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607B1 -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607B1
KR100275607B1 KR1019970042047A KR19970042047A KR100275607B1 KR 100275607 B1 KR100275607 B1 KR 100275607B1 KR 1019970042047 A KR1019970042047 A KR 1019970042047A KR 19970042047 A KR19970042047 A KR 19970042047A KR 100275607 B1 KR100275607 B1 KR 100275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rocessor
standalone
output
definition information
stora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107A (ko
Inventor
신이치로 가메이
겐지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1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복잡한 예비 처리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다수의 전치 처리기를 연속적으로 조합한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multistage front end processor)이 제공된다. 다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6-1 내지 6-n)는 펜으로 쓰여진 문자 인식 프로그램 및 가나-간지(kana-kanji)변환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이다. 정의(definition) 정보 저장 모듈(7)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 구성되는 복합 전치 처리기에 대한 정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 수단(9)은 정의 정보 저장 모듈(7)을 참고하고, 시작될 복합 전치 처리기가 예를 들면,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6-1, 6-2)로 구성될 때, 입력 장치(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제 1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6-1)에 전하고, 그 출력을 제 2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6-2)에 전하고, 또한 그 출력을 응용 프로그램(10)에 전한다.

Description

디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
본 발명은 전치 처리기(front end processor)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이 자체 기능을 갖춘 다수의 전치 처리기가 직렬로 연결되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동작 시스템은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기 전에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예비 처리를 실행하는 전치 처리기 시스템을 갖는다.
시용자는 전치 처리기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예비 처리 프로그램의 기능을 지정하는 옵션을 갖는다. 종래에는 단 하나의 프로그램만이 응용 프로그램과 사용되기 위한 전치 처리기로 지정되기 때문에, 가나-간지(kana-karji) 변환 프로그램과 같이 자주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통상 전치 처리기 시스템으로 지정된다. 이름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은 키보드로부터 입력된 로마 문자열이 나 가나 문자열을 간지 및 가나 문자로 구성되는 일본 문지열로 변환시킨다.
최근에는 컴퓨터가 키보드로부터의 부호화된 문자 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종류의 데이터를 수용한다. 예를 들면, 손으로 쓴 문지가 보다 정확히 인식되므로, 컴퓨터는 이제 필적 문자를 입력하는 펜으로 쓴 문자를 수용한다. 이는 특히 손으로 쓴 문자를 인식하도록 설계된 필적 문자 인식 프로그램이 전치 처리기 시스템으로 지정될 것을 요구한다. 또 디른 예는 음성 인식 프로그램이다. 음성이 보다 정획히 인식되므로, 컴퓨터는 이제 사람 목소리를 직접 수용한다. 이는 특히 사람 목소리 데이터를 인식하고 이를 문자 코드 심볼로 변환시키도록 설계된 음성 인식 프로그래이 전처리 처리기 시스템으로 지정될 것을 요구한다.
한편, 일본 특허 출원 No. JP-A-Hei 5-2396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의 실행 직훙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워드 프로세서를 이행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능을 전치 처리기 시스템으로 실행하기 위햇는 가나-간지 변환을 실행하고 결과의 데이터를 일본어에서 영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이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 및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과 같은 단일 기능 프로그래 대신에 전치 처리기 시스템으로 지정되어야 한다.
컴퓨터가 보다 복잡해지고 더 많이 사용됨에 따라 전치 처리기 시스템에 대해 요구되는 예비 저리 과정은 보다 다양하고 복잡해진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단 하나의 프로그램만이 지정되도록 허용되는 종래의 전치 처리기 시스템은 단 하나의 종류의 예비 처리만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종류의 예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전치 처리기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많이 느껴진다.
상기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가나-간지 변환 및 손으로 쓴 문자 인식과 같은 종래의 독립형 예비 처리 뿐만 아니라 복잡한 예비 처리를 이러한 종류의 처리 과정을 연속적으로 조합함으로서 실행하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전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전저 처리기 시스템은 컴퓨터의 동작 시스템에 포함되도록 적용되고, 미리 처리된 결과를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기 전에 시용자의 지시에 따라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예비 처리를 실행하고, 또한, 다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 전치 처리기의 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정의 정보 저장 모듈, 시작 목적지 지정 모듈, 및 정의 정보 저장 모듈을 참고로 전치 처리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정의 정보 저장 모듈은 다단식으로 연속하여 연결된 다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 구성되는 복합 전치 처리기와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정의 정보를 저장한다.
