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436B1 - 오디오 신호의 파라미터 범위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가라오케 증폭기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의 파라미터 범위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가라오케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436B1
KR100270436B1 KR1019960047700A KR19960047700A KR100270436B1 KR 100270436 B1 KR100270436 B1 KR 100270436B1 KR 1019960047700 A KR1019960047700 A KR 1019960047700A KR 19960047700 A KR19960047700 A KR 19960047700A KR 100270436 B1 KR100270436 B1 KR 100270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karaoke
analog
audio signal
ini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957A (ko
Inventor
유이치 나가타
마사오 요시다
사토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시마 세이스케
Publication of KR970022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5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being stored on a host computer and transmitted to a reproducing terminal by means of a network, e.g. public telephone li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311MIDI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증폭기는 제어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가라오케 연주를 청각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가라오케 연주를 방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날로그 조작 부재는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초기 아날로그값을 설정하도록 수동으로 조작가능하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는 상기 초기 아날로그값을 이에 대응하는 초기 디지탈값으로 변환시킨다. 수신수단은 외부 데이타 소오스로부터 수정 데이타를 수신한다. 메모리 수단는 상기 수시된 수정 데이타를 기억한다. 계산수단은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불러온 수정 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초기 디지탈 값을 산술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수정된 값을 계산한다.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수정된 값에 따라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수정된 값에 따라서 청각적으로 변경된 가라오케 연주를 방음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신호의 파라미터 범위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가라오케 증폭기
본 발명은 가라오케 장치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가라오케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가라오케 장치 분야에서, 가라오케 증폭기는 아날로그 조작키이의 설정 위치에 따라서 마이크로폰 입력 및 음악 사운드의 음량, 여러 효과음의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가라오케증폭기에서는 아날로그 조작키이의 설정 위치에 대응하는 전압(아날로그)값이 A/D(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에 의해서 디지탈 값으로 변환된다. 상기 디지탈 값에 따라서, 가라오케 증폭기는 음성 사운드 및 가라오케 연주의 반주음의 음량 및 음색을 조정하고, 또 에코 레벨 등의 다양한 청각 효과음을 제어한다.
그러나, 가라오케 증폭기 설치실의 사운드 필드(음장)의 상태에 의존하여 음량, 음색 및 효과음의 특성등이 미묘하게 변한다. 또한, 가라오케 사운드의 청각적 특성들은 확성기 등의 성능에 의존한다. 따라서, 출하 전에 설정된 초기의 아날로그 조작키이의 조작 범위가 제어 파라미터의 최적 범위가 아닐 수 있다.
또한, 가라오케 증폭기가 사용자에게 배달된 후, 사양 변경이 요구되면, 아날로그 조작 키이의 초기 조작 범위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아날로그 조작 키이의 조작 범위와 파라미터의 필요 조정 범위간의 관계가 서로 매칭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통신 형태의 가라오케장치의 분야에서는 원거리 통신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공급된 MIDI(악기 디지탈 인터페이스) 데이타에 포함된 음악제어정보에 따라서 가라오케 증폭기의 여러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가라오케 증폭기에서는 아날로그 조작키이를 조작하는 방법외에는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수단이 없기 때문에, 상기한 상황이나 요구에 대응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 조작키이의 출하시의 조작범위와 제어 파라미터들의 실제 조정범위의 관계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가라오케 증폭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2(a)도 및 제2(b)도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제2(a)도는 초기 셋업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2(b)도는 오프셋값으로 조정된 후의 또다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라오케 증폭기 2 : 통신망 가라오케 장치
11 : 아날로그 조작 키이 12 : 마이크로컴퓨터
13 : 신호처리기 21 : A/D(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22 : MIDI 인터페이스(수신수단) 23 : 계산유닛(계산수단)
24 : 메모리 수단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증폭기는 제어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가라오케 연주를 청각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가라오케 연주를 방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라오케 증폭기는 제어 파라미터의 초기 아날로그 값을 설정하도록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아날로그 조작 부재와, 초기 아날로그값을 이에 대응하는 초기 디지탈값으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와, 외부 데이타 소오스로부터 수정 데이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수정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불러온 수정 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초기 디지탈 값을 산술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수정된 값을 계산하는 계산수단과,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수정된 값에 따라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함으로써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수정된 값에 따라서 청각적으로 변경된 가라오케 연주를 방음하는 출력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아날로그 조작부재는 상기 초기 아날로그값이 소정의 조작범위에서만 수동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소정의 조작 범위를 가진다.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작 범위를 변경하는 데에 이용되는 수정 데이타를 수신한다. 상기 계산수단은 상기 수정된 값이 초기값에서부터 상기 소정의 조작 범위를 넘어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수정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수정된 값을 계산한다.
