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085B1 -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 - Google Patents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085B1
KR100325085B1 KR1019990008120A KR19990008120A KR100325085B1 KR 100325085 B1 KR100325085 B1 KR 100325085B1 KR 1019990008120 A KR1019990008120 A KR 1019990008120A KR 19990008120 A KR19990008120 A KR 19990008120A KR 100325085 B1 KR100325085 B1 KR 100325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one
signal
control unit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075A (ko
Inventor
이승자
Original Assignee
이승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자 filed Critical 이승자
Priority to KR1019990008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085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노래 반주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 오디오 앰프가 노래 반주 시스템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공간의 상태 등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서 노래 반주기에서 발생되는 음악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육성과의 부조화를 개선하고 노래 반주 시스템으로부터 연주되는 음악의 분위기(빠르기, 장르)등에 따라 능동적으로 오디오 앰프의 내부 변수(에코, 빠르기, 및 음량, 주파수 특성변환기, 메인 음량 및 음의 움직임)를 디지털 적으로 설정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노래 반주 시스템이 설치된 룸의 상태 및 곡의 분위기에 따라 항상 최적의 음향 상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오디오 앰프의 정보(앰프 내부의 변수)를 받아 일반적으로 아날로그로 조절하였던 방식에서 디지털 적으로 조절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노래 반주 시스템과 연결되어 최적의 음향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A DIGITAL AUDEO AMPLIFIER OF KARAOKE SYSTEM}
본 발명은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래 반주기로부터 공급되는 정보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신호의 톤, 음량, 밸런스, 및 에코 등을 조절하기 위한 변수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최적의 음향상태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노래 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노래방을 찾는 연령층이 다양화됨에 따라 노래 반주기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므로, 노래 반주기에 사용되는 오디오 증폭장치는 2개의 이상의 채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및 노래 반주기로부터 입력되는 다수의 신호를 증폭시키는 오디오증폭회로와, 상기 오디오증폭회로에 의해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출력회로로 구비된다.
상기 오디오증폭회로는 마이크를 통해 제공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 입력부와, 각 마이크 입력부에 접속되어 에코, 밸런스, 톤, 및 음량을 조절하는 제1오디오신호 제어부와, 상기 노래 반주 시스템로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오디오신호의 톤을 제어하는 제2오디오신호 제어부와, 상기 제1오디오신호 제어부 및 제2오디오신호 제어부의 출력신호를 조합하는 믹서부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1오디오신호 제어부는 각각 에코 조절부, 밸런스 조절부, 톤 조절부, 및 궤환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에코 조절부, 밸런스 조절부, 톤 조절부 및 궤환부는 각각의 가변저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오디오신호 및 제2오디오신호의 에코, 밸런스, 톤 및 음향은 각각의 가변저항에 의해 설정된 설정치로 수동 조절되며, 설정된 에코, 밸런스, 톤 및 음량은 조절된 후 출하된다.
이러한 종래의 오디오 증폭장치에 있어, 매번 음악의 종류에 따라 에코, 밸런스, 톤, 및 음량을 일일이 수동 조절하기 어렵고, 그로 인해 최적의 음질을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래 반주기에서 사용되는 오디오 증폭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정보(에코, 밸런스, 톤 및 음량 등)의 조절을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서, 노래반구기의 속도, 장르 등의 분위기 정보를 노래반주기로부터 공급받아 이 분위기 정보에 따라 설정된 변수들로 톤, 음량, 에코 및 발런스등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곡의 연주할 때 마다 곡에 어울리는 분위기로 최적의 음향을 이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모드에 따라 톤, 음량, 에코 및 발런스 등을 조절하기 위한 변수를 설정하여 최적의 음질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정보에 따라 에코, 밸런스, 톤, 및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변수를 설정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오디오신호를 변수에 따라 각각의 톤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1오디오신호 처리부와, 상기 제2오디오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변수에 따라 톤, 에코, 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2오디오신호 처리부와, 상기 제1오디오신호 처리부의 출력신호와 제2오디오신호 처리부의 출력신호를 조합하는 믹싱부와, 상기 믹싱부의 출력신호의 톤을 변수에 따라 조절한 후 증폭시키는 증폭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도 1에 있어, 오디오 증폭회로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은 도 1에 있어, 오디오 증폭회로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인 도.
