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489B1 - 전기부품용 소켓 - Google Patents

전기부품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489B1
KR100265489B1 KR1019970009395A KR19970009395A KR100265489B1 KR 100265489 B1 KR100265489 B1 KR 100265489B1 KR 1019970009395 A KR1019970009395 A KR 1019970009395A KR 19970009395 A KR19970009395 A KR 19970009395A KR 100265489 B1 KR100265489 B1 KR 100265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ocket
contact pin
cover
electrica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047A (ko
Inventor
히사오 오시마
다까유끼 야마따
도시히꼬 세끼구찌
Original Assignee
요코다 마코도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7045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0252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256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690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07678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66045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838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09746B2/ja
Application filed by 요코다 마코도,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filed Critical 요코다 마코도
Publication of KR970068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05K7/1015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exterior leads
    • H05K7/1023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exterior leads co-operating by abutting, e.g. flat p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전기부품용 소켓은 전기부품을 재치하기 위한 재치면을 가진 소켓본체와, 소켓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접촉부와 트리거부와 스프링부를 갖는 콘택트핀과 소켓본체상에 오르고 내림이 자유롭게 걸쳐진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의 전기부품의 리드와 접촉하는 단연은 리드의 단연에 대하여 비스듬이 형성되어 있다, 트리거부와 스프링부는 소켓본체의 안쪽으로 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의 소켓본체의 안쪽으로 향해서 돌출된 부분의 폭은 콘택트핀의 기부로 향해서 차츰 불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리드에 대한 콘택트핀의 높은 접촉 압력과 충분한 와이핑작용이 보증되고 장기간에 걸쳐 높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전기부품용 소켓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부품용 소켓
본 발명은 IC패키지 등의 전기부품의 검사나 회로기판에의 실장에 사용되는 전기부품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전기부품을 재치(얹어놓은)하기 위한 재치면을 설치한 소켓본체와, 소켓본체에 열설되어 있고 기부와 접촉부와 트리거부와 호상 스프링부를 가진 다수의 콘택트핀과 소켓 본체상에 오르고 내림을 자유롭게 걸쳐진 커버를 구비하고, 커버를 눌러내리므로써 압동되는 상기 트리거부를 통하여 콘택트핀을 그의 습성에 버티면서 외방으로 이동시켜서 커버의 상방으로부터를 상기 재치면상에 전기부품을 재치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눌러 내려진 커버의 압압을 해제함으로써 콘택트핀을 복원시켜서 소켓본체의 재치면상에 놓여진 전기부품의 리드에 콘택트핀의 접촉부를 압접시키도록한 소위 오픈톱식의 전기부품용 소켓은 종래부터 각종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도1은 그1예를 표시한 좌측절반의 절단측면도이다. 도면 중 1은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안내홈(1a)과 재치대(1b)를 가진 평면형상이 구형을 이룬 소켓 본체, 그는 안내홈(1a)에 미끄러져 움직일수 있게 끼워 넣어진 필러(pillar)(2a)와, 뒤에서 설명하는 콘택트핀의 일부와 미끄러져 접하는 캠(2b)을 가진 좌우대칭의 틀형을 이루는 커버, 3은 커버(2)에 상방이동습성을 부여하는 스프링, 4는 접촉부(4a)와 커버(2)의 캠(2b)에 미끄러져 접하는 트리거부(4b)와, 원호상의 스프링부(4c)와, 소켓본체(1)에 형성된 다수의 절연리브 사이에 끼워장치된 기부(4d)와, 소켓본체에 뚫어 설치된 구멍에 끼워 관통 고정된 접속단자부(4e)를 가진 콘택트핀, P는 장전시 소켓본체(1)의 재치대(1b)위에 재치되어서, 콘택트핀(4)의 접촉부(4a)와 접촉하는 리드(L)를 가진 IC패키지 등의 전기부품이다. 또한 커버(2)는 소켓본체(1)와의 사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걸림기구(mechanism)에 의해 상방이동이 도시한 위치로 제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전기부품(P)의 도시위치로의 장전 및 도시위치로부터의 꺼내는 것은 커버(2)를 스프링(3)에 버티면서 눌러 내림으로써 실시된다. 즉 도시위치로부터 커버(2)를 눌러 내리면 캠(2b)은 스프링부(4c)의 탄력에 버티면서 트리거부(4b)를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외방으로 변위시키고, 동시에 접촉부(4a)도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외방으로 이동하여, 전기부품(P)의 리드(D가 점할 위치까지 퇴피한다. 이 외방으로의 퇴피운동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콘택트핀(4)과 대칭으로 배치된 좌측의 콘택트핀에 있어서도 실시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전기부품(P)을 재치대(1b)위로 삽입하거나 혹은 재치대(lb)위로 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케 된다. 그후 커버(2)압압을 해제함으로써 커버(2)는 스프링(3)의 복원력에 의해 또 콘택트핀(4)은 자체의 습성에 의해 각각 실선위치로 복귀하고 전기부품(P)의 장전 또는 꺼내는 것이 완결된다.