시작 목적지 지정 모듈은 사용자로부터(즉,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시작되는 복합 전치 처리기나 독립형 전치 처리기를 지정하는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를 수신하고, 시작되는 목적지를 지정하는 시작 목적 지정 정보를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제어 수단은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을 참고로 전치 처리기를 제어하고, 시작 목적지로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선택될 때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전하여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응용 프로그램에 전하고, 또는 시작 목적지로 복합 전치 처리기가 선택될 때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복합 전치 처리기로 전하고, 제어 수단이 이후 다음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전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최종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응용 프로그램에 전한다.
전형적으로, 제어 수단은 정의 정보 저장 모듈을 참고로 하고, 시작 목적지가 독립형 전치 처리기일 때,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전하여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응용 프로그램에 전하고, 또는 시작 모적지가 복합 전치 처리기일 때,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복합 전치 처리기 중 제 1 단계의 전치 처리기에 전하고, 제 1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제 2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전하고, 이후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다음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순차적으로 전하여, 마지막으로 최종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응용 프로그램에 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정의 정보를 변화시키는 정의 정보 변화 모듈을 더 구비한다.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은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서 출력이 디스플레이되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를 나타내는 출력 지정 정보를 저장하는 출력 지정 모듈을 더 구비하고, 여기서 제어 수단은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출력 지정 정보에 의해 지정된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 한다.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 혼자 운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사용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 펜(손으로 쓴) 문자 인식 프로그램, 및 예를 들면 일본어-영어(또는 영어-일본어 등) 기계 번역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대한 정의 정보는 어떠한 종류의 프로그램이 독립형 전치 처리기를 구성하는가를 나타낸다.
한편, 복합 전치 처리기에 대한 정의 정보는 어떠한 종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복합 전치 처리기 및 연속하여 연결된 순차를 구성하는가를 나타낸다.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고, 또한 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복합 전치 처리기의 제 1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 지정될 수 있다. 이전 단계의 출력을 수신하고, 그 출력을 처리하고, 또한 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제 2 단계나 그 이후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는 사람 목소리를 인식하고 이를 문자 코드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음성 인식 프로그램이고, 제 2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는 결과로 주어진 제 1 단계 전치 처리기의 문자 코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간지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3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는 일본어 문자열을 영어 문자열로 번역하는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이다. 이와 같이 복합 전치 처리기를 정의하면, 처리 순차, 즉 음성 인식, 가나-간지 변환, 및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을 실행하는 전치 처리기 시스템이 발생된다.
사용자는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를 설정(저장)하도록 시작 목적지 지정 모듈에 지시를 전하여,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서, 시작되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 또는 복합 전치 처리기를 지정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은 시작 목적지로 지정된 독립형 전치 처리기 또는 복합 전치 처리기로 동작한다. 물론, 시작 목적지를 변경하면, 그 시스템은 또 다른 독립형 전치 처리기 또는 또 다른 분리형 전치 처리기로 동작할 수 있다.
시작 목적지가 독립형 전치 처리기이면, 제어 수단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공급하고 출력 데이터를 응용 데이터를 주사한다. 시작 목적지가 복합 전치 처리기일 때, 제어 수단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 1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공급하고, 그의 출력을 제 2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전하고, 이후 순차적으로 이전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다음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전하고, 마지막으로 최종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응용 프로그램에 전한다.
사용자는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복합 전치 처리기 등을 포함하여, 전치 처리기에 대한 정의 정보를 바꾸도록 정의 정보 변화 모듈에 지시를 전한다. 이는 사용자가 새로운 복합 전치 처리기를 부가하거나 이미 정의된 복합 전치 처리기에 대한 정의 정보를 바꾸는 것을 허용한다(예를 들면, 사용자는 복합 전치 처리기 중 임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를 부가, 삭제, 또는 변화시키거나, 연결 순차를 번경시킬 수 있다).
부가하여, 사용자는 출력이 디스플레이되는 전치 처리기를 지정하도록 출력 지정 모듈에 지시를 전한다. 이러한 출력 지정 정보는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다. 시작 목적지가 다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 구성된 복합 전치 처리기일 때, 제어 수단은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서 출력 지정 정보가 지정된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만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는 사용자가 복합 전치 처리기의 소정의 단계에서 독립헝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포함된 내용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제어 모듈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제4도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 및 복합 전치 처리기에 대한 정의 정보가 부가된 정의 정보 저장 모듈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6도는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포함된 내용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7도는 제어 모듈 처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제8도는 복합 전치 처리기를 구성하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동작 시스템 5 : 전치 처리기 시스템
7 : 정의 정보 저장 모듈 8 : 사용자 지정 모듈
9 : 제어 모듈
다음에는 단순히 본 발명의 보다 나은 설명을 위해 주어진 도면을 참고로 양호한 실시예가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는 각각 자체 기능을 혼자 실행할 수 있는 다수의 전치 처리기(FEP1-FEPn)(6-1) 내지 (6-n), 정의 정보 저장 모듈(7), 시작 목적지 지정 모듈(81)과 정의 정보 변화 모듈(82)을 갖는 사용자 지정 모듈(8), 및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모듈(9)을 구비한다.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은 컴퓨터 시스템(2)의 동작 시스템(3)하에 포함되어 운행된다. 도1에서, 번호(1)는 키보드, 음성 입력 마이크로폰, 및 손으로 쓴 문자를 입력하는 펜과 같은 유닛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칭하고, 번호(4)는 동작 시스템(3)에 포함되어 입력 장치(1)로부터의 데이터를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에 전하는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을 칭하고, 또한 번호(10)는 동작 시스템(3)에 위치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칭한다.
