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705B1 - 전기부품 - Google Patents

전기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705B1
KR100230705B1 KR1019970017644A KR19970017644A KR100230705B1 KR 100230705 B1 KR100230705 B1 KR 100230705B1 KR 1019970017644 A KR1019970017644 A KR 1019970017644A KR 19970017644 A KR19970017644 A KR 19970017644A KR 100230705 B1 KR100230705 B1 KR 100230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hole
rotating body
attachment plat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6911A (ko
Inventor
도시카츠 미야케
노브히로 사카타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97007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6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2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26Adjustable resistors resistive element mo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 H01C10/34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the contact or the associated conducting structure riding on collector formed as a ring or por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Abstract

(과제) 종래의 전기부품에서는 절연체등의 트인구멍부를 통하여 프럭스나 먼지 등이 내부로 침입함으로써 전기부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전기부품, 즉 회전형 가변저항기에서는 절연체(12)의 트인구멍부(12c,12d,12e)를 부착판(11)과 회전체(14)로 상하 양측에서 덮어서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부품 내부로 프럭스나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부품
본 발명은 각종의 오디오기기나 통신기등에 사용되는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부품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63-40301호에 개시되어 있는 회전형 가변저항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성형 수지제로 이루어진 원형상의 손잡이(1)를 나타낸 것으로, 그 중심부에는 원형구멍(1a)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의 외측둘레 근방에는 폭이 좁은 환형상부(1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환형상부(1b)의 외측둘레측에는 멈춤부(1e)를 가지는 원호형상의 홈(1d)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환형상부(1b)의 내측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원형상의 저항기판(2)이 그 중심부의 원형구멍(2a)과 상기 원형구멍(1a)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저항기판(2)은 손잡이(1)에 요동되지 않도록 위치결정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기판(2)의 타측면에는 저항 인쇄층(2c)과 도전체 인쇄층(2d,2e)이 저항기판(2)의 원형구멍(2a)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기체부(3)의 중심에는 상기 손잡이(1)의 원형구멍(1a)에 끼워맞춰져서 이 손잡이(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둥(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기둥(3a)이 손잡이(1)의 원형구멍(1a)에 끼워맞춰졌을 때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지기둥(3a)의 선단을 열접합등의 공법에 의해서 손잡이(1)의 윗면에 형성된 오목부(4)내로 넓힘으로써 손잡이(1)가 빠지지 않도록 유지한다.
또, 상기 기체부(3)에 형성된 돌기(3b)는 손잡이(1)의 원호형상의 홈(1d)에 끼워맞춰지며, 또한 멈춤부(1e)와 맞닿아서 손잡이(1)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 상기 기체부(3)의 평판부에는, 탄성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항기판(2)에 형성된 저항 인쇄층(2c) 및 도전체 인쇄층(2d, 2e)에 탄성접촉하는 접점부(5a,5b,5c)를 가지는 3개의 독립된 탄성접점체(5)가 트인구멍부(3c)의 내부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점부(5a,5b,5c)의 근원부를 기체부(3)의 내부에 인서트성형하고, 기체부(3)의 외부에는 외부접속용 단자부(5d,5e,5f)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전기부품에서는, 상기 접점부(5a,5b,5c)를 상기 기체부(3)의 내부에 인서트성형하는 것만으로는 상기 접점부(5a,5b,5c)를 상기 저항기판(2)의 저항 인쇄층(2c) 및 도전체 인쇄층(2d, 2e)에 탄성접촉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기체부(3)의 내부에 인서트성형하여 부착한 상기 접점부(5a,5b,5c)의 주변에 각(角)형상의 트인구멍부(3c)를 형성하고, 이 트인구멍부(3c)를 이용하여 상기 접점부(5a,5b,5c)를 상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구부린다. 