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484B1 - 이동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484B1
KR100274484B1 KR1019940025283A KR19940025283A KR100274484B1 KR 100274484 B1 KR100274484 B1 KR 100274484B1 KR 1019940025283 A KR1019940025283 A KR 1019940025283A KR 19940025283 A KR19940025283 A KR 19940025283A KR 100274484 B1 KR100274484 B1 KR 100274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hieftain
drive
steering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791A (ko
Inventor
다카이이시유키
Original Assignee
시마자키다케시
산리츠기켄고오교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자키다케시, 산리츠기켄고오교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마자키다케시
Publication of KR950011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04G2001/244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mechanically operated
    • E04G2001/246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mechanically operated human pow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Handcart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목 적]
족장상의 작업자가 큰 하중을 게재하여도 적은 노력으로 구동하여 안정한 상태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 성]
각 2개의 전륜(10)과 후륜(19)과를 갖는 틀 구조의 족장(1)의 전면에 핸들(29)에 의해 구동륜(30)의 방향을 바꾸는 조타기구(27)와, 페달(38)에 의해 구동륜(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구(36)와를 설치하여 4륜의 족장(1)을 페달(38)의 밞음과 핸들(29)의 조작에 의해 소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했다.

Description

이동식 작업대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확대종단면 부분도이다.
제3도는 주로 구동기구를 도시한 종단면 부분도이다.
제4도는 족장장치기구를 도시한 종단면 부분도이다.
제5도는 전륜부상기구를 도시한 일부 절단한 측면도이다.
제6도는 후륜제동기구를 도시한 일부 절단한 배치도이다.
제7도는 구동륜부상기구를 도시한 일부 절단한 측면도이다.
제8도는 종래예의 사시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족장 2 : 전프레임
3,4,12,13 : 지구 10 : 전륜
11 : 후프레임 19 : 후륜
23 : 족장대 27 : 조타기구,
28 : 선회축 29 : 핸들
30 : 구동축 36 : 구동기구
38 : 페달 44 : 로프부재
46 : 권취륜 47 : 일방향클러치
49 : 가중기구 52 : 족장정치기구
53 : 승강간 54 : 답부재
58 : 해방레버 61 : 잠금스프링
63 : 전륜부상기구 75 : 후륜제동기구
77 : 제동레버 79 : 와이어
83 : 슈우 85 : 링면
86 : 구동륜부상기구
본 발명은 작업자가 올라탄 채 자신의 힘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벽이나 천정의 시공 또는 보수, 창문유리청소, 창고나 서고 선반의 점검 혹은 화물의 출입고 등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조립구조의 족장(足場)의 전후좌우에 차륜을 배치함과 아울러 전륜을 상하가동 또한 조타가능하게 하고 족장상의 작업자가 전륜을 조작함으로써 임의의 방향으로 자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식 작업대로서 프랑스 특허 제2,592,355호에 따른 전륜잠금 시스템을 채용한 것이 실용화되어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의 이동식 작업대는, 제8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이 가능한 전프레임(前 frame)(201)과 후프레임(後 frame)(202)과를 연결함과 동시에 전프레임(201)을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동축(203)을 상하이동가능하게 또한 회전가능하게 배치하고, 이 구동축(203)의 하단에 좌우의 전륜(204)(205)을 지지시키고 또한 후프레임(202)의 하단에 좌우의 후륜(206)(206)을 지지시키며, 상기 구동축(203)의 중간에 페달(207)을 취부함과 아울러 상단에 핸들(208)을 취부한 구성이다.
그런데, 족장대(足場臺)(209)에 올라탄 작업자가 페달(207)에서 발을 떼어 전륜(204)(205)을 바닥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핸들(208)을 제8도에서 상방으로부터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정도 회전함으로써 좌측의 전륜(205)을 중심으로 우측의 전륜(204)을 ①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이어서 핸들(208)을 시계방향으로 90도 정도 회전함으로써 우측의 전륜(204)을 중심으로 좌측의 전륜(205)을 ②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라는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이후 ③,④처럼 좌우의 전륜(204)(205)이 교호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전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핸들(208)의 좌우 회전각도를 동일하게 하면 지그재그이지만 대략적으로는 직진하며, 일방향으로의 회동각도를 작게하면 그 방향으로 선회한다.