그런데 위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종래의 전기부품용 소켓에 있어서는 통상, 콘택트핀의 트리거부(4b)는 소켓본체(1)의 중심으로 부터 떨어진 위치 즉, 소켓본체의 외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소켓본체를 작게 구성하는 경우 불리하다. 따라서 소켓본체를 소형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트리거부를 안쪽으로 향하게 해서 설치하는 것이 고려되나, 이와같이 하는 경우 소켓내부의 구성상의 제한 때문에 콘택트핀(4)의 회전운동중심은 소켓본체(1)의 중심하방으로 다가서지 않을 수 없고, 그 때문에 커버(2)를 눌러 내릴 때에 있어서의 접촉부(4a)의 개각도가 작아지고 커버(2)의 압압 해제에 수반하는 콘택트핀의 복원시에 접촉부(4a)가 전기부품(P)의 리드(L)에 걸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 이 종류의 전기부품용 소켓에 있어서는 콘택트핀(4)의 접촉부(4a)와 전기부품(P)의 리드(L)와의 접촉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장전시, 접촉부(4a)를 리드(L)위에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는 소위 와이핑이 필요케 된다. 이 와이핑을 크게하기 위해서는 커버(2)의 압압 해제시에 있어서의 접촉부(4a)의 리드(L)에 대한 진입각(θ)(도2)을 가급적 작게 하는 것이 필요케 된다. 그러나 종래 이 진입각(θ)을 작게 하면 접촉부(4a)가 리드(L)의 단면에 충돌하고 (도2 참조), 접촉부(4a)가 리드(2)위로 원활하게 자리잡지 않는다는 사태가 생기는 일이 있었다.
또 IC패키지 등의 전기부품의 양산 현장에 있어서, 이 종류의 소켓을 사용하여 생산된 전기부품의 성능검사 등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커버(2)의 압압 및 압압해제의 조작이 빈번히 실시되고 그 결과 콘택트핀(4)도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와 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빈번하게 요동시키게된다. 일반적으로 콘택트핀(4)은 베릴률구리와 같은 도전성의 박판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반복하여 실시되는 콘택트핀(4)의 요동운동에 의해 특히 원호상의 스프링부(4c)에는 응력이 생기기 쉽다.
종래의 소켓에 사용되고 있는 콘택트핀(4)에 있어서는 호상의 스프링부(4c)의 폭이 일정하다. 이 때문에 종래의 콘택트핀에 있어서는 호상의 스프링부(4c)의 특정의 부위에 응력집중이 생기기 쉽고 따라서 호상의 스프링부(4c)가 절단되는 율은 극히 높았었다. 절단으로 이르지 않더라도 호상의 스프링부(4c)의 탄력이 저하하고, 그 때문에 IC패키지(P)의 리드선(L)에 대한 접촉압력이 저하하여 전기부품의 검사나 성능시험에 지장을 가져오는 일이 많았었다.
