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238B1 - 표시범위제어장치 및 외부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표시범위제어장치 및 외부메모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238B1
KR100237238B1 KR1019910020759A KR910020759A KR100237238B1 KR 100237238 B1 KR100237238 B1 KR 100237238B1 KR 1019910020759 A KR1019910020759 A KR 1019910020759A KR 910020759 A KR910020759 A KR 910020759A KR 100237238 B1 KR100237238 B1 KR 100237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sk signal
screen
position data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237A (ko
Inventor
마사히로 오타케
사토시 니시우미
도요후미 다카하시
다카시 오츠키
Original Assignee
야마우치 히로시
닌텐도 가부시키가이샤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우치 히로시, 닌텐도 가부시키가이샤,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야마우치 히로시
Publication of KR920011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3Image generating hardwa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 게임기등에 이용되는 표시범위 제어장치 및 외부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라스터 스캔 모니터 화면상의 수평방향의 두점을 나타내고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위치 데이터 출력수단, 마스크신호를 발생하는 마스크신호 발생수단, 게이트수단 및, 영상신호 작성 수단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범위 제어장치와; 화상데이터발생수단, 마스크신호발생수단, 화상데이터를 게이트하는 게이트수단, 영상신호 작성수단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라스터 스캔 모니터 화면상의 수평방향의 두점을 나타내는 위치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범위제어장치 및 외부메모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제1도 실시예의 프로그램 기억장치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데이터의 한 예를 나타낸 도해도.
제3도는 제1도 실시예에서 칼라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해도.
제4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CPU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5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타이밍신호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해도.
제6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배경패턴 데이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7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오브젝트 데이터의 한 예를 나타낸 도해도.
제8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우선순위 회로를 나타낸 블럭도.
제9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마스크신호 발생회로를 나타낸 블럭도.
제10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타겟을 나타낸 블럭도.
제11(a)도 및 제11(b)도는 제1윈도우만이 이네이블된 경우를 나타낸 도해도로서, 각각 내측과 외측을 나타내는 도면.
제12(a)도 및 제12(b)도는 제2윈도우만이 이네이블된 경우를 나타낸 도해도로서, 각각 내측과 외측을 나타내는 도면.
제13도는 제1윈도우 및 제2윈도우가 AND 상태에서 이네이블된 경우를 나타낸 도해도.
제14도는 제1윈도우 및 제2윈도우가 배타 OR 상태에서 이네이블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15도는 제1윈도우 및 제2윈도우가 배타 NOR 상태에서 이네이블된 경우를 나타낸 도해도, 및
제16도는 윈도우 데이터를 고정시킨 경우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디오 프로세서 12 : CPU
14 : 프로그램 기억장치 16 : CPU 인터페이스
18 : 래스터 스캔 모니터 36 : 화상데이터 기억장치
38 : 타이밍신호 발생회로 40 : 배경화(畵) 데이터 발생회로
42 : 동화(畵) 데이터 발생회로 44 : 우선순위회로
54 : 마스크신호 발생회로 90 : 게이트
94 : 영상신호 작성회로
본 발명은 표시범위제어장치 및 외부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TV 게임기 등에 이용되는데,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화면상에 표시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 화상을 일정범위에서 마스크할 수 있는 표시범위 제어장치 및 외부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TV 게임기에 대한 일예가 1984년 7월 7일자로 공개된 일본 특개소59-68184호 공보(1989년 4월 25일자로 발행된 미합중국 특허 제4,824,106호에 대응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TV 게임기에서, 가령 텍스트 어드벤처 게임으로 텍스트를 표시하는 경우와, 건물 또는 탈것의 창에서 바깥을 본 것같은 화상을 표시하고자 할 때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화면상에 윈도우를 형성하여 그 윈도우내에서만 화상을 표시하고, 나머지 부분의 화상은 마스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위에 기술한 종래기술에서 이러한 윈도우 효과를 가진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스크린 RAM의 정지화 내지 배경화 패턴 데이터를 프로그램에 따라 재기록하면 좋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스크린 RAM의 재기록이 순식간에 실행되지 않으므로, 여러 프레임에 걸쳐서 스크린 RAM을 재기입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이 경우 시각적 효과가 저해된다. 또한, 전술한 방법에서는 윈도우의 형상에도 제약이 발생한다. 즉, 윈도우가 가령 사각형일때에는 스크린 RAM에 흑색 또는 백색의 캐릭터의 캐릭터코드를 기록하기만 하면 되는데, 원형의 윈도우를 형성할 경우에는 원의 각부의 형상을 가진 캐릭터를 별도로 기억해두지 않으면 안되기에 캐릭터 메모리의 용량증대를 초래하여 결국, 싼 값이어야만 하는 TV 게임기에서는 윈도우 형상에 제약이 발생한다.
또한, 캐릭터데이터를 RAM으로 옮기고, 이 RAM을 재기록하므로써 캐릭터 형상을 변화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 방법으로는 캐릭터 RAM의 재기록 시간이 걸리므로 실용적인 게임기를 얻을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윈도우 형상의 제약이 없는 표시범위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윈도우를 순식간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범위제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정지화 내지 배경화 데이터를 재기록할 필요가 없는 표시범위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표시범위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외부메모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간단히 말하면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화면상의 일정범위를 마스크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범위제어장치에 있어서,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화면상의 수평방향의 두 점을 나타내는 위치데이터를 출력하는 위치데이터 출력수단, 화상데이터를 발생하는 화상데이터 발생수단,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수평주사중에 위치데이터에 의거하여 마스크 신호를 발생하는 마스크신호 발생수단, 마스크신호에 의해 화상데이터를 게이트하는 게이트수단 및 게이트수단에 의해 게이트된 화상데이터를 래스터 스캔 모니터에 적합한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영상신호 작성수단을 구비한 표시범위제어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외부메모리장치이다.