자치 기능을 스스로 실행할 수 있는 각 독립형 전치 처리기 (6-1) 내지 (6-n)은 제어 모듈(9)로부터 전해진 데이터에 예비 처리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시 제어 모듈(9)로 복귀시킨다. 각 독립형 전치 처리기 (6-1) 내지 (6-n)은 특정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 특정 펜 문자 인식 프로그램, 및 특정 일본어 대 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 등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형성된다.
정의 정보 저장 모듈(7)은 독립형 전치 처리기 (6-1) 내지 (6-n)과, 각각이 다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 구성되는 복합 전치 처리기에 대한 정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2는 정의 정보 저장 모듈(7)에 포함된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2에서, 번호 (71) 내지 (73)은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대한 정의 정보의 예를 칭한다. 정의 정보(71)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FEP1)가 펜 문자 인식 프로그램 "PEN.sys"임을 나타내고, 정의 정보(72)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FEP2)가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 "KANAKANJI.sys"임을 나타내고, 또한 정의 정보(73)은 독립형 전치 처리기(FEP3)가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 "JETRANS"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대한 정의 정보는 프로그램이 독립형 전치 처리기(FEP1-FEPn) (6-1) 내지 (6-n)에 대해 시작될 때 설정된다.
한편, 정의 정보 (74) 및 (75)는 복합 전치 처리기에 대한 정의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정의 정보(74)는 제 1 복합 전치 처리기(FEPseq1)가 2개의 연속 연결된 독립형 전치 처리기, 즉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 "KANAKANJI.sys" 및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 "JETRANS.exe"로 구성됨을 나타낸다. 정의 정보(75)는 제 2 복합 전치 처리기(FEPseq2)가 3개의 연속 연결된 독립형 전치 처리기, 즉 펜 문자 인식 프로그램 "PEN.sys",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 "KANAKANJI.sys", 및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 "JETRANS.exe"으로 구성됨을 나타낸다.
시작 목적지 지정 프로그램(76)은 독립형 전치 처리기나 복합 전치 처리기가 현재 활성화 상태임을 나타낸다. 도2에서, CURRENT=FEPseq2는 복합 전치 처리기(FEPseq2)가 사용자에 의해 개시되었음을 나타낸다.
다음에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이 동작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1) 시작되는 목적지를 지정
정의 정보 저장 모듈(7)에 저장된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76)가 사용자에 의해 시작할 응용 프로그램(10)에 적절하지 않은 독립형 전치 처리기 또는 복합 전치 처리기를 포함할 때, 사용자는 전치 처리기를 시작하기 위한 특수 키를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시작하기 원하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 또는 복합 전치 처리기를 지정하기 위해 입력 장치(1)에서 다수의 키의 조합을 사용한다. 특히, 복합 전치 처리기를 시작하기 위해, 사용자는 특수 키를 누르고, 다수의 복합 전치 처리기 중 하나를 식별하는 문자열을 타입하고, 어어서 다시 특수 키를 누른다. 즉, 사용자는 특수 키를 누르고 문자열을 타입하고, 이어서 특수 키를 타입한다. 예를 들면 복합 전치 처리기(FEPseq2)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특수 키를 누르고, 문자열(S2)를 타입하고, 이어서 특수 키를 누른다. 한편, 독립형 전치 처리기를 시작하기 위해, 사용자는 특수 키를 누르고, 다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 중 하나를 식별하는 번호를 타입하고, 이어서 다시 특수 키를 누른다. 즉, 사용자는 특수 키를 누르고, 번호를 타입하고, 이어서 특수 키를 타입한다. 예를 들면, 독립형 전치 처리기 (FEP1)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특수 키를 누르고, 번호(1)를 타입하고, 이어서 특수 키를 누른다.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에 대한 시작 목적지를 지정하는 절차는 사용자가 시작할 응용 프로그램(10)의 종류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는 응용 프로그램의 시작 절차를 표준화하므로, 기능성을 증가시킨다.