그러나, 기체부(3)에 트인구멍부(3c)가 있으면, 이 트인구멍부(3c)를 통하여 프럭스나 먼지등이 전기부품 내부로 침입하여 전기부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절연수지제로 된 기체부(3)의 중앙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체부(3)와 일체로 된 지지기둥(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부품을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등에 납땜등에 의하여 부착할 때에, 납땜시의 열에 의해서 지지기둥(3a)이 열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지지기둥(3a)의 선단을 열접합등의 공법에 의하여 넓힘으로써 손잡이(1)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는데, 프린트 기판에 대한 납땜을 디핑장치등의 기계로 하면, 디핑장치 내부의 분위기 온도가 고온이 되기 때문에, 특히 상기 열접합되는 부분이 열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부품에서는 손잡이(1)의 회전토크가 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전기부품에 의하면, 접점부(5a,5b,5c)를 저항기판(2)의 저항 인쇄층(2c) 및 도전체 인쇄층(2d,2e)에 탄성접촉시키기 위하여 또한 상기 접점부(5a,5b,5c)를 상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구부리기 위하여, 상기 기체부(3)에 트인구멍부(3c)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기체부(3)에 트인구멍부(3c)가 있으면, 이 트인구멍부(3c)를 통하여 프럭스나 먼지등이 전기부품 내부로 침입하여 전기부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기체부(3)의 중앙부에는 기체부(3)와 일체로 된 지지기둥(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부품을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등에 납땜등에 의하여 부착할 때에, 납땜시의 열에 의해서 지지기둥(3a)이 열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지지기둥(3a)의 선단을 열접합등의 공법에 의하여 넓힘으로써 손잡이(1)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는데, 프린트 기판에 대한 납땜을 디핑장치등의 기계로 하면, 디핑장치 내부의 분위기 온도가 고온이 되기 때문에, 특히 상기 열접합되는 부분이 열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부품에서는 손잡이(1)의 회전토크가 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절연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절연체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회전체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7은 종래의 회전형 가변저항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8은 종래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손잡이를 나타낸 저면도
도 9는 종래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저항기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손잡이 1a : 원형구멍
1c : 돌기 1d : 홈
1e : 멈춤부 2 : 저항기판
3 : 기체부 3a : 지지기둥
3b : 돌기 3c : 트인구멍부
4 : 오목부 5 : 탄성접점체
5a,5b,5c : 접점부 11 : 부착판
11a : 돌기 11b : 지지축
11d : 부착다리부 11e : 트인구멍부
11g : 돌출편 11h : 관통구멍
12 : 절연체 12a : 접동자편
12b : 부착구멍 12c : 트인구멍부
12d : 트인구멍부 12e : 트인구멍부
12f : 돌출면 12g : 오목부
12h : 관통구멍 13 : 기판
13a : 회전고정부 13b : 부착구멍
13c : 관통구멍 14 : 회전체
14b : 부착구멍 14c : 관통구멍
14f : 회전각도 규제홈 15a : 위치결정핀
15b : 위치결정핀 16 : 회로기판
17 : 캐비닛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수단으로서, 금속제의 부착판과 이 부착판에 조립되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를 상기 부착판에 부착하는 지지축과 상기 절연체에 형성된 트인구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체의 일측 트인구멍부를 상기 부착판으로 덮은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부착판에 축지지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이 회전체를 상기 절연체의 타측 트인구멍부에 밀착되게 부착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부착판의 외측둘레단부에는 상기 절연체에 끼워맞춰지는 돌기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절연체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과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회전각도 규제홈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판의 돌기를 상기 절연체의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에 끼워맞추고, 이 돌기의 선단을 상기 회전체의 회전각도 규제홈에 끼운 구성으로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부품에 대한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부품, 즉 회전형 가변저항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의 부착판(11)과, 이 부착판(11) 윗면에 부착되는 절연체(12)와, 이 절연체(12) 윗면에 기판(13)을 개재하고서 부착되는 회전체(14)를 순차 적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부착판(11)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길이방향의 일측 모서리에는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모서리에는 상측으로 구부려 세운 돌기(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부착판(11)의 대략 중앙부에는 지지축(11b)이 드로잉가공등에 의하여 이 부착판(11)과 일체가 되도록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축(11b)의 돌출길이는 상기 절연체(12)와 기판(13)과 회전체(14)의 적층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판(11)의 단면(11c)과 상기 지지축(11b) 사이에는, 부착판(11)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단부를 향하여 잘라내어 하측으로 구부려 세운 1쌍의 부착다리부(11d,11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1쌍의 부착다리부(11d,11d)는 부착판(11)의 일단부(11m) 및 타단부(11n) 부근에 각각 형성되게 된다. 또, 상기 1쌍의 부착다리부(11d,11d)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트인구멍부(11e,11e) 사이에 보강부(11f)가 형성되어 부착판(11)의 강도를 보강하고 있다.