한 형태로, 상기 수신수단은 오프셋값의 형태로 상기 수정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계산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작 범위가 상기 오프셋 값만큼 시프트될 수 있도록, 상기 오프셋값을 상기 초기 디지탈값에 더함으로써 상기 수정된 값을 계산한다.
또다른 형태로, 상기 수신수단은, 승수값의 형태로 수정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계산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작 범위가 상기 승수값에 의해서 동적으로 연장될수 있도록, 상기 승수값을 상기 초기 디지탈 값에 곱함으로써 상기 수정된 값을 계산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된 가라오케 터미널인 통신망 가라오케 장치에 이용되는 가라오케 증폭기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1에서, 참고부호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증폭기를 표시한다. 가라오케 증폭기(1)는 아날로그 조작 키이(11)의 형태로 된 아날로그 조작부재, 마이크로컴퓨터(12), 신호처리기(13)로 이루어져 있다. 아날로그 조작키이(11)는 가라오케 증폭기(1)의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드식으로 조작된다. 상기 키이(11)로부터 전압신호가 출력되며, 이는 아날로그 조작 키이의 설정 위치에 대응하는 초기(또는 공칭)의 아날로그 값을 나타낸다. 실제로, 다수의 아날로그 조작 키이들은 가라오케 연주를 표현하는 오디오 신호를 조정하도록 여러 파라미터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으나, 도1에서는 간단하게 표시하고자 하나의 아날로그 조작키이(11)만을 도시하였다.
마이크로컴퓨터(12)는 A/D(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 MIDI 인터페이스(22), 계산유닛 또는 계산수단(23), 메모리수단(24)으로 이루어져 있다. A/D 변환기(21)는 상기 아날로그 조작 키이(11)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값의 전압 신호를 해당 디지탈 값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아날로그 조작 키이(11)의 설정 위치에 대응하는 디지탈 값(D1)을 나타내는 디지탈 신호는 A/D 변환기(21)로부터 계산유닛(23)에 공급된다. MIDI 인터페이스(22)는 외부 통신망 가라오케 장치(2)로부터 MIDI데이타를 수신한다. MIDI데이타에 포함된 오프셋값(D2)은 수정데이타로서 메모리수단(24)에 저장된다. 오프셋값(D2)은 예를 들면 MIDI데이타포맷의 시스템 메시지의 배타 메시지 영역에 기록된다. 계산유닛(23)은 A/D 변환기(21)로부터 공급된 디지탈값(D1)과 메모리수단(24)에 저장된 오프셋값(D2)을 더한다. 이러한 가산의 결과(D1 + D2)는 파라미터 제어값(P)으로서 신호처리기(13)에 공급된다.
신호처리기(13)는 예를 들면, 전자 볼륨, DSP(디지탈 신호 처리기)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신호처리기(13)는 계산유닛(23)에 의해 설정된 파라미터 제어값(P)에 따라서, 통신망 가라오케 장치(2)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신호(AD)를 조정 또는 변경하고, 스피커(SP)에 그 결과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처리기(13)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AD)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사운드, 상기 음성사운드에 부여되는 에코 또는 코러스 등의 효과음, 통신망 가라오케 장치(2)내의 음원 회로에 의해 MIDI 데이타에 따라서 발생되는 멜로디 및 반주의 가라오케 악음을 포함하는 가라오케 연주를 나타낸다.