입력 장치(1)에서 키 동작의 순차(전치 처리기를 시작하기 위한 특수 키에서의 동작을 포함하는)는 동작 시스템(3)의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를 통해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의 사용자 지정 모듈(8)내의 시작 목적지 지정 모듈(81)로 키 정보를 전한다. 이 정보를 수신하면, 시작 목적지 지정 모듈(81)은 키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누른 키에 따라 도2에 도시된 정의 정보 저장 모듈(7)에 포함된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76)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특수 키, 1, 특수 키"의 순서로 키를 누를 때, 시작 목적지 지정 모듈(81)은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76)를 "CURRENT=FEP1"으로 변화시킨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특수 키, S1, 특수 키"의 순서로 키를 누를 때, 시작 목적지 지정 모듈(81)은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76)를 "CURRENT=FEPseq1"으로 변화시킨다.
(2)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을 시작
시작될 때, 응용 프로그램(10)은 동작 시스템(3)에서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의 제어 모듈(9)에 시작 신호(11)를 전한다. 이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의 제어 모듈(9)을 시작하게 한다. 제어 모듈(9)은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10)에 전하기 전에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을 통해 입력 장치(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예비 처리를 실행한다.
도3은 제어 모듈(9)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제어 모듈(9)은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를 통해 입력 장치(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나 독립형 전치 처리기 (6-1) 내지 (6-n)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도3에 도시된 처리 과정을 실행한다. 먼저, 제어 모듈(9)은 데이터가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 또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 (6-1) 내지 (6-n) 중 하나로부터 전해졌는가를 결정한다(단계 S1). 데이터가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로부터 전해질 때, 제어 모듈(9)은 정의 정보 저장 모듈(7)에 저장된 시작되는 복합 전치 처리기 또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관한 정의 정보를 참고한다. 이어서,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제 1 단계의 전치 처리기로 전해진다(단계 S2).
데이터가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부터 전해질 때, 데이터는 제어 모듈(9)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의해 미리 처리된 결과이다. 제어 모듈(9)은 정의 정보 저장 모듈(7)에 저장된 시작되는 복합 전치 처리기 또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관한 정의 정보를 참고한다. 제어 모듈(9)은 다음 단계의 독립형 전지 처리기가 있는가를 보도록 정의 정보를 점검한다(단계 S3). 정의 정보가 다음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있음을 나타내면(단계 S4에서 YES), 제어 모듈(9)은 수신된 데이터를 그 다음 단계의 전치 처리기에 전한다(단계 S5). 정의 정보가 다음 단계의 전치 처리기가 없음을 나타내면(단계 S4에서 NO), 제어 모듈(9)은 현재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최종 단계의 전치 처리기인 것으로 결정하고, 복귀된 데이터를 데이터(12)로서 응용 프로그램(10)에 전한다(단계 S6).
그러므로, 시작 목적지가 도2에서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76)에 의해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복합 전치 처리기(FEPseq2)일 때, 제어 모듈(9)은 정의 정보(75)를 참고하고 입력 장치(1) 중 하나인 손으로 쓰는 입력 펜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펜 문자 인식 프로그램 "PEN.sys"인 제 1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FEP1)에 전한다(S1, S2). 제 1 단계 전치 처리기(FEP1)가 데이터를 처리하여 손으로 쓴 문자 인식처리의 결과로 로마 또는 히라가나 데이터를 출력할 때, 제어 모듈(9)은 정의 정보(75)를 참고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 "KANAKANJI.sys"인 제 2 단계 전치 처리기(FEP2)에 전한다(S1, S3 - S5). 다음에, 제 2 단계 전치 처리기(FEP2)가 데이터를 처리하여 가나-간지 데이터를 복귀시킬 때, 제어 모듈(9)은 정의 정보(75)를 참고하고, 복귀된 데이터를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 "JETRANS.exe"인 제 3 단계 전치 처리기(FEP3)에 전한다(S1, S3 - S5). 제 3 단계 전치 처리기(FEP3)가 데이터를 저리하여 영어 데이터를 출력할 때, 제어 모듈(9)은 정의 정보(75)를 참고하고, 다음 단계의 전치 처리기가 없음을 발견하고, 또한 제 3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FEP3)로부터의 출력을 응용 프로그램(10)에 전한다(S1, S3, S4, S6).