한편, 전프레임(201)의 하단은 전각(前脚)(210)을 형성하고 있고 전륜(204)(205)의 외측 방에서 바닥에 접해 예기치 않게 주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208)을 조작하여 이동하는 때 상기 전각(210)과 전륜(204)(205)이 바닥에 강력한 힘으로 눌러붙여져 이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작업자는 체중을 후방으로 두어 중량을 주로 후륜(206)(206)에 지지시켜 전각(210)이 바람직하게는 약간 부상(浮上)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핸들(208)을 교호로 반대방향으로 돌려 이동시키기에는 꽤 큰 힘을 가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작업자는 어느 정도 앞쪽으로 기울인 자세를 취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따라서 체중을 후방에 두고 앞쪽으로 기울여야 하는 무리한 자세로 되며 또한 이 자세로 핸들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이동하기 위해 큰 노력이 들고 피로하기 쉽다. 특히 화물외에 작업자가 올라타 하중이 대폭으로 증대한 상태에서는 이동시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현재 제공되어 있는 상기 구성의 이동식 작업대가 대단히 큰 노력을 요하고 피로를 초래하기 쉬우며, 이 때문에 화물이나 타 작업자를 태운 때는 거의 이동불가능으로 되며, 이동하면서 높은 위치의 작업을 행한다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점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첫 번 째로, 좌우의 지주 및 좌우하단의 전륜을 갖는 후 프레임과, 상기 2개의 프레임 사이에 가설된 족장대와를 구비한 족장과 ; 상기 전프레임에 연하여 세로로 배치된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의 상단에 취부된 핸들 및 하단에 장비된 구동륜과를 구비한 조타기구와 ; 상기 전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페달과, 권취륜에 권취되어 상기 페달에 연동하여 왕복운동하는 로프부재와, 상기 권취륜의 일방향의 회전만을 상기 구동륜에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와를 구비한 구동기구와 ;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두 번 째로 상기 제1발명의 족장, 조타기구 및 구동기구와 ; 상기 프레임에 연하여 세로로 상하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답부재(沓部材)와, 상기 답부재를 임의 높이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를 구비한 족장정치기구(足場定置機構)와;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세 번 째로 상기 제1발명 또는 제2발명의 족장에 있어서, 상기 족장대가 상기 2개의 프레임 사이에서 복수의 높이위치로 교체하여 가설될 수 있고 또한 구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페달이 상기 전프레임에 복수의 높이위치로 교체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제2, 제3발명의 어느 것인가에 있어서, 조타기구에 상기 구동륜을 전륜보다도 낮은 위치로 눌러 보지하는 전륜부상기구를 구비하는 것 ; 상기 족장에 설치된 제동레버와, 상기 후륜에 형성한 링면에 압접시켜지는 슈우와, 상기 족장에 연하여 뻗은 상기 제동레버와 슈우와를 연동시키는 와이어와를 갖는 후륜제동기구를 구비하는 것 ; 조타기구에 상기 구동륜을 상기 전륜보다도 높은 위치로 치켜 올려 보지하는 구동륜부상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족장대에 올라탄 작업자가 페달을 반복하여 밟으면 와이어 부재가 권취륜을 왕복회전시키고,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구동륜이 전진방향으로만 간헐회전하여 족장을 전진시키는 것으로 되며, 또한 핸들을 돌리면 구동륜의 방향이 바뀌어 족장을 선회시키는 것으로 된다. 즉, 페달을 밟는 다리힘만으로 큰 노력을 요하는 것 없이 임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전륜, 후륜의 4개의 차륜으로 족장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하다.
또한 족장정치기구는 정지 중의 폭주(暴走)를 방지하고, 족장대와 페달과를 상하위치교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범위가 넓으며, 전륜부상기구는 오름경사에서의 이동성을 양호하게 하고, 후륜제동기구는 내림경사에서의 이동 안정성을 높히며, 구동륜 부상기구는 작업자가 타는 것 없이 눌러 이동하는 때의 주행을 확실하게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전체를 도시한 제1도에 있어서, 전프레임(2) 및 후프레임(11)은 각각 좌우의 세로로 뻗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지주(3)(4)(12)(13)와, 이들의 하단에 양단부를 양측방으로 돌출시켜 고착한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하행 부재(5)(14) 및 상단에 양단을 고착한 좌우방향으로 뻗은 상행부재(6)(15)와, 하단부근에서의 좌우방향으로 뻗는 상하 두 개의 띳장부재(7a)(7b)(16a)(16b) 및 이들을 상방에서 좌우방향으로 뻗은 상하 두 개의 선반받이부재(8)(9)(17)(18)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각 하행부재(5)(14)의 양단에 전륜(10)(10) 및 후륜(19)(19)가 취부되어 있고 특히 전륜(10)(10)은 캐스터로서 자유롭게 선회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띠장부재(7a)…(16b), 선반받이부재(8)…(18)의 양단도 지주(3)…(13)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전프레임(2)와 후프레임(11)은 각각의 전후지주 3, 12, 4, 13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가설한 하단의 보조띠장부재(20)와 하단 가까이의 대각선 가새(21)와, 상단의 핸드레일(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후좌우에 후크(24)를 가지는 평판상의 족장대(23)가 상하 어느 것인가의 선반받이부재(8)…(18)에 후크(24)를 걸므로써 전프레임(2)과 후프레임(11)과의 사이에 수평으로 가설되며, 이들 상호간에 연결된 전프레임(2)과 후프레임(11) 및 이들에 가설된 족장대(23)와는 족장(1)을 구성하고 있다.