도3은 종래의 콘택트핀의 응력분포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구한 도이다. 해칭을 한 영역(R1,R2)이 높은 응력이 집중되어 있는 영역이다. 응력집중은 호상의 스프링부(4c)에 따라 생기고, 또한 접촉부(4a)와 트리거부(4b)와의 결합부분으로부터 기부(4d)로 향해서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소형화를 위하여 콘택트핀의 트리거 일부를 소켓 본체의 안쪽으로 향하게 해서 설치한 경우에도, 커버의 압압에 수반하는 콘택투핀의 접촉부의 상방 외방으로의 개 각도를 충분히 크게 할 수가 있도록 한 전기부품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며, 또한 전기부품의 리드선에 대한 높은 접촉압력을 보증할 수 있는 콘택트핀을 구비한 전기부품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전기부품의 장전시, 콘택트핀의 접촉부가 전기부품의 리드선상에 원활하게 올라타고, 또한 층분한 와이핑 작용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한 전기부품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부품용 소켓에 있어서는 콘택트핀의 스프링부는 소켓본체의 안쪽으로 향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트리거부는 소켓본체의 안쪽으로 향해서 설편상으로 뻗어나가거나, 또는 소켓본체의 안쪽으로 향해서 볼록한 호상(arc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에 캠면을 설치하고, 커버를 눌러 내렸을 때 이 캠면과 상기 트리거부와의 행동작용에 의해 콘댁트핀을 외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소켓본체위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걸쳐져 있고, 상기 캠면과 상기 트리거부에 맞닿는 슬라이더를 설치하여, 커버를 눌러내렸을 때, 상기 캠면과 슬라이더와의 협동작용에 의해 콘택트핀을 외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부품용 소켓은 콘택트핀의 스프링부를 소켓본체의 안쪽으로 행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형성시키는 동시에 트리거부를 상기 스프링부에 연속해서 소켓본체의 안쪽으로 행해서 볼록한 호상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택트핀의 트리거부와 접촉부와의 결합영역을 이접촉부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시켜서 이 결합영역의 연장단을 소켓본체위로 자리잡게 하고, 콘택트핀의 왕복 동시에 상기 접촉부가 상기 연장단과 소켓본체와의 접촉점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부품용 소켓용에 있어서는 콘택트핀의 호상 스프링부는 그의 상단부로 부터 하단부로 향해서 폭이 점증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부품용 소켓에 있어서는 콘택트핀의 접촉부의 전기부품의 리드와의 접촉단연은 리드의 단연의 상측 면위로 올라타도록 리드의 상측면에 대하여 비스듬이 형성되어 있다.
도1은 종래의 전기부품용 소켓의 1예의 좌측절반을 절단하여 표시한 측면도.
도2는 도1에 표시한 소켓에 짜넣어진 콘택트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정면도.
도3은 종래의 콘택트핀에 발생하는 응력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부품용 소켓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
도5는 도4의 V-V선 단면도.
도6은 도4의 VI-VI선 단면도.
도7은 도5에 표시한 콘택트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확대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부품용 소켓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도7과 동일한 일부확대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부품용 소켓의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도5와 동일한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부품용 소켓의 제4실시예를 표시하는 도5와 동일한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부품용 소켓의 제5실시예를 표시하는 도5와 동일한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부품용 소켓의 제6실시예를 표시하는 도5와 동일한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핀의 제1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정면도.
도14는 도13에 표시한 콘택트핀의 작동해석도.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핀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16은 도15에 표시한 콘택트핀에 발생하는 응력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켓본체 1a : 안내홈
1b : 재치대 2 : 커버
2a : 필터 2b : 캠
3 : 스프링 4 : 콘택트핀
5 : 슬라이더 5a : 슬릿
P : 전기부품 L : 리드
도4 내지 도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 도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 및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캠(2b)은 커버(2)의 소켓 본체(1)내로 돌출된 부분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콘택트핀(4)의 트리거부(4b)는 소켓본체(1)의 안쪽 즉, 중심부로 향해서 설편상으로 뻗어 나와서, 커버(2)의 캠(2b)과 걸어 맞추도록 되어 있다. 또 콘택트핀(4)에는 트리거부(4b)와 원호상의 스프링부(4c)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소켓본체(1)에 형성된 원호상 오목부(1c)에 미끄러져서 움직일수 있게 자리잡혀진 소정의 원호상부(4f)를 가지고 있다.