(3) 정의 정보 저장 모듈(7)에서 정의 정보를 변경
사용자가 복합 전치 처리기내의 순차와 복합 전치 처리기에 포함되는 다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조합을 지정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복합 전치 처리기 중 제 1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이고 제 2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일 것을 요구한다. 또 다른 사용자는 제 1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사람 목소리를 인식하여 대응하는 음성 코드를 출럭하는 음성 인식 프로그램이고, 제 2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음성 코드를 문자열로 변환시키는 변환 프로그탬이고, 또한 제 3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일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응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은 사용자가 정의 정보 저장 모듈(7)에 저장된 정의 정보를 변화시키도록 허용하는 정의 정보 변화 모듈(82)을 갖는다. 정의 정보 변화 모듈(82)은 사용자가 독립형 전치 처리기를 부가하거나, 복합 전치 처리기에 대한 정의 정보를 부가 또는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도록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을 통해 입력 장치(1)로부터 사용자 지시를 수신한다. 이는 사용자가 그의 필요성에 맞추어 복합 전치 처리기를 설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4는 사용자가 새로운 독립형 전치 처리기를 부가하고 사용자가 새로운 복합 전치 처리기를 정의한 정의 정보 저장 모듈(7) 내용의 예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번호 (71) 내지 (76)은 도2에 포함된 것을 칭하고, 번호 (77) 및 (78)은 새로 부가된 정의 정보를 칭한다. 정의 정보(77)는 사용자가 사람 음성을 인식하여 대응하는 음성 코드를 출력하는 음성 인식 프로그램 "ONSEININSHIKI.exe"를 독립형 전치 처리기(FEP4)에 지정함을 나타낸다. 정의 정보(78)는 정의 정보 변화 모듈(82)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부가된 새로운 복합 전치 처리기(FEPseq3)에 대한 정보이다. 새로운 복합 전치 처리기는 제 1 단계 독립헝 전치 처리기인 음성 인식 프로그램 "0NSEININSHIKI.exe", 제 2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인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 "KANAKANJI.sys", 및 제 3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인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 "JETRANS.exe"로 구성된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의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1에 사용된 것과 같은 번호는 같은 구성 성분을 칭하고, 번호(13)은 CRT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칭하고, 번호(83)는 출력 지정 모듈을 칭하고, 번호(7')는 정의 정보 저장 모듈을 칭하고, 또한 번호(9')는 제어 모듈을 칭한다.
다수의 다단식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 구성된 복합 전치 처리기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모든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가 또는 선택된 독립형 전치 처리기만의 형과를 디스플레이하는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 편리하다. 예를 들면, 제 1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이고 제 2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일본어를 영어로 번역하기 위한 일본어-영어 기계번역 프로그램인 복합 전치 처리기에서는 사용자가 두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 번째 옵션은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 모두의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두 번째 옵션은 제 1 단계에서 실행된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의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지만, 제 2 단계에서 실행된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의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두 번째 옵션은 제 1 단계에서 입력된 가나-간지 문자 데이터를 제 2 단계에서 영어로 바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허용한다.
도5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출력 지정 모듈(83)은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을 통해 입력 장치(1)로부터 출력이 디스플레이되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를 지정하는 사용자 요구를 수용하고, 사용자 요구를 나타내는 출력 지정 정보를 정의 정보 저장 모듈(71)에 저장한다. 제어 모듈(91)은 어느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이 디스플레이 유닛(13)에서 디스플레이되는가를 결정하도록 출력 지정 정보를 참고한다.
도6은 사용자가 출력이 디스플레이되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를 출력 지정 모듈(83)을 통해 지정하는 입력을 부가한 정의 정보 저장 모듈(7') 내용의 예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번호 (71) 내지 (78)은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 성분을 칭하고, 번호(79)는 출력 지정 모듈(33)을 통해 사용자가 지정하는 출력 지정 정보를 칭한다.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는 2개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 즉 제 1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인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 "KANAKANJI.sys" 및 제 2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인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 "JETRANS.exe"로 구성된 복합 전치 처리기(FEPseq1)을 지정하도록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76)를 지정한다. 그 정보 이후에, 사용자는 또한 출력 지정 정보를 "DISPLAY=JETRANS.exe"인 것으로 지정한다. 이러한 출력 지정 정보는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 즉 최종 단계의 프로그램의 결과만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지정한다.
다음은 본 실시예의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이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1) 시작되는 목적지를 지정
정의 정보 저장 모듈(7')에 저장된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76)가 사용자에 의해 시작될 응용 프로그램(10)에 적절하지 않은 복합 전치 처리기나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데이터를 포함할 때, 사용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서와 같은 방법으로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76)를 변화시킨다. 그러한 방법에서, 사용자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나 복합 전치 처리기를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 시작되도록 지정한다.
(2) 출력이 디스플레이될 독립형 전치 처리기를 지정
정의 정보 저장 모듈(7')에 저장된 출력 지정 정보(79)가 원하지 않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를 지정할 때, 사용자는 입력 장치(1)를 통해 출력 지정 정보(79)가 변하고 새로운 출력 지정 정보 데이터를 타입하도록 지정한다. 결과의 정보는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을 통해 사용자 지정 모듈(8)의 출력 지정 모듈(83)에 전달된다. 이 정보를 수신하면, 출력 지정 모듈(83)은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출력 지정 정보(79)를 변화시킨다.
