방패널(102)에는 표면과 내측면으로 개방되는 비상방출용 구멍(102b)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비상방출용 구멍(102b) 옆에는 그 일부가 외부로 드러나는 방출구(140)가 연결되어 있다.
(104)는 합성수지제의 디스크 트레이이고, 광학디스크(D)를 수납가능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주형의 오목부(105a) 및 상기 오목부(105a)의 저부 영역을 포함하여 전후 방향(화살표 a, b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105b)를 갖는 디스크 장착판(105)과, 상기 디스크 장착판(105)의 전방단부엣지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102a)를 개폐하는 전면판(10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101)의 내외를 왕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104)의 디스크 장착판(105)에는 양 방향으로 돌출하는 트레이 안내용의 볼록부(105c)와 트레이 이동 규제용의 볼록부(105d)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104)는 디스크 로딩시에 디스크 장착판(105)의 오목부(105a)내에 광학디스크(D)를 제3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한 후, 전면판(106)을 화살표(a) 방향으로 가볍게 가압하면, 로딩 스위치(도시않됨)가 ON상태로 되고, 후술하는 디스크 트레이 구동기구가 작동하여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101)내에 삽입된다.
한편, 디스크 방출시에는, 제38도에 도시된 디스크 로딩상태에서 방출구(103)를 가압하여 방출스위치(도시않됨)를 ON 상태로 하든가 혹은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도시않됨)로부터 방출신호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 구동력 전달기구(후술한다)를 작동 상태로 하든가 하여 통(101)내의 디스크 트레이(104)가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101)외측에 화살표(b) 방향으로 배출된다.
제38도에 도시된 디스크 로딩 상태에 있어서, 정전이나 전기계의 고장 등에 의해 전원을 스위치 ON 상태로 할 수 없는 긴급시의 디스크 방출 조작은 다음과 같이하여 행하여진다.
즉, 전방패널(102)의 비상방출용 구멍(102b)으로 부터 바늘형의 비상방출 조작용 부재(107)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때, 후술하는 비상방출 기구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04)가 통(101)내에서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거리(Ll) 만큼 화살표 b 방향으로 밀어낸다.
여기서, 디스크 트레이(104)의 전면판(106)을 붙잡고 화살표 b 방향으로 끌어낸다.
또한 상기 디스크 트레이(104)의 디스크 장착판(105)의 하방측 단면에는 각각이 내외에 있어서 서로 소정의 간격(r)을 갖고 인접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J형상의 가이드홈(108)과 래크(109)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래크(109) 및 가이드홈(108)은 트레이 로딩 방향(화살표 a 방향) 및 트레이 방출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109a, 108a)와, 이들 각 직선부(109a, 108a)의 트레이 방출 방향 단부에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설치되는 제1원호부(109b, 108b) 및 제2원호부(109c, 108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08)의 제2원호부(108c)의 중심선 곡률반경(R2)은 중심(02)을 주축으로 하여 화살표 e, f 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이드 핀(후술한다)의 중심 회전반경과 같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고, 제1원호부(108b)의 중심선 곡률반경(R2)(중심 O1)은 중심선 골률반경(Rl)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30)은 합성수지제의 섀시이고, 평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형의 개구부(31a)를 그의 대략 중앙부를 갖는 계단형의 베이스판(31)과, 상기 베이스판(31)에 연속 접속하여 각각이 서로 대향하는 좌우 2 개의 측판(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101)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섀시(30)의 베이스판(31)의 후방단부엣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한 섀시의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병렬하는 2 개의 플랜지(35a, 36b)가 부착된 장착핀(35, 36)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섀시(30)의 베이스판(31)에는 상기 비상 방출용 구멍(102b)의 바로 후방에 위치되고 트레이 출입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31b)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섀시(30)의 각 측면판(32)에는 트레이 출입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볼록부(105c)가 대향한 오목부(33a)를 갖는 가이드 홈(33)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 측면판(32)의 트레이 방출방향 단부에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104)의 볼록부(105d)에 대응하는 스토퍼(32a)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양 측면판(32)의 상방단부 사이에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104)의 삽입공간 상방부에 위치하고 그 홀더 중앙부에 관통구멍(136a)을 갖는 풀리 홀더(136)가 가설되어 있다.
부호(110)는 합성수지제의 홀더구동레버이고, 상기 섀시(30)의 우측 측부엣지 트레이 방출방향 단부에 화살표 c,d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홀더구동레버(110)의 한쪽 측단부에는 상기 섀시(30)에 베어링(30a)을 거쳐서 지지되고 화살표 a,b 방향으로 돌출하는 피봇지지핀(110a)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다른쪽 측단부에는 제36도에 도시된 홀더 상승위치에서 상기 부착핀(35,36)과 동일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34a) 부착의 부착핀(34)이 나사결합하는 핀 구멍(111a)을 갖고 유니트 홀더(40)의 전방 단부를 지지하는 계단부(1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홀더구동레버(110)의 반대 피봇지지측 단부에는 트레이 방출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돌출하는 레버 조작핀(110b)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부호(37 내지 39)는 절연체로서의 완충고무이고, 각각 상하방향으로 개구하는 원통부(37a-39a)[원통부(37a)만 도시]와, 이들 원통부(37a-39a)내에 연결하는 상하 2개의 팽창부(37b-39b)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착핀(34-36)의 주위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각 플랜지(30)에 의해 섀시(34a-36a)에 의해 압축지지되어 있다.