마스크의 신호발생수단은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화면상의 두 점을 나타내는 두 종류의 위치데이터의 각각과, 가령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화면상의 1도트(화소)에 상당하는 신호로 인크리멘트되는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비교한다. 두 종류의 위치데이터와 카운트값이 일치하는 범위에서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마스크신호가 얻어진다. 게이트수단에서는 이 마스크신호와 화상데이터를 예를 들어 AND 처리하므로써 화상신호를 게이트한다. 영상신호발생수단은 게이트수단을 거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RGB 신호 또는 복합 비디오신호를 발생하고, 그것을 표시장치, 예를 들어 래스터 스캔 모니터에 부여한다. 따라서,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화면상에서는 두 점으로 규정되는 범위의 내측 또는 외측에 화상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메모리 카트리지와 같은 외부메모리장치에 두 점의 위치데이터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마스크신호를 만들 수 있으며,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윈도우 표시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데이터에 의거하여 마스크신호를 만들도록 하고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복잡한 형상의 윈도우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윈도우를 화면상에 순식간에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크신호로 화상데이터를 게이트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스크린 RAM등을 재기록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CPU의 부담이 경감되어 특히 값싼 것이 조건인 TV 게임기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그외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행하는 이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비디오 프로세스(10)는 CPU(12)에 결합되고, CPU(12)는 예를 들어 착탈식인 메모리 카트리지된 프로그램 기억장치(14)에서의 프로그램 데이터에 따라 CPU 인터페이스(16)를 통하여 그 프로그램에 따라 래스터 스캔 모니터(18)의 화면상에 화상이 표시되도록 비디오 프로세서(10)의 각 컴포넌트에 필요한 데이터를 부여한다. 이러한 CPU(12)로서는 예를 들어 16비트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이용된다. 프로그램 기억장치(14)는 예를 들어 게임실행에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 및 그 게임을 위한 동화 캐릭터 및 배경화 캐릭터의 캐릭터 데이터가 사전에 기억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프로그램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ROM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메모리(14a)에 기억되고, 캐릭터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RAM으로 구성되는 캐릭터 메모리(14b)에 기억된다. 프로그램 메모리(14a)에는 게임 실행에 필요한 다른 프로그램과 함께 윈도우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이 윈도우 프로그램은 제1윈도우 이네이블 신호(WAEN), 제2윈도우 이네이블 신호(WBEN), 제1윈도우 위치데이터(WAP1, WAP2), 제2윈도우 위치데이터(WBP1, WBP2), 제1윈도우 내외 지정데이터(WAIO), 제2윈도우 내외 지정데이터(WBIO), 및 선택데이터(WLS1, WLS2) 등을 포함한다.
제1윈도우 위치데이터(WAP1, WAP2) 및 제2윈도우 위치데이터(WBP1, WBP2)가 고정이라면 제16도와 같이 무대의 막과 같은 윈도우가 되는데 이러한 위치 데이터를 CPU가 CRT의 수평라인마다 변경하므로써 예를 들어 제3도에 나타낸 윈도우(WA, WB)가 설정가능해지고, 그 윈도우(WA 및/또는 WB)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화상을 마스크할 수 있다. 각 라인마다 설정되는 제1윈도우 위치데이터(WAP1, WAP2)는 제1윈도우(WA)의 좌측단 위치 및 우측단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제2윈도우 위치데이터(WBP1, WBP2)는 제2윈도우(WB)의 좌측단 위치 및 우측단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그리고, 제1윈도우 내외 지정데이터(WAPIO) 및 제2윈도우 내외 지정데이터(WBPIO)는 각각 제1윈도우(WA) 및 제2윈도우(WB)의 내측이나 외측을 나타내는 1비트의 데이터이다. 제1윈도우(WA)를 이네이블할 때 제1윈도우 이네이블신호(WAEN)가, 제2윈도우(WB)를 이네이블할 때 제2윈도우 이네이블신호(WBEN)가, 각각“1”(또는“0”)의 1비트의 데이터로서 설정된다. 또한, 선택데이터(WLS1, WLS2)는 후술하는 멀티플렉서 선택제어신호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프로그램 기억장치(14)에서 CPU(12)에 의해 판독되고, CPU 인터페이스(16)를 통하여 출력된다. CPU 인터페이스(16)는 CPU(12)의 어드레스 버스에서 어드레스 데이터를 받는 어드레스 디코더(20) 및 CPU(12)의 데이터 버스에서 데이터를 받는 데이터 래치(22)를 포함한다. 어드레스 데이터(20)는 CPU(12)에서의 어드레스를 디코드하여 제4도에 나타낸 각 래치의 래치 이네이블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래치 이네이블 신호가 게이트회로(24)를 구성하는 AND게이트(24a-24e)의 각각 한쪽 입력에 부여되고, AND 게이트(24a-24e)의 각각의 다른쪽 입력에는 CPU(12)로부터의 기록신호(/WRITE)가 인버터에 의해 반전되어 부여된다. 이 기록신호(/WRITE)의 반전신호는 또한 데이터 래치(22)에도 부여되어 래치신호로서 작용한다.