전 프레임(2)의 중심전방에는 종방향으로 뻗는 카바체(26)가 상행부재(6), 띠장부재(7a)(7b)에 탈착가능하게 고착하여 설치되어 있다. 주로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카바체(26)의 상부덮개판(26a)과 하부덮개판(26b)과를 관통하여 종방향으로 뻗는 파이프로 이루어진 선회축(28)이 배치되고, 상부덮개판(26a)의 상방으로 돌출한 상단에 핸들(29)이 고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부덮개판(26b)의 하방으로 돌출한 하단에 구동륜(30)이 장비되어 있으며, 이들은 족장(1)의 조타기구(27)를 구성하고 있다.
즉, 선회축(28)은 상단부가 상부덮개판(26a)에 회전자재로 직접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단부가 중간덮개판(26c)에 고착한 안내통(31)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고 안내통(31)을 관통하여 다시 하방으로 뻗는 부분은 하부덮개판(26b)에 회전자재로 지지시킨 보지통(保持筒)(32)에 끼워넣어져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보지통(32)는 그보다 하방으로 뻗는 축받이대(33)(軸受臺)를 고착하고 있으며, 구동륜(30)을 고착한 구동축(34)은 상기 축받이대(33)에 회전자재로 가설지지되어 있다.
핸들(29)과 구동륜(30)과는 선회축(28)에 동일위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핸들(29)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족장(1)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진하며, 이것에 의해 회동각도에 따라 구동륜(30)의 방향이 변해 족장(11)은 선회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륜(10)을 캐스터(casters)로 한 것이므로 구동륜(30)에 추종하여 방향이 자유로이 변하여 선회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족장(1)을 족장대(23)에 올라탄 작업자가 자력으로 주행시켜 이동하기 위한 구동륜(30)을 회전구동하는 구동기구(36)는 조타기구(28)에 연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주로 제2도, 제3도를 참조하여 보면, 전프레임(2)에 설치되어 있는 카바체(26)의 좌우의 측판(26d)에 족장대(23)를 계합하는 상하의 선반받이부재(8)(9)의 사이벽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종방향으로 뻗는 유도홈(37)이 형성되고, 그 상하양단에 후방 이어서 하방으로 굴곡하는 ㄴ형 계지홈(37a)(37b)이 설치되어 있어서 페달(38)의 지축(39)의 양단이 감합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하방의 선반받이부재(9)(18)에 족장대(23)가 가설되고 지축(39)은 하방의 계지홈(37b)에 감합하고 있지만 족장대(23)를 상방의 선반받이부재(8)(17)에 가설한 때는 지축(39)을 유도홈(37)에 따라 이동하여 상방의 계지홈(37a)에 감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족장대(23)와 페달(38)과를 상시 동일한 높이위치관계로 두어 페달(38)의 밟는부(38a)를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아니하고도 밟을 수 있다.
한편, 상하의 선반받이부재(8)(9)와 동일한 상하간격으로 플랜지형태의 수연(受緣)(40a)(40b)을 가지는 전동(傳動)슬리브(40)가 선회축(28)에 종방향으로 가동되도록 끼워 장착되어 있고 페달(38)의 지축(39)을 사이에 두고 밟는부(38a)와 반대방향으로 뻗는 두 개의 아암부재(38b)에 각각 취부된 롤러(41)가 수연(40a)(40b)의 어느 것인가에, 도면에서는 하방의 수연(40b)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선회축(28)의 전동슬리브(40)를 끼워 장착한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는 전동(傳動)로드(42)가 끼워져 있고 선회축(28)에 형성한 종방향으로 뻗는 홈구멍(28a)을 관통시킨 연결부편(43)에 의해 전동슬리브(40)와 전동로드(42)가 결합되어 있다.
