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983B1 -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 멀티-코드 전송기 - Google Patent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 멀티-코드 전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983B1
KR100260983B1 KR1019970069464A KR19970069464A KR100260983B1 KR 100260983 B1 KR100260983 B1 KR 100260983B1 KR 1019970069464 A KR1019970069464 A KR 1019970069464A KR 19970069464 A KR19970069464 A KR 19970069464A KR 100260983 B1 KR100260983 B1 KR 100260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s
code
signal
baseband signals
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210A (ko
Inventor
마사키 이치하라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64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85Synchronisation aspects using a code tracking loop, e.g. a delay-locked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77Multicode, e.g. multiple codes assigned to on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다수의 데이터 채널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들이 서로 다른 확산 코드(spreading codes)들에 의해 스펙트럼-확산되고 최종 기저 대역 신호들이 합산 및 전송되는 CDMA 멀티-코드 전송기에 있어서, 한 아이-패턴(eye-pattern)의 피크 값들이 합산되기에 앞서 상기 기저 대역 신호들을 지연시키므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도록 감소되며, 그 결과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들이 서로 시프팅된다.

Description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 멀티-코드 전송기
본원 발명은 확산 스펙트럼들을 가진 다수의 기저 대역 신호들을 각각의 확산 코드들과 합산하고 이 합산된 기저 대역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멀티-코드 전송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원 발명은 상기 신호들을 전송함에 있어서 전송기 전송 증폭기의 전력 소모에 있어서의 감소에 관한 것이다.
당해 CDMA 시스템에 있어서, 각 채널들의 식별은 주파수 또는 시간을 분할하므로써 실현되지 않고 작은 상호 상관성들을 가진 서로 다른 확산 코드들을 사용하여 실현된다. 상기 확산 코드들에 의해 식별된 채널들은 이후 "코드 채널들"로 지칭된다. 그러므로, CDMA 시스템에 있어서, 동시에 똑같은 주파수 대역에서 똑같은 전송기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확산 코드들, 즉 멀티-코드와 함께 확산된 스펙트럼들을 가진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CDMA 멀티-코드 전송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종래 기술의 CDMA 멀티-코드 전송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코드 채널상의 데이터 신호들은 서로 다른 확산 코드들을 가진 스펙트럼들에 의해 확산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히 합산된다. 통상적인 CDMA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 방법이 도 1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이 때,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Q-PSK) 시스템이 전송용 변조 시스템에 사용된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각각의 채널들의 데이터 신호들 0 내지 n이 Serial-to
-Parallel(S/P)변환기(1-0 내지 1-n)에 입력되고, 이 변환기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들의 데이터가 각각 I-채널 데이터 및 Q-채널 데이터로 변환된다. 예컨대, 제 i 번째(이 때, i = 0 내지 n)채널을 설명하건대, 상기 S/P 변환기(1-i)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 DIi 및 DQi가 각각 승산기(2-1i 및 2-2i)에 입력된다. 이들 승산기(2-1i 및 2-2i)는 상기 데이터 DIi 및 DQi를 당해 제 i 번째 코드 채널에 할당되어 상기 스펙트럼을 확산시키도록 한 확산 코드 발생기(3-i)에 의해 발생된 확산 코드 PNi와 승산한다. 상기 승산기(2-1i)에 의해 확산된 스펙트럼을 가진 신호는 통과-대역 필터(4-1i)에 의해 대역-제한되어 가산기(6-1)에 입력된다. 상기 승산기(2-2i)에 의해 확산된 신호는 통과-대역 필터(4-2i)에 의해 대역 제한되어 가산기(6-2)에 입력된다. 상기 가산기(6-1)는 통과-대역 필터들(4-10 내지 4-1n)을 통해 통과된 신호들을 합산하여 한 변조된 신호 I를 출력시킨다. 상기 가산기(6-2)는 상기 통과-대역 필터들(4-20 내지 4-2n)을 통해 통과된 신호들 Q0 내지 Qn을 합산하여 한 변조된 신호 Q를 출력시킨다. 상기 변조된 신호들 I 및 Q는 전송부(7)로 송출되며 한 반송파 신호가 이들 신호에 의해 직각-변조되고, 상기 전송부(7)의 전송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며, 전자기파로서 당해 전송기의 안테나에 의해 전송된다.
