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038B1 - 오소거 방지방법 및 오소거 방지기능부착 기록장치 및 가아드 밴드(guard band)가 기록된 디스크 - Google Patents

오소거 방지방법 및 오소거 방지기능부착 기록장치 및 가아드 밴드(guard band)가 기록된 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038B1
KR100253038B1 KR1019930017605A KR930017605A KR100253038B1 KR 100253038 B1 KR100253038 B1 KR 100253038B1 KR 1019930017605 A KR1019930017605 A KR 1019930017605A KR 930017605 A KR930017605 A KR 930017605A KR 100253038 B1 KR100253038 B1 KR 100253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area
address
recor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7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부 오가베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58873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1637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887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1637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262714A external-priority patent/JP31412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62715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7069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double recording on the same blank or against other recording or reproducing malfun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9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2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recorded information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on during external perturbations not related to the carrier or servo beam, e.g. vibration

Landscapes

  • Multimedia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iquid Develope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기록 가능 영역과 기록 완료 영역이 디스크상에 이산적으로 혼재하고 있는 디스크에서, 기록시에 충격, 진동 등에 의해 발생하는 트랙 점퍼로 이미 기록 완료인 영역을 파괴하지 않게 가아드 밴드를 설치하므로서 오버라이트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록 가능 영역과 기록 완료 영역의 경계인 기록 완료 영역의 에지(edge) 정보를 소정량 기록전에 판독하고 기억해두므로서 충격, 진동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트랙 점퍼로 이미 기록 완료인 영역을 파괴해도 파괴된 데이터를 회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소거 방지 방법 및 오소거 방지 기능 부착 기록 장치 및 가아드 밴드(guard band)가 기록된 디스크
제1도는 한 프로그램을 이산적인 세그먼트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크 메디아의 설명도.
제2a도 및 2b도는 종래의 기록 동작의 설명도.
제3도는 실시예의 기록 재생장치의 블록도.
제4도는 실시예의 기록 재생장치에 판독되는 사용자 TOC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설명도.
제5도는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및 파트 테이블에 의한 세그먼트 관리 상태의 설명도.
제6도는 실시예에 대한 기록 매체의 트랙구조의 설명도.
제7a도 및 7b도는 트랙점퍼를 도시하는 모식도.
제8도는 제1의 실시예인 가아드 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제9도는 제2의 실시예인 데이터 재기록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제10도는 제1의 실시예의 기록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제11도는 제1의 실시예의 기록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제12도는 재기록시에 기록 개시위치를 오프세트하고 기록하는 기록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제13도는 재기록시에 기록 개시위치를 기록하는 기록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제14도는 실시예의 복수 세그먼트에 걸치는 기록 동작의 설명도.
제15a도 내지 15c도는 실시예의 메모리의 판독 지점 및 기록 지점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1 : 제1 곡목이 기록된 세그먼트 3 : 광학 헤드
12 : 메모리 제어기 13 : RAM
14 : 음성압축 엔코더, 디코더 21 : 데이터 메모리
본 발명은, 예컨대, 디스크상 기록매체에 대해서 음악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음악 데이터 등을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바꿔쓰기 가능한 디스크 메디아는 이미 음악 데이터등의 데이터가 기록 완료된 영역과 기록 가능 영역을 관리하는 데이터영역(U-TOC : User Table of Contents)이 설치되며, 예컨대, 기록 동작의 종료마다 이 관리 데이터도 바꿔써지게 되어 있는 것이 1992년 9월 10일 출원한 미국 특허 제945488호에 공지되어 있다.
그리고, 예컨대 어떤 프로그램을 녹음 할려고 할 때는 녹음장치는 사용자 TOC부터 디스크 상의 기록 가능 영역을 찾아내고 여기에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광자기 디스크(magneto optical disc) 등의 기록 가능한 디스크 메디아에는 DAT(Digital Audio Tape Recoder)와 컴팩터 카세트 테이프 등의 테이프상 기록매체에 비해서 임의 접근이 훨씬 용이하다. 예를들어 1개의 프로그램을 반드시 연속한 세그먼트(또한, 세그먼트는 물리적으로 연속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트랙부분을 말한다)에 기록할 필요는 없고 디스크상에 이산적으로 복수의 세그먼트로 나누어 기록해도 문제는 없다. 즉, 세그먼트내의 기록 재생 동작과 고속 엑세스동작을 반복하면, 1개의 프로그램 트랙이 복수의 세그먼트로 갈라져서 물리적으로 분할되어 있어도 프로그램의 기록/재생에 지장이 없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도에 도시하듯이 제1 곡목이 세그먼트(T1), 제2 곡목이 세그먼트(T2)로서 연속적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제4 곡목, 제5 곡목으로서 세그먼트 T4(1)∼T4(4), T5(1)∼T5(2)에 도시하듯이 트랙상에 분할해서 기록되는 것도 가능하다(또한, 제1도는 어디까지나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실제로는 1개의 세그먼트는 나선상 또는 동심원상으로 복수의 트랙으로 구성되는 수가 많다).
광자기 디스크에 대해서 프로그램의 기록이나 소거가 반복되었을 때, 기록한 프로그램과 소거한 프로그램이 혼재해서 존재한다.
또한, 이미 기록완료된 프로그램 영역으로부터 오버라이트하는 형태로 신규정보를 기록하는 경우, 신규 프로그램의 연주시간이 기록된 프로그램의 연주시간보다 짧을 때 그 차인 과거의 기록 완료된 영역은 상기 데이터로써 의미를 갖지 않는 영역이다. 상기 나머지 과거에 기록된 영역은 상기 U-TOC상에서 기록 가능영역으로서 등록된다. 기록/소거의 반복으로 데이터 기록 영역의 군더더기가 생기는 일은 해소된다.
또한, 기록되는 것은 반드시 음악신호에 한하지 않으며 디지탈 신호이면 어떤것도 다 포함되는데, 이하의 설명으로는 내용적으로 연속하는 1개의 데이터 덩어리를 프로그램이라고 표현키로 한다.
물론 이같은 디스크 메디아에 대해선 기록시에는 복수의 기록가능 영역이 되는 세그먼트를 액세스하면서 녹음을 계속하고 또 재생시에는 1개의 프로그램이 바르게 연속해서 재생되게 세그먼트가 액세스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필요한 1개의 프로그램내의 세그먼트(예컨대 T4(1) - T4(4))를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나 기록가능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같이 기록 동작이나 소거동작마다 재기록되는 사용자 TOC정보로서 유지되고 있으며 기록/재생장치는 이 사용자 TOC정보를 판독하고 헤드의 액세스를 행하므로서 적정하게 기록/재생동작을 이루게 제어된다.
그런데, 기록 가능 영역에 대해서 데이터의 기록을 실행하고 있을 때 진동이나 충격 등의 영향으로 트랙 점퍼가 생기는 수가 있다.
예컨대, 제2(a)도와 같이 기록가능 영역 FRA의 전후에 이미 기록완료인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영역 REA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를 생각하면 기록동작에는 어드레스(A1)부터 어드레스(A2)의 구간에서 기록 헤드(광학 헤드 및 자기 헤드)가 주사해가면 되는데, 장치에 가해진 진동이나 충격 등의 영향으로 제2(b)도의 점선(TJ)로 나타내듯이 트랙점퍼에 의해서 기록 헤드가 기록 가능 영역으로부터(FRA) 빠지고 이미 데이터의 기록이 이뤄지고 있는 기록 영역(REA)으로 이동하는 수가 있다.
이 경우, 과거의 기록 완료 데이터를 파괴(도면중 DS에 상당한다)하게 되며 두 번 다시 이 데이터를 회복할 수 없으므로, 트랙 점퍼가 생기면 즉시 기록 동작(레이저 광의 방사 파워 출력 및 자계인가)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랙 점퍼를 검출하려면 디스크상에 프리 그룹으로서 기록되고 있는 절대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이 연속성을 감시하고 연속성이 중단된 시점에서 트랙 점퍼 발생이라고 판단하고 기록 동작을 중단하는 것이 예컨대 USP 5012461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프리 그룹부터의 반사광 정보를 절대 정보로서 디코우드하기 까지의 시간 지연 동안에 이미 수 트랙의 트랙점퍼가 발생되는 수도 있으며 데이터 파괴 방지에 대해선 이 검출방식으로는 소용없게 된다.
즉, 절대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제동을 가해선 이미 늦으며 이미 데이터가 파괴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또, 레이저 스파트(spot)가 트랙을 가로지를 때 얻어지는 트레버스 신호를 감시하고 있으면 트랙 점퍼의 발생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데 실제로는 트레버스 신호는 트랙 점퍼시 이외에도 디스크상의 먼지의 영향등으로 발생하는 수도 있으며 이 구별이 곤난하므로 정확성이 나빠진다. 물론 데이터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트랙 점퍼의 가능성이 있다면 즉시 기록동작을 중단할 것이 필요한데 먼지 등의 영향에 의한 트레버스 신호에 의해서 여러번 기록을 중단한다면 기록 효율이 저하되고 실용적이 아니라는 문제가 있다. 특히 다른 소스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악을 더빙(dubbing)기록하고 있는 경우등에선 신호 입력에 대해서 기록 동작이 소용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뤄진 것이며 기록시의 트랙 점퍼에 의해서 이미 기록된 데이터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기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목적으로서 트랙점퍼가 발생해서 과거의 기록 데이터의 파괴가 생겼을 경우에는 적정한 재기록 동작이 실행되는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1의 목적을 실현하는 제1의 실시예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록 매체상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가능한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이 이미 기록된 영역인 경우에 그 기록가능 영역에서 기록된 영역과의 인접부분에 데이터 기록을 행하지 않는 소정 길이의 가아드 밴드부를 형성하고 기록가능 영역에서의 전단부만 기록가능 영역의 후에 기록 영역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선 기록가능 영역에서의 후단부만에 가아드 밴드부가 형성하게 구성한다.
또, 이같이 가아드밴드부를 설치하고 기록을 행하는 기록장치로서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1개의 연속적인 세그먼트 또는 복수의 이산적인 세그먼트에 의해서 기록된 각 단위의 데이터를 재생하고 또는 기록 동작을 행하기 위한 세그먼트 관리 데이터로서 기록된 각 데이터 및 기록 가능 영역에 대해서 세그먼트의 시작 어드레스와 마지막 어드레스 및 그 마지막 어드레스로부터 연속되는 다른 세그먼트에 대한 시작 어드레스와 마지막 어드레스가 기억된 다른 파트 테이블을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갖는 복수의 파트 테이블로 이루은 관리 테이블과, 1 또는 복수의 기록가능 영역에 대해서 관리 테이블 내에서 그것에 대응하는 1 또는 복수의 파트 테이블 중의 선두 파트 테이블의 기억위치를 나타내는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가 적어도 기록되고 있는 기록매체에 대응하는 기록 장치로서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수단과, 데이터 판독수단에 의해서 판독된 세그먼트 관리 데이터를 유지하는 기억수단과, 기억수단에 유지된 세그먼트 관리 데이터에 대해서 소정의 연산처리를 행하는 연산수단을 구비토록 한다. 특히, 이 연산수단에는 세그먼트 관리데이타에서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에 의해서 기록가능 영역에 대응하면 지정된 어떤 파트 테이블에 기록된 세그먼트의 시작 어드레스와 마지막 어드레스로부터 그 기록가능한 세그먼트 길이를 산출하는 기록가능 세그먼트 길이 산출수단과, 산출된 기록가능 세그먼트 길이를, 소정 길이에 설정된 가아드 밴드 길이의 2배의 값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기록 가능 세그먼트 길이가 가아드 밴드 길이의 2배보다 긴 경우에는 해당 기록 가능 세그먼트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어드레스를 가아드 밴드 길이분 만큼 기록진행 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어드레스를 기록개시 어드레스로서 산출하는 기록개시 어드레스 산출수단과, 마찬가지로 기록가능 세그먼트 길이가 가아드 밴드 길이의 2배보다 긴 경우에는 해당 기록 가능 세그먼트의 마지막 위치를 나타내는 마지막 어드레스를 가아드 밴드 길이분만큼 기록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어드레스를 기록종료 어드레스로서 산출하는 기록 종료 어드레스 산출 수단을 설치한다.