CPU(12)에서 데이터 버스에 제1윈도우 좌측단 위치데이터(WAP1)가 출력될 때, 어드레스 버스에는 데이터 래치(28)를 지정하는 어드레스가 출력되고, 어드레스 디코더(20)에서 게이트회로(24)의 AND 게이트(26f)에“1”이 출력된다. 따라서, 데이터 래치(22)에 래치된 제1윈도우 좌측단 위치데이터(WAP1)가 데이터 래치(28)에 래치된다. 마찬가지로하여 제1윈도우 우측단 위치데이터(WAP2), 제2윈도우 좌측단 위치데이터(WBP1) 및 제2윈도우 우측단 위치데이터(WBP2)가 어드레스 디코더(20)로부터의 출력, 즉 AND 게이트(26g, 26h, 26i)에서의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래치(30,32,34)에 래치된다.
그리고, 게이트회로(24)의 AND게이트(24a)에“1”이 출력될 때, 데이터 래치(26)에는 제4도에 나타내고 또한 앞서 설명한 CPU(12)가 프로그램 데이터 기억장치(14)에서 판독된 각각의 데이터 내지 신호가 래치되는데, 여기에서는 반복은 생략한다.
화상데이터 기억장치(36)는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스크린 RAM 및 캐릭터 RAM을 포함하며, 캐릭터 RAM에는 프로그램 기억장치(14)의 캐릭터 메모리(14b)로부터의 그래픽 데이터(도트데이터)가 CPU(12) 및 CPU 인터페이스(16)를 통하여 전송된다.
비디오 프로세서(10)는 타이밍신호 발생회로(38)를 포함하며, 이 타이밍신호 발생회로(38)는 예를들어 21.47727MHz의 기본 클릭을 받고, 이 기본 클럭을 예를 들어 카운터, 디코더, 논리회로등으로 처리하므로써 필요한 타이밍신호를 작성하고, 이 비디오 프로세서(10)에 포함되는 각 컴포넌트에 부여된다. 예를 들어, 기본 클럭이 1/2 분주되면 타이밍신호(/10M)(본 명세서에서“/”는 반전을 의미한다)를 얻을 수 있다. 이 타이밍신호(/10M)가 추가로 1/2 분주된 신호는 래스터 스캔 모니터(18)의 화면상의 1도트(화소)의 표시사이에 상당하는 타이밍신호(1/5M)가 된다. 따라서, 이 타이밍신호(1/5M)를 카운트하므로써, 모니터(18)의 화면상의 수직방향위치(V 위치) 및 수평방향의 위치(H위치)를 나타내는 V위치 데이터(Vp) 및 H위치 데이터(Hp)를 얻을 수 있다. 타이밍신호 발생회로(38)는 다시 이 V위치데이터(Vp) 및 H위치데이터(Hp)에 의거하여 래스터 스캔 모니터(18)에 필요한 동기신호(Vsync 및 Hsync)를 작성하고, 이것을 후술하는 영상신호 작성회로에 부여한다. 그리고, 타이밍신호 발생회로(38)는 각 수평 스캔의 개시시에“1”이 되는 타이밍신호(WCLD)를 출력한다. 신호(WCLD)는 후술하는 마스크신호 발생회로에 부여된다.
CPU(12)는, CPU 인터페이스(16)를 통하여 프로그램 메모리(14a)에서 화상데이터 기억장치(36)의 배경패턴 데이터영역에 배경화의 패턴데이터를 기록하고, 캐릭터 메모리(14b)에서 화상데이터 기억장치(36)의 그래픽 데이터영역에 그래픽 데이터를 기록한다. 배경화 데이터 발생회로(40)는 상기 화상데이터 기억장치(36)의 배경패턴 데이터 영역에서 배경화(정지화)의 패턴데이터(캐릭터 코드)를 판독하고, 그 패턴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데이터 기억장치(36)에서 배경화의 그래픽 데이터를 판독하며, 그것을 배경화 데이터(BG1,BG2,BG3,BG4)로서 출력한다. 즉, 화상데이터 기억장치(36)의 배경패턴 데이터영역에는 제6도에 나타낸 배경화 패턴 데이터가 캐릭터마다 기억된다. 하나의 캐릭터를 나타내는 배경패턴 데이터는 10비트의 네임데이터(캐릭터코드), 3비트의 속성데이터, 1비트의 우선데이터 및 2비트의 플립데이터를 포함한다. 배경화 데이터 발생회로(40)에서는 타이밍신호 발생회로(38)로부터의 H위치데이터(Hp) 및 V위치데이터(Vp)에 의거하여 래스터 스캔 모니터(18)의 화면상의 각 라인위치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 기억장치(36)내의 배경패턴 영역의 어드레스값을 산출하고, 그 어드레스값에 의해 지정되는 화상데이터 기억장치(36)로부터 앞의 네임데이터로 표시되는 캐릭터를 구성하는 그래픽데이터(도트데이터)가 출력된다. 복수의 배경화 셀을 표시하는 경우, 셀 수에 따라 상기의 네임데이터 및 우선데이터의 판독을 반복하고, 각각의 배경화 셀에 대응하는 도트데이터를 우선데이터와 함께 출력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셀 배경화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으므로, 이 배경화 데이터 발생회로(40)로부터는 제1, 제2, 제3, 및 제4의 배경화 데이터(BG1,BG2,BG3,BG4)가 출력된다.
