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069B1 -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62069B1 KR100262069B1 KR1019970023527A KR19970023527A KR100262069B1 KR 100262069 B1 KR100262069 B1 KR 100262069B1 KR 1019970023527 A KR1019970023527 A KR 1019970023527A KR 19970023527 A KR19970023527 A KR 19970023527A KR 100262069 B1 KR100262069 B1 KR 1002620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cover
- motorcycle
- bus bar
- switch
- wiring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자동 이륜차의 후부핸들커버(1)의 중앙에 배치한 미터유닛(3)의 부착부에 접속함(2)을 형성하여, 이 접속함(2)에 차체나 전부핸들커버에 이어지는 와이어하아네스(12, 14)를 접속한다. 후부핸들커버(1)의 좌우에 지지한 스위치(Ss, Sd, Sw, Sh)등의 전기부품과 접속함(2)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접속판재나 금속봉재료로된 버스바아(31,32)가 합성수지제의 후부핸들커버(1)의 내부에 일체로 매설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자동 이륜차의 핸들커버(1)에 지지한 전기부품에 대한 배선을 용이하며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의 바아핸들을 가리는 핸들커버에 지지한 전기부품에 도전체를 개재하여 전기공급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소 60-244680호 공보에 의하여 공지되어 있다. 상기 한바 종래의 것은, 자동 이륜차의 바아핸들을 가리는 핸들커버에 스위치를 장착하고, 이 스위치를 와이어하아네스를 사용하여 다른 전기부품에 배선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것은 와이어하아네스를 사용하여 배선을 하기위하여 부품점수가 증가할 뿐 아니라, 조립시에 와이어하아네스 양단의 접속기의 착탈작업이 귀찮아서 작업인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핸들커버에 지지하여 전기부품에 대한 배선을 용이하며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특징에 의하면 자동 이륜차의 바아핸들을 가리는 핸들커버에 지지한 전기부품에 도전체를 개재하여 전기공급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가 핸들커버에 매설한 금속판재 혹은 금속봉재(棒材)로된 버스바아로 구성한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하아네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배선함에 요하는 부품점수 및 인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단락, 단선, 잘못된 조립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감소할 뿐 아니라, 와이어하아네스에 비하여 장기간의 사용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특징에 가하여 핸들커버의 대략중앙에 미터유닛을 배치하고, 이 미터유닛의 부착부에 마련되어서 와이어하아네스의 접속기가 접속되는 접속함에, 상기 전기부품에 이어지는 버스바아를 접속한 자동이륜차의 배선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특징에 의한 효과에 더하여 버스바아를 접속함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배치하여 서로의 간섭을 회피함과 동시에 버스바아의 전체길이를 최고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특징에 의하면, 자동 이륜차의 바아핸들을 가리는 핸들커버에 지지한 전기부품에 도전체를 개재하여 전기공급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에 있어서, 핸들커버의 내부에 버스바아매설베이스를 장착하여 이버스바아매설베이스에 매설한 금속판재 혹은 금속봉재로된 버스바아로 구성한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제1특징에 의한 효과에 더하여 핸들커버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어서 코스트가 삭감된다.
또, 본 발명의 제4특징에 의하면 자동 2륜차의 바아핸들을 가리우는 핸들커버에 지지한 전기부품에 도전체를 개재하여 전기공급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에 있어서, 와이어하아네스의 접속기가 접속되는 미터유닛을 핸들커버의 대략중앙에 부착하고, 합성수지기재의 내부에 금속판재 혹은 금속봉재로된 버스바아를 매설하여서된 버스바아매설베이스의 일단을 미터유닛에 접속하며 타단을 핸들커버의 내면에 고정하고, 핸들커버에 형성한 개구내에 전기부품을 삽입함에 따라, 이 전기부품을 버스바아매설베이스에 고정함과 동시에 버스바아에 접속한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를 제안하게 되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와이어하아네스 대신에 합성수지 기초재의 내부에 금속판재 혹은 금속봉재로 된 버스바아를 매설하여서된 버스바아매설베이스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단락, 단선, 잘못조립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감속할 뿐 아니라, 와이어하아네스에 비하여 장기간의 사용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수 있다. 더욱이 핸들커버의 대략 중앙에 설치한 미터유닛에서 버스바아매설베이스 방사방향으로 배치하여 서로의 간섭을 회피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 매설되는 버스바아의 전체길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핸들커버의 내부에 장착되는 버스바아매설베이스에 버스바아를 매설하였으므로, 핸들커버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어서 코스트가 삭감된다. 또한, 버스바아매설베이스를 미리 장착한 핸들커버를 차체에 고정한 다음에 그 핸들커버에 개구로부터 전구부품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그 전기 부품의 고정 및 결선이 동시에 완료하기 때문에 조립작업하기가 제고됨과 동시에 조립인력이 감소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술한 그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에 잇따라서,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는 가장적합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먼저, 제1∼7도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1)는 자동 이륜차의 바아핸들의 후부를 가리우는 합성수지제의 후부핸들커버로서, 라이더(rider)측으로부터 보아서 우단에 바아핸들의 오른쪽 반부가 관통하는 노치(l1)가 형성됨과 동시에 좌단에 바아핸들의 왼쪽반부분이 관통하는 노치(l2)가 형성되었고, 또한 하단에 조종축이 관통하는 노치(l3)가 형성되어 있다.
