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854B1 -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854B1
KR100236854B1 KR1019970709838A KR19970709838A KR100236854B1 KR 100236854 B1 KR100236854 B1 KR 100236854B1 KR 1019970709838 A KR1019970709838 A KR 1019970709838A KR 19970709838 A KR19970709838 A KR 19970709838A KR 100236854 B1 KR100236854 B1 KR 100236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flange
groove
ink chamber
writ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520A (ko
Inventor
가즈아끼 마쓰모또
Original Assignee
가즈하라 에이이찌로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하라 에이이찌로,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즈하라 에이이찌로
Publication of KR1999002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43K8/06Wick feed from within reservoir to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잉크 보류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환상의 홈을 잉크실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세로홈은 잉크 보류체 후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두께의 반쯤까지 진입하고, 플랜지로 진입되어 있는 세로홈의 외측 일부를 플랜지의 외주에 형성된 오목부와 축통의 내벽으로 형성된 통로로 통과시키며, 이 통로는 세로홈과 잉크실을 연이어 통하게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잉크를 솜 등에 흡장(吸藏)시키지 않고 직접 저류(貯溜)하는 잉크실을 가지고, 또한 잉크실 내의 공기가 온도상승 등으로 인하여 팽창한 경우에 잉크실에서 밀려나오는 잉크가 펜 끝이나 공기구멍을 통해 방울져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잉크를 보류(保留)하는 잉크 보류체를 부설한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 보류체의 환상의 홈인 보류홈과 잉크실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세로홈은, 보류홈으로부터 플랜지를 통하여 직접 잉크실로 관통되어 크실에서 밀려나오는 잉크를 세로홈을 거쳐 보류홈에서 보류하고, 또한 이 세로홈은 잉크를 소비하여 잉크실이 감압되면 플랜지의 세로홈에서 잉크실로 공기를 넣기 위한 공기 치환홈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종래의 잉크 보류체가 축통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잉크 보류체 후부의 플랜지가 축통 내벽에 밀접하게 끼워맞춰져서 세로홈 이외의 플랜지 외주면에서는 통로가 없도록 끼워져 있는데, 축통 내경치수의 불균일과 형상의 일그러짐 및 플랜지 외형지수의 불균일과 형상의 일그러짐을 고려하여 잉크 보류체의 플랜지는 압입되어 끼워맞춰져서 서로 변형하면서 치수의 불균일, 형상의 일그러짐을 흡수하여 플랜지와 축통 내벽을 밀접하게 끼워서 통로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잉크 보류체의 플랜지가 압입되어 끼워맞춰짐으로써 내측에 응력이 가해져서, 플랜지가 세로홈에 의하여 반 가까이 들어간 상태와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세로홈이 좁아지게 변형된다. 따라서, 세로홈의 촉은 축통 내경치수의 불균일과 형상의 일그러짐 및 플랜지 외형치수의 불균일과 형상의 일그러짐으로 인하여 치수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세로홈의 기능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실에서 밀려나오는 잉크를 세로홈을 거쳐 보류홈에서 보류하는 기능과, 잉크를 소비하여 잉크실이 감압되면 플랜지의 세로홈에서 잉크실로 공기를 넣기 위한 공기 치환홈으로서의 기능이 있다.
