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129B1 - 개선된인터라인전하결합소자고체이미지센서 - Google Patents

개선된인터라인전하결합소자고체이미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129B1
KR100267129B1 KR1019970011274A KR19970011274A KR100267129B1 KR 100267129 B1 KR100267129 B1 KR 100267129B1 KR 1019970011274 A KR1019970011274 A KR 1019970011274A KR 19970011274 A KR19970011274 A KR 19970011274A KR 100267129 B1 KR100267129 B1 KR 100267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layer
type diffusion
conductivity type
impurity concentration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7918A (ko
Inventor
시니찌 가와이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7006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01L27/14831Area CCD imagers
    • H01L27/14843Interline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의 부재를 구비하는 인터라인 고체 이미지 센서를 제공한다.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복수개의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가 설치된다.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는 서로 평행하다. 복수개의 포토다이오드가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각각의 일측을 따라 정렬되어 포토다이오드가 인접한 두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사이에서 정렬된다. 각 포토다이오드는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을 지나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에 접속된다. 각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는 제 1 도전형 확산층과 제 1 도전형 확산층 아래에 뻗어있는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적층을 구비한다.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는 수평 방향으로 뻗어있다.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의 단부와 결합된다. 본 발명은 제 2 도전형 확산층이 수평방향에서 불순물 농도가 가변하여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양측 영역이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중심영역보다 불순물 농도가 높다는 것이 중요하다.

Description

개선된 인터라인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IMPROVED INTERLINE CHARGE COUPLED DEVICE SOLID STATE IMAGE SENSOR}
본 발명은 고체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인터라인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포토다이오드와 수직 전하 결합 레지스터가 독립적으로 설치된 인터라인 전송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러한 고체 이미지 센서는 본 분야에서는 공지되어 있다. 복수개의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가 반도체 기판 (100)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각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는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다. 복수개의 포토다이오드 (101) 가 수직방향으로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각각을 따라 정렬된다. 즉, 포토다이오드 (101) 는 인접한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사이에서 정렬된다. 각 포토다이오드 (101) 는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 (103) 을 지나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에 접속된다. 수평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4) 가 수평 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된다.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 (104) 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102) 의 각 단부와 결합된다. 전하 검출부 (105) 가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 (104) 의 단부에 설치된다. 축력 증폭기 (106) 가 또한 전하 검출부 (15) 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단위화소 (107) 는 파선으로 표시되며 포토다이오드 (101) 및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의 해당 부분을 구비한다.
광이 포토다이오드 (101) 로 입사되면, 포토다이오드 (101) 의 광전 변환이 입사광을 전하로 변환시킨다. 광전변환 전하는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 (103) 을 통해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로 전송된다. 광전 변환된 전하는 또한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 (104) 를 통해 전하 검출부 (105) 로 전송된다. 그런 후, 광전 변환 전하는 출력 증폭기 (106) 를 통해 출력된다.
도 2 는 인터라인 고체 화상센서의 단위화소 (107) 를 도시하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p- 웰 영역 (2) 상에 형성된다. n 형 광전 변환기 (3) 가 p- 웰 영역 (2) 상에 형성된다. n 형 광전 변환기 (3) 는 포토다이오드 (101)를 구성한다. p+ 확산층 (4) 은 암전류의 감소를 위해 n 형 광전변환기 (3) 상에 설치된다.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는 n 형 실리콘 기판 (1) 상의 n 형 확산층 (5) 및 n 형 실리콘 기판 (1) 의 상부영역에서 n 형 확산층 (5) 아래에 놓이는 p 형 확산층 (6) 을 구비한다. 포토다이오드 (101) 와 해당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사이에서,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 (8) 이 설치된다. p+ 형 고립층 (7) 이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 (8) 에 대한 포토다이오드 (101) 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절연막 (9-1) 이 p+ 확산층 (4), n 형 확산층 (5), p+ 고립층 (7) 상에 뻗어서 설치된다. 절연막 (9-1) 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을 구비할 수 있다.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의 전송 게이트 전극 (10) 이 n 형 확산층 (5) 위에서 절연막 (9-1) 위에 설치된다. 전송 게이트 전극 (10) 은 폴리실리콘막을 구비할 수 있다. 절연막 (11) 이 절연막 (9-2) 위에 설치된다. 차광막 (11) 은 텅스텐막 또는 알루미늄막을 구비할 수 있다.