도 2 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종래 시스템에서의 아이 패턴(eye-pattern)의 한 예를 도시하며, 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가산기에 의해 실행된 합성에 의해 생성된 피크 값들의 증가가 기술된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두 코드 채널들의 신호들 I의 합성의 결과가 도 2에 도시된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 통과-대역 필터들은 각각 Nyquist 필터들로 추정된다.
도 2에서, 서로 다른 코드 채널들 상에서의 신호들 I1 및 I2의 합은 I 신호이고, 이들 신호 I1 및 I2의 피크 값들 VP1 및 VP2이 각각 인접한 샘플 포인트들 사이의 중간 위치들에 나타난다. 그러므로, 상기 두 신호들 I1 및 I2의 합성으로 발생된 신호 I의 피크 값 VP이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VP = VP1 + VP2 (1)
그러므로, VP1 및 VP2가 일치할 경우, VP는 VP1의 두배가 된다. 한편, 상기 신호 I의 평균 전력 값이 2의 제곱근이므로, 피크 계수는 3 dB만큼 증가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합산될 다수 신호들의 피크 값들이 생성되는 시간들을 시프팅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6-244821에 있어서, 의사-무작위 코드(a pseudo-random code)가 통상적으로 모든 동시 통신 스테이션들에 제공되고, 각각의 전송기들에 대응하는 수신기들상의 상관 값들의 피크들이 서로 방해하지 않고 아울러 서로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다수의 전송기들이 상기 의사-무작위 코드에 대해 시간차를 부여하면서 전송기들의 전송 동작들을 동기화시키므로써 수신기들에 신호들을 전송한다.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50649에 있어서, 주파수의 이용 효율은 다수의 가입자들에 대해 작은 상호 상관성을 가진 일련의 확산 코드들을 할당하므로써 개선된다. 전송 측상에서, 각각 인접한 피크 값들 사이의 중간 시점에서 제로 값과 매 두 개의 확산 코드 시점들(칩들)마다 피크 값을 가진 자기 상관 함수를 가진 해당 확산 코드들 사이에 1개의 칩의 시간 간격을 가진 두 개의 연속 확산 코드들이 생성되며, 각각의 채널 안에서 정보 코드들이 이들 일련의 확산 코드들과 함께 스펙트럼-확산되고 이들 스펙트럼-확산된 정보 코드들을 합산하므로써 전송된다.
그러나, 종래 각각의 CDMA 멀티-코드 전송기들에 있어서, 전송 증폭기의 효율이 저하되며 전력 소모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 이유는 해당 신호의 피크 계수에 존재한다. 상기 피크 계수는 해당 신호의 평균 레벨에 대한 전송 증폭기에 대한 입력 신호의 피크 레벨의 비율이다. 이 비율이 커질 때, 상기 전송 증폭기는 상기 평균 레벨에 비교했을 때 큰 피크 값에 대해 선형성을 유지해야만 하며, 그러므로 해당 증폭기의 출력 레벨에 있어서 충분히 큰 백오프(back-off)(한 증폭기의 평균 전송 레벨에 대한 자체 포화 레벨의 비율, dB로 표현됨)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백오프가 커질 때, 당해 증폭기의 효율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해당 장치의 전력 소모가 증가된다.
상술된 종래 기술중 하나에 있어서, 주파수 이용 효율은 똑같은 확산 코드를 다수의 사용자가 이 확산 코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채널에 할당하므로써 개선되며, 한 수신 측상에서 똑같은 확산 코드를 사용하므로써 상기 채널들중 한 채널의 분리 및 복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선, 피크 계수를 이 피크 계수를 용이하게 확인하기에 충분하리 만큼 크게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상술된 문제점은 필요 불가결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해당 아이-패턴의 피크 값들을 보다 작게 만들도록 서로 상이한 확산 코드들을 사용하므로써 상기 종래 기술에 내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당해 전송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게 되는 CDMA 시스템의 멀티-코드 전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라, 서로 다른 확산 코드들을 가진 다수의 데이터 채널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들상에서 스펙트럼을 확산하기 위한 확산 스펙트럼 수단과; 확산-스펙트럼 기저 대역 신호들을 합산하기 위한 가산기 수단과; 한 반송파 신호를 상기 합산된 기저 대역 신호들에 의해 변조하기 위한 전송 수단; 및 상기 가산기 수단에 대해 상기 기저 대역 신호들을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 수단을 구비하는 CDMA 시스템의 멀티-코드 전송기가 제공된다.