후부핸들커버(1)의 중앙부에는 차체전방으로 돌출하는 접속함(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속함(2)에 차체후방측으로부터 미터유닛(3)이 장착되어 있다. 미터유닛(3)은, IC등의 전자부품이나 액정표시부를 장착한 프린트기판을 포함한 미터본체(4)와, 미터표시판(5)과, 미터렌즈(6)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터본체(4)에는 좌우한쌍의 터언시그널밸브(7, 7)와 좌우한쌍의 미터조명밸브(8, 8)등이 장착된다.
접속함(2)의 전면에 3개의 접속기(9, 10, 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접속자(9)에는 차체에 탑재한 축전지나 스타아터모우터에 이어지는 메인하아네스(12)의 접속기(13)가 결합되있고, 접속기(10)에는 후부핸들커버(1)의 전면에 장착되는 앞부분 핸들커버의 헤드라이트나 깜박이 램프(winker lamp)에 이어지는 앞부분 핸들커버하아네스(14)의 접속기(15)가 결합되있고, 접속기(11)에는 깜박이 계전기(16)가 결합되어 있다.
후부핸들커버(1)의 우측에 형성된 개구(l4)에는 시동스위치(Ss)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시동스위치(Ss)의 개구(l4)와 접속함(2)등을 접속하도록 후부핸들커버(1)의 내면에 제1버스바아매설부(17)가 띠형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 후부핸들커버(1)의 좌측에는 디머(dimmer)스위치(Sd) 윙커스위치(Sw) 및 호온(horn) 스위치(Sh)를 장착하기 위한 3개의 개구(l5, l6, l7)가 형성되어 있으며, 3개의 개구(l5, l6, l7)를 둘러싸도록 후부핸들커버(1)의 내면에 제2버스바아매설부(13)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2버스바아매설부(18)와 접속함(2)등을 접속하도록 제3버스바아매설부(19)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각 버스바아매설부(17, 18, 19)에는 나중에 설명하는 여러개의 버스바아가 매설되어 있으며, 이것들 버스바아를 개재하여 시동스위치(Sw)가 디머스위치(Sd), 윙커스위치(Sw) 및 호은스위치(Sh)가 접속함(2)의 내부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2∼6도에 기초하여 시동스위치(Ss) 및 버스바아의 구조를 설명한다.
시동스위치(Ss)는 상면 및 정면이 개구한 스위치하우징(21)을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하우징(21)의 상면개구에 끼워맞춘 접점호울더(22)는, 그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돌기(221, 221)를 스위칭하우징(21)의 걸림구멍(211, 211)에 물리게 하므로서 고정된다. 스위치하우징(21)의 정면개구에 끼워맞추는 스위치레버(23)는, 그 일단에 돌출설치한 상하한쌍의 핀(231, 231)을 스위치하우징(21) 및 접점호울더(22)에 물리게 하므로서, 핀(231, 231)을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접점호울더(22)에 형성한 한쌍의 접점지지부(222, 223)에 금속판을 굴곡시켜서 되는 한쌍의 고정접점(24, 25)이 끼워맞춤되어 있다. 고정접점(24, 25)의 하면의 일부는 판형상의 절연체(26, 26)에 의하여 가리워져 있으며, 그것들 절연체(26, 26)에 인접한 위치에서 접촉부(241, 251)가 하향으로 노출된다. 스위치레버(23)의 상면에 스피링(27)으로 상향으로 가압된 가동접점(28)이 상하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으며,이 가동접점은 절연체(26, 26) 및 접촉부(241, 251)에 걸쳐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또, 스위치레버(23)의 등쪽에 스프링(29)으로 전방에 가압된 핀(30)이 진퇴자유롭도록 돌출하고 있어, 이 핀(30)의 선단이 스위치 하우징(21)의 내면에 탄발적으로 맞닿는다. 스프링(29)의 탄발력은 스위치레버(23)의 타단을 되돌아오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시동스위치(Ss)를 온 시키도록 스위치레버(23)의 타단을 가압하면, 스위치레버(23)에 마련한 가동접점(28)이 절연체(26, 26) 위로부터 고정접점(24, 25)의 한쌍의 접촉부(241, 251)위에 이동하여, 이것들 한쌍의 접촉부(241, 251)를 서로 도통시킨다. 그리고, 스위치레버(23)의 타단의 가압을 해제하면 스위치레버(23)는 스프링(29)의 탄발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오프위치에 복귀한다.