부호(4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40a) 및 상기 개구부(40a)에 연통하는 절결(40b)을 갖는 유니트 홀더이고, 상기 섀시(30)의 상방으로 상기 부착핀(34-36)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상기 홀더구동레버(110)에 의해 제35도 및 제3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c, d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우측측부엣지에는 편측 측방으로 돌출하는 지지판(4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니트 홀더(40)의 전방단부엣지 중앙부 근처 및 후방 단부엣지 양측부에는 상기 완충 고무(37 내지 39)의 원통부(37a-39a)가 대향한 절결(42 내지 44)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51) 및 (52)는 섀시 전후방향(화살표 a, b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각각 서로 평행한 좌우 2개의 가이드축으로서 상기 유니트 홀더(40)의 안쪽에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축(52)은 상기 개구부(40a)에 일부를 대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부호(112)는 비상방출용 슬라이더이고, 예를 들어 합성수지에 의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 수평판(112a)과 수직판(l1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홈(31b)내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112)에는 상기 수직판(112a)의 트레이 방출 측면으로 개방되는 오목부(113)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114)는 트레이 로딩·트레이 방출용의 디스크 트레이 구동력 전달기구이고, 구동모터(115)에 의해 작동하는 감속기구(116)와, 상기 감속기구(116)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섀시(31)상에 지지축(31c)을 거쳐서 화살표 e, f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피봇지지되고 부채꼴기어(117a)를 그 일단부에 갖는 평면이 L 형의 기어 베이스(117)와, 상기 기어 베이스(117)에 연결된 상기 섀시(31)상에 지지축(31d)을 거쳐서 화살표 g, h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피봇지지되고 상기 부채꼴기어(117a)에 맞물려 있는 부채꼴기어(118a)를 갖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へ형의 캠레버(1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 구동력 전달기구(114)의 기어베이스(117)는 상기 부채꼴기어(117a)의 근처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지지축(31c)이 삽입되어 통하는 원통형의 보스(l17b)와, 상기 보스(l17b)의 반형성 측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가이드홈(108)내에 대향한 가이드핀(117c)과, 상기 가이드핀(117c) 및 상기 보스(117b)의 기어베이스 중간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피봇지지핀(117d)으로 이루어지고, 전체가 합성수지제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트레이 구동력 전달기구(114)의 감속기구(116)는 상기 구동모터(115)의 출력축(115a)의 주위에 고착되는 구동풀리(119)와, 상기 구동풀리(119)에 전달벨트(120)를 거쳐서 구동연결되고 또한 상기 지지축(31c)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피봇된 입력기어(121)를 갖는 종동풀리(122)와 상기 종동풀리(122)에 구동연결되고 또한 상기 피봇핀(117d)에 회전가능하게 피봇되고 상기 입력기어(121)에 결합하는 대형기어(123a) 및 상기 대기어(123a)에 일체화되어 있는 소형기어(123b)를 갖는 2계단형의 중간기어(123)와, 그 중간기어에 결합하는 대형기어(124a) 및 상기 래크(109)에 결합하는 소형기어(124b)를 갖는 계단형의 출력기어(1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구(116)의 입력기어(121)는 태양기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출력기어(124) 및 중간기어(123)는 상기 입력기어(121)의 외주를 따라서 원운동하는 유성기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 구동력 전달기구(114)의 캠레버(118)는 레버 중간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기 지지축(31d)이 대향한 원통형 보스(118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전체가 합성수지제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레버(118)에는 상기 보스(118b)의 직경방향으로 돌출하고 홀더 구동 레버(110)의 레버 조작핀(110b)이 대향한 대략 Z형의 오목홈(119)을 갖는 캠(120) 및 상기 부채꼴기어 (118a)와 반대측 레버 로딩측 단면에 대향한 슬라이더 조작력 수용부핀(120a)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레버(118)의 오목홈(119)은 수평한 계단부로서의 상부(119a) 및 하부(119b)와, 이들 상.하부(119a, 119b) 사이에 있는 경사부(119c)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l19b)는 상기 보스(118b)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비교적 길게 설정되어 있다.
부호(53)는 광학 픽업장치(54)를 트레이 로딩방향(화살표 a방향) 및 트레이 방출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송하는 광학 헤드 캐리지이고, 상기 각 가이드 축(51, 52)의 주위에 베어링(45, 46)을 거쳐서 왕복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광학헤드 캐리지(53)의 우측 측부엣지에는 각각 트레이 방출방향과 트레이 로딩방향에 연결벽(53a)을 거쳐서 병렬하고 상기 베어링(46)을 지지하는 직립형 블럭(53b, 53c)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부호(124)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래크 피봇핀이고, 상기 광학헤드 캐리지(53)의 우측측부 엣지인 상기 직립형 블럭(53b,53c)의 형성위치로 부터 상기 가이드 축(51,52)중에 좌측의 가이드축(51)에 약간 근접되는 부위로 압입고정되어 있다.
상기 래크 피봇핀(124)의 상방 단부에는 래크멈춤용 와셔(125)를 장착할 수 있는 환형홈(124a)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55)는 모터구동력 전달용 래크이고, 트레이 로딩방향(화살표 a 방향)과 트레이 방출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크기능부(55a1)를 그 외측에 갖는 래크판(55a)과, 그 래크판(55a)의 트레이 방출방향 단부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광학헤드 캐리지(53)의 상방단면에 대향하는 래크 부착판(55b)과, 상기 래크 부착판(55b)과 상기 래크판(55a) 사이에 설치된 수평부(55c1) 및 수직부(55c2)를 갖는 단면으로 보아 대략 L 자형의 연결판(55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축(52)의 일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상기 래크 피봇핀(124) 주위에 화살표(al,a2)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래크판(55a)의 트레이 방출 방향 단부 내측에는 상기 직립형 블럭(53b,53c)의 일부가 대향한 절결(126) 및 상기 절결(126)의 중간부내에 대향한 상기 연결벽(53a)에 대향하는 볼록부(127)가 형성되어 있고, 트레이 로딩방향 단부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축(51, 52)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주외주면의 일부를 선단면으로 하는 돌출부재(128)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래크 부착판(55b)의 우측측부엣지 상방단면에는 상기 래크 피봇핀(124)이 통과하는 원통형의 보스(12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판(55c)에는 상기 수평부재(55c1)의 트레이 로딩 방향 단부에 있어서 상기 래크판(55a)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돌출하는 수평부(130a) 및 상기 래크판(55a)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 축(52)을 거쳐서 대향하는 수직부(130b)로 이루어진 L 자형 부재(13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L 자형 부재(130)의 수직부(130b)에는 상기 돌출부재(128)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트레이 방출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약간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축(51, 52)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원주 외주면 일부를 선단면으로 하는 돌출부재(13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56)은 상기 절결(40b)을 통과하는 모터축(56a)을 갖는 스핀들 모터이고, 상기 유니트 홀더(40)의 전방 단부좌측측부 엣지홀더 내측으로 돌출시켜 고정되어 있다.
부호(57)는 광학 디스크(D)를 장착 가능한 디스크 테이블이고, 상기 모터축(56a)의 상방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부호(132)는 광학디스크(D)의 비기록 영역부를 상기 디스크 테이블(57)내에 압접가능한 척킹풀리이고, 관통구멍(136a)내에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일정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척킹풀리(132)의 외주 엣지에는 풀리 홀더(136)의 플랜지(136b)에 대향한 플랜지(132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개구하는 관통구멍(132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척킹풀리(132)에는 상기 관통구멍(132b)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의 금속판(133)이 부착되어 있다.
부호(58)는 홀더 하측에 나타나는 모터기어(58a)를 갖는 캐리지 전송용 구동모터이고, 상기 유니트 홀더(40)의 후방단부 엣지 우측부에 고정되어 있다.
즉, 부호(134)는 상기 모터기어(58a)의 회전각 검출용 링이다.