따라서 세로홈의 폭이 너무 작아지면, 온도상승 등으로 인하여 잉크실의 온도가 팽창되어 잉크실에서 밀려나와 보류홈으로 흐르는 잉크의 흐름이 플랜지의 좁아진 세로홈으로 저해됨으로써 펜 끝에서 잉크가 새는 사고나, 잉크를 소비하여 잉크실이 감압되면 공기가 플랜지의 세로홈을 통해 들어가는데, 세로홈 폭이 좁아져 있기 때문에 공기가 잘 들어가지 않아서 잉크실의 압력은 원래 압력으로 되돌아가기 어려워 감압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펜 끝을 통해 잉크가 잘 나오지 않아서 필감이 나빠지거나 묘선(描線)이 끊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펜 끝을 통해 잉크가 새거나 묘선이 끊기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 보류체의 세로홈을 보류체 후부의 플랜지로 관통시키며 또한 직접 잉크실로 통과시키지 않고 플랜지의 두께의 반쯤에서 멈추고, 플랜지로 들어가 있는 세로홈의 외측 일부를, 플랜지 외주의 부분적인 오목부와 축통 내벽으로 형성되는 잉크실축으로는 개방된 통로로 통과시켜 세로홈과 잉크실을 연이어 통하도록 함으로써, 플랜지가 축통에 압입되어 끼워맞춰져도 플랜지의 세로홈 폭이 좁아지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견지에 의하면, 잉크를 직접 저류하기 위하여 형성된 잉크실을 후부에 가지는 축통과, 당해 축통의 전방에 장착되며 또한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환상의 홈과 당해 복수의 환상의 홈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축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홈을 가지는 잉크 보류체와, 당해 잉크 보류체의 대략 중심부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에 장착되며 또한 잉크실에서 펜 끝으로 잉크를 도출(導出)시키기 위한 잉크 유로를 대략 중심부에 가지는 잉크 유도심을 구비한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로서, 상기 잉크 보류체의 세로홈은 당해 잉크 보류체의 후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두꺼운 반쯤까지 진입하고, 당해 플랜지로 진입되어 있는 세로홈의 외측 일부를, 상기 플랜지의 외주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축통의 내벽으로 형성되며 또한 잉크실측으로 개방된 통로로 통과시키며, 당해 통로는 세로홈과 잉크실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잉크를 직접 저류하기 위하여 형성된 잉크실을 후부에 가지는 축통과, 당해 축통의 전방에 장착되며 또한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환상의 홈과 당해 복수의 환상의 홈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축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홈을 가지는 잉크 보류체와, 당해 잉크 보류체의 대략 중심부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에 장착되며 또한 잉크실에서 펜 끝으로 잉크를 도출시키기 위한 잉크유로를 대략 중심부에 가지는 잉크 유도심을 구비한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로서, 상기 잉크 보류체의 세로홈은 당해 잉크 보류체 후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두께의 반쯤까지 진입하고, 당해 플랜지로 진입되어 있는 세로홈의 외측 일부를 상기 플랜지의 외주에 형성된 환상의 홈과 교차시켜 통과시키고, 세로홈과 플랜지의 환상의 홈이 교차하고 있는 부분의 반대측에서는 오목부가 플랜지의 외주에 형성되고, 플랜지의 환상의 홈 일부를, 플랜지의 오목부와 상기 축통의 내벽으로 형성되며 또한 잉크실측으로 개방된 통로로 통과시키며, 당해 통로는 세로홈과 잉크실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 보류체의 플랜지가 축통으로 압입되어 끼워맞춰져서 내측으로 응력을 받아도 플랜지로 들어가 있는 세로홈의 폭은 거의 변형되지 않아 좁아지지 않으므로, 잉크와 공기의 유통을 저해하는 일이 없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A-A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B-B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의 C-C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D-D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5도의 E-E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기구 본체는 그 축통(1)의 후부를 잉크실(2)로 하며 전방에는 잉크 보류체(5)가 장착되어 있다. 잉크실(2)은 잉크를 직접 저류하는 곳이다. 