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388B1 - 전기부품 - Google Patents

전기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388B1
KR100260388B1 KR1019970017643A KR19970017643A KR100260388B1 KR 100260388 B1 KR100260388 B1 KR 100260388B1 KR 1019970017643 A KR1019970017643 A KR 1019970017643A KR 19970017643 A KR19970017643 A KR 19970017643A KR 100260388 B1 KR100260388 B1 KR 100260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attachment plate
insulator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6912A (ko
Inventor
도시카츠 미야케
노브히로 사카타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97007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6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2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16Adjustable resistors including plural resistive elements
    • H01C10/20Contact structure or movable resistive elements being gang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26Adjustable resistors resistive element mo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 H01C10/34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the contact or the associated conducting structure riding on collector formed as a ring or por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과제) 부착판을 구비한 종래의 전기부품에 있어서는, 전기부품을 회로기판등에 부착하기 위하여, 부착판의 외형치수보다 큰 재료를 사용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구부려 세운 부착다리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부착판에 대한 재료수율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료수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부착판의 외형치수의 범위내에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구부려 세운 부착다리부를 형성하면, 부착다리부와 부착다리부 사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회로기판등에 부착하였을 때에 요동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전기부품에서는, 부착판(11)의 내측을 잘라내어 세운 부착다리부(11d)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부착판에 대한 재료수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부착다리부(11d)를 부착판(11)의 일단부(11m)와 타단부(11n) 부근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판(11)에 대한 재료수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2개의 부착다리부의 간격을 넓힐 수 있으며, 따라서 회로기판등에 부착하였을 때에 요동이 없는 안정한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전기부품
본 발명은 각종의 오디오기기나 통신기등에 사용되는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부품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평1-143103호에 개시되어 있는 회전형 가변저항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 회전형 가변저항기는, 도 10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로 된 원반형상의 회전체(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회전체(1)의 뒷면에 접동자(2)가 구비되어 있다. 또, 이 접동자(2)가 접촉하는 위치에 절연기판(3)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절연기판(3)의 윗면에 있어서의 상기 접동자(2)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인쇄저항(3a)이 인쇄등에 의하여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인쇄저항(3a)은 도체로 된 배선패턴(3b)을 통하여 리드(3c)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절연기판(3)의 외측둘레의 측단에는 절결홈(3d)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호형상으로 된 인쇄저항(3a)의 중심부에는 관통구멍(3e)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금속제의 섀시(4)에는 외측 일단부(4g) 부근에 이 섀시(4)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잘라내어 상측으로 구부려 세운 절곡편(4a)과, 대략 중앙부에 형성한 지지축(4b)과, 양 측부(4e,4e)에 이 섀시(4)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구부려 세운 부착다리부(4f,4f)와, 후술하는 캐비닛(5)의 트인구멍부(5a)에 대응하는 측단부(4d)에 그 중앙부의 일부분을 상측으로 구부려 세운 절곡부(4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기판(3)의 절결홈(3d)에는 상기 섀시(4)의 절곡편(4a)이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하여 상기 섀시(4)에 대한 절연기판(3)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 상기 절연기판(3)의 관통구멍(3e)과 회전체(1)의 관통구멍(1a)에는 상기 섀시(4)에 형성된 지지축(4b)이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1)는 상기 지지축(4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이 회전형 가변저항기는 상기 섀시(4)에 형성된 부착다리부(4f,4f)와 상기 리드(3c)에 의해서 회로기판(6)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형 가변저항기가 부착되는 오디오기기등의 장치측 