커버(2)의 상한 위치는 도6에 표시된 바와같이 소켓본체(1)에 형성된 클릭(1d)과 커버(2)에 형성된 된 훅부(2c)와의 걸어 맞춤에 의해 도시위치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 콘택트핀(4)은 도5에 표시된 바와같이 재치대(lb)위로 전기부품(P)이 재치되어서 커버(2)가 상한위치(비 압압 위치)에 있을 때 접촉부(4a)의 선단이 콘택트핀(4)자체의 탄력에 의해 전기부품(P)의 리드(L)에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제1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5에 표시한 장전위치로부터 전기부품(P)을 꺼내기 위하여 커버(2)를 눌러 내리면 트리거부(4b)가 캠(2b)에 의해 눌려지므로 콘택트핀(4)의 접촉부(4a)는 그 습성에 버티면서 원호상부(4f)의 중심을 실질상의 지점으로 하여 외방으로 회동 운동시켜지고, 커버(2)를 한껏 눌러내렸을 때 도7에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이동되어서, 접촉부(4a)가 전기부품(P)의 리드(L)의 끝에서 외방으로 회피한다. 따라서 전기부품(P)을 상방으로 꺼낼수가 있다. 이 상태는 전기부품(P)을 장전하기 위한 상태이라고도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트리거부(4b)와 호상 스프링부(4c)를 소켓본체(1)의 중심부에 가까운 쪽 즉, 안쪽으로 가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접촉부(4a)의 회동 운동 중심을 상방 외측으로 가져올 수가 있었기 때문에 소켓전체의 외형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접촉부(4a)의 상방 외방으로의 개 각도를 충분히 크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소형에도 불구하고 전기부품(P)의 장전, 꺼내기를 용이하게 또한 안전하게 실시할 수가 있는 전기부품용 소켓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도7과 동일한 일부 확대도이다. 제2실시예는 콘택트핀(4)의 트리거부(4b)가 절제되고, 그 대신에 캠(2b)에 의해 미끄러져 움직여지는 슬라이더(5)에 의해서 접촉부(4a)가 회동 운동되도록 되어 있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는 다르다. 즉, 슬라이더(5)는 소켓본체(1)에 형성된 안내대(1e)위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걸쳐져 있고, 선단부에 콘택트핀(4)의 일부를 가동적으로 수용하는 다수의 슬릿(5a)이 콘택트핀과 동일피치로 다수 열설되고 후 단연이 캠(2b)에 맞닿은 소켓본체(1)의 장변에 따라서 뻗은 판상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2)가 눌러 내려져서 캠(2b)이 하강하면 슬라이더(5)는 도시위치로 부터 왼쪽으로 미끄러져 움직여져서 콘택트핀의 접촉부(4a)를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외방으로 회전운동시기고 커버(2)의 압압을 해제하면 접촉부(4a)의 자체의 습성에 의한 안쪽으로의 복원운동과 함께 도시위치로 되돌려진다. 따라서 이 제2실시예의 경우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콘택트핀(4)의 슬라이더(5)와의 걸어 맞춤부 상방으로 돌기를 설치하고 슬라이더(5)를 도면상 좌측이 올라간 경사로 해두면 슬라이더(5)의 작동으로 콘택트핀의 접촉부(4a)는 강제적으로 상방으로 끌어올려지면서 이동하고 개 각도를 보다 크게 할 수가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한 도5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트리거부(4b')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호상 스프링부(4c)에 직결되고, 접촉부(4a)와의 결합영역이 접촉부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서 그의 연장끝(4d')이 원호상 오목부(1c)에 자리잡혀져 있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는 다르다. 그러나 제3실시예의 작용, 효과는 실질상 제1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겠으나, 이 실시예는 캠(2b)에 맞닿는 부분이 원호이기 때문에 움직임이 보다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또한 도6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소켓본체(1)의 오목부(1c)에 자리잡게 되는 콘택트핀(4)의 소경의 원호상부(4f)를 없애서 직접 스프링부(4c)와 접촉부(4a) 및 트리거부(4b)와 직결한 것이라도 내측에 스프링부(4c)를 가지므로써 접촉부(4a)의 개각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5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콘택트핀(4)에 있어서 호상 스프링부(4c)의 외측에 소켓본체의 안쪽으로 향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형성된 또 하나의 보조 호상 스프링부(4g)와 이 보조 호상스프링(4g)의 선단에 형성된 기립부(4h)가 부가되어 있는 점 및 전기부품재치대가 부호(2d)로 지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2)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는 다르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작용, 효과는 실질상 제1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겠으나, 이 실시예는 콘택트핀(4)의 소켓본체(1)로의 부착시 콘택트핀(4)을 소켓본체(1)의 상방으로 부터 삽입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내로 