제1버스바아매설부(17)(도 1참조)에는 띠형상의 금속판으로된 2개의 버스바아(31, 32)가 매설된다. 버스바아(31, 32)는 후부핸들커버(1)를 사출성형하는 경우에, 그 내부에 일체로 주입(pouring)하게된다. 버스바아(31, 32)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부(311, 321)는 후부핸들커버(1)의 개구(l4)의 근방에 노출하고 있으며, 이것들 단자부(311, 321)에 시동스위치(Ss)의 고정접점(24, 25)를 구부려서 형성한 탄성을 지닌 단자부(242, 252)가 각기 맞닿는다.
그리하여, 시동스위치(Ss)를 후부핸들커버(1)의 개구(l4)에 삽입하면, 스위치하우징(21)에 형성한 2개의 걸림훅(212, 212)이 개구(l4)의 가장자리에 걸리므로서, 시동스위치(Ss)가 후부핸들커버(1)에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시동스위치(Ss)와 버스바아(31, 32)와의 결선이 자동적으로 완료하고, 더욱이 단자부(242, 252)의 탄성에 의하여 확실한 전기적 도통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시동스위치(Ss)의 고정이나 배선에 보울트, 접속기, 납땜등의 수단을 사용하고 있지않으므로, 부품점수 및 조립인력의 삭감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디머스위치(Sd), 윙커스위치(Sw) 및 호온스위치(Sh)도 시동스위치(Ss)와 같은 구조로 후부핸들커버(1)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버스바아매설부(18) 및 제3버스바아매설부(19)에도 디머스위치(Sd), 윙커스위치(Sw) 및 호온스위치(Sh)를 접속함(2)에 접속하는 여러개의 버스바아가 매설되어 있다. 즉, 도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시동스위치(Ss)에서 뻗은 2개의 버스바아(31, 32)와, 디머스위치(Sd)에서 뻗은 3개의 버스바아(33, 34, 35)와, 윙커스위치(Sw)에서 뻗은 3개의 버스바아(36, 37, 38)와 호온스위치(Sh)에서 뻗은 2개의 버스바아(39, 40)등이 접속함(2)에 있어서, 미터본체(4), 메인하아네스(12) 및 전부 핸들커버하아네스(14)에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자동 이륜차의 후부핸들커버(1)에 장착되는 시동스위치(Ss), 디머스위치(Sd), 윙커스위치(Sw) 및 호온스위치(Sh)로 된 전기부품에 대한 배선을 후부핸들커버(1)에 매설한 버스바아(31∼40)에 의하여 실행하므로, 종래의 와이어 하아네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배선함에 필요한 부품점수 및 인력을 대폭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단락, 단선, 잘못된 조립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와이어하아네스에 비하여 장기간의 사용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후부핸들커버(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미터유닛(3)의 부착부에 접속함(2)을 마련하고, 이 접속함(2)을 중심으로 하여 버스바아(31∼40)를 방사방향으로 배치하였으므로, 버스바아(31∼40) 상호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이버스바아(31∼40)의 전체길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자동이륜차의 후부핸들커버를 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2방향 확대 화살표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 단면도.
제6도는 시동스위치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버스바아에 의한 배선상태의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자동 이륜차의 후부핸들커버를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
제9∼1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9도는 자동 이륜차의 후부핸들커버를 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
제10도는 제3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11도는 제10도의 11-11선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12-12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커버 2 : 접속함(junction box)
3 : 미터유닛 9, 10, 11, 13, 15 : 접속기
17, 18, 41 : 버스바아매설베이스(bus bar 埋設 base)
31, 32 : 버스바아
다음에, 도 8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더욱이 도 8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의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제1실시예의 부호와 같은 부호가 붙어져 있다.