캐비닛(5)에는 트인구멍부(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1)의 일부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인구멍부(5a)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자가 캐비닛(5)의 외부에서 손가락등으로 회전체(1)를 회전시키면, 회전체(1)에 부착된 접동자(2)가 절연기판(3)상의 인쇄저항(3a)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회동함으로써 저항치가 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부품, 즉 회전형 가변저항기에서는 상기 섀시(4)의 양 측부(4e,4e)에 이 섀시(4)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구부려 세운 부착다리부(4f,4f)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부착다리부(4f,4f)간의 간격이 넓을 수록 부착다리부(4f,4f)를 회로기판(6)등에 부착하였을 때에 요동됨이 없이 안정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에서는, 통상적으로 금속판을 어느 일정한 폭의 띠형상으로 절단가공하여 섀시(4)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6)등에 안정하게 부착하기 위해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구부려 세우는 부착다리부(4f,4f)를 섀시(4)의 외측으로 더 넓히려고 하면, 부착다리부(4f,4f)의 전개치수가 섀시(4)의 외형치수보다 커지게 되므로, 섀시(4)에 대한 재료수율이 나빠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부착다리부(4f)와 지지축(4b) 사이가 평탄부(4h)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착다리부(4f)를 회로기판(6)에 납땜하여 부착할 때에, 납땜시의 열이 상기 평탄부(4h)를 통하여 지지축(4b)으로 전달됨으로써 이 지지축(4b)이 가열되게 된다. 따라서, 이 지지축(4b)이 끼워맞춰져 있는 회전체(1)의 관통구멍(1a)이 열변형되어 회전체(1)의 회전토크가 변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절연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절연체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회전체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부착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부착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부착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종래의 회전형 가변저항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체 2 : 접동자(moving contact)
3 : 절연기판 3a : 인쇄저항
3b : 배선패턴 4 : 섀시
4a : 절곡편 4b : 지지축
5 : 캐비닛 5a : 트인구멍부
11 : 부착판 11a : 돌기
11b : 지지축 11d : 부착다리부
11e : 트인구멍부 11g : 돌출편
11h : 관통구멍 12 : 절연체
12a : 접동자편 12b : 부착구멍
12c,12d,12e : 트인구멍부 12f : 돌출면
12g : 오목부 12h : 관통구멍
12j : 단자 13 : 기판
13a : 회전고정부 13b : 부착구멍
13c : 관통구멍 14 : 회전체
14a : 외측둘레 14b : 부착구멍
14c : 관통구멍 14f : 회전각도 규제홈
15a : 위치결정핀 15b : 위치결정핀
16 : 회로기판 17 : 캐비닛
17a : 트인구멍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수단으로서, 금속제의 부착판과 이 부착판의 내측을 잘라내어 세워서 형성한 부착다리부와 이 부착판에 조립되는 절연체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부착판의 부착다리부를 이 부착판의 일단부 부근에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부착판에 상기 부착다리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트인구멍부는 상기 절연체를 부착하기 위한 지지축과 상기 부착다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부착판에는 이 부착판의 중앙에서 단부를 향하여 잘라내어 세운 1쌍의 부착다리부를 대향되게 배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5 수단으로서, 상기 부착다리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2개의 트인구멍부 사이에 보강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6 수단으로서, 상기 부착다리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상기 트인구멍부를 상기 절연체로 덮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부품에 대한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부품, 즉 회전형 가변저항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 부착판(11)과, 이 부착판(11) 윗면에 부착되는 절연체(12)와, 이 절연체(12) 윗면에 기판(13)을 개재하고서 부착되는 회전체(14)를 순차 적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부착판(11)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길이방향의 일측 모서리에는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모서리에는 상측으로 구부려 세운 돌기(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부착판(11)의 대략 중앙부에는 지지축(11b)이 드로잉가공등에 의하여 이 부착판(11)과 일체가 되도록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축(11b)의 돌출길이는 상기 절연체(12)와 기판(13)과 회전체(14)의 적층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판(11)의 단면(11c)과 상기 지지축(11b) 사이에는, 부착판(11)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단부를 향하여 잘라내어 하측으로 구부려 세운 1쌍의 부착다리부(11d,11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1쌍의 부착다리부(11d,11d)는 부착판(11)의 일단부(11m) 및 타단부(11n) 부근에 각각 형성되게 된다. 또, 상기 1쌍의 부착다리부(11d,11d)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트인구멍부(11e,11e) 사이에 보강부(11f)가 형성되어 부착판(11)의 강도를 보강하고 있다.