확산하게 압압고정할 수 있으므로 부착작업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프린트 미판 위로 소켓을 배설한 후, 소켓을 가지고 기판을 이동할 때 등에 있어서도 콘택트핀의 소켓본체로부터의 이탈 등은 전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 콘택트핀은 타발 형성시에 있어서는 소경의 원호상부(4f)와 보조 호상 스프링부(4g)의 수부와의 사이가 이격되고 있으나 그 설치시에 있어서의 기립부(4h)의 하면은 그의 습성에 버티면서 소켓본체의 측벽정면(1d)위로 울라서 도시한 자세로 되고, 그것에 의해서 콘택트핀의 소경의 원호상부(4f)를 기립부(4h)의 안쪽의 호면(아크면)이 직접 수부로서 받아 고정시키도록 되기 때문에 접촉부(4a)의 회동로 운동은 보다 원활하게 된다는 이점도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표시하는 도10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콘택트핀(4)의 접촉부(4a)가 기부(4d)로 부터 직접 기립시켜져 있고 소켓본체(1)의 안쪽으로 향해서 변위하도록 형성되고, 또 트리거부(4b)가 기부(4d)로 부터기립하여 소켓본체(1)의 안쪽으로 향해서 꾸불꾸불 나아간후 기립한 비교적 폭이 좁은 굴곡부분(4b1)과 이 부분(4b1)의 기립단으로 부터 꾸부러져서 접촉부(4a)로 향해서 직선상으로 뻗어서 선단이 접촉부(4a)의 내측연에 맞닿게된 비교적 폭이 넓은 직선부분(4b2)으로 이루어져 있는 점이며 기술한 실시예와는 다르다.
제5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11에 표시한 장전위치로 부터 전기부품(P)을 꺼내기 위하여 커버(2)를 눌러 내리면 직선부분(4b2)이 캠(2b)에 의해 외방으로 밀려지므로 직선부분(4b2)의 선단은 접촉부(4a)를 그 습성에 버티면서 외방으로 밀고 커버(2)가 한껏 눌려 내려졌을 때 도11에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이동시키져서 접촉부(4a)의 선단이 이 전기부품(P)의 리드(L)의 끝으로 부터 외방으로 퇴피한다. 따라서 전기부품(P)을 상방으로 꺼내는 것이 가능케 된다. 이 상태는 전기부품(P)을 장전하기 위한 상태이기도한 것은 물론이다.
이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콘택트핀(4)의 트리거부(4b)를 접촉부(4a)의 안쪽으로 가져왔기 때문에 소켓전체의 외형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접촉부(2b)의 개각을 충분히 크게 할 수가 있다. 또 트리거부(4b)의 굴곡부분(4b1)은 비교적 폭이 좁고 충분한 크기의 탄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 직선부분(4b2)은 비교적 폭이 넓고 실질상 접촉부(4a)에 가해지는 압압력의 작용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반복사용에 의해서도 트리거부(4b)가 좌굴(buckling)하는 일은 없고 더욱이 실선위치와 쇄선 위치와의 사이를 유연하고 또한 확산하게 왕복동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트리거부(4b)의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부분은 세로방향으로 꾸불꾸불한 곡선상으로 형성한 것을 표시하였으나, 가로방향으로 꾸불꾸불하게 형성된 것이어도 좋고, 반드시 꾸불꾸불되어 있지 않더라도 탄성을 가진 형상으로 해두면 좋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도11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콘택트핀(4)의 트리거부(4b)의 굴곡부분(4b1)이 사행부(꾸불꾸불한부분)대신에 비교적 넓은 면적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5실시예와는 다르다.
제6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트리거부(4b)의 강도가 제5실시예의 경우 보다도 더 호적한 트리거부의 작용이 수행된다. 장치전체의 작용 및 효과는 제5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콘택트핀(4)의 형상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부(4a)에는 전기부품(P)의 리드(L)의 상측면에 미끄러져 접할 호상 접촉단(4a1)으로 부터 선단부로 향해서 뻗은 직선상 연부(4a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직선상 연부(4a2)는 커버(2)가 한껏 눌러 내져졌을 때 판선을 표시한 위치를 차지하고 재치대(1b)위의 소정위치에 전기부품(P)이 재치되어서 커버(2)의 압압이 해제되어 리드(L)의 단연의 상측각부(L1)에 맞닿을때(실선도시)리드(L)의 상측면에 올라타도록 이 상측면에 대하여 각도(α) 를 이루도록 비스듬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핀(4)의 접촉부(4a)는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부품(P)의 장전이 끝나고 커버(2)의 압압이 해제되면 콘택트핀(4)은 자체의 습성에 의해 파선위치로 부터 실선위치를 경유하여 리드(L)의 상측면위로 울라타고 이 상측면을 와이핑하면서 쇄선 위치로 도달하여 정지한다. 따라서 콘택트핀(4)의 접촉부(4a)는 리드(L)의 단면에 걸리는 일이 없고 접촉부(4a)의 호상 접촉단(4a1)와의 전기적 접속은 확실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이 것을 도14를 참조하여 구체 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가령 진압각 θ= 20˚, 동마찰계수 μ= 0.3, 접촉압력 40g, 콘택트핀 선단 테이퍼 각 α= 35˚로 설정하고 진입력을 F, 콘택트핀 선단 테이퍼 각방향분력을 F1, 분력 F1과 직교하는 방향의 분력을 F2, 콘택트핀에 관한 수직반력을 N으로 한 경우,
Figure kpo00001
이기 때문에,
Figure kpo00002
로 된다.