도 4는 도 1에 있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보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키입력부 13 : 노래 반주기
15 : 마이크 입력부 17 : 오디오 증폭회로
19 : 모니터 71 : 인터페이스
72 : 제어부 73 : 제1오디오신호 처리부
74 : 제2오디오신호 처리부 75 : 믹싱부
76 : 증폭부
B1-B6, B10, B11 : 입력버퍼 B7-B9, B12-B16 : 출력버퍼
C1-C4, C7, C8 : 제1 내지 제6톤조절부
C5 : 에코조절부 C6 : 궤환부
M1-M3 : 제1내지 제3믹서 SP1, SP2 : 스피커
AMP1, AMP2 : 증폭기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이용자에 의해 곡을 선택하는 키입력부(11)와, 상기 키입력부(11)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S) 및 다수의 채널을 통해 상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을 반주하는 제1오디오신호(A1-A6)를 출력하는 노래 반주기(13)와; 마이크를 통해 제2오디오신호(A11)(A12)를 입력하는 마이크 입력부(15)와; 상기 노래 반주기(13)의 정보(S), 제1오디오신호(A1-A6), 및 마이크로 입력부의 제2오디오신호(A11)(A12)를 받아 제1오디오신호(A1-A6) 및 제2오디오신호(A11)(A12)의 에코, 밸런스, 톤 및 음량을 상기 정보에 따라 제어하고 증폭시켜 다수의 스피커(SP1)(SP2)로 출력시키는 오디오증폭회로(17)와, 상기 노래 반주기(13)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모니터(1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오디오신호(A1-A6)는 다수의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제1 및 제2반주신호(A1)(A2)(A5)(A6)와 코러스신호(A3)(A4)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증폭회로(1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래 반주 시스템(13)로부터 공급되는 정보(S)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71)와, 이 인터페이스부(71)의 정보(S)에 따라 에코, 밸런스, 톤, 및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변수(I1-I8)를 설정하여 출력하는 제어부(72)와, 상기 제1오디오신호의 제1반주신호(A1)(A2), 코러스신호(A3)(A4), 및 제2반주신호(A5)(A6)를 변수(I1-I3)에 따라 각각의 톤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1오디오신호 처리부(73)와, 상기 제2오디오신호(A11)(A12)를 상기 제어부의 변수(I4-I6)에 따라 톤, 에코, 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2오디오신호 처리부(74)와, 제1오디오신호 처리부(73)의 출력신호와 제2오디오신호 처리부(74)의 출력신호를 조합하는 믹싱부(75)와, 믹싱부(75)의 출력신호의 톤을 변수(I7)(I8)에 따라 조절한 후 증폭시키는 증폭부(7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오디오신호 처리부(7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공급되는 제1반주신호(A1)(A2), 코러스신호(A3)(A4), 및 제2반주신호(A5)(A6)를 입력받아 각각 버퍼링시키는 다수의 제1오디오 입력버퍼(B1)-(B6)와, 상기 제1오디오 입력버퍼(B1)(B2)의 출력신호의 톤을 변수(I1)에 따라 조절하는 제1톤조절부(C1)와, 상기 제1오디오 입력버퍼(B3)(B4)의 출력신호의 톤을 변수(I2)에 따라 조절하는 제2톤조절부(C2)와, 상기 제1오디오 입력버퍼(B5)(B6)의 출력신호의 톤을 변수(I3)에 따라 조절하는 제3톤조절부(C3)와, 그리고, 이 제1 내지 제3톤조절부(C1-C3)의 출력신호를 각각 버퍼링하는 제1오디오신호 출력버퍼(B7-B9)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오디오신호 처리부(74)는 제2오디오신호(A11)(A12)를 입력받아 버퍼링하는 제2오디오 입력버퍼(B10(B11)와, 제2오디오 입력버퍼(B10(B11)의 