또, 상기 단면(11c)의 대략 중앙부에는 돌출편(11g)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또 이 돌출편(11g)과 상기 보강부(11f) 사이의 폭이 좁은 평탄부에는 소정 장소에 관통구멍(11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체(12)는 일측이 반원형상으로 되고 타측이 직선상의 단면(12m)을 가지는 대략 D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체(12)에는 인청동(燐靑銅)등으로 된 탄력성을 가지는 복수의 접동자편(12a)이 성형수지재료에 의한 인서트(insert)성형가공등에 의하여 일체화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체(12)의 대략 중앙부에는 부착구멍(12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절연체(12)에는 상기 접동자편(12a)을 굽힘가공을 하기 위한 사각형상의 트인구멍부(12c,12d,12e)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트인구멍부(12c,12d,12e)내에는 굽힘가공에 의하여 상측으로 굽혀진 접동자편(12a)이 배치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동자편(12a)의 접점부가 되는 선단부분은 상기 부착구멍(12b) 주위에 형성된 돌출면(12f)보다 더 돌출되도록 굽힘가공에 의하여 소정 각도로 상측으로 굽혀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절연체(12)에 있어서의 반원형상을 이루는 외측둘레면에는 상기 부착판(11)에 형성된 돌기(11a)가 끼워맞춰지는 홈형상의 오목부(12g)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절연체(12)의 표면에는 후술하는 기판(13)의 외측지름보다 약간 큰 오목면(12k)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면(12k)내에 있어서의 상기 반원형상을 이루는 외측둘레면측으로의 소정 장소에 관통구멍(12h)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절연체(12)에 있어서의 직선형상을 이루는 단면(12m)에는 접동자편(12a)에서 연이어 형성되는 단자(12j)가 하측으로 굽혀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절연체(12)는, 이 절연체(12)에 형성된 부착구멍(12b)과 오목부(12g)에 상기 부착판(11)에 형성된 지지축(11b)과 돌기(11a)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절연체(12)가 회전되지 않도록 위치결정된 상태로 부착판(11)에 부착된다. 이 때, 상기 돌기(11a)가 끼워맞춰지는 위치결정용 오목부(12g)는 홈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돌기(11a)가 요동되지 않도록 끼워맞춰지는 관통구멍이어도 된다.
또, 절연체(12)에 형성된 트인구멍부(12c,12d,12e)의 일측이 상기 부착판(11)의 평탄부(11j)에 의해서 덮여지기 때문에, 이 절연체(12)의 트인구멍부(12c,12d,12e)의 일측에서 가변저항기 내부로 프럭스나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부착판(11)에 형성된 2개의 트인구멍부(11e,11e)는 절연체(12) 뒷면에 형성된 평탄부(12n)에 의해서 덮여지기 때문에, 이 부착판(11)에 형성된 2개의 트인구멍부(11e,11e)를 통하여 먼지등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기판(13)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측을 직선형상으로 절단하여 회전고정부(13a)을 형성한 대략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페놀수지 적층판등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기판(13)에 있어서의 상기 접동자편(12a)과 대향하는 면에는 인쇄등에 의하여 저항체(13d)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판(13)의 중앙부에는 부착구멍(13b)이, 일측의 소정 장소에는 관통구멍(13c)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구멍(13b)의 주위면이 상기 절연체(12)의 돌출면(12f)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14)는 합성수지등에 의하여 대략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회전체(14)의 외측둘레(14a)에는 조작자가 손가락으로 조작할 때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산형상의 요철을 형성하고 있다. 또, 그 중심부에는 상기 부착판(11)에 형성된 지지축(11b)이 끼워맞춰지는 부착구멍(14b)이, 상기 외측둘레(14a) 근방의 소정 장소에는 관통구멍(14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체(14)의 뒷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판(13)이 끼워맞춰지는 기판부착용 오목부(14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기판부착용 오목부(14d)는 상기 기판(13)이 요동되지 않도록 그 외형형상이 기판(14)의 외형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 그 두께치수가 기판(14)의 두께치수보다 약간 깊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기판부착용 오목부(14d)에도 기판(13)의 회전고정부(13a)에 대응하는 회전고정부(14j)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부착구멍(14b)의 주위에는 상기 기판(13)의 부착구멍(13b)에 끼워맞춰지는 돌출부(14e)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체(14)의 기판부착용 오목부(14d)와 외측둘레(14a) 사이에는 회전체(14)의 회전각도를 결정하기 위한 회전각도 규제홈(14f)이 소정의 폭, 깊이, 각도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전각도 규제홈(14f)에 상기 부착판(11)에 형성된 돌기(11a)의 선단이 끼워진다. 