잉크 보류체(5)의 중심부에는 축방향으로 세로구멍(8)이 관통되며, 이 세로구멍(8)에 잉크 유도심(9)이 관통 장착되어있다. 이 잉크 유도심(9)은 잉크 보류체(5) 전방에 장착된 펜 끝(10)에 접속되어 잉크실(2)의 잉크를 펜 끝(10)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잉크 보류체(5)의 구조에 대하여 더욱 설명하면, 제2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잉크 보류체(5)의 외주면에 복수 형성된 황상의 홈을 보류홈(3)으로 하고, 복수의 보류홈(3)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세로홈(4)이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세로홈(4)은 잉크 보류체(5)의 후부에 형성된 플랜지(6)의 후단면을 관통하지 않고 플랜지(6)의 두께의 반쯤에서 멈추고, 플랜지(9)로 들어가 있는 세로홈(4)의 외측일부를 플랜지(6)의 외주에 형성된 부분적인 오목부(7)에 접속시키고 있다. 즉, 세로홈(4)의 외측 일부를 오목부(7)와 축통(1)의 내벽으로 형성되며 또한 잉크실(2)측으로 개방된 통로로 통과시키고, 이 통로의 세로홈(4)과 잉크실(2)을 연이어 통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잉크 보류체(5)를 축통(1)에 설치하면, 플랜지(6)가 축통(1)의 지름이 작은부분{이하, 소경부(小經部)라 함}에 압입되어 끼워맞춰짐으로써, 플랜지(6)의 외주면과 축통(1) 소경부의 내벽은 밀착되며, 플랜지(6)는 내측으로 응력을 받는다. 그런데, 플랜지(6)에 형성되어 있는 세로홈(4)은 축방향에서 플랜지(6)폭의 반정도이기 때문에, 세로홈(4)을 좁히려는 힘이 가해져도 플랜지(6)의 후반부가 외주에 약간의 오목부(7)를 가지는 것만으로 양측으로의 변형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축통(1)을 넓히는 것으로 플랜지(6) 전반부의 변형도 얼마 되지 않으며 플랜지(6)로 들어가 있는 세로홈(4)은 거의 좁아지지 않으므로, 설치하기 전의 홈 폭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세로홈(4)의 기능으로서 잉크실(2)에서 밀려 나오는 잉크를 세로홈(4)을 거쳐 보류홈(3)에 보류하는 기능, 또한 잉크를 소비하여 잉크실(2)이 감압되면 플랜지(6)의 세로홈(4)에서 잉크실(2)로 공기를 넣기 위한 공기 치환홈으로서의 기능에 있어서, 세로홈(4)의 폭은 플랜지(6)가 축통(1)에 압입되어 끼워맞춰져도 좁아지지 않기 때문에, 온도상승 등으로 인하여 잉크실(2)의 공기가 팽창되어 잉크실(2)에서 밀려나와 보류홈(3)으로 흐르는 잉크의 흐름이 플랜지(6)의 세로홈(4)으로 저해되어 펜 끝(10)을 통해 잉크가 새는 사고나, 잉크를 소비하여 잉크실(2)이 감압됨으로써 공기가 플랜지(6)의 세로홈(4)을 통해 들어가기 어려워져서 잉크실(2)의 압력이 원래의 압력으로 되돌아가기 어려우므로 감압된 채로 되어 있기 때문에 펜 끝(10)을 통해 나오는 잉크의 양이 적어져서 필감이 나빠지거나 묘선이 끊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제6도는 제5도의 D-D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고, 제7도는 제5도의 E-E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부재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5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잉크 보류체(15)는 그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황상의 홈을 보류홈(13)으로 하고, 이 보류홈(13)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세로홈(14)이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세로홈(14)은 잉크 보류체(15)의 후부에 형성된 플랜지(16)의 후단면을 관통하지 않고 플랜지(16)의 두께의 반쯤에서 멈춘다. 플랜지(16)에는 환상의 홈(17)이 형성되며, 이 환상의 홈(17)은 세로홈(14)과 교차하며 연결된다. 환상의 홈(17)과 세로홈(14)이 교차하는 부분의 반대측에 오목부(18)가 플랜지(16)에 형성되며, 그 결과 오목부(18)는 환상의 홈(17)을 통하여 세로홈(14)과 잉크실(2)을 연이어 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잉크 보류체(15)를 축통(1)에 설치하면 플랜지(16)가 축통(1)의 소경부에 압입되어 끼워맞춰짐으로써, 플랜지(16)의 외주면과 축통(1)소경부의 내벽은 밀착되며, 플랜지(16)는 내측으로 응력을 받는다. 