출력신호의 톤을 제어부(72)의 변수(I4)에 따라 조절하는 제4톤조절부(C4)와, 이 제4톤조절부(C4)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는 출력버퍼(B12)와, 이 출력버퍼(B12)의 출력신호의 에코를 변수(I5)에 따라 조절하는 에코 조절부(C5)와, 이 에코 조절부(C5)의 출력신호를 받아 제어부(72)의 변수(I6)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출력버퍼(B12)의 출력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궤환부(C5)와, 상기 제4톤조절부(C4) 및 에코조절부(C5)의 출력신호를 믹싱하는 제1믹서(M1)와, 제1믹서(M1)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는 출력버퍼(B13)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믹싱부(75)는 상기 출력버퍼(B7)의 출력신호, 출력버퍼(B8)의 출력신호, 및 출력버퍼(B13)의 출력신호를 조합하는 제2믹서(M2)와, 상기 출력버퍼(B8)의 출력신호, 출력버퍼(B9)의 출력신호, 및 출력버퍼(B13)의 출력신호를 조합하는 제3믹서(M3)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증폭부(76)는 상기 제2믹서(M2) 및 제3믹서(M3)의 출력신호의 톤을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변수(I7)(I8)에 따라 각각 조절하는 제5톤조절부(C7) 및 제6톤조절부(C8)와, 이 제5 및 제6 톤조절부(C7)(C8)의 출력신호를 각각 버퍼링하는 출력버퍼(B14)(B15)와, 이 출력버퍼(B14)(B15)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시키고 증폭신호를 스피커(SP1)(SP2)로 각각 공급하는증폭기(AMP1)(AMP2)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2)는 상기 인터페이스부(71)를 통해 노래 반주기(13)로부터 공급되는 제1오디오신호의 곡의 빠르기 및 장르, 분위기, 스타일 등을 전달 받아 톤, 에코, 발런스, 및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변수들을 발생한다.
미설명부호(B16)는 상기 제4톤조절부(C4)의 출력신호를 버퍼링시키는 출력버퍼이다.
이와같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키입력부(11)를 통해 이용자가 곡을 선택하면, 키입력부(11)의 키입력신호는 노래 반주기(13)로 공급되고, 노래 반주기(13)는 상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의 종류 및 스타일을 나타내는 정보(S) 및 다수의 채널을 통해 상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을 반주하기 위한 제1오디오신호(A1-A6)를 출력한다.
상기 노래반주기(13)로부터 공급되는 정보(S)는 오디오 증폭장치(17)의 인터레이스부(71)를 통해 제어부(72)로 입력되며, 제어부(72)는 이 인터페이스부(71)의 정보(S)에 따라 에코, 밸런스, 톤, 및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변수(I1-I8)를 설정한다.
한편, 상기 노래반주기(13)로부터 공급되는 제1오디오신호의 제1반주신호(A1)(A2), 코러스신호(A3)(A4), 및 제2반주신호(A5)(A6)는 각각의 입력버퍼(B1-B6)에 각각 공급되고, 각각의 입력버퍼(B1-B6)는 제1반주신호(A1)(A2), 코러스신호(A3)(A4), 및 제2반주신호(A5)(A6)를 각각 버퍼링시킨다.
그리고, 상기 입력버퍼(B1)(B2)의 출력신호는 제1톤조절부(C1)에 공급되고, 제1톤조절부(C1)는 제어부(72)의 변수(I1)에 따라 버퍼링된 제1반주신호의 톤을 조절한다. 상기 입력버퍼(B3)(B4)의 출력신호는 제2톤조절부(C2)에 공급되고, 이 제2톤조절부(C2)는 제어부(72)의 변수(I2)에 따라 버퍼링된 코러스신호의 톤을 조절하며, 상기 입력버퍼(B5)(B)의 출력신호는 제3톤조절부(C3)에 공급되고, 이 제3톤조절부(C3)는 제어부(72)의 변수(I3)에 따라 버퍼링된 제2반주신호의 톤을 조절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톤조절부(C1-C3)의 출력신호는 출력버퍼(B7-B9)에 공급되고, 출력버퍼(B7-B9)는 이러한 제1내지 제3톤조절부(C1-C3)의 출력신호를 각각 버퍼링한다.