오디오 신호(AD)를 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은 마이크로폰 레벨(즉, 음성 사운드의 음량 레벨), 에코 레벨(즉, 음성 사운드에 부여된 에코음의 레벨), 마이크로폰 지연(음성사운드에 대한 에코음의 지연시간), 마이크로폰 잔향시간(즉, 음성사운드에 부여된 잔향음의 지속시간), 마이크로폰 음색(즉, 저음역, 중음역, 고음역의 세 주파수 영역으로 분할된 음성사운드의 주파수특성), 음악 레벨(즉, 가라오케 음악의 음량 레벨), 음악 에코 레벨(즉, 가라오케 음악에 부여된 에코음의 레벨), 음악 음색(즉, 저음역 및 고음역의 두 주파수 영역으로 분할된 가라오케 음악의 주파수 특성) 및 하모니 발란스(즉, 음성사운드와 이에 부여된 코러스음간의 발란스)를 조절하는 데에 이용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가라오케 증폭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가라오케 증폭기(1)가 턴온되면, 아날로그 조작키이(11)의 설정 상태에 대응하는 디지탈값(D1)이 수정을 거치지 않고 제어파라미터의 초기값(또는 공칭값)으로 신호처리기(13)에 공급된다.
가라오케 연주의 악기 반주가 실행되는 동안에, 아날로그 조작키이(11)를 조작하면, 키이(11)의 새로운 설정 위치에 대응하는 업데이트된 디지탈값(D1)이 새로 갱신된 파라미터 제어값(P)으로서 신호처리기(13)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파라미터제어값(P)에 따라서 오디오 신호(AD)가 조정 또는 제어됨으로써, 가라오케 연주음을 변경시킨다.
MIDI 데이타에 포함된 오프셋값(D2)이 통신망 가라오케장치(2)로부터 공급되면, 상기 오프셋값(D2)은 메모리수단(24)에 저장된다. 아날로그조작키이(11)의 현재 설정 위치에 대응하는 디지탈값(D1)과 메모리(2)로부터 판독된 오프셋값(D2)이 가산된다. 이러한 가산결과(D1+D2)가 새로 수정된 파라미터 제어값(P)으로서 신호처리기(13)에 공급된다. 따라서, 신호처리기(13)는 아날로그조작키이(11)의 설정위치에 대응하는 공칭의 디지탈값(D1) 대신에, 오프셋값(D2)에 의해 수정된 상기 유효 제어파라미터값(D1+D2)에 따라서 오디오신호(AD)를 처리 및 조정한다.
이후에, 통신망 가라오케장치(2)로부터 새로운 오프셋값(D2)이 공급되지 않는 한, 메모리수단(24)에 저장된 현재의 오프셋값(D2)은 항상, 아날로그 조작키이(11)의 설정 위치에 대응하는 디지탈값(D1)에 더해진다. 상기 더해진 값은 파라미터제어값(P)으로서 신호처리기(13)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의 제어파라미터의 실제적인 값의 범위는 가라오케증폭기(1)가 설치된 연주실의 사운드 필드 상태에 매칭되도록 수정 데이타에 따라서 수정되거나 조정될 수가 있다.
또한, 제어파라미터의 유효 범위는 스피커(SP)의 청각적 특성과 매칭되도록 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량 조정용 아날로그 조작키이(11)의 중심위치가 소정 조작범위내에서 0dB값에 대응한다고 가정하면, 최소 위치는 -12dB 값에 해당하며, 최대 위치는 +12dB에 해당한다.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셋 값(D2)이 +2 dB로 주어지면, 상기 중심위치는 +2 dB에 대응하며, 최소위치는 -10dB에 대응되고, 최대 위치는 +14 dB에 대응된다. 즉, 소정의 조작 범위 -12dB 내지 +12dB은 유효조작범위 -10dB 내지 +14dB로 시프트되어 증폭기를 연주실의 상태에 적응시키는 것이다.
가라오케 기계제품의 사양 버전-업 또는 변경으로 인해서 아날로그조작키이(11)의 공칭의 조작범위와 파라미터값의 실제 범위간의 관계를 변화시켜야 하는 때에도 적절한 오프셋값(D2)으로써 용이하게 조정할 수가 있다. 오프셋값(D2)이 MIDI 데이타등의 음악데이타와 함께 공급되는 때에, 오디오 신호의 제어파라미터값의 조정가능한 범위는 가라오케 음악과 매칭되도록 적절히 시프트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변형이 가능하다.