전동로드(42)의 하단은 축받이대(33)의 내부로 돌출하고 있고 체인으로 된 로프부재(索部材)(44)의 일단을 결합하고 있다. 로프부재(44)의 다른 일단은 축받이대(33)의 정벽(頂壁)에 인장코일스프링으로 된 되돌림 스프링(45)을 통해 결합되고, 이 로프부재(44)는 구동축(34)에 회전자재로 지지시킨 체인휠로 이루어진 권취륜(46)에 권취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권취륜(46)은 그 일방향 회전만을 구동륜(30)에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47)에 의해 구동축(34)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페달(38), 전동슬리브(40), 전동로드(42), 로프부재(44), 권취륜(46) 및 일방향 클러치(47)는 구동기구(36)를 구성하고 있고, 족장대(23)에 올라탄 작업자가 페달(38)을 밟으면 롤러(41)가 전동슬리브(40)를 상승시켜 이들과 일체로 상하동하는 전동로드(42)가 로프부재(44)를 인장하여 그 이동거리에 상당하는 각도만큼 권취륜(46)을 회전시킨다. 이 페달 밟음에 의한 권취륜(46)의 회전은 일방향 클러치(47)를 통해 구동축(34), 구동륜(30)에 전달되어 대차(1)가 전진하는 것으로 된다. 페달(38)로부터 발을 떼면 되돌림 스프링(45)의 스프링력으로 로프부재(44), 전동로드(42), 전동슬리브(40)가 되돌아가지만 이 때의 권취륜(46)의 역방향 회전은 구동축(34)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페달(38)을 계속하여 밟는 것에 의해 족장(1)이 조금씩 이동하고 핸들(29)을 돌려 선회축(28)을 회동시키면 전동슬리브(40), 전동로드(42), 보지통(32), 축받이대(33)가 일체로 회동하여 구동륜(30)도 방향을 바꾼다. 롤러(41)는 플랜지 형상의 수연(40a)(40b)에 상시 접촉하고 있으므로 페달(38)을 밟으면서 자유로이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대차(1)는 각 2개의 전륜(10)과 후륜(19)과를 네 모서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정할 뿐만 아니라 하중의 대부분을 이들이 지지하므로 구동륜(30)은 오로지 이동을 위해서만 작동한다. 그러나 페달(38)을 누른 때 구동기구(36)에는 떠받치는 방향의 힘이 발생하고 구동륜(30)의 마찰모멘트가 감소하여 공전시킨 염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지통(32)의 상단에 설치된 스프링받이(32a)와 중간덮개판(26c)와의 사이에 안내통(31)을 둘러싼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되는 누름스프링(50)을 장입한 구성의 가중기구(加重機構)(49)를 설치하여 선회축(28), 축받이대(33)에 구동륜(30)을 적당한 압력으로 바닥면에 접촉시키는 하향으로의 힘을 가하도록 했다. 이 가중기구(49)에 의해 구동륜(30)은 공전하는 것 없이 족장(1)을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족장(1)을 정지하여 작업을 행할 때, 족장(1)은 차륜만으로 지지되어 있고 족장대(23)에 탑승한 작업자의 발의 힘으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대책으로서 족장정치기구(足場定置機構)(52)를 구비시켰다.
즉, 주로 제2도, 제4도를 참조하여 보면, 전프레임(2)의 좌우의 지주(3)(4)에 승강간(杆)(5)이 끼워져 있고 그 하단은 지주(3)(4)의 하방으로 돌출하여 고무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료로 만들어진 답부재(沓部材)(54)를 장착하고 있다.
이 승강간(53)은 하단 가까이 설치한 스프링받이(53a)와 하행부재(5)와의 사이에 끼워진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된 떠받침 스프링(55)에 의해 답부재(54)를 바닥면으로부터 떨어뜨리는 떠받침력이 가해짐과 동시에, 상단 가까이에 환봉형상의 누름스프링(56)을 가지고 있고, 이 누름스프링(56)은 지주(3)(4)의 후면에 설치된 종방향으로 뻗는 창구멍(57)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또한 누름스프링(56)의 약간 상방에 해방레버(58)가 설치되고 그 굴곡선단부(58a)가 승강간(53)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지주(3)(4)의 내부에 설치된 승강간(53)을 관통시킨 수좌(受座)(60)와 굴곡선단부(58a)와의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잠금스프링(61)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잠금스프링(61) 스프링력에 의해 굴곡선단부(58a)가 눌러져 그 선단이 수좌(60)의 계지연(係止緣)(60a)에 닿음으로써 굴곡선단부(58a)의 내주연이 승강간(53)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으로 되어 승강간(53)에 수용되어 있다.
해방레버(58)는 지주(3)(4)로부터 핸드레일(22)의 내부로 뻗으며, 기단(基端)의 파지부(58b)가 핸드레일(22)의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파지부(58b)를 눌러 해방레버(58)를 계지연(60a)과의 접촉개소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굴곡선단부(58a)를 승강간(53)의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하며, 이들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시킨다. 이 상태에서 누름스프링(56)을 떠받침스프링(55)의 스프링력으로 이겨내어 누름으로써 승강간(53)을 하강시켜서 답부재(54)를 바닥면에 압접시켜 해방레버(58)를 석방한다. 이것에 의해 승강간(53)은 잠금구멍(59)의 주연(周緣)이 수용되어 하강위치에 고정되고, 답부재(54)가 바닥면에 압접하고 있음으로써 캐스터로 된 전륜(10)의 움직임이 방지되며 정지중에 갑자기 움직인다고 하는 염려는 없어진다. 또한 해방레버(58)의 파지부(58b)를 누르면 승강간(53)은 떠받침스프링(55)의 스프링력으로 상승하고 답부재(54)가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진다.
이들 승강간(53), 답부재(54), 떠받침스프링(55), 해방레버(58), 계지연(60a), 잠금스프링(61)은 족장정치기구(52)를 구성하고 있다.