한편,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제2오디오신호(A11)(A12)는 제2오디오신호 처리부(74)에 공급되고, 제2오디오신호 처리부(74)는 상기 제2오디오신호(A11)(A12)를 상기 제어부의 변수(I4-I6)에 따라 톤, 에코, 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1오디오신호의 톤, 에코, 및 음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마이크 입력부(15)를 통해 입력버퍼(B10)(B11)에 공급되고, 입력버퍼(B10)(B11)는 제2오디오신호를 버퍼링한다.
그리고, 이 입력버퍼(B10)(B11)의 출력신호는 제4톤조절부(C4)로 공급되고, 제4톤조절부(C4)는 입력버퍼(B10)(B11)의 출력신호의 톤을 제어부(72)의 변수(I4)에 따라 조절하고, 이 제4톤조절부(C4)의 출력신호는 출력버퍼(B12)에 입력되며, 출력버퍼(B12)는 제4톤조절부(C4)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한다.
상기 출력버퍼(B12)의 출력신호는 에코조절부(C5)에 공급되고, 이 에코조절부(C5)는 상기 출력버퍼(B12)의 출력신호의 에코를 변수(I5)에 따라 조절한다. 그리고, 이 에코조절부(C5)의 출력신호를 받은 궤환부(C6)는 출력버퍼(B12)의 출력신호의 크기를 상기 제어부(72)의 변수(I6)에 따라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제4톤조절부(C4) 및 에코조절부(C5)의 출력신호는 제1믹서(M1)에 공급되고, 이 제1믹서(M1)는 이 제4톤조절부(C4) 및 에코조절부(C5)의 출력신호를 조합하며, 이러한 조합된 제1믹서(M1)의 출력신호를 받은 출력버퍼(B13)는 제1믹서(M1)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한다.
상기 출력버퍼(B7)의 출력신호, 출력버퍼(B8)의 출력신호, 및 출력버퍼(B13)의 출력신호는 믹싱부(75)의 제1믹서(M2)에 공급되고, 제1믹서(M2)는 이러한 출력버퍼(B7)의 출력신호, 출력버퍼(B8)의 출력신호, 및 출력버퍼(B13)의 출력신호를 조합한다.
한편, 상기 출력버퍼(B8)의 출력신호, 출력버퍼(B9)의 출력신호, 및 출력버퍼(B13)의 출력신호를 받은 제3믹서(M3)는 이러한 출력버퍼(B8)의 출력신호, 출력버퍼(B9)의 출력신호, 및 출력버퍼(B13)의 출력신호를 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2믹서(M2) 및 제3믹서(M3)의 출력신호는 각각 제5톤조절부(C7) 및 제6톤조절부(C8)에 각각 공급되고, 이 제5 및 제6톤조절부(C7)(C8)는 제2믹서(M2) 및 제3믹서(M3)의 출력신호의 톤을 상기 제어부(72)로부터 공급되는 변수(I7)(I8)에 따라 각각 조절하고, 톤이 조절된 제5 및 제6톤조절부(C7)(C8)의 출력신호를 받은 출력버퍼(B14)(B15)는 이 제5 및 제6 톤조절부(C7)(C8)의 출력신호를 각각 버퍼링한다.
상기 출력버퍼(B14)(B15)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받은 증폭기(AMP1)(AMP2)는 출력버퍼(B14)(B15)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시키고, 증폭신호는 스피커(SP1)(SP2)로 각각 공급되어 이용자에게 전달된다.
