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135B1 - 건설기계 및 그 기계에 사용되는 로프의 교환방법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및 그 기계에 사용되는 로프의 교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135B1
KR100241135B1 KR1019960005253A KR19960005253A KR100241135B1 KR 100241135 B1 KR100241135 B1 KR 100241135B1 KR 1019960005253 A KR1019960005253 A KR 1019960005253A KR 19960005253 A KR19960005253 A KR 19960005253A KR 100241135 B1 KR100241135 B1 KR 100241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heave
main body
reader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593A (ko
Inventor
겐이찌 미야다
Original Assignee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구치 류이치
Publication of KR960034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3Foundation slots or slits; Implements for making these slots or sl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2Placing by screw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Earth Drill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로프의 교환작업을 안전하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로프의 교환작업과 관련하여 생기는 비용이나 낭비를 대폭 저감한다.
또한, 기단측이 주권상드럼(4)에 감겨진 권상로프(22)의 선단부를, 프론트브래킷(9)에 설치된 로프걸어멈춤구(23)로부터 떼어내고, 권상로프(22)의 선단부를 교환용 로프(32)의 기단부에 접속한 후, 권상로프(22)를 주권상드럼(4)에 감아서 교환용 로프(32)를 톱시이브(18)와 프론트용시이브(17)와의 사이등으로 권회시킨다. 이에 의하여 권상로프(22)의 선단부를 떼어내는 작업을 낮은 위치에서 안전하게 행할 수 있고, 또 리이더(11)를 직립상태로 유지한 채로 교환용 로프(32)를 각 시이브에 권회시킴으로써 권상로프(22)의 교환작업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비용이나 시간의 낭비를 대폭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 및 그 기계에 사용되는 로프의 교환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타기(杭打機)를 어쓰 오거(Earth Auger)에 적용한 외관도.
제2도는 제1도중에 나타낸 권상 로프의 권회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프 교환방법에 있어서, 권상로프의 선단부를 로프 걸어멈춤구로부터 떼어내는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
제4도는 제3도의 공정에 이어 권상로프의 선단부와 교환용 로프의 기단부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
제5도는 제4도의 공정에서 권상로프의 선단부와 교환용 로프의 기단부를 접속한 상태에서의 항타기 전체를 나타낸 외관도.
제6도는 제4도 및 제5도중에 나타낸 권상로프의 선단부와 교환용 로프의 기단부와의 접속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제4도 및 제5도중에 나타낸 권상로프의 선단부와 교환용 로프의 기단부를 다른, 접속방법에 의하여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제4도의 공정에 이어 권상로프를 메인드럼에 감는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
제9도는 제8도의 공정에 이어 톱 시이브(Top Sheave)와 프론트용 시이브와의 사이에 권회된 교환용 로프의 선단부를 로프 걸어멈춤구에 걸어멈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타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9 : 프론트 브래킷
11 : 리이더(Leader) 14 : 작업용 프론트
18 : 톱시이브 19,20 : 보조가이드 시이브
22 : 권상로프(Hoist rope) 23,41,51 : 로프 걸어멈춤구