따라서, 이 회전각도 규제홈(14f)은 상기 돌기(11a)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회전체(14)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로서의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체(14)는, 상기 기판(13)이 이 회전체(14)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기판부착용 오목부(14d)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취급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판(11)과 상기 절연체(12)와 상기 기판(13)이 부착된 회전체(14)를 조립하고서 상기 부착판(11)의 지지축(11b)을 코킹함으로써 상기 회전체(14)가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이 때, 상기 절연체(12)의 접동자편(12a)이 회전체(14)에 부착된 기판(13)의 저항체(13d)와 누름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절연체(12)에 형성된 트인구멍부(12c,12d,12e)의 타측이 상기 회전체(14)에 부착된 기판(13)에 의해서 덮여진다. 따라서, 상기 절연체(12)의 트인구멍부(12c,12d,12e)는 그 일측과 타측이 부착판(11)과 회전체(14)에 의하여 상하 양측에서 덮여져 있기 때문에, 전기부품 즉 회전형 가변저항기 내부로 프럭스나 먼지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부착판(11)의 관통구멍(11h)과 절연체(12)의 관통구멍(12h)과 기판(13)의 관통구멍(13c)과 회전체(14)의 관통구멍(14c)은 축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에서 겹쳐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착판(11)의 돌출편(11g)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편(11g)의 선단이 캐비닛(17)의 트인구멍부(17a)내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체(14)의 외측둘레(14a) 근방까지 돌출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기부품, 즉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조립 및 동작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조립용 지그(jig)에 부착되어 있는 위치결정핀(15a)과 위치결정핀(15b)을 상기 부착판(11)의 관통구멍(11h)과 지지축(11b)에 형성된 구멍에 각각 끼워서 조립용 지그 위에 부착판(11)을 얹어놓는다.
이어서, 상기 절연체(12)의 관통구멍(12h)에 상기 부착판(11)의 관통구멍(11h)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상기 위치결정핀(15a)을 끼움과 동시에 부착구멍(12b)에 상기 부착판(11)의 지지축(11b)을 끼우면, 부착판(11)의 돌기(11a)가 절연체(12)의 오목부(12g)에 위치결정되는 상태로 끼워맞춰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회전체(14)의 기판부착용 오목부(14d)에 끼워맞춰져서 부착되어 있는 기판(13)의 관통구멍(13c)과 회전체(14)의 관통구멍(14c)에 상기 절연체(12)의 관통구멍(12h)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상기 위치결정핀(15a)을 끼움과 동시에 부착구멍(14b)에 상기 절연체(12)의 부착구멍(12b)에서 돌출되어 있는 부착판(11)의 지지축(11b)을 끼우면, 상기 절연체(12)의 접동자편(12a)이 상기 기판(13)에 형성되어 있는 저항체(13d)에 대향되게 접촉한다. 이 때, 회전체(14) 뒷면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각도 규제홈(14f)에 상기 부착판(11)에 형성된 돌기(11a)의 선단이 끼워진다. 그리고, 이 끼움상태에서는 돌기(11a)의 선단이 상기 회전각도 규제홈(14f)의 일단측(14g)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착판(11) 위에 절연체(12), 기판(13), 회전체(14)를 순차 겹쳐지게 적층하면, 상기 부착판(11)의 지지축(11b)의 선단이 상기 회전체(14)의 부착구멍(14b)에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회전체(14)는 상기 접동자편(12a)의 탄성에 의해서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상기 절연체(12)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11b)의 선단을 도시하지 않은 지그로 코킹하면, 회전체(14)의 돌출부(14e)의 주변이 절연체(12)의 돌출면(12f)에 누름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14)와 절연체(12) 사이에 형성된 틈이 없어짐과 아울러 기판(13)이 일정한 회전작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회전체(14)의 회전각도 규제홈(14f)내에 부착판(11)의 돌기(11a)의 선단이 위치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조립이 종료된다.