이상은 청구항 1,2,3에 기재된 제1, 제2, 제3발명의 실시예로서 족장대(23)에 탑승한 작업자가 페달(38)을 계속하여 밟고 또한 핸들(29)을 조작함으로써 족장(1)을 큰 노력을 요하지 아니하고 또한 임의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잘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족장(1)을 고정하여 폭주할 염려없이 소정위치에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가능한 높이범위가 넓다라는 이점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에 더하여 족장(1)의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기구를 부가하였다.
즉, 우선, 구동륜(30)을 전륜(10)보다도 낮은 위치로 눌러 오름경사로의 이동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전륜부상기구(前輪浮上機構)(6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륜부상기구(63)는, 제2도, 제5도를 참조하여 보면, 전프레임(2)의 카바체(26)의 내부 높은 곳에 고정설치한 취부대(64)에 축받이대(65)가 고정되고 이 축받이대(65)에 핸들(67)을 가지는 작동레버(66)가 핀(68)에 의해 회동자재로 지지됨과 동시에 축받이대(65)에 설치된 안내 슬리브(69)에 압압축(70)이 슬라이딩 자재로 관통지지되며, 이 압압축(70)은 선회축(28)에 설치된 플랜지 형태의 축받이(71)에 접촉계합하는 갈래부분을 선단에 갖는 판상의 압압부편(72)를 일단에 고착하고 있고, 또다른 일단은 링크(73)에 의해 작동레버(66)와 상호 회동자유로이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다.
압압축(70)은 선회축(28)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압압부편(72)은 수연(71)의 약간 윗쪽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족장대(23)에 탑승한 작업자가 카바체(26)에 후방으로부터 손을 넣어 핸들(67)을 하방으로 돌리면서 당기면 작동레버(66)가 핀(68)을 중심으로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것에 의해 압압축(70)이 하방으로 인장되어 압압부편(72)이 수연(71)를 눌러 선회축(28) 및 보지통(32), 축받이대(33)를 일체로 하강시킨다. 이것에 의해 구동륜(30)이 전륜(10)보다도 약간 낮은 위치로 눌려지며, 족장(1)은 후륜(19)과 구동륜(30)과의 3점 지지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되어 전륜(10)은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부상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67)을 제5도의 2점 쇄선(67a)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끌어당겨 압압부편(72)을 2점쇄선(72a)로 표시한 위치로 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작동레버(66)는 링크(73)를 당겨서 사점(死点)을 넘어 회동하므로 구동륜(30)이 지지하는 하중의 반력으로 선회축(28)이 상승하는 움직임이 지지된다.
이러한 전륜(10)을 상대적으로 부상시킴으로써 수평바닥면으로부터 오름경사바닥면으로의 이동이 원활한 것으로 되고 또한 캐스터이기 때문에 방향이 불안정하게 되기 쉬운 경사면에서 부상시킴으로써 소정방향으로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67)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압압부편(72)이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선회축(28), 구동기구(36)은 소정높이위치로 되돌아간다.
족장(1)의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제2의 기구로서, 후륜(19)에 제동력에 작용시켜 내림경사에서의 안정성,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후륜제동기구(7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후륜제동기구(75)는 제6도를 참조하여 보면, 핸드레일(22)의 상면에 고정설치한 핸들수좌(76)에 제동레버(77)가 핀(78)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제동레바(77)에 일단을 결합한 와이어(79)가 핸드레일(22), 후프레임(11)의 지주(12)(13), 하행부재(14)에 연하여 설치되고, 하행부재(14)의 상면에 고정설치한 카바박스(80)의 내부에 핀(81)에 의해 회동자유로 지지시킨 슈우 보지부재(82)에 와이어(79)의 또다른 일단이 결합되며, 슈우보지부재(82)는 후륜(19)의 내향의 링면(85)에 접하는 슈우(83)를 구비함과 아울러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해방스프링(84)이 카바박스(80)와 슈우보지부재(82)와의 사이에 가설되어 있는 구성이다.
제동레버(77)는 비제동시에 핸들(22)과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핀(78)을 중심으로 도시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와이어(79)가 인장되어 슈우 보지부재(82)를 행방스프링(84)의 스프링을 이겨 회동하고 슈우(83)를 링면(85)에 압접하여 후륜(19)에 제동력을 가한다.