동화데이터 발생회로(42)는 도시하지 않지만 OAM(Object Attribute Memory)을 포함하고, 이 OAM은 합계 78개의 오브젝트 데이터(속성데이터)를 기억한다. 이 오브젝트데이터는 제7도에 나타낸 것처럼 합계 34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9비트의 오브젝트 지정데이터(네임데이터), 8비트의 V위치데이터, 9비트의 H위치데이터, 3비트의 칼라데이터, 2비트의 우선데이터, 2비트의 플립데이터 및 1비트의 사이즈선택 데이터를 포함한다. OAM에서 판독된 오브젝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네임데이터 및 위치데이터 및 타이밍신호 발생회로(38)에서의 V위치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데이터 기억장치(36)내의 캐릭터 데이터 영역이 어드레스 지정되고, 따라서 화상데이터 기억장치(36)에서는 그 캐릭터의 그래픽 데이터(도트데이터) 및 우선데이터가 출력된다. 이렇게해서 동화발생회로(60)에서는 동화데이터(OBJ)가 출력된다.
우선순위회로(44)는 동화나 배경화가 중첩되었을 때 우선데이터로 표시되는 우선순위가 보다 높은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회로로서, 구체적으로는 제8도에 나타낸 것처럼 구성된다. 즉, 우선순위회로(44)는 투명검출회로(46a,46b,46c,46d,46e)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동화데이터(OBJ), 배경화데이터(BG1,BG2,BG3,BG4)에 대응한다. 또한, 이러한 투명검출회로(46a-46e)는 같은 회로구성을 가지며, 또한 제9도에서는 투명검출회로(46a)만이 다른 것을 대표하여 상세히 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투명검출회로(46a)를 설명하고, 다른 투명검출회로(46b-46e)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투명검출회로(46a)는 OR게이트(48)를 포함하며, 그 OR게이트(48)의 각 입력에는 동화데이터(OBJ)의 각 비트가 부여되고, 이 OR게이트(48)의 출력이 투명검출회로로서 우선회로(50)에 부여된다. 투명검출회로(46a)는 또한 각각이 동화데이터(OBJ)의 각 비트를 받는 트라이 스테이트 게이트(52)를 포함한다. 동화데이터(OBJ)의 각 비트가 모두“0”일 때 동화를 표시하지 않는 상태, 즉 동화가 투명하다고 정의되어 있으므로, 우선회로(50)에서는 투명검출회로(46a-46e)에 포함되는 OR게이트(48)의 출력이“1”인 데이터에 대해서만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트라이 스테이트 게이트(52)는, 우선순위회로(44)에 개별적으로 입력되어 있는 동화데이터(OBJ) 및 배경화데이터(BG1,BG2,BG3,BG4)를 하나의 복합 화상데이터로서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즉, 우선회로(50)에서 투명검출회로(46a-46e)의 출력“1”의 데이터중 최우선인 데이터를 검출하고, 그 복합화상데이터 식별신호를“0”으로 하므로써 최우선 화상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동화데이터(OBJ)의 우선데이터는 그 동화데이터가 최우선으로 표시되어야 할 것이라고 설정되어 있어서, 투명검출회로(46a)의 OR게이트(48)의 출력이“1”인 경우, 우선회로(50)에서 출력되는“/OBJSEL”이“0”이 되고, 다른 복합 화상데이터 식별신호(/BG1SEL,/BG2SEL,/BG3SEL,/BG4SEL,/BAC)가 모두“1”로서 출력된다. 이에 따라 투명검출회로(46a)에 포함되는 트라이스테이트 게이트(52)가 개방되고, 이 우선순위회로(44)에서는 동화데이터(OBJ)만이 출력된다.
또한, 복합 화상데이터 식별신호(/BACK)는 동화데이터(OBJ)도 배경화 데이터(BG1-BG4)도 출력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이며, 이 경우에는 백칼라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마스크신호 발생회로(54)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스크신호 발생회로(54)는 래스터 스캔 모니터(18)의 화면상의 칼라윈도우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MASK)를 출력하기 위한 회로이다. 구체적으로는 제9도에 나타낸 것처럼 구성되고, 이 마스크 신호발생회로(54)는 카운터(56)를 포함하며, 카운터(56)의 클럭입력으로서는 타이밍신호 발생회로(38)로부터의 타이밍신호(5M)가 부여된다. 따라서, 카운터(56)는 래스터 스캔 모니터(18)의 화면상의 1도트마다 그 카운트값이 갱신된다. 카운터(56)의 리셋 입력에는 타이밍신호 발생회로(38)에서의 신호(WCLD)가 부여되고, 따라서 카운터(56)는 각 수평주사의 개시마다 리셋되어 클럭신호(5M)에 따라 순차 인크리멘트된다.