여기서 동 마찰계수 p 및 콘댁트핀 테이퍼 각상의 균형식을 생각하면
Figure kpo00003
로 되므로 콘택트핀은 상방향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즉, 상기 계산치로 부터
Figure kpo00004
로 되기 때문에 조건 ① 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콘택트핀 선단 테이퍼 각 α = 35˚일때에는 콘택트핀은 상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알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내방이동습성을 갖는 콘택트핀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방이동습성을 갖는 콘택트핀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관한 콘택트핀(4)의 정면도이다.
이 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핀(4)에 있어서는 도3에 표시한 종래의 콘택트핀에 있어서의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호상의 스프링부(4c)는 그 폭이 접촉부(4a)와 트리거부(4b)와의 결합부분으로부터 기부(4d)로 향해서 점증하도록 형성되어있다.
도15에 표시한 호상 스프링부(4c)의 각 부분의 폭 W1, W2, W3을 종래의 콘택트핀의 폭과 비교한 1예를 다음에 표시한다.
Figure kpo00005
도16은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한 본 발명에 관한 콘택트핀(4)의 응력분포를 나타낸다(음선부분). 이 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콘택트핀에 있어서는 호상의 스프링부(4c)의 전역에 걸쳐서 응력이 분산되어 있고, 종래의 콘택트핀과는 달라서, 특정의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 일이 없다.
또, 이와같은 응력의 분산에 수반하여 스프링부(4c)에 작용하는 최대응력의 값도 종래의 콘택트핀보다도 감소되고 있다. 예를들면, 도3에 표시한 콘택트핀의 응력집중영역(R2)에 작용하는 응력은 87.1g/㎠인데 대하여 도16에 표시한 본 발명에 관한 콘택트핀(4)의 호상의 스프링부(4c)의 동일한 부위에 작용하는 응력은 77.3g/㎠이며, 약 11%의 감소를 나타내고 있다.
콘택트핀(4)의 호상의 스프링부(4c)의 폭을 접촉부(4a)와 트리거부(4b)와의 통합부분으로 부터 기부(4d)로 향해서 점증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방법을 취할 수 가 있다. 예컨데, 접촉부(4a)와 트리거부(4b)와의 결합부분으로 부터의 거리에 비례시켜서 일정한 비율로 호상의 스프링부(4c)의 폭을 증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혹은 호상의 스프링부(4c)의 외주(r1)와 내주(r2)(도15참조)를 편심시킴으로써 호상의 스프링부(4c)의 폭을 점증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종류의 콘택트핀에는 접촉부(4a), 트리거부(4b), 호상의 스프링부(4c)외에 기부(4d)로 부터 직접 기립하여 접촉부(4a)와 협동하여 장전된 전기부품의 리드(L)를 끼우도록 하는 보조접촉부를 갖는 형식의 것도 있으나 본 발명은 그 외의 형식의 콘택트핀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실시예에서는 전기부품(P)으로서 가르윙형 IC패키지에 적합한 소켓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OJ형의 IC패키지 등에 적합한 소켓으로서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4)

  1. (정정) 전기부품을 재치하기 위한 재치면을 갖는 소켓본체와, 상기 소켓본체에 열설되어 있는 복수개의 콘택트핀들, 그 각각은 기부, 접촉부, 트리거부 및 호상의 스프링부를 가지며, 상기 소켓본체위에 장착된 덮개, 상기 덮개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덮개에 하방력을 작용하여 누르면 상기 덮개의 일부는 상기 콘택트핀의 트리거부를 밀게하며, 상기 콘택트핀의 각 접촉부가 그 습성에 버티면서 외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재치면상에 전기부품을 재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덮개로부터 하방력을 제거시키면 상기 콘택트핀의 각 접촉부는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재치면상에 재치된 상기 전기부품의 리드를 압접시키도록 한 전기부품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핀은 호상의 스프링부와 트리거부 사이에 소경의 원호상부를 갖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콘택트핀의 접촉부가 움직일때 상기 소켓본체에 원호상의 오목부를 갖는 수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원호상부가 자유로이 미끄러지도록 안착되어 실질적인 지점인 상기 소경의 원호상부를 중심으로 회동 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핀의 각 호상의 스프링부는 상기 소켓본체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핀의 각 트리거부는 상기 소켓본체의 중심에 가까이 위치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트리거부가 접촉하는 캠면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에의 하방력 작용은 상기 캠면을 상기 트리거부에 대하여 밀도록 하여 상기 접촉부를 편력에 의해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3.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접촉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4. (정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는 설상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5.