입사광에 의해 발생된 전자가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의 n 형 확산층으로 들어갈 경우,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독출된 전하 또는 전자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를 통해 전송되어 더미신호로서 스미어를 갖는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스미어의 원인 중 한 개는 n 형 확산층 주위의 p- 형 웰에서 발생된 전자가 확산되어 n 형 확산층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전자가 n 형 확산층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p 형 확산층이 n 형 확산층 아래에서 형성되어 전자에 대한 전위장벽을 형성한다. 전위장벽은 전자가 확산되어 n 형 확산층으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한다. 스미어를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는, p 형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를 증가시켜 전위장벽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효율적이다. 하지만, p 형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가 높아질 경우, 전하전송으로 인해 프린지 전계가 약해지기 때문에,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의 전하 전송 효율이 왜곡된다. 프린지 전계의 세기는 전송 게이트 전극 하부의 n 형 확산층의 전위차가 작을 경우, 약해진다. n 형 확산층의 전위차는, 제 1 커패시턴스 (C1) 대 제 2 커패시턴스 (C2) 의 비에 의존하며, 제 1 커패시턴스 (C1) 는 전송 게이트 전극과 n 형 확산층 사이에서 정의되며 제 2 커패시턴스 (C2) 는 n 형 확산층과 p 형 확산층 사이에서 정의된 pn 접합 커패시턴스이다. 제 2 커패시턴스 (C2) 가 제 1 커패시턴스 (C1) 보다 더 클 경우, n 형 확산층의 전위차는 작다. p 형 확산층의 불순물의 농도가 감소될 경우, 제 2 커패시턴스 (C2) 는 증가하여 프린지 전계가 약화된다.
상기한 상황에서, 전하 전송 효율에서 개선을 허용하고 스미어 변형이 거의 없는 신규한 인터라인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임의의 단점이 없는 신규한 인터라인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미어 감소가 거의 없는 신규한 인터라인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신규한 인터라인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포토다이오드와 수직 전하결합 레지스터가 각각 설치된 인터라인 전송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의 평면도.
도 2 는 종래 인터라인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의 단위 화소를 도시하는 부분 정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의 신규한 인터라인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의 단위화소의 부분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리콘 기판 2 : p- 웰 영역
3 : n 형 광전 변환기 4 : p+ 형 확산층
5 : n 형 확산층 6-1 : 제 1 p 형 확산층
6-21 : 제 2 p 형 확산층 6-22 : 제 3 p 형 확산층
7 : p+ 형 전계산화막 8 :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
9-1 : 제 1 절연막 9-2 : 제 2 절연막
10 : 전송 게이트 전극 11 : 차광막
본 발명의 상세한 것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기재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인터라인 고체 이미지 센서를 제공한다. 각각이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복수개의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가 설치된다.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는 서로 평행하다. 복수개의 포토다이오드가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각각의 일측을 따라 정렬되어 포토다이오드가 인접한 두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사이에 정렬된다. 각 포토다이오드는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을 지나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에 접속된다. 각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는 제 1 도전형 확산층과 제 1 도전형 확산층 아래에 뻗어있는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적층을 구비한다.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는 수평 방향으로 뻗어있다.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의 단부와 결합된다. 본 발명은 제 2 도전형 확산층이 수평방향에서 불순물 농도가 가변하여,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양측 영역이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중심영역보다 불순물 농도가 높다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인터라인 고체 이미지 센서의 반도체 기판의 상부 영역에서 형성된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를 제공한다.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는 제 1 도전형 확산층과 제 1 도전형 확산층 아래에 뻗어있는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적층을 구비하며, 제 2 도전형 확산층은 폭 방향에서 불순물 농도가 가변하여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양측 영역이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중심영역 보다 불순물 농도가 더 높다.