32 : 교환용 로프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건설현장에서 항타(杭打)작업에 사용되는 항타기(pile driver)등의 건설기계, 및 그 기계에 사용되는 로프의 교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등의 건설작업 현장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철근 콘크리트 파일(杭)을 지면에 박아 넣는 작업이나, 스크류등에 의하여 지면에 구멍을 뚫어 콘크리트를 흘려 넣는 작업등을 행함으로써 지면의 기초를 굳히는 항타작업을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항타작업을 행함에 있어서는, 통상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소 59-150824호 공보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건설기계가 사용되고 있다. 이 건설기계는 권상드럼을 구비한 본체와, 이 본체의 앞쪽에 설치된 프론트 브래킷(Front Bracket)과, 이 프론트브래킷에 하단측에 지지되여 직립(直立)하는 리이더와, 이 리이더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어쓰 오거(earth auger)와 항타기 등의 작업용 프론트와, 리이더의 상단측에 설치된 복수의 시이브로 이루어진 톱시이브와, 작업용 프론트에 설치된 복수의 시이브로 이루어진 프론트용 시이브와, 기단측이 본체의 권상 드럼에 감겨져서 톱시이브의 각 시이브와 프론트용 시이브의 각 시이브와의 사이에 순차 감겨짐과 동시에, 선단부가 톱시이브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wire rope)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건설기계는 권상드럼에 의한 와이어로프의 감김과 풀림을 행하여 톱시이브에 대하여 동활차(動滑車)를 구성하는 프론트용 시이브를 승강시킴으로써, 이 프론트용 시이브가 설치된 작업용 프론트를 리이더를 따라 승강시키면서 작업용 프론트에 의하여 항타 작업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작업용 프론트의 승강시에는, 권상드럼에 의한 와이어 로프의 감김과 풀림에 따라 와이어로프가 톱시이브와 프론트용 시이브와의 사이에서 항상 이동한다. 이 때문에, 작업용 프론트가 그 항타작업시에 있어서 승강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와이어 로프는 각 시이브와의 사이에서 마모를 일으킨다. 이와 같이, 일정량 이상 와이어로프가 마모되었을 경우에는 와이어로프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와이어로프를 교환할 때에는, 직립한 상태에서 설치된 리이더를 별도 크레인등을 사용하여 수평상태로 눕힌 다음에, 와이어로프의 선단부를 톱시이브로부터 떼어내고, 프론트용 시이브의 각 시이브와 톱시이브의 각 시이브로부터 순차 이탈시킴과 동시에, 권상드럼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로프의 기단측(基端側)을 권상드럼으로부터 떼어낸다. 그 후에, 교환용 와이어로프의 선단부를 톱시이브에 고정하고, 프론트용 시이브의 각 시이브와 톱 시이브의 각 시이브에 권회한 후, 상기 교환용 와이어로프의 기단측을 권상드럼에 감기게 함으로써 프론트용 시이브, 톱시이브등에 권회된 교환용 와이어로프에 장력(張力)을 부여하고, 와이어로프의 교환작업을 종료한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건설기계에서는, 통상 와이어로프의 선단부가 리이더의 상단측에 설치된 톱시이브에 걸어멈춰져 있으므로, 와이어로프의 교환작업시에 마모된 와이어로프의 선단부를 톱시이브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이나, 교환용 와이어로프의 선단부를 톱시이브에 걸어멈추는 작업이 고소작업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직립상태로 지지된 리이더를 수평상태로 눕힐 필요가 있다.
그러나, 리이더의 전체길이는 25mm 정도로 길고 중량도 크기 때문에, 이 리이더를 수평상태로 눕히기 위해서만 크레인 등의 다른 작업기계가 필요하게 되고, 와이어로프의 교환작업에 요하는 불필요한 시간이나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 와이어로프의 교환작업을 행함에 있어, 작업현장에 리이더를 수평상태로 눕힐 수 있을만큼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작업을 행함으로써 본래의 건설작업 진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로프의 교환작업을 지상 가까이에서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고, 로프의 교환작업과 관련하여 생기는 비용이나 시간의 낭비를 대폭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 및 그 기계에 사용되는 로프의 교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은 권상드럼(Hoist Drum)을 구비한 본체와, 이 본체의 앞쪽에 지지되어 세워설치된 리이더와, 이 리이더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용 프론트와, 상기 리이더의 상단측에 설치된 톱 시이브와, 상기 작업용 프론트에 설치된 프론트용 시이브와, 기단측이 상기 본체의 권상드럼에 감김, 풀림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용 프론트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톱시이브와 프론트용 시이브와의 사이에 권회된 로프와, 이 로프의 선단부를 걸어멈추기 위하여 상기 본체 또는 리이더 하단측의 어느 한곳에 설치된 로프걸어멈춤구로 이루어진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 경우,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과 같이, 상기 톱시이브에는 상기 