이처럼 후륜(19)을 제동함으로써 내림경사의 바닥면을 이동하는 때 가속을 제한하여 폭주에 의한 충돌과 전도의 염려없이 안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족장(1)의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제3의 기구로서, 구동륜(30)을 전륜(10)보다도 높은 위치로 떠받쳐 작업현장외에서의 손수레에 의한 이동을 용이한 것으로 하는 구동륜부상기구(8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륜부상기구(86)는 전륜부상기구(63)와 상하반대의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서 구성은 동일하다. 즉 제2도,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카바체(26)의 내부 낮은 곳에 고정설치한 취부대(取付臺)(86)에 축받이대(88)가 고착되고 이 축받이대(88)에 핸들(90)을 갖는 작동레버(89)가 핀(91)에 의해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축받이대(88)에 설치된 안내 슬리브(92)에 압압축(93)이 슬라이딩 자유로이 관통지지되며, 이 압압축(93)은 보지통(32)에 설치된 플랜지 형상의 수연(94)에 접촉계합하는 갈래부분을 선단에 가지는 판상의 압압부편(95)을 일단에 고착하여 가지고, 또다른 일단은 링크(96)에 의해 작동레버(89)와 상호 회동자재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다.
압압축(93)은 보지통(32)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압압부편(95)는 수연(94)의 약간 하방에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바닥면에 세워져 있는 작업자가 카바체(26)에 후방으로부터 손을 넣어 핸들(90)을 상방으로 돌리면서 잡아당기면, 작동레버(89)가 핀(91)을 중심으로 도시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것에 의해 압압축(93)이 상방으로 잡아당겨져 압압부편(95)이 수연(94)를 떠받쳐 보지통(32) 및 축받침대(33), 선회축(28)을 일체로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구동륜(30)이 전륜(10)보다도 높은 위치로 떠받쳐서 족장(1)은 전륜(10)과 후륜(19)과의 4점지지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핸들(90)을 도시한 2점쇄선(90a)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잡아당겨 압압부편(95)을 2점쇄선(95a)로 표시한 위치로 상승시키는 것이며, 작동레버(89)는 링크(96)를 잡아당겨 사점(死点)을 넘어 회동하는 것이므로 선회축(28), 구동기구(36)가 자중으로 낙하하는 움직임이 방지된다.
이처럼 구동륜(30)을 부상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족장대(23)에 탑승하는 것 없이 바닥면에서 손수레에 의해 이동시킬 때 선회자유로운 구동륜(30)이 선회자유로운 2개의 전륜(10)과 상호 다른 방향을 향하여 이동할 수 없게 한다라는 불이익이 없어지며 작업현장으로의 반입이나 반출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핸들(90)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서 잡아당김으로써 압압부편(95)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선회축(28) 구동기구(36)는 소정 높이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조타기구(27), 구동기구(36)를 전프레임(2)에 탈착가능한 카바체(26)에 장비한 것이므로 이들의 조립, 조정, 점검, 수리가 족장(1)으로부터 분리하여 임의의 장소에서 이루어진다 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그 때문에 페달(38)을 직립으로 유지하여 카바체(26)에 수납하는 괘지기구(미도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카바체(26)를 전프레임(2)에 착탁가능하게 고착하는 수단도 나사, 래치 등 공지의 것을 적정하게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조타기구(27), 구동기구(36)는 전프레임(2)에 직접 장비하여 카바체(26)로 덮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듯이 전후 네 개의 차륜으로 지지한 족장을 그 족장대에 탑승한 작업자가 페달을 반복하여 밟아 구동륜을 회전시키고 또한 핸들을 조작하여 구동륜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선회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족장이 대형이고 화물과 두 사람 이상의 작업자가 탑승하고 있는 큰 하중상태이어도 큰 노력을 요하는 것 없이 임의 방향으로 안정하게 잘 이동시킬 수 있으며 높은 곳에서의 작업을 조금씩 이동하면서 큰 피로를 초래함이 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족장을 정치시킴으로써 안정한 상태로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고 혹은 족장대의 높이를 바꿈으로써 작업가능한 높이 범위를 넓힐 수 있어서 광범위의 용도로 쓰일 수 있다.