또, 상기 단면(11c)의 대략 중앙부에는 돌출편(11g)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또 이 돌출편(11g)과 상기 보강부(11f) 사이의 폭이 좁은 평탄부에는 소정 장소에 관통구멍(11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체(12)는 일측이 반원형상으로 되고 타측이 직선상의 단면(12m)을 가지는 대략 D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체(12)에는 인청동(燐靑銅)등으로 된 탄력성을 가지는 복수의 접동자편(12a)이 성형수지재료에 의한 인서트(insert)성형가공등에 의하여 일체화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체(12)의 대략 중앙부에는 부착구멍(12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절연체(12)에는 상기 접동자편(12a)을 노출시킴과 아울러 굽힘가공을 하기 위한 사각형상의 트인구멍부(12c,12d,12e)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트인구멍부(12c,12d,12e)내에는 굽힘가공에 의하여 상측으로 굽혀진 접동자편(12a)이 배치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동자편(12a)의 접점부가 되는 선단부분은 상기 부착구멍(12b) 주위에 형성된 돌출면(12f)보다 더 돌출되도록 굽힘가공에 의하여 소정 각도로 상측으로 굽혀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절연체(12)에 있어서의 반원형상을 이루는 외측둘레면에는 상기 부착판(11)에 형성된 돌기(11a)가 끼워맞춰지는 홈형상의 오목부(12g)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절연체(12) 표면에는 후술하는 기판(13)의 외측지름보다 약간 큰 오목면(12k)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면(12k)내에 있어서의 상기 반원형상을 이루는 외측둘레면측으로의 소정 장소에 관통구멍(12h)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절연체(12)에 있어서의 직선형상을 이루는 단면(12m)에는 접동자편(12a)에서 연이어 형성되는 단자(12j)가 하측으로 굽혀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절연체(12)는, 이 절연체(12)에 형성된 부착구멍(12b)과 오목부(12g)에 상기 부착판(11)에 형성된 지지축(11b)과 돌기(11a)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절연체(12)가 회전되지 않도록 위치결정된 상태로 부착판(11)에 부착된다. 이 때, 상기 돌기(11a)가 끼워맞춰지는 위치결정용 오목부(12g)는 홈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돌기(11a)가 요동되지 않도록 끼워맞춰지는 관통구멍이어도 된다.
또, 절연체(12)에 형성된 트인구멍부(12c,12d,12e)의 일측이 상기 부착판(11)의 평탄부(11j)에 의해서 덮여지기 때문에, 이 절연체(12)의 트인구멍부(12c,12d,12e)의 일측에서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 내부로 프럭스나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부착판(11)에 형성된 2개의 트인구멍부(11e,11e)는 절연체(12) 뒷면에 형성된 평탄부(12n)에 의해서 덮여지기 때문에, 이 부착판(11)에 형성된 2개의 트인구멍부(11e,11e)를 통하여 먼지등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기판(13)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측을 직선형상으로 절단하여 회전고정부(13a)을 형성한 대략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페놀수지 적층판등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기판(13)에 있어서의 상기 접동자편(12a)과 대향하는 면에는 인쇄등에 의하여 저항체(13d)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판(13)의 중앙부에는 부착구멍(13b)이, 일측의 소정 장소에는 관통구멍(13c)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구멍(13b)의 주위면이 상기 절연체(12)의 돌출면(12f)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14)는 합성수지등에 의하여 대략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회전체(14)의 외측둘레(14a)에는 조작자가 손가락으로 조작할 때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산형상의 요철을 형성하고 있다. 또, 그 중심부에는 상기 부착판(11)에 형성된 지지축(11b)이 끼워맞춰지는 부착구멍(14b)이, 상기 외측둘레(14a) 근방의 소정 장소에는 관통구멍(14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체(14)의 뒷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판(13)이 끼워맞춰지는 기판부착용 오목부(14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기판부착용 오목부(14d)는 상기 기판(13)이 요동되지 않도록 그 외형형상이 기판(14)의 외형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 그 두께치수가 기판(14)의 두께치수보다 약간 깊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기판부착용 오목부(14d)에도 기판(13)의 회전고정부(13a)에 대응하는 회전고정부(14j)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부착구멍(14b)의 주위에는 상기 기판(13)의 부착구멍(13b)에 끼워맞춰지는 돌출부(14e)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체(14)의 기판부착용 오목부(14d)와 외측둘레(14a) 사이에는 회전체(14)의 회전각도를 결정하기 위한 회전각도 규제홈(14f)이 소정의 폭, 깊이, 각도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전각도 규제홈(14f)에 상기 부착판(11)에 형성된 돌기(11a)의 선단이 끼워진다. 따라서, 이 회전각도 규제홈(14f)은 상기 돌기(11a)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회전체(14)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로서의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체(14)는, 상기 기판(13)이 이 회전체(14)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기판부착용 오목부(14d)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취급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판(11)과 상기 절연체(12)와 상기 기판(13)이 부착된 회전체(14)를 조립하고서 상기 부착판(11)의 지지축(11b)을 코킹함으로써 상기 회전체(14)가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이 때, 상기 절연체(12)의 접동자편(12a)이 회전체(14)에 부착된 기판(13)의 저항체(13d)와 누름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절연체(12)에 형성된 트인구멍부(12c,12d,12e)의 타측이 상기 회전체(14)에 부착된 기판(13)에 의해서 덮여진다. 또한, 상기 부착판(11)의 돌출편(11g)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편(11g)의 선단이 캐비닛(17)의 트인구멍부(17a)내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체(14)의 외측둘레(14a) 근방까지 돌출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기부품, 즉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조립 및 동작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조립용 지그(jig)에 부착되어 있는 위치결정핀(15a)과 위치결정핀(15b)을 상기 부착판(11)의 관통구멍(11h)과 지지축(11b)에 형성된 구멍에 각각 끼워서 조립용 지그 위에 부착판(11)을 얹어놓는다.