로프의 선단부를 아래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보조가이드 시이브를 설치하고, 상기 로프의 선단부를 이 보조가이드 시이브를 거쳐 상기 로프 걸어멈춤구에 걸어멈추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청구범위 제5항의 발명은 권상드럼을 구비한 본체와, 이 본체의 앞쪽에 지지되어 세워설치된 리이더와, 이 리이더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용 프론트와, 상기 리이더의 상단측에 설치된 톱시이브와, 상기 작업용 프론트에 설치된 프론트용 시이브와, 기단측이 상기 본체의 권상드럼에 감김·풀림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용 프론트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톱시이브와 프론트용 시이브와의 사이에 권회된 로프와, 이 로프의 선단부를 걸어멈추기 위하여 상기 본체 또는 리이더 하단측중 어느 한곳에 설치된 로프 걸어멈춤구로 구성되는 건설기계에 사용되는 로프의 교환방법에 채용되고, 상기 톱시이브와 프론트용 시이브와의 사이에 권회된 상기 로프의 선단부를 상기 로프걸어멈춤구로부터 떼어내는 공정과, 떼어낸 상기 로프의 선단부와 교환용 로프의 기단부를 접속하는 공정과, 상기 로프를 상기 권상드럼에 감기게 함으로써 상기 교환용 로프를 상기 톱시이브와 프론트용 시이브와의 사이에 권회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청구범위 제1항의 구성에 의하면, 기단측이 권상드럼에 감겨지고, 톱 시이브와 프론트용 시이브와의 사이에 권회된 로프의 선단부가 본체 또는 리이더 하단측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곳에 설치된 로프 걸어멈춤구에 걸어멈추게 되고, 권상드럼에 의한 로프의 감김·풀림에 의하여 프론트용 시이브가 작업용 프론트와 함께 승강하여 상기 작업용 프론트에 의한 작업이 행해진다. 그리고 로프의 교환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지상 높이가 낮은 위치에 설치된 로프걸어멈춤구로부터 간단하게 로프의 선단부를 떼어낼 수 있다.
또,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에 의하면, 로프의 선단부는 톱시이브에 설치된 보조가이드 시이브를 거쳐 리이더를 따라 아래쪽으로 안내됨으로써 로프끼리 간섭하는 일없이, 로프걸어멈춤구에 걸어멈춰진다.
그리고, 청구범위 제5항의 발명에 의하면, 로프의 선단부를 로프 걸어멈춤구로부터 떼어내고, 떼어낸 로프의 선단부와 교환용 로프의 기단부를 접속한 후에, 로프를 권상드럼에 감기게 함으로써 교환용 로프를 톱시이브와 프론트용 시이브와의 사이에 권회할 수 있으므로, 리이더를 수평상태로 눕히는 전작업등을 행하는 일없이, 로프의 교환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11도에 의거하여 땅속에 파일을 박기 위한 구멍을 땅속에 굴삭하는 어쓰 오거라 칭하는 건설기계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본체를 나타내고, 이 본체(1)는 캐터필러밴드를 가지는 하부주행체(2)와, 이 하부주행체(2)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선회체(3)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이 상부선회체(3)상에는 주권상드럼(main hoist drum)(4), 보조권상드럼(aunxiliary hoist drum)(5) 및 기복(起伏)드럼(6)이 설치되어 있다.
7은 상부선회체(3)상에 설치된 A형 프레임(Gantry)을 나타내고, 이 A형 프레임(7)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기복로프(21)가 감겨지는 가이드시이브(7A)가 설치되어 있다. 8은 상부선회체(3)의 후측에 위치하여 좌우로 쌍(1개만 도시)을 이루며 설치된 백스테이(back stay)이고, 이 백스테이(8)의 상단측은 후술하는 리이더(11)의 축방향 중간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9는 상부 선회체의 앞쪽에 설치된 프론트 브래킷을 나타내고, 이 프론트 브래킷(9)은 리이더(11)의 하단측을 지지함으로써 백스테이(8)와 함께 리이더(11)를 대략 직립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10은 프론트 브래킷(9)의 상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시이브로서, 이 가이드시이브(10)는 주권상드럼(4)에 감겨진 후기하는 권상로프(22)를 위쪽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11은 항타기 본체(1)의 앞쪽에 배치된 리이더이고, 이 리이더(11)의 축방향 중간부에는 지지브래킷(1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이더(11)는 그 하단측이 프론트 브래킷(9)에 지지됨과 동시에, 축방향 중간부가 지지브래킷(12)을 거쳐 백스테이(8)에 지지되고, 지면에 대하여 대략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13은 지지브래킷(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시이브이고, 이 가이드시이브(13)는 가이드시이브(10)를 거쳐 위쪽으로 안내된 권상로프(22)를 후기하는 톱시이브(18)로 안내하는 것이다.
