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867B1 - 직물제직의 준비공정 인 싸이징공정 - Google Patents

직물제직의 준비공정 인 싸이징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867B1
KR100267867B1 KR1019980013363A KR19980013363A KR100267867B1 KR 100267867 B1 KR100267867 B1 KR 100267867B1 KR 1019980013363 A KR1019980013363 A KR 1019980013363A KR 19980013363 A KR19980013363 A KR 19980013363A KR 100267867 B1 KR100267867 B1 KR 100267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ing
weaving
left edge
tension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263A (ko
Inventor
전용태
Original Assignee
전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용태 filed Critical 전용태
Priority to KR101998001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867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5/00Beaming machines
    • D02H5/02Beaming machines combined with apparatus for sizing or other treatment of warp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10T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1/00Creels, i.e. apparatus for supplying a multiplicity of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13/00Details of machines of the preceding groups
    • D02H13/16Reeds, combs, or other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pacing of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13/00Details of machines of the preceding groups
    • D02H13/22Tensioning devices
    • D02H13/24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5/00Beam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사로 부터 최종직물을 제직하기 위한 준비공정인 싸이징(Sizing)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싸이징 공정을 개선하여 제직효율 및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직물제직의 준비공정인 싸이징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제직공정시의 노줄부분의 좌측가장자리 부의 경사 당김현상을 개선된 싸이징공정에 의해 방지시켜 제직의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더 나아가 기계가동이 중단되는 제직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으며, 다른 목적은 제직된 상태에서 좌측가장자리부의 구김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싸이징공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기의 좌측노줄부분을 좌측가장자리 부분의 10-15본 정도의 원사를 콤반센터인 링식 장력장치의 링을 이용 장력을 조정하여 나머지 본수보다 -2g정도 적게 한 후 싸이즈 박스를 거쳐 호제를 부착함에 있어 좌측가장자리 부분(노즐부분)의 10-15본을 나머지 본수에 비하여 호제부착율을 0.2-0.5%정도 업(up)되게 하고 다시 권취부에서 고속회전으로 권취시 좌측가장자리부분을 나머지 부분보다 약하게 권취되게 하는 한편, 상기 싸이징 완료 후 비이밍 공정에서 평바디 피치의 밀도를 좌측가장자리 부분의 10-15본 정도는 나머지 본수보다 조밀하게 하고 있다.
[색인어]
크릴부, 가호부, 건조부, 권취부, 크릴, 싸이즈박스, 실린더드라이어