부호(59)는 상기 모터기어(58a)의 회전에 의해 지지축(41c)의 주위를 회전하는 구동기어(59a)를 갖는 구동기어 구조이고, 상기 지지판(41)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부호(60)는 상기 광학 헤드 캐리지(53)에 상기 래크(55)를 거쳐서 상기 구동모터(58)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중간전달 기구이고, 상기 구동기어 기구(59)에 연결된 구동기어(59a)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전달기어(A 및 B)를 각각 갖는 구동측 전달기구(61)와 종동측 전달기구(62)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 가이드축(51, 52) 중 우측의 가이드 축(52)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동측 전달기구(62)의 전달기어(B)는 상기 래크(55)에 맞물려 서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와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41)의 하방 단면에 지지축(41a)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달기어(B)의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에는 상하 양단면으로 개방된 관통구멍(62Al) 및 하방으로 돌출하는 블록부(62A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달기어(B)의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에는 상하 양단면으로 개방되는 관통구멍(62Bl) 및 상기 볼록부(62A2)에 삽입되는 베이스부(62B2)가 설치되어 있다.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와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는 상기 전달기어(62a,62b)를 상기 블록부(62A2)가 베이스부(62B2)내에 삽입되도록 조립하면, 그외 주변기어가 결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2° 원주방향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최종적으로 기어를 조립한 상태에서는 최대 0.4° 정도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62B1) 및 상기 관통구멍(62Al)은 조립시의 기어위상 맞춤용 관통구멍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종동측 전달기구(62)의 조립상태에서 동일평면의 원주상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구동측 전달기구(61)의 전달기어(A)는 상기 구동기어(59a)에 결합하는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와,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에 후술하는 제1백래시 흡수기구를 거쳐서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어(59a)에 결합하는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와,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에 후술하는 제2백래시 흡수기구를 거쳐서 연결된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에 결합하는 레버부착의 제3구동측 전달기어(61c)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41)의 하방 단면에 지지축(41b)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달기어(A)의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에는 하측단면으로 개방되는 원형오목부(63) 및 원형 오목부(63)의 내외로 개구하는 중심구멍(6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심구멍(64)의 상측 개구 원주엣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에 결합하는 소형기어(6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에는 상기 중심구멍(64)과 마찬가지로 상기 원형오목부(63)의 내외로 개방되는 2 개의 관통창(66,67)과 2 개의 관통구멍(68,69)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관통창(66,67)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대략 へ자형의 관통창과 평면에서 보아 대략 T 자형인 관통창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각 내측 개구 원주엣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수직부(70a,71a) 및 이들 각 수직부(70a,71a)에 연결 접속된 수평부(70b,71b)를 갖는 관통창 개구 일부를 폐쇄하는 스프링 결합부재(70,7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68,69)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원형의 관통구멍과 평면에서 보아 장방형의 관통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69)의 내측개구 원주엣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수직부(72a) 및 그 수직부(72a)에 연결접속하는 수평부(72b)를 갖는 결합부재(7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에 대해서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에는 외측단면으로 개방되는 원형오목부(73) 및 원형 오목부(73)의 내외로 개방되는 관통구멍(74a, 74b)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심구멍(74)의 개구내에 대향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부채꼴의 2 개의 연결부재(75,76)가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에는 상기 중심구멍(64,74)을 삽입하는 통형상의 보스(77)가 상기 연결부재(75,76)를 거쳐서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삽입된 하단부에서 상기 연결부재(75,76)와 원주방향으로 90° 어긋난 위치로 개방되는 2개의 절결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계단부(78, 79)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에는 상기 중심 구멍(74)과 동일하게 상기 원형오목부(73)내외로 개방되는 2 개의 관통창(80,81)과 2 개의 관통구멍(82,8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관통창(80,81)은 상기 스프링 걸림부재(70)의 일부가 대향한 평면에서 보아 대략 へ자형의 관통창과 상기 스프링 걸림부재(71)의 일부가 대향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형의 관통창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관통창(80,81)중 관통창(81)의 외측 개구 원주 엣지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창개구 일부를 폐쇄하는 스프링 결합부재(8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82,83)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원형의 관통구멍과 평면에서 보아 대략 프레임형의 관통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83)의 개구 원주 엣지 코너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결합부재(72)의 수평부(72b)에 대응하는 결합부재(85)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구동측 전달기어(61c)의 내측 단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보스(77)가 대향하는 피봇부로서의 통(86)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통(86)의 하단부에는 상기 각 계단부(78,79)에 결합되고 또한 상기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의 관통구멍(74a,74b)내로 삽입되는 원호부(87a, 88a)를 갖는 2 개의 탄성부재(87,88)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구동측 전달기어(61c)의 통(86)에는 상기 탄성부재(87,88)에 인접한 원주방향부위에서 하방으로 개방된 절결(89,90)이 원주방향으로 동일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구동측 전달기어(61c)에는 상기 중심구멍(64) 및 상기 관통구멍(74a,74b)의 하측 개구 원주엣지에 대향하는 환형의 베이스(91a)와, 상기 베이스(91a)의 외주엣지에 연결설치된 상기 원형 오목부(63,73)의 하부면에 대향하는 2개의 아암부(91b,91c)를 갖는 레버(91)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91)의 베이스(91a)에는 레버의 내외측면으로 개방되고 탄성부재(87,88)가 삽입되는 관통구멍(92A)과 상기 관통구멍(92A)내에 돌출되고 또한 상기 중심구멍(64)의 개구면내에 대향한 각 절결(89,90)이 삽입되는 돌출부재(9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버(91)의 아암부(91b,91c)중 한쪽의 아암부(91b)에는 상기 스프링 걸림부재(70)에 대응하는 스프링 걸림부재(93) 및 상기 관통창(66)내에 대향한 스토퍼(9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아암부(91c)에는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의 관통구멍(68) 및 상기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의 관통구멍(82)과 함께 기어의 기어 위상맞춤을 위한 관통구멍(9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95) 및 상기 관통구멍(68,82)(모두 구경1.5mm)은 기구조립시에 있어서 기어 위상맞춤용 관통구멍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측 전달기구(61)의 조림상태에 있어서 동일평면의 원주상에 설치되어 있다.
부호(135)는 상기 가이드 축(5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35a)를 갖는 트러스트 플레이트이고, 상기 부착나사(136)에 의해 상기 지지판(4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동기어(59a)와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 내지 상기 제3구동측 전달기어(61c), 상기 레버(91)와 상기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 상기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를 각 기어축 방향으로 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트러스트 플레이트(135)에는 상기 지지축(41b)의 선단부가 대향한 위치결정구멍(135b) 및 상기 각 부착나사(136)가 삽입되는 나사 삽입구멍(135c, 135d)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각 전달기어의 기어 결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호(96)는 제1백래시 홀수 수단으로서의 제1코일스프링이고, 상기 스프링 걸림부재(71, 84)에 항상 압축된 상태로 걸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일스프링(96)의 축적력에 의해 상기 각 스프링 걸림부재(71,84)에 대하여 탄성력 방향으로 가압력이 주어지고 있다.
즉,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일 스프링(96)의 축적력에 의해 상기 제 구동측 전달기어(61a)가 화살표(Rl)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이 주어지는 동시에 상기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가 화살표 R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이 주어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의 나사와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의 나사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59a)의 나사가 원주방향 양측으로부터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제1코일스프링(96)의 축적력은 제2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와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에 전달되어 있기 때문에,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구동기어(59a)에 결합하는 동시에,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구동기어(59a)에 결합하고, 각 기어가 결합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부호(97)는 제2백래시 흡수수단으로서의 제2코일스프링이고, 상기 각 스프링 걸림부재(70,93)에 항상 압축된 상태로 걸리게 되어 있다.