14는 리이더(1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용 프론트를 나타내고, 이 작업용 프론트(14)는 삭공용(削孔用)의 스크류(15)와, 이 스크류(15)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원(도시생략)을 구비한 오거(16)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용 프론트(14)는 오거(16)의 구동원에 의하여 스크류(15)를 회전 구동시키면서 리이더(11)를 따라 하강함으로써 스크류(15)에 의한 삭공작업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17은 작업용 프론트(14)에 설치된 프론트용 시이브이고, 이 프론트용 시이브(17)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거(16)의 상단측에 설치된 시이브브래킷(16A)과, 이 시이브 브래킷(16A)에 지축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시이브(17A, 17B, 17C, 17D)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로 돌아가, 18은 리이더(11)의 상단측에 설치된 톱시이브를 나타내고, 이 톱시이브(18)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이더(11)의 상단측에 설치된 시이브브래킷(11A)과, 이 시이브브래킷(11A)의 앞측에 지축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시이브(18A, 18B, 18C, 18D)와, 시이브브래킷(11A)의 후측에 지축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시이브(18E)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시이브(18A~18D)와, 프론트용 시이브(17)를 구성하는 각 시이브(17A~17D)와의 사이에 권상로프(22)가 감겨짐으로써 프론트용 시이브(17)가 톱시이브(18)에 대하여 동활차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19, 19는 톱시이브(18)를 구성하는 시이브 브래킷(11A)에 지축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보조가이드 시이브, 20은 지지브래킷(12)에 지축을 거쳐, 가이드 시이브(13)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가이드 시이브를 각각 나타내고, 이 각 보조가이드시이브(19, 20)는 프론트용 시이브(17)의 각 시이브(17A~17D)와 톱시이브(18)의 각 시이브(18A~18D)와의 사이에 감겨진 권상로프(22)의 선단부를 후기하는 로프걸어멈춤구(23)에 걸어멈추게 할때, 권상로프(22)끼리가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이 권상로프(22)의 선단부를 리이더(11)를 따라 아래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21은 기단측이 기복드럼(6)에 감겨지는 기복로프를 나타내고, 이 기복로프(21)는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측이 A형 프레임(7)의 가이드시이브(7A)를 거쳐 리이더(11)의 축방향 중간부에 걸어멈춰져 있다. 그리고, 이 기복로프(21)는 건설기계의 조립시에 있어서 기복드럼(6)에 감김으로써, 리이더(11)를 대략 직립상태로 기립시키도록 되어 있다.
22는 기단측이 주권상드럼(4)에 감겨진 권상로프를 나타내고, 이 권상로프(22)는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고,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권상드럼(4)으로부터 가이드시이브(10, 13)을 거쳐 위쪽으로 안내되어 톱시이브(18)의 가이드시이브(18E)로부터 시이브(18A)에 안내된 후, 프론트용 시이브(17)의 각 시이브(17A~17D)와, 톱시이브(18)의 각 시이브(18B~18D)와의 사이로 순차 권회된다. 그리고, 이 권상로프(22)의 선단부는 프론트용 시이브(17)의 시이브(17D)로부터 톱시이브(18)의 보조가이드 시이브(19, 19)를 거쳐 리이더(11)의 뒤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안내되고, 다시 보조가이드 시이브(20)를 거쳐 로프 걸어멈춤구(23)에 걸어멈춰진다.