상기 확산-스펙트럼 기저 대역 신호들을 서로 상이하게 지연시키므로 써, 상기 각각의 데이터 채널들에 있어서 피크 값들의 오버랩이 이들 신호를 합산함에 있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CDMA 멀티-코드 전송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 는 종래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패턴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 은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DMA 멀티-코드 전송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 는 도 3 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CDMA 멀티-코드 전송기 구조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 는 본원 발명에 의해 얻어진 아이-패턴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내지 1n: 기저 대역 신호 발생기 2: 승산기
3-i: 확산 코드 발생기 4: 통과-대역 필터
5-i: 지연 회로 6: 가산기
7: 전송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명세서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겠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DMA 멀티-코드 전송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로서, 이때 도 1 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 소자들은 각각 도 1 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도 3에 도시된 CDMA 멀티-코드 전송기에 있어서, 다수(n+1)개의 기저 대역 신호 발생부(10 내지 1n)는 서로 다른 확산 코드들과 함께 (n+1)개의 데이터 채널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들(0 내지 n)의 스펙트럼을 확산시킨다. 이 스펙트럼 확산에 의해 얻어진 기저 대역 신호들은 가산기(6)에 의해 합산되고 최종 합은 전송기부(7)에 의해 반송파 신호를 변조시킨다. 이 변조된 반송파는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이 구조는, 상기 기저 대역 신호 발생기부들(10 내지 1n)의 기능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제, 상기 기저 대역 신호 발생기부들(10 내지 1n)중 하나(1i)가 한 예로 기술되며, 이때 i = 0∼n 이다. 상기 기저 대역 신호 발생기부(1i)는 승산기(2), 확산 코드 발생기(3-i), 통과 대역 필터(4) 및 지연 회로(5-i)를 구비한다. 상기 승산기(2)는 다른 확산 코드들과는 상이하며 확산 코드 발생기(3-i)로부터 공급된 한 확산 코드 Pni와 함께 한 데이터 채널 i로부터 당해 승산기에 입력된 데이터 신호 i상의 스펙트럼을 확산시키므로써 다른 기저 대역 신호 발생기부들에 의해 발생된 기저 대역 신호들과는 상이한 기저 대역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기저 대역 신호는 통과 대역 필터(4)에 의해 대역 제한되며, 지연 시간 τi를 가진 지연 회로(5-i)에 의해 지연되고, 상기 기저 대역 신호들이 소정의 시간 간격 τ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모든 기저 대역 신호 발생기부(10 내지 1n)로부터 출력되는 타이밍으로 출력된다. 상기 지연 회로(5-i)는 상기 승산기(2)와 상기 대역-통과 필터(4)사이에 배치될 수 도 있다.
즉, 종래 전송기와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차이는,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 발생기부가 소정의 시간 간격 τ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가산기(6)에 대해 상기 모든 기저 대역 신호 발생기부(10 내지 1n)로부터 서로 다른 기저 대역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상기 통과 대역 필터(4) 전 또는 후에 제공된 지연 회로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송기와 비교하면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Q-PSK가 전송을 위한 변조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기 각각의 채널들상의 데이터 신호들 0 내지 n이 직-병렬 (S/P)변환기(1-0 내지 1-n)에 입력되며 그에 따라 각각 I 채널들의 데이터 및 Q 채널들의 데이터로 변환된다. 제 i 번째 채널에 대해, 상기 S/P 변환기(1-i)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 DIi 및 Dqi가 각각 승산기들(2-1i) 및 (2-2i)에 입력되며, 해당 데이터들의 스펙트럼을 확산시키기 위해 확산 코드 발생기들(3-i)에 의해 발생된 확산 코드 PNi와 함께 승산된다. 상기 승산기(2-1i)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대역 통과 필터(4-1i)에 의해 주파수 대역에 있어 제한되어 상기 가산기(6-1)에 입력된다. 한편, 상기 승산기(2-2i)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상기 대역 통과 필터(4-2i)에 의해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제한되어 상기 가산기(6-1)에 입력된다. 본원 발명의 이 동작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송기의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대역 통과 필터(4-1i)에 의해 대역 제한된 주파수를 가진 신호가 지연 시간 τi를 가진 지연 회로(5-1i)에 입력되며, 상기 대역 통과 필터(4-2i)에 의해 대역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가진 신호가 지연 시간 τi를 가진 지연 회로 (5-2i)에 입력된다. 지연 시간 τ0 내지 τn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더욱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τ0=0이다. 즉, 제 0 번째 코드 채널에는 어떠한 지연 채널도 존재하지 않는다.