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소켓본체에 설치된 안내대 상면에 자유로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6. (정정)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콘택트핀의 호상 스프링부는 상기 콘택트핀의 기부를 향하여 폭이 검증하도록 형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7.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그 일단이 상기 기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소켓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8.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핀의 접촉부와 상기 리드와의 접촉단연이 상기 재치면상에 전기부품이 놓여져 있을 때 그 리드의 단연의 상측면에 올라타도록 이 상측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9. (정정) 전기부품을 재치하기 위한 재치면을 갖는 소켓본체와, 상기 소켓본체에 열설되어 있는 복수개의 콘택트핀들, 그 각각은 접촉부, 트리거부 및 호상의 스프링부를 가지며, 상기 소켓본체위에 장착된 덮개, 상기 덮개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덮개에 하방력을 작용하여 누르면 상기 덮개의 일부는 상기 콘택트 핀의 트리거부를 밀게하며, 상기 콘택트핀의 각 접촉부가 그 습성에 버티면서 외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재치면상에 전기부품을 재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덮개로부터 하방력을 제거시키면 상기 콘택트핀의 각 접촉부는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재치면상에 재치된 상기 전기부품의 리드를 압접시키도록 한 전기부품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각 콘택트핀의 트리거부와 접촉부 사이의 결합영역이 접촉부와 실질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영역의 끝단이 접촉점으로 상기 소켓본체에 자리잡고, 상기 콘택트핀의 각 접촉부가 이동할 때 지점인 상기 소켓본체와 상기 결합영역의 끝단의 접촉점으로 상기 접촉부가 회동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10. (정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핀의 각 호상의 스프링부는 상기 소켓본체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핀의 각 트리거부는 상기 소켓본체의 중심에 가까이 위치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트리거부가 접촉하는 캠면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에의 하방력 작용은 상기 캠면을 상기 트리거에 대하여 밀도록 하여 상기 접촉부를 편력에 의해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11.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핀의 접촉부와 상기 리드와의 접촉단연이 상기 재치면상에 전기부품이 놓여져 있을 때 그 리드의 단연의 상측면에 올라타도록 이 상측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12. (정정) 전기부품을 재치하기 위한 재치면을 갖는 소켓본체와, 상기 소켓본체에 열설되어 있는 복수개의 콘댁트핀들, 그 각각은 기부, 접촉부, 트리거부 및 호상의 스프링부를 가지며, 상기 소켓본체위에 장착된 덮개, 상기 덮개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덮개에 하방력을 작용하어 누르면 상기 덮개의 일부는 상기 콘택트핀의 트리거부를 밀게하며, 상기 콘택트핀의 각 접촉부가 그 습성에 버티면서 외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재치면상에 전기부품을 재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상기 덮개로부터 하방력을 제거시키면 상기 콘택트핀의 각 접촉부는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재치면상에 재치된 상기 전기부품의 리드를 압접시키도록 한 전기부품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핀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기립되게 연결되고, 상기 트리거부는 선단에서 중간부까지는 비교적 폭이 넓고 직선적인 형상을 가지며 중간부에서 기부까지는 탄력성을 가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폭이 좁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13. (정정)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핀의 각 트리거부는 상기 소켓본체의 중심에 가까이 위치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트리거부가 접촉하는 캠면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에의 하방력 작용은 상기 캠면을 상기 트리거에 대하여 밀도록 하여 상기 접촉부를 편력에 의해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14. (신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콘택트핀의 접촉부와 상기 리드와의 접촉단연이 상기 재치면상에 전기부품이 놓여져있을때 그 리드의 단연의 상측면에 올라타도록 이 상측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소켓.