23은 권상로프(22)의 선단부가 걸어멈춰지는 로프 걸어멈춤구이고, 이 로프걸어멈춤구(23)는 가이드 시이브(10)의 근방에 위치하여 프론트 브래킷(9)의 상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어쓰 오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주권상드럼(4)에 권상로프(22)가 권회됨으로써 작업용 프론트(14)가 리이더(11)를 따라 상승하고, 또, 주권상드럼(4)으로부터 권상로프(22)가 풀림으로써 작업용 프론트(14)가 리이더(11)를 따라 하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주권상드럼(4)에 대한 권상로프(22)의 감김·풀림에 의하여 작업용 프론트(14)를 리이더(11)를 따라 승강시키면서 오거(16)의 모터에 의하여 스크류(15)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스크류(15)에 의한 삭공작업이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삭공작업시에 있어서, 권상로프(22)가 톱시이브(18)의 각 시이브(18A~18D), 프론트용 시이브(17)의 각 시이브(17A~17D)등에 항상 슬라이딩함으로써 마모가 생겼을 경우에는, 이 마모를 일으킨 권상로프(22)를 새로운 로프로 교환하는 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이 로프의 교환방법을 제3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제3도에 의해 권상로프(22)의 선단부를 로프걸어멈춤구(23)로 부터 떼어내는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주권상드럼(4)으로부터 권상로프(22)를 풀어내어 제1도에 나타내는 스크류(15)를 지면에 접지시키고, 시이브브래킷(16A)을 그 위치에 유지시킨다. 다음에 권상로프(22)와 같은 전체길이의 교환용 로프(32)를 감은 리일(31)을 미리 준비하고, 권상로프(22)의 선단부를 로프걸어멈춤구(23)로부터 떼어낸다. 이때 스크류(15)는 접지되고, 시이브 브래킷(16A)은 그 위치에 유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권상로프(22)를 로프걸어멈춤구(23)로부터 떼어내도, 권상로프(22)는 끌어당겨지는 일없이 그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로프 걸어멈춤구(23)는 지상높이가 낮은 프론트 브래킷(9)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로프걸어멈춤구(23)로부터 권상로프(22)의 선단부를 떼어낼 때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제4도 및 제5도를 사용하여 권상로프(22)의 선단부와 미리 준비한 리일(31)에 감겨진 교환용 로프(32)의 기단부를 접속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로프걸어멈춤구(23)로부터 떼어낸 권상로프(22)의 선단부와 교환용로프(32)의 기단부는 접속부(F)에서, 예를 들면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상로프(22)의 선단부 단면과 교환용로프(32)의 기단부 단면을 맞대고, 그 전 주위에 걸쳐 용접을 실시하여 환상의 용접부(33)를 형성함으로써 견고하게 접속되나, 그 접속부(F)는 후기하는 바와 같이 교환용 로프(32)를 각 시이브에 권회하기 위하여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상으로 형성된 편조선(編組線)으로 이루어지고 축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면 직경이 축소되는 성질을 가진 이음부재(34)를 개재하여, 권상로프(22)의 선단부단면과 교환용 로프(32)의 기단부 단면을 접속해도 좋다.
또, 제8도에 의해 주권상드럼(4)에 의한 권상로프(22)의 감김과, 교환용 로프(32)를 톱시이브(18)와 프론트용 시이브(17)와의 사이에 권회시키는 공정을 설명한다. 권상로프(22)의 선단부와 교환용로프(32)의 기단부를 접속한 후, 주권상드럼(4)을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시켜 권상로프(22)를 주권상드럼(4)에 감기게 함으로써, 리일(31)이 화상표(H)방향으로 회전하여 교환용 로프(32)가 권상로프(22)의 감김을 따라 풀리게 되고, 이로서 권상로프(22)와 교환용 로프(32)와의 접속부(F)는 톱시이브(18)의 각 보조가이드 시이브(19)를 거쳐 프론트용 시이브(17)의 시이브(17D)로 유도되고, 이 시이브(17D)로부터 톱시이브(18)의 각 시이브(18D~18A)와 프론트용 시이브(17)의 각 시이브(17C~17A)에 순차 권회된 후, 가이드시이브(18E, 13, 10)를 거쳐 주권상드럼(4)에 도달한다.
이때, 주권상드럼(4)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권상로프(22)와 교환용 로프(32)와의 접속부(F)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주권상드럼(4)에 감겨진 권상로프(22)는, 예를 들면 주권상드럼(4)을 화살표(G)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주권상드럼(4)으로부터 권상로프(22)를 풀어내어 이 권상로프(22)를 교환용로프(32)가 감겨 있던 빈 리일(31)에 감는다. 그리고 이 리일(31) 및 리일(31)에 감긴 권상로프(22)를 폐기한다.