제 2 도전형 확산층은 제 1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1 영역, 제 1 영역의 제 1 측부와 접속하여 뻗어있으며, 제 1 불순물 농도보다 높은 제 2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2 영역, 및 제 1 영역의 제 2 측부와 접속하여 뻗어있으며, 제 1 불순물 농도 보다 높은 제 3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3 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및 제 3 불순물 농도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불순물 농도는 대략 0.8 x 1016cm-3이며, 제 2 및 제 3 불순물 농도는 대략 2.0 x 1016cm-3이며, 제 1 도전형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는 대략 1.0 x 1017cm-3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제 1 불순물 농도는 대략 1.2 x 1016cm-3이며, 제 2 및 제 3 불순물 농도는 대략 2.0 x 1016cm-3이며, 제 1 도전형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는 대략 1.0 x 1017cm-3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제 2 도전형 확산층은 그의 양측편에서 불순물 농도가 증가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주 캐리어는 전자이며 제 1 도전형은 n 형이며, 제 2 도전형은 p 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인터라인 고체 이미지 센서를 제공한다.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복수개의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가 설치된다.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는 서로 평행하다. 복수개의 포토다이오드가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각각의 일측을 따라 정렬되어 포토다이오드가 인접한 두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사이에 정렬된다. 각 포토다이오드는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을 지나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에 접속된다. 각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는 제 1 도전형 확산층과 제 1 도전형 확산층 아래에 뻗어있는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적층을 구비한다.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는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다.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제리스터의 단부와 결합된다. 본 발명은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적층을 구비한다.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는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다.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의 단부와 결합된다. 본 발명은 제 2 도전형 확산층은 수평방향으로 불순물 농도가 가변하여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양측 영역이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중심영역보다 불순물 농도가 높다는 것이 중요하다.
제 2 도전형 확산층은 제 1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1 영역, 제 1 영역의 제 1 측부와 접촉하여 뻗어 있으며, 제 1 불순물 농도보다 높은 제 2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2 영역, 및 제 1 영역의 제 2 측부와 접촉하여 뻗어 있으며, 제 1 불순물 농도보다 높은 제 3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3 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및 제 3 불순물 농도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불순물 농도는 대략 0.8 x 1016cm-3이며, 제 2 및 제 3 불순물 농도는 대략 2.0 x 1016cm-3이며, 제 1 도전형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는 대략 1.0 x 1017cm-3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제 1 불순물 농도는 대략 1.2 x 1016cm-3이며, 제 2 및 제 3 불순물 농도는 대략 2.0 x 1016cm-3이며, 제 1 도전형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는 대략 1.0 x 1017cm-3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제 2 도전형 확산층은 그의 양측편에서 불순물 농도가 증가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주 캐리어는 전자이며 제 1 도전형은 n 형이며, 제 2 도전형은 p 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은 전하 전송 효율의 개선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스미어 변형이 거의 없는 신규한 인터라인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의 단위화소를 도시하는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재된다.
신규한 인터라인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는 도 1 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복수개의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가 반도체 기판 (100) 상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각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는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다. 복수개의 포토다이오드 (101) 가 수직 ??향에서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를 따라 정렬된다. 즉, 포토다이오드 (101) 가 인접한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사이에서 정렬된다. 각 포토다이오드 (101) 는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 (103) 을 지나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에 접속된다.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 (104) 가 수평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된다.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 (104) 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의 각 단부와 결합된다. 전하 검출부 (105) 가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 (104) 의 단부에 설치된다. 출력 증폭기 (106) 가 또한 설치되어 전하 검출부 (105) 에 결합된다. 단위화소 (107) 는 파선으로 표시되며 포토다이오드 (101) 와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의 해당 부분을 구비한다.
광이 포토다이오드 (101) 로 입사되면, 포토다이오드 (101) 의 광전 변환이 입사광을 전하로 변환시킨다. 광전 변환 전하는 전하 독출 게이드 영역 (103)을 통해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로 전송된다. 광전 변환 전하는 또한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 (104) 를 통해 전하 검출부 (105) 로 전송된다. 광전 변환 전하는 출력 증폭기 (106)를 통해 출력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p-웰 영역 (2) 이 n 형 실리콘 기판 (1) 상에 형성된다. n 형 광전 변환기 (3) 가 p 웰 영역 (2) 상에 형성된다. n 형 광전 변환기 (3) 포토다이오드 (101) 를 구성한다. p+ 확산층 (4) 이 암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n 형 광전 변환기 (3) 상에 설치된다.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는 n 형 실리콘 기판 (1) 상의 n 형 확산층 (5) 및 n 형 실리콘 기판 (1) 의 상부 영역에서 n 형 확산층 (5) 아래에 놓이는 p 형 확산층을 구비한다.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의 p 형 확산층은 제 1 p 형 확산층 (6-1), 제 1 p 형 확산층 (6-1) 의 제 1 측부와 접촉하며 뻗어있는 제 2 p 형 확산층 (6-21), 및 제 1 p 형 확산층 (6-1) 의 제 2 측부와 접촉하며 뻗어있는 제 3 p 형 확산층 (6-22) 을 구비한다. 제 1 p 형 확산층 (6-1) 은 제 2 및 제 3 p 형 확산층 (6-21, 6-22) 사이에서 뻗어 있으며, 제 1 p 형 확산층 (6-1) 은 제 2 및 제 3 p 형 확산층 (6-21, 6-22) 보다 더 낮은 불순물 농도를 갖는다.