이어서, 조립이 완료된 회전형 가변저항기를 도시하지 않은 조립용 지그에서 떼어내면, 상기한 각 부품에 형성된 관통구멍(11h,12h,13c,14c)에 끼워맞춰져 있던 위치결정핀(15a)과 지지축(11b)의 구멍에 끼워맞춰져 있던 위치결정핀(15b)이 빠짐으로써, 회전체(14)가 소정의 회전토크를 갖고서 상기 회전각도 규제홈(14f)의 일단측(14g)에서 타단측(14h)까지의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조립된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저항기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12j)와 부착다리부(11d)를 회로기판(16)에 납땜등에 의하여 부착함으로써, 회천체(14)의 외측둘레(14a)의 일부가 오디오기기등의 장치측 캐비닛(17)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캐비닛(17)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회천체(14)의 외측둘레(14a)의 일부를 조작자가 손가락등으로 회전조작하면, 이 회전체(14)에 부착되어 있는 기판(13)이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이 기판(13)이 절연체(12)의 접동자편(12a)과 접촉하면서 회동함에 따라서 저항치가 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부품인 회전형 가변저항기에서는, 상기 절연체(12)에 형성된 트인구멍부(12c,12d,12e)의 일측을 부착판(11)의 평탄부(11j)로 덮어서 폐쇄하였기 때문에, 절연체(12)의 트인구멍부(12c,12d,12e)의 일측에서 전기부품의 내부로 프럭스나 먼지등이 침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체(12)의 트인구멍부(12c,12d,12e)의 타측에는 회전체(14)를 밀착되게 부착하였기 때문에, 상기 절연체(12)의 트인구멍부(12c,12d,12e)의 타측에서 전기부품의 내부로 프럭스나 먼지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체(12)의 트인구멍부(12c,12d,12e)가 그 일측과 타측이 부착판(11)과 회전체(14)에 의하여 상하 양측에서 덮여지기 때문에, 전기부품 즉 회전형 가변저항기 내부로 프럭스나 먼지등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부착판(11)의 외측둘레단부에는 상기 절연체(12)에 끼워맞춰지는 돌기(11a)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이 돌기(11a)와 지지축(11b)에 의해서 부착판(11)과 절연체(12)를 위치가 어긋나는 일 없이 소정의 위치에 간단하고 확실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부착판(11)과 절연체(12)가 상기 돌기(11a)와 지지축(11b)에 의해서 부착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착판(11)의 외형치수를 필요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아도 상기 절연체(12)의 트인구멍부를 확실하게 덮을 수 있다.
또, 상기 절연체(12)에 형성된 오목부(12g) 또는 관통구멍과 상기 회전체(14)의 회전각도 규제홈(14f)에 상기 돌기(11a)를 끼워넣음으로써, 절연체(12)의 위치결정과 회전체(14)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즉, 1개의 부품으로 부품갯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두가지 역할을 겸할 수 있으므로, 제품이 대형화되지 않으며 또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기판(13)의 회전방향을 회전고정부(13a)와 회전고정부(14j)에 의하여 위치결정하고 있으나, 이것 대신에 회전체(14) 뒷면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기판(13)에 이 볼록부가 끼워맞춰지는 구멍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절연체(12)와 부착판(11)과의 위치 및 회전체(14)에 대한 회전각도를 부착판(11)에 형성한 돌기(11a)에 의하여 규제하고 있으나, 절연체(12)에 돌기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부착판(11)의 돌출편(11g)을 상측으로 구부려서 회전체(14)까지 이르도록 변형하고 절연체(12)에 이 돌출편(11g)이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절연체(12)와 부착판(11)과의 위치 및 회전체(14)에 대한 회전각도를 규제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저항체(13d)를 인쇄한 기판(13)을 회전체(14)에 부착하였으나,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기 저항체(13d)를 인서트성형에 의하여 기판(13)에 부착하여도 된다. 또한, 기판(13)을 사용하지 않고, 회전체(14)에 직접 저항체(13d)를 인쇄, 전사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회전형 가변저항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저항체(13d) 대신에 도체패턴을 형성한 회전형 엔코더등의 전기부품에 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부품, 즉 회전형 가변저항기에 의하면, 상기 절연체에 형성된 트인구멍부의 일측을 부착판으로 덮어서 폐쇄하였기 때문에, 절연체의 트인구멍부의 일측에서 전기부품의 내부로 프럭스나 먼지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체에 형성된 트인구멍부의 타측을 상기 회전체로 덮어서 폐쇄하였기 때문에, 절연체의 트인구멍부의 타측에서 전기부품의 내부로 먼지등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먼지등에 의한 성능저하가 적은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부착판의 