이어서, 교환용 로프(32)의 기단부를 주권상드럼(4)에 걸어멈추게 하고, 주권상드럼(4)을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시켜 교환용 로프(32)의 기단측을 주권상드럼(4)에 감기게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교환용 로프(32)의 선단부가 리일(31)로부터 풀려나오기 직전에 주권상드럼(4)의 회전을 정지시켜,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환용 로프(32)의 선단부를 리일(31)로부터 떼어내고 2점쇄선과 같이 로프걸어멈춤구(23)에 걸어멈춘 후, 예를 들면 주권상드럼(4)을 회전시켜 교환용로프(32)를 감기게 함으로써 교환용 로프(32)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을 거쳐, 제1도 및 제2도중에 나타낸 권상로프(22)가 교환용 로프(32)로 교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단측이 주권상드럼(4)에 감겨진 권상로프(22)의 선단부를, 프론트 브래킷(9)에 설치된 로프 걸어멈춤구(23)로부터 떼어내고, 이 권상로프(22)의 선단부를 교환용 로프(32)의 기단부에 접속한 후, 권상로프(22)를 주권상드럼(4)에 감기게 함으로써 교환용 로프(32)가 각 보조가이드 시이브(20, 19), 프론트용 시이브(17)의 각 시이브(17D~17A), 톱시이브(18)의 각 시이브(18D~18A), 각 가이드 시이브(18E, 13, 10)에 순차 권회된다.
그리하여, 권상로프(22)의 선단부를 떼어내는 작업을 낮은 위치에서 간단히 행할 수가 있고, 또 리이더(11)를 직립상태로 유지한채 교환용 로프(32)를 각 시이브에 권회함으로써 로프의 교환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로프교환방법과 같이 리이더를 수평상태태로 눕히기 위한 각종 사전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권상로프(22)의 교환작업과 관련하여 생기는 비용이나 시간낭비를 대폭 저감할 수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0도에 있어서, 41은 권상로프(22)의 선단부가 걸어멈춰지는 로프걸어멈춤구를 나타내고, 이 로프걸어멈춤구(41)는 지상높이가 낮은 항타기의 본체(1) 후측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 마모된 권상로프(22)를 교환하는 경우에도, 먼저 권상로프(22)의 선단부를 로프걸어멈춤구(41)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을 행하는데, 로프걸어멈춤구(41)는 지상높이가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로프걸어멈춤구(41)로부터 권상로프(22)의 선단부를 떼어내는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1도에 있어서, 51은 권상로프(22)의 선단부가 걸어멈춰지는 로프걸어멈춤구를 나타내고, 이 로프걸어멈춤구(51)도 지상높이가 낮은 리이더(11)의 하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 마모된 권상로프(22)를 교환하는 경우에도, 로프걸어멈춤구(51)로부터 권상로프(22)의 선단부를 떼어내는 작업을 낮은 위치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이들의 실시예에서는 스크류를 구비한 어쓰 오거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해머를 구비한 항타기나 회전하는 버킷을 구비한 어쓰 드릴등의 건설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로프걸어멈춤구(23, 41, 51)를 설치하는 위치는, 실시예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의 일부를 구성하는 A형 프레임(7), 백스테이(8)의 하단부등의 다른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에 의하면, 기단측이 권상드럼에 감겨짐과 동시에 톱시이브와 프론트용 시이브와의 사이에 권회된 로프의 선단부를, 본체 또는 리이더 하단측중 어느 한곳에 설치한 로프 걸어멈춤구에 걸어멈추게 함으로써, 마모된 로프의 교환작업을 행하는 경우등에 있어서, 로프의 선단부를 지상높이가 낮은 위치에 설치한 로프걸어멈춤구로부터 간편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 청구범위 제5항의 발명에 의하면, 로프의 선단부를 로프걸어멈춤구로부터 떼어내고, 떼어낸 로프의 선단부와 교환용 로프의 기단부를 접속한 후에, 로프를 권상드럼에 감기게 함으로써 교환용 로프를 톱시이브와 프론트용 시이브와의 사이로 권회시켜 로프교환을 행할 수가 있다. 이때문에, 로프의 선단부를 로프걸어멈춤구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을 낮은 위치에서 행할 수 있고, 또 리이더를 직립상태로 유지한 채 교환용로프를 톱시이브와 프론트용 시이브와의 사이등에 신속하게 감아돌릴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로프교환 작업과 같은 리이더를 수평상태로 눕히기 위한 여러가지의 사전작업이 불필요해지므로, 와이어로프의 교환작업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비용이나 시간낭비를 대폭 저감할 수 있다.