포토다이오드 (101) 와 해당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사이에서,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 (8) 이 설치된다. p+ 형 고립층 (7) 이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 (8) 에 대해 포토다이오드 (101) 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절연막 (9-1) 이 p+ 형 확산층 (4), n 형 확산층 (5), p+ 형 고립층 (7) 및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 (8) 상에 뻗어서 형성된다. 절연막 (9-1) 이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을 구비할 수 있다.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의 전송 게이트 전극 (10) 이 n 형 확산층 (5) 위에서 절연막 (9-1) 상에 설치된다. 전송 게이트 전극 (10) 은 폴리실리콘막을 구비할 수 있다. 절연막 (9-2) 은 또한 전송 게이트 전극 (10) 위에 설치된다. 차광막 (11) 이 또한 절연막 (9-2) 위에 설치된다. 차광막 (11) 은 텅스텐막 또는 알루미늄막을 구비할 수 있다.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독출되는 전하 또는 전자가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이미지 센서에서, n 형 확산층 (5) 근처의 p- 형 웰 (2) 에서 발생된 전자는 p 형 확산층 (6) 을 통해 n 형 확산층 (5) 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특히, n 형 광전 변환기 (3) 에 인접하여 있는 p 형 확산층의 양측 영역을 통하여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서,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의 p 형 확산층의 양측 영역은 불순물 농도가 증가하여 n 형 확산층 근처에서 p 형 웰 (2) 에서 발생된 전자가 n 형 확산층 (5) 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상승된 전위장벽을 갖는 p 형 확산층의 양측 영역을 설치한다. p 형 확산층의 이러한 전위장벽 구조물은 스미어가 나타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전하 전송 효율은 프린지 전계의 강도에 의존한다. 전송 채널의 중심부에서, 제 2 및 제 3 p 형 확산층 (6-21, 6-22) 보다 물순물 농도가 낮은 제 1 p 형 확산층 (6-1) 이 설치된다. n 형 확산층 (5) 과 제 2 p 형 확산층 (6-21) 사이의 공간 전하 영역은 두께가 크다. n 형 확산층 (5) 과 제 3 p 형 확산층 (6-22) 사이의 공간전하 영역도 또한 두께가 크다. 따라서, 단위 영역당 pn 접합 커패시턴스가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전송 게이트 전극 (10) 과 n 형 확산층 (5) 사이에서 단위 영역당 커패시턴스는 크게 된다. 이것은 전송 게이트의 전위일 경우, 신호전하가 축적되는 n 형 확산층 (5) 의 일부의 전위변화를 크게 만든다. 결국, 전하 전송시 전송 채널 중심부의 프린지 전계가 크게 되어 전송 효율이 크게 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제 1 p 형 확산층 (6-1) 은 불순물 농도가 대략 0.8 x 1016cm-3이다. 제 2 및 제 3 p 형 확산층 (6-21, 6-22) 은 불순물 농도가 대략 2.0 x 1016cm-3이다. 제 1 p 형 확산층 (6-1) 은 폭이 1㎛ 이다. 제 2 및 제 3 p 확산층 (6-21, 6-22) 의 폭은 1㎛ 이다. n 형 확산층은 불순물 농도가 대략 0.8 x 1017cm-3이며, 깊이가 0.6 ㎛ 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신호량 10mV 에 대한 전송 잔류가 0.1 mV 이었다.
종래 이미지 센서에서, p 형 확산층 (6) 은 2.0 x 1016cm-3의 균일한 불순물 농도를 갖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신호량 10mV 에 대한 전송 잔류가 1mV 였다. 따라서, 이 종래 p 형 확산층 (6) 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송오차로 인해 전송되는 잔류 신호의 양은 종래 p 형 확산층 (6) 이 설치될 경우의 약 10 분의 1 로 감소한다.
