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840Y1 - 차량의 배선용 커넥터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선용 커넥터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840Y1
KR0125840Y1 KR2019950019996U KR19950019996U KR0125840Y1 KR 0125840 Y1 KR0125840 Y1 KR 0125840Y1 KR 2019950019996 U KR2019950019996 U KR 2019950019996U KR 19950019996 U KR19950019996 U KR 19950019996U KR 0125840 Y1 KR0125840 Y1 KR 0125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racket
connectors
vehic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9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302U (ko
Inventor
노석영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19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840Y1/ko
Publication of KR970011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8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른 종류의 단자를 한 개의 커넥터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커넥터를 차체에 집중하여 고정토록 하여 조립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함과, 조립 공수를 절감하기 위한 자동차의 배선용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여러개의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트와, 전선이 연결되는 제1 커넥터의 하단면 양측에 형성되는 제1 걸이부가 상기 브라켓트의 상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걸림턱에 끼워조립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후면 내측에 제2 걸이부가 형성되어, 제2 커넥터의 후면에 형성된 제2 걸림턱이 끼워서 결합됨으로 차체에 별도로 고정되는 브라켓트에 다수의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어 상기 커넥터의 조립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함과, 차량의 출고 후 서비스 보수가 간단하여 조립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배선용 커넥터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차량의 배선용 커넥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브라켓트 20:제1 커넥터
30:제2 커넥터 40:차체
본 고안은 차량의 배선용 커넥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다른 종류의 단자를 한 개의 커넥터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커넥터를 차체에 집중하여 고정토록 하여 조립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함과, 조립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 배선용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전선이 배선되어 있어 그 내부가 지저분하고, 흩어진 배선이 회전체등에 걸려서 단락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전선을 연결한 커넥터를 차체에 조립하도록 하였다.
즉, 종래에는 전선을 연결한 암,수로 된 커넥터를 상호 조립한 뒤 커넥터에 돌출된 화살촉형 앵카를 차체의 구멍에 끼워서 고정하였다.
그런데 차량에는 전선이 많이 배선되어 있어 상술한 커넥터를 차체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각각 독자적으로 흩어져서 고정이 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보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여러개의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트를 차체에 별도로 형성하여 다수개의 커넥터를 집중적으로 조립하도록 하여 조립공정이 매우 편리하고, 보수가 간편하도록 한 차량의 배선용 커넥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여러개의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트와, 전선이 연결되는 제1 커넥터의 하단면 양측에 형성되는 제1 걸이부가 상기 브라켓트의 상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걸림턱에 끼워조립된다.
상기 제1 커넥터의 후면 내측에 제2 걸이부가 형성되어, 제2 커넥터의 후면에 형성된 제2 걸림턱이 결합 구성된다.
따라서, 차체에 브라켓트를 고정나사로 조립하여 일체화한 뒤 브라켓트에 커넥터를 끼워 조립하여 집중적으로 한곳에 커넥터를 조립하도록 하여 상기 커넥터의 조립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함과, 조립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 배선용 커넥터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차량의 배선용 커넥터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 평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여러개의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트(10)와, 전선이 연결되는 제1 커넥터(20)의 하단면 양측에 형성되는 제1 걸이부(21)가 상기 브라켓트(10)의 상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걸림턱(11)에 끼워조립된다.
상기 제1 커넥터(20)의 후면 내측에 제2 걸이부(22)가 형성되어, 제2 커넥터(30)의 후면에 형성된 제2 걸림턱(31)이 끼워서 결합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트(10)의 상단 일측의 2곳에 조립구멍(12)을 형성하여 차체(40)의 나사구멍(41)에 보울트(13)로 조립하여 일체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라켓트(10)의 일측에 형성된 조립구멍(12)을 통해 보울트(13)로 차체(40)에 조립하여 일체화한 뒤, 브라켓트(10)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 제1 걸림턱(11)에 제1 커넥터(20)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1 걸이부(21)를 끼우고, 상기 제1 커넥터(20)의 후면 내측에 형성된 제2 걸이부(22)에 제2 커넥터(30)의 후면에 형성된 제2 걸림턱(31)이 끼워서 결합 구성하면 커넥터를 빼내지 않는 한 이탈될 염려가 없어 안전하게 조립이 되므로 조립공정이 간단하게 완료된다.
따라서 1개의 브라켓트(10)에 다수개의 커넥터(20),(30)를 집중적으로 한곳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공정이 매우 편리하고, 차량의 보수가 매우 간편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차체에 별도로 고정되는 브라켓트에 다수의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커넥터의 조립 및 보수가 용이하고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여러개의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트와, 전선이 연결되는 제1 커넥터의 하단면 양측에 형성되는 제1 걸이부가 상기 브라켓트의 상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걸림턱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후면 내측에 제2 걸이부가 형성되어, 제2 커넥터의 후면에 형성된 제2 걸림턱이 삽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선용 커넥터 구조.
KR2019950019996U 1995-08-02 1995-08-02 차량의 배선용 커넥터 구조 KR0125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996U KR0125840Y1 (ko) 1995-08-02 1995-08-02 차량의 배선용 커넥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996U KR0125840Y1 (ko) 1995-08-02 1995-08-02 차량의 배선용 커넥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302U KR970011302U (ko) 1997-03-29
KR0125840Y1 true KR0125840Y1 (ko) 1998-09-15

Family

ID=1942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9996U KR0125840Y1 (ko) 1995-08-02 1995-08-02 차량의 배선용 커넥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8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302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8940A (en) Electrical junction device
JPH0613558Y2 (ja) 自動車用配線装置
JP3046537B2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ハーネスの接続構造
US7104845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a motor vehicle
US6319013B2 (en) Wiring structure for motorcycle with busbars
JP2694417B2 (ja) 分割多極コネクタ
KR0125840Y1 (ko) 차량의 배선용 커넥터 구조
US6050856A (en) Electrical junction box having a screw-tightening type fusible link
JPH0851019A (ja) 電装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JPH1189052A (ja) 電気接続箱
JP3783148B2 (ja) 導体の接続構造
JPH09283004A (ja) 電気接続箱
JPH03164017A (ja) 分岐接続箱
JP3301515B2 (ja) 内燃機関のインジェクタ用コネクタブロック
JPS6016039Y2 (ja) ア−ス用多極端子
JPH0923536A (ja) 電気接続箱
JPH066657Y2 (ja) ハーネス端子接続部構造
JPH09153387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
JPS628137Y2 (ko)
JPH0327712A (ja) 分岐接続箱
KR0118272Y1 (ko) 차량의 집중식 콘넥터고정장치
JP2508644Y2 (ja) プリント基板の実装構造
JPH09148013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224219Y2 (ko)
KR200146837Y1 (ko) 컨넥터를 겸한 배선장착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