Description

직물제직의 준비공정 인 싸이징공정
본 발명은 원사로 부터 최종직물을 제직하기 위한 준비공정인 싸이징(Sizing)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싸이징공정을 개선하여 제직효율 및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직물제직의 준비공정인 싸이징공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경사와 위사가 직각으로 교차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원사로 부터 최종직물을 제직하기 위한 방편으로 싸이징 및 비이밍공정→제직공정→염색가공공정을 거치게 되는 바, 여기에 사용하는 경사와 위사를 준비하는 과정을 제직준비라 하며 제직중준공정으로서 경사의 싸이징은 제직효율, 제품의 품질에 크게 영향을 주는 중요한 공정으로서 그 중에서도 특히 싸이징은 제직중 긴장과 마찰에 견딜 수 있도록 사(絲)의 표면에 균일한 호처리를 하여 사의 포합력증진과 표면을 평활히 하려는 것이고, 이러한 싸이징의 양부는 제직의 생산성과 생지 및 가공지의 품질과 직결되는 중요한 작업이다.
한편, 합섬필라멘트사에 싸이징을 하는 것은 필라메트 상호간 접착력증진과 표면 평활성을 증진시켜 제직중에 종광, 바디와의 마찰과 개구시의 긴장에 견디도록 함이며, 또한 싸이징은 섬유의 흡수성을 이용하여 행하는 바, 섬유의 종류에 따라 흡수성이 다르므로 큰사종에는 접착성이 약한 호제를 사용하고 흡수성이 적은 사종에는 접착성이 큰 문제를 사용하여 필라멘트의 공간을 이용 호제가 행하여지므로 가공사 및 혼섬사와 같이 공간이 큰사는 호부착량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고, 상기의 싸이징 완료 후 제직에 들어가기 전에 행하는 공정이 비이밍 공정이다.
이와같은 직물제직의 준비공정인 싸이징공정에 있어서, 종래의 방식은 대부분이 직기의 크릴로써 원사의 장력을 조정하고 콤반쎈터(Comban center)인 와사식 장력 장치를 링식 장력장치로 개선하여 링의 무게에 의한 마찰 및 바의 마찰에 의해 장력이 부하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는 바, 전술한 크릴의 사장력 설정은 원칙적으로 가능한 한 저장력으로 하는 것이 좋지만 공정중에 사가 서로 교차되거나 진동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장력을 요하는 데, 장력이 너무 높으면 권취빔의 경도가 높아져 다음 공정인 제직공정에서 해사(解絲)물량이나 사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었으나, 이는 하기 계산식에 의거한 크릴의 사장력 관리에 의해 어느 정도 조정가능하였다.
상기의 사장력 관리에도 불구하고 외터제트직기의 경우 직기의 좌측에 설치된 노즐부에서 쏴주는 물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좌측가장자리 부분에서 경사 당김현상이 발생하여 이로 인해 제직의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심할 경우 좌측가장자리 부분의 경사가 끊어져 기계가동이 중단되는 이른바 제직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었을 뿐 아니라 고속회전을 유지하지 못하였고, 제직된 상태에서도 원단 좌측가장자리 부분에 구김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여러가지 단점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라의 좌측가장자리 부분의 경도를 약하게 하는 방식을 생각하였으나 이는 본수에 맞는 각각의 로라를 다량 구비하여야 하므로 경제성에 부합되지 않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싸이징공정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제직공정시의 노즐부분의 좌측가장자리부의 경사 당김현상을 개선된 싸이징공정에 의해 방지시켜 제직의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더 나아가 기계가동이 중단되는 제직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으며, 다른 목적은 제직된 상태에서 좌측가장자리부의 구김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싸이징공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 공정의 블럭다이어그램.
제2도는 본 발명 공정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크릴부 B : 가호부
C : 건조부 D : 권취부
1 : 크릴 4 : 싸이즈박스
5 : 스퀘징 6,6′: 드라이챔버
7 : 실린더드라이어 8 : 왁싱
9 : 테이크업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기의 좌측노즐부분을 좌측가장자리 부분의 10-15본 정도의 원사를 콤반센터인 링식 장력장치의 링을 이용 장력을 조정하여 나머지 본수보다 -2g정도 적게 한 후 싸이즈 박스를 거쳐 호제를 부착함에 있어 좌측가장자리 부분(노즐부분)의 10-15본을 나머지 본수에 비하여 호제부착율을 0.2-0.5%정도 업(up)되게 하고 다시 권취부에서 고속회전으로 권취시 좌측가장자리부분을 나머지 부분 보다 약하게 권취되게 하는 한편, 상기 싸이징 완료 후 비이밍 공정에서 평바디 피치의 밀도를 좌측가장자리 부분의 10-15본 정도는 나머지 본수보다 조밀하게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공정의 블럭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도는 본 발명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크게 분류하여 크릴부(A), 가호부(B), 건조부(C), 권취부(D)로 구분되면서, 크릴부(A)는 다시 크릴(1)과 프론트리드(2)와 푸싱롤러(3)로 구분되며, 가호부(B)는 싸이즈박스(4)와 스퀘징(5)으로 구분되고, 건조부(C)는 드라이챔버(6)(6′)와 실린더드라이어(7)로 구분되며, 권취부(D)는 에프터오일링(왁싱)(8)과 풀링(9) 그리고 테이크업(10)으로 구분되는 싸이징 공정에 있어서,
(공정 1)
크릴부(A)의 좌측가장자리(노즐부분)의 10-15본 정도의 원사를 콤반센터인 링식 장력장치(미도시됨)의 링을 이용 장력을 조정하되 나머지 본수보다 -2g정도 장력을 적게 한다. (표 1 참조)
(공정 2)
공정 1을 거치면서 좌측가장자리(노즐부분)의 10-15본이 나머지 본수보다 장력이 -2g 적게 조정된 상태에서 피드를 거쳐 가호부(B)의 싸이즈박스(4)를 통과하면서 싸이즈박스(4)내의 호제를 부착함에 있어 좌측가장자리의 10-15본은 나머지 본수에 비하여 호제 부착율을 0.2-0.5%정도 업(up)되게 한다.
(공정 3)
공정 2를 거치면서 좌측가장자리의 10-15본이 나머지 본수에 비하여 호제 부착율을 0.2-0.5%정도 업되게 호제가 부착된 상태의 원사를 권취부(D)의 테이크업(10)에서 고속권취시 좌측가장자리의 10-15본을 나머지 본수보다 약하게 권취되게 한다.
상기한 바의 공정을 거치면 싸이징 공정이 완료되는 것이며 상기의 개선된 싸이징 공정만으로도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효과는 달성되지만 평바디 피치중 좌측가장자리의 10-15본수의 피치를 나머지 본수의 피치보다 밀도를 조밀하게 즉, 간격을 좁게 한 비이밍 공정까지 거치게 하면 더욱 이상적인 준비공정이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원사로 부터 최종직물을 제직하기 위하여 준비공정을 거치게 되면 제직시 발생하는 마찰, 긴장으로 부터 사를 보호함으로써 제직공정에서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져 제직효율이 향상되는 것일 뿐 아니라 제품의 품질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링식 장력조절장치의 링을 이용하여 크릴부의 좌측 가장자리 10~15본 정도로 나머지 본수보다 2g 정도 장력을 줄여서 호제부착율을 0.2~0.5% 정도 많게 하며, 취부에 남지 본수보다 약한 장력으로 권취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직의 준비공정인 싸이징 공정.
KR1019980013363A 1998-04-08 1998-04-08 직물제직의 준비공정 인 싸이징공정 KR100267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363A KR100267867B1 (ko) 1998-04-08 1998-04-08 직물제직의 준비공정 인 싸이징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363A KR100267867B1 (ko) 1998-04-08 1998-04-08 직물제직의 준비공정 인 싸이징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263A KR19990080263A (ko) 1999-11-05
KR100267867B1 true KR100267867B1 (ko) 2000-12-01