반면에, 인접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된 전자의 확산에 의해 상승된 스미어를 갖는다는 문제점에 대해, 본 발명에 따라, 제 1 p 형 확산층 (6-1)을 끼우고 있는 제 2 및 제 3 p 형 확산층 (6-21, 6-22) 은 2.0 x 1016cm-3 의증가된 불순물 농도를 가지기 때문에 전자에 대한 고전위 장벽을 설치하여, 포토다이오드의 근처에서 발생된 전자가 전자에 대한 고전위 장벽을 갖는 제 2 및 제 3 p 형 확산층 (6-21, 6-22) 을 통해 n 형 확산층 (5) 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은 이미지 센서가 스미어 문제점을 갖지 않게 한다.
따라서, 제 1 p 형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가 감소하여 프린지 전계를 증가시키며 제 1 p 형 확산층을 끼우고 있는 제 2 및 제 3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가 증가하여 스미어를 감소시키며 전하 전송 효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는 전하 전송 효율의 개선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스미어 변형이 거의 없는 신규한 인터라인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의 단위화소를 도시하는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재된다.
신규한 인터라인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는 도 1 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복수개의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가 반도체 기판 (100) 상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각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는 수직 방향으로 뻗어있다. 복수개의 포토다이오드 (101) 가 수직방향에서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를 따라 정렬된다. 즉, 포토다이오드 (101) 가 인접한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사이에서 정렬된다. 각 포토다이오드 (101) 는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 (103) 을 지나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에 접속된다.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 (104) 가 수평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된다.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 (104) 는 수직 전하 결합 레지스터 (102) 의 각 단부와 결합된다. 전하 검출부 (105) 가 수평 전하 결합 레지스터 (104) 의 단부에 설치된다. 출력 증폭기 (106) 가 또한 설치되어 전하 검출부 (105) 에 결합된다. 단위화소 (107) 는 파선으로 표시되며 포토다이오드 (101) 와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의 해당부분을 구비한다.
광이 포토다이오드 (101) 로 입사되며, 포토다이오드 (101) 의 광전 변환이 입사광을 전하로 변환시킨다. 광전 변환 전하는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 (103)을 통해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4) 를 통해 전하 검출부 (105) 로 전송된다. 광전 변화 전하는 출력 증폭기 (106) 를 통해 출력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p-웰 영역 (2) 이 n 형 실리콘 기판 (1) 상에 형성된다. n 형 광전 변환기 (3) 가 p 웰 영역 (2) 상에 형성된다. n 형 광전 변환기 (3) 는 포토다이오드 (101) 를 구성한다. p+ 확산층 (4) 이 암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n 형 광전 변환기 (3) 상에 설치된다.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는 n 형 실리콘 기판 (1) 상의 n 형 확산층 (5) 및 n 형 실리콘 기판 (1) 의 상부 영역에서 n 형 확산층 (5) 아래에 놓이는 p 형 확산층을 구비한다.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의 p 형 확산층은 제 1 p 형 확산층 (6-1), 제 1 p 형 확산층 (6-1) 의 제 1 측부와 접촉하며 뻗어있는 제 2 p 형 확산층 (6-21), 및 제 1 p 형 확산층 (6-1) 의 제 2 측부와 접촉하며 뻗어있는 제 3 p 형 확산층 (6-22) 을 구비한다. 제 1 p 형 확산층 (6-1) 은 제 2 및 제 3 p 형 확산층 (6-21, 6-22) 사이에서 뻗어 있으며, 제 1 p 형 확산층 (6-1) 은 제 2 및 제 3 p 형 확산층 (6-21, 6-22) 보다 더 낮은 불순물 농도를 갖는다.