카운터(56)의 출력(카운트값)은 제1윈도우회로(58a) 및 제2윈도우회로(58b)에 부여된다. 단, 제9도에서는 제1윈도우회로(58a)만이 상세하게 도시되고, 또한 양자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에서는 제1윈도우회로(58a)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윈도우회로(58a)는 두개의 일치검출회로(60,62)를 포함하고, 카운터(56)의 카운터값이 이 일치검출회로(60,62)의 각각의 한쪽 입력에 부여된다. 일치검출회로(60,62)의 각각의 다른쪽 입력에는 CPU 인터페이스(16)의 데이터래치(28,30)에서의 제1윈도우 좌측단 제1데이터(WAP1,WAP2)가 부여된다. 일치검출회로(60)는, 좌측단 위치데이터(WAP1)와 카운터(56)의 카운트값을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된 시점에서 RS-FF64에 세트 입력을 부여한다. 마찬가지로, 일치검출회로(62)는 카운터(56)의 카운트값과 우측단 위치데이터(WAP2)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된 시점에서 RS-FF66을 세트한다. RS-FF64 및 RS-FF66은 카운터(56)와 마찬가지로 신호(WCLD)에 의해 리셋되어 있으므로, 각각 세트 입력이 부여된 시점에서 출력(Q)은“1”이 된다. 단, RS-ff66에서는 출력(/Q)이 출력되므로 세트 입력이 부여된 시점에서 출력이“0”이 된다.
RS-FF64 출력(Q) 및 RS-FF66의 출력(Q)의 반전이 AND게이트(68)에 부여된다. 따라서, AND 게이트(68)는 각 수평주사마다 제1윈도우 좌측단 위치데이터에 상당하는 타이밍에서 우측단 위치데이터에 상당하는 타이밍으로“1”을 출력한다. AND 게이트(68) 출력은 CPU 인터페이스(16)에서 부여되는 제1윈도우 내외 지정신호(WAIO)와 함께, 배타 OR게이트(70)에 부여된다. 배타 OR게이트(70)는 신호(WAIO)가“1”일 때 AND 게이트(68) 출력을 반전하고, 그것을 OR게이트(72)의 한쪽 입력에 부여한다. OR게이트(72)의 다른쪽 입력에는 CPU 인터페이스(16)에서 부여되는 제1윈도우 이네이블 신호(WAEN)가 인버터에 의해 반전되어 부여된다. 따라서, OR게이트(72)에서는 신호(WAEN)가“1”일 때 AND 게이트(68)의 출력이“1”인 기간“1”을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2윈도우회로(58b)에서도 OR게이트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이들 OR게이트의 출력이 OR게이트(74), AND게이트(76), 배타 OR게이트(78) 및 배타 NOR 게이트(80)의 각각의 2입력으로서 부여된다. 이들 각 게이트(74-80)의 출력이 멀티플렉서(82)에 부여된다.
또한, CPU 인터페이스(16)로부터의 신호(WAEN,WBEN)이 AND게이트(84)에 부여되고, 이 AND게이트(84)의 출력이 AND게이트(86,88)의 각각 한쪽 입력에 부여된다. AND 게이트(86)의 다른쪽 입력에는 CPU 인터페이스(16)로부터의 제어신호(WLS1)가 부여되고, AND게이트(88)의 다른쪽 입력에는 제어신호(WLS2)가 부여된다. 그리고, AND게이트(86,88)의 출력이 각각 멀티플렉서(82)의 선택신호(A,B)로서 부여된다.
멀티플렉서(82)는 게이트(74-80)로부터의 4개의 입력에서 선택입력(A,B)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여 마스크신호(MASK)로서 출력한다.
상기의 우선순위회로(44)로부터의 n비트의 복합데이터는 게이트(90)에 입력된다. 이 게이트(90)는 제10도에 나타낸 것처럼 복합데이터의 각 비트를 각각의 한쪽 입력으로 받는 AND게이트(921-92n)를 포함하고, 이러한 AND게이트(921-92n)의 각각의 다른쪽 입력에는 마스크신호 발생회로(54)로부터의 마스크신호(MASK)가 부여된다. 따라서, AND게이트(921-92n)는 마스크신호(MASK)가“1”일 때 복합 화상데이터의 각 비트를 영상신호작성회로(94)에 부여한다. 이렇게 해서 복합 화상데이터가 게이트(90)에 의해 게이트된다.
이 영상신호작성회로(94)에는 타이밍신호 발생회로(38)로부터의 동기신호(Hsync, Vsync)가 부여된다. 따라서, 영상신호 작성회로(94)에서는 이미 공지된 것처럼 게이트(90)에서 출력되는 색(R,G,B)의 각 단계별 색조데이터를 RGB 신호 또는 동기신호를 포함한 TV 복합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그것을 래스터 스캔 모니터(18)에 부여한다.
프로그램 기억장치(14)의 프로그램에서 제1윈도우(WA) 또는 제2윈도우(WB)만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CPU 인터페이스(16)로부터의 신호(WAEN,WBEN)이“1”로서 설정된다. 이때, AND게이트(84)의 출력이“0”이 된다. 따라서, AND게이트(86,88)의 출력이 모두“0”이 되며, 멀티플렉서(82)는 OR게이트(74)의 출력을 마스크신호(MASK)로서 선택한다. 따라서, 제1윈도우(WA)만을 이네이블할 때 제11(a)도 또는 제11(b)도에 빗금으로 나타내는 부분에는 마스크신호(MASK)가“1”이 된다. 따라서, 래스터 스캔 모니터(18)의 화면상에서는 그 부분에서만 화상, 즉 동화 또는 정지화(배경화)가 표시된다. 또한, 제11(a)도는 내외 지정신호(WAIO)가“1”일때를 나타내며, 제11(b)도는 내외 지정신호(WAIO)가“0”일때를 나타낸다.