KR1019970009395A 1996-03-22 1997-03-19 전기부품용 소켓 KR100265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6033 1996-03-22
JP6603396 1996-03-22
JP07045596A JP3702526B2 (ja) 1996-03-26 1996-03-26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8-70455 1996-03-26
JP8-72562 1996-03-27
JP07256296A JP3669038B2 (ja) 1996-03-27 1996-03-27 Icソケット用コンタクトピン
JP8-76782 1996-03-29
JP8076782A JPH09266045A (ja) 1996-03-29 1996-03-29 Icソケット用コンタクトピン
JP8-338384 1996-12-18
JP33838496A JP3309746B2 (ja) 1996-03-22 1996-12-18 電気部品用ソ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047A KR970068047A (ko) 1997-10-13
KR100265489B1 true KR100265489B1 (ko) 2000-09-15

Family

ID=2752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395A KR100265489B1 (ko) 1996-03-22 1997-03-19 전기부품용 소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08324A (ko)
KR (1) KR100265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32752B (en) * 1999-07-15 2001-05-01 Urex Prec Inc Modular integrated circuit socket
US6383005B2 (en) * 1999-12-07 2002-05-07 Urex Precision, Inc. Integrated circuit socket with contact pad
JP4412828B2 (ja) * 2000-08-03 2010-02-10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パッケージの測定用ソケット及びその測定方法
US6331836B1 (en) * 2000-08-24 2001-12-18 Fast Location.Net,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estimating the doppler-error and other receiver frequency errors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 signals weakened by obstructions in the signal path
JP2003045539A (ja) * 2001-05-22 2003-02-14 Enplas Corp コンタクトピン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4047556B2 (ja) * 2001-05-22 2008-02-1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コンタクトピン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2003045592A (ja) * 2001-07-13 2003-02-14 Molex Inc Icソケット
JP3899075B2 (ja) 2002-03-05 2007-03-28 リカ デンシ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パッケージと試験機器をインターフェースするための装置
WO2009072173A1 (ja) * 2007-12-03 2009-06-11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半導体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CN101884141B (zh) * 2008-06-12 2013-09-11 综合测试电子系统有限公司 接触插座
TWM373012U (en) * 2009-03-31 2010-01-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110672953B (zh) * 2019-10-11 2022-02-01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二次电压抽取装置
JP7455593B2 (ja) 2020-01-21 2024-03-26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ソケッ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5279A (ja) * 1990-12-11 1992-08-06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3964A (ja) * 1985-10-21 1987-04-30 Dai Ichi Seiko Co Ltd Ic検査用ソケツト
JPH0775182B2 (ja) * 1986-09-02 1995-08-09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ソケツト
JPH0810615B2 (ja) * 1988-09-30 1996-01-31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ソケットにおけるコンタクトの開閉装置
CA2026600A1 (en) * 1989-10-24 1991-04-25 Kazumi Uratsuji Shutter mechanism of contact in ic socket
US5108302A (en) * 1991-06-17 1992-04-28 Pfaff Wayne Test socket
JP3086971B2 (ja) * 1991-07-19 2000-09-11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ソケット
JPH06119959A (ja) * 1992-10-05 1994-04-28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5279A (ja) * 1990-12-11 1992-08-06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047A (ko) 1997-10-13
US5908324A (en)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5489B1 (ko) 전기부품용 소켓
US6848928B2 (en) Socket
US6261114B1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6126467A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KR20010013206A (ko) 번-인 테스트용 소켓
JP3683476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及びその組立方法
US6447318B1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WO2002019471A1 (en) Ic test socket
US6065986A (en) Socket for semiconductor device
JPH08273777A (ja) Icソケット
JP4068280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4038828B2 (ja) Icソケット
JP3266530B2 (ja) ソケット
JP3842037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20010055914A1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JP4019441B2 (ja) Icソケット
JP3309746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784643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939801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2003203737A (ja) 部材取付構造
JP4405015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4326632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2003007416A (ja) 回転作動部材配設構造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4041341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702526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