(3) 다단식 전치 처리기(5')를 시작
시작될 때 응용 프로그램(10)은 동작 시스템(3)의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에 시작 신호(11)를 전달한다. 이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의 제어 모듈(9')을 시작하게 한다. 제어 모듈(91)은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10)에 전하기 전에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을 통해 입력 장지(1)로부터 전해진 데이터에 예비 처리 과정을 실행한다.
도7은 도3에 도시된 흐름도에 단계 (S11) 내지 (S13)가 부가되는, 제어 모듈(9')에 의해 실행된 처리 과정의 예를 도시한다. 제어 모듈(9')은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를 통해 입력 장지(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나 독립형 전치 처리기(6-1) 내지 (6-n)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도7에 도시된 처리 과정을 실행한다. 먼저, 제어 모듈(91)은 데이터가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 또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 (6-1) 내지 (6-n) 중 하나로부터 전해졌는가를 결정한다(단계 S1). 데이터가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로부터 전해질 때, 제어 모듈(9')은 정의 정보 저장 모듈(7')에 저장된 시작되는 복합 전치 처리기 또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관한 정의 정보를 참고한다. 이어서,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제 1 단계의 전치 처리기로 전해진다(단계 S2).
데이터가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부터 전해질 때, 제어 모듈(9')은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부터의 출력이 디스플레이되는가를 보도록 점검하기 위해 정의 정보 저장 모듈(7')에 저장된 출력 지정 정보(79)를 참고한다(단계 S11). 출력이 디스플레이되면(단계 S12에서 YES), 제어 모듈(91)은 소스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식별자를 입력된 데이터에 부가하고 결과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유닛(13)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3). 디스플레이 유닛(13)의 화면은 각 독립형 전치 처리기 식별자에 대한 데이터가 화면상에서 자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설계된다. 즉, 제어 모듈(9')로부터의 데이터는 각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부가하여, 사용자가 소스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부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요구할 때(S12에서 NO), 제어 모듈(91)은 단계(S13)를 건너뛰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어 모듈(9')은 다음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있는가를 보도록, 정의 정보 저장 모듈(7')에 저장된, 시작되는 복합 전치 처리기 또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대한 정의 정보를 참고한다(S3). 정의 정보가 이러한 다음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있음을 나타내면(S4에서 YES), 제어 모듈(91)은 수신된 데이터를 그 다음 단계의 전치 처리기에 전한다(S5). 정의 정보가 이러한 다음 단계의 전치 처리기가 없음을 나타내면(S4에서 NO), 제어 모듈(9')은 현재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최종 단계의 전치 처리기인 것으로 결정하고, 복귀된 데이터를 데이터(12)로서 응용 프로그램(10)에 전한다(S6).
다음은 예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예로 사용자는 세 개의 단계, 즉 손으로 쓴 영상 데이터를 인식하여 이를 문자 코드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문자 인식 프로그램 "PEN.sys"인 제 1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 결과의 문자 코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간지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 "KANAKANJI.sys"인 제 2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 및 결과의 일본어 문자열을 영어 문자열로 번역하는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 "JETRANS.exe"인 제 3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 구성된 전치 처리기(FEPseq2)를 사용한다. 즉, 복합 전치 처리기는 일본어를 손으로 쓴 문자를 인식하고, 이를 가나-간지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이어서 변환된 결과를 영어로 번역한다. 워드 프로세서의 편집기가 응용 프로그램(10)으로 가정된다. 또한, 출력 지정 정보(79)가 상술된 3개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 모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사용자 입력 처리 모듈(4)를 통해 손으로 쓰는 입력 펜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하면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5')의 제어 모듈(9')은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76)를 통해 정의 정보(75)를 참고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펜 문자 인식 프로그램"PEN.sys"인 제 1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FEP1)에 전한다(S1, S2). 제 1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FEP1)가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로 인식된 데이터를 히라가나 데이터와 같은 형태로 발생한 후에, 제어 모듈(91)은 인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가 여부를 점검하도록 출력 지정 정보(79)를 참고한다. 그 결과는 디스플레이 유닛(13)에 전송된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출력 지정 정보(79)가 지정하는 경우에 제어 모듈(9')은 인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유닛(13)에 전하고, 동시에 정의 정보(75)를 참고하여 인식된 데이터를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 "KANAKANJI.sys"인 제 2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FEP2)에 전한다(S1, S11 - S13, S3 - S5) 제 2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FEP2)가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가나-간지 데이터를 복귀시킨 후에, 제어 모듈(9')은 출력 지정 정보(79)를 참고하고, 가나-간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유닛(13)에 전하고, 동시에 정의 정보(75)를 참고하여 가나-간지 데이터를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 "JETRANS.exe"인 제 3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FEP3)에 전한다(S1, S11 - S13, S3 - S5). 그리고, 제 3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FEP3)가 수신된 일본어 문자열을 영어 문자열로 번역하고 번역된 결과를 출력할 때, 제어 모듈(9')은 출력 지정 정보(79)를 참고하고, 번역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유닛(13)에 전하고, 동시에 정의 정보(75)를 참고한다. 정의 정보(75)에는 다음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없기 때문에, 제어 모듈(9')은 번역된 결과를 응용 프로그램(10)으로 출력한다(S1, S11 - S13, S3, S4, S6).