또한, 제2윈도우(WB)만을 이네이블할 때 제12(a)도 또는 제12(b)도에서 빗금으로 나타내는 부분에서 마스크신호(MASK)가“1”이 된다. 따라서, 래스터 스캔 모니터(18)의 화면상에서는 그 부분에서만 화상이 표시된다. 단, 제12(a)도는 내외 지정신호(WBIO)가“1”이 될 때를 나타내며, 제12(b)도는 내외 지정신호(WBIO)가“0”일때를 나타낸다.
혹시 프로그램 기억장치(14)의 프로그램 메모리(14a)에 두개의 이네이블 신호(WAEN,WBEN)가 모두“1”로서 설정되었을 때 멀티플렉서(80)는 선택제어신호(WLS1,WLS2)에 따라 AND게이트(76)의 출력, 배타 OR 게이트(78)의 출력 또는 배타 NOR 게이트(80)의 출력을 선택하여 마스크신호(MASK)를 출력한다. 이 경우에는 내외 지정신호(WAIO,WBIO)는 모두“1”로서 설정된다.
선택제어신호(WLS1,WLS2)가 모두“0”으로 설정되었을 때, 멀티플렉서(82)는 AND게이트(76)의 출력을 선택하는데, 이 경우 제13도에서 빗금으로 나타내는 범위에서“1”의 마스크신호(MASK)가 출력된다. 따라서, 래스터 스캔 모니터(18)의 화면상에서는 그 범위에서만 화상이 표시된다.
선택제어신호(WLS1)가“0”으로서, 또한 선택제어신호(WLS2)가“1”로서 설정되었을 때 멀티플렉서(82)는 배타 OR게이트(78)의 출력을 선택하는데, 이 경우 제14도에서 빗금으로 나타낸 범위에서“1”의 마스크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래스터 스캔 모니터(18)의 화면상에서는 그 범위에서만 화상이 표시된다.
선택제어신호(WLS1,WLS2)가 모두“1”로서 설정되었을 때 멀티플렉서(82)는 배타 NOR 게이트(80)의 출력을 선택한다. 이 경우, 제15도에서 빗금으로 나타낸 범위에서“1”의 마스크신호(MASK)가 출력된다. 따라서, 래스터 스캔 모니터(18)의 화면상에서는 그 범위에서만 화상이 표시된다.
덧붙여서, 반도체 메모리를 결합하는 메모리 카트리지는 상기 실시예에서 외부기억유닛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CD-ROM과 같은 외부기억유닛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동화 캐릭터와 정지화 캐릭터의 캐릭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및 상기한 윈도우 프로그램 데이터는 반도체 메모리에 기억되며, CPU(12)는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토대로 동화 캐릭터 및 정지화(배경화) 캐릭터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제어데이터를 비디오 프로세서(10)의 상기 컴포넌트로 출력시킨다.
대조적으로 CD-ROM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한 프로그램 데이터와 윈도우 프로그램 데이터는 CD-ROM(도시되지 않음)에 디지털 데이터로서 광학적으로 기록된다. 또한 CD-ROM상에 기록된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광학판독기가 연장커넥터와 같은 적절한 커넥터에 연결된다. 비록 CD-ROM이 외부기억유닛으로서 사용되더라도, 메모리 카트리지 또한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메모리 카트리지는 광학판독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시작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도시되지 않음), CD-ROM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버퍼 RAM(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된다. 다음, 디스플레이 동작의 시작전에, CPU(12)는 광학판독기가 CD-ROM의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ROM의 시작 프로그램을 토대로 광학 판독기에 제어데이터를 적용한다. CD-ROM으로부터 판독된 캐릭터 데이터의 영역은 캐릭터 RAM으로 전달되고, 프로그램 데이터는 메모리 카트리지에 포함된 버퍼 RAM에 전달된다. CPU(12)는 버퍼 RAM에 기억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토대로 비디오 프로세서(10)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한다. 즉, 광학 판독기에 의해 CD-ROM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가 각 메모리들로 전달된 후, CPU(12)와 비디오 프로세서(10)는 이전의 실시예에서 행해진 바와 같이 각 메모리들을 액세스하므로써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이 상세하게 기술되고 개시되었지만, 그것은 단지 설명 및 예시로서 이용된 것이고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조건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8)

  1.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화면상의 일정 범위를 마스크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범위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화면상의 수평방향의 두 점을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발생하는 위치데이터 출력장치; 래스터 스캔 모니터 화면상의 둘 이상의 수평선 두 점의 위치데이터를 변경하는 수단; 동화 데이터를 발생하는 수단 및 배경화 데이터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화상데이터 발생기; 동화 및 배경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동화 및 배경화 데이터가 중첩하는 경우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우선순위 회로; 상기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수평 주사중에 상기 위치데이터에 따라 마스크신호를 발생하는 마스크신호 발생기; 상기 마스크신호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 회로로부터 수신된 상기 화상데이터를 게이트하는 상기 마스크신호 발생기 및 상기 우선순위 회로와 연결된 논리게이트; 및 상기 논리게이트에 의해 게이트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래스터 스캔 모니터에 적합한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영상신호 발생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화면상의 둘 이상의 수평선 사이의 두 점의 위치데이터를 변경하므로써 마스크된 화면 부분의 형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범위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점으로 규정되는 범위의 내측 또는 외측을 지정하는 내외 지정신호를 출력하는 내외 지정신호 출력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신호 발생기는 상기 내외 지정신호에 따라 상기 범위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당하는 마스크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범위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데이터 출력장치는 상기 래스터 스캔 모니터 화면상의 어느 두 점을 나타내는 제1위치데이터를 발생하는 제1위치데이터 발생수단 및 상기 래스터 스캔 모니터 화면상의 별도의 두 점을 나타내는 제2위치데이터를 발생하는 제2위치데이터 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신호 발생기는, 상기 제1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마스크신호를 발생하는 제1마스크신호발생수단; 상기 제2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마스크신호를 발생하는 마스크신호발생수단; 및 상기 제1마스크신호 및 상기 제2마스크신호를 논리연산하는 논리연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범위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연산수단은 복수 종류의 논리연산기능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논리연산의 종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신호 출력수단 및 상기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논리연산기능 중 어느 하나를 능동화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범위 제어장치.