이어서, 상기 절연체(12)의 관통구멍(12h)에 상기 부착판(11)의 관통구멍(11h)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상기 위치결정핀(15a)을 끼움과 동시에 부착구멍(12b)에 상기 부착판(11)의 지지축(11b)을 끼우면, 부착판(11)의 돌기(11a)가 절연체(12)의 오목부(12g)에 위치결정되는 상태로 끼워맞춰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회전체(14)의 기판부착용 오목부(14d)에 끼워맞춰져서 부착되어 있는 기판(13)의 관통구멍(13c)과 회전체(14)의 관통구멍(14c)에 상기 절연체(12)의 관통구멍(12h)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상기 위치결정핀(15a)을 끼움과 동시에 부착구멍(14b)에 상기 절연체(12)의 부착구멍(12b)에서 돌출되어 있는 부착판(11)의 지지축(11b)을 끼우면, 상기 절연체(12)의 접동자편(12a)이 상기 기판(13)에 형성되어 있는 저항체(13d)에 대향되게 접촉한다. 이 때, 회전체(14) 뒷면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각도 규제홈(14f)에 상기 부착판(11)에 형성된 돌기(11a)의 선단이 끼워진다. 그리고, 이 끼움상태에서는 돌기(11a)의 선단이 상기 회전각도 규제홈(14f)의 일단측(14g)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착판(11) 위에 절연체(12), 기판(13), 회전체(14)를 순차 겹쳐지게 적층하면, 상기 부착판(11)의 지지축(11b)의 선단이 상기 회전체(14)의 부착구멍(14b)에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회전체(14)는 상기 접동자편(12a)의 탄성에 의해서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상기 절연체(12)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11b)의 선단을 도시하지 않은 지그로 코킹하면, 회전체(14)의 돌출부(14e)의 주변이 절연체(12)의 돌출면(12f)에 누름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14)와 절연체(12) 사이에 형성된 틈이 없어짐과 아울러 기판(13)이 일정한 회전작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조립이 완료된 회전형 가변저항기를 도시하지 않은 조립용 지그에서 떼어내면, 상기한 각 부품에 형성된 관통구멍(11h,12h,13c,14c)에 끼워맞춰져 있던 위치결정핀(15a)과 지지축(11b)의 구멍에 끼워맞춰져 있던 위치결정핀(15b)이 빠짐으로써, 회전체(14)가 소정의 회전토크를 갖고서 상기 회전각도 규제홈(14f)의 일단측(14g)에서 타단측(14h)까지의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판(11)의 내측을 잘라내어 하측으로 구부려 세운 부착다리부(11d)를 일단부(11m)측에만 형성하여도 된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판(11)의 타단부(11n) 근방에서 일단부(11m) 근방까지를 잘라내어 하측으로 구부려 세운 부착다리부(11d)를 형성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조립된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12j)와 부착다리부(11d)를 회로기판(16)에 납땜등에 의하여 부착함으로써, 회천체(14)의 외측둘레(14a)의 일부가 오디오기기등의 장치측 캐비닛(17)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캐비닛(17)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회천체(14)의 외측둘레(14a)의 일부를 조작자가 손가락등으로 회전조작하면, 이 회전체(14)에 부착되어 있는 기판(13)이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이 기판(13)이 절연체(12)의 접동자편(12a)과 접촉하면서 회동함에 따라서 저항치가 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부품인 회전형 가변저항기에서는, 부착판(11)의 내측을 잘라내어 세운 부착다리부(11d)를 형성하되, 이 부착다리부(11d)를 부착판(11)의 일단부(11m) 부근에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다리부(11d)의 길이를 도 7,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판(11)의 외형치수의 범위, 즉 타단부(11n) 부근에서 일단부(11m) 부근까지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두께가 다른 여러 종류의 회로기판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부착판(11)의 외형치수의 범위내에서 부착다리부(11d)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판(11)에 대한 재료수율이 향상된다. 또한, 부착다리부(11d)에 회로기판에 접하는 부착용 단부를 형성하면, 회로기판(16)에서 전기부품까지의 높이치수를 선택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므로, 회로기판(16)에 대하여 전기부품을 부착하는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전기부품인 회전형 가변저항기에서는, 부착판(11)의 중앙에서 단부를 향하여 잘라내어 세운 1쌍의 부착다리부(11d)를 형성하되, 이 1쌍의 부착다리부(11d)를 대향되게 배치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1쌍의 부착다리부(11d)를 부착판(11)의 일단부(11m)와 타단부(11n) 부근에 간격을 넓게 하여 각각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등에 요동이 없는 안정된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또, 부착판(11)의 외형치수의 범위내에서 1쌍의 부착다리부(11d)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판(11)에 대한 재료수율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전기부품인 회전형 가변저항기에서는, 상기 부착다리부(11d)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트인구멍부(11e)를 