그런데, 플랜지(16)에 형성되어 있는 세로홈(14)은 축방향에서 플랜지(16)의 두께의 반쯤에서 멈춰져 있으며, 그리고 플랜지(16)가 세로홈(14)과 환상의 홈(17)의 교차부분 반대측에 오목부(18)를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 세로홈(14)을 좁히려는 힘이 가해져도 플랜지(16)의 세로홈(14) 부근의 후반부에는 절결부가 없기 때문에 양측으로의 변형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축통(1)을 넓히는 것으로 플랜지(16) 전반부의 변형도 얼마 되지 않으며 플랜지(16)로 들어가 있는 세로홈(14)은 거의 좁아지지 않으므로, 설치하기 전의 홈 폭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보류체(15)를 축통(1)에 압입하여 끼워맞춤으로써 플랜지(16)가 내측으로 응력을 받아도 플랜지(16)로 들어간 세로홈(14)의 홈 폭은 거의 좁아지지 않기 때문에, 잉크는 오목부(18)에서 환상의 홈(17)을 통과하여 세로홈(14)으로 원활하게 흐르며 또한 공기는 세로홈(14)에서 환상의 홈(17)을 통과하여 오목부(18)로 진행하여 마지막으로 잉크실(2)로 원활하게 들어간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잉크와 공기의 유통을 저해하는 일이 없다.

Claims (2)

  1. 잉크를 직접 저류하기 위하여 형성된 잉크실을 후부에 가지는 축통과, 당해 축통의 전방부에서 내부에 장착되며, 그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환상의 홈과, 당해 복수의 환상의 홈을 연이어 통하도록 축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홈과 그 후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그 대략 중심부를 관통하는 축방향의 중공체를 가지는 잉크 보류체와, 잉크실에서 펜 끝으로 잉크를 도출시키기 위하여 그 대략 중심부에 잉크 유로를 가지며 축방향의 중공체로 삽입되는 잉크 유도심을 구비한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로서, 상기 잉크 보류체의 세로홈은 당해 잉크 보류체의 후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두께의 반쯤까지 진입하고, 당해 플랜지로 진입되어 있는 세로홈의 외측 일부는 상기 플랜지의 외주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하여 한정되고 잉크실쪽으로 개방되는 통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통로는 세로홈과 잉크실 사이에서 연이어 통하게 하는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
  2. 잉크를 직접 저류하기 위하여 형성된 잉크실을 후부에 가지는 축통과, 당해 축통의 전방부에서 내부에 장착되며, 그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환상의 홈과, 당해 복수의 환상의 홈을 연이어 통하도록 축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홈과, 그 후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그 대략 중심부를 관통하는 축방향의 중공체를 가지는 잉크 보류체와, 잉크실에서 펜 끝으로 잉크를 도출시키기 위하여 그 대략 중심부에 잉크 유로를 가지며 축방향의 중공체로 삽입되는 잉크 유도심을 구비한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로서, 상기 잉크 보류체의 세로홈은 당해 잉크 보류체의 후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두께의 반쯤까지 진입하고, 당해 플랜지로 진입되어 있는 세로홈의 외측 일부를 상기 플랜지의 외주에 형성된 환상의 홈과 교차하여 결합시키고, 세로홈과 플랜지의 환상의 홈이 교차하고 있는 부분의 반대측에서는 오목부가 플랜지의 외주에 형성되고, 플랜지의 환상의 홈 일부가 플랜지의 오목부와 상기 축통의 내벽으로 형성되며 또한 잉크 실측으로 개방되는 통로로 통과시키며, 이에 따라 당해 통로는 세로홈과 잉크실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
KR1019970709838A 1996-02-20 1996-12-24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 KR100236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55343 1996-02-20
JP05534396A JP3847367B2 (ja) 1996-02-20 1996-02-20 筆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520A KR19990028520A (ko) 1999-04-15
KR100236854B1 true KR100236854B1 (ko) 2000-02-01

Family

ID=1299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838A KR100236854B1 (ko) 1996-02-20 1996-12-24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27886A (ko)
EP (1) EP0887205A4 (ko)
JP (1) JP3847367B2 (ko)
KR (1) KR100236854B1 (ko)
CN (1) CN1073020C (ko)
AU (1) AU690043B2 (ko)