  5.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화면상의 일부를 마스크하는 동안 상기 화면상에 화상을 표시하는 게임 표시범위 제어장치에서 사용되는 외부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 표시범위 제어장치는, 화상데이터를 발생하는 화상데이터 발생기; 상기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수평 주사중에 마스크신호를 발생하는 마스크신호발생기; 상기 마스크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데이터를 게이트하는 논리게이트; 및 상기 논리게이트에 의해 게이트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래스터 스캔 모니터에 적합한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영상신호 발생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메모리장치는 상기 마스크신호 발생기에 의해 상기 마스크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상기 화면상의 수평방향의 두 점을 나타내는 위치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및 상기 화면상의 둘 이상의 수평선사이의 두 점의 위치데이터를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화면상의 둘 이상의 수평선 사이의 두 점의 위치데이터를 변경하므로써 마스크된 화면부분의 형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메모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마스크신호 발생기에 의해 상기 범위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당하는 마스크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두 점으로 규정되는 범위의 내측 또는 외측을 지정하는 내외 지정신호를 더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메모리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마스크신호 발생기에 의해 제1마스크신호 및 제2마스크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화면상의 어느 두 점을 나타내는 제1위치데이터 및 상기 래스터 스캔 모니터의 화면상의 별도의 두 점을 나타내는 제2위치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메모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신호 발생기는 상기 제1마스크신호 및 상기 제2마스크신호를 복수종류의 논리연산기능중 어느 하나에 따라 논리연산하는 논리연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또한 상기 논리연산의 종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메모리장치.
KR1019910020759A 1990-11-07 1991-11-18 표시범위제어장치 및 외부메모리장치 KR100237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312410A JP3073519B2 (ja) 1990-11-17 1990-11-17 表示範囲制御装置および外部メモリ装置
JP90-312410 1990-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237A KR920011237A (ko) 1992-06-27
KR100237238B1 true KR100237238B1 (ko) 2000-01-15

Family

ID=18028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759A KR100237238B1 (ko) 1990-11-07 1991-11-18 표시범위제어장치 및 외부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87723A (ko)
EP (1) EP0491468B1 (ko)
JP (1) JP3073519B2 (ko)
KR (1) KR100237238B1 (ko)
AU (1) AU668500B2 (ko)
CA (1) CA2055702C (ko)
DE (1) DE6912726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3188A (ko) * 1993-06-30 1995-08-23 이리마지리 쇼우이찌로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화상 처리부를 갖고 있는 게임기(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and Game Machine Having Image Processing Part)
GB9403983D0 (en) * 1994-03-02 1994-04-20 Snell & Wilcox Ltd Video test signals
EP0711078B1 (en) * 1994-11-04 2002-05-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icture coding apparatus and method
US6237029B1 (en) 1996-02-26 2001-05-22 Arg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able digital protocol processing
JP3190834B2 (ja) * 1996-09-02 2001-07-23 エヌイーシーマイクロシステム株式会社 Osd表示回路
US6096037A (en) 1997-07-29 2000-08-01 Medtronic, Inc. Tissue sealing electrosurgery device and methods of sealing tissue
JP3057055B2 (ja) * 1998-07-21 2000-06-2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ンピュータ、オーバーレイ処理装置、及びオーバーレイ処理実施方法
US20020107514A1 (en) 2000-04-27 2002-08-08 Hooven Michael D. Transmural ablation device with parallel jaws
US6905498B2 (en) 2000-04-27 2005-06-14 Atricure Inc. Transmural ablation device with EKG sensor and pacing electrode
US6932811B2 (en) 2000-04-27 2005-08-23 Atricure, Inc. Transmural ablation device with integral EKG sensor
US6546935B2 (en) 2000-04-27 2003-04-15 Atricure, Inc. Method for transmural ablation
US7445551B1 (en) 2000-05-24 2008-11-04 Nintendo Co., Ltd. Memory for video game system and emulator using the memory
US7740623B2 (en) 2001-01-13 2010-06-22 Medtronic, Inc.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stitial injection of biologic agents into tissue
US20040138621A1 (en) 2003-01-14 2004-07-15 Jahns Scott E.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stitial injection of biologic agents into tissue
US6678009B2 (en) * 2001-02-27 2004-01-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djustable video display window
US7967816B2 (en) 2002-01-25 2011-06-28 Medtronic, Inc. Fluid-assisted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shapeable electrode