(1) 상기한 실시예의 한 변형으로서, 오프셋값(D2) 대신에 계수값 또는 승수값(D2')이 수정데이타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계산수단은 아날로그 조작키이(11)의 설정 위치에 대응하는 디지탈값(D1)에 상기 계수값(D2')를 곱한다. 상기 곱셈의 결과값(D1 x D2')은 파라미터 제어값(P)으로서 신호처리기(13)에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아날로그 조작키이(11)에 대한 파라미터의 동적 범위가 계수값(D2')에 따라서 연장될 수가 있다.
(2) 아날로그 조작키이(11)의 설정위치에 대응하는 디지탈값(D1)이 수정되어야 하는 때에는 단순한 덧셈 또는 곱셈대신에 다양한 계산 알고리듬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지탈값(D1)을 수정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에서의 오프셋값(D2) 부여와 상기 변형예에서의 계수값(D2') 곱셈을 조합한 계산법이 행해질 수도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통신망 가라오케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가라오케 증폭기(1)에 적용되었으나, 본 발명은 통신망 가라오케장치이외의 장치에 이용되는 가라오케 증폭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가라오케 증폭기(1)는 제어파라미터값(P)에 따라서 오이동신호(AD)를 처리하여 가라오케 연주를 청각적으로 제어하면서, 상기 오디오 신호(AD)를 증폭하여 가라오케 연주를 방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라오케 증폭기(1)에서, 아날로그 조작 부재(11)는 제어 파라미터의 초기 아날로그 값을 설정하도록 수동으로 조작가능하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는 초기 아날로그값을 이에 해당하는 초기 디지탈값으로 변환시킨다. MIDI 인터페이스(22) 형태의 수신수단은 가라오케장치(2) 형태의 외부 데이타 소오스로부터 수정 데이타(D2)를 수신한다. 메모리 수단(24)은 상기 수신된 수정 데이타(D2)를 기억한다. 계산수단(23)은 상기 메모리수단(24)으로부터 불러온 수정 데이타(D2)에 따라서 상기 초기 디지탈값(D1)을 산술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수정된 값(P)을 계산한다. 신호처리수단(13)은 제어 파라미터의 상기 수정된 값(P)에 따라서 오디오 신호(AD)를 처리한다. 이 신호처리수단(13)은 또한 상기 처리된 오디오 신호(AD)를 증폭함으로써, 제어 파라미터의 상기 수정된 값(P)에 따라서 청각적으로 변경된 가라오케 연주를 방음한다.
특히, 아날로그 조작부재(11)는 초기 아날로그값이 소정의 조작범위에서만 수동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소정의 조작 범위를 가진다. 상기 수신수단(22)은 상기 소정의 조작 범위를 변경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수정 데이타(D2)를 수신한다. 상기 계산수단(23)은 상기 수정된 값(P)이 초기값(D1)에서부터 상기 소정의 조작 범위를 넘어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수정데이타(D2)에 따라서 상기 수정값(P)을 계산한다. 더욱 특별한 형태로, 상기 수신수단(22)은 오프셋값의 형태로 수정 데이타(D2)를 수신한다. 상기 계산수단(23)은 상기 소정의 조작 범위가 오프셋 값(D2)만큼 시프트될 수 있도록, 상기 오프셋값(D2)을 상기 초기 디지탈 값(D1)에 더함으로써 상기 수정된 값(P)을 계산한다.