그리고, 기록 가능 세그먼트에 데이터 기록을 행할때에는 기록가능 영역에 인접한 앞의 영역이 이미 데이터 기록이 이뤄지고 있는 기록 영역으로 된 경우에는 기록개시 어드레스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위치로부터 데이터 기록을 실행할 수 있게하고, 또, 기록가능 영역에 인접한 뒤의 영역이 이미 데이터의 기록이 이뤄지고 있는 기록 영역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록종료 어드레스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위치에서 데이터 기록을 종료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 이 구성에서 세그먼트 관리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어떤 기록 가능영역의 기록가능 세그먼트 길이가 가아드 밴드길이의 2배보다 짧은 경우에는 해당 기록 가능영역에 대응하는 파트 테이블에 기록된 링크 정보를 써서 다른 기록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파트 테이블을 검색하고 기록가능 세그먼트 길이가 가아드 밴드 길이의 2배보다 긴 기록 가능 영역을 추출하고 기록 가능한 기록가능 영역으로 한다. 그리고, 기록 개시 어드레스 산출수단은, 그 추출된 기록 가능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파트 테이블에 기억된 시작 어드레스를 가아드 밴드 길이분만큼 기록진행 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어드레스를 기록개시 어드레스로서 산출하고, 또, 기록종료 어드레스 산출수단은, 그 추출된 기록가능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파트 테이블에 기억된 시작 어드레스를 가아드 밴드 길이분 만큼 기록진행 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어드레스를 기록개시 어드레스로서 산출하고, 또, 기록종료 어드레스 산출수단은, 그 추출된 기록가능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파트테이블에 기억된 마지막 어드레스를 가아드 밴드 길이분 만큼 기록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어드레스를 기록종료 어드레스로서 산출하게 한다.
실제로 트랙 점퍼가 발생해서 현재 기록중의 영역내에서 기록 에러 또는 데이터 파괴가 생겼을 경우에는 적정한 재기록 동작이 실행되는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의 실시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즉, 기록장치로서 기록매체에 대해서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할 수 있는 기록 재생수단과, 데이터 기록시에 입력된 기록 데이터를 소정시간 유지할 수 있는 버퍼 메모리수단과, 기록 재생수단에 의한 기록 재생위치 및 버퍼 메모리수단에서의 기록/판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이 제어수단은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연속적인 기록가능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그 기록 가능영역에 인접하기전 영역이 이미 데이터의 기록된 기록 영역이였던 경우엔 우선, 이 기록 영역의 소정위치로부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한 데이터 판독동작을 실행시키고 그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기록재생수단이 기록 가능 영역에 도달하면 입력되어 버퍼 메모리 수단을 거쳐서 기록재생수단에 공급되는 데이터의 기록 동작의 실행 제어를 행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또한, 기록 가능 영역으로 데이터를 기록할 때 트랙 점퍼가 검출되면 데이터 기록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트랙점퍼에 의해서 해당 기록 가능 영역에 인접하는 기록 영역의 데이터가 파괴된 경우엔, 미리 판독한 해당 기록 영역의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 수단에서 판독하고 기록 재생수단에 대해서 파괴된 데이터의 회복을 위한 기록 동작의 실행 제어를 행할 수 있게 하지만, 특히 이 데이터의 회복을 위한 기록 동작은 그 데이터가 파괴된 영역은 아니고, 이번에 기록을 행하고 있는 기록가능 영역 선두위치로부터 행하고, 그 회복데이타에 이어서 이번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게 한다.
또, 이 경우, 데이터 파괴가 이뤄진 영역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이것을 새로운 기록 가능 영역으로서 관리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먼지등 기인이 사소한 트랙 점퍼에선 상기 재기록제어를 행하지 않으므로서 기록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기록 헤드의 기록 매체상의 트랙에 대한 점퍼 트랙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과 소정의 트랙수를 기준값으로 하고 데이터 기록시에 이 기준값과 카운트 수단에 의한 카운트 값을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데이터 기록시에 기록 데이터를 기록후에서도 소정시간 유지할 수 있는 버퍼 메모리수단과 비교수단으로 기준값보다 큰 카운트 값이 검출되면 트랙점퍼발생으로 판단하는 트랙점퍼 검출수단과, 데이터 기록시에 트랙점퍼 검출수단에 의해 트랙 점퍼가 검출되면 데이터 기록 동작을 정지시키고 버퍼메모리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기록 데이터를 써서 재기록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는 제어수단을 갖는 기록장치를 구성한다.
또, 이 기록장치에서 제어수단은 데이터 기록시에 트랙점퍼가 검출되면 데이터 기록 동작을 정지시킴과 더불어 트랙점퍼 후의 어드레스 정보를 판독하고 트랙점퍼 방향을 판별하고 디스크 내주측으로의 트랙점퍼이면 트랙 점퍼후의 어드레스 정보의 하나 앞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단위(클러스터)로부터, 재기록 동작을 개시시키게, 또한, 디스크 외주측 트랙점퍼이면, 트랙점퍼 직전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단위(클러스터)로부터 기록동작이 개시되게 하도록 제어하게 한다.
상기 같은 구성으로 했으므로 이하 같은 효과가 존재한다.
가아드 밴드부를 설치하므로서 가아드 밴드 길이에도 의하지만, 트레버스 신호의 검지에선 디스크상의 먼지 등의 영향에 의하는 것이 실제의 트랙점퍼에 의하는 것인지가 구별되지 않는 소수 트랙(예컨대 2트랙 이내)의 트랙점퍼가 발생해도, 기록 가능 영역으로부터 과거에 기록된 기록 영역까지 기록헤드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며, 과거의 기록 데이터를 파괴하는 일은 없다. 물론 먼지에 의한 트레버스 신호이면 그대로 기록을 속행하면 된다. 즉, 이같은 경우는 반드시 일일이 기록동작을 중단시킬 필요는 없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는 트랙 점퍼여도 파괴되는 데이터는 현재의 기록동작으로 기록한 직후의 데이터이며 대부분의 경우, 재기록으로 회복가능하다.
또, 광학 헤드가 기록 영역까지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 다수 트랙(예컨대 3트랙 이상)의 트랙 점퍼에 대해선 트래버스 신호에 의해 그 검출은 거의 정확하고 게다가 신속하게 가능하므로, 이 경우는 즉시 기록동작을 중지하면 회복 불능한 과거의 데이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재기록의 실행/불실행을 판별하기 위한 트랙 점퍼 검출 동작은, 트래버스 신호의 카운트 값과 기준값을 비교하고 기준값 이상의 트랙수의 트랙점퍼 신호의 카운트값과 기준값을 비교하고 기준값 이상의 트랙수의 트랙 점퍼 발생의 경우만 트랙점퍼가 발생하므로서 가장 적절하고 확실한 검출 동작이 된다.
실제로 트랙점퍼가 발생해서 현재 기록중인 영역내에서 에러 또는 데이터 파괴가 생겼을 경우엔 적정한 기록 동작이 실행되는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컨대,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연속적인 기록가능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그 기록가능 영역에서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 또는 전단부와 후단부의 양쪽에 형성되는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 가아드 밴드부가 설치되는 경우, 그 가아드 밴드부의 길이에 따른 트랙수를 기준값이라고 하면 트래버스 신호 검사에는 디스크상의 먼지 등의 영향에 의한 것인지 실제의 트랙점퍼에 의한 것인지 구별할 수 없는 소수트랙(예컨대 2트랙 이내)의 트랙점퍼가 발생해도 기록 가능 영역으로부터 과거에 기록 완료된 기록 영역까지 기록 헤드가 이동되는 일은 없어지며 과거의 기록 데이터를 파괴하지는 않는다. 물론 먼지에 의한 트래버스 신호였다면 그대로 기록을 속행하면 된다. 즉, 이같은 경우는 반드시 일일이 기록동작을 중단시킬 필요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트랙점퍼여도 파괴되는 데이터는 현재의 기록동작으로 기록한 직후의 데이터이며 대부분의 경우, 재기록에 의해서 회복가능하다.
기록하고 있는(기록가능 영역) 영역의 앞에 인접하는 영역(기록 영역)에서의 과거에 기록한 데이터를 기록 동작시에 미리 소정량 판독해두므로서 만일 데이터 파괴가 생겨도 재기록 동작에 의해서 데이터 회복을 행할 수 있다.
또, 데이터 회복을 위한 기록 동작을 지금 기록을 행하고 있는 기록 가능 영역의 선두 위치로부터 행하므로서 만일 이 재기록 동작중에 재차 트랙점퍼가 발생해도 기록헤드는 이미 데이터가 파괴된 영역까지밖에 도달할 수 없으며 미리 데이터를 판독하고 있지 않은 영역의 이미 기록된 데이터가 파괴되는 일은 없다.
이하, 본 발명의 기록장치의 개략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3도를 써서 실시예가 되는 기록 재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고, 이어서 제4도, 제5도에 의해서 이 기록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광자기 디스크에 사용자 TOC정보로서 기록되고 있는 이 세그먼트 관리 데이터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후,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MO디스크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한 기록 재생장치이며 제3도는 기록 재생장치의 주요부분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3도에서(1)은 예컨대 복수의 프로그램(음성데이타)이 기록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를 도시하며, 스핀들모터(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3)은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해서 기록/재생시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광학 헤드이며 기록시에는 기록 트랙을 퀴리점(curie point)까지 가열하기 위한 고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이루고, 또, 재생시에는 자기 카 효과에 의해 반사광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비교적 저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이룬다.
이 때문에, 광학 헤드(3)는 레이저 출력 수단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나 편향 빔 분할기나 대물렌즈 등으로 이루는 광학계, 및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디텍터가 실려있다. 대물렌즈(3a)는 2축기구(4)에 의해서 디스크 반경방향 및 디스크에 접리하는 방향에 변위가능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또, 광학 헤드(3)전체는 쓰레드(thread) 기구(5)에 의해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6)은 공급된 데이터에 의해서 변조된 자계를 광자기 디스크에 인가하는 자기 헤드를 도시하며, 광자기 디스크(1)를 끼고 광학 헤드(3)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재생 동작에 의해서, 광학 헤드(3)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1)부터 검출된 정보는 RF앰브(7)에 공급된다. RF앰프(7)는 공급된 정보의 연산처리에 의해 재생 RF신호, 트래킹에러 신호, 포커스에러 신호, 절대 위치 정보(광자기 디스크(1)에 프리 그룹(워블링그룹)으로서 기록되어 있는 절대위치 정보), 어드레스 정보, 서브코드정보, 포커스 모니터신호 등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재생 RF신호는 엔코우더/디코우더 부(8)에 공급된다. 또, 트래킹에러 신호, 포커스에서 신호는 서보 회로(9)에 공급되며 어드레스 정보는 어드레스 디코우더(10)에 공급되어 복조된다. 다시 포커스 모니터 신호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된다.
서보 회로(9)는 공급된 트래킹 에러 신호, 포커스에러 신호나 시스템 제어기(11)부터의 트랙점퍼 명령, 탐색명령, 회전속도 검출 정보 등에 의해서 각종 서보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고, 2축기구(4) 및 쓰레드 기구(5)를 제어하고 포커스 및 트래킹제어를 이루며 또 스핀들 모터(2)를 일정각 속도(CAV : Constant Angular Velocity) 또는 일정선 속도(CLV : Constant linear Velocity)로 제어한다.
재생 RF신호는 엔코우더/디코우더부(8)에서 EFM복조(Eight-Foreteen Demodulation), CIRC(Cross Interleave Reedsolomon Code) 등의 디코우드 처리되고,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서 일단 버퍼 RAM(13)에 기록된다. 또한, 광학 헤드(3)에 의한 광자기 디스크(1)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및 광학헤드(3)로부터 버퍼 RAM(13)까지의 재생 데이터의 전송은 1.4Mbit/sec로 행해진다.
버퍼 RAM(13)에 기록된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의 전송이 0.3Mbit/sec로 되는 타이밍으로 판독되며 엔코우더/디코우더부(14)에 공급된다. 그리고, 음성 압축처리에 대한 디코우드 처리등 재생 신호 처리가 실시되고, D/A 변환기(15)에 의해서 아날로그 신호로 되고, 단자(16)부터 소정의 증폭회로부로 공급되어서 재생 출력된다. 예컨대 좌채널, 우채널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된다.