대역 통과 필터(4-10)를 통과한 신호 I0 및 대역 통과 필터들(4-11 내지 4-1n) 및 지연 회로들(5-11 내지 5-1n)을 통과한 신호 I1 내지 In이 서로 가산기(6-1)에 의해 가산된다. 한편, 상기 통과 대역 필터(4-20)을 통과한 신호 Q0 및 대역 통과 필터들(4-21 내지 4-2n) 및 지연 회로(5-21 내지 5-2n)을 통과한 신호들 Q1 내지 Qn이 가산기(6-2)에 입력된다. 이 가산기(6-1)는 스펙트럼 확산되어 대역 통과 필터(4-10)를 통과한 신호 I0와 스펙트럼 확산되어 상기 대역 통과 필터들(4-11 내지 4-1n)에 의해 서로 상이한 타이밍으로 지연된 신호들 I1 내지 In을 합산하여 한 변조 신호 I를 출력한다. 상기 가산기(6-2)는 스펙트럼 확산되어 대역 통과 필터(4-20)를 통과한 신호 Q0와 스펙트럼 확산되어 상기 대역 통과 필터들(4-21 내지 4-2n)에 의해 서로 상이한 타이밍으로 지연된 신호들 Q1 내지 Qn을 합산하여 한 변조 신호 Q를 출력한다. 상기 변조 신호들 I 및 Q는 전송기부(7)로 송출된다. 이 전송기부(7)에서, 반송파 신호가 상기 변조 신호들 I 및 Q에 의해 변조되고, 증폭되어, 전자기파로서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도시된 회로 구조에 있어서, 지연 회로들(5-11 내지 5-1n) 및 (5-21 내지 5-2n)이 통과 대역 필터들(4-11 내지 4-1n) 및 (4-21 내지 4-2n)후에 배치될 지라도, 이들 지연 회로는 각각 상기 대역 통과 필터들 전에 설치될 수 도 있다.
상기 가산기(6)에서의 합산 동작에 의해 제공된 피트 값은 도 5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기술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두 개의 코드 채널들의 신호들 I의 합이 도 5에 도시된다. 더욱이, 상기 통과 대역 필터들은 Nyqiust 필터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상기 신호들 I1 내지 I2는 서로 다른 코드 채널들을 가지며 각각 값들 VP1 및 VP2을 갖는 이들 신호들의 피크들은 인접한 샘플 포인트들 사이의 중간 포인트들에 나타난다. 신호 I2의 위상 타이밍은 인접한 샘플 포인트들 사이 거리의 1/2, 즉 시간 T/2만큼 신호 I1의 위상 타이밍으로부터 지연 회로에 의해 지연되며 상기 신호들 I1 및 I2는 합산되고, 상기 피크들은 오버랩되지 않으며, 아이-패턴이 사실상 완화(smoothing)된다. 그러나, 당해 CDMA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코드 채널들의 신호들이 수신기 측상에서 서로 다른 확산 코드들을 사용하여 역-확산되므로써(inverse-spreading) 분리될 수 있으므로, 어떠한 기능상이 문제점도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합산된 신호 I의 피크 값 VP는 다음 식에 의해 표현되며,
VP = VP1 + Vd (2)
이때, Vd는 각 샘플 포인트들, 즉 당해 아이-패턴의 최대 개구 부분에서의 전압이다. 그러므로, VP는, 종래 시스템의 경우, 상기 피크들의 합, VP1 + VP2보다 명백히 작다.
본원 발명이 도면에 기술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을 지라도, 본원 발명은 이 실시예에만 제한되지 않고 도시된 기능 블록들의 기능들의 모든 분리, 분배, 및/또는 결합 및/또는 도시된 기능 블록 배치의 모든 변경이 기술된 기능들을 만족시키는 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채널에 대해 기저 대역 신호들의 피크들의 오버랩을 제거하므로써 상기 피크 레벨 및 피크 계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CDMA 멀티-코드 전송기를 얻는 것이 가능하며, 이들 신호는 서로 다른 지연 시간들에 의해 이들 신호를 지연시키므로써 기저 대역 신호들을 서로 시프팅하므로써 상기 가산기에의해 이들 신호들의 합산에 의해 발생된다.