제2실시예는, 후부핸들커버(1)의 내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4개의 걸림훅(19…)이 4개의 걸림오목부(415…)에 걸리어서 고정되는 합성수지제의 버스바아매설베이스(41)를 구비한 것으로, 그 버스바아매설베이스(41)의 내부에는 9개의 버스바아(31∼40)(버스바아(31∼32)만을 도시하였음)가 일체로 매설되어 있다. 버스바아매설베이스(41)는 후부핸들커버(1)의 4개의 개구(l4∼l7)에 대응하는 4개의 개구(411∼414)를 구비하고 있으며, 시동스위치(Ss) 디머스위치(Sd), 윙커스위치(Sw) 및 호온스위치(Sh)는 후부핸들커버(1)의 개구(l4∼l7)를 관통하여 버스바아매설베이스(41)의 개구(411∼414)에 걸리고, 그리하여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구조로 각 스위치(Ss, Sd, Sw, Sh)가 버스바아(31∼40)에 결선되어 있다.
또한, 후부핸들커버(1)의 중앙에 형성한 개구(l8)에 끼워맞춤하여 2개의 걸림훅(110, 110)에 의하여고정된 미터유닛(3)은, 그 뒤면에 설치한 접속기(42)를 개재하여 버스바아매설베이스(41)에 결합되어 있다. 또, 메인하아네스(12)의 접속기(13), 전부핸들커버하아네스(14)의 접속기(15) 및 윙커계전기(16)는 버스바아 매설베이스(41)에 설치한 3개의 접속기(9, 10, 11)에 결합되어 있다.
그래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작용효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성취할 수 있다. 즉, 버스바아(31∼40)를 후부핸들커버(1)에 직접매설하는것은 아니고, 후부핸들커버(1)에 장착되는 버스바아매설베이스(41)에 매설하였으므로, 후부핸들커버(1)를 사출성형하는 금형의 구조를 간략화 하여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다음에, 제9도에 12도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부핸들커버(1)의 중앙부에 형성한 개구(l8…)에 끼워맞춤하는 미터유닛(3)은 개구(l8)의 주위에 설치한 3개의 걸림훅(l18)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미터유닛(3)의 전면에 3개의 접속기(9, 10, 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접속기(9)에는 차체에 탑재한 축전지나 시동모우터에 이어지는 메인하아네스(12)의 접속기(13)가 결합되있고, 접속기(10)에는 후부핸들커버(1)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부핸들커버의 헤드라이트나 윙커램프에 이어지는 전부 핸들커버 하아네스(14)의 접속기(15)에 결합되있고, 접속기(11)에는 윙커계전기(16)가 결합되어 있다.
핸들커버(1)의 우측에 형성된 개구(l4)에는 시동스위치(Ss)가 끼워맞춤하고 있으며, 이 시동스위치(Ss)와 미터유닛(3)등이 제1버스바아매설베이스(17)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후부핸들커버(1)의 좌측에는 디머스위치(Sd) 윙커스위치(Sw) 및 호온스위치(Sh)를 끼워맞춘 3개의 개구(l5, l6, l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들 3개의 스위치(Sd, sw, Sh)와 미터유닛(3)등이 제2버스바아매설베이스(18)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10∼도1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시동스위치(Ss)의 구조는 제1실시예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10∼ 도12에 기초하여 제1버스바아매설베이스(17)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1버스바아매설베이스(17)에는 합성수지로 박판형상으로 형성된 가요성을 지닌 버스바아매설부(51)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 띠형상의 금속판으로된 2개의 버스바아(31, 32)가 매설되어 있다. 버스바아(31, 32)는 제1버스바아매설베이스(17)를 사출성형하는 경우에, 그 내부에 일체로 주입된다. 버스바아매설부(5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한 접속기부(52)는 미터유닛(3)에 형성한 개구(35)에 끼워맞춤하여 걸림훅(36)에 의하여 걸린다(도9참조). 또 버스바아매설부(51)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한 스위치지지부(53)는 후부핸들커버(1)에 형성한 개구(l4)에 겹쳐졌으며, 이 개구(l4)의 주위에 마련한 2개의 걸림훅(l9, l9)에 의하여 걸린다(도9참조). 제1버스바아매설베이스(17)의 스위치지지부(53)에는 시동스위치(Ss)를 끼워맞춘 개구(531)가 관통하고 있으며, 버스바아매설부(51)에 매설한 버스바아(31, 32)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부(311, 321)가 개구(531)에 노출한다. 시동스위치(Ss)를 제1버스바아매설베이스(17)의 스위치지지부(53)의 개구(531)에 삽입하면, 스위치하우징(21)에 형성한 2개의 걸림훅(212, 212)이 개구(531)의 가장자리에 걸리어서 시동스위치(Ss)가 제1버스바아매설베이스(17)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시동스위치(Ss)의 고정접점(24, 25)을 접어굽으려서 형성한 탄성을 지닌 단자부(242, 252)가 버스바아(31, 32)의 단주부(311, 321)에 각기 맞닿음에 따라, 시동스위치(Ss)와 버스바아(31, 32)와의 결선이 자동적으로 완료하고, 더욱이 단자부(242, 252)의 탄성에 의하여 확실한 전기적 도통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시동스위치(Ss)의 고정이나 배선에 보울트, 접속기, 납땜등의 수단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품점수 및 조립인력의 삭감이 가능하게 된다.