또, 어드레스 디코우더(10)부터 출력되는 프리 그룹 정보를 디코우드해서 얻어진 절대 위치정보, 또는 데이터로서 기록된 어드레스 정보는 엔코우더/디코우더부(8)를 거쳐서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되며 각종의 제어동작에 쓰인다.
또한, 기록/재생 동작의 비트 클럭을 발생시키는 PLL회로(Phase Locked Loop)의 록(lock) 검출신호, 및 재생데이타(L, R채널)의 프레임 동기신호의 떨어진 상태의 모니터 신호도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된다.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해서 기록 동작이 실행될때는 단자(17)에 공급된 기록신호(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A/D변환기(18)에 의해서 디지틀 데이터로 된후 엔코우더/디코우더부(14)에 공급되고 음성 압축 엔코우더 처리가 실시된다.
엔코우더/디코우더부(14)에 의해서 압축된 기록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서 일단 버퍼 RAM(13)에 기록되며 또 소정 타이밍으로 판독되어서 엔코우더/디코우더부(8)에 보내진다.
그리고, 엔코우더/디코우더부(8)에서 CIRC 엔코우드, EF에 변조(Eight-Foreteen modulation) 등의 엔코우드 처리된 후 자기 헤드 구동회로(15)에 공급된다.
자기 헤드 구동회로(15)는 엔코우트 처리된 기록 데이터에 따라서 자기 헤드(6)에 자기 헤드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즉,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해서 자기 헤드(6)에 의한 N극 또는 S극의 자계인가를 실행한다. 또, 이때 시스템 제어기(11)는 광학 헤드(3)에 대해서 기록 레벨의 레이저광을 출력하게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19)는 사용자 조작에 제공되는 키가 설치된 조작 입력부,(20)은 예컨대 액정 디스크 플레이에 의해서 구성되는 표시부를 나타낸다. 조작 입력부(19)에는 녹음키, 재생키, 정지키, 선곡키, 큐(cue), 리뷰(review) 등의 서어치키 등이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게 설치되어 있다.
(21)은 광자기 디스크(1)에서의 TOC 정보를 유지하는 RAM(이하, TOC 메모리라 한다)이다. 광자기 디스크(1)이 장전된 시점 또는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의 직전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스핀들 모터(2) 및 광학 헤드(3)를 구동시키고, 광자기 디스크(1)의 예컨대 최내 주측에 설정되고 있는 TOC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시킨다. 그리고 RF 앰프(7), 엔코우더/디코우더부(8)를 거쳐서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된 TOC 정보는 TOC 메모리(21)에 저장되고 이후 그 광자기 TOC 정보는 TOC 메모리(21)에 저장되고 이후 그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한 기록/재생 동작의 제어에 쓰인다.
특히, 이같이 기록 가능한 디스크 매체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1개의 프로그램을 하나 또는 복수로 분할한 세그먼트로서 기록/재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세그먼트 관리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즉 기록 데이터 영역을 관리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기록이나 소거에 따라서 내용이 재기록되는 사용자 TOC 영역(이하, U-TOC라 한다)의 설치되고 있으며, 예컨대 제4도 같은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다.
이 U-TOC는, 예컨대, 4바이트 × 587의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되며, U-TOC의 영역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선두 위치에 모두 "0" 또는 모두 "1"인 1바이트 데이터에 의해서 이루는 동기 패턴을 갖는 헤더가 설치되어 있다.
또, 소정 어드레스 위치에, 기록되고 있는 최초의 프로그램의 곡번(First TNO), 최후의 프로그램의 곡번(Last TNO), 섹터 사용상황, 디스크 식별 데이터등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기록되어 있는 각 프로그램 등을 후술하는 관리 테이블에 대응시키는 각종의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P-DFA ∼ P-TNO255)가 기록되는 영역이 준비되어 있다.
한편, 관리 테이블로서(01) -(FF) 까지의 255개의 파트 테이블이 설치되고, 각각의 파트 테이블에는, 어떤 세그먼트에 대해서 기점이 되는 시작 어드레스, 종단이 되는 마지막 어드레스, 그 세그먼트(트랙)의 모드 정보, 및 그 세그먼트가 다른 세그먼트로 계속해서 연결되는 경우는 그 연결되는 세그먼트의 시작 어드레스 및 마지막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는 파트 테이블을 나타내는 링크 정보가 기록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트랙의 모드 정보는, 그 세그먼트가 예컨대 오버라이트 금지나 데이터 복사 금지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정보나 오디오 정보인지 아닌지, 모노랄/스테레오의 종별등이 기록되어 있다. 링크 정보는, 예컨대 각 파트 테이블에 부여된 번호(01) -(FF)에 의해서 연결해야 할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관리 테이블에는, 1개의 파트 테이블은 1개의 세그먼트를 표현하고 있는데, 예컨대 3개의 세그먼트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프로그램에 대해선 링크 정보에 의해서 연결되는 3개의 파트 테이블에 의해서 그 세그먼트 위치의 관리가 이뤄진다. 또한, 이 때문에 파트 테이블의 번호로 되는(01) -(FF)는 그대로 세그먼트 번호로 할 수 있다.
관리 테이블(01) -(FF)까지 각 파트 테이블은,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P-DEA ∼ P-TN0255)에 의해서 그 세그먼트의 내용이 나타내어진다.
P-DFA(Pointer for the start address of the Defective Area)는 광자기 디스크(1)상의 결함 영역에 붙여서 나타내고 있으며, 홈에 의한 결함 영역이 되는 트랙부분(=세그먼트)이 나타내어진 1개의 파트 테이블 또는 복수의 파트 테이블내 선두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결함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경우는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P-DFA에서(01) -(FF)중의 어느 것인가가 기록되고 있으며 그것에 상당하는 파트 테이블에는, 결함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경우는 결함 세그먼트가 시작 및 마지막 어드레스로 표시된다. 또다른 결함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경우는 그 파트 테이블에서의 링크 정보로서 다른 파트 테이블이 지정되며, 그 파트 테이블에도 결함 세그먼트가 나타내어지고 있다. 그리고, 또한 다른 결함 세그먼트가 없는 경우는 링크 정보는 링크 정보는 예컨대(00)로 되고 이후 링크없음으로 된다.
P-EMPTY(pointer for the Empty slot on the parts table)는 관리 테이블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미사용 파트 테이블의 선두 파트 테이블을 나타내는 것이며, 미사용 파트 테이블이 존재하는 경우는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P-EMPTY로서(01) -(FF)중의 어느것인가가 기록된다. 미사용 파트 테이블이 여러개 존재하는 경우는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P-EMPTY에 의해서 지정된 파트 테이블로부터 링크 정보에 의해서 차례로 파트 테이블이 지정되며 모든 미사용 파트 테이블이 관리 테이블상에서 연결된다.
예컨대,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고 결함도 없는 광자기 디스크이면, 파트 테이블은 모두 사용되어 있지 않으므로 예컨대,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P-EMPTY에 의해서 파트 테이블(01)이 지정되며 또, 파트 테이블(01)의 링크 정보로서 파트 테이블(02)이 지정되고 파트 테이블(02)의 링크 정보로서 파트 테이블(03)이 지정되며, 라는 듯이, 파트 테이블(FF)까지 연결된다. 이 경우 파트 테이블(FF)의 링크 정보는 이후 연결없음을 나타내고(00)으로 된다.
P-FRA(Pointer for the start address the Freely Recordable Area)는 광자기 디스크(1)상의 데이터의 기록가능 영역(소자 영역을 포함)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으며 기록가능 영역이 되는 트랙부분(=세그먼트)이 나타내어진 하나 또는 복수의 파트 테이블내의 선두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기록가능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는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P-FRA에서(01) -(FF)중의 어느 것이 기록되어 있으며 그것에 상당하는 파트 테이블에는 기록가능 영역인 세그먼트가 시작 및 마지막 어드레스에 의해서 나타내어져 있다. 또, 이같은 세그먼트가 복수개 있으며 즉, 파트 테이블이 복수개 있는 경우는 링크 정보에 의해서 링크 정보가(00)이 되는 파트 테이블까지 차례로 지정되어 있다.
제5도에 파트 테이블에 의해서 기록가능 영역이 되는 세그먼트의 관리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것은 세그먼트(03),(18),(1F),(2B),(E3)가 기록가능 영역으로 되어 있을 때, 이 상태가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P-FRA에 이어서 파트 테이블(03),(18),(1F),(2B),(E3)의 링크에 의해서 표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결함 영역이나 미사용 파트 테이블의 관리 형태도 이것과 마찬가지로 된다.
P-TN01 ∼ P-TNO255(Pointer for the start address of track n)는 광자기 디스크(1)상에 기록된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으며 예컨대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P-TNO1에선 1곡목의 데이터가 기록된(1) 또는 복수의 세그먼트중의 시간적으로 선두가 되는 세그먼트가 나타내어진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예컨대 1곡목으로 된 프로그램이 디스크상에서 트랙분이 분단되지 않고(즉 1개의 세그먼트로) 기록되고 있는 경우, 그 1곡목의 기록 영역은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P-TN01로 나타내어지는 파트 테이블에서의 시작 및 마지막 어드레스로서 기록되어 있다.
또, 예컨대 2곡목으로 된 프로그램이 디스크상에서 복수의 세그먼트에 이산적으로 기록되고 있는 경우는 그 프로그램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각 세그먼트가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서 지정된다. 즉,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P-TN02에 지정된 파트 테이블로서, 또한 링크 정보에 의해서 다른 파트 테이블이 차례로 시간 순서에 따라서 지정되어서, 링크 정보가(00)이 되는 파트 테이블까지 연결된다(상기, 제5도와 마찬가지의 형태). 이같이 예컨대 2곡목을 구성하는 데이터가 기록된 전 세그먼트가 차례로 지정되어 기억되고 있으므로서, 이 U-TOC 데이터를 써서 2곡목의 재생시나 그 2곡목의 영역으로 오버라이트를 행할 때, 광학 헤드(3) 및 자기헤드(6)을 액세스시키고 이산적인 세그먼트로부터 연속적인 음악 정보를 꺼내거나 기록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한 기록이 가능해진다.
이같은 U-TOC 데이터가 기록된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한 제1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는, TOC 메모리(21)에 판독한 U-TOC 데이터를 써서 디스크상의 기록 영역의 관리를 행하고 기록/재생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기록동작 때에는, U-TOC 데이터로부터 디스크 상의 기록 가능 영역을 찾아내고 여기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인데 기록 가능 영역의 전 또는 후에 기록 영역 인접하고 있을때는 기록 가능 영역의 전단부 및/또는 후단부에 데이터 기록을 행하지 않는 가아드 밴드가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한 가아드 밴드의 길이에 따라서 기록중에 트랙 점퍼가 발생했는지 여부의 판별 기준을 정하고 재기록 동작이 효율적으로 실행되게 하는 것이다.
이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한 기록 트랙은, 제6도 같이 4섹터의(1섹터 =2352바이트)부 데이터 영역과 32섹터의 주 데이터 영역으로 되는 클러스터 CL(=36 섹터)가 연속해서 형성되고 있으며, 1클러스터가 기록시 최소 단위로 된다. 1클러스터는 2∼3바퀴 트랙분에 상당한다. 또한, 어드레스는 1섹터마다 기록된다.
여기에서, 제8도에 도시하듯이 가령 복수의 클러스터 CL1∼CL9가 포함되는 어드레스 A1∼A2의 세그먼트가 기록 가능 영역 FRA로 되고 있으며 게다가 그 전후가 기록 영역 REA인 경우를 상정한다. 어드레스(A1),(A2)는 U-TOC 데이터로서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P-FRA에서 지정되는 파트 테이블(또는 그 파트 테이블에서 링크 정보에 의해서 링크되어 있는 파트 테이블중의 어느 것)에서 시작 어드레스 및 마지막 어드레스로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는 기록 영역 REA와 인접하는 부분에서 데이터 기록이 이뤄지지 않는 가아드 밴드 GB가 예컨대 1클러스터분의 길이로 형성되게 기록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즉, 시스템 제어기(11)에서는 기록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시작 어드레스(A1) 보다 1클러스터분 앞의(A3)으로 하는 연산을 행하고 또, 기록 종료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마지막 어드레스(A2)보다 1클러스터분 앞의(A4)로 하는 연산을 행하고 기록 영역을 설정하고 기록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기록 헤드는 도면중(H1)에 도시하듯이 어드레스(A3)-(A4) 구간에서 주사된다. 이 때문에 클러스터(CL1) 및(CL9)는 데이터 기록이 이뤄지지 않는 가아드 밴드(GB)로 된다.