이 구조에 의해, 피크 계수에 대응하는 전송 증폭기의 백-오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력 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된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에 따른 상기 CDMA 멀티-코드 전송기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Claims (1)

  1. CDMA 멀티-코드 전송기에 있어서, 기저 대역 신호들을 얻기 위해 서로 다른 확산 코드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데이터 채널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들의 스펙트럼을 확산하는 확산 스펙트럼 수단과;
    상기 스펙트럼 확산 수단에 의해 얻어진 기저 대역 신호들을 합산하기 위한 가산기 수단과;
    상기 가산기 수단의 출력과 함께 한 반송파 신호를 변조시키며 이 변조된 반송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 및
    상기 가산기 수단에 공급될 기저 대역 신호들을 서로 다르게 지연시키므로써, 상기 기저 대역 신호들이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상기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되게되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멀티-코드 전송기.
KR1019970069464A 1996-12-17 1997-12-17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 멀티-코드 전송기 KR100260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693596A JP2800891B2 (ja) 1996-12-17 1996-12-17 Cdma方式のマルチコード送信装置
JP96-336935 1996-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210A KR19980064210A (ko) 1998-10-07
KR100260983B1 true KR100260983B1 (ko) 2000-07-01

Family

ID=1830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464A KR100260983B1 (ko) 1996-12-17 1997-12-17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 멀티-코드 전송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97713A (ko)
EP (1) EP0849905B8 (ko)
JP (1) JP2800891B2 (ko)
KR (1) KR100260983B1 (ko)
AU (1) AU720372B2 (ko)
CA (1) CA2223212C (ko)
DE (1) DE6973883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0870B1 (en) * 1998-03-30 2001-10-30 Oki Telecom, Inc. Method for transmitting high data rate information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s
US6370133B1 (en) * 1998-07-10 2002-04-09 Hyundai Electronics America, Inc. CDMA receiver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318950B1 (ko) * 1998-12-26 2001-12-29 윤종용 멀티코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왜곡 보상장치 및 방법
JP3379465B2 (ja) * 1999-03-03 2003-02-2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基地局並びに移動機
KR100320426B1 (ko) * 1999-08-18 2002-01-16 서평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물리채널들의 전송시간 설정방법
KR100320424B1 (ko) * 1999-08-04 2002-01-15 서평원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전송 방법
JP2001069074A (ja) * 1999-08-26 2001-03-16 Mitsubishi Electric Corp Cdma移動通信局、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cdmaパケット伝送方式
KR100585832B1 (ko) * 1999-09-30 2006-06-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채널 확장 장치 및 방법
US7321576B2 (en) * 2001-11-15 2008-01-22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compact representation of multi-code signaling in communication systems
US7266156B2 (en) * 2002-04-26 2007-09-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eak to average power ratio of a multi-carrier signal
FR2854995B1 (fr) 2003-05-14 2005-07-29 Nortel Networks Ltd Modulateur et demodulateur a etalement de spectre
JP5223930B2 (ja) 2008-12-25 2013-06-26 富士通株式会社 信号生成装置、送信装置、信号生成方法、送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12291175B (zh) * 2020-10-29 2021-05-18 上海擎昆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定时控制的基带上行发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4464A (en) 1976-04-13 1977-12-20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Amplitude stabilized power amplifier
JPS57199355A (en) * 1981-06-01 1982-12-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JPS6245237A (ja) * 1985-08-23 1987-02-27 Nec Home Electronics Ltd スペクトラム拡散電力線伝送方式
JPS63283246A (ja) * 1987-05-15 1988-11-21 Hitachi Ltd スペクトラム拡散無線通信の狭帯域化方式
JP2875811B2 (ja) * 1989-05-19 1999-03-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信号多重化回路
JPH03198445A (ja) * 1989-12-26 1991-08-29 Clarion Co Ltd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US5291515A (en) * 1990-06-14 1994-03-01 Clarion Co., Ltd.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device
JP2779047B2 (ja) * 1990-07-30 1998-07-23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式及びその通信システム
ATE130712T1 (de) * 1990-11-22 1995-12-15 Ascom Tech Ag Mehrfachzugriffsverfahren und mobilfunksystem zur durchführung des mehrfachzugriffsverfahrens.