제2코일 스프링(97)의 축적력에 의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스프링 걸림부재(70,93)에 대하여 각각 탄성력 방향으로 가압력이 주어지고 있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제2코일 스프링(97)의 축적력에 의해 한쪽의 스프링 걸림부재(93)를 갖는 레버(91)는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력이 주어지기 때문에, 레버(91)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제3구동측 전달기어(61c)는 화살표 T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력이 주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제3구동측 전달기어(61c)에 작용하는 제2코일스프링(97)의 화살표 T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제3구동측전달기어(61c)에 결합하는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에 대하여 화살표 S1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력이 주어진다.
또한, 제1도를 참조하면, 제2코일스프링(97)의 축적력에 의해, 다른쪽 스프링 걸림부재(70)를 갖는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는 화살표 Rl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력이 주어지기 때문에,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와 일체로 회전하는 소형기어(65)가 화살표 Rl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력이 주어진다.
따라서, 그 소형기어(65)가 작용하는 제2코일스프링(97)의 화살표 Rl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소형기어(65)에 결합되는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는 화살표 S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력이 주어진다.
즉,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코일 스프링(97)의 축적력에 의해,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가 화살표 S1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이 주어지는 동시에,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가 화살표 S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이 주어진다.
따라서,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의 나사와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의 나사에 의해, 래크(55)의 나사가 원주방향 양측으로부터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제2코일 스프링(97)의 축적력에 의해 제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에서는 레버(91) 및 제2구동측 전달기어(61c)를 거쳐서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에 가압력이 전달되고, 다른쪽에서는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를 거쳐서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에 가압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크(55)에 결합되는 동시에, 제2종동측 전달기어 (62b)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기어(59a)에 결합하고, 각 기어가 결합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코일스프링(96) 및 제2코일스프링(97)에 의해, 구동기어(59a)에 대하여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와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가 서로 반대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하고 있는 상태, 즉 조립후의 기어결합 상태가 항상 유지되게 된다.
이어서, 구동모터(58)로부터 래크(55)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에 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58)가 정방향으로 구동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모터(58)의 정방향의 구동에 의해 모터기어(58a)가 화살표U1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따른 구동기어(59a)가 화살표 V1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제21도를 참조하면, 구동기어(59a)의 화살표 V1방향의 구동력은 화살표 R2방향으로 항상 주어지는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R2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기어(59a)에 결합하고 있는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에 대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가 제1도에 도시된 화살표(r2)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그리고,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가 화살표 r2방향으로 회전하면, 화살표 r2의 회전력이 제1코일스프링(9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에 전달되고,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가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화살표 R1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제1코일스프링(96)은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의 회전구동력에 대항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한 압축력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고,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로 부터 제1코일스프링(96)을 거쳐서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에 구동력이 전달될 때 이러한 전달구동력에 의해, 제1코일 스프링(96)이 조립되었을 때의 압축상태보다, 압축되지는 않는다.
이어서, 화살표 R1방향으로 구동력이 부여된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의 회전에 따라서,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와 일체로 회전하는 소형기어(65)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소형기어(65)와 결합하는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에 구동력이 전달되고,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가 화살표 S2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여기서, 제20도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는 항상 화살표 S2방향의 가압력이 주어지고, 래크(55)에 대하여 화살표 S2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하고 있다.
즉, 구동모터(58)의 정방향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에 대하여 화살표 S2방향의 구동력이 전달되면, 이러한 구동력이 래크(55)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모터(58)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력을 래크(55)에 전달할 경우에는 기어와 기어의 결합 오차에 의한 백래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이어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58)가 부 방향으로 구동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모터(58)의 부 방향의 회전에 의해 모터기어(58a)가 화살표 U2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따라 구동기어(59)가 화살표 V2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다시 제21도를 참조하면, 구동기어(59a)의 화살표 V2방향의 구동력은 화살표 R1방향으로 항상 주어지는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R1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기어(59a)에 결합되어 있는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에 전달되기 때문에,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가 제1도에 도시된 화살표 rl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그리고,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가 화살표 r1방향으로 회전하면, 화살표 r1방향의 회전력이 제2코일스프링(97)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레버(91)에 전달된다. 제2코일 스프링(97)은 제1코일스프링(96)과 같이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의 회전구동력에 대항할 수 있을 정도의 강한 압축력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고,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로 부터 제2코일스프링(97)을 거쳐서 레버(91)에 구동력이 전달될 때, 이러한 전달구동력에 의해, 제2코일스프링(97)이 조립되었을 때의 압축상태보다 압축되지는 않는다.
이어서, 레버(91)에 주어진 회전구동력에 의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91)는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3구동측 전달기어(61c)에 의해, 제3구동측 전달기어(61c)와 결합되어 있는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에 구동력이 전달되고, 제1종동측 전달 기어(62a)가 화살표 S1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여기서, 다시 제20도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는 항상 화살표 S2방향의 가압력이 주어지게 되고, 래크(55)에 대하여 화살표 S1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되어 있다.
즉, 구동모터(58)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에 대하여 화살표 S1방향의 구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화살표 S1방향의 구동력이 래크(55)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모터(58)의 부방향의 구동력이 래크(55)에 전달될 경우에는 구동모터(58)의 정방향의 구동력이 래크(55)에 전달되는 경우와 같이, 기어와 기어의 결합 오차에 의한 백래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즉, 구동모터(58)가 정방향이나 부방향중 어느 방향으로 구동되었다 하더라도, 제1코일 스프링(96)의 축적력에 의해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와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가 구동기어(59a)에 결합되는 동시에, 제2코일 스프링(97)의 축적력에 의해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와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가 래크(55)에 결합된 상태가 만들어지고, 백래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이어서, 상술한 구동력의 전달메카니즘 및 백래시 흡수원리에 대하여, 구동력의 전달통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제22(b)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구동모터(58)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는 경우는 상기 회전구동력이 구동기어(61b)에 전달되고, 또한 제1코일스프링(9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에 전달된다.
즉, 구동모터(58)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도시된 구동력의 제1전달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에, 구동모터(58)가 부방향으로 구동되는 경우는 회전구동력이 구동기어(59a)로 부터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에 전달되고, 더욱이 제2코일스프링(97)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레버(91) 및 제3구동측 전달기어(61c)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력은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에 전달되고, 최후에 래크(55)에 전달된다.
즉, 구동모터(58)가 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의 제2전달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전달로에 있어서, 구동기어(59a)와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와의 결합을 결합 A로 하고,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와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의 결합을 결합 B,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와 래크(55)와의 결합을 결합 C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전달로에 있어서, 구동기어(59a)와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와의 결합을 결합 D로 하고, 제3구동측 전달기어(61c)와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와의 결합을 E로 하고,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와 래크(55)와의 결합을 결합 F 로 한다.