그리고 트랙 점퍼의 발명에 대해선 시스템 제어기(11)는 서보 회로(9)의 트래버스 신호를 검출하므로서 행한다.
트래버스 신호는 레이저 스파트가 트랙을 가로지를 때마다 발생되므로 트래버스 신호를 카운트하므로서 몇 개의 트랙이 가로질러졌는지가 판별된다. 단, 상술같이 디스크상의 먼징이 영향등으로 발생하는 수도 있다.
그래서, 시스템 제어기(11)는 트래버스 신호를 카운트하고 제7(a)도 같이 3트랙 이상의 트랙 점퍼가 발생한 것을 검출하면 트랙 점퍼 발생이라 판단하고 즉시 기록 동작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가능하면 재기록 동작을 행한다.
예컨대, 제8도에 주사(H4) 또는(H5)로서 도시하고 있듯이 트랙 점퍼(TJ)가 그 기록가능 영역내에서 발생했을 때는 재기록 가능인 경우가 많다.
또, 제7(b)도 같이 트래버스 신호가 단발적으로 2개 이하 생겼을 경우는, 예컨대 디스크상의 먼지의 영향이라 간주하고 기록 동작을 그대로 계속하도록 한다.
트래버스 신호가 단발적으로 2개 이하 생겼을 경우가 예컨대 실제로 2트랙 이하의 트랙 점퍼가 생겼을 경우라고 해도 가아드 밴드(GB)는 1클러스터분(2∼3트랙분) 형성되기 때문에 그 경우의 기록 헤드의 주사 상태는 제8도의(H2) 또는(H3)으로서 도시하듯이 가아드 밴드(GB)에서 밖의 기록 영역(REA)로까지 도달하는 수는 없다. 따라서, 과거의 기록 데이터의 파괴까지는 이르지 않는다. 실제의 트랙점퍼인지 아닌지의 판별은 디스크상의 프리 그룹에 의한 절대 위치 정보의 연속성 점검으로 정확하게 행하고 트랙 점퍼시에는 재기록 등의 대처를 한다.
제10도는 이같은 기록 동작 제어를 행하는 시스템 제어기(11)의 기록시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또한, 각 단계를(F101) ∼(F123)으로 도시한다.
광자기 디스크(1)가 로우딩되면, 상기와 같이 TOC 정보가 판독되어지며 따라서 제4도의 U-TOC 데이터도 TOC 메모리(21)에 유지되는데, 시스템 제어기(11)는 예컨대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19)로부터 기록 조작을 행하면 U-TOC 데이터를 써서 제10도의 루틴 처리를 행한다.
우선, U-TOC 데이터의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P-ERA에서 지정되는 파트 테이블로부터 기록 가능 영역 FRA의 시작 어드레스 마지막 어드레스를 검색한다(F101, F102). 그리고 그 기록 가능 영역 FRA의 세그먼트 길이, 즉(마지막 어드레스)-(시작 어드레스)가 가아드 밴드 길이의 2배(=2 클러스터)보다 긴지 아닌지를 판별한다(F103).
만일 세그먼트 길이 ≤ 가아드 밴드 길이의 2배이면 그 기록 가능에 어리어 FRA는 기록불능으로 하고, 그 기록가능 영역 FRA가 나타내어진 파트 테이블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다음의 파트 테이블을 검색하고 그 시작 어드레스 및 마지막 어드레스로부터 세그먼트 길이를 산출한다. 즉, 단계(F101-F103)에 의해서 세그먼트 길이 > 가아드 밴드 길이의 2배인 기록가능 영역 FRA가 찾아내어지며 이것이 기록해야 할 영역으로 된다.
기록해야 할 기록가능 영역 FRA가 지정되면 그 시작 어드레스(A1)보다 가아드 밴드(GB) 길이(1 클러스터)분만큼 뒤의 위치 어드레스를 기록 개시 어드레스(A3)로 하고 산출한다(F104). 또, 그 마지막 어드레스(A2)보다 가아드 밴드 GB 길이(1 클러스터)분만큼 앞의 위치 어드레스를 기록 종료 어드레스(A4)로서 산출한다(F105).
기록 개시 어드레스(A3) 및 기록 종료 어드레스(A4)가 산출되면, 기록 헤드를 그 기록 개시 어드레스(A3)에 액세스시키고 어드레스(A3)로부터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시킨다(F106, F107, F108). 즉, 제8도의(H1) 같이 기록 주사가 개시되고 버퍼(RAM13)를 거쳐서 자기 헤드(6)에 공급된 데이터가 기록되어간다.
이 기록 주사중은, 시스템 제어기(11)는 헤드 위치가 기록 종료 어드레스(A4)에 도달했는지, 트래버스 신호에 의해서 3트랙 이상의 트랙 점퍼가 검출되었는지, 및 디스크상의 프리 그룹에서 얻어지는 절대 위치 정보에 불연속이 검출되었는가를 감시하고 있다(F109, F110, F111).
3트랙분 이상의 트래버스 신호 또는 절대 위치 정보의 불연속이 검출되지 않은채 헤드 위치가 기록 종료 어드레스(A4)에 도달한 경우는, 그 세그먼트에 대한 기록 동작은 정상으로 종료했다 하고 그 세그먼트에 대한 기록 동작을 종료하고(F109 → F122), 이 기록 가능 영역(FRA)는 기록 영역(REA)으로 된 것이 되므로 이것에 따라서 U-TOC 데이터중 필요한 데이터를 변경하고 디스크상의 U-TOC 영역을 고쳐쓰는 처리를 행한다(F123).
또한, 흐름도에 의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상기 제1도에서 설명했듯이 이같은 광자기 디스크에 관해선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를 복수의 세그먼트에 걸쳐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아직 모든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제14도에 주사(H6)으로서 도시하듯이 최초의 기록 가능 영역(FRA1)의 기록이 종료한 단계에서 다음 기록 가능 영역(FRA2)에 액세스해서 기록을 계속하게 된다. 이 경우, 다음의 기록 가능 영역(FRA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가아드 밴드(GB)가 형성되게 어드레스(A3∼A4)간에서 기록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실제로 U-TOC 데이터의 고쳐쓰기는(1) 또는 복수의 모든 세그먼트(기록가능 영역 FRA)에 대한 기록이 종료된 단계에서 일괄해서 실행되게 한다.
기록가능 영역(FRA)로의 데이터 기록중에는 시스템 제어기(11)는 트래버스 신호를 감시하고 있으나 2트랙분 이내의 트래버스 신호이면 이것을 무시하고 기록 동작을 계속시킨다.
3트랙분의 트래버스 신호를 검출한 경우는 트랙 점퍼 발생으로 간주하고 데이터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즉시 기록 동작을 정지시킨다(F110 → F112).
그리고 트랙 점퍼 발생 검출 시점에서 이미 데이터 파괴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여기에서 재기록으로 데이터 부활이 가능하다면 이것을 행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가아드 밴드(GB)에 의해서 3트랙의 트랙 점퍼로 기록 헤드가 지금 기록을 행하고 있는 기록가능 영역(FRA)의 밖에 도달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예컨대 버퍼 RAM(13)에 남아있는 데이터에 의해서 대부분의 경우 데이터 부활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록 정지 처리를 행하므로서 3트랙 이상 떨어진 데이터가 파괴되는 일은 없다.
그래서 우선 트랙 점퍼후의 절대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F103), 이 위치 정보로부터 트랙 점퍼가 디스크 내주측으로의 것인지 디스크 외주측으로의 것인지를 판단한다(FD4).
예컨대, 제8도에 주사(H4)로서 도시하듯이 클러스터(CL7)부터 클러스터(CL5)로 디스크 내주측으로의 트랙 점퍼였던 경우엔 판독한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섹터의 하나 앞의 섹터를 갖는 클러스터(CL4 또는 CL5)로부터 데이터 파괴가 생겼다고 생각되므로 그 하나 앞의 클러스터(CL4 또는 CL5)를 산출한다(F115).
한편, 제8도에 주사(H5)로서 도시하듯이 클러스터(CL3)부터 디스크 외주측으로의 트랙 점퍼였던 경우엔 트랙 점퍼 발생전에 최후에 검출한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섹터를 가지는 클러스터(CL3)부터의 데이터 기록에 에러가 생겼다고 생각되므로 그 트랙 점퍼전의 절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클러스터(CL3)를 산출한다(F116).
그런데, 2트랙 이내의 트래버스 신호가 검출된때도 실제로는 트랙 점퍼 발생으로 현재 기록 계속중의 기록 가능 영역 FRA 내에서의 기록 에러 또는 데이터 파괴가 생긴 경우가 있으므로(예컨대 제8도의 H2 또는 H3으로 도시하는 경우), 상술같이 절대 위치 정보의 연속성이 감시되고 있다.
그리고 불연속이 발생한 경우는 트랙 점퍼 발생이나 간주하고 기록을 정지시킨다(F111 → F117). 그리고 데이터 부활 또는 에러 해소를 위한 재기록을 개시해야 할 클러스터를 산출하는 것으로 된다(F118).
여기에서 재기록을 개시해야할 클러스터는 절대 위치 정보의 연속성이 끊어진 직전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클러스터(CL)와 절대 위치 정보의 불연속을 검출한 어드레스의 하나 앞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클러스터(CL)중, 보다 내주측에 위치하는 클러스터(CL)로 된다.
단계(F115),(F116),(F118)중의 어느 하나로 재기록을 행해야할 클러스터가 산출되면 그 클러스터로부터 트랙 점퍼가 발생한 클러스터까지 기록한 데이터가 아직 버퍼 RAM(13)에 남아 있는지 어떤지를 판별한다(F119). 남아있지 않으면 재기록에 의한 데이터 회복은 불능이므로 기록 에러로서 처리를 종료하는데(F120), 남아있으면 산출된 클러스터의 선두의 어드레스를 기록 개시 어드레스로서 세트하고 그 클러스터로부터의 데이터 기록을 재개한다(F121 → F106).
이상의 처리로 기록가능 영역 FRA 에는 가아드 밴드 GB가 형성되어 기록 동작이 이뤄지는 동시에 가아드 밴드 GB에 의해 기록 헤드가 다른 영역에 침입할 우려가 없는 정도의 트랙 점퍼의 가능성이 검출된 경우는 이것을 곧바로 트랙 점퍼라고 간주하지 않는다. 그리고, 절대 위치 정보의 불연속으로 트랙 점퍼가 정확하게 확인되기 까지는 기록 동작을 계속한다. 즉, 먼지 등에 의해 그릇된 트래버스 신호로 기록이 중단되는 일은 없어진다.
또, 트랙 점퍼 발생시에는 즉시 데이터 회복 처리 및 계속 기록 동작이 실행되게 된다.
또한, 이 흐름도의 처리에선 기록 동작이 실행되는 모든 기록 가능 영역 FRA에 가아드 밴드 GB가 형성되게 되는데 실제로는 기록가능 영역의 전후에 기록 영역 REA가 인접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가아드 밴드 GB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설치하지 않는쪽의 많은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그래서 제10도의 단계(F101 ∼ F105)까지의 처리는 제11도의 단계(F201 ∼ F217)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록 개시때 기록 가능 영역 FRA가 찾아내어 지거든(F201, F202), 우선, 그 전후의 양쪽의 인접 영역이 기록 영역 REA인지 아닌지 판별한다(F203). 그리고, 전후가 기록 영역 REA이면 제10도와 마찬가지로 세그먼트 길이가 가아드 밴드 길이의 2배(2 클러스터)보다 긴지 아닌지를 판별하고(F204), 길면 기록 가능한 영역이라 하고 플래그(FF), FR를 온으로 한다(F205).
또, 추출된 기록 가능 영역 FRA의 전후 양쪽이 기록 영역 REA가 아닌 경우는 앞 또는 뒤의 한쪽이 기록 영역 REA인지를 판별하고(F206), 한쪽이 기록 영역(REA)이었든 경우는 한쪽만에 가아드 밴드 GB를 두면 되므로 세그먼트 길이가 가아드 밴드 길이(1 클러스터)보다 긴지 아닌지를 판별한다(F207). 그리고 가아드 밴드 길이보다 길면 기록 가능한 영역이라 하고 앞뒤의 어느 것이 기록 영역 REA인지 판별하고(F208), 앞이 기록 영역이면 플래그 FF는 온하고, 플러그 FR은 오프한다(F209). 또, 뒤가 기록 영역이면 플러그 FF은 오프하고 플래그 FR을 온으로 한다(F210).