그 위에, 디머스위치(Sd), 윙커스위치(Sw) 및 호온스위치(Sh)를 미터유닛(3)에 접속하는 제2버스바아매설베이스(18)도, 전술한 제1버스바아매설베이스(1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러개의 버스바아를 매설한 버스바아매설부(54)와, 미터유닛(3)에 접속되는 접속기부(55)와, 후부핸들커버(1)에 고정되어서 디머스위치(Sd), 윙커스위치(Sw) 및 호온스위치(Sh)를 지지하는 스위치지지부(56)등을 구비하고 있다(도 9참조). 접속기부(55)는 미터유닛(3)의 개구(37)에 끼워맞추어서 걸림훅(38, 38)에 의하여 걸리고, 또 스위치지지부(56)는 후부핸들커버(1)에 설치한 걸림훅(110, 110: 111, 111: 112, 112)에 의하여 걸려 있다.
이상과 같이, 자동 이륜차의 후부핸들커버(1)에 장착되는 시동스위치(Ss), 디머스위치(Sd), 윙커스위치(Sw) 및 호온스위치(Sh)으로된 전기부품에 대한 배선을 하는 제1, 제2버스바아매설베이스(17, 18)는 와이어하아네스와 같이 얽힌다거나, 휘감긴다거나하지 않고 형태가 안정하고 있으며, 더욱이 적당한 정도의 유연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탈착이 용이하고 조립작업을 하기가 양호하다. 또, 종래의 와이어하아네스에 비하여 단락, 단선, 잘못된 조립등이 발생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장기간의 사용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수 있다.
또, 제1, 제2버스바아매설베이스(17, 18)를 미리장착한 후부핸들커버(1) 및 전부핸들커버를 차체에 고정한 다음에, 시동스위치(Ss), 디머스위치(Sd), 윙커스위치(Sw) 및 호온스위치(Sh)를 후부핸들커버(1)의 개구(l4∼l7)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그것들 스위치(Ss, Sd, Sw, Sh)의 고정 및 결선이 동시에 완료하기 때문에 조립작업하기가 뛰어남과 동시에 조립인력이 감소한다. 또한, 후부핸들커버(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미터유닛(3)을 중심으로하여 제1, 제2버스바아매설베이스(17, 18)를 방사방향으로 배치하였으므로, 제1, 제2버스바아매설베이스(17, 18)서로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버스바아(31∼40)의 전체길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 또, 버스바아(31∼40)를 후부핸들커버(1)에 직접매설하지 않고, 후부핸들커버(1)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로운 제1, 제2버스바아매설베이스(17, 18)에 매설하고 있으므로, 후부핸들커버(1)의 설계자유도를 높임과 동시에 후부핸들커버(1)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구조를 간략화하여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설계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실시예에서는 버스바아(31∼40)를 디형상의 금속판으로 구성하였으나, 그 단면형상은 임의이며, 원형단면이나 각 단면의 금속봉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실시예에서는 전기부품으로서 시동스위치(Ss), 디머스위치(Sd), 윙커스위치(Sw) 및 호온스위치(Sh)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른 임의의 전기부품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 제1실시예에서는 후부핸들커버(1)에 버스바아(31∼40)를 매설하고 있으나, 그것들을 핸들커버의 임의의 부분에 매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 자동 이륜차의 바아핸들을 가리는 핸들커버에 지지한 전기부품에 도전체를 개재하여 전기공급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가 핸들커버에 매설한 금속판재 혹은 금속봉재료로 된 버스바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핸들커버의 대략중앙에 미터유닛을 배치하여, 이 미터유닛의 부착부에 설치되어서 와이어 하아네스의 접속기가 접속되는 접속함에 상기 전기부품으로 이어지는 버스바아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
- 자동 이륜차의 바아핸들을 가리는 핸들커버에 지지한 전기부품에 도전체를 개재하여, 전기공급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에 있어서, 핸들커버의 내부에 버스바아매설베이스를 장착하여, 상기 도전체가 상기 버스바아매설베이스에 매설한 금속판재 혹은 금속봉재료로 된 버스바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