CA (1) CA2223135C (ko)
TR (1) TR199801624T2 (ko)
TW (1) TW405532U (ko)
WO (1) WO19970308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0711B1 (en) 2000-11-13 2002-05-21 Chartpak, Inc. Liquid ink writing pen
US6425702B1 (en) 2000-11-14 2002-07-30 Chartpak, Inc. Multi-color pen system
US6464420B2 (en) 2001-03-29 2002-10-15 Chartpak, Inc. Liquid ink writing pen with visible tip
KR100968623B1 (ko) * 2008-07-01 2010-07-08 오영호 필기구
KR100968624B1 (ko) * 2008-07-11 2010-07-08 오영호 필기구
JP5763956B2 (ja) * 2011-04-06 2015-08-1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二重ペン芯構造の万年筆
CN107772753B (zh) * 2016-08-25 2023-12-15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具有蓄液功能的液体眼线笔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1555A (en) * 1975-04-14 1976-04-20 The Parker Pen Company Modular writing pen
DE7532139U (de) * 1975-10-09 1976-02-19 Fa. Philipp Mutschler, 6900 Heidelberg Tintenleitersystem für Schreibelemente in Füllhaltern
GB2207396B (en) * 1987-06-26 1992-01-29 Pilot Ink Co Ltd Writing instrument.
JPH0258979U (ko) * 1988-10-18 1990-04-27
JPH088866Y2 (ja) * 1990-04-25 1996-03-13 パイロット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筆記具用ペン芯
JPH088150Y2 (ja) * 1990-09-28 1996-03-06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
JPH07110560B2 (ja) * 1992-07-21 1995-11-29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直液式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3135C (en) 2001-01-09
EP0887205A4 (en) 2004-03-31
JPH09226285A (ja) 1997-09-02
CN1073020C (zh) 2001-10-17
EP0887205A1 (en) 1998-12-30
US5927886A (en) 1999-07-27
TR199801624T2 (xx) 1998-12-21
WO1997030854A1 (fr) 1997-08-28
AU690043B2 (en) 1998-04-09
KR19990028520A (ko) 1999-04-15
JP3847367B2 (ja) 2006-11-22
AU1172697A (en) 1997-09-10
CA2223135A1 (en) 1997-08-28
CN1209096A (zh) 1999-02-24
TW405532U (en) 200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6854B1 (ko) 잉크 직접 저류식 필기구
JP2008062566A (ja) 筆記具
CA2143518C (en) Writing implement
US4669906A (en) Ball-point pen venting arrangement
JP4820701B2 (ja) 直液式筆記具
US20020181997A1 (en) Writing implement
US20010046408A1 (en) Ballpoint pen tip and ballpoint pen using the same
GB2067475A (en) Ball point pen tip
JP3917293B2 (ja) 直液式筆記具
JPH0649396B2 (ja) 筆記用または記録用挿入体
JP4511381B2 (ja) 直液式筆記具
JP2000127672A (ja) 直液式筆記具
JPH0632093A (ja) 直液式筆記具
JP7118814B2 (ja) ボールペン
JP4943950B2 (ja) 直液式筆記具
US5004365A (en) Drop-weight and tubular writing instrument
US11745534B2 (en) Writing utensil and producing method of writing utensil
JPS6222392Y2 (ko)
JP3197427B2 (ja) 筆記具
JPH0243099A (ja) 多角型ペン
US6322270B1 (en) Tip assembly of ball point pen
JPH0621744Y2 (ja) 水性ボ−ルペン等筆記具のリフイ−ル
JP2008044285A (ja) 直液式筆記具
JPH0852983A (ja) 筆記具
JP2023176247A (ja) ボールペン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