따라서, 구동모터(58)가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경우의 제1전달로는 결합 A, B, C 의 3개소의 결합만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구동모터(58)가 부방향으로 구동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경우의 제2전달로는 결합 A, B, C 의 어느 것의 결함과는 다른 결합 D, E, F의 3개소 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결합 (A,B,C,D,E,F)중 어떠한 결합이라도 정방향 또는 부방향 중 어느 한 경우에 있어서만 구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정방향의 구동과 부방향의 구동과의 사이에서 구동방향이 전환될 때에 백래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측 전달기구(61)에 포함되는 압축 코일스프링(96)과 제2코일스프링(97)에 의해 구동기어(59a)와 래크(55)간의 백래시(a 내지 c)가 흡수되기 때문에, 백래시 기구 부착 전달기구의 기어 위상 맞춤으로써 구동측 전달기구(61)의 기어 위상 맞춤을 하면 좋고, 조립 작업의 간소화 및 조립 작업 시간의 단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래크(55)내에 압축코일 스프링이 포함되지 않는 것은 래크(55)의 폭방향 크기를 작은 칫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 픽업장치(54)의 이송시에 광학 헤드 캐리지(53)에 작용하는 결합 연결점 주위의 모멘트를 적게 할 수 있고, 헤드 이송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래크(55)의 폭방향 크기를 작은 칫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장치 전체를 폭 방향으로 소형화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와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와 레버(91)에 관통구멍(68,82,95)이 설치된 것은 이들 각 관통구멍(68,82,95)의 개구부를 예를 들면 핀 등을 넣어서 일치시킴으로써 구동측 전달기어기구(61)의 각 전달기어(61a 내지 61c)의 기어 위상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기구 조립 작업을 한층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 및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에 각각 결합부재(72,85)를 설치한 것은 이들 결합부재(72,85)에 의해 전달기어(61a,61b)를 일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구동측 전달기어 기구(61)의 조립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헤드 캐리지(53)가 가이드축(51,52)을 따라서 트레이 로딩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이송할 때, 래크(55)는 제23도에 도시된 디스크 최내주 위치에서 제24도에 도시된 디스크 최외주 위치로 이동하는 사이에 제1코일 스프링(96)과 제2코일 스프링(97)에 의해 중간 전달기구(60)로 부터 측압(F)을 받지만, 래크 피봇핀(124)의 주위로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베어링(45,46)의 설정위치 및 래크판(55a)의 돌출부재(127)의 설정위치를 분산시켜 받을 수 있고, 광학헤드 캐리지(53)의 이동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 경우, 측압(F)에 의해 래크(55)에 작용하는 래크 피봇핀(124) 주위의 모멘트는 측압(F)의 역점(力点)[래크(55)와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의 결합점]에서 지점(支点)[래크 피봇린(124)]까지의 최단거리(모멘트 아암)가 제23도에 도시된 래크(55)의 디스크 최내주 이동위치 및 제24도에 도시된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서 각각 최대와 최소로 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제1도, 제2도,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 및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를 래크(55)에 결합 연결한다.
이때,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의 관통구멍(62A1)과 제2종동측 소형기어(62b)의 관통구멍(62B1)의 각 개구부를 일치시키는 동시에,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의 볼록부(62A2)를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의 베이스(62B2)내에 대향시킴으로써, 제1종동측 전달기어(62a)와 제2종동측 전달기어(62b)를 조합시킨다.
이어서, 구동기어(59a)를 지지축(41c)에 삽입시켜 구동기어기구(59)를 구동모터(58)의 모터기어(58a)에 결합 연결한다.
그 후, 구동기어기구(59)와 종동측 전달기구(62)간에 구동측 전달기어(61)를 끼어 넣는다.
이 경우, 미리 제3구동측 전달기어(61c)의 통(86)을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의 중심구멍(64)에 삽입시킨후, 그 삽입단부의 탄성부재(87, 88)를 레버(91)의 삽입구멍(92A)에 삽입시키는 동시에, 절결(89, 90)내에 레버(91)의 돌출부재(92b)를 삽입시킨 후 통(86)내에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의 보스(77)를 대향시키는 동시에 탄성부재(87, 88)를 관통구멍(74a, 74b)에 삽입시켜서 원호부(87a,88a)를 계단부(78, 79)에 결합한다.
이때,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의 관통구멍(68)과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의 관통구멍(82)과 레버(91)의 관통구멍(95)의 각 개구부를 일치시키는 동시에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의 결합부재(72)[수평부(72b)]에 제2구동측 전달기어(61a)와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와 제3구동기어(61c)와 레버(91)를 조합시킨다.
그리고, 트러스트 플레이트(135)의 위치결정구멍(135b)내에 지지축(41b)을 대향시키는 동시에 결합부재(135a)를 가이드 축(52)에 결합시키고, 트러스트 플레이트(135)를 각 부착나사(136)에 의해 지지판(41)에 고정한다.
이후, 제1압축 코일스프링(96)을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의 스프링 결합부재(71)[수평부(71b)]와 제2구동측 전달기어(61b)의 스프링 결합부재(84)에 결합하여 각 전달기어(61a, 61b)의 관통창(67, 81)내에 대향시키는 동시에, 제2압축 코일스프링(97)을 제1구동측 전달기어(61a)의 스프링 결합부재(70)[수평부 (70b)]와 레버(91)의 스프링 결합부재(93)에 결합하여 각 전달기어(61a, 61b)의 관통창(66, 80)내에 대향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헤드 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를 조립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척킹동작, 재생동작, 척킹해제동작이나 디스크트레이 로딩동작, 방출동작, 비상방출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의 척킹동작]
제3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 홀더(40)가 자중에 의해 하강 위치까지 화살표 c 방향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디스크(D)는 디스크 트레이(104)에 의해 통(101)내에 화살표 a 방향에 수평으로 삽입되고, 또한 디스크 테이블(57)과 척킹풀리(132)간에 위치결정된다.
그리고, 디스크 트레이(104)의 로딩 완료후에 홀더 구동레버(110)가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하고, 유니트 홀더(40)가 제3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승위치까지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으로 된다.
이때, 유니트 홀더(40)상의 디스크 테이블(57)이 디스크 트레이(104)의 오목부(105a)내에 개구부(105b)에서 화살표 d 방향으로 삽입하여 광학디스크(D)의 중심구멍(Dl)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광학디스크(D)를 디스크 트레이(104)의 오목부(105a)내에서 밀어올린다.
또한, 디스크 테이블(57)은 광학디스크(D)와 함께 척킹풀리(132)를 들어 올리는 동시에 디스크 테이블(57)상의 척킹 마그네트(도시안됨)에 의해 척킹풀리(132)의 금속판(133)을 하방으로 끌어당긴다.
그리고, 척킹풀리(132)가 광학디스크(D)의 중심구멍(D1)의 개구원주엣지를 디스크 테이블(57)상에 마그네트 흡착한다.
[디스크 재생동작]
광학디스크(D)의 척킹후 스핀들모터(56)에 의해 디스크 테이블(57)과 함께 광학디스크(D)가 회전하고, 광학 헤드 캐리지(53)가 구동모터(58)에 의해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하여 광학 픽업장치(54)에 의해 광학디스크(D)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디스크 척킹 해제 동작]
광학디스크(D)의 재생후, 홀더 구동레버(110)가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고, 유니트 홀더(40)가 자중에 의해 제3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c 방향으로 하강하면, 디스크 테이블(57)이 광학디스크(D)의 중심구멍(Dl)으로부터 이탈하여 디스크 트레이(104)의 하방위치에 화살표(c)방향으로 하강한다.