Family

ID=1953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363A KR100267867B1 (ko) 1998-04-08 1998-04-08 직물제직의 준비공정 인 싸이징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78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7365A (ja) * 1982-03-02 1983-11-17 バル・レジナ・エス.ピ−.エ−. 織物製造に使用するため実質上平行なフィラメントからなる熱可塑性連続糸の同時サイジング・ドラフト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7365A (ja) * 1982-03-02 1983-11-17 バル・レジナ・エス.ピ−.エ−. 織物製造に使用するため実質上平行なフィラメントからなる熱可塑性連続糸の同時サイジング・ドラフト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263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28578A (zh) 棉锦交织物的生产方法
KR100267867B1 (ko) 직물제직의 준비공정 인 싸이징공정
JP4518359B2 (ja) 製織方法
CN106400270A (zh) 一种记忆面料的生产工艺
CN111041648A (zh) 一种天丝缎纹织物及其生产方法
US55290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bon fiber woven fabric by water-jet loom
CN102677262A (zh) 一种纯铜氨提花面料及其生产方法
JP2023176734A (ja) 織機
JP3391053B2 (ja) ウォータジェットルームによる炭素繊維織物の製造方法
KR101677021B1 (ko) 에어 제트 직기를 이용한 탄소섬유 고속 제직 장치
JP4543489B2 (ja) 給糸体の解舒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織物の製造方法および加工糸の製造方法。
JP2006176901A (ja) 染色されたチーズパッケージ
US1772945A (en) Production of narrow curvilinear elastic fabric
JP2981278B2 (ja) 交絡糸
WO2015041176A1 (ja) 織機用耳部把持装置、織機および織物の製造方法
JP2796124B2 (ja) 粘着テープ基布の製織方法
JP3039238U (ja) 織機用の全幅テンプル装置
JPH0418146A (ja) 製織方法
JP2964840B2 (ja) 炭素繊維織物の製造方法
JPH05339845A (ja) 合繊強撚糸織物の製造方法
JP2800839B2 (ja) 炭素繊維織物の製造方法
JPH05106137A (ja) タツクイン処理された低伸度繊維織物
JPH0135096B2 (ko)
JPS6269843A (ja) インタ−レ−ス付与方法
ITMI972783A1 (it)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 tessuto e tessuto realizzato secondo ques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