또다른 형태로, 상기 수신수단(22)은 승수값의 형태로 수정 데이타(D2)를 수신한다. 상기 계산수단(23)은 상기 소정의 조작 범위가 승수값에 의해서 동적으로 연장될수 있도록, 상기 승수값(D2)을 상기 초기 디지탈값(D1)에 곱함으로써 상기 수정된 값(P)을 계산한다. 한 형태로, MIDI 인터페이스(22)로 이루어진 수신수단은 소정의 조작 범위가 가라오케 연주에 매칭되어 변경될 수 있도록, 외부 데이타 소오스(2)로부터 공급된 상기 MIDI 데이타에 포함된 수정 데이타(D2)를 수신하여 가라오케 연주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신호처리수단(13)은 가라오케 연주의 음량, 음질, 청각 효과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제어파라미터에 따라서 오디오신호(AD)를 처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케 증폭기가 설치된 연주실의 사운드 필드 상태등의 가라오케 연주환경 및 스피커의 주파수 응답과 매칭되도록 오디오 신호의 여러 파라미터들이 수정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증폭기에서는 가라오케 장치 제품의 사양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또한, 음악 데이타 및 수정 데이타가 MIDI 데이타의 형태로 공급되는 때에, 오디오 신호의 파라미터들은 상기 MIDI 데이타에 포함된 음악 데이타에 따라서 생성되는 가라오케 음악과 매칭되도록, MIDI 데이타에 포함된 수정 데이타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조작 키이의 수동 조작 범위와 파라미터값의 조정범위는 서로에 대해 시프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조작 키이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의 동적 범위는 수정 데이타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6)

  1. 제어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가라오케 연주를 청각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가라오케 연주를 방음하는 가라오케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초기 아날로그 값을 설정하도록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아날로그 조작 부재와, 상기 초기 아날로그 값을 이에 대응하는 초기 디지탈값으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와, 외부 데이타 소오스로부터 수정 데이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수정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불러온 수정 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초기 디지탈 값을 산술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수정된 값을 계산하는 계산수단과,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수정된 값에 따라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함으로써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수정된 값에 따라서 청각적으로 변경된 가라오케 연주를 방음하는 출력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조작부재는 상기 초기 아날로그값이 소정의 조작범위에서만 수동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소정의 조작 범위를 가지며,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작 범위를 변경하는 데에 이용되는 수정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계산수단은 상기 수정된 값이 초기값에서부터 상기 소정의 조작 범위를 넘어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수정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수정된 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증폭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은 오프셋값의 형태로 상기 수정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계산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작범위가 상기 오프셋 값만큼 시프트될 수 있도록 상기 오프셋값을 상기 초기 디지탈값에 더함으로써 상기 수정된 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증폭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은 승수값의 형태로 상기 수정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계산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작범위가 상기 승수값에 의해서 동적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승수값을 상기 초기 디지탈값에 곱함으로써 상기 수정된 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증폭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작 범위를 가라오케 연주에 매칭되게 변경시키기 위해서 상기 가라오케 연주를 생성하도록 외부 데이타 소오스로부터 공급된 상기 MIDI 데이타에 포함된 수정 데이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증폭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가라오케 연주의 음량, 음질, 청각 효과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파라미터에 따라서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증폭기.
KR1019960047700A 1995-10-23 1996-10-23 오디오 신호의 파라미터 범위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가라오케 증폭기 KR100270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274097A JP3114587B2 (ja) 1995-10-23 1995-10-23 カラオケアンプ
JP95-274097 1995-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957A KR970022957A (ko) 1997-05-30
KR100270436B1 true KR100270436B1 (ko) 2000-11-01

Family

ID=1753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700A KR100270436B1 (ko) 1995-10-23 1996-10-23 오디오 신호의 파라미터 범위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가라오케 증폭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68489A (ko)