또한, 앞뒤의 어느것도 기록 영역 REA가 아닌 경우는 가아드 밴드 GB는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기록 가능한 영역이라 하고 플래그 FF, FR를 오프라 한다(F211).
그리고, 플래그 FF가 온인 경우는 세그먼트 전단부에 가아드 밴드 GB가 형성되게 기록 개시 어드레스(A3)는 스타트 어드레스(A1)에 가아드 밴드 길이를 가한 위치의 어드레스로 한다(F212 → F213).
한편, 플래그 FR가 오프인 경우는 기록 종료 어드레스(A1)를 그대로 쓴다(F212 → F214).
즉 이 경우, 그 기록가능 영역 FRA의 전단부에 가아드 밴드 GB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 플래그 FR가 온인 경우는 세그먼트 후단부에 가아드 밴드 GB가 형성되게 기록 종료 어드레스(A4)는 마지막 어드레스(A2)로부터 가아드 밴드 길이를 뺀 위치의 어드레스로 한다(F215 → F216).
한편, 플래그 FR가 오프인 경우는 기록 종료 어드레스로선 마지막 어드레스(A2)를 그대로 사용한다(F215 → F217). 즉 이 경우, 그 기록 가능 영역 FRA의 후단부에 가아드 밴드 GB는 형성되지 않는다.
그후, 처리는 제10도의 단계(F106)으로 나아가고 상술한 동작이 실행된다. 이것으로 이상 실시예를 설명했는데 경우에 따라선 가아드 밴드를 설치하는 것은 인접 영역이 기록 영역 REA인 것에 불구하고 기록 가능 영역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의 한쪽으로 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 트래비스 신호에 의해서 트랙 점퍼를 판별하는 것은 3트랙 이상으로 했는데, 이것은 가아드 밴드 길이의 설정과 상관해서 결정되는 것이다. 가아드 밴드 길이가 길면 예컨대 4트랙 이상분의 트래버스 신호로 처음으로 트랙 점퍼 발생이라 판별토록해도 된다. 즉, 가아드 밴드 길이에 의해서 기록중의 세그먼트를 빠져나가는 일이 없는 정도의 트랙 점퍼수의 트래버스 신호는 우선 먼지 등에 의한 검출 에러라고 간주하고 기록을 계속해도 다른 영역의 기록 데이터를 파괴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이같이 가아드 밴드 길이와 트랙 점퍼 검출 기준을 상관성을 갖게해서 설정하므로서 기록 동작의 효율 향상과 과거의 데이터 파괴 방지를 위한 트랙 점퍼 검출의 정확화와 신속화가 얻어지며 이것에 의해서 기록 완료 데이터의 파괴방지가 확실하게 실현되는 것이다.
그런데, 기록 가능 영역에 가아드 밴드가 설치되지 않는 기록 방식이 채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적용된다. 그 실시예를 제2의 실시예로서 이하에 나타낸다.
이 경우, 예컨대 2트랙 이하의 작은 트랙 점퍼여도 과거의 데이터가 파괴되고 마는 경우가 생각되는데 예컨대 기록 동작 직전에 그 인접하는 기록 영역의 데이터의 소정량(예컨대 1클러스터분)을 판독해 두므로서 재기록 동작에 의해서 데이터 회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같이 하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트랙 점퍼 검출을 행하므로서 기록 데이터의 회복 불능한 파괴 방지 및 기록 동작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로는 기록 동작시에 U-TOC 데이터로부터 디스크상의 기록 가능 영역을 찾아내고 여기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인데, 기록 가능 영역전에 기록 영역이 인접하고 있을 때는 그 기록 영역의 소정부 위로부터 미리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버퍼 RAM(13)에 저장하고 그후 기록 가능 영역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의 기록 동작을 개시토록 한다.
그리고, 기록중에 트랙 점퍼가 발생해서 인접하는 기록 영역의 데이터가 파괴된 경우에는 미리 판독해둔 데이터를 써서 재기록 처리하고 데이터를 회복시킨다.
특히, 이 데이터 회복 동작시의 기록 위치는 데이터 파괴가 이뤄진 영역으로 하지 않고 지금 기록을 행하고 있던 기록 가능 영역의 선두부터 개시하고 그 과거 데이터의 재기록에 계속해서 이번의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제2실시예에 대해서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9도에 도시하듯이 가령 복수의 클러스터(CL1 ∼ CL9)가 포함되는 세그먼트 영역이 기록 영역 REA인 경우를 생각한다. 어드레스(AWS),(AWE)는 U-TOC 데이터로서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P-FRA에서 지정되는 파트 테이블(또는 그 파트 테이블로부터 링크 정보에 의해서 링크되어 있는 파트 테이블중의 어느 것)에서 시작 어드레스 및 마지막 어드레스로서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제2실시예에는 기록 동작시에 우선, 기록 영역 REA에서의 기록가능 영역 FRA와 인접하는 종단부분의 예컨대 1클러스터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한다. 즉, 시스템 제어기(11)에선 우선 기록 개시 어드레스 AWS보다 1클러스터분 전의 어드레스를 산출하고 이것을 과거 데이터 판독 개시 어드레스 APS로 하고 이 과거 데이터 판독 개시 어드레스 APS로부터 기록 재생 헤드(광학 헤드(3) 및 자기 헤드(6))에 의한 재생 주사를 실행시키고 기록 재생 헤드가 기록 개시 어드레스 AWS에 도달한 시점부터 기록 주사를 개시한다. 이 주사를 제9도에(H1)로서 도시한다. 사선부는 재생 주사, 비사선부는 기록 주사를 나타낸다.
그리고, 트랙 점퍼의 발생에 대해선 시스템 제어기(11)는 서보 회로(9)에서의 트래버스 신호를 검출하므로서 행한다. 트래버스 신호는 레이저 스파트가 트랙을 가로지를 때마다 발생되므로 트래버스 신호를 카운트하므로서 몇 개의 트랙이 가로질러 졌는가 판별된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상의 먼지의 영향등으로 발생하는 수도 있다.
그래서, 시스템 제어기(11)는 트래버스 신호를 카운트하고 제7(a)도 같이 3트랙 이상의 트랙 점퍼가 발생한 것을 검출하면 트랙 점퍼 발생이라 판단하고 즉시 기록 동작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3트랙 이상전의 데이터가 파괴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데이터 파괴가 생겼다고 해도 미리 판독한 1클러스터분(2∼8트랙분)의 데이터를 써서 재기록 동작(데이타 회복동작)으로 옮길 수 있다.
또, 제7(b)도와 같이 트래버스 신호가 단발적으로 2개 이하 생겼을 경우엔 예컨대 디스크상의 먼지의 영향으로 간주하고 그 검출에 의해서 즉시 기록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고 예컨대 계속해서 프리 그룹에 의한 절대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절대 위치 정보의 연속성이 두절된 것을 확인하고 트랙 점퍼 발생이라 판단한다.
트래버스 신호가 단말적으로 2개 이상 발생한 경우가 비록 실제로 2트랙 이하의 트랙 점퍼가 생겼을 경우에서 절대 위치 정보에 의한 트랙 점퍼의 확인까지 동안에 1∼2트랙 정도의 과거 기록 데이터가 파괴되었다고 해도 1클러스터분의 과거 데이터는 미리 판독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회복은 가능하다.
제12도는 이같은 기록 동작 제어를 행하는 시스템 제어기(11)의 기록시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또한, 각 단계를(F301 → F333)으로 도시한다.
또, 디스크 상에서의 기록 재생 헤드의 주사 위치 제어를 위한 어드레스 관리를 위한 레지스터, 및 버퍼 RAM(13)에서의 기록/판독 제어를 위한 레지스터로서 이하의 어드레스에 대응한 레지스터가 준비된다.
AWS, 디스크 기록 개시 어드레스 : 지금 기록을 개시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기록가능 영역에서의 시작 어드레스)
AWE, 디스크 기록 종료 어드레스 : 기록을 종료해야 할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기록 가능 영역에서의 마지막 어드레스)
APS, 과거 데이터 판독개시 어드레스 : 과거의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APE, 과거 데이터 판독 종료 어드레스 : 과거의 데이터의 판독범위의 마지막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AW, 디스크 기록 어드레스 : 디스크 기록을 개시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재 기록으로 변경된다).
AWC, 현재 기록 어드레스 : 현재 기록을 행하고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ATJ, 트랙 점퍼 검출 직후 어드레스 : 트랙 점퍼 직후에 검출된 어드레스.
ARW, 디스크 재기록 어드레스 : 트랙 점퍼후 재기록하는때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PR, 판독 포인터 : 버퍼 RAM의 판독어드레스를 지정하는 포인터.
PW, 기록 포인터 : 버퍼 RAM의 기록어드레스를 지정하는 포인터.
광 자기디스크(1)가 호우딩되면 상기와 같이 TOC 정보가 판독되고 따라서 제4도의 U-TOC 데이터도 TOC 메모리(21)에 유지되는데 시스템 제어기(11)은 예컨데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19)로부터 기록조작을 행하면 U-TOC 데이터를 사용해서 제12도의 루틴 허리를 행한다.
우선, U-TOC 데이터의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터 P-FRA에서 지정되는 파트 테이블로부터 기록가능 영역 FRA의 시작 어드레스 및 엔드어드레스를 검색하고 시작 어드레스를 디스크 기록 개시 어드레스 AWS, 마지막 어드레스를 디스크기록 종료 어드레스 AWE로 한다(F301). 그리고, 그 기록 가능 영역 FRA의 직전의 영역이 기록 영역 REA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F302).
제9도와 같이 기록해야 할 기록 가능 영역 FRA의 직전이 기록 영역 REA이면, 디스크 기록 개시 어드레스 AWS보다 1클러스터분(M)전의 위치를 산출하고 이것을 과거 데이터 판독 개시 어드레스 APS라 한다(F303). 그리고, 과거 데이터 판독 개시 어드레스 APS에 기록 재생 헤드를 액세스시킨다(F304, F305).
그리고, 디스크 기록 개시 어드레스 AWS를 과거 데이터 판독 종료 어드레스 APE에 세트하고(F306), 또, 디스크 기록 개시 어드레스 AWS를 디스크 기록 어드레스 AW에 세트한 후(F307), 제9도의 주사(H1)에 도시하듯이 과거 데이터 판독 개시 어드레스 APS로부터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버퍼 RAM(13)으로의 판독동작을 실행한다(F308).
여기에서 버퍼 RAM(13)의 기록 및 판독은 기록 포인터 PW 및 판독 포인터 PR로 지정되어서 관리되는 것인데 이 기록 포인터 PW 및 판독 포인터 PW 및 판독 포인터 PR는 제15(a)도에 도시하듯이 버퍼 RAM(13)의 기억영역내에서 어드레스를 지정하고 있으며 기록동작 또는 판독동작때마다 다음 어드레스 위치에 갱신되어 간다. 그리고 어느것도 점선으로 나타내듯이 최종 어드레스까지 도달한 후에는 선두 어드레스로 갱신되게 되며 링 구조로 되어 있다.
단계(F308) 이후 판독된 과거 데이터는 버퍼 RAM(13)에서의 기록 포인터 PW의 지정되는 위치에 차례로 유지되어 가며, 예컨대 재생 주사가 과거 데이터 판독 종료 어드레스 APE(즉 이 경우는 기록 어드레스 AW와 일치)에 도달하기까지 계속되므로서 제15(b)도 같이 과거 데이터가 버퍼 RAM(13)내에 유지된다.
또한, 단계 F(302)에서 앞 영역이 기록 영역 REA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는, 과거 데이터의 판독은 필요없기 때문에 디스크 최내주 어드레스를 과거 데이터 판독 종료 어드레스 APE에 세트하고(F309), 또 디스크 기록 개시 어드레스 AWS를 디스크 기록 어드레스 AWS에 세트한 후(F310) 직접 디스크 기록 어드레스 AW에 기록 재생 헤드를 엑세스 시킨다(F311).