한편, 이용자가 노래 반주기의 키입력부(11)의 소정키를 선택하면, 현재 설정된 톤, 에코, 발런스, 및 음량의 변수는 모니터(19)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된 변수는 룸의 상태, 예를 들어 오디오 앰프의 위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의 위치, 에 따라 이용자에 의해 변경되고, 그로 인해 룸의 상태에 따라 톤, 음량, 발런스, 및 에코의 변수가 가변되어 최적의 음향이 스피커(SP1)(SP2)를 통해 출력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된 모니터와 키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곡의 종류에 따라 설정 및 수신된 정보, 제어용 변수, 들을 이용하여 반주신호, 코러스신호, 및 마이크입력신호의 에코, 톤, 및 음량을 제어함으로서, 이용자가 곡을 선택할 때마다 매번 바뀌는 곡의 속도 및 분위기에 맞는 오디오 출력을 낼 수 있으므로 최적의 음향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노래 반주기가 설치되어 있는 룸의 상태에 따라 부르고자 하는 곡을 모니터의 그래픽을 통해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Claims (7)

  1. 노래반주기로부터 공급되는 정보(S1)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71);
    상기 인터페이스부(71)의 정보(S1)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된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2 오디오 신호의 에코, 밸런스, 톤, 및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변수(I1-I8)를 설정하여 출력하는 제어부(72);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공급되는 제1반주신호(A1)(A2), 코러스신호(A3)(A4), 및 제2반주신호(A5)(A6)를 입력받아 각각 버퍼링시키는 다수의 제1오디오 입력버퍼(B1)-(B6)와, 상기 제1오디오 입력버퍼(B1)(B2)의 출력신호의 톤을 변수(I1)에 따라 조절하는 제1톤조절부(C1)와, 상기 제1오디오 입력버퍼(B3)(B4)의 출력신호의 톤을 변수(I2)에 따라 조절하는 제2톤조절부(C2)와, 상기 제1오디오 입력버퍼(B5)(B6)의 출력신호의 톤을 변수(I3)에 따라 조절하는 제3톤조절부(C3)와, 상기 제1 내지 제3톤조절부(C1-C3)의 출력신호를 각각 버퍼링하는 제1오디오신호 출력버퍼(B7-B9)로 구비되고,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을 반주하기 위하여 다수의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제1 및 제2반주신호 및 코러스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제1오디오신호를 변수(I1-I3)에 따라 각각의 톤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1오디오신호 처리부(73);
    상기 제2오디오신호(A11)(A12)를 입력받아 버퍼링하는 제2오디오 입력버퍼(B10(B11)와, 상기 제2오디오 입력버퍼(B10(B11)의 출력신호의 톤을 상기 제어부(72)의 변수(I4)에 따라 조절하는 제4톤조절부(C4)와, 상기 제4톤조절부(C4)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는 출력버퍼(B12)와, 상기 출력버퍼(B12)의 출력신호의 에코를 변수(I5)에 따라 조절하는 에코 조절부(C5)와, 상기 에코 조절부(C5)의 출력신호를 궤환시켜 상기 제어부(72)의 변수(I6)에 따라 상기 출력버퍼(B12)의 출력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궤환부(C6)와, 상기 제4톤조절부(C4) 및 에코조절부(C5)의 출력신호를 믹싱하는 제1믹서(M1)와, 상기 제1믹서(M1)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는 출력버퍼(B13)로 구비되고, 상기 제2오디오신호(A11)(A12)를 상기 제어부의 변수(I4-I6)에 따라 톤, 에코, 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2오디오신호 처리부(74);
    상기 출력버퍼(B7)의 출력신호, 출력버퍼(B8)의 출력신호, 및 출력버퍼(B13)의 출력신호를 조합하는 제2믹서(M2)와, 상기 출력버퍼(B8)의 출력신호, 출력버퍼(B9)의 출력신호, 및 출력버퍼(B13)의 출력신호를 조합하는 제3믹서(M3)로 구비되고, 상기 제1오디오신호 처리부(73)의 출력신호와 제2오디오신호 처리부(74)의 출력신호를 조합하는 믹싱부(75); 및
    상기 제2믹서(M2) 및 제3믹서(M3)의 출력신호의 톤을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변수(I7)(I8)에 따라 각각 조절하는 제5 및 제6톤조절부와, 상기 제5 및 제6톤조절부(C7)(C8)의 출력신호를 각각 버퍼링하는 출력버퍼(B14)(B15)와, 상기 출력버퍼(B14)(B15)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시키고 증폭신호를 스피커(SP1)(SP2)로 각각 공급하는 증폭기(AMP1)(AMP2)로 구비되고, 상기 믹싱부(75)의 출력신호의 톤을 변수(I7)(I8)에 따라 조절한 후 증폭시키는 증폭부(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19990008120A 1999-03-11 1999-03-11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 KR100325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120A KR100325085B1 (ko) 1999-03-11 1999-03-11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120A KR100325085B1 (ko) 1999-03-11 1999-03-11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075A KR20000060075A (ko) 2000-10-16