포토다이오드 (101) 와 해당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사이에서,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 (8) 이 설치된다. p+ 형 고립층 (7) 이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 (8) 에 대해 포토다이오드 (101) 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절연막 (9-1) 이 p+ 형 확산층 (4), n 형 확산층 (5), p+ 형 고립층 (7) 및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 (8) 상에 뻗어서 형성된다. 절연막 (9-1) 이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을 구비할 수 있다.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의 전송 게이트 전극 (10) 이 n 형 확산층 (5) 위에서 절연막 (9-1) 상에 설치된다. 전송 게이트 전극 (10) 은 폴리실리콘막을 구비할 수 있다. 절연막 (9-2) 은 또한 전송 게이트 전극 (10) 위에 설치된다. 차광막 (11) 이 또한 절연막 (9-2) 위에 설치된다. 차광막 (11) 은 텅스텐막 또는 알루미늄막을 구비할 수 있다.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독출되는 전하 또는 전자가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이미지 센서에서, n 형 확산층 (5) 근처의 p- 형 웰 (2) 에서 발생된 전자는 p 형 확산층 (6) 을 통해 n 형 확산층 (5) 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특히. n 형 광전 변환기 (3) 에 인접하여 있는 p 형 확산층의 양측 영역을 통하여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서,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02) 의 p 형 확산층의 양측 영역은 불순물 농도가 증가하여 n 형 확산층 근처에서 p 형 웰 (2) 에서 발생된 전자가 n 형 확산층 (5) 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상승된 전위장벽을 갖는 p 형 확산층의 양측 영역을 설치한다. p 형 확산층의 이러한 전위장벽 구조물은 스미어가 나타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전하 전송 효율은 프린지 전계의 강도에 의존한다. 전송 채널의 중심부에서, 제 2 및 제 3 p 형 확산층 (6-21, 6-22) 보다 물순물 농도가 낮은 제 1 p 형 확산층 (6-1) 이 설치된다. n 형 확산층 (5) 과 제 2 p 형 확산층 (6-21) 사이의 공간 전하 영역은 두께가 크다. n 형 확산층 (5) 과 제 3 p 형 확산층 (6-22) 사이의 공간전하 영역도 또한 두께가 크다. 따라서, 단위 영역 당 pn 접합 커패시턴스가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전송 게이트 전극 (10) 과 n 형 확산층 (5) 사이에서 단위 영역 당 커패시턴스는 크게 된다. 이것은 전송 게이트의 전위일 경우, 신호전하가 축적되는 n 형 확산층 (5) 의 일부의 전위변화를 크게 만든다. 결국, 전하 전송시 전송 채널 중심부의 프린지 전계가 크게 되어 전송 효율이 크게 된다.
제 2 실시예에서, 제 1 p 형 확산층 (6-1) 은 불순물 농도가 대략 1.2 x 1016cm-3이다. 제 2 및 제 3 p 형 확산층 (6-21, 6-22) 은 불순물 농도가 대략 2.0 x 1016cm-3이다. 제 1 p 형 확산층 (6-1) 은 폭이 1㎛ 이다. 제 2 및 제 3 p 확산층 (6-21, 6-22) 의 폭은 1㎛ 이다. n 형 확산층은 불순물 농도가 대략 0.8 x 1017cm-3이며, 깊이가 0.6 ㎛ 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신호량 10mV 에 대해 전송 잔류가 0.2 mV 이었다.
종래 이미지 센서에서, p 형 확산층 (6) 은 2.0 x 1016cm-3의 균일한 불순물 농도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량 10 mV 에 대해 전송 잔류가 1mV 이었다. 따라서, 이 종래 p 형 확산층 (6) 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송오차로 인해 전송되는 잔류 신호의 양은 종래 p 형 확산층 (6) 이 설치될 경우의 약 5 분의 1 로 감소한다.
반면에, 인접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된 전자의 확산에 의해 상승된 스미어를 갖는다는 문제점에 대해, 본 발명에 따라, 제 1 p 형 확산층 (6-1)을 끼우고 있는 제 2 및 제 3 p 형 확산층 (6-21, 6-22) 은 2.0 x 1016cm-3 의증가된 불순물 농도를 가지기 때문에 전자에 대한 고전위 장벽을 설치하여, 포토다이오드의 근처에서 발생된 전자가 전자에 대한 고전위 장벽을 갖는 제 2 및 제 3 p 형 확산층 (6-21, 6-22)을 통해 n 형 확산층 (5) 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은 이미지 센서가 스미어 문제점을 갖지 않게 한다.
따라서, 제 1 p 형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가 감소하여 프린지 전계를 증가시키며 제 1 p 형 확산층을 끼우고 있는 제 2 및 제 3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가 증가하여 스미어를 감소시키며 전하 전송 효율을 개선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p 형 확산층 (6-1) 의 불순물 농도가 제 1 실시예의 불순물 농도보다 높기 때문에, 전하 전송 효율이 제 1 실시예에 비해 어느 정도 왜곡된다. 하지만, 제 2 실시예의 이미지 센서의 최대 전하 전송량은 제 1 실시예의 1.2 배이다.