Claims (6)

  1. 좌우의 지주 및 좌우 하단의 전륜을 갖는 프레임과, 좌우의 지주 및 좌우하단의 후륜을 갖는 후프레임과, 상기 두 개의 프레임의 사이에 가설된 족장대와를 구비한 족장과 ; 상기 전프레임에 연하여 세로로 배치된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의 상단에 취부된 핸들 및 하단에 장비된 구동륜과를 구비한 조타기구와 ; 상기 전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페달과, 권취륜에 권취되어 상기 페달에 연동하여 왕복운동하는 로프부재와, 상기 권취륜의 일방향의 회전만을 상기 구동륜에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를 구비한 구동기구와 ;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2. 제1항에 기재된 족장, 조타기구 및 구동기구와 ; 상기 전프레임에 연하여 세로로 상하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답부재와, 상기 답부재를 임의 높이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고를 구비한 족장정치기구와 ;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족장에 있어서 상기 족장대가 상기 두 개의 프레임 사이에 복수의 높이위치로 교체하여 가설가능하고, 또한 구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페달이 상기 족장에 복수의 높이위치로 교체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4. 제1항,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타기구가 상기 구동륜을 상기 전륜보다도 낮은 위치로 눌러 보지하는 전륜부상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5. 제1항,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족장에 설치된 제동레버와, 상기 후륜에 형성한 링면에 압접되어 있는 슈우와, 상기 족장에 연하여 뻗은 상기 제동레버와 슈우와를 연동시키는 와이어와를 갖는 후륜제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6. 제1항,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타기구가 상기 구동륜을 상기 전륜보다도 높은 위치로 떠받쳐 보지하는 구동륜 부상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KR1019940025283A 1993-10-04 1994-10-04 이동식 작업대 KR100274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71305 1993-10-04
JP5271305A JP3000415B2 (ja) 1993-10-04 1993-10-04 移動式作業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791A KR950011791A (ko) 1995-05-16
KR100274484B1 true KR100274484B1 (ko) 2000-12-15

Family

ID=1749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283A KR100274484B1 (ko) 1993-10-04 1994-10-04 이동식 작업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22506A (ko)
JP (1) JP3000415B2 (ko)
KR (1) KR100274484B1 (ko)
CN (1) CN1060835C (ko)
TW (1) TW2616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21Y1 (ko) * 2013-07-16 2014-11-04 김종근 이동식 거푸집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8780B2 (ja) * 1995-10-30 1998-12-16 ダイヤ精工株式会社 移動作業台機
US6039148A (en) * 1998-12-24 2000-03-21 Riegel; James M. Mechanized scaffold
US20040231917A1 (en) * 1999-12-06 2004-11-25 Chick Mark C. Scaffold moving device
US6533067B2 (en) * 1999-12-06 2003-03-18 Mark C. Chick Scaffold moving device
DE19959613A1 (de) * 1999-12-10 2001-06-13 Volkswagen Ag Vorrichtung zum innerbetrieblichen Transport rollbarer Güter auf einem vierrädrigen Transporter
US6880672B2 (en) * 2002-04-18 2005-04-19 Robert Imberi Self propelled scaffolding
US6863155B2 (en) * 2002-10-15 2005-03-08 Steven J. Wyse Mobile scaffolding brake
US7228936B2 (en) * 2004-07-09 2007-06-12 Wyse Steven J Mobile scaffolding braking system
TWM285699U (en) * 2005-10-07 2006-01-11 Kuen-Chi Jang Detection instrument structure for power direction rod
US20070084668A1 (en) * 2005-10-13 2007-04-19 D.O.T. Patio & Home Apparatus and method for human powered movement of a scaffold structure
KR100834405B1 (ko) * 2008-03-03 2008-06-04 아주렌탈 주식회사 고소작업대용 안전기구
WO2009143652A1 (zh) * 2008-05-29 2009-12-03 Chen C Simon 同轴转动转向结构
US20110297465A1 (en) * 2010-04-08 2011-12-08 Huntley Paul N Retrofit Assembly for Self-Mobilization of a Transport Unit
US8701832B2 (en) 2010-07-26 2014-04-22 Younassan Joseph Honein Tank plate erection system
US8434592B1 (en) * 2010-11-09 2013-05-07 Telpro, Inc. Mobile tower drive system
JP5400752B2 (ja) * 2010-12-17 2014-01-29 アルインコ株式会社 作業用踏み台
CN102303631A (zh) * 2011-07-02 2012-01-04 河海大学 一种棉花采摘车
US20130168185A1 (en) * 2012-01-02 2013-07-04 Wen-Hsiu Huang Movable Lift
CN102635224A (zh) * 2012-03-22 2012-08-15 阳江市飞轮金属制品有限公司 人力驱动型铝移动平台
CN102635222A (zh) * 2012-03-22 2012-08-15 阳江市飞轮金属制品有限公司 有抬升装置的人力驱动型铝移动平台
US9574356B2 (en) * 2012-08-22 2017-02-21 Cruiser Products, Llc Vehicle and method for tending to an elevated livestock cage
CN103569175A (zh) * 2013-10-31 2014-02-12 吴江永固纺配有限公司 一种新型纺织推车
CN104264956B (zh) * 2014-09-22 2016-06-01 东莞市彩丽建筑维护技术有限公司 移动式施工平台支撑方法及平台
JP6047626B1 (ja) * 2015-05-19 2016-12-21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作業台車
CN105624995B (zh) * 2016-03-04 2018-03-09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洗衣机