상기 부착다리부(11d)와 지지축(11b) 사이에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부착다리부(11d)를 회로기판(16)에 끼우고서 납땜할 때에 발생하는 열이 이 트인구멍부(11e)에 의해서 차단되어 지지축(11b)으로 용이하게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회전체(14)의 부착구멍(14b)이 쉽게 열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체(14)의 회전토크가 변하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전기부품인 회전형 가변저항기에서는, 상기 부착판(11)의 트인구멍부(11e)와 트인구멍부(11e) 사이에 보강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부착판(11)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기부품인 회전형 가변저항기에서는, 상기 부착판(11)에 절연체(12)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절연체(12) 뒷면에 형성된 평탄부(12n)에 의해서 상기 부착판(11)의 트인구멍부(11e)를 덮는 구성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상기 부착판(11)에 형성된 트인구멍부(11e)를 통하여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내부로 먼지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기판(13)의 회전방향을 회전고정부(13a)와 회전고정부(14j)에 의하여 위치결정하고 있으나, 이것 대신에 회전체(14) 뒷면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기판(13)에 이 볼록부가 끼워맞춰지는 구멍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절연체(12)와 부착판(11)과의 위치 및 회전체(14)에 대한 회전각도를 부착판(11)에 형성한 돌기(11a)에 의하여 규제하고 있으나, 절연체(12)에 돌기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부착판(11)의 돌출편(11g)을 상측으로 구부려서 회전체(14)까지 이르도록 변형하고 절연체(12)에 이 돌출편(11g)이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절연체(12)와 부착판(11)과의 위치 및 회전체(14)에 대한 회전각도를 규제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저항체(13d)를 인쇄한 기판(13)을 회전체(14)에 부착하였으나,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기 저항체(13d)를 인서트성형에 의하여 기판(13)에 부착하여도 된다. 또한, 기판(13)을 사용하지 않고 회전체(14)에 직접 저항체(13d)를 인쇄, 전사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전기부품으로서 회전형 가변저항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저항체(13d) 대신에 도체패턴을 형성한 회전형 엔코더등의 전기부품에 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부품, 즉 회전형 가변저항기에 의하면, 부착판의 내측을 잘라내어 세운 부착다리부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부착판의 외형치수의 범위, 즉 타단부 부근에서 일단부 부근까지의 범위내에서 부착다리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판에 대한 재료수율을 향상시킨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부착다리부를 부착판의 일단부 부근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다리부의 길이를 부착판의 외형치수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회로기판에서 전기부품까지의 높이치수를 선택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회로기판에 대한 부착의 자유도가 향상된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부착판의 중앙에서 단부를 향하여 잘라내어 세운 1쌍의 부착다리부를 형성하되, 이 1쌍의 부착다리부가 대향되게 배치하였다. 따라서, 1쌍의 부착다리부를 부착판의 일단부와 타단부 부근에 간격을 넓게 하여 각각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등에 요동이 없는 안정된 상태로 부착할 수 있는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부착다리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트인구멍부를 상기 부착다리부와 지지축 사이에 형성하였다. 따라서, 부착다리부를 회로기판에 끼우고서 납땜할 때에 발생하는 열이 상기 트인구멍부에 의해서 차단되어 지지축으로 용이하게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회전체의 부착구멍이 쉽게 열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체의 회전토크가 변하는 일이 없는 전기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부착판에 형성되는 2개의 트인구멍부 사이에 보강부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이 보강부에 의하여 부착판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부착판에 트인구멍부를 형성하더라도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부착판에 절연체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절연체의 평탄부에 의해서 상기 부착판의 트인구멍부가 덮여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부착판에 트인구멍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이 트인구멍부를 통하여 전기부품 내부로 프럭스나 먼지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먼지등에 의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일이 없는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금속제로 중앙부에 지지축을 갖는 부착판과;