돌기가 상기 절연체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과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회전각도 규제홈에 끼워맞춰짐으로써, 1개의 부재로 절연체의 위치결정과 회전체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 역할을 겸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이 대형화되지 않으며 또한 저비용의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금속제의 부착판과 이 부착판에 조립되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를 상기 부착판에 부착하는 지지축과 상기 절연체에 형성된 트인구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체의 일측 트인구멍부를 상기 부착판으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에 축지지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이 회전체를 상기 절연체의 타측 트인구멍부에 밀착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의 외측둘레단부에는 상기 절연체에 끼워맞춰지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과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회전각도 규제홈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판의 돌기를 상기 절연체의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에 끼워맞추고, 이 돌기의 선단을 상기 회전체의 회전각도 규제홈에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KR1019970017644A 1996-05-08 1997-05-08 전기부품 KR100230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958696A JP3380680B2 (ja) 1996-05-08 1996-05-08 電気部品
JP96-139586 1996-05-08
JP139586 1996-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911A KR970076911A (ko) 1997-12-12
KR100230705B1 true KR100230705B1 (ko) 1999-11-15

Family

ID=1524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644A KR100230705B1 (ko) 1996-05-08 1997-05-08 전기부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380680B2 (ko)
KR (1) KR100230705B1 (ko)
CN (1) CN1094238C (ko)
MY (1) MY121609A (ko)
TW (1) TW40884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8924A (ja) * 2003-03-24 2004-10-14 Alps Electric Co Ltd 可変抵抗器
CN103700458B (zh) * 2013-09-29 2017-01-11 昆山福烨电子有限公司 一种侧面调节杆多挡电位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107A (en) * 1980-07-03 1982-01-28 Murata Manufacturing Co Variable resistor
JPH07123081B2 (ja) * 1986-08-05 1995-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操作式可変抵抗器
JPH0722215A (ja) * 1993-01-29 1995-01-24 Murata Mfg Co Ltd 可変抵抗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1609A (en) 2006-02-28
JP3380680B2 (ja) 2003-02-24
CN1166037A (zh) 1997-11-26
TW408843U (en) 2000-10-11
CN1094238C (zh) 2002-11-13
JPH09298105A (ja) 1997-11-18
KR970076911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5994A (en) Adjustable enclosed potentiometer
US6275140B1 (en) Rotary variable resistor
KR100230705B1 (ko) 전기부품
KR100260388B1 (ko) 전기부품
JPH0330961B2 (ko)
JP3471169B2 (ja) 電気部品とその組立方法
JP4718428B2 (ja) 回転式電子部品
JP3534642B2 (ja) 回転型可変抵抗器
US6995650B2 (en) Electrical part prevented from improper mounting on circuit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for the electrical part
JP3466372B2 (ja) 回転型可変抵抗器
JPH11238608A (ja) 回転型電気部品
JP4194912B2 (ja) 回転型電気部品
KR900010948Y1 (ko) 회전조작형 전기부품
JPH09260117A (ja) スライド型電気部品
JP3990005B2 (ja) 回転型電子部品
JPS6220969Y2 (ko)
JP3647327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H1126213A (ja) 回転型電気部品
JPH0429525Y2 (ko)
JP3565164B2 (ja) 可変式電子部品
JPH0121532Y2 (ko)
JPS60220903A (ja) 回転操作式小形電子部品
JPH11251119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20136023A (ja) ダイヤル式操作スイッチ装置
JP2005101420A (ja) 回転型可変抵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