도8은 각 단계에서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부터의 출력예를 도시한다 도8(a)는 제 1 단계의 손으로 쓴 문자 인식 프로그램으로부터 출력된 예를 도시한다. 본예에서는 모든 문자가 히라가나 문자로 입력된다. 도8(b)는 제 2 단계의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으로부터 출력된 문자열을 도시한다. 본 예에서는 입력된 히라가나 문자열이 가나-간지 일본어 문자열로 변환된다. 도8(c)는 제 3 단계의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으로부터 출력된 예를 도시한다.
비록 상기의 예에서는 복합 전치 처리기(FEPseq2)의 모든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부터의 결과가 디스플레이되지만, 사용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출력 지정 정보(79)를 변화시킴으로서 선택된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의 출력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사용자가 요구할 때, 도8에서 번역된 결과 (c)만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의 예에서는 복합 전치 처리기(FEP2)의 모든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부터의 결과가 사용자의 조정없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시스템은 제 1 단계의 손으로 쓴 문자 인식 프로그램(도8(a)) 및 제 2 단계의 가나-간지 변환 프로그램 (도8(b))의 결과가 디스플레이될 때, 시스템이 사용자메게 일본어-영어 기계 번역 프로그램을 시작할 것인가 여부를 묻도록 수정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을 실현하는 대응 프로그램은 종래의 기술을 적용함으로서 실행되고 이러한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기록되거나 통신 수단 및 루트를 통해 더 공급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장점들은 제한된 목적들을 가지지 않으면서, 요약되어 진다.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을 실현하는 대응 프로그램은 종래의 기술을 적용함으로서 실행되고, 이러한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기록되거나 통신 수단 및 루트를 통해 더 공급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다음의 장점을 제공한다.
시스템은 가나-간지 변환 또는 펜 문자 인식과 같은 동작을 실행하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복합 전치 처리기를 이루도록 직렬로 조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정의 정보를 변화시키기 위한 정의 정보 변화 모듈을 갖춘 구성은 사용자가 원하는 순자로 연결된 다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 구성되는 복합 전치 처리기를 이루도록 허용한다.
복합 전치 처리기 중 한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이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지정하는 출력 지정 정보를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서 지정하기 위한 출력 지정 모듈을 갖춘 또 다른 구성은 사용자가 그 결과를 점검하기 위해 지정된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도륵 허용한다.
첨부된 청구항과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Claims (12)

  1. 컴퓨터의 작동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으며, 미리 처리된 결과를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기 전에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예비처리를 실행하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 독립 전치 처리기와, 다수의 단계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 구성되는 복합 전치 처리기에 대한 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정의 정보 저장 모듈, 시작될 독립형 전치 처리기나 복합 전치 처리기를 지정하는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를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수신하고 시작될 목적지를 지정하는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를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하는 시작 목적지 지정 모듈, 및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을 참고하고,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시작 목적지로 선택될 때, 입력 장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전하여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응용 프로그램에 전하고, 또는 복합 전치 처리기가 시작 목적지로 선택될 때,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복합 전치 처리기의 제 1 단계 전치 처리기에 전하고, 제 1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제 2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전하고, 이후에 순차적으로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다음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전하고, 또한 마지막으로 최종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응용 프로그램에 전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정의 정보를 변화시키는 정의 정보 변화 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출력이 디스플레이될 처리기에 대한 출력 지정 정보를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하는 출력 지정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출력 지정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출력이 디스플레이될 처리기에 대한 출력 지정 정보를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하는 출력 지정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출력 지정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
  5. 컴퓨터의 작동 시스템에 포함되도록 적용되고, 미리 처리된 결과를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기 전에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예비 처리를 실행하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 독립 전치 처리기와, 다수의 단계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로 구성되는 복합 전치 처리기에 대한 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정의 정보 저장 모듈, 시작될 독립형 전치 처리기나 복합 전치 처리기를 지정하는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를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수신하고 시작될 목적지를 지정하는 시작 목적지 지정 정보를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하는 시작 목적지 지정 모듈, 및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을 참고로 전치 처리기를 제어하고, 독립형 전치 처리기가 시작 목적지로 선택될 때,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전하여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응용 프로그램에 전하고, 또는 복합 전치 처리기가 시작 목적지로 선택될 때,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복합 전치 처리기에 전하고, 이후에 순차적으로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다음 단계의 독립형 전치 처리기에 전하고, 또한 마지막으로 최종 단계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응용 프로그램에 전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젓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정의 정보를 변화시키는 정의 정보 변화 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출력이 디스플레이될 처리기에 대한 출력 지정 정보를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하는 출력 지정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출력 지정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출력이 디스플레이될 처리기에 대한 출력 지정 정보를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하는 출력 지정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정의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출력 지정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독립형 전치 처리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
  9. 제 1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을 갖는 컴퓨터.