Claims (6)

  1. 권상드럼(4)을 구비한 본체(1)와, 이 본체(1)의 앞측에 지지되어 세워 설치되는 리이더(11)와, 이 리이더(1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용 프론트(14)와, 상기 리이더(11)의 상단측에 설치된 톱시이브(18)와, 상기 작업용 프론트(14)에 설치된 프론트용 시이브(17)와, 기단측이 상기 본체(1)의 권상드럼(4)에 감김·풀림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업용 프론트(14)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톱시이브(18)와 프론트용 시이브(17)의 사이에 권회된 로프(22)와, 이 로프의 선단부를 걸어멈추게 하기 위한 상기 본체(1) 또는 리이더(11) 하단측 중 어느 한곳에 설치된 로프걸어멈춤구(41, 51)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시이브(18)에는 상기 로프(22)의 선단부를 아래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보조가이드 시이브(19, 20)를 설치하고, 상기 로프(22)의 선단부를 이 보조가이드 시이브(19, 20)를 거쳐 상기 로프걸어멈춤구(41, 51)에 걸어멈춰지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3. 권상드럼(4)을 구비한 본체(1)와, 이 본체(1)의 앞측에 설치된 프론트 브래킷(9)과, 하단측이 이 프론트 브래킷(9)에 지지되어 직립하는 리이더(11)와, 이 리이더(1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용 프론트(14)와, 상기 리이더(11)의 상단측에 설치된 톱시이브(18)와, 상기 작업용 프론트(14)에 설치된 프론트용 시이브(17)와, 기단측이 상기 본체(1)의 권상드럼(4)에 감김·풀림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업용 프론트(14)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톱시이브(18)와 프론트용 시이브(17)와의 사이에 권회된 로프(22)와, 이 로프(22)의 선단부를 걸어멈추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 프론트브래킷(9) 및 리이더(11) 하단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된 로프걸어멈춤구(23, 41, 5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톱시이브(18)에는 상기 로프(22)의 선단부를 아래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보조가이드 시이브(19, 20)를 설치하고, 상기 로프(22)의 선단부를 이 보조가이드 시이브(19, 20)를 거쳐 상기 로프걸어멈춤구(23, 41, 51)에 걸어멈추어지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5. 권상드럼(4)을 구비한 본체(1)와, 이 본체(1)의 앞측에 지지되어 세워 설치되는 리이더(11)와, 이 리이더(1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용 프론트(14)와, 상기 리이더(11)의 상단측에 설치된 톱시이브(18)와, 상기 작업용 프론트(14)에 설치된 프론트용 시이브(17)와, 기단측이 상기 본체(1)의 권상드럼(4)에 감김·풀림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업용 프론트(14)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톱 시이브(18)와 프론트용 시이브(17)와의 사이에 권회된 로프(22)와, 이 로프의 선단부를 걸어멈추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 프론트 브래킷(9) 및 리이더(11) 하단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된 로프 걸어멈춤구(23, 41, 51)로 구성되어 있는 건설기계에 사용되는 로프의 교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톱시이브(18)와 프론트용 시이브(17)의 사이에 권회된 상기 로프(22)의 선단부를 상기 로프걸어멈춤구(41, 51)로부터 떼어내는 공정과, 떼어낸 상기 로프(22)의 선단부와 교환용 로프(32)의 기단부를 접속하는 공정과, 상기 로프(22)를 상기 권상드럼(4)에 감기게 함으로써 상기 교환용로프(32)를 상기 톱시이브(18)와 프론트용 시이브(17)와의 사이에 권회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에 사용되는 로프의 교환방법.