본 발명의 변형물은 본 발명이 부속하고 잇는 기술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하지만, 도면을 통해 도시되고 기재된 바와 같은 실시예는 한정적인 의미로 고려될 의도는 없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의 본 발명의 변형물은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되어야 한다.
스미어 변형이 거의 없으며, 전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신규한 인터라인 전하결합소자 고체 이미지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제 1 도전형 반도체 기판의 표면부에 설치된 제 2 도전형 웰 내에 형성된 제 1 도전형 확산층과,
    상기 제 1 도전형 확산층의 하부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확산층과,
    상기 제 1 도전형 확산층의 표면에 절연막을 통하여 배열된 복수의 전송 게이트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도전형 확산층은 불순물의 농도가 폭방향으로 가변하여, 상기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양측의 영역이, 상기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중심영역보다, 불순물의 농도가 높으며,
    상기 제 2 도전형 확산층은
    제 1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1 영역,
    상기 제 1 영역의 제 1 측부와 접속하여 뻗어 있으며, 상기 제 1 불순물 농도보다 높은 제 2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의 제 2 측부와 접촉하여 뻗어 있으며, 상기 제 1 불순물 농도보다 높은 제 3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3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불순물 농도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불순물 농도는 0.8 x 1016cm-3이며, 상기 제 2 및 제 3 불순물 농도는 2.0 x 1016cm-3이며, 상기 제 1 도전형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는 1.0 x 1017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불순물 농도는 1.2 x 1016cm-3이며, 상기 제 2 및 제 3 불순물 농도는 2.0 x 1016cm-3이며, 상기 제 1 도전형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는 1.0 x 1017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 확산층은 그의 양측편에서 불순물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주 캐리어는 전자이며 상기 제 1 도전형은 n 형이며, 상기 제 2 도전형은 p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7. 수직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와,
    상기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의 각각의 일측을 따라서 정렬되어 인접한 두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사이에서 정렬되며, 전하 독출 게이트 영역을 지나 상기 수직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각각에 접속되는 포토다이오드와,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평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와,
    수평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로부터의 전하를 검출하는 전하검출부와,
    출력증폭기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는 제 1 도전형 반도체 기판의 표면부에 설치된 제 2 도전형 웰 내에 형성된 제 1 도전형 확산층과,
    상기 제 1 도전형 확산층의 하부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확산층과,
    상기 제 1 도전형 확산층의 표면에 절연막을 통하여 배열된 복수의 전송 게이트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도전형 확산층은 불순물 농도가 폭방향으로 가변하여, 상기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양측 영역이 상기 제 2 도전형 확산층의 중심영역보다 불순물 농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라인 고체 이미지 센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 확산층은
    제 1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1 영역,
    상기 제 1 영역의 제 1 측부와 접촉하며 뻗어 있으며, 상기 제 1 불순물 농도보다 높은 제 2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의 제 2 측부와 접촉하며 뻗어 있으며, 상기 제 1 불순물 농도보다 높은 제 3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3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라인 고체 이미지 센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불순물 농도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라인 고체 이미지 센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불순물 농도는 0.8 x 1016cm-3이며, 상기 제 2 및 제 3 불순물 농도는 2.0 x 1016cm-3이며, 상기 제 1 도전형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는 1.0 x 1017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불순물 농도는 1.2 x 1016cm-3이며, 상기 제 2 및 제 3 불순물 농도는 2.0 x 1016cm-3이며, 상기 제 1 도전형 확산층의 불순물 농도는 1.0 x 1017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하결합소자 레지스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 확산층은 그의 양측편에서 불순물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라인 고체 이미지 센서.
  13. 제 7 항에 있어서, 주 캐리어는 전자이며 상기 제 1 도전형은 n 형이며, 상기 제 2 도전형은 p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라인 고체 이미지 센서.