    이 부착판에 회로기판에 취부하기 위한 부착다리가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에는 그 일단부 부근에 트인구멍부를 잘라내여 단부를 향하여 세운 1쌍의 부착다리부를 대향되게 배치하고, 이 트인구멍부의 사이로 보강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트인구멍부를 상기 절연체로 덮어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에 상기 부착다리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트인구멍부는 상기 절연체를 부착하기 위한 지지축과 상기 부착다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에는 이 부착판의 중앙에서 단부를 향하여 잘라내어 세운 1쌍의 부착다리부를 대향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착다리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2개의 트인구멍부 사이에 보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다리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상기 트인구멍부를 상기 절연체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KR1019970017643A 1996-05-08 1997-05-08 전기부품 KR100260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958496A JP3380679B2 (ja) 1996-05-08 1996-05-08 電気部品
JP96-139584 1996-05-08
JP139584 1996-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912A KR970076912A (ko) 1997-12-12
KR100260388B1 true KR100260388B1 (ko) 2000-07-01

Family

ID=1524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643A KR100260388B1 (ko) 1996-05-08 1997-05-08 전기부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380679B2 (ko)
KR (1) KR100260388B1 (ko)
CN (1) CN1085881C (ko)
MY (1) MY120934A (ko)
TW (1) TW3812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9103A (zh) * 2012-12-04 2013-03-13 张家港华捷电子有限公司 电位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8428B2 (ja) * 2006-12-14 2011-07-06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回転式電子部品
JP4718430B2 (ja) * 2006-12-14 2011-07-06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回転式スイッチ用基板体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6302A (ja) * 1990-08-13 1992-03-27 Murata Mfg Co Ltd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107A (en) * 1980-07-03 1982-01-28 Murata Manufacturing Co Variable resistor
JPH07123081B2 (ja) * 1986-08-05 1995-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操作式可変抵抗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6302A (ja) * 1990-08-13 1992-03-27 Murata Mfg Co Ltd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9103A (zh) * 2012-12-04 2013-03-13 张家港华捷电子有限公司 电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384A (zh) 1997-11-19
CN1085881C (zh) 2002-05-29
JPH09298104A (ja) 1997-11-18
KR970076912A (ko) 1997-12-12
MY120934A (en) 2005-12-30
TW381274B (en) 2000-02-01
JP3380679B2 (ja) 200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5140B1 (en) Rotary variable resistor
KR100260388B1 (ko) 전기부품
KR890002534B1 (ko) 회전조작식 소형 전자부품
JPH11288751A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への端子の取付構造
KR100230705B1 (ko) 전기부품
JP3471169B2 (ja) 電気部品とその組立方法
JP3236956B2 (ja) 回転式可変抵抗器
JPH07245203A (ja) 回転形可変抵抗器
JP3534642B2 (ja) 回転型可変抵抗器
JP3575973B2 (ja) 可変抵抗器
JP4440668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3990005B2 (ja) 回転型電子部品
JPH11238608A (ja) 回転型電気部品
JP3770739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H0248124B2 (ja) Kaitensosashikikogatadenshibuhin
KR900010948Y1 (ko) 회전조작형 전기부품
JPS6314346Y2 (ko)
JP2528672Y2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の取付け構造
JPH11144920A (ja) 電気部品
JP2925904B2 (ja) 回転形電気部品
JPH0429525Y2 (ko)
JPH054241Y2 (ko)
JP3656112B2 (ja) ラジアルテーピング部品
JPH11251119A (ja) 回転型電気部品
GB2174250A (en) Rotary operation type miniaturized electronic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