  6. 권상드럼(4)을 구비한 본체(1)와, 이 본체(1)의 앞측에 설치된 프론트 브래킷(9)과, 하단측이 이 프론트 브래킷(9)에 지지되어 직립하는 리이더(11)와, 이 리이더(1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용 프론트(14)와, 상기 리이더(11)의 상단측에 설치된 톱시이브(18)와, 상기 작업용 프론트(14)에 설치된 프론트용 시이브(17)와, 기단측이 상기 본체(1)의 권상드럼(4)에 감김·풀림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업용 프론트(14)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톱시이브(18)와 프론트용 시이브(17)와의 사이에 권회된 로프(22)와, 이 로프(22)의 선단부를 걸어 멈추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 프론트 브래킷(9) 및 리이더(11) 하단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된 로프 걸어멈춤구(23, 41, 51)로 구비한 건설기계에 사용되는 로프의 교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톱시이브(18)와 프론트용 시이브(17)와의 사이에 권회된 상기 로프(22)의 선단부를 상기 로프걸어멈춤구(23, 41, 51)로부터 떼어내는 공정과, 떼어낸 상기 로프(22)의 선단부와 교환용로프(32)의 기단부를 접속하는 공정과, 상기 로프(22)를 상기 권상드럼(4)에 감아서 상기 교환용 로프(32)를 상기 톱시이브(18)와 프론트용 시이브(17)와의 사이로 권회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에 사용되는 로프의 교환방법.
KR1019960005253A 1995-03-01 1996-02-29 건설기계 및 그 기계에 사용되는 로프의 교환방법 KR100241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66882 1995-03-01
JP06688295A JP3450499B2 (ja) 1995-03-01 1995-03-01 杭打機およびそのロープ交換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593A KR960034593A (ko) 1996-10-24
KR100241135B1 true KR100241135B1 (ko) 2000-02-01

Family

ID=1332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253A KR100241135B1 (ko) 1995-03-01 1996-02-29 건설기계 및 그 기계에 사용되는 로프의 교환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50499B2 (ko)
KR (1) KR100241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440B1 (ko) * 2002-12-05 2010-02-25 주식회사 포스코 루프 타워의 루퍼 와이어 로프 교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6015A (ja) * 1987-12-02 1989-06-08 Nippon Concrete Ind Co Ltd 杭圧入工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6015A (ja) * 1987-12-02 1989-06-08 Nippon Concrete Ind Co Ltd 杭圧入工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50499B2 (ja) 2003-09-22
KR960034593A (ko) 1996-10-24
JPH08239834A (ja)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09694B (zh) 钻井装置、搬运系统、用于独立作业的方法
JP2007302352A (ja) クレーン及びクレーンのブーム起伏装置
JP4857880B2 (ja) 移動式クレーンのブームの取り付け方法及びブーム取り付け用具
CN107859023A (zh) 一种水下块石基床打夯系统
CA2912479C (en) Guide system
CN212374757U (zh) 一种安装稳定的塔式起重机
KR100241135B1 (ko) 건설기계 및 그 기계에 사용되는 로프의 교환방법
JP3788481B1 (ja) 傾斜地用土木作業設備及び傾斜地に対する土木作業方法
JP4946475B2 (ja) 油圧ユニットが搭載可能なクレーン並びにこれを用いた油圧作業方法及び装置
JP2015145307A (ja) 補巻ロープ掛け替え方法
JP4931665B2 (ja) 杭打機
JPH03119284A (ja) ダウンザホールドリル掘削装置
JPH0958976A (ja) ブームヘッド脱着装置
JP3637173B2 (ja) 掘削機の昇降装置
JP2951261B2 (ja) 杭施工機用作業台昇降装置
JPH06294129A (ja) 掘削機の吊りロープガイド装置
JPS6236958B2 (ko)
JP5232531B2 (ja) 急傾斜地用作業車の牽吊装置。
JP2628263B2 (ja) マスト起倒装置
JP3250373B2 (ja) 掘削装置及び掘削装置による掘削体の貫入方法
JP6765326B2 (ja) 建設機械
JP2009002122A (ja) リールユニット取付け装置とリールユニット取付け方法
JP2001193098A (ja) 横堀掘削機のシーブ装置
JP4077281B2 (ja) 立坑掘削装置
JP2743349B2 (ja) 地中掘削機の排泥ホース吊下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