JP2600518B2 (ja) * 1991-04-26 1997-04-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並列スペクトル拡散変調復調装置
JPH05130191A (ja) * 1991-10-31 1993-05-25 Nippon Motoroola Kk マルチサブチヤネル信号の位相制御によるピーク/平均値比率低減方法
JPH0677928A (ja) * 1992-08-26 1994-03-18 Fujitsu Ltd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同期方式
EP0620658B1 (en) * 1992-11-04 2001-12-19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I925472A (fi) * 1992-12-01 1994-06-02 Nokia Mobile Phones Ltd Tiedonsiirtomenetelmä sekä -järjestelmä
JPH06244821A (ja) * 1993-02-12 1994-09-02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
JPH06292251A (ja) * 1993-04-05 1994-10-18 Fujitsu Ltd 複数の移動局からの直交化周波数拡散信号の受信機
JPH0750649A (ja) * 1993-08-05 1995-02-21 N T T Idou Tsuushinmou Kk 符号分割多重通信方法、その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FR2709029B1 (fr) * 1993-08-13 1995-10-20 Matra Communication Procédé de transmission pour des radio communications AMRC et dispositifs pour sa mise en Óoeuvre.
JPH07221672A (ja) * 1994-02-01 1995-08-18 Kazuhiko Yamanouchi 分散型周波数拡散通信方式
JPH07336323A (ja) * 1994-06-10 1995-12-22 Oki Electric Ind Co Ltd 符号分割多元接続装置
US5574747A (en) * 1995-01-04 1996-11-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pread spectrum adaptive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705623B2 (ja) * 1995-03-22 1998-01-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ダイバーシチ送受信方法及び送受信機
US5960028A (en) * 1995-08-11 1999-09-28 Sharp Kabushiki Kaish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9905A3 (en) 2001-10-24
JP2800891B2 (ja) 1998-09-21
DE69738835D1 (de) 2008-08-28
CA2223212C (en) 2002-02-12
EP0849905B8 (en) 2008-12-24
KR19980064210A (ko) 1998-10-07
EP0849905A2 (en) 1998-06-24
CA2223212A1 (en) 1998-06-17
JPH10178413A (ja) 1998-06-30
US6097713A (en) 2000-08-01
AU720372B2 (en) 2000-06-01
EP0849905B1 (en) 2008-07-16
AU4840297A (en) 199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983B1 (ko)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 멀티-코드 전송기
EP1816773B1 (en) Orthogonal complex spreading method for multichannel and apparatus thereof
US6097712A (en) Multi-carrier CDMA communications systems
US5204877A (en) Spread spectrum modulating device
US5940434A (en) Walsh-QPSK chip modulation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waveform in a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JPH07312783A (ja) Cdma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3282518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方式
KR100233836B1 (ko) 다중 반송파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의 변조 장치
EP0857376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MXPA05004953A (es) Calculo de ruido y canal utilizando factores de baja dispersion.
KR960000353B1 (ko) 스프레드 스펙트럼 통신 시스템내 가변수의 통신 채널 수용 방법 및 그 장치
JP3063648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
WO1999012284A1 (en) A method for assigning spreading codes
KR20010102879A (ko) 코드선택 코드분할 다중접속 변복조 방법 및 그것을구현한 장치
US6996080B1 (en) Chip-synchronous CDMA multiplexer and method resulting in constant envelope signals
JPH06197095A (ja) 拡散スペクトル通信装置及びシステム及び拡散スペクトル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混信低減方法
JP2002164810A (ja) 巡回シフト形符号分割多重通信方式
KR100396653B1 (ko) 다중 칩 레이트를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송 방법
KR100720394B1 (ko) 제로상관구간 특성을 갖는 확산코드 기반의 구내용전력선통신시스템 과 구내용 전력선통신 처리방법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KR0149941B1 (ko) 싱글 사이드밴드 dsss/qpsk(4s/qpsk) 송수신 장치
KR20030081744A (ko) 다중 칩 레이트를 위한 이동 통신시스템의 전송방법
KR100848421B1 (ko) 결합기
KR960014408B1 (ko) 소수부호(prime code)를 이용한 M진직교 부호변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다원접속 송수신장치
JPH1093531A (ja) 符号分割多重通信装置
KR20010092561A (ko) 일반화된 다중 칩 레이트를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