KR100325085B1 true KR100325085B1 (ko) 2002-03-02

Family

ID=1957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120A KR100325085B1 (ko) 1999-03-11 1999-03-11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5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062B1 (ko) * 2007-12-17 2009-08-21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스피커 모드를 갖는 노래 반주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스피커 모드 제공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549A (ko) * 1993-03-19 1994-10-21 우에시마 세이스케 자동효과기 제어부를 가진 가라오케장치
KR950012422A (ko) * 1993-10-08 1995-05-16 배순훈 가라오케 시스템의 음성 자동조절 회로
KR960042591A (ko) * 1995-05-25 1996-12-21 김광호 가라오케용 vcr에서의 마이크 입력신호에 따른 반주키 자동조정회로 및 그 방법
KR970008846A (ko) * 1995-07-08 1997-02-24 김광호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JPH0990965A (ja) * 1995-09-28 1997-04-04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
JPH09146548A (ja) * 1995-11-16 1997-06-06 Brother Ind Ltd 自動演奏条件設定機能を有する楽音再生装置
KR19980067955A (ko) * 1997-02-13 1998-10-15 배순훈 노래반주기용 자동음정 조정회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549A (ko) * 1993-03-19 1994-10-21 우에시마 세이스케 자동효과기 제어부를 가진 가라오케장치
US5542000A (en) * 1993-03-19 1996-07-30 Yamaha Corporation Karaoke apparatus having automatic effector control
KR950012422A (ko) * 1993-10-08 1995-05-16 배순훈 가라오케 시스템의 음성 자동조절 회로
KR960042591A (ko) * 1995-05-25 1996-12-21 김광호 가라오케용 vcr에서의 마이크 입력신호에 따른 반주키 자동조정회로 및 그 방법
KR970008846A (ko) * 1995-07-08 1997-02-24 김광호 노래반주 기기의 음정조절수단 선택장치
JPH0990965A (ja) * 1995-09-28 1997-04-04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
JPH09146548A (ja) * 1995-11-16 1997-06-06 Brother Ind Ltd 自動演奏条件設定機能を有する楽音再生装置
KR19980067955A (ko) * 1997-02-13 1998-10-15 배순훈 노래반주기용 자동음정 조정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075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4876B2 (en) Sound system with dedicated vocal channel
JP3988750B2 (ja) 音圧周波数特性調整装置、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861881B2 (ja) コーラス効果付与装置
JP2003257162A (ja) 音制御装置、音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861885B2 (ja) 効果付与アダプタ
JP4942182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100270436B1 (ko) 오디오 신호의 파라미터 범위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가라오케 증폭기
JPH06195092A (ja) カラオケ装置
KR100325085B1 (ko) 노래 반주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앰프
CN101902672A (zh) 音频设备和设置音频设备中使用的总线的数量的方法
CN105744443B (zh) 用于弦乐器的数字音频处理系统
JPH0413190A (ja) エコー機能付カラオケ装置
JP4360212B2 (ja) カラオケ装置
KR0186028B1 (ko) 전자악기의 공간효과음장치
KR200143635Y1 (ko) 마이크 입력 음향효과 전자악기
JP2006184684A (ja) 音楽再生装置
JP2006295233A (ja) モニタ制御装置
JP3644417B2 (ja) 演奏データ処理装置
JPH08272383A (ja) カラオケ端末装置
KR100691534B1 (ko) 다채널 앰프를 갖는 노래반주기
JP2022080300A (ja) 電子装置及び電子ドラム
CN116741124A (zh) 音处理系统及该音处理系统的音处理方法
JP3781207B2 (ja) カラオケ用ボーカルマイク
KR100913062B1 (ko) 스피커 모드를 갖는 노래 반주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스피커 모드 제공 방법
JPH04119399A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