  10. 제 5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을 갖는 컴퓨터.
  11. 제 1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12. 제 5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KR1019970042047A 1996-08-28 1997-08-28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 KR100275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45591 1996-08-28
JP24559196A JP3537965B2 (ja) 1996-08-28 1996-08-28 多段式フロントエンド・プロセッサ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107A KR19980019107A (ko) 1998-06-05
KR100275607B1 true KR100275607B1 (ko) 2000-12-15

Family

ID=1713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047A KR100275607B1 (ko) 1996-08-28 1997-08-28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18067A (ko)
JP (1) JP3537965B2 (ko)
KR (1) KR100275607B1 (ko)
CN (1) CN109511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9008A (ja) * 1999-05-27 2000-12-08 Hitachi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8521895B2 (en) * 2008-12-23 2013-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application to application communication requests between data processing systems
US8499029B1 (en) 2008-12-23 2013-07-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process-to-process communication requests
US9098354B2 (en) * 2008-12-23 2015-08-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application to I/O device communication requests between data processing systems
US8370855B2 (en) * 2008-12-23 2013-0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process-to-process intra-cluster communication requests
US9009214B2 (en) * 2008-12-23 2015-04-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process-to-process inter-cluster communication requests
EP3863290A4 (en) * 2018-10-02 2021-12-08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2596A (ja) * 1985-05-02 1986-1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文字音声通信方式及び装置
US5493634A (en) * 1992-06-12 1996-02-20 Xero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stage/multi-process decomposing
JPH06236399A (ja) * 1993-02-10 1994-08-23 Nec Corp 翻訳機能付きワードプロセッサ
JP3331481B2 (ja) * 1993-07-14 2002-10-07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試験回路
JPH0863478A (ja) * 1994-08-26 1996-03-08 Toshiba Corp 言語処理方法及び言語処理装置
DE69530134T2 (de) * 1994-12-07 2003-11-06 King Jim Co Ltd Zeicheninformationsprozessor zum Drucken von Zeichen
US5715453A (en) * 1996-05-31 1998-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eb server mechanism for processing function calls for dynamic data queries in a web p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37965B2 (ja) 2004-06-14
US5918067A (en) 1999-06-29
JPH1069343A (ja) 1998-03-10
KR19980019107A (ko) 1998-06-05
CN1177141A (zh) 1998-03-25
CN1095118C (zh) 200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249920A (ja) 推測入力源からのテキストに対して候補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5899989A (en) On-demand interface device
KR100275607B1 (ko) 다단식 전치 처리기 시스템
JP2000122774A (ja) データ引き渡し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EP0720105B1 (en) System and method to review the processing of data according to user entered corrections
JPH1124813A (ja) マルチモーダル入力統合システム
JPS60239864A (ja) 仮名漢字変換の複合語処理方式
JPH10320399A (ja) 言語識別装置,言語識別方法および言語識別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710442B2 (ja) 姓名フリガナ―漢字変換方式
JP2001273290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01144158A (ja) 中国語文入力方式
JPH0973455A (ja) 文書検索装置及び文書検索方法
JPH11338669A (ja) テキスト入力処理装置及び同装置におけるモード制御方法
JPS62203265A (ja) 機械翻訳システム
JPH07121285A (ja) 文字列入力方式
JPH1078951A (ja) 文書編集装置
JPS61249167A (ja) 仮名漢字変換方式
JPH1063781A (ja) 手書き文字入力方法
JPH09153038A (ja) 文書作成装置
JPH1011429A (ja) 文字処理装置
JP2000039945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制御方法
JPH0193861A (ja) 日本語処理機能を備えた電子翻訳機
JPH01147658A (ja) 手書きかな漢字変換制御方式
JPH0354661A (ja) 仮名・アルファベット変換入力方法
JPH04199358A (ja) 文書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