그리고, 광학디스크(D)가 디스크 트레이(104)의 오목부(105a)내에 재생 장착되는 동시에, 척킹풀리(132)가 플랜지(132a)를 풀리홀더(136)의 관통구멍(136a)의 개구원주 엣지에 맞닿게 하여 광학디스크(D)의 상방 위치에서 재차 지지된다.
이후, 디스크 트레이(104)에 의해 통(101)내의 광학디스크(D)가 통(101)외로 화살표 b 방향으로 배출된다.
[디스크 트레이 로딩동작]
제3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104)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한 방출완료 상태에서는 제29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기어(124b) 및 가이드 핀(117c)이 디스크 트레이(104)의 래크(109)와 가이드홈(108)의 직선부(109a, 108a)에 있어서 화살표 a 방향측의 단부위치로 위치결정되어 있다.
이들 위치결정 상태에서 로딩 스위치(도시안됨)가 스위치 ON 상태로 되면, 제25도 내지 제2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15)가 정회전구동하고, 출력기어(124)의 소형기어(124b)가 제29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화살표 m 방향으로 정회전한다.
이때, 가이드핀(117c)이 가이드홈(108)의 직선부(108a)내에 결합하고, 기어 베이스(117)의 지지축(31c)을 중심으로 화살표 e, f 방향의 자유회전이 구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소형기어(124b)가 정위치에 있어서 화살표 m 방향으로 회전하고, 래크(109)의 직선부(109a)를 따라서 화살표 a 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리고, 래크(109)와 함께 디스크 트레이(104)가 통(101) 내에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되고, 소형기어(124a) 및 가이드 핀(117c)이 가이드홈(108)의 직선부(108a)를 상대적으로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104)의 화살표 a 방향으로의 로딩(삽입)이 진행하면, 제25도 및 제29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기어(124b) 및 가이드 핀(117c)이 가이드 홈(108)의 직선부(108a)의 중심선과 제1원호부(108b)의 중심선과의 교점(P1)에 도달한다.
그리고, 소형기어(124b)가 화살표 m 방향으로 계속하여 정회전함으로써 래크(109)의 제1원호부(109)를 따라서 화살표 f 방향으로 전동하고, 기어베이스(117)가 지지축(31c)을 중심(O2)으로 하여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고, 가이드 핀(117c)이 가이드 홈(108)의 제1원호부(108b)를 따라서 화살표 f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때, 가이드홈(108)의 제1원호부(108b)의 중심선 곡률반경(R1)이 지지축(31c)을 중심(O2)으로 하는 가이드 핀(117c)의 회전반경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핀(117c)이 제1원호부(108b)를 화살표 f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이에 디스크 트레이(104)의 화살표 a 방향으로의 이동속도가 작아진다.
즉,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31c)을 중심(D2)으로 하는 가이드핀(117c)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R2)을 갖는 가이드 홈(108)의 제2원호부(108c)의 중심선의 화살표 e 방향으로의 연장선과 직선부(108a)와의 중심선의 화살표 b 방향으로의 연장선과의 교점(P2)과, 직선부(108a)의 중심선과 제1원호부(108b)의 중심선과의 교점(Pl)간의 화살표 a, b 방향의 거리(Ll)가 예를 들어 약 10.5mm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거리(Ll) 내에 디스크 트레이(107)의 화살표 a 방향으로의 이동속도가 작아진다.
그리고, 제26도 및 제29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기어(124b) 및 가이드 핀(117c)이 가이드 홈(108)의 제1원호부(108b)의 중심선과 제2원호부(108c)의 중심선과의 교점(P3)에 도달했을 때에 디스크 트레이(104)의 전체가 통(101)내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되고 로딩 동작이 완료된다.
또한, 소형기어(124b)가 화살표 m 방향으로 계속해서 정회전함으로써 래크(109)의 제2원호부(109c)를 따라서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이러한 전동거리는 오버스트로크 조작의 진행공정이 된다.
상기 소형기어(124b)의 화살표 f 방향으로의 오버 스트로크 동작의 진행공정에 따라 기어베이스(117)가 가이드 홈(108)의 제2원호부(108c)를 따라 화살표 f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때, 가이드 홈(108)의 제2원호부(108c)의 중심선 곡률반경(R2)이 지지축(31c)을 중심(O2)으로 하는 가이드 핀(117c)의 회전반경과 같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핀(117c)은 제2원호부(107c)를 따라 화살표 f 방향으로 진행하고, 디스크 트레이(104)는 로딩완료 위치에 지지된다.
이후, 제29도에 1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기어(124b) 및 가이드핀(117c)이 가이드 홈(108)의 제2원호부(108c)의 종단(P4)에 도달한 것이 기어베이스(117c) 등의 회전각에서 검출스위치(도시안됨)에 의해 검출되고, 구동모터(115)가 정지된다.
그런데, 제25도 내지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기어(124b)가 교점(P1)에서 교점(P3)를 경유하여 종단(P4)까지 화살표 f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이에 기어베이스(117)가 제27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27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화살표 h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캠레버(118)의 캠(120)이 레버조작핀(110b)에 대하여 화살표 h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소형기어(124b)가 교점(P1)에서 (P3)까지 화살표 f 방향으로 진행하는 동안은 제3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구동레버(110)의 레버조작핀(110b)이 캠(120)의 오목홈(119)의 하부(119b)내를 상대적으로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소형기어(124b)가 교점(P3)에서 종단(P4)까지 화살표 f 방향으로 오버 스트로크 동작 공정을 진행하는 동안에 제3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조작핀(110b)이 오목홈(119)의 경사부(119c)를 통과하여 상부(119a)까지 화살표 d 방향으로 밀어 올려지고, 홀더 구동레버(110)가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디스크 트레이(104)의 로딩 완료후에 있어서 소형기어(124b)의 화살표 f 방향으로의 오버스트로크 동작의 진행 공정시에 홀더 구동레버(110)에 의해 유니트 홀더(40)가 제35도에 도시된 하강위치에서 제36도에 도시된 상승위치까지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하여 광학디스크(D)의 척킹 동작이 이루어지고, 광학디스크(D)가 디스크트레이(104)의 오목부(105a)의 상방으로 밀어올려져 디스크 테이블(57)상에 마그네트 흡착된다.
[디스크 트레이 방출동작]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방출스위치(도시않됨)를 ON 상태로 하든가 혹은 호스트 컴퓨터(도시않됨)에서의 방출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15)가 부회전 구동하면, 로딩시의 동작 공정과 역의 동작공정을 거쳐서 디스크 트레이(104)가 통(101)내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배출된다.
즉, 소형기어(124b)가 제27도 및 제29도에 1점 쇄선으로 도시된 가이드홈(108)의 제2원호부(108c)의 종단(P4)에 있어서 구동모터(115)에 의해 화살표(n)방향으로 부회전하면, 오버 스트로크 동작의 복귀공정에서 래크(109)의 제2원호부(109c)를 따라 종단(P4)에서 제26도 및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점(P3)까지 화살표 e 방향으로 진행하고, 기어베이스(117)가 제27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26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캠 레버(118)가 제27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26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하고, 레버 조작핀(110b)이 제3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110)의 상부(119a)에서 경사부(119c)를 통과하여 하부(l19b)까지 자중에 의해 미끄러지고, 홀더 구동레버(110)가 자중에 의해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홀더 구동레버(11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유니트 홀더(40)가 제36도에 도시된 상승위치에서 제35도에 도시된 하강위치까지 자중에 의해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고, 광학디스크(D)의 척킹 해제동작이 이루어지고, 광학디스크(D)의 오목부(105a)내에 재차 장착된다.