또한, 디스크 최내주 어드레스를 과거 데이터 판독 종료 어드레스 APE에 세트하는 것을 후술하는 단계 F322의 비교처리에서 사용하기 때문이다.
과거 데이터의 재생 주사, 또는 직접 엑세스에 의해 기록 재생 헤드가 디스크 기록 어드레스 AW에 도달하면 과거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 경우는 이것을 종료시키고(F312), 계속해서 단자(17)부터 공급되는 입력 데이터의 버퍼 RAM(13)으로 기록을 개시시킨다.(F313). 또, 버퍼 RAM(13)부터 기록된 입력 데이터의 판독을 하고 이것을 자기 헤드(6)에 공급해서 디스크(1)로의 기록을 행하는 동작(즉 지금 실행되어야 할 기록동작)을 개시한다(F314).
단자(17)로부터 입력된 음성 압축 처리 등이 실시된 지금 기록해야 할 데이터는 기록 포인터(PW)에 의한 제15(c)도 같이 과거 데이터에 이어서 버퍼 RAM(13)에 기록된다. 또, 이것을 자기 헤드(6)에 공급하기 위해서 판독 포인터 PR는 판독 개시시에서 과거 데이터를 기억한 영역의 다음의 어드레스에 세트되고 있으며 소정 타이밍으로 입력 데이터가 판독된다.
그리고 제9도의(H1) 같이 디스크 기록개시 어드레스 AWS부터 디스크 기록종료 어드레스 AWS까지의 기록주사가 실행되고 자기 헤드(6)에 공급된 데이터가 디스크(1)에 기록된다.
이 기록 주사중은, 시스템 제어기(11)는 현재 주사중인 위치를 현재 기록 어드레스 ACW로서 들이고 있음과 더불어 헤드 위치가 기록 종료 어드레스 AWE에도달했는지(즉 ACW = AWE로 되었는가), 및 트랙점퍼가 검출되었는가를 감시하고 있다(F315, F316, F317). 또한, 트랙 점퍼 검출은 상술같이 트래버스 신호에 의해 3트랙 이상의 트랙 점퍼가 검출되었는가 또는 디스크상의 프리 그룹으로부터 얻어지는 절대 위치 정보에 불연속이 생겼는가를 감시하므로서 행해진다.
트랙 점퍼가 행해지지 않은채 헤드 위치가 기록 종료 어드레스 AWE에 도달한 경우는 그 세그먼트에 대한 기록 동작은 정상으로 종료했다고 보고 그 세그먼트에 대한 기록 동작을 종료한다(F316 → F331). 즉 이 기록 가능 영역 FRA는 기록 영역 REA로 된 것이 되므로 이것에 따라서 U-TOC 데이터중 필요한 데이터를 변경하고 디스크상의 U-TOC 영역을 고쳐쓰는 처리를 행하고(F331), 디스크 기록 동작을 종료한다(F332).
또한, 흐름도에 의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상기 제1도에서 설명했듯이 이같은 광자기 디스크에 관해서는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를 복수의 세그먼트에 걸쳐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아직 모든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최초의 기록 가능 영역 FRA의 기록이 종료한 단계에서 다음 기록 영역 FRA에 액세스하고 기록을 계속하게 된다(예컨대 제9도의 클러스터(CL9)로부터 클러스터(CL10)으로의 액세스), 이 경우 다음의 기록 가능 영역 FR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앞에 기록 영역 REA가 인접하고 있던 경우는 그 과거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고부터 기록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또, U-TOC 데이터의 고쳐쓰기는(1) 또는 복수의 모든 세그먼트(기록 가능 영역 FRA)에 대한 기록이 종료한 단계에서 일괄해서 실행되게 된다. 기록 가능 영역 FRA으로의 데이터 기록중에서 시스템 제어기(11)가 트랙 점퍼의 발생을 검출할 경우는 데이터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즉시 기록 동작을 정지시킨다(F317 → F318).
그리고, 트랙 점퍼 발생 검출의 시점에서 이미 데이터 파괴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여기에서 재기록으로 데이터 부활을 행하게 한다.
그래서 우선 트랙 점퍼후의 절대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이것을 트랙 점퍼 직후 어드레스 ATJ에 세트하고(F319), 이 위치 정보로부터 트랙 점퍼가 디스크 내주측인지 디스크 외주측인지를 판단한다(F320). 즉 트랙 점퍼 직후 어드레스 ATJ와 현재 기록 어드레스 ACW를 비교한다.
트랙 점퍼에 의해서 기초 데이터가 파괴되는 것은 3트랙 이내인데(2이상의 트랙 점퍼 발생시에는 즉시 기록 동작이 정지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파괴가 생기는 일은 없다).
데이터 파괴의 가능성이 있는 디스크 내주측으로의 트랙 점퍼로는, 예컨대 제9도의 주사(H2)로서 도시하듯이 기록 영역 REA(클러스터 CL0)에 도달하고만 경우와 주사(H6)로서 도시하듯이 기록가능 영역 FRA내에서 발생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ATJ < ACW이고 디스크 내주측으로의 트랙 점퍼인 경우에는 트랙 점퍼 직후 어드레스 ATJ로 되는 섹터의 하나 앞의 섹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로부터 데이터 파괴가 생겼다고 생각되므로 그 클러스터의 선두 섹터의 어드레스를 디스크 재기록 어드레스 ARW로 한다(F321).
그리고, 디스크 재기록 어드레스 ARW와 과거 데이터 판독 종료 어드레스 APE를 비교하고 기록 재생 헤드가 기록 영역 REA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F332). 기록 영역 REA에 도달했을 경우(H2)에는, 그 데이터 파괴된 클러스터 CL0(즉 과거 데이터 판독 개시 어드레스 APS ∼ 과거 데이터 판독 종료 어드레스 APE로 나타내어지는 클러스터)의 데이터를 버퍼 RAM(13)부터 판독해서 재기록을 행하게 된다.
이때 재기록 개시 위치로 2가지 방법이 생각된다.
제1의 방법은 제9도의(H3)같이 과거 데이터 판독 개시 위치인 APS로부터 재기록을 개시하는 방법이 있다.
제2의 방법은 제9도의(H5)같이 CL1(AWS)로부터 재기록을 개시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제1의 경우의 흐름도를 제13도에 도시한다.
또한, 제13도의 각 단계를(F401 → F433)으로 도시한다.
또, 제13도는 제12도와 거의 공통이므로 중복하는 각 단계의 설명을 할애한다. 상기 제1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 재기록을 행하는 디스크 기록 어드레스 AW를 과거 데이터 판독 개시 어드레스 APS에 세트한다(F423). 이것으로 주사(H2)의 트랙 점퍼 발생시에는 주사(H3)같이 과거 데이터 판독 개시 어드레스 APS로부터 기록이 재개되며 이어서 클러스터(CL1)부터 지금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 주사(H6)의 트랙 점퍼 발생시에는 주사(H9)같이 예컨대 클러스터(CL3)부터 기록이 재개된다.
또한, 제2의 방법에선 주사(H5)로서 나타내고 있듯이 클러스터(CL0)의 데이터 회복을 위한 재기록은 기록가능 영역 FRA의 선두 위치인 클러스터 CL1로부터 개시하게 한다. 그리고, 도면중 DP로서 도시하듯이 클러스터(CL1)에 파괴된 클러스터(CL0)의 데이터가 회복되면 계속해서 클러스터(CL2)로부터 지금 기록해야 할 데이터 DC를 재차 기록해간다. 이같이 하면 재기록중에 다시 트랙 점퍼(3트랙이내)가 발생해도 광학 헤드는 데이터 회복 불능인 클러스터(CL1)까지 도달하는 일은 없다. 상기 제2의 방법을 실행하는 방법을 재차 흐름도(12)를 써서 설명한다.
단계(F322)까지의 설명은 상술한 대로이다. 단계(F323) 이후의 처리를 이하에 나타낸다. 디스크 내주방향에 트랙 점퍼했다고 판단하고 또한 기록 완료 영역을 파괴한 경우, 디스크 기록 어드레스 AWS를 디스크 기록 어드레스 AW에 세트한다(F323).
한편, 기록 가능 영역 FRA내의 트랙 점퍼였든 경우는(H6), 데이터 파괴가 생겼다고 생각되는 위치, 즉 단계(F321)에서 산출된 디스크 재기록 어드레스 ARW(클러스터 CL3)로부터 재기록을 하면 되므로 디스크 재기록 어드레스 RW를 디스크 기록 어드레스 AW에 세트한다(F324).
그리고 버퍼 RAM(13)내에서 현재 유지하고 있는 데이터 범위(디스크상에서의 어드레스 범위)를 기록 포인터 PW 및 판독 포인터 PR로부터 산출하고(F325), 재기록을 행하는 범위, 즉 디스크 기록 어드레스 AW ∼ 트랙 점퍼 직전의 어드레스(=현재 기록 어드레스 ACW)까지의 데이터가 아직 남았는지를 확인한다(F333).
남아있지 않으면 재기록은 불능이므로 기록 에러로서 기록동작을 종료하는데(F333), 3트랙 이상의 트랙 점퍼에 의해 즉시 기록 동작이 정지되는 동시에 적어도 기록 영역 REA의 과거 데이터를 포함하고 2트랙 이내의 데이터는 남아있으므로 통상은 재기록 가능하다.
그래서 버퍼 RAM(13)에서의 판독 포인터 PR로 재기록을 개시해야 할 디스크 기록 어드레스 AW에 대응하는 데이터 위치에 세트하고(F329), 또 기록 재생 헤드를 디스크 기록 어드레스 AW에 액세스시키고(F330), 디스크 기록 어드레스 AW로부터 기록 동작을 재개한다(F330 → F312 ∼ F317).
따라서 주사(H2)의 트랙 점퍼 발생시에는 주사(H5)와 같이 디스크 기록 개시 어드레스 ARW(클러스터 CL1)부터 과거의 데이터 DP의 기록, 및 클러스터(CL2)부터 지금의 데이터(DC)의 기록이 재개된다.
상기 제2의 방법은 상기 제1의 방법보다 이하의 점에서 우수하다.
예컨대 제1의 방법으로 재기록중에 제9도의 주사(H4)로서 도시하듯이 파괴된 데이터 회복을 위한 기록 동작의 도중에 다시 트랙 점퍼가 발생하면 기록 헤드가 다시 그 앞의 클러스터 CL(-1)까지 도달하고 그곳에 기록된 과거의 데이터를 파괴할 우려가 있다.
이 클러스터 CL(-1)의 데이터에 대해선 미리 판독을 행하고 있지 않으므로 클러스터 CL(-1)의 데이터 파괴는 회복 불능이 된다.
그것에 대해서 제2의 방법으로 재기록을 행하면 기록 개시 위치는 오프 세트되고 있으므로 상기 같은 불편은 생기지 않는다.
한편, 단계(F320)에서 예컨대 제9도에 주사(H8)로서 도시하듯이 디스크 외주측으로서 트랙 점퍼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트랙 점퍼 발생전에 최후에 검출한 어드레스, 즉 키렌트 기록 어드레스 CW로 되는 섹터부터의 데이터 기록에 에러가 생겼다고 생각되므로 그 섹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를 산출하고 그 클러스터의 선두 섹터의 어드레스를 디스크 재기록 어드레스 ARW라 한다(F327).
그리고, 디스크 재기록 어드레스 ARW를 디스크 기록 어드레스 AW에 세트하고(F328), 단게(F329)로 나아가고 이하 마찬가지로 기록 동작을 재개한다. 따라서 이 경우 주사(H9)같이 예컨대 클러스터(CL4)부터 기록이 재개된다.
그런데, 주사(H5)같이 과거의 데이터(클러스터 CL0)를 상이한 영역(클러스터 CL1)에 고쳐쓰므로서 클러스터(CL0)는 불필요한 영역으로 되며 즉, 이후 기록 가능 영역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과거의 데이터의 기록 영역으로 된 클러스터(CL1)는 클러스터 CL(-1)부터 연속되는 데이터의 기록 영역으로 된다. 따라서, 이같은 재기록을 행한 후에는 U-TOC에서 클러스터 CL(-1)부터 클러스터(CL1)로의 링크가 이뤄지게 소요 데이터를 고쳐쓰는 동시에 클러스터(CL0)가 기록 가능 영역으로서 관리되게 소요 데이터를 고쳐쓴다. 즉, 기록 영역으로서 클러스터(CL0)을 나타내는 파트 테이블을 설치한다.