CN107035121A (zh) * 2017-04-15 2017-08-11 成都智宸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用安全脚手架
CN107606433B (zh) * 2017-09-30 2019-05-03 王梦梦 一种铝合金移动式支架
CN108797988B (zh) * 2018-06-13 2021-04-09 浙江花园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用脚手架
CN108999388B (zh) * 2018-07-26 2020-08-14 广州供电局有限公司 便携式斜拉升降平台及statcom阀组的更换方法
KR101939063B1 (ko) * 2018-11-19 2019-01-17 김주호 리프터
US11560755B1 (en) * 2020-01-15 2023-01-24 Yakov I. Kuzmin Ladder moving mechanism
USD933715S1 (en) 2020-01-24 2021-10-19 Cruiser Products, Llc Agricultural vehicle with a fixed-height elevated platform
USD933716S1 (en) 2020-01-24 2021-10-19 Cruiser Products, Llc Agricultural vehicle with a variable-height elevated platform
CN113653301A (zh) * 2021-08-09 2021-11-16 黄飞 一种房建混凝土浇筑工作台
US20230046235A1 (en) * 2021-08-13 2023-02-16 Aqua Conscience Holdings LLC Brake/ballast assembly for a movable structure
CN114197842B (zh) * 2021-12-17 2023-01-24 山东贝特建筑项目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的活动式脚手架及其安装方法
KR102506580B1 (ko) * 2021-12-29 2023-03-06 (유)은강산업 이동용 작업대
CN115478671A (zh) * 2022-10-27 2022-12-16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土木建筑用支撑架
TWI824821B (zh) * 2022-11-15 2023-12-01 吳宗和 立庫貨架的安裝架及安裝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47268A (fr) * 1912-06-10 1912-12-28 Charles Plagaven Système propulseur pour bicyclettes
US1529012A (en) * 1924-01-23 1925-03-10 William E Crawford Velocipede
US2380160A (en) * 1943-06-29 1945-07-10 Robert W Fieroh Propelled and steered step stand
US2573575A (en) * 1947-10-31 1951-10-30 George N Carlson Portable extensible lift
FR1242812A (fr) * 1957-07-08 1960-10-07 Procédé d'aménagement d'échafaudages ou analogues mobiles et échafaudages ainsi obtenus
FR1366222A (fr) * 1963-05-31 1964-07-10 Perfectionnements aux échafaudages roulants
FR1442515A (fr) * 1965-05-06 1966-06-17 Chatellerault Armes Cycles Perfectionnements aux échafaudages roulants et tractables
US3180450A (en) * 1963-08-20 1965-04-27 Angeles Machine & Welding Corp Extendible mobile scaffolds
US3232375A (en) * 1964-03-13 1966-02-01 William Hugh Brown Self-propelled scaffold
US3256954A (en) * 1965-03-31 1966-06-21 Brown William H Self-propelled means for scaffolds
US3485509A (en) * 1966-07-05 1969-12-23 Russell John Searle Man-powered wheeled vehicles
US3429398A (en) * 1967-09-20 1969-02-25 Kent R Reynolds Adjustable movable scaffold
US3520382A (en) * 1968-12-10 1970-07-14 Adapa Inc Occupant propelled scaffold
DE1965730A1 (de) * 1969-12-31 1971-07-08 Heinz Hauser Fahrbares Arbeitsgeruest mit einer Haltevorrichtung fuer Arbeitsgeraete
US4053025A (en) * 1976-07-14 1977-10-11 Slusarenko John A Scaffold including reversible and adjustable driving and steering unit
US4088202A (en) * 1976-08-25 1978-05-09 Costello Clifford T Scaffolding cart
FR2592355A1 (fr) * 1985-12-30 1987-07-03 Pommier Pierre Dispositif permettant de se deplacer ou de deplacer une charge en tous sens par blocage alterne d'un train de rou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21Y1 (ko) * 2013-07-16 2014-11-04 김종근 이동식 거푸집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00415B2 (ja) 2000-01-17
TW261644B (en) 1995-11-01
US5722506A (en) 1998-03-03
CN1060835C (zh) 2001-01-17
KR950011791A (ko) 1995-05-16
JPH07102753A (ja) 1995-04-18
CN1106886A (zh) 1995-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4484B1 (ko) 이동식 작업대
US4987976A (en) Telescoping portable lift
US10961092B2 (en) Platform hoist with automatic emergency braking system
JPS6160947B2 (ko)
KR200443582Y1 (ko) 이동식 리프트장치
KR20200056691A (ko)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JP3203367U (ja) 縦型重量物の台車
US5882024A (en) Self propelled trolley
JPH0543031Y2 (ko)
DE19718627A1 (de) Fahrbarer Sonnenschirmständer
JP3289168B2 (ja) 高所作業車
CN213834454U (zh) 一种方便装饰装修的升降装置
JPH0640230Y2 (ja) テープパッド供給台車
JP2901965B1 (ja) 建物用のリフト装置
CN213626570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的拉升吊篮
CN219316349U (zh) 一种建筑施工用可提升支架
CN219653732U (zh) 一种用于护坡作业的辅助设备
KR20030040992A (ko) 계단승강용 화물운반장치
CN209038991U (zh) 一种方便移动的电力施工升降台
JPH04122588U (ja) 作業台車
JPH09268786A (ja) 手動式昇降床装置
JPH0635055Y2 (ja) 昇降式移動足場
JPH0745365Y2 (ja) 二次元ストッパ付きキャスタ機構
US3510105A (en) Building panel lifter
JPS62392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