- 자동 이륜차의 바아핸들을 가리는 핸들커버에 지지한 전기부품에 도전체를 통하여 전기공급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에 있어서, 와이어하이네스의 접속기가 접속된 미터유닛을 핸들커버의 대략 중앙에 부착하고, 합성수지 기초재의 내부에 금속판재 혹은 금속봉재료로 된 버스바아를 매설하여서된 버스바아매설베이스의 일단을 미터유닛에 접속하고 타단을 핸들커버의 내면에 고정하였으며, 핸들커버에 형성한 개구내에 전기부품을 삽입하므로서, 이 전기부품을 버스바아매설베이스에 고정함과 동시에 버스바아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4534596A JP3515663B2 (ja) | 1996-06-07 | 1996-06-07 | 自動二輪車の配線構造 |
JP14534396A JP3793282B2 (ja) | 1996-06-07 | 1996-06-07 | 自動二輪車の配線構造 |
JP96-145345 | 1996-06-07 | ||
JP96-145343 | 1996-06-07 | ||
US08/975,106 US6344621B1 (en) | 1996-06-07 | 1997-11-20 | Switch mounting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1694A KR980001694A (ko) | 1998-03-30 |
KR100262069B1 true KR100262069B1 (ko) | 2000-07-15 |
Family
ID=2731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23527A KR100262069B1 (ko) | 1996-06-07 | 1997-06-07 |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262069B1 (ko) |
TW (1) | TW435374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1038B1 (ko) * | 2002-02-18 | 2004-12-09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차량의 바 핸들 스위치 구조 |
KR100756540B1 (ko) * | 2007-01-25 | 2007-09-07 | 이상호 |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을 위한 배전구조 |
-
1997
- 1997-06-06 TW TW089204443U patent/TW435374U/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6-07 KR KR1019970023527A patent/KR10026206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435374U (en) | 2001-05-16 |
KR980001694A (ko) | 1998-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44621B1 (en) | Switch mounting structure | |
US5952729A (en) | Wiring structure in motorcycle | |
EP0919438B1 (en) | Wiring structure and wiring method for motorcycle | |
JP4406256B2 (ja) | Ledランプモジュール及びランプモジュール組立体 | |
JPH0374224A (ja) | 自動車の計器板に取付けた作業パネル | |
KR100262069B1 (ko) | 자동 이륜차의 배선구조 | |
JPH0751746Y2 (ja) | 回路基板の接続装置 | |
JP3793282B2 (ja) | 自動二輪車の配線構造 | |
KR100268397B1 (ko) | 스위치의 부착구조 | |
JP4201445B2 (ja) | 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 |
JP3515663B2 (ja) | 自動二輪車の配線構造 | |
JPH09330633A (ja) | スイッチの取付構造 | |
JP3515685B2 (ja) | 自動二輪車の配線方法 | |
JP3585713B2 (ja) | 自動二輪車の配線構造 | |
JPH0717584Y2 (ja) | Led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 |
JP3580122B2 (ja) | 自動二輪車のスイッチ取付部材の配線構造 | |
JP4216938B2 (ja) | 車両用灯具の配線部 | |
JP3542259B2 (ja) | 自動二輪車の配線構造 | |
JP3011206B1 (ja) | 電気接続装置 | |
JP3651830B2 (ja) | 遊技機のランプ取付装置 | |
KR0125840Y1 (ko) | 차량의 배선용 커넥터 구조 | |
CN104285266B (zh) | 转向柱控制模块 | |
JPH11129962A (ja) | 車両用計器・操作ユニット複合体 | |
JPH11329156A (ja) | スイッチの取付構造 | |
KR19980062382U (ko) | 간판 내장용 형광등 소켓 홀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20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