JP (1) JP3114587B2 (ko)
KR (1) KR100270436B1 (ko)
CN (1) CN1122255C (ko)
SG (1) SG543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06552D0 (en) 2000-03-17 2000-05-10 For Research In Earth And Spac System for removing phosphorus from waste water
US6940982B1 (en) * 2001-03-28 2005-09-06 Lsi Logic Corporation Adaptive noise cancellation (ANC) for DVD systems
CN1416298A (zh) * 2002-11-06 2003-05-07 巨镊(广州)电子科技有限公司 可对音箱参数进行描述及修正的音响系统
DE60334796D1 (de) * 2003-09-25 2010-12-16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Lautsprecherempfindliches Tonwiedergabesystem
JP4281601B2 (ja) * 2004-03-30 2009-06-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通信システム、通信カラオケ端末、配信用ホス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328229A (ja) * 2004-05-13 2005-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量調整装置
KR100681698B1 (ko) * 2005-04-06 2007-02-15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노래반주기 선곡기능과 앰프조절기능이 내장된 디지털무선마이크 및 이를 이용한 노래반주기 시스템
JP4961788B2 (ja) * 2006-03-20 2012-06-27 ヤマハ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音響信号処理装置及び操作装置
JP2011242560A (ja) * 2010-05-18 2011-12-01 Yamaha Corp セッション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セッションシステム
US11164551B2 (en) * 2019-02-28 2021-11-02 Clifford W. Chase Amplifier matching in a digital amplifier model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H12128A (en) * 1973-09-04 1978-11-07 Standard Oil Co Chromium-containing catalysts useful for oxidation reactions
JPH02183660A (ja) * 1989-01-10 1990-07-18 Mioji Tsumura 音楽情報処理装置
JPH0564191A (ja) * 1991-08-29 1993-03-12 Toshiba Corp Catv端末の音量コントロール装置
JPH05243875A (ja) * 1992-07-10 1993-09-21 Yamaha Corp パラメータ設定装置
JP3149571B2 (ja) * 1992-09-28 2001-03-26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システム
KR950009596A (ko) * 1993-09-23 1995-04-24 배순훈 노래반주용 비디오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US5567162A (en) * 1993-11-09 1996-10-22 Daewoo Electronics Co., Ltd. Karaoke system capable of scoring singing of a singer on accompaniment thereof
JP2876993B2 (ja) * 1994-07-07 1999-03-31 ヤマハ株式会社 再生特性制御装置
JP2820052B2 (ja) * 1995-02-02 1998-11-05 ヤマハ株式会社 コーラス効果付与装置
JPH08339193A (ja) * 1995-06-13 1996-12-24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
JP2861881B2 (ja) * 1995-09-04 1999-02-24 ヤマハ株式会社 コーラス効果付与装置
JP3183117B2 (ja) * 1995-09-13 2001-07-03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386639B2 (ja) * 1995-09-28 2003-03-17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2848286B2 (ja) * 1995-09-29 1999-01-20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2003243875A (ja) * 2002-02-21 2003-08-29 Nikon Corp 磁気シールドルーム、磁気シールド方法及び露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14587B2 (ja) 2000-12-04
SG54378A1 (en) 1998-11-16
CN1153368A (zh) 1997-07-02
US6068489A (en) 2000-05-30
JPH09116358A (ja) 1997-05-02
KR970022957A (ko) 1997-05-30
CN1122255C (zh) 200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0467A (en) Hearing aid compensating for acoustic feedback
KR100270436B1 (ko) 오디오 신호의 파라미터 범위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가라오케 증폭기
JP2004062190A (ja) 1つ以上の音声信号をディジタル方式で処理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963907A (en) Voice converter
JP2861885B2 (ja) 効果付与アダプタ
JP2015087686A (ja) 音響装置
JPH05206772A (ja) ラウドネス装置
JP4527715B2 (ja) Midiファイルの再生の最適化
JP2745824B2 (ja) 電子楽器
JP3053526B2 (ja) 音響効果付加装置
JP3053525B2 (ja) 音響効果付加装置
KR200143635Y1 (ko) 마이크 입력 음향효과 전자악기
KR100325085B1 (ko)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
JPH03204210A (ja) オーディオ装置
JP3040658B2 (ja) 音響効果付加装置
JP3117742B2 (ja) 電子楽器のミューティング装置
JPH1117474A (ja) 利得可変装置
CN115428475A (zh) 音频信号特性的转换方法及关联装置
JPH04283628A (ja) 電子楽器の効果装置
JPH04101195A (ja) 電子楽器
KR950015197A (ko) 오디오/비디오(a/v) 앰프의 주파수 특성 보정장치
JPH0493996A (ja) 電子楽器の楽音制御装置
JP2004151225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出力音量増大方法
JPH08272383A (ja) カラオケ端末装置
KR19990002202A (ko) 자동음량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