또한, 소형기어(124b)가 화살표 n 방향으로 계속하여 역회전 구동하고, 소형기어(124b) 및 가이드 핀(117c)이 래크(109) 및 가이드 홈(108)의 제1원호부(109b, 108b)를 따라 제26도 및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점(P3)에서 제26도 및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점(P1)까지 화살표(e)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사이에, 가이드 홈(108)의 제1원호부(108b)와 가이드 핀(117c)에 의한 캠작용, 즉 가이드 핀(117c)이 가이드 홈(108)의 제1원호부(108b)의 원호면(108b1)을 화살표 f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발생하는 화살표 b 방향의 분력(F1)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04)가 통(101)내에서 거리(c1)만큼 화살표 e 방향으로 압출된다.
또한, 이 사이에 제3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조작핀(110b)이 오목홈(119)의 하부(119b) 내를 상대적으로 화살표 h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소형기어(124b)가 화살표 n 방향으로 계속하여 부회전 구동하고, 래크(109)의 직선부(109a)를 화살표 b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제3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104)가 통(101)내에서 화살표(b)방향으로 배출되고, 소형기어(124b) 및 가이드 핀(117c)이 가이드 흠(108)의 직선부(108a)를 제29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상대적으로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제3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30)의 스토퍼(32a)에 디스크 트레이(104)의 볼록부(105d)가 맞닿아서 디스크 트레이(104)의 방출이 완료되고, 이러한 방출완료가 방출완료 스위치(도시않됨)에 의해 검출되고, 구동모터(115)가 정지된다.
[비상방출 조작]
제38도에 도시된 디스크 트레이 로딩상태에 있어서 전방패널(102)의 비상방출용 구멍(102b)에서 비상방출 조작용 부재(107)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하면, 제3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방출 조작용 부재(107)의 선단이 비상 방출용 슬라이더(112)에 가압되고, 상기 슬라이더(112)가 제32도에 1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거리(L2)만큼 화살표 a 방향으로 압출된다.
따라서, 캠레버(118)가 제27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25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기어베이스(117)가 제27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25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캠레버(118)가 제27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25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디스크 트레이(104)의 방출동작과 동시에 홀더 구동레버(11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유니트 홀더(40)가 제36도에 도시된 상승위치에서 제35도에 도시된 하강위치까지 자중에 의해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고 광학디스크(D)에 대한 디스크 테이블(57)의 척킹 해제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광학디스크(D)의 척킹해제 후에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하는 기어베이스(117)의 가이드 핀(117c)이 디스크 트레이(104)의 가이드 홈(108)의 제1원호부(108b)의 원호면(108b1)을 화살표 f 방향으로 가압하고, 이때의 캠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화살표 b 방향의 분력(F1)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04)가 통(101)내에서 거리(L1)만큼 화살표 b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후, 디스크 트레이(104)의 전면판(106)을 붙잡고, 수동조작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04) 전체를 제3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101)내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인출하여 비상방출 조작을 완료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크 트레이(104)의 사용에 의한 광학디스크(D)를 기록 재생하는 광학디스크 장치에 적용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디스크 카트리지(도시않됨)의 광학디스크(도시않됨)를 기록 재생하는 광학디스크 장치에도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기어기구(59)가 단일의 구동기어(59a)를 갖는 경우를 도시했지만 본 발명은 복수의 구동기어(도시않됨)를 갖는 구동기어 기구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 구성 부품의 재료는 상술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이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래크(55)에 종동측 전달기구(62)를 연결한 후, 모터기어(58a)에 구동기어기구(59)를 연결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발명은 모터기어(58a)에 구동기어(59a)를 연결한 후, 래크(55)에 종동측 전달기구(62)를 연결하여도 하등의 지장이 없다.

Claims (14)

  1.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기어 기구와, 상기 구동기어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전달기어를 갖는 중간전달기어와, 상기 중간전달기구의 전달기어에 결합하는 래크를 가지며, 상기 전달기어의 회전에 따라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헤드 캐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전달기구에는 상기 구동기어 기구와 상기 중간 전달기어 사이의 백래시를 흡수하는 제1백래시 흡수 수단과, 상기 중간 전달기구와 상기 래크 사이의 백래시를 흡수하는 제2의 백래시 흡수 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달기구는 상기 제1백래시 흡수수단 및 상기 제2백래시 흡수 수단을 갖는 구동측 전달기구와, 상기 구동측 전달기구 및 상기 래크에 연결된 종동측 전달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기어 기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측 전달기구의 전달기어를 서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제1종동측 전달기어와 제2종동측 전달기어로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측 전달기구의 전달기어는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제2종동측 전달기어에 결합하는 계단형의 제1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에 상기 제1백래시 흡수수단을 거쳐서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어에 결합하는 제2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2구동측 전달기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에 상기 백래시 흡수 수단을 거쳐서 연결되고 상기 제1종동측 전달기어에 결합하는 레버 부착의 제3구동측 전달기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백래시 흡수 수단 및 상기 제2백래시 흡수 수단은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5.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캐리지에 상기 각 전달기어의 축선과 평행한 지지축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래크를 피봇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6.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2구동측 전달기어 및 상기 레버에 각각 기어 위상결합용 관통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7. 헤드 캐리지에 모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래크에 각각 독립하여 상호 회전 가능한 제1종동측 전달기어와 제2종동측 전달기어로 구성된 종동측 전달기구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모터에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기어 기구를 연결한 후, 상기 구동기어 기구와 상기 종동측 전달기구 사이에 구동측 전달기구를 장착하는 헤드 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전달기구는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제2종동측 전달기어에 결합하는 계단형의 제1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에 제1압축 코일 스프링을 거쳐서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어에 결합하는 제2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2구동측 전달기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에 제2압축 코일 스프링을 거쳐서 연결되고 상기 제1종동측 전달기어에 결합하는 레버 부착의 제3구동측 전달기어로 구성하는 단계와, 미리 상기 제3구동측 전달기어의 피봇부를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에 축선 방향으로 삽입시키고 이어서 상기 삽입단부를 상기 레버에 일체로 연결한 후 상기 제2구동측 절단기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2구동측 전달기어 사이에 상기 제1압축 스프링을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레버간에 제2압축 스프링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의 조립방법.