이상의 제10도의 처리에 의해서 기록 가능 영역 FRA내 또는 기록 영역 REA에 도달하는 트랙 점퍼에 의해서 데이터 파괴가 이뤄져도 즉시 데이터 회복 처리 및 계속 기록 동작이 실행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데이터 파괴는 방지된다. 또, 소정 트랙 전까지의 데이터는 회복불능이므로 트랙 점퍼는 트래버스 신호 또는 절대 위치 정보의 불연속 검출의 한쪽 또는 병용으로 확실하게 검출가능으로 되며 예컨대 먼지 등에 의한 트래버스 신호의 발생에 의해서도 기록 정지를 행해야 한다는 필요성은 없게 되며 기록 효율은 두드러지게 향상된다.
또한, 과거 데이터를 파괴한 경우엔 그 파괴한 영역에 재기록을 행하게는 하지 않고 기록가능 영역 FRA내에 새로히 재기록하므로서 재기록 동작중에 다시 트랙 점퍼가 발생해도 회복불능인 영역의 데이터가 파괴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설명했는데 판독해야 할 과거 데이터의 양은 1클러스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버퍼 RAM(13)의 용량이나 트랙 점퍼 검출 방법에 따라서 설정하는 것은 아니며 버퍼 RAM(13)의 용량이나 트랙 점퍼 검출 방법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이다. 또, 미리 판독하는 것은 기록 가능 영역 FRA의 앞에 인접하는 기록 영역의 데이터만으로 했는데 두의 인접 영역이 기록 영역 REA였던 경우는 이 기록 영역의 예컨대 선두 클러스터의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판독하고 외주측으로의 트랙 점퍼에 의해서 파괴되는 것에 대비토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선 기록 재생장치에서 본 발명을 채용한 예를 들었는지 기록 전용 장치여도 좋다. 또, 광자기 디스크에 한하지 않으며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 대응한 기록 장치여도 본 발명을 채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기록 가능 영역과 기록 완료 영역이 혼재하여 기록되고 있으며, 상기 기록 완료 영역 및 기록 가능 영역은 1개의 연속 세그먼트 또는 복수의 이산적인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상기 세그먼트의 시작 어드레스 및 마지막 어드레스 및 이산적인 세그먼트간을 연결하는 링크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관리 테이블을 가진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수단과, 상기 데이터 판독수단으로 판독된 상기 관리 테이블 데이터를 유지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관리 테이블에서 기록 가능 세그먼트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판독한 시작 어드레스로부터 오서거를 방지하는 가아드 밴드분만큼 기록 진행방향으로 오프 세트시킨 어드레스를 기록 개시 어드레스로서 산출하는 기록 개시 어드레스 산출수단과, 상기 기록 개시 어드레스에 의거해서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관리 테이블보다 기록 가능 영역의 1개의 세그먼트의 시작 어드레스와 마지막 어드레스로부터 기록 가능한 세그먼트 길이를 산출하는 기록 가능 세그먼트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기록 가능 세그먼트 길이와 미리 소정길이로 설정된 가아드 밴드 길이와의 비교는 기록 가능 세그먼트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기록 완료 세그먼트가 배치된 경우 가아드 밴드 길이의 2배의 길이와 상기 산출된 기록 가능 세그먼트 길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가능 세그먼트가 가아드 밴드 길이보다 짧은 경우는 관리기능 테이블의 링크 정보에서 다음의 기록 가능 세그먼트를 따라가고 상기 소정의 연산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 기록 가능 영역과 기록 완료 영역이 혼재해서 기록되고 있으며, 상기 기록 완료 영역 및 기록 가능 영역은 1개의 연속한 세그먼트 또는 복수의 이산적인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상기 세그먼트의 시작 어드레스 및 마지막 어드레스 및 이산적인 세그먼트간을 연결하는 링크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관리 테이블을 가진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 재생수단과, 데이터 기록시에 입력된 기록 데이터를 소정시간 유지할 수 있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수단에 의한 기록 재생위치 및 상기 기억수단에 대한 기록/판독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은,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가능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기록 가능 영역의 세그먼트와 인접하는 세그먼트가 기록 완료 영역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의 결과 기록 가능 영역의 세그먼트에 인접한 세그먼트가 기록 완료 영역으로 판된될 때, 상기 기록 완료 영역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오소거를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서 상기 기록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판독한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기록 재생 수단이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세그먼트의 시작 어드레스에 도달하면 상기 입력된 기록 데이터를 기억수단을 거쳐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또한 기록 가능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중에 트랙점퍼가 검출되거든 데이터 기록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트랙 점퍼에 의해 기록 가능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기록 완료 영역의 데이터가 파괴된 경우, 미리 저장해둔 상기 기록 완료 영역의 데이터를 회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완료 영역이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기록 완료 영역 마지막 부근의 소정위치로부터 마지막 위치까지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완료 영역이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기록 완료 영역의 시작 위치로부터 소정폭 떨어진 위치까지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완료 영역이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방의 기록 완료 영역의 종단 부근의 소정위치로부터 종단 위치까지의 데이터와, 상기 후방의 기록 완료 영역의 시작 위치로부터 소정 폭 떨어진 위치까지의 데이터 양쪽을 판독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트랙 점퍼에 의해서 기록 가능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기록 완료 영역의 데이터가 파괴된 경우, 미리 저장해둔 상기 기록 완료 영역의 데이터를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로부터 기록함과 더불어 상기 기록에 이어서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된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괴된 기록 완료 영역의 데이터를 회복하기 위한 기록 동작이 실행된 경우,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한 데이터가 원래 기록되고 있던 기록 매체상의 기록 완료 영역을 기록 가능한 영역으로서 관리 테이블상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1. 기록 가능 영역과 기록 완료 영역이 혼재해서 기록되고 있으며, 상기 기록 완료 영역 및 기록 가능 영역은 1개의 연속한 세그먼트 또는 복수의 이산적인 세그먼트로부터 구성되고, 상기 세그먼트의 시작 어드레스 및 마지막 어드레스 및 이산적인 세그먼트간을 연결하는 링크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관리 테이블을 가진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서 재기록 방법은, 상기 관리 테이블 데이터에 의거해서 기록 매체상의 기록 가능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기록 가능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와 마지막 어드레스를 관리 테이블상으로부터 꺼내는 단계와, 상기 꺼낸 어드레스 데이터와 소정 가아드 밴드 길이에 의거해서 소정의 연산을 하는 단계와, 상기 연산 결과에 의거해서 기록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기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연산을 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 가능 영역 한쪽의 인접하는 영역이 기록 완료 영역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에서 기록 가능 영역 한쪽이 기록 완료 영역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검색된 기록 가능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와 마지막 어드레스에 의거해서 세그먼트 길이를 연산하고 소정의 가아드 밴드 길이보다 상기 세그먼트 길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의 가아드 밴드 길이보다 상기 세그먼트 길이가 크다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전방 영역이 기록 완료 영역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시작 어드레스와 가아드 밴드 길이를 가산하고 상기 가산 결과를 기록 개시 어드레스로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개시 어드레스에 의거해서 기록 개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기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연산을 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 가능 영역 한쪽의 인접하는 영역이 기록 완료 영역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에서 기록 가능 영역 한쪽이 기록 완료 영역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에서 기록 가능 영역 한쪽이 기록 완료 영역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검색된 기록 가능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와 마지막 어드레스에 의거해서 세그먼트 길이를 연산하고, 소정의 가아드 밴드 길이와 상기 세그먼트 길이가 크다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기록 가능 영역 후방의 영역이 기록 완료 영역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에서 기록 가능 영역의 후방이 기록 완료영역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에서 기록 가능 영역의 후방이 기록 완료 영역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마지막 어드레스로부터 가아드 밴드 길이를 빼고 상기 결과를 기록 마지막 어드레스로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마지막 어드레스에 의거해서 기록 정지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기록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연산을 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 가능 영역 의 인접 영역은 기록 완료 영역인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에서 기록 가능 영역의 가능 영역의 양단이 기록 완료 영역이라고 판별될때, 상기 검색된 기록 가능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와 마지막 어드레스에 의거해서 세그먼트 길이를 연산하고 소정의 가아드 밴드 길이의 2배와 상기 세그먼트 길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의 가아드 밴드 길이의 2배 보다 상기 세그먼트 길이가 크다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시작 어드레스와 가아드 밴드 어드레스로부터 가아드 밴드 길이를 빼고 상기 결과를 기록 종료 어드레스로서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개시 어드레스 및 기록 종료 어드레스에 의거해서 기록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기록 방법은 또한, 기록 동작중에 트랙 점퍼를 일으킨 때의 제어방법은 트랙 점퍼수가 소정 트랙수보다 큰지 아닌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에서 트랙 점퍼수가 소정 트랙수 이상의 경우 기록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판별에서 트랙 점퍼수가 소정 트랙수 이상의 경우 기록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트랙 점퍼 앞의 절대 위치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트랙 점퍼 한 방향이 내주방향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단계와, 트랙 점퍼한 방향이 내주방향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판독한 트랙 점퍼앞의 절대 위치 정보의 하나전의 절대위치를 포함하는 기록단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기록 단위로부터 점퍼전의 기록 단위까지의 데이터가 기억수단에 남아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에서 상기 산출한 기록 단위로부터 점퍼전의 기록 단위까지의 데이터가 기억수단에 남아 있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산출한 기록 단위를 재기록 개시 어드레스로서 기록동작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기록 방법.
  16. 기록 가능 영역과 기록 완료 영역이 혼재해서 기록되고 있으며, 상기 리고 완료 영역 및 기록 가능 영역은 1개의 연속한 세그먼트 또는 복수의 이산적인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상기 세그먼트의 시작 어드레스 및 마지막 어드레스 및 이산적인 세그먼트간을 연결하는 링크 정보가 기록 되어 있는 관리 테이블을 가진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서의 재기록 방법은 상기 관리 테이블 데이터에 의거해서 기록 매체상의 기록 가능 영역의 기록 개시 어드레스 및 판독 종료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 개시 어드레스의 전방 영역이 기록 완료 영역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개시 어드레스의 전방 영역이 기록 완료 영역이라고 판단할 때, 상기 기록 개시 어드레스로부터 소정길이를 감산하고 상기 감산 결과를 상기 기록 완료 영역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과거 데이터 판독개시 어드레스로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과거 데이터 판독 개시 어드레스에 광학 픽업을 액세스 시키는 단계와, 과거 데이터 판독 종료 어드레스를 상기 판독 개시 어드레스에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과거 데이터 판독개시 어드레스 및 과거 데이터 판독 종료 어드레스에 의거해서 기억수단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과거 데이터 판독 종료 어드레스에 도달하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함과 더불어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기록 가능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기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기록 방법은 또한, 기록 동작중에 트랙 점퍼가 일어났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트랙 점퍼가 검출된 경우, 기록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트랙 점퍼 직후의 어드레스를 판독하는 단계와, 트랙 점퍼한 방향이 내주방향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트랙 점퍼한 방향이 내주방향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판독한 트랙 점퍼 직후의 어드레스 하나전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기록단위를 산출하고, 재기록 어드레스로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재기록 어드레스와 상기 과거 데이터 종료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재기록 어드레스와 상기 과거 데이터 종료 어드레스 보다 작은 경우, 데이터가 파괴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과거데이타 개시 어드레스를 재기록 개시 어드레스에 설정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과거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기록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또한, 기록 동작중에 트랙 점퍼를 일으켰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트랙 점퍼가 검출된 경우, 기록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트랙 점퍼 직후의 어드레스를 판독하는 단계와, 트랙 점퍼한 방향이 내주방향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트랙 점퍼한 방향이 내주방향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판독한 트랙 점퍼 직후의 어드레스의 하나앞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기록단위를 산출하고 재기록 어드레스로서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재기록 어드레스와 상기 과거 데이터 종료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재기록 어드레스와 상기 과거 데이터 종료 어드레스 보다 작은 경우, 데이터가 파괴되었다고 판단하고 재기록 개시 어드레스를 기록 가능 영역의 기록 개시 어드레스에 설정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과거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기록 방법.