US7291161B2 (en) 2002-10-02 2007-11-06 Atricure, Inc. Articulated clamping member
US7288092B2 (en) 2003-04-23 2007-10-30 Atricu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blating cardiac tissue with guide facility
US8267780B2 (en) 2004-03-31 2012-09-18 Nintendo Co., Ltd. Game console and memory card
US11278793B2 (en) 2004-03-31 2022-03-22 Nintendo Co., Ltd. Game console
US7530980B2 (en) 2004-04-14 2009-05-12 Atricure, Inc Bipolar transmural ablation method and apparatus
EP1750608B1 (en) 2004-06-02 2012-10-03 Medtronic, Inc. Ablation device with jaws
KR20110110433A (ko) * 2010-04-01 2011-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6444A (en) * 1976-07-16 1978-09-26 Atari, Inc. Method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moving objects on a video display screen
DE2939489A1 (de) * 1979-09-28 1981-05-14 Siemens Ag System zur lokalisierung von bereichen bei gemischter text-/bildbearbeitung am bildschirm
JPS58142487A (ja) * 1982-02-18 1983-08-24 Fuji Electric Co Ltd 特徴抽出装置
JPS58209784A (ja) * 1982-05-31 1983-12-06 株式会社東芝 メモリシステム
DE3380465D1 (en) * 1982-09-20 1989-09-28 Toshiba Kk Video ram write control apparatus
GB8322552D0 (en) * 1983-08-22 1983-09-21 Crosfield Electronics Ltd Image processing system
JPS60117376A (ja) * 1983-11-29 1985-06-24 Yokogawa Medical Syst Ltd コンピュ−タ断層撮像装置用画像表示装置
JPS60220387A (ja) * 1984-04-13 1985-11-05 インタ−ナショナル ビジネス マシ−ンズ コ−ポレ−ション ラスタ走査表示装置
JPS61147677A (ja) * 1984-12-21 1986-07-05 Mitsumi Electric Co Ltd ス−パ−インポ−ズ装置
US4641255A (en) * 1985-05-22 1987-02-03 Honeywell Gmbh Apparatus for simulation of visual fields of view
US4710767A (en) * 1985-07-19 1987-12-01 Sanders Associat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ultiple images in overlapping windows
US4780709A (en) * 1986-02-10 1988-10-25 Intel Corporation Display processor
US4868557A (en) * 1986-06-04 1989-09-19 Apple Computer, Inc. Video display apparatus
US5313227A (en) * 1988-04-15 1994-05-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 display system capable of cutting out partial images
US5001469A (en) * 1988-06-29 1991-03-19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Window-dependent buffer selection
US4951229A (en) * 1988-07-22 1990-08-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ple images in a graphic display system
US5274364A (en) * 1989-01-09 1993-12-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Window clipping method and device
US5195177A (en) * 1989-09-08 1993-03-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lipping processor
US5185858A (en) * 1989-12-01 1993-02-09 Megatek Corporation Image priority video switch
US5255360A (en) * 1990-09-14 1993-10-19 Hughes Aircraft Company Dual programmable block texturing and complex clipping in a graphics rendering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87723A (en) 1996-12-24
JPH04182698A (ja) 1992-06-30
EP0491468A2 (en) 1992-06-24
AU668500B2 (en) 1996-05-09
EP0491468A3 (en) 1995-04-26
EP0491468B1 (en) 1997-08-13
JP3073519B2 (ja) 2000-08-07
KR920011237A (ko) 1992-06-27
AU8793391A (en) 1992-05-21
CA2055702C (en) 1997-05-27
DE69127269D1 (de) 1997-09-18
CA2055702A1 (en) 1992-05-18
DE69127269T2 (de) 199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7238B1 (ko) 표시범위제어장치 및 외부메모리장치
KR960006526B1 (ko) 화상처리장치 및 그 외부 기억장치
KR100218987B1 (ko) 화상표시장치
KR100222314B1 (ko) 정지화상표시장치
EP0466936B1 (en) Animation display unit and external memory used therefor
JPS62125292U (ko)
US4266253A (en) Processor for a graphic terminal
US4675666A (en) System and method for altering an aspect of one of a plurality of coincident visual objects in a video display generator
KR100297145B1 (ko) 그래픽 처리장치 및 그래픽 처리방법
JP333562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割込制御装置
JPH027478B2 (ko)
JPH0670742B2 (ja) 標体の表示装置
JP3252359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2056391A (ja) 画像解析機能を持つビデオ機器
KR0135494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테두리 생성 및 제어장치
EP0269174A2 (en) Logic circuit for expansion of monochrome display patterns to color form and video controller comprising such logic circuit
JPH04354069A (ja) 画像処理装置
JPS643276B2 (ko)
JPH04186293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H0219891A (ja) 表示制御回路
JPH07160862A (ja) フレームメモリ読出回路
JPS5940691A (ja) 表示制御装置
JPH0476595A (ja) 画像表示装置
JP2001224016A (ja) 電子内視鏡の電気マスク生成装置
JPS60181875A (ja) 濃度ヒストグラム表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