KR1019970011274A 1996-03-28 1997-03-28 개선된인터라인전하결합소자고체이미지센서 KR100267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74091 1996-03-28
JP8074091A JPH09266296A (ja) 1996-03-28 1996-03-28 固体撮像装置
JP9674091 199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918A KR970067918A (ko) 1997-10-13
KR100267129B1 true KR100267129B1 (ko) 2000-10-16

Family

ID=1353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274A KR100267129B1 (ko) 1996-03-28 1997-03-28 개선된인터라인전하결합소자고체이미지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28091A (ko)
JP (1) JPH09266296A (ko)
KR (1) KR100267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622B1 (ko) * 1995-12-11 1999-06-15 구본준 고체촬상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192954B1 (ko) * 1996-07-18 1999-06-15 김광호 수직형 전달게이트를 가지는 전하결합형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6815791B1 (en) * 1997-02-10 2004-11-09 Fillfactory Buried, fully depletable, high fill factor photodiodes
US7199410B2 (en) * 1999-12-14 2007-04-03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Belgium) Bvba Pixel structure with improved charge transfer
US6333526B1 (en) * 1997-11-27 2001-12-25 Nec Corporation Charge transfer device and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NL1011381C2 (nl) 1998-02-28 2000-02-15 Hyundai Electronics Ind Fotodiode voor een CMOS beeldsensor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US6480305B1 (en) 1999-05-25 2002-11-12 Hewlett-Packard Company Imaging device
KR100388803B1 (ko) 1999-07-14 2003-07-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체 촬상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6627475B1 (en) 2000-01-18 2003-09-3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Buried photodiode structure for CMOS image sensor
JP2004140258A (ja) * 2002-10-18 2004-05-13 Sanyo Electric Co Ltd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808022B1 (en) 2005-03-28 2010-10-0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ross talk reduction
US7750958B1 (en) 2005-03-28 2010-07-06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Pixel structure
US8476567B2 (en) 2008-09-22 2013-07-02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Active pixel with precharging circuit
JP4784655B2 (ja) 2009-01-26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2169211A1 (ja) 2011-06-09 2012-12-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学素子とその製造方法
US8878256B2 (en) 2013-01-07 2014-11-0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Image sensors with multiple output structures
US8878255B2 (en) 2013-01-07 2014-11-0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Image sensors with multiple output structur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256A (ja) * 1984-07-17 1986-02-05 Hitachi Ltd 固体撮像素子
JPH03190272A (ja) * 1989-12-20 1991-08-20 Matsushita Electron Corp 固体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011B2 (ja) * 1991-06-28 2000-06-0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荷結合素子
JP3160382B2 (ja) * 1992-08-27 2001-04-25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KR100306088B1 (ko) * 1993-04-09 2001-12-15 이데이 노부유끼 씨씨디(ccd)고체촬상소자및전하결합소자
US5656875A (en) * 1993-12-27 1997-08-12 Adam Hutson Research Creating independance via electronically presented information segments
JP2848268B2 (ja) * 1995-04-20 1999-01-20 日本電気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256A (ja) * 1984-07-17 1986-02-05 Hitachi Ltd 固体撮像素子
JPH03190272A (ja) * 1989-12-20 1991-08-20 Matsushita Electron Corp 固体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28091A (en) 1998-10-27
KR970067918A (ko) 1997-10-13
JPH09266296A (ja) 1997-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129B1 (ko) 개선된인터라인전하결합소자고체이미지센서
EP0173542B1 (en) A solid-state image sensor
US8004019B2 (en)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JP3766734B2 (ja) 固体撮像素子
US5736756A (en) Solid-state image sensing device with lght shielding film
US5070380A (en) Transfer gate for photodiode to CCD image sensor
EP0224993A1 (en) A method of operating a solid-state image sensor
EP0908956B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apparatus and image sensor
US5349215A (en) Antiblooming structure for solid-state image sensor
KR960002645B1 (ko) 전하 전송장치 및 고체 촬상장치
JP2866328B2 (ja) 固体撮像素子
EP0605958B1 (en) Solid state imaging device having high-sensitivity and low-noise characteristics by reducing electrostatic capacity of interconnection
KR100233185B1 (ko) 인터라인 전달 ccd 이미지 센서의 화소배열구조를 가진 고체촬상장치
JP3284986B2 (ja) 光電変換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体撮像装置
JP2521789B2 (ja) 固体撮像装置の感光部構造
US6723994B2 (en) Semiconductor energy detector
JP3047965B2 (ja) 固体撮像装置
KR100204914B1 (ko) 고체촬상소자의 신호검출장치
JPH01168059A (ja) 固体撮像素子
JP4807719B2 (ja) Ccd型撮像装置
KR0172833B1 (ko) 고체촬상소자
JPH0774336A (ja) 固体撮像素子
JPS6255961A (ja) 固体撮像装置
GB2248341A (en) Infra-red radiation imaging device arrangements
JPH057094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