  19. 기록 가능 영역과 기록 완료 영역이 혼재해서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기록 완료 영역 및 기록 가능 영역은 1개의 연속한 세그먼트 또는 복수의 이산적인 세그먼트로 구성되고, 상기 세그먼트의 시작 어드레스 및 마지막 어드레스 및 이산적인 세그먼트간을 연결하는 링크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관리 테이블을 가진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 가능 영역상에 상기 기록 완료 영역과의 인접부분에, 데이터 기록을 행하지 않는 소정 길이의 가아드 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0. 상기 가아드 밴드는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 또는 전단부 및 후단부 양쪽, 어느것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19930017605A 1992-09-03 1993-09-03 오소거 방지방법 및 오소거 방지기능부착 기록장치 및 가아드 밴드(guard band)가 기록된 디스크 KR100253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58873 1992-09-03
JP25887392A JP3163782B2 (ja) 1992-09-03 1992-09-03 記録装置
JP25887292A JP3163781B2 (ja) 1992-09-03 1992-09-03 記録装置、記録方法
JP92-258872 1992-09-03
JP04262714A JP3141259B2 (ja) 1992-09-07 1992-09-07 記録装置
JP92-262715 1992-09-07
JP92-262714 1992-09-07
JP26271592A JP3257069B2 (ja) 1992-09-07 1992-09-07 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3038B1 true KR100253038B1 (ko) 2000-05-01

Family

ID=2747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7605A KR100253038B1 (ko) 1992-09-03 1993-09-03 오소거 방지방법 및 오소거 방지기능부착 기록장치 및 가아드 밴드(guard band)가 기록된 디스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477525A (ko)
EP (2) EP0920005B1 (ko)
KR (1) KR100253038B1 (ko)
CN (2) CN1052552C (ko)
AT (2) ATE194247T1 (ko)
AU (1) AU665107B2 (ko)
BR (1) BR9303684A (ko)
CA (1) CA2105110C (ko)
DE (2) DE69328917T2 (ko)
HU (1) HU213602B (ko)
MY (1) MY124301A (ko)
PH (1) PH306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7397A (en) * 1993-02-26 1997-11-11 Sony Corporation System for expansion of data storage medium to store user data
JP3353382B2 (ja) * 1993-04-23 2002-12-03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メモリ制御装置
US5897652A (en) * 1993-04-23 1999-04-27 Sony Corporation Memory control device and address generating circuit
JP3353381B2 (ja) * 1993-04-23 2002-12-03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CN1112380A (zh) * 1993-06-14 1995-11-22 索尼公司 记录媒体的管理方法
US5715355A (en) * 1994-03-19 1998-02-03 Sony Corporation Optical disk having a particular format to store user-selected data, such as video data or computer files, including a dedicated TOC region
JP3467832B2 (ja) * 1994-04-20 2003-11-1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3560074B2 (ja) * 1994-07-29 2004-09-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メモリ制御装置
US7266725B2 (en) 2001-09-03 2007-09-04 Pact Xpp Technologies Ag Method for debugging reconfigurable architectures
JP3181515B2 (ja) * 1996-09-11 2001-07-03 株式会社沖データ データ転送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データ転送装置
DE19651075A1 (de) 1996-12-09 1998-06-10 Pact Inf Tech Gmbh Einheit zur Verarbeitung von numerischen und logischen Operationen, zum Einsatz in Prozessoren (CPU's), Mehrrechnersystemen, Datenflußprozessoren (DFP's), digitalen Signal Prozessoren (DSP's) oder dergleichen
DE19654595A1 (de) 1996-12-20 1998-07-02 Pact Inf Tech Gmbh I0- und Speicherbussystem für DFPs sowie Bausteinen mit zwei- oder mehrdimensionaler programmierbaren Zellstrukturen
JP3961028B2 (ja) 1996-12-27 2007-08-15 ペーアーツェーテー イクスペーペ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データフロープロセッサ(dfp)の自動的なダイナミックアンロード方法並びに2次元または3次元のプログラミング可能なセルストラクチャを有するモジュール(fpga,dpga等)
US6542998B1 (en) 1997-02-08 2003-04-01 Pact Gmbh Method of self-synchronization of configurable elements of a programmable module
JP3855390B2 (ja) * 1997-09-16 2006-12-0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ディスク状記録媒体
US8686549B2 (en) 2001-09-03 2014-04-01 Martin Vorbach Reconfigurable elements
DE19861088A1 (de) 1997-12-22 2000-02-10 Pact Inf Tech Gmbh Verfahren zur Reparatur von integrierten Schaltkreisen
WO2000077652A2 (de) 1999-06-10 2000-12-21 Pact Informationstechnologie Gmbh Sequenz-partitionierung auf zellstrukturen
JP4269122B2 (ja) * 1999-10-20 2009-05-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US6445524B1 (en) * 1999-12-20 2002-09-03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operating a disk drive for writing to an addressable location after detecting that a head is within a safe-to-write window
EP2226732A3 (de) 2000-06-13 2016-04-06 PACT XPP Technologies AG Cachehierarchie für einen Multicore-Prozessor
US8058899B2 (en) 2000-10-06 2011-11-15 Martin Vorbach Logic cell array and bus system
US7444531B2 (en) 2001-03-05 2008-10-28 Pact Xpp Technologies Ag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and processing data
US9037807B2 (en) 2001-03-05 2015-05-19 Pact Xpp Technologies Ag Processor arrangement on a chip including data processing, memory, and interface elements
US7844796B2 (en) 2001-03-05 2010-11-30 Martin Vorbach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EP1402382B1 (de) 2001-06-20 2010-08-18 Richter, Thomas Verfahren zur bearbeitung von daten
JP4409792B2 (ja) * 2001-06-22 2010-02-0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996827B2 (en) 2001-08-16 2011-08-09 Martin Vorbach Method for the translation of programs for reconfigurable architectures
US7434191B2 (en) 2001-09-03 2008-10-07 Pact Xpp Technologies Ag Router
US8686475B2 (en) 2001-09-19 2014-04-01 Pact Xpp Technologies Ag Reconfigurable elements
DE10392560D2 (de) 2002-01-19 2005-05-12 Pact Xpp Technologies Ag Reconfigurierbarer Prozessor
US8914590B2 (en) 2002-08-07 2014-12-16 Pact Xpp Technologies Ag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7657861B2 (en) 2002-08-07 2010-02-02 Pact Xpp Technologies Ag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data
WO2004021176A2 (de) 2002-08-07 2004-03-11 Pact Xpp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atenverarbeitung
AU2003289844A1 (en) 2002-09-06 2004-05-13 Pact Xpp Technologies Ag Reconfigurable sequencer structure
EP1676208A2 (en) 2003-08-28 2006-07-05 PACT XPP Technologies AG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8250503B2 (en) 2006-01-18 2012-08-21 Martin Vorbach Hardware definition method including determining whether to implement a function as hardware or software
US8977834B2 (en) * 2011-02-14 2015-03-10 Seagate Technology Llc Dynamic storage regions
US8526285B1 (en) * 2012-11-09 2013-09-0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ngitudinal position marks on an optical tap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929A (en) * 1894-01-02 Door-hanger
FR2317726A1 (fr) * 1975-07-09 1977-02-04 Labo Electronique Physique Systeme d'enregistrement et de reproduction d'informations, notamment d'informations sonores
US4229808A (en) * 1978-12-21 1980-10-21 Ncr Corporation Method for recording multiple data segments on a storage disc with eccentricity factor
DE3176028D1 (en) * 1980-08-15 1987-04-30 Ag Patents Ltd Power take-off means in refrigerated vehicles
US4754483A (en) * 1980-10-31 1988-06-28 Sri International Data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for audio signals
US4413289A (en) * 1981-03-13 1983-11-01 Sri International Digital recording and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JPS6196583A (ja) * 1984-10-17 1986-05-15 Sony Corp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S6267731A (ja) * 1985-09-20 1987-03-27 Fujitsu Ltd 光記録再生方法及び光記録再生装置
US4791623A (en) * 1986-04-03 1988-12-13 Optotech, Inc. File management system for use in an optical data storage system
ATE66761T1 (de) * 1987-01-19 1991-09-15 Sony Corp Vorrichtung zur aufzeichnung auf platten.
US5119291A (en) * 1987-03-26 1992-06-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ular data storage directories for large-capacity data storage units wherein the index to the records in a sector is located in the next adjacent sector
US4899232A (en) 1987-04-07 1990-02-06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igital data information
JP2663436B2 (ja) * 1987-05-25 1997-10-15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S6410463A (en) * 1987-07-01 1989-01-13 Sony Corp Magnetic disk
US4882754A (en) * 1987-08-25 1989-11-21 Digideck, Inc. Data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with buffer control
JP3060460B2 (ja) * 1989-05-15 2000-07-10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デイスク記録装置及びデイスク記録再生装置
JP2762629B2 (ja) * 1989-11-21 1998-06-0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及び該記録媒体の再生装置
KR100195317B1 (ko) * 1990-01-19 1999-06-15 이데이 노부유끼 데이터기록방법및데이터재생방법
DE4007814A1 (de) * 1990-03-12 1991-09-19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aufzeichnung und wiedergabe von digitalen daten auf einem aufzeichnungstraeger
JPH0423273A (ja) * 1990-05-17 1992-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881980B2 (ja) * 1990-06-29 1999-04-1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2995822B2 (ja) * 1990-08-23 1999-12-27 ソニー株式会社 円盤状記録媒体の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3141242B2 (ja) * 1990-08-24 2001-03-05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3141241B2 (ja) * 1990-08-24 2001-03-0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US5272691A (en) * 1991-05-30 1993-12-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compressed data
JP3158556B2 (ja) 1991-09-27 2001-04-23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US5319627A (en) * 1991-11-04 1994-06-07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 Inc. Method for managing a defect in an optical disk by assigning logical addresses based upon cumulative number of defects in the di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20005B1 (en) 2003-04-16
CA2105110C (en) 2002-08-13
DE69332901T2 (de) 2004-01-29
CN1052552C (zh) 2000-05-17
EP0920005A1 (en) 1999-06-02
DE69328917D1 (de) 2000-08-03
DE69328917T2 (de) 2000-12-28
PH30605A (en) 1997-07-31
EP0586189A3 (en) 1995-11-02
HUT65166A (en) 1994-04-28
HU213602B (en) 1997-08-28
AU665107B2 (en) 1995-12-14
EP0586189A2 (en) 1994-03-09
CN1132161C (zh) 2003-12-24
HU9302481D0 (en) 1993-12-28
ATE194247T1 (de) 2000-07-15
BR9303684A (pt) 1994-04-26
US5477525A (en) 1995-12-19
CN1248042A (zh) 2000-03-22
CN1091223A (zh) 1994-08-24
CA2105110A1 (en) 1994-03-04
MY124301A (en) 2006-06-30
AU4494193A (en) 1994-03-10
ATE237861T1 (de) 2003-05-15
EP0586189B1 (en) 2000-06-28
DE69332901D1 (de)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3038B1 (ko) 오소거 방지방법 및 오소거 방지기능부착 기록장치 및 가아드 밴드(guard band)가 기록된 디스크
EP0570922B1 (en) Reproducing apparatus
US6621783B1 (en) Methods of retrieving information from optical disk and controlling access and recording to optical disk, and optical disk recording apparatus
EP0571191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and/or recording a recording medium
KR100284921B1 (ko) 디스크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278191B1 (ko) 기록 가능한 영역을 목록으로 관리하는 방법과 이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동작을 행하는 기록 또는 기록 재생 장치
KR100662672B1 (ko) 광학적으로 재기록가능한 형태를 갖는 디스크 형태의기록물 상의 영역을 숨기는 방법
JP3235231B2 (ja) 記録再生装置
JP3163782B2 (ja) 記録装置
JP3163781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
JP3141259B2 (ja) 記録装置
JP3257069B2 (ja) 記録再生装置
JP3171395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3481102B2 (ja) 光ディスク用記録装置
JP3444277B2 (ja) 再生装置
JP3495556B2 (ja) ディスク修復方法及び装置
JP3875835B2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3297936B2 (ja) 再生装置
JPH06215493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2237172A (ja) 再生装置、再生方法
JPH0528724A (ja) 磁気記録装置及び磁気再生装置
JPH0822689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528723A (ja) 磁気記録装置及び磁気再生装置
JPH04301284A (ja) 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