  8.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각각 결합하는 제1구동측 전달기어 및 제2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측 전달기어의 축선상에 회전 중심을 갖는 제3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2구동측 전달기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압하는 제 1 가압수단과,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3구동측 전달기어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압하는 제2가압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구동측 전달 기어와 상기 제2구동측 전달기어 및 상기 제3의 구동측 전달기어의 각 회전중심을 동일의 축선상에 위치시키는 구동측 전달기구와, 각 회전중심이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하는 제1종동측 전달기어 및 제2종동측 전달기어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종동측 전달기어중 제1종동측 전달기어가 상기 제3구동측 전달기어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종동측 전달기어가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종동측 전달기구와, 상기 종동측 전달기구의 제1종동측 전달기어 및 제2종동측 전달기어에 결합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와 일체로 이동하는 헤드 캐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수단은 그 한쪽 단부가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에 압축된 상태에서 연결되고, 또한 다른쪽 단부가 상기 제2구동측 전달기어에 압축된 상태에서 연결된 제1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가압수단은 그 한쪽 단부가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에 압축된 상태에서 연결되고, 또한 다른쪽 단부가 상기 제3구동측 전달기어에 압축된 상태에서 연결된 제2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동측 전달기어는 상기 제1종동측 전달기어에 결합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에 일체로 형성된 레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제2코일 스프링의 다른쪽 단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는 상기 제3구동측 전달기어의 기어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상기 제2종동측 전달기어에 결합하는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구동측 전달기어의 기어 직경과 동일한 기어 직경을 갖고 상기 구동기어에 결합하는 제2기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가 제1방향으로 구동되므로써, 상기 제2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1가압수단과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2종동측 전달기어로 이루어지는 제1전달로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어가 제1방향과는 반대인 제2방향으로 구동되므로써,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2가압수단과 상기 제3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1종동측 전달기어로 이루어지는 제2의 전달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달로는 상기 제2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1가압수단과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2구동측 전달기어 순서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전달로는 상기 제1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2가압수단과 상기 제3구동측 전달기어와 상기 제1종동측 전달기어 순서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달로와 상기 제2전달로는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KR1019950701637A 1993-09-13 1994-09-12 디스크장치 및 헤드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의 조립방법 KR100280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625393 1993-09-13
JP93-226253 1993-09-13
PCT/JP1994/001510 WO1995008172A1 (fr) 1993-09-13 1994-09-12 Procede d'assemblage d'une unite de disques et d'un engrenage de transmission d'entrainement de chariot de te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4784A KR950704784A (ko) 1995-11-20
KR100280591B1 true KR100280591B1 (ko) 2001-02-01

Family

ID=1684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637A KR100280591B1 (ko) 1993-09-13 1994-09-12 디스크장치 및 헤드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5777978A (ko)
KR (1) KR100280591B1 (ko)
WO (1) WO19950081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837A (ko) 1996-09-12 1998-06-25 구자홍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안착부재 이동장치
JPH10191224A (ja) * 1996-12-24 1998-07-21 Sony Corp カメラ一体型ビデオレコーダ
JPH10208412A (ja) * 1997-01-23 1998-08-07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DE19753897A1 (de) * 1997-12-05 1999-06-10 Thomson Brandt Gmbh Kraftübertragungssystem mit einem Zahnrad und einer Zahnstange
US6178154B1 (en) * 1998-02-13 2001-01-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device having increased height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optical disk
JP3648375B2 (ja) * 1998-03-16 2005-05-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の動力伝達機構
JP3619133B2 (ja) * 2000-08-31 2005-0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DE60330114D1 (de) 2002-01-10 2009-12-31 Panasonic Corp Plattenvorrichtung
JP3864848B2 (ja) * 2002-05-27 2007-01-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のヘッド駆動装置
US7253930B2 (en) * 2002-07-19 2007-08-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ner drive system
DE10249322A1 (de) * 2002-10-22 2004-05-06 Deutsche Thomson-Brandt Gmbh Antriebssystem für eine Abtasteinrichtung eines Informationsaufzeichnungs- oder wiedergabegerätes
US7281254B2 (en) * 2003-08-19 2007-10-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drive having a traverse holder that is rotatable around an axis that is mutually different from the axis of a traverse base
DE102004020952A1 (de) * 2004-04-28 2005-11-24 Deutsche Thomson-Brandt Gmbh Optische Abtastvorrichtung für unterschiedliche Geräte zur Aufzeichnung oder Wiedergabe von Daten oder Informationen mit einem optischen Aufzeichnungsträger
US9099148B2 (en) * 2012-03-30 2015-08-0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agnetic Z-directional clutch
CN104347092B (zh) * 2013-08-05 2016-12-07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光驱的紧急退片装置
CN113809875A (zh) * 2021-09-29 2021-12-17 东莞市维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弹簧传动的电机驱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0177A (ja) * 1983-10-11 1985-05-08 Sony Corp デイスクプレ−ヤ
US4654737A (en) * 1984-03-26 1987-03-31 Tandon Corporation Magnetic disk memory head carriage assembly employing backlash-free rack and pinion drive mechanism
JPS60234270A (ja) * 1984-05-07 1985-1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ピツクアツプ送り装置
JPS6129465A (ja) * 1984-06-18 1986-02-10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情報記録再生装置のピツクアツプ駆動機構
JPS6174969A (ja) * 1984-09-14 1986-04-17 Victor Co Of Japan Ltd 移送機構
JPS6311463A (ja) * 1986-07-02 1988-01-18 Sawafuji Electric Co Ltd 着氷融解装置
JP2558259B2 (ja) * 1986-10-31 1996-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S63114463U (ko) * 1986-11-25 1988-07-23
JPS63206971A (ja) * 1987-02-24 1988-08-26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イスクプレ−ヤのピツクアツプ駆動装置
JPH0695431B2 (ja) * 1988-09-20 1994-11-24 三洋電機株式会社 ピックアップ駆動装置
US5119362A (en) * 1989-12-28 1992-06-02 Sony Corporation Disc player with a pickup feeding apparatus
JP3057269B2 (ja) * 1991-08-27 2000-06-26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ピックアップ移動装置
JPH05325202A (ja) * 1992-05-26 1993-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ピックアップドライ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77978A (en) 1998-07-07
US5886977A (en) 1999-03-23
WO1995008172A1 (fr) 1995-03-23
KR950704784A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0591B1 (ko) 디스크장치 및 헤드캐리지 구동용 전달기구의 조립방법
JPH1031827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
US5113388A (en) Centering mechanism for automotive disk player
US6947357B2 (en) Changer-type disk device
KR920005793B1 (ko) 광학 디스크 플레이어
KR101106642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KR100305916B1 (ko) 디스크플레이어장치
EP0347812B1 (en) Disc drive apparatus
US6388974B1 (en)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EP1406258B1 (en) Optical disk driving apparatus
US7287263B2 (en) Disc apparatus
US6081494A (en) Dis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drive mechanism for loading and ejecting a disc cartridge
EP0700040B1 (en) Disc Driving apparatus
US6078553A (en) Disc cartridg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with shutter opening structure
US4747003A (en) Head shifting device for inform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4828604B2 (ja) ディスク装置
US6625104B2 (en) Drive force-transmitting mechanism
JP4828603B2 (ja) ディスク装置
JP2865918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959187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887186B2 (ja) ピックアップ駆動装置
JP2737913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3467924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272372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장치
JP4638472B2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